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332A -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332A
KR20160104332A KR1020150027189A KR20150027189A KR20160104332A KR 20160104332 A KR20160104332 A KR 20160104332A KR 1020150027189 A KR1020150027189 A KR 1020150027189A KR 20150027189 A KR20150027189 A KR 20150027189A KR 20160104332 A KR20160104332 A KR 20160104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server
terminal
video
us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332A/ko
Publication of KR2016010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4Alarm signalling to a central station with two-way communication, e.g. with signalling 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 정보 및 위험 신호를 중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중앙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영상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중앙 서버가 검색된 영상 장치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중앙 서버가 영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단계; 및 중앙 서버가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A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SERVICE FOR EMERGENCY USING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범죄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사건 현장 주변의 영상 장치들을 활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사건에 대처하고 사건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보안 시스템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되는 범죄 및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시 범인 검거 등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영상 보안 시스템은 주로 CCTV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영상 보안 시스템은 CCTV 카메라를 동축케이블로 연결하고, 상기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 등을 통해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이후 녹화된 내용을 다량의 비디오 테이프를 통해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비디오 테이프 구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저장과 검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로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der) 시스템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DVR 시스템은 기존의 CCTV 시스템의 기술적 관리의 한계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할인점, 은행, 아파트, 학교, 호텔, 관공서, 지하철 등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공간이나 무인기지국, 무인 변전소, 경찰서와 같이 해당 공간을 계속 감시해야 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DVR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보안 장치는, 이동성이 없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됨에 따라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범죄와 같은 긴급 상황이 이미 발생한 후에 범죄자 체포 또는 용의자 확인 등을 목적으로 영상 보안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을 뿐이며, 긴급 상황이 발생한 시점에 사건에 대처하고 사건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여성, 또는 노약자 등의 납치, 폭행, 기타 상해 사고 등 각종 범죄 발생시에 실시간으로 사건 현장의 영상 또는 화상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범죄와 같은 긴급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범죄 발생률을 낮추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 정보 및 위험 신호를 중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영상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검색된 상기 영상 장치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영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장치는 카메라, CCTV, 블랙박스, 및 도어 폰(door phon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신호로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미리 설정된 수치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긴급 상황 발생시 위치 정보와 위험 신호를 중앙 서버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영상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영상 장치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중앙 서버; 상기 중앙 서버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장치; 상기 단말기, 상기 영상 장치, 및 상기 중앙 서버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따르면, 납치, 폭행, 기타 범죄 등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사건 현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이후에 범인 검거 등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사건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범죄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이동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중앙 서버(200)에 단말기 위치 정보와 위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중앙 서버(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GPS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0)는 GPS 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중앙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0)는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위험 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3)의 특정 키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 또는 푸쉬하는 입력 신호를 위험 신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122) 또는 카메라(121)를 통해 수집되는 특정 음성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를 위험 신호로 설정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지문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0)는 센싱부(140)에 의해 센싱되는 사용자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위험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생체 신호라 함은 사용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및 체온 등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가능한 생체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말기는 맥박,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및 체온 등 기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미리 설정된 수치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센싱부(140)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맥박이 평상시의 사용자 평균 맥박에 비해 오차범위 50%를 넘어서는 경우, 위험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사용자 생체 신호, 설정 수치, 및 오차 범위 등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170)는 평상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단말기(100), 중앙 서버(200), 통신망(300), 및 영상 장치(400a-400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단말기(100) 및 중앙 서버(200) 간의 통신 또는 영상 장치(400a-400d)와 중앙 서버(200) 간의 통신 또는 단말기(100), 중앙 서버(200), 및 영상 장치(400a-400d) 간의 통신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를 의미하지만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으로 중앙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유선 단말기 및 휴대폰, PDA 등과 같이 무선으로 중앙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중앙 서버(200)는 안전행정부, 경찰청, 소방방재청, 및 소방재난본부 등의 상황 통제 서버일 수 있다.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및 위험 신호를 중앙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 신호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신호일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100)가 사용자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위험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정보와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영상 장치(400)를 검색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 위치 정보와 영상 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며, 영상 장치(400)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장치이거나, 영상 장치(400)의 위치 정보가 중앙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영상 장치(400)는 휴대폰, 카메라, CCTV, 블랙박스, 및 도어 폰(door phon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험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100) 근처에 존재하는 영상 장치(400)가 검색되면, 중앙 서버(200)는 검색된 영상 장치(400)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영상 장치(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데이터 송신 여부를 결정하고,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중앙 서버(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장치(400)로부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중앙 서버(200)는 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및 위험 신호를 중앙 서버(200)로 전송한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 신호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신호일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100)가 사용자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위험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정보와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영상 장치(400)를 검색한다(S120). 상기 영상 장치(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카메라, CCTV, 블랙박스, 및 도어 폰(door phon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험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100) 근처에 존재하는 영상 장치(400)가 검색되면, 중앙 서버(200)는 검색된 영상 장치(400)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130).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영상 장치(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데이터 송신 여부를 결정하고,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중앙 서버(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영상 장치(400)로부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중앙 서버(200)는 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S15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00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중앙 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300 통신망
400a-400d 영상 장치
500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5)

  1.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 정보 및 위험 신호를 중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영상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검색된 상기 영상 장치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영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장치는 핸드폰, 카메라, CCTV, 블랙박스, 및 도어 폰(door phon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신호로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미리 설정된 수치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5. 긴급 상황 발생시 위치 정보와 위험 신호를 중앙 서버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영상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영상 장치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중앙 서버;
    상기 중앙 서버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장치; 및
    상기 단말기, 상기 영상 장치, 및 상기 중앙 서버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027189A 2015-02-26 2015-02-26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60104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189A KR20160104332A (ko) 2015-02-26 2015-02-26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189A KR20160104332A (ko) 2015-02-26 2015-02-26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32A true KR20160104332A (ko) 2016-09-05

Family

ID=5693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189A KR20160104332A (ko) 2015-02-26 2015-02-26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021B1 (ko) * 2017-08-01 2018-06-12 아란타(주)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
WO2018107031A1 (en) * 2016-12-08 2018-06-14 Clutch Inc Personal emergency data capture and alerting
WO2018147548A1 (ko) * 2017-02-10 2018-08-16 아란타(주)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7031A1 (en) * 2016-12-08 2018-06-14 Clutch Inc Personal emergency data capture and alerting
WO2018147548A1 (ko) * 2017-02-10 2018-08-16 아란타(주)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
US10536572B2 (en) 2017-02-10 2020-01-14 Ahranta Co., Ltd. Emergency lifesaving system and emergency lifesa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67021B1 (ko) * 2017-08-01 2018-06-12 아란타(주)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US9600987B2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ial video recording
EP28153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resources
US8421624B2 (en) Home security system
KR101644857B1 (ko)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KR101657046B1 (ko) 스마트 벨 제어장치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332A (ko)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420006B1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20170162032A1 (en) Personal security
KR10160574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시스템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CN210168132U (zh) 一种接入物联网的视频监控系统
JP2017188861A (ja) 携帯型防犯端末、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79338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상황 원격 관제 시스템
KR20100013470A (ko) Rf 태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30926A (ja) 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WO2017169356A1 (ja) 携帯型防犯端末、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69288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350246B2 (ja) 追跡システム及び追跡プログラム
EP3076376A1 (en) Intelligent home security system
JP2019096276A (ja) 見守りシステム
KR102095154B1 (ko) 비상벨과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용 112 비상벨 호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