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158A -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158A
KR20160098158A KR1020160101670A KR20160101670A KR20160098158A KR 20160098158 A KR20160098158 A KR 20160098158A KR 1020160101670 A KR1020160101670 A KR 1020160101670A KR 20160101670 A KR20160101670 A KR 20160101670A KR 20160098158 A KR20160098158 A KR 2016009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ent
reproduction
electronic frame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3260B1 (en
Inventor
이금구
성주연
추희정
문민정
오현주
곽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260B1/en
Publication of KR2016009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play synchronizing method and a device applying the same. In the play synchronizing method, a first device plays content according to a playing schedule, and transmits the playing schedule to a second device to enable the second device to play according to the playing schedule. Accordingly, contents being played in one device can be identically represented in other devices.

Description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디바이스들을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a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producing contents through various devices and a device using the same.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도 많아지게 되었다.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파묻혀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With the advent of various digital devices, the number of digital devices possessed by users has increas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users are buried among digital devices.

이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근자에 이르러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고성능화와 다기능화는, 그 기여도를 한층 더 향상시켰다.Such diverse digital devices have contributed to the convenience and enrichment of the user's life. And, in recent years, the acceleration and multifunctionality of digital devices, which have accelerated further, have further improved their contribut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며, 그 해법을 디지털 디바이스가 더욱 고성능화되고 다기능화되는 것에서 찾고 있다.Nonetheless, users are seeking a more convenient and affluent life, and are looking for ways to make digital devices more sophisticated and versatile.

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상호 융합하여 기능함으로서,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 창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functions that a digital device performs singly. Accordingly, digital devices held by a user function by mutual fusion, thereby creating new functions that a digital device can not perform singly, and it is required to search for ways to make the life of a user more convenient and enrich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재생되도록 하는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and a device using the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동기화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재생 스케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도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재생 스케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including: a first device storing a playback schedule; Reproduc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schedule stored in the storing step; And the first device transmitting the playback schedule to the second device so that the second device can also play back according to the playback schedule.

그리고, 본 재생 동기화 방법은,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에 필요한 컨텐츠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content required for playback according to the playback schedule to the second device by the first device.

또한, 본 재생 동기화 방법은,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입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도 상기 조작 명령에 따른 재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조작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input, reproduc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command of the first device; 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device,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second device such that the second device is also capable of reproduc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그리고, 상기 재생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상기 제2 디바이스도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ile the playback step is being performed, the second device may also perform playback according to the playback schedule.

또한, 상기 재생단계 수행 중에,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입력된 컨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와 함께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도 입력된 컨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와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content i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during the playback step, the first device plays the input content together with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And the first device transmitting the input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so that the second device can reproduce the input content together with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내용이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의 사용법을 아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재생 내용이 디바이스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도 동일하게 나타나게 되어, 디바이스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용자도 자신의 디바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in one device can appear in the same device in another device. Accordingly, the playback contents of the user's device knowing how to use the device are displayed in the same way on the device of the user who does not know how to use the device, so that a user who does not know how to use the device can enjoy the content through his / h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타임 라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모바일-폰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모바일 폰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전자액자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7은 모바일-폰의 상세 블럭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tely located electronic frames performing playback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tely located electronic frames performing playback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ime line,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text content using a mobile-phone,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udio content using a mobile phone,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frame,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mobile-phon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조작 명령 공유에 의한 전자액자들의 재생 동기화1. Synchronization of playback of electronic frames by sharing operation comm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여기서, 재생 동기화란, 복수의 전자액자들이 실시간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tely located electronic frames performing playback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playback synchroniz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frames play the same content in real time.

특히, 도 1에서는 어느 하나의 전자액자에서 입력된 조작 명령을 모든 전자액자들이 공유하여 재생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particular, in FIG. 1, it is assumed that all electronic frames share an operation command input from one of the electronic frames to perform playback synchroniz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에 의해 마스터-전자액자(110)에 재생 동기화 명령이 입력되면(S205-Y),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슬레이브-전자액자(1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한다(S210).1,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can communicate with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when the user inputs a playback synchronization command to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S205-Y) (S210).

S210단계에서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다(S215).Upon completion of the connection setup in step S210,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content reproduction from the user (S215).

S215단계에서 입력되는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은, 1) 선택된 컨텐츠 재생 명령, 2) 재생 일시 중지 명령, 3) 재생 정지 명령, 4) 다음 컨텐츠 재생 명령 및 5) 이전 컨텐츠 재생 명령, 6) 컨텐츠 전환시 시각효과 설정/편집 명령 등이 포함된다.The contents reproduction related operation command inputted in the step S215 includes: 1) a selected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2) a reproduction pause command; 3) a reproduction stop command; 4) a next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and 5) And a time visual effect setting / editing command.

선택된 컨텐츠 재생은, a) 한 종류의 컨텐츠만을 재생하는 것은 물론, b) 다른 종류의 컨텐츠들을 함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selected content playback includes a) playing only one type of content, and b) playing back other types of content together.

'a)'의 예로, a1) 사진 컨텐츠만을 재생, 또는 b) 동영상 컨텐츠만을 재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a)', for example, a1) play only picture contents, or b) play only moving picture contents.

'b)'의 예로, b1) 사진 컨텐츠와 오디오 컨텐츠를 함께 재생, b2) 사진 컨텐츠와 텍스트 컨텐츠를 함께 재생, b3) 오디오 컨텐츠와 텍스트 컨텐츠를 함께 재생, 또는 b4) 사진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함께 재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b2) reproducing picture contents and text contents together, b3) playing audio contents and text contents together, or b4) reproducing picture contents, audio contents and text contents, And the case where the contents are played back together.

여기서, 텍스트 컨텐츠는, c1) 사진 컨텐츠에 대한 부가 설명을 위한 텍스트가 수록된 컨텐츠 및 c2)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부가 설명이나 가사가 수록된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 컨텐츠에 수록되는 텍스트의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Here, the text content may be c1) content containing text for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photographic content, and c2)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audio content or contents containing lyrics. The content of the text included in the text content may be generated by the user.

또한, 오디오 컨텐츠는, d1) 음악 컨텐츠 및 d2) 사진 컨텐츠에 대한 부가 설명을 위한 음성이 수록된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후자에서, 음성의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The audio content may be d1) music content, and d2) content containing a voice for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photographic content. In the latter, the content of the voice may be generated by the user.

S215단계에서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이 입력되면(S215-Y),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입력된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과 이 조작명령 수행에 필요한 컨텐츠를 슬레이브-전자액자(120)로 전송한다(S220).When the content reproduction related operation command is input in step S215 (S215-Y),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transmits the input content reproduction related operation command and the content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S220).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S215단계에서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다르며,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The content transmitted in the step S220 diffe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inputted in the step S215, and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1) S215단계에서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서만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1) If a playback command is inputted only for one content selected in step S215, the content transmitted in step S220 is selected as one content.

2) S215단계에서 선택된 다른 종류의 컨텐츠들에 대한 함께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선택된 다른 종류의 컨텐츠들.2) If a replay command is input for the different kinds of contents selected in step S215, the contents transmitted in step S220 are selected from other kinds of contents.

3) S215단계에서 다음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다음 컨텐츠.3) If the next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is input in step S215, the content transmitted in step S220 is the next content.

한편, S215단계에서 재생 일시 중지 명령, 재생 정지 명령, 이전 컨텐츠 재생 명령, 컨텐츠 전환시 시각효과 설정/편집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컨텐츠는 전송되지 않고, 조작명령만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if a playback pause command, a playback stop command, a previous content playback command, and a visual effect setting / editing command in content switching are input in step S215, the content is not transmitted in step S220 but only an operation command is transmitted.

S220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의 조작명령&컨텐츠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215단계에서 입력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25).When the transfer of the operation command & content between the master 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is completed in step S220,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performs the operation command inputted in step S215 (S225).

그리고, SS225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슬레이브-전자액자(120)도 S220단계에서 수신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30).In step S225,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performs the operation command received in step S220 (S230).

S225단계와 S230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재생이 수행되므로, 양자의 컨텐츠 재생이 동기화되었다 할 수 있다.In S225 and S230, since the same content is reproduced in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the content reproduction of both of them can be synchronized.

이와 같은, 동기화된 재생 중에, 슬레이브-전자액자(120)의 사용자에 의해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이 입력되면(S235-Y),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입력된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을 마스터-전자액자(110)로 전송한다(S240).If the user of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inputs a content reproduction related operation command to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during the synchronized playback (S235-Y),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displays the input And sends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the content reproduction to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S240).

S240단계에서 슬레이브-전자액자(120)와 마스터-전자액자(110) 간의 조작명령 전송이 완료되면,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S235단계에서 입력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45).When the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between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and the master electronic frame 110 is completed in step S240,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performs the operation command inputted in step S235 (S245).

그리고, SS245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마스터-전자액자(110)도 S240단계에서 수신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50).In step S250,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performs the operation command received in step S240.

이에 의해,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양방향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can perform bi-directional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2. 타임 라인 공유를 통한 전자액자들의 재생 동기화2. Playback of electronic frames via timeline sharing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서의 재생 동기화는 타임 라인을 전자액자들이 공유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tely located electronic frames performing playback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It is assumed that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in Fig. 2 is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electronic frames share a timelin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전자액자(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타임 라인이 생성되면(S305),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305단계에서 생성된 타임 라인을 저장한다(S310).2, when a timeline is created by the user using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in step S305,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stores the timeline generated in step S305 ).

타임 라인이란, 컨텐츠들의 재생순서 및 재생간격 등이 컨텐츠의 종류 마다 설정된 재생 스케줄의 일종에 해당한다. 도 3에는 타임 라인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The time line corresponds to a kind of a reproduction schedule that is set for each type of content, such as a reproduction order and a reproduction interval of contents. FIG. 3 shows an example of a timeline.

도 3에 도시된 타임 라인은, 사진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조합하여 혼합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타임 라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타임 라인은,The timeline shown in Fig. 3 is a timeline in which picture contents, audio contents, and text contents can be combined and reproduced. More specifically, the timeline shown in Fig.

1) 비디오 효과로, 사진-1(P1) → 사진-2(P) → 사진-3(P3) → ... → 사진-100(P100)이 재생되고,1) As a video effect, the pictures -1 (P1), 2 (P), 3 (P3), ..., 100 (P100)

2) 자막 효과로, 사진-1(P1) 재생시 텍스트-1(T1)이, 사진-3(P3) 재생시 텍스트-3(T3)이, ... , 사진-100(P100) 재생시 텍스트-100(T100)이 각각 함께 재생되며,2) When the subtitle is played, the text-1 (T1) is played back in the picture-1 (P1), the text-3 (T3) is played in the picture-3 (P3) Text-100 (T100) are played together,

3) 오디오 효과로, 사진-2(P2) 재생시 오디오-2(A2)가, ... , 사진-100(P100) 재생시 오디오-100(A100)이 각각 함께 재생되도록 설정되어 있다.3) audio-2 (A2) is reproduced in the picture-2 (P2) reproduction, and audio-100 (A100) is reproduced in the reproduction in the picture-100 (P100) reproduction.

이후, 마스터-전자액자(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재생 동기화 명령이 입력되면(S315-Y),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슬레이브-전자액자(1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한다(S320).When the user inputs a playback synchronization command using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S315-Y),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lave- (S320).

S320단계에서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310단계에서 저장된 타임 라인과 타임 라인에 따른 재생에 필요한 컨텐츠들을 슬레이브-전자액자(120)로 전송한다(S325).Upon completion of the connection setup in step S320,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transmits the content necessary for playback according to the timeline and the timeline stored in step S310 to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step S325).

S325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로부터 슬레이브-전자액자(120)로 타임 라인&컨텐츠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310단계에서 저장된 타임 라인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수행한다(S330).When the timeline & contents transmission from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to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is completed in step S325,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performs the content playback according to the timeline stored in step S310 S330).

그리고, S330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슬레이브-전자액자(120)도 S325단계에서 수신한 타임 라인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수행한다(S335).During step S330, the slave electronic frame 120 performs content playback according to the timeline received in step S325 (S335).

S330단계와 S335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의 기초가 되는 타임 라인은 동일한 것이므로, 양자의 컨텐츠 재생은 동기화되었다 할 수 있다.In step S330 and step S335, since the timeline serving as the basis of the content reproduction performed by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is the same, the content reproduction of both can be synchronized.

이와 같은 동기화된 재생 중에,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에는 조작 명령이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S340).During such synchronized playback, an operation command may be shared between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S340).

이때, 조작 명령에 따른 재생은 타임 라인에 따른 재생 보다 우선 순위를 두어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명령에 따른 재생이 완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다른 조작 명령이 없으면 다시 타임 라인에 따른 재생이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can be processed prior to the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time line. If there is no other operation comman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is completed, process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time line is performed again.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에는 조작 명령 공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내용으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생략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command sharing between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will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deduced from the contents shown in FIG.

한편,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S325단계에서 수신한 타임 라인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추후에도 저장된 타임 라인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stores the timeline received in step S325. Accordingly,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can reproduce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tored timeline at a later time.

3. 모바일-폰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3. Create text content using mobile phones

텍스트 컨텐츠는, 사진 컨텐츠의 부가 설명을 위한 텍스트가 수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The text content has been described above as being able to contain text for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photographic content and can be generated by the user.

이와 같은, 텍스트 컨텐츠는 사용자가 마스터-전자액자(110)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용 자판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30)을 통해서도 입력할 수 있다.The text content can be input by the user using the text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s well as through the mobile-phone 130 as shown in FIG. 4 .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 시기에 대한 제한은 없다. 재생 동기화 이전에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생성가능하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ime when text contents are generated using the mobile phone 130. [ It is common to be created before playback synchronization, but it can be created even after playback synchronization starts.

도 4에는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을 상정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모바일-폰(130)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 컨텐츠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 중인 사진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Fig. 4 assumes text content creation using the mobile-phone 130 after playback synchronization has begun. 4, it can be seen that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receives the text content generated through the mobile-phone 130 and superimposes the text content on the currently playing photo content.

또한,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이 텍스트 컨텐츠를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전송하여,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도 동일한 사진 컨텐츠에 동일한 텍스트 컨텐츠가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transmits the text content to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so that the same text content is superimposed on the same photo content in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

5. 모바일-폰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5. Create audio content using mobile phones

오디오 컨텐츠는, 사진 컨텐츠의 부가 설명을 위한 음성이 수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audio content can be recorded by the user for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photographic content and can be generated by the user.

마스터-전자액자(110)에 마이크로-폰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마스터-전자액자(110)에 마이크로-폰이 없다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30)을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If there is a micro-phone in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the user can use it to generate audio content. If there is no micro-phone in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the user can generate audio content using the mobile-phone 130 as shown in FIG.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 시기에 대한 제한은 없다. 재생 동기화 이전에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생성가능하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ime when the mobile-phone 130 is used to generate audio contents. It is common to be created before playback synchronization, but it can be created even after playback synchronization starts.

도 5에는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을 상정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모바일-폰(130)을 통해 생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 중인 사진 컨텐츠와 함께 재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5, it is assumed that the audio content is generated using the mobile-phone 130 after the playback synchronization starts. 5, it can be seen that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receives the audio content generated through the mobile-phone 130 and reproduces it together with the currently playing photo content.

또한,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이 오디오 컨텐츠를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전송하여,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도 동일한 사진 컨텐츠와 함께 동일한 오디오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transmits the audio content to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so that the same audio content is reproduced together with the same photo content in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6. 기타6. Other

위 실시예들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의 재생 동기화는 사용자의 재생 동기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개시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 다르게 구현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assumed that the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between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starts when the user's reproduction synchronization command is input. However,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다른 예로, 사용자가 마스터-전자액자(110)의 재생 동기화 기기로 슬레이브-전자액자(120)를 미리 설정해 놓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재생 동기화 명령이 없어도 양자 간의 재생 동기화 이루어지도록 구현가능하다. 이 경우는, 마스터-전자액자(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조작명령'이나 '타임라인에 따른 재생 명령' 입력만으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의 재생 동기화가 수행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to the playback synchronization device of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in advance, playback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and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user's playback synchronization command. In this case,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are input only by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content reproduction or a playback command according to a timeline from the user via the master- Is performed.

7. 디바이스들의 상세 구성7. Detailed configuration of devices

7.1 전자액자7.1 Photo Frame

도 6은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양자를 '전자액자'로 통칭한다.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aster-electronic frame 110 and the slave-electronic frame 120. As shown in FIG. Hereinafter,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 electronic frame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액자는 컨텐츠 재생부(101), 터치 스크린(102), 제어부(103), 저장부(10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를 구비한다.6, the electronic frame includes a content playback unit 101, a touch screen 102, a control unit 103, a storage unit 104, and a network interface 105. [

컨텐츠 재생부(101)는 전자액자 본연의 기능을 담당하는 블럭으로,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한다.The content reproduction unit 101 plays back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4 as a block which functions as a function of the electronic frame.

터치 스크린(132)은 컨텐츠 재생부(101)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G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기능과, 터치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The touch screen 132 functions as a function of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GUI, a content to be played in the content playback unit 101, and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through a touch.

저장부(10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외부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The storage unit 104 provide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content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network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0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는 주변의 모바일-폰(130) 및 다른 전자액자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됨은 물론, 컨텐츠가 저장된 외부기기 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네트워크와도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105 may be connect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peripheral mobile-phone 130 and other electronic frames, as well as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content or an external network that provides the content.

제어부(10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컨텐츠 재생부(101), 터치 스크린(102), 저장부(10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3 controls the content playback unit 101, the touch screen 102, the storage unit 104, and the network interface 105 so that the steps shown in FIGS. 1 and 2 are performed.

7.2 모바일-폰7.2 Mobile-Phone

도 7은 모바일-폰(13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30)은 이동 통신부(131), 터치 스크린(132), 제어부(133), 저장부(13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를 구비한다.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mobile-phone 130. FIG. 7, the mobile-phone 13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31, a touch screen 132, a control unit 133, a storage unit 134, and a network interface 135. As shown in FIG.

이동 통신부(131)는 모바일-폰(130) 본연의 기능과 부수적 기능을 담당하는 블럭으로, 이동 전화 통화, SMS, DMB 방송 수신, 촬영 등을 수행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1 is a block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130 and ancillary functions, and performs mobile phone conversation, SMS, DMB broadcast reception, shooting, and the like.

터치 스크린(132)은 이동 통신부(131)의 이동 전화 통화, SMS 제공에 필요한 화면, DMB 방송, 컨텐츠 및 전술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기능과, 터치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The touch screen 132 includes functions of a mobile phone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1, a screen required for providing an SMS, a DMB broadcast, content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GUI, and a function .

터치 스크린(132)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에는, 전자액자로 전송할 텍스트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텍스트 입력용 자판 화면이 포함된다.The GUI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32 includes a keyboard screen for text input used to generate text contents to be transmitted as electronic frames.

저장부(104)는 모바일-폰(130)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The storage unit 104 provides a storage space in which programs, data, and contents necessary for driving the mobile phone 130 are stor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는 주변의 전자액자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컨텐츠와 오디오 컨텐츠를 주변의 전자액자에 전송한다.The network interface 135 is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electronic frames. The network interface 135 transmits the text content and audio content generated by the user to surrounding electronic frames.

제어부(13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이동 통신부(131), 터치 스크린(132), 제어부(133), 저장부(13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3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1, the touch screen 132, the control unit 133, the storage unit 134, and the network interface 135 so that the steps shown in FIG. 1 and FIG.

7.3 다른 디바이스7.3 Other devices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자액자와 모바일-폰(130)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들은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들로 대체가능하다.The electronic frame and the mobile-phone 130 mentioned in this embodiment are merely illustrative. They can be replaced by other types of device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가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동기화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재생 중인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first device reproducing a plurality of contents;
The first device transmitting the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second device such that the second device plays conten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device;
Receiving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while reproducing a plurality of contents in the first device;
Reproducing the received data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being played back by the first device; And
The first device sending the received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reproduces the received data together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being repro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비이스에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producing the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tents reproducing command when the contents reproducing command is inputted to the first device; And
And the first device transmitting the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to the second device so that the second device reproduces the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상기 컨텐츠 재생을 중단하기 위한 재생 중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 중단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중단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 중단 명령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vice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stop command when the reproduction stop instruction for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is input to the first devic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중단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topping the playback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by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playback stop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전자 액자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는 사진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re electronic frames, the contents reproduced by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nclude at least one of picture contents and video contents.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화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중에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In a device,
A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And
The plurality of contents are reproduced, the other device reproduces the conten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vice, transmits the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other device,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a processor for providing the received data with at least one of the content of the received data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another device comprises:
And reproduces the received data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being reproduced.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고,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A content synchroniza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The first device comprising:
A method for reproducing a plurality of contents, transmitting a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second device, and receiving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during reproduction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playing the received data together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second device,
Wherein the second device comprises:
Receiving a plurality of contents from the first device, playing the plurality of contents, receiving data from the first device, and reproducing the data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KR1020160101670A 2016-08-10 2016-08-10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703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70A KR101703260B1 (en) 2016-08-10 2016-08-10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70A KR101703260B1 (en) 2016-08-10 2016-08-10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26A Division KR20110020619A (en) 2009-08-24 2009-08-24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939A Division KR101868875B1 (en) 2017-01-31 2017-01-31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158A true KR20160098158A (en) 2016-08-18
KR101703260B1 KR101703260B1 (en) 2017-02-22

Family

ID=5687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70A KR101703260B1 (en) 2016-08-10 2016-08-10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2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277A (en) * 2001-01-22 2002-08-02 Nec Corp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JP2003337783A (en) * 2002-05-20 2003-11-28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6268442A (en) * 2005-03-24 2006-10-05 Seiko Epson Corp Image composition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composition display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image composition display method
JP2009100470A (en) * 2007-09-28 2009-05-07 Fujifilm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277A (en) * 2001-01-22 2002-08-02 Nec Corp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JP2003337783A (en) * 2002-05-20 2003-11-28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6268442A (en) * 2005-03-24 2006-10-05 Seiko Epson Corp Image composition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composition display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image composition display method
JP2009100470A (en) * 2007-09-28 2009-05-07 Fujifilm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260B1 (en)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0619A (en)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1758329B2 (en) Audio mixing based upon playing device location
CN107580783B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synchronizing media content between different devices
CN108260016B (en) Live broadcast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6303648A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synchronizing to play multi-medium data
KR201600222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video information
CN105983233B (en) Game history recording device, game history recording method and game history interaction method
CN109151565B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vo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2325144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connection between media equipment and multimedia equipment
CN104602133A (en) Multimedia file shearing method and terminal as well as server
US20230079893A1 (en) Multi-Viewpoint Multi-User Audio User Experience
JP5359199B2 (en) Comment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comment output method and program
JP2006339819A (en) Reproduction system, reproduction apparatus, receiv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CN110191367A (en) Synchroniz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P4009642A1 (en) Data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US11032604B2 (en) Management of devices in ad hoc rendering networks
KR101703260B1 (en)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868875B1 (en) 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220548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406759B1 (en) VR video synchronization playback device
KR201801360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CN115623278A (en) Audi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KR20190082056A (en) Method for selective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stereoscopic content authoring tool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50091662A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digital contents
JP2012049944A (en) Tv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