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088A -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088A
KR20160063088A KR1020140166645A KR20140166645A KR20160063088A KR 20160063088 A KR20160063088 A KR 20160063088A KR 1020140166645 A KR1020140166645 A KR 1020140166645A KR 20140166645 A KR20140166645 A KR 20140166645A KR 20160063088 A KR20160063088 A KR 2016006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smart key
smart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4016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088A/en
Publication of KR2016006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0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mart device, a smart key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e smart device allows an application exclusively used to control a vehicle to be installed thereon and be executed. The smart key remotely controls at least one of various function operation parts installed on the vehicle, and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and with the vehicl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llows the vehic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mart key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remaining operation parts except for the various function operation parts controlled by the smart key by using data of the smart device, which is provided through the smar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nience for a user is improved.

Description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which improves user convenience and enables safe driving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원격에서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원격무선장치가 구비된다. Generally,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remote radio apparatus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portions of the vehicle while being remotely remote from the vehicle by a user while carrying it.

원격무선장치는 최근에는 단순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능에서 더 나아가 차량의 도난 방지 기능이 부가된 스마트 키로써, 정상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에만 차량의 기능 동작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the remote radio device has been equipped with a smart key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from a function capable of simp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provided to control the functional operation part of the vehicle only when authenticated as a normal user, Research and development.

그러나, 스마트 키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기기인 바, 컴팩트하거나 휴대성이 좋을 것이 요구되는데, 기능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사이즈가 비대해지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smart key is required to be carried by the user at all times, it is required to be compact and portable. In order to pursue a variety of functions, various parts must be added, there was.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 스마트 기능들이 각광을 받고 있고, 이와 같은 스마트 기능들이 자동차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Meanwhile, as smartphones have become widespread in the world in recent years, various smart functions are getting popular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uch smart functions are being expanded to the area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which improves user convenience and enables safe driv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 가능한 스마트 기기와,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한 스마트 키와, 상기 스마트 키를 통해 상기 차량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키를 통해 제공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 의하여 조절되는 상기 각종 기능 동작부 외의 나머지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key interlocking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mart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and various function operating units installed in the vehicle, A smart key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and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nd enabling the vehic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mart key, and using data of the smart device provided through the smart key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remaining function operation units other than the various function operation units controlled by the smart key.

여기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키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되, 상기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한 정상 사용자 인증 시에만 상기 스마트 키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smart device and the smart key ar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smar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llow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only during normal user authentication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 목적지를 확정 부여하면, 지피에스(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연동되어 상기 목적지까지 자율 주행하도록 상기 차량의 주행부를 제어하는 자율주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목적지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확정 부여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utonomic drive control unit operable to control the drive unit of the vehicle so as to autonomously travel to the destination in cooperation wit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hen the user determines the driv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he driving destination data of the vehicle can be confirmed and given from the smart device.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키 사이의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1차 전달되고, 상기 스마트 키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닛 사이의 LF 및 RF 통신을 통하여 2차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from the sensor un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device and the smart key And can be transmitted secondarily through LF and RF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key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또한, 상기 각종 기능 동작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따라 상이한 소리, 진동 및 빛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 상기 진동을 스티어링 핸들 또는 시트로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 상기 빛을 출력하는 조명 시스템일 수 있다. The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units may include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one of different sounds, vibrations, and lights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n audio system for outputting the sound, A vibr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light to the sheet, and an illumination system for outputting the light.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상기 스마트 키를 매개로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고,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may receiv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via wireless communication via the smart key,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또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는, 차량의 연비,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배터리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includ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and battery charge amount when the vehicle is a hybrid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마트 키를 매개로 스마트 폰과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을 연동시킴으로써 차량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스마트 폰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사용자가 활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의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key interlocking system in which a smart key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vehicle are interlocked via a smart key, Thereby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enabling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기기(10)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마트 기기(10)와 스마트 키(20) 및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30)을 포함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mart device 10 interworking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mart device 10, a smart key 20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30 of the vehicle.

여기서, 스마트 기기(1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타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 적어도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 기기 전부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기기(10)는, 상술한 각종 무선통신 기기와 연동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도 포함될 수 있다. 최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계나 안경과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The smart device 10 may b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other tablet PCs (Tablet PCs), all of which are capable of at least Bluetooth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10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interlocked with th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described above. Recent wearable devices are equipped with a form such as a watch or a pair of glasses, and are becoming one of important means of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스마트 기기(10)는, 내장된 모바일용 OS를 통해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 가능한 기기이어야 한다.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 어플리케이션, 차량의 실시간 주행 맵을 GPS로부터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차량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관리하는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0 must be a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related to the vehicle through an embedded mobile OS. The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application for user authentication, a navigation application for receiving a real-time driving map of the vehicle from the GPS, a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nd a healthcare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may be an application that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한편, 스마트 키(20)는, 스마트 기기(10)와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송수신 안테나가 내장되는 것에 한정되고, 스마트 기기(10)에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사전 페어링 과정이 선행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The smart key 20 is limited to a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so as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10, and a pre-pairing process for Bluetooth communication is preceded by the smart device 10, It should be.

아울러, 스마트 키(20)는, 차량의 스마트키 제어 유닛과 LF 및 RF 통신을 통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동되어,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차량의 엔진 작동 온(ON), 차량의 사이드 도어 잠금, 차량의 트렁크 도어 잠금 및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폴딩 작동(ON) 등 차량의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무선통신 장치이다. In addition, the smart key 20 is interlocked with the smart key control unit of the vehicle through LF and RF communication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the mutual data, so that among the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units of the vehicle, Such as a door lock, a trunk door lock of a vehicle, and a folding operation (ON) of a side mirror of a vehicle, from a remote location.

한편, 전자 제어 유닛(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키(20)를 통해 차량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스마트 키(20)를 통해 제공된 스마트 기기(1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20)에 의하여 조절되는 상기 각종 기능 동작부 외의 나머지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allows the vehicle to communicate wirelessly via the smart key 20 and uses the data of the smart device 10 provided through the smart key 20 as described abov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function operation units other than the various function operation units controlled by the smart key 20.

여기서의 전자 제어 유닛(30)은, 차량 전체를 통괄하는 유닛일 수 있으나, 스마트 키(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근거로만 작동되는 스마트키 제어 유닛에 한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전자 제어 유닛(30)이 스마트키 제어 유닛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유닛은 모두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할 것이다. He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may be a unit that manages the entire vehicle, but may be limited to a smart key control unit operated only on the basis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20. [ Howeve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mart key control unit,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units of the vehicle is all included in the concep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0)와 스마트 키(20)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되, 스마트 기기(10)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한 정상 사용자 인증 시에만 스마트 키(2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1, the smart device 10 and the smart key 20 ar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smart device 10 can communicate with the smart device 10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of the user It may be provided to allow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20 only at normal user authentication.

일반적으로, 2개의 기기 간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사전 페어링 과정을 거치는 것은 당연하나, 본 발명의 발마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페어링 과정과 같은 1차 보안 과정을 포함함은 물론, 스마트 기기(10)를 통하여 스마트 키(20)와 연동시키는 경우에는 보다 강력한 보안 수단으로서, 스마트 키(20)의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항목 중 하나인 지문인식 항목을 통하여 사용자 지문이 정상적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블루투스 통신이 허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Generally, it is natural to perform a pre-pairing process in order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urity process such as a pairing process is include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fingerprint is normally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items of the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smart key 20 as the stronger security means, .

한편, 전자 제어 유닛(30)은,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 목적지를 확정 부여하면, 지피에스(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연동되어 목적지까지 차량이 자율 주행하도록 차량의 주행부를 제어하는 자율주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includes an autonomous driv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e unit of the vehicle so as to autonomously drive the vehicle to a destination in cooperation wit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hen the user definitively determines the drive destination of the vehicle can do.

여기서, 차량의 주행 목적지와 관련된 데이터는 스마트 기기(10)의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항목 중 하나인 네비게이션 항목으로부터 확정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10)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 목적지 데이터를 전자 제어 유닛(30)으로 전달하게 되면, 사용자는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30)과 스마트 키(20)가 상호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원거리에서 미리 스마트 기기(10)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 목적지 데이터를 검색 확정할 수 있고, 확정된 차량의 주행 목적지는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차량에 접근하는 순간 미리 스마트 키(20)를 매개로 전자 제어 유닛(30)으로 차량의 주행 목적지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곧바로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로 주행할 수 있는 주행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Here, the data related to the travel destination of the vehicle can be determined from the navigation item, which is one of the items of the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10. When the driving destination data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through the smart device 1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lect the remote control unit 30 and the smart key 20, The driving destination data of the vehicle can be searched and confirmed through the smart device 10 in advance, and the driving destination of the determined vehicle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by using the smart key 20 via the smart key 20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for using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30 is provided with a driving destina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ing environment in which the vehicle can travel in the self-running mode immediately after the user does not perform any action can be realized.

한편, 스마트 기기(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술한 센서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거나 심전도를 측정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현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mart devic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may be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sensor unit to sense a pulse of a user, measure an electrocardiogram, and measure body temperature of a user to collect biometric information of a current user.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차량에 설치된 비디오 시스템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음은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닛(30)에 의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심각한 수준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경고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video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alyz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can be displayed in a serious Level, the user can be alerted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level.

이와 같이,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스마트 기기(10)와 스마트 키(20)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1차 전달되고, 스마트 키(20)와 전자 제어 유닛(30) 사이의 LF 및 RF 통신을 통하여 2차 전달되어 전자 제어 유닛(30)으로 하여금 제공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분석한 후 그에 맞는 차량의 주행 환경을 부여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from the sensor unit is transmitted first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device 10 and the smart key 20 and is transmitted to the smart key 20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key 20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 LF and RF communication so tha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analyzes the provid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gives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예를 들면,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는, 생체 정보에 따라 상이한 소리, 진동 및 빛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units of the vehicle may include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ny one of sound, vibration and light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출력 장치는,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 진동을 스티어링 핸들 또는 시트로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 빛을 출력하는 조명 시스템일 수 있다. The output device may be an audio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 vibr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vibration to a steering wheel or a seat, and an illumination system for outputting light.

오디오 시스템은, 영상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시스템을 포함하는 AVN 시스템의 한 구성일 수 있다. The audio system may be one configuration of an AVN system that includes a video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externally.

여기서, 전자 제어 유닛(30)은,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주행을 직접 하기에 부적합한 정도로 분석된 경우에는 오디오 시스템 또는 진동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심각한 상황에 처한 경우에는 즉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여 안전한 공간으로의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He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can warn the user through the audio system or the vibration output unit when the collect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s analyzed to an extent unsuitable for direct driving, and when the user is in a more serious situa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switch to the self-running mode to induce parking in a safe space.

또한, 전자 제어 유닛(30)은,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졸음 운전을 유발하거나 극도로 흥분한 상태에 해당되어 주행이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졸음 운전을 회피하면서도 안정적인 주행 환경이 조성되도록 상술한 오디오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인 감정 상태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주행 환경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llect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s caused to cause drowsy driving or is extremely excited and analyzed as being unsuitable for driving,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raveling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stably travel in a stable emotional state through the audio system and the lighting system.

이처럼, 스마트 기기(10)는, 전자 제어 유닛(30)으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스마트 키(20)를 매개로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고, 차량의 상태 정보를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 가능함은 물론, 적극적으로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 상태가 가능하도록 전자 제어 유닛(30)과 연동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device 1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via the smart key 20 via wireless communication, confirm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 And is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 so as to positively enable a stabl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여기서, 사용자가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차량의 상태 정보는, 차량의 연비,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배터리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confirm through the application for vehicle control only may includ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and battery charge amount when the vehicle is a hybrid vehicl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mart key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스마트 기기 20: 스마트 키
30: 전자 제어 유닛
10: smart device 20: smart key
30: Electronic control unit

Claims (7)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 가능한 스마트 기기와;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한 스마트 키와;
상기 스마트 키를 통해 상기 차량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키를 통해 제공된 상기 스마트 기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 의하여 조절되는 상기 각종 기능 동작부 외의 나머지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A smart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 smart key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device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remotel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various functional operation unit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smart key enables the vehic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function operation units other than the various function operation units controlled by the smart key using the data of the smart device provided through the smart key A smart device interlocking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키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되,
상기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한 정상 사용자 인증 시에만 상기 스마트 키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허용하는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device and the smart key ar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Bluetooth communication,
Wherein the smart device permit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only during normal user authentication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of the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 목적지를 확정 부여하면, 지피에스(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연동되어 상기 목적지까지 자율 주행하도록 상기 차량의 주행부를 제어하는 자율주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목적지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확정 부여되는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mprises:
And an autonomic drive control unit operable to control the drive unit of the vehicle so as to autonomously travel to the destination in cooperation wit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hen the user determines the drive destination of the vehicle,
Wherein the driving destination data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y the smart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키 사이의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1차 전달되고, 상기 스마트 키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닛 사이의 LF 및 RF 통신을 통하여 2차 전달되는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from the sensor unit,
Wherein the smart key is transmitted first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device and the smart key, and is secondarily transmitted through LF and RF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key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종 기능 동작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따라 상이한 소리, 진동 및 빛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시스템, 상기 진동을 스티어링 핸들 또는 시트로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 상기 빛을 출력하는 조명 시스템인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above-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ny one of different sounds, vibrations, and lights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Wherein the output device comprises:
An audio system for outputting the sound, a vibr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ibration as a steering wheel or a seat, and a lighting system for outputting the l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상기 스마트 키를 매개로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고,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device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via wireless communication via the smart key,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ehicle control dedicated applic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는, 차량의 연비,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배터리 충전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마트 기기 연동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cludes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and battery charge amount when the vehicle is a hybrid vehicle.
KR1020140166645A 2014-11-26 2014-11-26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KR201600630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45A KR20160063088A (en) 2014-11-26 2014-11-26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45A KR20160063088A (en) 2014-11-26 2014-11-26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88A true KR20160063088A (en) 2016-06-03

Family

ID=5619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645A KR20160063088A (en) 2014-11-26 2014-11-26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08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092A (en) *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sensor platform
CN111559342A (en) * 2020-05-26 2020-08-2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KR20210079604A (en) * 2019-12-20 2021-06-30 박정현 Glasses unit for improving concentration of driver
CN113715773A (en) * 2020-05-26 2021-11-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092A (en) *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sensor platform
KR20210079604A (en) * 2019-12-20 2021-06-30 박정현 Glasses unit for improving concentration of driver
CN111559342A (en) * 2020-05-26 2020-08-2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CN113715773A (en) * 2020-05-26 2021-11-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N111559342B (en) * 2020-05-26 2022-01-2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7920B2 (en) Vehicles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US11145190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s and methods
KR10230390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for vehicle
CN107580104B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502862A1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EP3132435B1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201400286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sumption display method
US1063082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4134082A (en) Vehicular system, electronic key, portable terminal, and on-vehicle device
JP2013115773A (en) System in which on-vehicle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operate with each other
KR20160035841A (en) Mobile terminal and vehicle
KR102459537B1 (en) Apparatus for opening doo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60063088A (en) Smart key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 device for vehicles
KR20160121017A (en) Mobile terminal, vehicle and mobile terminal link system
CN106200894A (en)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equipment thereof
KR101714516B1 (en) Electronic device in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69810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75364B1 (en) Pairing method with obd terminal for vehicle using beacon and the obd terminal for vehicle
KR101916425B1 (en) Vehicle interface device, vehicle and mobile terminal link system
KR101859043B1 (en) Mobile terminal, vehicle and mobile terminal link system
KR101821108B1 (en) Vehicle system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KR20160089749A (en) A car display appratus for providing a car interface
KR101892498B1 (en) Vehicle interface device, vehicle and mobile terminal link system
KR20220074602A (en) Destination set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N117877309A (en) Park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