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646A -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646A
KR20160095646A KR1020160013783A KR20160013783A KR20160095646A KR 20160095646 A KR20160095646 A KR 20160095646A KR 1020160013783 A KR1020160013783 A KR 1020160013783A KR 20160013783 A KR20160013783 A KR 20160013783A KR 20160095646 A KR20160095646 A KR 20160095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power
information
receiving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ublication of KR2016009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A61B5/0476
    • A61B5/0488
    • A61B5/049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사용 형태 및 조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의 특성을 변경 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검출하는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여 무선 전력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전력을 수신 받을 디바이스와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여 무선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여 무선 전력 송신 특징을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IOT제품 등과 같은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
로 접촉시킴으로써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전기 콘센트에 충전장치를 연결하고, 충전장치를 단말기의 전극에 다시 연결해야 하므로 불편이 따르며 연결된 선이 분리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이동에도 제약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 자동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수백 미터에서 수 십 킬로 이상까지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무선 하나의 코일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와 충전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되는 신호의 형식(모드)에 따라 무선 충전기기에서 통신 및 충전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하는 기술이 주목 주목 받고 있는데, 전력을 활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 기술이 발달 하면서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모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환경이 갖추어 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적응적으로 전력 송신 특징을 변형하여 전자파로부터의 인체영향을 최소화 하고, 기기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중요성이 증가 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여 무선 전력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전력을 수신 받을 디바이스와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여 무선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른 구성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가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여 무선 전력 송신 특징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충전중에 발생할 수 있는 발열에 대해서 충전 모드를 On/Off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무선 전력 송신으로 발생 가능한 인체영향 문제를 최소화하며, 무선 전력을 활용한 데이터 통신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력을 보상의 수단으로 활용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모바일 및 IOT 디바이스의 사용자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 등을 참조하여 사용자 무선 전력 송신의 특징을 변경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신체에 밀착되거나, 분리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전력의 특징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따라 제 1디바이스 또는 제 2디바이스의 무선 전력 송신의 특징을 변경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디바이스의 조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무선 전력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신체 일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특성 및 사용자 상태, 위치를 참조하여 각기 상이한 무선 전력 송신의 특징을 갖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수면환경을 제공하는 IOT 디바이스 사용에 있어서 전력 송수신 특징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컨텐츠가 표시되고, 이에 대한 기 설정 반응(시선, 터치, 음성, 제스처, 생체정보 등)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무선 전력 송신이 이루어 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무선 전력 송수신의 특징을 다르게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착용 여부 파악 또는 사용자 인증 여부에 따라 무선 전력 송수신의 특징을 다르게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른 전력 송신의 특징을 결정짓는 것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1은 제 1 디바이스의 전력 수신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2는 근접센서가 구비된 통신이 가능 전구가 사람 또는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여 전력 송신기에 전력을 요청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검출하는 사용자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여 무선 전력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120), 무선 전력 및 데이터 기지국(130) 및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및 데이터 기지국(130)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전력 송수신 장치는 분리되어 존재 가능하나, 하나의 디바이스에 통합되어 운용 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무선 전력 및 데이터 기지국(130)이 전력 송수신을 활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구현 할 수 있는 경우, 송수신하는 전력의 레벨을 변경하여 전력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단독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3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3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무선 전력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는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다른 하나로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신체에 밀착되어 지리적 사용자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 유사도 또는 일치도에 따라 무선 전력 및 데이터의 특징이 선택된다.
이와 같은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은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제공 받은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것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의하여 이용되거나 이종 디바이스(미도시됨)에서 이용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은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저장소(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의 세부 사항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 이종 디바이스, 무선 전력 및 데이터 기지국(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현되거나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에 상대되는 것(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기 설정조건 확인부(140)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외부화(externalization) 되어 있을 수 있음)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디바이스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스마트 링 및 IOT기기 등과 같은 소위 스마트 디바이스이거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버튼, 마우스, 키보드, 전자 펜 등과 같은 다소 전통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각종 센서 및 특정 컨텐츠가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움직임 및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움직임 센서 예를들어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터치센서 등 뿐만 아니라 시각, 청각 센서를 활용 하여 안구 및 성대의 움직임 까지 검출 할 수 있으며, 생체인식센서(뇌파, 심박 정보, ECG, EOG, EMG, 임피던스 등)를 검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GPS,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RFID, NFC, 이동 통신망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반응으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광고 컨텐츠이거나, 음악, 비디오, 게임 등)에 대한 반응(시선, 터치, 음성, 제스처, 생체정보 등)을 활용 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가 획득한 정보를 참조하여 전력의 특징을 변경 시킬 때,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의 채널이 변경 되거나 전력 송신기의 채널이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1.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검출하는 사용자 위치, 움직임 및 상태, 컨텐츠에 대한 반응에 부합 여부를 참조하여 전력 송수신 특징을 변경 시킬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사용자 신체와 밀착해서 사용되는 핸즈온 및 랩탑 디바이스 이거나, 사용자와 떨어져 사용되는 IOT디바이스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신체에 밀착되거나, 분리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전력의 특징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된 제 1예로써, 제 1디바이스(201)의 착용 여부 또는 사용자의 입력 및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의 특징을 변경시키거나 수신 모드를 변경 할 수 있다. 전자파의 세기가 강한 충전모드의 기기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 1디바이스(201)를 착용하기 위해 들어올리는 경우 터치 센서 및 자이로 센서로 사용자와 밀접해 있음을 감지하거나 생체센서 예를들어 임피던드, 심박, 뇌파, ECG, EEG, EOG 등으로 착용여부를 감지 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의 특징, 전자파의 세기 및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변경되는 무선 전력 충전의 세기를 인체에 무해한 수준으로 낮추어 제공 하거나, 기기 사용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연결 노드의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제 2예로써,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 4디바이스(204)가 구비된 센서 및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의 특징을 변경시키거나 수신 모드를 변경 할 수 있다. 시간 정보, 조도센서 값에 따라 빛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시간정보, 조도센서 값과 더불어 사용자 유무를 파악하여 조명기기가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를 Activation시키거나 조명기기 내부에 구비된 전력 수신 채널을 활성화 또는 변경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모바일/웨어러블 디바이스 신호를 전력 송수신장치 또는 제 4디바이스(204)가 검출 하거나 실내 카메라, 출입 시스템 등으로 검출 가능 하다.
도면에 표시된 제 3예로써,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무선 전력 수신 모드에 있지 않았던 제 2디바이스(202)가 사용자 신체에서 떨어진 후 전력 송수신 모드를 활성화 시키거나 변경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때 비교적 데이터 통신연결의 중요도가 떨어지는 디바이스는 데이터 연결은 해제 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제 4예로써, 사용자와 밀착되지 않으며 입력이 중단된 상태의 제 3디바이스(203)은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를 활성화 시키거나 제 3디바이스(203)내에 구비된 전력 수신 채널을 활성화 또는 변경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기기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통신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데이터와 전력을 동시에 송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의 경우들에서 디바이스가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를 활성화 시키거나 전력의 특징을 요청하는 채널은 별도의 통신망 즉, 3G, lte, wifi, 블루투스, 등, 을 활용하거나 전력 송수신 통신을 활용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따라 제 1디바이스 또는 제 2디바이스의 무선 전력 송신의 특징을 변경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 1디바이스(201)는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이거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때 가속도, 자이로, 지자기 센서와 같은 움직임 센서의 데이터가 변경 됨에 따라 사용자의 디바이스 사용여부 또는 착용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움직임 데이터를 참고하여 디바이스 사용 또는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의 값을 변경 하거나 디바이스의 전력 수신 값을 변경하여 전력 송수신을 종료하거나 약하게 하고 데이터 송수신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디바이스가 사용 또는 착용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의 값을 높일 하거나 디바이스의 전력 수신 값을 변경하여 전력 송수신을 강하게 설정 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자는 전력 수신자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특정 서비스를 홍보하거나 엔터테이먼트적인 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201)와 제 2 디바이스(202)는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와 모두 페어링 되어 있거나 제 1 디바이스(201)와 제 2 디바이스(202)가 페어링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만이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와 페어링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움직임 센서(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가속도 센서, 터치센서 등)를 활용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에서 표시되거나 기 설정된 움직임에 대해 수행을 달성할 경우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로부터 전력을 공금 받을 수 있다. 이때 전력을 공급 받는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각각 이거나 함께 일 수 있으며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만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특정 동작을 달성할 경우 특정 레벨의 전력을 비일시적으로 공급 가능하다. 또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가 각각 제 1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와 제 2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 경우에도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간의 정보교환을 통하여 상기의 효과를 달성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디바이스의 조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무선 전력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적어도 두 기기 이상의 조합이 이루어졌을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에서 전력을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201)와 제 2 디바이스(202)는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와 모두 페어링 되어 있거나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가 페어링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만이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와 페어링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복수 기기의 위치 지리적 위치 유사도 또한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에서 표시되거나 기 설정된 움직임에 대해 수행을 달성할 경우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로부터 전력을 공금 받을 수 있다.
이때 전력을 공급 받는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201), 제 2 디바이스(202) 적어도 하나 일 수 있으며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만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특정 동작을 달성할 경우 특정 레벨의 전력을 비일시적으로 공급 가능하다. 또한 제 1 디바이스(201)와 제 2 디바이스(202)가 각각 제 1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와 제 2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 경우에도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간의 정보교환을 통하여 상기의 효과를 달성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신체 일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특성 및 사용자 상태, 위치를 참조하여 각기 상이한 무선 전력 송신의 특징을 갖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디바이스(201)는 사용자 및 외부정보를 수집 가공하는 풋웨어일 수 있는데, 기 설정된 지리적 장소인 제 1위치(401)에 위치할 경우 전력 수신에 대한 승인 정보가 교환 될 수 있다. 사용자 발에 착용된 제 1디바이스(201)가 기 설정된 전력수신 가능 구역 제 1위치(401)에 도착 또는 지나치는 경우 전력 수신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디바이스(201)의 움직임 정보를 통해 운동 여부를 함께 파악하는 과정이 존재 할 수 있다.
이는 풋웨어, 스포츠웨어 제조 업체에서 자사 제품을 구매한 고객들로 하여금 보다 쾌적한 운동 경험을 제공하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적절한 이동경로 유도 및 움직임 활동을 촉진 시키는 의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2)는 사용자의 팔 움직임, 임피던스 및 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 가공하여 컨텐츠로 출력 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사용자의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땀 배출량, 칼로리 소비량, EMG 등을 참조하여 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전력 수신에 대한 승인 정보가 교환 될 수 있다. 이는 신체 일부에 착용(부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활발한 움직임 활동에 대한 동기를 자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203)는 사용자의 음성, 뇌파, 머리 움직임 정보 및 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 가공하여 컨텐츠로 출력 할 수 있는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일 수 있다. 이때 기기에서 검출하는 머리 움직임, 뇌파신호, 표정정보 등이 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전력 수신에 대한 승인 정보가 교환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신체 활동시 유용한 고개의 움직임(회전, 좌우, 상하 반복등)을 유도하거나 긍정적인 문구를 말 하도록 하거나, 웃음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편안한 기분을 유지하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에 대한 승인 값은 각 디바이스의 센서 정보들은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충족된 승인 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전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수면환경을 제공하는 IOT 디바이스 사용에 있어서 전력 송수신 특징이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 배게의 경우 사용자의 잠자리 패턴 및 숙면도를 측정하여 피로회복을 위한 시각, 청각, 촉각적 형태의 출력이 가능한데 상기 측정값을 내부에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이 가능하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가 활용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 전력 송수신 시의 전파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사용형태(여부)를 파악(압력센서, 근접센서, 생체센서, 마이크센서, 터치센서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머리를 기대는 경우 전력 송수신의 특징을 변경시켜 무선 전력 송수신은 차단이 되고 데이터 연결만 가능하도록 변경되거나 데이터 연결 역시 차단 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컨텐츠가 표시되고, 이에 대한 기 설정 반응(시선, 터치, 음성, 제스처, 생체정보 등)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무선 전력 송신이 이루어 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HMD,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기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광고 컨텐츠이거나, 음악, 비디오, 게임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에 컨텐츠가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인 형태로 출력 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 대해 터치입력, 뇌파의 집중도, 음성 신호 입력, 움직임 데이터 입력(자이로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값을 참조), 시선추적 정보입력이 기 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승인 정보가 교환 될 수 있다.
1. 일 디바이스에 광고 이미지가 출력되면 사용자 안구 검출 정보(302)를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하여 기 설정 시간 동안 머무름을 판단하여 디바이스와 전력 송수수신 장치간의 전력 송수신에 대한 승인 정보가 교환 될 수 있다.
2. 일 다비이스에 출력된 음성 정보(303) 및 터치센싱 정보(301)에 대응하여 발음하거나, 박자를 입력할 수 있다. 박자를 입력하는 경우, 박자에 맞추어 신체를 움직이거나 눈을 깜빡이거나, 디바이스를 터치하여 디바이스와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간의 전력 송수신 승인 정보가 교환 될 수 있다.
3. 일 디바이스에 출력된 시각, 청각 및 촉각 정보에 대해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 정보(304)가 긍정 또는 부정의 반응을 보일 경우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간의 전력 송수신 승인 정보가 교환 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값들은 메인 디바이스 또는 외부 이격된 디바이스로부터 참조된 값일 수 있으며 전력 송수신 승인이 되는 경우 출력 및 센싱 디바이스 이외의 별도의 디바이스로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제 3자에게 무선전력 수신 권한 부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무선 전력 송수신의 특징을 다르게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위치(401) 또는 제 2위치(402) 영역내에서 제 1디바이스(201)와 제 2디바이스(202)는 동일한 특징의 전력을 송수신 받거나 상이한 전력 특징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디바이스(202)는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를 통해 인터넷망 접속을 위한 데이터신호만을 송수신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데, 상기 특징은 물리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 되거나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 와의 인증 여부에 따라 결정 될 수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201)는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를 통해 전력공급 및 인터넷망 접속을 위한 데이터신호만을 송수신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데, 상기 특징은 물리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 되거나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와의 인증 여부에 따라 결정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와의 인증 여부는 고유 코드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상점 내에서 모바일 결제를 통한 인증 수단을 통할 수 있다. (카페에서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하면 무선충전과 무선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착용 여부 파악 또는 사용자 인증 여부에 따라 무선 전력 송수신의 특징을 다르게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전력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한 제 1 디바이스(201)에 구비된 EMG센서와 심박센서, 온도센서는 디바이스가 검출한 데이터로 사용자 신체 특정부에 착용 되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바이스 착용 여부를 결정하여 전력 송수신 특징을 변경 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신체 어떤 곳에 착용되었는지에 따라 전력 송수신의 특징을 변경 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경우 데이터만 송수신 되도록 무선 전력 송신 및 전력을 활용한 데이터 송수신기 설정을 변경시키거나 제 1디바이스(201)의 설정을 변경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 1 디바이스(201)에서 수집한 생체정보에 따라 개인인증을 실시하고 기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 된 경우 전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개인 인증과 충전모드는 인증 이후 바로 제 1디바이스(201)의 충전이 진행 되거나 특정 시간이 지나 기기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이 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 1 디바이스(201)에서 수집한 생체 정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202)로 송수신 되는 무선전력의 특징을 결정 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는 외부에 존재 하거나 제 1 디바이스(201) 또는 제 2 디바이스(202) 중 하나에 존재 할 수 있다.
도 10은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른 전력 송신의 특징을 결정짓는 것을 도시화 한 것이다.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와 단말기의 거리와는 무관하게 기 설정 위치에 따라 전력/데이터 레벨을 분배하여 좌석별 금액을 다르게 측정하거나, 비인기 좌석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무선 전력 공급자가 영화관, 운동경기장, 공연장 등에서 VIP석에 전력의 강도를 높이거나 비인기 좌석에 전력의 강도를 높여 관객들이 컨텐츠를 즐기는 동안 무선 충전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적절히 활용하여 좌석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혼잡한 대중교통의 경우 승객들이 차량 안쪽으로 유도 하거나 특정 상점으로 잠재 고객을 유도 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위치(401)은 관객 선호도가 낮은 곳으로 예매 선호도가 낮은 편이다. 그러나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가 제 1위치(401)에 위치한 특정 디바이스에게 전력을 공급하여 예매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위치(402)와 같이 비교적 관객 선호도가 높은 곳에도 추가 금액을 지불한 관객에게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가 제 2위치(402)에 위치한 특정 디바이스에게 전력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도 11은 제 1 디바이스의 전력 수신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다.
1.전력 송수신 명령 전달
* 제 1디바이스의 전력 수신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 2디바이스(202)에 명령(스위치 조작 등)
이 입력되면 C1-1 경로와 같이 제 1 디바이스에 명령데이터가 전달이 되어
C1-2경로와 같이 적합한 전력 공급을 요청하거나 C4경로와 같이 제 2디바이스(202)가 직접 제 1디바이스(201)에 적합한 전력 공급을 요청 할 수 있다.
* 제 3디바이스에 제 1디바이스 제어 권한이 부여 되었을 경우 C2-2 경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수신기에 직접 제 1디바이스(201)에 대한 전력 공급의 특징을 요청하거나 제 1디바이스(201) 제어 명령을 C3-1과 같이 전송하고, 제 1디바이스(201)가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에 전력 공급 특징을 요청 할 수 있다.
* 제 3디바이스가 특정 위치 또는 제 1디바이스(201) 또는 제 2디바이스(202)와 근접됨이 확인된 경우 기 설정된 위치에 따라 제 1디바이스(201) 제어권한을 부여 받거나, C2-1경로와 같이 제 1디바이스(201) 제어권한을 부여 받거나, 제 1디바이스(201)로부터 직접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C2-2의 경로를 통하여 전력 제어 명령이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로 전달 할 수 있다.
2. 페어링
제 1디바이스(201)와 제 2디바이스(202),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 간에 초기 인증(페어링)
을 위해서는 인증키를 입력하거나 기기간의 태깅을 활용가능 하다. 그러나 제 1디바이스(201) 또는 제2디바이스(202)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제 3디바이스(203)를 제 1디바이스와 제 2디바이스에 태깅 시켜(NFC, RFID 등 활용) C2-1경로와 같이 디바이스들로 부터 제 3디바이스에 ID를 저장시키고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키를 제 3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되어 C2-2경로와 같이 인증값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제 1디바이스(201) 및 제 2디바이스(202)를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130)의 거리가 멀어 태깅을 통한 페어링이 이루어 지기 힘든 경우, 제 3디바이스에 저장된 무선전력 송신기의 인증 정보를 태깅을 통해 C0경로와 같이 제 1또는 제2 디바이스에 전달하고 C4경로와 같이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들 간의 명령데이터가 전달 되기 위해서 각 디바이스는 통신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12는 근접센서가 구비된 통신이 가능 전구가 사람 또는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여 전력 송신기에 전력을 요청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제 1 디바이스(201)와 제 2 디바이스(202) 각각의 근접센서에 따라 별도로 조명을 제어하거나 특정 일 디바이스의 근접센서 값을 다른 나머지 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들 간의 명령데이터가 전달 되기 위해서 각 디바이스는 통신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상기 전력은 조명을 밝히거나 센서구동용 배터리를 충전 시키는데 활용 될 수 있다.
120: 모바일 디바이스
130: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140: 기 설정조건 확인부
201: 제 1디바이스
202: 제 2디바이스
203: 제 3디바이스
204: 제 4디바이스
301: 터치센싱 정보
302: 안구 검출 정보
303: 음성 정보
304: 뇌파 정보
401: 제 1위치
402: 제 2위치

Claims (21)

  1. 무선 전력 송수신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움직임 및 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움직임 및 방향 정보와 기 설정 움직임 및 방향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움직임 및 방향 정보와 기 설정 움직임 및 방향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전력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별도의 통신망 및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움직임 및 방향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제2의 통신 망으로 직접 연결 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움직임 및 방향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움직임 및 방향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 1디바이스 움직임 및 방향 정보와 기 설정 움직임 및 방향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제 2디바이스에 무선 전력이 송신이 허가되는 경우 즉시적인 전력 송신 또는 비 즉시적인 전력 송신권한 중 어느 하나라도 제공되는 방법.
  6.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가 무선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위치정보와 기 설정 위치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기 설정 위치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전력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별도의 통신망 및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위치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제2의 통신 망으로 직접 연결 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위치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제 1디바이스 위치 정보와 기 설정 위치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제 2디바이스에 무선 전력이 송신이 허가되는 경우 즉시적인 전력 송신 또는 비 즉시적인 전력 송신권한 중 어느 하나라도 제공되는 방법.
  10. 무선 전력 송수신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검출하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와 기 설정 생체정보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와 기 설정 생체정보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전력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뇌파, 근전도, 안구전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별도의 통신망 및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생체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제2의 통신 망으로 직접 연결 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생체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제 1디바이스 움직임 및 방향 정보와 기 설정 움직임 및 방향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제 2디바이스에 무선 전력이 송신이 허가되는 경우 즉시적인 전력 송신 또는 비 즉시적인 전력 송신권한 중 어느 하나라도 제공되는 방법.
  15. 무선 전력 송수신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센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센서 정보와 기 설정 센서 정보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센서 정보와 기 설정 센서 정보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전력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전력의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음성, 안구 움직임, 터치, 압력, 근접, 광학 센싱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별도의 통신망 및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센서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제2의 통신 망으로 직접 연결 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센서 정보를 통신하여 교환 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제 1디바이스 센서 정보와 기 설정 센서 값의 일치도에 따라 제 2디바이스에 무선 전력이 송신이 허가되는 경우 즉시적인 전력 송신 또는 비 즉시적인 전력 송신권한 중 어느 하나라도 제공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전력의 특징을 결정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력 송신 레벨을 변경하거나 디바이스의 수신 레벨을 변경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전력의 특징을 결정에 있어서,
    제 1디바이스의 센싱 정보는 제 2디바이스 또는 무선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하거나, 별도의 통신망 및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센싱 정보를 교환 하는 방법.

KR1020160013783A 2015-02-03 2016-02-03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KR20160095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6885 2015-02-03
KR1020150016885 2015-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646A true KR20160095646A (ko) 2016-08-11

Family

ID=5671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783A KR20160095646A (ko) 2015-02-03 2016-02-03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564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1859A1 (en) * 2014-12-22 2016-06-23 The Wiremold Company Ecosystem for Surface-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90136365A (ko) * 2018-05-30 2019-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조명 시스템 기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210126345A (ko) * 2020-04-10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US11253040B2 (en) 2020-04-10 2022-02-22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576474B2 (en) 2020-04-10 2023-02-14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US11589662B2 (en) 2020-04-10 2023-02-28 Lg Electronics Inc. Hair dryer
US11633028B2 (en) 2020-04-10 2023-04-25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647822B2 (en) 2020-04-10 2023-05-16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832699B2 (en) 2020-04-10 2023-12-05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844408B2 (en) 2020-04-10 2023-12-19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1859A1 (en) * 2014-12-22 2016-06-23 The Wiremold Company Ecosystem for Surface-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US11984731B2 (en) * 2014-12-22 2024-05-14 The Wiremold Company Ecosystem for surface-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90136365A (ko) * 2018-05-30 2019-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조명 시스템 기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210126345A (ko) * 2020-04-10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US11253040B2 (en) 2020-04-10 2022-02-22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576474B2 (en) 2020-04-10 2023-02-14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US11589662B2 (en) 2020-04-10 2023-02-28 Lg Electronics Inc. Hair dryer
US11633028B2 (en) 2020-04-10 2023-04-25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647822B2 (en) 2020-04-10 2023-05-16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832699B2 (en) 2020-04-10 2023-12-05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US11844408B2 (en) 2020-04-10 2023-12-19 Lg Electronics Inc.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a diffu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5646A (ko)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US20210176595A1 (en) Contextual information usage in systems that include accessory devices
KR1020807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4932679B (zh) 可穿戴设备及其操作方法
EP3008673B1 (en) Wearable device multi-mode system
US9696802B2 (en) Short range wireless powered ring for user interaction and sensing
US20170269792A1 (en) Schedule notific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160142128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945133A1 (en) Driver rest recommendation
TWI652612B (zh) 可穿戴式裝置及其操作方法
CN106210252A (zh) 移动终端和具有移动终端的系统
KR20150140021A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24168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JP2017512619A (ja) 多機能スマート移動補助装置及び利用方法
KR20160035394A (ko)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989368B1 (ko)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70123209A (ko) 와치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4845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4902B1 (ko)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10114741A (zh) 穿戴式终端及其操作方法
KR20180059191A (ko)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20160078711A (ko) 웨어러블 전자기기
US11107343B2 (en) System and method of user mobility monitoring
KR2018002835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8099A (ko) 안마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