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119A - Remote control servic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119A
KR20160140119A KR1020150076285A KR20150076285A KR20160140119A KR 20160140119 A KR20160140119 A KR 20160140119A KR 1020150076285 A KR1020150076285 A KR 1020150076285A KR 20150076285 A KR20150076285 A KR 20150076285A KR 20160140119 A KR20160140119 A KR 2016014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terminal
remote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0575B1 (en
Inventor
최진태
하상철
주영민
이창우
전상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575B1/en
Publication of KR2016014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ervice. A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hich is recorded therein with a program for execut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with respect to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is provided, in which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requesting a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from a preset serve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ling terminal; performing the authenticating by compar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questing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ing terminal which is in a currently connected state; transmitting share image inform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ling terminal which passes the authentication; and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by the remote controlling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involves when the remote control request is transferred between the remote controlling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with respect to the remote controlling terminal is performed at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in a programmed manner, accordingly, security is improved.

Description

원격 제어 서비스{REMOTE CONTROL SERVICE}Remote control service {REMOTE CONTROL SERVICE}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측 단말이 원격 피제어측 단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인증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on a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is recorded.

근래에 들어 유무선 인터넷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전화통화 기능뿐만이 아닌 무선 인터넷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휴대폰이 보급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mobile phones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as well as a simple telephone communication function are becoming widespread.

또, 고도의 연산 처리가 가능한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휴대폰은 고유의 무선 통신 기능과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기능이 겸비되었다는 의미에서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불려지고 있다.In addition,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capable of performing high-level computation is called a smart phone in the sense that it has a uniqu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function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러한 스마트폰은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하여 입력 기능과 출력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한 터치스크린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 장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메모리의 용량 또한 갈수록 증대되고 있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uch a smartphone is mainly composed of a touch-screen-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ich performs both an input function and an output function by adopting a touch screen hav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f a touch pad and a display, and the capacity of the memory is also increasing So that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stored.

특히 최근에 보급이 확산된 스마트폰은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여러 가지의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smartphones with widespread use can install various applications running on a mobile operating system. For this reason, users are using smart phones for various purposes.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들은 고객이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지고는 있으나,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직도 스마트폰 사용은 넘어서기 어려운 장벽이다.Applications of smartphones are made easy for customers to use, but smartphones are still difficult to use if they are not familiar with smartphone usage.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 음악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사용자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후 회원가입을 통한 로그인을 수행하고, 다운로드하려는 음악이나 가수를 검색한 다음에 비용까지 지불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 후에야 다운로드를 완료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는 방식은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어렵지 않을 수 있으나, 스마트폰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예컨대, 노인 등)는 자유롭게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어렵게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더라도 다음 번에 다시 콘텐츠를 실행시키지 못하는 문제로 인해,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통한 서비스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music content is downloaded from a smart phone, a user accesses a specific Internet site or downloads an application, performs a login through membership, retrieves music or an artist to be downloaded, You have to go through the complicated process of paying up until you can complete the download. Although the method of storing music contents on a smart phone may not be difficult for a user who is used to a smart 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experienced user (for example, an elderly person) is not freely using the smartphone. The user can not provide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through the content due to the problem that the content can not be executed agai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09359(공개일자 2011년 10월 06일)에는 이동통신 단말이 영상 통화를 이용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법이 제안되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09359 (published on October 06, 2011)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controls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video call It was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측 이동통신 단말이 요청한 원격 제어를 피제어측 이동통신 단말이 허용하는 경우에 개시되는 바, 보안성 확보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contro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mits the contro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requested by the contro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securing security.

즉, 피제어측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원격 제어 요청을 허용하는 것만으로 원격 제어가 개시되므로, 불순한 의도를 가진 원격 제어 요청을 사용자가 부지불식간에 허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원격 제어가 수행될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등과 같은 보안상의 문제가 있었다.That is, since the remote control is started only when the user of the contro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mits the remote control request, if the user unintentionally grants the remote control request with the intentional intention, the remote control that is not intended by the user is performed There is a risk, and there is a security problem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측 단말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 사이의 원격 제어 요청의 전달에 서버가 관여하고, 원격 제어측 단말에 대한 인증이 프로그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in which a server is involved in transferring a remote control request between a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o be executed is record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와 현재 연결 상태인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을 통과한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에 의한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is recorded on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in the currently connected state and authenticat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shared screen information via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terminal; and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원격 제어측 단말에 의한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에게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를 인증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를 통한 인증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공유 화면 정보에 따라 원격 공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공유 화면을 통해 입력된 원격 제어명령을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for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by a remote control terminal is record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questing a predetermined server for remot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authenticating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in response to an authentication request through the serv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a channel; displaying a remote shared screen according to the received shared scree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via the remote shared screen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Transmitt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including a step of transmitting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 제어측 단말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 사이의 원격 제어 요청을 전달할 때에 서버가 관여를 하며, 원격 제어측 단말에 대한 인증을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서 프로그램적으로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mote control request is transmitted between a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the server participates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is performed by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do.

따라서, 원격 제어 요청에 대한 수락을 단말 간의 통신과 사용자의 선택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에, 서버의 관여 및 프로그램 방식의 인증으로 인하여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which the acceptance of the remote control request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selection of the user, security is improved due to server involvement and program authent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에 의한 원격 제어측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에 의한 원격 피제어측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에서 원격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remote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service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remote control terminal by a remote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by a remote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service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remote control mode in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remote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100)은,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이 설치된 원격 제어측 단말(110), 서버(120),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이 설치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 등을 포함한다.As shown,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110 in which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is installed, the server 120,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31 in which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31 is installed, A control-side terminal 130, and the like.

원격 제어측 단말(110) 및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호간 음성 통화 연결이 가능하고, 인터넷 등을 통해 상호간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서버(120)를 통해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노트패드(notepad) 또는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side terminal 130 are capable of mutual voice call connec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forming mutual data communication channels through the Internet or the lik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notepad, or a tablet computer capable of 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원격 제어측 단말(110)은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과의 음성 통화 연결 상태에서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이 실행되면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When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is executed in a voice call connection state wit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ervice Lt; / RTI >

이러한 원격 제어측 단말(110)은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120)에게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 대한 원격 제어를 인증요청한다. 그리고, 서버(120)를 통한 인증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서, 수신된 공유 화면 정보에 따라 원격 공유 화면을 표시하고, 원격 공유 화면을 통해 입력된 원격 제어명령을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requests authent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30 from the server 12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through the server 120,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30 receive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at has performed authentication for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Then, a remote shared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ceived shared screen information, and a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remote shared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via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서버(120)는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 대한 원격 제어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이에 포함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식별번호(예컨대, 전화번호 등)를 추출하며, 추출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의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또, 서버(120)는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 의해 원격 제어가 수락되면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상대방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제공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requests authentication for remot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e server 12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for example, telephone number And send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using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number. When the remote control is accepted by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e server 120 provides the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mote terminal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So that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can be formed between them.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의 음성 통화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120)의 명령에 따라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을 실행하여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을 구동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executes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in response to the command of the predetermined server 120 in the state of voice call connection wit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ransmits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a remote control service for driving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30.

이러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120)로부터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와 현재 연결 상태인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을 통과한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하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 의한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한다.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from the predetermined server 12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identifies the received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And transmit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which has passed the authentication, and transmit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o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receives a remote control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hroug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서비스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service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관점에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면, 원격 피제어측 단말과의 연결 상태에서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기 설정된 서버에게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를 인증요청하는 단계(S201 내지 S2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in terms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in connection with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S201 to S205) for requesting remot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그리고, 서버를 통한 인증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원격 피제어측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25 및 S227)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ceiv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that has performed the authent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termina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through the server (S225 and S227).

이어서, 원격 피제어측 단말로부터 수신된 공유 화면 정보에 따라 원격 공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229)를 더 포함한다.Thereafter,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229) of displaying a remote shared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아울러, 원격 공유 화면을 통해 입력된 원격 제어명령을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게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S231)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231) of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remote sharing screen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관점에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면,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명령과 함께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from a server And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together with the command (S209).

이어서,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이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와 현재 연결 상태인 원격 제어측 단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S211 및 S213)를 더 포함한다.Next, steps (S211 and S213) for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terminal with whic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where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are compar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

다음으로, 원격 제어 수락 선택 화면에서 수락이 선택되면 인증을 통과한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15 내지 S219, S223 내지 S227)를 더 포함한다.Next, when the acceptance is selected on the remote control acceptance selection screen, the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S215 to S219, S223 to S227) of transmitt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which has passed the authentication.

그리고,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원격 제어측 단말에 의한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원격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단계(S231 및 S233)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231 and S233) of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command by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command.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원격 제어 서비스 과정을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mote control service process provided by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이 연결 상태라는 사전 조건이 제시된다. 예컨대,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이 음성 통화 연결 상태인 경우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201).First, a pre-condition that a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are connected is shown for a remote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are in a voice call connection state, the remote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S201).

이러한 연결 상태에서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사용자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위해 기 설치된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을 실행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이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 미리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면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과의 음성 통화 연결 상태에서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을 설치한 후에 실행할 수도 있다(S203).In this connection state, the user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executes the pre-installed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for the remote control service. If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is not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in advance,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is installed in a voice call connection state wit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S203).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이 실행되면 원격 제어측 단말(110)은 음성 통화 중인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식별정보를 검출하며, 기 설정된 서버(120)로 검출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식별정보와 함께 원격 제어를 위한 인증을 요청한다(S205). 예컨대,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운영체계가 안드로이드(android)라면 안드로이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원격 제어측 단말(110) 및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is execute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det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n voice communication,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30 (S205). For example, i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is an android, an identification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s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rough the Android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Information can be detected.

여기서,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이 실행된 원격 제어측 단말(110)은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 의한 원격 제어 수락을 대기하고 있음을 안내하는 원격 제어 수락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S207).Here, 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110 on which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is executed displays a remote control acceptance waiting screen for notifying that the remote controlled side terminal 130 is waiting for the remote control acceptance (S207 ).

그러면, 서버(120)는 원격 제어 인증 요청에 포함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원격 제어 서비스의 상대방인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을 파악하며, 파악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S209). 예컨대, 서버(120)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을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20)는 단계 S205의 접속 과정에서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IP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는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의 실행 명령과 함께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 즉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식별정보가 함께 수신된다.The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the server 120 grasps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which is the other party of the remote control service, And transmits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to the control-side terminal 130 (S209). For example, the server 120 may call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using SMS (Short Message Service). Here, the server 120 may obtain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in the connection process of step S20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terminal, that is,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ogether with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다음으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서는 단계 S209의 명령에 의해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이 실행되며(S211),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이 실행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이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와 현재 연결 상태인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Next, in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is executed by the command in step S209 (S211), and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terminal 131 130 is compar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side terminal 110 in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to perform authentication.

여기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단계 S209에서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전화번호와 현재 통화 연결 상태인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두 전화번호가 인증하는 경우에는 인증 통과로 판정한다(S213).Here,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confirms whethe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terminal received in step S209 is identical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in the current call connection state,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has passed (S213).

이어서,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이 실행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원격 제어의 수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수락 선택 화면을 표시하며(S215), 표시된 원격 제어 수락 선택 화면에서 수락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서버(120)에게 접속하여 원격 제어 수락 상태를 전달한다. 여기서, 서버(120)는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IP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7, S219).Then,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on which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has been executed displays a remote control acceptanc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whether the remote control is acceptable or not (S215), and displays on the displayed remote control acceptance selection screen When acceptance is selected, the server 120 is connected to the server 120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acceptance state. Here, the server 120 may obtain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S217, S219).

그러면, 서버(120)는 단계 S219에서 획득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IP 주소 정보를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게 전송하며(S221), 단계 S205에서 획득한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IP 주소 정보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전송한다(S223).Then, the server 120 transmits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acquired in step S219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S221), and transmits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S223).

그리고,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단계 S221 및 S223을 통해 전송 받은 상대방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S225). 이처럼,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 사이의 데이터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이미 연결되어 있는 음성 통화 채널과 함께 복수의 채널이 형성된 상태이며,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를 함께 할 때에는 스피커폰 통화 모드가 최적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 후에 해당 모드로의 전환이 선택되면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channels using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transmitted through steps S221 and S223 (S225). When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s formed, a plurality of channels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voice communication channel already connected, and data communication and voice communication are performed together The speakerphone communication mode is the optimum mode. Accordingly, after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display a screen for selecting the switch to the speakerphone mode, the switch to the speakerphone mode may be performed when the switch to the corresponding mode is selected.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서버(100)가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상대방의 IP 주소 정보를 제공하고,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이 상대방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 사이의 데이터 통신채널은 서버(120)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서버(120)간의 데이터 통신채널이 형성되고,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과 서버(120)간의 데이터 통신채널이 형성되며, 두 개의 데이터 통신채널이 서버(120)에 의해 하나로 연결될 수도 있다.2, the server 100 provides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and transmits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s the same as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server 12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server 120,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and the server 120 is formed, (Not shown).

이처럼,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 사이의 데이터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현재 화면에 대응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게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S227).When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s establishe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ransmit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creen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S227).

그러면,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이 실행된 원격 제어측 단말(110)은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로부터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공유 화면 정보에 따라 원격 공유 화면을 표시한다(S229).Th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on which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is executed receive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via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based on the received shared screen information, Screen is displayed (S229).

예컨대,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는 도 3의 예시와 같은 원격 공유 화면(310)이 표시될 수 있다. 원격 공유 화면(310)에는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의 실행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301)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화면에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는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may display a remote sharing screen 310 as shown in FIG. The remote sharing screen 310 may display an icon 301 for selecting execution termin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and may also display an icon 301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e pointer 303 may be displayed together.

다음으로, 단계 S229에서 표시되는 원격 공유 화면(310)에서 원격 제어용 포인트(303)가 드래그, 클릭 또는 더블클릭되는 등의 방법으로 원격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원격 제어 명령이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서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전송된다(S231).Next, when the remote control command is input by way of dragging, clicking, or double clicking on the remote control point 303 on the remote sharing screen 310 displayed in step S229,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S231).

이때,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는 원격 피제어용 화면이 표시된다. 예컨대,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는 도 4의 예시와 같은 원격 피제어용 화면(320)이 표시될 수 있다. 원격 피제어용 화면(320)에는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의 실행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301)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측 단말(110)의 원격 공유 화면에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는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creen for remote control is displayed on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For example, the remotely controlled terminal 130 may display a remote controlled screen 320 as shown in FIG. An icon 301 for selecting the execution end of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mote controlled screen 320 and displayed on the remote shared scree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t the same position The remote control pointer 303 may be displayed together.

그리고,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이 실행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은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 의한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수신된 해당 원격 제어명령을 실행한다(S233).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on which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is executed receives the remote control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receives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S233).

예컨대, 도 3의 원격 공유 화면(310)에서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다른 위치로 드래그되면 도 4의 원격 피제어용 화면(320)에서도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동일 위치로 드래그된다. 또, 도 3의 원격 공유 화면(310)에서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특정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도 4의 원격 피제어용 화면(320)에서도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동일한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동일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remote control pointer 303 is dragged to another position on the remote sharing screen 310 of FIG. 3, the remote control pointer 303 is also dragged to the same position on the remote control screen 320 of FIG. When the remote control pointer 303 on the remote sharing screen 310 shown in FIG. 3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by double-clicking a specific icon, the remote control pointer 303 on the remote control screen 320 shown in FIG. Double-click the icon to run the same application.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 의해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이 단일의 원격 제어 모드로 운영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원격 제어 모드가 운영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10 operates in a single remote control mode.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modes Can be operat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서비스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service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도 5의 실시예를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면, 서버(120)가 복수의 원격 제어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원격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S408)를 더 포함한다.The embodiment of FIG. 5 i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2, and the server 120 further includes a step (S408) of determin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 modes.

도 5에 나타낸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관점에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면,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복수의 원격 제어 모드 중에서 결정된 어느 하나의 원격 제어 모드에 대한 정보,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명령 및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08, S209)를 포함한다.The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shown in FIG. 5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remote control service terminal 130 in view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n the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ny one of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modes (S408, S209)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remote control mode, an execution command of a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이어서,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 원격 피제어측 단말이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와 현재 연결 상태인 원격 제어측 단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S211 및 S213)를 더 포함한다.Next, steps (S211 and S213) for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terminal with whic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where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are compar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

다음으로, 원격 제어 수락 선택 화면에서 수락이 선택되면 인증을 통과한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15 내지 S219, S223 내지 S227)를 더 포함한다.Next, when the acceptance is selected on the remote control acceptance selection screen, the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S215 to S219, S223 to S227) of transmitt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which has passed the authentication.

그리고,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원격 제어측 단말에 의한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원격 제어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원격 제어명령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단계(S231 및 S233)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231 and S233) of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by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selectively processing the remot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remote control mode.

이와 같은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 제어측 단말(110)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이 복수의 원격 제어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원격 제어 모드로 운용된다. 예컨대, 제 1 원격 제어 모드는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화면을 원격 제어측 단말(110)에게 공유하며,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의 공유 화면에 포함된 원격 조종 포인터를 원격 제어측 단말(110)이 원격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조종할 수 있으나 아이콘 등을 실행할 수는 없는 모드이다. 즉, 제 1 원격 제어 모드는 원격 제어명령 중에서 화면처리 관련 명령은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에서 처리하지만 실행 관련 명령은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에서 처리하지 않는다. 제 2 원격 제어 모드는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격 조종 포인터의 원격 조정 및 아이콘 등의 실행까지 가능한 모드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operate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modes. For example, in the first remote control mode, the scree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s shared wit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 pointer included in the shared scree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is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110 can control using a remote control command but can not execute an icon or the like. That is, in the first remote control mode, among the remote control commands, the screen-related processing command is processed by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but the execution related command is not processed by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 The second remote control mode is a mode in which remot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pointer and the execution of an icon, etc. are possibl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120)는 원격 제어측 단말(110)로부터 원격 제어를 위한 인증이 요청되면 복수의 원격 제어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원격 제어 모드를 결정한다(S408). 이후, 결정된 원격 제어 모드에 대한 정보,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명령 및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를 원격 피제어측 단말(130)에게 송신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when authentication for remote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he server 120 determines which remote control mode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modes (S408). Then,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remote control mode, execution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ar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에서 원격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remote control mode in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120)에서 원격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은, 원격 제어를 위한 인증이 요청되면 발신번호와 착신번호를 확인하는 단계(S501)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emote control mode in the server 120 includes checking the origination number and the called number when authentication for remote control is requested (S501).

즉, 서버(120)가 원격 제어측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번호와 착신번호를 추출하게 된다.That is, the server 120 extracts the calling number and the called number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그리고, 사전 등록된 발신번호 연관정보 및 착신번호 연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03, S505)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steps (S503 and S505) of obtaining pre-registered calling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and called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즉,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 등에 미리 저장된 원격 제어 서비스 가입정보로부터 발신번호와 착신번호에 대응한 연관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발신번호 연관정보는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가입자 이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신번호 연관정보는 원격 제어 서비스가 사전 허용된 전화번호 및 그 가입자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20)는 발신번호 연관정보 및 착신번호 연관정보를 별도의 고객관리 서버 등에게 요청하여 회신을 받을 수도 있다. 이때, 고객관리 서버는 발신번호 연관정보 및 착신번호 연관정보에 대한 해지 이력, 기기변경 이력 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That is, the server 120 extracts the associ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number and the called number from the remote control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or the like. The origination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subscriber name corresponding to the origination number, and the called party associ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pre-allowed by the remote control service and its subscriber name. Here, the server 120 may receive a reply by requesting a separate customer management server for the calling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and the called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ustomer management server may provide a revocation history, a device change history, and the like of the origination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and the called party associ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획득된 발신번호 연관정보와 착신번호 연관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제 1 원격 제어 모드로 결정하고 일치하면 제 2 원격 제어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S507, S509, S511)를 더 포함한다.Next, the obtained calling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called number association information, and if it does not match, determining the first remote control mode and, if they match, determining a second remote control mode (S507, S509, S511) .

즉, 서버(120)는 단계 505에서 획득된 원격 제어 서비스가 사전 허용된 전화번호와 단계 501에서 획득된 발신번호가 일치함과 아울러 단계 S503에서 획득된 가입자 이름과 단계 S505에서 획득된 원격 제어 서비스가 사전 허용된 가입자 이름이 일치할 경우에만 제 2 원격 제어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20)는 고객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해지 이력 또는 기기변경 이력 등에 따라 단계 S507의 비교 결과와는 무관하게 모두 제 1 원격 제어 모드로 결정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20 determines that the telephone number obtained beforehand in step 505 matches the telephone number pre-allowed in the remote control service and the calling number obtained in step 501, as well as the subscriber name obtained in step S503 and the remote control service obtained in step S505 The second remote control mode can be determined only when the pre-allowed subscriber names match. Here, the server 120 may determine the first remote control mode regardless of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S507, depending on the revocation history or the device change history provided from the customer management server,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예컨대, 도 6의 실시예에서 제 1 원격 제어 모드에 의하면 도 3의 원격 공유 화면(310)에서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다른 위치로 드래그되면 도 4의 원격 피제어용 화면(320)에서도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동일 위치로 드래그된다. 그러나, 도 3의 원격 공유 화면(310)에서 원격 조종 포인터(303)가 특정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는 등의 방식으로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더라도 도 4의 원격 피제어용 화면(320)에서는 원격 조종 포인터(303)에 의해 동일한 아이콘이 더블클릭되지 않으며, 이에 실행되지도 않는다. 즉, 제 1 원격 제어 모드에서는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111)에서 실행 명령을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에게 전달하더라도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131)은 해당 실행 명령을 처리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first remote control mode in the embodiment of FIG. 6, when the remote control pointer 303 is dragged to another position on the remote sharing screen 310 of FIG. 3, the remote control screen 320 of FIG. The pointer 303 is dragged to the same position. However, even if the remote control pointer 303 in the remote sharing screen 310 shown in FIG. 3 transmits an execution command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in a manner such as double-clicking a specific icon, the remote control screen 320 shown in FIG. The same icon is not double-clicked by the control pointer 303 and is not executed. That is, in the first remote control mode, even if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111 transmits an execution command to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th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 program 131 does not process the execution comman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 제어측 단말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 사이의 원격 제어 요청을 전달할 때에 서버가 관여를 하며, 원격 제어측 단말에 대한 인증을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서 프로그램적으로 수행한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mote control request between a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led side terminal is transmitted, the server participates in the authentication, And performs it programmatically in the terminal.

따라서, 원격 제어 요청에 대한 수락을 단말 간의 통신과 사용자의 선택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에, 서버의 관여 및 프로그램 방식의 인증으로 인하여 그 만큼 보안성이 향상된다.Accordingly,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which the acceptance of the remote control request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selection of the user, the security of the server is improved by the involvement of the server and the authentication by the program.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step of the flowchart and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instructions,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are create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 manufacturing item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th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at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측 단말과 원격 피제어측 단말 사이의 원격 제어 요청을 전달할 때에 서버가 관여를 하며, 원격 제어측 단말에 대한 인증을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서 프로그램적으로 수행하는 원격 서비스 방식을 지원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mote control request is transmitted between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the server participates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is performed by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To support the remote service method.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 장치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원격 서비스 기술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erminal remote service technology field that allow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computer to be controlled remotely.

100 :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
110 : 원격 제어측 단말
111 : 원격 제어 응용프로그램
130 : 원격 피제어측 단말
131 : 원격 피제어 응용프로그램
100: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110: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111: Remote control application
130: remote controlled terminal
131: Remote Control Application

Claims (8)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와 현재 연결 상태인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을 통과한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에 의한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at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is recorded,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from a predetermined server in a connection state wit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at is currently connected,
Transmitt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that has passed the authentication,
And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by 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via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현재 연결 상태인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의 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ng step confirms whether the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match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at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모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명령 중에서 실행 관련 명령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remote control mode information from the predetermined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vely processing an execution-related command among the remote control commands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remote control mode information.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화면 정보에는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에서 상기 원격 제어명령으로 조종할 수 있는 원격 조종 포인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pointer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 side terminal.
원격 제어측 단말에 의한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과의 연결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서버에게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를 인증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를 통한 인증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공유 화면 정보에 따라 원격 공유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공유 화면을 통해 입력된 원격 제어명령을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remote control service method for a remote controlled terminal by a remote control terminal,
A step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of a remot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from a predetermined server in a connection state wit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Receiving shared screen inform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that has performed authentication for a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 terminal according to an authentication request through the server;
Displaying a remote shared screen according to the received shared scree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remote sharing screen to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은, 상기 원격 제어 인증요청 단말의 식별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현재 연결 상태인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의 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uthentication verifies whether or not the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requesting terminal match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at is in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Readable recording mediu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를 인증요청할 때에 상기 원격 피제어측 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6. The method of claim 5,
And provides the serv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when requesting authent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d terminal is provided to the ser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공유 화면에는 상기 원격 제어측 단말에서 상기 원격 제어명령으로 조종할 수 있는 원격 조종 포인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mote control screen includes a remote control pointer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 Desc / Clms Page number 19 >
KR1020150076285A 2015-05-29 2015-05-29 Remote control service KR102390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85A KR102390575B1 (en) 2015-05-29 2015-05-29 Remote control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85A KR102390575B1 (en) 2015-05-29 2015-05-29 Remote control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19A true KR20160140119A (en) 2016-12-07
KR102390575B1 KR102390575B1 (en) 2022-04-26

Family

ID=5757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285A KR102390575B1 (en) 2015-05-29 2015-05-29 Remote control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5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666A (en) * 2022-01-11 2023-07-18 장규오 Remote access service method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122A (en)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evice
KR20150031355A (en) * 2013-09-13 2015-03-24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122A (en)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evice
KR20150031355A (en) * 2013-09-13 2015-03-24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666A (en) * 2022-01-11 2023-07-18 장규오 Remote access service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575B1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826B2 (en) Voice control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tegration
RU2673697C2 (en) Seamless call transitions
JP6228676B2 (en) Connection state prompting method and apparatus
EP3169086A1 (en) Connection method for multimedia playing device, master device, control terminal, and system
US11140534B2 (en) Non-intrusive proximity based advertising and message delivery
US20160134635A1 (en) Systems, communication endpoints, and related methods for distributing images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endpoints
CN1059300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 icons of management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WO201113114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files and receiving files based on mobile terminals and mobile terminal
JP2017530496A (en) Device control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645582B (en) Information chang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601541B2 (en) Communication system selection
CN105379224A (en) Managing data communications based on phone calls between mobile computing devices
JP2014179982A (en) Method and device of controlling usage of external data network through mobile access point
WO2017166906A1 (en) Method of managing euicc subscription profile and associated apparatus
GB2525490A (en) Connection of persons and things via mobile messaging privacy/security broker system
CN108370500B (en) Optimized settings for wireless devices
KR20160140119A (en) Remote control service
CN105205353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526192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395493B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message based on intention
US10681509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JP2016170625A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781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dget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JP2014130300A (en) Network karaoke system
KR20140003270A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providing banking service interlocking with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