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205A - Automatic drip coffie - Google Patents

Automatic drip coff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205A
KR20160128205A KR1020160029282A KR20160029282A KR20160128205A KR 20160128205 A KR20160128205 A KR 20160128205A KR 1020160029282 A KR1020160029282 A KR 1020160029282A KR 20160029282 A KR20160029282 A KR 20160029282A KR 20160128205 A KR20160128205 A KR 20160128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ffee
water
drip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3261B1 (en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송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진 filed Critical 송유진
Publication of KR2016012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2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rip coffee maker comprises: a body case forming the exterior; an instant heat assembly instantly heating cold water, supplied from a cold water flow pipe, by a heater, and then discharging the heated water to a warm water supply pipe at one side; a tank nozzle assembly having a cartridge heater,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and a water level sensor while nozzl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side outlet at the bottom of the tank nozzle assembly; a support assembled to hold a coffee dripper (C/D); and a control display panel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water, a discharge amount of water, and interval time at the front of the body case. Accordingly, the automatic drip coffee maker can extract coffee in a hand drip type by control of a plurality of warm water storage tanks,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in business sites.

Description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AUTOMATIC DRIP COFFIE}Automatic drip coffee maker {AUTOMATIC DRIP COFFIE}

본 발명은 핸드드립 커피 기술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하여 초보자라도 그대로 재현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핸드 드립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복수의 리저브탱크의 운용과 각각의 제어에 의해 사용에 따른 온수공급의 신속성으로 편리성이 보장되어 장치의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한 쌍의 리저브 탱크에 대한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열수 부족현상에 따른 폐단을 해소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고 아울러 한 쌍의 리저브 탱크내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echanically automate the hand drip coffee technology to reproduce even a novice user and produce hand drip coffe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preference.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reserve tanks and the rapid control of hot water supply The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ensured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to the pair of reserve tanks can be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lack of the hot wate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In add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capable of satisfying consumers' preferences by allowing them to operate differently.

또한, 본 발명은 물을 급가열시 발생하는 사이펀 현상을 통해 저장탱크로 온수가 급수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에 고온의 온수 공급을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종전의 보일러 탱크의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hot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siphon phenomenon generated when the water is rapidly heated, so that the hot water supply can be stably performed in a short time, And an automatic coffee drip maker capable of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 in advance and enhancing the safety of the product.

드립 커피(Drip Coffee)란, 커피 원두를 잘게 분쇄한 커피 가루에 끓는 물을 부어 걸러내는 커피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핸드 드립 커피의 제조의 일반적인 기술은 먼저 분쇄된 원두 커피 가루를 종이로 된 필터에 담아 깔때기 모양의 커피 드리퍼를 커피서버(커피를 내려받는 용기)에 얹어놓고 여과지를 커피 드리퍼에 얹은 상태에서 분쇄한 원두 커피 가루를 넣고, 커피 드립주전자를 손으로 잡아서 물을 드립 커피 제조기의 중앙으로부터 원을 그리며 안팎으로 양을 조절해가며 부어 원하는 양으로 커피를 추출한다.Drip Coffee refers to coffee that pours boiling water into a finely pulverized coffee ground coffee bean. The general technique of manufacturing such a hand drip coffee is to first crush the ground coffee ground powder into a paper filter Put a funnel-shaped coffee drier in a coffee server (a container for coffee), place the ground paper on the coffee drier, add the ground coffee ground powder, hold the coffee drip kettle by hand and drip water from the center of the coffee maker Draw a circle and adjust the amount in and out.

즉, 가장 널리 알려진 흔한 커피 제조방식으로 볶아서 간 커피 콩을 여과망이나 여과지 등과 같은 필터에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 만드는 커피를 드립커피라 한다. 이러한 드립 커피는 자동 커피메이커 말고도 수동식 드립-브류잉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자동 커피메이커는 기계에 찬물을 넣으면 내부 열선이 물을 끓이고 이때 발생하는 수증기가 증기압의 힘으로 관을 따라 이동하여 커피가루에 방울방울 떨어지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자동 커피메이커는 분쇄된 커피가루를 필터에 투입하고 물통에 물을 채워 넣는 간소한 과정만으로 커피를 내려서 음용할 수 있는 편의성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핸드 드립하는 방법보다 커피의 풍미나 맛이 밋밋한 단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coffee is made by pouring coffee beans into a filter such as a filter net or filter paper, and making water by pouring the coffee beans into drip coffee. In addition to the automatic coffee maker, the drip coffee is widely used. In the automatic coffee maker, when the cold coffee maker puts the cold water in the machine, the internal hot water boils the water and the steam generated at this time moves along the tube by the steam pressure, This automatic coffee maker is widely used as a convenient way to put coffee into the filter and fill it with water in a simple process of drinking coffee. However, the method of hand dripping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flavor and taste of coffee were flat.

또한, 자동 커피 메이커 중 영업장에서는 브루어(Brewer)머신과 에스프레소 머신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최근에는 커피 공장에서 대량 추출된 커피 원액을 캡슐에 넣어 진공 포장하여 된 액상 커피 캡슐을 온수와 혼합시켜 음용 커피를 제조하는 캡슐 커피 메이커 등이 보급되어 있다.In addition, Brewer machines and espresso machines are widely used in the coffee shops of automatic coffee makers.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large amount of coffee concentrate extracted from a coffee plant is encapsulated into a vacuum-packed liquid coffee capsule, And a capsule coffee maker for making coffee.

이러한 자동 커피메이커 들은 간편하고 빠른 시간 내에 커피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 커피의 농도 뿐만 아니라 맛과 풍미를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Although such automatic coffee makers have the advantage of extracting and drinking coffee in a simple and quick manner,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aste and flavor as well as the concentration of coffee beans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

반면, 수동식 기기를 이용한 커피 제조 방법은 개인의 기호에 맞게 커피의 농도, 맛, 풍미 등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90℃ 이상의 끓는 물을 커피 가루층을 통과하면서 기름성분과 에센스를 흡수함에 따라 풍미가 높고 비교적 깔끔하고 경쾌한 맛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사람이 시간을 두고 끓는 물을 부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커피숍이나 카페 등에서는 인력부족과 개인 실력차로 서비스 제공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producing coffee using a manual devic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parameters such as the concentration, taste, and flavor of coffe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individual, and the boiling water having a temperature of 90 ° C or higher passes through the coffee ground layer,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ervice in a coffee shop or a cafe due to a lack of manpower and personal ability due to the inconvenience that a person pours boiling water over time, thereby obtaining a relatively clean and light taste there was.

이러한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과정을 부연 설명하면, 먼저 깔때기 모양의 커피 드리퍼 내에 종이로 된 필터를 안착시키고, 이 커피 드리퍼를 커피 서버(필터를 경유한 커피를 내려받는 용기)위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내에 분쇄된 커피가루를 채워넣은 뒤 끓는 물이 담긴 드립주전자의 물줄기가 필터의 중앙으로부터 원을 그리면서 안팎으로 양을 조절해가면서 부어 원하는 양으로 커피를 추출한다.The process of manufacturing such a hand drip coffe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 paper filter is placed in a funnel-shaped coffee drier, and the coffee drier is placed on a coffee server (a container for dropping coffee via a filter) After filling the filter with ground coffee powder, the water of the drip kettle containing the boiling water is circulated from the center of the filter while adjusting the amount in and out, extracting the desired amount of coffee.

그러나, 수동식 기기를 이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경우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등에서는 가능하나 대량의 소비가 발생하는 영업장 등에서는 커피를 내리는 숙련자를 채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coffee using a manual device, it is possible in a home or a small-sized office, but in a business place where a large amount of consumption occurs, it has a disadvantage of not only hiring a coffee-making expert but also a lot of time and labor.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948호에서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를 제안한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하부에 추출구가 형성된 호퍼; 상기 호퍼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며, 일정 구간내에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드리퍼; 상기 드리퍼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드리퍼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미리 설정된 패턴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드리퍼가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리퍼 헤드가 상기 호퍼내에서 나선형을 그리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To solve these drawbacks, Korean Patent No. 10-0897948 proposes an automatic drip coffee and tea making machine.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pper having a coffee grinder and an extraction por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dri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pper, the end of which provides water into the hopper, and which is capable of linear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Driving means coupled to the drier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driving force to move the dri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preset pattern mode so that the droplet is linearly and rotationally moved to provide water into the hopper, And the driving of the first feed axis motor and the second feed axis motor is controlled so as to rotate while drawing a spiral shap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핸드 드립커피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드리퍼의 회전과 직선운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동장치가 복잡하여 소형화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경제적인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utomatic drip coffee and tea maker has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of the driper in order to realize the principle of hand drip coffee,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economically manufacture.

또한, 분쇄된 커피 가루에 공급되는 물(95℃ 이상의 가열된 물)의 공급시에 그때마다. 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량의 커피 추출시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Further, each time when water (95 DEG C or more heated water) is fed to the ground coffee powder.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is heated and used, so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extract a large amount of coffee.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948호(2009.05.08),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가 있으며, 그 주요한 기술적 특징은 드리퍼를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회전시키면서 호퍼내의 커피분말 및 차에 물을 제공함으로써 핸드 드립커피나 차를 제조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드립커피 및 차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nother major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dripper is rotated in a circular or spiral manner while the coffee powder and the tea in the hopper are rotated while the dripper is rotating in a round or spiral manner. To produce hand drip coffee or tea and to produce drip coffee and tea in the same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종래기술은 핸드 드립커피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드리퍼를 회전과 직선운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구동모터를 반드시 구비함은 물론 구동수단의 구성 복잡으로 장비의 소형화가 어려운 단점은 물론이고 제조원가의 증가를 불러온다.In order to realize the principle of the hand drip coffe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ust not only have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for controlling rotation and linear motion of the dropler, but also make it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equipmen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driving means. .

또한,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뜨거운 물(95℃ 이상 가열된 물)의 공급시에 그때마다 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사용함으로써 긴 가열의 소비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hot water (water heated to 95 DEG C or more) supplied to the coffee powder is supplied,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is heated and used, which requires a long time for consuming the heat.

또한, 단일의 드리퍼를 사용함으로써 다량의 커피추출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Further, the use of a single drople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extracting a large amount of coffee.

등록실용 제20-0459202호(2012.03.05),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Registration Practice No. 20-0459202 (2012.03.05), 'Manual Drip Coffee Making Apparatus' 등록특허 제10-0897948호(2009.05.08),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Registration No. 10-0897948 (2009.05.08), 'Automatic drip coffee and tea mak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온도설정과 가열된 물을 정확히 패턴 형상대로 공급하는 동작 및 물의 타이밍과 시간차 간격 등의 정밀제어로 핸드 드립커피 맛을 위해 기계적으로 자동화한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setting a temperature of water, And to provide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that is mechanically automated for drip coffee taste.

또한, 본 발명은 구조 단순화에도 짧은 시간 내에 물을 급속히 끓여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커피추출의 신속성이 보장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in which water can be quickly boiled and used immediately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reby ensuring promptness of coffee extraction.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리저브 탱크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하여 경제적인 제조와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고 특히 한 쪽 리저브 탱크만 집중 사용함에 열수 부족 현상을 해소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고 아울러 한 쌍의 리저브 탱크내의 온도를 각기 다르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온도에 따른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pair of reservoir tank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economical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especially concentrates only one reservoir tank, eliminates the phenomenon of lack of hot water and improves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which can operate various temperatures in reserve tanks differently to satisfy consumers' various preferences according to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은 숙련도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구현함과 아울러 연속적인 추출 과정을 통한 영업장 등에서의 자동화된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which can easily provide a hand drip type coffee regardless of skill, and can also provide an automated hand drip type coffee in a business place through a continuous extraction process It is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물을 급가열하여 사이펀 현상을 통해 저장탱크 내로 자연 급수될 수 있도록 하여 종전이 보일러 탱크의 사용에 따른 펌프 등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고압의 보일러 탱크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나 폐단을 해소하여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siphon phenomenon by rapidly heating the wa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since the conventional components such as the pump for the use of the boiler tank are not requir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offee drip maker capable of enhancing the safety of products by eliminat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us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oiler tanks or closing of the boiler tank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에 배면 내부에 구성되는 급가열히터와 물탱크가 일측의 냉수흐름관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냉수흐름관에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냉수의 흐름이 개폐되며, 상기 급가열히터는 냉수흐름관에서 공급된 냉수를 히터에 의해 급속으로 가열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급가열어셈블리와, 상기 급가열히터의 히터에 의해 급가열된 온수를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분배 제어하는 3웨이밸브로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 각각은 저장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카트리지히터, 재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센서와, 공급되는 온수의 량을 제어하는 수위레벨센서가 구비된 상태에서 바닥의 일측 배출구에 노즐이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 탱크노즐어셈블리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면에 착탈자재로 구성되어 커피드리퍼 및 커피드리퍼가 거치되도록 조립되는 받침대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면에 물의 온도, 수위 분출량에 간헐적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표시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body cas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rapid heating heater and a water tank formed inside the backside of the body case, And the cold water flow pipe is opened and closed by a cold water solenoid valve. The hot water heater rapidly heats the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flow pipe by a heater and discharges it through a hot water supply pipe at one side Way valve for connecting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of the rapid heating heater to the storage tank and distributing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of the hot-water heater, wherein each of the storage tanks includes a cartridge heater for reheating the stored hot water,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a level sens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ot water supplied, And a coffee dispenser and a coffee drier ar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case, wherein a temperature of the water, a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body case, And a control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rmittent time of the control pan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냉수솔레노이드밸브는 체크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급가열히터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물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water solenoid valve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so as to prevent water heated by the rapid heating he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노즐 각각은 선단에 드립노즐이 구비된 드립노즐관을 구비하고, 상기 드립노즐관은 그 후단에 연결된 엘보우에 상기 저장탱크의 배출구에 조립되는 연결관에 조립된 상태로 열수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된 연결호스을 통해 연결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nozzles includes a drip nozzle tube having a drip nozzle at its tip, and the drip nozzle tube is assembled to a connection tube assembled to an outlet of the storage tank, And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the hydro-solenoid val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노즐관가이드에는 선단의 드립노즐의 위치 선택을 확인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부착되어 제어표시판넬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tube guide is formed by being attached to a micro switch for confirming the sel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drip nozzle at the tip thereof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isplay pan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는 커피드리퍼와 커피서버가 안착되는 좌,우측 구조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커피서버가 안착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3)로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모터를 지지하는 밑판과, 상기 밑판과 조립되어 외부마감을 제공하는 회전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tructures in which the coffee drier and the coffee server are seated are the same in structure, and the rotation comprising the rotating plate on which the coffee server is seated and the rotating motor A bottom plate for supporting the rotating motor, and a rotating case assembled with the bottom plate to provide an outer finish.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는 급수량 설정을 위한 전자저울 기능이 센서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balance function for setting a water supply amou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레벨센서에 의해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커피드리퍼로 내려오는 물을 배출하는 노즐의 제어로 물줄기의 분출을 물줄기나 물방울 형상으로 제어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ozzle to discharge the water coming down to the coffee drier, measuring the flow rate by the level sensor, and controlling the water stream to have a water droplet shap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드립노즐관은 상기 드립노즐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커피서버의 커피드리퍼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 패턴을 형성하도록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p nozzle tube further comprises moving means for forming a supply pattern of water falling to a coffee drier of a coffee server which is seated on the pedestal by the drip nozz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드립노즐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림되도록 배치되어 스텝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립노즐관을 직진운동시키는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제어에 의해 드립노즐의 직선운동 지점을 설정하여 물의 배출 패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ans includes a rack gea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nozzle tube, and a gear motor arranged to engage with the rack gear to linearly move the drip nozzle tube by rotation of the step motor And to provide a water discharge pattern by setting a linear motion point of the drip nozzle by rotation control of the pinion gea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노즐의 드립노즐관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직진운동 제어와 동시에 상기 받침대의 회전수단(50A)의 제어와 동조하여 상기 커피서버와 커피드리퍼에 담겨진 커피분말에 온수 공급패턴 제어로 다양한 핸드 드립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것에 있다.As a fur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p nozzle tube of the nozzle cooperates with the control of the rotation means (50A) of the pedestal simultaneously with the rectilinear motion control by the moving means, And to extract coffee by various hand drip methods by controlling the hot water supply pattern.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은 분쇄된 커피가루가 채워진 커피 드리퍼의 내부로 고온의 온수를 배출시키는 노즐의 위치를 구동원으로 변위치시키는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용수가 저장되는 물탱크 및 이 물탱크로부터 단방향 밸브를 통해 용수를 공급받아 급가열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을 통해 배출하는 급가열히터로 구성된 급속가열어셈블리; 상기 급가열히터를 경유한 온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온수 저장탱크 및 이 제1온수 저장탱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2온수 저장탱크간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공유하는 요소인 밸런스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는 제2온수 저장탱크 및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카트리지히터 및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센서 및 온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로 구성된 온수공급부;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에 각각 관로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온수를 공급받아 하측에 위치된 커피 드리퍼측으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직선변위 구동원에 의해 정해진 구간 내에서 직선변위를 갖는 제1,2노즐; 상기 몸체 케이스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커피 드리퍼가 올려진 커피 서버가 거치되는 것으로 회전변위 구동원을 구비하여 커피 서버를 정역 회전시키는 받침대; 상기 물탱크와 제1,2온수 저장탱크의 온수의 온도와 수위 및 상기 직선변위 구동원과 회전변위 구동원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표시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in which a position of a nozzle for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hot water to the inside of a coffee drier filled with ground coffee pow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achine of the type having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t one side of an inside of a body cas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water which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hrough a unidirectional valve and rapidly heated, A rapid heating assembly comprised of a heating heater; A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for receiving and storing hot water passed through the rapid heating heater and a balance pipe which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and is an element for always constantly sharing the water leve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hot water stored in the first or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 at the same or different temperature by a control signal, A hot water supply unit comprising a sensor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First and second nozzl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by pipelines and selectively supplied with hot water and discharging the heated water to a coffee driper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having linear displacements within a section defined by a linear displacement driving source; A coffee server provided on a front side of the body case to house a coffee server on which a coffee drier is mounted; And a control display panel including a temperature and a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of the water tank,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inear displacement drive source and the rotary displacement drive sour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제1온수 저장탱크는 만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가열히터로부터 유입되는 온수공급을 제한하는 고수위레벨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밸런스관은 이들 제1,2온수 저장탱크의 중간 부분과 상기 고수위레벨센서 사이에서 연결되는 것에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ed top surface. The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senses the full water level, Level sensor, and the balance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and the high-level sens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변위 구동원은 한 쌍의 커피서버가 안착되게 좌,우측 구조가 동일한 한 쌍의 회전판 및 이 회전판을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displacement driving source includes a pair of rotary plates having the same left and right structures so that a pair of coffee servers are seated, and a rotary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pl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1,2노즐은 온수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길이재의 관로인 드립노즐관에 연결되고;, 상기 직선변위 구동원은 상기 드립노즐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 및 이 랙기어의 일측에 기어교합되어 직선변위를 유도하는 피니언기어 급속가열어셈블리 및 이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are connected to a drip nozzle tube which is a conduit for supplying hot water and guiding the hot water, and the linear displacement driving source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nozzle tube A rack gear and a stepping motor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to transmit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pinion gear rapid heating assembly for guiding a linear displacement by gear-meshing with one side of the rack gear.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은 복수의 온수 저장탱크의 제어에 의해 신속한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 추출이 가능하므로 영업장 등에서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에 따라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압방식의 에스프레소 머신에 비해 핸드드립 방식의 커피가 지닌 풍부한 풍미와 향미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The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apidly extract the coffee in the hand drip type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hot water storage tanks and thus can improve the convenience in use in a business place or the lik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have a useful effect that can provide rich flavor and flavor of hand drip type coffee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high pressure espresso machine.

또한, 본 발명은 좌,우 온수 저장탱크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기본량과 기본인입 열수 온도는 동일하게 유지하되 좌,우측 온수 저장탱크 내의 온도는 각기 다르게 운전할 수 있음에 따라 음용자의 기호나 커피의 종류에 따라 온도에 따른 드립 추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hot water storage tanks are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the basic amount and the basic intake hot water temperature are kept the same, but the temperatures in the left and right hot water storage tanks can be operated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extract drip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kind of coffe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일 실시례에서의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에서 좌,우측 온수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3웨이 밸브 혹은 2개의 상시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부품수 감소에 따른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고 아울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coffee drip maker in one embodiment does not use a three-way valve or two normally open solenoid valves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hot water storage tanks, And thus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manufacture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특히, 본 발명은 물을 급가열시 발생하는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여 급속가열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저장탱크 내로 자연 급수되기 때문에 종전의 물을 강제 이송하기 위한 펌프 등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종전의 보일러 탱크의 사용시 발생하는 고온 고압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폐단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안전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단히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hot water heated by a rapid heating heater is naturally supplied into the storage tank by using a siphon phenomenon generated when water is rapidly heated, a component such as a pump for forcibly transferring the previous water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In addition, sin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occurring in the previous boiler tank,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enhance the safety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몸체 케이스의 일부 구성요소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받침대를 몸체케이스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몸체케이스에서 뒷판과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방향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급가열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탱크노즐 어셈블리의 배면방향 및 정면방향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노즐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받침대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받침대 구성요소의 변형 실시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노즐의 물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온수공급부와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직선변위 구동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회전변위 구동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에서 구현 가능한 여러 드립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body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body case, FIG.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apid hea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tank nozzle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edestal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water flow diagrams of a nozz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ot water supply unit and its periphera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near displacement drive sour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rotational displacement drive sour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various drip patter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발명은 물의 급가열히팅과 급가열된 온수를 2개의 저장탱크에서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고, 필요시에는 제어에 의해 온수를 서버에 공급하여 드립커피를 추출하되, 핸드 드립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저장탱크의 드립노즐은 직진운동 제어와 받침대에 안착되는 서버는 회전판의 회전제어를 동시에 수행하여 다양한 패턴을 구현하면서 드립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heated by the water and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ot water are maintained at the preset temperatures in the two storage tanks. When necessary,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server by control to extract the drip coffee. The drip nozzle of the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p coffee is extracted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straight movement control and the server mounted on the pedestal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to implement various patterns.

이하 첨부되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 케이스의 일부 구성요소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대를 몸체케이스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케이스에서 뒷판과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방향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body cas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a body cas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ck plate and the cov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는 사출 성형품으로 조립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케이스(10), 이 몸체케이스(10)의 내부에 구성되는 급가열히터(21)와 물탱크(22)로 구비된 급가열어셈블리(20), 그리고 2개의 저장탱크(31,32) 및 각각의 노즐(33,34)로 구비된 탱크노즐어셈블리(30), 커피드리퍼(C/D)와 커피서버(C/S)가 거치되고 몸체케이스(10)의 전방에서 착탈재로 조립되는 받침대(50),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전면에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표시판넬(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automatic drip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case 10 assembled with an injection molded product to form an outer appearance, a rapid heating heater 21 formed inside the body case 10, 22 and a tank nozzle assembly 30 comprising two storage tanks 31 and 32 and respective nozzles 33 and 34 and a coffee dispenser C / And a control display panel 60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case 10 so as to be assembled with a removable material at the front of the body case 10, do.

몸체케이스(10)는 내부의 배면에 급가열어셈블리(20)오 k상부에 탱크노즐어셈블리(30)가 내설되고 뒷판(11)과 덮개(12)로 마감된다.The body case 10 is provided with a tank nozzle assembly 30 on the upper side of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on the inner rear surface thereof and is closed with a back plate 11 and a lid 12.

그리고 받침대(50)는 몸체케이스(10)의 전방에 조립되고 좌,우측판(13)에 의해 받침대(50)의 좌,우측 유동 및 이탈이 차단된다.The pedestal 50 is assembled in front of the body case 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 flows and deviations of the pedestal 50 are blocked by the left and right plates 13.

도 5를 참조하면, 급가열어셈블리(20)는 급가열히터(21)와 물탱크(22)가 일측의 냉수흐름관(25)에 의해 연통되며, 이때 냉수흐름관(25)에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에 의해 냉수의 흐름이 개폐된다.5, in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the rapid heating heater 21 and the water tank 22 are communicated by a cold water flow pipe 25 on one side. At this time, a cold water solenoid valve (26) opens and closes the flow of cold water.

그리고 급가열히터(21)는 냉수흐름관(25)에서 공급된 냉수를 급속으로 가열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27)을 통해 배출한다.The rapid heating heater 21 rapidly heats the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flow pipe 25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27 at one side.

여기서 상기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는 체크밸브(26a)가 구비(도 11 참조)되어 급가열히터(21)에 구비된 히터(23)에 의해 물이 끓을 때 물탱크(22)에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한다.The cold water solenoid valve 26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26a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22 when the water is boiled by the heater 23 provided in the rapid heating heater 21 Block the flow.

이렇게 배출되는 온수는 탱크노즐어셈블리(30)의 저장탱크(31,32)에 공급된다.The hot water thus discharged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s 31 and 32 of the tank nozzle assembly 30.

또한, 급가열히터(21)는 히터(23)의 작동과정에서 이상(과열 현상)이 발생하면 2개의 직렬 연결된 자동온도조절기(24)를 구비하여 과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이중 안전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pid heating heater 21 is provided with two serially connected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ers 24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overheating when an abnormality (overheating phenomenon)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3 Can be utilized.

한편, 상기 물탱크(22)는 정수기나 수도에 연결하는 원터치코크(28)가 조립된 연결호스(29)로 공급되는 냉수가 저장량이 충만하면 차단하는 후로팅밸브(F/V)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water tank 22 is provided with a float valve (F / V) for shutting off water when the amount of cold water supplied to the connection hose (29) assembled with the one-touch cock (28)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탱크노즐어셈블리(30)는 급가열어셈블리(20)에 의해 급가열된 온수를 분배 제어하는 3웨이밸브(35)가 좌,우측 저장탱크(31,32)와 연결된다.6 to 8, the tank nozzle assembly 30 includes a three-way valve 35 for distributing hot water heated by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to the left and right storage tanks 31 and 32, .

양측의 저장탱크(31,32)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제공된다. 즉, 저장탱크(31,32)는 카트리지히터(36), 온도측정센서(37), 수위레벨센서(38)가 구비된다.The storage tanks 31 and 32 on both sides are provided with the same components. That is, the storage tanks 31 and 32 are provided with the cartridge heater 36,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37, and the water level sensor 38.

그리고 저장탱크(31,32)의 바닥 일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동일구조의 노즐(33,34)이 각각 연결된다.A discharge por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s 31 and 32 to connect the nozzles 33 and 34 having the same structure.

이때, 상기 노즐(33,34)을 구성하는 드립노즐관(43)은 선단에 구비된 드립노즐(45)에 의해 커피서버(C/S)의 커피드리퍼(C/D)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 패턴을 형성하도록 이동수단(40)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drip nozzle pipe 43 constituting the nozzles 33 and 34 is connected to the drip nozzle 45 provided at the tip of the drip nozzle pipe 45, The moving means 40 is provided.

이동수단(40)은 드립노즐관(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44), 이 랙기어(44)에 맞물림되도록 배치되어 스텝모터(41)의 회전에 의해 드립노즐관(43)을 직진운동시키는 피니언기어(42)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피니언기어(42)의 회전제어에 의해 상기 드립노즐(45)의 직선운동 지점을 설정하여 물의 배출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ving means 40 includes a rack gear 44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nozzle tube 43 and a rack gear 44 which is arranged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44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tep motor 41, The linear motion point of the drip nozzle 45 is set by rotation control of the pinion gear 42 to provide a water discharge pattern.

여기서, 각각의 드립노즐관(43)은 그 후단에 연결된 엘보우에 좌,우측의 저장탱크(31,32)의 배출구에 조립되는 연결관(46)에 조립된 상태로 열수솔레노이드밸브(47)에 연결된 연결호스(48)를 통해 연결된다.Each of the drip nozzle pipes 43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olenoid valve 47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o a connection pipe 46 assembled to the discharge ports of the left and right storage tanks 31 and 32, And is connected via a connected connection hose 48.

그리고 각각의 드립노즐관(43)은 직진운동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노즐관가이드(49)가 구비되어 몸체케이스(10)에 조립된 상태로 지지가 된다.Each of the drip nozzle pipes 43 is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o the body case 10 by providing a nozzle tube guide 49 so as to stably provide rectilinear motion.

또한, 노즐관(43)에는 선단의 드립노즐(45)의 위치 선택을 확인하는 마이크로스위치(M/S)가 부착되어 제어표시판넬(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micro switch M / S for confirming the sel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drip nozzle 45 at the tip end is attached to the nozzle pipe 4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isplay panel 60.

본 발명에서 제시된 연결호스(48)는 무독성의 실리콘 재질로 제공되어 U 자형으로 연결되어 드립노즐관(43)의 전,후진 운동에 제한받지 않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hoses 48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a non-toxic silicone material and can be connected in a U-shape to smoothly mov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drip nozzle tube 43.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대(50)는 커피드리퍼(C/D)와 커피서버(C/S)가 안착되는 좌,우측 구조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커피서버(C/S)를 회전하는 회전수단(50A)이 구비된다.9, the pedestal 5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eft and right structures in which the coffee drier C / D and the coffee server C / S are seated, and the coffee server C / The rotating means 50A is provided.

회전수단(50A)은 상기 커피서버(C/S)가 안착되는 회전판(52)과, 이 회전판(5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3)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회전모터(53)는 밑판(54)에 조립되고, 이 밑판과 조립되어 회전케이스(51)에 의해 외부마감을 제공한다.The rotating means 50A is constituted by a rotating plate 52 on which the coffee server C / S is seated and a rotating motor 53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52, 54, and is assembled with this bottom plate to provide an outer finish by means of a rotary case 51.

이러한 받침대(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드리퍼(C/D)에 배출되는 물의 급수가 넘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회전판(52)에 전자저울(55)을 구비하여 세팅된 설정(하중)값에 도달되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노즐(33,34)(열수솔레노이드밸브;47)을 제어하여 급수를 차단하도록 하밍 바람직하다.10, the pedestal 50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scale 55 on the rotary plate 52 so as to block overflow of water discharged to the coffee drier C / D, ) Is reached and the nozzles 33 and 34 (the hot water solenoid valve) 47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as to block the water supply.

그리고 받침대(50)는 몸체케이스(10)에서 분리(도 3 참조)가 가능하고, 회전판(52)은 사용과정에서 세척을 위해 회전모터(53)와는 수직방향의 이탈이 제공되는 스플라인축 결합구조로 제공된다.3) can be provided in the body case 10 and the rotation plate 52 is provided with a spline shaft coupling structure (not shown) provided with a separa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motor 53 for cleaning in use, .

여기서 좌,우측 각각의 회전모터(53)는 제어표시판넬(6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동작이 제언된다.Here, the left and right rotary motors 5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the control display panel 60 to propose a rotation operation.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프로그램은 널리 알려진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급가열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 히터(23), 자동온도조절기(24)와, 탱크노즐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태크의 3웨이밸브(35), 카트리지히터(36) 및 노즐(33,34)을 구성하는 이동수단(40)의 스텝모터(41), 열수솔레노이드밸브(47)와, 받침대(50)를 구성하는 회전수단(50A)의 회전모터(53)를 제어하여 물의 온도, 수위 분출량, 간헐적 시간, 조절이 각각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일련적으로 제공되어 커피드리퍼(C/D)로 내려오는 물 줄기 형상 또는 물방울 형상으로 내려지도록 함으로써 핸드 드립커피 방식의 기술이 다양하게 구현된다.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is widely know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water solenoid valve 26, the heater 23, the thermostat 24 and the tank nozzle assembly 30 constituting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The step motor 41, the hot water solenoid valve 47 and the pedestal 50 of the moving means 40 constituting the three-way valve 35, the cartridge heater 36 and the nozzles 33, (C / D) which is provided serially by a sensor provided for each of the water temperature, the water level spouting amount, the intermittent time, and the control by controlling the rotating motor 53 of the rotating means 50A A water trickle shape or a water droplet shape so as to realize various hand drip coffee type techniques.

본 발명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케이스(10)의 전면 제어표시판넬(60)의 조작에 의해 급수된 냉수를 급가열어셈블리(20), 탱크노즐어셈블리(30), 받침대(50)의 커피드리퍼(C/D)에 프로그램화된 패턴에 의해 열수(95 ℃ 이상의 가열된 물)를 공급하여 커피서버(C/S)에 드립커피를 추출한다.11 and 12, the cold water su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front control display panel 60 of the body case 10 is supplied to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the tank nozzle assembly 30, (Heated water at 95 DEG C or more) by a programmed pattern to the coffee drier (C / D) of the coffee machine (C / D) 50 to extract drip coffee into the coffee server (C / S).

정수기 또는 수도에 원터치코크(28)에 의해 연결호스(29)로 연결된 물탱크(22)에 공급된 냉수는 냉수흐름관(25)에 의해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의 제어(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측의 컨트롤유닛;70)의 제어에 의해 급가열히터(21)로 공급된다.The cold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22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or the water tap by the one-touch cock 28 via the connection hose 29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ld water solenoid valve 26 Is supplied to the rapid heating heater 2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on one side.

이렇게 공급된 냉수는 알루미늄재질의 냉수흐름관(25)에서 급가열히터(21)를 경유하면서 급속으로 가열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에 구비된 체크밸브(26a)에 의해 급가열히터(21)에서 급속 가열된 물이 상기 물탱크(22)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된다.The cold water thus supplied is rapidly heated via the rapid heating heater 21 in the cold water flow pipe 25 made of aluminum. In this process, the rapidly heated water in the rapid heating heater (21)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22) by the check valve (26a) provided in the cold water solenoid valve (26).

그러나 급격한 온도 상승된 물은 기압차로 인해 상승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27)을 타고 상부의 탱크노즐어셈블리(30)으 저장탱크(31,32)에 공급된다.However, the water that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and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s 31 and 32 of the upper tank nozzle assembly 30 on the one side hot water supply pipe 27.

즉, 급가열된 온수는 분배 제어하는 3웨이밸브(35)의 제어에 의해 좌,우의 저장탱크(31,32) 중 빈곳의 저장탱크(31,32)로 공급된다.That is, the rapidly heated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empty storage tanks 31 and 32 of the left and right storage tanks 31 and 32 under the control of the three-way valve 35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이렇게 공급된 온수는 저장탱크(31,32)에 구비된 카트리지히터(36), 온도측정센서(37), 수위레벨센서(38)에 의해 설정된 열수의 온도를 유지한다.The hot water thus supplied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et by the cartridge heater 36,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7, and the water level sensor 38 provided in the storage tanks 31 and 32.

물론, 이때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배출구에 조립된 연결관(46)에 조립된 열수솔레노이드밸브(47)는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Of course, at this time, the hydrothermal solenoid valve 47 assembled to the connection pipe 46 assembled to the discharge port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kept closed.

이러한 제어는 일차적으로 급가열히터(21)에 의해 90℃~95℃로 가열되어 상승하면서 외부 온도와의 열교환에 의해 하강되어 커피추출에 적합하지 않아 재가열에 의해 드립시 선호 온도를 제어표시판넬(60)에 의한 제어로 카트리지히터(36)를 동작시켜 온도측정센서(37)에 의해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된다.This control is firstly heated by the rapid heating heater 21 to 90 ° C to 95 ° C and is elev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temperature and is not suitable for coffee extraction. 60, the cartridge heater 36 is operated to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7.

그리고 수위레벨센서(38)는 저장탱크(31 또는 32)에 공급된 온수가 설정레벨이 되면 3웨이밸브(35)를 전환하여 빈 저장탱크(31 또는 32)로 공급하여 다 차면 급가열어셈블리(20)와 급가열히터(21)와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의 동작을 오프한다.When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31 or 32 reaches the set level, the water level sensor 38 switches the three-way valve 35 to supply it to the empty storage tank 31 or 32, 20, the rapid heating heater 21, and the cold water solenoid valve 26 are turned off.

한편, 상기 3웨이밸브(35)의 동작은 좌,우 상단 수위레벨센서 2개의 신호로 동작시켰으나 이와 동시에 히터 전원 공급도 차단 하여한다. 히터가 동작하지 않으면 물 가열이 중지되어 물상이 불가하기 때문에 3웨이밸브(35) 동작으로 좌,우 탱크에 물공급 차단방법 보다 일정량을 물량수위를 공유하는 밸런스관(70)에 의해 한쪽의 만수위 레벨센서(38a) 하나로 충족된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three-way valve 35 is operated by two signal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level sensors, but at the same time, the heater power supply is cut off. If the heater does not operate, the water heating is stopped and the water phase can not be performed. Therefore, the balance pipe 70, which shares a certain amount of water level with the left and right tanks by the operation of the three-way valve 35, Level sensor 38a.

커피추출을 위해 탱크노즐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31,32)의 열수솔레노이드밸브(47)를 개방하여 노즐(33 또는 34)을 통하여 배출하여 커피드리퍼(C/D)로 공급한다.The hot water solenoid valve 47 of the storage tanks 31 and 32 constituting the tank nozzle assembly 30 is open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33 or 34 and supplied to the coffee drier C / .

각각의 노즐(33,34)은 이동수단(40)의 제어, 즉 스텝모터(41)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기어(42)에 치합된 랙기어(44)가 직진(전후진)하여 드립노즐관(43)의 선단에 구비된 드립노즐(45)을 통하여 열수가 배출된다.Each of the nozzles 33 and 34 is driven by the rack gear 44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42 by the control of the moving means 40,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step motor 41, The ho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rip nozzle 45 provided at the tip of the nozzle 43.

이러한 동작과 동시에 받침대(50)의 커피서버(C/S)를 안착한 회전판(52)의 회전을 회전모터(53)의 회전제어로 병행하여 제어표시판넬(60)의 제어부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패턴 형식대로 커피드리퍼(C/D) 위에 온수를 내려주어 커피서버(C/S)에 커피를 추출한다.Simultaneously with this operation,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52, on which the coffee server C / S of the pedestal 50 is seated,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control of the rotary motor 53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ection of the control display panel 60 Extract hot water onto the coffee drier (C / D) and extract the coffee to the coffee server (C / S).

패턴을 위해서는 드립노즐(45)의 직선운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받침대(50)의 회전수단(50A) 제어로 회전판(52)에 올려진 커피서버(C/S)가 회전할 때는 정원을 급가열어셈블리(20)면서 추출하는 패턴이 되고, 드립노즐(45)을 조금씩 전,후진 제어하면서 회전수단(50A)이 커피드리퍼(C/D)를 회전하는 방식에 의해 다른 패턴 형상으로 드립커피의 추출이 제공된다.For the pattern, when the coffee server (C / S) put on the rotary plate 52 rot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rotating means 50A of the pedestal 50 in a state where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p nozzles 45 is stopped, The drip nozzle 45 is gradu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assembly 20 is being operated to extract the drip coffee in a different pattern shape by the rotation means 50A rotating the coffee drier (C / D) / RTI >

제어표시판넬(60)은 좌,우측에 4개의 버튼(총 8개)이 구비되어 서버의 용량, 커피드리퍼(C/D) 사이즈 패턴과 물주는 간격 등의 각기 다른 내용의 프로그램을 좌측 그룹에 4개, 우측 그룹에 4개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해당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커피를 출하고 자동 오프되는 기능이 제공된다.The control display panel 60 is provided with four buttons (eight in tot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programs of different contents such as a server capacity, a coffee drier (C / D) size pattern, 4 pieces in the right group and 4 pieces in the right group,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coffee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the function is automatically turned off.

프로그램화는 프로그램 수행버튼으로 갈 데이터 입력 후 저장번호 버튼을 선택 후 입력하여 저장되나 이는 수시로 수정후 저장할 수 있다.Program is saved by inputting the data to go to the program execution button and then selecting the save number button, but it can be saved after modification at any time.

이러한 제어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에 불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본 발명의 요지를 파악하는데는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Such control is generally a well-known technology,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grasp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를 나타낸 것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2 to 16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coffee drip mak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측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커피서버(cs) 및 커피드리퍼(cd)를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케이스(10) 및 상기 한 쌍의 커피서버(cs)가 거치되는 받침요소로 후술할 회전변위 구동원을 구비하는 받침대(50) 및 기기의 동작 및 운영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램프와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표시요소를 포함함과 전장품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 제어표시판넬(60)로 이루어진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가 도시되어 있다.The figure shows a body case 10 for forming a body and providing a space for placing a pair of coffee servers cs and coffee drier cds at left and right intervals on the front side, a pedestal 50 having a rotation displacement driving source to be described later, and a display elemen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lamps and a buzzer soun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And a control display panel 60 hav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electrical equipment.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the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상부패널(12) 및 후면패널(11) 및 측면패널(13)로 이루어진 몸체 케이스(10)와, 이 몸체 케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되어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전장품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표시판넬(60)와, 상기 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같거나 혹은 서로 다른 온도의 온수를 유지 보관하는 제1,2온수탱크(31,32)를 포함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가 도시되어 있다.The figure shows a body case 10 made of a top panel 12, a rear panel 11 and side panels 13 removably attachable to the body case 10 so as to form an outer body, A control display panel 60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electrical equipment, and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2 hot water tanks 31, 32 are show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물탱크(22)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아 급속 가열하는 급속가열어셈블리(20) 및 이 급속가열어셈블리(20)를 통해 온수를 공급받아 일정 온도로 유지보관하는 제1,2온수탱크(31,32) 및 이 제1,2온수탱크(31,32)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아 토출시키는 제1,2노즐(33,34) 및 상기 제1,2노즐(33,34)을 통해 토출되는 온수를 받는 위치에 제공되어 커피서버(cs)와 커피드리퍼(cd)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대(50)를 포함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가 도시되어 있다.The drawing shows a rapid heating assembly 20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body case 10 and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22 and rapidly heats the water. The ho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supply hot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And a pedestal 50 provided at a position receiving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wo nozzles 33 and 34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offee server cs and the coffee drier cd are mounted, .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에서 온수공급부와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이다.15 is an explanator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ot water supply unit and its peripheral structure in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용수가 저장된 물탱크(22)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급가열히터(21)로 이루어진 급속가열어셈블리(20)와, 상기 급가열히터(21)를 경유한 온수를 공급받아 1차 저장하는 제1탱크(31) 및 이 제1온수탱크(31)와 밸런스관(70)으로 연결되어 온수를 재공급받는 제2온수탱크(32)를 구비하는 온수공급부(30)와, 상기 제1,2온수탱크(31,32)에 연결되어 온수를 토출하는 요소로 직선변위 구동원에 의해 직선변위를 갖는 제1,2노즐(33,34)을 포함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가 도시되어 있다.The drawing shows a rapid heating assembly 20 composed of a rapid heating heater 21 that receives and heats water from a water tank 22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second hot water tank (32) connected to the first hot water tank (31) by a balance pipe (70) and supplied with hot water again. The hot water supply unit (30) And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having a linear displacement by a linear displacement driving source as an element for discharging hot water.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에서 회전변위 구동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제1,2노즐(33,34)의 직선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제1,2온수탱크(31,32)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길이재의 관로인 드립노즐관(43)과, 상기 드립노즐관(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구비되는 랙기어(44) 및 이 랙기어(44)의 일측에 기어 교합되어 직선변위를 유도하는 피니언기어(42) 및 이 피니언기어(42)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41)로 이루어진 직선변위 구동원을 포함한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가 도시되어 있다.16 is an exploded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rotational displacement driving source in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are linearly displaced,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to receive hot water. In the drawing, A rack gear 44 integral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nozzle pipe 43 and a pinion gear 44 which meshes with one side of the rack gear 44 to induce a linear displacement, And a stepping motor 41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42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에서 직선변위 구동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받침대(50)를 구성하는 것으로 좌,우 한 쌍의 커피서버(cs)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홀이 형성된 회전판 케이스(51) 및 이 회전판 케이스(51) 내에 구비되어 회전모터(53)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커피서버(cs)의 하면이 접촉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시키는 회전판(52)으로 이루어진 회전변위 구동원을 포함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가 도시되어 있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near displacement drive source in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A rotation plate case 51 having a seating hol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coffee servers cs can be inserted and seated can be formed in the pedestal 50 and a rotating plate case 51 provided in the rotating plate case 51, There is shown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including a rotation displacement drive source including a rotation plate 52 which is rotated by driving and which integrally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coffee server cs and rotates integrally therewith.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of the automatic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본 발명의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는 크게 용수를 급속 가열하는 급속가열어셈블리(20) 및 이 급속가열어셈블리(20)를 경유한 온수를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부(30) 및 이 온수공급부(30)에 연결되어 온수를 토출시키는 제1,2노즐(33,34) 그리고 제1,2노즐(33,34)을 통해 토출되는 온수를 받는 위치에 커피서버(cs)와 커피드리퍼(cd)가 위치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함과 아울러 회전 변위 구동원을 통해 커피서버(cs)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받침대(50) 및 상기 물탱크(22)와 제1,2온수탱크(31,32)의 온수의 온도와 수위 및 상기 제1,2노즐(33,34)의 직선변위 동작과 회전판(52)의 정역 회전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기기의 동작상태를 램프와 디스플레이 및 부저음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버튼과 스위치류를 구비하는 제어표시판넬(60)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drip coffe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rapid heating assembly 20 for rapidly heating water, a hot water supply unit 30 for supplying the hot water passed through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Cs) and a coffee drier (c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to receive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A pedestal 50 for rotating the coffee server c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rough a rotary displacement drive source, and a water supply pipe 40 for connecting the water tank 22 and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The temperature and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of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and the normal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rotary plate 52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through the lamp, , A control unit having buttons and switches for inputting operation signals from a user And a display panel 60.

몸체 케이스(10)는 내부의 배면에 급속가열어셈블리(20)와 온수공급부(30)가 구비되고, 전면측으로는 커피서버(cs)와 커피드리퍼(cd)가 거치되는 발열부(30)가 노출 구비된다.The body case 10 is provided with a rapid heating assembly 20 and a hot water supply unit 30 on the inner rear surface and a heating unit 30 on which a coffee server cs and a coffee drier cd are mounted, Respectively.

이러한 몸체 케이스(10)는 대략 상자형상을 이루도록 상부패널(12) 및 후면패널(11) 및 좌,우 한 쌍의 측면패널(13)로 마감되며, 전면 상부에는 제어표시판넬(60)가 위치되고, 이 제어표시판넬(60)의 하측으로는 커피서버(cs)와 커피드리퍼(cd)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이때 상기 커피서버(cs)는 그 하측에 회전변위 구동원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판(52)을 구비한 받침대(50)가 위치되는 구성이다.The body case 10 is finish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with an upper panel 12 and a rear panel 1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anels 13, The coffee server cs forms a space below the control display panel 60 so that the coffee server cs and the coffee drier cd can be located. And a pedestal (50) having a rotary plate (52)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s located.

급속가열어셈블리(20)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용수가 저장되는 물탱크(22) 및 이 물탱크(22)로부터 단방향 밸브를 통해 용수를 공급받아 급가열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27)을 통해 배출하는 급가열히터(21)로 구성된다.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is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ody case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includes a water tank 22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2 through a one- And a hot water heater (21) for discharging water through a hot water supply pipe (27) on one side.

상기 물탱크(22)는 정수기나 수전과 호스로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받아 임시로 저장하는 저장요소로서, 용수의 저장량이 가득 차게 되면 용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플로팅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탱크(22)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water tank 22 is a storage element connected to a water purifier or a water hose through a hose to temporarily store water supplied thereto. Preferably, the water tank 22 is provided with a floating valve for shutting off the inflow of water when the water storage amount becomes full. The water tank 22 may be variously formed by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급가열히터(21)는 상기 물탱크(22)와 배관으로 연결되되, 이 배관상에는 단방향 밸브가 설치되어 급가열히터(21)로 공급받은 용수가 상기 물탱크(22)측으로 역류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며, 공급받은 용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급 가열하고 이를 일측의 온수공급관(27)을 통해 배출하는 일종의 보일러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급가열히터(21)는 후술할 제어표시판넬(60)를 구성하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가열온도가 제어되게 구성된다.The quick heating heater 21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2 by a pipe and a unidirectional valve is provided on the pipe to prevent the water supplied to the rapid heating heater 21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22 The supplied water is a kind of boiler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and rapidly heated, and discharges the water through a hot water supply pipe 27 on one side. The rapid heating heater 21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constituting a control display panel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상기 온수공급관(27)은 상기 급가열히터(21)에서 가열된 온수를 후술할 제1온수탱크(31)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요소이다.The hot water supply pipe 27 is a piping element for supplying hot water heated by the rapid heating heater 21 to a first hot water tank 31 to be described later.

온수공급부(30)는 상기 급가열히터(21)를 경유한 온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온수 저장탱크(31)와, 이 제1온수 저장탱크(31)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밸런스관(70)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는 제2온수 저장탱크(32) 그리고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카트리지히터(36) 및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센서(37) 및 온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38)로 구성된다.The hot water supply unit 30 includes a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31 for receiving and storing hot water passed through the rapid heating heater 21 and a balance pipe (not show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31, A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 32 supplied with hot water through the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31 and a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 31 provided at the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 31 and reheated hot water stored at the same or different temperature by a control signal, A heater 36 and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7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a water level sensor 38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상기 제1온수탱크(31)는 상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자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급속가열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급가열히터(21)와 온수공급관(27)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온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요소이다.The first hot water tank 3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whose upper surfac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lid. The hot water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heater 21 constituting the rapid heating assembly 20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27, It is an element to receive and store.

상기 제2온수탱크(32)는 상기 제1온수탱크(31)의 일측에 배치되어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폐 가능한 덮개에 의해 차폐되는 상자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1온수탱크(31)와는 밸런스관(70)으로 연결되어 온수를 재공급받는 구성이다.The second hot water tank 3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t water tank 31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that is similarly shielded by a li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t water tank 31, 70) to supply the hot water again.

한편, 상기 제1,2온수탱크(31,32)의 내부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요소인 밸런스관(70)은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의 중간 부분과 상기 고수위레벨센서(38a) 사이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의 밸런스관(70)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제1,2온수탱크(31,32)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2온수탱크(31,32)가 서로 동일한 수위를 가질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2온수탱크(31,32) 내의 기본량과 기본인입 온수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 결과적으로 제1,2온수탱크(31,32)내의 온도도 각기 다르게 운전할 수 있다.The balance pipe 70, which is an element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38a). That is, the balance pipe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are the sa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water level. That is, the basic amount in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and the basic incoming hot water temperature are kept the same, so that the temperatures in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can be differently operated.

특히, 본 발명에서의 밸런스관(70)은 종전의 제1,2온수탱크(31,32)에 온수를 공급하는 형태인 3웨이 밸브 또는 제1,2온수탱크(31,32)에 각각 온수관을 연결하고 각 온수관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하고 동작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e pipe 70 is connected to the three-way valve or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which supply hot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pipes are connected and the solenoid valves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hot water pipes,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can be assured.

한편, 상기 제1온수탱크(31)와 제2온수탱크(32)는 공통적으로 각각의 제어신호를 받아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되는 카트리지히터(36)가 설치되며, 각 내부의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인가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37)가 설치된다. 또한 수위를 측정하여 온수 부족시 온수를 유입하고 온수가 가득찬 경우에는 온수 공급을 중단하는 수위레벨센서(3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위레벨센서(38)는 저수위 위치와 만수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온수 저장탱크(31)의 만수위만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온수탱크(31)의 내부 상측에 고수위레벨센서(38a)가 설치하여 급가열히터(21)로부터 유입되는 온수공급을 제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Meanwhile, the first hot water tank 31 and the second hot water tank 32 are commonly provided with a cartridge heater 36 which receives different control signals and is hea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each of the first hot water tank 31 and the second hot water tank 32 And a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37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nd applying it to the control unit. The water level sensor 38 may be installed at a low water level position and a high water level position. The water level sensor 38 may be provided at a low water level position and at a high water level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level sensor 38a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hot water tank 31 to sense only the full water level of the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31, The supply of hot water is limited.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1,2온수탱크(31,32)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로 된 내부 탱크 및 이 내부 탱크의 외부를 감싸는 것으로 진공층이 형성되게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외부 탱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외기와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이슬맺힘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층을 사이에 두고 내부 탱크와 외부 탱크를 형성하는 구조외에도 이슬맺힘 구조가 가능하다면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 실시되어도 무방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tanks 31 and 3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n inner tank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an outer tank having a gap formed therebetween so as to surround the outer tank, This is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dew condensation due to a sudden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ir.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an inner tank and an outer tank are formed with a vacuum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various known techniques are applicable It may be done.

제1,2노즐(33,34)은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에 각각 관로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온수를 공급받아 하측에 위치된 커피드리퍼(cd)의 상부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직선변위 구동원에 의해 정해진 구간 내에서 직선변위를 갖는 구성이다.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by pipelines, respectively. The hot water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driper And has a linear displacement within a section defined by a linear displacement driving source.

상기 제1,2노즐(33,34)은 온수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길이재의 관로인 드립노즐관(43)에 연결되는 구성이고, 상기 드립노즐관(43)은 구동원에 의해 직선변위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직선변위 구동원은 상기 드립노즐관(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44) 및 이 랙기어(44)의 일측에 기어교합되어 직선변위를 유도하는 피니언기어(42) 및 이 피니언기어(42)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are connected to a drip nozzle tube 43 which is a duct for guiding and receiving hot water. The drip nozzle tube 43 is configured to have a linear displacement by a driving source do. That is, the linear displacement drive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ck gear 44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nozzle pipe 43, and a pinion gear (not shown) which engages with one side of the rack gear 44 to induce linear displacement 42 and a step motor 41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42 for transmitt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driving forces.

이때의 상기 드립노즐관(43)은 직선변위 동작시에도 온수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온수탱크(31) 또는 제2온수탱크(32)와는 유연한 튜브로 연결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drip nozzle pipe 4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t water tank 31 or the second hot water tank 32 by a flexible tube so that the supply of hot water can be stably supplied even during a linear displacement operation will be.

이러한 구성의 제1,2노즐(33,34)은 전원을 공급받는 스텝모터(4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이 스텝모터(41)에 연결된 피니언기어(42)가 연동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42)는 랙기어(44)와 교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드립노즐관(43)과 일체로 구비된 랙기어(44)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드립노즐관(43)의 전,후진 직선이동 동작에 의해 상기 드립노즐관(43)의 선단측에 구비된 제1,2노즐(33,34)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 변위를 가지면서 온수를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tep motor 41 supplied with power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pinion gear 42 connected to the step motor 41 is interlocked with the forward Since the pinion gear 42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44, the rack gear 44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p nozzle pipe 43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do.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provided at the tip side of the drip nozzle tube 43 are linearly displac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forward and backward linear movement of the drip nozzle tube 43 The hot water is discharged.

받침대(50)는 상기 몸체 케이스(1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커피 드리퍼가 올려진 커피서버(cs)가 거치되는 것으로 회전변위 구동원을 구비하여 커피 서버를 정역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edestal 5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case 10 and is equipped with a coffee server cs on which a coffee drier is mounted. The pedestal 50 is provided with a rotary displacement driving source to rotate the coffee server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 회전변위 구동원(미부호)는 한 쌍의 커피서버(cs)가 안착되게 상기 몸체 케이스(10)의 전면측에서 바라보면 좌,우측 구조가 동일한 한 쌍의 회전판(52) 및 이 회전판(52)을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5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회전판(52)은 그 상면으로 커피서버(cs)가 놓여져 일체로 회전 되는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는 제어신호를 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필요 회전을 하되 회전각도에서 정지 및 재회전을 반복 구동하는 스텝모터(41)와 함께 제어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제1,2노즐(33,34)을 통해 토출되는 온수가 상기 커피서버(cs)에 동심원을 그리면서 떨어질 수 있다.The rotating displacement drive source (not shown) includes a pair of rotating plates 52 having the same left and right structures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ody case 10 so that a pair of coffee servers cs are seated thereon, And a rotary motor 53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rotationally drives it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at is, the rotation plate 5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ffee server cs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52 and is integrally rot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plate 52 performs necessary rotatio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can be concentrically dropped to the coffee server cs.

한편, 본 발명은 원두의 종류나 로스팅 수준 및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드립 방식에 대한 다양한 설정 패턴이 입력되어 있으며,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형을 따라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형태의 패턴1, 중심부분에 많은 량의 물을 낙하시키고 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상대적으로 적은량의 물을 점 형태로 낙하시키는 패턴2, 동심원으로 물을 낙하시키는 패턴3, 중심 부분에 물을 점 형태로 내리고 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물을 점 형태로 내리는 방식의 패턴4 등 다양한 드립 패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meantime, various setting patterns for the drip method are inputted so as to satisfy the type of the bean curd, the roasting level, and various user's preferences. As shown in FIG. 19, A pattern 2 for dropping a large amount of water in a center portion and dropp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in a radial direction in a center form, a pattern 2 for dropping water in a concentric circle, And a pattern 4 in which water is radially dropped in a dot pattern.

제어표시판넬(60)는 상기 물탱크(22)와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의 온수의 온도와 수위 및 상기 직선변위 구동원과 회전변위 구동원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control display panel 60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of the water tank 22,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and the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near displacement drive source and the rotary displacement drive source Time).

이러한 제어표시판넬(60)는 기기의 운전상태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램프와 부저음을 비롯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장품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 등의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나 버튼 및 스위치 등의 입력요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display panel 60 may include a display such as a plurality of lamps and a buzzer soun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And a control unit.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n input element such as a keypad, a button, and a switch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this structure is implemented by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몸체 케이스 11 : 뒷판
12 : 덮개 13 : 측판
20 : 급속가열어셈블리 21 : 급가열히터
22 : 물탱크 23 : 히터
24 : 자동온도조절기 24,25 : 냉수흐름관
26 : 냉수 솔레노이드밸브 26a : 체크밸브
27 : 온수공급관 28 : 원터치코크
29 : 연결호스 30 : 탱크노즐어셈블리
30' : 온수공급부 31,32 : 저장탱크
33,34 : 제1,2노즐 35 : 3웨이밸브
36 : 카트리지히터 37 : 온도측정센서
38 : 수위레벨센서 38a : 고수위레벨센서
40 : 이동수단 41 : 스텝모터
42 : 피니언기어 43 : 드립노즐관
44 : 랙기어 45 : 드립노즐
46 : 연결관 47 : 열수솔레노이드밸브
48 : 연결호스 49 : 노즐관가이드
50 : 받침대 50A : 회전수단
51 : 회전판케이스 52 : 회전판
53 : 회전모터 54 : 밑판
55 : 전자저울 60 : 제어표시판넬
70 : 밸런스관
10: body case 11: back plate
12: lid 13: side plate
20: rapid heating assembly 21: rapid heating heater
22: water tank 23: heater
24: Automatic thermostat 24, 25: Cold water flow tube
26: cold water solenoid valve 26a: check valve
27: hot water supply pipe 28: one-touch cock
29: connecting hose 30: tank nozzle assembly
30 ': hot water supply unit 31, 32: storage tank
33, 34: first and second nozzles 35: three-way valve
36: cartridge heater 37: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8: level sensor 38a: high level sensor
40: Moving means 41: Step motor
42: Pinion gear 43: Drip nozzle tube
44: Rack gear 45: Drip nozzle
46: connector 47: hydrothermal solenoid valve
48: Connection hose 49: Nozzle guide
50: pedestal 50A: rotating means
51: spindle case 52: spindle
53: rotation motor 54: base plate
55: Electronic scale 60: Control display panel
70: Balance tube

Claims (14)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케이스(10)와,
상기 몸체케이스(10)에 배면 내부에 구성되는 급가열히터(21)와 물탱크(22)가 일측의 냉수흐름관(25)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냉수흐름관(25)에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에 의해 냉수의 흐름이 개폐되며, 상기 급가열히터(21)는 냉수흐름관(25)에서 공급된 냉수를 히터(23)에 의해 급속으로 가열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27)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급가열어셈블리(20)와,
상기 급가열히터(21)의 히터(23)에 의해 급가열된 온수를 저장탱크(31,32)를 연결하여 분배 제어하는 3웨이밸브(35)로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31,32) 각각은 저장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카트리지히터(36), 재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센서(37), 공급되는 온수의 량을 제어하는 수위레벨센서(38)가 구비된 상태에서 바닥의 일측 배출구에 노즐(33,34)이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 탱크노즐어셈블리(30)와,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전면에 착탈자재로 구성되어 커피드리퍼(C/D) 및 커피드리퍼(C/D)가 거치되도록 조립되는 받침대(50)와,
상기 몸체케이스(10)의 전면에 물의 온도, 수위 분출량에 간헐적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표시판넬(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A body case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water heater 22 and a rapid heating heater 21 form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case 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cold water flow pipe 25 on one side and a cold water solenoid valve The hot water heater 21 rapidly heats the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cold water flow pipe 25 by the heater 23 and discharges the cold water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27 at one side A superheated heating assembly 20 configured to heat,
Way valve 35 connecting the storage tanks 31 and 32 and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23 of the rapid heating heater 21. The storage tanks 31 and 32, Each of which includes a cartridge heater 36 for reheating the stored hot water,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7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heated hot water, and a water level sensor 38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ot water supplied, A tank nozzle assembly 30 having nozzles 33 and 34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 pedestal 50 formed of a removable materia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case 10 and assembled to receive a coffee drier C / D and a coffee drier C / D,
And a control display panel (60) hav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intermittent time of water temperature and water leve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cas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솔레노이드밸브(26)는 체크밸브(26a)를 구비하여 상기 급가열히터(21)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물탱크(22)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d water solenoid valve (26)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26a) to prevent water heated by the rapid heating heater (21)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3,34) 각각은 선단에 드립노즐(45)이 구비된 드립노즐관(43)을 구비하고, 상기 드립노즐관(43)은 그 후단에 연결된 엘보우에 상기 저장탱크(31,32)의 배출구에 조립되는 연결관(46)에 조립된 상태로 열수솔레노이드밸브(47)에 연결된 연결호스(48)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nozzles 33 and 34 is provided with a drip nozzle pipe 43 having a drip nozzle 45 at the tip thereof and the drip nozzle pipe 43 is connected to the elbow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rip nozzle pipe 43, And connected via a connection hose (48) connected to the hot water solenoid valve (47)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o a connection pipe (46) assembled to an outlet of the hot water solenoid valve (4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가이드(49)에는 선단의 드립노즐(45)의 위치 선택을 확인하는 마이크로스위치(M/S)가 부착되어 제어표시판넬(60)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a micro switch M / S for confirming the sel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drip nozzle 45 at the tip end is attached to the nozzle tube guide 49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isplay panel 60 Coffee drip m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50)는 커피드리퍼(C/D)와 커피서버(C/S)가 안착되는 좌,우측 구조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커피서버가 안착되는 회전판(52) 및 상기 회전판(5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3)로 구성된 회전수단(50A)과, 상기 회전모터(53)를 지지하는 밑판(54)과, 상기 밑판(54)과 조립되어 외부마감을 제공하는 회전케이스(5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5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eft and right structures in which the coffee drier C / D and the coffee server C / S are seated. The pedestal 50 includes a rotating plate 52 on which the coffee server is seated, And a rotating case 51 which is assembled with the bottom plate 54 and provides an outer finish, is provided with a rotating unit 50A composed of a rotating motor 53 for rotating the rotating motor 53, The automatic coffee drip maker.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50)는 급수량 설정을 위한 전자저울 기능이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pedestal (50) is equipped with an electronic balance function for setting a water supply am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레벨센서(38)에 의해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커피드리퍼(C/D)로 내려오는 물을 배출하는 노즐(33,34)의 제어로 물줄기의 분출을 물줄기나 물방울 형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ozzles (33, 34) for measuring the flow rate by the level sensor (38) and discharging the water coming down to the coffee drier (C / D) Wherein the control is performed in the form of a water stream or a water droplet.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노즐관(43)은 상기 드립노즐(45)에 의해 상기 받침대(50)에 안착되는 커피서버의 커피드리퍼(C/D)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 패턴을 형성하도록 이동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drip nozzle tube 43 further includes a moving means 40 for forming a supply pattern of water falling to the coffee drier C / D of the coffee server that is seated on the pedestal 50 by the drip nozzle 45 The automatic coffee drip mak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40)은 상기 드립노즐관(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44)와, 상기 랙기어(44)에 맞물림되도록 배치되어 스텝모터(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립노즐관(43)을 직진운동시키는 피니언기어(42)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니언기어(42)의 회전제어에 의해 드립노즐(45)의 직선운동 지점을 설정하여 물의 배출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oving means 40 includes a rack gear 44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nozzle tube 43 and a rack gear 44 which is arranged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44 and rotated by the step motor 41, And a pinion gear 42 for rectilinearly moving the nozzle pipe 43. A linear motion point of the drip nozzle 45 is set by rotation control of the pinion gear 42 to provide a water discharge pattern An automatic coffee drip mak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3,34)의 드립노즐관(43)은 상기 이동수단(40)에 의한 직진운동 제어와 동시에 상기 받침대(50)의 회전수단(50A)의 제어와 협조하여 상기 커피서버와 커피드리퍼(C/D)에 담겨진 커피분말에 온수 공급패턴 제어로 핸드 드립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피드립 메이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p nozzle tube 43 of the nozzles 33 and 34 cooperates with the control of the rotating means 50A of the pedestal 50 in conjunction with the rectilinear motion control by the moving means 40, Wherein the coffee is extracted by a hand drip method by controlling the hot water supply pattern to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 / D.
분쇄 커피가 채워진 커피 드리퍼로 고온의 온수를 배출시키는 노즐의 위치를 구동원으로 변위치시키는 핸드 드립형 커피머신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용수가 저장되는 물탱크(22) 및 이 물탱크(22)로부터 단방향 밸브를 통해 용수를 공급받아 급가열하여 일측의 온수공급관(27)을 통해 배출하는 급가열히터(21)로 구성된 급속가열어셈블리(20);
상기 급가열히터(21)를 경유한 온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제1온수 저장탱크(31) 및 이 제1온수 저장탱크(31)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항상 일정량을 공유하는 밸런스관(70)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는 제2온수 저장탱크(32) 및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카트리지히터(36) 및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센서(37) 및 온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38)로 구성된 온수공급부(30);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에 각각 관로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온수를 공급받아 하측에 위치된 커피 드리퍼측으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직선변위 구동원에 의해 정해진 구간 내에서 직선변위를 갖는 제1,2노즐(33,34);
상기 몸체 케이스(1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커피 드리퍼가 올려진 커피 서버가 거치되는 것으로 회전변위 구동원을 구비하여 커피 서버를 정역 회전시키는 받침대(50);
상기 물탱크(22)와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의 온수의 온도와 수위 및 상기 직선변위 구동원과 회전변위 구동원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표시판넬(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A hand drip type coffee machine in which a position of a nozzle for discharging hot water at a high temperature is placed as a driving source by a coffee drier filled with ground coffee,
A water tank 22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2 through a one-way valve to rapidly heat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27 A rapid heating assembly (20) comprising a rapid heating heater (21) for discharging the rapid heating assembly (21);
A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31 for receiving and storing hot water passed through the rapid heating heater 21 and a balance pipe 7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31 and always sharing a fixed amount, A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 32 to which ho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and a cartridge heater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for reheating hot water stored at the same or different temperatures 36),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7)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a water level sensor (38)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by conduits to selectively supply warm water to the coffee drier, , Two nozzles (33, 34);
A pedestal (5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case (10) to receive a coffee server on which a coffee drier is mounted,
A control display panel 60 having a temperature and a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of the water tank 22,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inear displacement driving source and the rotary displacement driving source, ;
And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온수 저장탱크(31,32)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제1온수 저장탱크(31)는 만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급가열히터(21)로부터 유입되는 온수공급을 제한하는 고수위레벨센서(38a)가 구비되고,
상기 밸런스관(70)은 이들 제1,2온수 저장탱크(31,32)의 중간 부분과 상기 고수위레벨센서(38a) 사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and 32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n opened box. The first hot water storage tank 31 senses the full water level and supplies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heater 21 A high level sensor 38a is provided,
Wherein the balance pipe (70) is connected between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t water storage tanks (31, 32) and the high level sensor (38a).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변위 구동원은 한 쌍의 커피서버가 안착되게 좌,우측 구조가 동일한 한 쌍의 회전판(52) 및 이 회전판(52)을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ry displacement driving source includes a pair of rotary plates 52 having the same left and right structures so that a pair of coffee servers are seated thereon, a rotary motor 53 for rotating the rotary plate 52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And a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노즐(33,34)은 온수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길이재의 관로인 드립노즐관(43)에 연결되고, 상기 직선변위 구동원은 상기 드립노즐관(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44) 및 이 랙기어(44)의 일측에 기어교합되어 직선변위를 유도하는 피니언기어(42) 및 이 피니언기어(42)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33 and 34 are connected to a drip nozzle tube 43, which is a channel for guiding and receiving hot water, and the linear displacement driving source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nozzle tube 43 A pinion gear 42 for guiding a linear displacement by being meshed with one side of the rack gear 44 and a stepping motor 42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42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41). ≪ / RTI >
KR1020160029282A 2015-04-28 2016-03-11 Automatic drip coffie KR1016932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15 2015-04-28
KR20150059515 201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05A true KR20160128205A (en) 2016-11-07
KR101693261B1 KR101693261B1 (en) 2017-01-05

Family

ID=5752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282A KR101693261B1 (en) 2015-04-28 2016-03-11 Automatic drip coffi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209519A (en)
KR (1) KR10169326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1234A1 (en) * 2017-07-10 2019-01-17 林紫绮 Three-axis double-plane actuation coffee machine structure simulating manual brewing
KR20190127166A (en) * 2018-05-03 2019-11-13 김형찬 Handdrip machine and handdrip service system
KR102093170B1 (en) * 2018-11-12 2020-03-25 (주)드립플랜 Apparatus for forming spiral shape with water during brewing
KR20200054662A (en) *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ight between coffee grounds and nozzle
KR20200116876A (en) * 2018-11-12 2020-10-13 (주)드립플랜 An 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208767B1 (en) * 2020-08-20 2021-01-28 주식회사 제이에이티 Coffee drip apparatus
KR20210115154A (en) * 2020-03-12 2021-09-27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624B1 (en) 2017-03-21 2019-03-12 노영규 Condensed Vacuum Extract Device for Plant Material
KR101896838B1 (en) 2017-05-10 2018-09-07 이동혁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KR101927743B1 (en) * 2018-07-06 2018-12-11 (주)드립플랜 An automatic hand-drip coffee machine having hot water dispensing quantity control function
KR101978718B1 (en) 2018-07-12 2019-05-15 강삼태 Drip coffee-m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KR101992712B1 (en) 2018-09-13 2019-06-25 강삼태 Various beverage making devices
CN111374555B (en) * 2018-12-27 2022-06-24 万物智得股份有限公司 Hand coffee recording system
KR102064243B1 (en) * 2019-02-18 2020-02-11 주식회사 노블트리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TWI692336B (en) * 2019-04-24 2020-05-01 萬物智得股份有限公司 Hand punching coffee action recording device
KR20210136550A (en) * 2020-05-08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ffee maker
TR202110134A2 (en) * 2021-06-22 2021-07-26 Karaca Zueccaciye Ticaret Ve Sanayi Anonim Sirketi A COFFEE MACHINE
KR20230064141A (en) 2021-11-03 2023-05-10 이성규 Automatic Drip Coffee Brewing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10Y1 (en) * 2000-12-23 2001-06-01 정성주 Automatic coffee drip pot
KR100897948B1 (en) 2007-09-12 2009-05-18 안승대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200459202Y1 (en) 2009-02-16 2012-03-22 송유진 Coffee maker for manual-drip
KR20130092131A (en) * 2012-02-10 2013-08-20 박수효 Coffee drip devic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20150029215A (en) * 2013-09-09 2015-03-18 고영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10Y1 (en) * 2000-12-23 2001-06-01 정성주 Automatic coffee drip pot
KR100897948B1 (en) 2007-09-12 2009-05-18 안승대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200459202Y1 (en) 2009-02-16 2012-03-22 송유진 Coffee maker for manual-drip
KR20130092131A (en) * 2012-02-10 2013-08-20 박수효 Coffee drip device
KR20150029215A (en) * 2013-09-09 2015-03-18 고영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1234A1 (en) * 2017-07-10 2019-01-17 林紫绮 Three-axis double-plane actuation coffee machine structure simulating manual brewing
CN110769725A (en) * 2017-07-10 2020-02-07 林紫绮 3-axis biplane-actuated hand-simulated coffee machine structure
KR20190127166A (en) * 2018-05-03 2019-11-13 김형찬 Handdrip machine and handdrip service system
KR102093170B1 (en) * 2018-11-12 2020-03-25 (주)드립플랜 Apparatus for forming spiral shape with water during brewing
KR20200054662A (en) *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ight between coffee grounds and nozzle
KR20200116876A (en) * 2018-11-12 2020-10-13 (주)드립플랜 An automatic coffee machine
KR20210115154A (en) * 2020-03-12 2021-09-27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KR20210127897A (en) * 2020-03-12 2021-10-25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KR102208767B1 (en) * 2020-08-20 2021-01-28 주식회사 제이에이티 Coffee drip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09519A (en) 2016-12-15
KR101693261B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61B1 (en) Automatic drip coffie
JP6564760B2 (en) Automatic coffee drip equipment
US9320386B2 (en) Method for using a beverage brewing apparatus
EP1593328B1 (en) Single/multiple beverage machine
CN105916418B (en)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brewed
CN105120720B (en) Italian type concentrated coffee milk frother
JP6023819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P2146609B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with pump dispensing system
US10820737B2 (en) Brewing device having a temperature optimized singular brew sized water chamber ontop configured to flow temperature optimized water to a brewing basket via gravity
CN101953632A (en) Be used to export the equipment of beverage
AU2005240216A1 (en) Single/multiple beverage machine
US20100083841A1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EP3713458B1 (en)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of control
JP2006263028A (en) Espresso coffee machine
US3459118A (en) Automatic urn coffeemaker
US11406218B2 (en)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EP2832271A1 (en) Machine for making an infused dr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