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567A -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567A
KR20160090567A KR1020150010524A KR20150010524A KR20160090567A KR 20160090567 A KR20160090567 A KR 20160090567A KR 1020150010524 A KR1020150010524 A KR 1020150010524A KR 20150010524 A KR20150010524 A KR 20150010524A KR 20160090567 A KR20160090567 A KR 2016009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robot cleaner
mounting plate
moto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주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15001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0567A/en
Publication of KR2016009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5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1Steering means; Means for avoiding obstacles; Details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driver is accommod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6Propulsion of the whol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includes: first and second wet mop mount plates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floor surface of a body, respectively have one surface rotatably mounted onto the body around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and have wet mops respective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opposite surfaces; and first and second motors driving and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wet mop mount plates, respectively. The control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t mop mount plates 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run in a specific progress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running mode; measuring a change in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oto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floor surface and the wet mop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wet mop mount plates while the robot cleaner runs;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et mount plat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load value.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a robot cleaner,

본 발명은 청소 구역을 이동하며 자동으로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물걸레 판을 장착하여 청소 구역 내에 물걸레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hat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by moving in a cleaning area.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로봇 청소기는 외부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 청소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피청소면의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 흡입 기능을 주로 수행하지만 최근에는, 피청소면에 대해 물걸레질을 실시하여, 피청소면에 고착된 이물질 등이나 찌든 때등을 제거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가 소개되고 있다. 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carries out a cleaning operation while traveling in a cleaning area by itself without an external artificial operation. Generally, the robot cleaner mainly performs a dirt suction function of sucking dirt such as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while traveling on its own. Recently, however, cleaning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has been carried out by wiping the surface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A robot cleaner that can be removed is introduced.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물걸레가 부착되는 물걸레 판을 로봇 청소기 본체의 하면에 착탈 시킴으로써, 자율 주행 과정에서 물걸레질이 가능한 로봇 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robot cleaner that removes a wet-cloth plate to which a wet-cloth is attach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main body, thereby wiping the water in an autonomous running process.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청소 방식의 로봇 청소기의 경우, 단순히 기존의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 물걸레용 청소포등을 부착하고, 로봇 청소기의 주행 시 물걸레용 청소포와 바닥면의 마찰을 이용한 것에 불과하여, 청소 구역 내에 밀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leaning type robot cleaner as in Patent Document 1, merely attaching a cleaning cloth for wet-cloth to the main body of the existing robot cleaner, and using friction between the cleaning cloth for wet-cloth and the bottom surface during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There is a limit in removing the dirt adhering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area.

또한, 물걸레용 청소포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별도의 구동력에 의한 로봇의 주행이 방해를 받아 배터리에 의한 구동력의 소모가 극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due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leaning cloth for wet-wipe and the bottom surface, the driving of the robot due to the separate driving force is interrupted, and the consumption of the driving force by the battery becomes extrem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07243호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0724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 대상 바닥면에 밀착된 오물을 물걸레 청소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dirt adhered to a floor to be cleaned by cleaning a wet cloth, And to provide a control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본체의 바닥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일면이 각각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에 장착되고, 그 이면에 각각 물걸레가 탈부착되는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 및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을 각각 회전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주행 모드에 따라,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로봇 청소기를 특정한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에,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에 장착된 물걸레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부하값의 변화에 따라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to which the main body is rotatably mounted, the main body being rotatable about a first rotation axis and a second rotation axis, A robot cleaner having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respectively, to which the wet-cloth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travel in a specific traveling direction by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mode; Measuring a change in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wet cloth and the bottom surfac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during travel of the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attached plat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oad valu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본체의 바닥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일면이 각각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그 이면에 각각 물걸레가 탈부착되는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을 각각 소정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원인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비하고,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물걸레 장착판에 장착된 물걸레와 청소 구역의 바닥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 상을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로서,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에,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에 장착된 상기 물걸레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화를 측정하는 모터 부하 측정 수단 및, 부하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A first wet-laid mounting plate and a second wet-laid mounting plate which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respectively, Wet blanket mounting plate; And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which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ause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attached plates to rotate at predetermined rotation directions and rotational speeds, respectively, The robot cleaner is configured to run on the bottom surface by using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a wet cloth mounted on the wet cloth mounting plat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area by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two wet- Motor load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 change in a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wet cloth and the bottom surfac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according to the chang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구동원에 의해 본체에 부착된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청소구역을 이동하는 종래 로봇 청소기와는 달리, 각각 물걸레가 부착되는 한 쌍의 물걸레 부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고, 이때 물걸레와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구동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 물걸레가 부착된 로봇 청소기에 비하여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that moves in a cleaning area as a wheel attached to a main body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at least one of a pair of wet-cloth attaching plates to which a wet-cloth is attached rotates, Sinc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is used as the driving source, the battery efficiency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wet clo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경우, 로봇 청소기의 방향 제어를 위해 물걸레가 부착되는 물걸레 부착판의 회전 방향과 회전속도만을 제어하게 되므로, 종래 로봇 청소기와 같이 별도의 구동용 바퀴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장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wet-cloth attaching plate to which the wet cloth is attached are controll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경우,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에 의해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게 되는 것과 더불어 청소 구역의 바닥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바, 종래 본체에 물걸레를 단순 부착한 로봇 청소기와 대비하여,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bot cleaner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wet-cloth mounting plat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area are removed. In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경우, 물걸레 장착판에 부착된 물걸레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하게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로봇 청소기가 들어 올려지거나 로봇 청소기가 추락한 경우에 모터를 정지시켜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wet cloth attached to the wet cloth mounting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is monitored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wet cloth mounting plate, It is possible to stop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by stopping the motor when the robot cleaner is lifted or the robot cleaner is crash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경우, 물걸레 장착판에 부착된 물걸레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하게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카페트등 장애물이나 낭떠러지에 인접한 위치에 로봇 청소기가 위치한 경우 해당 위치를 신속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nitoring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wet cloth attached to the wet cloth mounting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and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wet cloth mounting plate, If the robot cleaner is located at an adjacent position, the robot cleaner can quickly disengage the robot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1 전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1 전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1 전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2 전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forward mod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forward mod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forward mod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forward mod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의 시스템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2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of a vacuum cleane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10)와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 본체(10)에 장착되는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본체(10)에 구비되는 입력부(18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1 to 4,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a first wet- A first motor 150a and a second motor 150b for driving the second woolen mounting plate 120 to rotate and drive the woolen mounting plate 120, obstacle detecting sensors 130a and 130b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nd an input unit 180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은 각각 그 일면이 제1 회전축(151) 및 제2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10)에 장착되고, 그 이면에는 각각 제1 물걸레(210) 및 제2 물걸레(22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0 such that one surface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151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152, And a first wet-cloth 210 and a second wet-cloth 220 are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 surface thereof.

제1 회전축(151) 및 제2 회전축(152)의 경우, 도 2의 도시 내용에 따르면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가상의 수직축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axis 151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152 are shown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of FIG. 2, but are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The virtual vertical axis and the inclined plane can extend in the direction.

제1 물걸레(210) 및 제2 물걸레는(220)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220)의 회전에 따라, 청소 구역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대 회전 운동함에 따라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질에 대해 물걸레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물걸레(210) 및 제2 물걸레(220)는, 세정가능한 극세사, 천, 부직포, 브러시 등과 같은 섬유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wet cloth 210 and the second wet cloth 2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area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220, And is configured to clean the wet cloth against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s 210 and 220 may be formed of a fiber material such as a microfiber cloth, a cloth, a nonwoven fabric, a brush, or the like.

또한, 제1 물걸레(210) 및 제2 물걸레(220)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220)에, 벨크로 테이프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220)에 덮어 씌우는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The first wet-cloth 210 and the second wet-cloth 22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220 using fixing means such as a Velcro tape,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220 may be fixed to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물걸레(210) 및 제2 물걸레(220)와 청소 구역의 바닥면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력은,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구동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제1 물걸레(210)와 제2 물걸레(220)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합력을 적절히 제어하면,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 및 속도를 구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ter-curtains 210 and 2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zone, and such frictional force can be used as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 Particularly,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resultant force of the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first wet-cloth 210 and the second wet-cloth 220,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robot cleaner can be specifically controll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경우, 종래 바닥면의 물걸레 청소 용도로만 사용되던 마찰력을 로봇 청소기의 구동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로봇 청소기 구동을 위한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는 것과 더불어 로봇 청소기의 구동 제어를 위한 별도의 휠이나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등을 제거하여 간이한 방법으로 로봇 청소기의 구동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which has been used only for cleaning the wet cloth on the floor, as a driving source of the robot cleaner, battery consumption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in a simple manner by removing a separate wheel or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wheel.

장애물 검출 센서(130)는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장애물 검출 센서(130)는 로봇 청소기가 해당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해당 방향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검출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17)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장애물 검출 센서(1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적은 수의 센서를 통해서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로봇 청소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30 is for detecting an obstacle existing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obot cleaner and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10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30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10 detects an obstacle located in the direction when the robot cleaner travel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 .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3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obstacles that obstruct the travel of the robot cleaner through a small number of sensor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obot cleaner .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시스템은, 센서부(130), 통신부(140),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인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 저장부(160, 제어부(170), 입력부(180), 출력부(185),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system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1 motor 150a and a second motor 150b, a storage unit 160, a control unit 170, an input unit 180, an output unit 185, a motor load measurement unit 20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센서부(130)는 상술한 본체(10)에 장착된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로봇 청소기의 주변의 장애물 검출을 위해 외부로 적외선이나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더불어 장애물로부터 해당 신호가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장애물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그 장애물 검출 결과를 제어부(17)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부(130)는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센서와 같이 로봇 청소기의 외부를 촬영 하여 장애물등을 검출하는 센서 장비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30 includes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0a and 130b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sensor unit 130 generates infrared rays or ultrasonic signals to detect obstacles around the robot cleaner,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stacle, and transmits the obstacl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17). The sensor unit 130 may include a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n obstacle or the like by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such as a camera sensor.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나 무선 인터넷 모듈등을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와 외부 단말 사이에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로봇 청소기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명령을 수령하고 이를 기초로 주행 방향이나 주행 모드등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리모컨 등을 활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external terminal using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Internet module. The robot cleaner receives an instruction from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d can adjust a traveling direction, a traveling mode, and the like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by utilizing a smart phone, a tablet, a PC, and a remote controller.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는 각각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의 역활을 수행한다.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는 제어부(17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각각 제1 회전축(151) 및 제2 회전축(152)을 통해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시킨다.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serve as a driving source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attaching plates 110 and 120.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5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151 and 152, 120)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in a pre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저장부(160)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 특히 주행 모드와 관련된 프로그램등이 저장되고, 입력부(180) 및 출력(185)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160)는 바람직하게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SD 카드나 XD 카드와 같은 카드 타입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A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부(160)는 이미 저장되어 있던 주행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하여 프로그램된 주행 모드에 따라 로봇 청소기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60 stores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in particular, a program related to the traveling mode, and plays the role of temporarily storing data input and output from the input unit 180 and the output 185. The storage unit 160 is preferably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card type memory such as an SD card or an XD car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Memory,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Preferably, the storage unit 160 may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about the traveling mode to the controller 170 to drive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ogrammed traveling mode.

입력부(180)는 로봇 청소기의 본체(10)에 구비된 캐 패드, 스위치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로봇 청소기의 주행에 관련된 명령을 직접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put unit 180 directly receives a command related to the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from the user through a car pad, a switch, or the lik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robot cleaner, and transfers the command to the controller 170.

출력부(185)는 로봇 청소기가 수행하고 있는 동작이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 등이 포함된다. The output unit 185 performs a function of externally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or function performed by the robot cleaner. Preferably,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visually displaying related information, an acoustic output section for audibly outputting the information, and the like.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은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에,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에 작용하는 부하의 변화를 측정하여 관련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물걸레(210) 및 제2 물걸레(220)와 청소 구역의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에 작용하는 부하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도,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은 이러한 부하의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70)가 청소 구역의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measures changes in load acting on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while traveling the robot cleaner and transmits the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wet-cloth 210 and the second wet-cloth 2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area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bottom surface,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measures the change of the load and transmits the measured load to the controller 170 so that the controller 170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zone So that 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ppropriately.

바람직하게는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은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를 흐르는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에 작용하는 부하의 변화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Preferably,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measures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to determine the load acting on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Is a means for measuring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로봇 청소기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obot cleaner.

제어부(170)는, 센서부(130),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 저장부(160), 입력부(180)등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 로봇 청소기의 동작이나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로봇 청소기의 주행 모드, 주행 경로, 청소 시간 등과 같은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130, the motor load measurement unit 200, the storage unit 160, the input unit 180, and the like to col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robot cleaner As a configuration, it controls a process such as a traveling mode, a traveling route, a cleaning time, and the like of the robot clean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부(170)에서는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를 제어하여,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주행 모드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물걸레 장착판(110)에 장착된 제1 물걸레(210)와 제2 물걸레 장착판(120)에 장착된 제2 물걸레(220)과 바닥면 사이의 마찰력의 합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전진 또는 후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70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By controlling the speed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 robot cleaner can be controlled to travel in a predetermined traveling mod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resultant force o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wet-cloth 210 mounted on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220 mounted on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특히, 로봇 청소기의 주행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직진 또는 후진 운동하도록 하는 제1 전진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제1 전진 모드에서는, 제어부(170)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을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것과 더불어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걸레(210) 및 제2 물걸레(220)에 각각 작용하는 마찰력의 합력에 의해, 로봇 청소기는 바닥면 상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직진 운동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ravel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may be selected by the user as a first forward mode for allowing the user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the first forward mode, the controller 170 rotates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rotates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o the first rotation spe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robot cleaner can move linearly in a specific direction on the floor by the resultant force of the frictional forces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s 210 and 220.

한편, 로봇 청소기의 주행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S자 형태로 직진 또는 후진 운동하도록 하는 제2 전진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제2 전진 모드에서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을 소정 시간 동안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보다 큰 제 2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한 다음, 제1 물걸레 장착판(110)을 소정 시간 동안 제1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과 더불어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제2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이를 소정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 S자 형태로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진 모드에 비해 로봇 청소기의 주행 속도는 늦어지게 되나, 보다 집중적인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eanwhile, the travel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may be selected by a user or a second forward mode in which the user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an S-shap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the second forward mode,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is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then rotates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t a second rotation spe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et-cloth mounting plate 120 to rotate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to repeat it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control to travel in the S-shape in a specific direction. In this case, the running speed of the robot cleaner is slower than in the first forward mode, but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intensive cleaning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으로부터 제1 모터(150a)와 제2 모터(150b)에 가해지는 부하량의 변화에 따라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의 회전을 제어한다. 청소 구역의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10, 120)에 부착된 제1 및 제2 물걸레(210, 220)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변화되어, 이 때에 제어부(170)가 적절하게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카페트등 장애물이나 낭떠러지에 인접한 위치에 로봇 청소기가 위치한 경우 해당 위치를 신속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며, 로봇 청소기가 들려진 상태에서 무의미한 공회전을 막아 배터리의 소모를 막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according to a change in load applied from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to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150b.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motor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s 210 and 220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and the bottom surfac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wet-cloth mounting plat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can be quickly disengaged when the robot cleaner is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n obstacle such as a carpet or a clif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from consuming by preventing the idle idling from being hear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센서부(130)로부터 장애물 검출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를 제어하여,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장애물에 대한 회피 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70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detection from the sensor unit 130 and controls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are controlled to enable the avoidance start of the obstac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장애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되지 않은 장애물에 걸려 로봇 청소기가 진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 위치를 이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로봇 청소기가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카페트 등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소정 시간 뒤에는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을 제어하여 해당 위치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obstacl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70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Thus, when the robot cleaner can not move due to an obstacle no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the robot cleaner can be moved away from the robot cleaner.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is in a state where the robot cleaner can not move due to a carpet not being sensed by the sensor unit 130, the rotation of the wet-cloth mounting plate can be controll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position.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바람직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의 전원이 On 된 경우에(S101),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 방향을 설정(S102)하고, 해당 진행 방향으로 로봇 청소기가 주행할 수 있도록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로봇 청소기(100)를 주행시칸다(S10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when the power of the robot cleaner 100 is turned on (S101), the controller 170 sets the progress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user input or storage unit 160 (S102) The robot cleaner 10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travel in the traveling direction (S103).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에는 바닥면과 물걸레 사이의 마찰력에 기인하여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에 작용하는 부하의 변화량을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을 이용하여 측정한다(S104). 바람직하게는 제1 모터(150a)와 제2 모터(150b)를 흐르는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부하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During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oad acting on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floor surface and the wet cloth is measured using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S104). Preferably,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is measured, and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oad can be measured.

그 후,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에서 측정된 부하량의 저하가 제1 소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5). 만약 부하량의 저하값이 제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로봇 청소기(100)가 들려진 상태이거나, 또는 로봇 청소기(100)가 추락하여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이 공회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의 회전을 정시시킨다(S110). 이를 통해,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무의미한 공회전을 막아 배터리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crease in the load measured by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S105). If the load reductio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the robot cleaner 100 is lifted by the user or the robot cleaner 100 falls and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a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te 120 is idling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is stopped (S110). As a result,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are prevented from idling idling and battery consumption can be suppressed.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에서 측정된 부하량의 저하량이 제1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하량의 변화값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6). 해당 부하량의 변화값이 제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00)가 낭떠러지 근처에 위치하거나 또는 카페트와 같이 청소 대상이 아닌 바닥면 근처에 로봇 청소기(100)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로봇 청소기(100)가 해당 위치를 이탈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10, 120)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해당 위치를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decrease of the load measured by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 value of the load amount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S106). When the change value of the lo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the robot cleaner 100 determines that the robot cleaner 100 is locat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00, such as a carpet, The rotating speed or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위와 같이, 로봇 청소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몇가지 바람직한 제어 방법이 존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several preferable control methods for releasing the robot cleaner from its current position.

예컨대, 제1 모터(150a) 및 제2 모터(150b)에 가해지는 부하가 제2 소정값 이상 저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주행 중의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 되도록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이전의 로봇 청소기가 주행 중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현재 위치를 이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has fallen by a second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which is currently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may be controlled to be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2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n this case, the robot cleaner 100 may move a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because the robot cleaner 100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10, 1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제자리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여 현재 위치를 이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preferably, the rotation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is stopped or the rotation speed is reduced so that the robot cleaner rotates or swivels in place You can control to leave the current location.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1 모터(150a)와 제2 모터(150b) 사이의 부하량의 차이값을 감지하여, 해당 부하량의 차이가 제3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봇 청소기(100)가 해당 위치를 이탈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10, 120)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해당 위치를 이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또는 제2 물걸레 장착판(120) 중 어느 하나가 청소 대상 구역이 아닌 바닥면 상에 있거나 또는 장애물 상에 존재하거나 낭떠러지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므로, 위 제어를 실시하여 해당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bot cleaner 100 sense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oad between the first motor 150a and the second motor 150b,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a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predetermined valu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r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is case, since either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or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s on the bottom surface, not on the area to be cleaned, or on the obstacle or near the cliff,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so as to move out of the posi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는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130c, 130d)에 의해 로봇 청소기(100) 주변에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107).Preferably,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can be detected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0a, 130b, 130c, and 130d (S107).

검출 결과 로봇 청소기(100)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제어하여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12).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obstacle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as a result of detection, control is performed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attaching plates 110 and 120 so as to avoid the obstacle (S112).

이러한 회피 기동의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진행 방향과 장애물 검출 위치에 따라 제어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voidance start, the control metho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obstacle detection position.

예컨대, 로봇 청소기(100)의 진행 방향 상에 위치하는 해당 장애물이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 양쪽 근처에 위치하는 장애물 검출 센서에서 모드 감지되는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진행 방향 전체에 걸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00)가 후진할 수 있도록,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을 이전과 반대로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bstacle loc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s sensed by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located near both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in the entir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Therefore,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attaching plates 110 and 120 can be reversed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can move backward.

또한, 로봇 청소기(100)의 진행 방향 상에 위치하는 해당 장애물이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 양쪽 근처에 위치하는 장애물 검출 센서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 근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된다. 따라서, 해당 위치의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을 정지시켜, 로봇 청소기(100)가 제자리에서 회전 구동하도록 하거나, 회전 속도를 저하시켜,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여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obstacle loc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s detected by any of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s located near both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110 and 120 ,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op the rotation of the wet-cloth mounting plate at the position, to allow the robot cleaner 100 to rotate in place, or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and to perform swirling motion to avoid the obstacle.

또는, 로봇 청소기(100)의 진행 방향을 재설정함으로써, 현재의 진행 방향이 아닌 제3의 진행 방향으로 로봇 청소기(100)가 진행하도록 하여,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by reset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robot cleaner 100 may proceed in the third traveling direction other than the current traveling direction, thereby controlling the obstacle to be avoided.

이와 같이, 모터 부하 측정 수단(200) 이나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130c, 130d)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회피 기동을 실시한 뒤에는 다시 진행 방향을 재설정하여 로봇 청소기(100)가 해당 방향을 따라 진행하도록 한다.After the evasive maneuver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200 and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s 130a, 130b, 130c, and 130d, the robot cleaner 100 again resets the traveling direction, Let's proceed.

한편,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130c, 130d)에서 장애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검출 시간을 측정하여, 해당 시간이 소정값 이상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S108)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130c, 130d)에서 검출되지 않는 장애물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상태일 수 있으므로,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일정시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자리에서 회전 구동을 하도록 한다(S109). 그 후 다시 원래 설정된 주행 모드를 따라 전진하도록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하여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카페트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의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130c, 130d)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장애물에 의해 로봇 청소기의 주행이 방해 받는 경우에도 회피 기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no obstacle is detected in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s 130a, 130b, 130c, and 130d, the undetected time is measur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ime has exceeded a predetermined value (S108)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does not move due to an obstacle that is not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0a, 130b, 130c, and 130d.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wet- (12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o as to perform rotational driving in the same place (S109). Thereafter, the robot cleaner 100 is controlled so as to advance along the originally set traveling mode so as to avoid obstacles. Accordingly, even if the robot cleaner is obstructed by an obstacle that is not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0a, 130b, 130c, and 130d of the robot cleaner 100, such as a carpet, the avoidance start can be performed.

만약, 장애물 미 검출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라면, 원래 목적으로 하던 주행 모드와 주행 방향을 따라 주행을 지속하도록 한다. If the obstacle non-detection tim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traveling is continued along the traveling mode and the traveling direction which were originally inten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전진 주행 모드에 관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orward travel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FIG.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제1 전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및 설명도이다. 6 and 7 are a flowchart and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forward mode of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순서도에 나타난 진행 방향 설정단계(S101)가 보다 구체화되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행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서, 먼저 청소 모드가 결정(S201)되고, 결정된 청소 모드에 따라 이동 경로 및 전진 모드가 결정되게 된다(S202). 청소 모드 및 이동 경로와 전진 모드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 또는, 저장부(160)에 이미 저장되어 있거나, 통신부(140)를 통해 전달된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progress direction setting step (S101)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5 is shown in more detail. Specifically, in setting the traveling direction, the cleaning mode is first determined (S201), and the traveling route and the forwarding mod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leaning mode (S202). The cleaning mode and the movement path and the forward mode may be already stored in the user's direct input or storage unit 160 o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gram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

결정된 전진 모드가 제1 전진 모드인지 제2 전진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S203)하고, 제1 전진 모드인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의 주행 모드를 제1 전진 모드로 설정하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로봇 청소기의 주행 제어를 실시(S204)한다. (S20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ed forward mode is the first forward mode or the second forward mode (S203), then the travel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is set to the first forward mode in the first forward mode, And the running control of the robot cleaner is performed (S204).

그리고, 소정 조건을 만족하여 청소가 종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205)에는 출력부(185)를 통해 청소 종료를 알리고(S213) 청소를 종료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cleaning is finished (S205), the end of cleaning is notified through the output unit 185 (S213) and the cleaning is terminated.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제1 전진 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로봇 청소기(100)를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본 형태와 제1 전진 모드에서의 진행 방향(300)을 도시하고 있다. Hereinafter, the first forward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 7 shows the robot cleaner 100 in a top down view and a forward direction 300 in the first forward mode.

제1 전진 모드에서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을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을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도 7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은 반시계 방향(제1 회전방향)로 회전하고 있으며,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은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In the first forward mode,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t a first rotational speed,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So as to rotate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7,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rotates counterclockwise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Direction).

이 때, 2개의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속도가 제1 회전속도로 동일하므로, 2개의 물걸레 장착판에 장착된 물걸레와 바닥면의 마찰력의 합력이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0)에 작용하여, 로봇 청소기는 소정의 진행 방향(300)으로 직진 주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two wet-laid mounting plates are the same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resultant force of the wet-cloth and the bottom surface mounted on the two wet-cloth mounting plates acts on the main body 10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robot cleaner runs straight in a predetermined traveling direction (300).

이와 같은 제1 전진 모드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방향에 대하여 최단 거리로 로봇 청소기가 주행하게 되는 동일한 거리를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넓은 범위의 청소 구역을 청소하는 데 적합하다. In such a first forward mode, it is possible to move the same distance that the robot cleaner travels in the shortest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target direction within the earliest time. It is therefore suitable for cleaning a wide range of cleaning areas in a short tim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전진 주행 모드에 관해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orward travel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FIG.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제2 전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및 순서도이다. 8 and 9 are explanatory diagrams and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second forward mode of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모드가 제2 전진 모드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먼저 제1 물걸레 장착판(110)의 회전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회전 속도를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S301)과 더불어,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회전 속도를 제1 회전속도 보다 큰 제2 회전 속도로 회전 시킨다(S30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100 is the second forward mode, firs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et-cloth board 110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is rotated at the first rotation speed (S301 (Step S302),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woolen mounting plate 120 is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is rotated at a second rotation speed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이 경우, 도 8의 제1 단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물걸레 장착판(110)과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속도가 반시계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동일하고,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속도가 빨라 로봇 청소기(100)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 운동을 하게 된다.8,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attaching plates 110 and 120 are the same in the counterclockwis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The rotation speed of the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s fast, and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the rotation movemen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러한 제1 단계가 소정 시간(제1 시간) 동안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S303),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도 8에서 도시된 제2 단계의 제어를 실시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irst step has prog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irst time) (S303),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control for the second step shown in FIG. 8 is performed.

구체적으로는, 제1 물걸레 장착판(110)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회전 속도를 제2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S304)과 더불어,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회전 속도를 제1 회전 속도로 회전 시킨다(S305). 이 경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걸레 장착판(110) 및 제2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방향은 제1 단계와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제1 방향)이 되고, 제1 물걸레 장착판(120)의 회전 속도가 빨라 로봇 청소기(100)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 운동을 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rotation speed is rotated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S304),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wet- The rotation speed is rotated at the first rotation speed in the first direction (S305).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20 is a clockwise direction (first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tep,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oolen mounting plate 120 is fast, and the robot cleaner 10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그 뒤, 이러한 제2 단계가 소정 시간(제2 시간) 동안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S306),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청소 시간 동안 반복 수행하게 된다.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step has prog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second time) (S30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are repeatedly performed during the cleaning time do.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는 일정한 진행 방향을 따라 S자 형태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전진 모드의 경우 제1 전진 모드에 비해 일정한 거리를 진행하는 시간은 더 많이 소요되지만, 진행하는 동안 청소구역에 대한 집중적인 청소가 가능하며, 또한, 장애물 검출 센서(130a, 130b, 130c, 130d)가 근방에 배치된 각 물걸레 장착판 설치 부분이 교번하여 우선 전진하게 되므로, 장애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robot cleaner 100 proceeds in an S-shape along a predetermined traveling direction. In this second forward mode, more time is required to travel a certain distance than in the first forward mode, but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clean the cleaning area during the course of travel, and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0a, 130b, 130c And 130d are arranged alternately and advance 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bstacle can be detected more effectively.

또한, 장애물이나 전류감지없이 시간 또는 내부 메모리의 스케쥴에 따라 방향전환이나 모드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r mode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internal memory or the time without obstacle or current sensing.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code and provided to each server or devices in a state stored in vario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Specifically, it may be stored in a non-volatile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a DVD, a hard disk, a Blu-ray disk, a USB, a memory card, a ROM, and the like.

100: 로봇 청소기
10: 본체
110: 제1 물걸레 장착판
120: 제2 물걸레 장착판
130: 센서부
130a, 130b, 130c, 130d: 장애물 검출 센서
140: 통신부
150a: 제1 모터
150b: 제2 모터
151: 제1 회전축
152: 제2 회전축
160: 저장부
170: 제어부
180: 입력부
185: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200: 모터 부하 측정 수단
210, 220, 물걸레
100: Robot cleaner
10: Body
110: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120: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130:
130a, 130b, 130c, and 130d: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140:
150a: first motor
150b: second motor
151:
152: second rotating shaft
160:
170:
180: input
185:
190: Power supply
200: motor load measuring means
210, 220, wet cloth

Claims (17)

본체의 바닥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일면이 각각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그 이면에 각각 물걸레가 탈부착되는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 및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을 각각 회전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를 특정한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에,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에 장착된 상기 물걸레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하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A first wet-laid mounting plate and a second wet-laid mounting plate which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respectively,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having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a wet-laid mounting plate and a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a second we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so that the robot cleaner travels in a specific travel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traveling mode;
Measuring changes in load values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wet cloth and the bottom surfac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during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oad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에,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제1 소정값 이상 저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제1 소정값 이상 저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a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has decreased by a first predetermined value or more during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And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has decreased by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에,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제2 소정값 이상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제2 소정값 이상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 각각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가 회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a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has changed by a second predetermined value or more during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An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s judged to have changed by a second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rotational direction or rotational spee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t- 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the avoidance opera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회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의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가 주행 중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the avoiding operation includes:
The robot cleane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so as to be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 And controls the robot cleaner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traveling direction during trave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회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가 회전 또는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여 현재 위치를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the avoiding operation includes:
Wherein the robot cleaner stops the rotation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or reduces the rotation speed so as to cause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a rotation or a pivot movement so as to leave the current position. Control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값의 차이가 제3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값의 차이가 제3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가 회전 또는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여 현재 위치를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load values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ad values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value, the rotation of one of the wet-laid mounting plates is stopped or the rotation speed is reduced, Or swiveling the robot so as to move a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 방향 측에 설치된 장애물 검출 센서로부터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장애물 검출 센서가 장애물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장애물을 회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Detecting the existence of an obstacle from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a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r rotation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to avoid the obstacle when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Control method of vacuum cleaner.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를 특정한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설정 속도 또는 청소 모드 설정에 따라, 로봇 청소기를 소정의 진행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제1 전진 모드 또는 제2 전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travel in a specific travel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traveling mode,
And selecting either the first forward mode or the second forward mode for advancing the robot cleaner in a predetermined travel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speed or the cleaning mode setting of the robot clea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를 특정한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을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을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travel in a specific travel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traveling mode,
Wherein when the first advancing mode is selected,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is rotated at a first rotation speed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is rotated in a second rotation To rotate at a first rotation spe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를 특정한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을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을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travel in a specific travel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traveling mode,
The second wet-laid mounting plate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t a first rotation speed,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is rotat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o rotate at a first rotation spe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를 특정한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을 소정 시간 동안 제1 회전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을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속도보다 큰 제 2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 뒤에,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을 소정 시간 동안 제1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과 더불어 제2 물걸레 장착판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소정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로봇 청소기를 소정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travel in a specific travel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traveling mode,
When the second forward mode is selected,
Rotating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t a first rotation speed, and rotating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t a second rotation speed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In the first step,
After the first step,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is rotated at a second rotation spe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to rotate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And repeating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sequential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advance the robot clean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행 방향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dir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input of a user.
청구항 7에 있어서,
소정 시간 동안 장애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과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을 서로 상이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해당 위치를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obstacl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to rotate in different rotational directions to depar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일면이 각각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그 이면에 각각 물걸레가 탈부착되는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을 각각 소정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원인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물걸레 장착판에 장착된 물걸레와 청소 구역의 바닥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 상을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로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중에,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에 장착된 상기 물걸레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모터 부하 측정 수단 및,
상기 부하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main body;
A first wet-laid mounting plate and a second wet-laid mounting plate which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so that one surface thereof is rotatable about a first rotation axis and a second rotation axis, respectively, 2 Wet Blank Mounting Plate;
And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which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ause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to rotate at predetermined rotational directions and rotational speed, respectivel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is rotated to apply a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area by using a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wet- 1. A robot cleaner for traveling, comprising:
A motor load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 change in a load value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wet cloth and the bottom surfac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wet- Mea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oad valu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로봇 청소기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니 이상의 장애물 검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detecting an obstacle around the robot cleane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장애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물걸레 장착판 및 상기 제2 물걸레 장착판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wet-cloth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wet-cloth mounting plate so as to avoid the obsta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A robot cleaner that performs direction switching by controlling the spe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터 부하 측정 수단은,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흐르는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otor load measuring means measures a change i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KR1020150010524A 2015-01-22 2015-01-22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05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24A KR20160090567A (en) 2015-01-22 2015-01-22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24A KR20160090567A (en) 2015-01-22 2015-01-22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567A true KR20160090567A (en) 2016-08-01

Family

ID=5670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24A KR20160090567A (en) 2015-01-22 2015-01-22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0567A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810A1 (en) * 2017-08-07 2019-02-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WO2019143172A1 (en) *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WO2019174084A1 (en) * 2018-03-14 2019-09-19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Sweep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weeping robot
KR20190115284A (en) * 2018-04-02 2019-10-11 에브리봇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KR20190117836A (en) * 2018-03-26 2019-10-17 에브리봇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US10758103B2 (en) 2017-08-07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72478B2 (en) 2017-08-07 2020-09-1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0986973B2 (en) 2017-08-07 2021-04-2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013388B2 (en) 2017-08-07 2021-05-2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096545B2 (en) 2017-08-07 2021-08-24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197595B2 (en) 2017-08-07 2021-12-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439287B2 (en) 2018-01-25 2022-09-13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of robot cleaner
US11478120B2 (en) 2017-08-07 2022-10-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625039B2 (en) 2019-07-31 2023-04-11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43B1 (en) 1995-06-15 2004-05-22 토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Magnetic Toner for Magnetic To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43B1 (en) 1995-06-15 2004-05-22 토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Magnetic Toner for Magnetic To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3388B2 (en) 2017-08-07 2021-05-2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622661B2 (en) 2017-08-07 2023-04-1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0952586B2 (en) 2017-08-07 2021-03-2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0986973B2 (en) 2017-08-07 2021-04-2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478120B2 (en) 2017-08-07 2022-10-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CN111194176B (en) * 2017-08-07 2022-04-08 Lg电子株式会社 Cleaning device
CN111194176A (en) * 2017-08-07 2020-05-22 Lg电子株式会社 Cleaning device
US10758103B2 (en) 2017-08-07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72478B2 (en) 2017-08-07 2020-09-1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JP2020529898A (en) * 2017-08-07 2020-10-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Vacuum cleaner
US11744429B2 (en) 2017-08-07 2023-09-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KR20190015934A (en) * 2017-08-07 2019-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US11197595B2 (en) 2017-08-07 2021-12-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096545B2 (en) 2017-08-07 2021-08-24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WO2019031810A1 (en) * 2017-08-07 2019-02-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AU2018312743B2 (en) * 2017-08-07 2022-01-27 Lg Electronics Inc. Cleaner
AU2019208867B2 (en) * 2018-01-19 2021-12-16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490776B2 (en) 2018-01-19 2022-11-08 Lg Electronics Inc. Cleaner
WO2019143172A1 (en) *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US11439287B2 (en) 2018-01-25 2022-09-13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of robot cleaner
WO2019174084A1 (en) * 2018-03-14 2019-09-19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Sweep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weeping robot
KR20190117836A (en) * 2018-03-26 2019-10-17 에브리봇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KR20190115284A (en) * 2018-04-02 2019-10-11 에브리봇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US11625039B2 (en) 2019-07-31 2023-04-11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0567A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0571A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76263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54956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90570A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62919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8881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CN107092260B (en)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rossing obstacle by mobile robot
KR101578872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602790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578882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578879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970995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070027840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188797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KR20160090568A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0569A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23011493A (en) Autonomous cleaning equipment traveling control method, equipment, system and medium
JP2018143649A (en) Self-propelled movable body, humidity sensor and liquid detection device
KR102188798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WO2022218177A1 (en) Obstacle avo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robot, robo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1460367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1195515A (en) Self-driving sweeper
KR20160115425A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JP2005211564A (en) Self-traveling cleaner and progra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