KR20160149187A - 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187A
KR20160149187A KR1020167023482A KR20167023482A KR20160149187A KR 20160149187 A KR20160149187 A KR 20160149187A KR 1020167023482 A KR1020167023482 A KR 1020167023482A KR 20167023482 A KR20167023482 A KR 20167023482A KR 20160149187 A KR20160149187 A KR 2016014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ve
password
user
characters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0096B1 (en
Inventor
리 정
Original Assignee
스마트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얼(동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얼(동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마트 일렉트로닉 인더스트리얼(동관)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1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0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1Protect user input by software means

Abstract

패스워드 검증 방법을 이용한 패스워드 검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방법은 복수의 인터랙티브(interactive)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수개의 알려진 캐릭터들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 상에 배열되어 랜덤하게 보여지고,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영역은 적어도 2개의 캐릭터들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복수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현재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 이후에 상기 수개의 알려진 캐릭터들을, 보여지고 다음에 선택될 상기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랜덤하게 재분포(re-distributing)시키는 단계; 및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 시퀀스(password sequence) 내에 포함된 캐릭터들을 하나하나 매번 선택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 내에 포함된 캐릭터들과 비교하고,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각각의 캐릭터가 매번 선택된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보여진 대응하는 캐릭터와 동일할 때 성공적인 패스워드 검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입력에 퍼지(fuzziness)를 제공함으로써, 입력 컨텐츠은 다중 의미(multi-vocal)를 갖고, 따라서 패스워드가 입력 프로세스 중에 누설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게다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입력의 동적 효과를 랜덤하게 발생시킴으로써, 패스워드 동작 복잡도가 증가된다. 이는 패스워드 검증 프로세스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완전하게 또한 전적으로 향상시킨다.
A password ve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is disclos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ractive regions, wherein several known characters are arranged on each interactive region and viewed randomly, and at least one interactive region comprises at least two characters ;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plurality of interactive areas performed by the user, and after the selection of current interactive areas by the user, selecting the plurality of known characters to be displayed randomly Re-distributing the data; And comparing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predefined password sequence with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interactive areas one by one and displaying each character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in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selected each time And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a successful password verification when it is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By providing a fuzziness to the content input by the user, the input content has multi-vocal, thus ensuring that the password is not leaked during the input process. In addition, by randomly generating dynamic effects of content input by the user, the complexity of password operation is increased. This completely and entirely improves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process.

Description

패스워드 검증 장치 및 방법{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METHOD}[0001] 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전자 안전 보호(electronic safety protection)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패스워드 검증(password verifying)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onic safety protec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passwords.

사람들의 삶의 질의 지속적인 개선과 안전에 대한 깊은 이해도에 따라, 패스워드 검증 장치와 대응하는 검증 방법이 사람들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현재 거의 모든 사람들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기들에서는 검증 방법의 사용이 종종 발견된다. 실제로, 이것은 검증 장치들의 특정 활용인 것이다.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터치-피드백(touch-feedback) 원리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가장 편리한 방식은 슬라이드 잠금해제(slide-unlock), 페이스 잠금해제(face-unlock), 9개의 그리드 화면(nine-grid screen)에서 특정의 패턴을 그리는 것에 의한 잠금해제 등과 같이 잘 알려진 모든 공지의 방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모든 방식들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슬라이드 잠금해제는 다른 사람들에게 완벽하게 보여질 수 있고, 페이스 잠금해제는 정지된 이미지에 의해 크랙될(cracked) 수 있으며, 9개 그리드 화면에서의 특정 패턴을 그리는 방식에 의한 잠금해제는 실제로 9개 그리드 숫자 키보드에서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그것 역시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보여지고, 크랙될 수 있다. 분명하게, 이동 단말에서 사용되던 이러한 공지의 패스워드 검증 방식 모두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충분하지 않고, 따라서 고의적인 피핑(peeping)에 의해 크랙되기 쉽다.Due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fe and their deep understanding of safety, password verificat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verification methods are widely used in various areas of people's lives. In a typical situation, almost everyone now owns at least one mobile phone or tablet computer, where the use of verification methods is often found. In practice, this is a specific use of verification devices. For a mobile terminal, a display screen based on a touch-feedback principle is generally provided. The most convenient methods are slide-unlock, face-unlock, unlocking by drawing a specific pattern on nine-grid screens, all well-known methods Lt; / RTI > However, all these methods have disadvantages. For example, slide unlocking may be perfectly visible to others, face unlocking may be cracked by a frozen image, and unlocking by way of drawing a particular pattern on the nine grid screens There can be many changes in the nine-grid numeric keyboard, but it can also be easily seen and cracked by others. Obviously, all of these known password verification schemes used in mobile terminals are not sufficiently secure and reliable, and are therefore prone to cracking by intentional peeping.

이전의 검증 기술은 대체적으로 기계적으로 수행되었다. 예컨대, 가방이나 여행 가방(suitcase)과 같은 것들에서 널리 보이는 조합방식의 잠금장치 또한 패스워드 검증 장치의 일종이다. 기계적인 방식으로 작동하는 이러한 종류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들도 마찬가지로 공지의 단점들을 지니고 있고, 그 결과 전자 검증 장치들이 순차적으로 기계 검증 장치를 대체하고 있다. 그리하여, 패스워드 검증 장치는 다양한 전자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패스워드 검증이 필요한 다양한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여행용 백(bag)과 같은 여행 가방(suitcase)들은 그들의 전자 잠금 검증 메커니즘 방식으로 검증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TV, 인간 기기 상호작용(human-machine interaction)이 가능한 라우터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같은 내수 전자 제품들은 그들 고유의 검증 절차에 있어서 상술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검증 장치는 접근(access) 제어 시스템, 자판기, 금고 및 자동차 게이트(automobile gate)의 전자 잠금장치에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미래에 나타나 패스워드 검증이 필요할 수 있는 어떠한 새로운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생각을 해보면, 패스워드 검증 기기는 매우 중요하여 인간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위하여, 우수한 패스워드 검증 기기 및 이에 대응하는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Previous verification techniques have been largely performed mechanically. For example, a combination lock that is widely seen in things such as a suitcase or suitcase is also a type of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These kinds of password verification devices, which operate in a mechanical manner, likewise have known drawbacks, and as a result electronic verification devices are successively replacing machine verification devices. Thus, the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can be applied not only to various electronic mobile terminals but also to various situations requiring password verification. For example, suitcases such as travel bags can use verification devices in the manner of their electronic lock verification mechanisms. As another example, domestic electronic appliances such as smart TVs, routers capable of human-machine interaction, or central control devices can use the devices described above in their own verification procedures. As another example, the above-described verification apparatus may be utilized in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n access control system, a vending machine, a safe, and an automobile gate. It can also be applied to any new product that may appear in the future and require password verification. When you think about it, password verification devices are very important and have a big impact on various aspects of human lif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an excellent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and a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method for higher safety.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패스워드 검증 장치가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 이용가능한 검증 방법은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다. 산업 설계 프로세스 동안에, 설계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의 성능과 안전성뿐만 아니라 제품의 제조 비용과 편의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적인 요소들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 검증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기 위한 원동력이 되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is very important, but currently available verification methods are not very satisfactory. During the industrial design process, designers must take into account the manufacturing cost and convenience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product, as described above. Thus, balancing these industrial factors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the continual improvement of verification technologie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높은 안전성(safety)을 갖고 사용하기에 용이한 패스워드 검증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ssword verifying apparatus and a corresponding method which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re easy to use with high safety.

상술한 목적을 위해, 아래와 같은 기술적 솔루션이 제공된다.For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technical solution is provided.

사용자에 의한 패스워드 입력이 올바른지 여부를 검증(verifying)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verifying whether a password input by a user is correct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 복수의 인터랙티브(interactive)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수개의 알려진 캐릭터들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 상에 배열되어 랜덤하게 보여지고,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영역은 적어도 2개의 캐릭터들을 포함하는 것인, 제1 단계;(1)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ractive regions, wherein several known characters are arranged and displayed randomly on each interactive region, and at least one interactive region includes at least two characters; A first step;

(2)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복수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현재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 이후에 상기 수개의 알려진 캐릭터들을, 보여지고 다음에 선택될 상기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랜덤하게 재분포(re-distributing)시키는 제2 단계; 및(2)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plurality of interactive areas performed by the user, and after selecting the current interactive areas by the user, comparing the several known characters to the respective interactive areas A second step of randomly re-distributing the data to the second memory; And

(3)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 시퀀스(password sequence) 내에 포함된 캐릭터들을 하나하나 매번 선택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 내에 포함된 캐릭터들과 비교하고,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각각의 캐릭터가 매번 선택된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보여진 대응하는 캐릭터와 동일할 때 성공적인 패스워드 검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단계.(3) comparing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predefined password sequence one by one with the characters contained in the selected interactive regions, and determining if each character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i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rresponding interactive region And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successful password verification when it is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hown in the third step.

퍼지(fuzziness)와 편의성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매번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들의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개수는 2개 이상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는 2개 이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공통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모든 인터랙티브 영역들이 동일한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지는 않도록 요구되어, 캐릭터의 위치를 불명확하게 만든다.In order to realize fuzziness and convenience, the number of characters displayed each time in each interactive area is the same, and the number is two or more. Also, at least one character is commonly displayed in two or more interactive areas. Also, all interactive areas are required not to display the same character, making the location of the character uncl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제3 단계에 기재된 방법으로 하나하나 비교가 수행된다.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현재의 캐릭터가 현재 선택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한 때에,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된 방법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캐릭터를 업데이트하도록 구현된다. 그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다음 선택을 위해 대기하고, 이 프로세스는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모든 캐릭터들이 성공적으로 확인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후 상기 제3 단계의 방법으로 상기 신호가 출력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the user's selection is received in the second step, a comparison is performed one by one in the manner describ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current character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is the same as that displayed in the currently selected interactive area, the method provided in the second step is implemented to update the character of each interactive area. Then waits for the next selection of the user,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all the characters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have been successfully verified. Then, the signal is output by the method of the third ste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업데이트된 디스플레이 컨텐츠(content)가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상기 캐릭터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가 기록된다. 제3 단계는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이 모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후에만 수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의 각각의 캐릭터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매번 선택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포함된 캐릭터 사이의 비교가 수행된다. 상기 비교가 성공적일 때에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신호가 출력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step, the updated display content of the interactive areas is provided based on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password sequence. Each time the user input is received,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interactive area selected by the user is recorded. The third step is performed only after all the interactive areas are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case,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each character of the password sequence and a character included in each selected interactive area by the user. When the comparison is successful, the signal is output in the third step.

안전성을 이유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이 매번 디스플레이될 때에,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이한 캐릭터들을 보여준다.For security reasons, when the interactive areas are displayed each time, at least two of the interactive areas show different characters.

프로그램의 높은 효율성을 이유로, 하나하나 비교 프로세스에서,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의 특정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 때에, 상기 패스워드 검증 방법은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하지 않도록 바로 종료한다.When, for reasons of high efficiency of the program, it is determined in one comparison process that a particular character of the password sequence is not the same as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selected by the user, 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does not perform the following steps .

안전성을 이유로, 상기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 시퀀스는 적어도 4개의 캐릭터들을 포함한다.For security reasons, the predefined password sequence includes at least four characters.

암호 해독(decryption) 및 안전성의 복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시에 보여지는 수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은 상이한 색을 갖는다.To improve the complexity of decryption and security, several interactive areas shown at the same time have different col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 모두는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 명령으로서 역할을 하는 사용자 터치 동작들을 수신하도록 사용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interactive areas are used to receive user touch operations that serve as selection instructions for respective interactive area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은 대응하는 입력 회로와 연관되고, 각각의 입력 회로의 스위치 온(switch-on)은 상기 대응하는 입력 회로와 연관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으로 변환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teractive area is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input circuit, and a switch-on of each input circuit is converted into a selection of each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input circuit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은 상이한 미리 정의된 레이블(label)과 연관된다. 상기 수신된 입력이 특정 레이블과 등가일 때, 상기 레이블과 연관된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은 음성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이다.In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teractive area is associated with a different predefined label. When the received input is equivalent to a specific label, a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e label is selected. Advantageously, said predefined label is speech data or image data.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터치 동작의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제어 유닛, 스토리지(storage) 유닛 및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패스워드 시퀀스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고,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동작을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의 명령들로 변환하도록 사용된다.The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touch operation of interactive areas. The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and a touch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a password sequence.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Wherein the touch screen provides interactive regions for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receives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interactive regions, and converts the selection operation to instructions for selection of the interactive regions .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가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입력 회로들과 연관시키는 방법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제어 유닛, 스토리지(storage) 유닛, 수개의 입력 회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패스워드 시퀀스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입력 회로 각각은 상기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한다. 상기 입력 회로 각각의 스위치 온(switch-on)은 이 스위치 온 상태를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으로 변환한다.Another type of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for associating interactive regions with input circuits. The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several input circuits, and a display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a password sequence.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The display screen is used to provide interactive areas for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Each of the input circui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rresponds to each interactive area. The switch-on of each of the input circuits converts the switched-on state into a command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가 인터랙티브 영역을 음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연관시키는 방법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제어 유닛, 음성 입력 유닛, 스토리지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 시퀀스 및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음성 입력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음성 입력 유닛은 음성 데이터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들 중 하나와 동일하다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발견될 때,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연관된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이 출력된다.Another type of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for associating an interactive area with a corresponding predefined label representing voice data. The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a voice input unit, a storage unit, and a display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a predetermined password sequence and the predefined label.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The display screen is used to provide interactive areas for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The voice input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voice input unit receives voice data input.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input audio data is identical to one of the predefined labels, an instruction to select an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e predefined label is output.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가 인터랙티브 영역을 상태 데이터를 나타내는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연관시키는 방법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제어 유닛, 이미지 인식 유닛, 스토리지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 시퀀스 및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이미지 인식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미지 인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눈들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눈들의 개구(open/close) 상태를 인식한다. 상기 눈 특징 정보가 상태 데이터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들 중 하나와 동일하다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발견될 때,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연관된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이 출력된다.Another type of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for associating an interactive region with a corresponding predefined label representing state data. The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an image recogni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display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a predetermined password sequence and the predefined label.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The display screen is used to provide interactive areas for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The image recognition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image recognition unit captures the face image of the user,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of the eyes from the image, and recognize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eyes.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ye feature information is identical to one of the predefined labels representing state data, an instruction to select an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e predefined label is output.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whe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첫째로,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의된(predefined) 패스워드 내에 포함된 모든 캐릭터(character)들이 집합적으로 시퀀스(sequence)로서 간주된다. 이들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캐릭터들의 시리즈는 랜덤하게 수개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각 부분은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영역의 선택을 위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하여, 사용자에 의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 동작은 실제로 이와 같은 선택 이전에 형성된 키 레이아웃(key layout) 내에 나타내는 이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들의 선택이다.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선택할 때마다, 이 영역들에 대해 캐릭터들의 배열 및 조합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캐릭터들의 퍼지(fuzziness)가 매우 향상된다. 패스워드 검증 프로세스 동안에 사용자의 선택 활동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알려지는 경우에도, 불법 사용자는 여전히 정확한 패스워드 시퀀스를 알아낼(ascertain) 수 없으며, 따라서 패스워드 검증의 안정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characters included in a predefined password are collectively regarded as a sequence. A series of characters including these passwords are randomly divided into several parts, and each part is displayed in an interactive area for selection of the same area by the user. Thus, the selection action of a specific interactive area by the user is actually the selection of characters displayed in this interactive area that are shown in the key layout formed before such selection. Each time the user selects interactive areas,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characters for these areas may be different. Thus, the fuzziness of selected characters is greatly improved. Even if the user's selection activity is known by others during the password validation process, the illegal user can still not ascertain the exact password sequence, thus greatl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두 번째로, 수개의 캐릭터들이 다수의 그룹들로 랜덤하게 소팅(sorting)되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 내에 보여진 이후에, 각 그룹은 하나가 넘는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더이상 패스워드 입력을 위해 버튼들(영역)에 의존하지 않고, 버튼들의 개수는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개수와 동일하다. 통상의 버튼들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개수로 감소된다. 따라서, 사용자를 위해 동작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전성 효과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Second, after several characters are randomly sorted into multiple groups and shown in each of the interactive areas, each group may contain more than one character. In this case, the user no longer depends on the buttons (areas) for password entry, and the number of buttons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interactive areas. The number of normal buttons is reduced by the number of interactive ar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is improved for the user. Also, it does not affect the safety effect at all.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추가 개선점은 버튼 레이아웃의 적어도 2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 내에 캐릭터를 보여줌으로써 이들 영역들에 대해 동일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갖도록 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캐릭터들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2개 이상의 영역들 내에 동일한 캐릭터를 보여줌으로써 패스워드의 퍼지(fuzziness)를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적법한 사용자를 위해, 한번에 더 많은 영역들에서 동일한 캐릭터가 나타남에 따라, 이 캐릭터를 커버하고 있는 임의의 영역의 선택은 동일한 캐릭터가 패스워드 시퀀스의 대응하는 캐릭터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이는 또한 동작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Thirdly,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for these areas by showing the characters in at least two interactive areas of the button layout. This increases safety by improving the fuzziness of the password, on the one hand, by improving the display effect of the characters, and on the other hand by showing the same character in two or more areas. Also, for a legitimate user, as the same character appears in more areas at a time, the selection of any area covering the character will verify that the same character is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 the password sequence. This also increases the ease of operation.

마지막으로,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은 터치 스크린 입력, 하드웨어 회로 입력, 음성 입력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패스워드 입력은 터치 스크린, 물리적 버튼들,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도구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가지고, 전자 장치들의 보안 기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Finally, the selection of interactive areas may be implemented by touch screen input, hardware circuit input, voice input, and the like. The password entry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means including tools such as a touch screen, physical buttons, microphone, or the like. In conclus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curity technology of electronic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의 전기 구조(electrical structure)의 도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의 동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의 또 다른 동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operation interface of the password ve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other operation interface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매우 상세하게 기술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password verifying device)는 제어 유닛(1), 스토리지 유닛(storage unit)(5), 디스플레이 스크린(3) 및 수개의 입력 회로(2)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은 전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동작하고, 패스워드 검증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스토리지 유닛(5)은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프로그램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중간 데이터(intermediate data)를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 데이터는 예컨대 사용자의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 후보 정보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 및 순차적으로 형성될 선택 정보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5)은 또한 스토리지 프로그램 중에 관련될 수 있는 이미지, 음성 및 상태(status)와 같은 미리 정의된 레이블(label)을 저장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방법 및 장치의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는 (리셋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사용자가 그것을 변경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영구적으로 저장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데이터와 관련하여, 이 데이터가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되어야 하는지 여부는 프로그램에 의해 가변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토리지 유닛의 사용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토리지 기술에 제약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제어 유닛(1)의 제어에 의해,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방법은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 회로들(2)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단들에 의해 인간-기계 인터랙션(human-machine interaction)을 구현한다.1, the password verif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 a storage unit 5, a display screen 3 and a number of input circuits 2 . The control unit 1 operates to control the entire apparatus and mainly plays a role of executing a program ob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 password verification process. The storage unit 5 serves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store various intermediate data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program obtained according to 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data may comprise, for example, a predefined password of the user, some or all of the candidate information units and the selection information units to be formed sequentially. The storage unit 5 may also store predefined labels such as images, sounds and status that may be related to the storage program.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e that the predefined passwords of the present method and apparatus should be stored permanently (except when the user changes it when performing the reset process). With respect to other data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is data should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variably determined by the program. Therefore, the use of th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having a limitation on the storage tech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 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means of the input circuits 2 and the display screen to implement the password verifica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human-machine interaction ).

도 2의 인터페이스에서, 4개의 코너(corner)와 하나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이 도시된다. 사용자를 위한 4개의 후보 세트들의 모든 엘리먼트(element)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의 4개의 코너에 각각 위치하는 4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31-34)이 존재한다. 각 엘리먼트는 캐릭터이고, 따라서 알려진 캐릭터들의 세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한 출력 영역(4)은 사용자에 의한 패스워드 입력 프로세스 중에 검증 진행을 나타내기 위함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해하는 것과 같이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위치에 대하여 어떠한 제약도 존재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interface of Figure 2, a display screen 3 is shown comprising four corners and one central area. There are four interactive areas 31-34 each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display area to display all the elements of the four candidate sets for the user. Each element is a character, so interactive areas are used to display a set of known characters. The main purpose of the output area 4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is to indicate the progress of the verification during the password input process by the us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limitations on the location of the interactive region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과 근접하여 위치한 4개의 원형 버튼들(21-24)은 4개의 입력 회로들(2) 각각을 스위치 온(switch on) 하기 위한 4개의 입력 회로들(2)의 버튼들이며, 제어 유닛(1)이 특정 입력 회로(2)의 스위치 온을 검출하고, 그것을 입력 회로(버튼)과 연관된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accept)된다. 따라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은 동일하게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에 인접한 대응 버튼을 누름으로써 완료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Four circular buttons 21-24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four interactive areas of the display screen have four input circuits 2 for switching on each of the four input circuits 2 And causes the control unit 1 to detect switching on of the specific input circuit 2 and convert it into a command for selecting an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e input circuit (button). In this way, the user input is accepted. Thus, it is clear that the selection of a particular interactive area can be complet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as well.

상술한 구현 방법들은 종종 가방(bag), 여행 가방(suitcase), 포스(POS) 단말기 상에서 보일 수 있다. 패스워드 검증이 필요한 ATM, 자동차 보안 시스템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상이한 구현 방법에 따라서, 입력 회로(2)는 단순화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 기능을 갖는 널리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모바일 폰과 같은 스마트 시스템을 위해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음성 입력 유닛으로 이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 입력의 수단으로서 수신된다. 입력 음성은 인식되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과 연관된 수개의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비교된다. 음성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레이블들과 일치할 때, 이 레이블과 관련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이 선택됨을 확인한다. 음성 기술 분야에서 음성 데이터와 미리 정의된 레이블 수단과의 일치는, 음성 데이터의 일부(piece)가 미리 정의된 음성 데이터와 비교되거나, 그들이 특징(feature) 정보로 변환되고, 그 후 비교되어 그들이 허용 범위(tolerance range) 내에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는 또한 관련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다. 유사하게, 카메라 및 관련 이미지 분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이미지 인식 유닛으로 사용되어, 이미지 인식 프로세스 수행, 사용자의 눈 이미지 캡쳐(eyes image capture), 이미지로부터 눈 데이터 추출, 눈의 개구(open/close) 상태를 인식하고, 이를 상태 데이터를 나타내는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비교한다. 이러한 미리 정의된 레이블들은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과 연관된다. 눈 특징이 특정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일치하는 것으로 발견될 때, 이 레이블과 연관된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이미지 정보 또는 그것의 이미지 특징 정보가 미리 정의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그것의 상태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분야에서 눈 특징과 레이블 수단의 일치는 다른 미리 정의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그것의 상태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명백하게, 전술한 다양한 입력 도구들을 포함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스마트 단말들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bed implementations can often be seen on a bag, suitcase, POS terminal. It can also be applied to ATMs, automotive security systems and other applications that require password verification. According to a different implementation method, the input circuit 2 can be simplified and the display screen can be implemented by a widely used touch screen with a touch function. In addition, for a smart system such as a mobile phone, a microphone can be used as a voice input unit, and the user's voice is received as a means of voice input. The input speech is recognized and compared with several predefined labels associated with each interactive area. When voice data matches predefined labels,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is label is selected. The coincidence of speech data with predefined label means in the field of speech technology is such that a piece of speech data is compared with predefined speech data or they are transformed into feature information and then compared, Are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in a tolerance range. It is also well known in the related art. Similarly, camera and associated image analysis hardware and software may be used as an image recognition unit to perform an image recognition process, a user's eye image capture, eye data extraction from an image, an open / close state of the eye And compares it with a predefined label representing the state data. These predefined labels are associated with each interactive area. When an eye feature is found to match a specific predefined label, the selection of the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at label is made. The matching of the eye feature and the label means in the field of image processing that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information or its image feature informa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redefined image data or its status information is based on the different predefined image data or its state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Obviously,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mbined with various smart terminals by including the various input means described above.

하드웨어가 어떻게 최적화되고(optimized), 선택되는지 간에,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방법의 구현은 그와 같이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Regardless of how the hardware is optimized and selec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so limited.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방법은 하기의 기본 원칙들에 기초한다.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basic principles.

첫째로, 스토리지 유닛은 사용자의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패스워드는 캐릭터들의 시퀀스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패스워드는 또한 패스워드 시퀀스로서 언급될 수 있다. 패스워드 시퀀스는 수개의 패스워드들의 세트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개의 캐릭터들로 구성된 오직 하나의 패스워드를 의미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의 입력 수단은 당업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스워드는 일반적으로 캐릭터들로 구성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간단한 패스워드는 0-9의 10개의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패스워드는 영어 문자, 다른 구두점(punctuation) 또는 특이한 사인(sign)들과 같은 다른 캐릭터들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발명의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0-9와 같은 캐릭터들과 a-d 등과 같은 영어 문자는 도 2에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패스워드 시퀀스는 알려진 캐릭터들 세트로 간주될 수 있고, 각 캐릭터는 세트의 엘리먼트이다. 당연하게도, 패스워드 시퀀스는 특정 순서에 따라 배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후보 캐릭터 세트는 특정 순서에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알려진 캐릭터들로 구성된 패스워드 시퀀스를 위해 정의된다. 이 세트에서, 패스워드 시퀀스의 모든 캐릭터들, 즉 알려진 세트의 모든 엘리먼트들이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알려진 캐릭터들의 세트는 후보 캐릭터 세트의 서브셋이다. 또한, 후보 캐릭터 세트는 알려진 캐릭터들의 세트의 모든 엘리먼트들을 확장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미리 설정할 때 일반적으로 캐릭터들 그룹 중 일부가 선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후보 캐릭터 세트는 캐릭터들의 알려진 세트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2개의 세트가 서로 완전히 동일한 경우를 배제하고 있지 않다. 수학에 따르면, 완전한 동일성은 포함(inclusion)의 특정 예이다.First, the storage unit stores a user's predefined password, and the password consists of a sequence of characters. Thus, a passwor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assword seque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ssword sequence does not mean that there are several sets of passwords, but only one password consisting of several 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the means for inputting the predefined password can be variably configu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is well known that passwords generally consist of characters. A simple password can contain 10 numbers from 0-9. Obviously, the password may be composed of other characters such as English characters, other punctuation, or special signs. For ease of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characters such as 0-9 and English characters such as a-d are shown in FIG. Each password sequence can be considered a set of known characters, and each character is an element of the set. Naturally, the password sequences must be arranged in a specific order.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didate character set is defined for a password sequence composed of a number of known characters arranged in a specific order. In this set, all characters of the password sequence, that is, all elements of the known set, must be contained within. In other words, the set of known characters is a subset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A candidate character set can also be obtained by extending all elements of a set of known characters. This is because some of the character groups are generally selected when the user pre-sets the password. Thus, in general, the candidate character set is not exactly the same as the known set of characte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two sets are completely equal to each other. According to mathematics, perfect identity is a specific example of inclusion.

다음으로, 후보 캐릭터 세트 및 알려진 캐릭터 세트가 정의된 이후에,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각 엘리먼트에 대응하여, 후보 캐릭터 세트의 모든 엘리먼트들이 수개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로 랜덤하게 분포된다. 적어도 하나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2개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장한다.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의 엘리먼트들은 대응적으로 분포되어, 수개의 인터랙티브 영역에 의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각 인터랙티브 영역은 독립적인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대응하고, 서브셋의 모든 엘리먼트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4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 각각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4개의 캐릭터 그룹들은 비정형으로(irregularly) 배열된다. 랜덤하게 배열된 4개의 캐릭터 그룹들은 아스키 코드(ASCII code), 자연수 등과 같은 일부 규칙성(regularity)을 따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하고, 이와 같은 경우는 본 발명의 랜덤 분포의 특정 예로서 이해되어야만 하고, 본 발명에서 제외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4개의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총 14개의 캐릭터들이 존재하고, 4개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에 속한다. 이 14개의 캐릭터들이 4개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에 포함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필수적으로 복수의 캐릭터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는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후에 다중 의미(multi-vocal) 표현을 보장한다. 이 특정 후보 캐릭터 서브셋을 선택하는 것은 확실하게 특별한 캐릭터로 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당히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후보 캐릭터 세트의 수개의 캐릭터들이 복수의 서브셋들로 분포되고, 서브셋들의 개수가 후보 캐릭터 세트의 캐릭터들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2개 이상의 캐릭터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은 캐릭터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나머지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은 후보 캐릭터 세트의 모든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2개 이상의 캐릭터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것을 보장할 것이다. 이론 상, 오직 하나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하나가 넘는 캐릭터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한, 패스워드 검증 프로세스는 명백하게 다중 의미(mlulti-vocal)를 가지며, 본 발명의 목적들은 달성될 것이다. 그러나, 선호되는 경우는 패스워드 검증의 퍼지(fuzziness)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2개 이상의 캐릭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다.Next, after the candidate character set and the known character set are defined, corresponding to each element of the known character set, all the element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are randomly distributed into several candidate character subsets. At least one candidate character subset ensures that it contains two or more elements. The elements of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are correspondingly distributed and displayed by several interactive regions such that each interactive region corresponds to an independent candidate character subset and displays all the elements of the subset. For example, the four character groups displayed by each of the four interactive regions are arranged irregular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ur randomly arranged character groups may follow some regularity such as ASCII code, natural number and the like, and this case should be understoo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random distrib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 total of 14 characters in four interactive regions and belong to four candidate character subsets. Since these fourteen characters are included in the four candidate character subsets,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typically includes a plurality of character elements. This ensures a multi-vocal representation after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is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Selection of this particular candidate character subset i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character, so safe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t least one candidate character subset may include two or more character elements if several character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ar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subsets and the number of subsets is less tha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candidate character set. Also, some candidate character subsets may not include characters, and the remaining candidate character subsets may include all character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This will also ensure that at least one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ntains two or more character elements. In theory, as long as only one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ntains more than one character element, the password validation process will obviously have multiple meanings (mlulti-vocal), and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hieved. However, if preferred,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ntains two or more character elements to improve the fuzziness of password validation.

개선된 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모든 캐릭터들의 랜덤 분포 이후에, 모든 후보 캐릭터 후보셋들은 그들이 동일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인터랙티브 영역들은 간단한 설명을 목적으로 공통의(common) 캐릭터들로 나타난 동일한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의 캐릭터들은 패스워드 검증의 퍼지(fuzziness)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이한 인터랙티브 영역들 내에 나타난다. 이러한 공통의 캐릭터들의 구현은 약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예시에서, 14개의 캐릭터들이 4개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로 배열되어, 4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은 상이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개선된 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두 개의 캐릭터들이 4개보다 작은 캐릭터들을 갖는 이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에 랜덤하게 추가됨으로써, 각각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4개의 캐릭터들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 의해, 각 인터랙티브 영역은 또한 4개의 캐릭터들을 보여줄 수 있다. 이 경우, 2개 이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은 전술한 공통의 캐릭터들을 포함할 것이다. 이 경우, 4개의 영역들은 동일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가짐으로써, 이 영역들은 또한 정형성(regularity)을 갖는다. 패스워드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짐에 따라, 공통의 캐릭터들의 존재에 의해 도둑이 패스워드를 얻기 힘들어질 것이고, 따라서 패스워드의 안전성이 역시 향상된다. 당연하게도, 캐릭터가 모든 인터랙티브 영역들(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에 나타나는 경우는 비실용적일 것이다. 따라서, 실용적으로, 이 동일한 캐릭터는 수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보여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이 경우가 배제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ure 3 as an improved example, after a random distribution of all characters, all candidate character candidate se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y contain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Here, the different interactive regions may contain the same characters that appear as common characters for the purpose of brief description. These common characters appear in different interactive areas to further improve the fuzziness of password verific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se common characters can have some flexibility. For example, 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fourteen characters are arranged into four candidate character subsets, and four interactive regions may contain a different number of characters. According to another improved example,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can have four characters by randomly adding one or two characters to these candidate character subsets with less than four characters. For the same reason, each interactive area can also show four characters. In this case, the two or more interactive regions will include the common character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four regions have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so that the regions also have regularity. As the time required to input the password becomes very short, the presence of common characters will make it difficult for the thief to obtain the password, and thus the security of the password is also improved. Obviously, it would be impractical if the character appears in all the interactive areas (candidate character subsets). Thus, practically, this same character will not be shown in several interactive area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is case is excluded from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패스워드 시퀀스의 각 패스워드 엘리먼트(캐릭터)에 대응하여, 모든 엘리먼트들이 패스워드 검증 프로세스 중에 후보 캐릭터 세트 내에 랜덤하게 분포되는 솔루션이 기술되었다 하더라도,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의 컨텐츠는 또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각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의해 제공되는 캐릭터 레이아웃(layout)이 또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높은 안전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아래와 같은 솔루션을 개시한다. 제1 위치의 패스워드 엘리먼트의 검증 이전에만, 후보 캐릭터 세트들이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을 형성하기 위해 랜덤하게 분포되고, 4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캐릭터들을 보여준다. 이후의 패스워드 엘리먼트 검증 프로세스 중에,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은 더이상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이 솔루션 또한 구현 가능하다. 이 솔루션은 계산의 복잡성을 감소시키지만, 여전히 다중 의미(multi-vocality) 및 은닉(concealment)을 보유한다. 사용자는 각 패스워드 엘리먼트를 위해 다른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의 컨텐츠를 다시 읽을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이를 통해 패스워드 검증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However, even though a solution has been described in which, corresponding to each password element (character) in the password sequence, all elements a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 candidate character set during the password validation process, the content of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can also be updated in real time . That is, the character layout provided by each interactive area can also be updated in real time, thus providing greater secur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closes the following solution. Only prior to validation of the password element in the first location, candidate character sets are randomly distributed to form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and show the characters in four interactive areas. During a subsequent password element verification process,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s are no longer updated. This solution can also be implemented. This solution reduces computational complexity, but still holds multi-vocality and concealment. The user does not need to re-read the contents of other candidate character subsets for each password elemen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assword verification.

또한, 인터랙티브 영역 레이아웃을 형성하기 위해 후보 캐릭터 세트가 복수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로 분배되는 상술한 솔루션에서,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의 엘리먼트 분포는 랜덤하거나 임의적이다. 그러나, 엘리먼트들의 비-랜덤(non-random) 분포도 본 발명에서 역시 가능하다. 예컨대,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이 랜덤하게 배열되는 수개의 레이아웃 솔루션들이 스토리지 유닛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 상이한 레이아웃 솔루션들은 특정 순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패스워드의 각 엘리먼트의 검증 이전에 그 랭크(rank)에 따라 상이한 레이아웃 솔루션이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레이아웃 솔루션들은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특정 레이아웃 솔루션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 내의 모든 캐릭터들은 랜덤하게 배열됨을 유의해야 한다. 사용자는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 내에 포함된 캐릭터들만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의 동작은 투과적(transparent)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solution wherein the candidate character set is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candidate character subsets to form an interactive region layout, the element distribution of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s is random or arbitrary. However, a non-random distribution of elements is also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everal layout solutions in which candidate character subsets are randomly arranged may be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se different layout solutions can be varied in a particular order. Different layout solution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rank before the verification of each element of the password. As a resul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ayout solutions can be updated dynamically, and all the characters in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of a particular layout solution are randomly arranged. Since the user can see only the characters contained in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of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to the user is transparent.

다음으로, 후보 캐릭터 세트를 수개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로 분배한 이후에, 패스워드 시퀀스의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각 엘리먼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instruction)이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각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수신된다. 그 후, 패스워드 시퀀스의 각 캐릭터(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각 엘리먼트)가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들(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속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모든 엘리먼트들이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속할 때, 성공적인 패스워드 검증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패스워드 검증이 오케이(ok)인 것을 확정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 명령 입력은 물리적 버튼들(21-24)을 클릭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이 사용될 때,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의 클릭은 선택 명령을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클릭하는 동작은 위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어 유닛으로 전송되고,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으로 변환된다. 대안적으로,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 입력 유닛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인터랙티브 영역의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등가인 키워드들이 동일한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을 구현하도록 식별될 수 있다. 이 식별은 제어 유닛에 의해 구현되어, 제어 유닛이 인터랙티브 영역과 연관된 선택 명령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눈 동작이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과 등가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인식 유닛이 사용자의 눈 특징(eyes feature)을 캡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 유닛은 이미지 인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눈 특징 정보의 상태 데이터를 나타내는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터랙티브 영역과 연관된 선택 명령을 발생시킨다.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을 구현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이 이용되더라도, 그 본질은 후보 캐릭터 서브셋(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에 포함된 캐릭터들)을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알려진 입력 수단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법한 사용자는 인터랙티브 영역에 나타난 캐릭터 엘리먼트들을 알고, 올바른 컨텐츠(content)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동작은 패스워드 시퀀스의 각 엘리먼트 별로 적용된다. 패스워드 시퀀스의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또한 각 패스워드 캐릭터를 위해, 사용자는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을 접하고, 따라서 각 패스워드 캐릭터에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이 획득된다. 이 방법을 위해,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각 엘리먼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속하는지 여부를 하나하나 체크함으로써 패스워드 검증이 달성된다.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현재 엘리먼트(패스워드 시퀀스에 포함된 캐릭터)가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후보 캐릭터 서브셋(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에 속할 때, 사용자가 올바른 패스워드 캐릭터를 입력한 것으로 확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잘못된 패스워드 캐릭터가 입력된다. 수개의 선택 동작들(여기서, 개수는 일반적으로 패스워드 시퀀스의 전체 개수와 동일함)이 모든 패스워드 캐릭터들에 올바르게 매칭이 되면, 이는 패스워드가 성공적으로 검증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는, 전체 프로세스를 끝내는 잠금해제(unlocking), 결제, 프로그램 시작 등과 같은 추가 동작을 위에 외부 유닛에 성공적인 패스워드 검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당연하게도, 사용자가 특정 패스워드 캐릭터를 입력하고,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특정 엘리먼트를 검증하나,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후보 캐릭터 서브셋(인터랙티브 영역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이 이 특정 엘리먼트(패스워드 캐릭터)를 포함하는 것을 실패하는 경우에, 이는 이 특정 패스워드 캐릭터의 검증이 실패함을 의미한다. 안전성을 이유로, 현재의 방법에서는 프로그램을 통해 차후의 단계들이 종료되고, 심지어 경고(warning)가 제공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Next, after dividing the candidate character set into a plurality of candidate character subsets, an instruction for selecting a specific interactive area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element of the known character set of the password sequence is divided into a set of known character sets And is received based on each of the elements. It is then determined whether each character of the password sequence (each element of a known character set) belongs to the characters (candidate character subset) displayed in the specific interactive area currently selected by the user. When all elements of a known character set belong to a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interactive area currently selected by the user, a signal indicating successful password verification is output and the password verification is ok. As discuss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selection command input can be implemented by clicking the physical buttons 21-2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not shown, when the touch screen is used, the click of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has the same effect as inputting the selection command. The clicking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via the touch screen and converted into an instruction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Alternatively, a voice input unit such as a microphone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user's voice. Keywords equivalent to predefined labels in an interactive area representing voice data can be identified to implement the selection of the same interactive area. This identification is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directly generate a selection command associated with the interactive area. In addition, an image recognition unit, such as a camera, may be used to capture a user ' s eye featur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 s eye movement is equivalent to a selection of a particular interactive area. Likewise, the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camera and compare this data with predefined labels representing the state data of the eye feature inform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image recognition function, Command. Whatever method is used to implement the selection of the interactive region, its essence is that various known input means are used to select a candidate character subset (character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region). Thus, a legitimate user is aware of the character elements that appear in the interactive area and is entering the correct content. This action is applied to each element of the password sequence. According to a predefined sequence of password sequences, and for each password character, the user touches the interactive area, and thus an interactive area corresponding to each password character is obtained. For this method, password verification is accomplished by checking, one by one, whether each element of a known character set belongs to a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interactive area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current element of the known character set (the character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belongs to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character display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teractive area currently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is determined to have entered the correct password character do. Otherwise, the wrong password character is entered by the user. If several select operations (where the number is generally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password sequences) are correctly matched to all password characters, this means that the password was successfully verified. In this case, the password ve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ignal indicating successful password verification to the external unit over the additional operation such as unlocking, settlement, program start, etc. to end the entire process. Naturally, a user may enter a particular password character and verify a particular element of a known character set, but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ntent displayed by the interactiv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ticular interactive area contains this particular element (password character) , This means that verification of this particular password character fails. For reasons of safety, the present method allows the program to terminate subsequent steps, and even warnings can be provided to ensure safety.

본 발명의 방법은 명백하게, 후보 캐릭터 세트가 복수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로 분배되어, 서브셋들의 개수가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개수와 동일하고,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개수가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의 엘리먼트들의 개수보다 작더라도,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랜덤한 재배열이 수행됨에 따라,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개수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연산 횟수가 증가되고, 따라서 안전을 보장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rly shows that although the candidate character se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andidate character subsets such that the number of subsets is equal to the number of interactive regions and the number of interactive regions is less than the number of element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s, As the random character rearrangement is performed each time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rresponding to the region is updated, the number of arithmetic operations is increased to overcome the problem caused by the lack of the number of interactive regions, thus ensuring safety.

명백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그램의 설계는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검증 방법의 프로그램 구현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기술된다.Obviousl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The design of the program may be variable.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implementation of the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검증(verification) 구현의 제1 유형:The first type of verification implementation:

첫째로,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각 엘리먼트들의 배열 순서(즉,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패스워드 캐릭터들의 배열 순서)에 따라, 이하의 서브 단계들이 수행된다.First, the following sub-step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elements of a known character set (i.e., the ordering of the password characters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1. 후보 캐릭터 세트의 모든 엘리먼트들이 처리되고, 그 각각이 후보 캐릭터 서브셋인 복수의 세트들로 분배된다. 서브셋들의 개수는 패스워드 검증 장치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개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적어도 2개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개수는 동일하다. 후보 캐릭터 세트의 엘리먼트들의 개수가 평균적으로 서브셋들로 분배되기에 불충분한 때에, 상이한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공통의 캐릭터들을 포함함으로써, 모든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이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갖도록 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며,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의 모든 엘리먼트들은 각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대응하여 배열됨으로써, 각 인터랙티브 영역은 수개의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필요한 경우, 각 인터랙티브 영역은 동일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설계에서, 각 인터랙티브 영역이 동일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인터랙티브 영역은 공통의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1. All element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are processed, and each is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sets, each of which is a candidate character subset. The number of subsets is equal to the number of interactive areas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Preferably,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includes at least two elements. Or as shown in FIG. 2, the number of elements included in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is the same. When the number of element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is insufficient to be distributed on an average basis to the subsets, it may be allowed that the different candidate character subset includes common characters so that all candidate character subsets have the same number of elements. Next,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rresponds to an interactive region, and all the elements of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teractive regions, so that each interactive region displays several characters. If necessary, each interactive area can display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design of the program, different interactive areas may include common characters to ensure that each interactive area displays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2. 사용자 입력을 대기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 내에 나타난 캐릭터들을 판독한 이후에, 사용자는 타겟 인터랙티브 영역을 결정한다.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전술한 다양한 수단에 적응하여, 선택 동작은 수동으로, 음성을 통해, 또는 시각 체크(visual check)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현재 엘리먼트(현재 패스워드 캐릭터)에 기초하여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 이후에,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현재 엘리먼트(현재 패스워드 캐릭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의 디스플레이된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속하는지 여부를 즉시 체크한다. 이 체크 동작은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현재의 엘리먼트를 후보 캐릭터 서브셋의 엘리먼트와 비교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체크 결과가 긍정인(affirmative) 때에는, 즉, 현재 엘리먼트가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속할 때에는, 일시적인 레이블(temporary label)로서 동작하는 레이블 변수의 상태를 패스워드 검증 성공으로서 설정하며, 예컨대 이 레이블 변수에는 "Y" 값이 할당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패스워드 검증 실패로 설정되고, "N" 값이 할당된다.2. Wait for user input. After reading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s of each interactive areas of the display screen, the user determines the target interactive area.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means described above which are implemented by hardware, the sel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by voice, or by a visual check. After the program receives a user command to select a specific interactive area based on the current element (current password character) of a known character set, the current element of the known character set (current password character) It immediately checks whether it belongs to the displayed candidate character subset. This check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by comparing the current element with an element of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When the check result is affirmative, that is, when the current element belongs to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the status of the label variable acting as a temporary label is set as the password verification success, Quot; value can be assigned. Otherwise, a password verification failure is set and a value of "N" is assigned.

각 패스워드 캐릭터에 대해 위의 두 단계가 수행된다. 이론상으로, 각 패스워드 캐릭터의 검증은 위의 두 단계를 필요로 한다.The above two steps are performed for each password character. Theoretically, the verification of each password character requires the above two steps.

위의 사이클(cycle)의 완료 이후에, 모든 패스워드 캐릭터들에 대해서, 사용자는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선택했고, 이는 패스워드 입력의 종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후의 피드백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 방법에서, 패스워드 검증의 결과는 레이블 변수의 상태에 의존할 수 있다. 이 변수가 여전히 "Y"인 경우에, 패스워드 검증은 성공적이고, 성공적인 패스워드 검증을 나타내는 이후의 신호가 추가 동작을 위해 출력된다. 그렇지 않으면, 레이블 변수가 단 한번이라도 "N"으로 할당되는 한 위의 사이클은 종료된다. 이 경우에, 패스워드 검증은 실패한 것으로 확정되고, 패스워드 검증 실패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그 결과는 사용자에게 피드백된다.After completion of the above cycle, for all password characters, the user has selected each interactive area, which signifies the end of the password entry. Therefore, a subsequent feedback operation can be performed. Specifically, in the current method, the result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may depend on the state of the label variable. If this variable is still "Y ", then the password verification is successful and subsequent signals indicating successful password verification are output for further operation. Otherwise, the above cycle ends as long as the label variable is assigned to "N" even once. In this case, the password verification is determined to have failed, a signal indicating the password verification failure is output, and the result is fed back to the user.

검증 구현의 2번째 유형:The second type of verification implementation:

첫째로,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각 엘리먼트들의 배열 순서(패스워드 시퀀스내에 포함된 패스워드 캐릭터들의 배열 순서)에 따라, 이후의 서브 단계들이 수행된다.First, the subsequent sub-step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elements of a known character set (the ordering of the password characters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1. 후보 캐릭터 세트의 모든 엘리먼트들이 처리되고, 이들은 그 각각이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후보 캐릭터 서브셋인 복수의 세트들로 분리된다. 서브셋들의 개수는 패스워드 검증 장치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개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적어도 2개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며,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의 모든 엘리먼트들은 각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대응하여 배열됨으로써, 각 인터랙티브 영역은 수개의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개수가 동일할 수 있다. 후보 캐릭터 세트의 엘리먼트들의 개수가 평균적으로 서브셋들로 분배되기에 불충분한 때에, 상이한 후보 캐릭터 서브셋이 공통의 캐릭터들을 포함함으로써, 모든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이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갖도록 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은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며, 각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의 모든 엘리먼트들은 각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대응하여 배열됨으로써, 각 인터랙티브 영역은 수개의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필요한 경우, 각 인터랙티브 영역은 동일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설계에서, 각 인터랙티브 영역이 동일한 개수의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인터랙티브 영역은 공통의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1. All element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are processed and they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ts, each of which is a candidate character subset to be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The number of subsets is equal to the number of interactive areas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Preferably,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includes at least two elements. Next,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rresponds to an interactive region, and all the elements of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teractive regions, so that each interactive region displays several characters. In addition, the number of elements included in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may be the same. When the number of elements of the candidate character set is insufficient to be distributed on an average basis to the subsets, it may be allowed that the different candidate character subset includes common characters so that all candidate character subsets have the same number of elements. Next,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corresponds to an interactive region, and all the elements of each candidate character subset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teractive regions, so that each interactive region displays several characters. If necessary, each interactive area can display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design of the program, different interactive areas may include common characters to ensure that each interactive area displays the same number of characters.

2. 사용자 입력을 대기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 내에 나타난 캐릭터들을 판독한 이후에, 사용자는 타겟 인터랙티브 영역을 결정한다.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전술한 다양한 수단에 적응하여, 선택 동작은 수동으로, 음성을 통해, 또는 시각 체크(visual check)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전 검증 프로세스와 상이하게, 프로그램이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현재 엘리먼트(현재 패스워드 캐릭터)에 기초하여 특정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 이후에, 체크가 즉시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현재 엘리먼트(현재 패스워드 캐릭터)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인터랙티브 영역의 후보 캐릭터 서브셋 사이의 상관관계 데이터(correlation data)를 수립하고, 이 데이터를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한다. 그 이후, 마지막 캐릭터가 검증될 때까지, 다음의 패스워드 캐릭터를 검증하기 위해 단계 1로 다시 돌아간다. 그 후, 다음 단계들이 수행된다.2. Wait for user input. After reading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s of each interactive areas of the display screen, the user determines the target interactive area.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means described above which are implemented by hardware, the sel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by voice, or by a visual check. Unlike the previous verification process, after the program receives a user command to select a specific interactive area based on the current element of the known character set (the current password character), the check is not performed immediately. Instead, correlation data is established between the current element (current password character) and a candidate character subset of each interactive region selected by the user, and this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reaft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 to verify the next password character until the last character is verified. Then, the following steps are performed.

이전 사이클은 사용자에 의한 각 패스워드 캐릭터들의 입력 및 선택을 수신하도록 종료되어, 알려진 캐릭터 세트의 모든 엘리먼트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따라서 각 엘리먼트들과 동적인(dynamic) 후보 캐릭터 서브셋들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relationship)가 수립된다. 그 결과로, 새로운 사이클이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관계 데이터가 호출되고(invoked), 대응하는 관계 데이터의 각 그룹 내에 포함된 현재의 엘리먼트가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그 대답이 긍정(yes)이면, 현재의 체크 결과가 일시적인 레이블(temporary label)로 주어지고, 대응하는 레이블 변수가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나타낸다. 이와 다르게, 현재의 엘리먼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응하는 후보 캐릭터 서브셋에 속하는 것에 실패한 경우, 레이블 변수는 패스워드 검증 실패를 나타낸다. 일단 레이블 변수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검증 실패가 존재한다면 현재의 사이클은 종료될 것이다. 이 경우에, 레이블 변수의 표시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이 실패하였음을 확정하고, 패스워드 검증 실패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어 프로그램 효율을 향상시킨다. 모든 엘리먼트들이 체크되고 패스워드 검증 실패 결과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위의 일시적인 레이블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검증이 성공적임을 확정하고, 패스워드 검증 성공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The previous cycle is terminated to receive input and selection of each of the password characters by the user such that all elements of the known character set are selected by the user and are therefore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corresponding elements between the dynamic character candidate subsets A relationship is established. As a result, a new cycle can begin. Specifically,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data is invok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element contained in each group of corresponding relationship data is included in the candidate character subset associated with the data. If the answer is yes, the current check result is given as a temporary label, and the corresponding label variable indicates password verification success. Alternatively, if the current element fails to belong to the corresponding candidate character subset selected by the user, the label variable indicates a password validation failure. Once there is at least one verification failure as indicated by the label variable, the current cycle will end. In this case, it is confirmed that the password verification has failed based on the display of the label variable, and a signal indicating failure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is output to improve the program efficiency. If all the elements are checked and no password verification failure result is found, t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word verification is successful based on the above temporary label and a signal indicating the password verification success is output.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은 상이한 프로그램 언어, 상이한 프로그래밍 스타일 등의 사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이 강조될 것이다. 위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t will be emphasized that the various software programs may be formed by use of different programming languages, different programming styles, and the like. The above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요약하면,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장치는 본 발명의 패스워드 검증 방법에 기초한다.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contents) 입력에 퍼지(fuzziness)를 제공함으로써, 입력 컨텐츠은 다중 의미(multi-vocal)를 갖고, 따라서 패스워드가 입력 프로세스 중에 누설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게다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입력의 동적 효과를 랜덤하게 발생시킴으로써, 패스워드 동작 복잡도가 증가된다. 이는 패스워드 검증 프로세스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완전하게 또한 전적으로 향상시킨다.In summary, the password ve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uzziness to the contents input by the user, the input content has multi-vocal, thus ensuring that the password is not leaked during the input process. In addition, by randomly generating dynamic effects of content input by the user, the complexity of password operation is increased. This completely and entirely improves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password verification proces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변형 및 개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첨부된 청구항 및 그의 균등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hat are applicabl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You will understand.

1: 제어 유닛 2: 입력 회로
3: 디스플레이 스크린 5: 스토리지 유닛
1: control unit 2: input circuit
3: Display screen 5: Storage unit

Claims (18)

사용자에 의한 패스워드 입력이 올바른지 여부를 검증(verifying)하는 패스워드 검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인터랙티브(interactive)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수개의 알려진 캐릭터들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 상에 배열되어 랜덤하게 보여지고,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영역은 적어도 2개의 캐릭터들을 포함하는 것인, 제1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복수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현재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 이후에 상기 수개의 알려진 캐릭터들을, 보여지고 다음에 선택될 상기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랜덤하게 재분포(re-distributing)시키는 제2 단계; 및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 시퀀스(password sequence) 내에 포함된 캐릭터들을 하나하나 매번 선택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 내에 포함된 캐릭터들과 비교하고,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각각의 캐릭터가 매번 선택된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보여진 대응하는 캐릭터와 동일할 때 성공적인 패스워드 검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검증 방법.
A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for verifying whether a password input by a user is correct,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ractive regions, wherein a plurality of known characters are arranged and displayed randomly on each interactive region, and at least one interactive region comprises at least two characters; ;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plurality of interactive areas performed by the user, and after the selection of current interactive areas by the user, selecting the plurality of known characters to be displayed randomly A second step of re-distributing; And
Comparing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predefined password sequence one by one with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interactive regions each time, and comparing each character included in the password sequence with the corresponding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successful password verification when the password is the same as the character
/ RTI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매번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들의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개수는 2개 이상이며,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는 2개 이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공통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characters displayed each time in each interactive area is the same, the number is at least two, and at least one character is commonly displayed in two or more interactive areas. Way.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인터랙티브 영역들이 동일한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지는 않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ll interactive areas do not display the same charact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제3 단계에 기재된 방법으로 하나하나 비교가 수행되고,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현재의 캐릭터가 현재 선택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한 때에,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된 방법이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캐릭터를 업데이트하도록 구현되고, 그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다음 선택을 위해 대기하고, 이 프로세스는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모든 캐릭터들이 성공적으로 확인될 때까지 반복되고, 이후 상기 제3 단계의 방법으로 상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each time a selection of the user is received in the second step, a one-to-one comparison is performed in the manner describ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current character is the same as that displayed in the currently selected interactive area, the method provided in the second step is implemented to update the character of each interactive area, thereafter waits for the next selection of the user, Wherein 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all the characters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are successfully verified and then the signal is output in the manner of the third step.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업데이트된 디스플레이 컨텐츠(content)가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 내에 포함된 상기 캐릭터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이 모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후에만 수행되고, 이 경우에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의 각각의 캐릭터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매번 선택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포함된 캐릭터 사이의 비교가 수행되고, 상기 비교가 성공적일 때에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in the second step the updated display content of the interactive regions is provided based on the number of characters contained in the password sequence,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interactive area selected by the user is recorded each time the interactive area is received and the third step is performed only after all of the interactive areas have been selected by the user and in this case each of the password sequences Wherein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a character and a character contained in each selected interactive area by the user, and the signal is output in the third step when the comparison is successfu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이 매번 디스플레이될 때에,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이한 캐릭터들을 보여주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when the interactive areas are displayed each time, at least two of the interactive areas show different character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하나 비교 프로세스에서, 상기 패스워드 시퀀스의 특정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 때에, 상기 패스워드 검증 방법은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하지 않도록 바로 종료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in the one-to-one comparison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ticular character of the password sequence is not the same as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selected by the user, Is immediately terminated so as not to perform subsequent step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패스워드 시퀀스는 적어도 4개의 캐릭터들을 포함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redefined password sequence comprises at least four character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시에 보여지는 수개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은 상이한 색을 갖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several interactive regions shown at the same time have different color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 모두는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 명령으로서 역할을 하는 사용자 터치 동작들을 수신하도록 사용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ll of the interactive areas are used to receive user touch operations that serve as selection instructions of respective interactive area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은 대응하는 입력 회로와 연관되고, 각각의 입력 회로의 스위치 온(switch-on)은 상기 대응하는 입력 회로와 연관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의 선택으로 변환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each interactive region is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input circuit, and wherein a switch-on of each input circuit is associated with each interactive Lt; RTI ID = 0.0 > domain, < / RTI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은 상이한 미리 정의된 레이블(label)과 연관되고, 상기 수신된 입력이 특정 레이블과 등가일 때, 상기 레이블과 연관된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이 선택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each interactive region is associated with a different predefined label, and when the received input is equivalent to a particular label, And a region is selec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은 음성 데이터인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edefined label is voice dat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은 상태 데이터인 것인, 패스워드 검증 방법.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redefined label is state data.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패스워드 검증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 스토리지(storage) 유닛 및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패스워드 시퀀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고,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동작을 상기 인터랙티브 영역들의 선택의 명령들로 변환하도록 사용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장치.
11. A password verifying device embodying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and a touch screen,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a password sequence and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a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the touch screen providing interactive areas for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Is used to receive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regions and to convert the selection operation into instructions of selection of the interactive regions.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패스워드 검증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 스토리지(storage) 유닛, 수개의 입력 회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패스워드 시퀀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입력 회로 각각은 상기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인터랙티브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입력 회로 각각의 스위치 온(switch-on)은 이 스위치 온 상태를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장치.
11. A password verifying device embodying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11,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several input circuits and a display screen,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a password sequence and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a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the display screen being used to provide interactive areas for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method, Each of the circuit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rresponding to each interactive area, the switch-on of each of the input circuits converting the switched on state into a command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interactive area, , A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제13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패스워드 검증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 음성 입력 유닛, 스토리지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 시퀀스 및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음성 입력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성 입력 유닛은 음성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들 중 하나와 동일하다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발견될 때,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연관된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이 출력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장치.
13. A password verify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A control unit, a voice input unit, a storage unit, and a display screen,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a predetermined password sequence and the predefined label and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a program embodied by the method, the display screen being interactive for the program embodied by the method, Wherein the voice input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voice input unit receives a voice data input, and if the voice data input is equal to one of the predefined labels, And when it is found by the control unit, an instruction to select an interactive area associated with the predefined label is output.
제14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패스워드 검증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 이미지 인식 유닛, 스토리지 유닛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 시퀀스 및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구현된 상기 프로그램을 위해 인터랙티브 영역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이미지 인식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 인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눈들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눈들의 개구(open/close)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눈 특징 정보가 상태(status) 데이터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들 중 하나와 동일하다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발견될 때, 상기 미리 정의된 레이블과 연관된 인터랙티브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이 출력되는 것인, 패스워드 검증 장치.
15. A password verify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A control unit, an image recogni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display screen,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a predetermined password sequence and the predefined label and the control unit is for performing a program embodied by the method, the display screen being interactive for the program embodied by the method, Wherein the image recognition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image recognition unit captures the face image of the user,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of the eyes from the image, When the eye feature information is found by the control unit to be equal to one of the predefined labels representing status data, A command to select an associated interactive area is output,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KR1020167023482A 2014-04-24 2014-07-04 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method KR10186009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69452.2A CN104182678A (en) 2014-04-24 2014-04-24 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password verifying method
CN201410169452.2 2014-04-24
PCT/CN2014/081681 WO2015161565A1 (en) 2014-04-24 2014-07-04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and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187A true KR20160149187A (en) 2016-12-27
KR101860096B1 KR101860096B1 (en) 2018-05-21

Family

ID=5196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482A KR101860096B1 (en) 2014-04-24 2014-07-04 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53815B2 (en)
EP (1) EP3139295A4 (en)
JP (1) JP2017531234A (en)
KR (1) KR101860096B1 (en)
CN (1) CN104182678A (en)
AU (1) AU2014391959B2 (en)
RU (1) RU2711351C2 (en)
WO (1) WO201516156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2075B (en) * 2013-10-17 2016-03-30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CN104915592B (en) * 2015-05-28 2017-03-08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Password setting method and its equipment
CN105631300B (en) * 2015-07-08 2018-11-0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of calibration and device
CN105069330B (en) * 2015-08-05 2018-01-19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Password Indistinct Input method and device
US9876783B2 (en) 2015-12-22 2018-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password verification
CN105631267A (en) * 2015-12-26 2016-06-0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Password check method and terminal
CN105786382A (en) * 2016-02-25 2016-07-20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Password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direction recognition
CN106096350B (en) * 2016-06-14 2019-02-05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Terminal device password unlock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6681526A (en) * 2016-11-30 2017-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assword input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416197A (en) * 2017-02-09 2018-08-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Unlock the method and device of mobile terminal
CN108108112A (en) * 2017-12-15 2018-06-0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ipher-code input method and device, computer installation,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CN108229140B (en) * 2018-01-26 2022-09-06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9165502A (en) * 2018-08-23 2019-01-08 南京航空航天大学 Secure password input method on a kind of smart phone that anti-shoulder is peeped
CN109257747B (en) * 2018-11-19 2021-10-22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Mobile terminal WIFI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1382649A (en) * 2018-12-31 2020-07-07 南京拓步智能科技有限公司 Face imag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nine-grid principle
US11639617B1 (en) 2019-04-03 2023-05-02 The Chamberlain Group Ll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736472B2 (en) 2019-06-10 2023-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ion with well-distributed random noise symbols
US11514149B2 (en) 2019-06-10 2022-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ttern matching for authentication with random noise symbols and pattern recognition
US11258783B2 (en) * 2019-06-10 2022-0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ion with random noise symbols and pattern recognition
US11240227B2 (en) 2019-06-10 2022-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tial pattern recognition in a stream of symbols
US11178135B2 (en) 2019-06-10 2021-1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tial pattern recognition in a stream of symbols
US11496457B2 (en) 2019-06-10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tial pattern recognition in a stream of symbols
US10866699B1 (en) * 2019-06-10 2020-1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for authentication with random noise symbols
US11394551B2 (en) 2019-07-17 2022-07-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cure authentication using puncturing
US11133962B2 (en) 2019-08-03 2021-09-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synchronization with noise symbols and pattern recognition
CN110928429B (en) * 2019-11-22 2020-12-22 北京海泰方圆科技股份有限公司 Information input method, device, medium and equipment
CN111311790A (en) * 2020-01-17 2020-06-19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Rapid matching method and system for passwords
CN112214754B (en) * 2020-10-30 2023-02-10 重庆广播电视大学重庆工商职业学院 Computer network safety early war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349A (en) * 1992-10-01 1995-06-27 Baker; Daniel G. Nondisclosing password entry system
JP3732011B2 (en) * 1998-07-31 2006-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6980081B2 (en) * 2002-05-10 2005-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KR20020077838A (en) * 2002-08-09 2002-10-14 박승배 Password system solving the controversial point of the password-exposure by the observation of other people
JP4306390B2 (en) * 2003-09-29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Password authentic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2006277396A (en) * 2005-03-29 2006-10-12 Kyocera Mita Corp Personal identification device
CN1892542A (en) * 2005-07-08 2007-01-10 尹赞 Cipher safety inputting method of intelligent communication terminal
JP4758175B2 (en) * 2005-08-15 2011-08-24 株式会社みずほ銀行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user authentication program
CN2845026Y (en) * 2005-11-29 2006-12-06 陈修志 Voice controlled file searching system
US20070277224A1 (en) * 2006-05-24 2007-11-29 Osborn Steven L Methods and Systems for Graphical Image Authentication
CN101183941B (en) * 2007-08-03 2011-03-09 廖睿 Random concealed inquiry type cipher authentication technique
US8117652B1 (en) * 2008-04-30 2012-02-14 Trend Micro, Inc. Password input using mouse clicking
US20120194549A1 (en) * 2010-02-28 2012-08-02 Osterhout Group, Inc. Ar glasses specific user interface based on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ype
RU2445685C2 (en) * 2010-06-04 2012-03-20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технической защиты информации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по техническому и экспортному контролю Method to authenticate users based on graphic password that varies in time
US20120011370A1 (en) * 2010-07-06 2012-01-12 Duke David John Personal identification code entry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425171B1 (en) * 2010-11-03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user password
CN201937690U (en) * 2010-12-23 2011-08-17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alizing acoustic-controlled unlocking
TWI434194B (en) * 2011-10-26 2014-04-11 Utechzone Co Ltd Gaze-tracking password input method and device utilizing the same
US20130276102A1 (en) * 2012-04-13 2013-10-17 Abine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a secure password entry using a non-secure device
CN103632075B (en) * 2013-10-17 2016-03-30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JP6212627B2 (en) * 2014-03-28 2017-10-11 正昭 宮田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3815B2 (en) 2017-12-26
US20150312040A1 (en) 2015-10-29
RU2711351C2 (en) 2020-01-16
AU2014391959B2 (en) 2017-11-23
JP2017531234A (en) 2017-10-19
WO2015161565A1 (en) 2015-10-29
CN104182678A (en) 2014-12-03
RU2016135554A (en) 2018-03-06
KR101860096B1 (en) 2018-05-21
EP3139295A1 (en) 2017-03-08
AU2014391959A1 (en) 2016-09-08
EP3139295A4 (en) 2018-02-14
RU2016135554A3 (en)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096B1 (en) Password verifying device and method
KR102051701B1 (en) Authenticating Device and Authenticating Method
US10592653B2 (en) Encoding methods and systems
CN108475169A (en) The system and method that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in equipment is enabled for touch sensitive screen
CN103034798B (en) A kind of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of random cipher
US8661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ssword
US20160188855A1 (en) Secure PIN Entry
KR1020002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using circulation secure keypad and overlapping image
CN108292996B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identity using a variable keypad
CN106156593A (en) A kind of sectional drawing is utilized to carry out the method and device verified
KR101659809B1 (en) Apparatus for input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method for thereof and system for thereof
KR1019924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using circulation secure keypad and overlapping grid pattern
KR101155532B1 (en) Method for processing security numbe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8762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using circulation secure keypad
GB2503417A (en)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both access code and user's action in entering the code
CN114730336A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ata entry and authentication
JP2017215804A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program
CN106817221A (en) A kind of command identifying method and device
BR112016018866B1 (en) PASSWORD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