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091A - 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091A
KR20160087091A KR1020150004631A KR20150004631A KR20160087091A KR 20160087091 A KR20160087091 A KR 20160087091A KR 1020150004631 A KR1020150004631 A KR 1020150004631A KR 20150004631 A KR20150004631 A KR 20150004631A KR 20160087091 A KR20160087091 A KR 2016008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perating system
user
register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국
Original Assignee
안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국 filed Critical 안성국
Priority to KR102015000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091A/en
Publication of KR2016008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0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operating system device and a program storage medium. The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operating syste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loading unit which registers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of a user; a display manager which enables the content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smartphone applications of other users; and a control module which, when a purchase request for corresponding content is generat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manager, delivers the purchase request information to a brand compan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a customer can obtain a profit from a marketing effect by promoting products to other customers and selling the products, and a brand company can reduce a burden of a marketing cost by expending a marketing cost only for an actual effect.

Description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system apparatus and a program storage medium for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마켓에서 실제 소비자가 업-로드한 사진 및 리뷰(review)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다른 소비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업체의 상품 광고 및 판매효과를 증대시키고 소비자는 그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기반 패션용품의 구매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n online shopping mal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n online shopping mall, and more particula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user-based fashion articles that increase the product advertisement and sales effect of the provider and enable the consumer to receive compensation for the advertisement.

인터넷망의 발전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ex, 스마트 폰 등)의 기능 향상은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는 하나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enhancement of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ex, smart phone, etc.) using the internet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cause of exponentially increasing Internet users purchasing goods using electronic commerce.

그리고 인터넷 사용자들의 증가는 전자 상거래를 통해 물건을 판매하는 쇼핑몰의 수를 증가시키고 취급되는 물품들의 종류도 늘어나게 하였다. 물론, 반대로 쇼핑몰 및 물품 종류의 증가가 인터넷 사용자들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And the increase of internet user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shopping malls selling goods through e-commerce and also increased the kinds of goods to be handled. Of course, on the contrar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hopping malls and commodities causes the increase of Internet users.

이처럼 근래에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물품을 구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이 상거래의 중요한 수단으로 발달하였다. 예컨대 오프라인 매체(즉 매장 등)를 통한 물품 구매 비율의 증가보다 온라인 매체를 통한 물품 구매 비율의 증가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이 그 예이다. 즉 온라인 시장은 국내/외 판매액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규모 또한 나날이 커지고 있다.Recently, Internet shopping mall, which purchases goods through online media, has developed as an important means of commerce. An example is the rapid increase in the rate of purchase of goods through online media rather than the increase in the rate of purchase of goods through offline media (i.e., stores). In other words, the online marke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omestic and overseas sales, and the size is also increasing day by day.

온라인 매체를 통한 물품 구매 방식으로, 이전에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 등을 이용한 인터넷 상거래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하, '스마트 폰 앱'이라 하기로 함)을 통한 구매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할 경우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제약을 훨씬 덜 받게 되며, 1인 1 스마트 폰 시대로서 그만큼 스마트 폰이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이다.In the past, Internet commerce using computers that can use the Internet was the most popular way of purchasing goods through online media. However, nowadays, purchasing methods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phone application") are increasing. Smartphone apps will be much less constrained by time and place, as smartphones have become so popular as the era of one-person smartphones.

한편, 온라인 매체를 통한 물품 구매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 사용 가능한 컴퓨터 매체 또는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하고 있지만, 현재의 쇼핑몰의 운영방식이나 구매방식은 획일적이고 수동적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urchase method of an article through an online medium uses a computer medium or a smartphone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on the Internet, but the current shopping mall operating method and purchase method are uniform and passive.

즉,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를 전시 및 판매하는 경우 의류를 단순히 브랜드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각 의류에 대한 이미지 정보와 상세설명, 즉 상품코드, 브랜드 명, 색상, 소재, 제조회사, 상품설명 등을 웹 사이트와 같은 인터넷 사이트상에서 노출시켜 인터넷 이용자의 선택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That is, when the clothes are displayed and sol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clothes are simp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rands or kinds, and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lothes, that is, the product code, the brand name, the color, Passive methods are being used that are exposed on an Internet site such as a Web site to wait for the selection of the Internet user.

또는 다른 사람들이 구매했던 의류 상품들을 위주로 의류 정보를 노출시키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집단적 구매 기록을 참조한 것으로 각 개인의 특성화된 취향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Or a method of exposing clothing information based on clothing items purchased by others is also used. However, this refers to collective purchasing records and does not reflect the individualized taste of each individual.

그리고 상기한 쇼핑몰 운영방식에 따르면, 제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는 제품 구매비용에 따라 해당 쇼핑몰 업체로부터 일정 비율의 캐쉬백이나 포인트 등을 보상받는 정도이다. 이러한 캐쉬백이나 포인트는 적립 정도에 따라 제품 구매 비용 중 일부 또는 전부로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캐쉬백/포인트의 적립 비율이 극히 낮아 해당 쇼핑몰에서 제품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는 활발하지 않다. 이는 쇼핑몰의 운영 주체가 해당 제품의 사업자이고, 따라서 그만큼 제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는 캐쉬백/포인트를 보상받을 수 있는 경로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shopping mall operating method described above, a user who purchases a product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cash back or points from the shopping mall company according to the purchase cost of the product. These cash backs or points may be used as part or all of the purchase cost of the product depending on the degree of accumulation. However, the rate of accumulation of cash back / points is extremely low, which leads to the purchase of products from the shopping mall. This is because the operating entity of the shopping mall is the provider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and therefore, the user who purchases the product as much as that is the limited path to receive the cash back / points.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8-0008678(2008. 01. 24.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08678 (2008. 01. 24. 24. Online shopping mall operat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차 소비자가 올린 구매 콘텐츠의 사진 및 리뷰 정보를 보고 다른 2차 소비자가 제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in which a second consumer can purchase a product by viewing photograph and review information of purchased content uploaded by a first consume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따라 해당 업체로부터 1차 소비자에게 콘텐츠의 마케팅 효과에 대한 보상으로 캐쉬백/포인트 등을 보상해주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that compensates for a marketing effect of contents to a primary consumer from a corresponding company in accordance with the purchase of a product of a secondary consum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SNS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확산시킴으로써 더 많은 구매자가 콘텐츠를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최근에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주는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온라인 서비스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 SNS)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바, 온라인 쇼핑몰을 상기 SNS와 접목시켜 상품의 홍보, 판매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in which contents are spread by utilizing SNS, thereby enabling more buyers to check and purchase contents. Recently,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 online service such as Twitter or Facebook, has been growing explosively to establish a network of people who share specific interests or activities. , And an online shopping mall is combined with the SNS to maximize the promotion and sales effect of the produ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 앱을 통해 컨텐츠 정보를 등록하는 업-로드부; 상기 컨텐츠 정보가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 폰 앱에 표시되게 하는 표시 매니저; 및 상기 표시 매니저에 의해 표시된 컨텐츠 정보를 통해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이 발생하면, 브랜드 업체 단말기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load unit for registering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of a user; A display manager for displaying the content information on a smartphone app of another user; And a control module for delivering the purchase request information to the brand company terminal when a purchase request for the content is generated through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manager.

상기 업-로드부는,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이미지 등록부;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정보 등록부; 착용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후기 등록부; 브랜드 업체 정보를 링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loading unit includes an image registration unit for up-loading the photographed image; A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product information; A product lat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wear information; And a link unit linking the brand company information.

상기 등록된 컨텐츠 정보의 노출 빈도, 컨텐츠의 실제 판매된 판매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컨텐츠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한다.The control module provides a reward point to the user who registered the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exposure of the registered content information and the actually sold sales information of the content.

상기 컨텐츠 정보의 등록 시점 시에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등록하는 모자이크 처리 요청부, 또는 성별, 나이별, 체형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적으로 도출된 얼굴 이미지로 등록하는 얼굴이미지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osaic processing request unit for mosaicing and registering a face image of a user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or a face image request unit for registering as a face image derived programmatically based on sex,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장치에 접속하는 휴대 단말기에 제공되며, 상기 운영 시스템장치에 접속한 상태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착용정보를 등록하며, 브랜드 업체 정보를 링크하는 방법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the portable terminal to execute a method of registering, registering wear information, and linking brand company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는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정보를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또는 성별, 나이별, 체형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으로 도출된 얼굴 이미지로 등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The storage medium further includes a computer program for mosaicing a part or information of the face image included in the image or registering the face image derived by the program based on gender, age, and body inform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인 소비자가 자신이 구입한 상품을 등록한 상태에서 불특정 다수의 다른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경우 상품 노출에 따라 마케팅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입점 기업으로부터 마케팅 효과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sumer, who is a service user, registers a purchased product and provides a marketing effect according to product exposure when a plurality of unspecified consumers purchase the product, the customer can receive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marketing effect .

또한, 소비자는 상품이 실제 판매된 경우 입점 기업으로부터 판매 수수료의 일부를 보상받을 수 있고, 보상 포인트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umer can receive a portion of the sales commission from the selling company when the merchandise is actually sold, and purchase the desired merchandise at a discounted price through the reward point.

또한 상품을 제공하는 입점 기업은 친근한 접근을 통한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아울러 실제 효과에 대한 마케팅 비용만 지출하기 때문에 마케팅 비용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company that provides goods can expect the advertising effect through a friendly approach, and i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marketing cost by only spending the marketing cost on the actual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의 흐름도를 직관적으로 보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n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operating system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that shows the flow chart of Figure 2 intuitively.

본 발명은 소비자가 다른 소비자에게 상품을 홍보시켜 판매로 이어지도록 하고, 상품 판매시 소비자는 마케팅효과에 대한 수익을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비자 중심의 쇼핑몰 운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즉, 이는 기존의 기업의 일방적인 광고보다 소비자 의견이 상품 구매에 더 큰 신뢰도를 주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umer-oriented shopping mall management method that allows a consumer to promote a product to other consumers and thereby leads to sales, and a consumer can compensate a profit of a marketing effect when selling a product. In other words, it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at consumer opinion is more reliable in the purchase of commodity than the one-sided advertisement of existing company.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소비자가 등록하는 상품은 소비자가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의류를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의류뿐만 아니라, 모자, 가방, 시계 및 팔찌 등과 같은 각종 액세서리 등 다른 물품(제품)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도록 한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product registered by a consum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lothes that a consumer can wear directl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clothes but also to other articles such as various accessories such as a hat, a bag, a watch and a bracele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operating system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ystem of an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장치(이하, '운영 시스템장치'라 함)(100)는 일련의 서버 시스템으로 운영될 수 있다. 즉 다수 소비자가 동시 접속할 수 있어야 하고,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하며, 각종 정보의 분석이 가능해야 하며,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소비자에게 마케팅 효과에 대한 보상이 가능해야 한다.The operating system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ng system device') 100 of the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as a series of server systems. In other words, it should be able to access a large number of consumers simultaneously, store a large amount of data, analyz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be able to compensate consumers for the marketing effec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운영 시스템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소정 의류 구입자(즉, 소비자)가 의류 착용정보를 업-로드하는 업-로드부(110)가 구성된다. 업-로드부(110)는 이미지 등록부(112), 상품정보 등록부(114), 상품 후기 등록부(116), 링크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등록부(112)는, 소비자가 자신이 구매한 의류를 착용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부분이다. 상품정보 등록부(114)는, 다른 소비자가 의류 검색시 노출을 위한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부분이다. 상품 후기 등록부(116)는, 소비자가 의류 착용에 따른 착용 정보를 등록하는 부분이다. 링크부(118)는 구입한 의류를 판매한 브랜드 정보와 링크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 즉 이미지 등록부(112), 상품정보 등록부(114), 상품 후기 등록부(116), 링크부(118)를 각각의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미지를 등록하고 상품정보를 클릭하고, 상품 후기를 등록한 후 브랜드 정보와 링크시켜 등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일련의 소프트웨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한 구성들은 스마트 앱에 제공되어, 스마트 폰(10)을 통해 의류 착용정보를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 예는 업-로드부(110)의 구성이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것으로 설명한다.An up-load unit 110 is configured in which a predetermined garment purchaser (that is, a consumer) up-loads clothing wear information. The up-load unit 110 may include an image registration unit 112, a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4, a product late registration unit 116, and a link unit 118. The image registration unit 112 is a unit for uploading images taken by a consumer wearing clothes he has purchased. The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4 registers the product information for exposure when another consumer searches for clothes. The product late registration section 116 registers the wea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ear of the wearer by the consumer. The link unit 118 is a part for linking with the brand information that sells the purchased clothing. Although the image registration unit 112, the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4, the product late registration unit 116, and the link unit 118 are described above, the image registration unit 112 registers the image, clicks the produc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series of software so that the process of registering the latter and linking with the brand information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may be provided to smart apps so that wear apparel information may be uploaded to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through the smartphone 10. [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up-load unit 110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operating system apparatus 100. [

업-로드부(110)에 의해 의류 착용정보가 등록되면, 등록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가 구성된다. 저장부(120)는 이외에도 운영시스템 장치(100)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When wear-up information is registered by the up-load unit 110, a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registered information is configured. The storage unit 120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ng the operating system 100.

등록된 정보를 소비자가 휴대한 스마트 폰(10)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매니저(130)가 구성된다. 즉 표시 매니저(130)는 스마트 폰 앱이 활성화되면 이를 확인하고 저장부(120)에 등록된 정보들을 스마트 폰(10)으로 전송하여 일련의 규칙에 따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소비자는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표시 규칙은 의류 착용정보의 업-로드 날짜별로 정렬된 정보, 또는 상품종류(예컨대, 브랜드별, 재킷, 코드, 점퍼, 니트, 원피스, 정장, 바지, 스커트, 트레이닝 등)별로 정렬된 정보, 색상 및 소재 등으로 구분되어 정렬된 정보 형태로 표시되게 한다. 물론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얼마든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지금까지의 판매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장 판매가 많은 제품을 메인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러한 표시 주체는 운영 시스템장치(100) 또는 스마트 폰(10)이 될 수 있다. 스마트 폰(10)이 표시 주체가 되는 경우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스마트 폰 앱의 설정 기능을 통해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And a display manager 130 for display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on the smartphone 10 carried by the consumer. That is, when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display manager 130 confirms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20 to the smartphone 10 to display it according to a series of rules. Consumers can check releva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display rule is information sorted by the up-load date of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rted by the type of goods (for example, a brand, a jacket, a code, a jumper, a knit, a dress, a suit, a pants, a skirt, Color and material, and so on. Of course, you can display information in any other way. For exam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ales analysis so far,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roducts with the highest sales on the main screen. Here, the display subject may be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or the smartphone 10. [ When the smartphone 10 becomes a display subject, the smartphone user can be displayed in any one of the ways through the sett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의류 착용정보를 토대로 다른 소비자들이 의류를 구매한 경우, 판매 수수료 및 의류 노출 빈도에 따른 마케팅 비용을 분석하는 분석부(150)가 구성된다. 여기서 분석부(150)는 각 상품별로의 전체 노출 빈도, 전체 판매량, 일정 기간별 노출 빈도/판매량 등과 같은 다른 정보들을 취합, 분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브랜드 업체로부터 판매 수수료를 지급받고, 또한 의류 착용정보를 업-로드 한 소비자에게 마케팅 효과에 따른 비용을 보상하게 된다. 비용 보상은 브랜드 업체가 제공하게 될 것이다.When another consumer purchases clothing based on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150 for analyzing the marketing expenses according to the sales fee and the frequency of the clothing exposure is configured. Here, the analysis unit 150 also collects and analyzes other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exposure frequency for each product, the total sales amount, the exposure frequency / sales volume for each period, and the like. This will pay the sales commission from the brand company and compensate the cost of the marketing effect to the consumer who uploads the wear information. Cost compensation will be provided by the brand.

운영 시스템장치(100)에는 제어모듈(1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140)은, 운영 시스템장치(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한 각종 구성, 예컨대 업-로드부(110), 저장부(120), 표시 매니저(130), 분석부(150) 등의 기능을 제어한다. 아울러 스마트 폰(10) 및 브랜드 업체용 단말장치(200)와의 접속 상태 유지, 정보 송수신 등의 기능도 제어한다.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module 140. The control module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100 and includes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up-load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the display manager 130, (150) and the like. It also controls the functions of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smartphone 10 and the terminal device for brand name company 200, and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또한 운영 시스템장치(1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모자이크 처리 요청부(160) 및 얼굴이미지 요청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은 소비자가 자신의 얼굴 이미지를 노출하기를 꺼리는 경우 이용할 수 있는 구성들이다.In addition,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saic processing request unit 160 and a face image request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se configurations are available when consumers are reluctant to expose their face images.

본 발명의 운영 시스템장치(100)와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열람하고 상품 구매 등을 수행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앱이 설치된 스마트 폰(10), 그리고 의류 컨텐츠를 제공하고 판매, 배송하도록 하는 브랜드 업체용 단말장치(200)가 연결된다. 이때 브랜드 업체용 단말장치(200)는 각 브랜드 업체마다 설치되기 때문에, 브랜드 업체 개수와 비례한다. 스마트 폰(10)과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운영 시스템장치(100)와 브랜드 업체용 단말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A smartphone 10 having a smartphone app installed to access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iew various information and perform purchase of goods and the like, Device 200 is connected. At this time, since the terminal device 200 for a brand company is installed for each brand company, it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brand companies. The smartphone 10 and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and the brand-name terminal devic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이어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영 시스템장치를 이용한 상품 노출 및 판매, 그리고 보상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exposing, selling, and compensating a product using the operating system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품을 등록하는 사용자는 소비자라 하고, 등록된 상품을 보고 구매하는 사용자는 구매자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operating system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a user who registers a product is referred to as a consumer, and a user who views and registers a registered product will be described as a purchaser.

소비자는 소정 브랜드 업체에서 구매한 의류를 착용한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해 자신이 실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카메라와 같은 촬영매체를 이용하여 촬영한다(s100). 이때 촬영된 의류 착용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order to register an image of a wearer's clothing purchased from a predetermined brand company, the consumer shoots the image using a photographing medium such as a camera while wearing the actual clothing (s100). At this time, the photographed clothing information may be more than one.

이후, 소비자는 스마트 폰(10)에 설치된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하여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접속한다(s110). 그러면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의류 착용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 앱과 연동하여 업-로드 화면을 스마트 폰(10)에 표시한다(s120).Then, the consumer accesses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s110). Then,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displays the up-load screen on the smartphone 10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phone app so that the wearer can upload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s120).

이에 소비자는 의류 착용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된다(s130). 의류 착용정보의 등록은 먼저 이미지 등록부(112)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등록한다(s132). 이미지 등록 후에는 의류 정보를 등록한다(s134). 의류 정보는 구매자가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브랜드별, 재킷, 코드, 점퍼, 니트, 원피스, 정장, 바지, 스커트, 트레이닝 등과 같은 구분에 따라 등록 가능하다. 다음에는 소비자가 실제 의류를 착용한 착용정보 후기 정보를 등록한다(s136). 착용정보 후기는 단답형 및 서술형으로 등록할 수 있다. 다음에는 구매한 옷을 판매한 브랜드 정보와 링크시킨다(s138). 즉 착용정보 후기가 완료되면, 링크부(118)는 소비자가 어느 하나의 브랜드 업체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브랜드 정보를 스마트 폰(10)에 화면 표시한다. 그리고 하나의 브랜드 업체가 클릭되면 브랜드 업체 링크 정보를 해당 상품과 함께 등록한다. 이후 완료 버튼(미도시)을 조작하면 정상적으로 등록 완료된다(s139).Thus, the consumer can register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s130). To register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an image is first registered using the image register 112 (s132). After the image registration, the apparel information is registered (s134). The clothing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according to the category such as a brand, a jacket, a code, a jumper, a knit, a dress, a suit, a pants, a skirt, a training, etc. so that a buyer can easily search. Next, the wearer registers wearing information of the wearer wearing actual clothes (s136). Wear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in short answer and narrative. Next, the purchased clothes are linked with the sold brand information (s138). That is, when the completion of the wearing information review, the link unit 118 displays the brand information on the smartphone 10 so that the consumer can select any brand name. When one brand company is clicked, the brand company link information is registered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product. If the completion button (not shown) is subsequently operated, registration is normally completed (s139).

여기서, 의류 착용 정보 등록 시, 경우에 따라 일부 소비자들은 자신의 얼굴이 노출되는 것을 꺼릴 수 있다. 따라서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얼굴 이미지를 모자이크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의류 착용정보 등록 시점에 운영 시스템장치(100)의 모자이크 요청 처리부(160)는 모자이크 처리를 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소비자가 모자이크 처리를 요청한 경우에는 등록된 이미지 중 얼굴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모자이크 처리한다. 또는 모자이크 처리 대신 시스템적인 얼굴 이미지로 대처할 수도 있다. 얼굴 이미지는 성별, 나이별, 체형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적으로 도출된 이미지를 말한다. 따라서 시스템적인 얼굴 이미지로 등록할 경우, 얼굴 이미지 요청부(170)가 의류 착용정보 등록시점에 성별, 나이, 체형 정보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스마트 폰 앱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자이크 처리 및 시스템적인 얼굴 이미지의 대처는 운영 시스템장치(100) 이외에 스마트 폰 앱에 의해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앱에서 직접 설정한 경우, 모자이크 처리된 이미지 또는 시스템적인 얼굴 이미지가 운영 시스템장치(100)로 전달되고,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전달된 정보를 그대로 표시하기만 한다.Here, when registering the wear information, some consumers may be reluctant to expose their faces. Accordingly,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provides a function of mosaicing the face image. That is, at the time of apparel wear information registration, the mosaic request processing unit 160 of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delivers a message to the consumer asking whether to perform mosaic processing. If the consumer requests mosaic processing, Mosaic < / RTI > Alternatively, a systematic facial image may be used instead of mosaic processing. A face image is an image derived programmatically based on sex, age, and body shape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face image is registered as a systematic face image, the face image request unit 170 transmits 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app so that basic information such as sex, age, and body shape information can be input at the time of registering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Meanwhile, the mosaic processing and the systematic coping of facial images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When directly set in the smartphone app, the mosaic-processed image or the systematic fac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and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merely displays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s it is.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이렇게 등록된 의류 착용정보를 저장한다.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stores the thus-registered clothes wear information.

그 상태로부터 다수의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 폰(10)을 통해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등록된 의류 착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40). 즉, 구매자는 스마트 폰(10)의 스마트 폰 앱을 실행하면 운영 시스템장치(100)와 접속되고,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 폰 앱은 일련의 조건에 따라 운영 시스템장치(100)가 전송하는 의류 착용정보를 화면 표시하게 된다. 화면 표시하는 예는 스마트 폰 앱의 설정 조건을 조작하면 여러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설정 조건이 미조작된 경우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의해 셋팅된 기본 정보로 화면 표시된다.From this state, a plurality of purchasers can confirm the apparel wea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through the smartphone 10 (s140). That is, when the purchaser executes the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and in a connected stat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 example of screen display can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by operating setting conditions of smartphone app. Of course, when the setting condition is not operated, the basic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렇게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등록된 정보는 그 운영 시스템장치(100)에만 국한되어 등록될 필요는 없다. 즉, 소비자가 자신의 등록 정보를 자신의 SNS나 운영 시스템장치(100)의 SNS 등을 통해 확산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원 등록 정보는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구매자가 SNS을 통해 소정 의류를 확인하고 구매하더라도 의류 정보를 업-로드한 원래의 소비자가 보상받게 된다.Thus,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need not be registered only in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That is, the consumer may spread his / her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his / her SNS or the SNS of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or the like. Of course, in this case, since the orig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even if the purchaser checks and purchases the predetermined clothes through the SNS, the original consumer who up-loads the clothes information is rewarded.

이처럼 운영 시스템장치(100)의 표시 매니저(130)가 의류 착용정보를 화면 표시한 상태에서, 다수의 불특정 구매 예정자는 각자의 스마트 폰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의류 착용정보는 통상 의류를 착용한 소비자의 이미지 정보만 표시되기 때문에 구매 예정자가 의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의류 착용정보를 선택해야 한다. 이에 따라 구매 예정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 및 상품 후기 등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와 같이 해당 의류 착용정보가 선택된 경우에 해당 상품이 다수 불특정 구매 예정자에게 노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빈도 정보는 실제 판매량과 함께 마케팅 비용으로 산출하는 기본적인 정보로 이용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manager 130 of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wearer's wear,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urchaser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ir respective smartphone apps. At this time, since only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wearing the normal clothes is displayed, the prospective purchaser must select the wearing information to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clothes. Accordingly, the prospective buyer can view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 product review, and the like. In this case, when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roduct is exposed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urchasers. This frequency of exposure information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calculate marketing cost together with actual sales volume.

구매 예정자가 의류 착용정보를 확인하면서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 결정을 한다(s150). 이에 구매 예정자는 실제 구매자가 된다. 즉 구매 예정자는 운영 시스템장치(100)가 획일적으로 표시하는 상품 정보 대신 실제 상품을 구매한 바 있는 소비자의 이미지 정보, 상품 후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이때의 실제 상품 구매는 소비자가 등록시 링크했던 해당 브랜드 업체의 링크된 페이지를 통해 구매하게 된다.When the prospective buyer wants to purchase the product while confirming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the purchaser makes a purchase decision (s150). Thus, the potential purchaser becomes the actual purchaser. That is, instead of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uniformly by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the prospective buyer purchases the product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lat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who has purchased the actual product. At this time, the actual product purchase is purchased through the linked page of the corresponding brand company that the consumer has linked at the time of registration.

상품 구매 의사에 따라 실제 비용 결제가 이루어지면(s160),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브랜드 업체용 단말기(200)로 이를 전달하고, 브랜드 업체는 오프라인으로 해당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하게 된다(s170).If the actual cost is pai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purchasing the goods (s160),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delivers the goods to the brand company terminal 200, and the brand company delivers the goods to the buyer offline (S170) .

한편, 상기와 같이 소비자가 업-로드한 상품 정보가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고, 또는 실제 구매로 이어진 경우, 분석부(17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브랜드 업체로부터 상품 판매에 대한 소정 수수료를 지급받고,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마케팅 효과에 따른 비용을 보상하게 된다(s180). 그리고 판매 수수료, 보상 비율 등은 운영 시스템장치 운영자, 브랜드 업체 사업주 등의 논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운영 시스템장치(100)는 결정된 비율 정보를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When the product information uploaded by the consumer is exp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or is actually purchased,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may perform sales of the product from the brand compan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170 (S180), and the consumer is compensated for the cost due to the marketing effect. Since the sales commission and the compensation rat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cussions of the operating system device operator and the brand enterprise proprietor,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may apply the determined ratio information as it is.

도 3은 도 2의 흐름도를 직관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이를 보면 본 발명의 운영 시스템장치를 이용한 상품 등록 및 판매, 보상 과정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3 is a flow chart that shows the flow chart of FIG. 2 intuitivel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ocess of registering, selling and rewarding products using the operating syste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more easily.

도 3의 (a)는 이미지 등록 단계이다. 즉 소비자가 자신이 구매한 상품을 착용한 이미지를 운영 시스템장치(100)에 등록한다. 등록은 이미지 등록부(112)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면 운영 시스템장치(100)의 상품정보 등록부(114)는 상품 정보를 등록하도록 화면 (b)을 소비자의 스마트 폰(10)에 표시되게 한다. 이에 소비자는 자신이 구매한 상품 정보, 예컨대 재킷을 구매하였다면 재킷 이미지를 클릭한다. 그리고 상품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운영 시스템장치(100)의 상품 후기 등록부(116)는 착용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c)와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c) 화면을 보면 소비자는 만족도 평가, 사이즈 평가, 품질 평가 및 구매 후기를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에 따라 착용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링크부(118)는 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브랜드 업체에 대한 인터넷 사이트 주소(도메인 정보)를 등록한다. 이에 따라 의류 착용정보에 대한 등록이 완료된다.3 (a) is an image registration step. That is, the consumer registers an image of the product he / she has purchased on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Regist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image registration unit 112. Then, the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4 of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displays the screen (b) on the smartphone 10 of the consumer so as to register the product information. The consumer then clicks the jacket image if he / she has purchased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jacket.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product late registration unit 116 of the operating system device 100 displays a screen as shown in (c) so as to register the wear information. (c) On the screen, the consumer can create a satisfaction evaluation, a size evaluation, a quality evaluation, and a purchase review. When the registration of the wearable inform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information, the link unit 118 registers the internet site address (domain information) for the brand company selected by the consumer. Accordingly, registration of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is completed.

그 상태에서 불특정 구매 예정자는 의류 착용정보를 확인하게 되며(d 화면), 필요에 따라 특정 의류 착용정보를 클릭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실제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까지 이어진다.In this state, the unspecified purchaser confirms the wearer's wear information (d screen), and clicks the specific wearer's wear information as needed to check the detailed information. It also leads to the purchase of the actual product.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분석부(150)는 상품 노출 빈도 및 판매량을 분석하고, 이를 마케팅 비용으로 산출하여 제공한다. 그 결과는 도 3의 (f)와 같다.During this process, the analysis unit 150 analyzes the frequency of product exposures and the amount of sales, and calculates and exposes them as marketing costs. The result is shown in Fig. 3 (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 착용한 의류 등에 관하여 사진과 리뷰 정보를 등록하고, 다른 사용자가 상기 사진과 리뷰 정보를 보고 링크된 페이지를 통해서 해당 브랜드의 제품을 구매하면, 해당 의류의 브랜드 사업자는 해당 의류의 사용자에게 캐쉬백이나 포인트 등을 보상해주도록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nd review information about apparel or the like actually worn by a user are registered, and when another user views the photograph and review information and purchases the product of the brand through the linked page, And provides a technical point that the user of the garment is configured to compensate for a cash back or a poi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스마트 폰
100 :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110 : 업-로드부 112 : 이미지 등록부
114 : 상품 정보 등록부 116 : 상품 후기 등록부
118 : 링크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 매니저 140 : 제어모듈
150 : 분석부 160 : 모자이크 처리 요청부
170 : 얼굴 이미지 요청부 200 : 브랜드 업체용 단말장치
10: Smartphone
100: Operating system device of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110: up-load unit 112: image registration unit
114: product information register 116: product register
118: link unit 120: storage unit
130: Display manager 140: Control module
150: Analysis section 160: Mosaic processing request section
170: face image requesting unit 200: terminal apparatus for brand companies

Claims (7)

사용자의 스마트 폰 앱을 통해 컨텐츠 정보를 등록하는 업-로드부;
상기 컨텐츠 정보가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 폰 앱에 표시되게 하는 표시 매니저; 및
상기 표시 매니저에 의해 표시된 컨텐츠 정보를 통해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이 발생하면, 브랜드 업체 단말기로 구매 요청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An up-load unit for registering content information through a user's smartphone app;
A display manager for displaying the content information on a smartphone app of another user;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transferring purchase request information to the brand company terminal when a purchase reques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occurs through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mana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부는,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이미지 등록부;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정보 등록부; 착용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후기 등록부; 및
브랜드 업체 정보를 링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
An image registration unit for up-loading the photographed image;
A produc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product information; A product lat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wear information; And
And a link unit for linking the brand company information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컨텐츠 정보의 노출 빈도, 컨텐츠의 실제 판매된 판매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컨텐츠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odule provides a reward point to a user who has registered the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exposure of the registered content information and the actually sold sales information of the cont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등록 시점 시에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등록하는 모자이크 처리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osaic processing request unit for mosaicing and registering a user's face image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기 컨텐츠 정보의 등록 시점 시에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성별, 나이별, 체형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적으로 도출된 얼굴 이미지로 등록하는 얼굴이미지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ace image requesting unit for registering the face image of the user as a face image derived by a program based on gender, age, and body shape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f the contents information, Operating system devic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구성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장치에 접속하는 휴대 단말기에 제공되며,
상기 운영 시스템장치에 접속한 상태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착용정보를 등록하며, 브랜드 업체 정보를 링크하는 방법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n operating system device of a user-based on-line shopping mall hav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the portable terminal to execute a method of uploading an image taken while connected to the operating system device, registering product information, registering wear information, and linking brand company information Storage medium.
제 6 항에 있어서,
얼굴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정보를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또는 성별, 나이별, 체형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으로 도출된 얼굴 이미지로 등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computer program for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mosaicing a part or information of a face image or registering the face image derived by a program based on gender, age, and body information.
KR1020150004631A 2015-01-13 2015-01-13 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KR201600870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631A KR20160087091A (en) 2015-01-13 2015-01-13 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631A KR20160087091A (en) 2015-01-13 2015-01-13 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091A true KR20160087091A (en) 2016-07-21

Family

ID=5668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631A KR20160087091A (en) 2015-01-13 2015-01-13 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09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8083A (en) * 2017-04-19 2017-08-11 天津市龙新石油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Information correlation method and system
WO2018038437A1 (en)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투월드유나이트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ing video and management server used therefor
KR20200004979A (en) * 2018-07-05 2020-01-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 method for editing uploaded images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200098607A (en) * 2018-01-17 2020-08-20 소셜 굿 파운데이션 가부시키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311544B1 (en) * 2021-03-04 2021-10-13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roduct bran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KR102652934B1 (en) * 2023-06-14 2024-04-01 주식회사 어베어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duct detail p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678A (en) 2006-07-20 2008-01-24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678A (en) 2006-07-20 2008-01-24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37A1 (en)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투월드유나이트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ing video and management server used therefor
CN107038083A (en) * 2017-04-19 2017-08-11 天津市龙新石油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Information correlation method and system
KR20200098607A (en) * 2018-01-17 2020-08-20 소셜 굿 파운데이션 가부시키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00004979A (en) * 2018-07-05 2020-01-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 method for editing uploaded images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2311544B1 (en) * 2021-03-04 2021-10-13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roduct bran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US11295365B1 (en) 2021-03-04 2022-04-05 Coupang Corp.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roduct bran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WO2022186418A1 (en) * 2021-03-04 2022-09-09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brand information of produc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20125138A (en) * 2021-03-04 2022-09-14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roduct bran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KR102652934B1 (en) * 2023-06-14 2024-04-01 주식회사 어베어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duct detail p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1452A1 (en) Method for selectively advertising items in an image
US10373212B2 (en) Methods for linking images in social feeds to branded content
US20140278998A1 (en) Method for displaying a product-related image to a user while shopping
KR20160087091A (en) Apparatus for running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US20130346235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ching of Shopping Items
KR20180099254A (en)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sharing shopping review
JP2020030783A (en) Server device,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electric commerce method
US11023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lized product offerings publications
KR20140135327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goods using relationship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KR20190143775A (en) Method for managing reward platform
KR20190043994A (en)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sharing shopping review
KR1017654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nection and revenue sharing between seller and selling agent
KR101657585B1 (en) System for Suggesting Product Dealing based on Hash Tag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for
US20200104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vering and purchasing products online
KR101657588B1 (en)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Dealing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Image using Web and Method therefor
JP6741728B2 (en) Terminal control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device, terminal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70132693A1 (en) Aggregation of group of products content and providing ways to display, view, access, share and consume content
KR20130038534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commodity in online shopping mall
KR101657583B1 (en) System for Extracting Hash Tag of Product Image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644172B1 (en) Method for selling goods based on pictures or images related with the goods purchased by consumers
KR101431521B1 (en) Method for operating beauty information portal site
JP69124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KR20170019394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selling products
KR20210141322A (en)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fitting and method thereof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