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906A -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906A
KR20160115906A KR1020160125505A KR20160125505A KR20160115906A KR 20160115906 A KR20160115906 A KR 20160115906A KR 1020160125505 A KR1020160125505 A KR 1020160125505A KR 20160125505 A KR20160125505 A KR 20160125505A KR 20160115906 A KR20160115906 A KR 2016011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tomatically
received
displa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894B1 (ko
Inventor
유승동
문민정
박세준
장우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은, 디바이스의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없이 디바이스들의 근접만으로 연동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해진다.

Description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Method for performing cooperative function automatically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동기능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디바이스들이 복합적인 하나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도 많아지게 되었다.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파묻혀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근자에 이르러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고성능화와 다기능화는, 그 기여도를 한층 더 향상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며, 그 해법을 디지털 디바이스가 더욱 고성능화되고 다기능화되는 것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상호 융합하여 기능함으로서,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 창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와 함께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함께 수행할 연동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제1 위치로 판단되면, 상기 디바이스가 제1 연동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제2 위치로 판단되면, 상기 디바이스가 제2 연동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연동기능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연동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자신이 수행하고 있던 기능을 중지하고, 상기 연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을 벗어난 후에도 계속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없어도, 미리 설정된 연동기능을 그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두 대의 디바이스에 사용자 명령을 각각 입력하여 연동기능을 명령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해진다.
도 1 내지 도 7은,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 간에 연동기능을 자동 수행하는 개념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8은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 간에 연동기능을 자동 수행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9 및 도 10은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개념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1은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연동기능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는 디지털 카메라(110)가 전자액자(120)에 가깝게(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10)와 전자액자(120)가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110)와 전자액자(12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b)에는, 디지털 카메라(110)가 자신에 저장된 사진들을 전자액자(120)로 전송하고, 전자액자(120)는 디지털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110)는 전자액자(1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자신에 저장된 사진들을 전자액자(120)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자액자(120)는 디지털 카메라(11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10)와 전자액자(12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2.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디지털 카메라(220)가 PC(21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220)와 PC(210)가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220)와 PC(21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b)에는, 디지털 카메라(220)가 추가로 저장된 사진들을 PC(210)로 전송하고, PC(210)는 디지털 카메라(22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HDD의 지정된 폴더에 백업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220)는 PC(21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추가로 저장된 사진들을 PC(210)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PC(210)는 디지털 카메라(22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22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HDD의 지정된 폴더에 백업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PC(210)와 디지털 카메라(22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3. 실시예 #3
도 3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는 사진을 재생중인 디지털 카메라(310)가 프린터(3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310)와 프린터(320)가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310)와 프린터(32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b)에는, 디지털 카메라(310)가 현재 재생중인 사진을 프린터(320)로 전송하고, 프린터(320)는 디지털 카메라(31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을 인쇄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310)는 프린터(3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현재 재생중인 사진을 프린터(320)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프린터(320)는 디지털 카메라(31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31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을 인쇄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 MP3 플레이어가 프린터(320)에 인접하게 되면, 연동기능으로, MP3 플레이어가 프린터(320)에 현재 재생중인 음악 정보를 전송하고, 프린터(320)는 MP3 플레이어에 재생중인 음악의 가사, 악보 등을 인터넷으로 다운로드하여 인쇄하도록 구현가능하다.
4.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는 사진 재생 중인 모바일 폰-A(410)와 대기 모드의 모바일 폰-B(420)가 서로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A(410)와 모바일 폰-B(420)가 인접하게 되면, 모바일 폰-A(410)와 모바일 폰-B(42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b)에는, 모바일 폰-A(410)가 현재 재생중인 사진을 모바일 폰-B(420)로 전송하고, 모바일 폰-B(420)는 대기 모드에서 사진 재생 모드로 변환하여 모바일 폰-A(41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폰-A(410)는 모바일 폰-B(4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현재 재생중인 사진을 모바일 폰-B(420)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폰-B(420)는 모바일 폰-A(41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모바일 폰-A(41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모바일 폰-A(410)와 모바일 폰-B(42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5. 실시예 #5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는 사진 재생 중인 모바일-폰(510)이 방송 재생 중인 TV(5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510)과 TV(520)가 인접하게 되면, 모바일-폰(510)과 TV(52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b)에는, 모바일-폰(510)이 현재 재생중인 사진을 TV(520)로 전송하고, TV(520)는 방송 재생을 중지하고 모바일-폰(510)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진을 재생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폰(510)은 TV(5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현재 재생중인 사진을 TV(520)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TV(520)는 모바일-폰(51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모바일-폰(51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을 재생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모바일-폰(510)와 TV(52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6. 실시예 #6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는 디지털 캠코더(610)가 방송 재생 중인 TV(6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캠코더(610)와 TV(620)가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캠코더(610)와 TV(62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b)에는, 디지털 캠코더(610)가 현재 촬영중인 영상을 실시간으로 TV(620)에 전송하고, TV(620)는 방송 재생을 중지하고 디지털 캠코더(6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캠코더(610)는 TV(62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현재 촬영중인 영상을 실시간으로 TV(620)에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TV(620)는 디지털 캠코더(61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캠코더(6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재생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캠코더(610)와 TV(62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7. 실시예 #7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는 모바일-폰(720)이 PC(71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720)과 PC(710)가 인접하게 되면, 모바일-폰(720)과 PC(71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b)에는, 모바일-폰(720)이 자신에 저장되어 있는 스케줄 정보를 PC(710)에 전송하고, PC(710)는 모바일-폰(720)으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줄 정보를 지정된 폴더에 백업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폰(720)는 PC(710)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자신에 저장되어 있는 스케줄 정보를 PC(710)에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PC(710)는 모바일-폰(72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모바일-폰(720)으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줄 정보를 지정된 폴더에 백업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모바일-폰(720)과 PC(71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8.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 간의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도 8은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 간에 연동기능을 자동 수행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명령한 기능을 수행하면서(S810), 자신의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820).
S820단계에서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820-Y), 디바이스는 자신과 다른 디바이스가 함께 수행할 자동 연동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830).
S830단계에서 자동 연동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다되면(S830-Y),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한다(S840).
그리고,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자동 연동기능을 수행한다(S850).
9. 실시예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9의 (a)에는 디지털 카메라(920)가 전자액자(910)의 "후면"에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920)가 전자액자(910)의 후면에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920)와 전자액자(91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b)에는, 디지털 카메라(920)가 자신에 저장된 사진들을 전자액자(910)로 전송하고, 전자액자(910)는 디지털 카메라(92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자신의 저장매체에 백업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920)는 전자액자(910)의 후면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자신에 저장된 사진들을 전자액자(910)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자액자(910)는 자신의 후면에 디지털 카메라(92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92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자신의 저장매체에 백업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920)와 전자액자(91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도 109의 (a)에는 디지털 카메라(920)가 전자액자(910)의 "전면"에 가깝게 인접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920)가 전자액자(910)의 전면에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920)와 전자액자(910)는 양자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가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b)에는, 디지털 카메라(920)가 자신에 저장된 사진들을 전자액자(910)로 전송하고, 전자액자(910)는 디지털 카메라(92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슬라이드 쇼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920)는 전자액자(910)의 전면에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자신에 저장된 사진들을 전자액자(910)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자액자(910)는 자신의 전면에 디지털 카메라(920)가 가깝게 인접하게 되면, 디지털 카메라(92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들을 슬라이드 쇼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920)와 전자액자(910)가 연동기능 수행을 시작하면, 이후 양자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동기능 수행은 계속된다.
10.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고려한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도 11은 인접하게 된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연동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명령한 기능을 수행하면서(S1110), 자신의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120).
S1120단계에서 자신의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120-Y),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를 검출한다(S1130).
이후, 디바이스는 S1130단계에서 파악된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를 기초로, 다른 디바이스와 자신이 함께 수행할 자동 연동기능을 파악한다(S1140).
그리고,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한다(S1150). 이후,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자동 연동기능을 수행한다(S1160).
11. 기타
위 실시예들에서는, 2개의 디바이스가 서로 인접하게 된 경우에 연동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와 다르게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2개의 디바이스가 맞닿은 경우(터치된 경우)에 연동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바이스가 다른 다비아스의 어느 부분에 맞닿았는지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연동 기능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전면"에 맞닿은 경우에는 "제1" 연동기능이 수행되고,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후면"에 맞닿은 경우에는 "제2" 연동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디바이스가 어느 부분에 맞닿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다른 다비이스의 표면에 구비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의 어느 부분이 다른 다비아스의 어느 부분에 맞닿았는지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연동 기능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전면"과 다른 디바이스의 "전면"에 맞닿은 경우에는 "제1" 연동기능이 수행되고, 디바이스의 "후면"과 다른 디바이스의 "후면"에 맞닿은 경우에는 "제2" 연동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가능하다.
한편, 디바이스들이 함께 수행하는 연동 기능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설정된 연동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다른 종류의 연동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동 기능은 디바이스의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속성은 사진 촬영으로 볼 수 있고 프린터의 속성은 인쇄로 볼 수 있으므로, 양자의 연동기능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프린터에서 인쇄하는 것으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다.
12.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
위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디바이스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언급된 디바이스들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의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기능 블럭(1210), 디스플레이(1220), 제어부(1230), 저장부(1240) 및 통신부(1250)를 구비한다.
기능 블럭(1210)은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디바이스가 모바일-폰인 경우 기능 블럭(1210)은 전화 통화, SMS 등을 수행하고, 만약, 디바이스가 TV인 경우 기능 블럭(1210)은 방송 수신&재생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1220)에는 기능 블럭(1210)의 기능 수행 결과 및 GUI가 표시된다.
저장부(1240)는 기능 블럭(1210)의 기능 수행과 GUI 제공에 필요한 프로그램, 컨텐츠, 기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통신부(1250)는 디바이스에 인접한 주변에 다른 디바이스가 접근하였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한다.
또한, 통신부(1250)는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50)는 디바이스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어느 면에 다른 디바이스가 접근하였는지 감지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250)는 다수의 지향성 안테나들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지향성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50)는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양방향 무선통신 모듈의 무선통신 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으므로, 적외선 통신, 음파 통신, RF 통신 및 무선 네트워크 통신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제어부(1230)는 전술한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여,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와 연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외부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 영역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비디오 컨텐츠 재생을 자동으로 중단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는,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던 비디오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상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전에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비디오 컨텐츠 재생을 자동으로 중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되고 있던 비디오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상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9.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디바이스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0.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컨텐츠 공유 기능이 기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컨텐츠 공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0160125505A 2016-09-29 2016-09-29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76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505A KR101763894B1 (ko) 2016-09-29 2016-09-29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505A KR101763894B1 (ko) 2016-09-29 2016-09-29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49A Division KR101663172B1 (ko) 2009-08-24 2009-08-24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31A Division KR101880609B1 (ko) 2017-07-26 2017-07-26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906A true KR20160115906A (ko) 2016-10-06
KR101763894B1 KR101763894B1 (ko) 2017-08-14

Family

ID=5716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505A KR101763894B1 (ko) 2016-09-29 2016-09-29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332A (ja) 2004-09-24 2006-04-06 Fuji Xerox Co Ltd サービス連携装置、サービス連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00931B2 (ja) 2006-10-04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94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172B1 (ko)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4908265B2 (ja) 情報処理装置、投射方法、投射プログラム
JP2017535798A (ja) オーディオの再生のための制御方法及び装置
CN101729659A (zh) 移动终端和用于控制与外部设备相关的功能的方法
CN104035674A (zh) 图片显示方法和装置
CN109451830A (zh) 小区类型指示方法及装置
CN105430469B (zh) 音视频数据的播放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101661232B1 (ko) 외부기기로의 컨텐츠 제공방법
KR20130044618A (ko) 미디어 카드, 미디어 장치, 컨텐츠 서버 및 그 동작방법
US201501931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image
KR101880609B1 (ko)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763894B1 (ko)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68875B1 (ko)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24006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703260B1 (ko)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30042965A (ko) 미디어 장치, 컨텐츠 서버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