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619A -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19A
KR20160089619A KR1020150009029A KR20150009029A KR20160089619A KR 20160089619 A KR20160089619 A KR 20160089619A KR 1020150009029 A KR1020150009029 A KR 1020150009029A KR 20150009029 A KR20150009029 A KR 20150009029A KR 20160089619 A KR20160089619 A KR 20160089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button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범
민정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619A/ko
Priority to CN201510519104.8A priority patent/CN105808131A/zh
Priority to US14/832,515 priority patent/US10133473B2/en
Priority to DE102015222336.1A priority patent/DE102015222336B4/de
Publication of KR2016008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일 측면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가상의 터치 영역을 가지며,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조작 화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패드, 분할된 터치 영역과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 영역의 분할 및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INPUT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 및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의 기능 조작을 위해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식, 버튼/다이얼 등을 통한 조작계 입력 방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식은, 암레스트에 인접한 센터콘솔 상단부 등에 장착된 터치 패드를 이용해 차량의 기능 조작 등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최근에는 터치 패드의 조작 직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 측면은 입력 장치의 특성과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가상의 터치 영역을 가지며,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조작 화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패드; 분할된 터치 영역과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영역의 분할 및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터치 패드 주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드와 대응되는 제 1 화면과, 버튼과 대응되는 제 2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화면은, 조작 화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트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트로 화면과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의 분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는,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기하학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는, 피드백 제공중인 영역을 기준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상대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터치 패드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터치 패드의 상단에 마련된 제 1 버튼과, 터치 패드의 좌측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터치 패드의 하단에 마련된 제 3 버튼과, 터치 패드의 우측에 마련된 제 4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클릭 시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으로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메트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는 제스처 입력 영역; 및 제스처 입력 영역 하단에 마련된 버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조작 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팜 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터치 패드는, 팜 레스트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가상의 터치 영역을 가지며,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조작 화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패드; 및 분할된 터치 영역과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영역의 분할 및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터치 패드 주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드와 대응되는 제 1 화면과, 버튼과 대응되는 제 2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화면은, 조작 화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트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트로 화면과 대응되도록 터치 영역의 분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는,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기하학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는, 피드백 제공중인 영역을 기준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상대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터치 패드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터치 패드의 상단에 마련된 제 1 버튼과, 터치 패드의 좌측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터치 패드의 하단에 마련된 제 3 버튼과, 터치 패드의 우측에 마련된 제 4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클릭 시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으로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메트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는 제스처 입력 영역; 및 제스처 입력 영역 하단에 마련된 버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팜 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터치 패드는, 팜 레스트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 직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따르면 차량용 조작계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기어 박스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터치 패드에 형성된 터치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터치 패드에 형성된 터치 영역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되는 피드백 제공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피드백 제공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피드백 제공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사용자가 제 2 버튼을 클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버튼 클릭 시 제공되는 기본 메뉴 탐색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사용자가 제 3 버튼을 클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3 버튼 클릭 시 제공되는 홈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20은 즐겨 찾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사용자가 제 4 버튼을 클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 4 버튼 클릭 시 제공되는 부가 정보 탐색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 4 버튼 클릭 시 제공되는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문자 입력 방식의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문자 입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화면 선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과,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와,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와,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차륜(51, 52)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과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71)에는 밖을 내다 보거나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는 윈도우(72)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72)는 한쪽에서만 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기어 박스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2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와, 차량(10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중앙집중 조작계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터치 기반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기어 박스(120)에는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팜 레스트(129)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팜 레스트(129) 주위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팜 레스트(129) 주위에는 별도의 버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버튼은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기반 입력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관련 부분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AVN 장치(1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1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131)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132)는 공조 장치(1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134)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1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134)는 AVN 장치(13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3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150)는 실시 예에 따라서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차량(100) 내부에 설치된 입력 장치(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제어 블록도 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터치 패드(211)에 형성된 터치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터치 패드(211)에 형성된 터치 영역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200)는 입력부(210)와, 디스플레이(136)와, 메모리(220)와,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구성이다. 입력부(210)는 터치 패드(211)와, 터치 패드(211) 주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211)는 차량(100) 내의 기어 박스(12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어 박스(120)는 일반적으로 차량(100)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어 박스(120)와 관련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 패드(211)는 차량(100)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 패드(211)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드(211)가 감압식으로 마련된 경우 손가락이나 펜촉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가압된 지점의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으며, 정전식으로 마련된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가변되는 정전 용량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터치 패드(211)는 버튼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는 후술할 제어부(23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패드(211)는 상면에 터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터치 영역은 차량(100)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 받는 영역으로 터치 패드(2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상의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136) 화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136) 화면은 조작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트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터치 영역은 메트로 화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 용어 메트로 화면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윈도우폰7과 윈도우폰 8에 적용한 타일모양의 버튼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것으로 정의한다. 메트로 화면은 선 없이 면 분할 만으로 만들어진 사각형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각형 블록은 메트로 영역 또는 메트로 아이콘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에 여섯 개의 사각형으로 조합된 메트로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터치 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섯 개의 터치 영역(T1, T2, T3, T4, T5, T6)으로 구획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홈 화면에 여덟 개의 사각형으로 조합된 메트로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터치 영역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덟 개의 터치 영역(T1, T2, T3, T4, T5, T6, T7, T8)으로 구획될 수 있다. 터치 영역의 구획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트로 화면의 구성 예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터치 패드(211)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터치 패드(211)의 상단에 마련된 제 1 버튼(212)과, 터치 패드(211)의 좌측에 마련된 제 2 버튼(213)과, 터치 패드(211)의 하단에 마련된 제 3 버튼(214)과, 터치 패드(211)의 우측에 마련된 제 4 버튼(2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네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버튼의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버튼들은 클릭 시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으로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하 관련 부분에서 후술한다.
디스플레이(136)는 센터페시아(130) 상단 중앙부에 마련되어, 터치 패드(211)에 입력된 차량(100) 조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6)는 AVN 장치(134)의 디스플레이(136)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AVN 장치(134)의 디스플레이(136)에 차량(100) 조작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136)는 입력부(210)에 대응되는 차량(100) 조작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136)는 터치 패드(211)와 대응되는 제 1 화면과, 제 1 버튼(212) 내지 제 4 버튼(215)과 대응되는 제 2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136)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홈 환경을 예로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1 화면(210a)은 조작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트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환경은 홈 환경, 즐겨 찾기 환경, 문자 입력 환경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조작 환경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화면(210b)은 제 1 화면(210a)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화면(210a)에 대한 제 2 화면(210b) 배치는 터치 패드(211)에 대한 버튼 배치 방식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조작 직관성을 향상시키고 조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메모리(220)는 입력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232)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사용자가 터치 패드(211)에 입력한 조작 명령을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된 프로그램(232), 제조사에서 최초로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에서 다운받은 범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211)에 입력 가능한 문자 또는 문자 후보군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의 터치 인식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과 디스플레이(136) 화면 간에 절대적 대응 방식을 채용할지 상대적 대응 방식을 채용할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차량(100) 조작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메트로 화면에 대한 정보와, 이러한 메트로 화면에 따른 터치 영역 분할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 (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채용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프로세서(231)와, 입력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232)이 저장된 롬(ROM, 233), 입력 장치(200)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입력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2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서(231), 롬(233) 및 램(232)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프로세서(231)에 의해 구현되며, 입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입력 장치(2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6)의 조작 환경이 전환됨에 따라 터치 패드(211)의 터치 영역을 디스플레이(136) 화면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터치 영역을 메트로 화면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230)는 해당 터치 영역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36)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영역과 디스플레이(136) 화면은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대응(이하, 각각 절대적 대응과 상대적 대응이라 한다)될 수 있다.
절대적 대응이란 터치 패드(211) 혹은 디스플레이(136) 크기에 관계 없이 디스플레이(136) 화면 비율에 맞게 터치 영역을 절대적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터치 영역과 기하학적으로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36) 화면 영역에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상대적 대응이란 터치 패드(211) 상에 입력된 사용자 제스처의 시작점과 끝점의 절대적 좌표와 무관하게 사용자 제스처의 시작점이 피드백 제공 영역의 중심점 좌표로 인식되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영역에 벡터 성분을 가지는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벡터 성분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36) 화면 영역에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절대적 대응과 상대적 대응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절대적 대응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상대적 대응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136) 화면에 제공되는 피드백 제공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피드백 제공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터치 영역과 기하학적으로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36) 화면 영역에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6) 화면 영역의 피드백 제공 방식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트로 영역 주위가 하이라이트 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제스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터치 영역 중 T3 영역, T7 영역 및 T8 영역을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3 영역, T7 영역 및 T8 영역과 기하학적으로 대칭되는 메트로 영역인 D3 영역, D7 영역 및 D8 영역 주위가 순차적으로 하이라이트 될 수 있다.
또한, D8 영역이 하이라이트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211) 전체를 클릭하면 해당 메트로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터치 패드(211) 주위에 입력을 위한 별도의 버튼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해당 메트로 영역에 진입할 수도 있다.
도 12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136) 화면에 표시되는 피드백 제공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대적 대응 방식에서는 사용자 제스처의 시작점이 피드백 제공 영역의 중심점 좌표로 인식될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스처 시작점인 T5 영역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시점에서의 피드백 제공 영역인 D3 영역의 중심점 좌표로 인식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V1으로 표시된 벡터 성분을 가지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V1 벡터 성분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36) 화면 영역인 D4 영역에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6) 화면 영역의 피드백 제공 방식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트로 영역 주위가 하이라이트 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30)는 제 1 버튼(212) 내지 제 4 버튼(215)에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명령과 대응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136)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버튼(212) 내지 제 4 버튼(215)은 상위 탭 화면,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으로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제 1 버튼(212) 클릭 시 상위 탭 화면으로 이동하고, 제 2 버튼(213) 클릭 시 기본 메뉴 탐색 화면으로 이동하고, 제 3 버튼(214) 클릭 시 홈 화면 또는 즐겨 찾기 화면으로 이동하고, 제 4 버튼(215) 클릭 시 부가 정보 탐색 화면 또는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각각의 버튼들의 마련 목적이 전술한 화면 이동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제 1 버튼(212)을 클릭하면 상위 탭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악 재생 화면의 제공 중 제 1 버튼(212)을 클릭하면 음악 재생 화면의 상위 탭인 음악 재생 목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제 2 버튼(213) 클릭 시 기본 메뉴 탐색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가 제 2 버튼(213)을 클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제 2 버튼(213) 클릭 시 제공되는 기본 메뉴 탐색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 제공 중 터치패드의 좌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 2 버튼(213)을 클릭할 수 있다. 제 2 버튼(213)이 클릭되면 디스플레이(136)의 좌측에 기본 메뉴 탐색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기본 메뉴 탐색 화면은 내비게이션, 디엠비(DMB), 영화, 음악, 사진, 엔터테인먼트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메뉴는 초기 설정된 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재구성된 메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 사용자가 제 3 버튼(214) 클릭 시 홈 화면 또는 즐겨 찾기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3 버튼(214)은 홈 버튼과 즐겨 찾기 버튼이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단일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6은 사용자가 제 3 버튼(214)을 클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제 3 버튼(214) 클릭 시 제공되는 홈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 내지 20은 즐겨 찾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암레스트(219, 도 3 참조)에 손목을 거친 상태에서 손바닥으로 제 3 버튼(214)을 클릭할 수 있다. 암레스트(219, 도 3 참조)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손가락으로 제 3 버튼(214)을 클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3 버튼(214)이 클릭되면 홈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면(210a)은 네비게이션 아이콘, DMB 아이콘, 영화 아이콘, 음악 아이콘, 포토앨범 아이콘, 엔터테인먼트 아이콘, 외부입력 아이콘, 설정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홈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홈 화면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버튼(214)이 클릭되면 즐겨 찾기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즐겨 찾기 화면은 제 1 화면(210a) 에 팝업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즐겨 찾기 화면은 불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반투명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즐겨 찾기 화면 역시 메트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열 개의 메트로 영역으로 분할된 즐겨 찾기 화면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즐겨 찾기 화면의 구성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즐겨 찾기 화면에서 M1 영역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동안 클릭하면 M1 영역에 해당되는 즐겨찾기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즐겨 찾기 화면에서 M1 영역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동안 클릭하면 현재 컨텐츠로 대체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 중 즐겨 찾기 기능을 실행하고 M1 영역을 제 2 시간동인 클릭하면 M1 영역을 음악 재생 서비스 컨텐츠로 대체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시간과 제 2 시간은 서로 다른 시간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제 1 시간은 제 2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일 수 있으며, 더 긴 시간일 수도 있다.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즐겨 찾기 화면에서 즐겨 찾기 기능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 예를 들어 M2 영역을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동안 클릭하면 현재 컨텐츠를 즐겨 찾기 화면에 추가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 중 즐겨 찾기 기능을 실행하고 M2 영역을 제 3 시간 동안 클릭하면 음악 재생 서비스 컨텐츠를 M2 영역에 추가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시간은 제 2 시간과 서로 다른 시간일 수 있으며, 제 2 시간과 동일한 시간일 수도 있다.
다음, 사용자가 제 4 버튼(215) 클릭 시 부가 정보 탐색 화면 또는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4 버튼(215)은 부가 정보 탐색 버튼과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 버튼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단일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1은 사용자가 제 4 버튼(215)을 클릭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제 4 버튼(215) 클릭 시 제공되는 부가 정보 탐색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제 4 버튼(215) 클릭 시 제공되는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 제공 중 터치 패드(211)의 우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 4 버튼(215)을 클릭할 수 있다.
제 4 버튼(215)이 클릭되면 디스플레이(136)의 우측에 부가 정보 탐색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부가 정보 탐색 화면은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화면의 제공 중 제 4 버튼(215)이 클릭되면, 음악 재생 화면에 대한 부가 정보 탐색 화면, 예를 들면 아티스트 정보, 음반 정보, 추천 곡 정보 등의 부가 정보 탐색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부가 정보 탐색 화면은 초기 설정된 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재구성된 메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버튼(215)이 클릭되면 디스플레이(136) 우측에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은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서비스 제공 중 제 4 버튼(215)이 클릭되면 음악 재생과 관련된 커넥티비티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음악 재생과 관련된 커넥티비티 화면은 멜론 아이콘, 유투브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문자 입력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문자 입력 방식의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문자 입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화면의 컨텐츠 영역 상단에는 입력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입력란 하단에는 문자 입력 방식을 안내하는 메트로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4에서는 입력 방법이 손 글씨 입력 방식인지, 쿼티 입력 방식인지, 음성인식 방식인지 선택하는 메트로 아이콘의 제공 예를 도시하였으나, 메트로 아이콘의 제공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라 사용자가 손 글씨 방식을 선택한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글씨 입력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손 글씨 입력 화면은 상단에 입력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입력란 하단에는 입력 중인 문자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역과, 입력 중인 문자의 후보 군을 표시하는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화면 선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 내지 도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화면 선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트로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메트로 아이콘은 숫자 또는 기호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6은 각 메트로 영역이 숫자로 구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이하 각 메트로 영역이 숫자로 구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원하는 메트로 아이콘에 부여된 숫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메트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 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211)에 숫자 2를 입력하거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211)에 숫자 2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숫자 2로 구분된 메트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문자 입력 시 사용되는 손가락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 입력 장치(2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00)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110 : 시트
120 : 기어 박스
122 : 터치 패드
130 : 센터페시아
136 : 디스플레이
140 : 스티어링 휠
150 : 대시보드
200 : 입력 장치
210 : 입력부
211 : 터치 패드
220 : 메모리
230 : 제어부

Claims (26)

  1. 가상의 터치 영역을 가지며, 상기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조작 화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패드;
    상기 분할된 터치 영역과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영역의 분할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주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터치 패드와 대응되는 제 1 화면과,
    상기 버튼과 대응되는 제 2 화면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면은,
    상기 조작 화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트로 화면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트로 화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 영역의 분할을 제어하는 입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기하학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피드백 제공중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상대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패드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패드의 상단에 마련된 제 1 버튼과, 상기 터치 패드의 좌측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상기 터치 패드의 하단에 마련된 제 3 버튼과, 상기 터치 패드의 우측에 마련된 제 4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클릭 시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으로 이동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메트로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는 제스처 입력 영역; 및
    상기 제스처 입력 영역 하단에 마련된 버튼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입력 조작 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팜 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팜 레스트 주위에 마련된 입력 장치.
  14. 가상의 터치 영역을 가지며, 상기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조작 화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패드;
    상기 분할된 터치 영역과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영역의 분할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주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터치 패드와 대응되는 제 1 화면과,
    상기 버튼과 대응되는 제 2 화면을 제공하는 차량.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면은,
    상기 조작 화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트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트로 화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 영역의 분할을 제어하는 차량.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기하학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량.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에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피드백 제공중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된 터치 영역과 상대적으로 대응되는 화면 영역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량.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패드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상기 터치 패드의 상단에 마련된 제 1 버튼과, 상기 터치 패드의 좌측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상기 터치 패드의 하단에 마련된 제 3 버튼과, 상기 터치 패드의 우측에 마련된 제 4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클릭 시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으로 이동을 제공하는 차량.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메뉴 탐색 화면, 홈 화면, 즐겨 찾기 화면, 부가정보 탐색 화면 및 내부 컨텐츠 관련 커넥티비티 화면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메트로 형태로 제공되는 차량.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는 제스처 입력 영역; 및
    상기 제스처 입력 영역 하단에 마련된 버튼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26. 제 14항에 있어서,
    입력 조작 시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팜 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팜 레스트 주위에 마련된 차량.
KR1020150009029A 2015-01-20 2015-01-20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60089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29A KR20160089619A (ko) 2015-01-20 2015-01-20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201510519104.8A CN105808131A (zh) 2015-01-20 2015-08-21 输入设备和包括输入设备的车辆
US14/832,515 US10133473B2 (en) 2015-01-20 2015-08-21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DE102015222336.1A DE102015222336B4 (de) 2015-01-20 2015-11-12 Eingabevorrichtung und Fahrzeug mit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29A KR20160089619A (ko) 2015-01-20 2015-01-20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340A Division KR101804767B1 (ko) 2016-10-27 2016-10-27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19A true KR20160089619A (ko) 2016-07-28

Family

ID=5629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29A KR20160089619A (ko) 2015-01-20 2015-01-20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33473B2 (ko)
KR (1) KR20160089619A (ko)
CN (1) CN105808131A (ko)
DE (1) DE102015222336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51B1 (ko) * 2020-10-07 2021-01-18 김병수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9332A1 (de) * 2016-11-13 2018-05-17 Honda Motor Co., Ltd. Mensch-fahrzeug-interaktion
USD841673S1 (en) 2017-01-06 2019-02-26 Honda Motor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8122827A (ja) * 2017-02-03 2018-08-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載用情報入力装置および車載用情報入力システム
DE102017211524B4 (de) 2017-07-06 2020-02-06 Audi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Bedienvorrichtung
KR102450882B1 (ko) * 2017-12-22 202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스트로크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 방법
FR3076021B1 (fr) * 2017-12-22 2019-11-22 Psa Automobiles Sa Procede pour l’edition d’un raccourci sur un dispositif d’affichage d’un vehicule comportant au moins deux ecrans.
CN114572117A (zh) * 2022-03-10 2022-06-03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载音频控制系统、控制方法及车辆
JP2023136133A (ja) * 2022-03-16 2023-09-29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2665A1 (de) 2003-09-16 2005-04-28 Daimler Chrysler Ag Bediensystem für ein Fahrzeug
JP4793133B2 (ja) 2006-06-28 2011-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DE102007034586A1 (de) 2007-07-25 2009-01-29 Daimler Ag Bedien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S8319832B2 (en) 2008-01-31 2012-11-27 Denso Corporation Input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KR20100010628A (ko) 2008-07-23 2010-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그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제어방법
DE102008046764A1 (de) 2008-09-11 2010-03-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ultifunktions-Bedieneinrichtung
KR101491169B1 (ko) 2009-05-07 2015-02-06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량의 탑재기기 조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E102009037401A1 (de) 2009-08-13 2010-11-25 Audi Ag Fahrzeug mit einer Bedieneinrichtung
KR101113906B1 (ko) 2009-09-04 2012-02-29 노상기 전자기기 단말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기기 단말기
KR101092722B1 (ko) 2009-12-02 2011-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RU2523172C2 (ru) 2009-12-18 2014-07-20 Хонда Мотор Ко., Лтд.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панель для такти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US20120110517A1 (en) * 2010-10-29 2012-05-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FR2969780B1 (fr) * 2010-12-22 2012-12-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Interface homme machine comprenant une surface tactile de commande sur laquelle des glissements de doigt effectuent les activations des icones correspondants
DE102011009561A1 (de) 2011-01-27 2012-08-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Eingabevorrichtung mit einer Eingabeoberfläche, Fahrzeug mit einer Ein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ingabevorrichtung mit einer Eingabeoberfläche
KR20130054579A (ko) 2011-11-17 201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7110A (ko) 2011-12-13 201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되는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JP5773214B2 (ja) 2011-12-27 2015-09-0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入力システム
JP5704408B2 (ja) 2012-01-20 2015-04-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操作入力システム
JP5565421B2 (ja) 2012-02-07 2014-08-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操作装置
KR20130129022A (ko) 2012-05-18 2013-11-27 세진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CN103513908B (zh) * 2012-06-29 2017-03-29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在触摸屏上控制光标的方法和装置
CN103577080A (zh) * 2012-07-30 2014-02-12 北京睿思汇通移动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浏览器的显示控制装置及触摸板控制装置
ES2445270B1 (es) * 2012-08-30 2014-09-17 Seat, S.A. Procedimiento para la representación y manejo de grupos de funciones y/o funciones así como un dispositivo de representación y manejo
JP5884090B2 (ja) * 2013-04-18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を提示する方法および電子機器
CN104199613B (zh) * 2014-09-01 2018-02-27 观致汽车有限公司 利用触摸设备控制车辆中控台显示应用的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51B1 (ko) * 2020-10-07 2021-01-18 김병수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3473B2 (en) 2018-11-20
DE102015222336B4 (de) 2023-12-07
DE102015222336A1 (de) 2016-07-21
US20160209975A1 (en) 2016-07-21
CN105808131A (zh)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9619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449857B2 (en)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user of a vehicle
US9878618B2 (en) Information playback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playback
EP1607850B1 (en) Vehicle-moun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ed information therefor
US971836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display device
US201800180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rranged in lists
JP6135942B2 (ja) 車載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150169195A1 (en) Multi-oper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ouch pad of operating system of vehicle
KR101721967B1 (ko)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US20140282161A1 (en) Gesture-base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6415469B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JP6653489B2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101882554B1 (ko) 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751994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KR102385060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2326B1 (ko) 표시 표면에 정보의 표시를 조절하는 방법
KR101804767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6232412B (zh) 用于控制机动车舒适系统的方法
US110997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vehicle
EP3125099B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23540568A (ja) 車両の計器盤の別個の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でのコンテンツの提示
KR20170004881A (ko) 다기능 동작 디바이스 및 다기능 동작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irby et al. Smart Touch® Sensing Places the Power of the Microprocessor at Your Fingert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