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867A -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867A
KR20160089867A KR1020160005124A KR20160005124A KR20160089867A KR 20160089867 A KR20160089867 A KR 20160089867A KR 1020160005124 A KR1020160005124 A KR 1020160005124A KR 20160005124 A KR20160005124 A KR 20160005124A KR 20160089867 A KR20160089867 A KR 2016008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parator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3858B1 (en
Inventor
아츠시 야스이
쇼 다카라다
마사키 미즈타니
히로후미 가타미
신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09J7/02
    • C09J7/0225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09J2201/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with a double-sided adhesive layer having an adhesive layer on double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installed to be nearest to a viewer-side in an image display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olarizing film which is used in the image displaying device, and is installed to be nearest to the viewer-side.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double-sided adhesive layer includes an A adhesive layer which is arranged in the viewer-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a B adhesive layer which is arranged in the opposite side of the A adhesive layer. The A adhesive layer includes an SA_1 separator. The B adhesive layer includes a B separator. A storage modulus of the A adhesive layer is 0.02-0.3 MPa in 23°C. A curl quantity of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adhesive layer is -10mm to +60mm.

Description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having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in a polarizing film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 PDP (plasma display panel), and an electronic paper.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며, 시인측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있어서 적용되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 커버 유리, 플라스틱 커버 등의 투명 기체 등의 부재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시인측의 반대측에 있는 점착제층은,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적용된다. 상기 터치 패널로서는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의 터치 패널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에 사용된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viewer side includes, for example,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s glass, a plastic cover,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iewer side is applied to the display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touch panel can be suitably used for a touch panel such as an optical system, an ultrasonic system, a capacitive system, and a resistive film system. Particularly, it is suitably used for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touch pan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ed in,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tablet compute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like.

액정 표시 장치 등에는, 그 화상 형성 방식으로부터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 소자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며, 일반적으로는 편광 필름이 접착되어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을 액정 셀 등의 표시부측에 접착하는 데는 통상 점착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편광 필름을 고착시키는 데 건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서, 점착제는 편광 필름의 한쪽 측에 미리 점착제층으로서 설치된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으로서는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이들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점착제층측이 액정 셀 등의 표시부에 적용되어 있다.It is indispensable to arrange polarizing elements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from the image forming system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and in general, a polarizing film is adhered. In order to adhere the polarizing film to the display portion side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n adhesive is usually used.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rying process is not required to fix the polarizing film, and thu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generally used as a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 variety of polarizer films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e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s 1 and 2). In the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is applied to a display portion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한편, 편광 필름의 시인측에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 커버 유리, 플라스틱 커버 등과 같은 투명 기체 등의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부재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는 점착제층에 의해 접합된다(특허문헌 3).On the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on the other hand, a member such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a cover glass, or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s a plastic cover is provided. In general, the member is also bonded b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atent Document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090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70907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5353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05353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8150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48150

상기 특허문헌 1, 2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하는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당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이 표시부에 접합된다. 한편, 상기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가장 시인측에 설치하는 것)의 시인측에 투명 기체 등의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편광 필름에, 별도로 특허문헌 3과 같이 중간막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고, 이것을 점착제층으로서 접합한 다음, 당해 점착제층에 투명 기체 등의 부재가 더 접합된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있는 편광 필름에 투명 기체 등의 부재를 또 접합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공정이 필요하였다.As in Patent Documents 1 and 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olarizing film attach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the display portio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us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n the other hand, when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is provided on the visual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n the most visible side),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s prepared and joined a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n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gas is further bonded to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teps are required to further join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to the polarizing film on the viewer's side most visually in the polarizing film us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특허문헌 1, 2에는 상기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것(풀 라미네이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피착체(시인측에서는 투명 기체 등의 부재, 그 반대측에서는 표시부)에 접합하는 경우에는, 접합면의 단부에서 기포가 말려 들어가는 현상 등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작업성이 충분하지 않아, 수율이 충분하지 않았다. 그로 인해,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서는, 공정의 간략화와 함께, 작업성 향상과 수율 향상에 대해서도 요구되고 있다.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s the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full lamination: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owever, whe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is adhered to an adherend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or the like on the visual side and a display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bubbles tend to be entrained at the end of the bonding surface. Not enough, yield was not enough. Therefore, in the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required to simplify the process, improve the workability, and improve the yield.

또한, 상기 커버 유리 등의 투명 기체와 같은 부재의 표면은 인쇄 잉크에 의해 단차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상기 단차 표면을 갖는 부재와 다른 부재를 점착제층에 의해 접합할 때에는 점착제층이 단차를 흡수하여, 각 부재 간에 간극이 없도록 상기 단차에 점착제층이 추종할 것이 요구된다. 상기 단차에 관한 점착제층의 지표로서는, 단차(㎛)와 점착제층의 두께(㎛)에 의해 표현되는 단차 흡수성(%): (단차/점착제층의 두께)의 값×100에서 추종성을 만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단차 흡수성으로서는 20% 정도가 요구되고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 단차 흡수성의 요구가 30%로 고도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차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탄성률을 낮게 하여, 부드럽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점착제층을 부드럽게 하면 가공성이 나빠, 점착제 오염이 많이 발생하는 것이며,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member such as the cover glass, such as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stepped by the printing ink. Therefore, when the member having the stepped surface and the other member are bonded by the adhesive layer, it is required that the adhesive layer absorbs the step, and the adhesive layer follows the step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members. As an index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lating to the step,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followability at a value of the step difference (%): (step difference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ickness) expressed by the step (占 퐉) . The stepwise absorbency is required to be about 20%. In recent years, the requirement of the level difference absorbency is as high as 30%. Generally, in order to absorb the step, th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lowered and smoothened. However,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ade soft, the workability is poo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contaminated to a large extent.

한편,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투명 기체 등의 부재를 접합하는 쪽)을 단단하게 하면, 풀 라미네이션에 의해 상기 단차 흡수성이 저하되고, 또한 신뢰성을 가지고 발포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이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to which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is bonded) is made rigid, the step difference absorbency is lowered by full lamination, .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며, 수율이 양호하고, 또한 단차 흡수성을 만족할 수 있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viewer's side most visually in a polarizing film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ated polarizing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s a result of intensive investigation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out the following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 및 당해 편광 필름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점착제층 A 및 상기 점착제층 A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점착제층 B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점착제층 A에 세퍼레이터 SA1, 상기 점착제층 B에 세퍼레이터 SB를 구비하고 있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며,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of a polarizing film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ure- , A separator SA 1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a separator SB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상기 점착제층 A는 23℃의 저장 탄성률이 0.02 내지 0.3MPa이고,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of 0.02 to 0.3 MPa,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으로 300mm, 흡수축의 직교 방향으로 250mm의 절취된 직사각형물에 대해서, 컬이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이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단, 상기 세퍼레이터 SB측을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을 +, 상기 세퍼레이터 SA1측을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을 -로서 표시함)이 -10mm 내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was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curled rectangular face was locat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ut rectangular product of 300 mm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250 m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The curl amount measured by placing the separator SB side on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separator SB side is on the horizontal plane is + and the curl measured by placing the separator SA 1 on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be the lower side) is -10 mm to +60 mm 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컬량이 +2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the curl amount is preferably +2 mm to +30 mm.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SA1은 두께가 50㎛ 이상이며, 상기 세퍼레이터 SB는 두께가 30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SA 1 is 50 μm or more and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SB is 30 to 55 μm.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이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the peeling force a 1 of the separator SA 1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peeling force b of the separator SB.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 B를 갖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 B에 세퍼레이터 SB를 구비하고 있는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과,Side adhesive layer B having a polarizing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us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having the separator SB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세퍼레이터 SA1 위에 23℃의 저장 탄성률이 0.02 내지 0.3MPa인 점착제층 A를 갖는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를,A one-side separator o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having a separator SA 1 the storage modulus of 23 ℃ is 0.02 to 0.3MP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bove,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에서 점착제층 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 편광 필름에,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점착제층 A가 배치되도록,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1) of join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single-sided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a roll-to-roll process so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the single-sided separator is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는 상기 점착제층 A의 한쪽 측에 상기 세퍼레이터 SA1을, 다른 한쪽 측에 세퍼레이터 SA2를 갖는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로부터, 세퍼레이터 SA2를 박리하는 공정(a)에 의해 얻어진 것이며,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over the one-side separator o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side of the separator SA 1 on the side of both side separator o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separator SA 2 on the other side A of (A) of separating the separator SA 2 from the separator SA 2 ,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가 a1>a2≥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e separator peeling force of SA 1 a 1, the separator, the peeling strength of SA 2 a 2, b release force of the separator SB satisfy the relationship a 1> a 2 ≥b preferred.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가 a1>1.5a2≥1.5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ver the polarizing films, the peeling strength of the separator 1 a SA 1, SA 2 of the separator peeling force a 2, b release force of the separator SB is a 1> 1.5a 2 ≥1.5b Is satisfied.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의 상기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1)에 있어서,In the step (1) of joining with the roll-to-roll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장력 T1과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2의 비(T1/T2)를 0.8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ratio (T1 / T2) of the tension T1 of the single-sided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tension T2 of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o 0.8 or more.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어서,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 SA1을 박리하는 공정(b) 및(B) and (c) of peeling the separator SA 1 from the obtained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A에,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를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2)을 포함할 수 있다.(2) joining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separator SA 1 peeled off o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the roll-to-roll method.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의 상기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2)에 있어서,In the step (2) of joining with the roll-to-roll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상기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의 장력 T3과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4와의 비(T3/T4)가 0.8 이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e curl adjustment separator SA 1 'tension T3 and the separator SA 1 ratio (T3 / T4) with T4 tension of a polarizing film over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in a controlled less than 0.8 are preferred.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어서,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임의의 크기로 커트하는 공정(c) 및 커트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단부를 절삭하는 공정(d)을 포함할 수 있다.A step (c) of cutting the obtained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to an arbitrary size, and a step (d) of cutting the end of the polarized film with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ut off.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매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 SA1 및 상기 세퍼레이터 SB를 제거한 것이며,Sensitive adhesive layer-side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us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obtained by removing the separator SA 1 and the separator SB from the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A가 시인측에, 점착제층 B가 표시부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is placed on the viewer sid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on the display portion side.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시인측의 편광 필름보다도, 더 시인측에 커버 유리 등의 투명 기체 등의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편광 필름의 시인측에 점착제층, 이어서 상기 부재를 적층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투명 기체 등의 부재에 접합하는 점착제층을 갖고, 그 반대측에 표시부에 접합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며, 편광 필름의 시인측에도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양면에 점착제층을 미리 형성한 편광 필름에 의하면, 이것을 소정 사이즈로 가공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과 품질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glass such as a cover glass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viewing side than the viewer side polarizing film. Convention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bove member are laminated on the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Howe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ich is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to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adheres to a display portio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lso provid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polarizing film, so that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in the produc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according to the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both surfaces in advance, by processing the polarizing film to a predetermined size, productivity and qua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양면의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에 각각 세퍼레이터 SA1, 세퍼레이터 SB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세퍼레이터 SA1 및 세퍼레이터 SB 등에 의해, 컬량이 소정량이 되게 제어되어 있다. 이렇게 컬량을 제어함으로써,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표시부에 접합할 때, 나아가 투명 기체 등의 부재를 접합할 때에, 접합면의 단부에서 기포가 말려 들어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켜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olarization film over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with a respective separator SA 1, a separator SB in the two-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adhesive layer B, so the amount of curl or the like art separator SA 1 and a separator SB predetermined amount Respectively. By controlling the curl amount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henomenon in which bubbles are entrained at the ends of the bonding surface when bonding the polarizing film with double-stick adhesive layer to the display portion and further joining members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 Thereby improving the yield.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서는, 편광 필름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점착제층 A(커버 유리와 같은 투명 기체 등의 부재를 접합하는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소정 범위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제 오염 등의 문제가 없고 핸들링성이 양호하다. 또한, 소정 범위로 저장 탄성률을 제어한 점착제층에 의하면, 풀 라미네이션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 흡수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에 관한 내구성(발포의 억제)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glass or the like such as a cover glas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range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such as contamin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handling property is goo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controlled in a predetermined range, the lowering of the level difference absorbability caused by the full lamina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inhibition of foaming) with respect to reliability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 점착제층 A를, 적어도 2층의 점착제층을 갖는 다중 점착제층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투명 기체 등의 부재가 그 표면에 단차를 갖는 부재일 경우에도, 상기 단차에 추종해서 공극 없이 접합을 행할 수 있다. 당해 다중 점착제층은 투명 기체 등의 부재가 그 표면에 단차를 갖는 부재일 경우에도, 상기 단차에 추종해서 공극 없이 접합을 행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formed by a multi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t least two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even when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is a member having a step on its surface, Bonding can be performed. The multi-lay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bonded to the multi-lay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out void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step even when the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has a step on its surface.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점착제층 A를 갖는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와, 세퍼레이터 B를 구비하고 있는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을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당해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에 의해, 핸들링성을 향상시켜서 점착제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 얻어지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 process of joining a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containing polarizing film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By the process of joining with the roll-to-roll process, the handling property can be improved to suppress the stai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further, the workability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with double-stick adhesive laye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에서,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와,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의 각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얻어지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컬량을 소정량이 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서, 세퍼레이터 SA1을 바꿔 접합함으로써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컬량을 소정량이 되게 제어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tep of joining with the roll-to-roll process, the curl amount of the obtained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is controlled to be a predetermined amount by controlling the respective tensile forces of the single-sided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ingle- . In addition, 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the amount of curl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can be controlled to be a predetermined amount by replacing the separator SA 1 .

도 1a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컬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컬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장치와 투명 기체 등의 부재가 접합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1)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롤 투 롤의 접합 공정(2)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url amount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url amount of the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4C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a double-side separator.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step (1) of joining with the roll-to-roll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a roll-to-roll bonding step (2) using a curling-use separator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등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도면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a,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10'))은 편광 필름(1)과, 당해 편광 필름(1)의 양면에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10'))은 상기 점착제층 A에 세퍼레이터 SA1, 상기 점착제층 B에 세퍼레이터 S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 SA1로서는 후술하는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를 사용할 수 있다.1A and 1B,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10 (10 ')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larizing film 1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a pressure- B. 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10 (10 ')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SA 1 is provi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parator SB is provided in the pressure- In addition, the separator SA 1 may be used as a color separator for adjustment to be described later SA 1 '.

도 1a에서는 점착제층 A가 1층일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상기 점착제층 A는 최표면측(시인측)으로부터 제1 점착제층(a) 및 제2 점착제층(b)을 이들 순서대로 갖는 다중 점착제층으로 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점착제층 A가 제1 점착제층(a) 및 제2 점착제층(b)의 2층의 다중층인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층 A에 관한, 다중 점착제층의 층수에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5층 정도까지 형성할 수 있다. 다중 점착제층의 층수는 2 내지 4층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 내지 3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 점착제층은 각 층이 직접 밀착해서 형성된다.1A, a cas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one layer is exemplified. Howe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Layer. 1B shows a cas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 multilayer of two layers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he number of layer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not limited, but usually about five layers can be formed. The number of layer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2 to 4 layers, more preferably 2 to 3 layers. The multi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directly adhering each layer.

상기 다중 점착제층은, 인접하는 점착제층에는 다른 조성의 점착제층이 사용되지만, 인접하지 않은 점착제층은 동일한 조성의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제1 점착제층(a)과 제2 점착제층(b)은 다른 조성이다. 점착제층 A로서, 최표면측(시인측)으로부터 제1 점착제층(a), 제2 점착제층(b) 및 제3 점착제층(c)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점착제층(a)과 제2 점착제층(b)은 다른 조성이며, 제2 점착제층(b)과 제3 점착제층(c)은 다른 조성이다. 제1 점착제층(a), 제2 점착제층(b) 및 제3 점착제층(c)은 각각 상이한 조성이어도 되지만, 제1 점착제층(a)과 제3 점착제층(c)은 동일한 조성이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different composition is used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djacen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u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the same composition can be used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not adjacent to the pressure- In Fig. 1B,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have different compositions. In the case where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b) and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c) are used a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from the outermost surface side (viewing side)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has a different composition,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and the thir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 have different compositions.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b) and the thir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c) may have different compositions, but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10'))의 컬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컬량의 측정은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10'))을 편광 필름(1)의 흡수축 방향으로 300mm, 흡수축의 직교 방향으로 250mm의 절취된 직사각형물에 대해서 행하여진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량의 측정은 컬이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이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된다. 또한, 컬량의 측정은 도 2a와 같이,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10'))의 세퍼레이터 SB측을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 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h)은 「+」로서 표시되고, 도 2b와 같이, 상기 세퍼레이터 SA1(SA1')측을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h)은 「-」로서 표시된다. 컬량(h)은 상기 직사각형물의 코너 4점 가운데 가장 수평면으로부터 긴 점의 거리(mm)이다.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curl amounts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10 (10 ')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of the curl amount is carried out for a rectangular piece of polarized film 10 (10 ') having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ut out at a distance of 300 mm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1 and 250 mm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measurement of the curl amount is carried out on a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curl is convex downward. In addition, the curl amount is measured by placing the separator SB side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10 (10 ') on the horizontal surface so as to be on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2A, , And the curl amount h measured with the side of the separator SA 1 (SA 1 ') on the horizontal surface being the lower side is indicated as " - ". The curl amount h is the distance (mm) of the longest point from the horizon of the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object.

상기 컬량(h)은 작업성, 수율성의 관점에서, -10mm 내지 +60mm로 제어된다. 상기 컬량(h)은 도 2a와 같이 「+」인 것이 작업성, 수율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나아가 +2mm 내지 +30mm , 나아가 +5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url amount h is controlled to -10 mm to +60 mm from the viewpoints of workability and yield. The curled amount h is preferably + in the range of +2 mm to +30 mm, more preferably +5 mm to +20 mm, in terms of workability and yield, as shown in FIG. 2A.

<점착제층>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이하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는 모두 「투명」이며, 두께 25㎛로 측정한 헤이즈값이 2% 이하인 것에 의해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값은 0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urth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are all "transparent", and the haze value measured with a thickness of 25 μm is 2% or less. The haze value is preferably 0 to 1.5%, more preferably 0 to 1%.

<점착제층의 두께>  &Lt; Thicknes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또한, 상기 점착제층 A의 전체 두께는 5㎛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A의 전체 두께는 점착제층 A가 적용되는 개소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점착제층 A의 전체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이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preferably 5 占 퐉 to 1 mm.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can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ortion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pplied.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preferably 10 占 퐉 to 500 占 퐉, more preferably 20 占 퐉 to 300 占 퐉.

또한, 점착제층 A가 제1 점착제층(a) 및 제2 점착제층(b)을 갖는 다중 점착제층일 경우에는, 각 점착제층의 두께는 3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 multi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he thickness of 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3 to 200 μm, more preferably 5 to 150 μm More preferably 10 to 100 mu m.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 A가 제1 점착제층(a) 및 제2 점착제층(b)의 2층 구성일 경우에는, 제1 점착제층(a)의 두께는 3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0 내지 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점착제층(b)의 두께는 1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점착제층(a)의 두께와 제2 점착제층(b)의 두께의 차는 단차 흡수성 및 가공성의 점에서 20 내지 2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1B,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has a two-layer structur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essure- More preferably 5 to 100 占 퐉, further preferably 10 to 75 占 퐉.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preferably 10 to 300 占 퐉, more preferably 20 to 150 占 퐉, further preferably 50 to 100 占 퐉.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preferably 20 to 270 占 퐉, more preferably 30 to 200 占 퐉, from the viewpoint of level difference absorbability and processability.

한편, 상기 점착제층 B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1 내지 500㎛이며, 5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특히 10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generally from 1 to 500 탆, preferably from 5 to 200 탆,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10 to 100 탆.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Storage modulu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제층 A는 23℃의 저장 탄성률이 0.02 내지 0.3MPa로 제어되어 있다. 이러한 범위로 저장 탄성률이 제어된 점착제층 A에 의해, 점착제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투명 기체에 접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켜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 탄성률은 0.02 내지 0.4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3 내지 0.3MPa, 나아가 0.05 내지 0.1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 A의 저장 탄성률의 제어는 단차 흡수성을 만족하는 데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of 0.02 to 0.3 MPa.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hose storage elastic modulus is controlled in such a rang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and the workability of bonding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yiel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preferably 0.02 to 0.4 MPa, more preferably 0.03 to 0.3 MPa, further more preferably 0.05 to 0.1 MPa. The control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lso preferable for satisfying the level difference absorbency.

<점착제층의 박리력> &Lt; Peel strength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상기 점착제층 A에는 세퍼레이터 SA1(SA1'), 상기 점착제층 B에는 세퍼레이터 S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층 A에 대한 상기 세퍼레이터 SA1(SA1')의 박리력 a1은 0.01 내지 5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5 내지 2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1 내지 1N/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 B에 대한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는 0.01 내지 5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5 내지 2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1 내지 1N/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SA 1 (SA 1 '),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SB. The peel force a 1 of the separator SA 1 (SA 1 ') relativ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preferably 0.01 to 5 N / 50 mm, more preferably 0.05 to 2 N / 50 mm, further preferably 0.1 to 1 N / desirable. The separating force b of the separator SB relativ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preferably 0.01 to 5 N / 50 mm, more preferably 0.05 to 2 N / 50 mm, further preferably 0.1 to 1 N / 50 mm.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 SA1(SA1')의 박리력 a1은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보다 높아지게 조정하는 것이, 먼저 표시용 패널에 접합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세퍼레이터 SA1(SA1')의 박리력 a1과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의 차는 박리 불량을 방지하는 점에서 0.01 내지 2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2 내지 1N/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eeling force a 1 of the separator SA 1 (SA 1 ') is adjusted to be higher than the peeling force b of the separator SB, because it is first bonded to the display pan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eling force a 1 of the separator SA 1 (SA 1 ') and the peeling force b of the separator SB is preferably 0.01 to 2 N / 50 mm, more preferably 0.02 to 1 N / 50 mm, Do.

상기 저장 탄성률, 박리력의 측정은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한다.The measurement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nd the peeling force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example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세퍼레이터 SA1(SA1') 및 상기 세퍼레이터 SB를 제거한 것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관한 편광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으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 A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투명 기체 등의 부재 C에 접합된다. 점착제층 B는 편광 필름(1)에 있어서, 점착제층 A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표시부 D에 접합된다.As shown in FIG. 3,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removing the separator SA 1 (SA 1 ') and the separator SB. The polarizing film related to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in a polarizing film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bonded to the member C such as a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polarizing film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bonded to the display portion (D).

부재 C로서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있어서 적용되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 커버 유리, 플라스틱 커버 등의 투명 기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mber C include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that is applied on the visual si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 transparent glass such as a cover glass and a plastic cover, and the like.

표시부 D는 적어도 1매의 편광 필름(1)과 함께, 화상 표시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며,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 D로서는, 편광 필름(1)과 함께 사용되는, 액정층(5)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를,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내었다. 도 4a 내지 도 4c의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편광 필름(1)이 가장 시인측에 위치한다.The display portion D forms a par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at least one polarizing film 1 and is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a PDP (plasma display panel) . As the display portion 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liquid crystal layer 5 used together with the polarizing film 1 can be suitably used.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ypical embodiment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at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shown in Figs. 4A to 4C. In th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Figs. 4A to 4C, the upper polarizing film 1 is located on the most visible side.

도 4a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는 커버 유리 C/점착제층 A/편광 필름(1)(시인측)/점착제층(2)(B)/대전 방지층(3)/유리기판(4)/액정층(5)/구동 전극(6)/유리기판(4)/점착제층(2)/편광 필름(1)의 구성을 갖는다. 대전 방지층(3), 구동 전극(6)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층(3)은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A is constituted of the cover glass C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 polarizing film 1 (visible side)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2 (B) / antistatic layer 3 / glass substrate 4 A liquid crystal layer 5, a driving electrode 6, a glass substrate 4,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and a polarizing film 1, as shown in Fig. The antistatic layer 3 and the driving electrode 6 can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antistatic layer 3 may be formed arbitrarily.

도 4b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는 투명 도전층을 터치 패널(인셀형 터치 패널)의 전극 용도로서 사용하는 경우이며, 커버 유리 C/점착제층 A/편광 필름(1)(시인측)/점착제층(2)(B)/대전 방지층 겸 센서층(7)/유리기판(4)/액정층(5)/구동 전극 겸 센서층(8)/유리기판(4)/점착제층(2)/편광 필름(1)의 구성을 갖는다. 대전 방지층 겸 센서층(7), 구동 전극 겸 센서층(8)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B is a case in which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used as an electrode application of a touch panel (in-cell type touch panel), and the cover glass C /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 polarizing film 1 / Adhesive layer 2 (B) / antistatic layer and sensor layer 7 / glass substrate 4 / liquid crystal layer 5 / driving electrode / sensor layer 8 / glass substrate 4 / 2) / polarizing film (1). The antistatic layer and sensor layer 7 and the drive electrode and sensor layer 8 can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도 4c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는 투명 도전층을 터치 패널(온셀형 터치 패널)의 전극 용도로서 사용하는 경우이며, 커버 유리 C/점착제층 A/편광 필름(1)/점착제층(2)(B)/대전 방지층 겸 센서층(7)/센서층(9)/유리기판(4)/액정층(5)/구동 전극(6)/유리기판(4)/점착제층(2)/편광 필름(1)의 구성을 갖는다. 대전 방지층 겸 센서층(7), 센서층(9), 구동 전극(6)이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C is a case where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used as an electrode application of a touch panel (on-cell type touch panel), and the cover glass C /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 the polarizing film 1 / (2) (B) / antistatic layer and sensor layer 7 / sensor layer 9 / glass substrate 4 / liquid crystal layer 5 / driving electrode 6 / glass substrate 4 / ) / Polarizing film (1). The antistatic layer and the sensor layer 7, the sensor layer 9, and the driving electrode 6 can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편광 필름으로서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편광 필름에서의 투명 보호 필름에는 하드 코팅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기타, 화상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광학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1/2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함), 광학 보상 필름, 시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상기 편광 필름에, 실용 시에 적층하여, 1층 또는 2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As the polarizing film, it is generally used to have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 functional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n the polarizing film. In addition, an optical film used for forming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is suitably use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Examples of the optical film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reflection plate or a transflective plate, a retardation plate (including a wave plate of 1/2 or 1/4),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a time compensation film,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optical layer. In addition to being usable as an optical film alone, they can be laminated to the above polarizing film in practical use and used in on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액정 셀(유리기판) 등의 다른 부재와 접착하기 위해서 점착제층(2)이 개시되어 있다. 액정 셀보다 시인측(상측)에 있는 점착제층(2)은 점착제층 B로서 적용된다. 점착제층(2)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한 각종 점착제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4A to 4C,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is disclosed for bonding to another member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glass substrat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on the viewer side (upp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applied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a varie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as base polymers, polymers such as acrylic polymers, silicone polymers, polyesters, polyurethanes, polyamides, polyether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it exhibits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appropriate wettability, cohesiveness and adhesive property such a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유리기판/액정층/유리기판의 구성)과 그 양측에 배치한 편광 필름 및 필요에 따라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하게 조립해서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된다. 액정 셀은 예를 들어, TN형이나 STN형, π형, VA형, IPS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또는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당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 시에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 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층 또는 2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enerally includes a liquid crystal cell (constitution of a glass substrate / liquid crystal layer / glass substrate), a polarizing film dispos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lighting circuit or the like, . As the liquid crystal cell, for example, any type of TN type, STN type, pi type, VA type, IPS type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a sui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backlight or a reflector may be used for the illumination system. In form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suitable part such as a diffusion plate,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 protective plate, a prism array, a lens array sheet, a light diffusion plate, a backlight, Or more.

부재 C로서는,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 C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이며, 투명 기체, 점착제층(2), 투명 도전성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투명 도전성 필름은 2층 이상 적층할 수 있다. 투명 기체는 센서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체는 커버 유리 또는 플라스틱 커버 등으로서, 이것을 단독으로,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기타, 터치 패널 C의 투명 기체와는 반대측의 투명 도전성 필름에는 하드 코팅 필름을 설치할 수도 있다.As the member C, a touch panel can be used. The touch panel C is a capacitive touch panel, and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 this ord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an be laminated in two or more layers. The transparent gas may have a sensor layer. Further,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cover glass, a plastic cover or the like, which can b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one.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of the touch panel C may be provided with a hard coating film.

또한, 투명 기체로서는, 유리판이나 투명 아크릴판(PMMA판)을 들 수 있다. 투명 기체는 소위, 커버 유리이며, 장식 패널로서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으로서는, 유리판이나 투명 플라스틱 필름(특히 PET 필름)에 투명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막으로서는, 금속, 금속 산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ITO(산화인듐 주석), ZnO, SnO, CTO(산화카드뮴 주석)의 박막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200nm 정도이다. 상기 투명 도전성 필름으로서, PET 필름에 ITO막을 형성한 ITO 필름이 대표 예이다. 투명 도전막은 언더코트층을 개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언더코트층은 복수층 형성할 수 있다.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올리고머 이행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팅 필름은 PET 필름 등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에 하드 코팅 처리가 실시된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clude a glass plate and a transparent acrylic plate (PMMA plate). The transparent gas is a so-called cover glass and can be used as a decorative panel.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preferably formed on a glass plate or a transparent plastic film (particularly, a PET film). Example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clude a thin film containing a metal, a metal oxide, or a mixture thereof,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hin films of ITO (indium tin oxide), ZnO, SnO, and CTO (cadmium oxide tin oxide).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10 to 200 nm.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 ITO film in which an ITO film is formed on a PET fil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an be formed through an undercoat lay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undercoat layers can be formed. An oligomer migration prevention layer can be form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 coating film is subjected to a hard coating treatment on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ch as a PET film.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1) 및 점착제층 B를 갖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 B에 세퍼레이터 SB를 구비하고 있는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12)과, 세퍼레이터 SA1 위에 점착제층 A를 갖는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1)를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12)에 있어서 점착제층 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 편광 필름(1)에,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1)의 점착제층 A가 배치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1)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송출 롤로부터 반송되는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12)과,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1)가 한쌍의 접합 롤 R1, R2 사이에서 접합하는 공정(1)이 행하여져서, 권취 롤에 의해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을 얻고 있다.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polarized polarizing film 12 having a polarizing film 1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and having a separator SB in the pressure- Side adhesive layer A (1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n the separator SA 1 is laminated on the opposite polarizing film (1) on the sid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formed in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 So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one-side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1) is disposed. As shown in Fig. 6,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the step (1) of joining with roll-to-roll. 6, a step (1) is performed in which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polarized film 12 conveyed from the delivery roll and the single-sided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1 are bonded between the pair of bonding rolls R1 and R2,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10 is obtained by a winding roll.

또한,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1)는 점착제층 A의 한쪽 측에 세퍼레이터 SA1을, 다른 한쪽 측에 세퍼레이터 SA2를 갖는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4)로부터 얻을 수 있다.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SA1/점착제층 A/세퍼레이터 SA2의 구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서는, 송출 롤로부터 반송되는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4)는 박리 롤 R3에 의해, 세퍼레이터 SA2를 박리하는 공정(a)이 실시되어서, 접합하는 공정(1)에,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1)를 공급하고 있다.Further, the one-sided separator-bo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1)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4) with a separator SA 1 on on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parator SA 2 on the other side there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ver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4 may be expressed by the separator SA 1 / adhesive layer A / separator configuration of the SA 2 as shown in Fig. 6, a step (a) of peeling the separator SA 2 is carried out by the peeling roll R 3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4) with a separator attached to the both sides conveyed from the delivery roll,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1) is supplied.

상기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는 a1>a2≥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제품의 공정 순서 및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 등에의 접합 공정의 순서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는 a1>1.5a2≥1.5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작업성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When using the separator on both sides o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14), the separator, the peeling strength of a 1 SA 1, SA 2 of the separator peeling force a 2, the peel force of the separator SB b is a 1> a 2 ≥b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process sequence of the product and the sequence of the bonding process to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organic EL panel, and the like. Further, the point of the separator SA peeling strength of 1 a 1, the separators 2 SA peeling strength of a 2, b release force of the separator is a SB 1> to improve workability which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1.5a 2 ≥1.5b .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는 0.01 내지 5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5 내지 2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5 내지 1N/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과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의 차는 편광판에의 접합 공정의 작업성으로부터 0.01 내지 1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3 내지 0.5N/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Peel force of the separator SA 1 a 1, peeling strength of the separator SB b are as defined above. Peel force of the separator SA 2 2 a 0.01 to 5N / 50mm is not preferable, and further preferably in a 0.05 to 2N / 50mm, preferably in the addition of 0.05 to 1N / 50mm. The separator SA 1 peel force a 1 and the separators 2 SA peel force a car 2 is from 0.01 to 1N / 50mm preferred from the workability of the bonding process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further, that the range of 0.03 to 0.5N / 50mm desirable.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은 상기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1)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11)의 장력 T1과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12)의 장력 T2의 비(T1/T2)를 0.8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장력 T1, 장력 T2는 롤 R11, R12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In the step (1) of joining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roll-to-roll bonding, the tension T1 of the separator- (T1 / T2) of the tensile force T2 of the first to twelfth rollers is controlled to 0.8 or more. In Fig. 6, the tension T1 and the tension T2 can be controlled by the rolls R11 and R12.

상기 범위로 장력비(T1/T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장력비(T1/T2)는 0.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 이상, 나아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력비(T1/T2)가 너무 커지면 컬량이 너무 커져, 패널에의 접합 공정에서 접합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장력비(T1/T2)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6 이하, 나아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By controlling the tension ratio (T1 / T2) in the above range, the curl amount can be adjusted. The tension ratio (T1 / T2) is preferably 0.9 or more, more preferably 1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3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tension ratio (T1 / T2) is too large, the curl amount becomes too large and the joining accuracy in the joining step to the panel decreases. Therefore, the tension ratio T1 / T2 is preferably 10 or less, more preferably 6 or less, Or less.

상기 장력 T1은 8 내지 5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0 내지 300N/m, 나아가 100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le stress T1 is preferably 8 to 500 N / m, more preferably 50 to 300 N / m, and further preferably 100 to 200 N / m.

상기 장력 T2는 10 내지 4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 내지 200N/m, 나아가 40 내지 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le strength T2 is preferably 10 to 400 N / m, more preferably 20 to 200 N / m, further preferably 40 to 100 N / m.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을 제조한 후에, 이어서,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의 점착제층 A로부터 세퍼레이터 SA1을 박리한 후,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3)의 점착제층 A에,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를 접합함으로써,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 SA1 대신에,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를 사용함으로써,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의 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2)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eparing a polarizing film (10) over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then peeled off the separator SA 1 from the adhesive layer A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10) over the obtained separator SA 1 peeling 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produced by bonding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13. By using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instead of the separator SA 1 , the curl amount of the polarizing film 10'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7,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a step (2) of joining with roll-to-roll.

도 7에서는, 송출 롤로부터 반송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은 박리 롤 R6에 의해, 세퍼레이터 SA1을 박리하는 공정(b)이 실시되고 있다. 이어서, 반송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3)과,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가 한쌍의 접합 롤 R4, R5 사이에서 접합하는 공정(2)이 행하여져서, 권취 롤에 의해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을 얻고 있다.In Figure 7, the polarizing film 10, over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be conveyed from the delivery rolls has been carried out the step (b) of peeling off the separator SA 1 by the peeling roll R6. Subsequently, the step (2) of bonding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arrying polarizing film 13 and the curling adjusting separator SA 1 'between the pair of bonding rolls R 4 and R 5 is carried out, The film 10 'is obtained.

상기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는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과 마찬가지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a1'>1.5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컬량 조정의 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url-adjustment separator SA 1 relationship between "a peeling force of 1, the separator peeling force of SA 1 and a 1 in the same range it is desirable, and further the peeling strength of the separator SB b, a 1 '> of 1.5b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url adjustment to satisfy the relationship.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0')은, 상기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2)에 있어서, 상기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의 장력 T3과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13)의 장력 T4와의 비(T3/T4)를 0.8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장력 T3, 장력 T4는 롤 R13, R14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polarizing film (10 ') over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to-roll, according to the bonding step (2),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tension T3 and the separator SA-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1 is peeled off th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ratio (T3 / T4) of the layered polarizing film 13 to the tension T4 to 0.8 or more. In Fig. 7, the tension T3 and the tension T4 can be controlled by the rolls R13 and R14.

상기 범위로 장력비(T3/T4)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장력비(T3/T4)는 0.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 이상, 나아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력비(T3/T4)가 너무 커지면 컬량이 너무 커져, 패널에의 접합 공정에서 접합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장력비(T3/T4)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6 이하, 나아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By controlling the tension ratio T3 / T4 in the above range, the curl amount can be adjusted. The tension ratio (T3 / T4) is preferably 0.9 or more, more preferably 1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3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tension ratio (T3 / T4) is too large, the curl amount becomes too large and the joining accuracy in the joining step to the panel is lowered. Therefore, the tension ratio T3 / T4 is preferably 10 or less, Or less.

상기 장력 T3은 8 내지 5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0 내지 300N/m, 나아가 100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le strength T3 is preferably 8 to 500 N / m, more preferably 50 to 300 N / m, more preferably 100 to 200 N / m.

상기 장력 T4는 10 내지 4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 내지 200N/m, 나아가 40 내지 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le force T4 is preferably 10 to 400 N / m, more preferably 20 to 200 N / m, further preferably 40 to 100 N / m.

또한, 상기 장력의 크기는 롤의 토크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그 부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필름 등을 롤로 송출할 경우, 그 송출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은 예를 들어, 반송용 롤에 걸리는 하중으로 측정 가능한 로드셀식의 텐션 픽업 롤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장력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Further,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can be adjusted by the torque of the roll and the like, and the method of giving the tens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when a film or the like is fed by a roll, tension can be applied in the feed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tension can be measured by, for example, a load cell type tension pickup roll which can be measured by a load applied to a transport roll. The tension i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어서, 임의의 크기로 커트하는 공정(c) 및 커트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단부를 절삭하는 공정(d)을 포함할 수 있다. 절삭하는 공정(d)에는 연마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The obtained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then include a step (c) of cutting to an arbitrary size and a step (d) of cutting the end of the polarized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cutting step (d) may include a polishing step.

<점착제층의 재료><Material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의 형성 재료로서는, 각종 베이스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중합체의 종류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고무계 중합체,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비닐 알킬 에테르계 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계 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계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등의 각종 중합체를 들 수 있다.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containing various base polymers can be us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base polymer,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rubber polymer, a (meth) acrylic polymer, a silicone polymer, a urethane polymer, a vinyl alkyl ether polymer, a polyvinyl alcohol polymer, a polyvinyl pyrrolidone polymer, Acrylamide-based polymers, cellulose-based polymers, and the like.

이들 베이스 중합체 중에서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서,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의 형성 재료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단위로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해서 설명한다.Of these base polymers, those having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exhibiting appropriate wettability,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with adhesiveness, and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re preferably used. The (meth)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used as this feature. Hereinafter,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ing a (meth) acryl-based polymer containing alkyl (meth) acrylate as a monomer unit as the base polymer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will be described.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탄소수 4 내지 24의 알킬기를 에스테르기의 말단에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하고, 본 발명의 (메트)는 마찬가지의 의미이다.The (meth) acrylic polymer is obtained by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n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24 carbon atoms at the terminal of an ester group. The alkyl (meth) acrylate refers to alkyl acrylate and / or alkyl methacrylate, and (met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meaning.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수 4 내지 24의 알킬기를 갖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As the alkyl (meth) acrylate, those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4 to 24 carbon atoms can be exemplified. The alkyl (meth) acrylat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4 내지 9의 분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당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점착 특성의 밸런스를 취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 A에 관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단량체 단위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이 저장 탄성률을 제어하여, 단차 흡수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 A가 제1 점착제층(a) 및 제2 점착제층(b)을 적어도 갖는 다중 점착제층일 경우에는, 다중 점착제층으로서(각 층의 합계로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단량체 단위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제층 B에 관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단량체 단위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이 저장 탄성률을 제어하여, 가공성, 보관성,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lkyl (meth) acrylate include alkyl (meth) acrylates having a branch having 4 to 9 carbon atoms. The alkyl (meth) acrylate is preferable in view of easy balance of adhesive properties. Examples of the alkyl (meth) acrylate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n-pen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isopentyl (meth) acrylate, isopentyl (meth) acrylate, isohexyl (meth) acrylate, isoheptyl Methacrylat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eth) acrylic polymer relat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ferably contains 2-ethylhexyl acrylate as the monomer unit in view of the stepwise absorbency by controll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 multi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t least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he (meth) acryl- As the unit, it is preferable that 2-ethylhexyl acrylate is contained in the largest amount. On the other hand, the (meth) acryl-based polymer relat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preferably contains the most butyl acrylate as a monomer unit from the viewpoints of processability, storage stability and durability by controll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수 4 내지 24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관능성 단량체 성분의 전량에 대하여 40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이다. 40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은 점착 특성의 밸런스를 취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kyl (meth) acrylate having the alkyl group having 4 to 24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is not less than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meth) acrylic polymer, preferably 50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60% by weight or more.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40% by weight in view of easy balance of adhesive properties.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에는, 단관능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 단량체는 단량체 성분에서의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잔량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s the monofunctional monomer component, a copolymerizable monomer other than the alkyl (meth) acrylate. The copolymerizable monomer may be used as a remaining part of the alkyl (meth) acrylate in the monomer component.

공중합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환상 질소 구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환상 질소 구조는 환상 구조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 피롤리돈, N-비닐-ε-카프로락탐, 메틸 비닐 피롤리돈 등의 락탐계 비닐 단량체; 비닐 피리딘, 비닐 피페리돈, 비닐 피리미딘, 비닐 피페라진, 비닐 피라진, 비닐 피롤, 비닐 이미다졸, 비닐 옥사졸, 비닐 모르폴린 등의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르폴린 환, 피페리딘 환, 피롤리딘 환, 피페라진 환 등의 복소환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N-아크릴로일 모르폴린, N-아크릴로일 피페리딘, N-메타크릴로일 피페리딘, N-아크릴로일 피롤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 중에서도 락탐계 비닐 단량체가 유전율과 응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As the copolymerizable monomer, for example, a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may be contained. As 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those having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having a cyclic nitrogen structure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The cyclic nitrogen structure preferably has a nitrogen atom in the cyclic structure. Examples of 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include lactam-based vinyl monomers such as N-vinyl pyrrolidone, N-vinyl-epsilon -caprolactam and methyl vinyl pyrrolidone; Vinyl monomers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 such as vinylpyridine, vinylpiperidone, vinylpyrimidine, vinylpiperazine, vinylpyrazine, vinylpyrrole, vinylimidazole, vinyloxazole and vinylmorpholine. Further, (meth) acrylic monomer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such as morpholine ring, piperidine ring, pyrrolidine ring and piperazine ring can be mention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N-acryloylmorpholine, N-acryloylpiperidine, N-methacryloylpiperidine, N-acryloylpyrrolidine and the like. Of 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s, lactam-based vinyl monomers are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ielectric constant and cohesiveness.

본 발명에서,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에 대하여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이다.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를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은, 표면 저항값의 제어, 특히 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이온성 화합물과의 상용성 및 대전 방지 기능의 내구성 면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y 45%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5 to 40%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forming the (meth) . Use of 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within the above rang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control of the surface resistance value, compatibility with an ionic compound in the case of using an ionic compound, and durability of an antistatic function.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에는 단관능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omer component for forming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monomers having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cyclic ether group as monofunctional monomer components.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시클로알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기타,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 비닐 에테르, 4-히드록시부틸 비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비닐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적합하다.As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those having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having a hydroxyl group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8- Hydroxyalkyl (meth) acrylates such as hydroxy laur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4-hydroxymethylcyclohexyl) methyl (meth) acrylate, and other hydroxyalkylcycloalkane (meth) acrylates. Other examples include hydroxyethyl (meth) acrylamide, allyl alcohol, 2-hydroxyethyl vinyl ether, 4-hydroxybutyl vin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hese, hydroxyalkyl (meth) acrylates are suitable.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타콘산, 말레산은 이들의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단량체 성분에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는 카르복실기에 기인하는 금속 부식 등을 저감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As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those having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having a carboxyl group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 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carboxypentyl (meth) 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c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taconic acid and maleic acid may be used as anhydrides thereof. Among these,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are preferable, and acrylic acid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addition,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optionally be used as the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the other hand,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not be us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meth) acryl-based polymer obtained from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no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can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metal corrosion caused by a carboxyl group is reduced.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또한 에폭시기 또는 옥세탄기 등의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탄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3-옥세타닐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옥세타닐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타닐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틸옥세타닐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헥실옥세타닐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the monomer having a cyclic ether group, a monomer having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having a cyclic ether group such as an epoxy group or an oxetane group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Examples of the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glycidyl (meth) acrylate, 3,4-epoxycyclohexylmethyl (meth) acrylate and 4-hydroxybutyl (meth) acrylate glycidyl ether . Examples of the oxetan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3-oxetanylmethyl (meth) acrylate, 3-methyloxetanylmethyl (meth) acrylate, 3-ethyloxetanylmethyl (meth) Butyloxetanylmethyl (meth) acrylate, 3-hexyloxetanylmeth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관능성 단량체 성분의 전량에 대하여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7중량% 이하, 나아가 2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cyclic ether group is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27%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meth) , Further preferably not more than 25% by weight.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에는, 공중합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CH2=C(R1)COOR2(상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 R2는 탄소수 1 내지 3의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된 알킬기, 환상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냄)로 표현되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CH 2 ═C (R 1 ) COOR 2 (wherein R 1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R 2 is a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alkyl group, or a cyclic cycloalkyl group).

여기서, R2로서의 탄소수 1 내지 3의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된 알킬기는 직쇄, 분기 쇄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치환된 알킬기의 경우에는,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3 내지 8개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8개의 아릴옥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릴기로서는 한정은 되지 않지만, 페닐기가 바람직하다.Here, th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s R 2 represents a straight-chain or branched-chain alkyl group. In the case of the substituted alkyl group, the substituent is preferably an aryl group having 3 to 8 carbon atoms or an aryloxy group having 3 to 8 carbon atoms. The aryl group is not limited, but a phenyl group is preferable.

이러한 CH2=C(R1)COOR2로 표현되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represented by CH 2 ═C (R 1 ) COOR 2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henoxyethyl (meth) acrylate, benzyl (meth) acrylate, cyclohexyl (Meth) acrylate, 3,3,5-trimethylcyclohex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CH2=C(R1)COOR2로 표현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관능성 단량체 성분의 전량에 대하여 45중량% 이하로 사용할 수 있고, 3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CH 2 C (R 1 ) COOR 2 may be used in an amount of 45%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meth) By weight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다른 공중합 단량체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트)아크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 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 에스테르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불소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나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N-아크릴로일 모르폴린, 비닐 에테르 단량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중합 단량체로서는, 테르펜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구조를 갖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styrene,? -Methyl styrene; Glycol acrylate monomers such as (meth) acrylic acid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polyprop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methoxyethylene glycol and (meth) acrylic acid methoxypolypropylene glycol; Acrylate monomers such as (meth) acrylate tetrahydrofurfuryl, fluorine (meth) acrylate, silicone (meth) acrylate and 2-methoxyethyl acrylat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i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N-acryloylmorpholine, vinyl ether monomers and the like. As the copolymerizable monomer, a monomer having a cyclic structure such as terpene (meth) acrylate or dicyclopentanyl (meth) acrylate can be used.

또한,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실란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실란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3-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4-비닐 부틸 트리메톡시실란, 4-비닐 부틸 트리에톡시실란, 8-비닐 옥틸 트리메톡시실란, 8-비닐 옥틸 트리에톡시실란, 10-메타크릴로일옥시 데실 트리메톡시실란,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 트리메톡시실란, 10-메타크릴로일옥시데실 트리에톡시실란,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 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Silane-based monomers containing silicon atom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silane-based monomer include 3-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4-vinylbutyltrimethoxysilane, 4-vinylbutyltriethoxysilane, 8- Vinyl octyl trimethoxysilane, 8-vinyl octyl triethoxysilane, 10-methacryloyloxydecyl trimethoxysilane, 10-acryloyloxydecyl trimethoxysilane, 10-methacryloyloxydecyl tri Ethoxysilane, 10-acryloyloxydecyltriethoxysilane, and the like.

상기 공중합 단량체는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의 형성 시에, 베이스 중합체인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시에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단량체로서는, 상기 점착제층 A에서의 제1 점착제층(a) 및 상기 점착제층 B를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응집력, 접착력 향상, 투명성, 내구성의 관점에서,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단량체 단위로서, (메트)아크릴산 및 질소 함유 단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polymerizable monom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t the time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meth) acrylic polymer as the base polymer. Whe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re formed b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 the copolymerizable monomer, at least one of them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cohesion, adhesive strength, transparency, and durability ,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meth) acrylic acid and nitrogen-containing monomer is contained as the monomer unit.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에는, 상기 예시한 단관능성 단량체 이외에, 점착제의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다관능성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monofunctional monomers exemplified above, a multifunctional monomer as necessary in order to adjust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다관능성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단량체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 벤젠,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olyfunctional monomer is a monomer having at least two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ropoxylate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1,12-dodecanediol di (meth) acrylate, Ester compounds of polyhydric alcoh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and tetramethylol methane tri (meth) acrylate with (meth) acrylic acid; (Meth) acrylate, vinyl (meth) acrylate, divinylbenzene, epoxy acrylate, polyester acrylate, urethane acrylate, butanediol di (meth) acrylate, hexanediol di . Among them,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hexanediol di (meth) 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can be suitably used. The polyfunctional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그 분자량이나 관능기 수 등에 따라 상이한데, 단관능성 단량체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하한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접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to be us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lecular weight or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and is preferably 3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2 parts by weight or less, and 1 part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monofunctional monomers Is more preferable. The lower lim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 part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001 part by weight or more. When the usage amou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dhesive force can be improved.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는 용액 중합, 자외선 중합 등의 방사선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등의 각종 라디칼 중합 등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든 좋다.Such a (meth) acrylic polym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production methods such as various radical polymerization such as solution polymerization, radiation polymerization such as ultraviolet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and the like. The (meth) acrylic polymer to be obtained may be any of a random copolymer, a block copolymer and a graft copolymer.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 반응 조건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이들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그 사용량이 조정된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chain transfer agent and emulsifier used in the radical polymeriza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 acryl-based polymer can b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and the reaction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is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kind thereof.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등에서는, 중합 용매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인 용액 중합 예로서는, 반응은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기류 하에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통상 50 내지 70℃ 정도에서 5 내지 30시간 정도의 반응 조건에서 행하여진다.For example, in solution polymerization, ethyl acetate, toluene and the like are used as the polymerization solvent, for example. As concrete solution polymerization, the reaction is carried out under a reaction condition of usually about 50 to 70 DEG C for about 5 to 30 hours by add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under an inert gas stream such as nitrogen.

용액 중합 등에 사용되는, 열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리안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와꼬 쥰야꾸사제, VA-057) 등의 아조계 개시제,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디-n-옥타노일 퍼옥시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4-메틸벤조일)퍼옥시드, 디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황산염과 아황산 수소 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for solution polymerization and the like include 2,2'-azobisisobutyronitrile,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2,2'-azobis (2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2,2'-azobisisobalenoic acid,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Azobis [2- (5-methyl-2-imidazolin-2-yl) propane] dihydrochloride, 2,2'- Azobis (N, N'-dimethyleneisobutylamidine), 2,2'-azobis [N- (2-carboxyethyl) -2-methylpropionamidine] hydrate (VA- 057 (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di (4-t-butylcyclohexyl) peroxydicarbonate, di-tert-butyl peroxydicarbonate, butyl peroxydicarbonate, t-butyl peroxyneodecanoate , t-hexylperoxy pivalate, t-butyl peroxypivalate, dilauryl peroxide, di-n-octanoyl peroxide, 1,1,3,3-tetramethylbutylperoxy-2-ethyl Butyl peroxy isobutyrate, 1,1-di (t-hexyl peroxy) cyclohexane, t-butyl hydroperoxide, hydrogen peroxide , A combination of a persulfate and sodium hydrogen sulfite, a combination of a peroxide and sodium ascorbate, and a redox initiator in combination with a reducing ag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1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내지 0.5중량부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singly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about 0.005 to 1 part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0.02 to 0.5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ore preferable.

또한,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사용하여,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단량체 성분의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6 내지 0.2중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8 내지 0.175중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oduce the (meth) acrylic polymer hav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y using, for example, 2,2'-azobisisobutyronitrile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preferably 100 parts by weight , Preferably about 0.06 to 0.2 part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0.08 to 0.175 part by weight.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 머캅탄, 글리시딜 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머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2-에틸헥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단량체 성분의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정도 이하이다.Examples of the chain transfer agent include lauryl mercaptan, glycidyl mercaptan, mercaptoacetic acid, 2-mercaptoethanol, thioglycolic acid, 2-ethylhexyl thioglycolate, 2,3-dimercapto-1-propanol And the like. The chain transfer agent may be used singly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but the total content is about 0.1 part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components.

또한, 유화 중합할 경우에 사용하는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암모늄, 도데실벤젠 술폰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황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등의 비이온계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emulsifier used in the case of emulsion polymerization includ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mmonium polyoxyethylene alkylether sulfate and sodium polyoxyethylene alkylphenylether sulfate. Nonionic emulsifiers such as anionic emulsifiers, polyoxyethylene alkyl ethers,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s, 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s and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block polymers. These emulsifi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반응성 유화제로서, 프로페닐기, 알릴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유화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쿠아론 HS-10, HS-20, KH-10, BC-05, BC-10, BC-20(이상, 모두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 아데카리아 솝 SE10N(아데카(ADEKA)사제) 등이 있다. 반응성 유화제는 중합 후에 중합체 쇄에 도입되기 때문에, 내수성이 좋아져 바람직하다. 유화제의 사용량은 단량체 성분의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5중량부, 중합 안정성이나 기계적 안정성에서 0.5 내지 1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emulsifier to which a rad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a propenyl group or an allyl ether group is introduced as a reactive emulsifier include Aquarone HS-10, HS-20, KH-10, BC-05, BC -10, and BC-20 (all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and Adekariasso SE10N (manufactured by ADEKA). Since the reactive emulsifier is introduced into the polymer chain after the polymerization, the water resistance is preferably improved.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to be used is more preferably 0.3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components, more preferably 0.5 to 1 part by weight in terms of polymerization stability and mechanical stability.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활성 에너지선 중합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량체 성분을 전자선,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중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중합을 전자선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량체 성분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지만, 상기 활성 에너지선 중합을 자외선 중합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특히 중합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이점 등에서, 단량체 성분에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방사선 조사에 있어서, 사전에 일부를 중합해서 시럽으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meth) acrylic polymer is produced by active energy ray polymerization, the monomer component can be produced by polymerizing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 such as electron beam or ultraviolet ray. When the active energy ray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electron beam, it is not particularly necessary to include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monomer component. However, when the active energy ray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ultraviolet polymerization,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horten the polymerization time ,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contained in the monomer component.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a syrup obtained by polymerizing a part of the monomer in advance in the irradiation of radiation.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광중합을 개시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조인 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 옥시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nitiates photopolymerization, and a commonly u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Examples of the initiator include benzoin ethe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cetophenon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Ketol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romatic sulfonyl chlorid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photoactive oxim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enzoi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enzyl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hena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keta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thioxanth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cylphosphine ox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바스프(BASF)사제], 아니소인 메틸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BASF)사제],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2959, 바스프(BASF)사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상품명: 다로큐어 1173, 바스프(BASF)사제], 메톡시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 (2-히드록시에틸)-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 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benzoin ethe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prop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2,2-dimethoxy-1 , 2-diphenylethan-1-one (trade name: Irgacure 651, manufactured by BASF), and anisoin methyl ether. Examples of the 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trade name: Irgacure 184, BASF), 4-phenoxydichloroacetophenone, 4-t-butyl-dichloroacetophenone 2-methyl-1-propan-1-one [Product name: Irgacure 2959, BASF], 2 - [2 - hydroxyethoxy] Methyl-1-phenyl-propan-1-one (trade name: DARACURE 1173, BASF), methoxyacetopheno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keto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methyl-2-hydroxypropiophenone, 1- [4- (2-hydroxyethyl) -phenyl] -2-hydroxy- - on. The aromatic sulfonyl chlor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2-naphthalenesulfonyl chloride. Examples of the photoactive oxim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1-phenyl-1,2-propanedione-2- (O-ethoxycarbonyl) -oxime and the like.

또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이 포함된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이 포함된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 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 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이 포함된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 디메틸 케탈 등이 포함된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이 포함된다.The benzoin-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benzoin and the like. The benzy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benzyl and the like. The benz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benzophenone, benzoylbenzoic acid, 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polyvinylbenzophenone,? -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and the like. The ketal group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s, for example, benzyl dimethyl ketal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thioxanthen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methylthioxanthone, 2,4-dimethylthioxanthone, isopropylthioxanthone, 2,4- Hexanedioxanthone, octanedioxanthone, octanedioxanthone, isocyanthene, 2,4-diethylthioxanthone, isopropylthioxanthone, 2,4-diisopropylthioxanthone, dodecylthioxanthone and the like.

아실포스핀 옥시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n-부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t-부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시클로헥실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옥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부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4-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펜톡시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 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 벤질부틸포스핀 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 벤질옥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메틸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에틸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n-부톡시페닐포스핀 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이소부틸포스핀 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2,4,6-트리메틸벤조일-n-부틸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부톡시페닐포스핀 옥시드, 1,10-비스[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데칸, 트리(2-메틸벤조일)포스핀 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ylphosphine oxid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is (2,6-dimethoxybenzoyl) phenyl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2,4,4-trimethylpentyl) 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n-butyl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 (2-methylpropan- Bis (2,6-dimethoxybenzoyl) - (1-methylpropan-1-yl) phosphine oxide, bis (2,6- dimethoxybenzoyl) -t-butylphosphine oxide, bis (2-methoxybenzoyl) octylphosphine oxide, bis (2-methoxybenzoyl) cyclohexyl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 Bis (2,6-diethoxybenzoyl) (2-methylpropan-1-yl) phosphine oxide, bis (2-methoxybenzoyl) (2,6-diethoxybenzoyl) (1-methylpropan-1-yl) phosphine oxide, bis (2,6-dibutoxybenzoyl) (2,4-dimethoxybenzoyl) (2-methylpropan-1-yl) 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Bis (2,6-dimethoxybenzoyl) benzyl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2-phenylpropylphosphine oxide, bis (2,6- dimethoxybenzoyl) (2,6-dimethoxybenzoyl) -2-phenylpropyl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benzylphosphine oxide, bis 2-phenylethylphosphine oxide, 2,6-dimethoxybenzoylbenzylbutylphosphine oxide, 2,6-dimethoxybenzoylbenzyloctylphosphine oxide, bis (2,4,6-dimethoxybenzoyl) Bis (2,4,6-trimethylbenzoyl) -2,5-diisopropyl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4-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2,5-di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2,3,5,6-tetra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2,4-di-n-butoxyphenylphosphin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is (2,6-dimethoxybenzoyl) -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bis (Trimethylbenzoyl) isobutylphosphine oxide, 2,6-dimethoxybenzoyl-2,4,6-trimethylbenzoyln-but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e Bis [bis (2,4,6-trimethylbenzoyl) phosphineoxide] decane, bis (2,4,6-trimethylbenzoyl) -2,4-dibutoxyphenylphosphine oxide, Tri (2-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and the like.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부이다.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from 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from 0.05 to 3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0.05 to 1.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0.1 to 1 part by weight.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1중량부보다 적으면, 중합 반응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면, 광중합 개시제가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이 점착제층 내부까지 도달하지 않게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중합률의 저하를 발생하거나, 생성하는 중합체의 분자량이 작아져 버린다. 그리고 이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낮아져, 점착제층을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필름에 남아, 필름의 재이용을 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또한, 광중합성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f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insufficient. I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ed in an amount exceeding 5 parts by weight,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bsorbs ultraviolet rays, so that ultraviolet rays may not reach the insid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case, the polymerization rate is lowered o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ing polymer is reduced. As a result, the cohesive force of the form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owered, an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eeled from the film, a par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mains on the film, and the film can not be reused.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만 내지 2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만 내지 220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40만보다 크게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내구성을 만족시키거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작아져서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만보다도 커지면 접합성,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제가 용액계에 있어서, 점도가 너무 높아져, 도포 시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또한, 방사선 중합으로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에 대해서는 분자량 측정은 곤란하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400,000 to 2,500,000, and more preferably 600,000 to 2,200,000. By mak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greater than 400,000, the dur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satisfied, or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adhesive residue can be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exceeds 2.5 million, the bonding property and the adhesive strength tend to be lowered. Furth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solution type, the viscosity becomes too high, which may make coating application difficul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refers to a value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nd calculated by polystyrene conversion. Furth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obtained by the radiation polymerization.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Lt; Measurement of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샘플은 시료를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해서 0.1중량%의 용액으로 하고, 이것을 밤새 정치한 후, 0.45㎛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여과액을 사용하였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ing (meth) acrylic polymer was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 sample was prepared by dissolving a sample in tetrahydrofuran to prepare a 0.1 wt% solution. The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overnight, and then filtered through a 0.45 μm membrane filter.

·분석 장치: 도소사제, HLC-8120GPCAnalytical Apparatus: manufactured by Toso Co., Ltd., HLC-8120GPC

·칼럼: 도소사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GM7000HXL+GMHXL+GMHXL Column: (meth) acrylic polymer: GM7000H XL + GMH XL + GMH XL

·방향족계 중합체: G3000HXL+2000HXL+G1000HXL· Aromatic polymer: G3000HXL + 2000HXL + G1000HXL

·칼럼 사이즈; 각 7.8mmφ×30cm 계 90cmColumn size; Each 7.8mmφ × 30cm system 90cm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농도 0.1중량%)Eluent: tetrahydrofuran (concentration 0.1% by weight)

·유량: 0.8ml/min· Flow rate: 0.8 ml / min

·입구 압: 1.6MPa· Inlet pressure: 1.6 MPa

·검출기: 시차 굴절계(RI)Detector: Differential refractometer (RI)

·칼럼 온도: 40℃Column temperature: 40 ° C

·주입량: 100μl· Injection volume: 100 μl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Eluent: tetrahydrofuran

·검출기: 시차 굴절계· Detector: Differential refractometer

·표준 시료: 폴리스티렌· Standard sample: Polystyrene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 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 등의 가교제가 포함된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crosslinking agents such as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 epoxy crosslinking agent, a silicone crosslinking agent, an oxazoline crosslinking agent, an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a silane crosslinking agent, an alkyletherified melamine crosslinking agent, a metal chelating crosslinking agent and a peroxide.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the crosslinking agent,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d an epoxy crosslinking agent are preferably used.

상기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교제를 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0.01 내지 4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 내지 3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in the range of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based polymer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0.01 to 4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2 to 3 parts by weight.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제 또는 수량체화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호한 이소시아네이트 재생형 관능기를 함유함)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refers to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containing an isocyanate regenerable functional group temporarily protected by an isocyanate group as a blocking agent or a quantification) in one molecule.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nclude aromatic 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alicyclic isocyanates such as isophorone diisocyanate; and aliphatic 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미쯔이 가가꾸사제, 상품명 D110N),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미쯔이 가가꾸사제, 상품명 D160N); 폴리에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과 각종 폴리올과의 부가물,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뷰렛 결합, 알로파네이트 결합 등으로 다관능화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examples thereof include lower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butylene diisocyanate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alicyclic isocyanates such as cyclopentylene diisocyanate, cyclohexylene diisocyan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Aromatic diisocyanates such as 4-tol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xylylene diisocyanate and polymethylene polyphenyl isocyanate, trimethylolpropane / tolylene diisocyanate trimer adducts Trimethylolpropane /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ric adduct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Coronate HL),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cyanurate (Nippon Polyurethane Co., Ltd., High school priest, product name Corona Trimethylol propane adduct of xylylene diisocyanate (trade name: D110N,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 Industry Co., Ltd.), trimethylol propane adduc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ade name D160N,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 Industry Co., Ltd.); Polyether polyisocyanate, polyester polyisocyanate, adducts of these with various polyols, polyisocyanates multifunctionalized by isocyanurate bond, buret bond, allophanate bond and the like. Of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n aliphatic isocyanate because the reaction rate is fast.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0.01 내지 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1 내지 4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2 내지 3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력, 내구성 시험에서의 박리의 저지 등을 고려해서 적절히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 content of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may be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4 parts by weight, further preferably 0.02 to 3 parts by weight. Cohesive force, prevention of peeling in the durability test, and the like.

또한, 유화 중합으로 제조한 변성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수분산액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물과 반응하기 쉽기 때문에, 블록화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modified (meth) acrylic polymer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but if necessary, the blocked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since it is easily reacted with water.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에폭시기를 1 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말한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의 에폭시계 수지,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 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탄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아디프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o-프탈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 에테르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사제, 상품명 「테트래드 C」, 「테트래드 X」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The epoxy cross-linking agent refers to a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Examples of the epoxy cross-linking agent include bisphenol A, epichlorohydrin type epoxy resin, N, N, N ', N'-tetraglycidyl-m-xylylenediamine, diglycidyl aniline, 1,3 (N, N-diglycidylaminomethyl) cyclohexane,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glycerol diglycidyl ether, sorbitol polyglycidyl ether, glycerol polyglycidyl ether, 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glycerin diglycidyl ether , Glycerin triglycidyl ether,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sorbitan polyglycidyl ether, trimethylolpropane polyglycidyl ether, adipic acid diglycidyl ester, o-phthalic acid diglycidyl (2-hydroxyethyl) isocyanurate, resorcin diglycidyl ether, bisphenol-S-diglycidyl ether, an epoxy resin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 Examples of the epoxy cross-linking agent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Tertor C, Tertrade X and the like.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를 0.01 내지 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1 내지 4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02 내지 3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력, 내구성 시험에서의 박리의 저지 등을 고려해서 적절히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singly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 content of the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may be 0.01 to 5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4 parts by weight, further preferably 0.02 to 3 parts by weight. Cohesive force, prevention of peeling in the durability test, and the like.

과산화물의 가교제로서는 가열에 의해 라디칼 활성 종을 발생해서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 가교를 진행시키는 것이라면 적절히 사용 가능하지만, 작업성이나 안정성을 감안하여, 1분간 반감기 온도가 80℃ 내지 160℃인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내지 140℃인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agent for the perox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far as it is capable of generating radically active species by heating to promote crosslinking of the base polym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However, in view of workability and stability, a peroxide having a half-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peroxide having a temperature of 90 to 140 ° C.

사용할 수 있는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0.6℃),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2.1℃), 디-sec-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2.4℃),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03.5℃),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09.1℃),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10.3℃), 디라우로일 퍼옥시드(1분간 반감기 온도: 116.4℃), 디-n-옥타노일 퍼옥시드(1분간 반감기 온도: 117.4℃),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24.3℃), 디(4-메틸벤조일)퍼옥시드(1분간 반감기 온도: 128.2℃), 디벤조일 퍼옥시드(1분간 반감기 온도: 130.0℃), t-부틸퍼옥시 이소부티레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136.1℃),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1분간 반감기 온도: 149.2℃)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교 반응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1분간 반감기 온도: 92.1℃), 디라우로일 퍼옥시드(1분간 반감기 온도: 116.4℃), 디벤조일 퍼옥시드(1분간 반감기 온도: 130.0℃)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Examples of peroxides that can be used include di (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1 minute half-life temperature: 90.6 占 폚), di (4-t-butylcyclohexyl) peroxydicarbonate Butyl peroxy dicarbonate (1 minute half-life temperature: 103.5 占 폚), t-hexylperoxy (92.5 占 폚), di-sec-butylperoxydicarbonate (Half-life temperature for one minute: 109.1 占 폚), t-butyl peroxypivalate (one minute half life temperature: 110.3 占 폚), dilauroyl peroxide Tetramethylbutylperoxy-2-ethylhexanoate (1 minute half-life temperature: 124.3 占 폚), di (4-methylbenzoyl) Butyl peroxyisobutyrate (1 minute half-life temperature: 136.1 占 폚), 1,1-di (t-butylperoxy) isobutyrate -Hexylperoxy) cyclohexane (1 minute half-life temperature: 149.2 DEG C). Among them, di (4-t-butylcyclohexyl) peroxydicarbonate (half-life half-hour temperature: 92.1 占 폚) and dilauroyl peroxide (half-life half- ) And dibenzoyl peroxide (one-minute half-life temperature: 130.0 ° C) are preferably used.

또한, 과산화물의 반감기란, 과산화물의 분해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과산화물의 잔존량이 절반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임의의 시간에서 반감기를 얻기 위한 분해 온도나, 임의의 온도에서의 반감기 시간에 대해서는, 메이커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어, 닛본 유시 가부시끼가이샤의 「유기 과산화물 카탈로그 제9판(2003년 5월)」 등에 기재되어 있다.The half-life period of peroxide is an index indicating the rate of decomposition of peroxide, and refers to the time until the amount of residual peroxide becomes half.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for obtaining a half-life at an arbitrary time and the half-life time at an arbitrary temperature are described in the manufacturer's catalog. For example, the &quot; Organic Peroxide Catalog Ninth Edition &quot; Month) &quot;.

상기 과산화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과산화물 0.02 내지 2중량부이며, 0.05 내지 1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성, 리워크성, 가교 안정성, 박리성 등의 조정 때문에, 이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된다.The peroxide may be used singly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 total content of the peroxide is 0.02 to 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preferably 0.05 to 1 part by weight By weight. Is appropriately selected within this range due to the adjustment of workability, reworkability, crosslinking stability, peelability and the like.

또한, 반응 처리 후의 잔존한 과산화물 분해량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composed peroxide remaining after the reaction treatment can be measured by, for example,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반응 처리 후의 점착제를 약 0.2g씩 취출하여, 아세트산 에틸 10ml에 침지하고, 진탕기에서 25℃ 하, 120rpm으로 3시간 진탕 추출한 후, 실온에서 3일간 정치한다. 이어서, 아세토니트릴 10ml를 가하여, 25℃ 하에, 120rpm으로 30분 진탕하고, 멤브레인 필터(0.45㎛)에 의해 여과해서 얻어진 추출액 약 10μl를 HPLC에 주입해서 분석하여, 반응 처리 후의 과산화물량으로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bout 0.2 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fter the reaction treatment is taken out, immersed in 10 ml of ethyl acetate, shaken out at 25 DEG C at 120 rpm for 3 hours in a shaker, and then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Subsequently, 10 ml of acetonitrile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haken at 25 DEG C at 120 rpm for 30 minutes, filtered through a membrane filter (0.45 mu m), and about 10 mu l of the extract was injected into HPLC to analyze the amount of peroxide after the reaction .

또한, 가교제로서, 유기계 가교제나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를 병용해도 된다.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는 다가 금속이 유기 화합물과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다가 금속 원자로서는 Al, Cr, Zr, Co, Cu, Fe, Ni, V, Zn, In, Ca, Mg, Mn, Y, Ce, Sr, Ba, Mo, La, Sn, Ti 등을 들 수 있다.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하는 유기 화합물 중의 원자로서는 산소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화합물로서는 알킬 에스테르, 알코올 화합물, 카르복실산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케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s the crosslinking agent, an organic crosslinking agent or a polyfunctional metal chelate may be used in combination. A polyfunctional metal chelate is one in which a polyvalent metal is covalently bonded or coordinated with an organic compound. Examples of the polyvalent metal atom include Al, Cr, Zr, Co, Cu, Fe, Ni, V, Zn, In, Ca, Mg, Mn, Y, Ce, Sr, Ba, Mo, La, Sn and Ti . Examples of the atom in the covalent bond or coordinate bond organic compound include an oxygen atom, and examples of the organic compound include an alkyl ester, an alcohol compound, a carboxylic acid compound, an ether compound, and a ketone compound.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는,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단량체이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multifunctional monomer as a crosslinking agent. The multifunctional monomer is a monomer having at least two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the same examples as those exemplified as the monomer components for forming the (meth) acryl-based polymer are exemplified .

가교제로서의 다관능성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교제(다관능성 단량체)를 0.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다관능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0.005 내지 3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1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multifunctional monomer as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 content of the multifunctional monomer as a whole may be 0.001 (the multifunctional monom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ultifunctional monomer) is preferably 0.005 to 3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1 part by weight.

상기 가교제(다관능성 단량체)를 배합한 점착제에는, 광중합 개시제가 배합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통상 상기 가교제(다관능성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부이다. 상기 가교제(다관능성 단량체)를 배합한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해서 점착제층(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층)이 형성된다.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which the crosslinking agent (multifunctional monomer) is blended.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ose similar to those used for producing the (meth) acrylic polymer can be exemplified.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is generally 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5 to 3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5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ing agent (multifunctional monomer) 1 part by weigh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unded with the crosslinking agent (multifunctional monomer)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제층 A에 관한 다중 점착제층은 적어도 1개의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형성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층인 것이 소정 두께를 형성할 수 있어, 단차 흡수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점착제층(a) 및/또는 제2 점착제층(b)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ulti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lat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preferably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at least 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to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 or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an active energy radiation 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는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보다도 Tg가 높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은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점착 부여 수지로서 기능하고, 또한 유전율을 상승시키지 않고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갖는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meth) acrylic oligom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The (meth) acrylic oligomer is preferably a polymer having a higher Tg and a small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han the (meth) acry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meth) acrylic oligomer functions as a tackifier resin and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adhesive strength without increasing the dielectric constant.

상기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는, Tg가 약 0℃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 3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g가 약 0℃ 미만이면 점착제층의 실온 이상에서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유지 특성이나 고온에서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Tg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Tg와 동일하고, Fox의 식에 기초하여 계산한 이론값이다.The (meth) acrylic oligomer preferably has a Tg of about 0 ° C to 300 ° C, preferably about 20 ° C to 300 ° C, more preferably about 40 ° C to 300 ° C. If the Tg is less than about 0 캜, the co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room temperature or higher is lowered, and the holding property and the adhesiveness at high temperature are sometimes lowered. The Tg of the (meth) acrylic oligomer is the same as the Tg of the (meth) acrylic polymer, and is a theoretical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Fox equation.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30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2000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10000 미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이상이면, 접착력의 향상 효과가 충분히는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1000 미만이면, 저분자량이 되기 때문에 접착력이나 유지 특성의 저하를 야기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해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HPLC8020에, 칼럼으로서 TSKgelGMH-H(20)×2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에서 유속 약 0.5ml/분의 조건에서 측정된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 acrylic oligomer is from 1,000 to less than 30,000, preferably from 1,500 to less than 20,000, more preferably from 2,000 to less than 10,000.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30,000 or mo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may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less than 1000, since the molecular weight is low,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holding property may be low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 acrylic oligomer can be determined by polystyrene conversion by the GPC method.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of a flow rate of about 0.5 ml / min in a tetrahydrofuran solvent using two columns of TSKgelGMH-H (20) as a column on HPLC8020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상기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트)아크릴산과 지환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constituting the (meth) acrylic oligomer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s-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heptyl (meth) acrylate, oc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nonyl ) Alkyl (meth) acrylates such as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undecyl (meth) acrylate and dodecyl (meth) acrylate; Esters of (meth) acrylic acid with alicyclic alcohols such as cyclohex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and dicyclopentanyl (meth) acrylate; Aryl (meth) acrylates such as phenyl (meth) acrylate and benzyl (meth) acrylate; And (meth) acrylates obtained from terpene compound derivative alcohols. These (meth) acrylat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나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기가 분기 구조를 가진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나,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트)아크릴산과 지환식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비교적 부피가 큰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단량체 단위로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피가 큰 구조를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에 갖게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부피가 크다고 하는 점에서 환상 구조를 가진 것은 효과가 높고, 환을 복수 함유한 것은 더 효과가 높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합성 시나 점착제층의 제작 시에 자외선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렵다고 하는 점에서, 포화 결합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기가 분기 구조를 가진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지환식 알코올과의 에스테르를,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 acrylic oligomer include alkyl (meth) acrylates having an alkyl group such as isobutyl (meth) acrylate or t-butyl (meth) acrylate having a branched structure; Esters of (meth) acrylic acid with alicyclic alcohols such as cyclohex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and dicyclopentan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having a cyclic structure such as phenyl (meth) acrylate or aryl (meth) acrylate such as benzyl (meth) acrylate as a monomer unit . By having such a bulky structure in the (meth) acrylic oligomer, the adhesive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urther improved. Particularly, in terms of a large volume, the effect of having a cyclic structure is high, and the effect of containing a plurality of rings is more effective. When ultraviolet rays are employed in the synthesis of the (meth) acrylic oligomer or in the produ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aturated bond in view of the difficulty of causing polymerization inhibition. The alkyl (meth) Acrylate or an alicyclic alcohol can be suitably used as a monomer constituting the (meth) acrylic oligomer.

이러한 점에서, 적합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MA)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IBXMA)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아크릴로일 모르폴린(ACMO)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디에틸 아크릴아미드(DEAA)의 공중합체, 1-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ADA)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의 공중합체,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와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IBXMA)의 공중합체,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의 공중합체,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IBXMA),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IBXA),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DCPA), 1-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ADMA), 1-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ADA)의 각 단독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CHMA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In this respect, examples of suitable (meth) acrylic oligomers include copolymers of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and isobutyl methacrylate (IBMA), copolymers of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and isobornyl methacrylate Copolymer of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and acryloylmorpholine (ACMO), copolymer of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and diethyl acrylamide (DEAA), copolymer of cyclohexyl methacrylate A copolymer of adamantyl acrylate (ADA) and methyl methacrylate (MMA), a copolymer of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DCPMA) and isobornyl methacrylate (IBXMA), a copolymer of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DCPMA) and methyl methacrylate (MMA), copolymers of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DCPMA),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isobornyl methacrylate (IBXMA), isobornyl acrylate IBXA) , Dicyclopentanyl acrylate (DCPA), 1-adamantyl methacrylate (ADMA), and 1-adamantyl acrylate (ADA). In particular, an oligomer containing CHMA as a main component is preferable.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7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중량부이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첨가량이 70중량부를 초과하면, 탄성률이 높아져 저온에서의 접착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1중량부 이상 배합할 경우에, 접착력 향상 효과의 점에서 유효하다.When the (meth) acrylic oligomer is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7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re preferably 1 to 70 parts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2 to 50 parts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3 to 40 parts by weight. When the amount of the (meth) acryl-based oligomer is more than 70 parts by weight, the elasticity is increased and the adhesiveness at low temperatures is deteriorated. Also, when 1 part by weight or more of the (meth) acryl-based oligomer is blended, it is effective from the viewpoint of the adhesive force improv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는, 점착제층의 유리 등의 친수성 피착체에 적용하는 경우에서의 계면에서의 내수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6중량부이다.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이 너무 많으면 유리에의 접착력이 증대해 재박리성이 떨어지고, 너무 적으면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resistance at the interface when applied to a hydrophilic adherend such as glass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blending amou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01 to 1 part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0.02 to 0.6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too large, the adhesive force to the glass increases to deteriorate the re-peelability, while if too small, the durability is deteriorated.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 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that can be preferably used includ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2- (3,4- 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epoxy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s such a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 (aminoethyl) -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triethoxysilyl Amino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s such as N- (1,3-dimethylbutylidene) propylamine and N-phenyl- -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 (Meth) acrylic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s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and oxypropyl triethoxy silane, and isocyan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s such as 3-isocyanatopropyl triethoxy silane.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는, 기타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 금속분, 입자상, 박형상물 등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환원제를 가한 산화 환원계를 채용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ther known additives such as polyether compounds of polyalkylene glycols such as polypropylene glycol, A leve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n antioxidant,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an inorganic or organic filler, a metal powder, a particulate, a thin film, etc. May be suitably added depending on the use. In addition, within the controllable range, a redox system to which a reducing agent is added may be employed.

상기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는 예를 들어, 상기 형성 재료(점착제)를 투명 기체 등의 부재 및/또는 편광 필름에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 재료의 도포에서는, 적절하게 중합 용제 이외의 1종 이상의 용제를 새롭게 첨가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the forming materi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 member such as a transparent gas and / or a polarizing film, and drying the polymerization solvent or the like. In coating the forming material, at least one solvent other than the polymerization solvent may be newly added.

상기 형성 재료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롤 코팅, 키스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팅, 딥 롤 코팅, 바 코팅, 나이프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립 코팅,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팅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As the coating method of the forming material, various methods are used. Specific examples include coating methods such as roll coating, kiss roll coating, gravure coating, reverse coating, roll brush, spray coating, dip roll coating, bar coating, knife coating, air knife coating, curtain coating, An extrusion coating method and the like.

상기 가열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70℃이다. 가열 온도를 상기한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 A 또는 점착제층 B를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당하고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2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5분이다.The heating and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40 to 200 ° C, more preferably 50 to 180 ° 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70 to 170 ° C. By setting the heating temperature within the above rang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having excell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perties can be obtained. The drying time is appropriate and an appropriate time can be employed. The drying time is preferably 5 seconds to 20 minutes, more preferably 5 seconds to 10 minutes, particularly preferably 10 seconds to 5 minutes.

또한, 상기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의 형성은 상기 형성 재료(점착제)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의 경우에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중합해서 행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에는 고압 수은 램프, 저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can be formed by polymerizing the above-mentioned forming materi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in the case of the active energy radiation 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 low-pressure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or the like can be used.

또한, 상기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는 지지체에 형성한 뒤, 편광 필름 등에 전사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한 시트로서는, 실리콘 박리 라이너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 A가 다중 점착제층일 경우에는, 박리 처리한 시트에 제1 점착제층(a), 제2 점착제층(b) 등을 순서대로 형성함으로써 형성한 것을 편광 필름에 접합해도 되고, 또는 개별로 형성한 제1 점착제층(a), 제2 점착제층(b) 등을, 제1 점착제층(a)이 최표면이 되게, 편광 필름에 순차적으로 접합할 수도 있다.Furth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can be formed on a support and then transferred to a polarizing film or the like. As the support, for example, a peeled sheet can be used. As the peeled sheet, a silicone release liner is preferably us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 multi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and the like may be formed in order on the exfoliated sheet,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b), and the like formed separately may be sequentially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so that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the outermost surface.

박리 처리한 시트는 (세퍼레이터)로 점착제층 A의 세퍼레이터 SA1, 점착제층 B의 세퍼레이터 B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용 시에는, 상기 박리 처리한 시트는 박리된다.The peeled sheet (separator) can be used as the separator SA 1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separator B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n practical use, the peeled sheet is peeled off.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절하게 사용된다.Example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eparator include plastic film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ster film, porous materials such as paper, cloth and nonwoven fabric, nets, foamed sheets, metal foils, A plastic film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but a plastic film is suitably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그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상기 점착제층 A 또는 점착제층 B를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The plastic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lm capable of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 polybutene film, a polybutadiene film, A vinyl chloride film, a vinyl chloride copolymer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urethane film, and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분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반죽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도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행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로부터의 박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 separator may be formed by using the above plastic film as a base film and releasing and antifouling treatment with silicone, fluorine, long chain alkyl or fatty acid amide releasing agent, silica powder or the like, coating type, kneading typ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n antistatic treatment. Particularly, the peeling property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can be further enhanced by appropriately performing the peeling treatment such as the silicone treatment, the long-chain alkyl treatment, and the fluorin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실리콘계 이형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에쯔 가가꾸 고교제 KS-774, KS-775, KS-778, KS-779H, KS-847H, KS-847T, 도시바 실리콘제 TPR-6700, TPR-6710, TPR-6721, 도레이·다우·코닝제 SD7220, SD7226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이형층의 도포량(건조 후)은 0.01 내지 2g/m2,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g/m2의 범위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silicone type releasing layer include an addition reaction type silicone resin. KS-777, KS-778, KS-779H, KS-847H, KS-847T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Industry Co., Ltd., TPR-6700, TPR- And SD7220 and SD7226 manufactured by Toray, Dow Corning. The coating amount (after drying) of the silicone type releasing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2 g / m 2 , preferably 0.01 to 1 g / m 2 , more preferably 0.01 to 0.5 g / m 2 .

이형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상기한 재료를 올리고머 방지층 상에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 바 코팅, 다이 코팅 등, 종래 공지된 도포 방식에 의해 도포한 후에, 통상 120 내지 200℃ 정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해도 된다.The release layer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coating the above-mentioned material on the oligomer-preventing layer by a conventionally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reverse gravure coating, bar coating or die coating, and then heat- . If necessary,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uch as heat treatment and ultraviolet irradia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이형층을 포함함)는 통상 5 내지 200㎛ 정도이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그 박리력과 관련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에 따른 두께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퍼레이터 SA1, SA1', SA2의 두께는 모두, 박리력의 관점과 타격 흠집 방지를 위해,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퍼레이터 SA1, SA1', SA2의 두께는 40 내지 130㎛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50 내지 8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두께는 1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30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30 내지 40㎛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상기 세퍼레이터 SA1(SA1')의 두께가 50㎛ 이상일 경우와, 세퍼레이터 SB의 두께가 30 내지 50㎛인 경우를 조합하는 것이, 박리력의 관점과 타격 흠집 방지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ncluding the release layer) is usually about 5 to 200 mu m. Since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related to the peel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adopt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The thicknesses of the separators SA 1 , SA 1 'and SA 2 are preferably 30 μm or more, more preferably 40 μm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50 μm or more, in view of the peeling force and prevention of scratches.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eparators SA 1 , SA 1 ', and SA 2 is preferably 40 to 130 탆, more preferably 50 to 80 탆.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SB is preferably 10 to 80 mu m, more preferably 20 to 50 mu m, further preferably 30 to 50 mu m, further preferably 30 to 40 mu m. 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a polarizing film over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to combine with the case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SA 1 (SA 1 ') 50㎛ , when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30 to SB 50㎛ , Particularly in view of the peeling force and prevention of scratching.

또한, 상기 편광 필름에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를 형성함에 있어 편광 필름의 표면에는 접착 용이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접착 용이화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엑시머 처리, 하드 코팅 처리, 언더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접착 용이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서는, 상기 점착제층 A가 적층되는 편광 필름의 표면에 접착 용이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박리, 발포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Further, in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n the polarizing film,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easily subjected to adhesion. Examples of the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include a corona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an excimer treatment, a hard coating treatment and an undercoating treatment. Further,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subjected to an adhesive facilitating treatment.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at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laminated is preferably subjected to the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in view of peeling and foaming inhibition.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는, 어느 쪽인가의 부위가 대전 방지 기능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대전 방지 기능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이나 점착제층 중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키거나, 별도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부여할 수 있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ated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portions can be produced so as to have an antistatic function. The antistatic function can be imparted to the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example, by containing an antistatic agent in the polarizing film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separately forming an antistatic layer.

본 발명의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층은 화상 표시 장치(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보다도, 시인측에 배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시인측의 편광 필름과 액정 패널 사이에 대전 방지층(저표면저항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편광 해소나 불순물에 의한 휘점의 발생 등의 광학 특성 저하와 같은 문제를 대폭으로 저하시킬 수 있고,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의 성능을 손상시키기 않고,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In the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tatic layer can be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of a polarizing film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optical properties such as generation of bright spots due to polarized light dissipation and impurities that may occur when an antistatic layer (low surface resistivity layer) is form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on the viewer side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reliability of the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most visible side is not impair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ntistatic function without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특히, 인셀형 또는 온셀형이라는 터치 센서 내장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유효하고, 인셀형 또는 온셀형이라는 터치 센서 내장 액정 표시 장치를 고품질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effective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such as an in-cell type or an on-cell type,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ensor, such as an in-cell type or an on-cell type.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중합체 외에, 대전 방지제로서, 이온성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로서는,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유기 양이온-음이온 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의 유기 염 및 무기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기 양이온-음이온 염」이란, 유기 염이며, 그 양이온부가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음이온부는 유기물이어도 되고, 무기물이어도 된다. 「유기 양이온-음이온 염」은 이온성 액체, 이온성 고체라고도 말하여진다.In order to impart the antistatic function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nic compound may be contained as an antistatic agent in addition to the base polymer. As the ionic compound, an alkali metal salt and / or an organic cation-anionic salt can be preferably used. The alkali metal salt may be an organic salt or an inorganic salt of an alkali metal. The term &quot; organic cation-anionic salt &quot;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organic salt, and the cation part thereof is composed of an organic material, and the anion part may be an organic material or an inorganic material. &Quot; Organic cation-anionic salt &quot; is also referred to as an ionic liquid, an ionic solid.

또한, 이온성 화합물로서는, 상기 알칼리 금속염, 유기 양이온-음이온 염 이외에, 염화암모늄, 염화알루미늄, 염화구리, 염화제1철, 염화제2철, 황산 암모늄 등의 무기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온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복수를 병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ionic compound include inorganic salts such as ammonium chloride, aluminum chloride, copper chloride, ferrous chloride, ferric chloride and ammonium sulfate, in addition to the above alkali metal salts and organic cation-anionic salts. These ionic compound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본 발명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에서의 이온성 화합물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이 0.0001중량부 미만이면, 대전 방지 성능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0.01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5중량부보다 많으면,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게 될 경우가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3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1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비율은 상기 상한값 또는 하한값을 채용해서 바람직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ionic compoun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0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polymer. If the amount of the ionic compound is less than 0.00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antistatic performance may not be sufficient. The ionic compound is preferably at least 0.01 part by weight, more preferably at least 0.1 part by weight.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the ionic compound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 durability may be insufficient. The amount of the ionic compound is preferably 3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less. The above-mentioned upper limit value or lower limit value can be adopted as the ratio of the ionic compound to set a preferable range.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예 중의 부 및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등에서의 평가 항목은 하기와 같이 해서 측정을 행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the examples, all parts and% are based on weight. The evaluation items in Examples and the like were measured as follows.

<편광 필름의 제작> &Lt;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

두께 80㎛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속도 비가 다른 롤 간에, 30℃, 0.3% 농도의 요오드 용액 중에서 1분간 염색하면서, 3배까지 연신하였다. 그 후, 60℃, 4% 농도의 붕산, 10%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 0.5분간 침지하면서 종합 연신 배율 6배까지 연신하였다. 이어서, 30℃, 1.5%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 10초간 침지함으로써 세정한 후, 50℃에서 4분간 건조를 행하고, 두께 20㎛의 편광자를 얻었다. 당해 편광자의 한쪽 면에 비누화 처리한 두께 40㎛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을, 다른 한쪽 면에 두께 20㎛의 아크릴계 필름을, 각각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해서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B를 접합하는 면(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측)에는 적절하게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 thickness of 80 占 퐉 was stretched to a stretch of 3 times while being dyed in a 0.3% strength iodine solution at 30 占 폚 for 1 minute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speed ratios. Thereafter,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4% at 60 DEG C and potassium iodide at a concentration of 10% for 0.5 minutes, and the film was stretched to a total draw ratio of 6 times. Subsequently, the substrate was washed by immersion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odide at a concentration of 1.5% at 30 DEG C for 10 seconds, and then dried at 50 DEG C for 4 minutes to obtain a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A triacetyl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saponifi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n acrylic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on the other side were bonded to each other with a polyvinyl alcohol adhesive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The surface (side of the triacetyl cellulose film)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olarizing film was bonded wa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s appropriate.

<세퍼레이터 SA1><Separator SA 1 >

38㎛, 50㎛ 또는 75㎛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하기 이형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사용하였다.A release film obtained by forming the following release layer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38 mu m, 50 mu m, or 75 mu m was used.

<세퍼레이터 SA1'><Separator SA 1 '

5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하기 이형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사용하였다.A release film obtained by forming the following release layer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was used.

<세퍼레이터 SA2><Separator SA 2 >

5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하기 이형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사용하였다.A release film obtained by forming the following release layer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was used.

<세퍼레이터 SB><Separator SB>

38㎛, 50㎛ 또는 75㎛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하기 이형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사용하였다.A release film obtained by forming the following release layer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38 mu m, 50 mu m, or 75 mu m was used.

≪이형층의 형성≫ &Lt; Formation of release layer &

상기 각 세퍼레이터에는 하기 이형층을 형성하였다.The following release layers were formed on the respective separators.

실리콘 수지(KS-847H: 신에츠 가가쿠제): 20중량부 및 경화제(PL-50T: 신에츠 가가쿠제): 0.2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 용매(혼합 비율은 1:1) 350중량부로 희석하여, 실리콘계 이형제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당해 실리콘계 이형제의 용액을, 상기 각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기재 필름)에, 건조 후의 두께가 100nm가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에 의해 도포한 후, 120℃에서 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여, 기재 필름/이형층의 구성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얻었다.20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 resin (KS-847H: Shin-Etsu Chemical Co., Ltd.) and 0.2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PL-50T: Shinetsugagaku) were diluted with 350 parts by weight of a methyl ethyl ketone / toluene mixed solvent To prepare a solution of a silicone-based releasing agent. A solution of the silicone release agent was applied to each of the abov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s (base film) by a gravure coater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100 nm after drying, and then dried at 120 DEG C to form a release layer, Thereby obtaining a separator having a layer structure.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점착제층 A의 형성 재료의 제조>&Lt; Preparation of forming material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70부, N-비닐 피롤리돈(NVP) 15부,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15부, 2종의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BASF)사제) 0.05부 및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바스프(BASF)사제) 0.05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해서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해서 부분적으로 광중합 시킴으로써 중합률 약 10%의 부분 중합물(아크릴계 중합체 시럽)을 얻었다.70 parts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15 parts of N-vinylpyrrolidone (NVP), 4 parts of 4-hydroxybutylacrylate (NVP) were added to a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 15 parts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4HBA), 0.05 parts of two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trade name: Irgacure 184, BASF) and 0.05 parts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Irgacure 651, BASF) To prepare a monomer mixture. Subsequently, the monomer mixture was partially photopolymerized in an ultraviolet ray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o obtain a partial polymer (acrylic polymer syrup) having a polymerization degree of about 10%.

이어서, 상술한 아크릴계 중합체 시럽 100부에,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0.01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제층 A의 형성 재료(단량체 성분: A1)를 제조하였다.Then, 0.01 part of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was added to 100 parts of the acrylic polymer syrup described above, and then they were uniformly mixed to prepare a material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monomer component: A1).

제조예 2 내지 5Production Examples 2 to 5

제조예 1 에서, 단량체 성분의 제조에 사용한 각 성분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 조작을 행하여, 점착제층 A의 형성 재료(단량체 성분: A2 내지 A5)를 제조하였다.(Monomer components A2 to A5)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of each component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1 Respectivel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 중, 2EHA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In Table 1, 2EHA is 2-ethylhexyl acrylate;

NVP는 N-비닐 피롤리돈;NVP is N-vinylpyrrolidone;

4HBA는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is 4-hydroxybutyl acrylate;

TMPTA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TMPTA represents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제작>&Lt; Fabrication of A-side Separator Adhesive Layer A >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점착제층 A의 형성 재료(단량체 성분)를 표 2 또는 표 3에 나타내는 세퍼레이터 SA1의 이형 처리면에 최종적인 두께가 50㎛, 100㎛, 200㎛ 또는 300㎛가 되도록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도포된 단량체 성분의 표면에, 표 2 또는 표 3에 나타내는 세퍼레이터 SA2를 당해 필름의 이형 처리면이 도포층측이 되도록 해서 피복하였다. 이에 의해, 단량체 성분의 도포층을 산소로부터 차단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도포층을 갖는 시트에 케미컬 라이트 램프(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제)를 사용해서 조도 5mW/cm2(약 350nm에 최대 감도를 가지는 탑콘 UVR-T1로 측정)의 자외선을 360초간 조사하여, 도포층을 경화시켜서 점착제층 A를 형성하여,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를 제작하였다.The material (monomer compon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pa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was coated on th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separator SA 1 shown in Table 2 or Table 3 so as to have a final thickness of 50 탆, 100 탆, 200 탆 or 300 탆 To form a coating layer. Subsequently, the separator SA 2 shown in Table 2 or Table 3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applied monomer component so that the releasably treated surface of the film became the coating layer side. Thereby, the coating layer of the monomer component was blocked from oxygen. Using a chemical light lamp (manufactured by Toshiba Kabushiki Kaisha), the sheet having the coating layer thus obtained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of an illuminance of 5 mW / cm 2 (measured with a topcon UVR-T1 having a maximum sensitivity at about 350 nm) for 360 seconds , And the coating layer was cured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a double-side separator.

<점착제층 B를 형성하는 점착제의 제조>&Lt; Prepara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단량체 성분으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9부,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1부,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을 고형분이 30%가 되도록 투입한 후, 질소 가스를 흘리고, 교반하면서 약 1시간 질소 치환을 행하였다. 그 후, 60℃로 플라스크를 가열하고, 7시간 반응시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 110만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고형분 100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미쯔이 가가꾸(주)제, 「타케네이트 D110N」) 0.1부, 실란 커플링제(신에츠 가가쿠(주)제, 「KBM-403」) 0.1부를 첨가해서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제조하였다.To a separable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 reflux condenser and a nitrogen gas introducing tube, 99 parts of butyl acrylate (BA), 1 part of 4-hydroxybutyl acrylate (4HBA) as a monomer component, 0.2 part of isobutyronitrile and ethyl acetat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were added so that the solid content was 30%, nitrogen gas was introduced, and nitrogen substitution was carried out with stirring for about 1 hour. Thereafter, the flask was heated to 60 占 폚 and reacted for 7 hours to obtain an acrylic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10,000. 0.1 part of trimethylolpropane xylylene diisocyanate ("Takenate D110N",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as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100 parts of a silane coupling agent (Shinetsugagaku Co., ), "KBM-403"),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olution).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B의 제작><Produc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B with a separator>

상기 제조한 점착제 용액을, 표 2 또는 표3에 나타내는 세퍼레이터 SB의 이형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압 하, 60℃에서 3분간 및 120℃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하고, 또한 23℃에서 120시간 에이징을 행해서 점착제층 B를 제작하였다.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olution thus prepared was coated on the releasable surface of the separator SB shown in Table 2 or Table 3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was 20 占 퐉 and heated and dried under normal pressure at 60 占 폚 for 3 minutes and at 120 占 폚 for 3 minutes, Aging was further carried out at 23 占 폚 for 120 hours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의 제작>&Lt; Production of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with polarizing film >

상기 편광 필름의 한쪽 면(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측)에, 세퍼레이터 SB 딸린 점착제층 B를 전사하여,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separator SB-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with a separator SB was transferred to one surface (on the triacetyl cellulose film side) of the polarizing film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with a single-sid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실시예 1Example 1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작>&Lt; Preparation of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였다.An apparatus as shown in Fig. 6 was used.

상기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는, 송출 롤로부터 반송함과 함께, 박리 롤에 의해 세퍼레이터 SA2를 박리하여, 세퍼레이터 SA1 딸린 점착제층 A를 반송하였다. 한편, 별도로 송출 롤로부터 반송되는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의 편광 필름측(아크릴계 필름측)에, 상기 세퍼레이터 SA1 딸린 점착제층 A를, 한쌍의 롤에 의해 접합하여, 롤 투 롤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접합 시에는,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장력 T1과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2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하면서 행하였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double-side separators was peeled off the separator SA 2 by the peeling roll together with the carrier from the delivery roll to conve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the separator SA 1 . On the other hand, on the polarizing film side (acrylic film side) of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containing polarizing film conveyed separately from the delivery roll, the separator SA 1 -depend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bonded by a pair of rolls,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During the bonding, the tension T1 of the single-sided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tension T2 of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were controlled as shown in Table 2.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SA1, 세퍼레이터 SA2, 세퍼레이터 SB의 두께,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는 표 1의 기재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In the production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over the separator SA 1, a separator SA 2, the peel force in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SB separator SA 1 a 1, the separator peeling force of SA 2 a 2, peeling of the separator SB force b is As shown in Table 1.

상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B를 접합하는 면(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측)에는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하였다.The surface (on the triacetyl cellulose film sid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f the polarizing film was bonded wa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또한, 점착제층 A의 두께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as shown in Table 1.

<장력 측정><Tension Measurement>

(주)니레코제 MB 텐션 센서를 구비한 검출용 롤을 사용해서 1m 폭으로 환산한 응력을 계측하였다.Using a sensing roll equipped with Nyrelex MB tension sensor (manufactured by NIPPON KOGYO CO., LTD.), The stress converted to a width of 1 m was measured.

실시예 2 내지 13, 비교예 1 내지 5Examples 2 to 1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실시예 1에서, 세퍼레이터 SA1, 세퍼레이터 SA2, 세퍼레이터 SB의 두께, In Example 1, the thicknesses of the separator SA 1 , the separator SA 2 , the separator SB,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Separator peeling strength of a 1 SA 1, SA 2 separator peeling force of a 2, the peel force of the separator SB b,

점착제층 A의 두께, 점착제층 A의 저장 탄성률(점착제의 종류),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kind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A를 접합하는 면에 실시하는 코로나 처리의 유무,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rona treatment performed on the surfac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polarizing film is bonded,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장력 T1,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2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조작을 행하여,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Sid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tension T2 of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side polarizing film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and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또한, 비교예 1, 2에 대해서는, 롤 투 롤이 아니라, 각각에 제조한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과, 세퍼레이터 SA1 딸린 점착제층 A를 썬테크(SUN TECH)사제의 낱장 필름 접합 장치에서 흡수축을 긴 변으로 하고, 500mm×400mm의 면적에 의해 접합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single-sid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polarized polarizing film and the separator SA 1 -depend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hich were prepared in each case, were used instead of the roll-to-roll film in a sheet film bonding apparatus manufactured by Sun Tech Co., The absorption axis was set to be a long side and bonded by an area of 500 mm x 400 mm.

실시예 14 Example 14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작>&Lt; Preparation of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였다.An apparatus as shown in Fig. 7 was used.

비교예 3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송출 롤로부터 반송 함과 함께, 박리 롤에 의해 세퍼레이터 SA1을 박리하여,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반송하였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3 was conveyed from the delivery roll, and the separator SA 1 was peeled off by a peeling roll, and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which the separator SA 1 was peeled was conveyed.

한편, 별도로 송출 롤로부터 반송되는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를,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A에, 한쌍의 롤에 의해 접합하여, 롤 투 롤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접합 시에는 상기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의 장력 T3과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4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하면서 행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conveyed separately from the delivery roll was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a pair of rolls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roll-to-roll. In addition, when the joint is subjected to and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shows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tension T3 and T4 tension the separator SA 1 of the polarizing film over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in the Table 3 below.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SA1'의 두께,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는 표 3의 기재에 나타낸 바와 같다.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ver the polarizing film, as shown in the separator 1 SA peel force of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of SA 1, a 1, which is described in Table 3.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실시예 14에서, 송출 롤로부터 반송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비교예 3을 실시예 2로 변경), 상기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의 장력 T3과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4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작을 행하여,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14, (change Comparative Example 3 to Example 2)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over the transport from the delivery roll,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tension T3 and the separator SA 1 i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ver the peeling of The same operation as in Example 14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tensile strength T4 of the polarizing film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3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s,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as follows.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전단 저장 탄성률의 측정>&Lt; Measurement of shear storage elastic modulus &

23℃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하였다. 상기 측정 샘플(점착제층 A, 점착제층 B)을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장치명 「ARES」, 티·에이·인스트루먼트사제)를 사용하여, 주파수 1Hz의 조건에서 -20 내지 100℃의 온도 범위, 승온 속도 5℃/분으로 측정하여, 23℃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을 산출하였다.The shear storage modulus at 23 ° C was determined by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The measurement samp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was measured at a frequency of 1 Hz in a temperature range of -20 to 100 占 폚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apparatus (apparatus name "ARES", manufactured by T.A. And the shear storage modulus at 23 占 폚 was calculated at 5 占 폚 / min.

<세퍼레이터의 박리력 측정>&Lt; Measurement of peeling force of separator >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 딸린 측정 샘플(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B)을 폭 50mm, 길이 100mm로 재단한 후, 샘플로부터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를 인장시험기에서, 박리 각도 180°, 박리 속도 300mm/min으로 뗄 때의 박리력(N/50mm)을 측정하였다.A separator (release liner) was cut from the sample by a tensile tester at a peeling angle of 180 deg. And peeled off from the sample after cutting to a width of 50 mm and a length of 100 mm with a measurement sample (a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a separator, And the peel force (N / 50 mm) at the time of leaving at a speed of 300 mm / min was measured.

<컬><Curl>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으로 300mm, 흡수축의 직교 방향으로 250mm의 절취된 직사각형물에 대해서, 컬이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이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 면 상에 두고, 코너 4점 가운데 가장 수평면으로부터 긴 점의 거리(mm)를 측정하였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wa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such that the curled surface of the polarized film was downwardly directed to the cut rectangular object of 300 mm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and 250 m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The distance (mm) of the longest point from the horizontal plane was measured.

<수율><Yield>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사이즈는 70mm×100mm)에 대해서, 세퍼레이터 SB를 박리한 후, 점착제층 B측을 두께 0.7mm의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1737)에 접합하였다. 이 조작을 10회 행하였다.The separator SB was peeled off for the polarizing film (size: 70 mm x 100 mm) with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side was bonded to a non-alkali glass (made by Corning Inc., 1737) having a thickness of 0.7 mm. This operation was performed ten times.

그리고 접합 조작에서, 단부에 기포가 말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접합 조작을 완료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단부에 기포가 말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비율(성공률)을 다음 기준으로 나타낸다.In the joining operation,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joining operation could be completed without causing a phenomenon in which air bubbles were entrained at the ends. The ratio (success rate) in the case where the phenomenon in which air bubbles are not generated at the ends does not occur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standard.

◎: 성공률 100%◎: Success rate 100%

○: 성공률 80 내지 100% 미만○: Success rate 80 to less than 100%

△: 성공률 50 내지 80% 미만DELTA: Success rate: 50 to less than 80%

×: 성공률 50% 미만×: Success rate less than 50%

<단차 흡수성의 평가 방법>&Lt; Evaluation method of level difference absorbency &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로부터, 폭 50mm, 길이 100mm의 시트편을 잘라냈다. 상기 시트편으로부터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시트편의 점착제층측을 COP(환상 폴리올레핀) 필름(두께: 100㎛)에 접합하였다.A sheet piece having a width of 50 mm and a length of 100 mm was cut o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separators on both sides. One of the release films was peeled off from the sheet piece,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ide of the sheet piece was bonded to a COP (cyclic polyolefin) film (thickness: 100 탆) using a hand roller.

이어서, COP 필름에 접합한 상기 시트편으로부터 다른 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였다. 인쇄 단차 형성 유리판을, 당해 유리판의 인쇄 단차가 실시된 면과, 상기 COP 필름 상의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다음 접합 조건에서 접합하였다. 그리고 COP 필름/점착제층/인쇄 단차 형성 유리판의 구성을 갖는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Then, the other release film was peeled off from the sheet piece bonded to the COP film. The printing stepped glass plate was bonded under the following bonding conditions so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COP film was in contact with the side where the printing step of the glass plate was applied. Then, an evaluation sample having the constitution of a COP film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printing stepped glass plate was obtained.

(접합 조건)(Bonding condition)

면압: 0.3MPaSurface pressure: 0.3 MPa

부착 속도: 25mm/sAttachment speed: 25mm / s

롤 고무 경도: 70°Roll rubber hardness: 70 °

또한, 상기 인쇄 단차 형성 유리판은 유리판(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길이 100mm, 폭 50mm, 두께 0.7mm)의 한쪽 면에, 인쇄 부분의 두께(인쇄 단차 높이)는 50㎛ 또는 80㎛의 인쇄가 실시된 유리판을 사용하였다.The printing stepped glass plate was formed on one side of a glass plate (manufactured by Matsunami Glass Co., Ltd., length 100 mm, width 50 mm, thickness 0.7 mm) with a thickness of 50 μm or 80 μm Was used.

단차 흡수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단차/점착제층 두께)×100(%)은 각각 50%, 80%이다.(Thickness of the step /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x 100 (%), which is an index showing the step difference absorbency, are 50% and 80%, respectively.

이어서,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평가용 샘플을 취출하고, 점착제층과 인쇄 단차 형성 유리판과의 접합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단차 흡수성을 평가하였다.Subsequently, the sample for evaluation was placed in an autoclave and subjected to autoclave treatment at a pressure of 5 atm and a temperature of 50 캜 for 15 minutes. After the autoclave treatment, the sample for evaluation was taken out, and the state of bonding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plate for printing step formation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level difference absorbenc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 기포 잔류가 없고, 점착제층과 인쇄 단차 형성 유리판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음 ○: No bubbles remain, no peeling occurs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inting plate glass plate

×: 기포 잔류가 있고, 점착제층과 인쇄 단차 형성 유리판 사이에 들뜸이 발생함X: Bubbles remain, and peeling occurs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plate for forming the print step

<내구성><Durability>

상기 각 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A(시인측)의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하고, 두께 0.7mm의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1737)에 라미네이터를 사용해서 접착하였다. 이어서, 50℃, 0.5MPa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완전히 무알칼리 유리에 밀착시켰다. 이어서, LANTECH사제의 진공 접합 장치를 사용해서 0.2MPa의 압력, 진공도 30Pa의 조건에서 진공 접합을 행하였다. 이것을 85℃, 95℃의 가열 오븐(가열) 및 60℃/95%RH의 항온 항습기(가습)의 조건 하에 각각 투입하여, 500시간 후의 편광 필름의 박리 유무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separator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visibl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obtained in each of the above examples was peeled off and adhered to a 0.7 mm-thick non-alkali glass (made by Corning Inc., 1737) using a laminator. Subsequently, the autoclave treatment was carried out at 50 DEG C and 0.5 MPa for 15 minutes to adhere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letely to the alkali-free glass. Subsequently, vacuum bonding was performed at a pressure of 0.2 MPa and a degree of vacuum of 30 Pa using a vacuum bonding apparatus manufactured by LANTECH. This was put under the conditions of a heating oven (heating) of 85 ° C and 95 ° C and a constant-temperature and humidity (humidification) of 60 ° C / 95% RH, and the peeling of the polarizing film after 500 hours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 박리가 전혀 보이지 않았음. ◎: No peeling was observed at all.

○: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박리가 보였음.○: There was peeling that can not be confirmed by the naked eye.

△: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작은 박리가 보였음.△: A small peeling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naked eye was seen.

×: 명확한 박리(0.5㎛ 초과)가 보였음.X: Clear peeling (exceeding 0.5 占 퐉) was observ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비교예 5의 수율 결과 「기포 있음」은 점착제층 A의 저장 탄성률이 높기 때문에, 커버 유리를 접합한 후, 커버 유리의 잉크 단차를 전부 메우지 못하고 접합 직후에 기포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As a result of Comparative Example 5, "with air bubbles" indicates that air bubbles were generated immediately after bonding becaus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as high, so that after the cover glass was bonded, the ink level difference of the cover glass could not be completely covered.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비교예 6은 교체 접합에 의해, 특성이 저하한 경우이다.Comparative Example 6 is a cas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by the replacement bonding.

1 편광 필름
A 점착제층 A(시인측)
B 점착제층 B(시인측의 반대측)
C 부재(터치 패널 또는 투명 기체)
D 표시부(화상 표시 장치)
SA1 점착제층 A(시인측)의 세퍼레이터
SA1' 점착제층 A(시인측)의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2 점착제층 A(시인측)의 세퍼레이터
SB 점착제층 B(시인측의 반대측)의 세퍼레이터
10, 10'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11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
12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
13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14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
2 점착제층(점착제층 B)
3 투명 도전층(대전 방지층)
4 유리기판
5 액정층
6 구동 전극
7 대전 방지층 겸 센서층
8 구동 전극 겸 센서층
9 센서층
a 제1 점착제층
b 제2 점착제층
1 polarizing fil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visible side)
B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pposite side of the viewer side)
C member (touch panel or transparent gas)
D display sectio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separator of the SA 1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visible side)
SA 1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visible side) separator for curl adjustment
The separator of the SA 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visible side)
The SB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opposite side of the viewer side)
10, 10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11 Adhesive layer with unidirectional separator A
12 one sid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polarized polarizing film
13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separator SA 1 peeled Polarizing film
14 Double-sid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
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3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tistatic layer)
4 glass substrate
5 liquid crystal layer
6 drive electrode
7 Antistatic layer and sensor layer
8 Driving electrode and sensor layer
9 sensor layer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b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Claims (12)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 및 당해 편광 필름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점착제층 A 및 상기 점착제층 A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점착제층 B를 갖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 A에 세퍼레이터 SA1, 상기 점착제층 B에 세퍼레이터 SB를 구비하고 있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며,
상기 점착제층 A는 23℃의 저장 탄성률이 0.02 내지 0.3MPa이고,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으로 300mm, 흡수축의 직교 방향으로 250mm의 절취된 직사각형물에 대해서, 컬이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이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단, 상기 세퍼레이터 SB측을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을 +, 상기 세퍼레이터 SA1측을 아래 측이 되도록 수평면 위에 두고 측정한 컬량을 -로서 표시함)이 -10mm 내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d an adhesive layer (B)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separator SA 1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a separator SB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3 캜 of 0.02 to 0.3 MPa,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was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curled rectangular face was locat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ut rectangular product of 300 mm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250 m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The curl amount measured by placing the separator SB side on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separator SB side is on the horizontal plane is + and the curl measured by placing the separator SA 1 on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be the lower side) is -10 mm to +60 mm Sensitive adhesive layer.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량이 +2mm 내지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l amount is + 2 mm to + 30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SA1은 두께가 50㎛ 이상이며, 상기 세퍼레이터 SB는 두께가 30 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parator (SA1 ) has a thickness of 50 占 퐉 or more, and the separator (SB) has a thickness of 30 to 55 占 퐉.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이,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parator peeling strength of SA 1 is a 1,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ver the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is higher than the release force of the separator SB b.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 B를 갖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 B에 세퍼레이터 SB를 구비하고 있는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과,
세퍼레이터 SA1 위에 23℃의 저장 탄성률이 0.02 내지 0.3MPa의 점착제층 A를 갖는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를,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에서 점착제층 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 편광 필름에,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점착제층 A가 배치되도록,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Side adhesive layer B having a polarizing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us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having the separator SB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A one-side separator o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0.02 to 0.3MPa storage modulus over the separator 23 ℃ SA 1,
(1) of join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single-sided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a roll-to-roll process so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with the single-sided separator is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pressure-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는, 점착제층 A의 한쪽 측에 상기 세퍼레이터 SA1을, 다른 한쪽 측에 세퍼레이터 SA2를 갖는 양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로부터 세퍼레이터 SA2를 박리하는 공정(a)에 의해 얻어진 것이며,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및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가 a1>a2≥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By the process (a) of taking-off the one-side separator ov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is, the separator SA 1 on on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from both sides of the separator the adhesive layer A over which the separator SA 2 on the other side separator SA 2 &Lt; tb &gt;
The separator SA peeling strength of 1 a 1, the separator peeling force of SA 2 a 2 and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ver the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force of the separator SB b satisfy the relationship a 1> a 2 ≥b &Lt; / RTI &g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SA1의 박리력 a1, 상기 세퍼레이터 SA2의 박리력 a2 및 상기 세퍼레이터 SB의 박리력 b가 a1>1.5a2≥1.5b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Peel force of the separator SA 1 a 1, the separator, the peeling strength of SA 2 a 2 and over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force of the separator SB b satisfy the relationship a 1> 1.5a 2 ≥1.5b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1)에 있어서,
상기 편측 세퍼레이터 딸린 점착제층 A의 장력 T1과 상기 편측 점착제층 B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2의 비(T1/T2)를 0.8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In the step (1) of joining with roll-to-roll,
(T1 / T2) of the tensile force T1 of the single-sided separator-attach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and the tensile force T2 of the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bonded polarizing film is controlled to 0.8 or more.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이어서,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 SA1을 박리하는 공정(b), 및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A에,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를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Step (b) of peeling the separator SA 1 from the obtained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and
(2) of joining the curl adjusting separator SA 1 'by a roll-to-roll process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which the separator SA 1 is peeled off. W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 투 롤로 접합하는 공정(2)에 있어서,
상기 컬 조정용 세퍼레이터 SA1'의 장력 T3과 상기 세퍼레이터 SA1이 박리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장력 T4의 비(T3/T4)를 0.8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2) of joining with roll-to-roll,
The curl adjustment separator SA 1 'tension T3 and the separator SA 1 of the polarizing film over the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of the ratio (T3 / T4) of the tension T4 of the polarizing film over the peel-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et to be not less than 0.8 in Gt;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이어서,
얻어진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임의의 크기로 커트하는 공정(c), 및 커트된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단부를 절삭하는 공정(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C) a step of cutting the obtained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to an arbitrary size, and a step (d) of cutting the end of the cut polarized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t; / RTI &gt;
적어도 1매의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에서 가장 시인측에 설치되는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 SA1 및 상기 세퍼레이터 SB를 제거한 것이며,
상기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A가 시인측에, 점착제층 B가 표시부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on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Sensitive adhesive layer-side polarizing film provided on the most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film us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s laminated on the separator SA 1 and the separator SB is removed,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containing polarizing film is placed on the viewer sid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 is on the display portion side.
KR1020160005124A 2015-01-20 2016-01-15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1338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8802 2015-01-20
JP2015008802 2015-01-20
JPJP-P-2015-233272 2015-11-30
JP2015233272A JP6782071B2 (en) 2015-01-20 2015-11-30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adhesive layer,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867A true KR20160089867A (en) 2016-07-28
KR102133858B1 KR102133858B1 (en) 2020-07-15

Family

ID=5651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124A KR102133858B1 (en) 2015-01-20 2016-01-15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82071B2 (en)
KR (1) KR102133858B1 (en)
TW (1) TWI721964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433A (en) * 2016-09-29 2018-12-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10037744A (en) * 2017-03-28 2021-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with added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with added adhesive layer for in-cell liquid crystal panel, in-cell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5764A (en) * 2016-07-29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JP2018025765A (en) * 2016-07-29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TWI634008B (en) * 2016-12-30 2018-09-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and use of the same
JP6979839B2 (en) * 2017-09-26 2021-12-1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JP6470828B1 (en) * 2017-12-04 2019-02-13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JP7018349B2 (en) * 2018-04-13 2022-02-10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machined optical laminate with adhesive layer
JP7018348B2 (en) * 2018-04-13 2022-02-10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machined optical laminate with hardcourt layer
JP7191542B2 (en) * 2018-04-27 202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LAMINATED BODY WITH COVER GLASS AND IMAGE DISPLAY DEVICE WITH COVER GLASS
KR102452788B1 (en) * 2019-10-31 2022-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7374821B2 (en) * 2020-03-09 2023-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laminated film manufacturing device and optical laminated film manufacturing method
KR102311720B1 (en) 2020-07-14 2021-10-13 율촌화학 주식회사 Method for fabricating laminated film
JP2023133695A (en) * 2022-03-14 2023-09-27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with protect fil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205A (en) * 1999-12-03 2001-06-19 Sony Corp Method for coating adhesive on functional film and device for coating adhesive
JP2002348150A (en) 2001-05-28 2002-12-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Self-adhesive sheet for intermediate film and transparent laminated body
JP2004170907A (en) 2002-10-28 2004-06-17 Nitto Denko Corp Adhesion type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adhesion typ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6053531A (en) 2004-07-12 2006-02-23 Nitto Denko Corp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3011774A (en) * 2011-06-30 2013-01-17 Sumitomo Chemic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laminate, optical film laminate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ation plate
JP2013087225A (en) * 2011-10-19 2013-05-13 Oji Holdings Corp Adhesive for optical film, adhesive sheet for optical film, adhesion method of optical film,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display device
WO2014091863A1 (en) * 2012-12-10 2014-06-19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with adhesive on both sides and method for fabrication of image display device employ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370A (en) * 1979-12-06 1981-09-29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Moisture and temperature resistant polarizing lamination
JP2009086452A (en) * 2007-10-01 2009-04-23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adhesive optical film,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5991803B2 (en) * 2010-10-29 2016-09-14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2012237965A (en) * 2011-04-27 2012-12-06 Nitto Denko Corp Adhesive lay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205A (en) * 1999-12-03 2001-06-19 Sony Corp Method for coating adhesive on functional film and device for coating adhesive
JP2002348150A (en) 2001-05-28 2002-12-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Self-adhesive sheet for intermediate film and transparent laminated body
JP2004170907A (en) 2002-10-28 2004-06-17 Nitto Denko Corp Adhesion type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adhesion typ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6053531A (en) 2004-07-12 2006-02-23 Nitto Denko Corp Optical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3011774A (en) * 2011-06-30 2013-01-17 Sumitomo Chemic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laminate, optical film laminate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ation plate
JP2013087225A (en) * 2011-10-19 2013-05-13 Oji Holdings Corp Adhesive for optical film, adhesive sheet for optical film, adhesion method of optical film,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display device
WO2014091863A1 (en) * 2012-12-10 2014-06-19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with adhesive on both sides and method for fabrication of image display device employ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433A (en) * 2016-09-29 2018-12-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10037744A (en) * 2017-03-28 2021-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with added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with added adhesive layer for in-cell liquid crystal panel, in-cell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2924A (en) 2016-09-16
JP2016136238A (en) 2016-07-28
KR102133858B1 (en) 2020-07-15
JP6782071B2 (en) 2020-11-11
TWI721964B (en) 202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858B1 (en)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456686B2 (en)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10310333B2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543975B1 (en) Adhesive, adhesive layer and adhesive sheet
US9650547B2 (en)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laminate
CN105807356B (en) Polarizing film having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70121565A1 (en) Transparent resin layer,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4027220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JP6940927B2 (en)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EP2706102A1 (en) Adhesive, adhesive layer, and adhesive sheet
US20140039128A1 (en)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4004496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P2537903A2 (en) Optical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N109313299B (en)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7946607A (en) Adhesive layer and adhesive sheet
JP7149975B2 (en)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