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451A - 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451A
KR20160135451A KR1020150068752A KR20150068752A KR20160135451A KR 20160135451 A KR20160135451 A KR 20160135451A KR 1020150068752 A KR1020150068752 A KR 1020150068752A KR 20150068752 A KR20150068752 A KR 20150068752A KR 20160135451 A KR20160135451 A KR 2016013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artment
subject
database
module
selec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진표
Original Assignee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5451A/en
Priority to CN201610331773.7A priority patent/CN106168952A/en
Publication of KR2016013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4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65Query processing support for facilitating data mining operations in structured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30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normalizing a database, which has been tested o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respective departments, to regenerate standard databases for respective departments according to properties of majoring students in the respective departments, comparing the standard database with test resul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roviding a comparison result to a mobile terminal. The department group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comprising: a content management module which collects and manages promotion content related to schools and department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which is connected with a department selection module and transmits at least one among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promotion content, and an additional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to an external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which acknowledges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executes the additional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bjects having the same department group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can create a cluster meeting.

Description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selecting a department,

본 발명은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실제 각 학과에서 전공하는 대학원생을 기준으로 테스트한 데이터베이스를 정규화하여 각 학과 전공학도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학과별 표준 데이터베이스를 재생성한 다음 이러한 표준 데이터베이스를 중고등학생의 테스트 결과치와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selecting a department, and more specifically, a database that has been tested on the basi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ch department is regenerated to regenerate a standard database for each depart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mparing and analyzing such a standard database with test resul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roviding the resulting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현대 사회는 학벌이 중요시되는 사회이기 때문에 학부모의 교육열이 과잉되어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교육과잉 현실은 많은 지역별 편차 조장 내지 학벌만능주의를 조장한다는 부작용을 낳고 있는 실정이다.Because modern society is a society where the schooling is important, the parents' education heat is excessive, and this over - education reality is causing the side effect of promoting many regional disparities and universalism.

따라서 이를 극복할만한 개선책을 교육부에서 시기별로 발표 및 시행을 꾀하고 있으나, 현재의 교육열 및 학벌 우선 인정 분위기는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 사회분위기의 중론이며 앞으로 이러한 과잉된 교육열을 대신할만한 별다른 교육정책이 없는 현실이기 때문에 현재 및 향후 중, 고등학생은 자신의 수업능력 내지 실력에 따라 예상대학을 선정해야 하는 현실에 놓여져 있으며 더불어 자신의 평생 직업을 결정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되는 학과를 자신의 특성에 알맞게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다.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planning to announce and implement measures to cope with the situation in a timely manner. However, it is the prevailing mood of the general society atmosphere that the present educational heat and the priority atmosphere of the school will continue to be maintained. The present and futu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placed in the reality that they should select the expected college according to their teaching ability or ability, and in addition, the department which is the first step to decide the career of their life, The decis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만일 자신의 특성에 맞지 않는 학과를 고려하지 않고 부모의 뜻이나 아니면 자신의 실력에 억지로 맞춰 대학 결정을 우선시하는 경우가 실제 비일비재한데 이 경우 편입이나 고시에 집중되는 사회적인 부작용을 야기하여 젊은 인재의 활용에 상당한 악영향을 가져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여러 기관 및 업체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예상학과 및 계열을 결정하기 위한 테스팅(testing) 시스템을 개발 및 시행하고 있는데, 질문 자체가 추상적이거나 구체적인 신뢰가 담보되지 않고 또한 예를 들어 '국어과목이 좋다'라는 질문에 선호 답변을 하면 국문학과 예상이라는 너무 일반적이고 단편화된 질문을 통해 오프라인 내지 온라인으로 테스트가 되고 있어 각기 다른 기관에서 테스트를 받을 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학생이나 학부모의 혼선을 초래하는 결과만 야기하고 있다.If you do not consider a department that does not fit your own characteristics, or if you decide to give priority to a university decision by compromising your will or your ability, it will be a real one. In this case, It can lead to side effects that have significant adverse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various institutions and companies are currentl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testing system to determine anticipated courses and ser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question itself is neither abstract nor concrete, For example, if you prefer to answer the question "Good subject in Korean language", you are being tested offline or online through too general and fragmented questions such as Korean literature and anticipation, and the results tend to be different for each different institution. This results in a confusion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이는 중고등학생이 아직 대학과 사회에 대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여러 단체에서 시행하는 테스트 질문에 대한 스스로의 선택이 맞는 진로인지 확신을 하기 힘들고 또한 이러한 자신의 흥미와 능력이 실제 대학 졸업 이후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가늠하기 어려운 현실인데, 기존 테스트 평가 시스템은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질문에 대한 결과치만 도출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secondary and tertiary students do not yet have experience in college and society, so it is difficult to be sure that their choice is the right course for the test questions conducted by various organizations, and how their interests and abilities are utilized after graduation This is a difficult reality because the existing test evaluation system only draws results for simple questions without taking this reality into consideration.

이러한 동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334138호 "진로진단시스템"은 '직업인성이론(RIASEC 이론)의 6가지 유형 이론을 근거로 120가지 직업적 성격을 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 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 환경, 직업선호도, 학업성적 등을 탐색하여 OMR 카드를 작성하는 수단과, 상기 OMR 카드를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 비교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하여 점수 순서에 따라 하위 코드를 도출하는 수단과,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120가지 직업적 성격 유형에 대한 파일 중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하여 개인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주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있게 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고 개시되어 있다.To solve this same problem, Korean Patent No. 10-334138 entitled "Career Diagnosis System" refers to a means of databaseing 120 types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six types of theories of the RIASEC theory Means for searching the general environment, job preference,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like to find an objective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a subjective occupational characteristic of the pimple terminal by the database, and means for preparing the OMR card by the database of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theory The score is ranked according to the score, and the score is ranked in descending order. In this way, a sub-code is derived according to the score order, and a score corresponding to the code of the 120 types of occupational personality types stored in the database To provide information so that you can choose the right job for your job And that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career more accurately and reliably.

상기 시스템에 의하면 직업인성이론에 근거하여 나름대로 전문가가 진단을 내려준 것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겠으나 실제 그 학과에 몸을 담고 있는 학생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급변하는 현실을 배재한 채 단순히 과거 이론에 따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질문 및 진단 내용이 자세하다는 점 이외에는 전체적인 평가 프로세스가 질문에 차등적인 점수를 매겨 이를 단순 계산하여 결과치를 도출한다는 일반적인 다른 진로 결정 로직(logic) 내지 프로세스(process)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기존 시스템과 특별한 차별성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system,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same result as the expert's diagnos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work personality. However, since the opinion of the student in the department is not reflected in reality,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questions and diagnosis are detailed, the overall evaluation process is based on a general logic of logic (logic) in which a score is given to a question and a simple calculation is made to derive the resul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articular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system because it does not deviate greatly from the process or process.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10-334138B1, 2002. 04. 1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334138B1, Apr. 12, 20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목적은 실제 각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먼저 테스트를 받아 정규화된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를 재생성하고 이를 통해 복합적으로 피험자의 결과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신뢰 있는 학과 선정 결과를 도출하고, 피험자의 결과 정보 및 학과계열 부가서비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partment and a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graduate student and an expert, And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process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esult database and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subject, thereby providing a more realistic and reliable department and selection result, and provid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department to the mobile terminal.

다른 목적은 동일한 학과계열 선정 결과 정보 갖는 피험자들 간에 클러스터 모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goal is to enable cluster gathering among subjects with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본 발명은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 직업 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계열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 설문평가모듈, 쌍대비교모듈, 수치비교산정모듈, 우선순위처리모듈 및 학과선정모듈을 포함한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에 있어서, 학교 및 학과 관련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학과선정모듈과 연결되어, 학과 선정 결과 정보, 홍보 컨텐츠,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모바일 통신모듈, 상기 모바일 통신모듈에서 전송된 학과 선정 결과 정보 및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department including a course preference database, a department suitability database, a job preference database, a series preference database, a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a question evaluation module, a pair comparison module, a numerical comparison calculation module, a priority processing module,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collecting and managing publicity contents related to the school and the department,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the publicity content, and the department related additional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terminal for confirming the department and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epartment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 and executing the supplementary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또한, 본 발명은 과목 선호도 검사, 학과 적합도 검사, 직업 환경 선호도 검사, 계열 선호도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설문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 설문에 대한 답변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일정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 각 전공별 일정 수의 대학원생을 통해 실행하여 얻어진 수치를 정규화하여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피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수행하여 피험자의 각 설문별 수치를 얻어내는 단계; 피험자의 수치와 대학원생의 수치를 비교한 다음 기 설정된 가중치 부여를 통하여 QFD(Quality Function Developement) 방식으로 종류별로 피험자의 최종 수치를 도출하는 단계; 계열 선호도 검사에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식을 통하여 각 설문의 쌍대비교를 통해 얻어진 수치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피험자의 최종 수치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일정 개수의 우선 학과를 추출하는 단계; 최종 수치를 합산 및 비교 처리하여 최종적인 학과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과계열 선정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학과 선정 결과 정보, 홍보 컨텐츠,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b)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된 학과 선정 결과 정보 및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databaseing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for subject preference test, departmental fitness test,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test, and family preference test, and determining a predetermined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an answer to each questionnaire; Generating a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by normalizing numerical values obtained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graduate students per each major; Performing a test on a subject to obtain a numerical value of each subject of the questionnaire; Compar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graduate student, and deriving the final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type by the QFD (Quality Function Development) method through the predetermined weighting; Deriving the final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by assigning predetermined weights to the numerical values obtained through the dual comparison of each question through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in the sequence preference test, and extrac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priority subjects; (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t least one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the publicity contents, and the department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including the step of summing and comparing the final figures and selecting the final department (B) confirming transmitted department and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department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executing the department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실제 각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먼저 테스트를 받아 정규화된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를 재생성하고 이를 통해 복합적으로 피험자의 결과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신뢰 있는 학과 선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피험자의 결과 정보 및 학과계열 부가서비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regenerating a normalized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by firstly testing the graduate students and experts attending each department, It is possible to derive a more realistic and reliable department and selection result by provid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department additional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유사한 학과계열 선정 결과 정보 갖는 피험자들 간에 클러스터 모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수의 피험자들이 다양한 학과계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clusters among the subjects who have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the selection of the similar department, so that a large number of subjects can share various department series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과계열 선정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4종류의 검사 데이터베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문평가모듈에서 과목선호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과목 선호 검사의 일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처리모듈에서 과목선호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과목 선호 검사의 우선순위 학과의 설명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쌍대비교모듈에서 계열선호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계열 선호 검사의 일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목선호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과목 선호 검사의 우선순위 학과의 설명 및 일관성 여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처리모듈에서 학과적합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학과 적합도 검사의 우선순위 학과의 설명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처리모듈에서 직업 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직업 환경 선호도 검사의 우선순위학과의 설명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학과선정모듈에서 4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 따른 검사의 최종적인 우선순위 학과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학과선정모듈에서 도출한 최종적인 우선순위 학과의 설명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모임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사용에 따른 개략적인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모임부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partment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schematic procedure of a method of selecting a depart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four kinds of inspection databa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ubject preference checking through a subject preference database in a questionnaire evalu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iorities of a subject preference test through a subject preference database in a priority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 sequence preference check through a sequence preference database in a pair comparis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escription of priorities and consistency of a subject preference test through a subject preference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ioritized department of the departmental fitness test through a departmental fitness database in the priority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ioritized department of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test through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database in the priority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inal priority course of examination of four types of databases in 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lanation display state of a final priority department derived from a department sel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irtual competitive rate estim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luster mee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operation flow according to the u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of a cluster mee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partment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은 먼저 경험적 내지 잘 알려진 교육 이론에 따라 선별된 각 질문을 과목 선호도, 학과 접합도, 직업환경 선호도, 계열선호도로 그룹화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In the course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ategory is classified by a method of grouping the selected questions according to experiential or well-known educational theories into course preference, department degree of association,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family preference, do.

이러한 질문을 모은 4가지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 중, 과목 선호도, 학과 접합도, 직업환경 선호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110,120,130)는 피험자로 하여금 테스트를 거친 후에 각 설문에 대해 수치를 도출할 수가 있는데, 그 수치는Among the four databases (110, 120, 130, 140) that gathered these questions, the databases (110, 120, and 130) about subject preferences, departmental associations, and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s can be used to derive numerical values for each questionnaire after the subject has been tested. The

구체적으로 7점 척도, 즉 전혀 아니다(1점), 매우(거의) 아니다(2점), 조금(약간) 아니다(3점), 보통이다(4점), 조금(약간)그렇다(5점), 매우(거의) 그렇다(6점), 완전히 그렇다(7점)와 같은 점수가 각 질문별로 도출이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이러한 7점 척도에 구애받지 않고 가중치 부여 내지 차등화된 점수 부여가 가능한 방식 등으로 기타 여러 수치화가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7-point scale, ie not at all (1), very (almost) not (2), slightly (slightly) not (3), average (4), slightly (5) , Very (almost) yes (6 points), and totally yes (7 points). Of course, the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 other numerical values in such a manner that weighting can be given regardless of the 7-point scale, or grades can be given differentiated scores.

계열 선호도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수치 도출 방식이 아닌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라는 방법으로 계열 특성이 도출될 수가 있다.Sequence preference will be described later, but the sequence characteristic can be derived by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rather than the numerical derivation method.

이렇게 수치 등을 도출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각 데이터베이스 중 3종류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는 먼저 모집단에 해당하는 적정 수를 가진 현실적으로 해당 전공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여 각 질문에 따른 수치를 도출한Three databases (110, 120, and 130) among the databases, which are the basis for deriving the numerical values, are obtained by first deriving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questions for a graduate student having a corresponding major in the population

다음, 순위를 매기면 각 질문에 따른 각 전공별 부합도가 도출이 되는데, 이러한 부합도를 정규화(normalization)하여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를 생성한다.Next, when ranking is performed, the degree of conformity of each major according to each question is derived. Normalization of such degree of conformity is performed to generate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이 후, 피험자로 하여금 상기 3종류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에 수록된 질문을 검사하여 각 질문에 대한 선호도를 수치로서 도출하고, 이를 각 학과별로 생성된 상기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와 전체 비교 처리하여 각 설문 별로 전체 학과의 부합도를 점수로 도출하고 이로 인하여 최종적인 학과 및 계열을 선정하는 것이다.Thereafter, the examinee examines the questions stored in the three types of databases 110, 120, and 130, derives the preference for each question as a numerical value, compares the preference with each of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s 160 generated for each departmen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이러한 기본적인 특성을 근거로 한 본 발명에 따른 학과 선정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 및 방법을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partment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basic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과 선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학과 선정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epartment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procedure of a department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각 특성 별 설문이 수록된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10), 학과 적합도 데이터 베이스(120), 직업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30), 계열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40), 상기 데이터베이스 (110,120,130,140) 중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10),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120), 직업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30)를 근거로 하여 실제 전공/학과 소속 모집단, 구체적으로는 대학원생을 토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각 설문별로 수치를 산출한 테스터(tester) 데이터베이스(150), 상기 테스터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하여 정규화 과정을 거친 다음 현실적이고 신뢰 있는 정보를 추출한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 피험자를 대상으로 각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설문평가모듈(210), 설문조사를 통하여 산출된 피험자의 수치를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의 각 학과별로 구성된 수치와 비교 처리하여 각 설문에 대해 피험자 고유의 재생성 최종 수치를 산출하는 수치비교산정모듈(220), 상기 4종류 데이터베이스 중 계열선호도 데이터베이스(140)를 근거로 하여 피험자로 하여금 각 단과대학별 전공목표와 상대적인 선호도를 얻기 위한 수치를 추출하는 쌍대비교 모듈(230), 이러한 4가지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를 통하여 도출된 각 수치를 통해 가장 높은 수치를 받은 각 검사에 따라 일정 개수, 예를 들어 5개의 학과를 선정하는 우선순위처리모듈(240), 각 4가지 검사를 비교하여 결과의 일관성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일관성검사모듈(260), 상기 4가지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에 대해 간 전공별 전문가 그룹에게 설문을 실시한 후에 각 전공별로 특성화된 비교데이터를 추출하는 전문가그룹 데이터베이스(170), 상기 4가지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에 따라 도출된 전공학과별 수치를 전문가그룹 데이터베이스(170)와 비교분석 처리하여 최종적인 학과 계열을 선정하는 학과계열선정모듈(250)로 이루어져 있다.1,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ject preference database 110, a subject relevance database 120, a job preference database 130, a sequence preference database 140, Based on the subject preference database 110, the subject suitability database 120 and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database 130 among the subjects 110, 120, 130 and 140, a questionnaire is conducted based on the actual subject / department's population, specifically, A tester database 150 for calculating numerical values, a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for extracting realistic and trustworthy information through a normalization process through the tester database 150, a questionnaire survey database A questionnaire evaluation module 210 that conducts a questionnaire, A numerical comparison calculation module 220 for comparing the numerical value with a numerical value constituted by each department of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and calculating a final regeneration final value specific to each question, A pair comparison module 230 for extracting a numerical value for obtaining subject preference and relative preference for each subject of each university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each of the four databases 110, 120, 130, and 140, A priority processing module 240 for selecting five classes, for example, a predetermined number of classes in accordance with each test, a consistency checking module 260 for comparing the four tests to check whether the results are consistent, (110,120,130,140),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the expert group of each major field, and then the comparative data characterized by each field The shipment includes an expert group database 170, a department and series selection module 250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umerical values of the major departments derived according to the four databases 110, 120, 130, and 140 with the expert group database 170 and selecting the final department series consist of.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4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four kinds of databa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각 4종류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10)는 피험자의 과목 선호도 검사를 위한 것으로서, 중고등학교 시절(대학원생) 내지 현재(피험자인 중고등학생) 어느 과목을 좋아하고 싫어하는가를 기준으로 하여 잘하고 좋아하는 과목의 내용이 많이 도움이 되는 계열과 학과가 무엇인지 알려주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설문이 수록된 집합체를 의미한다.First, the subject preference database 110 is for examining a subject's preference degre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y subjects such as a middle school student (graduate student) or a current student (middle school student as a subject) , Which means that the contents of a good and favorite subject are very helpful, and a collection containing a questionnaire to perform a function to tell what a subject is.

이러한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10)의 설문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question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preference database 110 is as follows.

1) 중학교 전 과정 및 고등학교 1학년(10학년)까지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2) 주요과목인 언어, 수리, 외국어 및 탐구영역의 사회탐구, 과학탐구의 교과내용을 포함하며, 3) 탐구영역은 주요 선택과목을 기준으로 과목에1) It is composed of all the subjects from the middle school to the whole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the high school (grade 10). 2) It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of social studies, science inquiry in major subjects such as language, repair, 3) Inquiry area is based on major elective courses.

대한 선호에 유의미한 차이를 줄 수 있는 교과내용을 위주로 문항을 구성하고, 4) 컴퓨터 및 예체능의 실기과목 등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학생들의 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내용을 아울러 담고 있으며, 5) 참고로 과목에 대한 선호도 뿐 아니라 성취도(성적기준)를 자기 보고식으로 설문조사 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선호도와 성취도를 합쳐서 개별 학생의 반응을 측정한다.4) It contains contents that can measure the practical and practical students' preferences such as computer and artistic practical subjects, and 5) the contents of the subject by reference. (Grades) as well as their preferences for the students. The responses of individual students are measured by combining their preference and achievement.

이러한 근거로 구성된 설문은 세부적으로 다음의 표 1, 2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se bases is detailed in the following Tables 1 and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설문에 대한 답은 실제 등급(15등급) 내지 7등급으로 객관식으로 예시되어, 점수가 높을수록 성적이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are exemplified as physical grades (15 grades) to 7 grades, and the higher the score, the better the grades are.

상기 표 1,2 의 각 설문은 구체적이되 예시적인 것으로, 상황이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첨가, 수정, 교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Each of the above Tables 1 and 2 is illustrative and exemplary in nature, and addition, modification, and replacement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the times.

본 발명에 따른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120)는 대학에서 전공공부를 할 때 필요한 지적, 사회적, 성격적 능력과 소양을 고려하여 자신과 가장 부합되는 계열과 학과가 무엇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설문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academic suitability databas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questionnaire for informing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and department that best match their own intellectual, social, and personal abilities necessary for studying at a university. have.

이러한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120)를 이루는 설문은 각각 세 가지의 소 항목으로 구분이 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1) 기초소양(판단기준: 학과 공부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능력), 2) 학습환경(판단기준: 학과의 이형적이고 물리적인 특성), 3) 학문 특성(판단 기준: 학과에서 공부하는 학문의 전반적인 성격)으로 세분화된다.The questionnaire that constitutes the department and the fitness database 120 is divided into three sub-items. Specifically,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1) basic literacy (judgment standard: ability required to perform department study), 2) learning environment Criteria: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3) academic characteristics (criterion: the overall nature of the study in the department).

이러한 근거로 구성된 설문은 세부적으로 다음의 표 3 내지 5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se bases is shown in detail in the following Tables 3 to 5.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표 3 내지 5의 각 설문 역시 구체적이되 예시적인 것으로, 상황이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첨가, 수정, 교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Each of the above Tables 3 to 5 is also illustrative,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ddi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s and ages.

본 발명에 따른 직업 환경 적합도 데이터베이스(130)는 대학을 졸업한 이후에 가질 수 있는 직업들을 고려하여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직장을 얻을 수 있는 공부를 할 수 있는 학과와 계열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설문에 대한 집합체이다.The occupational environment fitness databas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a department that can study to obtain a job of a desired condition and a questionnaire to know what the family is, Respectively.

이러한 직업 환경 적합도 데이터베이스(130)를 이루는 설문의 구성은 각 직업에 해당하는 직업 환경을 모두 나열한 후, 유형별로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어떤 사항을 중복 없이, 그럼에도 누락됨이 없는 부분의 집합체로 파악하는 것)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 설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 노동부 직업심리검사, 한국직업정보시스템 2005 미래의 직업세계)The questionnaire that constitutes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fitness database 130 includes a list of all the occupational environmen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occupations, and the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fitness database 130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MECE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 It is composed of the questionnaire made according to the principle. (Note: Ministry of Labor's Occupational Psychological Test, Korea Job Information System 2005 Future Job World)

이러한 근거로 구성된 직업 분류는 세부적으로 다음의 표 6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se grounds is shown in detail in Table 6 below.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상기 직업유형에 대하여 환경의 일치도에 따라 가중치(매우일치[9], 일치[3], 조금일치[1])를 부여하는데, 상세한 설문은 다음과 같다.[9], [3], and [a little] match [1] according to the degree of agreement of the environment for the above occupation types. The detailed questionnaire is as follows.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상기 표 7의 각 설문 역시 구체적이되 예시적인 것으로, 상황이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첨가, 수정, 교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Each of the questionnaires in Table 7 is also illustrative and exemplar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dditions, modifications and replacements may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s and times.

본 발명에 따른 계열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40)는 대학의 각 전공에서 배우는 내용과 학습목표를 고려하여 자신이 가장원하는 공부를 할 수 있는 계열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설문의 집합체이다.The family preference databas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that indicate the series that can be studied most preferably in consideration of contents and learning goals in each major of the university.

즉, 각 대학의 단과대학에서 지향하고 있는 학업목표와 주요 내용을 기초로 하여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어휘와 질문을 재구성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vocabulary and questions are reconstructed so that it is easy for the adolescents to understand based on the academic goals and main contents of each college.

본 발명에 따른 테스터(tester) 데이터베이스(150)는 상기 구체적으로 설명한 설문으로 이루어진 4가지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 중 3가지 데이터베이스 즉,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10),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120), 직업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30)를 근거로 하여 실제 전공 대학원생을 토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각 전공별의 대분류 내에서 각 설문별로 수치를 산출하여 시트(sheet)처리한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tester databas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databases among the four databases 110, 120, 130 and 140 having the above-described questionnaire, namely, a subject preference database 110, a subject relevance database 12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base in which a questionnaire is conducted based on actual graduat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130, and sheets are processed by calculating numerical values for each question within each major category of each major.

테스터 데이터베이스(150)의 생성 및 후술할 수치비교산정모듈(220)의 수치 처리 방식은 품질기능전개(QFD: quality function development)라는 첨단 수리적인 기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품질기능전개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생산관리 시스템을 지원하는 설계/운용 그리고 제품설계과정을 통해 정의된 고객의 요구를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설계된 방법으로서, 구체적인 활동으로서는 고객의 요구를 기술적으로 전환(Product Planning), 기술적 요구를 부품 특성으로 전환(Product Design), 부품특성에 맞는 공정특성, 단계와 파라미터(parameter)를 정의(Process Planning), 공정 특성에 대한 통제 방법을 설정(Process-Control Planning)으로 대별되며, 주로 정보 시스템과 조직적 구조를 설계하는데 사용된다.The generation of the tester database 150 and the numerical processing method of the numerical comparison and comparison module 220 to be described later are performed by an advanced hydraulic technique called quality function development (QFD). A brief description of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method is a method designed to clearly define the customer's needs defined through the design / operation and the product design process supporting th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Specific activities include technological conversion Product planning, product design, process characteristics, step and parameter definition, process control planning, process control, , And are mainly used to design information system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이러한 품질기능전개(QFD) 방식을 응용하여 테스터 데이터베이스(150)가 도출될 수가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각 학과별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의 주요 대학의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는 석사 과정 이상의 재학생 약 400명 이상을 상대로 각 전공 및 학과에 대해 상기 3가지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의 설문에 대해 질의를 한다.The tester database 150 can be derived by applying the quality functional development (QFD) method. Specifically, the tester database 150 can be obtained by firstly analyzing a student who is studying at a graduate school of major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Inquiries about the questionnaires of the above three databases (110, 120, and 130) for each major and the department against about 400 or more.

이러한 모집단 선정, 특히 대학원생 이상을 통해 표본 집단을 선정하는 근거는 자신의 전공 선택 의지가 상대적으로 강한 주요 대학의 학생일 경우 보다 기타 대학의 학생보다 학업 성취도가 우수하여 표본 집단으로서의 의미를 신뢰할 수 있는 계기를 가지게 되고,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직업 학과 선정이론 등이 단순히 이론에 그쳐 현실적인 학업 선정 기준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현실적이고 현 중고등학생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예시된 대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정 대학을 보다 확장할 수 있으며 설문에 응하는 학생 인원도 보다 확충하여 보다 보편적이고 신뢰성을 가지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reason for choosing the sample group through the selection of such a population, especially the graduate students and above, is that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universities, This is because it is not a realistic academic selection criterion because it is based on the theory and so on. Therefore, it is aimed to establish a standard that can be directly helpful to current and secondary student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universities, but it is also desirable to expand the number of selected universities and further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to make them more universal and reliable.

상기 표본 집단이 되는 각 전공별 대학원생을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면 각 설문마다 각 학생들이 평가한 수치가 상기 언급 한 7점 척도 등으로서 산출될 수가 있다.When the questionnaire is conducted through the graduate students of each major who become the sample group, the numerical value evaluated by each student in each questionnaire can be calculated as the 7-point scale mentioned above.

구체적으로는, 과목선호도 데이터베이스(110)를 통한 과목선호도 검사에서는 각 설문에 대해 7점 척도를 기준으로 선호 도와 비선호도를 표시하게 되며 성취도는 내신 성적을 실제 등급별(15등급 분류) 내지 7점 척도(하 ,하상, 중하, 중, 중상, 상하, 상)를 기준으로 한 7등급으로 가상 변경하여 입력하게 한다. 표시된 선호도를 통한 수치는 각 전공별 대학원생들의 반응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학과와 계열을 도출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course preference test through the course preference database 110, the preference degree and the non-preference degree are displayed based on the 7-point scale for each questionnaire, and the achievement level is expressed by the actual grade (grade 15) (Lower, lower, middle, middle, middle, upper, lower, and upper). The numerical values through the displayed preferences are compared with the responses of the graduate students in each major, and the most suitable departments and departments are derived.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120)를 통한 학과 적합도 검사에서는 각 학과의 대학원생이 높은 점수를 준 설문에 대해 각 학과의 적합특성이 도출이 되며, 기초 소양, 학습 환경, 학문특성이라는 3가지의 하위 영역에 대해 구체적인 특성이 도출된다.In the department fitness test (120), the fit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are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 which the graduate students of each department have given high scores, and the three sub areas of basic literacy,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Specific characteristics are derived.

작업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30)를 통한 직업 환경 검사에서는 대학원생이 체크한 답변에 대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에 따른 결과 수치를 도출한다.I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test through the work environment preference database 130, a predetermined weight is given to the answer of the graduate student, and the resulting numerical value is derived.

다시 말해, 각 전공별 대학원생들의 반응을 종합해보면 각 학과에서 공부할 때 필요한 고등학교까지의 과목 선호도(과목선호도 데이터베이스), 공부할 때 필요한 기존 소양 및 지적 능력(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 향후 진출할 수 있는 직업 환경의 선호도(직업 환경 데이터베이스)가 도출된다. 이 도출된 수치를 각 학과별로 순위를 매기면 과목 선호도, 학과 적합도, 환경 선호도의 각 설문에 따른 각 전공별 부합도가 도출될 수가 있고 이렇게 도출된 4가지 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집합체가 바로 테스터 데이터베이스(150)인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eactions of graduate students by each majo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reference of subjects (high school subject preference database) required for studying in each department, existing literacy and intellectual ability (academic relevance database) necessary for studying, Preference (occupational environment database) is derived. When the derived numerical values are ranked according to each department, the degree of conformity of each major can be derived according to each question of subject preference, department suitability, and environmental preference, and the aggregate of data including the result of the four tests thus obtained, Is the database 150.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는 이러한 테스터 데이터베이스(150)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스터 데이터베이스(150) 중 전체 반응의 절대치가 높은 전공과 낮은 전공의 차이를 상쇄하기 위하여 정규화(normalization)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활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정규화'는 IT 분야에서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정규화의 의미는 극단적인 답변에 의한 수치에 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 학과의 학생에 대한 보편적이고 평균적인 수치를 산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과 기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답변에 따른 점수의 단순 합산으로 인해 기타 전공과의 차별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직업환경 선호도 검사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대학원생이 체크한 점수 이에 따라 기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곱한 값들의 합을 구한 후 이를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AHP 방법 등을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기타 전공과의 오차 범위를 줄이고 보다 정확한 비교 결과치를 산출함으로써 직업유형에 대한 고유 순위를 산정하는 방식에 의하는 것이다.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tester database 150.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normalize the tester database 150, ), And finally the database is used. 'Normalization'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the IT field. However, the meaning of the normaliz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order to reduce errors in the numerical value due to extreme answers, a series of calculations And a predetermined weight is given to prevent a difference from other majors due to the simple summation of the scores according to the answers. For example, the job environment preference checking database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jobs, The score of the graduate studen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eighted value by the predetermined weight, and then the weight is given through a known method, for example, the AHP method, thereby reducing the error range with other majors, The way to calculate the unique ranking of job types by calculating the results .

본 발명에 따른 설문평가모듈(210)은 학과 선정의 검사 주체가 되는 실제 중고등학생인 피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지원하는 온라인상의 웹 사이트 등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각 설문에 대해 순차적으로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전체 설문을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설문평가모듈(210)은 상기 4가지의 데이터베이스에 따른 학과 선정 검사에 모두 적용이 되거나 계열선호도 데이터베이스(140)의 검사를 위한 쌍대비교모듈(230)로 분리되어 특화 구성될 수 있다.The questionnaire evaluation modul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bject who is the actua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who is the subject of the examination of the department is sequentially an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set on the online web site etc. support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hecking the whole questionnaire by scoring. The questionnaire evaluation module 210 may be applied to both the department selection tests according to the four databases or may be divided into a pair comparison module 230 for testing the series preference database 140 to be specialized.

이러한 설문평가모듈(210)에 따른 설문 평가 기능으로 인하여 피험자는 자신의 고유 선호도가 수치로서 도출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The questionnaire evalu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evaluation module 210 provides a basis for the subject to derive his / her own preference as a numerical value.

본 발명에 따른 수치비교산정모듈(220)은 상기 피험자가 각 설문에 대해 답변함으로 도출된 수치와 표준비교 데이터베이스(160)의 각 학과별로 구성된 대학원생의 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피험자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는 수치를 재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의 고유 특성을 가진 수치를 재생성하기 위한 비교처리 방법은 피험자의 수치와 이에 대응하는 설문에 대한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 상의 대학원생의 수치를 곱하는 과정과 추가적으로 각 설문별로 미리 정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 등으로 달성이 된다.The numerical comparison calculation modul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numerical values derived by the subjects responding to each questionnaire and numerical values of graduate students constituted by respective departments of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And regenerates the numerical value. Specifically, the comparative processing method for regenerating the numerical value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is a process of multiply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graduate student in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for the corresponding questionnaire, and additionally, And so on.

이 중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 상의 대학원생의 수치를 피험자의 수치와 곱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국어과목은 나의 전공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된다.' 라는 질문에 대한 국문과 학생의 반응이 7점('완전히 그러하다'라는 답변), 전자공학과 학생의 반응이 2점('거의 그렇지 않다'라는 답변) 이었고 검사를 한 피험자의 국어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5점('약간 그러하다'라는 답변)이었다면 이 피험자 학생의 국문과에 대한 적합도 점수는 5*7 = 35점, 전자공학과에 대한 적합도 점수는 5*2 = 10점이 되고, 이렇게 모든 검사의 모든 설문에 대해서 대학원생의 반응(답변으로 도출되는 수치)과 학생의 반응(답변으로 도출되는 수치)을 곱하게 되면 각각의 설문별로 전체 학과의 부합도가 피험자 고유의 최종 수치로 도출/표시되는 것이다.To illustrate the process of multiply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graduate student in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with the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Korean language course is helpful in studying my major." The response of the Korean language students to the question "The answer is totally the same" was answered by the Korean language students. The response of the students of the electronic engineering students was 2 points ("Almost not") and the test subjects' If the answer is 5, the student's score for the Korean language course is 5 * 7 = 35, and the score for the degree of conformity for the department of electronics is 5 * 2 = 10. And the student's response (the numerical value derived from the answer), the compliance of the whole department with each question is derived / displayed as the final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피험자의 도출 수치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이렇게 대학원생의 도출 수치와 피험자의 도출 수치를 곱한 다음 새로운 재생성 수치를 산출하는 이유는 피험자의 도출 수치가 각 학과에 따라 미세한 차이가 나는 경우에서는 실질적인 해당 학과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거나 실제 추구하는 학과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초기 피험자의 도출 수치를 다시금 대학원생의 수치와 비교하여 곱함으로 최종적으로 활용이 되는 도출 수치의 오차 범위를 줄이는 것과 아울러 보다 정확한 선호도를 산출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for calculating the new regeneration value by multiplying the figure derived by the graduate student and the figure derived by the subject without directly using the figure derived by the subject is that when the figure of the subject is subtly varied according to each subject, Since it is difficult to select priorities or there may be an error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actual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multiply the numerical values of these initial subjects by the graduate students again so that the error range of the final numerical value In order to obtain a more accurate preference as well as a reduction.

더불어, 학과 적합도 검사에서는 도출 수치 중 낮은 수치를 가진 설문에 대해 보충설명을 지원할 수가 있는데, 즉 보충설명은 피험자가 낮은 수치에 해당하는 해당 학과에 대해 이해도를 높이고 낮은 수치를 받은 만큼 더욱 세밀한 보완을 요구하도록 낮은 수치에 해당하는 학과의 해당 대학원생이 기초 소양, 학습 환경, 학문 특성과 같은 소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준 두 가지 설문과 비교하여 그 두 가지 설문에 대한 배경 및 요구 사항을 통해 피험자에게 구체적인 보완 설명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보충설명은 최종적인 전공 선정 결과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Fit Assessment can provide supplementary explanations for questionnaires with low numerical values, ie, supplemental explanations provide more detailed comprehension of the subject, The background and requirements for the two surveys are compared to the two highest-scoring graduate students who have the highest scores in the sub-categories such as basic literacy,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To give supplementary explanations. These supplementary explan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final selection results.

더불어, 직업환경 선호도 검사에서는 피험자의 수치와 대학원생의 수치를 AHP보다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 객관적인 측면과 전문가의 충분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DHP(Delphic Hierarchy Process)방식을 이용하여 수치를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직업 환경 선호도 검사에서 피험자가 체크한 수치에 대해 기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수치와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 처리한 후 정규화를 시켜 직업 유형에 대한 순위를 산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test,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numerical values using the DHP (Delphic Hierarchy Process) method, which can reflect the objective aspects and the opinions of the experts in order to prioritize the numerical values of the subjects and the graduate students over AHP Do. In addition, i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test, weights are given to the values checked by the subjects, and the value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values by the numerical values and the weights are summed and then normalized to provide a basis for calculating the rank of the job type It is possible.

지금까지는 QFD 방식을 응용한 피험자의 학과 선정을 위한 모듈의 구성 및 처리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는데, 이와 달리 계열 선호도 데이터베이스(140)에 따른 계열 선호도 검사는 계층분석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하여 이 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쌍대비교모듈(230)을 제공한다.Until now, the module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method for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of the QFD applicants has been described. In contrast, the sequence pre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equence preference database 140 is performed through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comparison module 230 for this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쌍대비교모듈(230)은 설문평가모듈과 같이 각 설문의 노출을 피험자에게 시계열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지원하되, 각 설문을 1: 1로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노출 방법을 제공하여 피험자로 하여금 각 단과대학별 전공목표 등의 상대적인 선호도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paired comparison module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construction of a time series of exposure of each question, such as a questionnaire evaluation module, in which a specific exposure And to provide the subjects with the ability to derive the relative preferences of each college and university major goal.

계층분석방법(AHP)은 의사결정의 계층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를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직면한 의사결정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를 나열하여 계층의 형태로 만든 다음 그 계층을 이루고 있는 요소를 1대 1로 쌍대비교를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도출된 비교 결과를 선형대수학의 고유 벡터(vector)법에 의하여 요소들의 가중치를 구하고 각 계층에서 구한 요소들의 가중치를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곱하게 되면 의사결정 대안의 최종 가중치가 구해지고 결론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일련의 방법을 말한다.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HP) is a method of capturing the knowledge, experience, and intuition of the evaluator through a pair comparison betwe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ecision making. It lists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faced decision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estimating the weight of elements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then compare the elements of the hierarchy with each other one by on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obtained by using the vector method of linear algebra. When we multiply the weights of the elements by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the final weight of the decision solution is obtained and a series of decisions are made in the conclusion.

본 발명에 따른 쌍대비교모듈(230)은 이러한 계층분석방법(AHP)에 토대하여 각 설문을 예를 들어 인문 대 사회, 인문 대상경, 인문 대 공학과 같이 쌍대비교 형식으로 피험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답변을 구한 다음 이를 통해 도출된 수치를 통해 상대적인 선호도를 예측하되, 구체적으로는 각 수치에 따른 고저(高低)에 따라 각각의 단과대학이 타 계열에 비하여 얼마나 선호되고 그렇지 않은가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문 표시창의 왼 편에는 '축구경기를 관람하는 것을 좋아한다.'라는 설문을 표시하고 오른 편에는 '농구경기를 관람하는 것을 좋아한다.'라고 하였을 때, 예시적으로 7점 척도로 이를 수치화하고자 할 때, " 1- 왼편이 아주 좋다, 2- 왼편이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3- 왼편이 약간 더 좋다, 4- 비슷하다, 5- 오른편이 약간 더 좋다, 6-오른편이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7-오른편이 아주 좋다."와 같이 선택요소를 구성하여 피험자가 이중 하나의 답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aired comparison module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to the subject in such a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HP), for example, The next step is to estimate the relative preference through the derived values, and specifically to measure how much each college is preferred or not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values according to each figure. For example, on the left side of the questionnaire window, the question "I like to watch soccer games" is displayed, and on the right side, "I like to watch basketball games" When you want to quantify this, "1 - the left side is very good, 2 - the left side is generally good, 3 - the left side is slightly better, 4 - similar, 5- the right side is slightly better, , The right side is very good, and the right side is very good. "Thus, the subject is allowed to select one of the answers.

이렇게 4종류의 각기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근거하여 각 모듈의 기능에 따라 얻어진 수치를 통해 각 검사별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일정 개수, 예를 들어 5개의 학과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는 우선순위처리모듈(240)의 기능에 의하여 달성이 된다.The priority processing module 240 selects a predetermined number of classes, for example, five classes, each of which has the highest score for each test, based on the values obtained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modules based on the four different databases. Is accomplished by the function of.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처리모듈(240)은 각 4가지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에 따라 얻어진 검사에 대한 수치를 각 학과별로 시트(sheet)화하여 각 학과 별로 해당 점수가 얼마인지를 분류한 다음 이러한 시트 처리된 데이터를 각 학과별로 높은 순위에서부터 낮은 순위까지 소팅(sorting)하여 가장 수치가 높게 나온 일정 개수, 즉 5개의 학과를 높은 수치에 따라 순서별로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the priority processing module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numerical values of the examinations obtained according to each of the four databases 110, 120, 130 and 140 into sheets for each department, And then sorting the sheet-processed data from the highest ranking to the lowest ranking by each department,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of extracting the highest number of the highest number of data, that is, extracting five departments in order of higher numbers .

이러한 우선순위처리모듈(240)은 4가지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한 각 검사에 따른 결과를 각 검사별로 그래프와 부연설명과 함께 각 상위학과(피험자에게 가장 적합한 학과)와 하위학과(피험자에게 가장 적합하지 않은 학과)별로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기능까지 겸비하고 있다.The priority processing module 240 analyzes the results of each examination based on the four databases and displays the graphs and the description of each test on each of the upper classes (the most suitable class for the subject) and the lower classes (the most inappropriate class for the subject ) And the ability to present specific explanations.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일관성여부검사모듈(260)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데, 이러한 일관성여부검사모듈(260)은 각 4종류의 검사를 통해 얻어진 우선순위 학과의 오차 정도에 따라 오차 범위의 고저에 따라 A등급부터 E등급까지 5단계로 나누어 그 일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가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Her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provides a consistency check module 260. The consistency check module 26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sistency check module 260 is in the high and low range of the error range, It provides a function that can check whether there is consistency by dividing into five levels from A grade to E grade.

즉, 예를 들어 과목선호도 검사에서는 국문학과가 우선 학과로 도출되고, 학과 적합도 검사에서는 물리학과가 우선순위로 도출된다면 각 설문에 학생이 성실하게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예측이 되므로 이러한 비일관적인 답변에 대한 오류를 캐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는 먼저 계열에 대한 차이를 보이는지 여부를 우선하여 검사하여 만일 각 결과마다 다른 계열이 도출된다 하였다면 오차 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를 하고, 4가지 검사에서 동일 계열이 도출되었으나 각기 다른과(예를 들어, 어문계열에서 국문학과, 영문학과 등으로 다를 경우)로 도출되었을 때에는 오차 정도가 미약한 것으로 판단하여 각기 학과의 전공과목이나 특성 등의 정보를 세밀하게 노출을 시키고 피험자가 이러한 정보를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이나 주관이 없을 경우에까지 어드바이스를 줄 수가 있게 된다.In other words, for example, i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leads to the Department of Priority, and if the Department of Physics is selected as a priority department, it is predicted that the student does not respond to each question in a satisfactory mann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the difference between two sequences. First, we examine whether the differences are different. If the different sequences are derived for each result, (For example,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tc.), it is judged that the degree of error is insignificant, so that information such as major subjects or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is exposed in detail, This information will help you to understand your own If you do not, you will be able to give advice.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학과선정모듈(250)은 이러한 4가지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에서 도출된 수치를 모두 비교 처리하여 상기 4종류 검사에 따른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적용한 다음 이로 인해 산출된 결과 수치를 최종 수치로 받아 들여 최종적으로 피험자의 학과 및 계열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nally, 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250 compares the values derived from the four databases 110, 120, 130 and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the relativ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tests, applies the predetermined weight The resultant result is taken as the final numerical value, and finally the function and the department of the subject are selected.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하여, 학과선정모듈(250)은 전문가 그룹 데이터베이스(170)를 통한 각 설문의 답변 수치와 먼저 비교 작업을 수행한다. 전문가 그룹 데이터베이스(170)란, 각 전공별 유명 인사 내지 전공별 전문가를 인재 풀(pool)로 형성하여 이러한 집단의 각 인사에게 상기 4가지의 데이터베이스(110,120,130,140)에 대해 설문을 조사하여 답변을 얻음으로 수치를 도출하여 정규화한 비교 대상 자료를 의미한다. 즉, 상기 설명한 각 전공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얻어 낸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160)의 연장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In order to apply the weights, 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250 first performs a comparison operation with the answer values of each questionnaire through the expert group database 170. The expert group database 170 is formed of a pool of talented persons or experts of each major by each major, and a questionnaire is surveyed to each of the four databases 110, 120, 130 and 140 to obtain answers Which is the normalized data.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an extension of th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160 obtained for the graduate students of each major described above.

학과선정모듈(250)은 각기 다른 4종류 검사에 대한 수치를 전문가 그룹 데이터베이스(170)의 각 설문 수치와 비교하여 이를 정규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4종류 중 독특한 결과를 얻었거나 아니면 다른 3가지 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신뢰할 수 없는 수치를 나타내는 결과에 대해 보정을 하고 각 수치의 합산을 통해 이를 평균화하는 작업을 병행하여 최종적인 학과 선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250 compares the numerical values of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ests with those of the expert group database 170 and normalizes them. For example,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three tests, the result of unreliable numerical values is corrected, and the sum of the numerical values is averaged.

최종적인 학과 선정에 대해 학과선정모듈(250)에서도 학과의 우선순위별로 부연 설명을 제공할 수가 있으며, 이는 도표 내지 그래프로 처리되어 피험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For the final department selection, 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250) can also provide a supplementary explanation for each department priority, which can be processed in a graph or a graph and displayed for easy viewing by the subject.

본 발명에 따른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리모듈(270),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280), 모바일 통신모듈(290) 및 모바일 단말기(300)을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를 통해 학과 선정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department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s management module 270, a virtual competition rate estimation module 280,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90 and a mobile terminal 300 as shown in FIG. 1, (300), not only can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be confirmed, but also various additional services can be executed.

상기 컨텐츠 관리모듈(270)은 학교 및 학과 관련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관리하며, 각 대학교로부터 학교 홍보 컨텐츠 및 학과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학교 홍보 컨텐츠 및 학과 홍보 컨텐츠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ents management module 270 collects and manages publicity contents related to the school and department, collects and stores school publicity contents and department publicity contents from each university, and periodically updates collected publicity contents of the school and contents of the department .

또한, 저장된 학과 홍보 컨텐츠는 설정된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조회가 가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를 통해 피험자에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ed department and publicity contents can be retrieved on the basis of the set specific region, and can be provided to the subjec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

상기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280)는 상기 학과선정모듈(250)과 연결되어, 상기 학과 선정 결과의 우선순위 학과에 관한 예상 경쟁률을 추정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28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과 조회부(281), 가상 경쟁률 산출부(282), 주변 지역 산출부(283) 및 학년별 산출부(284)를 포함한다.The virtual competition rate estimation module 280 is connected to the class selection module 250 to estimate an expected competition rate of a priority class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and the virtual competition rate estimation module 2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ncludes a department inquiry unit 281, a virtual competitive rate calculating unit 282, a peripheral area calculating unit 283, and a grade-by-grade calculating unit 284, as shown in FIG.

상기 학과 조회부(281)는 피험자의 학과 선정 결과 정보에 따라 피험자가 선택한 학과를 조회하며, 상기 가상 경쟁률 산출부(282)는 피험자가 설정한 지역을 기반으로 상기 학과 선정 결과와 일치하는 피험자의 수를 조회하여 학교별로 진학 예상 인원에 따른 가상 경쟁률을 산출한다.The department inquiry unit 281 inquires the subject selected by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subjec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virtual competition rate calculation unit 282 calculates the virtual competition rate based on the region selected by the subject, And calculate the virtual competition rate according to the expected number of students entering the school.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경쟁률은 학과 적성이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흥미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이다.The virtual competi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interesting information to check how much a department and aptitude are.

상기 주변 지역 산출부(283)는 상기 피험자가 설정한 지역 이외에 주변 지역의 가상 경쟁률을 산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학년별 산출부(284)는 학년별로 동일 학과를 선택한 피험자들의 가상 경쟁률을 산출하여 제공한다.The peripheral area calculating unit 283 calculates and provides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of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to the area set by the subject, and the grade-specific calculating unit 284 calculates and provides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of the subjects selected for the same subject for each grade level .

상기 모바일 통신모듈(290)는 상기 학과선정모듈(250)과 연결되어, 학과 선정 결과 정보, 홍보 컨텐츠,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90 is connected to 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250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publicity contents, and department related additional services to the mobile terminal 300.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는 상기 모바일 통신모듈(290)에서 전송된 학과 선정 결과 정보 및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표시부(310), 사이트 연결부(320), 클러스터 모임부(330) 및 가상 경쟁률 조회부(340)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300 confirms the department and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department-related supplementary servic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90, executes the department-related supplementary service, and the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bile display unit 310, a site connection unit 320, a cluster meeting unit 330, and a virtual competitive rate inquiry unit 340, as shown in FIG.

상기 모바일 표시부(310)는 피험자의 학과 선정 결과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상기 학과 선정 결과 정보와 일치하는 학교의 학과 관련 홍보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사이트 연결부(320)는 상기 학과 선정 결과 정보에 따른 해당 학교 사이트 및 학과 관련 사이트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학교의 입시 정보 또는 학과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display unit 310 displays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displays the departmental advertisement related contents of the school corresponding to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within the local radius se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ocation or the specific location, (320) connects the relevant school site and the site related to th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access the entrance information or the department related information of the school.

상기 클러스터 모임부(330)는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동일 학과가 선정된 피험자를 일정 수 단위로 묶은 클러스터 모임 정보를 생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러스터 모임부(3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 추천부(331), 클러스터 모임 생성부(332) 및 모임 정보 제공부(333)을 포함한다.The cluster meeting unit 330 generates cluster meeting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ubjects selected by the same department are grouped by a predetermined number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current location based or specific location basis, As shown in FIG. 14, includes a friend recommending unit 331, a cluster meeting generating unit 332, and a mee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3.

상기 친구 추천부(331)는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피험자와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를 갖는 피험자를 추천 친구 리스트로 제공하며, 상기 클러스터 모임 생성부(332)는 상기 추천 친구 리스트에서 친구로 등록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클러스터 모임 승인을 요청한다.The friend recommending unit 331 provides a recommendable friend list to a subject having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as the subject within the local radius se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ocation based or specific location, Ask the cluster members to approve the friends registered as friends in the cluster.

또한, 상기 모임 정보 제공부(333)는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피험자와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를 갖는 피험자들의 모임 일정 정보를 제공하고, 클러스터 모임으로 설정된 피험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는 학과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ee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3 provides the meet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ubjects having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within the local radius se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ocation basis or the specific location, and can share them among the subjects set as the cluster meeting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partment.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사용에 따른 개략적인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로 상기 모바일 통신모듈(290)을 이용하여, 학과 선정 결과 정보, 홍보 컨텐츠 정보,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10)를 수행하며, 전송된 학과 관련 정보 및 부가서비스 정보는 상기 모바일 표시부(310)에 표시(S20)된다.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operation flow according to the u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90, at least one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the publicity content information, To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S10), and the transferred department-related information and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mobile display unit 310 (S20).

다음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전송된 학과 선정 결과 정보 및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Next, the mobile terminal 300 confirms the transmitted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department related service, and executes the department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 (S30).

상기 S30 단계에서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에는 피험자가 선택한 학교 또는 학과의 홍보 컨텐츠를 실행시키거나 해당 학교 및 해당 학과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가 나온 피험자들 간에 클러스터 모임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 산출된 가상 경쟁률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등 학과 적성과 관련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0, the department-related supplementary service can create a cluster meeting between the subjects who execute the publicized contents of the school or the department selected by the subject, the service to access the school and the site of the department, And a service that can inquire the calculated virtual competition rate can be provided.

도 16은 상기 S30 단계의 일 실시예로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가 나온 피험자들 간에 클러스터 모임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실행 시, 상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친구 추천부(331)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피험자와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를 갖는 피험자를 추천 친구 리스트로 제공하는 단계(S31)를 수행하고, 상기 클러스터 모임 생성부(332)를 이용하여, 추천 친구 리스트에서 친구로 등록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클러스터 모임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S33)를 수행한다.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a detailed flow when executing a service capable of creating a cluster meeting between subjects who have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 step S30. In this embodiment, (S31) of providing, as a recommendation friend list, the subjects having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as the subject within the local radius se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ocation basis or the specific location, and using the cluster meeting generation unit 332, A step S33 of requesting cluster cluster approval for the subjects registered as friends in the list is performed.

다음으로, 요청한 피험자들이 클러스터 모임을 승인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5)를 수행하고, 피험자들이 클러스터 모임을 승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모임 정보 제공부(333)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모임 구성원 간에 학과 정보를 공유하고, 설정된 모임 일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S37)를 수행한다.Next, the step S35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requested subjects have approved the cluster meeting is performe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have approved the cluster meeting, the mee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3 is used to set the department information (S37) of sharing the set meeting schedule information.

이러한 상기 S30 단계는 가상 경쟁률 조회 서비스를 실행 시, 가상 경쟁률 조회부를 이용하여,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학과 선정 결과의 우선순위 학과에 관한 예상 경쟁률을 조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등 부가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In step S30, when executing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inquiry service, a step of inquiring the expected competitive rate concerning the priority class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estimated by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estimation module using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inquiry modul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service Various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210: 설문평가모듈
120: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 220: 수치비교산정모듈
130: 직업 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230: 쌍대비교모듈
140: 계열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240: 우선순위처리모듈
150: 테스터 데이터베이스 250: 학과선정모듈
160: 표준비교 데이터베이스 260: 일관성여부검사모듈
170: 전문가 그룹 데이터베이스 270: 컨텐츠 관리모듈
280: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 281: 학과 조회부
282: 가상 경쟁률 산출부 283: 주변 지역 산출부
284: 학년별 산출부 290: 모바일 통신모듈
300: 모바일 단말기 310: 모바일 표시부
320: 사이트 연결부 330: 클러스터 모임부
331: 친구 추천부 332: 클러스터 모임 생성부
333: 모임 정보 제공부 340: 가상 경쟁률 조회부
110: subject preference database 210: question evaluation module
120: Department of Mathematics Database 220: Numerical Computation Module
130: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Database 230: Pair Comparison Module
140: sequence preference database 240: priority processing module
150: Tester Database 250: Course Selection Module
160: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260: Consistency check module
170: Expert Group Database 270: Content Management Module
280: virtual competition rate estimation module 281:
282: virtual competition rate calculating unit 283: peripheral area calculating unit
284: Grade-specific calculation unit 290: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00: mobile terminal 310: mobile display
320: Site connection part 330: Cluster meeting part
331: Friend recommendation unit 332: Cluster meeting generation unit
333: Mee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40: Virtual competition rate inquiry unit

Claims (10)

과목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학과 적합도 데이터베이스, 직업 환경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계열 선호도 데이터베이스,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 설문평가모듈, 쌍대비교모듈, 수치비교산정모듈, 우선순위처리모듈 및 학과선정모듈을 포함한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에 있어서,
학교 및 학과 관련 홍보 컨텐츠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모듈;
상기 학과선정모듈과 연결되어, 학과 선정 결과 정보, 홍보 컨텐츠,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모바일 통신모듈;
상기 모바일 통신모듈에서 전송된 학과 선정 결과 정보 및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In the department selection system including subject preference database, department suitability database, occupational environment preference database, family preference database,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question evaluation module, pair comparison module, numerical comparison calculation module, priority processing module and department selection module ,
A content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and managing public relations contents related to the school and department;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and transmitting at least any one of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publicity contents, and department related additional services to an external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for confirming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department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executing the additional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학과 선정 결과 정보를 표시하고,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상기 학과 선정 결과 정보와 일치하는 학교의 학과 관련 홍보 컨텐츠를 표시하는 모바일 표시부 및
상기 학과 선정 결과 정보에 따른 해당 학교 사이트 및 학과 관련 사이트를 연결하는 사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mobil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the school which coincides with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within the local radius se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ocation based or specific location,
And a site linking unit for linking the school site and site related to the site according to the site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동일 학과가 선정된 피험자를 일정 수 단위로 묶은 클러스터 모임 정보를 생성하는 클러스터 모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luster meeting unit for generating cluster meeting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ubjects selected by the same department are grouped into a certain number of unit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current location based or specific location bas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모임부는,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피험자와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를 갖는 피험자를 추천 친구 리스트로 제공하는 친구 추천부;
추천 친구 리스트에서 친구로 등록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클러스터 모임 승인을 요청하는 클러스터 모임 생성부 및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피험자와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를 갖는 피험자들의 모임 정보를 제공하는 모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luster meeting unit,
A friend recommending unit for providing a recommendable friend list to a subject who has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as the subject within a local radius set on the basis of a current location or a specific location;
A cluster meeting generating unit for requesting approval of the cluster meeting for the subjects registered as friends in the recommended friend list and
And a mee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meeting information of subjects having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within a local radius se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based or specific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과선정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학과 선정 결과의 우선순위 학과에 관한 예상 경쟁률을 추정하는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irtual competition rate estim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department selection module and estimating an expected competition rate of a priority department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은,
피험자의 학과 선정 결과 정보에 따라 피험자가 선택한 학과를 조회하는 학과 조회부;
피험자가 설정한 지역을 기반으로 상기 학과 선정 결과와 일치하는 피험자의 수를 조회하여 학교별로 진학 예상 인원에 따른 가상 경쟁률을 산출하는 가상 경쟁률 산출부;
피험자가 설정한 지역 이외에 주변 지역의 가상 경쟁률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주변 지역 산출부를 포함하며,
학년별 피험자의 가상 경쟁률을 산출하는 학년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estimation module comprises:
A department inquiry department for inquiring the subject selected by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bject selection result;
A virtual competition rat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virtual competition rate according to the expected number of students for each school by inquiring the number of subjects matching the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department selection based on the region set by the subject;
And a peripheral area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nd providing virtual competition rates of surrounding areas other than the area set by the subject,
And a grade-based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virtual competition rate of the subject by the grade level.
과목 선호도 검사, 학과 적합도 검사, 직업 환경 선호도 검사, 계열 선호도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설문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 설문에 대한 답변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일정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 각 전공별 일정 수의 대학원생을 통해 실행하여 얻어진 수치를 정규화하여 표준 비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피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수행하여 피험자의 각 설문별 수치를 얻어내는 단계; 피험자의 수치와 대학원생의 수치를 비교한 다음 기 설정된 가중치 부여를 통하여 QFD(Quality Function Developement) 방식으로 종류별로 피험자의 최종 수치를 도출하는 단계; 계열 선호도 검사에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식을 통하여 각 설문의 쌍대비교를 통해 얻어진 수치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피험자의 최종 수치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일정 개수의 우선 학과를 추출하는 단계; 최종 수치를 합산 및 비교 처리하여 최종적인 학과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과계열 선정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학과 선정 결과 정보, 홍보 컨텐츠 정보,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b)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된 학과 선정 결과 정보 및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학과 관련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방법.
A database of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for subject preference test, departmental fitness test, job environment preference test, and family preference test, and determining a predetermined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an answer to each questionnaire; Generating a standard comparison database by normalizing numerical values obtained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graduate students per each major; Performing a test on a subject to obtain a numerical value of each subject of the questionnaire; Compar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graduate student, and deriving the final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type by the QFD (Quality Function Development) method through the predetermined weighting; Deriving the final numerical value of the subject by assigning predetermined weights to the numerical values obtained through the pair comparison of each question through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in the sequence preference test, and extrac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preferred subjects; Selecting a final department by summing and comparing the final numerical values,
(a) transmitting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the publicity content information, and the department relat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b) checking the transferred department and selecti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department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executing the supplementary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클러스터 모임부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동일 학과가 선정된 피험자를 일정 수 단위로 묶은 클러스터 모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b)
(b-1) a step of generating cluster meeting information in which a number of subjects selected by the same department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current location-based or specific location basis are grouped by a certain number of units using the cluster meeting unit Method selec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b-1-1) 친구 추천부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기반 또는 특정 위치 기반으로 설정된 지역 반경 이내에 피험자와 동일한 학과 선정 결과를 갖는 피험자를 추천 친구 리스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b-1-2) 클러스터 모임 생성부를 이용하여, 추천 친구 리스트에서 친구로 등록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클러스터 모임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b-1)
(b-1-1) providing, as a recommendation friend list, a subject having the sam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as the subject within a local radius se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ocation or the specific location, using the friend recommending unit; and
(b-1-2) requesting approval of a cluster meeting for the subjects registered as friends in the recommended friend list by using the cluster meeting generat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가상 경쟁률 조회부를 이용하여, 가상 경쟁률 추정모듈에서 추정된 학과 선정 결과의 우선순위 학과에 관한 예상 경쟁률을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과계열 선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b)
and (b-2) using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inquiry unit to inquire the expected competitive rate of the prioritized department of the department selection result estimated by the virtual competitive rate estimation module.
KR1020150068752A 2015-05-18 2015-05-18 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 KR201601354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52A KR20160135451A (en) 2015-05-18 2015-05-18 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
CN201610331773.7A CN106168952A (en) 2015-05-18 2016-05-18 Learn system and selec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52A KR20160135451A (en) 2015-05-18 2015-05-18 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451A true KR20160135451A (en) 2016-11-28

Family

ID=5735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752A KR20160135451A (en) 2015-05-18 2015-05-18 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35451A (en)
CN (1) CN10616895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4403A (en) * 2018-05-24 2018-11-02 大连卓云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chool mutual affection analysis plateform system
KR20200071878A (en) * 2018-12-06 2020-06-22 엄신조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guide to pass entrance examination
KR20210032212A (en) * 2019-09-16 2021-03-2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ajor recommend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 method using it
KR20220138977A (en) * 2021-04-07 2022-10-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er that recommends customized learning content to learners through survey resul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0253A (en) * 2018-03-23 2018-07-24 封玲 Subject and specialized education's evaluation system
CN108550095A (en) * 2018-06-29 2018-09-18 藕丝科技(深圳)有限公司 School and profession recommend method and system
CN110033193A (en) * 2019-04-17 2019-07-19 张建楠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of user information
CN115578226A (en) * 2022-11-04 2023-01-06 广州宏途数字科技有限公司 Learning situat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7707B2 (en) * 2006-10-11 2018-07-31 Cynthia Elnora ASHBY Interactive method for diagnosing test-taking errors
CN103714413A (en) * 2013-11-21 2014-04-09 清华大学 Position information-based competence mode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CN104572989B (en) * 2015-01-06 2018-09-28 苏州智甄测评技术软件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xiliary high school student selects the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of university's profess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4403A (en) * 2018-05-24 2018-11-02 大连卓云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chool mutual affection analysis plateform system
KR20200071878A (en) * 2018-12-06 2020-06-22 엄신조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guide to pass entrance examination
KR20210032212A (en) * 2019-09-16 2021-03-2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ajor recommend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 method using it
KR20220138977A (en) * 2021-04-07 2022-10-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er that recommends customized learning content to learners through survey resul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8952A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5451A (en) System of fixing department and method thereof
Phillips et al. History and theory of the assess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Brink et al. Clinical instrum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critical appraisal
Khalid et al. The consideration of building maintenance at design stage in public buildings: The current scenario in Malaysia
Yanova Assessment of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Elwyn et al. Assessing organisational development in primary medical care using a group based assessment: the Maturity Matrix™
Kim et al. Quality of nursing doctoral education and scholarly performance in US schools of nursing: Strategic areas for improvement
Khalil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systems usage: empirical evidence from Egypt
Dursun et al. Perceived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from the user perspective
KR102186936B1 (en) Evaluating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pplicants
Mihăescu Classification of learners using linear regression
Verhaeghe et al. Diversity in school performance feedback systems
KR101429569B1 (en) job matching system on educational career
Harjanto et al.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weighted product methods in determining the best employees
Kainulainen et al. A statistical approach to assessing interval scale preferences in discrete choice problems
La Rocca et al. An integrated strategy for the analysis of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from descriptive measures to explanatory models
Ray et al. Value added in English schools
Barra et al. Managerial efficiency in higher education using individual versus aggregate level data. Does the choice of decision making units count?
JP2019192303A (en) Recommend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 method
Lathrop et al. A nonparametric approach to estimate classification accuracy and consistency
Evans Value-added in English schools
Ting et al. Job recommendation using Facebook personality scores
Mariskhana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ncreasing position of Office at PT. Gramedia Asri Media using Profile Matching Method
JP2003186975A (en) Adaptation evaluating system and method,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its program recorded and adaptation evaluating device
Kunanets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of personalized choice of profession in smart 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