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470A -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470A
KR20160122470A KR1020150052398A KR20150052398A KR20160122470A KR 20160122470 A KR20160122470 A KR 20160122470A KR 1020150052398 A KR1020150052398 A KR 1020150052398A KR 20150052398 A KR20150052398 A KR 20150052398A KR 20160122470 A KR20160122470 A KR 2016012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emergency
user termi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만구
홍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5005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470A/en
Publication of KR2016012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4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mergency by using a wearable device. The system for monitoring an emergency by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earable device which detects a state of a user; and a user terminal which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state of the user, and waits for an emergency release instruction input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of a user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by using the wearable device worn or carried by the user, and a rescue request can be more rapidly transmitted to a reception target registered in advance when an emergency is determined to have occurred based on the state of the user.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to a user and requesting a structure thereof.

최근 들어,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많이 기사화되고 있으며, 그 심각성은 갈수록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평균 수명이 지속적으로 연장됨에 따라 전세계는 점차 노령화 사회로 진전되고 있고, 핵가족화에 의한 개인주의의 병폐로 늙으신 부모님을 모시기 싫어하는 현상이 만연되고 있다. Recently, the issue of low fertility and aging has been widely reported as a social issue, and its seriousnes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continuously exten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the world is gradually progress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the phenomenon of disliking parents who are old by the illness of individualism caused by the nuclear family is prevalent.

이에 따라, 고령이면서도 혼자 사는 노인의 빈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노령화 사회로 전환되는 현 시점에서는 노약자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호, 관찰이나 복지 등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시스템이 더욱 요구된다.As a result, the frequenc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living alone is getting higher and more, and at this point in the transition to an aging society, a support system for the socially weak such as protection, observation or welfare for the elderly or patients is further required.

이에 종래에는 응급 상황의 발생 시 사용자가 감시폰의 버튼을 누르면, 지정된 번호로 감시폰의 위치와 주위의 사진이 전송되어 스스로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Conventionally, a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which, when a user presses a button of a surveillance phon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position of the surveillance phone and the surrounding photos are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number, thereby requesting the structure itself.

그러나, 종래 시스템의 경우,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야만 긴급 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이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낙상, 심장마비 또는 실신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쓰러지는 경우에는 스스로 긴급 호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보호자나 구조기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ystem, since the emergency call can be made only when a user in an emergency has to directly press the button, the use thereof is restricted when the user can not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when a user falls due to falling, heart attack, or fainting, the user can not make an emergency call,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uardian or rescue institution can not ask for help.

이에 따라,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게 빠른 조치를 하지 못하므로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lead to death because the user who is in an emergency can not take quick action.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92641호 (등록일 2007. 03. 0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92641 (registered on March 03, 200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보다 신속하게 구조 요청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that can detect a user's condition in real time using a wearable device worn by a user, And to provide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earable device that can request a rescue more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ther objects that can be achieved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objects explicitly mention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치, 그리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상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의 입력을 대기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the system comprising: a wearable device for detecting a state of a user; And a user terminal that waits for an emergency release command from the user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f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to the registered reception object.

상기 구조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wearable device.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senses whether a user's movement state or biological signal wearing o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user's movement state or biologica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방법은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상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method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a state of a wearable device by a wearable device,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state of the user, And a step of waiting for an input of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from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f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to the registered reception object.

상기 구조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wearable device.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senses whether a user's movement state or biological signal wearing o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user's movement state or biologica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보다 신속하게 구조 요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tate of the user in real time using the wearable device worn or carri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mptly request a structure to be registered in advance to the reception object.

보다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 또는 구조기관 단말로 구조를 요청하여 사용자가 비상 상황을 신속히 면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state or a biological signal of a user through various sensors in a wearabl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request the structure to the guardian terminal or the rescue institu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face an emergency situation.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지에 따라 실제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오판단으로 인한 불필요한 구조 요원의 출동이나 보호자의 걱정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has actually occurred according to whether an emergency releas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dispatch of unnecessary rescue personnel due to misjudgment or worry of the guardian can be reduced.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피해를 막고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하여 사용자 본인 및 가족 전체의 육체적 또는 정신적 고통을 경감시키고,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additional damage that may occur to the user and notify the caregiver promptly, thereby alleviating the physical or mental pain of the user and the whole family, and minimizing the economic loss.

게다가, 연간 발생되는 의료비의 절감과 노령화 시대인 현 시점에 걸맞는 노인 복지의 정착에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노약자, 환자 또는 이들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자에게 더욱 안심하며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In addition, it is not only very effective in reducing the annual medical expenses and establishing the welfar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current age, which is the age of aging, but also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lderly, the patient, Create an effect.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also included 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웨어러블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earable device shown i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process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및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웨어러블 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earable devic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1)은 웨어러블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구조기관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1 using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 rescue team terminal 300. [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동 환경에서 자유자재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기를 의미한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가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을 때에도 항상 사용자와 같이 있고, 사용자가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손목형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고, 안경형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manufactured to be worn on a wearer's body or clothes or carried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in a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manner so that the user can freely use the device in a mobile environment. The wearable device 100 is always present with the user even when the user is performing any activity, and the user can use the wearable device at any time. For example, the wrist wearable device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and the spectacled wearable device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00 may detect the status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detected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200. [

보다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센서부(120), 제어부(140), 통신부(16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20, a control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60, and a storage unit 180.

센서부(120)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신체 또는 의복에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차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뇌전도 센서, 맥박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can detect a movement state or a biological signal of a wearer wearing or carrying the wearable device 100 on the body or clothes.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motion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for sensing a movement state of a user.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n electromyogram sensor, an electrocardiogram sensor, an electroencephalogram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or the like. Accordingly, the sensor unit 120 can detect the movement state of the user or the living body signal, and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movement state of the user or the living body signal.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감지하고,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예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motion state or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user. That is, the controller 140 detects whether the detected motion state of the user or the biomedical signal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If the motion state of the user or the biomedica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40 preliminarily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점을 감지하고, 감지된 시점 이후에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가 운동 등의 신체 활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로 이어지는 경우(예컨대,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기준치를 초과한 시간이 짧게 이어지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예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낙상하거나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고, 심전도 센서나 맥박 센서를 이용하여 맥박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심장마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급격한 체온 저하나 체온 상승으로 인한 쇼크를 감지할 수 있고, 피부 내 혈관의 혈류량과 심박수를 이용하여 외부충격, 쇼크, 심장마비나 동맥경화로 인한 혈류량 증가 또는 뇌졸중 등을 감지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e movement state of the user or the time when the bio-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reference value is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exceeded after the detected time, However, when the user's movement state or the time when the bio-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continu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state of the user or the time when the bio-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s shortened) It is possible to preliminarily judg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can sense a user's fall or mental condition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motion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When the pulse is out of a normal range using an electrocardiogram sensor or a pulse sensor Heart attack,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40 can sense a shock due to a sudden temperature drop or a temperature rise by using a temperature change of the user, and can detect an external shock, a shock, a heart attack or atherosclerosis using the blood flow rate and heart rate of blood vessels in the skin. Or increase in blood flow due to stroke, or the like.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200)과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비콘(Beaco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supports the exchange of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beacon, a Wi-Fi, a bluetooth, a zigbee, an IrDA, an Ultra Wideband (UWB), 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통신부(16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60)는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예비 판단되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60 can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200 only when the user is preliminarily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그리고, 통신부(16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휴대한 사용자의 정보로,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병력 또는 보호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user's name, gender, age, address, history of the user, or guardian, etc., as information of a wearer wearing or carrying the wearable apparatus.

저장부(180)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8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8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wearable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80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한편, 웨어러블 장치(100)는 GPS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GPS receiver (not shown) to transmi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to the user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망(10)을 통해 구조기관 단말(300)과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residential institu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여기서,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generation)/4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 internet, a 3G /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Long Term Evolution (LTE), and may include any type of communication method Does not matter.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전화 통화를 지원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memory unit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eb pad, etc., And may include all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capable of supporting telephone calls.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는 비상 상황 구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비상 상황 구조 어플리케이션은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실제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구조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In particular, an emergency situation structure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situation structure application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actually occurred to the user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To support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be rescued.

사용자는 비상 상황 구조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거나 수행한 후에 사용자 단말(200)은 비상 상황 구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제공 받고, 이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구조 요청 정보를 전달받을 수신 대상의 등록이 이루어진다. 수신 대상에 대한 정보는 보호자 단말이나 구조기관 단말 등을 기본적으로 수신처로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단말이 등록될 수도 있다.The user can perform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n order to receive the emergency situation rescue service. After performing or performing the membership subscription procedure, the user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for installation of the emergency configuration application and can install the emergency configuration service application using the URL. At this time, registration of the reception subject to receive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target is registered as a destination as a guardian terminal or a residential institution terminal, but various terminals may be register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200)은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예비 판단되면,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리거나 경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소리 또는 진동 형태로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거나 푸시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릴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terminal 200 preliminarily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rough the user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notify the user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You can alarm.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n the form of a sound or a vibration, or may output a push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o notify the user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비상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비상 상황 구조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비상 해제 명령을 통하여 실제로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he user terminal 200 can wait for the user to input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can finall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through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of the user inputted into the emergency situation structure application.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200)은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데, 소정 시간 동안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예컨대, 비상 해제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최종 판단하여 상황을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200)은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거나 비상 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fter output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he user terminal 200 detects whether the emergency state is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detecting whether the emergency cancellation command is inputted. When the emergency state is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release button), the user can finally determine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not occurred and terminate the situation. However, if the emergency termi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or if a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the user terminal 200 can finally determin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o the user.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되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은 소방서, 경찰서 또는 보안회사 등의 구조기관이 운영하는 구조기관 단말(300)로,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구조 요청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관 단말(300)은 구조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비상 상황에 출동할 수 있는 구조 요원 등이 휴대한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달하여 출동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그러면, 구조 요원 등은 직접 사용자를 찾고 발견 즉시 사용자의 상태에 상응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f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user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reception object. At this time, the previously registered reception object can receive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the rescue institution terminal 300 operated by the rescue organization such as a fire station, a police station or a security company. In particular, when the rescue team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the rescue team terminal 300 transmits rescue request information to a terminal (not shown) carrying a rescue agent or the like capable of dispatch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like. The rescue personnel can then directly find the user and take the appropriate ac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of the user upon discovery.

이때, 구조 요청 정보는 문자 메시지 송신, 전화 통화 연결 등의 방식으로 구조기관 단말(30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조 요청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구조 요청 정보의 전달 시간과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escue team terminal 300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 telephone call connection, or the like.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wearable device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time of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구조기관의 구조 요원 등은 사용자 단말(200)의 소지자에게 전화 통화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한 후 긴급 출동 상황을 판단하고, 전화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긴급 출동 상황으로 간주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cue personnel of the rescue organization can check the specific state of the user by connecting a telephone call to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 the emergency dispatch situation, and if the telephone call is not connected, .

한편,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웨어러블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를 모두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요양원 등에서는 복수의 노인에게 웨어러블 장치를 각각 착용시킨 후, 간호사 등이 부재한 상태에서 노인에게 갑자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비상 상황이 누구에게 발생하였고,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였는지를 빠르게 파악하여 구조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구조 요원의 출동 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병력 등을 보다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re transmitted together so that all the users carrying the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So that it can be managed. For example, in a nursing home or the like, when a wearable device is worn by each of a plurality of elderly people and an emergency situation suddenly occurs to an elderly person in the absence of a nurse, etc., the wearable device displays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mptly identify to whom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and from which location, and to request the rescue. In addi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t the time of dispatching the rescue personnel, the user can recognize and cope with the existing troops quickly.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스로 대응할 수 없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웨어러블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스스로 비상 상황 발생을 감지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응급 조치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 not cope with itself occurs, the user terminal 200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by himself / herself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00 and can ask for help, so appropriate emergency measures can be provided in a timely mann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process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process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가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한다(S300).As shown in FIG. 3, the wearable device 100 senses the state of the user (S300).

보다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신체 또는 의복에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차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뇌전도 센서, 맥박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device 100 may sense a movement state or a living body signal of a user wearing or carrying the wearable device 100 on the body or clothes.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motion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to detect a user's movement stat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n electromyogram sensor, an electrocardiogram sensor, an electroencephalogram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or the like. Accordingly, the sensor unit 120 can detect the movement state of the user or the living body signal, and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movement state of the user or the living body signal.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motion state or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detected user.

보다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감지하고,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예비 판단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device 100 detects whether a user's movement state or a biological signal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user's movement state or biological signal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wearer device 100 preliminarily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200.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휴대한 사용자의 정보로,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병력 또는 보호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user's name, gender, age, address, history of the user, or guardian, etc., as information of a wearer wearing or carrying the wearable apparatus.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S310).Then, the user terminal 200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state of the user (S310).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200)은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예비 판단되면,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리거나 경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소리 또는 진동 형태로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거나 푸시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릴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terminal 200 preliminarily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rough the user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notify the user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You can alarm.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n the form of a sound or a vibration, or may output a push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o notify the user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다음으로,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지 판단(S320)하여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S320-Y),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3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is inputted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S320). If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is not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S320-Y),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reception target (S330).

즉,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되는 사용자의 비상 해제 명령을 통하여 실제로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can finall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through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of the inputted user.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200)은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데, 소정 시간 동안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예컨대, 비상 해제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최종 판단하여 상황을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200)은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거나 비상 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fter output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he user terminal 200 detects whether the emergency state is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detecting whether the emergency cancellation command is inputted. When the emergency state is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release button), the user can finally determine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not occurred and terminate the situation. However, if the emergency termi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or if a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the user terminal 200 can finally determin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o the user.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되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은 소방서, 경찰서 또는 보안회사 등의 구조기관이 운영하는 구조기관 단말(300)로,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구조 요청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기관 단말(300)은 구조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비상 상황에 출동할 수 있는 구조 요원 등이 휴대한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달하여 출동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그러면, 구조 요원 등은 직접 사용자를 찾고 발견 즉시 사용자의 상태에 상응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f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user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reception object. At this time, the previously registered reception object can receive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the rescue institution terminal 300 operated by the rescue organization such as a fire station, a police station or a security company. In particular, when the rescue team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the rescue team terminal 300 transmits rescue request information to a terminal (not shown) carrying a rescue agent or the like capable of dispatch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like. The rescue personnel can then directly find the user and take the appropriate ac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of the user upon discovery.

이때, 구조 요청 정보는 문자 메시지 송신, 전화 통화 연결 등의 방식으로 구조기관 단말(30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조 요청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구조 요청 정보의 전달 시간과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escue team terminal 300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 telephone call connection, or the like.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wearable device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time of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구조기관의 구조 요원 등은 사용자 단말(200)의 소지자에게 전화 통화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한 후 긴급 출동 상황을 판단하고, 전화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긴급 출동 상황으로 간주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cue personnel of the rescue organization can check the specific state of the user by connecting a telephone call to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 the emergency dispatch situation, and if the telephone call is not connected, .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is medium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described above. Th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Examples of such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 and DVD, programmed instructions such as floptical disk and magneto-optical media, ROM, RAM, And a hardware device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program. Or such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optical or metal lines, waveguides, etc., including a carrier wave that transmits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100: 웨어러블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구조기관 단말
1: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100: Wearable device
200: user terminal
300: rescue institution terminal

Claims (10)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치, 그리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상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의 입력을 대기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 wearable device that detects the status of the user, and
A user terminal for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state of the user and waiting for input of an emergency release command from the user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Wherein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 wearable device.
제 1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nd transmits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to a previously registered receiving object when the emergency resuming command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resuming signal is outputted.
제 2 항에서,
상기 구조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Wherein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wearable device.
제 1 항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device comprises:
The wearable device senses whether the wearable state of the user wears or moves the wearable body or the biological signal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biological state signal or the biologica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to transmit.
제 4 항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earable device comprises: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상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방법.
The wearable device detecting the state of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state of the user and waits for the input of the emergency release command from the user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6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상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nd transmits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to a previously registered reception object if the emergency resume command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제 7 항에서,
상기 구조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ructure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wearable device.
제 6 항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 또는 생체 신호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wearable device comprises:
The wearable device senses whether the wearable state of the user wears or moves the wearable body or the biological signal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biological state signal or the biologica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 method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to transmit.
제 9 항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wearable device comprises: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KR1020150052398A 2015-04-14 2015-04-14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 KR201601224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98A KR20160122470A (en) 2015-04-14 2015-04-14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98A KR20160122470A (en) 2015-04-14 2015-04-14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470A true KR20160122470A (en) 2016-10-24

Family

ID=5725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398A KR20160122470A (en) 2015-04-14 2015-04-14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470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61B1 (en) * 2017-12-18 2019-01-22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ountain distress using low power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thod for requesting rescue
KR20190100657A (en)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Wearable apparatus for patient monitoring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07159A (en) * 2019-03-06 2020-09-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mergency with wearable devices
KR20210098280A (en) * 2020-01-31 2021-08-10 이상우 System, wearable apparatus, user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
KR102392952B1 (en) * 2021-07-02 2022-05-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KR20230094457A (en)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록스 Method for care service in sanitarium using wearabl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41B1 (en) 2006-03-31 2007-03-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mergency reque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41B1 (en) 2006-03-31 2007-03-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mergency reques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61B1 (en) * 2017-12-18 2019-01-22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ountain distress using low power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thod for requesting rescue
KR20190100657A (en)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Wearable apparatus for patient monitoring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07159A (en) * 2019-03-06 2020-09-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mergency with wearable devices
KR20210098280A (en) * 2020-01-31 2021-08-10 이상우 System, wearable apparatus, user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
KR102392952B1 (en) * 2021-07-02 2022-05-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KR20230094457A (en)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록스 Method for care service in sanitarium using wear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2470A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using Wearable Device
Lee et al. Smart elderly home monitoring system with an android phone
CN107530011A (en) Personal security and guarantee Mobile solution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heart rate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JP4575133B2 (en) Sensing system and method
EP2911577A1 (en) Management, control and communication with sensors
KR101489896B1 (en) Apparatus for Emergency Calling and Method thereof
KR1017823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Emergency Situation
KR20080109371A (en) Emergency rescue system
KR101485449B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by cooperation between users using smart device
CA2963845C (en) System and approach for integration of parameters from wearable cloud connected access control devices
KR201900491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KR20200015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KR20170000123A (en) Care system for patient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JP6989932B2 (en) Emergency contact device and emergency contact system using this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CN106230991A (en) A kind of patient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KR20140013741A (en) Method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 device that control danger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physiological signal and plural password
KR20190070068A (en) System for Managing Fall Accident using Wearable Device
KR102553745B1 (en)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arming service using voice message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TWI656502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rtable safety care
Bhanupriya et al. Activity tracker wrist band for children monitoring using IoT
KR20200116241A (en) Smart care system
Noh et al. Portable health monitoring systems using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