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886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886A
KR20160071886A KR1020140179628A KR20140179628A KR20160071886A KR 20160071886 A KR20160071886 A KR 20160071886A KR 1020140179628 A KR1020140179628 A KR 1020140179628A KR 20140179628 A KR20140179628 A KR 20140179628A KR 20160071886 A KR20160071886 A KR 2016007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logo
peripheral
area
peripher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9374B1 (en
Inventor
한성지
손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74B1/en
Publication of KR2016007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which can prevent degradation of a light emitting element due to image sticking by reducing a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a logo area and a surrounding area adjacent to the logo area in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e degradation compensating apparatus comprises: a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a surrounding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and an image composition unit.

Description

열화보상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ioration compens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mpensating degradatio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열화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고휘도 성분의 로고와 그 주변의 휘도레벨 차이로 인하여 잔상이 발생되어 유기발광소자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화보상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apparatus for compensating deterio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by using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deteriora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ue to a residual image due to a difference in brightness level of a logo of a high-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휴대전화,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는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가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영동표시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Flat panel displays (FPDs) are used i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including mobile 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 computers. The flat panel display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OLED). Recently,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ELECTROPHORETIC DISPLAY) is also widely used.

이중,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has advantages of high response speed, light emitting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by using a self-luminous element which emits light by itself.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ixel structure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픽셀(10)은 두 개 이상의 스위칭소자(ST, DT)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pixel 1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t least two switching elements ST and D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유기발광소자(OLED)는 애노드전극이 제1전원(VDD)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이 제2전원(VSS)에 접속된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OLED)는 제2스위칭소자(D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되어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anod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VDD and the cathod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VS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generates light of a predetermined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second switching device DT.

픽셀(10)에 형성된 각종 회로들은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어 유기발광소자(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픽셀(10)에는 제1전원(VDD)과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에 접속된 제2스위칭소자(DT), 제2스위칭소자(DT)와 데이터라인(DL) 및 게이트라인(GL) 사이에 접속된 제1스위칭소자(ST) 및 제2스위칭소자(DT)의 게이트전극과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가 구비된다.The various circuits formed in the pixel 10 control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supplied to the data line DL when a gate signal is supplied to the gate line GL. To this end, the pixel 10 includes a second switching device DT, a second switching device DT, a data line DL, and a gate line (not show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source VDD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a capacitor C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switching device ST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DT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connect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 and the OLED.

상술한 픽셀(10)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인 유기발광소자(OLED)를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기발광소자(OLED)의 열화가 진행된다. 즉, 유기발광소자(OLED)의 자발광 특성 상, 고휘도 성분의 객체, 예컨대 로고 등이 포함된 영상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에 로고로 인하여 열화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열화에 의해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밝기 및 색감 차이가 인지되어 잔상이 남게 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above-described pixel 10 structure displays an image by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which is a self-light emitting device, so that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progresses for various reasons. That is, when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of a high luminance component such as a logo is continuously applied due to the self-light e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eterioration occurs due to the logo. By such deterioration, a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color is recogniz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residual image is left.

도 2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2의 (a) 및 (b)에서와 같이,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특정부분에 고휘도 성분을 갖는 로고(1)가 출력되고 있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logo 1 having a high luminance component is output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그리고, 이러한 고휘도 성분의 로고(1)가 일정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출력되면, 로고(1)가 출력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유기발광소자(OLED)가 열화된다. When the logo 1 of such a high luminance component is continuously output in a certain reg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LED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logo 1 is output is deteriorated.

이와 같이, 유기발광소자(OLED)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로고의 휘도를 조절하여 저감시키는 보정이 수행되었다. In order to prev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rom deteriorating in this manner, correction has been performed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ogo.

이때, 로고의 휘도가 과하게 저감되면 로고 색상 등이 왜곡되기 때문에,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적정 수준까지 로고에 대한 휘도를 저감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brightness of the logo is excessively reduced, the logo color and the like are distort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logo is reduced to a proper level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그러나, 로고의 휘도가 적정 수준으로 저감되더라도, 로고 주변영역과 로고 간에 휘도레벨 차이가 크며, 이러한 휘도레벨 차이는 유기발광소자(OLED)의 열화를 일으켜 도 2의 (c)와 같이 잔상이 발생된다. However, even if the brightness of the logo is reduced to an appropriate level, the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logo surrounding area and the logo is large. Such a brightness level difference causes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do.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로고영역과 이에 인접되는 주변영역 간의 휘도레벨 차이를 줄여 잔상에 의한 유기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열화보상장치 및 보상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device and a compensation method that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ue to a residual image by reducing a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a logo region and an adjacent peripheral region in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보상장치는, 로고휘도조절모듈, 주변휘도조절모듈 및 영상합성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apparatus including a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an ambient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and an image composition unit.

로고휘도조절모듈은 영상신호로부터 로고영역을 검출하고, 로고영역의 휘도레벨이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보정로고영역을 출력한다.The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detects the logo area from the image signal and adjusts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area to be reduced to output the correction logo area.

주변휘도조절모듈은 영상신호로부터 로고영역에 인접하는 주변영역을 검출하고, 주변영역의 휘도레벨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한다.The peripheral luminance adjustment module detects a peripheral region adjacent to the logo region from the image signal, and adjusts the luminance level of the peripheral region to be increased to output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영상합성부는 영상신호에 보정로고영역 및 보정주변영역을 합성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The image synthesis unit synthesizes the corrected logo region and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in the image signal to generate image dat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은, 보정로고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주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및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ensation method for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apparatus, including: outputting a correction logo region, detecting a peripheral region, outputting a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

본 발명에 따른 열화보상장치는 영상에서 로고영역 및 주변영역을 검출하여 휘도레벨을 각각 조절하되, 로고영역은 휘도레벨을 감소시키고, 주변영역은 휘도레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로고영역과 주변영역 간의 휘도레벨 차이를 줄일 수 있다.The degradation compens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logo region and a surrounding region in an image to adjust a brightness level, respectively, wherein a logo region reduces a brightness level, and a peripheral region gradually increases a brightness leve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two.

이에 따라, 표시장치에서 로고영역과 주변영역 간의 휘도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되던 잔상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기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after-image caused by the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logo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in the display device,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화보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화보상부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열화보상부의 동작 예시도들이다.
도 7은 기존 영상과 본 발명의 영상에서 로고영역과 주변영역의 휘도레벨에 대한 그래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ixel structure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 is a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deterioration compensating unit shown in FIG.
FIG.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the deterioration compensator shown in FIG. 4, and FIGS. 6A to 6F are operational examples of the deterioration compensator.
7 is a graph illustrating brightness levels of the logo region and the surrounding region in the conventional image and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화보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열화보상장치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유기발광표시장치 외에 액정표시장치 등에서도 열화보상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ample in which the deterioration compensation device is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obvious that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device can be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 및 타이밍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OLED display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a gate driver 120, a data driver 130, and a timing controller 140. Referring to FIG.

표시패널(110)은 다수의 게이트라인(GL) 및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게이트라인(GL) 및 다수의 데이터라인(DL) 각각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형성된 다수의 서브픽셀(11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서브픽셀(115)은 W서브픽셀, R서브픽셀, G서브픽셀 및 B서브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서브픽셀(115)의 배치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각각이 고유한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115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intersecting regions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and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The plurality of subpixels 115 may comprise W subpixels, R subpixels, G subpixels, and B subpixel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115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each can output light of a unique color.

다수의 서브픽셀(115) 각각은 다수의 스위칭소자(ST, DT) 및 유기발광소자(OLED)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115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T and D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LED.

다수의 스위칭소자(ST, DT)는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라인(DL)에 접속되어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 게이트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라인(DL)을 통해 공급되는 영상신호, 즉 데이터신호에 대응되어 유기발광소자(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수의 스위칭소자(ST, DT)는 스위칭트랜지스터(ST) 및 구동트랜지스터(DT)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T and DT are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the data line DL to supply a video signal supplied through the data line DL when the gate signal is supplied from the gate line GL,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n be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T and DT may include a switching transistor ST and a driving transistor DT.

스위칭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및 구동트랜지스터(DT)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칭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신호를 구동트랜지스터(DT)로 전달할 수 있다.The switching transistor S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line GL, the data line DL and the driving transistor DT. The switching transistor ST may transmit the data signal to the driving transistor DT in accordance with the gate signal.

구동트랜지스터(DT)는 제1전원(VDD) 및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T)는 스위칭트랜지스터(ST)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제1전원(VDD)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transistor D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VDD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driving transistor DT may control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first power source VD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ccording to a data signal provided from the switching transistor ST.

또한, 구동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과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에는 커패시터(C)가 접속될 수 있다. A capacitor C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유기발광소자(OLED)는 애노드전극이 구동트랜지스터(DT)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이 제2전원(VSS)에 접속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트랜지스터(DT)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따라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the anod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ource VS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n generate and output light of a predetermined luminance according to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driving transistor DT.

게이트구동부(120)는 타이밍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게이트제어신호(GCS)에 따라 게이트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신호를 표시패널(110)의 다수의 게이트라인(GL) 각각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120)는 표시패널(110)과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표시패널(110) 내에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driver 120 generates a gate signal according to the gate control signal GCS provid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sequentially outputs the generated gate signa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of the display panel 110 can do. The gate driver 120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display panel 110 or may be mounted in the display panel 110.

데이터구동부(130)는 타이밍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제어신호(DCS)에 따라 영상데이터(RGB')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110)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 각각에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130)는 감마전압발생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RGB')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ata driver 130 generates a data signal from the image data RGB 'according to the data control signal DCS provid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supplies the generated data signal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respectively. The data driver 130 may generate a data signal from the image data RGB 'using a gamma voltage supplied from a gamma voltage generator (not shown).

한편, 데이터구동부(130)로 제공되는 영상데이터(RGB')는 후술될 열화보상부(150)에 의해 영상의 특정부분, 예컨대 로고(logo) 등이 포함된 영역과 그 주변영역의 휘도레벨, 즉 계조레벨이 낮아지도록 조절된 데이터일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data RGB 'provided to the data driver 130 is converted into a luminance level of a region includ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image, for example, a logo, etc., by the deterioration compensation unit 150, That is, the gradation level is lowered.

타이밍제어부(140)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에서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제어신호(GCS)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제어신호(GCS)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는 각각 게이트구동부(120) 및 데이터구동부(130)로 출력될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 gate control signal GCS and a data control signal DC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system (not shown). The gate control signal GCS and the data control signal DCS may be output to the gate driver 120 and the data driver 130, respectively.

게이트제어신호(GCS)는 게이트스타트펄스(GSP), 게이트쉬프트클럭(GSC), 출력인에이블신호(G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제어신호(DCS)는 소스스타트펄스(SSP), 소스샘플링클럭(SSC), 출력인에이블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gate control signal GCS may include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n output enable signal GOE, and the like. The data control signal DCS may include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n output enable signal SOE, a polarity control signal POL, and the like.

타이밍제어부(140)는 열화보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화보상부(150)는 외부시스템에서 제공된 영상신호(RGB) 중에서 로고영역과 상기 로고영역에 대한 주변영역의 주변부의 휘도레벨을 각각 조절하고, 휘도레벨이 조절된 로고영역 및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할 수 있다. 열화보상부(150)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RGB')는 데이터구동부(130)로 출력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unit 150. [ The degradation compensation unit 150 adjusts the logo region and the brightness level of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peripheral region with respect to the logo region among the image signals RGB provided from the external system, So that the image data RGB 'can be generated. The image data RGB 'generated by the deterioration compensating unit 150 may be output to the data driver 130.

예컨대, 영상신호(RGB)에서 로고가 존재하는 로고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고휘도레벨, 즉 고계조레벨의 픽셀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로고영역에 의해 표시패널(110)의 유기발광소자(OLED)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고영역의 휘도레벨, 즉 로고영역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레벨을 낮출 필요가 있다.For example, a logo region in which a logo exists in a video signal (RGB) is composed of pixels having a higher brightness level, i.e., a higher gray level, than other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that is, the gradation level for each pixel of the logo region, in order to prev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of the display panel 110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logo region.

이때, 로고영역의 휘도레벨을 과도하게 낮추게 되면, 로고영역의 색상왜곡 등이 발생되므로, 로고영역은 적절한 수준으로 휘도레벨이 감소된다. 그러나, 로고영역의 휘도레벨이 낮아지더라도 로고영역은 주변영역보다 높은 휘도레벨을 갖게 되어 로고영역 및 주변영역에서 잔상 등이 발생된다.At this time, if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is excessively lowered, color distortion of the logo region occurs, so that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is reduced to an appropriate level. However, even if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is lowered, the logo region has a brightness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region, resulting in a residual image or the like in the logo region and the surrounding region.

따라서, 열화보상부(150)는 로고영역의 휘도레벨을 낮추면서, 이와 함께 주변영역의 휘도레벨을 일정한 수준까지 증가시킴으로써, 로고영역 및 주변영역에서 잔상이 발생되어 유기발광소자(OLED)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eterioration compensating unit 150 increases the luminance level of the peripheral region to a certain level while lowering the luminance level of the logo region, thereby generating a residual image in the logo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s deteriorated Can be prevent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화보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deterioration compensating unit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열화보상부(150)는 로고휘도조절모듈(160), 주변휘도조절모듈(170) 및 영상합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deterioration compensating unit 150 may include a logo brightness adjusting module 160, an ambient brightness adjusting module 170, and an image combining unit 180.

로고휘도조절모듈(160)은 영상신호(RGB)에서 검출된 로고영역(LR)의 휘도레벨을 조절하여 휘도레벨이 감소된 보정로고영역(LR')을 출력할 수 있다. 로고휘도조절모듈(160)은 로고영역(LR)을 구성하는 각 픽셀에 대한 계조레벨이 소정 범위까지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보정로고영역(LR')을 출력할 수 있다. 로고휘도조절모듈(160)은 로고영역검출부(161) 및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160 may output the corrected logo region LR 'in which the brightness level is reduced by adjust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LR detected from the image signal RGB. The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160 may output the corrected logo region LR 'by adjusting the gradation level for each pixel constituting the logo region LR to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160 may include a logo region detection unit 161 and a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ment unit 163. [

로고영역검출부(161)는 영상신호(RGB)에서 로고를 포함하는 로고영역(LR)을 검출할 수 있다. 로고영역검출부(161)는 영상신호(RGB)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frame)영상에서 로고영역(LR)을 검출할 수 있다. 로고영역검출부(161)는 동일 위치에 동일 계조레벨을 갖는 객체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영상에서 존재하는 경우를 로고가 포함된 로고영역(LR)으로 검출할 수 있다.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can detect the logo area LR including the logo in the image signal RGB.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may detect the logo area LR in at least one frame image of the image signal RGB.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can detect a case where an object having the same gradation level at the same position exists in at least one frame image as a logo area LR including a logo.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는 검출된 로고영역(LR)의 휘도레벨을 조절하여 휘도레벨이 감소된 보정로고영역(LR')을 출력할 수 있다.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는 로고영역(LR)을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 각각의 계조레벨을 기 설정된 감소비율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로고영역(LR)에 대비하여 휘도레벨이 감소된 보정로고영역(LR')을 출력할 수 있다.The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ing unit 163 may output the corrected logo region LR 'in which the brightness level is decreased by adjust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detected logo region LR. The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ing unit 163 reduces the grayscale leve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logo region L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area LR '.

주변휘도조절모듈(170)은 로고휘도조절모듈(160)에서 출력된 로고영역(LR)으로부터 주변부, 즉 주변영역(NR)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변영역(NR)의 휘도레벨을 조절하여 휘도레벨이 증가된 보정주변영역(NR')을 출력할 수 있다. 주변휘도조절모듈(170)은 주변영역(NR)을 구성하는 각 픽셀에 대한 계조레벨이 소정 범위까지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보정주변영역(NR')을 출력할 수 있다. 주변휘도조절모듈(170)은 주변영역검출부(171) 및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ipheral luminance adjustment module 170 detects the peripheral portion NR from the logo region LR output from the logo luminance adjustment module 160 and adjusts the luminance level of the detected peripheral region NR,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NR 'whose level has been increased. The peripheral luminance adjustment module 170 may output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NR 'by adjusting the gradation level for each pixel constituting the peripheral region NR to be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peripheral luminance adjustment module 170 may include a peripheral region detection unit 171 and a peripheral region luminance adjustment unit 173. [

주변영역검출부(171)는 영상신호(RGB)에서 앞서 검출된 로고영역(LR)에 인접되는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다. 주변영역검출부(171)는 영상신호(RGB)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영상에서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다. 주변영역검출부(171)는 소정 크기의 마스크를 프레임영상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다.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unit 171 can detect the peripheral region NR adjacent to the logo region LR detected earlier in the video signal RGB.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unit 171 can detect the surrounding region NR from at least one frame image of the video signal RGB.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unit 171 can detect the peripheral region NR while moving the mask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direction in the frame image.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검출된 주변영역(NR)의 휘도레벨을 조절하여 휘도레벨이 증가된 보정주변영역(NR')을 출력할 수 있다.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주변영역(NR)을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 각각에 대한 계조레벨을 증가시켜 휘도레벨이 증가된 보정주변영역(NR')을 출력할 수 있다. 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adjusting unit 173 can output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NR 'in which the luminance level is increased by adjusting the luminance level of the detected peripheral region NR. 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controller 173 can output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NR 'in which the luminance level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gray leve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peripheral region NR.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주변영역(NR)의 휘도레벨이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각 픽셀에 대한 계조레벨을 증가시키되, 보정주변영역(NR')의 최대휘도레벨이 보정로고영역(LR')의 휘도레벨과 동일하거나 작은 값을 가지도록 주변영역(NR)의 각 픽셀에 대한 계조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controller 173 increases the gradation level for each pixel so that the luminance level of the peripheral region NR can be gradually increased while the maximum luminance level of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NR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gradation level for each pixel of the peripheral region NR so as to have a valu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uminance level of the luminance signal LR '.

영상합성부(180)는 휘도레벨이 감소된 보정로고영역(LR') 및 휘도레벨이 증가된 보정주변영역(NR')을 각각 영상신호(RGB)에 합성하고, 합성된 영상신호를 재정렬하여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RGB')는 데이터제어신호(DCS)와 함께 데이터구동부(130)로 출력될 수 있다.
The image synthesizing unit 180 synthesizes the corrected logo region LR 'with reduced brightness level and the corrected surrounding region NR' with increased brightness level to the image signal RGB and rearranges the synthesized image signals So that the image data RGB 'can be generated. The image data RGB 'may be output to the data driver 130 together with the data control signal DCS.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화보상부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열화보상부의 동작 예시도들이다.FIG.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the deterioration compensator shown in FIG. 4, and FIGS. 6A to 6F are operational examples of the deterioration compensato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영상신호(RGB)가 입력되면(S10), 로고영역검출부(161)는 영상신호(RGB)에서 로고가 포함된 로고영역(LR)을 검출할 수 있다(S20). 검출된 로고영역(LR)은 나머지 영역, 즉 비로고영역보다 고휘도레벨을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4 and 5, when a video signal RGB is input from an external system,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detects the logo area LR including the logo in the video signal RGB (S20). The detected logo region LR may be a region having a higher brightness level than the remaining region, that is, the non-logo region.

로고영역검출부(161)는 영상신호(RGB)의 모든 픽셀을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로고영역(LR)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로고영역검출부(161)는 영상신호(RGB)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서 소정 크기의 블록 단위로 픽셀을 구분하고, 각 블록에서 로고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로고영역(LR)을 검출할 수도 있다.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may compare all the pixels of the video signal RGB on a frame basis, and may detect the logo area L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addition,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may detect the logo area LR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ogo in each block, dividing the pixels into blocks of a predetermined size in at least one frame of the image signal RGB have.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영역검출부(161)는 영상신호(RGB)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예컨대 제N프레임영상(N Frame)에서 로고영역(LR)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로고영역(LR)은 주변, 즉 비로고영역보다 고휘도레벨을 갖는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에서는 하나의 예로 로고영역(LR)이 255 계조레벨을 갖는 15개의 픽셀들로 구성된 3*5 크기로 검출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6A,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may detect the logo area LR in at least one frame of the image signal RGB, for example, the N frame image N frame. The detected logo region LR may be composed of pixels having a higher brightness level than the surrounding, i.e., non-logo reg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A, the logo region LR is detected as a 3 * 5 size composed of 15 pixels having 255 gradation level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는 검출된 로고영역(LR)의 휘도레벨을 조절하여 보정로고영역(LR')을 출력할 수 있다(S25).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는 로고영역(LR)의 다수의 픽셀들 각각에 대한 계조레벨을 조절함으로써, 로고영역(LR)의 휘도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는 기 설정된 감소비율, 예컨대 20~30%의 감소비율에 따라 로고영역(LR)의 다수의 픽셀들 각각의 계조레벨이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The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ing unit 163 can output the corrected logo region LR 'by adjust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detected logo region LR (S25). The logo region luminance regulator 163 can adjust the luminance level of the logo region LR by adjusting the gradation leve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of the logo region LR. For example, the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ing unit 163 may adjust the gradation leve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of the logo region LR to be lower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for example, a reduction ratio of 20 to 30%.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는 도 6a에 도시된 검출된 로고영역(LR)의 각각의 픽셀이 최초 255 계조레벨에서 180~250 범위의 계조레벨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로고영역(LR)에 대한 휘도레벨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ment unit 163 adjusts each of the pixels of the detected logo region LR shown in FIG. 6A to have a gradation level ranging from 180 to 250 at the initial 255 gradation level, The luminance level can be reduced.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로고영역검출부(161)에서 출력된 로고영역(LR)에 따라 영상신호(RGB)의 제N프레임영상(N Frame)에서 로고영역(LR)의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다. 주변영역검출부(171)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마스크(M)를 이용하여 제N프레임영상(N Frame)에서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다.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1 detects the peripheral area NR of the logo area LR from the Nth frame image N frame of the video signal RGB according to the logo area LR outputted from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61 Can be detected. 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1 can detect the peripheral area NR from the Nth frame image N frame using the mask M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도 6b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N프레임영상(N Frame)에서 마스크(M)를 일 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다.6A to 6E, 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1 detects the peripheral area NR while moving the mask M in one direction, e.g.,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N-th frame image N frame .

마스크(M)는 각각이 제N프레임영상(N Frame)의 픽셀들과 대응되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5*5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M)의 중앙부에는 주변영역(NR)을 구성하는 픽셀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영역(SP)이 설정될 수 있다.The mask M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each corresponding to a pixel of the Nth frame image (N Frame), and may have a size of 5 * 5.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sk M, a reference region SP for defining pixels constituting the peripheral region NR may be set.

주변영역검출부(171)는 상술한 마스크(M)의 기준영역(SP)을 제N프레임영상(N Frame)의 첫번째 픽셀과 대응시킨 후, 마스크(M)를 x축 방향으로 한 픽셀씩 이동시킬 수 있다(S30). 그리고, 이동된 마스크(M)의 다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1 moves the mask M by one pixel in the x axis direction after associating the reference area SP of the mask M with the first pixel of the N frame image N frame (S3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moved mask M corresponds to the pixels of the logo region LR (S40).

마스크(M)의 어떠한 영역도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N),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마스크(M)를 다시 x축 방향으로 한 픽셀 이동시킬 수 있다(S30). If it is determined that any region of the mask M does not correspond to the pixel of the logo region LR (N),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unit 171 can move the mask M again by one pixel in the x-axis direction (S30 ).

그러나, 마스크(M)의 일부 영역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된다고 판단되면(Y),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마스크(M)의 기준영역(SP)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50).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tial area of the mask M corresponds to the pixel of the logo area LR (Y), 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1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area SP of the mask M (S50).

이어, 마스크(M)의 기준영역(SP)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었다고 판단되면, 즉 기준영역(SP)이 로고영역(LR)에 위치하고 있으면(LR),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마스크(M)를 x축 방향으로 한 픽셀 이동시키는 단계(S20)부터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If the reference area SP of the mask M corresponds to the pixel of the logo area LR, that is, if the reference area SP is located in the logo area LR (LR), the peripheral area detection unit 171 May be repeatedly performed from step S20 of moving the mask M by one pixel in the x-axis direction.

그러나, 마스크(M)의 기준영역(SP)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즉 기준영역(SP)이 비로고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면(NR),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마스크(M)의 기준영역(SP)과 대응되는 픽셀을 주변영역 픽셀로 설정할 수 있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area SP of the mask M does not correspond to the pixels of the logo area LR, that is, if the reference area SP is located in the non-logo area (NR)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SP of the mask M can be set as the peripheral area pixel.

이와 같이, 주변영역검출부(171)는 제N프레임영상(N Frame)에서 마스크(M)를 일 방향으로 한 픽셀씩 이동시키면서, 마스크(M)의 다수의 영역과 대응되는 로고영역(LR)의 픽셀을 주변영역 픽셀로 설정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N프레임영상(N Frame)에서 다수의 픽셀로 구성된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1 detects the area of the logo area L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reas of the mask M while moving the mask M by one pixel in one direction from the Nth frame image (N Frame)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pixel as a peripheral area pixel,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eripheral area NR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xels in the Nth frame image (N Frame).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마스크(M)의 일측 영역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고, 기준영역(SP)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지 않으면,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마스크(M)의 기준영역(SP)과 대응되는 픽셀을 주변영역 픽셀로 설정할 수 있다. 6B, if one side area of the moved mask M corresponds to a pixel of the logo area LR and the reference area SP does not correspond to the pixel of the logo area LR, (171) can set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SP) of the mask (M) as the peripheral area pixel.

이어, 도 6c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M)를 x축 방향으로 한 픽셀씩 이동시키고, 마스크(M)의 영역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고, 기준영역(SP)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마스크(M)의 기준영역(SP)과 대응되는 픽셀을 주변영역 픽셀로 설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6C to 6E, the mask M is shifted by one pixel in the x-axis direction, the region of the mask M corresponds to the pixel of the logo region LR, Does not correspond to the pixel of the logo region LR,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section 171 can set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SP of the mask M as the peripheral region pixel.

그리고, 상술한 동작들이 제N프레임영상(N Frame)의 다수의 픽셀에 대해 반복 수행되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영역(LR)을 둘러싸는 픽셀들로 정의되는 제1주변영역(NR1)과 제2주변영역(NR2)을 검출할 수 있다. The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are repeated for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N-frame image (N Frame) to form a first peripheral area NR1 defined by the pixels surrounding the logo area LR ) And the second peripheral area NR2 can be detected.

제1주변영역(NR1)은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주변영역검출부(171)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주변영역 픽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제2주변영역(NR2)은 도 6b 및 도 6e에 도시된 주변영역검출부(171)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주변영역 픽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eripheral region NR1 may be constituted by peripheral region pixels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section 171 shown in Figs. 6C and 6D. The second peripheral area NR2 may be constituted by peripheral area pixels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part 171 shown in Figs. 6B and 6E.

한편, 마스크(M)에 의해 검출되는 주변영역(NR)의 개수는 마스크(M)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마스크(M)의 크기가 커질수록 검출되는 주변영역(NR)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마스크(M)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검출되는 주변영역(NR)의 개수는 감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peripheral regions NR detected by the mask M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sk M. For example, as the size of the mask M increases, the number of peripheral regions NR to be detected can be increased. Conversely, the smaller the size of the mask M, the smaller the number of peripheral regions NR to be detected.

주변영역검출부(171)에 의해 검출되는 주변영역(NR)의 수가 많을수록 로고영역(LR)과 주변영역(NR) 간의 휘도레벨 차이가 더 완만해질 수 있다. 그러나, 주변영역(NR)의 수가 많아질수록 로고영역(LR)과 주변영역(NR) 간의 경계가 흐릿해질 수 있으며, 큰 크기의 마스크(M)로 인해 주변영역검출부(171)의 동작속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로고영역(LR)에 대하여 적당한 개수, 예컨대 1~3개의 주변영역(NR)을 검출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마스크(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greater the number of the peripheral regions NR detected by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section 171, the gentler the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logo region LR and the peripheral region NR becomes. However, as the number of the peripheral regions NR increases, the boundary between the logo region LR and the peripheral region NR may become blurred, and the operation speed of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on unit 171 may be reduced due to the large- Can be remarkably deteriorated. Therefore, it would be preferable to use a mask M having a size enough to detect a suitable number, for example, one to three peripheral areas NR, with respect to the logo area LR.

또한, 도 6c에 도시된 주변영역검출부(171)에 의해 주변영역 픽셀이 설정되는 동작 이후 또는 도 6d에 도시된 주변영역검출부(171)에 의해 주변영역 픽셀이 설정되는 동작 이전에는, 마스크(M)의 기준영역(SP)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게 된다. 이때, 주변영역검출부(171)는 마스크(M)를 제N프레임영상(N Frame)에서 x축 방향으로 한 픽셀씩 이동시키는 동작만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peripheral area pixels by the peripheral area detector 171 shown in Fig. 6C or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peripheral area pixels by the peripheral area detector 171 shown in Fig. 6D, the mask M ) Correspond to the pixels of the logo region LR. At this time,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unit 171 can perform only the operation of moving the mask M by one pixel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N-th frame image (N Frame).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주변영역검출부(171)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주변영역(NR)의 휘도레벨을 조절하여 보정주변영역(NR')을 출력할 수 있다(S60).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주변영역(NR)의 각 픽셀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휘도레벨이 증가된 보정주변영역(NR')을 출력할 수 있다.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adjusting unit 173 may output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NR 'by adjusting the luminance level of one or more peripheral regions NR detected by the peripheral region detecting unit 171 (S60). 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adjusting section 173 can output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NR 'in which the luminance level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gradation level of each pixel in the peripheral region NR.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주변영역검출부(171)에 의해 주변영역 픽셀이 설정될 때, 마스크(M)의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평균계조레벨에 따라 주변영역 픽셀의 계조레벨을 산출함으로써, 주변영역(NR)의 각 픽셀의 계조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eripheral area luminance adjusting unit 173 calculates the gray level of the peripheral area pixels according to the average gray level of the pixels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mask M when the peripheral area pixels are set by the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1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gradation level of each pixel of the peripheral region NR.

예컨대, 로고영역(LR)의 각 픽셀은 255 계조레벨일 수 있고, 비로고영역의 각 픽셀은 0 계조레벨일 수 있다. 또한, 마스크(M)의 기준영역(SP)에 의해 제2주변영역(NR)에 대한 픽셀이 설정될 수 있다.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아래의 [수학식1]을 통해 제2주변영역(NR)의 픽셀에 대한 계조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pixel of the logo region LR may be a 255-gradation level, and each pixel of the non-logo region may be a 0-gradation level. In addition, a pixel for the second peripheral region NR can be set by the reference region SP of the mask M. [ 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controller 173 can calculate the gradation level for the pixels in the second peripheral region NR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1][Equation 1]

SP_g = (255*n1)+(0*n2) / NSP_g = (255 * n1) + (0 * n2) / N

여기서, n1은 로고영역의 픽셀과 중첩되는 마스크의 영역 개수이고, n2는 비로고영역의 픽셀과 중첩되는 마스크의 영역 개수이며, N은 마스크의 총 영역 개수일 수 있다.Here, n1 is the number of regions of the mask overlapping the pixels of the logo region, n2 is the number of regions of the mask overlapping the pixels of the non-logo region, and N may be the total number of regions of the mask.

즉, 도 6b에서 마스크(M)의 일측 5개 영역이 로고영역(LR)의 픽셀에 대응되기 때문에, 설정된 제2주변영역(NR2)의 픽셀에 대해 51 계조레벨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주변영역(NR2)의 픽셀은 최초 0 계조레벨에서 51 계조레벨로 증가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five regions on one side of the mask M correspond to the pixels of the logo region LR in FIG. 6B, the 51 gradation levels can be calculated for the pixels in the set second peripheral region NR2. Thus, the pixels in the second peripheral region NR2 can be increased to the 51 gradation level at the initial 0 gradation level.

또한, 도 6c에서는 마스크(M)의 일측 10개 영역이 로고영역(LR)의 픽셀과 대응되고, 기준영역(SP)으로부터 제1주변영역(NR1)의 픽셀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1]을 통해 제1주변영역(NR1)의 픽셀에 대해 102 계조레벨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주변영역(NR1)의 픽셀은 최초 0 계조레벨에서 102 계조레벨로 증가될 수 있다.In Fig. 6C, ten regions on one side of the mask M correspond to pixels in the logo region LR, and pixels in the first peripheral region NR1 from the reference region SP can be set. Then, a 102-level gradation level can be calculated for a pixel in the first peripheral region NR1 through Equation (1). Therefore, the pixels of the first peripheral region NR1 can be increased from the initial 0 gradation level to the 102 gradation level.

그리고,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제1주변영역(NR1)의 모든 픽셀 및 제2주변영역(NR2)의 모든 픽셀에 대해 상술한 계조레벨 산출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adjusting unit 173 may repeat the above-described gradation level calculating operation for all the pixels in the first peripheral region NR1 and all the pixels in the second peripheral region NR2.

이에 따라,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비로고영역에서 로고영역(LR)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휘도레벨, 즉 계조레벨이 증가하는 보정주변영역(NR')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는 제1주변영역(NR1)에 대한 제1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고, 제2주변영역(NR2)에 대한 제2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F, the peripheral region brightness adjusting unit 173 adjusts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NR 'in which the luminance level, that is, the gradation level increases gradually from the non-logo region to the logo region LR Can be output. 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controller 173 may output the first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for the first peripheral region NR1 and output the second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for the second peripheral region NR2.

제1보정주변영역은 로고영역(LR)과 가장 인접되는 영역이며,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에 의해 각각의 픽셀은 102 계조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 제2보정주변영역은 비로고영역과 제1보정주변영역 사이의 영역이며, 주변영역 휘도조절부(173)의 의해 각각의 픽셀은 51 계조레벨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is the region closest to the logo region LR, and each pixel can have 102 gradation levels by the peripheral region luminance regulator 173. [ The second correction peripheral area is a region between the non-logo area and the first correction peripheral area, and each pixel of the peripheral area luminance controller 173 can have 51 gray level.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에 의해 로고영역(LR)의 휘도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로고영역 휘도조절부(163)는 로고영역(LR)의 각각의 픽셀이 최초 계조레벨보다 25% 감소된 계조레벨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고영역(LR)의 각각의 픽셀은 최초 255 계조레벨에서 192 계조레벨로 저감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LR can be lowered by the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ment unit 163. [ The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ment unit 163 can adjust the respective pixels of the logo region LR to have a gradation level that is 25% lower than the initial gradation level. Accordingly, each pixel of the logo region LR can be reduced to the 192 gradation level at the initial 255 gradation leve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화보상장치(150)는 로고영역(LR) 및 주변영역(NR)에 대한 휘도레벨을 각각 조절하되, 로고영역(LR)의 휘도레벨은 감소시키고, 주변영역(NR)의 휘도레벨은 로고영역(LR)과 인접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로고영역(LR)과 주변영역(NR) 간의 휘도레벨 차이를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erioration compensation apparatus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djusts the brightness level for the logo region LR and the surrounding region NR, respectively, while reduc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LR, The brightness level of the region NR can be gradually increased as it is adjacent to the logo region LR to thereby reduce the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logo region LR and the surrounding region NR.

영상합성부(180)는 휘도레벨이 감소된 보정로고영역(LR')과 휘도레벨이 증가된 보정주변영역(NR')을 영상신호(RGB)에 합성하여 재정렬하고, 재정렬된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S70).
The image synthesizing unit 180 synthesizes and rearranges the corrected logo region LR 'in which the luminance level is decreased and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NR' in which the luminance level is increased to the image signal RGB and outputs the rearranged image data RGB ') And output it (S70).

도 7은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영상 휘도레벨과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영상 휘도레벨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의 그래프에서 y축은 휘도레벨의 크기를 나타내고, x축은 영상에서 로고와 주변영역을 나타낸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mage brightness level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brightness lev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ph of Fig. 7, the y-axis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brightness level, and the x-axis represents the logo and the surrounding region in the imag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원래의 휘도레벨보다 감소된 휘도레벨(△L)을 갖는 로고영역(LR)이 포함된 영상데이터(RGB'1, RGB'2)가 표시될 수 있다. 7,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age data including a logo region LR having a luminance level DELTA L lower than the original luminance level RGB'1, RGB'2) can be displayed.

이때,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데이터(RGB'1)에서는 로고영역(LR)에 대한 휘도레벨만 감소되었기 때문에, 로고영역(LR)과 주변영역(NR) 간에 휘도레벨 차이가 크다. 이에 따라, 종래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로고영역(LR) 및 주변영역(NR)에서 발생되는 잔상 등에 의해 유기발광소자(OLED)가 열화된다.At this time, in the image data (RGB '1) displayed in the conventional OLED display device, only the brightness level for the logo region LR is reduced, so that the brightness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logo region LR and the surrounding region NR is large .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deteriorated due to afterglow generated in the logo region LR and the peripheral region NR.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데이터(RGB'2)에서는 로고영역(LR)에 대한 휘도레벨이 감소됨과 더불어 주변영역(NR)의 휘도레벨을 점진적으로 증가됨으로써, 로고영역(LR)과 주변영역(NR) 간에 휘도레벨 차이가 작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로고영역(LR) 및 주변영역(NR)에서 잔상 등이 발생되지 않아 유기발광소자(OLED)가 열화되지 않는다. However, in the image data (RGB'2) displayed in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LR is decreased and the brightness level of the surrounding region NR is gradually increased, The difference in luminance level between the luminance region LR and the peripheral region NR becomes small. Therefor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images are not generated in the logo region LR and the peripheral region NR, so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not deteriorated.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레벨은 휘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즉, 영상에서 로고가 위치된 영역 및 그 주변에 휘도계를 배치하여 로고 및 주변의 휘도를 측정하여 도 7에서와 같은 영상 휘도레벨을 얻을 수 있다.
The luminance level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using a luminance meter. That is, a luminance meter is disposed in the region where the logo is located in the image and the periphery thereof, and the brightness of the logo and the surrounding is measured to obtain the image brightness level as shown in FIG.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While a number of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nd the claims.

100: 유기발광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구동부 130: 데이터구동부
140: 타이밍제어부 150: 열화보상부
160: 로고휘도조절모듈 161: 로고영역검출부
163: 로고영역 휘도조절부 170: 주변휘도조절모듈
171: 주변영역검출부 173: 주변영역 휘도조절부
180: 영상합성부
1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Gate driver 130: Data driver
140: timing controller 150: deterioration compensator
160: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161: Logo area detection section
163: logo region luminance adjustment unit 170: peripheral luminance adjustment module
171: peripheral area detecting unit 173: peripheral area luminance adjusting unit
180:

Claims (14)

영상신호로부터 로고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로고영역의 휘도레벨이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보정로고영역을 출력하는 로고휘도조절모듈;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로고영역에 인접하는 주변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주변영역의 휘도레벨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는 주변휘도조절모듈; 및
상기 영상신호에 상기 보정로고영역 및 상기 보정주변영역을 합성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합성부를 포함하는 열화보상장치.
A logo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for detecting a logo area from a video signal and outputting a correction logo area by adjust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area to be reduced;
An ambient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for detecting a peripheral region adjacent to the logo region from the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by adjusting the luminance level of the peripheral region to be increased; And
And an image synthesizing unit synthesizing the corrected logo region and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to the image signal to generate imag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휘도조절모듈은,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로고영역을 검출하는 로고영역검출부; 및
기 설정된 감소비율에 따라 상기 로고영역의 다수의 픽셀 각각에 대한 계조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보정로고영역을 출력하는 로고영역 휘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logo area detecting unit detecting the logo area from the video signal; And
And a logo region brightness adjusting unit for reducing the gradation leve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of the logo reg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to output the corrected logo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휘도조절모듈은,
상기 영상신호의 다수의 픽셀 각각과 대응되는 다수의 영역이 구비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로고영역과 인접되는 상기 주변영역을 검출하는 주변영역검출부; 및
상기 주변영역의 다수의 픽셀 각각에 대한 계조레벨을 증가시켜 상기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는 주변영역 휘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mbient brightness adjustment module comprises:
A peripheral region detecting unit that detects the peripheral region adjacent to the logo region from the video signal using a mask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video signal; And
And a peripheral region luminance adjusting unit for increasing a gradation level of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peripheral region to output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영상신호에서 한 픽셀씩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sk is moved in one direction by one pixel in the video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주변영역의 최대휘도레벨이 상기 보정로고영역의 휘도레벨과 동일하거나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ximum brightness level of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brightness level of the correction logo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다수의 주변영역이 검출되고,
상기 다수의 주변영역은 상기 로고영역과 인접될수록 큰 휘도레벨을 갖도록 점진적으로 휘도레벨이 증가되는 다수의 보정주변영역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s the size of the mask increases, a plurality of peripheral regions are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Wherein the plurality of peripheral regions are output as a plurality of correction peripheral regions whose luminance levels are gradually increased so as to have a larger luminance level as being closer to the logo region.
영상신호에서 로고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로고영역의 휘도레벨이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보정로고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의 다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영역이 구비된 마스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로고영역에 인접하는 주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변영역의 휘도레벨이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에 상기 보정로고영역 및 상기 보정주변영역을 합성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
Detecting a logo region in a video signal and adjusting a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to be reduced to output a corrected logo region;
Detecting a peripheral region adjacent to the logo region while moving a mask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each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image signal in one direction;
Adjusting a brightness level of the peripheral region to be increased to output a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And
And generating image data by synthesizing the corrected logo region and the corrected peripheral region with the image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다수의 영역 중 하나는 기준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주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의 다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로고영역의 픽셀과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의 다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로고영역의 픽셀과 대응되면, 상기 기준영역이 상기 로고영역의 픽셀과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영역이 상기 로고영역의 픽셀과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신호에서 상기 기준영역과 대응되는 픽셀을 상기 주변영역의 픽셀로 설정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mask is set as a reference region,
Wherein the detecting the peripheral region comprises:
Determining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mask corresponds to pixels of the logo region;
Determining if the reference region corresponds to a pixel of the logo region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mask corresponds to a pixel of the logo region; And
And setting a pixe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in the video signal as a pixel in the peripheral area if the reference area does not correspond to the pixel in the logo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다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로고영역의 픽셀과 대응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기준영역이 상기 로고영역의 픽셀과 대응되면,
상기 주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를 일 방향으로 한 픽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mask does not correspond to a pixel of the logo region, or if the reference region corresponds to a pixel of the logo region,
Wherein the detecting the peripheral region comprises:
And moving the mask by one pixel in one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영역의 픽셀이 설정되면,
상기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의 다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로고영역의 픽셀 및 비로고영역의 픽셀의 평균계조레벨에 따라 상기 주변영역의 픽셀에 대한 계조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pixels of the peripheral region are set,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comprises:
And calculating the gray level for the pixels in the peripheral region according to the average gray level of the pixels of the logo region and the non-logo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mask. Of compensation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다수의 주변영역이 검출되고,
상기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변영역 중 상기 로고영역과 가장 인접되는 주변영역이 가장 큰 휘도레벨을 갖도록 상기 다수의 주변영역 각각의 휘도레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다수의 보정주변영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s the size of the mask increases, a plurality of peripheral regions are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comprises:
Wherein the brightness leve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areas is gradually increased to output a plurality of correction peripheral areas so that the peripheral area closest to the logo area among the plurality of peripheral areas has a maximum brightness level. Method of compensating th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로고영역을 출력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감소비율에 따라 상기 로고영역의 다수의 픽셀들 각각에 대한 계조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보정로고영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rrected logo region comprises:
And decreasing a gradation lev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logo reg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to output the corrected logo reg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주변영역의 최대휘도레벨이 상기 보정로고영역의 휘도레벨과 동일하거나 작은 값을 갖도록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보상장치의 보상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ximum brightness level of the correction peripheral region is increased to have a valu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brightness level of the correction logo region.
유기발광소자가 구비된 표시패널;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로고영역 및 주변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로고영역의 휘도레벨은 감소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주변영역의 휘도레벨은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열화보상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로 출력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 deterioration compensation unit for detecting a logo region and a surrounding region in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djust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logo region to be decreased,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surrounding region to be increased so as to generate image data; And
And a data driver for outputting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panel.
KR1020140179628A 2014-12-12 2014-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79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28A KR102279374B1 (en) 2014-12-12 2014-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28A KR102279374B1 (en) 2014-12-12 2014-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86A true KR20160071886A (en) 2016-06-22
KR102279374B1 KR102279374B1 (en) 2021-07-19

Family

ID=5636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628A KR102279374B1 (en) 2014-12-12 2014-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374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657A1 (en) * 2017-08-17 2019-02-2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JP2020030311A (en) * 2018-08-22 2020-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CN110875005A (en) * 2018-08-31 2020-03-10 三星显示有限公司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3621058A1 (en) * 2018-09-04 2020-03-11 Samsung Display Co., Ltd. Logo controller and logo control method
WO2020189828A1 (en) * 2019-03-21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950207B2 (en) 2018-10-04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sing a display device
US11341932B2 (en) 2019-12-27 2022-05-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uniform lumina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361731B2 (en) 2020-03-26 2022-06-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538423B2 (en) 2020-11-12 2022-12-27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657764B2 (en) 2020-10-16 2023-05-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676543B2 (en) 2020-09-04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US11749186B2 (en) 2021-05-12 2023-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correcting an image including a logo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6761A (en) * 2008-12-26 2010-07-15 Canon Inc Display apparatus and camera
KR20140070792A (en) * 2012-11-27 2014-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6761A (en) * 2008-12-26 2010-07-15 Canon Inc Display apparatus and camera
KR20140070792A (en) * 2012-11-27 2014-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6774B2 (en) 2017-08-17 2020-07-07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9035657A1 (en) * 2017-08-17 2019-02-2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JP2020030311A (en) * 2018-08-22 2020-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CN110875005A (en) * 2018-08-31 2020-03-10 三星显示有限公司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922600B2 (en) 2018-08-31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CN110880298B (en) * 2018-09-04 2024-02-20 三星显示有限公司 Logo controller
EP3621058A1 (en) * 2018-09-04 2020-03-11 Samsung Display Co., Ltd. Logo controller and logo control method
JP2020038339A (en) * 2018-09-04 2020-03-12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Logo control unit
CN110880298A (en) * 2018-09-04 2020-03-13 三星显示有限公司 Logo controller
US10748317B2 (en) 2018-09-04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Logo controller and logo control method
US10950207B2 (en) 2018-10-04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sing a display device
WO2020189828A1 (en) * 2019-03-21 202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341932B2 (en) 2019-12-27 2022-05-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uniform lumina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915668B2 (en) 2019-12-27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uniform lumina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735141B2 (en) 2020-03-26 2023-08-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361731B2 (en) 2020-03-26 2022-06-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676543B2 (en) 2020-09-04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US11657764B2 (en) 2020-10-16 2023-05-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538423B2 (en) 2020-11-12 2022-12-27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749186B2 (en) 2021-05-12 2023-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correcting an image including a logo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374B1 (en)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3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4309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8000749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52751B1 (en) The Method for Detecting of Driving Transistor Charac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4644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image data of the same
KR20160083157A (en) Controll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1569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290687B1 (en) Timing controll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terioration thereof
KR20160099760A (en) Coupling compensating device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116690A (en) Display device, data processing device for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60139678A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5775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811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f Luminance Correction Data
KR2017008109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Comensating Image Quality thereof
US1018619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70793A (en)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27939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48207B1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3634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60110816A (en) Data compens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21678A (en) Display device and data compensation method thereof
KR1022793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3223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024376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3379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