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677A -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677A
KR20160067677A KR1020140173382A KR20140173382A KR20160067677A KR 20160067677 A KR20160067677 A KR 20160067677A KR 1020140173382 A KR1020140173382 A KR 1020140173382A KR 20140173382 A KR20140173382 A KR 20140173382A KR 20160067677 A KR20160067677 A KR 20160067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seat belt
receiver
monitoring syste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부차 아바다
곤잘레스 애리얼
Original Assignee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4017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7677A/en
Publication of KR2016006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6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A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transmitter transmitting a signal with respect to coupling between a buckle and a clip, wherein the buckle and the clip of a seatbelt are coupled; and a receiver detec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output coupling of the seatbelt. The receiver can detec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nly when a vehicle speed recognized in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is fas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Description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 RTI ID = 0.0 >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버클과 클립 사이에 결속 가능한 송신기를 이용하여 안전벨트 미체결시 무선으로 경고할 수 있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safety belt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wirelessly warning when a seat belt is not tightened by using a transmitter capable of binding between a buckle and a clip of the seat belt.

현재 안전벨트가 체결되어 있지 않음을 경고하는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좌석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Systems that warn that the seatbelt is not fastened are typically wired to the front seats of the vehicle.

(특허문헌 1) KR 1305623 B1 (Patent Document 1) KR 1305623 B1

상기 특허문헌 1은 차량의 안전벨트 체결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마련되고, 시트 위에 착석한 사람 등의 무게 분포와 전기 흐름을 감지하고, 안전벨트의 버클이 체결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전도성이 감지되지 않는 물체를 제외한 사람 및 동물의 무게에 따라 안전벨트의 버클이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경고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체결 경고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eat belt tightening warning device for a vehicle. The seat belt tightening warning device detects a weight distribution and an electric flow of a person sitting on a seat, detects whether a seat belt buckle is engaged, A warning of a safety belt tightening warning of a vehicle is issued to judge whether or not a buckle of a seat belt is fasten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a person and an animal other than an object which is not fastened and to warn when the buckle is not fasten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안전벨트의 버클과 클립 사이에 결속 가능한 송신기를 이용하여 안전벨트 미체결시 무선으로 경고할 수 있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safety belt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wirelessly warning when a seat belt is not tightened by using a transmitter that can be fastened between a buckle and a clip of the seat bel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은, 안전벨트의 버클과 클립이 체결되며, 상기 버클과 클립의 체결 여부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서 인지하는 차량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A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transmitter for connecting a buckle and a clip of a seatbelt and transmitting a signal as to whether the buckle and clip are fastened; And a receive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eatbelt is tightened by detec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wherein the receiver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nly when the vehicle speed recognized by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Can be detected.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페어링될 수 있다.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may be paired using a Bluetooth scheme.

상기 송신기는 버클과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및 클립과 체결될 수 있다.The transmitter includes a buckle and a clip, and can be fastened to the buckle and clip of the seat belt.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및 클립과의 체결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및 클립과의 체결을 해제하는 버튼; 및 상기 송신기의 온(on) 상태와 블루투스 온(on)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seat belt is engaged with the buckle and the clip; A butt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eat belt with the buckle and the clip;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n state and a Bluetooth on state of the transmitter

상기 수신기는, 차량의 시거잭과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차량의 시동 여부를 센싱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cigar jack of the vehicle to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and to sense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상기 수신기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may include a smart phone.

상기 수신기는,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신기의 파워 온(on) 및 블루투스 온(on)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or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fastene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power on and Bluetooth on states of the receiver.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받으면 상기 페어링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may respond to the pairing request upon receiving a pairing request from the receiver.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기와의 연결을 선택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can select the connection with the transmitter by receiving the pairing request signal.

상기 송신기는 상기 버클과 클립의 체결 여부에 대한 신호를 블루투스 저전력 신호(Bluetooth Low Energy signal)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may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buckle and clip are fastened together via a Bluetooth low energy signal.

상기 송신기는 상기 버클과 클립의 체결 여부에 대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may periodically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clip and the clip are fastened.

상기 수신기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eceiver does not outpu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fastened unles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기는 다시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if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s not det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receiver again looks for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for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기설정된 속도는 사람의 평균 보행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predetermined speed is greater than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a pers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한 송신기를 이용하여 안전벨트의 버클과 클립 사이에 체결함에 따라, 타 차량에서도 안전벨트 체결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or not the seatbelt is fastened to another vehicle by fastening it between the buckle and the clip of the seatbelt using a portable transmitter .

또한, 스마트폰 또는 별도의 수신기를 통해 안전벨트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tightened through a smart phone or a separate receiver.

송신기와 스마트폰 또는 별도의 수신기를 블루투스로 페어링하여, 차량의 속도에 따라 송신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검출하므로써 주차 혹은 도보 때와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transmitter and a smart phone or a separate receiver are paired with Bluetooth,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separately from parking or walking.

기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다른 차량에 설치된 수신기와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o prevent a crosstalk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installed in another vehicle.

복수의 송신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하나의 수신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수신하여, 스쿨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아이들의 안전벨트 체결 여부를 한번에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어떤 차량에서도 호환가능한 효과가 있다.A signal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transmitters is received by a single receiver or a smartph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a seat belt of a child is fastened at a time in a vehicle such as a school b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illustrate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airing process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sceptible to various change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50)의 하나인 수신기 모듈(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송신기(10), 송신기(10)의 버클(3)에 체결되는 안전벨트 클립(20), 송신기(10)의 클립(1)이 체결되는 안전벨트 버클(30), 스마트폰(40) 또는 수신기 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 FIG. 1 illustrates a wireless safety bel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illustrate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t; RTI ID = 0.0 > 60 < / RTI > which is one of the receivers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other wireless safety belt monito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10, a seat belt clip 20 fastened to the buckle 3 of the transmitter 10, a clip 1 of the transmitter 10 A seat belt buckle 30, a smartphone 40 or a receiver module 60,

이러한 송신기(10)는 차량에 장착된 안전벨트의 수에 따라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송신기(10)는 클립(1), 센서(2, 4), 버클(3), 송신기(10)의 온(on) 상태와 블루투스 온(on)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 송신기(10)의 파워를 온(on) 시키며, 수신기(50)와의 페어링을 위한 버튼(6), 안전벨트의 클립과 버클(20, 30)과의 체결을 해제하는 버튼(7)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0)의 클립(1)은 안전벨트 버클(30)과 체결될 수 있고, 송신기(10)의 버클(3)은 안전벨트 클립(20)과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기(10)는 휴대 가능하다. 따라서, 수신기 모듈(60)이 장착된 모든 차량 또는 스마트폰(40)에 수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든 차량에서 사용가능하다.A plurality of such transmitters 10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at belts mounted on the vehicle. The transmitter 10 includes a display section 5 for displaying the on state and the Bluetooth on state of the clip 1, the sensors 2 and 4, the buckle 3 and the transmitter 10, the transmitter 10 A button 6 for pairing with the receiver 50 and a button 7 for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clip of the seat belt and the buckles 20 and 30. The clip 1 of the transmitter 10 can be fastened to the seat belt buckle 30 and the buckle 3 of the transmitter 10 can be fastened to the seat belt clip 20. [ Such a transmitter 10 is portable. Therefore, it can be used in all the vehicles in which the receiver module 60 is mounted or in all the vehicles used by the user with the receiv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40.

송신기(10)와 수신기(50)의 통신 연결과 관련하여, 본 도면 및 실시예들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using Bluetooth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applied .

수신기(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수신기 모듈(60)일 수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폰(40)일 수 있다. 별도의 수신기 모듈(60)의 경우 차량의 시거잭에 삽입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차량의 시동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연결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51)는 시거잭 뿐만 아니라 전원이 공급되는 소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receiver 50 may be a separate receiver module 60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a user's smartphone 40. In the case of a separate receiver module 60,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5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igar jack of the vehicle and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and can sense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The connection unit 51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s well as a cigar jack to receive power.

수신기 모듈(60)은 수신기 모듈(60)의 파워를 온(on) 시키며, 송신기(10)와의 페어링을 위한 버튼(52)을 포함하며, 경고신호 종료버튼(53), 수신기 모듈(60)의 온(on) 상태와 블루투스 온(on)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4), 안전벨트에 송신기(10)가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5) 또는 스피커(5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module 60 turns on the power of the receiver module 60 and includes a button 52 for pairing with the transmitter 10 and includes a warning signal end button 53, A display section 54 for displaying an on state and a Bluetooth on state and a display section 55 or a speaker 56 for outputting whether or not the transmitter 10 is fastened to the seatbelt .

수신기(50)로서 스마트폰(40)을 이용하는 경우, 수신기(50)로서 이용하기 위한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서 스마트폰(40)의 디스플레이에 경고 화면(Alert), 애플리케이션의 온/오프 화면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using the smartphone 40 as the receiver 50, it may be used to download and use the receiving application for use as the receiver 50, and may be used as a display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40, An alert screen, and an on / off screen of the application.

송신기(10)와 별도의 수신기 모듈(60)과 스마트폰(40) 중 하나일 수 있는 수신기(50)는 불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페어링될 수 있다. 송신기(10)는 송신기의 클립(1)과 버클(3)에 안전벨트 버클(30)과 클립(20)이 체결되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블루투스 저전력 신호(Bluetooth Low Energy signal)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송신기(10)와 수신기(50)의 페어링은 송신기(10)가 체결된 좌석에 탑승자가 탑승 시 개시될 수도 있다.The receiver 50, which may be one of the receiver 10 and the receiver module 60 and the smartphone 40, may be paired using the Bluetooth method. The transmitter 10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clip 1 of the transmitter and the buckle 3 via the Bluetooth low energy signal whether the seat belt buckle 30 and the clip 20 are fastened or not have. These signals can be transmitted periodically. The pairing of th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50 may be started when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seat where the transmitter 10 is engaged.

수신기(50)는 송신기(10) 또는 수신기(50)에서 인지하는 차량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에만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속도는 사람의 평균 보행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안전벨트가 송신기(10)에 체결되지 않더라도 경고할 필요성이 없으며, 특히 수신기(50)가 사용자의 스마트폰(40)인 경우라면, 사용자가 걷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40)의 수신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스마트폰(40)에서는 GPS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The receiver 50 can detec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 only when the vehicle speed recognized by the transmitter 10 or the receiver 5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is predetermined speed may be faster than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a person. If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re is no need to warn even if the seat belt is not fastened to the transmitter 10, and in particular if the receiver 50 is the user's smartphone 40, And the receiv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40 can operate, thereby preventing this. In the smartphone 40, the speed of the vehicle can be grasped through the GPS.

수신기(5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기(10)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안전벨트 체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 모듈(60)이 해당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에 장착되거나, 다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스마트폰(40)인 경우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40)을 가지고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일 때에도 수신기가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여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안전벨트 체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출력 방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수신기(5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receiver 50 may not outpu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seatbelt is fastened unles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f the receiver module 60 is mounted on a vehicle other than the vehicle, or is a smartphone 40 of a user who has boarded the other vehicle, or if the user is using a bicycle or a motorcycle with the smartphone 40 So that the receiver does not detect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and does not operate so as not to output the information on the safety belt fastening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for the output metho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and the receiver 50 may output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 vibration signal.

예컨대, 수신기 모듈(60)의 파워 온(on) 이후 또는 스마트폰(40)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 30초 내에 페어링하기 위한 송신기(10)가 검출되지 않거나, 페어링된 이후 30초 내에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안전벨트 체결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기 모듈(60)은 동작하지 않고, 스마트폰(40)의 수신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ransmitter 10 is not detected after powering on the receiver module 60 or within 30 second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40 is executed, or if the transmitter 10 , The receiver module 60 does not operate and the receiv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40 can be terminated.

더불어 수신기(5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다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스캐닝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 모듈(60)의 파워 온(on) 이후 또는 스마트폰(40)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 30초 내에 페어링하기 위한 송신기(10)가 검출되지 않거나, 페어링된 이후 30초 내에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안전벨트 체결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다시 이후 30초간 수신기(50)는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스캐닝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캐닝 과정동안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검출되면 안전벨트 체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검출되지 않으면 이러한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receiver 50 can again scan for the presence of the transmitted signal from the transmitter for a preset period of time. For example, if the transmitter 10 is not detected after powering on the receiver module 60 or within 30 second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40 is executed, or if the transmitter 10 , The receiver 50 may again scan for a period of 30 seconds to see if there is an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 [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0 is detected during the scanning proces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seatbelt is fastened can be outputted, and if it is not detected, such information can not be outputted.

스마트폰(40)의 수신 애플리케이션은 차량 속도 증가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고, 차량 속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The receiv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40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increase and can be manually execu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수신기(50)는 안전벨트 체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때, 안전벨트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미체결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송신기(10)의 코드 또는 이름이 할당된 수신기 모듈(60) 또는 스마트 폰(40)의 수신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fastened is outputted, the receiver 50 can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at belt fastening is not completed, if the seat belt is not fastened. Which may be output on the receiving application of the receiver module 60 or the smartphone 40 to which the code or name of the transmitter 10 is assigned.

이러한 메시지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설정에 따라 수신기(50)는 복수의 송신기들(10)에서 송신한 안전벨트 체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안전벨트의 체결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is message is output, the user may terminate the output of such a message.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receiver 5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safety belt fastening state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transmitters 10, and can output the fasten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safety belts.

예컨대, 비행기, 버스와 같이 다수의 탑승자가 이용하는 수단의 경우, 수신기(50)는 페어링된 송신기들 중 안전벨트 미체결 상태의 좌석에 관한 정보를 한꺼번에 수신하여, 안전벨트 체결 정보를 한꺼번에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eans used by a plurality of passengers such as an airplane and a bus, the receiver 50 can simultaneously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seats in the unfastened state of the paired transmitters at once, .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airing process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수신기(50)가 수신기 모듈(60)인 경우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송신기(10)와 수신기 모듈(60)이 온(on) 된 상태에서, 수신기 모듈(60) 측에서 송신기(10) 측으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면, 송신기(10) 측에서 요청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여 송신기(10)와 수신기 모듈(60)의 페어링이 활성화되어, 송신기(10)와 수신기 모듈(60)이 블루투스로 연결되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to 4, Fig. 4 shows a pairing process when the receiver 50 is the receiver module 60. Fig. When th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module 60 are turned on and the receiver module 60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transmitter 10 side, the transmitter 1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The pairing of th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module 60 is activated and th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module 60 are connected by Bluetooth.

도 5의 경우 수신기(50)가 스마트폰(40)인 경우의 페어링 과정에 관한 것으로, 송신기(10)가 온(on) 상태이고, 스마트폰(40)이 온(on) 상태인 경우, 스마트폰(40)에서 발견된 블루투스 연결 가능 장치 리스트에서 송신기(10)가 선택되면, 선택된 송신기(10)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기(10)는 스마트폰(40)에서 송신된 페어링 요청 신호에 응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송신기(10)와 스마트폰(40)의 페어링이 활성화되어, 송신기(10)와 스마트폰(40)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5 shows a pairing process when the receiver 50 is the smartphone 40. When the transmitter 10 is in the on state and the smartphone 40 is in the on state, When the transmitter 10 is selected from the Bluetooth connectable device list found in the phone 40, it can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selected transmitter 10. The transmitter 10 can respond to a pairing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smartphone 40 so that the pairing of the transmitter 10 and the smartphone 40 is activated so that the transmitter 10 and the smartphone 40, Can be connected via Bluetooth.

도 6에서 수신기(50)와 페어링된 모든 송신기(10)들이 수신기(50)와 블루투스로 연결된 이후, 수신기(50) 측에서 안전벨트 체결 상태를 요청한다. 수신기(50)는 이후 안전벨트 체결 상태에 대한 신호를 스캐닝하고, 송신기(10)에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송신 신호가 안전벨트 체결 또는 미체결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미체결시 미체결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체결시 체결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체결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송신기(10)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여, 안전벨트가 미체결인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기(50) 측의 경고 무시 버튼이 동작되면 수신기(50)는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All the transmitters 10 paired with the receiver 50 in Fig. 6 are connected to the receiver 50 in Bluetooth, and then the receiver 50 requests the seat belt fastening state. The receiver 50 then scans the signal for the seatbelt fastening condition and detects the transmitted signal at the transmitter 1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transmission signal is in the seatbelt fastening state or in the non-fastened state, to output a non-fastening message at the time of non-fastening, to output a fastening message at the fastening or to terminate the output. It is possible to detect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 periodically transmitted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user when the seat belt is not tightened. When the ignore warning button on the receiver 50 side is operated, the receiver 50 can terminate the outpu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송신기 40 : 스마트폰
50 : 수신기 60 : 수신기 모듈
100 :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10: Transmitter 40: Smartphone
50: receiver 60: receiver module
100: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Claims (14)

안전벨트의 버클과 클립이 체결되며, 상기 버클과 클립의 체결 여부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 또는 수신기에서 인지하는 차량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At least one transmitter to which a buckle and a clip of the seat belt are engaged and transmits a signal as to whether or not the buckle and the clip are engaged; And
And a receiver for detec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outputting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fastened,
Wherein the receiver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nly when the vehicle speed recognized by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페어링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re paired using a Bluetooth scheme,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버클과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및 클립과 체결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er includes a buckle and a clip, and is fastened to the buckle and clip of the seat belt.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및 클립과의 체결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및 클립과의 체결을 해제하는 버튼; 및
상기 송신기의 온(on) 상태와 블루투스 온(on)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er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seat belt is engaged with the buckle and the clip;
A butt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eat belt with the buckle and the clip;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n state and a Bluetooth on state of the transmitter,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차량의 시거잭과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차량의 시동 여부를 센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includes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cigar jack of the vehicle to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and to sense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or not,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r includes a smartphone,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신기의 파워 온(on) 및 블루투스 온(on)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peaker or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fastene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ower on state and a Bluetooth on state of the receiver,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받으면 상기 페어링 요청에 응답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is responsive to the pairing request when receiving a pairing request from the receiver,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기와의 연결을 선택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er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receiver,
Wherein the receiver receives the pairing request signal and selects a connection with the transmitter,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버클과 클립의 체결 여부에 대한 신호를 블루투스 저전력 신호(Bluetooth Low Energy signal)를 통해 송신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er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buckle and the clip are fastened to each other via a Bluetooth low energy signal,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버클과 클립의 체결 여부에 대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periodically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buckle and the clip are fastened together,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does not outpu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fastened unles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기는 다시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if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s not det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receiver again looks for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for the predetermined time.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속도는 사람의 평균 보행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speed is greater than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the person.
Wireless seat belt monitoring system.
KR1020140173382A 2014-12-04 2014-12-04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KR201600676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82A KR20160067677A (en) 2014-12-04 2014-12-04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82A KR20160067677A (en) 2014-12-04 2014-12-04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677A true KR20160067677A (en) 2016-06-14

Family

ID=5619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382A KR20160067677A (en) 2014-12-04 2014-12-04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7677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946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Registration Method of Sub-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Buckle System
KR20210022948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Sub-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Buckle System and Battery Power Consumption Predicting Method of Sub-Communication Unit
KR20210022947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for Wireless Buckle System
KR20210022949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Wireless Buckle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WO2021145714A1 (en) * 2020-01-16 2021-07-22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Method for operating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for wireless buckle system
KR20210092418A (en)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for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of Wireless Buckle System
KR20240047102A (en) 2022-10-04 2024-04-12 박건호 System for sensing whether wearing safety belt device for construction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946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Registration Method of Sub-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Buckle System
KR20210022948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Sub-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Buckle System and Battery Power Consumption Predicting Method of Sub-Communication Unit
KR20210022947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for Wireless Buckle System
KR20210022949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Wireless Buckle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WO2021145714A1 (en) * 2020-01-16 2021-07-22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Method for operating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for wireless buckle system
KR20210092418A (en)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for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of Wireless Buckle System
KR20240047102A (en) 2022-10-04 2024-04-12 박건호 System for sensing whether wearing safety belt device for construction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7677A (en)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US10407021B2 (en) Child safety in a vehicle alert system and method
KR101889963B1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getting on and getting off vehicle
US9987892B2 (en) Trailer safety chain attachment monitoring system
US9845050B1 (en) Intelligent vehicle occupancy monitoring system
US8478482B2 (en) Position detection for activation of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20140361889A1 (en) Child Occupancy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US20160078737A1 (en) Car seat occupant detection and ale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6037945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lert for an infant in a car seat
JP2014500550A5 (en)
GB2546141A (en) Child se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400850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Orientation, Tensioning, and Installation of a Child Safety Restraint
WO2012116354A3 (en) Warning system for detecting infant seat buckle securement
KR101740508B1 (en) Seat belt monitoring system
CN1043492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battery life in a remote device
JP6358917B2 (en) Wireless seatbelt wearing detector
WO2006113734A2 (en) Warning system for signaling to a vehicle operator that a child has been left unattended in an infant seat
EP2771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orientation, tensioning, and installation of a child safety restraint
US11562636B2 (en) Child safety seat checking system, and child safety seat checking method
US10848610B1 (en) Apparatus to alarm drivers when an infant is left in a vehicles unattended
US8849239B2 (en) Impact sen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205871982U (en) To prevent children from safety device in car that passes into silence
KR20100036451A (en) Ubiquitous sensor network system
KR102407775B1 (en) System for confirming kid in school bus
US20170053510A1 (en) Simple RF Enabled Child Restraint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