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260A -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260A
KR20160120260A KR1020160127025A KR20160127025A KR20160120260A KR 20160120260 A KR20160120260 A KR 20160120260A KR 1020160127025 A KR1020160127025 A KR 1020160127025A KR 20160127025 A KR20160127025 A KR 20160127025A KR 20160120260 A KR20160120260 A KR 20160120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ping
terminal
information
conten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7412B1 (en
Inventor
서나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412B1/en
Publication of KR2016012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inuously using contents between mutually different devices, and a terminal device. The method for continuously using contents between mutually different devices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clipping information representing a final state of contents when it is sensed that a clipping event occurs while contents are output; transmitting the clipping information; receiving and storing the clipping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stored clipp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clipping information; requesting the clipp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f subsequently viewing contents; receiving the clipping information; and sequentially outputting contents following current output contents by using the received cli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uaranteeing continuity of contents between the different terminal devices, it is secured to guarantee continuity of a service for the same user when news of a website, music, a moving picture and the like are used.

Description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us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device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단말 장치에서 이용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에서 이어서 이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uccessively us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that can subsequently use the content used in the first terminal apparatus in the second terminal apparatus,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증가하면서 이동 중에 인터넷 뉴스를 검색하여 보거나, MP3 음악을 다운로드하여 청취하거나,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동영상을 다운로드하여 시청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Recently,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has increased, more and more users are browsing Internet news on the move, downloading MP3 music and listening to it, or downloading movies such as movies and dramas.

다만,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투리 시간에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게 되며, 이동 중에 컨텐츠를 완전히 보거나 듣지 못하고 종료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다른 단말기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다시 처음부터 컨텐츠를 검색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many cases, the user generally uses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sniffing time, frequently terminates the content without seeing or listening to the content completely while moving. In order to reproduce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another terminal,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earch.

현재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기 위한 다양한 N 스크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는 TV, 스마트폰 PC간의 동영상, 음악, 영화의 연속적인 재생을 지원하는 것이지만, TV와 호핀 전용단말기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연속적 재생을 하도록 하는 면에서 진정한 무선을 구현하지 못했다. 이에 Home PC, 스마트폰, 회사 PC등으로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Device가 달라짐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상의 비연속성으로 인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컨텐츠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A variety of N screen services are now available for the current user to continue using the content. This supports continuous playback of video, music, and movies between TV and smartphone PCs, but does not provide true wireless in terms of allowing TVs and Hopp-only terminals to be connected continuously via cable.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use contents for service users due to discontinuity in usage caused by a change of devices used by the same user as a home PC, a smart phone, a company PC, and the like.

한국등록특허 10-0801069 A, 2008년 01월 29일 공개 (명칭: 피투피 컨텐츠 공유/유통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1069 A, Jan. 29, 2008 (Name: Peer Content Sharing / Distribu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1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중지한 상태로 제2 단말 장치에서 이어서 동일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and a terminal device thereof.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은,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장치,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클립핑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저장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및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continuously using contents among different apparatuses, the system comprising: generating clipping information indicating a final state of content when detecting a clipping event during content output; A first terminal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lipping information, a service apparatus for transmitting clipping information stor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lipping information, and a clipping informatio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clipp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content view request, And a second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the clipping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using the received clipping inform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및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device including a termi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erminal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 termi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lipp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apparatus. The terminal control unit transmits the generated clipp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 제어부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클립핑 에이전트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erminal storage unit for storing a clipping agent. The terminal control unit generates clipping information using the clipping agent, and when the power of the terminal device is turned on, the clipping agent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단말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사용자의 클립핑 요청시 또는 컨텐츠의 종료 시에 발생한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detects a clipping event occurring at the time of requesting clipping of the user or ending of the content generated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출력 중인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첫번째 라인(line) 정보, 출력 중인 컨텐츠에서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 출력중인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tent being output is the first lin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lipping event occurs in the content being outp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output and the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nd the clipping information is generat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및 단말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출력부를 통해 타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apparatus including a termi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 terminal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 termi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a terminal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apparatus and outputting the content output from the other terminal apparatus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using the received clipp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 제어부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클립핑 에이전트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erminal storage unit for storing a clipping agent. The terminal control unit requests and receives clipping information using the clipping agent. When the terminal device is powered on, the terminal control unit executes the clipping agent in the background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단말 장치가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단말 장치가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단말 장치가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s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clipping event occurring during a content output; detecting clipping information indicating a final state of the content; And 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clipp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ice device.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전송단계는,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클립핑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inuous content using method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apparatus transmits at least any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user together with the clipping information do.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단말 장치가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단말 장치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단말 장치가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s among different apparatuses, the method comprising: requesting clipping information to a service apparatus in response to a request to view a content, And an output step of sequentially outputting the content output from the other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receiving step and the clipp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수신단계 이후에, 단말 장치가 클립핑 정보에 포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하는 접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ccessing step of connecting to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cluded in the clipping information after the receiving step.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수신단계 이후에, 단말 장치가 클립핑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s among different apparat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arching step of searching contents in the terminal apparatus by using the conten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ipping information after the receiving step .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단말 장치가 컨텐츠가 텍스트인 경우,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첫번째 라인(line)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ting step may be such that when the content is text, the terminal apparatus outputs the content from the first lin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other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clipping information .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단말 장치가 컨텐츠가 동영상 또는 음악인 경우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에서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s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ting step is performed when a terminal device generates clipping events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clipping event using the clipping information when the contents are moving images or music.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요청단계는,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전송하며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es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apparatus transmits at least any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user and requests clipping information .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단말 장치 간에 컨텐츠의 연속성이 보장됨으로써, 웹사이트의 뉴스 기사, 음악, 동영상 등의 이용 시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ity of contents between different terminal apparatuses is ensured, so that continuity of services for the same user can be ensured when news articles, music, moving images, etc. of a web site are used.

또한, 서로 다른 단말 장치 간에 컨텐츠를 이어보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송수신하기 때문에 컨텐츠 연속 보기 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데이터량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necessa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different terminal devices in order to view cont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and time required to provide a content continuous view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continuously using contents among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s among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t is to be appreciated that where one element is referred to herein as " transmitting " data or a signal to another element, it may directly transmit data or signals and may transmit data or signals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it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도데이터 부분 업데이트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100), 서비스 장치(200), 제2 단말 장치(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continuously using contents among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ap data partial updat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device 100, a service device 200, a second terminal device 300, and a network 400.

서비스 장치(200)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제2 단말 장치(300)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요청받으면 이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clipping information for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stores the clipp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When the clipping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the clipping information.

컨텐츠는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고 유통되는 디지털 저작물로서, 텍스트, 멀티미디어, 음악, 이미지 파일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컨텐츠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인 제1 단말 장치(100) 내지 제2 단말 장치(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온라인 상에 저장되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저작물일 수 있다. Contents are digital works that are stored and distributed in digital form and include text, multimedia, music, image files, and the like. Such contents can be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which are devices for outputting contents, and also can be stored on-line and accessible through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Lt; / RTI >

클립핑 정보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200)에서 이어서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이 중지된 시점의 출력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포함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The cli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output state at the time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is stopped to output the content outpu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200, The information contained may vary.

구체적으로 서비스 장치(200)는 제1 단말 장치(100)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미리 등록하고, 이때, 단말 식별 정보의 경우 사용자마다 복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e service device 200 identifi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can regist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by connecting to the service apparatus. In this cas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be registered for each user in the case of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저장하고, 제2 단말 장치(300)에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단말 장치(300)에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의 목록을 확인하여 원하는 클립핑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200 may store the clipping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ontents, and may provide the most recently stored clipping information when the clipping information is requested by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300 may check the list of cli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ice device 200 and request the desired clipping information.

한편,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단말 장치(300)에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가 없는 경우, 제2 단말 장치(3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클립핑 정보와 함께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If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does not have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may transmit the content to the service device 200, And can receive and output the content together with the clipping information.

제1 단말 장치(100) 및 제2 단말 장치(300)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통신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 장치(100) 및 제2 단말 장치(3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can be used as any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output content, if the user is available.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avigation terminal, a smart phone, ,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Of course,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that is currently developed, commercialized, or capable of all communication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를 출력하던 장치를 말하며, 제2 단말 장치(300)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장치를 말하고, 제1 단말 장치(100)와 제2 단말 장치(300)는 동종 혹은 이종의 장치일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that has output content,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refers to a device that subsequently outputs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devices.

클립핑 이벤트는 출력 중인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하고 현재의 출력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발생한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재생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클립핑하기 위한 클립핑 입력을 통해 발생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출력 중에 전원을 끄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을 강제 종료하는 경우, 동영상이나 음악의 경우 재생의 일시 정지를 하는 경우 등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라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클립핑 입력은 키입력 뿐만 아니라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입력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스처, 음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 clipping event refers to a change that occurs through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to stop outputting the content being output and save the current output state. Generally, it is generated through a clipping input for clipping a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a clipping agent that reproduces content from a user. However, in case of forcibly terminating the output of content when power is turned off during content output, In the case of music, an input from the user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content, such as a case of pausing the playback,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lipping input may be performed not only by key input but also through various input devices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user's gesture, voice, and the like.

제1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클립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하고, 제2 단말 장치(3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이어서 출력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1 단말 장치(100)를 통해 이용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300)를 통해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detects the occurrence of a clipping event while outputting the content,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generates clipp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lipp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outputs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time when the clipping event occurs.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inue to use the content that was used through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네트워크(400)는 제1 단말 장치(100)와 서비스 장치(200), 제2 단말 장치(300)와 서비스 장치(20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 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network 400 refers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rvice device 200 an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and the service device 200. Specifically,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i-bimnet, which provides high-capacit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s through Internet Protocol (IP), and data service without disconnection, is an i-bimetal architecture that integrates different networks based on IP, It can be network. Also, the network 300 may include a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3G network including a wired network, a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a WCDMA,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network.

상술한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200)는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tinuous content utilization system between different devices, the service apparatus 200 may operate in a server-client computing manner or may operate in a cloud computing basis. For example, the service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rvers operating on a cloud computing basi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는 단말 송수신부(110), 단말 저장부(130), 단말 입력부(150), 단말 출력부(170) 및 단말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1 and 2, a first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a terminal storage unit 130, a terminal input unit 150, a terminal output unit 17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90 .

단말 송수신부(110)는 서비스 장치(200)와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The terminal transceiver 110 ha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via the network 400.

단말 저장부(130)는 제1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 제어부(150)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저장부(120)는 컨텐츠 또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130 is a means for storing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basically stores an operating program and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15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storage unit 120 may be a repository for storing contents or a clipping agent.

단말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단말 입력부(15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입력부(150)는 키 입력 수단, 터치 입력 수단, 제스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수단은, 키 조작에 따라서 해당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키패드, 키보드가 해당된다. 터치 입력 수단은,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동작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를 들 수 있다. 제스처 입력 수단은,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를 흔들거나 움직이는 동작, 제1 단말 장치(100)에 접근하는 동작, 눈을 깜빡이는 동작 등 지정된 특정 동작을 특정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으로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카메라, 고도계,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 입력부(150)를 통해 클립핑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 The terminal input unit 150 generates a user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terminal input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means. For example, the terminal input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 input unit, a touch input unit, a gesture input unit, and a voice input unit. The key input means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and corresponds to a keypad and a keyboard. The touch input means i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a touch sensor, which recognize an input operation by sensing a user's operation of touching a specific portion. The gesture inputting means is a means for inputting a specific operation specified by the user, for example, an operation to shake or move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 approach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 blinking operation,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camera, an altimeter, a gyro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a user can input an input for generating a clipping event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150.

단말 출력부(170)는 단말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출력부(170)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output unit 170 is a unit that outputs the operation status and the operation resul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In particular, The content can be output. The terminal output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LED (Light Emitting Diod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s),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flexible displays, and three-dimensional displays.

단말 제어부(190)는 단말 송수신부(110), 단말 저장부(130), 단말 입력부(150), 단말 출력부(17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transceiver unit 110, the terminal storage unit 130, the terminal input unit 150, and the terminal output unit 170.

단말 제어부(190)는 단말 저장부(130)에 저장되거나, 혹은 URL 주소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 저장된 컨텐츠를 단말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는 중에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하면,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generates clipping information when it detects a clipping event while being stored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130 or outputting content stored on-line using the URL address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170 To the service device (200).

클립핑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포함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온라인으로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라면 클립핑 정보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고, 완전한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 텍스트, 동영상, 음악이라면 클립핑 정보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파일 이름 등과 같은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ipping inform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content is stored or the type of the content. If the content is content that can be accessed online, the clipp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URL address. If the content is text, video, or music stored in the form of a complete file, the clipp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 A content object identifier (COI), a file name, and the like.

또한, 텍스트의 경우 해당 텍스트가 제1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서 출력이 중지된 시점의 출력 대로 제2 단말 장치(300)에서 출력하기 위해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에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음악의 경우 총 재생 시간 중에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 즉,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ext, when the output of the text is outpu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as output at the time when the output of the text is stopp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line of the page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In the case of moving pictures or music, And information on when the clipping event occurred.

단말 제어부(190)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클립핑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클립핑 에이전트는 제1 단말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사용자가 단말 출력부(170)를 통해 이용하는 컨텐츠를 언제든지 클립핑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핑 에이전트는 단말 장치의 종류에 따라 프로그램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각 단말 장치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클링핍 에이전트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can generate clipping information using the clipping agent. Wh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is powered on, the clipping agent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and is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170 You can clip content at any time. The clipping agent may be program-depend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rminal device, and each terminal device can download the clipping agent from the service device 200.

구체적으로, 클립핑 에이전트는 단말 장치가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경우 단말 출력부(170)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기타 작업 도중에 사용자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알기 쉽도록 일반적으로 상태바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 장치(100)는 상태바의 목록에서 클립핑 에이전트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상태바의 목록에서 클립핑 에이전트를 선택함으로써 클립핑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PC(Personal Computer)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도록 시작 메뉴에 등록할 수 있으며,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경우 전용 메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lipping agent is generally displayed on the status bar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background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background process while reproducing the content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170, Can be displayed. That is,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registers the clipping agent in the list of status bars, and can input the clipping by selecting the clipping agent from the list of status bars while the user is using the content. Also, when the terminal device is a PC (Personal Computer), it can be registered in the start menu so that the user can access at any time. In cas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terminal can be included in the dedicated menu.

또한, 단말 제어부(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와 같은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하고, 이후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때,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같이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regist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uch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and ESN (Electronic Serial Number) in the service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When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user so as to store the clipping information in the service device 200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말 장치(300)는 단말 송수신부(310), 단말 저장부(330), 단말 입력부(350), 단말 출력부(370) 및 단말 제어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1 to 3, the second terminal 300 includes a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10, a terminal storage unit 330, a terminal input unit 350, a terminal output unit 37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390 .

제2 단말 장치(300)는 제1 단말 장치(100)와 동종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종의 장치일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0)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may be a device of the same kind as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or may be a heterogeneous device.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will be omitted.

단말 제어부(39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 입력부(350)를 통해 제1 단말(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 이어보기 입력을 받으면, 서비스 장치(200)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게 된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390 receives the content view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350 and requests the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uses the clipping information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is successively output.

단말 제어부(390)는 클립핑 정보가 URL을 포함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저장부(330)에 저장된 컨텐츠에서 해당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이때, 단말 저장부(330)에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390)는 클립핑 정보가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텍스트 컨텐츠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 내지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동영상이나 음악 컨텐츠의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부터 단말 출력부(37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If the clipping information includes a URL, the terminal control unit 390 accesses the corresponding web page by using the URL. When the clipping information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e terminal control unit 390 extracts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330 The content is searched and output. At this time, if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330, the service device 200 can request the content, receive the content, and output the content.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control unit 3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li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first line of the page of the text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or the clipping information of the clip or music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event information is included, the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output unit 370 at the time whe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stops outputting using the information.

또한, 단말 제어부(39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이후에,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각 사용자 별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말 제어부(390)는 클립핑 정보의 목록을 수신하여 단말 출력부(370)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 받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390 can receive the clipp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after transmitt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200 and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 unit 390 receives the list of the clipping information, outputs the list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370, and outputs the selection signal of the user And may request clipp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한편, 제2 단말 장치(300)도 제1 단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단말 저장부(130)에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통해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이어보기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may store the clipping agent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130 as in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may also store clipping information through the clipping agent in the background, Can receiv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한다(S5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inuously using contents among different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and 4,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detects a clipping event while outputting content (S51).

이때, 제1 단말 장치(100)의 백그라운드에 실행 중인 클립핑 에이전트를 에서 해당 컨텐츠를 클립핑하기 위한 클립핑 입력을 받아 감지할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ceive clipping input for clipp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clipping agent run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or to sense through the input from the user to stop the output of the content.

단계(S51)에서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한 제1 단말 장치(100)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고(S53),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S55).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at senses the clipping event in step S51 generates clipping information (S53),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lipp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S55).

이때, 컨텐츠가 온라인으로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라면 클립핑 정보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고, 완전한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 텍스트, 동영상, 음악이라면 클립핑 정보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파일 이름 등과 같은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의 경우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에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음악의 경우 총 재생 시간 중에서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content is content that can be accessed online, the clipp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URL address. If the content is text, video, or music stored in a complete file format, the clipp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 COI (Content Object Identifier), file na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ex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first line of a page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t the time when the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is stopped, And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the clipping event occurred in the reproduction time.

단계(S55)에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0)는 내부에 클립핑 정보를 저장한다(S57).The service device 200 receiving the clipping information in step S55 stores the clipping information therein (S57).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사용자 별로 클립핑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복수의 클립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apparatus 200 may perform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may separately store the clipp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may store a plurality of clipp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제2 단말 장치(300)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300)에서 이어서 보기 위한 이어보기 입력을 받으면(S59), 서비스 장치(200)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한다(S61).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an e-mail view input for continuously viewing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in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S59),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requests the service device 200 to send clipping information (S61).

이때, 제2 단말 장치(300)의 백그라운드에 실행 중인 클립핑 에이전트를 통해 제2 단말 장치(300)는 이어보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can receive the next view input through the clipping agent run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단계(S61)에서 클립핑 정보를 요청 받은 서비스 장치(200)는 클립핑 정보를 제2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In step S61, the service device 200, which has requested the clipping information, transmits clipp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클립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클립핑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립핑 정보의 목록을 제2 단말 장치(300)로 제공하여 요청 받은 클립핑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device 200 can transmit clipping information after user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In addition, when storing a plurality of clipping information, it may provide the most recently stored clipping information, and may provide the list of clipp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to transmit the requested clipping information.

단계(S63)에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 장치(300)는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해당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게 된다(S65).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receiving the clipping information in step S63 sequentially outputs the corresponding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using the received clipping information (S65).

이 때, 제2 단말 장치(300)는 클립핑 정보가 URL을 포함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에서 해당 컨텐츠를 검색하고,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clipping information includes a URL,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accesses the corresponding web page using the URL. If the clipping information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uses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searched, and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stored, the service device 200 can request the corresponding content.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inven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장치간 연속적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방안은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최소화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높아지고 언제 어디서든 컨텐츠를 이용하고 싶은 사용자가 많아지는 추세를 감안하면,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간 연속적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방안은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using continuous contents between different apparatuse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pparatu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ystem, thereby minimizing the additional cost incurred.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tendency that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s is high and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use the content anytime and anywhere is increased, the method for using continuous contents among different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utilized much.

100: 제1 단말 장치 110: 단말 송수신부 130: 단말 저장부
150: 단말 입력부 170: 단말 출력부 190: 단말 제어부
200: 서비스 장치 300: 제2 단말 장치 310: 단말 송수신부
130: 단말 저장부 150: 단말 입력부 170: 단말 출력부
190: 단말 제어부 400: 네트워크
100: first terminal device 110: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0:
150 terminal input unit 170 terminal output unit 190 terminal control unit
200: service apparatus 300: second terminal apparatus 310: terminal transmission /
130: terminal storage unit 150: terminal input unit 170:
190: Terminal control section 400:

Claims (15)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장치;
상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클립핑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저장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제2 단말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A first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clipping information indicating a final state of the content when the clipping event is detected during content output, and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lipping information;
A service device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clipp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tored cli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lipping information;
A clipping information requesting unit operable to request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apparatus in response to a request to view the content, receive clipp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and sequentially output th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received clipping information 2 terminal device;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devices.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 terminal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 termi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terminal control unit for generating clipping information indicating a final state of the content when the clipping event is detected during content outpu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lipping information to a service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상기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클립핑 에이전트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storage unit for storing a clipping agent,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generates the clipping information using the clipping agent, and when the terminal apparatus is powered on, the terminal apparatus executes the clipping agent in the backgr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사용자의 클립핑 요청시 또는 컨텐츠의 종료 시에 발생한 상기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detects the clipping event occurring at the time of requesting clipping of the user or at the end of the content generated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출력 중인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첫번째 라인(line) 정보, 상기 출력 중인 컨텐츠에서 상기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 상기 출력중인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lipping event occurs in the output cont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output, and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nd generates the clipp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of the clipping information.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상기 단말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출력부를 통해 타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 termi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 terminal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 termi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clipping information request unit for requesting clipping information to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content viewing request generated from the terminal input unit, receiving the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apparatus, outputting the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unit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A terminal control unit for sequentially outputting the content that has been used;
And a terminal device.
제6항에 있어서,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상기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상기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클립핑 에이전트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storage unit for storing a clipping agent,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requests and receives the clipping information using the clipping agent, and when the terminal apparatus is powered on, the clipping agent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단말 장치가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A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at a clipping event occurs during content output;
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clipping information indicating a final state of the content;
A transmission step of the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the generated clipping information to a servic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상기 클립핑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user together with the clipping information.
단말 장치가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A requesting step of requesting clipp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by the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tent browse request;
A receiving step of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clipp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An output step of sequentially outputting content that the terminal device has output from the other terminal device using the received clipping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클립핑 정보에 포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fter the receiving step,
A connection step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accesse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cluded in the clipping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nother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클립핑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fter the receiving step,
A search step of the terminal device searching for the content in the terminal device us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ipping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nother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가 텍스트인 경우, 상기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첫번째 라인(line)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terminal device outputs the content from the first lin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using the clipping information when the content is tex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 또는 음악인 경우 상기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단말 장치에서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terminal device outputs the clipping event when the clipping event occurs at the other terminal device using the clipping information when the content is moving picture or music.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user and requests the clipping information.
KR1020160127025A 2016-09-30 2016-09-30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KR101867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25A KR101867412B1 (en) 2016-09-30 2016-09-30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25A KR101867412B1 (en) 2016-09-30 2016-09-30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877A Division KR101826280B1 (en) 2011-06-08 2011-06-08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260A true KR20160120260A (en) 2016-10-17
KR101867412B1 KR101867412B1 (en) 2018-06-15

Family

ID=5725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025A KR101867412B1 (en) 2016-09-30 2016-09-30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4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617A1 (en) * 2017-08-14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WO2020235858A1 (en) * 2019-05-17 2020-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82A (en) * 2006-07-21 2008-01-24 (주) 엘지텔레콤 Method of establishing same contents in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KR100801069B1 (en) 2007-07-10 2008-02-04 주식회사 미디어 웹 System for sharing /ditributing p2p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090005936A (en) * 2007-07-10 2009-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broadcast and system for excuting the method
KR20100106038A (en) * 2009-03-23 2010-10-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user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service of moving picture cont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82A (en) * 2006-07-21 2008-01-24 (주) 엘지텔레콤 Method of establishing same contents in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KR100801069B1 (en) 2007-07-10 2008-02-04 주식회사 미디어 웹 System for sharing /ditributing p2p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090005936A (en) * 2007-07-10 2009-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broadcast and system for excuting the method
KR20100106038A (en) * 2009-03-23 2010-10-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user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service of moving picture cont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617A1 (en) * 2017-08-14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WO2020235858A1 (en) * 2019-05-17 2020-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57368B2 (en) 2019-05-17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412B1 (en)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96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11112942B2 (en) Providing content via multiple display devices
US9436650B2 (en)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627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6062608B2 (en) Web page access method, apparatus, server,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43065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items
WO2017202348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17530564A (en) Connection state promp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50304336A1 (en)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of multimedia resource and terminal device
KR20120089100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Business Application and Contents for Mobile Equipment using Application Store and Wireless AP
WO2018196588A1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8833585B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304701A1 (en) 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US851546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766358B (en) Page shar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13182063A1 (en) Webapp startup method and device
CN112312222A (en) Video send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TW201500934A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resource
JP2016532966A (en) Resource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5062234A1 (en) Mobile terminal resourc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KR101867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US20140208352A1 (en) Flash video enabler for ios devices
KR10193114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8262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CN107798008B (en) Content pushing system,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