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371A -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371A
KR20160122371A KR1020150052131A KR20150052131A KR20160122371A KR 20160122371 A KR20160122371 A KR 20160122371A KR 1020150052131 A KR1020150052131 A KR 1020150052131A KR 20150052131 A KR20150052131 A KR 20150052131A KR 20160122371 A KR20160122371 A KR 2016012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ranslation
information
languag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5005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371A/ko
Publication of KR2016012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89
    • G06F17/30669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다른 국가 언어에 익숙하지 않거나 언어가 통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자신이 사용하는 전자장치에서 자국어를 이용하여 언어 장벽을 해소하며 불특정 다수의 언어별로 자동으로 통·번역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통·번역서비스의 통합관리 서버를 매개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 간 통신망을 통하여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여 자국어를 사용하여 자신이 소유한 전자장치로 상기 전자장치에서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언어정보를 판독하는 것만으로 통·번역서비스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를 이용한 통·번역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이용자 전자장치의 현재 사용하는 언어로 통·번역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향상시켜 줌으로써, 이용자 전자장치로 이용하는 통·번역 서비스가 질적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다른 국가 언어에 익숙하지 않거나 언어가 통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자신이 사용하는 전자장치에서 자국어를 이용하여 언어 장벽을 해소하며 불특정 다수의 언어별로 자동으로 통·번역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통·번역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 전자장치를 통해 전 세계인들이 자국민하고 통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것처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번역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가 전자장치를 통해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해당 국가의 언어를 선택하여 설정하면 해당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되며 운용되었다.
또한 이와 다른 방식으로써, 통·번역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통·번역 서비스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수신된 통·번역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 해주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통·번역 서비스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더라도 통·번역 서비스 이용 시 상대편과 통화 및 수신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언어설정을 다시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출장 및 여행등과 같은 목적으로 해외를 방문하는 다양한 국적의 사용자들은 외국 여행 시 언어 소통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외국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많이 사용한다. 이와같이 이용자의 경우 상술한 것처럼 관련 통·번역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다시 이용할 언어 정보를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관련 통·번역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이에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내국인 또는 외국인이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정보에 익숙하지 못하거나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를 모르는 경우가 많아도 현지인에게 실제적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언어 전달을 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잘 모르는 상황에서 비교적 용이하면서도 통·번역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기술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고 이는 국제화의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는 최근 경향에 비춰볼 때, 그 필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임은 필연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전자장치에 입력 설정된 식별정보를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등을 통하여 전자장치를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판독하여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 서비스 관련 정보를 매칭 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통·번역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 서비스 관련 정보가 입력 저장된 서버 또는 전자장치(또는 보조 전자장치) 메모리와, 서버 또는 전자장치(또는 보조 전자장치)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식별 정보를 전자장치(또는 보조 전자장치) 또는 서버에 미리 입력, 저장된 전자장치(또는 보조 전자장치)별로 각 국의 언어별 정보와 언어별 정보 전달 체계의 변화에 따라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또는 보조 전자장치)의 체계적인 언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통·번역서비스 관련 언어정보가 포함된 이용자 전자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용자가 이용하는 전자장치 관련 언어정보와 미리 입력, 저장된 언어정보에 응답하여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로 간결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외에 체류 중인 사용자가 체류 국가의 언어에 숙련도에 상관없이 자국어로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로 통화나 문자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자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통·번역서비스 관련 고유 식별정보로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로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통합관리 서버에 미리 입력 저장된 언어정보 또는 생성된 언어정보를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통·번역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 서비스 관련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와 언어정보 검색을 하여 통·번역 서비스 정보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비스의 통합관리 서버를 매개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통·번역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장치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 및 상대편 이용자 모두가 자신이 소유한 전자장치로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실행하는 것만으로 통·번역 서비스 이용이 이루어지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이용자 전자장치로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아이콘 및 URL정보를 간편하게 터치하는 것만으로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정보에 익숙하지 못한 해당 이용자가 이용하는 전자장치를 통하여 자국어로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자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통·번역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 저장하여 전자장치로 읽을 수 있고 전달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생성 후 상기 전자장치로 제공될 통·번역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정보를 간단하게 터치하는 것만으로 APP이 자동 실행되어 통·번역 서비스 이용자들이 통·번역 서비스를 이용 하는데에 있어 편리성으로 인하여 통·번역 서비스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유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 및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하였을 시 아이콘 및 URL정보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통·번역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를 통하여 다른 분야에 응용하여 이용자 증가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 전자장치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이용자 전자장치로 이용하는 통·번역 서비스을 실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으로써 전자장치를 이용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은,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와 관련 언어별 정보가 저장되는 통합관리 서버와, 상기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및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할 통·번역 서비스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 통·번역 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생성된 통·번역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 및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 통신망을 통한 통·번역 서비스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상기 통·번역 서비스 이용자의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 및 제공할 관련 언어별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며 등록된 상기 언어별 정보를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언어정보 전송 시,
기 저장된 해당의 상기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언어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언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되어 제공할 통·번역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언어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입력하여 생성된 통·번역 서비스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와,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 서비스 이용 시 상기 통·번역 서비스를 이용한 후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에는 디바이스 정보, 모바일 식별 번호,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통·번역 서비스를 이용할 통·번역 서비스 내용, 통·번역 서비스 이용요금,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할 통·번역 서비스 관련하여 이용할 수 있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자가 제공할 통·번역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전자장치별로 해당되는 언어별 정보를 생성 후 상기 전자장치로 관련 통·번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정보를 간단하게 터치하는 것만으로 APP이 자동 실행되어 서비스 이용자들이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번역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후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통·번역 서비스를 이용할 관련 정보를 더 입력한 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통·번역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또는 이동 통신 번호정보,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또는 이동 통신 번호정보,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와 맵핑되어 등록된 고유 식별정보와 이용하는 언어별 정보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통·번역 서비스 요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번역 서비스를 이용할 상대편 전자장치의 언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언어별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URL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URL 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화면에 표시하여 URL 정보의 표시 영역에 대한 터치 시 상기 관련 통·번역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 또는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번역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정보는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입력된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통·번역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관련 통·번역서비스 고유 식별정보의 판독 시 수신된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한 관련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더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관련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관련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전송한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관련 통·번역서비스 요청 이용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 사전 설정된 언어정보에 의해 상기 통·번역서비스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는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에 필요한 추가사항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가 생성 시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언어별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의 생성 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언어별 정보를 지정된 언어정보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며,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에 해당하는 언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언어 정보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와,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서비스 전자장치의 이동 통신 번호정보, 소유자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부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를 통하여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번역서비스 이용 승인에 따라 처리하는 서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관련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이용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서버와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및 통·번역서비스 관련 언어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부와 관련된 언어정보를 추출 할 수 있는 추출부, 그리고 상기 통·번역서비스 제공·요청신호의 언어정보 생성 기능을 갖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언어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통·번역 정보 제공 운영 시스템은, 상기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를 통하여 서비스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자 전자장치가 정보를 판독 시 언어정보가 포함된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가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 또는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되고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더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입력하여 생성된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 또는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관련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의 송, 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언어별 관련 정보의 맵핑 후 저장을 통해 회원 등록되며, 등록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상대편 전자장치에 중계하는 서비스 공급자 서버와, 상기 서비스 공급자 서버에 회원 등록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제공할 관련 언어정보를 받아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통합관리 서버 및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 신호의 수신 시 서비스 이용을 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되어 등록한 식별정보로 상기 설정한 언어정보를 기준으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관련 언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통·번역서비스 관련 언어정보를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가 통·번역서비스 이용 시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되어 등록되며 관련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이용자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해당 언어 정보에 해당하는 언어로 번역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언어 정보에 해당하는 언어별 정보를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은,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가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현재 사용하는 언어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전자장치의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언어정보를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언어정보로부터 검출되어 제공할 관련 언어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언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제공 언어정보를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의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상기 고유 식별정보로써 URL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대편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언어정보, 통·번역서비스 공급자의 회사, 통·번역시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서비스 이용자가 지정하는 언어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공급자의 관련 통·번역서비스가 제공되는 고유 식별정보별로 해당 정보 값이 입력되어 통·번역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생성한 통·번역서비스를 요청할 언어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로 전송되는 관련 서비스요청 언어정보를 해당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와 연계되는 상기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의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전자장치별로 상기 통·번역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신호를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사전 설정된 언어정보를 기준으로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 송신된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가 서비스이용에 대해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승인한 단계 이후에,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언어정보를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이용자가 이용하는 언어정보와 상대편 이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정보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통·번역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가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현재 사용하는 언어정보가 포함된 통·번역 관련 언어정보를 회원 등록한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공급자 서버가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신호를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신호를 전송한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검출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사전 설정되어 사용하는 언어정보를 기준으로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를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 회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번역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장치를 통하여 판독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용자가 해당 국가의 언어에 숙련되지 못한 경우에도, 해당 통·번역서비스를 이용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통·번역서비스의 통합관리 서버를 매개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 간 통신망을 통하여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 및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용자 모두가 자국어를 사용하여 자신이 소유한 전자장치로 상기 전자장치에서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언어정보를 판독하는 것만으로 통·번역서비스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를 이용한 통·번역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이용자전자장치의 현재 사용하는 언어로 통·번역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향상시켜 줌으로써, 이용자 전자장치로 이용하는 통·번역서비스가 질적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의 통·번역서비스 신청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P설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번역서비스 요청 또는 제공 이용 시스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위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번역서비스를 통한 상대편 전자장치와 SMS문자로 소통하는 전자장치 해상도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번역서비스를 통한 상대편 전자장치와 음성통화로 소통하는 전자장치 해상도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된 어떠한 전자장치 내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전송 방법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어떠한 전자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으로부터 위치 신호 수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POS단말기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전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 (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 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 (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전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 방법은 통·번역서비스 요청 및 통·번역서비스 제공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서비스 관련 요청 정보는 관련 통·번역서비스를 요청할 상황이 발생 시 전자 장치가 사용하는 언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번역서비스 관련 요청 정보는 관련 서비스를 요청 할 상황이 발생 시 미리 저장된 언어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정보는 전자 장치가 현재 사용하는 언어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정보는 서비스를 이용할 전자장치와 관련하여 언어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통신방법은 복수 개의 통신 방법으로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통신이다.
예컨대,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은 전자 장치의 소유자에게 통·번역서비스제공·이용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용자는 서버에 구비된 통·번역서비스이용·요청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이용 할 통·번역서비스 관련 식별정보를 전자 장치를 통해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정보와 서로 맵핑된 회원별 서비스 이용방법 정보를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관리서버(300)는 웹서버(140), 발신자번호 추출부(120), SMS처리부(130), 음성처리부(160), 데이터베이스(110) 및 관리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전자 장치(400), 상대편 전자장치(50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 또는 무선 랜 모듈(미도시)를 통해 통신망(200)과 연결된 통합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정보 관리 시스템은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이용자 전자 장치(400), 상대편 전자장치(500)는 구비된 입력부(42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한 통·번역서비스 제공·요청정보를 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통합관리 서버(300)에 구비된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3),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11)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인 상대편 전자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구비된 입력부(420)와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의해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4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나타내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이용자 전자 장치(400)는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언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공급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언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 전자 장치(400)는 구비된 통신망(200)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 공급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언어 정보(미도시)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정보와 서버(110)가 이용자 전자장치(400)를 다른 이용자 전자장치(500)와 식별 가능하도록 해주는 고유 식별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언어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유 식별정보는 이용자 장치(400)의 구비된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1)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생성된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500) 또는 보조장치(550)는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이용자 전자 장치(400)의 서비스요청(411)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용자 전자장치(500)는 회원 서버(113)에 서비스를 이용할 언어정보와 서비스내용을 미리 등록 되어 이용자 전자장치(400)와 동일한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장치(500)로이다. 언어정보는 통합관리 서버(300)의 운영자에 의해 설정 및 재설정되어 관리서버(150)에 구비된 저장부(154)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통신)망(200)은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 운영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에서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전자 장치(400), 상대편 전자장치(500)는 통신모듈(430), 입력부(420), 디스플레이부(440), GPS수신부(450), 제어부(460), 저장부(470) 및 메모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전자 장치(400), 상대편 전자장치(500)는 성능에 따라 통신부에 이동 통신 모듈(430), 무선 랜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3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400)가 다른 전자 장치(500) 또는 외부 서버(300)와 같은 외부 전자장치(5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30)은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미도시) 또는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이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통신)망(20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3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전자장치(400)와 다른 전자장치(500)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4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밴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RF 트랜시버모듈(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40)는 이용자 입력(예컨대, 화면 터치)에 의한 이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저장부(470)를 통해 사용하는 언어를 기반으로 산출된 언어정보 값으로부터 전자 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미도시) 및 키패드(4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미도시)은 전자장치(4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480)는 전자장치(400)의 제어를 위해 이용자로부터 키입력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480)는 전자 장치(미도시)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480) 또는 디스플레이부(4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미도시)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480)는 전자 장치(미도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470), 제어부(46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컨대,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4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전자 장치(400)와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다른 전자 장치(500), 외부 서버(300) 등)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들, 전자 장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잠금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기계(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470)는 비휘발성 매체(non - 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서비스 관리 식별 정보 및 관련된 언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14)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 상대편 전자장치(500)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복수 개의 전자 장치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 상대편 전자장치(500)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 설정 정보 및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통신부(430), 디스플레이부(440), 입력부(420), 저장부(470), 키패드(480), 메모리(490) 및 전원공급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통신에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 또는 무선 랜 모듈(미도시)을 통해 네트워크(통신)망(200)과 연결된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서비스제공 상황을 나타내는 이용자 입력이 구비된 입력부(42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저장부(470)에 미리 저장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440) 된 화면에 추가로 정보 입력(42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통합관리 서버(300)는 저장된 이용자 입력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서비스제공(요청) 정보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460)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의 언어정보(문자(422), 음성(433)), 상대편 전자장치(500)의 언어정보(문자(522), 음성(533))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미도시)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언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이동 통신 모듈(430)을 통해 이동 통신 회사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된 위치에 있는 각각의 기지국과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된 경우, 복수 개의 기지국들의 고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삼각측량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관련된 언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무선 랜 모듈(미도시)과 무선 액세스 포인터(Wireless Access Point)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언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무선 랜 모듈(미도시)을 통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터와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요청 시 이용자가 전자 장치(400)를 통해 서비스요청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경우, 제어부(460)는 현재 연결된 무선 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상대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언어정보(문자(522), 음성(533))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구비된 통신 모듈(430)과 다른 전자 장치(500)의 통신 모듈 간(430)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언어정보(문자(522), 음성(533))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60)는 구비된 통신 모듈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다른 전자 장치(500)의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 제어부(460)는 통신 모듈 간의 서비스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언어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전자 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정보(문자(422), 음성(433)) 와 서버가 전자장치(400)를 다른 전자 장치(500)와 식별 가능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요청 정보를 도 4에 의해 추가 입력(225)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생성된 서비스요청(211)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222)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전송(222)한 서비스요청(211) 정보가 통합관리 서버(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예컨대, 다른 전자 장치, 다른 외부 서버)에 전송된 서비스요청(211) 확인 정보의 전송 결과 화면을 서버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110)는 언어정보 데이터베이스(111), 통역 번역 데이터베이스(112),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3), 전자장치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3)에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400)를 통해 등록한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관련 정보가 전자 장치(400)의 식별 정보와 언어별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관련 정보는 서비스요청(211)에 대한 정보 또는 이용한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요청(211)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한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는 통·번역서비스 이용 시 특이 사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3)에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400)를 통해 등록한 서비스를 이용할 언어, 음성, 문자, 연락할 전화번호 등이 식별 정보별로 맵핑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3)는 이용자의 디바이스정보, 전자장치 번호, 성명, 연락할 번호, 언어별 정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3)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 상대편 전자장치(500)의 식별정보와 언어별로 서로 맵핑되어 이용할 언어정보들이며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460)는 정보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전자장치(400)로부터 상대편 전자장치(5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관련 통·번역서비스 정보를 송·수신 받을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상대편 전자장치(500) 정보와 언어별(문자(522), 음성(533))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제어부(460)는 추출된 식별 정보와 맵핑된 통합관리 서버(300)로 부터 통·번역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제어부(460)는 수신된 통·번역서비스 제공 정보를 이용자 회원데이터베이스(113)에 식별 정보와 맵핑되도록 송신하여 이용자 전자장치(400)가 서비스 신청(211)하여 통·번역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제어부(460)는 추출된 전자장치 식별 정보로부터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언어정보를 인식하고, 동일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용자 전자장치(500)를 식별하기 위해 응답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용자 전자장치(500)는 서버(300)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식별 정보와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 중인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 제어부(152)는 네트워크(통신)망 (20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통·번역서비스요청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 제어부(152)는 수신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 및 언어정보(문자(422), 음성(433))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장치(400) 또는 서버(3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제어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제어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 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5 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요청(211)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서비스를 이용할 관련 식별정보를 전자장치별로 전송하여 통·번역서비스 이용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APP을 쉽게 설치(224)하여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219)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정보가 서버(110) 및 휴대용 전자장치(400)에 저장되고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장치를 포함하며, 통신(200)을 통하여 수신된 현재 위치에서 통·번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에 통·번역서비스 신청(211) 방법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통·번역서비스 신청 정보를 생성(212)하되, 통·번역서비스신청에 이용자 전자장치(400)를 통한 언어(문자(422), 음성(433)) 정보 및 전자장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생성된 통·번역서비스 신청(211)를 통신망(200)을 통해 외부의 서버(300)에 전송(222)하는 이용자 전자장치(400)이다.
또한 이용자전자장치(400)에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부(470)에 저장되며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서비스신청 요청 정보를 생성(214) 후 생성된 서비스 요청 관련 정보(211)를 상기 서비스신청(예약)할 언어 정보(문자(422), 음성(433))를 기준으로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사전 설정된 서비스신청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신청 요청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222)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통·번역서비스 요청(211) 관련 언어정보(문자(422), 음성(433))의 수신 시 서비스신청(예약) 정보가 상기 이용자전자장치 (문자(422), 음성(433))서비스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다른 전자장치 식별정보를 검출(215)하고 검출된 서비스신청(예약)을 통합관리서버(300)에 등록 할 수 있는 관리서버(150)를 포함한다.
한편 무선통신부와 외부는 근거리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Beacon),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신청 정보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수신된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언어정보(문자(422), 음성(433)) 또는 이용자가 지정한 언어정보(문자(422), 음성(433))정보에서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신청(211) 화면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부(440)에 소정의 형태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40)에 소정의 형태로 표시된 서비스신청(211)을 사용자가 선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 식별정보는 회원정보, 이용자가 이용할 서비스 관련 정보, 서비스 이용 정보, 언어정보 등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440)부에 소정의 형태로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44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통·번역서비스신청(225)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0)는 서비스신청(211)상황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목적을 위해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관련 언어정보들을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검색하고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을 자동 분류하여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회원정보를 저장한 이용자 회원 데이터베이스(113), 상기 관련 통·번역을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112)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언어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언어정보 데이터베이스(11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통신망(200)을 통해 외부의 서버(300) 및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 하나 또는 다수의 이용자전자장치(500)들에게 전송할 수 있는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별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114)와 매칭되는 언어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1)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를 판단할 수 있는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와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국가 언어별로 검출하는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이용자의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국가 언어별 식별정보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로 통신(200)하고자 하는 해당 전자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해당 언어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해당하는 상기 국가별 언어 및 문자별로 번역하는 통·번역 서버(112)를 두고, 통·번역서비스 제공·이용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전자장치별로 제공·이용할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입력·저장하고, 상기 이용할 통·번역서비스 관련하여 입력·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전자장치별로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용자 전자 장치(400)의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500)에서 사용하는 해당 언어별 정보를 생성(214)하여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500)로 전송(222)하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214)하여 이용자 식별정보 언어에 해당하는 언어별 정보(216)를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500)에서 사용되는 언어별로 통·번역되어 전송(222)하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장치 정보별로 번역에 사용될 각 국가별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언어 정보데이터베이스와(111) 이용자 전자장치로(400)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언어를 일시 저장하고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식별정보와 언어를 검색하여 매칭된 언어를 추출하는 언어 정보 추출부(153)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111)부터 상기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해당 언어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언어로 통·번역을 수행할 수 있는 통역 번역 서버(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400) 및 상대편 전자 장치(500)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430)를 두고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470),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통·번역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번역되어 생성된 언어별 통·번역 정보를 상기 상대편 다른 전자 장치(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60)는 이용자에 의한 언어별 조합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언어를 이용자 전자장치(400)에 의해 입력되는 단어를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통합관리 서버는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11)에 추가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언어를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통합관리 서버는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11)에 추가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와 전자 장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전자 장치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해당 국가별 언어 정보를 더 포함하며 국가의 각 언어별로 각각 작성되어 서버 및 전자장치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언어별 정보(1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500)의 해당 언어별 정보에 해당하는 언어로 번역되어 생성한다.
또한 통·번역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하여 고유 식별정보 판독 시 상기 관련 정보가 생성되어 지정된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의 전송,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 및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사전에 상기 서버에 등록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430),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470), 언어별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전자 장치의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440) 통·번역서비스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포함한 신호들 또는 정보들을 이용자가 전자 장치(4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420), 통·번역서비스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장치를 이용한 통·번역서비스는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400)에 언어정보가 저장되고 상대편 전자장치(500)가 이용하는 해당 언어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설정되어 사용하는 언어 및 관련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언어설정 정보를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로 전송하여 변경되어 이용할 언어별 정보를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언어를 전자장치 언어별로 설정(221)하고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언어별 정보를 전송(222)하고 수신된 설정된 언어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식별정보 및 언어정보를 추출(214)하고 추출한 정보에 해당되는 언어별로 번역(216)된 언어 정보를 상대편 전자장치(500)로 전송(222)한다.
그리고 전자장치(400)에서 이용하는 언어로 서버에 전송하고 상대편 전자장치(500)의 식별정보를 통하여 사용하는 언어별 정보를 생성(215)하고상대편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해당 언어로 통·번역하여 상대편 전자장치(500)로 전송한다.
또한 통·번역하고자 언어를 번역 서버로 전송하는 통·번역 요청 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지정하는 언어로 통·번역하여 통·번역된 정보를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통·번역 대응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국가별로 다수의 언어들이 저장된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11)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언어와 문자를 상황에 맞게 검색이 가능하도록 분류되고 분류된 각각에 해당되는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언어들을 조합하여 상기 검색된 언어들을 생성하고 화면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155)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출력된 언어들을 구성하는 언어들 중 저장된 통·번역된 언어들을 조합하여 상대편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언어별로 제공되는 통·번역된 언어들을 생성하고 화면에 출력한다.
그리고 통·번역서비스 요청자의 전자 장치(400)가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222)하고 서버가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상대편 전자장치의 정보를 검색(213)하고 서버(300)가 검색된 통·번역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상대편 전자장치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214)하고 요청 정보에 매칭되는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생성(215)하여 상대편 전자 장치(500)에 해당하는 언어로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통·번역하여 관련 언어 정보를 선택된 상대편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는 상기 전자장치로의 통·번역서비스를 수신하면,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해당 설정된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수신된 통·번역서비스가 설정된 언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언어 정보를 번역 서버로 재전송 한다.
여기서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140)와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전자장치의 발신번호를 추출하는 발신자번호 추출부(120)와 통·번역서비스 정보 및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부(153)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통·번역서비스 정보(112),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통·번역서비스 요청 이용정보(112)와 고유 식별정보, 전자장치별 서비스 제공 정보(114),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이용 정보(114),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 웹서버(140)와 통·번역서비스 정보 추출(153) 및 동작 제어(155) 그리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저장(154) 및 언어별 정보 검색(152)과 추출(153) 그리고 상기 통·번역서비스 정보의 생성 기능을 갖는 통합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합관리 서버(300)는 통·번역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에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1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통합관리 서버(300)는 통·번역서비스인 음성통화를 하기 위한 음성정보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에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정보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음성 처리부(160)를 더 포함한다.
한편 통·번역 서비스 요청 관련 회원 관리서버(113)는 웹서버(140)를 통해 언어별 제공 관련 정보를 기초로 통·번역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을 저장되는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와 이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에 상기 이용자전자장치(400)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에 기반하는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가 전자장치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440)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을 통하여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통·번역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번역서비스 제공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0)로 구성되어 제어(460)하고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번역서비스 제공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0)로 구성되는 제어부(460)와 제어부(460)를 통해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를 제공할 언어별 관련 데이터를 주출하고 상기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에 수신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정보와 디스플레이(440) 된 정보를 보고 설정하여 통·번역서비스 요청을 신청하고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에 이용자의 정보와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신청 또는 등록한다,
그리고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통·번역서비스 요청 등록은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에 필요 추가 사항을 입력하여 통·번역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에서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신청 또는 등록한 후 상기 전자장치에 결과 사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한다.
또한 전자장치 사이에 보조 전자장치를 통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전자장치 사이에 통·번역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번역서비스를 통한 상대편 전자장치와 음성통화로 소통하는 전자장치 해상도로써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음성통화를 요청하고 통합관리 서버(300)에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음성언어(433)로 통역하고 통역된 음성언어를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로 전송(222)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번역서비스를 통한 상대편 전자장치와 SMS문자로 소통하는 전자장치 해상도로써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전송된 음성언어(533)를 수신하고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수신된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음성언어로 통역(433)하여 통역된 음성언어를 이용자 전자장치(400)로 전송하고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533)로 전송된 음성언어를 수신한다.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422)로 SMS 문자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하고 통합관리 서버(300)에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SMS 문자로 번역하고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SMS 문자와 번역된 SMS 문자언어를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로 전송(222)한다.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전송된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SMS 문자와 번역된 SMS 문자언어를 수신하고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수신된 SMS 문자언어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SMS 문자언어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 서버(300)에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SMS 문자로 번역하고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SMS 문자와 번역된 SMS 문자언어를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는 사용하는 언어로 전송된 SMS 문자언어를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이용자 전자장치(400)에서 수신된 서비스상품을 제공하는 근접 위치에서 통신망(200)인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Beacon장치를 통해 제공할 서비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서버에 등록된 관련 통·번역서비스 관련정보를 바탕으로 통·번역서비스제공 관련 정보와 통·번역서비스 체계에 따라 제공될 관련 통·번역서비스 내용을 생성하고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할 통·번역서비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이용자 전자장치(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이용할 시 미리 서비스이용에 대한 설정된 방법으로 자동 실행되며 추출된 정보 및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통·번역서비스 요청의 자동입력 및 추가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이용시간 및 제어방법과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이용 테이블을 보유하며 이용한 서비스이용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 : 데이터베이스 111 :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
112 : 통역 번역 데이터베이스 113 : 이용자회원 데이터베이스
114 : 전자장치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 발신자번호 추출부 130 : SMS처리부
140 : 웹 서버 150 : 관리서버
151 : 생성부 152 : 검색부
153 : 추출부 153 : 저장부
155 : 제어부 160 : 음성처리부
200 : 통신망
300 : 통합관리서버 400 : 이용자 휴대용 전자 장치
420 : 입력부 430 : 통신 모듈
440 : 디스플레이(표시)부 450 : GPS수신
460 : 제어부 470 : 저장부
480 : 키패드 490 : 메모리
500 :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 550 : 보조장치

Claims (37)

  1.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 및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이용자전자장치들에게 전송할 수 있는 전자장치;
    상기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별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언어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를 판단할 수 있는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와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국가 언어별로 검출하는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이용자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국가 언어별 식별정보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통신하고자 하는 해당 전자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해당 언어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 해당하는 상기 국가별 언어 및 문자별로 번역하는 통·번역 서버;
    상기 통·번역서비스 제공·이용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전자장치별로 제공·이용할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를 입력·저장하고, 상기 이용할 통·번역서비스 관련하여 입력·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할 전자장치별로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용자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는 해당 언어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용자 식별정보 언어에 해당하는 언어별 정보를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언어별로 통·번역되어 전송하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번역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 정보별로 번역에 사용될 각 국가별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언어 정보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언어를 일시 저장하고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식별정보와 언어를 검색하여 매칭된 언어를 추출하는 언어 정보 추출부와;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상대편 다른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해당 언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언어로 통·번역을 수행할 수 있는 통·번역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상대편 전자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통·번역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번역되어 생성된 언어별 통·번역 정보를 상기 상대편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에 의한 언어별 조합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언어정보를 이용자 전자장치에 의해 입력되는 단어를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언어를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하며, 상기 입력된 단어에 대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언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해당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와 전자 장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전자 장치 중 각각 전자 장치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전자장치 식별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해당 국가별 언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별 정보는,
    상기 국가의 각 언어별로 각각 작성되어 상기 서버 및 전자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별 정보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언어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 장치의 해당 언어별 정보에 해당하는 언어로 번역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통·번역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하여 고유 식별정보 판독 시 상기 관련 정보가 생성되어 지정된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의 전송,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장치는,
    상기 통·번역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사전에 상기 서버에 등록한 전자장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8.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언어별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전자 장치의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포함한 신호들 또는 정보들을, 상기 이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및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19.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장치를 이용한 통·번역서비스는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 언어정보가 저장되고 상대편 전자장치가 이용하는 해당 언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0.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설정되어 사용하는 언어 및 관련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언어설정 정보를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설정되어 사용하는 언어를 변경하는 단계; 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이용한 언어설정을 변경하는 언어변경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의 변경하여 이용할 언어별 설정정보를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되어 이용할 언어별 정보를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2.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언어를 설정하는 언어별 설정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언어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설정된 언어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식별정보 및 언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언어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언어별로 번역하는 단계와;
    상기 번역된 언어 정보를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언어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3.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언어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언어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정보로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해당 언어로 통·번역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된 정보를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번역 단계는,
    상기 통·번역하고자 언어를 번역 서버로 전송하는 통·번역 요청 단계와;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지정하는 언어로 통·번역하는 단계와;
    상기 통·번역된 정보를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통·번역 대응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5.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가별로 다수의 언어들이 저장된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언어와 문자를 상황에 맞게 검색이 가능하도록 분류되고 분류된 각각에 해당되는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언어들을 조합하여 상기 검색된 언어들을 생성하고 화면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출력된 언어들을 구성하는 언어들 중 저장된 통·번역된 언어들을 조합하여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별로 제공되는 통·번역된 언어들을 생성하고 화면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6.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자의 전자 장치가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상대편 전자장치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검색된 통·번역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상대편 전자장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상대편 전자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상대편 전자 장치에 해당하는 언어로 상기 통·번역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통·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통·번역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선택된 상대편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장치로의 통·번역서비스를 수신하면, 상기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설정된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통·번역서비스가 상기 설정된 언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언어 정보를 상기 번역 서버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2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전자장치의 발신번호를 추출하는 발신자번호 추출부와 통·번역서비스 정보 및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부;
    상기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통·번역서비스 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번역서비스 요청 이용정보와 고유 식별정보, 상기 전자장치별 서비스 제공 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 서비스 이용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통·번역서비스 정보 추출 및 동작 제어 그리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저장 및 언어별 정보 검색과 추출 그리고 상기 통·번역서비스 정보의 생성 기능을 갖는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29. 제 1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통·번역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상기 통·번역서비스제공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0. 제 1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통·번역서비스인 음성통화를 하기 위한 음성정보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음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정보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1. 상기 통·번역 서비스 요청 관련 회원 관리서버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언어별 제공 관련 정보를 기초로 통·번역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을 저장되는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와 이용자 식별정보 및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에 상기 이용자전자장치로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에 기반하는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2.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에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음성언어로 통역하는 단계;
    상기 통역된 음성언어를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전송된 음성언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편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음성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에서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음성언어로 통역하는 단계;
    상기 통역된 음성언어를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전송된 음성언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3.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SMS 문자 입력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에서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SMS 문자로 번역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SMS 문자와 번역된 SMS 문자 언어를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전송된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SMS 문자와 번역된 SMS 문자언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SMS 문자언어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SMS 문자언어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 서버에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SMS 문자로 번역하는 단계;
    상기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SMS 문자와 번역된 SMS 문자언어를 이용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상대편 이용자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SMS 문자와 번역된 SMS 문자언어로 전송된 SMS 문자언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4.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을 통하여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통·번역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번역서비스 제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번역서비스 제공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언어별 관련 데이터를 주출하고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아이콘 및 URL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수신된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정보와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보고 설정하여 통·번역서비스 요청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통·번역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에 이용자의 정보와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신청 또는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통·번역서비스 요청 등록하는 단계; 는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통·번역서비스 관련 정보에 필요 추가 사항을 입력하여 통·번역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서 통·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신청 또는 등록한 후, 상기 전자장치에 결과 사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37.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보조 전자장치를 통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전자장치 사이에 통·번역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052131A 2015-04-14 2015-04-14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2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31A KR20160122371A (ko) 2015-04-14 2015-04-14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31A KR20160122371A (ko) 2015-04-14 2015-04-14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71A true KR20160122371A (ko) 2016-10-24

Family

ID=5725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131A KR20160122371A (ko) 2015-04-14 2015-04-14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3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04B1 (ko) * 2017-03-15 2018-08-02 주식회사 트위그팜 사용자별 번역 사전 생성,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 및 전자 문서 관리 방법
KR20180107904A (ko) *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을 통해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40043A (ko) 2019-06-05 2020-12-15 백민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송방법
KR102306105B1 (ko) * 2020-11-13 2021-09-27 최현식 바이어 및 셀러의 자동 매칭을 통한 무역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2672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엔디소프트 실시간 다국어 통번역을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04B1 (ko) * 2017-03-15 2018-08-02 주식회사 트위그팜 사용자별 번역 사전 생성,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 및 전자 문서 관리 방법
WO2018169168A1 (ko) * 2017-03-15 2018-09-20 주식회사 트위그팜 사용자 별 번역 사전을 제공하는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7904A (ko) *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을 통해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40043A (ko) 2019-06-05 2020-12-15 백민호 실시간 통번역을 위한 다중데이터 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송방법
KR102306105B1 (ko) * 2020-11-13 2021-09-27 최현식 바이어 및 셀러의 자동 매칭을 통한 무역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2672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엔디소프트 실시간 다국어 통번역을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451B2 (en) Place of interest recommendation
US9426105B2 (en) Interface for managing messages in a mobile terminal
US10304461B2 (en) Remote electronic service requesting and processing method, server, and terminal
KR2016012237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09589A1 (en)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US10652287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commendation
US9398401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hybrid form
US20200076876A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07766358B (zh) 一种页面分享的方法及相关装置
US20140365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Network Data
KR102288610B1 (ko) 무선 주파수 세팅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RU260824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сообщений
KR20120045217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등록 방법 및 장치
US9462415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contact number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KR101958922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4813686A (zh) 基于位置的社交联网系统和方法
KR20150104504A (ko) 택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3445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location related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KR2016013914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
KR20160116364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 운영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
KR20160109450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US8798588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outside of service zone
KR20160124432A (ko) 문자나 이미지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60043555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
KR20160107849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정보 전송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