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480A -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480A
KR20160067480A KR1020140172939A KR20140172939A KR20160067480A KR 20160067480 A KR20160067480 A KR 20160067480A KR 1020140172939 A KR1020140172939 A KR 1020140172939A KR 20140172939 A KR20140172939 A KR 20140172939A KR 20160067480 A KR20160067480 A KR 20160067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vehicle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511B1 (ko
Inventor
정훈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5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별 유효 통신망 정보에 따라 차량용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 서버에 접속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유효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 유효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에서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유효 판단부; 및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위치에서 제1 통신 또는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위치에서 제1 통신만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communication based on lo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등 차량용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에도 LTE(Long-Term Evolution) 특히 VoLTE(Voice over LTE)가 적용된 모뎀이 탑재되는 경향이 증가 추세이다.
그런데 북미와 같이 국토 면적이 넓은 지역에서는 LTE 커버리지(Coverage)를 구축하기까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도 차량용 통신에 3G 커버리지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음성 통화에 3G 커버리지를 이용하고 데이터 송수신에 LTE 커버리지를 이용함으로써 3G 커버리지와 LTE 커버리지를 함께 이용하는 지역도 있으며, VoLTE 대신에 SvLTE(Simultaneous voice LTE)를 이용하는 지역도 있다.
이와 같이 지역마다 서로 다른 통신망을 사용하고 있는데, 차량으로 장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종래에는 차량용 통신의 변경이 필요하면 운전자가 이를 수동으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3-0322310호는 텔레매틱스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통신 모듈들 간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역별 유효 통신망 정보에 따라 차량용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유효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유효 판단부; 및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 또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만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 접속부는 상기 제1 통신으로 3G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상기 제2 통신으로 LTE 통신 또는 4G 통신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상기 제2 통신으로 상기 제1 통신보다 상위 세대(Generation)인 통신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각 통신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상기 통신 대상으로 데이터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면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상기 서버에 의해 관할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위치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다시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유효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 또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만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으로 3G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으로 LTE 통신 또는 4G 통신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으로 상기 제1 통신보다 상위 세대(Generation)인 통신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각 통신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대상으로 데이터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면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관할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하는 단계 이전에,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다시 획득한다.
본 발명은 지역별 유효 통신망 정보에 따라 차량용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센터에 연동 처리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해진다.
둘째, 특정 지역에서 사용되던 통신망이 변경되더라도 차량이 적응적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세째, 차량에 장착된 모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능동적으로 전원 OFF시켜 전력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위치에 기반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이 이용할 통신망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차량의 헤드 유닛이 변경 가능한 통신망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도이다.
도 4는 VoLTE 설정 변경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량 내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에도 최신 기술인 VoLTE(Voice over Long-Term Evolution)가 적용된 모뎀이 점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토 면적이 넓은 북미의 경우 아직 3G Coverage가 넓고, 아직 LTE Coverage는 구축 중에 있다. 또한 LTE를 VoLTE로 아닌 SvLTE (Simultaneous voice LTE)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3G망이 철거되는 시점인 2020년까지는 SvLTE로 사용될 전망이다. 즉, 데이터 통신은 LTE망으로, 음성 통화는 3G망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국가별 통신사의 정책에 따른 LTE 지원 정책에 따라 유동적으로 LTE 설정을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북미 Verizon의 경우 LTE망 도입에 따른 3G망 철거 정책에 따라 VoLTE를 위해 사용자가 해당 시점에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도 4는 VoLTE 설정 변경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스마트폰에서는 VoLTE를 HD 보이스로 명칭되고 있으며, VoLTE 지원 스마트폰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텔레매틱스 센터를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해당 설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로 인해 얻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설정 없이 자동으로 센터 연동으로 망네트워크 설정이 된다.
둘째, 핸드폰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해야 하나, 텔레매틱스의 경우 고객이 해당 설정을 인지하거나 조작할 필요가 없다.
세째, 사용하지 않는 모뎀에 대해 능동적으로 오프(OFF)시켜 차량의 불필요한 대기 소모 전류 방지를 할 수 있다.
네째, 사용자 조작 없이 센터에서 보내는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필요한 시점에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에 설정이 내려가게 되며, 이로 인해 HD급 고음질 통화, 빠른 통화 연결 시간, 3G망 철거에 따른 대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100)은 제1 서버(110), 제2 서버(120),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 130) 및 헤드 유닛(140)을 포함한다.
제1 서버(110)는 통신망 회사에 구축된 서버이다. 그리고 제2 서버(120)는 기지국 등 센터에 구축된 서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서버(110)와 제2 서버(120)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헤드 유닛(140)은 GPS 안테나(151), 3G 안테나(152), LTE 안테나(153), 3G 모뎀(154), LTE 모뎀(155), BT 모듈(156), WiFi 모듈(157), GPS 수신기(158), 통신 모듈(159), 제어부(161), 저장부(162), 전원부(163), 화면 표시부(164), 사운드 출력부(165) 및 스피커(166)를 포함한다.
헤드 유닛(140)은 차량용 AVN 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다.
GPS 안테나(151)는 GPS 수신기(158)의 제어에 따라 GPS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GPS 수신기(158)는 GPS 안테나(151)로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6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3G 안테나(152)는 무선 통신망(130)으로 3G망을 이용하여 제2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3G 모뎀(154)은 3G 안테나(152)로 수신된 신호를 통신 모듈(159)을 거쳐 제어부(16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LTE 안테나(153)는 무선 통신망(130)으로 LTE망을 이용하여 제2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LTE 모뎀(155)은 LTE 안테나(153)로 수신된 신호를 통신 모듈(159)을 거쳐 제어부(16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BT 모듈(156)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내에 탑승한 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WiFi 모듈(157)은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V2X 통신을 수행하거나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59)은 3G 모뎀(154), LTE 모뎀(155), BT 모듈(156) 및 WiFi 모듈(157)을 제어하며, 3G 모뎀(154), LTE 모뎀(155), BT 모듈(156) 및 WiFi 모듈(157)로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6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1)는 헤드 유닛(140)의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62)는 제어부(161)로 입력된 데이터나 제어부(161)의 처리 결과로 얻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63)는 헤드 유닛(14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면 표시부(164)는 제어부(161)의 처리 결과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운드 출력부(165)와 스피커(166)는 제어부(161)의 처리 결과 등을 청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차량에서는 무선 통신용 모뎀으로 대개 두개의 모뎀을 사용하는데, 하나는 3G 모뎀(154)이고 다른 하나는 LTE 모뎀(155)이다.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갖춘 차량의 경우 시동을 끈 후 차량이 대기 상태에 진입하면 대개의 경우 원격 서비스를 하기 위해 최소 전력 모드로 일정 시간(ex. 96시간)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 이때 차량 내에서는 대기 소모 전류(암전류)를 줄이기 위해 기존 많이 사용되는 3G 모뎀(154)만 켜 놓는다. 그 이유는 원격 서비스시 센터측 서버(120)로부터 오는 메시지(SMS 또는 패킷)을 받기 위해서이다.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3G 모뎀(154)을 먼저 켠 후 텔레매틱스 센터측 서버(120)와 통신을 한다. 이때 차량의 헤드 유닛(140)은 운행 정보, 진단 정보, 차량 상태, 정기 점검 등의 서비스를 센터측 서버(120)에 보내게 된다.
또한 헤드 유닛(140)은 GPS 수신기(158)를 통해 획득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연결된 망 정보 등 차량이 현재 사용하는 통신망 정보를 센터측 서버(1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헤드 유닛(140)은 통신망 정보를 "위도 42.1234, 경도 -83.1234, 연결망 3G, 연결 성공"과 같은 형태로 전송한다.
텔레매틱스 센터측 서버(120)에서는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통신사의 VoLTE Coverage 정보를 통해 해당 지역 인근의 VoLTE망 지원 여부를 확인한다. 차량이 통신사의 VoLTE Coverage 정보 내에 해당 위치가 있다면 센터측 서버(120)는 차량의 헤드 유닛(140)에 LTE Preferred로 세팅할 것을 요청한다.
헤드 유닛(140)은 VoLTE Preferred를 받은 후 해당 세팅으로 변경을 시도한다. 만약 VoLTE망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 헤드 유닛(140)은 다시 Rollback하여 3G로 연결하고 실패 정보를 위치와 함께 텔레매틱스 센터측 서버(120)로 보낸다.
텔레매틱스 센터측 서버(120)는 해당 정보를 통해 차량별로 VoLTE망 연결 성공/실패에 대한 통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BIG DATA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텔레매틱스 센터측 서버(120)는 차량별 VoLTE 성공과 실패 정보에 대한 확률 정보를 통신망 회사 서버(110)로 전달하여 Coverage를 ?히도록 요청한다. 여기서 x %는 일부망 지원의 기준 확률이고, y %는 전체망 지원의 기준 확률로 삼는다. x %와 y %의 기준은 텔레매틱스 센터 정책에 따른다. 가령 x가 90%이고, y가 99%이면 일부 지원 기준으로 90% 확률로 VoLTE 접속에 성공한다는 뜻이고, 전체 지원 기준으로 99% 확률로 접속에 성공한다는 뜻이다.
북미의 경우 2020년 이후가 되어 VoLTE로 운영되는 게 효율적인 경우가 되면, 망에서는 VoLTE Preferred(4G 네트워크 우선 연결) 세팅을 내려준다. 해당 세팅은 대기 모드에서는 3G 모뎀(154)과 VoLTE 모뎀(155) 두개를 켜두고 대기하고, 초기 부팅시에는 VolTE로 먼저 망에 연결하고 실패하면 3G에 연결하는 상태이다. 해당 시점에 점진적으로 3G망이 철거되므로 이에 따른 임시 연결 방식이다.
통신망 사업자에서 3G가 완전히 철거되면 더이상 3G 모뎀(154)의 사용은 대기 전력을 소모하므로 불필요하게 된다. 차량의 헤드 유닛(140)에서 VoLTE Preferred로 센터측 서버(120)에 보내면 이제 텔레매틱스 센터에서는 응답을 VoLTE Only로 응답한다.
해당 방식의 경우 헤드 유닛(140)은 3G 모뎀(154)을 완전히 끄고, 대기 모드나 동작 모드 모두 VoLTE 모뎀(155)으로만 동작되게 하여 불필요한 대기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VoLTE로만 동작되므로 Voice로 LTE로 동작하게 된다.
도 2는 위치에 기반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이 이용할 통신망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한다.
헤드 유닛(140)은 먼저 3G망(210)으로 제2 서버(12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통신망 정보를 획득한다.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에서의 커버리지가 VoLTE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241), 헤드 유닛(140)은 계속해서 3G망(210)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음성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반면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에서의 커버리지가 VoLTE를 지원하고 성공률이 x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244), 헤드 유닛(140)은 VoLTE Preferred(220)로 무선 통신 모드를 변경한다.
이후 헤드 유닛(140)은 이용할 통신망을 VoLTE망으로 변경한다(242). 이용할 통신망이 VoLTE망으로 정상적으로 변경되면, 헤드 유닛(140)은 데이터 통신의 경우 VoLTE망을 이용하며, 음성 통화의 경우 3G망(210)을 이용한다. 반면 이용할 통신망이 VoLTE망으로 정상적으로 변경되지 않으면, 헤드 유닛(140)은 연결 실패를 서버에 통지하고(247), 3G망(210)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에서의 커버리지가 VoLTE를 지원하고 성공률이 y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245), 헤드 유닛(140)은 VoLTE Only(230)로 무선 통신 모드를 변경한다.
이후 헤드 유닛(140)은 이용할 통신망을 VoLTE망으로 변경한다(243). 이용할 통신망이 VoLTE망으로 정상적으로 변경되면, 헤드 유닛(140)은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 모두 VoLTE망을 이용한다. 반면 이용할 통신망이 VoLTE망으로 정상적으로 변경되지 않으면, 헤드 유닛(140)은 연결 실패를 서버에 통지하고(248), VoLTE Preferred(220)로 모드를 변경한다.
한편 현재 모드가 VoLTE Preferred(220)인 상태에서 현재 위치에서의 커버리지가 VoLTE를 지원하고 성공률이 y %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246), 헤드 유닛(140)은 VoLTE Only(230)로 모드를 변경한다.
도 3은 차량의 헤드 유닛이 변경 가능한 통신망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3에서 3G는 헤드 유닛(140)이 3G망(210)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즉 헤드 유닛(140)이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 모두 3G망(210)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그리고 LTE 일부망은 헤드 유닛(140)이 VoLTE Preferred 모드(22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즉 헤드 유닛(140)이 데이터 통신의 경우 LTE망을 이용하며 음성 통화의 경우 3G망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또한 LTE 전체망은 헤드 유닛(140)이 VoLTE Only 모드(23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즉 헤드 유닛(140)이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 모두 LTE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의 헤드 유닛(140)이 3G로 대기한다(S505).
이후 헤드 유닛(140)이 원격 서비스를 실행시킨다(S510).
차량의 시동이 ON 설정되면(S515), 헤드 유닛(140)은 센터측에 구비된 제2 서버(120)로 차량의 망 연결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S520).
이후 헤드 유닛(140)은 제2 서버(12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의 통신망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헤드 유닛(140)은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무선 통신시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별로 LTE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525).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 모두 LTE망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헤드 유닛(140)은 차량용 무선 통신을 3G 모드로 설정한 뒤(S530)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시 3G 네트워크를 이용한다(S535).
반면 데이터 통신만 LTE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헤드 유닛(140)은 차량용 무선 통신을 VoLTE Preferred 모드로 설정한 뒤(S540) 데이터 통신시 LTE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음성 통화시 3G 네트워크를 이용한다(S545).
한편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 모두 LTE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헤드 유닛(140)은 차량용 무선 통신을 VoLTE Only 모드로 설정한 뒤(S550)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 모두 LTE 네트워크를 이용한다(S555).
이후 차량의 시동이 OFF되면(S560), 차량용 무선 통신 모드가 3G 모드인 경우 헤드 유닛(140)은 3G 모뎀만 대기 모드로 설정하고 LTE 모뎀은 OFF시킨다(S565).
반면 차량용 무선 통신 모드가 VoLTE Preferred 모드인 경우 헤드 유닛(140)은 3G 모뎀과 LTE 모뎀 모두 대기 모드로 설정한다(S570).
한편 차량용 무선 통신 모드가 VoLTE Only 모드인 경우 헤드 유닛(140)은 3G 모뎀을 OFF시키고 LTE 모뎀을 대기 모드로 설정한다(S575).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의 헤드 유닛(140)이 라스트망 연결 상태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605). 보통 Default 값은 3G이다.
한편 통신망 회사에 구축된 제1 서버(110)가 텔레매틱스 센터에 구축된 제2 서버(120)로 VoLTE 커버리지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차량의 시동이 ON되면(S610), 헤드 유닛(140)이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실행한다(S615).
이후 헤드 유닛(140)이 GPS에 기반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라스트망 연결 정보를 텔레매틱스 센터로 전송한다(S620).
이후 헤드 유닛(140)이 차량의 현재 위치가 통신망 회사에서 제공한 VoLTE 커버리지에 있고 x% 확률 이상으로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5).
차량의 현재 위치가 VoLTE 커버리지에 위치하지 않거나 x% 확률 이상으로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헤드 유닛(140)이 차량의 무선 통신 모드를 3G 모드로 설정한다(S630).
반면 차량의 현재 위치가 VoLTE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x% 확률 이상으로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헤드 유닛(140)이 y% 확률 이상으로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5). y는 x보다 더 큰 값을 가진다.
y% 확률 이상으로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헤드 유닛(140)이 차량의 무선 통신 모드를 VoLTE Preferred 모드로 설정한다(S640).
반면 y% 확률 이상으로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헤드 유닛(140)이 차량의 무선 통신 모드를 VoLTE Only 모드로 설정한다(S645).
이후 차량의 시동이 OFF되면(S650), 차량의 무선 통신 모드가 3G 모드인 경우 헤드 유닛(140)이 3G 모뎀만 대기 상태로 설정하고 LTE 모뎀을 OFF시킨다(S655).
차량의 무선 통신 모드가 VoLTE Preferred 모드인 경우 헤드 유닛(140)이 3G 모뎀과 LTE 모뎀 모두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S660), 차량의 무선 통신 모드가 VoLTE Only 모드인 경우 헤드 유닛(140)이 3G 모뎀을 OFF시키고 LTE 모뎀만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S665).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는 서버 접속부,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 통신 유효 판단부, 무선 통신 제어부, 전원부 및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원부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가 차량에 구비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차량용 배터리와 MCU(또는 ECU)에 의해 구현 가능할 것이므로,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서버 접속부는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서버는 센터(ex. 텔레매틱스 센터)에 구축되는 서버를 의미한다.
서버 접속부는 제1 통신으로 3G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서버에 접속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유효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유효 판단부는 유효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에서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유효 판단부는 제2 통신으로 LTE 통신 또는 4G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유효 판단부는 제2 통신으로 제1 통신보다 상위 세대(Generation)인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유효 판단부는 각 통신 대상에 대하여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유효 판단부는 통신 대상으로 데이터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는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위치에서 제1 통신 또는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위치에서 제1 통신만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는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면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서버에 의해 관할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는 위치 정보 획득부와 차량 위치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위치 판단부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통신망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버 접속부가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이후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가 서버에 접속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유효 통신망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통신 유효 판단부가 유효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에서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통신 제어부가 현재 위치에서 제1 통신 또는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반면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통신 제어부가 현재 위치에서 제1 통신만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서버에 의해 관할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 점을 참작할 때 서버 접속부가 서버에 접속하기 전에, 위치 정보 획득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어서 차량 위치 판단부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통신망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 접속부;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유효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유효 판단부; 및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 또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만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접속부는 상기 제1 통신으로 3G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상기 제2 통신으로 LTE 통신 또는 4G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상기 제2 통신으로 상기 제1 통신보다 상위 세대(Generation)인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각 통신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효 판단부는 상기 통신 대상으로 데이터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면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상기 서버에 의해 관할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위치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 획득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다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9.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유효 통신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 또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통신만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으로 상기 제1 통신보다 상위 세대(Generation)인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각 통신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통신 대상의 경우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제1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면 상기 제2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관할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 통신망 정보를 다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방법.
KR1020140172939A 2014-12-04 2014-12-04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9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39A KR102394511B1 (ko) 2014-12-04 2014-12-04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39A KR102394511B1 (ko) 2014-12-04 2014-12-04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480A true KR20160067480A (ko) 2016-06-14
KR102394511B1 KR102394511B1 (ko) 2022-05-06

Family

ID=5619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939A KR102394511B1 (ko) 2014-12-04 2014-12-04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5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9805B1 (en) 2015-02-25 2020-12-01 Bernadette de Isaza Bed
CN112016714A (zh) * 2019-05-29 2020-12-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服务提供系统、车辆以及用于提供服务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375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30012180A1 (en) * 2010-07-26 2013-01-10 Ari Backholm Mobile device radio use optimization by batching low priority requests
WO2013119025A1 (ko) * 2012-02-06 2013-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등한 plmn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14036340A (ja) * 2012-08-08 2014-02-24 Yazaki Energy System Corp 車両用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2180A1 (en) * 2010-07-26 2013-01-10 Ari Backholm Mobile device radio use optimization by batching low priority requests
KR20120066375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3119025A1 (ko) * 2012-02-06 2013-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등한 plmn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14036340A (ja) * 2012-08-08 2014-02-24 Yazaki Energy System Corp 車両用通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9805B1 (en) 2015-02-25 2020-12-01 Bernadette de Isaza Bed
CN112016714A (zh) * 2019-05-29 2020-12-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服务提供系统、车辆以及用于提供服务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511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7006B2 (en) Processing system, wireless device and method
US88741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standby operation for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US9301252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modems
JP5799453B2 (ja) Wi−Fiネットワークに自動的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KR101276860B1 (ko)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7851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device
EP23082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information with a femtocell wireless base station
US20120309373A1 (en) Proximity-Based Application Activation
WO2014166401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ccess map and applications
US8706136B2 (en) Initialization of regulatory configurations of unlicensed wireless devices
CN103718628A (zh) 用于在支持多无线电接入技术的无线接入系统中高效地执行寻呼的方法和设备
CN107820302B (zh) 移动终端无线局域网扫描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US201402191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a Device
US20160269356A1 (en) Enhancing dns availability
WO2013061275A1 (en) Processing system, wireless device and method
CN111988765B (zh) 一种用于载具的蜂窝通信系统
TWI703893B (zh) 通訊控制裝置及通訊控制方法
US103978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30337128A1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JP4810439B2 (ja) 情報処理装置
CN108012304B (zh) 无线局域网扫描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15143917A1 (zh) 终端、集群系统及其定位站点的方法
KR102394511B1 (ko) 위치 기반 차량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30223369A1 (en) Method,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user equipment
JP607261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