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518A -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 Google Patents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518A
KR20160107518A KR1020150030359A KR20150030359A KR20160107518A KR 20160107518 A KR20160107518 A KR 20160107518A KR 1020150030359 A KR1020150030359 A KR 1020150030359A KR 20150030359 A KR20150030359 A KR 20150030359A KR 20160107518 A KR20160107518 A KR 20160107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access control
beac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3498B1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3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98B1/en
Publication of KR2016010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15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entry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ies and a system thereof capable of strengthening entry security. The security entr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detecting access of a terminal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terminal; a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which turns on a Bluetooth of the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is confirmed; a step of detecting entry attempt of a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an entrance door; a step of transmitting a message requesting entry of a password to the terminal;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password entered in the terminal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password; and a step of controlling the entrance door in accordance with a confirmation result of the password.

Description

비콘과 지오펜싱을 이용한 보안 강화 출입 통제 방법 및 그 시스템{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이하의 실시예는 보안 강화 출입 통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embodiment relates to a security enhanced access control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ecurity enhanced access control method.

기존에는 사무실, 호텔 객실, 아파트 등의 도어 개폐 장치로는 금속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금속 열쇠가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이 약한 편이었다.Conventionally, mechanical door locks using a metal key to open and close a door have been mainly used as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for offices, hotel rooms, apartments, and the like. However, the conventional mechanical door lock has a weak security because the metal key used as the authentication means is vulnerable to loss and duplication.

최근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취약성을 해결하고자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비밀번호 입력, 출입 카드, 지문, 홍채, 음성, 얼굴 등의 다양한 수단들을 사용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PU: Microprocessor Unit)를 도어락에 탑재하여 도어락의 전반적인 열림 및 잠김 동작을 제어하는 첨단의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weakness of the conventional mechanical door lock, a variety of means such as a password inputting system, an access card, fingerprint, iris, voice and face are used as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icroprocessor (MPU) A state-of-the-art syste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ning and 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그러나, 회사나 건물에서 사용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특히 비밀번호나 출입 카드를 이용하는 출입 방식은, 본인이 아닌 경우에도 비밀번호를 알거나 출입 카드가 있으면 손쉽게 출입이 가능한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ess control systems used in companies and buildings, particularly access methods using passwords or access cards, have security problems that allow them to easily enter and exit the home network without knowing the password or access card.

따라서, 다양한 기술을 접목한 출입 통제에 대한 보안이 강화된 출입 통제 시스템의 필요성이 나타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for access control that incorporates various technologi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입 통제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nhancing the security of access control.

자세하게는, 비콘 단말과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블루투스 통신 기술 및 지오펜싱(Geofencing)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회사, 건물 등의 출입 시, 통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detail, there is a method of enhancing security of control when accessing a company, a building, and the like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beac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smart phone, tablet, etc.) and the positioning technology of the geofencing System.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출입 통제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출입문을 통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입력된 패스워드가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와의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n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n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detecting access of a terminal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Detecting an access attempt of a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an entrance door; Transmitting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password input to the terminal matches a predetermined password; And controll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일측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지오펜싱(Geofensing) 설정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단말의 GPS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the step of sensing the access of the terminal i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include: accessing the terminal using the GPS of the terminal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set in geofencing ; And extracting CTN (Custom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 중 상기 단말의 CTN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CT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rver.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Appl.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를 자동으로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comprises: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using a timer.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통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비콘(Beacon) 리더기에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cting an entrance / exit attempt of a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the door includes: detecting a beacon signal using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in a beacon reader installed at the door; And receiving the terminal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 푸시 메시지 형태의 상기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ransmitting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to the terminal.

출입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서버;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서버; 상기 비콘 서버에서 출입문을 통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하면, 상기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서버; 및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의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HR(Human Resource)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서버는, 상기 단말로 입력된 패스워드가 상기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와의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An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a location server for detecting an access of a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beacon ser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 push server for transmitting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when the beacon server detects an access attempt of a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a doorway; And a human resource (HR)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password of the terminal, wherein the beacon server confirms whether the password input to the terminal matches the predetermined password, And an access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resul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출입 통제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access control security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자세하게는, 비콘 단말과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블루투스 통신 기술 및 지오펜싱(Geofencing)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회사, 건물 등의 출입 시, 통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In detail, there is a method of enhancing security of control when accessing a company, a building, and the like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beac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smart phone, tablet, etc.) and the positioning technology of the geofencing System.

이에 따라, 출입 통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출입 통제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urity of access control can be enhanced and the convenience of access control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 단말 및 비콘 리더기에서 수행하는 출입 통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출입 통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n access control system, a terminal, and a beacon rea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configuration performed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to them.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사, 기관 등의 건물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를 가지는 지오펜싱(101)을 설정될 수 있다. 지오펜싱(101)의 범위는 원형 이외에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 geofencing 101 having a certain range can be set centering on a building such as a company, an institution, or the like. The scope of the geofencing 101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than the original.

지오펜싱(101) 범위 이내에 단말(102)이 들어오는 경우,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말(102)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단말(102)의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는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102 arrives within the geofencing area 101,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sense the signal of the terminal 102 and extract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detected terminal 102. The termi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CTN (Custom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단말(102)을 지니는 사용자가 위치(110)에서 위치(120)로 이동하면, 단말(102)은 출입 통제 시스템이 단말(102)을 감지할 수 있는 지오펜싱(101) 범위 내로 들어오게 된다.When a user having the terminal 102 moves from the location 110 to the location 120, the terminal 102 enters the geofencing area 101 where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detect the terminal 102.

단말(102)을 포함하여, 해당 회사, 기관에 소속되어 건물로의 출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단말에 대해서, 단말 정보를 시스템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단말(102)로부터 추출된 단말 정보를 매칭하여, 추출된 단말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102,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elonging to the company or organization and continuously needing access to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by matching the stored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terminal 102.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되는 경우, 해당 단말(102)로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의 Appl. 타이머 기능을 사용하여 블루투스를 켜도록 할 수 있다.When it is confirmed tha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is stored, a signal for turning on Bluetooth to the terminal 102 can be transmitted. In an embodiment, You can use the timer function to turn on Bluetooth.

이후, 단말(102)은 블루투스가 켜져 비콘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며,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된 비콘 리더기(103)에서 단말(102)의 사용자의 접근 및 출입문을 통한 출입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비콘 리더기(103)는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출입 시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102 can turn on the Bluetooth to generate a beacon signal. The beacon reader 103 installed at an entrance or the like of the building can detect access by the user of the terminal 102 and access attempts through the door. The beacon reader 103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ccess attempt of the user to the access control system.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말(102)로 사용자 인증을 위해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102)에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문자 메시지나 ARS 등의 형태로 메시지가 전달될 수도 있다.The access control system may transmit a message requesting the input of a predetermined password to the terminal 102 to authenticate the user. In an embodiment, a push message may be sent to the terminal 102, and a message may be delivered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an ARS message, or the like.

사용자는 단말(102)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출입 통제 시스템은 입력된 패스워드와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된 패스워드와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형태로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말(102)로 경고 메시지를 보내거나, 출입문을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password to the terminal 102, and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compare the input password with a predetermined password to confirm that they match. In the embodiment,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a predetermined password, the user can control the door in a form in which the user can enter and exit. In an embodiment, if they do not match, a warning message may be sent to the terminal 102, or the door may not be controlled.

실시예에서, 지오펜싱 기술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단말의 블루투스를 켜고, 출입 시도 시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1차 보안을 수행하며,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2차 보안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within a certain distance is turned on by using the geofencing technique, the primary security is performed by receiving the beacon signal from the terminal when the access attempt is made, and a message requesting the password inpu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curity can be per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 단말 및 비콘 리더기에서 수행하는 출입 통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n access control system, a terminal, and a beacon rea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201)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지오펜싱 및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지오펜싱 범위 및 그 형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건물에 출입하는 사용자들에 대해서 각 개인이 설정하는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패스워드와 단말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step 201, the access control system may set geofencing and a password. In one embodiment, a geofencing range and its form can be set, and a password set by each individual can be received for users entering and leaving the building, and the password and the terminal can be matched and stored.

단계(202)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말의 지오펜싱 범위 내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을 감지하기 위해 GPS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step 202, the access control system may detect access within the geofencing range of the terminal. In an embodiment, a GPS or the like may be used to detect the terminal.

단계(203)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감지한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는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203,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extract th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sensed terminal. The termi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CTN (Custom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단계(204)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추출된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에 등록된 단말의 경우, 추출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출입 통제 시스템 저장될 수 있고, 매칭을 통해 일치하는 정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204,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check whether information matching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a terminal registered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information match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and matching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matching.

단계(205)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말의 블루투스를 ON 시킬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의 Appl. 타이머 기능을 사용하여 블루투스를 켜기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step 205,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transmit a signal to turn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In an embodiment, The timer function can be used to transmit a signal to turn on Bluetooth.

이에, 단계(206)에서, 단말은 단말의 블루투스를 ON시키고, 블루투스를 이용한 비콘 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Thus, in step 206, the terminal can turn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and continuously transmit the beacon signal using the Bluetooth.

단말의 사용자는 건물의 출입문으로 계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출입문에 도착하면 출입문으로 출입을 시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물의 출입문 부근에 비콘 리더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단계(207)에서 비콘 리더기는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문으로 출입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terminal can continuously move to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when the user arrives at the entrance, the entrance can be attempted. In an embodiment, a beacon reader may be installed near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in step 207, the beacon reader may detect an access attempt at the entrance of the user of the terminal.

단계(208)에서 비콘 리더기는 단말의 출입 시도에 대한 정보를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출입 시도 시, 비콘 리더기 또는 단말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단말의 패스워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208, the beacon read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ccess attempts of the terminal to the access control system. In an embodiment, when access is attempted, the beacon reader or the terminal may transmit termi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password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access control system.

단계(209)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 시도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정보와 매칭되는 단말로 패스워드의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의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패스워드의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며, 사용자 단말에 푸시 알림 형태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In step 209, the access control system receives the access attempt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can transmit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In the embodiment, the user of the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request message of the password designated directly, and can transmit th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push notification.

단계(210)에서,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패스워드를 전달된 메시지 창에 입력할 수 있으며, 단계(211)에서, 입력된 패스워드를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step 210, the terminal may enter the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into the transmitted message window, and in step 211,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entered password to the access control system.

단계(212)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전달된 패스워드를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매칭할 수 있다.In step 212, the access control system may compare a predetermined password with a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and transmitted. In an embodiment, both passwords can be matched to match.

단계(213)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계(212)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가 출입 시도한 출입문을 잠금 해제하는 등 출입문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입문을 제어하는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In step 213, the access control system may transmit a signal to control the door, such as unlocking a door attempted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of step 212, to control the doo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출입 통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단계(310)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step 310, the access control system detects the access of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s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실시예에서, 지오펜싱 기술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는 단말을 감지할 수 있는데, 설정되는 범위는 원형 또는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지오펜싱 범위 이내에 단말이 들어오는 경우,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말을 감지하고, 감지된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는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geofencing techniques may be used to detect terminals approaching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range to be set may be implemented in a circular or other form. If the terminal enters within the geofencing range,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detect the terminal and extract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detected terminal. The termi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CTN (Custom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단계(320)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step 320,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check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terminal information.

실시예에서, 회사, 기관에 소속되어 건물로의 출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단말에 대해서, 단말 정보를 시스템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단말로부터 추출된 단말 정보를 매칭하여, 추출된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terminal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ystem for a terminal belonging to a company or an institution and constantly requiring access to the build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xtracted terminal information is stored by matching the stored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terminal.

단계(330)에서,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330 that there i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terminal information,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실시예에서, 단말의 Appl. 타이머 기능을 사용하여 블루투스를 켜기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의 블루투스가 켜지면, 블루투스의 비콘 신호가 단말에서 송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imer function can be used to transmit a signal to turn on Bluetooth. Whe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is turned on, the Bluetooth beacon signal can b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단계(340)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문을 통해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In step 340,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detect an access attemp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the door.

실시예에서, 출입문 부근 또는 출입문에 비콘 리더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비콘 리더기에서 단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 비콘 리더기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출입문 개폐 장치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출입 시도가 감지되면, 이후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의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beacon reader may b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door or a door, and a beacon reader may sense an attempt of an access by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detect that the terminal is approaching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beacon reader, or can detect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n the embodiment, if an attempt is made to access the user,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단계(350)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사용자의 출입 시도가 감지되면,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350, the access control system may transmit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when an access attempt of the user is detected.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에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문자 메시지나 ARS 등의 형태로 메시지가 전달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a message may be sent requesting input of a predetermined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a push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r a message may be delivered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an ARS message, or the like.

단계(360)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단말로 입력된 패스워드가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와의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step 360,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check whether the password input to the terminal coincides with a predetermined password.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는 사용자의 단말에 대해서 개인이 설정한 패스워드로,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password may be used as the user authentication means with the password set by the individual for the user terminal.

단계(370)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두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In step 370,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control the do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wo passwords are matched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시스템은 확인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가 출입 시도한 출입문을 잠금 해제하는 등 출입문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입문을 제어하는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access control system may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oor to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oor, such as unlocking a door attempted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confirmation resul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입 통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400)은, 위치 서버(410), 비콘 서버(420), 푸시 서버(430) 및 HR(Human Resource) 저장장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control system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ocation server 410, a beacon server 420, a push server 430, and a human resource (HR) storage device 440.

위치 서버(410)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location server 410 can detect the access of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지오펜싱 범위 내로의 접근을 단말의 GPS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는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ccess to a predetermined geofencing range can be detected through GPS or the like of the terminal, and terminal information of the detected terminal can be extracted. The termi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CTN (Custom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비콘 서버(420)는, 위치 서버(410)로부터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HR 저장장치(440)에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의 Appl. 타이머 기능을 사용하여 블루투스를 켜기 위한 신호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The beacon server 420 acquires th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server 410 and verifies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in the HR storage device 440 that matches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Bluetooth signal can be transmitted. In an embodiment, The timer function can be used to transmit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to the terminal.

또한, 비콘 서버(420)는,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출입 시도가 감지되면 단말로 입력된 패스워드가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와의 일치하는지 확인함에 따라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con server 420 can detect an access attempt by the user, and can control the door by checking whether the password input to the terminal matches the predetermined password when an access attempt is detected.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출입 시도는 출입문 주변에 구비된 비콘 리더기를 통해 감지되고, 비콘 서버(420)는 비콘 리더기로부터 출입 시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user access attempt is detected through a beacon reade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and the beacon server 420 may receive information on access attempts from the beacon reader.

푸시 서버(430)는, 비콘 서버(420)에서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하면, 단말로 패스워드의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패스워드의 입력 요청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push server 430 detects an access attempt of a user of the terminal by the beacon server 420, the push server 430 may transmit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Here,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can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HR 저장장치(440)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기 등록된 개별적인 단말 정보 및 단말의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비콘 서버(420) 등에 제공할 수 있다.The HR storage device 440 may store previously registered individual terminal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password of the terminal for user registration, and may provide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beacon server 420 for us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출입 통제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access control security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자세하게는, 비콘 단말과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블루투스 통신 기술 및 지오펜싱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회사, 건물 등의 출입 시, 통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 통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출입 통제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detail, a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he security of control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company, building, etc. are provided by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beac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smart phone, tablet, etc.)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of access control and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ccess control.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ic disks such as a floppy disk, -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thereof, the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400: 출입 통제 시스템
410: 위치 서버
420: 비콘 서버
430: 푸시 서버
440: HR 저장장치
400: Access control system
410: Location server
420: Beacon server
430: push server
440: HR storage device

Claims (11)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출입 통제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출입문을 통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입력된 패스워드가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와의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
In an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n access control system,
Detecting access of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Detecting an access attempt of a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an entrance door;
Transmitting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password input to the terminal matches a predetermined password; And
Controll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 RTI >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지오펜싱(Geofensing) 설정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기 단말의 GPS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cting the access of the terminal i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omprises:
Detecting access of the terminal using the GPS of the terminal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set by geofencing; And
Extracting CTN (Custom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 RTI >
Access control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 중 상기 단말의 CTN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comprises:
Check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CT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rver
/ RTI >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Appl.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를 자동으로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includes:
The Appl. Transmitting a signal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using a timer
/ RTI >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통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비콘(Beacon) 리더기에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an access attempt by a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the doorway comprises:
Detecting a beacon signal using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in a beacon reader installed in the door; And
Receiving the terminal information
/ RTI >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 푸시 메시지 형태의 상기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transmitting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comprises:
Transmitting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to the terminal
/ RTI >
Access control method.
출입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서버;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서버;
상기 비콘 서버에서 출입문을 통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출입 시도를 감지하면, 상기 단말로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서버; 및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의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HR(Human Resource) 저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서버는,
상기 단말로 입력된 패스워드가 상기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와의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In an access control system,
A location server for detecting access of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ra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beacon ser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 push server for transmitting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when the beacon server detects an access attempt of a user of the terminal through a doorway; And
A human resource (HR)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predetermined password of the terminal
Lt; / RTI >
The beacon server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or not the password input to the terminal coincides with the predetermined password, and controls the do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Access control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비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비콘 서버는,
상기 HR 저장장치에 상기 단말 정보에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조회 요청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ocation server comprising:
Transmits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beacon server,
The beacon server includes:
Requesting the HR storage device to inquire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ccess control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서버는,
상기 단말의 Appl.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를 자동으로 켜는 신호를 송출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eacon server includes:
The Appl.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using a timer,
Access control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서버는,
상기 출입문에 설치된 비콘(Beacon) 리더기에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푸시 서버는,
상기 단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로, 푸시 메시지 형태의 상기 패스워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eacon server includes:
A beacon reader installed at the door detects a beacon signal using the Bluetooth of the terminal, receives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push server comprises:
And transmits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to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 RTI >
Access control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단말의 CTN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s:
The method of claim 1,
Access control system.
KR1020150030359A 2015-03-04 2015-03-04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KR1023934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59A KR102393498B1 (en) 2015-03-04 2015-03-04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59A KR102393498B1 (en) 2015-03-04 2015-03-04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18A true KR20160107518A (en) 2016-09-19
KR102393498B1 KR102393498B1 (en) 2022-05-02

Family

ID=5710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359A KR102393498B1 (en) 2015-03-04 2015-03-04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49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28A (en) * 2001-02-06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opening or shu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mobile terminal
KR20150004499A (en) * 2013-07-02 2015-01-13 주식회사 에스원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28A (en) * 2001-02-06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opening or shu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mobile terminal
KR20150004499A (en) * 2013-07-02 2015-01-13 주식회사 에스원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498B1 (en)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9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door entry using beacon signal
EP34945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using biometric recognition coupled with tag authentication
US10127751B2 (en) Controlling physical access to secure areas via client devi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9552684B2 (en) Methods and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guarantee identity for the purpose of data protection and access control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KR20160050841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US11522709B2 (en) Access control system
US202003572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ccess of Persons
KR101652181B1 (en) Common entrance door ope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smartphone
KR101765080B1 (en) smart door lock system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61057B1 (en) Digital door lock based on composite signal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635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open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KR102057386B1 (en) Access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595897B1 (en)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11267A (en) Security area and gate access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KR102143716B1 (en)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RF-CARD
KR1020016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ty service using position information
KR20160107518A (en)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US10645070B2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US20200026829A1 (en) Biometric access control identification card
KR102337024B1 (en) 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terminal
KR20140086022A (en) System For Opening Enterence Door
TWI476734B (en) Multiple access control method
KR20240008153A (en)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with contact app based on fintech authentication
KR20120059303A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using a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