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767A -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 Google Patents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767A
KR20160137767A KR1020150070924A KR20150070924A KR20160137767A KR 20160137767 A KR20160137767 A KR 20160137767A KR 1020150070924 A KR1020150070924 A KR 1020150070924A KR 20150070924 A KR20150070924 A KR 20150070924A KR 20160137767 A KR20160137767 A KR 20160137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outdoor air
indoor
ventilation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9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석준
심병섭
이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오테크
Priority to KR102015007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767A/en
Publication of KR2016013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7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11/00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ventilat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ntilating syste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ies capable of ventilating only in case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by comparing the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ies after measuring not only the indoor air quality, but also the outdoor air quality. A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ng syste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lave measuring device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a master measuring device measuring the indoor air qualit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outdoor air quality from the slave measuring devic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ies, and then 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ventilation; and a ventilator controller enabling ventilation by driving a ventilator when the necessity for ventilation is determined by the master measuring devi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ventilating syste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ies capable of optimizing the indoor air quality by preventing the indoor air quality from being worse by ventilating only in case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Description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based on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본 발명은 실내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공기질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질도 동시에 측정한 후, 실내 공기질과 실외 공기질을 비교하여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더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이 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공기질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indoor ventilation system, in which indoor air quality and indoor outdoor air quality are measured simultaneously, and then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are compared, and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indoor indoor air qua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that can prevent indoor air quality from being deteriorated and thus optimize indoor air quality.

대부분 사람은 실외 대기오염이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내공기가 실외공기보다 더 오염되어 유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실외 대기오염은 자연적인 희석률이 크고 대기오염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각종 규제와 정비된 관리체계로 억제되고 있으나 실내공기는 한정된 공간에서 오염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축적되기 때문에 실외공기보다 오염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인간에게 더 치명적일 수 있다. Most people are aware that outdoor air pollution is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but they are not aware that indoor air can be more polluted and harmful than outdoor air. Outdoor air pollution has a high natural dilution rate and is suppressed by social awareness of air pollution, various regulations and management system. However, indoor air is polluted more than outdoor air because polluted air accumulates continuously in limited space. It can be more lethal to humans because it can be higher.

미국 EPA가 실시한 인간의 대기오염물질 노출 연구에 따르면 실내 대기오염물질이 실외보다 2~5배, 때로는 100배 이상 더 높다고 밝힌 바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2000년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공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최대 600만 명이고 이 중 실내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가 280만 명에 달한다고 제시한 바 있다. 그리하여 전문가들은 실내오염물질이 실외오염물질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이 약 천배나 높아 실내공기질이 인간의 건강 및 복지의 중요한 요인이며 적절한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Human exposure to air pollutants conducted by the US EPA has shown indoor air pollutants to be 2 to 5 times, sometimes more than 100 times higher than outdoor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lso reported in 2000 that deaths from air pollution were up to 6 million people, of which 2.8 million deaths from indoor air pollution. Experts therefore emphasize that indoor air q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human health and well-being and that proper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indoor pollutants are about one thousand times more likely to be delivered to the lung than outdoor pollutants.

특히 최근 도시민들의 실내생활 시간은 증가하고 있고, 프라이버시 보호 및 안전차원에서 실내공간은 더욱 폐쇄되는 경향이 있으며,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에너지 절감을 위한 건물의 밀폐화도 가속되고 있다. 또한, 산업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건축자재와 생활용품 사용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오염물질의 방출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민들의 생활환경 및 생활방식 변화가 실내공기질을 악화하는 원인으로 작동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indoor living time of urban residents is increasing recently, indoor space is more closed in terms of privacy protection and safety, and closure of buildings for energy saving is also accelerated due to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the use of various building materials and household goods has increased, and thus the emission of various pollutants has been increasing. As a result, the living environment and lifestyle changes of citizens have been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f indoor air quality .

실내공기질 관리 대상에 의해 적용되지 않는 일반 가정의 경우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해 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환기는 자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제거하고 청정한 외기와 교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NIOSH가 446개의 건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환기, 실내 오염원, 실외 오염원, 건축재료, 미생물 등) 중 환기가 실내공기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실내오염물질을 제어하는 데에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여러 연구도 실내환기량의 증가가 실내오염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다.It is best to use ventilation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in general households that are not covered by indoor air quality controls. Ventilation refers to the use of natural or mechanical means to remove contaminated indoor air outdoors and replace it with clean outdoor air. A study of NIOSH's 446 buildings showed that ventilation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indoor air quality (ventilation, indoor pollutants, outdoor pollutants, building materials, microorganisms, etc.) had the greatest effect on indoor air quality and indoor pollutants And the most effective way to control it. In addition, several studies have also reported that increasing indoor ventilation is effective in removing indoor pollutants.

환기는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로 구분되고, 자연환기는 개구부의 적절한 배치 등을 통해 실내와 실외의 공기교환을 기계를 이용하지 않고 건물 내 공기를 순환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기계환기는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개구부를 설치하여 두 공간 사이의 압력차를 기계의 힘을 빌리는 환기방식을 말한다. 그 밖에 기계환기와 자연환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환기가 있다.Ventilation is divided into natural venti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Natural ventilation refers to a method of circulating indoor air without using a machine to exchange indoor and outdoor air through proper placement of openings. Mechanical ventilation refers to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an opening for connecting indoor and outdoor is installed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aces is borrowed from the mechanical force. There is also a hybrid ventilation that can selectively use mechanical ventilation and natural ventilation.

자연환기는 외부의 영향을 받으므로 의도하는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기계환기는 소음 및 에너지소비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를 적절히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Natural ventilation is influenced by external influences, so there is a case where intended ventilation is not performed. Mechanical ventilation has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noise and energy consumption, so it is necessary to properly perform natural venti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환경부는 최소 하루 3번 30분 이상의 자연환기 실천(1330 환기 캠페인)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기후조건이나 오염물질 배출원(자동차, 세탁시설, 공업시설 등)이 인접하는 등 자연적 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기계환기 시설을 갖춰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commends at least 3 times 30 minutes of natural ventilation practice (1330 ventilation campaign) at least daily. However, in the case where natural ventilation is difficult, such as climatic conditions, pollutant emission sources (automobile, laundry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etc.)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use mechanical ventilation facilities.

각 가정에서는 미세먼지가 심각할 경우 가급적 외출 자제는 물론 창문을 모두 닫고 빨래도 실내 건조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 또는 외부의 대기오염이 심각한 순간에 가정 내 환기를 시킬 경우 환기로 인해 내부공기가 오히려 외부공기로 인해 더욱 나빠질 수 있다.In each household, it is recommended to close all windows as well as outdoors and dry the laundry as much as possible if the fine dust is serious. In this way, when ventilating the home in case of fine dust or outside air pollution at a serious moment, the inside air may be rather worse due to the outside air due to the ventilation.

그리하여 실시간 실내공기질 측정은 물론 실시간 실외 공기질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가정에서 이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한 환기유도를 가능하게 만드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그러나 현재 실내 공기질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질을 고려하여 환기를 유도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perform real-tim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s well as real-tim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t the same time so that it can be compared at home and enable appropriate ventilation guidance based on the comparison.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technology to induce ventilation in consideration of outdoor air quality as well as indoor air quality.

실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6084호(실내공기 환기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환기 방법)에서는 단지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오염원의 농도를 검출하여 표시하고 그에 따라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환기시키는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을 제시하고 있을 뿐, 실외 공기를 고려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96084 (indoor air ventilation system and ventilation method using the same), indoor air and indoor air for ventilat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detected by displaying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tion source The ventilation system is proposed, but the technology for ventilating the indoor air considering the outdoor air is not presented at 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실내의 공기질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질도 동시에 측정한 후, 실내 공기질과 실외 공기질을 비교하여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더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이 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공기질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simultaneously measures not only air quality but also outdoor air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that can prevent the indoor air quality from being deteriorated further and optimize indoor air quality.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이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하고,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더 양호한 경우에, 자동으로 환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근거리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실내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은 사용자가 직접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통신 제어를 통하여 환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induce ventilation when the in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reference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or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that enables ventilation to be performed through ventilation of indoor air or communication control by a user so that indoor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according to a user's choice .

또한,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홈서버가 마스터 측정기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외 또는 원격에서 관리 홈서버에 접속하여, 실내외 공기질을 확인하고 환기 동작을 가동시킬 수 있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management home server capable of receiv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is connected to a master measuring device so that a user can connect to a management home server outdoors or remotely to check the indoor air quality, And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that can be operated.

또한,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 홈서버에 관리 중앙서버가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관리 중앙서버가 상기 관리 홈서버의 설치 부근의 외부 대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위치에 따른 외부 대기 정보가 통합적으로 저장, 관리 및 분석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a management central server is connected to a management home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so that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can collect outside waiting information in the vicinity of installation of the management home server, And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that allows the outside ai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to be stored, managed, and analyzed in an integrated manne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슬레이브 측정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슬레이브 측정기로부터 실외의 공기질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실내 공기질과 실외 공기질을 비교 분석하여 환기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마스터 측정기,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 의하여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환기장치를 구동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장치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comprising: a slav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 outdoor air quality;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slave measuring device; A ventilator controller for ventilating the ventila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or needs ventilation by the master me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ntilator to ventilate the ventilator, .

여기서, 상기 마스터 측정기는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질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상기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ster measuring device determines that there is a need for ventilation only when the measured in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preset reference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또한, 상기 마스터 측정기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스마트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near-field smart device that receives the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and transmits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또한, 상기 마스터 측정기로부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하는 관리 홈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management home server that receives, stores, and manages the indoor air quality,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또한, 상기 관리 홈서버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 측정기 또는 환기장치 제어기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스마트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smart device capable of remotely accessing the management home server to confirm the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or the ventilator controller .

또한, 상기 관리 홈서버로부터 실외 공기질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 및 분석하여, 위치에 따른 실외 공기질 분포 지도를 생성하는 관리 중앙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 management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home server, storing, managing and analyzing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outdoor air quality distribution map according to the location.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실내의 공기질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질도 동시에 측정한 후, 실내 공기질과 실외 공기질을 비교하여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더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이 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공기질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solution,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are measured at the same time and then the outdoor air quality is compared with the indoor air quality It is possible to optimize indoor air quality 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indoor air quality.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이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하고,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더 양호한 경우에, 자동으로 환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근거리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실내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은 사용자가 직접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통신 제어를 통하여 환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induce ventilation when the in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reference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or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ar- The user can directly ventilate the indoor air or the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door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또한,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홈서버가 마스터 측정기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외 또는 원격에서 관리 홈서버에 접속하여, 실내외 공기질을 확인하고 환기 동작을 가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anagement home server capable of receiving and managing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the user can connect to the management home server outdoors or remotely to check the indoor / outdoor air qual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ntilation operation can be activated.

또한,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 홈서버에 관리 중앙서버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관리 중앙서버가 상기 관리 홈서버의 설치 부근의 외부 대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위치에 따른 외부 대기 정보가 통합적으로 저장, 관리 및 분석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a management central server is connected to a management home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can collect external standby information near the installation of the management home server T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ternal wa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can be integratedly stored, managed and analy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스터 측정기와 슬레이브 측정기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master meter and a slave meter that constitute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마스터 측정기(10), 실외 공기질을 측정하는 슬레이브 측정기(20) 및 상기 마스터 측정기의 판단 결과에 연동되어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환기장치 제어기(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 ventilation system 100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a slave measuring instrument 20 for measuring outdoor air quality, And a ventilator controller (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or in conjunction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aster measuring device.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때문에, 실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내의 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오염원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기본적으로 미세먼지, VOC(Volitile Organic Compound :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온도/습도 등의 농도를 측정한다.Since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measures the indoor air qua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room,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main pollutants and pollutants affecting the indoor air quality are measured. For example,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basically measures concentrations of fine dust,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temperature / humidity.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와 별도로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슬레이브 측정기(2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슬레이브 측정기(2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와 별도로 설치되어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실외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 의하여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 전송한다.And a slave measuring device 20 capable of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separately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That is, the slave measuring instrument 20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to measure the outdoor air quality,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outdoor air quality is supplied to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And transmits it to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when there is a request.

상기 슬레이브 측정기(20)는 실외의 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오염원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레이브 측정기(20)는 기본적으로 미세먼지 및 온도/습도 등의 농도를 측정하고, 더 나아가 VOC(Volitile Organic Compound :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농도도 측정할 수 있다.The slave measuring device 20 measures the concentrations of major pollutants and pollutants affecting outdoor air quality. For example, the slave measuring device 20 basically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temperature / humidity, and furthermore, the concentration of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레이브 측정기(20)에서 측정된 실외의 공기질에 관한 정보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단순히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측정한 실내의 공기질과 상기 전송받은 실외의 공기질을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실내의 환기 필요성이 있는지를 판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about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d by the slave measuring instrument 20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Then,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not only measures indoor air quality, but compares and analyzes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air measured by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conditioner to determine whether indoor air needs to be finally ventilated.

즉,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슬레이브 측정기(20)로부터 실외의 공기질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실내 공기질과 실외 공기질을 비교 분석하여 환기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measures an indoor air quality, receives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slave measuring instrument 20,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to determine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상기 환기 필요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2단계 판단을 거쳐 최종적으로 환기 필요성 여부를 판단한다.The master meter 10 can determine whether the ventila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judges whether or not ventilation is necessary after a two-stage judgment.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1차적으로 자신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이 환기가 필요할만큼 오염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1차적으로 자신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한지를 판단한다.Specifically,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firstly judges whether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d by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is in a state of contamination enough to require ventilation. That is,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firstly determines whether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d by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is worse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ir quality.

예를 들어, 상기 기준 공기질은 미세 먼지가 50ug/m3, VOC가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자신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이 상기 미세 먼지 및 VOC에 관한 기준 공기질의 농도 중, 어느 하나의 기준 공기질의 농도보다 더 높은 경우, 자신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미세먼지 및 VOC에 대한 기준 공기질은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의 설정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기준 공기질의 농도를 가변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erence air quality may be set to 50ug / m < 3 > for fine dust and 3 for VOC. In this case, whe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d by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any one reference air quality among the concentrations of the reference air quality related to the fine dust and VOC, Is judged to be worse than the reference air quality. The reference air quality for the fine dust and the VOC can be varied by a user. That is, the user can change the concentration of the reference air quality by operating the setting button of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and reset it.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상기와 같이 자신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해서, 2차적으로 상기 실외 공기질이 상기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지를 판단한다.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secondarily determines whether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i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d by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is determined to be worse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ir quality.

판단 결과, 상기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에만 최종적으로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불량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에는 환기 불가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2차적 판단을 통하여 최종 환기 필요성을 판단하는 이유는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불량한 경우에도 환기가 이루어져 실내 공기가 더욱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s determined that ventilation is needed on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indoor air quality, it is determined that ventilation is not possible. The reason for judging the necessity of the final ventilation through the secondary judgment is to prevent the room air from further deteriorating due to ventilation even when the outdoor air is worse than the indoor air.

정리하면,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질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상기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환기 필요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In summary,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determines that there is a need for ventilation only when the measured in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preset reference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necessity.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상기 판단 결과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환기장치에 의하여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에 환기장치 구동신호를 전송한다. 즉,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 의하여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환기장치를 구동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transmits a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so that the ventilator can be ventilated.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master meter 10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drives the ventilator to ventilate the ventilator.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 장착될 수도 있고, 환기장치(미도시)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기기로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장치는 환기를 시킬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는 장치이면 모두 해당된다.The ventilator controller 30 may be mounted on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the ventilator (not shown), or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as a separate device. The ventilator may be any device that can operate to ventil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100)은 종래와 같이 단지 실내 공기질만을 측정하고, 그 농도 값을 고려하여 환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 공기질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질도 고려하고, 더 나아가 실내 공기질이 불량함과 동시에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에 한해서만 환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system 100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not only to measure the indoor air quality but to perform the ventilation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ncentration value, The air quality is taken into account, and furthermore, the indoor air quality is poor and the venti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결과적으로,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더 불량한 경우에도 환기 동작이 이루어져 실내 공기가 더욱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실내 공기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even when the out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indoor air quality, the ventil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prevent the indoor air from being further deteriorated, and the indoor air quality can be optimiz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기반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스마트기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the indoor air quality bas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and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부터 실내 공기질 정보 및 실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가 환기장치를 구동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면, 스마트폰 등 모든 스마트기기가 포함된다.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can receive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ll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re included if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can drive the ventilator to ventilate by sending a ventilator drive signal to the master meter 10.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환기 필요성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즉 "환기 필요성 있음" 또는 "환기 필요성 없음"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스마트기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entilating system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judgment on necessity of ventilation, that is, "ventilation is necessary" Quot;) of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and a near field smart device 40 capable of transmitting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따라서,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부터 일방적으로 일정 주기마다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 접속하여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부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receives the indoor /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unidirectionally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connects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의 자체 판단에 의하여 환기 필요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에 의하여 환기장치가 구동되지 않아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는 상기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에 의하여 환기장치가 구동되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necessity of ventilation by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master meter 10, that is, if the ventilator is not operated by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and ventilation is not performed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can transmit a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n,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transmits the ventilator driving signal to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through which the ventilator is driven by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to ventilate.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질이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하지 않아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 의하여 환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를 구동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Even if the ventilat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by the master measuring device because the indoor smart quality device 40 is provided, the indoor ventilating efficiency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ir quality, so that the ventilator is ventilated .

즉, 실내 공기질이 상당히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기준 공기질의 농도가 너무 높게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환기장치 구동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로 전송된 정보들을 확인하고, 환기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 전송하여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reference air quality is set too high, even though the indoor air quality is considerably poor, the ventilator driving signal is no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In this case, the user confirm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and transmits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s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when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ventilate the ventilation devi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부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 홈서버(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실내외 공기질 정보와 비교 분석 정보(환기 필요성 있음 또는 환기 필요성 없음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속해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단말기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management home server 50 for receiving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storing and managing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tore and manage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necessity of ventilation or no ventilation need) in real time, and further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have.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부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하는 관리 홈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management home server for receiving, storing, and managing indoor air quality,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comparison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ster meter 10 .

상기 관리 홈서버(50)가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로부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저장 관리하기 때문에,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저장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Since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receives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analysis information periodically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can access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via the Internet, Can be confirmed.

사용자는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직접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들을 확인하고,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 홈서버(50)로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관리 홈서버(5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에 의하여 환기장치가 구동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로부터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관리 홈서버(5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30)를 제어하여 환기장치가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user accesses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directly by using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confirms the information, and transmits a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 Then,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ransmits a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so that the ventilation device can be driven by the ventilation controller 30 to ventilate the ventilation device. Of course,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which receives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from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directly controls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without using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

이와 같이,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 블루투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등을 전송받고,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접속하여 상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등을 확인하고,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can transmit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10 via the Bluetooth connection and transmit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50, to confirm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o transmit a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가 상기 마스터 측정기와 블루투스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주기적으로 발생된 일정 기간 동안의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접속하여 상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확인하 수 있고, 더 나아가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if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does not properly communicate with the master meter 40, or if the user intends to check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analysis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periodically generated,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by connecting to the server 50, and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by further transmitting a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상기 사용자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10)에 저장되는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접속하여 일정 기간 동안 발생된 실내외 공기질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실익을 가진다.Since the indoor /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stored in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0 are limited, the user can access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having a large-capacity storage means using the near-field smart device, And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period.

한편, 상기 관리 홈서버(50)에는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 즉 실내 또는 관리 홈서버(50)에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근거리 스마트기기만이 접속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외 또는 원격에 위치하고 있는 원격 스마트기기(60)도 접속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is not limited to being connected to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that is, the near-field smart device located close to the indoor or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he remote smart device 60 may also be connected.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 측정기(10) 또는 환기장치 제어기(30)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스마트기기(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indoor ventilation system based on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mot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o check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master meter 10 or the ventilator controller The remote smart device 60 may transmit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remote smart device 30. [

따라서, 사용자는 외출 중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원격 스마트기기(6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접속하여 상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및 비교 분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스마트기기(40)를 통하여 관리 홈서버에 접속한 후 수행할 수 있는 동작과 동일하게,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관리 홈서버(50)는 상기 마스터 측정기 또는 환기장치 제어기(30)에 상기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환기장치 제어기에 의하여 환기장치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user is out, the remote smart device 60 can access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o confirm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after connecting to the management home server through the near-field smart device 40 . Then,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ransmits the ventilator drive signal to the master meter or the ventilator controller 30 so that the ventilator can be driven by the ventilator controller.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에 위치한 경우에도 상기 원격 스마트기기(60)를 이용하여 관리 홈서버에 접속하고, 이 접속을 통하여 상기 실내외 공기질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집에 귀가하기 전에 원격에서 미리 집의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when the user is located remotely, the user can access the management home server using the remote smart device 60, and can confirm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or the like through the connection, and can perform ventilation have. As a result, the user can remotely ventilate the house before returning home.

또한, 사용자는 집에 있는 경우 및 외출 중에 있는 경우에 모두 상기 관리 홈서버에 접속하여 상술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집에 있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근거리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 연결하여 실내외 공기질 정보 등을 전송받고 환기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access the management home server in the case of being at home or out of the office, and can proceed wit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If the user is at home,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nearby smart device 40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transmitted to the master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ventil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 홈서버(50)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실외 공기질 정보를 수집하여, 많은 위치에서의 실외 공기질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관리 중앙서버(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ventilation system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t the location where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is installed and secures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t many locations to generate environmental analysis information And a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 홈서버(50)로부터 실외 공기질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 및 분석하여, 위치에 따른 실외 공기질 분포 지도를 생성하는 관리 중앙서버(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ventilation system based on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for generating outdoor air quality distribution maps according to locations by receiving, storing, managing and analyzing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 ≪ / RTI >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중앙서버(70)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관리 홈서버(50)에 접속되고, 상기 관리 홈서버(50)로부터 실외 공기질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관리 중앙서버(70)의 요청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관리 홈서버(50)는 상기 실외 공기질 정보를 상기 관리 중앙서버(70)에 전송할 때, 자신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via the Internet, and receives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periodically or at the request of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Can be received. When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ransmits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ransmit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즉, 상기 관리 홈서버(50)는 상기 관리 중앙서버(7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사전의 설정에 주기마다 실외 공기절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실외 공기질 정보와 함께 자신의 위치, 즉 상기 관리 홈서버(5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중앙서버(70)로 전송한다. That is,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or when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has to transmit the outdoor air space information every cycle in the preset setting,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ransmits the outdoor air spac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utdoor air space information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to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따라서, 상기 관리 홈서버(50)는 사전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 정보를 상기 관리 중앙서버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실외 공기질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Therefore,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stor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when it wants to transmit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상기와 같이, 상기 관리 중앙서버(70)는 상기 관리 홈서버(50)로부터 위치 정보와 실외 공기질 정보를 함께 전송받아 저장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중앙서버는 상기 위치에 따른 실외 공기질 정보를 이용 분석하여, 각각의 위치에 따른 실외 공기질 분포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7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home server 50,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can analyze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generate the outdoor air quality distribution map according to each location.

상기 관리 중앙서버는 상기 관리 홈서버가 전국적으로 각 댁내, 사무실, 공장 등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에 대한 실외 공기질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위치에 따른 실외 공기질 분포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위치에 따른 실외 공기질 분포 지도는 공기질에 관한 환경 분석 또는 공기질에 관한 환경예보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can be installed in each house, office, factory, and the like nationwide, the management central server can collect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or various locations, thereby generating an outdoor air quality distribution map according to the location . The map of the outdoor air qual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generated loca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nvironmental analysis on the air quality or an environmental prediction on the air qualit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마스터 측정기 11 : 미세먼지측정부1
12 : VOC 측정부1 13 : 온도/습도 측정부1
14 : 마스터 표시부 15 : 마스터 통신부
16 : 외부제어 연결부 17 : 블루투스 연결부
18 : 홈서버 연결부 19 : 마스터 제어부
20 : 슬레이브 측정기 21 : 미세먼저 측정부2
23 : 온도/습도 측정부2 24 : 슬레이브 표시부
25 : 슬레이브 통신부 29 : 슬레이브 제어부
30 : 환기장치 제어부 40 : 근거리 스마트기기
50 : 관리 홈서버 60 : 원격 스마트기기
70 : 관리 중앙서버
100 :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10: master measuring instrument 11: fine dust measuring unit 1
12: VOC measuring part 1 13: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part 1
14: master display section 15: master communication section
16: external control connection part 17: Bluetooth connection part
18: home server connection unit 19: master control unit
20: Slave measuring instrument 21: Fine first measuring part 2
23: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section 2 24: slave display section
25: slave communication unit 29: slave control unit
30: ventilator control unit 40: near-field smart device
50: Administration home server 60: Remote smart device
70: Administration Central Server
100: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Claims (6)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슬레이브 측정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상기 슬레이브 측정기로부터 실외의 공기질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실내 공기질과 실외 공기질을 비교 분석하여 환기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마스터 측정기;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 의하여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환기장치를 구동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장치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A slav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outdoor air quality;
A master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indoor air quality, receiv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slave measuring unit,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to determine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And a ventilator controller for ventilating by driving the ventila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or needs to be ventilated by the master measur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측정기는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질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공기질보다 불량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이 상기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ster measuring unit determines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only when the measured in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s better than the indoor air qualit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측정기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마스터 측정기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스마트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near-field smart device that receives the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and transmits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syste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측정기로부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하는 관리 홈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management home server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indoor air quality,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master measuring device,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홈서버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실내 공기질 및 실외 공기질 정보 그리고 비교 분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 측정기 또는 환기장치 제어기에게 환기장치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스마트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And a remote smart device capable of remotely accessing the management home server to confirm the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ventilation device driving signal to the master measuring device or the ventilator controller Ventilation system based on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홈서버로부터 실외 공기질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 및 분석하여, 위치에 따른 실외 공기질 분포 지도를 생성하는 관리 중앙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management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home server, storing, managing and analyzing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outdoor air quality distribution map according to the location.
KR1020150070924A 2015-05-21 2015-05-21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KR201601377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924A KR20160137767A (en) 2015-05-21 2015-05-21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924A KR20160137767A (en) 2015-05-21 2015-05-21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81A Division KR101865143B1 (en) 2017-02-22 2017-02-22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767A true KR20160137767A (en) 2016-12-01

Family

ID=5757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924A KR20160137767A (en) 2015-05-21 2015-05-21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767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6021A (en) * 2017-12-13 2019-06-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Air regulator and its control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89313A (en)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센트라 Thermo-hygrostat
WO2020017741A1 (en) *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미로 Intelligent humidification system in which humidifier and remote control having built-in sensor are linked
US20200348038A1 (en) 2019-07-12 2020-1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system design and operational tool for building infection control
US11274842B2 (en) 2019-07-12 2022-03-1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ventilation, filtration, and conditioning schemes for buildings
US11714393B2 (en) 2019-07-12 2023-08-0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load curtailment optimization
US11761660B2 (en) 2019-01-30 2023-09-19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feedback and feedforward total energy flow compensation
US11960261B2 (en) 2019-07-12 2024-04-1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with sustainability and emissions control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6021A (en) * 2017-12-13 2019-06-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Air regulator and its control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89313A (en)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센트라 Thermo-hygrostat
WO2020017741A1 (en) *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미로 Intelligent humidification system in which humidifier and remote control having built-in sensor are linked
US11761660B2 (en) 2019-01-30 2023-09-19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feedback and feedforward total energy flow compensation
US20200348038A1 (en) 2019-07-12 2020-1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system design and operational tool for building infection control
US11131473B2 (en) 2019-07-12 2021-09-28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design and operational tool for building infection control
US11269306B2 (en) 2019-07-12 2022-03-08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with building infection control
US11274842B2 (en) 2019-07-12 2022-03-1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ventilation, filtration, and conditioning schemes for buildings
US11714393B2 (en) 2019-07-12 2023-08-0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load curtailment optimization
US11913655B2 (en) 2019-07-12 2024-02-27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ventilation, filtration, and conditioning schemes for buildings
US11960261B2 (en) 2019-07-12 2024-04-1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with sustainability and emissions contro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143B1 (en)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KR20160137767A (en)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measurement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US10247434B2 (en) HVAC system and an HVAC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VAC system based on air pollutant data and user comfort
CA2966338C (en) Indoor air quality sense and control system
JP4453679B2 (en)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equipment control apparatus
KR101305772B1 (en) System for controlling indoor surroundings using remote controller for having a function indoor air measurement
US20170154517A1 (en) Air quality alert system and method
WO2014185013A1 (en)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KR102174633B1 (en) Lighting system with indoor air quality sensor
CN102121740A (en)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air conditioner
KR20140003760A (en) Control system for air quality
CN109883009A (en) Utilize the 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information
KR20110136382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 using environment-sensor
CN102483257A (en) Cooperative airflow control device
KR20130061823A (en) Control system for air quality
CN110376992B (en) Toilet management system
US20050284161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94738A (en)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fine dus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85130B1 (en) Energy saving air conditioner management apparatus
KR20090040650A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ir cleanness and controlling ventilation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190121570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Alonso et al. Holistic methodology to reduce energy use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for demand-controlled ventilation
KR1014689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and cooling
KR20160076782A (en) Terminal device for indoor environment improvemnet of base internet of things
KR20210083592A (e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