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008A -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008A
KR20160144008A KR1020150093846A KR20150093846A KR20160144008A KR 20160144008 A KR20160144008 A KR 20160144008A KR 1020150093846 A KR1020150093846 A KR 1020150093846A KR 20150093846 A KR20150093846 A KR 20150093846A KR 20160144008 A KR20160144008 A KR 2016014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bar
display module
dashboar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8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1046B1 (en
Inventor
이경택
김정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73,385 priority Critical patent/US9895975B2/en
Publication of KR2016014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0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r type display apparatus, which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without obstructing the front view of a driver,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The bar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module which is arranged on a dashboard to be adjacent to the bottom end of a front glass of a vehicle and is extended from one edge of the dashboard to the other edge of the dashboard.

Description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type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bar-

본 출원은 2015년 06월 0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171,956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2 / 171,956, filed June 5, 2015,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shaped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로 차량에도 주행 안정성 및 운전자 편의를 위한 각종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고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표시 정보를 증강현실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driving stability and driver convenience have been developed in vehicles. For example, a head-up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which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a vehicle without dispersing the driver's gaze. In recent year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a head-up display device as an augmented reality .

도 1은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ead-up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석 데쉬 보드(10) 상에 배치된 영상 투영 장치(20)를 통해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정보(30)를 전방 유리(40)에 투영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영상 투영 장치(20)는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내부의 거울 반사를 통해 차량의 전방 유리(40)로 확대시켜 투영한다. 1, a conventional head-up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n image projection device 20 disposed on a driver's seat dashboard 10, and the information 30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is projected onto the front glass 40 Provide to the driver. At this time,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20 enlarges the image of the display to the front glass 40 of the vehicle through the mirror reflection inside, and projects the enlarged image.

그러나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운전자의 정면 시청 영역에 영상을 투영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정면 시야각을 가려 안전 운행을 방해하고, 운전자가 정면을 보며 시청하기 어렵거나 시청하더라도 시야각이 제한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image is projected on the front view area of the driver, the front view angle of the driver is obstructed to obstruct the safe driving, and the viewing angle may be restricted even if the driver is difficult to view or watch the front view.

둘째, 야외 시인성이 낮아 정보 전달력이 떨어지고, 외부 환경(날씨, 와이퍼 작동시)에 따라 시인성이 달라질 수 있다.Second, visibility is low due to low outdoor visibility, and visibility depends on external environment (weather, wiper operation).

셋째, 영상 투영 방식으로 인하여 시야각, 해상도, 및 휘도가 낮다.Third, the viewing angle, resolution, and brightness are low due to the image projection metho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shaped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vehicle including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정면 시야각을 가리지 않으면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shaped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bar-type display device, which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without discriminating the driver's front view angl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전방 유리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데쉬 보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데쉬 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r-shap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a dashboard adjacent to a lower end of a front glass of a vehicle, the display module extending from one side edge to the other edge of the dashboard .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200mm의 단변 최대 길이 및 단변 길이의 3배 내지 10배의 장변 길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r-shap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having a short side length of 200 mm and a long side length of 3 to 10 times the short side length.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전방 유리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데쉬 보드 상에 배치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데쉬 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r-shap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disposed on a dashboard adjacent to a lower end of a front glass, Modules.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운전자의 정면 시청 영역을 가리지 않으면서 운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irst,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without blocking the front view area of the driver.

둘째,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하 시야각을 향상 및 제한된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pper / lower viewing angles of the display and realize a limited viewing angle.

셋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직접적으로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영상 투영 방식 대비 야외 시인성, 시야각, 해상도 및 휘도가 우수하여 높은 정보 전달력을 가지며, 외부 환경(날씨, 와이퍼 작동시)에 따라 시인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Third, by realizing the image directly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t has high visibility, viewing angle, resolution and brightness compared with the image projection method, and has high information transfer ability. Accordingly, the visibility can be minimized.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may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의 실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운전자의 정면 시야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보편적인 운전자의 상하 시야각 및 좌우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보편적인 운전자의 편안한 시야각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운전자의 전방시계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변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흡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른 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야각 차단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에 도시된 시야각 차단 부재에 의한 운전자와 동승자 각각의 시야각 영역과 차단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에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른 예에 따른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매립형 데쉬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c는 도 18a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매립형 데쉬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에서, 호스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의 실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ead-up display device.
2 is a view showing an interior of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ngle of a general driver.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iewing angles of a general driver.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mfortable viewing angle range of a general driver.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ront view range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rules concerning the automobile safety standard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ort side length of a ba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sorption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views for explaining a view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ew angle blocking member in a ba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5A to 15C are views showing the viewing angle area and the blocking area of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by the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shown in FIG. 14.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A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8B is a view showing a buried dashboard of the ba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8A.
18C is a view showing a buried dashboard of a bar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18A.
1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host system in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n augmented reality displayed on a screen of a display module in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n interior of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word " first, "" second," and the lik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he second item and the second item among the first item, Means any combination of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The term "on" means not only when a configuration is formed directly on top of another configuration, but also when a third configura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se configuratio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nd th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의 실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일반적인 운전자의 정면 시야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ior of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ngle of a general drive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은 전방 유리(110)(또는 윈드 실드)의 하단(LP)에 인접하도록 데쉬 보드(120) 상에 배치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포함한다.2 and 3,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dashboard 120 to be adjacent to a lower end LP of a windshield 110 (or a windshield) And a bar type display device 130.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데쉬 보드(120)의 일측 가장자리(S1)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S2)까지 마련된다. 즉,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차량의 운전석(DS) 전방과 조수석(PS) 전방에 걸쳐 마련된다.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provided from one side edge S1 to the other side edge S2 of the dashboard 120. That is,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DS and in front of the passenger's seat PS of the vehicle.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운전자(100)의 정면 시청영역(FVA)을 가리지 않도록 전방 유리(110)의 하단(LP)과 데쉬 보드(110) 사이의 정면 비시야각 영역(FNVA)에 배치된다. 즉,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운전자(100)의 운전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차량 내부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에 배치됨으로써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킨다.The bar type display device 130 is disposed in the front non-viewing angle area FNVA between the lower end LP of the front glass 110 and the dashboard 110 so as not to block the front viewing area FVA of the driver 100 . That is,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disposed in a dead space inside the vehicl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view of the driver 100,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vehicle.

일반적으로, 보편적인 사람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도의 상하 시야각(θ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도의 좌우 시야각(θ2)을 갖는다. 예를 들어, 미국/캐나다의 경우, 기준 평면을 기준으로 사람이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정면 상하 시야각의 경우, 상 시야각은 28도이고, 하 시야각은 15도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한 눈을 뜨고 움직이지 않고 정면을 응시했을 때, 볼 수 있는 상하 시야각은 평균 44도이지만, 초점이 명확한 영역은 30도 정도이다.In general, a person has a vertical viewing angle? 1 of 30 degrees and a left and right viewing angle? 2 of 60 degrees, as shown in FIG. 4B, as shown in FIG. 4A.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 Canada,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are 28 degrees, and the lower viewing angles are 15 degrees, in the case of a frontal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 in which the user can comfortably see based on the reference plane. When looking at the front without opening one eye,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that can be seen are an average of 44 degrees, but the area with a clear focus is about 30 degrees.

일반적으로, 운전자(100)와 전방 유리까지의 거리는 평균 950mm 정도이며, 이를 기준으로 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100)의 상하 시야각(θ1)이 30도일 경우, 수직 크기(VL)는 310mm정도일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100)의 좌우 시야각(θ2)이 60도일 경우, 수평 크기(HL)는 1160mm 정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100)의 편안한 시야각 영역은, 도 5c에 도시된 1,160mm의 수평 크기(HL)와 310mm의 수직 크기(VL)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1,160mm의 장변 길이(HL)와 310mm의 단변 길이(VL)를 가질 수 있지만, 이 경우 운전자의 전방시계범위를 만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100)의 정면 시청 영역(FVA)을 가림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방해하게 된다.In general, the distance from the driver 100 to the front glass is about 950 mm on average. When the vertical viewing angle? 1 of the driver 100 is 30 degrees as shown in FIG. 5A, The horizontal size HL may be about 1160 mm when the right and left viewing angles 2 of the driver 100 are 60 degrees, as shown in FIG. 5B. Accordingly, the comfortable viewing angle range of the driver 100 can have a horizontal size (HL) of 1,160 mm and a vertical size (VL) of 310 mm shown in FIG. 5C. Therefore,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long side length HL of 1,160 mm and a short side length VL of 310 mm. However, in this case, not only does the front side watch range of the driver not be satisfied, , The driver's safe driving is interrupted by covering the front view area FVA of the driver 100, as shown in FIG.

상기 운전자의 전방시계범위는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94조(운전자의 시계범위)의 제3호에 규정된 것으로, 운전자의 전방시계범위 안에는 창분리지지대, 실외 라디오안테나, 후사경, 창닦이기를 제외한 방해물이 있어서는 아니되지만, 제4호에 규정된 범위의 20% 범위 안에서는 운행정보를 보여주거나 비춰 보여주는 장치와 그 장치에 의해 보여주거나 비춰 보여주는 부분, 조향핸들 및 계기판넬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94조의 제4호에 규정된 범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Z면에 수직하면서 V점을 지나는 면과 전방하향 1도의 각을 이루는 면의 아랫부분과 전방하향 4도의 각을 이루는 면의 윗부분 사이로 규정되어 있다.The forward watch range of the driver is defined in No. 94 of Rule 94 (Driver's Watch Range) of the Automobile Safety Standard, and includes a window separation support, an outdoor radio antenna, a rearview mirror, a windscreen Within the 20% range of the range specified in No. 4, there may be obstacles excepted, but devices that show or show the driving information and parts that are shown or shown by the device, steering wheel and instrument panel may be placed. Here, the range defined in Rule 94 (4) of the Regulation on Automobile Safety Standard, as shown in Fig. 6,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XZ plane and passing through the point V and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face forming an angle of 4 degrees forward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도 5c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전방시계범위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100)의 정면 시청 영역(FVA)을 가리지 않는 범위의 단변 길이(SL)와 장변 길이(LL)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전방 유리(110)의 하단, 즉 전방 유리(110)의 하단(LP)과 데쉬 보드(110) 사이의 정면 비시야각 영역(FNVA)에 배치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시계범위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100)의 정면 시청 영역(FVA)을 가리지 않으면서 운전자(100)의 운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atisfy the front view range of the driver as shown in FIGS. 5C and 7 but also has a short side length in a range not covering the front view area FVA of the driver 100 SL and a long side length LL.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front non-viewing angle area FNV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ont glass 110, i.e., the lower end LP of the front glass 110 and the dashboard 110, Not only the front view area of the driver 100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river 100 can be displayed without blocking the front view area FVA of the driver 10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단변과 장변을 갖는다.2, 8 and 9, a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단변 최대 길이(SL)는 200mm로 설정되고,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장변 최소 길이(LL)는 단변 길이(SL)의 3배 이상으로 설정되고, 장변 최대 길이(LL)는 데쉬 보드(110)의 상면에 설치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방 유리(110)의 하단 길이 미만으로 설정된다. 이때,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단변 최대 길이(SL)가 200mm를 초과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운전자의 전방시계범위를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100)의 정면 시청 영역(FVA)을 가릴 수 있다.The shortest side length SL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set to 200 mm and the longest side minimum length LL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set to at least three times the short side length SL, (LL) is set to be less than the lower end length of the windshield 110 within a rang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10. [ If the maximum short side length SL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exceeds 200 mm, as shown in FIG. 7, the front view range of the driver can not be satisfied and the front view of the driver 100 It is possible to cover the area FVA.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200mm의 단변 최대 길이(SL) 및 단변 길이(SL) 대비 3배 내지 10배로 설정된 장변 최대 길이(LL)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150mm의 단변 최대 길이(SL) 및 단변 길이(SL) 대비 7배 내지 10배로 설정된 장변 최대 길이(LL)를 가질 수 있다.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long side maximum length LL set to 3 times to 10 times the short side length SL and the short side length SL of 200 mm. More specifically,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long side maximum length LL set to 7 to 10 times the short side length SL and the short side length SL of 150 mm.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하우징(131), 디스플레이 모듈(133), 및 전면 커버(135)를 포함한다.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a housing 131, a display module 133, and a front cover 135.

상기 하우징(131)은 데쉬 보드(120)의 상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33)을 수납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31)은 운전석(DS)을 향하는 전면이 개구된 수납 공간(131a)를 갖는 상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 공간(131a)의 전면 테두리 부분에는 계단 형태의 모듈 지지면(131b)이 마련되어 있다.The housing 13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20 to house the display module 133. To this end, the housing 131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 storage space 131a whose front surface facing the driver's seat DS is opened. A stepwise module supporting surface 131b is provided at a front edge of the storage space 131a.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쉬 보드(120)의 일측 가장자리(S1)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S2)까지 마련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차량의 운전석(DS) 전방과 조수석(PS) 전방에 걸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3)에서, 단변 최대 길이는 200mm로 설정되고, 장변 최소 길이(LL)는 단변 길이(SL)의 3배 이상으로 설정되고, 장변 최대 길이(LL)는 데쉬 보드(110)의 상면에 설치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방 유리(110)의 하단 길이 미만으로 설정된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200mm의 단변 최대 길이(SL) 및 단변 길이(SL) 대비 3배 내지 10배로 설정된 장변 최대 길이(LL)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하우징(131)의 수납 공간(131a)에 수납되어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을 표시한다.The display module 133 is provided from one side edge S1 to the other side edge S2 of the dashboard 12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display module 133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DS and in front of the passenger's seat PS of the vehicle. In the display module 133, the shortest side length is set to 200 mm, the longest side minimum length LL is set to at least three times the short side length SL, Is set to be less than the lower end length of the windshield 110 within a range that can be set on the upper surface. The display module 13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long side maximum length LL set to 3 times to 10 times the short side length SL and the short side length SL of 200 mm. The display module 133 is housed in the storage space 131a of the housing 131 and displays an image supplied from a host system (not shown).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33a),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33a)의 후면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33a)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미도시),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고 가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면 케이스(미도시),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33a)의 전면 가장자리와 후면 케이스의 측면을 덮는 전면 케이스(13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33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or examp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33a, a backlight unit (not shown)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33a, a guide frame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33a, A rear case (not shown) for receiving the backlight unit and supporting the guide frame, and a front case 133b covering the front edg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33a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3a),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3a)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미도시), 가이드 프레임을 수납하는 후면 케이스(미도시),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3a)의 전면 가장자리와 후면 케이스의 측면을 덮는 전면 케이스(13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33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For examp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133a, a guide frame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133a, a rear case (not shown) And a front case 133b covering the front edge of the panel 133a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운전자(100)의 시야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방 유리(110) 쪽으로 볼록하게 벤딩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장변 길이(LL)는 가상의 점(IP)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곡률(R)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벤딩된 화면을 갖는다. 다시 말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오목한 화면을 갖는다.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33 is bent convexly toward the windshield 110 in order to improv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 That is, the long side length LL of the display module 133 has a screen that is concavely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R about a virtual point IP. In other words, the display module 133 has a concave screen.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직접적으로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영상 투영 방식 대비 야외 시인성, 시야각, 해상도 및 휘도가 우수하여 높은 정보 전달력을 가지며, 외부 환경(날씨, 와이퍼 작동시)에 따라 시인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Since the display module 133 directly implements the image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display module 133 has excellent information visibility due to excellent outdoor visibility, viewing angle, resolution and brightness compared to the image projection method, Weather, wiper operation), the visibility may be minimized.

상기 전면 커버(135)는 사각 띠 형태로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전면 가장자리와 측면을 감싼다. 여기서, 전면 커버(135)는 전방 유리(110) 쪽으로 오목하게 벤딩된 디스플레이 모듈(133)과 동일한 곡률로 벤딩되어, 오목하게 벤딩된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벤딩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front cover 135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nd and covers the front edg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33. Here, the front cover 135 is bent at the same curvature as that of the display module 133 bent concavely toward the front glass 110, thereby maintaining the bent state of the concavely bent display module 133.

상기 호스트 시스템은 차량 외부 카메라(미도시), 운행 영상 기록 장치(미도시), 네비게이션 장치(미도시), 휴대용 단말기(미도시), 오디오 장치(미도시), 및 차량 운행 기록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화면에 표시한다.(Not shown), a navigation device (not shown),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an audio device (not shown), and a vehicle driving recorder (not shown) And displays the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33.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마운팅 부재(140)에 의해 전방 유리(110)의 하단과 중첩되는 데쉬 보드(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20, which overlaps with the lower end of the front glass 110 by a mounting member 140.

일 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40)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으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쿠션 재질의 양면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member 1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double-sided tape, and is preferably a double-sided tape made of a cushion material to cushion the impact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다른 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40)는 전방 유리(110)의 하단과 중첩되는 데쉬 보드(120)의 상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미도시), 및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하면에 부착되어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자력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14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metal plate (not show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20 that overlaps with the lower end of the front glass 110, And a magnetic force member (not shown) attached to the metal plat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복수의 흡착 부재(150)에 의해 전방 유리(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데쉬 보드(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 즉 하우징(131)의 후면에는 복수의 흡착 부재(150)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거치대(131d)가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때,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하면과 데쉬 보드(120) 사이에는 쿠션 재질의 완충 부재(160)가 개재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glass 110 by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150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20. In this case, a plurality of cradles 131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ction members 150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at is, the housing 131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a buffer member 160 made of a cushion materia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nd the dashboard 120.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2A and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 유닛(170)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틸트시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상하 시야각을 조절한다.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 유닛(170)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171), 데쉬 보드(120)에 마련되어 플레이트(171)를 수납하는 수납 프레임(173),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마련되어 외부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175), 및 조도 센서(175)의 센싱 조도에 기초하여 플레이트를 틸트시키는 구동 부재(177)를 포함할 수 있다.12A and 12B, the viewing angle adjusting unit 17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djusts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by tilting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FIG. The view angle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ate 171 for supporting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 storage frame 173 provided for the dashboard 120 to store the plate 171, And a driving member 177 for tilting the plate on the basis of the sensing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175. [

상기 플레이트(171)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 즉 하우징(131)의 하면에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7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plate 171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at is, the housing 131,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frame 173.

상기 수납 프레임(173)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와 중첩되는 데쉬 보드(120)에 설치되어 구동 부재(177)를 수납함과 아울러 플레이트(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플레이트(171)는 수납 프레임(173)에 마련된 힌지 부재(17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torage frame 173 is installed on the dashboard 120 which overlaps with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o house the driving member 177 and rotatably support the plate 171. Here, the plate 17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member 173a provided on the receiving frame 173. [

상기 조도 센서(175)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 즉 하우징(131)의 상면 또는 후면 상측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조도를 센싱한다.The illuminance sensor 175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at is, the housing 131, to sense the illuminance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구동 부재(177)는 구동 모터로서, 조도 센서(175)에 의해 센싱된 센싱 조도에 따라 플레이트(171)를 틸트시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상하 시야각을 향상시킨다. 즉, 구동 부재(177)는 모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모터 제어부는 조도 센서(175)의 센싱 조도가 기준 값 이상, 예를 들어 차량 외부가 상대적으로 밝은 환경일 경우, 구동 부재(177)를 구동시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상부를 운전석 쪽으로 틸트시켜 밝은 환경에 의해 상하 시야각 저하를 개선한다. 반대로, 모터 제어부는 조도 센서(175)의 센싱 조도가 기준 값 이하, 예를 들어, 차량 외부가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일 경우, 구동 부재(177)를 구동시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수직하게 세워지는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The driving member 177 is a driving motor and tilts the plate 171 according to the sensing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75 to improve the vertical viewing angl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at is, the driving member 177 is controlled by a motor control unit (not shown). When the sensing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175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177) to tilt the upper portion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oward the driver's seat so as to improve the lowering of the viewing angle by the bright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175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in a relatively dark environment outside the vehicle, the motor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member 177 so that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vertically erected To the home position.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른 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3A and 13B are views for explaining a view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 유닛(170)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171), 데쉬 보드(120)의 상면에 마련되어 플레이트(171)를 수납하는 수납 프레임(173), 플레이트(171)와 수납 프레임(173)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부재(178), 및 수납 프레임(173)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부재(178)에 연결된 조작 레버(179)를 포함할 수 있다.13A and 13B, the viewing angle adjusting unit 17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cludes a plate 171 for supporting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 plate 17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20, A hinge member 178 for rotatably coupling the plate 171 and the accommodating frame 173 and an operation lev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178 through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frame 173 179).

상기 플레이트(171)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 즉 하우징(131)의 하면에 결합되어 수납 프레임(17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plate 171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at is, the housing 131,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frame 173.

상기 수납 프레임(173)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와 중첩되는 데쉬 보드(120)에 설치되어 구동 부재(177)를 수납한다.The housing frame 173 is installed on the dashboard 120 which overlaps with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nd houses the driving member 177.

상기 힌지 부재(178)는 플레이트(171)와 수납 프레임(173) 간의 조인트 부분에 설치되어 플레이트(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hinge member 178 is installe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plate 171 and the receiving frame 173 to rotatably support the plate 171.

상기 조작 레버(179)는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수납 프레임(173)의 일측면을 관통해 힌지 부재(178)에 연결된다. 이러한 조작 레버(179)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플레이트(171)를 회전시킴으로써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상하 시야각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도록 한다.The operating lever 179 is formed in an L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178 through one side of the receiving frame 173. [ The operation lever 179 rotates the plate 171 according to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so that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adjusted by the user.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야각 차단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a는 도 12에 도시된 시야각 차단 부재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각 영역과 차단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b 및 도 15c는 도 14에 도시된 시야각 차단 부재에 의한 동승자의 시야각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ew angle blocking member in the bar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A is a view showing a view angle area and a blocking area of the driver by the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shown in FIG. 12, Fig. 15C is a view showing a viewing angle range of the passenger by the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shown in Fig. 14;

도 9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차단 부재(137)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 즉 디스플레이 패널(133a)의 전면에 부착되어 운전자(100)의 시야각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차단 부재(137)는 제 1 차단 영역(137a) 및 제 2 차단 영역(137b)을 포함할 수 있다.9 and 14, the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137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at is, the display panel 133a, to block the viewing angle of the driver 100. FIG. To this end, the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137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locking region 137a and a second blocking region 137b.

상기 제 1 차단 영역(137a)은 조수석(PD; 도 2 참조) 전방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 차단 영역(137a)에는 표면 처리 공정에 의해 제 1 차단 패턴(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차단 패턴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표시 영역에 대한 운전자(100)의 시야각을 차단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The first blocking area 137a may be defined as a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passenger seat PD (see FIG. 2). The first blocking region 137a is provided with a first blocking pattern (not shown) by a surface treatment process. The first blocking pattern minimizes the driver's line of sight by blocking the viewing angle of the driver 100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odule, as shown in Fig. 15A.

상기 제 2 차단 영역(137b)은 조수석(PD; 도 2 참조) 전방을 제외한 나머지 전방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2 차단 영역(137b)에는 표면 처리 공정에 의해 제 1 차단 패턴(미도시)과 다른 제 2 차단 패턴(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차단 패턴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표시 영역에 대한 동승자(100a)의 시야각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야각 차단 부재(137)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에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이 주차시,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ing area 137b may be defined as a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passenger seat (PD; see FIG. 2) except the front. The second blocking region 137b is provided with a second blocking pattern (not shown) different from the first blocking pattern (not shown) by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The second blocking pattern blocks the viewing angle of the passenger 100a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odule, as shown in Fig. 15B.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different images i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of the display module 133 through the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137. 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is parked, Different images can be provided to the passenger.

추가적으로, 동승자(100a)는 차량의 운전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표시 영역에 대한 동승자(100a)의 시야각을 차단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시야각 차단 부재(137)에서 제 2 차단 영역(137b)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100a)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ssenger 100a does not operate the vehicle, it is not necessary to block the viewing angle of the passenger 100a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odule. Accordingly, the second blocking region 137b in the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137 can be omitt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5C, the occupant 100a can view the full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을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structed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module. Accordingly, only the display module will be described below.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33a1)과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33a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33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ay include a first display panel 133a1 and a second display panel 133a2.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33a1)은 운전자용 화면으로서, 운전자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한다.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33a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33a1)에 표시되는 영상은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도 시청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panel 133a1 is a driver's screen, and display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driver. The first display panel 133a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panel 133a1 can be seen not only by the driver but also by the passenger.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33a2)은 동승자용 화면으로서, 동승자에 필요한 영상을 표시한다.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33a2)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33a1)과 동일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33a2)은 운전자의 시청을 차단할 수 있는 시야각 차단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33a1)에 대한 운전자(100)의 시야각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The second display panel 133a2 is a screen for a passenger, and displays a video necessary for a passenger. The second display panel 133a2 may be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s the first display panel 133a1. The second display panel 133a2 includes a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that can block the viewing of the driver so as to block the viewing angle of the driver 100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play panel 133a1 to minimize the driver's line of sight.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패널(133a1)은 제 2 디스플레이 패널(133a2)보다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display panel 133a1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screen than the second display panel 133a2.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른 예에 따른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은 전방 유리(110)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 사이에 대응되는 데쉬 보드(120)에 마련된 복수의 통기 홀(125)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통기 홀(125) 각각에서는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저온 공기 또는 고온 공기가 블로윙(blowing)된다.First,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25 provided in a dashboard 120 corresponding to a space between a front glass 110 and a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n each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25, low temperature air or hot air is blown by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vehicle.

다른 예에 따른 하우징(131)은 복수의 통기 홀(125)을 덮지 않도록 데쉬 보드(12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때, 하우징(131)의 후면(131e)은 통기 홀(125)로부터 블로윙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 즉, 하우징(131)이 통기 홀(125)을 덮지 않기 위하여, 하우징(131)이 통기 홀(125)로부터 지나치게 이격될 경우, 운전자의 정면 시야각 일부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31)의 후면(131f)은 그 중심부(131e1)가 전방 유리(110)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좌우 대칭형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통기 홀(125)을 덮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기 홀(125)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통기 홀(125)로부터 블로윙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The housing 131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20 so as not to cover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25. 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131e of the housing 131 has a streamlined structur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air blown from the vent hole 125. That is, when the housing 131 is excessively spaced from the vent hole 125 in order to prevent the housing 131 from covering the vent hole 125, a part of the front view angle of the driver may be covered by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hav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rear surface 131f of the housing 131 has a symmetrical streamlined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131e1 of the rear surface 131f protrudes toward the front glass 110 in a convex manner. Accordingly,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install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vent hole 125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ver the vent hole 125 to smooth the flow of air blown from the vent hole 125.

추가적으로, 하우징(131)의 후면(131e)에는 복수의 방열 패스 홀(131e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 패스 홀(131e2) 각각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방열 패스 홀(131e2)은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내부에 발생되는 자체 발열과 햇빛에 의해 가해지는 열이 순환될 수 있는 공기 순환 패스를 제공함으로써 열에 의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신뢰성을 개선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ass holes 131e2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131e of the housing 131. [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ass holes 131e2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o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 The plurality of heat-dissipating pass holes 131e2 provide an air circulation path through which heat generated in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can be circulated, Improves reliability.

도 18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매립형 데쉬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c는 도 18a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매립형 데쉬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8A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having a bar-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B is a view showing a flush type dashboard of a rectangula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shown in FIG. 18A, 18A is a view showing a buried dashboard of a bar typ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18A. Fig.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은 전방 유리(110)의 하단(LP)에 인접하도록 데쉬 보드(120)에 매립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포함한다.18A and 18B,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buried in the dashboard 120 so as to be adjacent to a lower end LP of the windshield 110, .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데쉬 보드(120)의 일측 가장자리(S1)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S2)까지 마련되는 것으로, 하우징(131'), 및 디스플레이 모듈(133)을 포함한다.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is provided from one edge S1 to the other edge S2 of the dashboard 120 and includes a housing 131 'and a display module 133.

상기 하우징(131')은 디스플레이 모듈(133)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전방 유리(110)의 하단(LP)에 인접한 데쉬 보드(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즉, 하우징(131')은 데쉬 보드(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housing 131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120 adjacent to the lower end LP of the front glass 110 so as to have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133. That is, the housing 131 'is the same as the one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housing 13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ashboard 120,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3)은 하우징(131')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데쉬 보드(120)에 매립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데쉬 보드(120)의 상면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33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31 'and is embedded in the dashboard 12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op view of the dashboard 12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80)가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speaker 18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33 to face the driver's seat and / or the passenger's seat.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스피커(180)를 생략하는 대신에,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및/또는 조수석을 향하는 하우징(131')의 일측 전면(前面) 또는 타측 전면(前面)에 스피커(190)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omitting the speaker 180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33, one side of the housing 131 'facing the driver's seat and / or the front passenger's seat, as shown in Fig. 18C, And a speaker 19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front surface.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차량에서, 호스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host system in a vehicle having a bar-shap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호스트 시스템(200)은 차량에 설치된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의 다양한 정보를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 즉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 외부 카메라(210), 운행 영상 기록 장치(220), 네비게이션 장치(230),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 오디오/비디오 장치(250), 및 차량 운행 기록 장치(26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hos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from a driving assistance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on a screen of a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at is, a display module, can do. For examp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include a vehicle external camera 210, a moving image recording device 220, a navigation device 230, a portable user terminal 240, an audio / video device 250, 260).

상기 차량 외부 카메라(210)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설치된 사이드 카메라(211),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 카메라(213), 및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2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211, 213, 215)는 어안 렌즈(211a, 213a, 215a)를 통해 180도 이상의 화각으로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호스트 시스템(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exterior camera 2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de camera 211 installed at a side mirror of a vehicle, a front camera 213 installed at a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camera 215 installed at a rear of the vehicle. The cameras 211, 213, and 215 may photograp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an angle of view of 180 degrees or more through the fisheye lenses 211a, 213a, and 215a, and provide the captured images to the host system 200 in real time.

상기 운행 영상 기록 장치(220)는 일명 블랙박스로서, 차량의 운행시 또는 주정차시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한다. 추가적으로, 운행 영상 기록 장치(220)는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호스트 시스템(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The driving video recording device 220 is a so-called black box, which records and records images of the front and / or rear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driving or at the time of driving the vehicle. In addition, the driving image recording apparatus 220 may provide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host system 200 in real time.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230)는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목적지 경로 정보 및 운행 경로 정보 등의 길 안내 정보를 호스트 시스템(200)에 제공한다.The navigation device 230 provide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provid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such as the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host system 200.

상기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는 운전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문자 서비스,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정보를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호스트 시스템(200)에 제공한다. 즉, 호스트 시스템(200)은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와 연동되어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에서 실행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표시한다.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is a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a driver, for example, a smart phone.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execution information of a user-set application, a text service,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to a host To the system 200. That is, the host system 200 displays the information executed in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in cooperation with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상기 오디오/비디오 장치(25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오디오 정보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호스트 시스템(200)에 제공한다.The audio / video device 250 provides the host system 200 with audio information and / or vide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260)는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 정보를 호스트 시스템(200)에 제공한다.The vehicle driving recorder 260 provides On-Board Diagnostics (OBD)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host system 200.

일 예에 따른 호스트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카메라(211)로부터의 차량 좌우측 영상(201, 202), 차량 운행 기록 장치(260)로부터의 주행 속도 정보(203), 네비게이션 장치(230)로부터의 길 안내 정보(204) 등을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화면에 영역 분할하여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2, the hos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vehicle left and right images 201 and 202 from the side camera 211, running speed information 203 from the vehicle running recorder 260,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204 from the navigation device 230 can be divid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t the same time.

다른 예에 따른 호스트 시스템(20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카메라(213)에 의해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화면에 증강현실로 표시하거나, 네비게이션 장치(230)로부터의 길 안내 정보와 전방 카메라(213)에 의해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을 1:1로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화면에 증강현실로 표시함으로써 길 안내를 최적화할 수 있다.20, the host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ay display the forward vehicle imag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213 as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33, ) And the vehicle front imag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213 are matched in a 1: 1 manner and displayed as a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33, thereby optimizing the route guidance.

추가적으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receives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provided from the host system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40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변형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미러링(smart mirroring) 기능을 통해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와 직접적으로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전송하고,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인터넷, 동영상 재생, 갤러리, 또는 뮤직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를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through a smart mirroring function to transmi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the bar- And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Here, the user can execute an application such as navigation, internet, movie reproduction, gallery, or music installed in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and transmit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to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일 예로서, 변형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미러링 기능을 통해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길 안내 정보(204)를 직접 수신하여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directly receives the guidance information 204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through the smart mirroring function And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다른 예로서, 변형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스마트 미러링 기능을 통해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24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길 안내 정보를 직접 수신하고,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방 카메라(213)에 의해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을 수신하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방 영상과 길 안내 정보를 1:1로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33)의 화면에 증강현실로 표시함으로써 길 안내를 최적화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directly receives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user terminal 240 through the smart mirroring function, and controls the front camera 213 provided from the host system,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optimized by matching the vehicle front image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n a 1: 1 manner and displaying it as a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33, as shown in Fig. 20 can do.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져, 전방 유리(110)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데쉬 보드(1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투명하기 때문에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경우에도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화면에 영상을 표시할 경우 운전자의 운전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운전자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도 9에 도시된 하우징(131)과 디스플레이 모듈(133) 및 전면 커버(135) 각각을 포함하고, 이러한 하우징(131)과 디스플레이 모듈(133) 및 전면 커버(135) 각각은 투명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ransparent,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dashboard 12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windshield 110, compri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Since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paren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afe operation of the driver even when the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driver without doing so. The bar type display device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ousing 131 shown in FIG. 9, the display module 133, and the front cover 135, The display module 133, and the front cover 135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be transpar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운전자 110: 전방 유리
120: 데쉬 보드 130: 디스플레이 장치
131, 131': 하우징 133: 디스플레이 모듈
135: 전면 커버 140: 마운팅 부재
150: 흡착 부재 160: 완충 부재
170: 시야각 조절 유닛 180: 스피커
200: 호스트 시스템 210: 차량 외부 카메라
211: 사이드 카메라 213: 전방 카메라
215: 후방 카메라 220: 운행 영상 기록 장치
230: 네비게이션 장치 240: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
250: 오디오/비디오 장치 260: 차량 운행 기록 장치
100: driver 110: front glass
120: Dashboard 130: Display device
131, 131 ': housing 133: display module
135: front cover 140: mounting member
150: absorption member 160: buffer member
170: Viewing angle control unit 180: Speaker
200: host system 210: vehicle exterior camera
211: side camera 213: front camera
215: rear camera 220: driving video recording device
230: navigation device 240: portable user terminal
250: audio / video device 260: vehicle driving recorder

Claims (20)

차량의 전방 유리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데쉬 보드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데쉬 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the dashboard adjacent the lower end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Wherein the display module extends from one edge to the other edge of the dash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200mm의 단변 최대 길이 및 단변 길이의 3배 이상의 장변 길이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변 최대 길이는 상기 전방 유리의 하단 길이 미만으로 설정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odule has a short side length of 200 mm and a long side length of at least three times the short side length,
Wherein the maximum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display module is set to be less than the bottom length of the front glass.
단변과 장변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200mm의 단변 최대 길이 및 단변 길이의 3배 내지 10배의 장변 길이를 갖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And a display module having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Wherein the display module has a short side length of 200 mm and a long side length of 3 to 10 times the short side lengt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오목한 화면을 갖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isplay module has a concave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at least one display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투명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 module is transparent.
전방 유리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데쉬 보드 상에 배치된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데쉬 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차량.
And a bar type display device disposed on the dashboar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glass,
Wherein the bar type display device extends from one side edge to the other edge side of the dashboar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200mm의 단변 최대 길이 및 단변 길이의 3배 이상의 장변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변 최대 길이는 상기 전방 유리의 하단 길이 미만으로 설정된, 차량.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has a short side length of 200 mm and a long side length of three times or more of the short side length,
The maximum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is set to be less than the length of the bottom of the front glas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방 유리의 하단과 상기 데쉬 보드 사이의 정면 비시야각 영역에 배치된, 차량.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r type display device is disposed in a front non-viewing angle are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ont glass and the dashboard.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오목한 화면을 갖는,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display module has a concave screen.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at least one display pane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차량.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is transparent.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선을 포함한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및
상기 전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호스트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 front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lane; And
Further comprising a host system for displaying the vehicle front imag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as an augmented reality on the display module.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선을 포함한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및
상기 전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차량 전방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길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길 안내 정보와 상기 차량 전방 영상을 매칭시켜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 front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lane; And
Further comprising: a host system that provides the vehicle front imag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to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display module receiv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user terminal and displays the receiv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as an augmented reality by matching the vehicle ahead image with the receiv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리와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데쉬 보드에 마련된 통기 홀을 더 포함하는,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Further comprising a vent hole provided in the dashboard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front glass and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데쉬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은 상기 통기 홀을 회피하는 유선 형태를 갖는, 차량.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housing provided on the dashboard to receive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has a wired form avoiding the vent hole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전방 유리의 하단에 인접한 상기 데쉬 보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차량.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housing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adjacent to a lower end of the front glass so as to have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트시켜 시야각을 조절하는 시야각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야각 조절 유닛은,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데쉬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수납 프레임;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의 센싱 조도에 기초하여 플레이트를 틸트시키는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nd a viewing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viewing angle by tilting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The viewing angle adjusting unit includes:
A plate for supporting the bar type display device;
A storage frame provided on the dashboard to store the plate;
A brightness sensor provided in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And
And a driving member for tilting the plate based on the sensing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sensor.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수납 프레임;
상기 수납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수납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틸트시키는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 plate for supporting the bar type display device;
A storage frame for storing the plate;
A hinge member installed on the accommodating frame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lever that penetrates through the storage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to tilt the plate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부착된 시야각 차단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야각 차단 필름은 조수석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시 영역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각을 차단하는 차단 영역을 갖는, 차량.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bar-shaped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viewing angle blocking film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viewing angle blocking film has a blocking area for blocking a viewing angle of a driver with respect to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ront passenger's seat.
KR1020150093846A 2015-06-05 2015-06-30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2411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73,385 US9895975B2 (en) 2015-06-05 2016-06-03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71956P 2015-06-05 2015-06-05
US62/171,956 2015-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008A true KR20160144008A (en) 2016-12-15
KR102411046B1 KR102411046B1 (en) 2022-06-20

Family

ID=5757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846A KR102411046B1 (en) 2015-06-05 2015-06-30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046B1 (en)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8111B2 (en) 2018-07-23 2021-08-03 Corning Incorporated Automotive interiors and cover glass articles with improved headform impact performance and post-breakage visibility
US11292343B2 (en) 2016-07-05 2022-04-05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332011B2 (en) 2017-07-1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331886B2 (en) 2016-06-2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strengthened glass to curved molded plastic surface for decorative and display cover application
US11384001B2 (en) 2016-10-25 2022-07-1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 glass lamination to a display
US11423816B2 (en) 2018-11-29 2022-08-23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adjustable display system and methods of dynamically adjusting a display
US11459268B2 (en) 2017-09-12 2022-10-04 Corning Incorporated Tactile elements for deadfronted glas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518146B2 (en) 2018-07-16 2022-12-0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a vehicle interior system
US11550148B2 (en) 2017-11-30 2023-01-10 Corning Incorporate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US11586306B2 (en) 2017-01-03 2023-02-21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597672B2 (en) 2016-03-09 2023-03-0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660963B2 (en) 2017-09-13 2023-05-3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KR20230074656A (en) * 2021-11-16 2023-05-31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and vehicle
US11685685B2 (en) 2019-07-31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US11685684B2 (en) 2017-05-15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Contour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718071B2 (en) 2018-03-13 2023-08-08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rack resistant curved cover glas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45588B2 (en) 2017-10-10 2023-09-0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7250B2 (en) 2017-11-30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forming aspheric mirrors
US11768369B2 (en) 2017-11-21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Aspheric mirror for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72491B2 (en) 2017-09-13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Light guide-based deadfront for display, related methods and vehicle interior systems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US11858351B2 (en) 2018-11-30 2024-01-0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with thermally matched system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11899865B2 (en) 2017-01-03 2024-02-13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926552B2 (en) 2018-11-21 2024-03-12 Corning Incorporated Low stored tensile energy dicing glass and preferential crack fragment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357A (en) * 1998-02-23 1999-09-07 Toyoda Gosei Co Ltd Instrument panel for automobile
JP2004243898A (en) * 2003-02-14 2004-09-02 Calsonic Kansei Corp Vehicular image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05227208A (en) * 2004-02-16 2005-08-25 Ricoh Co Ltd Navigation system, display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KR100774727B1 (en) * 2006-07-18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adjusting brightness and angle of monitor in automobile
JP2009122441A (en) * 2007-11-15 2009-06-04 Denso Corp Visib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nd display system
JP2011025779A (en) * 2009-07-23 2011-02-10 J&K Car Electronics Corp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program
KR20120092352A (en) * 2011-02-11 2012-08-21 팅크웨어(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rgumented reality using imag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357A (en) * 1998-02-23 1999-09-07 Toyoda Gosei Co Ltd Instrument panel for automobile
JP2004243898A (en) * 2003-02-14 2004-09-02 Calsonic Kansei Corp Vehicular image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05227208A (en) * 2004-02-16 2005-08-25 Ricoh Co Ltd Navigation system, display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KR100774727B1 (en) * 2006-07-18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adjusting brightness and angle of monitor in automobile
JP2009122441A (en) * 2007-11-15 2009-06-04 Denso Corp Visib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nd display system
JP2011025779A (en) * 2009-07-23 2011-02-10 J&K Car Electronics Corp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program
KR20120092352A (en) * 2011-02-11 2012-08-21 팅크웨어(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rgumented reality using image information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7672B2 (en) 2016-03-09 2023-03-0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331886B2 (en) 2016-06-2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strengthened glass to curved molded plastic surface for decorative and display cover application
US11338556B2 (en) 2016-06-28 2022-05-24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strengthened glass to curved molded plastic surface for decorative and display cover application
US11607958B2 (en) 2016-07-05 2023-03-21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292343B2 (en) 2016-07-05 2022-04-05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850942B2 (en) 2016-07-05 2023-12-26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384001B2 (en) 2016-10-25 2022-07-1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 glass lamination to a display
US11899865B2 (en) 2017-01-03 2024-02-13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586306B2 (en) 2017-01-03 2023-02-21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685684B2 (en) 2017-05-15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Contour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332011B2 (en) 2017-07-1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459268B2 (en) 2017-09-12 2022-10-04 Corning Incorporated Tactile elements for deadfronted glas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713276B2 (en) 2017-09-12 2023-08-01 Corning Incorporated Tactile elements for deadfronted glas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660963B2 (en) 2017-09-13 2023-05-3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US11772491B2 (en) 2017-09-13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Light guide-based deadfront for display, related methods and vehicle interior systems
US11919396B2 (en) 2017-09-13 2024-03-05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US11745588B2 (en) 2017-10-10 2023-09-0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8369B2 (en) 2017-11-21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Aspheric mirror for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7250B2 (en) 2017-11-30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forming aspheric mirrors
US11550148B2 (en) 2017-11-30 2023-01-10 Corning Incorporate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US11718071B2 (en) 2018-03-13 2023-08-08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rack resistant curved cover glas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518146B2 (en) 2018-07-16 2022-12-0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a vehicle interior system
US11078111B2 (en) 2018-07-23 2021-08-03 Corning Incorporated Automotive interiors and cover glass articles with improved headform impact performance and post-breakage visibility
US11926552B2 (en) 2018-11-21 2024-03-12 Corning Incorporated Low stored tensile energy dicing glass and preferential crack fragmentation
US11423816B2 (en) 2018-11-29 2022-08-23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adjustable display system and methods of dynamically adjusting a display
US11858351B2 (en) 2018-11-30 2024-01-0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with thermally matched system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11685685B2 (en) 2019-07-31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KR20230074656A (en) * 2021-11-16 2023-05-31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046B1 (en)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046B1 (en)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9895975B2 (en)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0525886B2 (en) Display system, electronic mirror system and movable-body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5677701A (en) Head-up displaying device for a vehicle
US8325986B2 (en) Imaging system for vehicle
JP4872332B2 (en) Anti-glare device for moving objects
US20160025973A1 (en) Compact Heads-Up Display System
JP464873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US7548691B2 (en) Camera module for combining distant image and close image into single image
US20150123878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N110412764A (en) Head-up display and its design method
CN105313789A (en) HUD (head up display) navigation system
JP6643585B2 (en) Vehicle rearview mirror
US1149187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nto a windshield
JP2021000993A (en) Room mirror for vehicle
CN111487842A (en) Vehicle-mounted rear projection display system
US20200116998A1 (en) Embedded head-up display device
JP6782502B2 (en) Vehicle room mirror
JP6803622B2 (en) Display and program
WO2024004297A1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23243213A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JP2024007661A (en) Head-up display device
CN205417391U (en) HUD comes back and shows navigation
KR20040088715A (en)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JP2021046197A (en) Display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