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512A -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512A
KR20160077512A KR1020140187296A KR20140187296A KR20160077512A KR 20160077512 A KR20160077512 A KR 20160077512A KR 1020140187296 A KR1020140187296 A KR 1020140187296A KR 20140187296 A KR20140187296 A KR 20140187296A KR 20160077512 A KR20160077512 A KR 20160077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nput
dark
sig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찬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512A/en
Publication of KR2016007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5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to control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to easily prevent driving from being interrupted by an image displayed in a display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vehicl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displaying an image in a display unit; inputting a first gesture signal to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image; and blacking out the display unit dependent on input from the first gesture signal.

Description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차량{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electronic device, and a vehicle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and a vehicle using the same.

최근 차량 대시보드에 매립될 수 있는 매립형 내비게이션이 관심을 얻고 있는데, 내비게이션 시장은 소비자들이 신차 구입시 옵션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비포마켓(Before Market)과, 차량 구입 후 별도로 선택하는 애프터마켓(After Market)으로 대별된다.Landfill navigation, which can be landfilled in a vehicle dashboard, is gaining attention. The navigation marke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efore Market, which consumers can insert as an option when purchasing a new car, and After Market ).

매립형은 주로 비포마켓용이었고, 애프터마켓의 주력 품목은 거치 형태였지만 외부 업체가 대쉬 보드 마감재를 비롯하여 네비게이션 마감재를 개발하여 공급함으로써 최근 몇 년간 애프터마켓용 매립형 제품의 판매량이 꾸준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While the flip-flops were mainly for non-flap markets, while the main products of aftermarkets were stationary, the number of aftermarket flip-flops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past few years as external suppliers have developed and supplied dashboard finishing materials and navigation finishing materials.

이처럼 매립형 내비게이션을 선호하는 이유는 크게 차량 인테리어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고, 차량 스피커와 연동돼 DMB 시청과 동영상 재생 등 멀티미디어 성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며, 특히 애프터마켓용은 비포마켓의 순정 내비게이션보다 가격적인 경쟁력이 있어 애프터마켓용 제품을 선호하는 수요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This type of navigation is preferred because it can maintain the interior of the car neatly and it can interoperate with the car speaker to enhance multimedia performance such as watching DMB and playing video. Especially, aftermarket is more competitive than non-market navigation. The number of consumers who prefer aftermarket products is increasing.

국내 전체 내비게이션 시장 규모는 비포마켓이 25만여대, 애프터마켓이 180만여대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지난해 애프터마켓에서 판매된 매립형 내비게이션은 13만대 수준으로 10%가 채 안되지만 매년 그 수가 성장하고 있다.The total domestic navigation market size is estimated to be 250,000 for non-market and 1.8 million for aftermarket. Of these, the number of landfill navigation models sold in the aftermarket last year was only about 130,000, which is less than 10%.

이와 같이 애프터마켓용 네비게이션 제품은 차종별로 구비된 마감재를 이용하여 신차 출고 이후 추가로 매립하는 비용 대비 신차 구매시 매립하는 비애프터 네비게이션 제품보다 훨씬 저렴하여 경제적인 효과는 있었다.Thus, the aftermarket navigation product is economically effective because it is much cheaper than the non-after-navigation product that is buried at the time of purchasing a new car with respect to the cost of additional landfill after the delivery of the new car using the finishing material provided for each vehicle type.

그러나, 이러한 네비게이션과 같은 차량용 전자기기는 통상 디스플레이부를 가지고 있으며, 대쉬 보드에 설치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빛으로 인하여 야간 운전시 방해요소가 되고, 안전 운전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However, automotive electronic devices such as navigation systems usually have a display unit and are installed on a dashboard. In this case, due to the light of the display portion, it becomes an obstacle in night driving and poses a threat to safe driving.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중에,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에 의해 차량 운행이 방해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and a vehicle using the same, for easily preventing a vehicle from being disturbed by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Inputting a first gesture signal to a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image; And darken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gesture signal.

여기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상단에 암막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암막 아이콘에 대하여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step of inputting the first gesture signal to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image may include: displaying a darkness icon at the top of the image; And inputting the first gesture signal by inputting a first touch and a downward drag signal with respect to the dark-colored icon.

여기서,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 인디케이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 암막처리하는 제 1 암막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darken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gesture signal may comprise: a first step of darkening the remaining area except the lower indicator area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And a darkening step.

여기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하단 인디케이터 영역에 구동 중인 프로그램을 대표하는 프로그램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a program icon representing the program being driven in the lower indicator area.

여기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프로그램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암막 처리가 해제되면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may include a step in which,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program icon is input, the selected progra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ile the dark processing is canceled.

여기서,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단계는, 제 2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암막 처리하는 제 2 암막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arken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gesture signal further includes a second darkening step of darkening the entire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 can do.

여기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 2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암막처리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anceling the dark fil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econd gesture signal.

여기서, 상기 제 2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암막처리가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앤 상방 드래그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암막처리 점진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anceling the dark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econd gesture signal may include the step of gradually finishing the dark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ouch and the upward drag signal to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차량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대쉬 보드; 상기 대쉬 보드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 운행 프로그램이 자동실행되는 차량용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shboard install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installed on the dashboard; And a vehicle electronic program installed in the mounting bracket to automatically execute a vehicle operation program,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dark processing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first gesture signal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imag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의 상단에 암막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암막 아이콘에 대하여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처리를 행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darkness icon on the upper par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perform darkening processing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 to the darkness icon.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은 상기 차량용 전자 기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시킬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unit may turn of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은 상기 차량용 전자 기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처리를 행할 수 있다.
Here, the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darkening process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have.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야간 운전시 간단하게 디스플레이부를 암막 처리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afe operation can be ensured by simply darkening the display unit during nighttim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가 차량의 대쉬 보드(센터페시아)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가 차량의 브라켓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에서 차량운행 앱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ashboard (center fascia) of a vehicle.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bracket of a vehicl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n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mage showing a main screen of a car running app in a vehic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imag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차량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vehicl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가 차량의 대쉬 보드(센터페시아)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부분은 윈드 쉴드(W), 조행 핸들(H), 대쉬 보드(C:또는 센터페시아) 및 공조기 조작 유닛(I)가 배치된다. 이중 대쉬 보드(C)에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부착되는 브라켓(B)이 배치된다. 한편, 브라켓(B)에는 전자 제어기기(1000)에 대한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유닛(I')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전자기기(1000)는, 차량에 부착되면, 네비게이션 기능, 카오디오 기능 등을 실행할 수 있게 되며, 분리되는 경우 통상의 태블릿 PC 와 같은 이동형 컴퓨터로 이용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dashboard (center fascia) of a vehicle. As shown in Fig. 1, a windshield W, a walk handle H, a dashboard (C: or center fascia) and an air conditioner operation unit I are disposed in a driver's seat portion of the vehicle. A bracket B to which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is disposed on the double dashboard C. 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B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I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000. When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vehicle, it can perform a navigation function, a car audio function, and the like, and when separated, can be used as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conventional tablet PC.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대쉬 보드(C); 상기 대쉬 보드(C)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B);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B)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 운행 프로그램이 자동실행되는 차량용 전자기기(100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100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130); 및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30)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제어부(190)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이미지의 상단에 암막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암막 아이콘에 대하여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에 대하여 암막처리를 행하며,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B)에 설치된 입력 유닛(I')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오프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ashboard (C) install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B) mounted on the dashboard (C);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1000) includes 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an image (touch) for displaying an image, a display unit ); And a control unit 190 for performing a darkening process on the display unit 130 when the first gesture signal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30 shown in the image. Here, the controller displays a dark icon on the upper par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when the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ted to the dark icon, And the display unit 130 is turned off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I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B.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S. 4 to 8. FIG.

이와 같은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차량의 브라켓(B)에 설치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in the bracket B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차량의 브라켓(B)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 같이, 브라켓(B)의 조수석측의 일측면은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차량용 전자기기(1000)는 브라켓(B)에 끼워진다. 이 때,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전원 데이터 소켓(140)은,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와 결합하게 된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10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bracket B of a vehicle. As shown in FIG. 2, one side of the bracket B on the side of the passenger seat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can be inserted, through which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B Loses.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is coupl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 provided on the bracket B.

이상과 같이, 상기 전원 데이터 소켓(140)이 차량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와 연결되면, 메모리(120:도 3 참조)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운행앱이 구동되어서, 차량 운행에 있어서 꼭 필요한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가 전자 제어기기(10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게 된다. 이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의 구성에 의한 입력 신호(제 1 제스처 신호)에 따라 암막 처리 되어서, 차량 운전의 방해를 최소화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10 provided on the bracket B fixed to the vehicle, the vehicle running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120 (see FIG. 3) So that a user interface (UI) for conveniently performing necessary functions in the vehicle oper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000. The display unit 130 is dark-process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irst gesture signa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UI), thereby minimizing disturbance of vehicle operation.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S. 4 to 8.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10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부(130), 전원 데이터 소켓(140), 위치 정보 모듈(150), 마이크(160), 스피커(170), 카메라 모듈(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memory 120, a display unit 130, a power data socket 140, A microphone 150, a microphone 160, a speaker 170, a camera module 180, and a control unit 190.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통신부로는, 인터넷이 가능하게 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Communication module 110 is a component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nd the like, which enable the Internet.

본 발명에서는, 전원 데이터 소켓(140)이 차량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와 연결되어서 상기 차량 운행 앱이 자동 실행되면, 이에 따라 무선 인터넷 모듈이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제 2 운행 프로그램인 음악 프로그램이 구동되게 된다. 이 때,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로그인 기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자동으로 로그인하게 된다. 또한, 기상 서버에 접속하여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인터넷 라디오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ource data socket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 provided on the bracket B fixedly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automobile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And receiv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hereby the music program as the second running program is driven. At this time, the user logs in automatically to the external server using the log record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20. It also connects to the weather server,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and receives Internet radio information.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의 경우, 차량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스마트폰)와 페어링되어서, 스마트폰의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스마트폰에 저장된 통화 기록 정보를 수신하며, 더욱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신규 사진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In the cas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pair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mart phone) of the vehicle driver and transmits / receives the call data of the smart phone, or receives the text message data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receives call log inform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and further receives new photo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메모리(120)는 제어부(1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통신 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20 stores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90 and also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 The memory 12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본 발명에서 메모리(120)에는 차량 운행 앱이 저장되며, 차량 운행에 따라 적절이 사용되는 제 1 운행 프로그램(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및 제 2 운행 프로그램(내장 메모리의 음악 프로그램 및 인터넷으로부터 획득된 음악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로그인 기록 정보, 사진 정보, 블랙 박스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자동차의 대쉬 보드(C)에 부착된 브라켓(B)에 연결되면, 이에 따라 적절하게 동작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20 stores a vehicle running app, and a first running program (navigation program) and a second running program (a music program in the built-in memory and a music program obtained from the Internet)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racket B attached to the dashboard C of the vehicle And accordingly, it operates appropriately.

디스플레이부(130)는,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제어부(19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90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For exampl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of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is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 기능을 함께 가지는 터치 디스플레이부(130)이며.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터치 디스플레이부(130)의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여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display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display unit 130 having an input func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90 recognizes the touch gesture of the touch display unit 130 and switches the screen.

즉,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차량운행앱의 구동에 따라 메인 화면이 표시되고, 메인 화면에서 제 1 터치 제스처(터치위치에 상관없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신호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메인 화면이 네비 화면(제 1 운행 프로그램)으로 변환되며, 제 2 터치 제스처(터치위치에 상관없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신호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메인 화면이 음악 화면(제 2 운행 프로그램)으로 변환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앱은 3개의 윈도우로 구성되며, 중앙의 윈도우에는 메인화면이, 좌우 각각의 윈도우에는, 네비 화면과 음악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즉,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음악 프로그램은 메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계속 구동중에 있음을 의미한다.That is, the display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main scree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running application, and displays the first touch gesture (a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regardless of the touch position) The main screen is converted into the navigation screen (first operating program), and the main screen is switched to the music screen (second operating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touch gesture (signal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ag direction regardless of the touch position) Can be converted. In addition, the car navigation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ree windows, and a main window is displayed in a central window, and a navigation screen and a music screen are displayed in left and right windows. That is, the navigation program and the music program mean that the main screen is continuously displayed in the background while being displayed.

전원 데이터 소켓(14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측면에 설치된 구성요소로서 외부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데이터 소켓(140)은 차량에 부착된 브라켓(B)의 전원 연결 단자(10)와 결합하게 되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차량용 전자기기(1000)를 동작시키는 전원으로 사용되며, 또한 데이터 소켓(140)을 통해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운행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is a component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s as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2, when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10 of the bracket B attached to the vehicle,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to charge the built-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and also receive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ECU of the vehicle through the data socket (140).

이러한 전원 데이터 소켓(140)으로는 5핀, 8핀, 20 핀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any one of 5-pin, 8-pin, and 20-pin terminals may be used.

위치 정보 모듈(150)은, 위성을 통해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GPS 모듈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운행 프로그램인 네비게이션 기능이 동작할 때 위치 정보 모듈(150)을 통해 경로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원 데이터 소켓(140)이 브라켓(B)의 전원 연결 단자(10)와 체결되면, 위치 정보 모듈(150)이 동작하여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50 is a device that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through a satellite. Typically, this would be a GPS mo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route guide is provid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50 when the navigation function, which is the first operating program, operates. That is, when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10 of the bracket B,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50 operates to automatically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마이크(1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마이크(1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6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microphone 16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스피커(17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The speaker 170 functions to output audio data.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 데이터 소켓(140)이 차량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와 연결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기저장된 차량 소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페어링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를 전자 제어기기의 스피커(170)와 상기 마이크(16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 installed on the bracket B fixed to the vehicle,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owner of the vehicle The car electronic apparatus 1000 is paired and the call is made through the speaker 170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microphone 160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카메라 모듈(180)은,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블랙박스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카메라 모듈(180)이 동작되어서 차량 내부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발진사고, 차량 내부에서의 형사적 사건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증거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The camera module 180 functions to proces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ack box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is driven, the camera module 180 is operated to store image information in the vehicle. Accordingly, when there is a sudden accident or a criminal event in the vehicle, a proof image can be obtain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1000)는, 조도 감지 센서,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 감지 센서는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디스플레이부(130)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는 각각 전자 제어기기의 온도와 외기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부(190)를 이를 근거로 하여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 1 온도 정보 및 상기 제 2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초절전 모드, 절전 모드, 정상 모드, 베스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제 1 온도 및 제 2 온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손상이 우려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1000) 자체를 오프시켜, 과열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lectronic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The illuminance sensor senses the illuminance of the outside and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30 of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outside air temperature, respectively, and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ler 190 so as to prevent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from being overheated . That is,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to be the ultra-low power mode, the power saving mode, the normal mode, and the best mode based on the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If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exceed the reference value and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1000 is likely to be damaged, the control unit 190 turns off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1000 itself, Can be prevented.

또한, 근접 센서가 차량용 전자기기(10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포인팅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가 더 포함되어서, 제어부(190)는, 상기 전원 데이터 소켓(140)이 차량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와 연결된 후,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근접하면, 상기 메인 화면 중의 아이콘 중 디스플레이 오프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크게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차량 운전자가 야간 운행중 디스플레이의 빛이 방해 될 때 편리하게 디스플레이부의 발광을 없앨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 That is, the controller 190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that the pointing device is close to the display unit 130, so that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is installed on the bracket B fixedly mounted on the vehicle When the pointing device is close to the display unit 130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 a display-off icon among the icons in the main screen is sequentially displayed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display the light of the displa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light emission of the display unit conveniently.

제어부(190)는, 상기 전원 데이터 소켓(140)이 차량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와 연결되면, 상기 차량 운행 앱을 자동 실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상기 차량 운행앱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automatic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 installed on the bracket B fixedly mounted on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running app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차량 운행앱을 구동함에 따라, 네비 프로그램인 제 1 운행 프로그램 및 음악 프로그램인 제 2 운행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스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를 암막처리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30)를 암막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암막 처리에는 2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형성된 암막 아이콘(암막 처리를 위한)을 선택한 후,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부(190)는, 하단 인디케이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암막처리하는 제 1 암막 처리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하단 인디케이터에는, 메인 화면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 프로그램을 대표하는 프로그램 아이콘이 표시되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190)는, 상기 제 1 암막 처리 후, 제 2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암막 처리하는 제 2 암막 처리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can control the first running program, which is a navigation program, and the second running program, which is a music program, to be automatically executed by driving the vehicle running app. The control unit also functions to darken the display unit 130 according to the gesture signal of the user. That is, when the first gesture signal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30 shown in the image, the display unit 130 is darkened. This darkening can proceed in two steps. That is, when a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generated after selecting a dark icon (for dark screen processing) form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lower indicator area The first dark processing step is performed. In the lower indicator, a main screen, a navigation program, and a program icon representing the music program are displayed. Then, when the second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ted after the first dark processing, the control unit 190 performs a second dark processing step of darkening the entire display unit.

한편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한 제 2 제스처 신호에 따라 암막 처리를 해제하여 표시되고 있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된다. 이 때, 제 2 제스처 신호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암막 아이콘에 대한 터치앤 상방 드래그 신호에 의해 발생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90 releases the dark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gesture signal for the display unit 130, and displays the displayed image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second gesture signal is generated by a touch-and-up drag signal for the dark-colored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한편, 브라켓(B)에는 별도의 입력장치인 입력 유닛이 설치되고, 이 키버튼 동작으로 입력신호가 전원 연결단자를 통해 차량용 전자기기(100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을 오프처리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암막처리하여, 운전자가 차량 운행시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by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vehicle electronic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0 of the device 1000 is turned off or the display unit screen is darkened to prevent the driver from being disturbed when the vehicle is in opera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의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메인 화면 및 차량 운행앱의 구동 화면과 암막 처리 과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The main screen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driving screen of the car running app and the dark process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1000)에서 차량운행 앱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은 좌측에 네비게이션 탭(1000:제 1 운영 프로그램탭)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음악 프로그램 탭(1200,1300)이 표시된다. 음악 프로그램 탭은 내장 메모리 음악 프로그램 탭(1200)과, 인터넷 음악 프로그램 탭(1300)을 포함할 수 있다. FIG. 4 is an image diagram showing a main screen of a car running app in an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10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navigation tab 1000 (first operating program tab)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screen, and music program tabs 1200 and 1300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The music program tab may include an internal memory music program tab 1200 and an Internet music program tab 1300.

여기서, 내장 메모리 음악 프로그램 탭(1200)을 선택하게 되면,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음악 선택화면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인터넷 음악 프로그램 탭(1300)이 선택되면, 기저장된 로그인 기록을 이용하여 외부 음악 서버에 접속하고, 이에 따라 인터넷 음악 선택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게 된다.Here, if the internal memory music program tab 1200 is selected, the music file stored in the memory 120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n the music selection screen. When the Internet music program tap 1300 is selected, an Internet music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by accessing the external music server using the pre-stored login record.

그리고 중앙에는 통화탭(1500), 인터넷라디오 탭(1600), 설정탭(1700), 그리고 화면오프탭(1800)이 표시된다.In the center, a call tab 1500, an internet radio tab 1600, a setting tab 1700, and a screen off tab 1800 are displayed.

여기서, A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즉, 제 1 터치 제스처: 터치 위치에 상관없이 방향에 따른 신호)에 따라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네비 화면이 화면전환을 통해 표시되게 된다. Here, the navigation screen of the navigation program driven in the back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drag operation in the A direction (i.e., the first touch gesture: the signal in th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touch position) is displayed through screen switching.

그리고, B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즉, 제 2 터치 제스처: 터치 위치에 상관없이 방향에 따른 신호)에 따라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던 음악 프로그램의 음악 화면이 화면전환을 통해 표시되게 된다. Then, the music screen of the music program driven in the back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drag operation in the B direction (i.e., the second touch gesture: the signal in th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touch position) is displayed through screen switching.

여기서, 암막 아이콘(1900)을 선택한 후, 하향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면(C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 제 1 제스처 신호),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하여 암막 처리가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 if the downward drag operation is performed (the drag operation in the C direction, the first gesture signal) after the dark icon 1900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130 is subjected to the dark process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S. 5 to 8. FIG.

한편, 상기 메인 화면 중 화면 오프탭(1800)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90)는 동작하지만 디스플레이부(130)는 오프되거나, 디스플레이부(130)를 암막처리하게 된다.If the user presses the screen off tab 1800 in the main screen, the control unit 190 operates but the display unit 130 is turned off or the display unit 130 is darkened.

한편, 상기 메인 화면의 상단에는 인디케이터 영역이 표시되고,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시간 정보(1410), 날씨 정보(1430) 및 갤러리탭(1450)이 표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n indicator area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main screen, and time information 1410, weather information 1430, and gallery tab 1450 are displayed in the indicator area.

상기 전원 데이터 소켓(140)이 차량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와 연결되면, 상기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되는 기상정보를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하게 되어서, 차량 운전자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현재 날씨 및 주간 날씨를 알 수 있게 된다. When the power supply data socket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 installed on the bracket B fixed to the vehicle, the weath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s displayed in the indicator area, Vehicle drivers will be able to see current and weekly weather through the indicator.

또한,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갤러리탭이 더 표시될 수 있다. 갤러리탭을 선택하게 되면, 내장된 메모리(120)의 사진 정보가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30) 전체에 표시되게 된다. 이 때, 내장 메모리 뿐 아니라, 페어링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신규사진 정보(이동 사진 정보)가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되어서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게 될 수도 있다. 이 때, 신규 사진은 오늘 찍은 사진 이거나, 현재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 전 이내에 찍은 사진,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사진들을 비교하여 새롭게 찍혀진 사진일 수 있다. 즉, 상기 갤러리탭이 선택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이동 사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함과 더불어서, 상기 이동 사진 정보를 슬라이드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연속 표시하게 될 수 있다.Further, a gallery tab may be displayed in the indicator area. When the gallery tab is selected, the picture information of the built-in memory 1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s a slide show. At this time, new photo information (moving picture information) of the pai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the built-in memory may be received via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the form of a slide show. At this time, the new photograph may be a photograph taken today, a photograph taken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current time, or a photograph newly taken by comparing the photograph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That is, when the gallery tap is selected, the portable photo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a slide form It can be displayed continuously.

한편,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 현재 구동중인 프로그램의 요약탭(도시 생략)을 더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요약탭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화면으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summary tab (not shown) of the currently running program may be displayed in the indicator area. At this time. When the summary tab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cree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switched to the corresponding program screen.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5의 흐름도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브라켓(B)에 설치된 전원 연결 단자(10)에 차량용 차량용 전자기기(1000)가 접속하게 된다(S1). 그러면, 자동으로 차량 운행 앱이 구동되어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S3). 메인 화면과 같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암막 아이콘(1900)에 대한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5). 만약,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S13). 만약,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이 되면, 제 1 암막처리를 진행한다(S7). 여기서 제 1 암막 처리란, 후술하는 도 7의 화면을 의미한다. 이 때, 제 1 암막처리는 암막이 점진 확대되는 모습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점진 확대 속도는 상기 드래그 동작의 속도에 비례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는, 제 2 터치앤 하방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S9). 만약, 제 2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제 2 암막 처리가 진행된다(S15). 제 2 암막처리는 도 8의 화면을 의미한다. 한편, 제 1 암막처리가 된 상태에서, 제 2 제스처 신호(즉,터치앤 상방 드래그신호)가 있는지를 제어부는 확인한다(S11). 여기서 S11과 S9은 그 순서가 바뀔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first,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 provided in the bracket B (S1). Then, the car running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driven and the mai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3). In step S5, an image such as a main scree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a first touch and a downward drag signal for the dark screen icon 1900 included in the image are inputted. If the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not input, the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S13). If the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 the first dark processing is performed (S7). Here, the first dark processing means the screen of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first dark film processing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ark film progressively expands, and the gradual enlargement speed can be made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drag operation. Then, the control unit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econd touch and downward drag operation is performed (S9). If the second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generated, the second dark processing is performed (S15). The second dark film processing means the screen of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ark-film processing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confirms whether there is a second gesture signal (i.e., a touch-and-up drag signal) (S11).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rder of S11 and S9 may be changed.

한편, 제 2 제스처 신호가 입력되면, 암막처리가 해제되어서, 정상 화면으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 때, 암막 해제는 점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제 2 제스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 1 암막 처리를 그대로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gesture signal is input, the dark processing is cancel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normal screen. At this time, the unlocking can be gradually released. If the second gesture signal is not input, the first dark processing is maintained.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법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자기기(1000)에서의 화면 이미지도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본발명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through a screen image diagram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perform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전자기기(1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도들이다. 도 6은, 암막 아이콘(1900)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 4에서 C 방향으로 제 1 제스처 신호(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후에 표시되는 제 1 암막 화면(2000)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고, 도 7은 프로그램 아이콘(2210,2230,2250)이 선택되어서 표시되는 지도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도이고, 도 8은 터치앤 상방 드래그 신호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암막 화면(2600)의 이미지도이다. 도 4에서 암막 아이콘(1900)을 선택한 후, 제 1 제스처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막 화면(제 1 암막화면(2000)을 표시하게 된다(제 1 암막 처리). 암막 화면(2000)은 크게, 암막 블록(2100)과, 인디케이터 블록(2200)으로 나눌 수 있다. 암막 블록(2100)은, 디스플레이부(130)를 오프한 것이 아니라. 검정색 또는 짙은 회색으로 표시하고 있는 블록이다. 이에 따라. 발광하는 정도가 타 이미지 화면에 대비 약화되기 때문에, 운전 방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6 to 8 are imag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first dark screen 2000 displayed after the first gesture signal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ted in the C direction in Fig. 4 while the touch of the dark gray icon 1900 is maintained FIG. 7 is an image view showing a map screen in which program icons 2210, 2230, and 2250 are selected and displaye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dark screen 2600 for explaining input of a touch- It is an image of. 4, when the first gesture signal is generate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first screen 2000 (the first screen 2000 as shown in FIG. 6) The dark screen 2000 is roughly divided into a dark block 2100 and an indicator block 2200. The dark block 2100 does not turn off the display portion 130. Instead of turning off the display portion 130, The degree of light emission is weakened compared to other image screens, so that driving disturbance can be prevented.

한편, 인디케이터 블록(2200)에는 현재 구동중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아이콘들(2210, 2230, 2250)이 표시된다. 이 프로그램 아이콘으로서, 네비 아이콘(2210), 메인 아이콘(2230), 및 뮤직 아이콘(2250)이 상기 인디케이터 블록(2200)에 포함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네비 아이콘(2210)을 선택하게 되면, 제 1 암막 처리가 해제 되면서,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네비게이션 구동 화면인 지도 화면(2500:도 6 참조)이 표시되게 된다. 또는 메인 아이콘(2230)을 선택하면, 이와 동일하게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게 되며, 뮤직 아이콘(2250)을 선택하게 되면, 뮤직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program icons 2210, 2230, and 2250 indicating the currently running program are displayed in the indicator block 2200. As the program icon, a navigation icon 2210, a main icon 2230, and a music icon 2250 are included in the indicator block 2200. Here, when the user selects the navigation icon 2210, the first dark processing is canceled and a map screen 2500 (see FIG. 6), which is a navigation driv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r the main icon 2230 is selected, the mai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the same manner. When the music icon 2250 is selected, the music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한편 인디케이터 블록(2200)에는 암막 아이콘(1900)이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암막 아이콘(1900)에 대하여 다시 한번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제 2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암막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 2 암막 화면(2600)은 암막아이콘(1900)을 제외하고는 전체가 암막처리된 상태를 말한다. 만약, 제 1 암막 상태에서, 상기 암막아이콘(1900)에 대한 터치앤 상방 드래그 신호(D 방향 드래그 신호)가 입력이 되면, 암막이 해제되면서, 원래의 화면, 예컨대,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터치앤 상방 드래그 동작의 속도에 따라 암막이 점진 해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dicator icon 1900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block 2200. In this state, when a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second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ted again to the dark screen icon 1900, the second dark screen process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The second dark screen 2600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entire dark screen is processed except for the dark gray icon 1900. If the touch-and-up drag signal (D direction drag signal) is input to the dark-colored icon 1900 in the first dark state, the dark screen is released and the display returns to the original screen, e.g., the main screen. At this time as well, the dark film is gradually releas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touch-and-up drag operation.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야간 운전시 간단하게 디스플레이부를 암막 처리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afe operation can be ensured by simply darkening the display unit during nighttime operation.

상기와 같이 설명된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차량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vehicle using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r a part of each embodiment Some of which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0 : 차량용 전자기기
110 : 통신 모듈
120 : 메모리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전원 데이터 소켓
150 : 위치 정보 모듈
160 : 마이크
170 : 스피커
180 : 카메라 모듈
190 : 제어부
W : 윈드쉴드
H: 조향 핸들
B: 브라켓
C: 센터페시아
I : 공조기 조작 유닛
1000: Automotive electronics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Memory
130:
140: Power supply data socket
150: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60: microphone
170: Speaker
180: Camera module
190:
W: Windshield
H: steering handle
B: Bracket
C: Center Fesia
I: air conditioner operating unit

Claims (12)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Inputting a first gesture signal to a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image; And
And darken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gestur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상단에 암막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암막 아이콘에 대하여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inputting the first gesture signal to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image comprises:
Displaying a dark icon at the top of the image; And
And inputting the first touch signal and the downward drag signal to the dark-colored icon to input the first gesture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 인디케이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 암막처리하는 제 1 암막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darken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gesture signal comprises:
And a first dark-film processing step of dark-processing the remaining area except the lower indicator area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인디케이터 영역에 구동 중인 프로그램을 대표하는 프로그램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program icon representative of a program being driven in said lower indicator are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암막 처리가 해제되면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program icon is input, displaying the selected program on the display unit while the dark processing is cancel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암막 처리후, 제 2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암막 처리하는 제 2 암막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darken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gesture signal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ark-film processing step of dark-processing the entire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touch and downward drag signal is input after the first dark-film processing.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암막처리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anceling the dark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econd gesture sig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스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암막처리가 해제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앤 상방 드래그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암막처리 점진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second gesture signal,
And the step of gradually canceling the dark-fil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ouch-and-up drag signal to the display unit.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대쉬 보드;
상기 대쉬 보드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 운행 프로그램이 자동실행되는 차량용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제 1 제스처 신호를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차량.
A dashboard install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installed on the dashboard;
And an automobi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vehicle running program is automatically executed when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The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es:
A touch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And
And a control unit for darkening the display unit when the first gesture signal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the im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의 상단에 암막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암막 아이콘에 대하여 제 1 터치앤 하방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처리를 행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rein a dark icon is displayed on an upper part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dark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first touch and a downward drag signal are inputted to the dark ic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은 상기 차량용 전자 기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시키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include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장착용 브라켓은 상기 차량용 전자 기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암막처리를 행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include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to the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a darkening process on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KR1020140187296A 2014-12-23 2014-12-23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201600775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96A KR20160077512A (en) 2014-12-23 2014-12-23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96A KR20160077512A (en) 2014-12-23 2014-12-23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12A true KR20160077512A (en) 2016-07-04

Family

ID=5650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296A KR20160077512A (en) 2014-12-23 2014-12-23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51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8097A1 (en) * 2019-10-08 2021-04-15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Black screen ges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8097A1 (en) * 2019-10-08 2021-04-15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Black screen ges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31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sharing
EP2597838B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a car
US9513702B2 (en) Mobile terminal for vehicular display system with gaze detection
KR101822945B1 (en) Mobile terminal
KR101331827B1 (en) Display device for car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CN110618800B (en) Interface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EP2254034B1 (en) Rendering across terminals
US8295994B2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telematics terminal
CN111137278B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utomobile and storage medium
KR20190076731A (en)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s via Checking Passenger Terminal and Distraction
KR20170126293A (en) Control device for a vehhicle
JP2011093463A (en) On-vehicle device
JP2011096058A (en) In-vehicle device
JP2011183916A (en) In-cabin image display system
KR20140128812A (en) An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parant display for a vehicle and an appratus using it
KR10173682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139925A (en) Vehicle start control method and device, vehicle, storage medium
JP2006284314A (en) In-vehicle system
US20170337727A1 (en) Digital surface rendering
KR20100050958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20120117198A1 (en) System and method to recast information communicated between a host system and a remote interface
WO2019182053A1 (en) In-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US11235708B2 (en)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KR20160077512A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WO2018230526A1 (en) Input system and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