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882A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882A
KR20160061882A KR1020150160152A KR20150160152A KR20160061882A KR 20160061882 A KR20160061882 A KR 20160061882A KR 1020150160152 A KR1020150160152 A KR 1020150160152A KR 20150160152 A KR20150160152 A KR 20150160152A KR 20160061882 A KR20160061882 A KR 2016006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late
handle
plate
protrusion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958B1 (ko
Inventor
정연옥
Original Assignee
정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옥 filed Critical 정연옥
Priority to PCT/KR2015/01244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85192A1/ko
Priority to CN201580058374.1A priority patent/CN107073311A/zh
Priority to US15/519,546 priority patent/US10258821B2/en
Publication of KR2016006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9Using levers for transmitting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inclination of the main axis of the movement path being adjustable, e.g. the inclination of an endless b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63B23/03591Upper and lower limb moving in phase, i.e. right foot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ght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7Abdomen moving torso or lower limbs laterally, i.e. substantially in the fr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하면서도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하나의 기구를 통해 실시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운동 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줌과 동시에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하나의 기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판상의 몸체(A), 상기 몸체(A)의 양측에 상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100), 상기 몸체(A)의 양측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대, 상기 회동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200) 및 상기 몸체(A)의 상부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대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는, 회동대가 다수의 링크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와 발판간을 연동시키는바 사용자는 회동대 전체가 아닌 상기 회동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손잡이부만을 회동시키며 운동을 할 수 있는바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동대를 구성하는 각 링크절은 손잡이부 또는 고정대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회동대는 손잡이부(200)로부터 발판까지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하면서도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하나의 기구를 통해 실시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란 운동하는 데 쓰이는 여러 가지 도구 및 장치를 의미하며, 종래에는 철봉, 평행봉, 러닝머신 등과 같이 야외 및 실내에 설치된 운동기구로써 하나의 기구를 통해 한 가지 운동만을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운동을 하기 위하여 여러 운동기구를 이용해야 했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기구를 통해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4919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회동되게 입설된 한쌍의 회동대와; 본체(1)에 축지되어 시이소 작동하는 진동링크(2); 상기 회동대의 소정의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된 줄넘기손잡이(5); 상기 줄넘기손잡이(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진동링크(2)를 시이소 작동시키는 링크기구;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하부면에 상기 진동링크(2)의 일단부가 부딛쳐 회동되는 줄넘기발판(3);을 포함하여 줄넘기 운동, 노젓기 운동, 균형잡기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발명은 전후 또는 좌우로 회동하는 회동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와 같은 운동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지 못하며, 사용자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부위를 강화 또는 유지시키기 위하여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동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줌과 동시에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하나의 기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운동 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줌과 동시에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하나의 기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판상의 몸체(A), 상기 몸체(A)의 양측에 상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100), 상기 몸체(A)의 양측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대, 상기 회동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200) 및 상기 몸체(A)의 상부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대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는, 회동대가 다수의 링크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와 발판간을 연동시키는바 사용자는 회동대 전체가 아닌 상기 회동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손잡이부만을 회동시키며 운동을 할 수 있는바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동대를 구성하는 각 링크절은 손잡이부 또는 고정대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회동대는 손잡이부(200)로부터 발판까지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 몸체의 내부구조와 구동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 몸체의 내부에 로프로 구동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회전판과 주손잡이가 결합되고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주손잡이와 안착구가 결합되고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주손잡이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상부고정대가 회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발판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발판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발판부에 롤러가 적용된 형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발판부의 스텝운동 시, 발판부의 움직이는 형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발판부에서 사용자가 승하차 시, 제동이 이루어지는 발판부의 형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받침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주손잡이에 보조손잡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운동 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줌과 동시에 여러 변형된 형태의 운동을 하나의 기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판상의 몸체(A), 상기 몸체(A)의 양측에 상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100), 상기 몸체(A)의 양측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대, 상기 회동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200) 및 상기 몸체(A)의 상부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대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A)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판형상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A)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A)위에 사람이 올라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몸체(A)는, 하부면에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개의 바퀴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하기에서의 발판부(400) 및 회동대(300)를 연결하는 로프(700) 연결 구조 및 링크절 구조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전면을 향해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받침판(430)이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대(100)는, 상기 몸체(A)의 양측면에 상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A)의 양측면에 상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100)의 상부에는 외측을 향해 하기의 손잡이부(200)가 전후 회동되도록 축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대(1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A)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대(110)와, 하단이 상기 하부고정대(110)의 상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단에 전후 회동하는 손잡이부(200)가 결합된 상부고정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0) 및 상부고정대(120)는 하부고정대(110)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므로 접혀질 수 있게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하다.
상기 상부고정대(120)가 하부고정대(11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형태의 일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대(110)의 정면에는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대(120)의 정면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하단부에 상기 고정돌기(111)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끼움구(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상기 고정돌기(111)에 체결되며 체결시 상기 끼움구(121)와 접하는 고정구(112)가 더 포함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운동 시, 후방으로 접혀져 있는 상기 상부고정대(12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세워 상기 끼움구(121)에 고정돌기(111)가 수용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고정구(112)를 고정돌기(111)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대한 이용을 마치고 보관 시, 상기 고정돌기(111)로부터 상기 고정구(112)를 해제시킨 후 상기 상부고정대(120)를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대(300)는, 상기 몸체(A)의 양측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대(300)는, 상기 고정대(100)에 링크절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회동대(300)를 구성하는 링크절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자형 링크절과, "ㄱ"자형 링크절로 구성될 수 있다. "1"자형 링크절은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ㄱ"자형 링크절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ㄱ"자형 링크절은 일단이 "1"자형 링크절과 결합되고 타단이 하기의 발판부(400)과 연동되는 로프(700) 또는 링크절 구조에 연결 된다. 이때, "1"자형 링크절은 상기 손잡이부(200)에, "ㄱ"자형 링크절은 상기 고정대(10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회동대(300)는 손잡이부(200)로부터 발판부(400)까지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회동대(300)는 상호 연동된 다수의 링크절로 이루어지고 각 링크절은 상기 손잡이부(200) 또는 고정대(10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 사용자는 운동 시, 상기 손잡이부(200)만을 움직이면 회동대(300)가 연동되어 움직이고, 상기 회동대(300)와 연동된 발판부(400)가 좌우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를 이용한 노젓기 운동과 발판부(400)을 이용한 트위스트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회동대(300) 전체를 움직이며 노젓기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닌, 상기 회동대(300)와 연동되고 상기 회동대(30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손잡이부(200)만을 회동시키며 운동하게 되므로 상기 손잡이부(200)가 회동하는 반경이 줄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발판부(400)는, 상기 몸체(A)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대(300)와 연동되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판부(400)는, 도 11 및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470), 왼발판(480), 오른발판(4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판(470)은 상기 발판부(400)에서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왼발판(480)은, 상기 지지판(470)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발이 올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른발판(490)은, 상기 지지판(470) 상부 타측에 마련되어, 발이 올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의 압축은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뒷축끼리 시소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400)의 회전 시, 자연스럽게 스텝운동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축 하부에 돌기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발판부의 스텝운동 시,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의 하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동돌기(90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발판부의 스텝운동 시,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의 바닥면이 바닥에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에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동돌기(900)에 의해,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이 바닥에 닿지 않으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으므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 중 한쪽 발판에만 발을 올릴 때에는 하부가 바닥에 닿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의 시소 중심축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동홈(800)이 더 마련된다. 이를 통해, 한쪽 발판에만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 제동홈(800)에 의해,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의 시소 중심축이 위로 올라갈 수 있게 되어 상기 왼발판(480)이나 오른발판(490)의 하부가 바닥면에 닿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왼발판(480) 및 오른발판(490)의 하부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95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430)의 경사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가 우회전 시, 상기 왼발판(480)의 롤러(950)가 자연스럽게 상기 받침판(43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형태로 스텝운동이 되고, 좌회전 시, 상기 오른발판(490)의 롤러(950)가 자연스럽게 상기 받침판(43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형태로 스텝운동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발판부(400)은, 몸체(A)의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원판(4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원판(410)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발판부(400)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원판(410)은, 회동대(300), 내부작동대(600)와 로프(700) 또는 링크절에 의해 연결된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작동대(600)는, 바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 및 타측에 링크절이 마련되어, 상기 로프(700)에 연결되거나 링크절 형태로 연결되어 회동된다.
상기 손잡이부(200)의 전후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대가 전후 회동을 실시하고, 상기 회동대의 회동에 의해, 상기 로프(700) 및 링크절 연결에 의해, 상기 회전원판이 좌우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발판부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양팔을 엇갈리며 노젓기 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A)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200)는 서로 엇갈리도록 움직여야 하는데, 이때, 대칭적으로 형성된 회동대(300)와 결합된 각각의 내부작동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700)에 일 지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엇갈리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00)를 전방으로 밀고 타 손잡이부(200)를 후방으로 당길시 상기 회전원판(410)과 결합된 발판부(400)은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양쪽 손잡이부(200)를 상기와 반대로 동작시 상기 발판부(400) 또한,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회동대(300)에 연결되어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211)이 형성되고, 중심이 상기 고정대(100)의 상부 외측면에 축결합되어 전후 회동하며, 측면에 상기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회동대(300)의 링크절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회전판(210)이 마련된다.
또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판(210)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홈(211)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걸림돌기(222)가 형성되는 주손잡이(220)가 마련되고, 상기 주손잡이(220)의 중부 일측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손잡이(2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211)에 상기 걸림돌기(222)를 결합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주손잡이(2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손잡이(220)는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걸림돌기(222)가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손잡이 피스톤(240)과 상기 손잡이 피스톤(24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바(bar)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걸림돌기(222)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기홈(221)이 마련되는 손잡이 실린더(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손잡이(220)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됨으로 인해, 상기 손잡부의 각도 조절이 수월해지고, 회동 시, 보다 안정감을 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 피스톤(240)을 들어 위치를 조절 후, 놓는 동작을 통해 상기 회전판(210)의 걸림홈(211)에 상기 걸림돌기(222)가 걸려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합한 위치에 상기 손잡이부(200)가 위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 실린더(250) 내측에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 피스톤(240)에 하방으로 탄성력이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 피스톤(240)을 외측으로 당겼다 원하는 위치에서 놓으면 상기 손잡이 피스톤(240)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222)가 상기 걸림홈(211)에 끼워지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걸림돌기(222)를 다수의 걸림홈(211) 중 어느 하나에 끼움으로써 자신이 양팔을 어느 정도 범위/각도까지 이동시키며 노젓기 운동을 할지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판(210)에 다수 개의 걸림홈(211)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최상단에 위치한 걸림홈(211)에 걸림돌기(222)를 끼워 사용 시, 사용자는 전후방향으로 노젓기 운동을 하게 되고,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홈(211)에 걸림돌기(222)를 끼워 사용 시, 사용자는 상하방향으로 노젓기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주손잡이(2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여러 근육을 이용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손잡이(22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A)의 양측면에 설치된 고정대(100)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로대(50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대(500)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400)만을 사용 시, 손잡이 역할을 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500)에는 상기 주손잡이(220)에 인접하도록 안착구(510)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구(510)에는 상기 주손잡이(220)에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22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22)가 안착홈(511)에 끼워진 경우, 상기 주손잡이(220)는 고정된 상태가 되며, 발판부(40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연동된 회동대(300)와 회전판(210)만이 구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판부(400)만을 사용하여 트위스트 및 스텝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부(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원판(410)과 결합되는데, 결합 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7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70)은 상면 중앙부가 돌출되어 종단면이 "ㅗ" 형태를 가지며, 돌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지지판(47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두 개의 발판부(400)이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400)을 통한 트위스트 운동 외에 스텝 운동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된 부분의 정면부에는 두 발판부(400)의 정면부와 축결합되는 축핀(45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의 배면부에는 받침대(440)가 축결합되어, 상기 발판부(40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받침대(440)가 회동하는바 사용자는 스텝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는 회동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핀(46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440)는 "ㅗ" 형태로 형성되되 돌출된 중앙부에 상기 고정핀(460)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440)에 형성된 홈에 고정핀(460)이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발판부(400)을 이용하여 스텝운동을 할 수 없으며, 트위스트 운동만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면부를 향해 높은 경사가 형성된 상기 받침판(430)을 통해, 상기 발판부(400)가 트위스트 운동을 할 때, 단순히 트위스트 운동만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받침판(430)의 경사면에 의해, 자연적으로 스텝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몸체
100 : 고정대 110 : 하부고정대
111 : 고정돌기 112 : 고정구
120 : 상부고정대 121 : 끼움구
200 : 손잡이부 210 : 회전판
211 : 걸림홈 220 : 주손잡이
222 : 걸림돌기 224 : 보조손잡이
240 : 손잡이 피스톤 250 : 손잡이 실린더
221 : 돌기홈 300 : 회동대
400 : 발판부 410 : 회전원판
420 : 보조원판 430 : 받침판
440 : 받침대 450 : 축핀
460 : 고정핀 470 : 지지판
480 : 왼발판 490 : 오른발판
500 : 가로대 510 : 안착구
511 : 안착홈 600 : 내부작동대
700 : 로프 800 : 제동홈
900 : 제동돌기 950 : 롤러

Claims (11)

  1. 바닥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상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몸체의 양측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대;
    상기 회동대의 상부에 연결되어,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대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전후 회동에 의해, 상기 발판부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대는,
    상호 연동된 다수의 링크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회전동작 시, 스텝동작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회동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홈;이 마련되는 회전판;
    바 형태로 구성되어, 하부 일측에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주손잡이; 및
    상기 주손잡이의 중부 일측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를 결합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주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손잡이는,
    하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손잡이 피스톤;
    상기 손잡이 피스톤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바(bar)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기홈;이 마련되는 손잡이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실린더 내측에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 피스톤에 하방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대;
    하단이 상기 하부고정대의 상단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단에 전후 회동하는 상기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부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대의 정면에는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대의 정면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하단부에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끼움구;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에 체결되며 체결시 상기 끼움구와 접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구를 고정돌기로부터 해제시 상기 상부고정대가 후방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발이 올려지는 왼발판;
    상기 지지판 상부 타측에 마련되어 발이 올려지는 오른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왼발판 및 오른발판의 압축은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뒷축끼리 시소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의 회전 시, 자연스럽게 스텝운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전면을 향해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조절이 가능한 받침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왼발판 및 오른발판의 뒷축 하부에 돌기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발판부의 스텝운동 시, 상기 왼발판 및 오른발판의 하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동돌기; 및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에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안전을 위하여, 상기 왼발판 및 오른발판의 하부가 바닥에 닿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왼발판 및 오른발판의 시소 중심축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동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왼발판 및 오른발판의 하부에는 롤러가 더 마련되고,
    상기 받침판의 경사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가 우회전 시, 상기 왼발판의 롤러가 자연스럽게 상기 받침판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형태로 스텝운동이 되고, 좌회전 시, 상기 오른발판의 롤러가 자연스럽게 상기 받침판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형태로 스텝운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대 및 상기 발판부는 링크절 및 로프로 연동되어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150160152A 2014-11-24 2015-11-16 다기능 운동기구 KR10174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2448 WO2016085192A1 (ko) 2014-11-24 2015-11-19 다기능 운동기구
CN201580058374.1A CN107073311A (zh) 2014-11-24 2015-11-19 多功能运动器械
US15/519,546 US10258821B2 (en) 2014-11-24 2015-11-19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810 2014-11-24
KR1020140164810A KR20150085773A (ko) 2014-11-24 2014-11-24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882A true KR20160061882A (ko) 2016-06-01
KR101748958B1 KR101748958B1 (ko) 2017-06-20

Family

ID=538759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810A KR20150085773A (ko) 2014-11-24 2014-11-24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150160152A KR101748958B1 (ko) 2014-11-24 2015-11-16 다기능 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810A KR20150085773A (ko) 2014-11-24 2014-11-24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8821B2 (ko)
KR (2) KR20150085773A (ko)
CN (1) CN1070733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12B1 (ko) * 2017-05-25 2018-07-06 이병돈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2364029B1 (ko) * 2021-12-13 2022-02-16 최세영 가정용 턱걸이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1112B2 (en) 2016-07-25 2020-05-26 Tonal Systems, Inc. Digital strength training
US11745039B2 (en) 2016-07-25 2023-09-05 Tonal Systems, Inc. Assisted racking of digital resistance
US10617903B2 (en) 2017-10-02 2020-04-14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differential
US10335626B2 (en) 2017-10-02 2019-07-02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with pancake motor
US10486015B2 (en) 2017-10-02 2019-11-26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enhancements
US10589163B2 (en) 2017-10-02 2020-03-17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safety enhancements
CN109771219B (zh) * 2019-03-07 2019-11-29 吉林大学 一种神经检查步态调整参照测试装置
US11311771B2 (en) * 2019-04-09 2022-04-26 Stephanie Marie Corrao Training apparatus with swivel step plate
CA3180820A1 (en) * 2020-06-01 2021-12-09 Eun Bee Kim Exercise method and device
US11285355B1 (en) * 2020-06-08 2022-03-29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enhancements
WO2022132814A1 (en) * 2020-12-15 2022-06-23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configurations
US11878204B2 (en) 2021-04-27 2024-01-23 Tonal Systems, Inc. First repetition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0282A (en) * 1977-12-16 1980-04-29 Agyagos Ferenc I Multiple exerciser device
US4376532A (en) * 1981-03-04 1983-03-15 Hunstad Vernon D Exerciser for muscles used in skiing
US5290211A (en) * 1992-10-29 1994-03-01 Stearns Technologies, Inc. Exercise device
US7086993B1 (en) * 1995-06-30 2006-08-08 Maresh Joseph D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US5496235A (en) * 1995-08-04 1996-03-05 Stevens; Clive G. Walking exeriser
US5632711A (en) * 1996-07-02 1997-05-27 Hwang; Yu-Yeh Twister
US5876307A (en) * 1997-04-04 1999-03-02 Stearns; Kenneth W. Elliptical motion exercise apparatus
US6416442B1 (en) * 1997-05-05 2002-07-09 Kenneth W. Stearns Elliptical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S5792028A (en) * 1997-08-15 1998-08-11 Jarvie; John E. Running exercise machine
US6648801B2 (en) * 1998-04-22 2003-11-18 Kenneth W. Stearns Exercise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6398695B2 (en) * 1998-09-24 2002-06-04 Larry Miller Elliptical exercise device
KR200261703Y1 (ko) * 2001-08-31 2002-01-24 윤종열 슬라이드 운동기구
US8454478B2 (en) * 2001-11-13 2013-06-04 Cybex International, Inc. Vertical arc exercise machine
US7520839B2 (en) * 2003-12-04 2009-04-21 Rodgers Jr Robert E Pendulum striding exercise apparatus
US7530926B2 (en) * 2003-12-04 2009-05-12 Rodgers Jr Robert E Pendulum striding exercise devices
CN2790518Y (zh) * 2005-04-19 2006-06-28 深圳信隆实业股份有限公司 旋转韵律装置
CN201006232Y (zh) * 2007-02-07 2008-01-16 翰威实业股份有限公司 可调整跨距的踏步及走步两用健身器
US7556591B2 (en) * 2007-04-17 2009-07-07 Jin Chen Chuang Stationary exercise device
KR20090007412U (ko) 2008-01-18 2009-07-22 스포츠아트인더스트리얼코포레이션리미티드 작동 핸들을 구비한 스테핑 운동기구
US8206271B2 (en) * 2008-03-20 2012-06-26 Fitnessbotics, Inc. Cyclical skating motion exercise machine
US20090239713A1 (en) * 2008-03-20 2009-09-24 Chu Yong S Cyclic skating motion exercise machines
KR20090011554U (ko) 2008-05-09 2009-11-12 권형철 운동기구
US7651445B1 (en) * 2008-10-08 2010-01-26 I-Huang Chen Elliptical trainer
KR20090007847U (ko) * 2009-07-02 2009-08-03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구
KR20110004642U (ko) 2009-11-03 2011-05-12 안광만 복합 운동기구
US8029416B2 (en) * 2010-01-13 2011-10-04 Paul William Eschenbach Free course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KR101369467B1 (ko) 2011-11-15 2014-03-04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복합실내운동기구
US9050498B2 (en) * 2013-03-04 2015-06-09 Brunswick Corporation Exercise assemblies having foot pedal members that are movable along user defined paths
TWI542383B (zh) * 2014-08-27 2016-07-21 岱宇國際股份有限公司 扭腰運動裝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12B1 (ko) * 2017-05-25 2018-07-06 이병돈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2364029B1 (ko) * 2021-12-13 2022-02-16 최세영 가정용 턱걸이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958B1 (ko) 2017-06-20
CN107073311A (zh) 2017-08-18
US20170239517A1 (en) 2017-08-24
KR20150085773A (ko) 2015-07-24
US10258821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958B1 (ko) 다기능 운동기구
EP3025765B1 (en) Rowing machine having a beam with a hinge joint
JP6382456B2 (ja) 運動器具
US20170252603A1 (en) Stepper exercise machine
EP2188022B1 (en) Seated exercise apparatus
JP2009514739A (ja) 傾動機能を有する屋内運動自転車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US20090227430A1 (en) Training Apparatus
TWI294294B (ko)
KR20060136054A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US7014597B2 (en) Walk simulating machine
JP5213086B1 (ja) 運動補助装置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101879435B1 (ko)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KR200372403Y1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CN111514523B (zh) 运动器材
KR20060028948A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101739685B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KR200397820Y1 (ko) 운동기구
JP2003024498A (ja) 走行具
KR102434920B1 (ko) 계단 오르기
JP3127575U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US7044893B2 (en) Walk simulating machine
KR101719798B1 (ko) 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