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119A -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119A
KR20160118119A KR1020150100075A KR20150100075A KR20160118119A KR 20160118119 A KR20160118119 A KR 20160118119A KR 1020150100075 A KR1020150100075 A KR 1020150100075A KR 20150100075 A KR20150100075 A KR 20150100075A KR 20160118119 A KR20160118119 A KR 2016011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m
receiving
useful
presen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988B1 (ko
Inventor
류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62,68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87668B2/en
Priority to CN201680025378.4A priority patent/CN107567688B/zh
Priority to EP16773498.7A priority patent/EP3280078A4/en
Priority to PCT/KR2016/003415 priority patent/WO2016159717A1/ko
Publication of KR2016011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의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가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EAM을 수신하면, 유용한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유용한 CD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IN BROADCAST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 이하 “EAM”이라 칭하기로 한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바이스(device)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multi-screen) 환경에서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EAM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센터(111)와,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 이하 “PD”라 칭하기로 한다)(113)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디바이스(113)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EAM을 처리하는 모듈인 비상 통보 프레임 워크(emergency alert framework, 이하 “EA 프레임워크”라 칭하기로 한다)(115)를 포함한다. 상기 EA 프레임워크(115)는 상기 방송 센터(111)에서 송신되는 EAM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EAM을 상기 PD(113)의 화면(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표시해 주는 동작만을 수행하는 단순한 구조로 구현되어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에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상기 PD(113)의 사용자가 방송 화면을 시청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중요한 EAM를 놓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EAM은 단순한 텍스트(text) 형태의 메시지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PD(113)의 사용자에게 보다 상세하고 특화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multi-screen) 환경에서 EAM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PD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EAM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EAM을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 이하 “CD”라 칭하기로 한다)로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본 디바이스가 EAM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EAM을 EAM을 직접 수신할 수 없는 컴페니온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방송 시스템에서의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에 있어서,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유용한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제어기와, 상기 유용한 CD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방송 시스템에서의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에 있어서,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로부터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기와; 상기 EAM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EAM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방송 시스템에서의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가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EAM을 수신하면, 유용한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유용한 CD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방송 시스템에서의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가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EAM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EAM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게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게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와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내용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EAM을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PD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EAM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EAM을 CD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본 디바이스가 EAM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EAM을 EAM을 직접 수신할 수 없는 컴페니온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EAM을 수신할 경우, EAM을 CD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방송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디바이스에서 EAM을 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를 통해, 이미지나 비디오를 포함하는 상세하고 특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HTML 타입으로 EA App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구체적인 예제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 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 (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의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 이하 “EAM”이라 칭하기로 한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multi-screen) 환경에서 EAM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 이하 “PD”라 칭하기로 한다)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EAM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EAM을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 이하 “CD”라 칭하기로 한다)로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본 디바이스가 EAM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EAM을 EAM을 직접 수신할 수 없는 컴페니온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VP-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이하 ‘DVP-H’라 칭하기로 한다), 및 모바일/휴대용 진화된 텔레비젼 시스템 협회(ATSC-M/H: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Mobile/Handheld: ATSC-M/H, 이하 ‘ATSC-M/H’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 등과 같은 모바일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이하 ‘IPTV’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과, 엠펙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edia Transport, 이하 ‘MMT’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Evolved Packet System,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이하 ‘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 ‘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을 CD로 전송하는 동작에 관련된 구체적인 장치와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을 CD로 전송하는 동작을 통해 지진, 태풍,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이하 “TV”라 칭하기로 한다)과 같은 디바이스를 직접 시청하고 있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임의의 한 디바이스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을 상기 방송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EAM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는 PD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방송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는 CD가 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시스템에서 이미지나 비디오를 포함하는 EAM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일반 디바이스에서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최근 활용도가 커지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디바이스들에도 EAM을 송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센터(210)와, PD(220)와, CD(230)와, 웹 서버(240)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센터(210)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신호를 송신하다가, 긴급한 상황이 발생함을 검출할 경우 방송 신호와 함께 EAM을 송신한다.
상기 웹 서버(240)는 인터넷 네트워크 상의 웹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방송 센터(210)가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PD(22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 이하 “DTV”라 칭하기로 한다)나 셋 탑 박스(set top box: STB, 이하 “STB”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같은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상기 PD(220)는 기본 어플리케이션(primary application: Primary App, 이하 “Primary App”라 칭하기로 한다)(221)과, 웹 소켓 서버(web socket server)(223)와, 컴페니온 스크린(companion screen: CS, 이하 “CS”라 칭하기로 한다) 관리자(CS Manager, 이하 “CS Manager”라 칭하기로 한다)(225)와,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A, 이하 “EA”라 칭하기로 한다) 관리자(EA Manager, 이하 “EA Manager”라 칭하기로 한다)(227)를 포함한다.
상기 Primary App(221)는 상기 PD(22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상기 웹 소켓 서버(223)는 상기 PD(220)는 디바이스간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웹 소켓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서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PD(200)가 수신한 EAM을 상기 CD(230)가 포함하는 컴페니온 어플리케이션(companion application: Companion App, 이하 “Companion App”라 칭하기로 한다)(231)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CS Manager(225)는 디바이스간 연동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CS Manager(225)는 유용한 CD를 탐색하는 기능과, 상기 탐색한 CD가 포함하는 Companion App을 구동하는 기능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을 상기 탐색한 CD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EA Manager(227)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을 처리하는 모듈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송 네트워크에서 상기 PD(220)와 연결된 디바이스, 일 예로 CD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EA Manager(227)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방송 네트워크에서 상기 PD(220)와 연결된 CD가 존재한다면 상기 EA Manager(227)는 상기 CS Manager(225)를 통해 EAM을 상기 방송 네트워크에서 상기 PD(220)와 연결된 CD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EA Manager(227)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과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과 같은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EA Manager(227)가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경우 상기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EAM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EAM을 화면에 처리하는 동작은은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CS Manager(225)를 통해 상기 EAM을 CD로 전달하는 동작은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별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EAM은 일반적으로 텍스트(Tex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치 EAM(Rich EAM, 이하 “Rich EAM”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하기 위해, 상기 Rich EAM에 억세스(access)할 수 있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D(230)는 상기 PD(220)와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보조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 CD(230)는 모바일 단말이나 태블릿 같은 개인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CD(230)는 Companion App(231)과, 론처(launcher, 이하 “Launcher”라 칭하기로 한다)(233)를 포함한다.
상기 Companion App(231)는 상기 CD(23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상기 CD(230)의 경우 EAM을 처리하한 후 화면에 표시하는 EA Manager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PD로부터 수신된 EAM은 상기 Companion App(231)에서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Rich EAM은 단순한 텍스트로 구현된 EAM보다 상세하고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EAM을 나타낸다. 상기 Rich EAM은 일반적으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Rich 미디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 Launcher(233)는 상기 CD(230)에 포함되며, 디바이스간 연동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Launcher(233)는 PD에서 유용한 CD를 탐색할 경우 상기 탐색에 응답하는 기능과, 상기 PD로부터 EAM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센터(311)와, PD(313)와, CD(319)와, 웹 서버(325)를 포함한다. 상기 PD(313)는 상기 EA Manager(315)와, CS Manager(317)를 포함하며, 상기 CD(319)는 Launcher(321)와, Companion App(32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방송 센터(311)는 방송 콘텐츠(contents)와 EAM을 송신하고, 상기 PD(313)는 EM Manager(315)를 통해 상기 방송 센터(311)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와 EAM을 수신한다(327단계).
상기 방송 컨텐츠와 EAM을 수신한 PD(313)의 EA Manager(315)는 상기 수신한 EAM을 상기 PD(313)의 화면에 표시한다(329단계).
상기 PD(313)는 상기 PD(313)에 연결되어 있는 C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한다. 상기 PD(313)에 연결되어 있는 C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PD(313)의 EA Manager(315)는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로 CD 탐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이하 “API”라 칭하기로 한다)인 discoveryCD()를 통해 CD를 탐색할 것을 요청한다(331단계). 상기 CD 탐색 API인 discoveryCD()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표 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는 상기 PD(313)의 EA Manager(315)로부터 discoveryCD()를 통해 CD를 탐색할 것을 요청받으면 상기 방송 네트워크 내에 유용한 CD를 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는 상기 CD(319)로 유용 CD 탐색(Discovery available CD, 이하 “Discovery available CD”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하고(333단계),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로부터 Discovery available CD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CD(319)의 Launcher(321)는 상기 PD(313)로 상기 Discovery available CD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CD 정보(CD Information, 이하 “CD Information”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335단계).
한편, 상기 331 단계 내지 335단계까지의 과정은 사전에 미리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PD(313)와 CD(319)간에 서로 페어링(pairing)이 되어 있다면, 상기 331 단계 내지 335단계까지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D(313)의 EA Manager(315)는 상기 방송 센터(311)로부터 수신한 EAM을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로 전달한다(337단계). 여기서, 상기 PD(313)의 EA Manager(315)는 sendMessage()를 통해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로 상기 방송 센터(311)로부터 수신한 EAM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sendMessage()는 상기 PD(313)의 CS Manager(315)에서 제공하는 API이다. 여기서, 상기 sendMessage()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표 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PD(313)의 EA Manager(315)로부터 EAM을 전달받은 PD(313)의 CS Manager(317)는 상기 PD(313)의 EA Manager(315)로부터 전달받은 EAM을 상기 CD(319)로 송신한다(339단계). 여기서,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는 상기 EAM을 Rich EA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함께 상기 CD(319)로 송신한다.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가 상기 EAM을 Rich EA URL과 함께 상기 CD(319)로 송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에서 <표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PD(313)의 CS Manager(317)가 송신한 EAM을 수신한 상기 CD(319)의 Launcher(321)는 상기 EAM을 표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이하 “App”라 칭하기로 한다)을 생성하고(341단계), 상기 생성한 App을 실행시킨다(143단계). 상기 CD(319)의 Launcher(321)가 상기 App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CD(319)의 Companion App(323)은 상기 CD(319)의 Launcher(321)가 생성한 App을 실행시켜 상기 수신된 EAM을 표시한다(345단계).
한편, 상기 CD(319)의 사용자가 EAM을 통해 Rich EAM을 요청함을 검출하면, 상기 CD(319)의 Companion App(323)은 Rich EAM을 요청하는 Rich EAM 요청(Request Rich EAM, 이하 “Request Rich EAM”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325)로 송신한다(347단계). 여기서, 상기 Rich EAM은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Rich EAM은 일 예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이하 “HTML”이라 칭하기로 한다)로 구성된 App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CD(319)의 Companion App(323)로부터 상기 Request Rich EAM 메시지를 수신한 웹 서버(325)는 요청된 Rich EAM을 App 형태로 생성한 후, 상기 Rich EA App을 상기 CD(319)의 Companion App(323)으로 송신한다(349단계).
상기 웹 서버(325)로부터 Rich EA App을 수신한 상기 CD(319)의 Companion App(323)은 상기 Rich EA App을 표시한다(351단계).
그러면 여기서 상기 EAM 송신에 사용되는 API들인 discoveryCD()와 sendMessage()에 대해서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pat00001
한편, <표 1>의 페이로드 포맷(payload format)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는 페이로드 포맷을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으로 기술하였으나, 상기 페이로드 포맷은 상기 JSON 형태가 아니라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이하 “XML”이라 칭하기로 한다)나 일반 문자열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페이로드 포맷의 구현 타입 보다는 상기 페이로드 포맷에 어떤 정보가 전달되어야 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EAMID'는 EAM의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 ID, 이하 “ID”라 칭하기로 한다)를 나타낸다.
상기 표 2에서, 'message'는 CD로 송신할 메시지의 문자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이 상기 'message'에 그대로 포함된다.
상기 표 2에서, 'Rich_URL'은 EAM 보다 상세하고 특화된 EAM, 즉 Rich EAM을 보여주는 URI을 나타낸다. 상기 Rich EAM은 일반적으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Rich 미디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Rich EAM은 HTML로 구현되기 때문에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서, 'TimeStamp'는 EAM이 발행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서, 'ExpiredTimeStamp'는 EAM이 유효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낸다. 만약 CD가 상기 'ExpiredTimeStamp'가 나타내는 날짜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EAM을 수신한다면, 해당 EAM을 표시하지 않고 무시해도 된다.
상기 표 2에서, 'priority'는 EAM의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만약, 이미 표시된 EAM이 존재하는데, 상기 이미 표시된 EAM의 우선 순위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EAM이 수신된다면, 상기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EAM이 기존에 표시되어 있는 EAM 위에 표시되어야 한다.
한편, 도 3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3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3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3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센터(411)와, PD(413)와, CD(419)와, 웹 서버(425)를 포함한다. 상기 PD(413)는 상기 EA Manager(415)와, CS Manager(417)를 포함하며, 상기 CD(419)는 Launcher(421)와, Companion App(423)를 포함한다.
먼저 도 3에서 설명한 EAM 송신 동작과 도 4에서 설명되는 EAM 송신 동작은 PD가 CD로 EAM을 송신한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지만, 도 3에서는 PD의 EA Manager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EAM을 그대로 CD의 Launcher에게 송신하여, 상기 CD의 Launcher가 EA App을 생성하는데 반해, 도 4에서는 PD의 EA Manager가 CD에서 표시될 EAM을 사용하여 CD에서 표시될 EA App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한 EA App을 CD의 Launcher에게 송신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4의 427단계 내지 435단계는 도 3의 327단계 내지 335단계와 동일하며, 따라서 427단계 내지 435단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427단계에서 상기 방송 센터(411)로부터 수신한 EAM을 사용하여 상기 CD(419)로 송신할 EA App을 생성한다(437단계). 여기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상기 EA App은 일 예로 상기 수신한 EAM을 포함하는 HTML 코드가 된다. 상기 수신한 EAM을 포함하는 HTML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EA App을 생성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상기 PD(413)의 CS Manager(417)로 상기 CD(419)가 상기 EA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한다(439단계). 여기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가 상기 PD(413)의 CS Manager(417)로 상기 CD(419)가 상기 EA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동작은 launchCSApp() 과 같은 API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launchCSApp() 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표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두 가지 형태로 API를 호출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상기 PD(413)에서 상기 웹 서버(425)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생성한 EA App(HTML)을 상기 PD(413)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고, 상기 EA App(HTML)에 대한 URI만 전달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상기 생성한 EA App(HTML) 자체를 상기 CD(419)에 전달하는 방법이다.
한편, 상기 launchCSApp()를 통해 상기 CD(419)가 상기 EA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도록 요청받은 상기 PD(413)의 CS Manager(417)는 상기 CD(419)의 Launcher(421)로 상기 EA App의 실행 요청을 송신한다(441단계).
한편, 도 4의 443 단계 내지 451단계까지의 과정은 도 3의 343단계 내지 351단계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launchCSApp()는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PI 설명 입력 인자 출력 인자
launchCSApp(uint target_device, char * Payload) CD에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송신한다. - uint target_device: 대상 CD의 ID
- char * Payload: CD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
- 성공시: True
- 실패시: False
launchCSApp (uint target_device, char * HTML) CD에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HTML 파일을 송신한다. - uint target_device: 대상 CD의 ID
- char * HTML: CD에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HTML 파일
- 성공시: True
- 실패시: False
한편, 도 4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4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4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4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HTML 타입으로 EA App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HTML 타입으로 EA App을 생성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11단계에서 EA App을 생성하고자 하는 엔터티, 일 예로 도 4의 PD(413)의 EA Manager(415)는 HTML 문서 구성을 위해 <html> 헤더를 생성하고 5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3단계에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div>나 <p> 엘리먼트(element)를 이용해 EAM을 포함할 본문을 생성하고 5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5단계에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상기 EAM을 상기 513단계에서 생성한 엘리먼트 안에 삽입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517단계로 생성한다.
상기 517단계에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Rich EA URL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Rich EA URL이 존재한다면,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5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9단계에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Rich EA를 링크할 수 있도록 <a>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52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상기 Rich EA URL을 생성한 후 </a> 엘리먼트를 닫는다.
한편, 상기 5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Rich EA URL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상기 5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1단계에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상기 313단계와 페어(pair)를 이루도록 </div>, </p> 엘리먼트를 생성하여, 본문 생성 과정을 완료하고 5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3단계에서 상기 PD(413)의 EA Manager(415)는 </html>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EA App 생성이 완료된다.
한편, 도 5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HTML 타입으로 EA App을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5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5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5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HTML 타입으로 EA App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PD의 동작 과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PD(313)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먼저, 611단계에서 PD는 방송 센터에서 송신한 방송 신호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6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3단계에서 상기 PD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 EAM이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 EAM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PD는 6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상기 PD는 화면에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EAM을 표시하고 617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613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에 EAM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본 동작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 617단계에서 상기 PD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 상에 유용한 CD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유용한 C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D는 6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9단계에서 상기 PD는 상기 CD로 상기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EAM을 송신한다.
한편, 상기 6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유용한 CD가 존재하지 않으면 본 동작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도 6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의 일 예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6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6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6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PD의 동작 과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PD(413)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711단계 내지 717단계까지의 동작 과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611단계 내지 617단계까지의 동작 과정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717단계에서 상기 방송 네트워크 상에 유용한 CD가 존재할 경우, 상기 PD는 7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9단계에서 상기 PD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EAM을 사용하여 EA App을 생성하고 721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7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방송 네트워크 상에 유용한 CD가 존재하지 않으면 본 동작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 721단계에서 상기 PD는 웹 서버를 지원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웹 서버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PD는 7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3단계에서 상기 PD는 상기 719단계에서 생성한 EA App(HTML)을 CD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721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웹 서버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PD는 7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5단계에서 상기 PD는 상기 719단계에서 생성한 EA App(HTML)을 상기 PD 자신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고, 상기 EA App(HTML)에 대한 URI만 상기 CD로 송신하고 7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7단계에서 상기 PD는 상기 CD로부터 EA App 송신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EA App(HTML)을 상기 CD로 송신한다.
한편, 도 7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7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7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7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CD의 동작 과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CD(319)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먼저, 811단계에서 CD는 PD로부터 디바이스 탐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CD 자신이 가용한 경우, 상기 PD로 CD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PD로부터의 디바이스 탐색 요청에 응답하고 8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3단계에서 상기 CD는 상기 PD로부터 EAM을 수신하고 8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5단계에서 상기 CD는 상기 수신한 EAM을 사용하여 EA App을 생성하고 8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7단계에서 상기 CD는 상기 생성한 EA App을 표시하고 8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9단계에서 상기 CD는 상기 CD의 사용자가 상기 EA App을 통해 Rich EAM을 요청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CD의 사용자가 Rich EAM을 요청함을 검출하면, 상기 CD는 8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1단계에서 상기 CD는 웹 서버로 Rich EAM을 요청하고 8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3단계에서 상기 CD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Rich EAM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한편, 도 8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일 예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8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8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8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CD의 동작 과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CD(419)의 동작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911단계와, 915단계 내지 921단계까지의 동작 과정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811단계와, 817단계 내지 823단계까지의 동작 과정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CD의 동작 과정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CD의 동작 과정과는 다르게 CD가 PD로부터 EAM이 아닌 EA App 자체를 수신하므로(913단계), 도 8의 813단계 내지 815단계의 EAM 수신 및 EA App 생성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9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9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9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9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에 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센터(1011)와, PD(1013)와, CD(1019)와, 웹 서버(1025)를 포함한다. 상기 PD(1013)는 상기 EA Manager(1015)와, CS Manager(1017) 및 웹 소켓 서버(1018)를 포함하며, 상기 CD(1019)는 Launcher(1021)와, Companion App(1023)를 포함한다.
먼저, 도 3에서 설명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 및 도 4에서 설명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에서는 PD의 CS Manager가 직접 CD의 Launcher에 EAM을 송신하지만, 도 10에서 설명되는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에서는 PD의 웹 소켓 서버를 통해 EAM을 송신하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의 1027단계 내지 1035단계는 도 3의 327단계 내지 335단계와 동일하며, 따라서 1027단계 내지 1035단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PD(1013)의 EA Manager(1015)는 상기 CD(1019)의 Launcher(1021)로부터 수신한 CD 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CD(1019)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PD(1013)의 CS Manager(1017)로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의 실행을 요청한다(1037단계). 여기서, 상기 PD(1013)의 EA Manager(1015)는 launchCSApp()과 같은 API를 사용하여 상기 PD(1013)의 CS Manager(1017)로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launchCSApp()은 <표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PD(1013)의 EA Manager(1015)로부터 launchCSApp()를 통해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의 실행을 요청받은 상기 PD(1013)의 CS Manager(1017)는 상기 CD(1019)의 Launcher(1021)로 EA App의 실행을 요청한다(1039단계). 상기 PD(1013)의 CS Manager(1017)로부터 상기 EA App의 실행을 요청받은 CD(1019)의 Launcher(1021)는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으로 EA App의 실행을 요청한다(1041단계).
한편, EAM의 송신을 위해 상기 PD(1013)의 EA Manager(1015)는 상기 PD(1013)의 웹 소켓 서버(1018)로 웹 소켓 채널의 생성을 요청하는 웹 소켓 채널 오픈(WebSocket channel open, 이하 “WebSocket channel open”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1043단계).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도 상기 PD(1013)의 웹 소켓 서버(1018)로 웹 소켓 채널의 생성을 요청하는 WebSocket channel open 메시지를 송신한다(1045단계).
상기 1043단계 및 1045단계를 통해 생성된 웹 소켓 채널은 상기 PD(1013)에서 EAM을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으로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상기 PD(1013)의 EA Manager(1015)는 상기 방송 센터(1011)로부터 수신한 EAM을 Rich EA URL과 함께 상기 PD(1013)의 웹 소켓 서버(1018)로 전달한다(1047단계).
상기 PD(1013)의 EA Manager(1015)로부터 EAM과 Rich EA URL을 수신한 PD(1013)의 웹 소켓 서버(1018)는 상기 수신한 EAM과 Rich EA URL을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으로 송신한다(1049단계). 따라서,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은 상기 PD(1013)의 웹 소켓 서버(1018)로부터 EAM과 Rich EA URL을 수신한다.
상기 CD(1019)의 Companion App(1023)은 상기 EAM을 상기 CD(1019)의 화면에 표시한다(1051단계).
한편, 도 10의 1053단계 내지 1057단계는 도 3의 347단계 내지 351단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1047단계에서 상기 PD(1013)의 웹 소켓 서버(1018)를 통해 전달되는 EAM은 상기 <표 2>와 같은 형태와 같을 수 있다.
한편, 도 1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0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0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0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센터(1111)와, PD(1113)와, 멀티캐스트 어드레스(1119)와, CD(1121)와, 웹 서버(1127)를 포함한다. 상기 PD(1113)는 EA Manager(1115)와 CS Manager(1117)를 포함하며, 상기 CD(1121)는 Launcher(1123)와, Companion App(1125)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이 수정된 것이다. 즉,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에서는 웹 소켓 서버(1018)를 통해 EAM이 전달되지만,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에서는 상기 웹 소켓 서버(1018) 대신 상기 멀티캐스트 어드레스(1119)를 통해 EAM이 전달된다.
먼저, 1131단계 내지 1145단계까지의 과정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1027단계 내지 1041단계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PD(1113)의 EA Manager(1115)는 EAM을 Rich EA URL과 함께 EAM을 상기 Multicast Address(1119)로 송신한다(1147단계). 여기서, 상기 Multicast Address(1119)는 상기 CD(1121)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에 정의된 Address를 사용한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Multicast Address(1119)를 별도의 디바이스처럼 도시하였지만, 상기 Multicast Address(1119)는 멀티캐스트 이벤트(multicast event)를 송/수신할 수 있는 특정한 어드레스로서, 일 예로 192.168.1.11:992/atsc/EAM 같은 IP 어드레스를 의미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Multicast Address(1119)가 사전에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PD(1113)와 CD(1121)간에 상기 Multicast Address(1119)를 결정하는 동작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CD(1121)의 Companion App(1125)는 상기 Multicast Address(1119)를 확인하여 수신된 EAM이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된 EAM을 리드(read)한다(1149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CD(1121)의 Companion App(1125)은 상기 리드한 EAM을 상기 CD(1121)의 화면에 표시한다(1151단계).
도 11의 1151 단계 내지 1157단계는 도 10의 1051단계 내지 1057단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Multicast Address(1119)가 사전에 정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PD(1113)와 CD(1121)간에 사용될 Multicast Address(1119)는 상기 PD(1113)가 CD Application을 구동시킬 경우, 즉 1143 단계 내지 1145단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PD(1113)에서 CD(1121)에 Multicast event를 송신할 Multicast address를 전달하면 된다. 하기 표 4에서 Multicast Address는 상기 표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launchCSApp()에서 전달되는 파라미터에 eamurl=”192.168.1.11:992/atsc/EAM”과 같은 추가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한편,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D가 CD로 EAM을 송신할지 혹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D가 CD로 EAM을 송신할지는 PD가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PD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mMulticast 방식으로 EAM을 전달할 경우에는 상기 표 4와 같이 CD Application의 구동시 multicast 방식으로 EAM을 전달하는 것을 사전에 결정하여 CD Application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1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1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1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CD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구체적인 예제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구체적인 예제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센터(1211)와, PD(1213)와, CD(1215)와, 웹 서버(121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D(1213)는 일 예로 DTV가 될 수 있고, 상기 CD(1215)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해당 지역에 긴급한 재난 상황(일 예로, 태풍)이 발생하여, 방송 센터(1211)에서 송신한 EAM이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
하지만,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PD(1213)에서 제공되는 방송을 시청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EAM을 수신하지 못하지 못한다.
한편, 상기 PD(1213)는 방송 네트워크 내에 EAM을 송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 즉 CD(1215)가 존재함을 탐색하여 상기 CD(1215)로 EAM을 송신한다.
상기 CD(1215)는 상기 PD(1215)로부터 EAM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EAM을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CD(1215)의 사용자는 상기 수신한 EAM을 확인한 후, 재난 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상항을 알기 위해 상기 EAM에서 제공하는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상도, 뉴스 등과 좀 더 상세한 정보, 즉 Rich EAM은 상기 웹 서버(1217)로부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CD(1215)로 수신된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구체적인 예제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PD(1300)는 송신기(1311)와, 제어기(1313)와, 수신기(1315)와, 저장 유닛(131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313)는 상기 PD(1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상기 PD(13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PD(13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311)는 상기 제어기(13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들, 일 예로 CD, 방송 센터로 각종 신호들 및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311)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315)는 상기 제어기(13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CD, 방송 센터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3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317)은 상기 PD(1300)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상기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3에는 상기 PD(1300)가 상기 송신기(1311)와, 제어기(1313)와, 수신기(1315)와, 저장 유닛(1317)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PD(1300)는 상기 송신기(1311)와, 제어기(1313)와, 수신기(1315)와, 저장 유닛(13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PD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CD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CD(1400)는 송신기(1411)와, 제어기(1413)와, 수신기(1415)와, 저장 유닛(141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413)는 상기 CD(1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상기 CD(14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CD(14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411)는 상기 제어기(14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들, 일 예로 PD, 서버로 각종 신호들 및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411)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415)는 상기 제어기(14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PD, 서버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4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417)은 상기 CD(1400)가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상기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EAM을 처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4에는 상기 CD(1400)가 상기 송신기(1411)와, 제어기(1413)와, 수신기(1415)와, 저장 유닛(1417)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CD(1400)는 상기 송신기(1411)와, 제어기(1413)와, 수신기(1415)와, 저장 유닛(14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와,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방송 시스템에서의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가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EAM을 수신하면, 유용한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유용한 CD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상기 수신한 EAM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EAM을 사용하여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상기 EM App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상기 수신한 EAM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상기 CD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6. 방송 시스템에서의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가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EAM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EAM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PD로부터 EAM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PD로부터 상기 PD가 수신한 EAM을 사용하여 생성한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PD로부터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D로부터 EAM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D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상기 CD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가 EAM을 처리하는 방법.
  11. 방송 시스템에서의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에 있어서,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유용한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제어기와,
    상기 유용한 CD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상기 수신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신한 EAM을 사용하여 생성한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EAM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용한 CD로 상기 수신한 EAM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D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상기 CD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PD.
  16. 방송 시스템에서의 컴페니온 디바이스(companion device: CD)에 있어서,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 PD)로부터 비상 통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기와;
    상기 EAM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EAM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PD로부터 EAM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PD로부터 상기 PD가 수신한 EAM을 사용하여 생성한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D로부터 EAM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PD로부터 비상 통보(emergency alert: E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PD로부터 EAM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D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상기 CD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A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디바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CD.
KR1020150100075A 2015-04-01 2015-07-14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2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62,686 US10887668B2 (en) 2015-04-01 2016-04-01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in broadcast system
CN201680025378.4A CN107567688B (zh) 2015-04-01 2016-04-01 用于在广播系统中处理紧急报警消息的设备和方法
EP16773498.7A EP3280078A4 (en) 2015-04-01 2016-04-01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in broadcast system
PCT/KR2016/003415 WO2016159717A1 (ko) 2015-04-01 2016-04-01 방송 시스템에서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6297 2015-04-01
KR1020150046297 2015-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19A true KR20160118119A (ko) 2016-10-11
KR102425988B1 KR102425988B1 (ko) 2022-07-29

Family

ID=5716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075A KR102425988B1 (ko) 2015-04-01 2015-07-14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87668B2 (ko)
EP (1) EP3280078A4 (ko)
KR (1) KR102425988B1 (ko)
CN (1) CN1075676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8710B2 (ja) * 2015-04-03 2019-09-2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20160330525A1 (en) * 2015-05-08 2016-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ALERT SCHEME FOR COMPANION DEVICES BASED ON THE 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HbbTV) 2.0 COMPANION SCREEN DEVICE PROTOCOL
US11096030B2 (en) 2019-04-23 2021-08-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broadcasting service using broadcast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3884A1 (en) * 2005-10-12 2007-04-12 Lg Electronics Inc. & Lg Micron Ltd Emergency alert signaling method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20110088058A1 (en) * 2009-10-13 2011-04-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mergency alert messages
WO2015030412A1 (ko) * 2013-08-28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신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4126B2 (en) * 2002-05-03 2007-02-06 Time Warner Interactive Video Group Inc. Technique for effectively accessing programming listing information in an entertainment delivery system
JP2003348034A (ja) * 2002-05-30 2003-12-05 Nhk Engineering Services Inc 緊急情報放送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緊急情報視聴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緊急情報放送方法
EP1570654A1 (en) * 2002-11-15 2005-09-07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emergency alert signals
JP4404244B2 (ja) * 2003-05-02 2010-01-27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装置及び緊急放送システム
KR101053596B1 (ko) * 2004-07-1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995042B1 (ko) * 2004-07-23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227484B1 (ko) * 2005-11-16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케이블 디지털 방송의 비상 사태 경보 메시지 처리방법, 데이터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
KR20080042489A (ko) * 2006-11-10 2008-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및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KR101259118B1 (ko) * 2007-02-23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639645B1 (ko) 2008-05-28 201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송신 방법 및 장치와 컨텐트 수신 방법 및 장치
US8184002B2 (en) * 2008-07-28 2012-05-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emergency event alert
CN101686341A (zh) 2008-09-22 2010-03-31 宝利微电子系统控股公司 电视机、机顶盒与移动设备间实现节目共享的方法
US8539524B2 (en) * 2009-10-26 2013-09-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100707B2 (en) * 2010-06-11 2015-08-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grating video share and text messaging with set-top box and access point
CN103703764A (zh) * 2011-05-25 2014-04-02 Lg电子株式会社 发送/接收系统和处理广播信号的方法
US9445077B2 (en) * 2011-06-21 2016-09-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for 3-dimensional broadcast service
JP2013196570A (ja) 2012-03-22 2013-09-30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緊急通信処理方法
KR20140041993A (ko) 2012-09-26 2014-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자동 인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6204502B2 (ja) * 2013-02-03 2017-09-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システムを介して緊急警報サービスを提供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40250456A1 (en) * 2013-03-01 2014-09-04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service alerts dur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s
US8990851B2 (en) * 2013-03-14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es
KR101634306B1 (ko) 2013-05-16 2016-06-30 앤하이브 주식회사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104055A (ja) * 2013-11-27 2015-06-0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WO2015108319A1 (ko) * 2014-01-14 2015-07-23 엘지전자(주)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960767B (zh) * 2014-02-03 2019-10-18 Lg电子株式会社 广播接收装置及其操作方法
MX357464B (es) * 2014-05-27 2018-07-11 Sharp Kk Dispositivo secundario.
MX367680B (es) * 2014-07-17 2019-09-02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 de transmision de difusion, metodo por el cual el dispositivo de transmision de difusion procesa datos, dispositivo de recepcion de difusion y metodo por el cual el dispositivo de recepcion de difusion procesa datos.
CN104219551A (zh) 2014-09-29 2014-12-17 武汉诚迈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屏幕共享与远程控制的方法
US10009129B2 (en) * 2014-10-21 2018-06-26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 with a companion device and a primary device
US20170244992A1 (en) * 2014-10-30 2017-08-24 Sharp Kabushiki Kaisha Media playback communication
WO2016170783A1 (en) * 2015-04-21 2016-10-27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s for media playback state information exchange
US20160330525A1 (en) * 2015-05-08 2016-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ALERT SCHEME FOR COMPANION DEVICES BASED ON THE 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HbbTV) 2.0 COMPANION SCREEN DEVICE PROTOCOL
TW201725878A (zh) * 2015-09-14 2017-07-16 Sony Corp 受訊裝置、送訊裝置及資料處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3884A1 (en) * 2005-10-12 2007-04-12 Lg Electronics Inc. & Lg Micron Ltd Emergency alert signaling method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20110088058A1 (en) * 2009-10-13 2011-04-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mergency alert messages
WO2015030412A1 (ko) * 2013-08-28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신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0078A1 (en) 2018-02-07
US10887668B2 (en) 2021-01-05
US20180097574A1 (en) 2018-04-05
KR102425988B1 (ko) 2022-07-29
CN107567688A (zh) 2018-01-09
CN107567688B (zh) 2021-06-11
EP3280078A4 (en)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4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85178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ssociating multiple users with a media presentation device
US20200201490A1 (en) Providing content via multiple display devices
US201902811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866558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ng method thereof
JP6093482B2 (ja) 携帯端末で検索結果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50012617A1 (en) Rui system, rui server, rui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rui service
US10735792B2 (en) Using OCR to detect currently playing television programs
US96219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w-latency browsing on a device with limited processing resources
US93617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control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103679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media re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425988B1 (ko)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상 통보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25686A (ko)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84288A1 (zh) 一种广告投放方法、装置及系统
CN103686406A (zh) 一种数字电视控制智能终端进行信息显示的方法及设备
CN111246242A (zh) 基于播放视频的搜索方法、装置,应用服务器及终端设备
CN103457937A (zh) 共享文件的图片浏览方法及系统
CN114157665B (zh) 控制多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468849B (zh) 用于视频信息传输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20190327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media content in multimedia system
KR20150033185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스크린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