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223A -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223A
KR20160115223A KR1020150042456A KR20150042456A KR20160115223A KR 20160115223 A KR20160115223 A KR 20160115223A KR 1020150042456 A KR1020150042456 A KR 1020150042456A KR 20150042456 A KR20150042456 A KR 20150042456A KR 20160115223 A KR20160115223 A KR 2016011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recording surface
optical disc
focus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223A/ko
Priority to US15/078,285 priority patent/US9564167B2/en
Publication of KR2016011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11B7/13927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during transducing, e.g. to correct for variation of the spherical aberration due to disc tilt or irregularities in the cover layer thickn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and avoidance or compensation of imperfections on the carrier, e.g. dust, scratches,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1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gain or phase compensation dur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는, 데이터의 기록면을 가지는 광학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광학디스크에 대해 광빔을 조사하는 픽업부와; 기록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픽업부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의 초점이 기 설정된 변동 가능범위 내에서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도록 픽업부를 동작시키고, 기록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록면의 일 구간에서 광빔의 초점이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OPTICAL DIS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가 기록된 광학디스크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읽거나 또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광학디스크에 소정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학디스크에 광 스팟(spot)을 형성하여 광학디스크 상의 데이터를 픽업(pick-up)하는 광픽업부의 서보(servo) 제어를 향상시킨 구조의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장치라면 영상을 표시 가능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및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가 있고, 후자의 경우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 광학디스크 장치가 있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데이터가 기록된 광학디스크를 재생하거나 또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광학디스크에 소정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제반 전자장치를 통칭한다.
영상처리장치 중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회전하는 광학디스크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픽업하고, 픽업된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한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겸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처리한 영상데이터를 로컬 접속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광학디스크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픽업하는 방식은, 비접촉식 광학 헤드(head)가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에 광 스팟을 포커싱(focusing)하고, 기록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취득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광학 헤드는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을 따라서 기구적인 구동 제어를 포함한 각종 서보 제어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광학디스크는 다양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되며,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에는 데이터의 픽업을 방해하는 다양한 종류의 비정상 요소들, 예를 들면 디펙트(defect), 수직편향(vertical deviation), 부분수직편향(partial vertical devi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여러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으로부터 데이터를 픽업하기 위해서 여러 광학디스크에 대응하여, 또한 여러 비정상 요소들에 대응하여 광학 헤드의 서보 제어를 정밀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는, 데이터의 기록면을 가지는 광학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광학디스크에 대해 광빔을 조사하는 픽업부와; 상기 기록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픽업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빔의 초점이 기 설정된 변동 가능범위 내에서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기록면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록면의 일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기록면의 굴곡이 나타나는 구간에서 픽업부가 기록면에 광빔의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하며, 기록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록면에 대해 상기 광빔의 초점이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가 조정되게 제어하며,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픽업 결과로부터 기록면의 굴곡이 나타나는 구간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기록면에 대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기록면의 트랙을 따라서 형성된 데이터 기록 패턴을 나타내는 재생신호를 도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고 상기 재생신호에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데이터 기록 패턴이 나타나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단지 포커스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면의 굴곡이 나타나는 구간을 판단하는 경우보다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의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켜 데이터의 픽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학디스크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줄임으로써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이 기록면의 굴곡을 따라서 추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이 기록면의 굴곡을 따라서 추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빔의 초점의 높이가 조정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켜 기록면의 굴곡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동작 민감도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픽업부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상승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의 상승에 의해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업부는, 상기 광빔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빔의 수차 보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픽업부의 구성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일부 렌즈만을 이동시켜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은, 데이터의 기록면을 가지는 광학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하는 상기 광학디스크에 대해, 픽업부에 의해 광빔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픽업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빔의 초점이 기 설정된 변동 가능범위 내에서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기록면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면의 일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기록면의 굴곡이 나타나는 구간에서 픽업부가 기록면에 광빔의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하며, 기록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면에 대해 상기 광빔의 초점이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픽업 결과로부터 기록면의 굴곡이 나타나는 구간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면에 대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기록면의 트랙을 따라서 형성된 데이터 기록 패턴을 나타내는 재생신호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고 상기 재생신호에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데이터 기록 패턴이 나타나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단지 포커스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면의 굴곡이 나타나는 구간을 판단하는 경우보다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의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켜 데이터의 픽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디스크 장치는, 상기 광학디스크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이 기록면의 굴곡을 따라서 추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이 기록면의 굴곡을 따라서 추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디스크 장치는,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빔의 초점의 높이가 조정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켜 기록면의 굴곡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에 장착되는 광학디스크의 외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에 장착되는 광학디스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에 장착되는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의 일 트랙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광학디스크에 디펙트가 없는 정상적인 경우에 생성되는 RF 신호의 파형의 예시도,
도 8은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광학디스크에 디펙트가 있는 경우에 생성되는 RF 신호와, 이로부터 도출되는 디펙트 신호의 파형의 예시도,
도 9는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픽업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도 1의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에 장착되는 광학디스크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에 형성된 부분수직편향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4는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생성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5는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 별로 대상위치에 도달하는 소요시간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생성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의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100)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광학디스크(200)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또는 광학디스크(20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전자장치이다. 광학디스크(200)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한 여러 가지 종류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광학디스크(200)로부터 취득한 영상데이터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며, 처리한 영상데이터를 로컬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광학디스크(200)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BD)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광학디스크(200)는 제조 시 부여된 특성에 따라서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취득만이 가능한 형태, 새로운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형태 등이 있다. 광학디스크(200)는 디스크 자체만 있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디스크가 카트리지(cartridge) 내에 수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광학디스크(200)의 한 예시인 BD는 HD(high-definition) 비디오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BDA(Blu-ray Disc Association)에서 정한 광 기록 방식 저장매체이다. BD는 기록된 데이터를 읽기 위해 DVD에 비해 훨씬 짧은 파장(405nm)을 가지는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DVD와 같은 크기인데도 더 많은 데이터를 담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단층 기록면을 갖는 12센티미터 직경의 블루레이 디스크로 25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며, 듀얼 레이어(dual-layer) 디스크로는 그 두 배 용량의 데이터인 50기가바이트를 저장할 수 있다.
BD는 데이터의 독취만이 가능한 BD-ROM, 데이터의 1회 기록이 가능한 BD-R,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BD-RE 등 여러 변형 형태가 존재하며, BD에 담긴 영상데이터의 무단 복제를 막기 위해 여러 복제 방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각 디스크 별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한 디스크의 복제 방지 기술이 무력화되더라도 다른 디스크의 복제 방지 기술에는 접근할 수 없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워터마킹 기술이 사용되어 BD-ROM의 제작 업체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인증되지 않은 업체의 디스크 무단 제작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기능상 광학디스크(2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을 수만 있는 형태가 있으며, 또는 추가적으로 광학디스크(20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디스크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없는 형태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광학디스크 장치(100)가 광학디스크(200)의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광학디스크 장치(100)의 개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트랙(track)에 레이저의 광빔을 조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판독한다. 데이터의 기록은 이러한 트랙에 피트(pit)를 형성하는 동작이며, 데이터의 판독은 이미 피트가 형성되어 있는 트랙에 광빔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의 변화를 분석하는 동작이다.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되며 대물렌즈 등의 광학부품을 통과하여 조사되는 광빔을, 회전하는 광학디스크(200)의 트랙 위에 포커싱하여 광 스팟을 형성한다. 광학디스크(200)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서는 이러한 광 스팟이 매우 좁은 폭의 트랙 위에서 지속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광학디스크(200)의 판면에는 휨이 존재할 수 있고, 또한 광학디스크(200)가 광학디스크 장치(100) 내에서 회전할 때에 트랙 편심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빔에 대한 어떠한 구동 제어가 없다면 광학디스크(200)의 회전 시에 광 스팟이 트랙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목표하는 트랙 상에 광 스팟을 포커싱하여 추종시키기 위해서,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두 가지의 포커스 서보 제어(focus servo control) 및 트래킹 서보 제어(tracking servo control)의 두 가지의 서보 제어를 통해 광학디스크(200)에 조사되는 광빔을 제어한다.
포커스 서보 제어는 광학디스크(200)의 트랙 위에 포커싱된 광 스팟이 형성되도록 광학렌즈를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광 스팟의 기록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동작이다. 한편, 트래킹 서보 제어는 광 스팟이 트랙의 중심을 따라서 형성되도록 광학렌즈를 광학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광 스팟의 기록면에 대한 수평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동작이다.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포커스 서보 제어의 포커스 에러 신호와 트래킹 서보 제어의 트래킹 에러 신호가 모두 0이 되도록, 광 스팟의 위치를 조정한다. 광학디스크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는 광학디스크(200)의 외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200)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형의 디스크 형태를 가진다. 광학디스크(200)는 중앙의 클램핑 홀(201)에서부터 외주방향으로 클램핑부(203), PCA(power calibration area)(205), 정보영역(207)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클램핑 홀(201)은 광학디스크(200)가 광학디스크 장치(100)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광학디스크 장치(100) 내에서 지지되도록 모터(미도시)의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된다.
클램핑부(203)는 클램핑 홀(201) 주위에 형성되며, 회전하는 광학디스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광학디스크 장치(100) 내에서 고정되는 부분이다.
PCA(205)는 광학디스크(200)에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는 광학디스크(200)에 데이터를 기록/삭제할 때에, 광학디스크(200)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파워를 최적화하기 위한 테스트 영역이다. PCA(205)는 이러한 테스트 동작, 즉 파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때마다 감소되며, 그 회수가 기록된다.
정보영역(207)은 광학디스크(200)에서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기록 및 저장되는 영역이다. 데이터가 기록되면 정보영역(207)에서는 적어도 하나씩의 리드-인(lead-in)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lead-out) 영역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만일 멀티 세션(multi-session)을 지원하는 광학디스크(200) 및 광학디스크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멀티 세션의 회수에 비례하는 수의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의 그룹이 정보영역(207)에 형성된다.
도 3은 광학디스크(200)의 단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디스크(200)가 두 개의 기록면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 즉 광학디스크(200)가 두 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광학디스크(200)는 단일층의 기록면을 가질 수도 있고 셋 이상의 기록층을 가질 수도 있는 바, 기록층의 수가 광학디스크(200)의 구현 형태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200)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두 개의 기록층(210, 220)을 가진다. 이와 같이 두 개의 기록층(210, 220)을 가진 듀얼레이어 광학디스크(200)의 경우에, 하위의 기록층(210)을 layer 0(210), 상위의 기록층(220)을 layer 1(220)로 각각 지칭한다. layer 0(210)의 표면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layer 0(21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형성된다.
두 개의 기록층(210, 220) 각각에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나선형의 연속된 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픽업모듈(120)은 데이터의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해 광학디스크(200)의 내주로부터 외주 방향, 또는 외주로부터 내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이저(L)를 어느 한 기록층(210, 220)의 트랙에 조사한다. layer 0(210)의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경우에, 픽업모듈(120)은 레이저(L)의 포커스를 layer 0(210)의 기록면 상에 맞춤으로써 layer 0(210)의 기록면 상에 레이저(L)의 광 스팟이 형성되게 한다. 또한, layer 1(220)의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경우에, 픽업모듈(120)은 레이저(L)의 포커스를 layer 1(220)의 기록면 상에 맞춘다. 이로써, 픽업모듈(120)은 원하는 기록층(210, 220)으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4는 광학디스크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광학디스크(20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110)와, 광학디스크(200)에 레이저(L)를 조사하고 또한 반사되는 광을 픽업하는 픽업모듈(120)과, 픽업모듈(120)에서 레이저(L)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를 구동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0)와, 광학디스크 장치(100) 외부의 타 장치(미도시)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140)와, 광학디스크 장치(100)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반 구성요소를 제어 및 처리하는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광학디스크 장치(100)는 이상의 구성요소들 외에도 실제 제품으로서의 구현 시에 다양한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 모터(110)는 처리부(150)로부터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광학디스크 장치(100) 내에 장착된 광학디스크(200)를 회전시킨다. 스핀들 모터(110)는 회전축(미도시)이 광학디스크(200)의 클램핑 홀(201, 도 2 참조)을 통과하여 클램핑부(203, 도 2 참조)를 지지한다. 스핀들 모터(110)의 성능은 분당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즉 rpm으로 나타내며, 보통 5500rpm 이상의 고속으로 광학디스크(200)를 회전시킨다.
픽업모듈(120)은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를 가지고, 이로부터 기 설정된 기록 파워의 레이저(L)를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조사함으로써 광학디스크(2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기 설정된 재생 파워의 레이저(L)를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조사함으로써 광학디스크(20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 및 재생한다. 만일 광학디스크(200)의 데이터를 지우고자 하는 경우에, 픽업모듈(120)은 기 설정된 삭제 파워의 레이저(L)를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조사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0)는 처리부(150)로부터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픽업모듈(120)의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의 파워를 조정한다. 이러한 파워의 조정에 따라서 광학디스크(200)에 조사되는 레이저(L)의 특성이 변화하고, 이에 대응하여 광학디스크(200)에 대한 픽업모듈(120)의 동작이 달라지게 된다.
처리부(150)는 기본적으로 광학디스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부(150)는 광학디스크(200)의 기록 및 광학디스크(200)의 재생 중 어떠한 동작을 실행할 것인가에 따라서 스핀들 모터(110), 픽업모듈(120),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부(150)는 다양한 칩셋 및 전자부품들이 실장된 메인보드(미도시)로 구현되거나 또는 SOC(system-on-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처리부(15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처리부(15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150)는 RF증폭기(151), DSP(digital signal processor)(152), 디코더(153), 선속도 검출부(154), 서보제어부(155), 제어부(156), 인코더(15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처리부(150)의 다양한 구현 예시 중에서 어느 한 가지만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내용이 처리부(150)의 구현 예시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처리부(150)가 광학디스크(200)의 재생만이 가능하다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일부 구성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처리부(150)가 추가적인 기능을 지원하도록 마련된다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광학디스크(200)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해당 데이터는 인코더(157)에 의해 인코딩된 이후에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0)에 제공된다. 제어부(156)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기록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0)에 제공하여 픽업모듈(12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파워를 변화시킨다.
한편, 광학디스크(2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때, 제어부(156)는 픽업모듈(120)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를 제어하여 재생 파워의 레이저를 발생시킨다. 광학디스크(200)에 조사되는 레이저는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서 반사된 이후에 픽업모듈(120)의 수광부(미도시)에 수신된다. 여기서, 수광부(미도시)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픽업모듈(120)은 수신한 광의 양에 대응하는 RF 신호를 생성하여 RF증폭기(151)에 전달한다.
RF증폭기(151)는 픽업모듈(120)로부터의 RF 신호를 증폭시켜 바이너리(binary)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DSP(152)로 전달한다. DSP(152)는 RF증폭기(151)로부터의 바이너리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원시킨다. 이와 같이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는 인코딩된 상태이므로, 디코더(153)는 DSP(152)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DSP(152)는 RF 신호로부터 피크(peak) 값, 바텀(bottom) 값, 평균값 등의 수치를 산출하여 제어부(156)에 제공한다. 또한, 선속도 검출부(154)는 회전하는 광학디스크(200)의 선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56)에 제공한다.
한편, RF증폭기(151)는 포커스 에러 검출회로 및 트래킹 에러 검출회로를 내장하는 바, 증폭된 RF 신호로부터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추출하여 서보제어부(155)에 제공한다.
포커스 에러 신호(FE)는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대해 수직방향을 따라서 광빔의 포커싱이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신호이며,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대해 수평방향을 따라서 광빔의 포커싱이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만일 광빔의 포커싱이 데이터를 픽업하기 위한 정상적인 위치에 형성된다면,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0을 중심으로 하는 기 설정된 각 허용범위 내에서 진행하는 파형으로 나타낼 것이다.
그러나,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형성된 광빔의 포커싱의 수직방향에 따른 위치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포커스 에러 신호(FE)는 허용범위를 벗어날 것이다. 또한,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형성된 광빔의 포커싱의 수평방향에 따른 위치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허용범위를 벗어날 것이다.
서보제어부(155)는 포커스 서보 제어루프 및 트래킹 서버 제어루프로 구성된다. 서보제어부(155)는 이와 같이 허용범위가 벗어나는 상태를 수정하도록 포커스 에러 신호(FE)에 대해 게인(gain) 및 위상을 보상하여 포커스 구동 신호(FOD)를 생성하고, 이에 의하여 픽업모듈(120)의 포커스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포커스 구동 신호(FOD)는 픽업모듈(120) 내의 광학렌즈(미도시)를 수직하게 이동시키는 포커스 액츄에이터(focus actuator)(미도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포커스 구동 신호(FOD)는 광학렌즈(미도시)를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에 대해 법선방향인 광축 방향을 따라서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포커스 액츄에이터(미도시)는 광학렌즈(미도시)가 진동하면서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을 그 법선방향을 따라서 추종하도록 한다.
또한, 서보제어부(155)는 트래킹 에러 신호(TE)에 대해 게인 및 위상을 보상하여 트래킹 구동 신호(TRD)를 생성하고, 이에 의하여 픽업모듈(120)의 트래킹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트래킹 구동 신호(TRD)는 픽업모듈(120) 내의 광학렌즈(미도시)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는 트래킹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제어부(156)는 RF증폭기(151), 서보제어부(155), 픽업모듈(120)의 신호 루프에 의한 서보 제어 과정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56)는 RF 신호를 분석하여 디펙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디펙트 구간을 특정한다. 기본적으로 디펙트는 RF 신호의 왜곡 및 누락 뿐만 아니라 신호 재생에 필수적인 서보 제어의 오동작을 일으킨다. 이에, 제어부(156)는 디펙트 구간을 판단하면, 해당 디펙트 구간에서 서보 제어를 홀드(hold)시키기 위한 홀드 신호를 서보제어부(155)에 전송한다.
홀드의 의미는 서보 제어를 수행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며, 해당 디펙트 구간의 이전의 시점에서의 서보 제어를 위한 게인 및 위상의 보상값을 그대로 유지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디펙트 구간의 이전의 시점은, 광빔이 디펙트 구간에 진입하기 이전의 디펙트가 없는 정상적인 구간에서의 시점을 의미한다.
제어부(156)는 디펙트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다시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TE)로부터 보상값을 산출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56)는 검출된 디펙트에 대응되는 디펙트 구간 이후의 서보 제어 신호의 변동분을 사용하여, 다음 디펙트 검출 시 해당 디펙트 구간의 서보 제어 신호의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보 제어 신호는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56)는 디펙트 구간 이후의 서보 제어 신호의 변동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대응 보상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값을 다음 디펙트 구간 검출 시에 해당 디펙트 구간의 서보 제어 신호에 적용한다.
또한, 제어부(156)는 이전 디펙트 구간 이후에 계산된 보상값에 대해 현재 디펙트 구간에서 산출된 보상값을 상대적으로 적용하여, 다음 디펙트 구간의 서보 제어 신호에 적용할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6)는 이전에 산출된 보상값이 100이라면, 현재 디펙트 구간에서 산출된 보상값을 이전에 산출된 보상값인 100에 가산 또는 감산하는 형태로 다음 디펙트 구간의 서보 제어 신호에 적용할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 상에 발생하는 디펙트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의 일 트랙(3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모듈(120, 도 5 참조)에 의해 트랙(300) 위에 형성된 광 스팟(301)은 광학디스크(200)의 회전에 의해 트랙(300)을 이동한다. 트랙(300)에는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영역(310, 330, 350) 및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비기록영역(320, 340)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각 기록영역(310, 330, 350)의 길이는 2T 내지 10T의 범위 내에서 어느 하나로 지정되며, 여기서 T는 단위 길이를 의미한다. 즉, 트랙(300) 위의 각 기록영역(310, 330, 350)은 2T 내지 10T의 9가지 케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길이를 가진다.
광 스팟(301)이 트랙(300)을 이동하는 동안에, 기록영역(310, 330, 350)에서 광이 반사되어 픽업모듈(120, 도 5 참조)에 의해 픽업된다. 만일 트랙(300) 상에 디펙트(303)가 없이 기록영역(310, 330, 350)에서 정상적으로 광이 반사된다면, 시간 경과에 따라서 2T 내지 10T의 각 길이 별 기록영역(310, 330, 350)에서 발생하는 광 반사에 의한 기록 재생 신호, 즉 RF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RF 신호는 광학디스크(200)의 트랙을 따라서 형성된 데이터의 기록 패턴을 광 반사에 의해 픽업한 재생 신호이다.
그런데, 디펙트(303)는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 상에 존재하는 광 반사를 방해하는 물질 또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디펙트(303)가 트랙(300) 상에 있으면, 디펙트(303)가 있는 영역에서는 광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광학디스크(200)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다. 즉,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 상에 발생하는 다양한 비정상 요소들 중에서, 디펙트(303)는 픽업을 위한 광빔의 포커싱이 기록면 상에 정상적으로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픽업을 방해하는 요소이다. 디펙트(303)는 기록면 상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부착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고, 기록면 상의 스크래치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7은 광학디스크에 디펙트가 없는 정상적인 경우에 생성되는 RF 신호(410)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에 어떠한 디펙트도 없는 상태에서 광학디스크가 회전하면,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되는 광빔의 픽업에 의해 RF 신호(410)가 생성된다. RF 신호(41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소정의 피크 값과 소정의 바텀 값 사이의 범위 내에 복수의 라인이 격자를 형성하면서 진행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정상적인 상태의 RF 신호(410)는 일정한 교류의 형태를 나타낸다. RF 신호(410) 내의 각 라인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의 트랙을 따라서 형성된 데이터의 각 기록영역에 대응한다. 즉, 각 라인은 2T, 3T, 4T 내지 10T 각각의 기록영역에 대응한다.
RF 신호(410)에서 복수의 라인들의 피크 값을 연결한 라인의 신호를 피크 신호라고 하고, 복수의 라인들의 바텀 값을 연결한 라인의 신호를 바텀 신호라고 한다. 디펙트가 없는 정상적인 경우의 RF 신호(410) 내에서, 피크 신호 및 바텀 신호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디펙트가 있다면, RF 신호는 본 도면의 RF 신호(410)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도 8은 광학디스크에 디펙트가 있는 경우에 생성되는 RF 신호(410)와, 이로부터 도출되는 디펙트 신호(440)의 파형의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광학디스크의 트랙을 따라서 이동하는 광빔이 광학디스크에 디펙트가 있는 디펙트 구간(450)을 지나면, 디펙트 구간(450)에서는 광빔의 반사가 수행되지 않는다. 즉,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이 트랙의 정상적인 기록영역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해당 기록영역에서 정상적으로 광반사에 의한 검출값을 산출할 수 있지만, 광빔이 디펙트 구간(450)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광반사에 의한 검출값을 산출할 수 없다. 따라서, 생성된 RF 신호(410)의 디펙트 구간(450)에서는 각 기록영역 별 라인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RF 신호(410)에서 피크 신호(430)만 보면, 디펙트 구간(450)에서 레벨이 바텀 신호까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피크 신호(430)에 대응하여 디펙트 구간(450)을 high로 하고 그 외의 구간을 low로 하면, 디펙트 구간(450)을 나타내는 디펙트 신호(440)가 생성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광학디스크 장치는 디펙트가 발생한 구간을 감지 및 판단할 수 있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기본적으로 광학디스크로부터 RF 신호를 정확히 픽업하기 위해 기구적인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광학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확히 픽업하기 위해서는,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에 광빔의 포커싱이 맞아야 하며 또한 이 광빔의 포커싱이 광학디스크의 트랙을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현재 위치를 피드백받아서, 광빔을 조사하는 픽업모듈의 기구적인 동작을 계속적으로 보정한다. 이를 서보 제어라고 하며, 서보 제어에 의하여 광학디스크의 데이터를 정확히 픽업할 수 있다.
도 9는 픽업모듈(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 장치(100)의 픽업모듈(120)은 광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21)와, 광빔의 수차 보정을 하기 위한 제1렌즈(123) 및 제2렌즈(127)와, 제1렌즈(123) 및 제2렌즈(1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125)를 포함한다. 제1렌즈(123) 및 제2렌즈(127)는 콜리메이터 렌즈 및 대물렌즈를 포함하며 액츄에이터(125)는 제1렌즈(123)를 동작시키도록 마련되지만, 픽업모듈(120)의 구현 형태는 어느 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디스크(200)가 BD와 같은 고밀도 디스크인 경우에는 수차로 인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데, 액츄에이터(125)는 광축 방향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광빔의 특성을 변화시켜 수차가 보정되도록 한다. 또는, 액츄에이터(125)는 광학디스크(200)의 기록면(210, 220)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광빔의 포커싱 위치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액츄에이터(125)는 픽업모듈(120) 전체가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일 광학디스크(200)가 두 개의 기록면(210, 220)을 가질 때, 액츄에이터(125)는 제2렌즈(127)에 대한 제1렌즈(123)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광빔의 포커싱이 제1기록면(210)및 제2기록면(2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도록 조정한다. 즉, 액츄에이터(125)가 기 설정된 제1위치에 제1렌즈(123)를 위치시키면, 제1기록면(210)에 광빔이 포커싱됨으로써 제1기록면(210)의 데이터의 픽업이 가능하다. 또한, 액츄에이터(125)가 제1위치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위치에 제1렌즈(123)를 위치시키면, 제2기록면(220)에 광빔이 포커싱됨으로써 제2기록면(220)의 데이터의 픽업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RF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광학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으로는,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에 포커싱된 광빔의 반사광을 픽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S12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RF 신호의 분석을 통해 일 구간에서 디펙트가 존재하는지, 즉 해당 구간이 디펙트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펙트 구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펙트 신호(450, 도 8 참조)가 high를 나타내는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해당 구간에서 디펙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S130 단계에서 서보 제어를 홀드한다. 서보 제어의 홀드는, 이전 시점의 구간에서 서보 제어 시에 산출한 게인 값을 그대로 유지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는 의미이다.
반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해당 구간에서 디펙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S140 단계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의 상태에 대응하여 게인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S15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산출된 게인 값을 반영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서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통, 디펙트 구간에서는 RF 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레벨값이 매우 작으므로 서보 제어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디펙트 구간에서 정상적인 서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홀드 동작을 통해 디펙트 구간을 안정적으로 벗어날 수 있다.
이하,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에서 데이터의 픽업을 방해하는 비정상 요소가 수직편향(vertical deviation)인 경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500)에 장착되는 광학디스크(6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 장치(500)는 광학디스크(600)가 장착되는 회전축(520)과, 광학디스크(600)의 기록면에 레이저(L)를 조사하여 데이터를 픽업하는 픽업모듈(510)을 포함한다. 그 외의 광학디스크 장치(500)의 제반 구성은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축(520)은 스핀들 모터(53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520)의 일 단부에 지지된 광학디스크(600)를 회전시킨다. 픽업모듈(510)은 회전하는 광학디스크(600)의 기록면에 레이저(L)의 광 스팟(F)을 형성하고, 반사되는 광을 픽업함으로써 데이터를 취득한다.
원리적으로는 광학디스크(600)의 기록면은 평면을 형성해야 하지만, 광학디스크(600) 중에는 일부 기록면이 평면을 형성하지 않고 들뜬 상태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광학디스크(600)가 회전축(520)에 장착되면, 해당 일부 기록면이 기준면(610)에 대해 소정의 간격(610)을 두게 되는 현상인 수직편향이 나타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의 디펙트는 기록면으로부터 광이 반사되지 않으므로 데이터를 픽업할 수 없는 현상인 것에 비해, 수직편향은 기록면에 광 스팟(F)이 정상적으로 포커싱되면 광반사를 통해 데이터를 픽업할 수 있는 경우이다.
만일 픽업모듈(510)이 레이저(L)의 광 스팟(F)을 기준면(610)에 포커싱을 맞추게 되면 정상적인 기록면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수직편향 때문에 앞서 설명한 기준면(610) 대비 간격(620)이 발생하는 구간에서는 광 스팟(F)이 기록면에 포커싱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픽업이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대응할 수 있다. 기준면(610) 대비 간격(620)이 발생하는 구간은 광학디스크(600)의 1/2 회전 시마다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수직편향을 주기적 수직편향이라고 지칭한다. 주기적 수직편향은 발생하는 타이밍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므로 광학디스크 장치(500)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광학디스크 장치(500)는 정상적으로 서보 제어를 수행하다가 주기적인 수직편향 구간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편향구간에서의 포커스 게인 값을 조정하여 광 스팟(F)의 상하위치를 조정한다. 이로써, 픽업모듈(510)이 형성하는 광 스팟(F)이 기록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정상적인 서보 제어에 관한 내용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포커스 게인 값의 예측은 광 스팟(F)의 현재 위치 및 기록면 사이의 간격(620)을 판단하고, 해당 간격(620)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이는, 광학디스크(600)의 데이터를 픽업하기 이전에 시뮬레이팅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광학디스크 장치(500)는 다시 원래대로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즉, 주기적 수직편향에 대해서는 사전에 포커스 게인 값을 예측하고, 수직편향 구간의 진입에 대응하여 미리 예측된 포커스 게인 값을 적용함으로써 광 스팟(F)이 기록면 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에 주기적인 수직편향이 있는지 판단한다.
주기적인 수직편향이 있으면, S22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수직편향 구간에서의 포커스 게인 값을 예측한다. 예측되는 포커스 게인 값은 위치 변화에 따른 보상값을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기준면(610, 도 11 참조) 대비 간격(620, 도 11 참조)은 광학디스크의 외주 측으로 갈수록 커지므로, 각 위치에 대응하여 포커스 게인 값의 증감분이 예측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의 데이터 픽업을 개시한다.
S24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일 구간이 수직편향 구간인지 판단한다.
일 구간이 수직편향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면, S25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사전 예측된 포커스 게인 값을 인가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반면, 일 구간이 수직편향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S26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정상적인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S27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났는지 판단한다. 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S250 단계의 수행을 유지한다. 반면, 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S260 단계로 이행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주기적 수직편향에 대응하여 광학디스크의 데이터를 픽업할 수 있다.
그런데,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에서 데이터의 픽업을 방해하는 비정상 요소가 부분수직편향(partial vertical deviation)인 경우도 있다. 부분수직편향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디펙트나 주기적 수직편향과는 상이한 현상인 바, 이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도 13은 광학디스크(700)의 기록면(710) 상에 형성된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700)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또는 신규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마련된 기록면(710)을 가진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회전하는 광학디스크(700)의 기록면(710)에 레이저(L)를 조사함으로써 반사되는 광을 픽업한다. 이 때, 광학디스크 장치는 레이저(L)의 광 스팟(F1)이 기록면(710)에 포커싱되게 함으로써 기록면(710)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으며, 만일 광 스팟(F1)이 기록면(710)에 포커싱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기록면(710)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서보 제어에는 포커스 서보 제어가 포함되는 바,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서보 제어에 의해 광 스팟(F1)이 기록면(710)에 포커싱되도록 기구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그런데, 기록면(710)이 비주기적으로 부분적인 불균일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불균일 영역은 기록면(710)으로부터 함몰되거나 또는 돌출되어 있지만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으로서,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으로 지칭한다.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은 주기적인 수직편향과 달리 비주기적으로 불특정하게 기록면(710)에 발생하는 비정상 요소이므로 사전에 예측하여 대응하는 것이 곤란한 요소이다. 또한,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은 광 스팟(F3)의 포커싱 높이가 기록면(710)의 타 영역에 비해 상이할 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며 광 반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분수직편향의 특성은 광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디펙트와 상이하다.
즉, 기록면(710)의 타 영역의 광 스팟(F1)과 동일한 높이에 광 스팟(F2)을 포커싱하면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의 데이터를 픽업하기 곤란하며, 광 스팟(F2)과 상이한 높이로 포커싱을 조정한 광 스팟(F3)에 의해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픽업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수직편향 및 디펙트의 차이 때문에,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의 검출은 디펙트의 검출방법과는 상이하다. 앞서 제1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디펙트의 검출 또는 디펙트 구간의 판단은, RF 신호(420, 도 8 참조)로부터 도출된 디펙트 신호(440, 도 8 참조)가 high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한다. 그러나,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은 디펙트 영역과 달리 광 스팟(F3)의 높이가 타 기록면의 광 스팟(F2)의 높이가 다를 뿐이므로, 디펙트 신호로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부분수직편향은 디펙트와 원인이 상이하므로 그 대응 또한 상이해야 한다. 디펙트의 경우와 동일하게 홀드 신호를 발생시켜 서보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부분수직편향에 대응하게 되면, 오히려 광 스팟(F1, F2)의 포커싱의 순간 변동성을 막는 방향이므로 해결이 불가하다.
광 스팟(F1, F2)의 포커싱의 순간 변동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서보 제어는,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포함하는 서보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포커스 에러 및 트래킹 에러가 0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하는 방법이다. 만일 광학디스크(700)의 기록면(710)이 평면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허용범위 내에서 레이저(L)를 조사하는 픽업모듈(미도시)은 기록면(710)을 따라서 광 스팟(F1, F2)의 포커싱이 형성되도록 순간적으로 변동이 가능하다. 다만, 이 허용범위는 광학디스크(700)의 회전속도와, 픽업모듈(미도시)의 위치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의 동작 성능에 의해 제한된다.
만일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에서 홀드 신호가 발생하면 액츄에이터(미도시)의 서보 제어가 이전 단계의 게인 및 위상으로 고정되어 버리므로,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에 대응하여 동작하기 위한 가능성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부분수직편향에 대한 대응은 디펙트의 대응과 달라야 한다.
이에, 기록면(710)의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픽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구성이 필요하다. 하나는 기록면(710)에서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또 하나는 검출된 부분수직편향 영역(720)에서 데이터를 픽업하는 방법이다.
도 14는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생성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TE)의 파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스크 장치는 회전하는 광학디스크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취득하여 기록재생신호, 즉 RF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광학디스크 장치는 RF 신호로부터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형성되는 레이저의 포커싱의 수직방향 위치 오차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형성되는 레이저의 포커싱의 수평방향 위치 오차를 나타내는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는 부분수직편향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빔의 포커싱에 관련된 사항이므로, 광학디스크 장치는 두 가지의 서보 제어 신호 중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FE)만을 고려한다. 또는,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유사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포커스 구동 신호(미도시)를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 나타난 포커스 에러 신호(FE)는 시간의 진행에 따라서 파형이 0을 중심으로 대체로 작게 진동하다가 W1의 폭만큼 크게 진동하는 영역이 발생한다. 파형이 대체로 작게 진동하는 영역에서는 포커스 에러 정도가 크지 않고 광 스팟의 포커싱이 적절하게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파형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폭 W1을 나타내는 영역에서는 포커스 에러 정도가 크게 발생하는 바, 이 영역에서는 광 스팟의 포커싱이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적절히 형성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파형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진폭을 가지는 영역 또는 구간이 있으면, 이 영역 또는 구간이 부분수직편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부분수직편향의 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디펙트 신호(440, 도 8 참조)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어떤 구간에서 디펙트 신호가 high라면 해당 구간은 디펙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디펙트 신호가 low라면 해당 구간은 디펙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디펙트가 없는 구간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진폭 이상이 발생하였다면, 이는 디펙트 이외에 데이터의 픽업을 방해하는 비정상 요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 구간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FE)가 설정값 이상이고 해당 구간에서 디펙트 신호가 low를 나타낸다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해당 구간에서 부분수직편향이 있다고 판단한다.
부분수직편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로부터 광반사에 의해 포커스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포커스 에러 신호의 진폭이 기 설정값 이상을 나타내는 구간을 부분수직편향 구간으로 판단한다. 또는,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에러 신호의 진폭이 기 설정값 이상을 나타내고 디펙트 신호가 low를 나타내는 구간을 부분수직편향 구간으로 판단한다. 전자 및 후자 모두에 의해 부분수직편향 구간을 판단할 수 있지만, 후자 쪽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부분수직편향 구간 또는 부분수직편향 영역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픽업하려면, 포커스 서보 제어의 성능을 높임으로써 광 스팟의 포커싱 이동 속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광 스팟의 포커싱 이동 속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광빔의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도록 픽업모듈을 수직으로 동작시키는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다.
이하,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 별로 대상위치에 도달하는 소요시간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시간 및 단위거리의 좌표 상에,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제1민감도로 동작할 때의 커브 C1 및 제2민감도로 동작할 때의 커브 C2가 각각 나타나 있다. 여기서, 제1민감도는 제2민감도에 비해 동작 민감도가 높다.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소정의 위치에서 거리 P만큼 이격된 위치로 이동할 때에,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포커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을 t0,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제1민감도로 동작할 경우에 해당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t1,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제2민감도로 동작할 경우에 해당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t2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제1민감도로 동작할 경우에는 (t1-t0)의 시간이 소요되고,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제2민감도로 동작할 경우에는 (t2-t0)의 시간이 소요된다. t1<t2이므로 (t1-t0)<(t2-t0)이 되며, 이에 의하여 커브 C1의 구배가 커브 C2의 구배보다 높은 경사도를 가진다.
즉,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보다 높은 민감도인 제1민감도로 동작할 경우에 포커스 제어 신호에 대한 반응성이 빨라지므로, 상대적으로 빠른 소요시간 내에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부분수직편향 구간에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기 설정값 이상으로 높이게 되면,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광 스팟의 포커싱을 이동시키기 위한 소요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써, 광학디스크 장치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픽업할 수 있다.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의 조정은,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포커스 액츄에이터에 대해 해당 지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의 전송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제1민감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조되었다고 하더라도, 광학디스크 장치는 정상적인 서보 제어 동작에서는 최고 성능보다 기 설정된 레벨만큼 낮은 제2민감도로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의 최고 레벨이 100이라고 하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정상적인 서보 제어 동작에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100보다 낮은 값, 예를 들면 70 내지 80 정도의 동작 민감도로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킨다.
만일,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정상적인 서보 제어 동작에서 100의 동작 민감도로 동작하게 되면, 포커스 제어 신호에 대해 포커스 액츄에이터가 과도하게 반응함으로써 오히려 비정상적인 위치에 포커싱이 맞춰질 우려가 있다. 또한,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반응성이 과도하면,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수명을 보다 빠르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광학디스크 장치는 정상적인 서보 제어 동작에서는 70 내지 80 정도의 동작 민감도로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되, 부분수직편향 영역에서는 이보다 높은 90 정도의 동작 민감도로 포커스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반응성에 의한 데이터의 픽업이 가능하게 보장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장치의 내용을 응용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의 데이터를 픽업하여 RF 신호를 생성한다.
S32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취득한다.
S33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수직편향 구간이 있는지 판단한다. 부분수직편향 구간은,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는 구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부분수직편향 구간이 있다고 판단하면, S34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픽업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광 스팟의 포커싱 이동 속도를 높인다. 광 스팟의 포커싱 이동 속도의 상승은, 픽업모듈의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는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반면 부분수직편향 구간이 없다고 판단하면, S35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 스팟의 포커싱 이동 속도를 그대로 유지한다. 즉,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디폴트 값으로 유지한다.
S36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 스팟이 부분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났는지 판단한다. 또는, 광학디스크 장치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의 대응처리를 개시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광 스팟이 부분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나거나 또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의 대응처리 개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S37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 스팟의 포커싱 이동 속도를 원래대로 복귀시킨다. 즉,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디폴트 값으로 회귀시킨다.
만일, 광 스팟이 부분수직편향 구간을 아직 벗어나지 않았거나 또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의 대응처리 개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앞서 S340 단계에서 조정된 값에 따른 동작을 유지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생성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TE)의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도면은, 앞선 도 14의 상태에 대해 본 실시예를 적용한 이후에 측정되는 서보 제어 신호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적용된 광학디스크 장치는 RF 신호로부터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형성되는 레이저의 포커싱의 수직방향 위치 오차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형성되는 레이저의 포커싱의 수평방향 위치 오차를 나타내는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생성한다.
본 도면에 나타난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앞선 도 14의 상태와 비교하면,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진폭의 최대 변동폭은 W1보다 작은 W2를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포커스 서보 제어의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광 스팟의 포커싱이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에 대체적으로 적절하게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수직편향 구간에 대응하여 데이터 픽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픽업하기 위해,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높임으로써 광 스팟의 포커싱 이동 속도를 높이는 방법, 즉 기록면에 대한 픽업모듈의 추종 속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부분수직편향 구간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픽업하기 위한 방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디스크 장치에서 광학디스크의 기록면 상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픽업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타이밍에 픽업모듈이 기록면을 추종할 수 있으면 된다. 이를 달성하는 방법으로는 픽업모듈의 추종 속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지만, 이 외에도 픽업모듈의 추종 속도를 높이지 않고 광학디스크의 회전속도를 낮추는 방법도 가능하다. 광학디스크의 회전속도가 낮아지게 되면, 픽업모듈은 보다 용이하게 기록면을 추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의 데이터를 픽업하여 RF 신호를 생성한다.
S42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취득한다.
S43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수직편향 구간이 있는지 판단한다.
부분수직편향 구간이 있다고 판단하면, S44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의 회전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춘다. 구체적으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기 설정된 레벨만큼 낮춘다. 이로써, 픽업모듈이 부분수직편향 구간에서 원하는 위치에 광 스팟을 포커싱할 수 있다.
반면 부분수직편향 구간이 없다고 판단하면, S45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의 회전속도를 그대로 유지한다. 즉, 광학디스크 장치는 스핀들 모터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디폴트 값으로 유지한다.
S46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 스팟이 부분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났는지 판단한다. 또는, 광학디스크 장치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의 대응처리를 개시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광 스팟이 부분수직편향 구간을 벗어나거나 또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의 대응처리 개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S470 단계에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학디스크의 회전속도를 원래대로 복귀시킨다. 즉, 광학디스크 장치는 스핀들 모터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디폴트 값으로 회귀시킨다.
만일, 광 스팟이 부분수직편향 구간을 아직 벗어나지 않았거나 또는 부분수직편향 구간의 대응처리 개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앞서 S440 단계에서 조정된 값에 따른 동작을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를 정리하면,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이 기 설정된 변동 가능범위 내에서 광학디스크의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도록 하며, 기록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을 처리한다. 여기서, 광학디스크 장치는 광빔의 초점이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상태, 즉 부분수직편향이 기록면의 일 구간에서 나타나는지를 판단한다. 광학디스크 장치는 이와 같이 판단한 구간에서 광빔의 초점이 기록면의 굴곡을 따라서 추종 가능하도록,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픽업모듈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한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킨다.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픽업모듈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는,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를 낮추거나, 또는 픽업모듈의 동작 속도를 높이는 방법이 가능하다.
광빔의 초점이 일 구간에서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상태인지 여부는 포커스 에러 신호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포커스 에러 신호로부터 일 구간의 진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크게 형성된다면 광빔의 초점이 해당 구간에서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500 : 광학디스크 장치
110, 530 : 스핀들 모터
120, 510 : 픽업모듈
121 : 레이저 다이오드
123, 127 : 광학렌즈
125 : 액츄에이터
130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140 : 통신부
150 : 처리부
151 : RF 증폭기
152 : DSP
153 : 디코더
154 : 선속도 검출부
155 : 서보제어부
156 : 제어부
157 : 인코더
200, 600, 700 : 광학디스크
520 : 회전축

Claims (16)

  1. 광학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기록면을 가지는 광학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광학디스크에 대해 광빔을 조사하는 픽업부와;
    상기 기록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픽업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빔의 초점이 기 설정된 변동 가능범위 내에서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기록면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록면의 일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록면에 대해 상기 광빔의 초점이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가 조정되게 제어하며,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기록면에 대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기록면의 트랙을 따라서 형성된 데이터 기록 패턴을 나타내는 재생신호를 도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고 상기 재생신호에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데이터 기록 패턴이 나타나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학디스크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줄임으로써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빔의 초점의 높이가 조정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동작 민감도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픽업부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상승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광빔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빔의 수차 보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
  10.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의 기록면을 가지는 광학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하는 상기 광학디스크에 대해, 픽업부에 의해 광빔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픽업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빔의 초점이 기 설정된 변동 가능범위 내에서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도록 상기 픽업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기록면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면의 일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면에 대해 상기 광빔의 초점이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빔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면에 대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기록면의 트랙을 따라서 형성된 데이터 기록 패턴을 나타내는 재생신호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에서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진폭을 나타내고 상기 재생신호에서 상기 광빔의 반사에 의해 상기 데이터 기록 패턴이 나타나면, 상기 구간에서 상기 광빔의 초점이 상기 기록면의 굴곡을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가능범위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디스크 장치는, 상기 광학디스크를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핀들 모터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디스크의 회전 속도 대비 상기 픽업부의 동작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디스크 장치는, 상기 광빔의 광축방향에 따른 상기 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광빔의 초점의 높이가 조정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광빔의 초점의 이동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 민감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42456A 2015-03-26 2015-03-26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5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56A KR20160115223A (ko) 2015-03-26 2015-03-26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5/078,285 US9564167B2 (en) 2015-03-26 2016-03-23 Optical dis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56A KR20160115223A (ko) 2015-03-26 2015-03-26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223A true KR20160115223A (ko) 2016-10-06

Family

ID=5697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56A KR20160115223A (ko) 2015-03-26 2015-03-26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4167B2 (ko)
KR (1) KR201601152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223A (ko) * 2015-03-26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447B2 (ja) * 1977-07-20 1984-11-2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再生装置の利得補償回路
JPH03129411A (ja) * 1989-07-18 1991-06-03 Asahi Optical Co Ltd サーボ装置
JPH07122009A (ja) * 1993-10-22 1995-05-12 Sony Corp トラッキングトラバース制御回路
JP3950529B2 (ja) * 1997-06-27 2007-08-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多層記録ディスクのフォーカスジャンプ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173657A (ja) * 1997-06-27 1999-03-16 Pioneer Electron Corp 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方法
JP3563239B2 (ja) * 1997-07-10 2004-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ォーカス制御装置
US6324134B1 (en) * 1998-08-05 2001-11-27 Seiko Instruments Inc.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U2003241944A1 (en) * 2002-05-30 2003-1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ter on object, device for detecting foreign matter on object,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7002884B2 (en) * 2002-12-30 2006-0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termediate power down mode for a rotatable media data storage device
KR100712516B1 (ko) * 2005-07-1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픽업 액추에이터의 보호방법, 그 보호회로 및 기록매체
US8199620B2 (en) 2008-08-14 2012-06-12 Mediatek Inc. Method for performing servo defect compensating operation by compensating servo-related signal derived from reading optical medium and related optical disc drive system with DSP
WO2010067575A1 (ja) * 2008-12-10 201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情報処理方法及び光情報処理装置
KR20160115223A (ko) * 2015-03-26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4167B2 (en) 2017-02-07
US20160284376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6077A1 (en) Method of adjusting spherical aberration and focus offset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7060975A1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8524764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の最適化
JP4936068B2 (ja) 光ディスク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54094A1 (en) Optical Disc Drive
KR20160115223A (ko) 광학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018388A (ja) 記録再生装置、レーザ駆動パルス調整方法
JP4460569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記録パワー設定方法
US8395979B2 (en) Recording device and APC correction method
JP4466884B2 (ja) 光軸ズレ補正装置及び方法
JP200626896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7157196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記録パワー設定方法
JP509420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218596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8287781A (ja) 光ディスク装置
US8391115B1 (en) Method of improving quality of optical recording using circumferentially repeatable compensation
KR101339437B1 (ko)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JP4946838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7200381A (ja) 光ディスク装置運転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9054233A (ja) 光ディスクのフォーカス位置調整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7134038A (ja) チルト補償方法及びチルト補償装置
JP2011134407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判別方法
US20130188465A1 (en) Optical read/write apparatus
KR20060003671A (ko) 광디스크장치의 최적 기록파워 검출방법
JP2008310870A (ja) 光ディス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