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089A -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089A
KR20160061089A KR1020140163558A KR20140163558A KR20160061089A KR 20160061089 A KR20160061089 A KR 20160061089A KR 1020140163558 A KR1020140163558 A KR 1020140163558A KR 20140163558 A KR20140163558 A KR 20140163558A KR 20160061089 A KR20160061089 A KR 20160061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haul
terminal
base station
core network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5943B1 (en
Inventor
김윤성
양기석
오교상
권용범
김홍성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943B1/en
Publication of KR2016006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9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haul system, a terminal applied to the sam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e backhaul system can operate each of core networks for a user terminal and a specific-purposed terminal separately, because the specific-purposed terminal such as a backhaul terminal operating as a router in a wireless backhaul uses a network device (specific MME) different from network devices (commercial MME) where terminals of normal users use. The system comprises: an information possessing unit which possesses device information on a specific network device included in a specific core network which is different from commercial networks; a request providing unit which provides a connection request for a core network for a base station device;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which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when providing the connection request, such that the base station device processes a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for the specific core network via the specific network device among multiple network devices.

Description

백홀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haul system,

본 발명은 코어망을 분리 운용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한 용도의 단말에 대해서 일반 사용자의 단말이 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상용 MME)와는 다른 별도의 네트워크장치(특정 MME)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의 단말 및 특정 용도의 단말에 대해 각각 코어망을 분리 운용할 수 있는 백홀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eparately operating a core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separately using a network device (a specific MME) different from a network device (commercial MME) used by a general us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haul system capable of separating and operating a core network for a terminal of a general user and a terminal for a specific use,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terminal apparatus applied thereto.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에는 무선으로 통신하지만,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연결인 백홀은 표준에서 반드시 유선 또는 무선을 사용하도록 정해져 있지 않으며 이는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는 사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구현 이슈이다.However, backhaul, which is a connec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is not necessarily set to use wired or wireless in the standard, and this is an implementation issue that can be selected by a provider implemen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그러나, 대개의 경우 기지국의 백홀은, 안정적인 통신패킷 전송이 가능한 유선방식으로 구현되며, 일부 지역에서만 mmWave기반의 무선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However, in most cases, the backhaul of the base station is implemented in a wired manner in which stabl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is possible, and is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based on mmWave only in some areas.

무선방식으로 구현된 기존의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의 경우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통신 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수를 사용하는데, 고주파수 사용으로 인해 전파의 직진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송신기(예 : 기지국)와 수신기(예 : 코어망 장비)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line of sight (LOS) 환경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제약, 또한 거리에 따른 전파의 감쇄 즉 path loss가 높기 때문에 유효 전송거리가 수백m~2km 정도에 그치는 한계, 우천 시 강수 감쇄로 심한 성능 열화 발생 등의 단점이 있다, The existing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implemented in the wireless manner use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relative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Long Term Evolution). However, since the directivity of the radio wave is very large due to the use of high frequencies, (LOS) environment in which there is no obstacle between the base station (eg base station) and the receiver (eg, core network equipment), and the path loss due to the distance is high. And the severe degradation due to rainfall damping in the case of rainfall,

따라서, 현재는 유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하기 힘든 일부 지역, 예컨대 오지나 도서 지역 등에서만, 전술과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mmWave기반 무선 백홀을 구현(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some areas wher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backhaul in a wired manner, for example, in the Ozina or book area, a wireless backhaul based on mmWave is implemented despite the dis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에이전트 및 백홀단말을 제안함으로써 기존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이 갖는 단점을 모두 개선한 무선방식 백홀을 실현하는데, 특히 본 발명의 무선방식 백홀에서 라우터 역할을 하는 백홀단말에 대해서, 일반 사용자의 단말이 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상용 MME)와는 다른 별도의 네트워크장치(특정 MME)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의 단말 및 특정 용도의 단말에 대해 각각 코어망을 분리 운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terminal that implement a backhau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thereby realizing a wireless backhaul in which all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are improved. (A specific MME) different from the network device (commercial MME) used by the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can be used for the backhaul terminal serving as the router in the method backhaul, We propose a method to separate and operate the core network.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특정한 용도의 단말 예컨대 무선방식 백홀에서 라우터 역할을 하는 백홀단말에 대해서, 일반 사용자의 단말이 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상용 MME)와는 다른 별도의 네트워크장치(특정 MME)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의 단말 및 특정 용도의 단말에 대해 각각 코어망을 분리 운용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haul terminal serving as a router in a specific use terminal such as a wireless backhaul, (Specific MM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re network by using the core network for the general user terminal and the terminal for the specific use, respectiv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상용 코어망과는 구분되는 특정 코어망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보유하는 정보보유부;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제공하는 요청제공부; 및 상기 접속요청 제공 시 상기 기 보유된 장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기지국장치가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중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코어망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an information holding unit for holding dev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that is different from a core network; A reques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providing the pre-stored devic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device when providing the connection request, wherein the base station device processe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through the specific network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And a connection control section for enabling the connection control section to enable the connection control 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장치는, 상기 상용 코어망 내에 속해 있는 상용 네트워크장치와,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에이전트 내에 속해 있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a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backhaul agent that realizes a backhaul between a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and a commercial network device belonging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장치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 제공 시 상기 장치정보를 미 제공하는 단말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상용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상용 코어망에 대한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station apparatus can process a connection procedure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through the commercial network apparatus for a terminal apparatus that does not provide the apparatus information when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단말인 경우에만 기 보유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device may be retained only when the terminal device is a backhaul terminal implementing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여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백홀단말; 및 상기 백홀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상용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상용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서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백홀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백홀단말은, 상기 백홀에이전트 내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가 속해 있는 특정 코어망에 대해 접속된 상태이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ckhaul system for receiving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at least one device for gen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a communication packet, A backhaul terminal for inserting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ceiving second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that generates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backhaul terminal, And a backhaul agent for provid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and deleting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 the commercial core network; The backhaul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core network to which the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s through a specific network device in the backhaul ag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홀단말은,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는 경우, 기 보유된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코어망에 대한 상기 백홀단말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Preferably, the backhaul terminal provides the base station apparatus with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apparatus that is held when the backhaul terminal provides a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To proces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ackhaul terminal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용 코어망과는 구분되는 특정 코어망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보유하는 정보보유단계;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제공하는 요청제공단계; 및 상기 접속요청 제공 시 상기 기 보유된 장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기지국장치가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중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코어망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holding step of holding dev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commercial core network; A reques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a base station apparatus; And providing the pre-stored devic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device when providing the connection request, wherein the base station device processe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through the specific network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The connection control step.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는,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에이전트 내에 속하며,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단말인 경우에만 기 보유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s to a backhaul agent that realizes a backhaul between a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and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device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t can be held only in the case of a backhaul terminal that implements the backhaul in a wireless manner.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특정한 용도의 단말 예컨대 무선방식의 백홀에서 라우터 역할을 하는 백홀단말에 대해서, 일반 사용자의 단말이 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상용 MME)와는 다른 별도의 네트워크장치(특정 MME)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의 단말 및 특정 용도의 단말에 대해 각각 코어망을 분리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각각의 코어망 분리 운용을 통해 백홀단말의 데이터 처리에 대한 특정 QoS(서비스 품질) 정책을 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pplied theret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ckhaul system for a specific purpose, such as a backhaul terminal acting as a router in a wireless backhaul, It is possible to use a separate network device (specific MME) different from the device (commercial MME), thereby deriving the effect that the core network can be separated and operated for the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and the terminal for the specific use,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 specific QoS (Quality of Service) policy for the data processing of the backhaul terminal is provided through each core network separation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백홀단말로서 적용되는 백홀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 내 백홀에이전트 및 백홀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구조를 예로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backhaul system in which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backhaul terminal.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terminal in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은, 기지국장치(40)와,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함으로써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1, th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apparatus 40 and a terminal apparatus 300 which attempts to access a core network by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do.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장치(300)는, 이전 접속된 네트워크장치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항상 보유하게 된다.Here, the terminal device 3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hold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device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device.

이때, 전술에서 언급하는 네트워크장치란, 기지국장치 및 코어망 내 장비(예 : SGW(Serving Gateway))간의 신호 제어 및 단말에 대한 인입 호(예 : 통신패킷)를 어디로 라우팅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network device referred to above refers to a network device that determines the signal control between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equipment (e.g., SGW (Serving Gateway)) in the core network and where to route incoming calls (e.g., communication packets) As a device that plays a role, it is preferable to be an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트워크장치와 MME의 명칭을 혼용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the name of the network device and the name of the MME will b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즉, 단말장치(300)는, 이전 접속된 네트워크장치 즉 이전 접속된 MME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특정 네트워크장치 즉 특정 MME의 장치정보를 항상 보유하게 된다.That is, the terminal device 300 always hold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device, that is, the specific MME,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device, that is, the MME previously connected thereto.

이러한 단말장치(300)는,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하게 된다.In order to attempt connection to the core network, the terminal device 300 provides the base station device 40 with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예컨대, 단말장치(300)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과 동시에 접속 기지국 즉 기지국장치(40)을 통해서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 뿐 아니라 일반적인 기존의 단말(이하, 일반 사용자의 단말)에서도 동일할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apparatus 300 is switched from the power-off state to the on-state, the terminal apparatus 300 is switched to the power-on state and simultaneously tries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through the connected base station, This will be the same not only in the terminal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in a general existing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of a general user).

다만,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는, 전술과 같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함으로써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접속요청 제공과 함께 기 보유된 장치정보를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한다.However, when the terminal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mpts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by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device 40 as described above, To the base station device (40).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할 때, 항상 고정적으로 기 보유된 특정 MME의 장치정보를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terminal apparatu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o the core network, the terminal apparatu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will be.

일반적인 기지국장치는,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로부터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이 수신되면, 단말로부터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파악하게 된다.When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is received from a terminal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the general base station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MME device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from the terminal.

이에, 기지국장치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과 함께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라면, 기지국장치 자신과 연동하는 다수의 MME 중 라운드로빈 방식 또는 MME 별 Weight Factor 기반 방식 등에 따라 MME를 결정한 후, 결정한 MME를 통해서 코어망에 대한 단말의 접속절차를 처리한다.If the MME devic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he base sta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MME according to a round robin scheme or a weight factor-based scheme based on MME among a plurality of MMEs interworking with the base station apparatus itself And processe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to the core network through the determined MME.

한편, 기지국장치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과 함께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된 경우라면, MME를 결정하는 과정 없이, 장치정보에 따른 해당 MME를 통해서만 코어망에 대한 단말의 접속절차를 처리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he base station apparatus processe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to the core network only through the corresponding MME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without determining the MME .

이는, 일반 사용자의 단말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제공할 때, 이전(직전)에 접속된 MME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해 내부에 저장되는 MME의 장치정보를 기지국장치로 함께 제공한다는 기술적 배경에 기인한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provides the access request to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the apparatus information of the MME stored therein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base station apparatus only when the previous (previous) This is due to the technical background.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지국장치(40) 역시,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즉 다수의 MME와 연동한다.In this regard,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works with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that is, a plurality of MMEs.

여기서, 기지국장치(40)가 연동하는 다수의 MME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코어망(10)에 속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용 네트워크장치(예 : MME_1, MME_2, MME_3) 및 특정 코어망(120)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예 : 백홀에이전트 MME)를 포함한다. Here,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MMEs interworking with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include at least one commercial network apparatus (for example, MME_1, MME_2, MME_3) belonging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E.g., a backhaul agent MME) that belongs to the network 1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용 코어망(10)에 속해 있는 상용 MME에는 참조번호(22)를 사용하고, 특정 코어망(120)에 속해 있는 특정 MME에는 참조번호(122)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 22 is used for a commercial MME belonging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and reference numeral 122 is used for a specific MM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120 would.

이에, 기지국장치(40) 역시,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로부터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이 수신되면, 단말로부터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파악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ccess request to the core network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attempting to access the core network,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also determines whether the MME device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from the terminal.

이에, 기지국장치(40)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과 함께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즉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 제공 시 MME의 장치정보를 미 제공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기지국장치(40) 자신과 연동하는 상용 네트워크장치(예 : MME_1, MME_2, MME_3) 중 라운드로빈 방식 또는 MME 별 Weight Factor 기반 방식 등에 따라 상용 MME(22)를 결정한 후, 상용 MME(22)를 통해서 상용 코어망(10)에 대한 단말의 접속절차를 처리한다.Accordingly, when the MME devic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hat is, when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is provided,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ransmits the MME's devic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and the commercial MME 22 in accordance with a round robin scheme or a weight factor based scheme based on the MME among the commercial network devices (e.g., MME_1, MME_2, and MME_3) (10).

이때, MME의 장치정보를 미 제공하는 단말은, 반드시 일반적인 기존의 단말(일반 사용자의 단말)일 것이다.At this time, the terminal not providing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will necessarily be a general existing terminal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한편, 기지국장치(40)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과 함께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된 경우 즉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 제공 시 MME의 장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MME를 결정하는 과정 없이, 장치정보에 따른 해당 MME를 통해서만 코어망에 대한 단말의 접속절차를 처리한다. Meanwhile, when the MME device information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hat is, when the access request to the core network is provided, the base station device 40 determines the MME , The terminal access procedure to the core network is processed only through the corresponding MME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이때, MME의 장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은, 이전(직전)에 접속된 상용 MME의 장치정보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기존의 단말(일반 사용자의 단말)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providing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may be a general existing terminal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in which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commercial MME connected in the previous (immediately before) is stored therein, 300).

하지만, MME의 장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이 일반적인 기존의 단말(일반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제공하는 MME의 장치정보는 이전(직전)에 접속된 상용 MME(22)의 장치정보일 것이고, MME의 장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인 경우, 제공하는 MME의 장치정보는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일 것이다.However, if the terminal providing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is a general existing terminal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to be provided will b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commercial MME 22 connected before (immediately before) If the terminal providing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122 is the terminal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to be provided may b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는, 전술과 같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할 때 항상 고정적으로 기 보유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기지국장치(40)로 함께 제공함으로써, 기지국장치(40)가 다수의 MME 중 특정 MME(122)를 통해서 특정 MME(122)가 속해 있는 특정 코어망(120)에 대한 단말장치(300)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terminal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transmit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which is fixedly held in advance, to the base station device 40 when providing the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device 40,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processe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apparatus 300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120 to which the specific MME 122 belongs via the specific MME 122 among the plurality of MMEs To do so.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300)는, 상용 코어망과는 구분되는 특정 코어망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보유하는 정보보유부(350)와,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하는 요청제공부(360)와, 상기 접속요청 제공 시 상기 기 보유된 장치정보를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하여, 기지국장치(40)가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중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코어망에 대한 단말장치(300)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제어부(370)를 포함한다.2,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holding unit 350 that holds dev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which is different from a commercial core network, A request providing unit 360 for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for th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and a request providing unit 360 for providing the previously stored apparatus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when the connection request is provided,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370 for processing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device 300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through the specific network device among the network devices of the core network.

여기서, 전술의 네트워크장치는 MME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트워크장치와 MME의 명칭을 혼용하여 설명하겠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network device is an MME. Hereinafter, the name of the network device and the name of the MME will b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정보보유부(350)는, 상용 코어망(10)과는 구분되는 특정 코어망(120)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 즉 특정 MME의 장치정보를 보유한다.The information holding unit 350 holds dev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120, that is, a specific MM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네트워크장치로서 도 1의 특정 MME(122)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pecific MME 122 of FIG. 1 will be described as a specific network device.

즉, 정보보유부(350)는, 이전 접속된 네트워크장치 즉 이전 접속된 MME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특정 코어망(120)에 속해 있는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항상 보유하게 된다.That is, the information holding unit 350 always hold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belonging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120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device, that is, the previously connected MME.

요청제공부(360)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한다.The request providing unit 360 provide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

즉, 요청제공부(360)는,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request providing unit 360 provide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in order to attempt connection to the core network.

예컨대, 단말장치(300)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요청제공부(360)는,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과 동시에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접속 기지국 즉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함으로써, 기지국장치(40)을 통해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apparatus 30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 request providing unit 360 is switched to the power on state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the access base station, 40, thereby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through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

접속제어부(370)는, 요청제공부(360)에 의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 제공 시, 정보보유부(350)에 기 보유된 장치정보를 기지국장치(40)로 함께 제공하여, 기지국장치(40)가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즉 다수의 MME 중 특정 네트워크장치 즉 특정 MME(122)를 통해서 특정 코어망(120)에 대한 단말장치(300)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The connection control unit 370 may provide the previously stored devic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holding unit 350 together with the base station device 40 when providing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by the request providing unit 360, 40 allows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that is, a specific one of a plurality of MMEs, that is, a specific MME 122, to process a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device 300 to a specific core network 120.

다시 말해, 접속제어부(370)는, 전술과 같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함으로써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항상 고정적으로 기 보유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370 attempts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by providing the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control unit 370 always transmits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fixed MME 122 And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device 40.

기지국장치(40)는,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즉 다수의 MME와 연동한다.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interfaces with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that is, a plurality of MMEs.

여기서, 기지국장치(40)가 연동하는 다수의 MME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코어망(10)에 속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용 네트워크장치(예 : MME_1, MME_2, MME_3) 및 특정 코어망(120)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예 : 백홀에이전트 MME)를 포함한다. Here,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MMEs interworking with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include at least one commercial network apparatus (for example, MME_1, MME_2, MME_3) belonging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E.g., a backhaul agent MME) that belongs to the network 1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용 코어망(10)에 속해 있는 상용 MME에는 참조번호(22)를 사용하고, 특정 코어망(120)에 속해 있는 특정 MME에는 참조번호(122)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 22 is used for a commercial MME belonging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and reference numeral 122 is used for a specific MM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120 would.

이에, 기지국장치(40)는, 단말장치(300)로부터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이 수신되면, 단말장치(300)로부터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파악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the base station device 40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

전술과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 시 고정적으로 기 보유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지국장치(40)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 제공 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제공한 단말장치(300)에 대해서, MME를 결정하는 과정 없이, 장치정보에 따른 특정 MME(122)를 통해서만 특정 코어망(120)에 대한 접속절차를 처리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rminal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that is fixedly held at the time of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he base station device 40 can access the core network The access procedure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120 is performed only through the specific MME 122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withou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MME, for the terminal device 300 providing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이전 접속된 네트워크장치 즉 이전 접속된 MME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특정 네트워크장치 즉 특정 MME의 장치정보를 항상 보유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hold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device, that is, the specific MME,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device, that is, the MME previously connected thereto.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네트워크장치로서 도 1의 특정 MME(122)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pecific MME 122 of FIG. 1 will be described as a specific network device.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이전 접속된 네트워크장치 즉 이전 접속된 MME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상용 코어망(10)과는 구분되는 특정 코어망(120)에 속해 있는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항상 보유하게 된다.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pecific core network 120 distinguished from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regardless of whether a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device, that is, It always hold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to which it belongs.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예컨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S300), 기 보유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확인한다(S310).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S300),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held S3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함께 기지국장치(40)로 제공한다(S320).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device 40 in order to attempt connection to the core network.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S320).

이에, 기지국장치(40)는, 단말장치(300)로부터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이 수신되면, 단말장치(300)로부터 MME의 장치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파악하게 된다(S330).Upon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the base station device 40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M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S330).

전술과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300)는,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 시 고정적으로 기 보유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지국장치(40)는, 특정 MME(122)가 자신과 연동하는 정당한 MME이라면(S340 Yes), 단말장치(300)에 대해서, MME를 결정하는 과정 없이, 장치정보에 따른 특정 MME(122)를 통해서 특정 코어망(120)에 대한 접속절차를 처리한다(S350).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fixedly held at the time of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S340 Yes), the access procedure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120 is performed through the specific MME 122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without determining the MME, for the terminal device 300 (S3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특정한 용도의 단말 즉 단말장치(300)로 하여금 이전 접속된 네트워크장치 즉 MME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기 보유하게 하고, 코어망으로의 접속 시도 시 항상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하여, 특정한 용도의 단말장치(300)에 대해서 일반 사용자의 단말이 이용하는 상용 MME(22)와는 다른 별도의 특정 MME(122)를 이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일반 사용자의 단말 및 특정 용도의 단말장치(300)에 대해 코어망을 상용 코어망(10) 및 특정 코어망(120)으로 각각 분리 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low the terminal for specific use, that is, the terminal device 300, to access the specific MME 122 And always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when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so that the commercial MME 122 used by the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for the specific use terminal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use a separate specific MME 122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re network 22 so that the core network can be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10 and the specific core network 120, Respectively.

여기서, 보다 구체적인 예를 언급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300) 즉 특정 용도의 단말장치(300)는, 디바이스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terminal device 300 for a specific use, is preferably a backhaul terminal for implementing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n a wireless manner Do.

달리 말하면, 단말장치(300)가, 디바이스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단말인 경우에만,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가 기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be retained only when the terminal device 300 is a backhaul terminal that implements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n a wireless manner.

그리고, 전술의 특정 네트워크장치 즉 특정 MME(122)는, 디바이스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에이전트 내에 속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백홀에이전트 내에 구현되는 특정 코어망(120) 내에 속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pecific network device, that is, the specific MME 122 described above, preferably belongs to a backhaul agent that implements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n a wireless manner. Further, (120).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가 백홀단말(200)로서 적용되어,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로 구현되는 백홀시스템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backhaul system implemented by the backhaul agent 100 and the backhaul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ere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backhaul terminal 200.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디바이스(50)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4,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implementing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50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n a wireless manner.

즉,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기존의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이 갖는 단점을 모두 개선하면서 디바이스(50)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비교적 저주파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반의 기지국장치(40)를 활용함으로써, line of sight (LOS) 제약, 짧은 유효 전송거리 한계, 우천 시 심한 성능 열화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디바이스(50)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한다.That is,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lement the backhaul between the device 50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n a wireless manner while improving all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and uses a relatively low frequency By utilizing the base station device 40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he device 50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which may be free from line of sight (LOS) constraints, short effective transmission distance limitations, We want to implement backhaul wirelessly.

헌데, 송수신기간 독립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이 아니라 일반 이동통신의 기지국장치(40)를 활용하여 디바이스(50)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한다면, 디바이스(50)에 속하는 기지국(LTE 또는 3G)의 경우 단말 및 기지국(LTE 또는 3G) 간의 통신 시 반드시 상응하는 코어망 장비가 존재하여야 하므로, 업링크의 경우 기지국의 백홀신호가 상용 코어망(10)으로 올라가기 이전에 수차례(최소 2회)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기 때문에 상용 코어망(10) 단에서 디-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De-encapsulation) 수차례(최소 2회) 반복해야 하고, 다운링크의 경우 업링크와는 역으로 기지국의 백홀신호가 상용 코어망(10)으로부터 내려가기 이전에 상용 코어망(10) 단에서 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해야 한다.If the backhaul between the device 50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s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by utilizing the base station device 40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instead of the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us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period independent transmission scheme, A base station (LTE or 3G) belonging to the core network 50 must have a corresponding core network equipment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LTE or 3G)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must be repeated several times (at least twice) in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since encapsulation is performed several times (at least twice) , And in the case of the downlink, encapsulation must be repeated several times in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before the backhaul signal of the base station descends from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contrary to the uplink.

이처럼, 상용 코어망(10) 단에서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하게 되면, 백홀신호가 수차례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되는 과정에서 코어망 내 장비(예 : SGW(24), PGW(26))를 수차례 왕복하게 되어 장거리 전송의 추가 레이턴시(Latency)가 발생하게 되고, 코어망 내 장비(예 : SGW(24), PGW(26))의 처리용량도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in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the backhaul signal is repeatedly encapsulated / de-encapsulated in the core network equipment The SGW 24 and the PGW 26 are repeated several times so that an additional latency of the long distance transmission occurs and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equipment (e.g., the SGW 24 and the PGW 26) Is expected to increase.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백홀에이전트(100)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장치(40)를 활용하여 디바이스(50)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를 예방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backhaul agent 100 to implement the backhaul between the device 50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wirelessly using the base station device 40,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We want to avoid repetitive processing problems.

한편, 기지국장치(40)를 활용하여 디바이스(50)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한다면, 디바이스(50)에 속하는 기지국(LTE 또는 3G)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가 구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f the backhaul between the device 50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s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using the base station device 40,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mmunication packet is divided for each base station (LTE or 3G) belonging to the device 50 .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백홀단말(200)을 채택함으로써,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에 기지국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그 문제점을 예방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backhaul terminal 200, so that the backhaul agent 100 and the backhaul terminal 200 are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distinguishing transmission paths of communication packets for each base station,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I want to.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링크/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 중에서,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중심으로 언급하여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an uplink among uplink /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s.

본 발명의 백홀단말(200)은, 자신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로부터의 백홀신호(업링크)를, 무선방식을 통해 기지국장치(40)로 송신한다.The backhaul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backhaul signal (uplink) from at least one device 50 connected thereto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via a wireless scheme.

이때, 디바이스(50)는, LTE기지국(1, 예 : LTE매크로기지국, LTE소형기지국)일 수 있고, 3G기지국(2)일 수도 있고, WiFi AP(3)와 같이 기지국이 아닌 일반 통신장치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vice 50 may be an LTE base station 1 (e.g., an LTE macro base station, an LTE small base station), a 3G base station 2, a WiFi AP 3, It is possible.

따라서, 백홀단말(200)은, 디바이스(50)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haul terminal 200 has an interface conversion function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IP communication, E1 line) supported by each of the devices 50. [

여기서, 본 발명의 경우는, 기지국 및 상용 코어망(10)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디바이스로서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을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In this case, since the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s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3G base station 2 as a device connected to the backhaul terminal 200 I will mention it.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는, 자신에 무선 접속된 단말로부터 업링크신호를 수신하면,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터널링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3G base station 2 receive an uplink signal from a terminal wirelessly connected thereto, 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3G base station 2 perform tunneling to a communic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 중에서 LTE기지국(1)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3G base station 2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즉, LTE기지국(1)은,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LTE 코어망(20) 내 망 장비 예컨대 SGW(24)로 통신패킷을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the LTE base station 1 transmits, to the communic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of the terminal, a network equipment in the LTE core network 20, for example, SGW 24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generated through tunneling to insert (encapsulate) the first path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packet to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백홀단말(200)은, LTE기지국(1)으로부터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를 수신하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여, 무선방식을 통해 기지국장치(40)로 송신한다.When receiv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hat is, the backhaul signal of the LTE base station 1, from the LTE base station 1, the backhaul terminal 200 performs identific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hat is, the LTE base station 1 Inserts the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s the path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via the wireless schem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홀단말(200)에 의해 식별용 경로정보가 삽입(인캡슐레이션)된 이후의 제1통신패킷을, 제1통신패킷'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fter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is inserted (encapsulated) by the backhaul terminal 20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

이때, 백홀단말(200)이 포함시키는 식별용 경로정보에는, 해당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 또는 백홀단말(200)에서 해당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1)에 할당하는 고유식별자(예 : Flag)가 포함된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ckhaul terminal 200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hat is, the LTE base station 1, An identifier (e.g., Flag) is included.

기지국장치(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1통신패킷'에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Upon receiving the uplink signal from the backhaul terminal 200,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ransmit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backhaul ag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is generated through tunneling to insert (encapsulate)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or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이러한 기지국장치(40)는, LTE기지국으로서 LTE매크로기지국 또는 LTE소형기지국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매크로기지국 즉 LTE eNB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may be an LTE macro base station or an LTE small base station as an LTE base statio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LTE macro base station or an LTE eNB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즉, LTE eNB(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1통신패킷'에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when receiving the uplink signal from the backhaul terminal 200,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the LTE eNB 40 adds the backhaul ag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eceived first communication packet '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is generated through tunneling for inserting (encapsula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그리고, LTE eNB(40)는,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제공하게 된다.The LTE eNB 40 then provides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o the backhaul agen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route informa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코어망(10)은, MME(22), SGW(24) 및 PGW(26) 등으로 구성된 LTE 코어망(20), RNC(32), SGSN(34) 및 GGSN(36) 등으로 구성된 3G 코어망(30)을 포함할 수 있다. 4,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includes an LTE core network 20, an RNC 32, an SGSN 34, and an SGSN 34, which are composed of an MME 22, an SGW 24, a PGW 26, A GGSN 36,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는, LTE 코어망(20) 및 3G 코어망(30)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해당 코어망과 연동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backhaul ag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worked with a corresponding core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IP communication, E1 line) supported by each of the LTE core network 20 and the 3G core network 30 , And an interface conversion function.

이러한 백홀에이전트(100)는, 전술과 같이 LTE eNB(40)로부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여 생성된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다.When the backhaul agent 100 rece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by inserting (encapsula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LTE eNB 40 as described above, (De-encapsulates) the second path information.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 후 식별용 경로정보 역시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를 LTE 코어망(20)으로 제공하여, LTE 코어망(20)에서는 제1경로정보 만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 후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을 외부망(5)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한다. The backhaul agent 100 transmits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obtained by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also deleting (de-encapsulating) the path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that is, the backhaul signal of the LTE base station 1 (First path information + communication packet) to the LTE core network 20 and the LTE core network 20 deletes (de-encapsulates)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a communication packet To the external network (5).

즉,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LTE eNB(40)을 활용하여 LTE기지국(1) 및 LTE 코어망(20) 간의 백홀신호(업링크)를 전송하면서도, LTE 코어망(20) 단에서 디-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backhaul signal (uplink) between 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LTE core network 20 using the LTE eNB 40, So that encapsulation is not repeated a number of times.

이때, 앞서 백홀단말(200)이 제1통신패킷에 삽입(인캡슐레이션)한 식별용 경로정보에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가 포함된 실시예라면,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서, 해당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backhaul agent 100 includes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LTE base station 1 in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inserted (encapsulat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by the backhaul terminal 200, (IP) of the LTE base station 1 from the path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btained by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base station 1 can be distinguished.

한편, 앞서 백홀단말(200)이 제1통신패킷에 삽입(인캡슐레이션)한 식별용 경로정보에 고유식별자(예 : Flag)가 포함된 실시예라면, 백홀에이전트(10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서, 해당 디바이스의 즉 LTE기지국(1)의 고유식별자(예 : Flag)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backhaul terminal 200 includes the unique identifier (e.g., Flag) in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nserted (encapsulat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E.g., Flag)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hat is, the unique identifier (e.g., Flag) of the LTE base station 1 in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btained by dele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rom the packe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LTE eNB(40)을 활용하여 LTE기지국(1) 및 LTE 코어망(20) 간의 백홀신호(업링크)를 전송하면서도,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에 탑재된 디바이스(기지국) 별 통신패킷 전송경로 구분을 위한 기능을 통해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backhaul signal (uplink) between 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LTE core network 20 using the LTE eNB 40,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LTE base station 1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the function for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for each device (base station) mounted on the backhaul terminal 200. [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전술의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와는 역으로 처리되는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에 대해서도, LTE 코어망(20) 단에서 인캡슐레이션을 수차례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에 탑재된 디바이스(기지국) 별 통신패킷 전송경로 구분을 위한 기능을 통해서 LTE기지국(1)으로의 다운링크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Of course,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that is processed inversely to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uplink, as described above, encapsulation in the LTE core network 20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to the LTE base station 1 is performed through the function for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for each device (base station) mounted on the backhaul agent 100 and the backhaul terminal 200, The path can be distinguished.

여기서,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해, 고유식별자(예 : Flag)를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백홀단말(200)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별로 별도의 고유식별자(예 : Flag)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체계를 구축해야 하므로, 디바이스의 주소정보(IP)를 이용하는 실시예가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In the embodiment using the unique identifier (e.g., Flag) for distinguishing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the backhaul terminal 200 has a new system for managing and managing a unique identifier (e.g., Flag) for at least one device It is judged that the embodiment using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device is more efficient.

따라서, 이하에서는,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주소정보(IP)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device is used to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이처럼,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우려되는 문제점들, 예컨대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없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by using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hat is, the LTE eNB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is a concern, for example, a problem of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repetition processing of a core network, and a problem that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can not be distinguished for each device (base station).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eNB(40)에 백홀단말(200)이 아닌 일반적인 LTE단말(60)이 접속되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a general LTE terminal 60 other than the backhaul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LTE eNB 40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장치인 백홀단말(200)은, 전술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어망으로의 접속 시도 시 고정적으로 기 보유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LTE eNB(40)는 백홀단말(200)에 대해서는 제공된 장치정보에 따른 특정 MME(122) 즉 백홀에이전트(100) 내에 속해 있는 MME(122)를 통해서만 백홀에이전트(100) 내에 구현된 특정 코어망(도 5의 코어기능부(120))에 대한 접속절차를 처리할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backhaul terminal 200, which is a terminal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MME 122 fixedly held at the time of connection to the core network The LTE eNB 40 can be implemented in the backhaul agent 100 only through the MME 122 belonging to the backhaul agent 100 according to the provided device information for the backhaul terminal 200 (The core function 120 of FIG. 5).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에서는, LTE eNB(40)에 접속된 백홀단말(200)이 반드시 백홀에이전트(100)에 접속되게 한다.Thus, in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haul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LTE eNB 40 is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backhaul agent 100.

한편, 일반적인 기존의 단말(일반 사용자의 단말)인 LTE단말(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망으로의 접속 시도 시 이전(직전)에 접속된 MME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해 내부에 저장되는 MME의 장치정보(예 : 상용 MME(22)의 장치정보)를 제공하거나 MME의 장치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LTE eNB(40)는 어느 경우이든 LTE단말(60)에 대해서는 상용 MME(22)를 통해서 상용 코어망(10) 특히 LTE 코어망(20)에 대한 접속절차를 처리할 것이다.Meanwhile, the LTE terminal 60, which is a general existing terminal (general user terminal), transmits the MMEs stored therein only when there is an MME connected before (immediately before) when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The LTE eNB 40 does not provide the commercial MME 22 with respect to the LTE terminal 60 in any case because it does not provide the device information (e.g.,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commercial MME 22) It will handle the access procedure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10, particularly the LTE core network 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에서는, LTE eNB(40)에 접속된 일반 사용자의 단말(예 : LTE단말(60))의 경우, 백홀에이전트(100)에 접속되는 일 없이, 기존과 같이 LTE 코어망(20)에 접속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terminal (for example, the LTE terminal 60) of a general user connected to the LTE eNB 40, the LTE eNB 40 is not connected to the backhaul agent 100,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20).

결국,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에서는, 특정한 용도의 단말 즉 백홀단말(200)로 하여금 이전 접속된 네트워크장치 즉 MME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기 보유하게 하고, 코어망으로의 접속 시도 시 항상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하여, 백홀단말(200)에 대해서 일반 사용자의 단말(예 : LTE단말(60))이 이용하는 상용 MME(22)와는 다른 별도의 특정 MME(122)를 이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일반 사용자의 단말(예 : LTE단말(60)) 및 특정 용도의 백홀단말(200)에 대해 코어망을 상용 코어망(10) 및 백홀에이전트(100) 내 특정 코어망(120)으로 각각 분리 운용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of a specific use, that is, the backhaul terminal 200 is caused to hold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the previously connected network devic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together with the backhaul terminal 200 separately from the commercial MME 22 used by the general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LTE terminal 60) The core network 10 and the backhaul agent (not shown) can be used for the general user terminal (e.g., the LTE terminal 60) and the backhaul terminal 200 for the specific use 100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120,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에서는, 전술과 같은 방식으로 일반 사용자의 단말(예 : LTE단말(60)) 및 특정 용도의 백홀단말(200)에 대해 코어망을 각각 분리 운용함으로써, 이를 통해 백홀단말(200)의 데이터 처리에 대한 특정 QoS(서비스 품질) 정책을 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Also, in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network is separated and operated for a general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LTE terminal 60) and a specific use backhaul terminal 20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QoS) policy for data processing of the mobile terminal 200 can be expected.

또한, 각각의 코어망 분리 운용을 통해 백홀단말의 데이터 처리에 대한 특정 QoS(서비스 품질) 정책을 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 specific QoS (Quality of Service) policy for the data processing of the backhaul terminal is provided through each core network separation operation.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의 기능 및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functions and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backhaul agent 100 and the backhaul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특히 백홀단말(200)은, 전술의 도 2에서 언급한 정보보유부(350), 요청제공부(360) 및 접속제어부(37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보유부(250), 요청제공부(260) 및 접속제어부(270)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backhaul terminal 200 includes an information holding unit 250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information holding unit 350, the request providing unit 360, an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37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260)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270).

이에, 백홀단말(200)은,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과 동시에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접속 기지국 즉 LTE eNB(40)로 제공함으로써 코어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며, 이전(직접) 접속된 MME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기 보유된 특정 MME(122)의 장치정보를 함께 LTE eNB(40)로 제공한다.Thus, the backhaul terminal 200 is switched to the power-on state and at the same time, attempts to connect to the core network by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the connection base station, that is, the LTE eNB 40, And provides the LTE eNB 40 with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ME 122 held therei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ME.

따라서, LTE eNB(40)는, 백홀단말(200)에 대해서, 제공된 장치정보에 따른 특정 MME(122) 즉 백홀에이전트(100) 내에 속해 있는 MME(122)를 통해서만 백홀에이전트(100) 내에 구현된 특정 코어망 즉 코어기능부(120)에 대한 접속절차를 처리할 것이다.Thus, the LTE eNB 40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backhaul terminal 200 only in the specific MME 122 according to the provided device information, that is, within the backhaul agent 100 only through the MME 122 belonging to the backhaul agent 100 It will process the connection procedure to the core network 120, which is a specific core network.

이후, 백홀단말(200)에는,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을 통해 백홀신호 즉 통신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가 연결될 것이다.Thereafter, the backhaul terminal 200 will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device 50 that wishes to transmit backhaul signals, i.e., communication packets, through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 및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 중에서,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를 중심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mong the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and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the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will be main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그리고,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홀단말(20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로서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5, LTE base station 1 and 3G base station 2 will be described as devices connected to backhaul terminal 2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즉, LTE기지국(1)은,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LTE 코어망(20) 내 망 장비 예컨대 SGW(24)로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the LTE base station 1 transmits, to the communic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of the terminal, a network equipment in the LTE core network 20, for example, SGW 24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generated through tunneling to insert (encapsulate) the first path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또한, 3G기지국(2)은,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세션)이 연결된 3G 코어망(30) 내 망 장비 예컨대 RNC(32)로 보내기 위한 제1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3G base station 2 transmits, to the communic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of the terminal, a network equipment (e.g., RNC 32) in the 3G core network 30 to which a call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generated through tunneling to insert (encapsulate) the first path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이후,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는,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생성한 제1통신패킷을, 백홀신호로서 백홀단말(200)로 제공한다.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3G base station 2 then transmit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through the tunneling for inserting the first path information into the communic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of the terminal as a backhaul terminal 2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단말(200)은, 패킷수신부(210, 이하 패킷송수신부라 함), 게이트웨이기능부(230) 및 모뎀부(240)를 포함한다. 5, the backhaul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et receiving unit 210, a gateway function unit 230, and a modem unit 240 .

패킷송수신부(210)는,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0) 즉 LTE기지국(1) 또는 3G기지국(2)로부터 전술과 같이 제1경로정보가 삽입된 제1통신패킷, 즉 백홀신호를 수신한다.The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10 receives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 which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inserted from at least one device 50 connected to the backhaul terminal 200, that is, the LTE base station 1 or the 3G base station 2, That is, a backhaul signal.

이때, LTE기지국(1)의 경우 IP통신을 통해 백홀신호를 백홀단말(200)에 제공할 것이고, 3G기지국(2)의 경우 E1회선을 통해 백홀신호를 백홀단말(200)에 제공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LTE base station 1 will provide the backhaul signal to the backhaul terminal 200 through the IP communication, and the 3G base station 2 will provide the backhaul signal to the backhaul terminal 200 through the E1 line.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단말(200)은, LTE기지국(1) 및 3G기지국(2)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변환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ckhaul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interface conversion function so as to be able to b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e.g., IP communication, E1 line) supported by each of the LTE base station 1 and the 3G base station 2 And an interface converting unit 220. [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변환부(220)는, 백홀단말(200)에 연결된 3G기지국(2)에 부여한 가상의 IP를 기초로, 업링크 시 패킷송수신부(210)에서 E1회선을 통해 수신되는 3G기지국(20)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을 3G기지국(2)에 부여한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하고, 다운링크 시 3G기지국(20)의 백홀신호 즉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을 E1회선 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하여 패킷송수신부(210)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virtual IP address assigned to the 3G base station 2 connected to the backhaul terminal 200, the interface converter 220 converts the IP address of the 3G The backhaul signal of the base station 20,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conv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based on the IP provided to the 3G base station 2, and the backhaul signal of the 3G base station 20, 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based on the E1 line and transmit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0.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이다.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is a functional unit that performs a function for identifying a transmission path of a communication packet for each device (base station).

이러한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제1통신패킷에 삽입한다.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inserts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즉,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패킷송수신부(210)를 통해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라면,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에 삽입할 것이다.That is, when the backhaul signal of the LTE base station 1,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received through the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0, 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transmits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LTE base station 1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

물론,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패킷송수신부(210)를 통해 3G기지국(2)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라면, 3G기지국(2)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인터페이스변환부(220)에서 IP기반으로 변환된 3G기지국(2)의 제1통신패킷에 삽입할 것이다.Of course, when the backhaul signal of the 3G base station 2,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received through the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0, 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transmits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3G base station 2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3G base station 2 converted into the IP-based in the interface conversion unit 2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이 수신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backhaul signal of the LTE base station 1,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received.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는, 단말로부터의 통신패킷이 페이로드에 실리고, SGW(24)의 IP를 목적지주소(DIP)로 지정하고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소스주소(SIP)로 지정하는 제1경로정보가 헤더로서 삽입된 형태일 것이다.5,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LTE base station 1, that is, the backhaul signal of the LTE base station 1, is transmitted to the payload of the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terminal, The first path information specifying the IP as the destination address (DIP) and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LTE base station 1 as the source address (SIP) is inserted as a header.

이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게이트웨이기능부(230)는, 전술과 같은 형태로 수신된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는 터널링을 수행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stores in the backhaul signal of the LTE base station 1,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LTE base station 1 (Encapsulation) is perform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트웨이기능부(230)에서 제1통신패킷에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한 이후의 제1통신패킷을, 제1통신패킷'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fter 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inserts (encapsulates)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 would.

이때,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는,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LTE base station 1 includes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LTE base station 1.

예를 들면, LTE기지국(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는, 백홀단말(200) 내 게이트웨이기능부(230)와 대응하여 후술할 백홀에이전트(100) 내에 구성된 게이트웨이기능부(130)의 주소정보(IP)를 목적지주소(DIP)로 지정하고, 백홀단말(200)의 주소정보(IP)를 소스주소(SIP)로 지정하며,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터널링ID(TEID)로 지정하는 헤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rout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LTE base station 1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functional unit 130 in the backhaul agen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gateway functional unit 230 in the backhaul terminal 200 Designates the address information (IP) as the destination address (DIP), designates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backhaul terminal 200 as the source address (SIP), and the address information (IP) of the LTE base station 1 as the tunneling ID (TEID).

모뎀부(240)는, 전술과 같이 게이트웨이기능부(230)에서 식별용 경로정보가 삽입된 제1통신패킷'를 기지국장치(40)으로 송신한다.The modem unit 240 transmit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 which 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has inserted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as described above.

다시 말해, 모뎀부(240)는,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를 LTE 무선신호로 처리하여 LTE 무선방식을 통해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 송신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modem unit 240 processe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as an LTE radio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hat is, the LTE eNB 40 via the LTE radio system.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백홀단말(200)은, 자신에 연결된 디바이스 예컨대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 즉 제1통신패킷에 식별용 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여 LTE 무선방식을 통해 LTE eNB(40)로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haul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encapsulates) the path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into the backhaul signal, i.e.,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connected to the backhaul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NB 40.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한다.When the uplink signal,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is received from the backhaul terminal 200,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hat is, the LTE eNB 40 transmits a second path to the received first communication packet ' And generates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즉, LTE eNB(40)는, 백홀단말(200)로부터 업링크신호 즉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를 수신하면, LTE기지국(1)의 제1통신패킷'에 해당 백홀단말(200)과 관련하여 호(세션)이 연결된 망 장비 예컨대 후술할 백홀에이전트(100)의 코어기능부(120) 내 SGW(124)로 보내기 위한 제2경로정보를 삽입(인캡슐레이션)하기 위한 터널링을 통해,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upon receiving the uplink signal from the backhaul terminal 200,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the LTE eNB 40 transmit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to the corresponding backhaul terminal Tunneling for inserting (encapsulating) the second path information for sending to the SGW 124 in the core function unit 120 of the backhaul agen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이때, 제2통신패킷은, 백홀단말(200)로부터의 제1통신패킷'이 페이로드에 실리고, SGW(124)의 IP를 목적지주소(DIP)로 지정하고 LTE eNB(40)의 주소정보(IP)를 소스주소(SIP)로 지정하는 제2경로정보가 헤더로서 삽입된 형태일 것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is a message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ckhaul terminal 200 is loaded in the payload, the IP of the SGW 124 is designated as the destination address (DIP),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LTE eNB 40 IP) as a source address (SIP) is inserted as a header.

LTE eNB(40)는, 전술과 같이 생성한 제2통신패킷을, 제2경로정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로 제공하게 된다.The LTE eNB 40 provides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o the backhaul ag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path informa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에이전트(100)는, 패킷수신부(110, 이하 패킷송수신부라 함), 코어기능부(130) 및 게이트웨이기능부(130)를 포함한다.5, the backhaul agent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et receiving unit 110, a core function unit 130, and a gateway function unit 130 do.

더불어, 본 발명의 백홀에이전트(100)는, LTE 코어망(20) 및 3G 코어망(30) 각각에서 지원하는 통신방식(예 : IP통신, E1회선)을 통해 해당 코어망과 연동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변환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ckhaul ag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nked to a corresponding core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e.g. IP communication, E1 line) supported by each of the LTE core network 20 and the 3G core network 30 And an interface conversion unit 140 for performing an interface conversion function.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변환부(140)는, 전술의 백홀단말(200) 내 대응되는 구성인 인터페이스변환부(220)에서 3G기지국(2)에 부여한 가상의 IP를 기초로, 업링크 시 3G기지국(20)의 백홀신호 즉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을 E1회선 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하여 3G 코어망(30)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시 패킷송수신부(140)에서 E1회선을 통해 수신되는 3G기지국(20)의 제1통신패킷을 IP기반의 제1통신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virtual IP assigned to the 3G base station 2 by the interface conversion unit 220, which is a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n the above-described backhaul terminal 200, the interface conversion unit 140 converts, That is, the IP-based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based on the E1 line, and transmit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the 3G core network 30 at the downlink time, and the E1 line at the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of the received 3G base station 20 can be conv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based on the IP.

패킷송수신부(110)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로부터, 전술과 같은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을 수신한다.The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rece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hat is, the LTE eNB 40 as described above.

코어기능부(120)는, 수신한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한다. The core function unit 120 deletes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of the received LTE base station 1. [

이러한 코어기능부(120)는, 백홀에이전트(100) 내에 구현되는 특정 코어망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코어망(20)에서 경로정보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즉 MME(22), SGW(24) 및 PGW(26)과 대응되는 장비들 즉 MME(122), SGW(124) 및 PGW(126)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core function unit 120 is a specific core network implemented in the backhaul agent 100. In the LTE core network 20, the core function unit 120 encapsulates / de-encapsulates path information The MME 122, the SGW 124, and the PGW 126, which correspond to the MME 22, the SGW 24, and the PGW 26,

이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어기능부(120) 특히 SGW(124)는 수신한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을 2경로정보에 따라 코어기능부(120) 특히 SGW(124)로 제공하고, PGW(126)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고 얻어지는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에 따라 게이트웨이기능부(130)로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re function unit 120, in particular, the SGW 124, transmits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of the received LTE base station 1 to the core function unit 120, in particular, to the SGW 124 , And the PGW 126 deletes (de-encapsulates)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provides it to the gateway functional unit 130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

게이트웨이기능부(130)는,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의 전송경로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이다.The gateway function unit 130 is a functional unit that performs a function for identifying a transmission path of a communication packet for each device (base station).

이러한 게이트웨이기능부(130)는, 코어기능부(120)에 의해 LTE기지국(1)의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가 삭제된 후 제1통신패킷'이 얻어지면, 제1통신패킷'에서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하고 이에 따라 얻어지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를 LTE 코어망(20) 즉 제1통신패킷의 제1경로정보에 따른 SGW(24)로 제공한다.Whe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obtained after the second path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by the core function unit 120, the gateway functional unit 130 transmit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e., the first path information + the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to the LTE core network 20, that is, the first To the SGW 24 according to the first path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packet.

이때, 코어기능부(120)는, 제2통신패킷에서 제2경로정보를 삭제하여 얻은 제1통신패킷'의 식별용 경로정보 보다 구체적으로 터널링ID(TEID)에서, 디바이스의 주소정보 즉 LTE기지국(1)의 주소정보(IP)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LTE기지국(1)의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re function unit 120 extracts, from the tunneling ID (TEID) more specifically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that is, the LTE base station (IP) of the LTE base station 1 and can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of the LTE base station 1 based on the information.

이에, LTE 코어망(20)에서는 백홀에이전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제1통신패킷 즉 LTE기지국(1)의 백홀신호(제1경로정보+통신패킷)에서 제1경로정보 만 삭제(디-인캡슐레이션)한 후 단말의 업링크신호에 따른 통신패킷을 외부망(5)으로 내보낼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LTE core network 20,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provided from the backhaul agent 100, that is, the backhaul signal (first path information + communication packet) of the LTE base station 1 The communication packet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of the terminal can be exported to the external network 5. [

따라서,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경우,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에서는, 백홀단말(200)에 수신되는 디바이스(예 : LTE기지국(1))로부터의 백홀신호(제1통신패킷)와 동일한 제1통신패킷이, 백홀에이전트(100) 단에서 LTE 코어망(20)으로 전송될 수 있다.5, in the up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in the case of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from the device (for example, the LTE base station 1)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identical to the backhaul signal (first communication packe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backhaul agent 100 to the LTE core network 20. [

물론,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에 따르면,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가 전술의 업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a)와는 역으로 처리될 것이 자명하다.Of course, according to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of the downlink will be handled opposite to the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a of the above-mentioned uplink.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의 경우, 다운링크의 통신패킷 전송경로(b)에서는, LTE 코어망(20)으로부터 백홀에이전트(100)로 수신되는 제1통신패킷과 동일한 백홀신호(제1통신패킷)가, 백홀단말(200) 단에 해당 디바이스(예 : LTE기지국(1))로 전송될 수 있다.In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wnlink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b), the same backhaul signal as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LTE core network 20 to the backhaul agent 100 Communication packe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e.g., LTE base station 1) at the backhaul terminal 200 side.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하나의 백홀에이전트(100) 및 백홀단말(200)을 채택하여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가장 간략한 구현 방식일 뿐이다.4 and 5,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dopting one backhaul agent 100 and the backhaul terminal 200, but this is only the simplest implementation method for explanation.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은, 다수의 백홀에이전트#1,#2...#N과 백홀단말#1,#2...#N을 채택하여 케스케이드(cascade)형으로 중첩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다수의 백홀에이전트#1,#2...#N과 백홀단말#1,#2...#N을 채택하여 중첩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Alternatively,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ascade-type implementation by adopting a plurality of backhaul agents # 1, # 2 ... #N and # 1, # 2, ..., have. 6 shows an example of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ackhaul agents # 1, # 2 ... #N and backhaul terminals # 1, # 2, ..., .

이처럼, 백홀단말#1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즉 LTE기지국을, 또 다른 백홀단말#2를 위한 통신패킷 전송경로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백홀단말#1,#2...#N을 중첩 구현하고, 이와 대응되도록 백홀단말#1,#2...#N을 중첩 구현한 개수 만큼 백홀에이전트#1,#2...#N를 중첩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백홀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ackhaul terminals # 1, # 2 ... # N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by using a device connected to the backhaul terminal # 1, that is, the LTE base station, as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for another backhaul terminal # 2,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overlaying the backhaul agents # 1, # 2, ..., #N by the number of overlapping implementations of the backhaul terminals # 1, # 2 ... #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기지국장치(40) 즉 LTE eNB(40)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우려되는 문제점들, 예컨대 코어망 단의 인캡슐레이션/디-인캡슐레이션 반복 처리 문제, 디바이스(기지국) 별로 통신패킷 전송경로를 구분할 수 없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backhau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by utilizing the base station apparatus 40, that is, the LTE eNB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can not be distinguished by a problem (e.g.,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repetition processing of the core network) and a communication packet transmission path for each device (base station).

더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홀시스템은, 전술과 같이 백홀에이전트 및 백홀단말을 제안하여 기존 mmWave 기반 무선 백홀이 갖는 단점을 모두 개선한 무선방식 백홀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특히 본 발명의 무선방식 백홀에서 라우터 역할을 하는 백홀단말에 대해서, 일반 사용자의 단말이 이용하는 네트워크장치(상용 MME)와는 다른 별도의 네트워크장치(특정 MME)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의 단말 및 특정 용도의 단말에 대해 각각 코어망을 분리 운용하는 효과를 도출한다.In addition, the backha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ackhaul agent and a backhaul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realizes a wireless backhaul in which all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mmWave-based wireless backhaul are improved. In particular, (A specific MME) different from the network device (commercial MME) used by the terminal of the general user can be used for the backhaul terminal serving as the router in the method backhaul, The core network is separated and op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백홀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의 기지국장치를 활용하여 기지국 및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면서도, 무선방식으로 백홀을 구현함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 일반 사용자의 단말 및 백홀단말에 대해 각각 코어망을 분리 운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backhau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pplied thereto, a backhau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is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using a base sta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In order to avoid problems expected in the future, and to separate and operate core networks for end-user terminals and backhaul terminal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chnologie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operation of the device is not only sufficient but also practically possible because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use the invention.

300 : 단말장치
350 : 정보보유부 360 : 요청제공부
370 : 접속제어부
300: terminal device
350: information holding unit 360:
370:

Claims (7)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용 코어망과는 구분되는 특정 코어망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보유하는 정보보유부;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제공하는 요청제공부; 및
상기 접속요청 제공 시 상기 기 보유된 장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기지국장치가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중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코어망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In the terminal device,
An information holding unit for holding dev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that is different from a commercial core network;
A reques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When the connection request is provided, providing the pre-stored devic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so that the base station apparatus can proces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apparatus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through the specific network apparatus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apparatuses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for enabling the terminal apparatus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장치는,
상기 상용 코어망 내에 속해 있는 상용 네트워크장치와,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에이전트 내에 속해 있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comprising:
A commercial network device belonging to the commercial core network,
And the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backhaul agent that implements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단말인 경우에만 기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terminal device is held only when the backhaul terminal realizes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통신패킷에 제1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1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생성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용 경로정보를 상기 제1통신패킷에 삽입하여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백홀단말; 및
상기 백홀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통신패킷에 제2경로정보를 삽입하여 제2통신패킷을 생성하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2통신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통신패킷에서 상기 제2경로정보 및 상기 식별용 경로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통신패킷을 상용 코어망으로 제공하여, 상기 상용 코어망에서는 상기 제1통신패킷에서 상기 제1경로정보 만 삭제하면 되도록 하는 백홀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백홀단말은,
상기 백홀에이전트 내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가 속해 있는 특정 코어망에 대해 접속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시스템.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vic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device that generates a first communication packet by inserting first path information into the communication packet; A backhaul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When recei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packet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that inserts second path information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received from the backhaul terminal and generates a second communication packet, And a backhaul agent for deleting the identification path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to a commercial core network, wherein only the first path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cket in the commercial core network;
The backhaul terminal includes:
Wherein the backhaul system is connected to a specific core network to which the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s through a specific network device in the backhaul ag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단말은,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는 경우, 기 보유된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코어망에 대한 상기 백홀단말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ackhaul terminal includes: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for the cor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providing the apparatus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apparatus held by the base station apparatus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to proces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backhaul terminal.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용 코어망과는 구분되는 특정 코어망에 속해 있는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를 보유하는 정보보유단계;
코어망에 대한 접속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제공하는 요청제공단계; 및
상기 접속요청 제공 시 상기 기 보유된 장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기지국장치가 다수의 네트워크장치 중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를 통해서 상기 특정 코어망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n information holding step of holding dev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network device belonging to a specific core network that is different from a commercial core network;
A reques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re network to a base station apparatus; And
When the connection request is provided, providing the pre-stored devic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so that the base station apparatus can process the connec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apparatus to the specific core network through the specific network apparatus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apparatuses And a connection control step of allowing the terminal device to access the terminal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는,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에이전트 내에 속하며,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의 장치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디바이스 및 상기 상용 코어망 간의 백홀을 무선방식으로 구현하는 백홀단말인 경우에만 기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pecific network device comprises:
Device and a backhaul agent that implements a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Wherein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etwork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terminal device is held only when the backhaul terminal implements the backhau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ommercial core network in a wireless manner.
KR1020140163558A 2014-11-21 2014-11-21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KR1021459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58A KR102145943B1 (en) 2014-11-21 2014-11-21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58A KR102145943B1 (en) 2014-11-21 2014-11-21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89A true KR20160061089A (en) 2016-05-31
KR102145943B1 KR102145943B1 (en) 2020-08-19

Family

ID=5609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558A KR102145943B1 (en) 2014-11-21 2014-11-21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9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651B1 (en)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유캐스트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LTE Backhaul Mesh Networ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407A (en) * 2004-12-09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for relocating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in a network sharing system
KR20080109617A (en) * 2007-06-13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multi-path
KR20100045733A (en)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in wireless network
KR101019251B1 (en) * 2010-07-23 2011-03-04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tributing multi-core scalable packet in case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s adopted
KR101192937B1 (en) * 2005-11-09 2012-10-18 톰슨 라이센싱 Route selection in wireless networks
KR20140077327A (en)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ackhaul repeater in wireless backhau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ource between base sta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407A (en) * 2004-12-09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for relocating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in a network sharing system
KR101192937B1 (en) * 2005-11-09 2012-10-18 톰슨 라이센싱 Route selection in wireless networks
KR20080109617A (en) * 2007-06-13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multi-path
KR20100045733A (en)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in wireless network
KR101019251B1 (en) * 2010-07-23 2011-03-04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tributing multi-core scalable packet in case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s adopted
KR20140077327A (en)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ackhaul repeater in wireless backhau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ource between base st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651B1 (en)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유캐스트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LTE Backhaul Mesh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943B1 (en)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842B2 (en) GTP-U downlink packet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JP7440562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0035042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0475368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3793240A1 (en) Configuration metho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41265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202244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p addre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p address
KR20180127965A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465230A (en) Access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11018002A1 (en) Relay method, rel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of transport bearer
US10595354B1 (en)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device via at least two access nodes
WO2017209367A1 (en)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erminal for each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587431B2 (en) Tunnel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EP3043598A1 (en) Routing method between base stations, serving gateway and base station
WO2010106653A1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device, relay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6792759B (en) Wireless backhaul method and system compatible with LTE existing network
KR20160061089A (en) Backhaul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JP6953584B2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equipment
WO2024067194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5096008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routing backhaul packets
KR10195665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warding information update method, communications device, and controller
CN11058299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over a local area network connection
WO202306620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652951B1 (en)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device via at least two access nodes
KR20160023206A (en) Backhau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