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522A -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522A
KR20160060522A KR1020140178716A KR20140178716A KR20160060522A KR 20160060522 A KR20160060522 A KR 20160060522A KR 1020140178716 A KR1020140178716 A KR 1020140178716A KR 20140178716 A KR20140178716 A KR 20140178716A KR 20160060522 A KR20160060522 A KR 20160060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llumination light
guide plate
illumination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9367B1 (en
Inventor
김선일
알렉산더 브이. 모로조브
앤드레이 엔. 푸틸린
세르게이 이. 두바이닌
게르만 비. 두비닌
세르게이 에스. 코펜킨
유리 피. 보로딘
안중권
최칠성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26,09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91196B2/en
Publication of KR2016006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5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backlight unit for a binocular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a binocular holographic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rise: a light source unit which provides coherent illumination light; and a transparent light guide plate which includes an entrance 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s incident and an exit face from which the entered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beam deflector which adjusts an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which is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Since the backlight unit includes a beam deflector capable of changing a propagation direction of light, a position of a visual field in which a holographic image is formed in the binocular holographic display device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movement of an observer.

Description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for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개시된 실시예들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시역에 시점이 상이한 홀로그래픽 영상을 각각 제공하는 양안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양안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s relate to a backlight unit and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light unit for a binocular holographic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holographic image having a different viewpoint at two viewports, To a graphic display device.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서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이 널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안경 방식에는 편광 안경 방식과 셔터 안경 방식이 있으며, 무안경 방식에는 렌티큘러 방식과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두 눈의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는 것으로, 시점 수의 증가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뇌에서 인식하는 깊이감과 눈의 초점이 일치하지 않아서 시청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느끼게 한다.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 spectacle method and a non-spectacle method are widely commercialized and used. There are polarizing glasses and shutter glasses for the glasses, and lenticular and parallax barriers for the glassesless. These methods use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two eyes, which not only limit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iewpoints, but also causes viewers to feel fatigue because the depth perception recognized by the brain does not coincide with the focus of the eyes.

뇌에서 인식하는 깊이감과 눈의 초점이 일치하고 완전 시차(full parallax)를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방식으로서, 최근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식이 점차 실용화되고 있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식은, 원본 물체로부터 반사된 물체광과 참조광을 간섭시켜 얻은 간섭무늬를 기록한 홀로그램 패턴에 참조광을 조사하여 회절시키면, 원본 물체의 영상이 재생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식은 원본 물체를 직접 노광하여 홀로그램 패턴을 얻기 보다는 컴퓨터로 계산된 홀로그램(computer generated hologram; CGH)을 전기적 신호로서 공간 광변조기에 제공한다. 입력된 CGH 신호에 따라 공간 광변조기가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여 참조광을 회절시킴으로써 3차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ly, a holographic display system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as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in which depth perception recognized by the brain matches the focal point of the eye and can provide full parallax. The holographic display system utilizes the principle that an image of an original object is reproduced by irradiating reference light to a hologram pattern on which interference fringes obtained by interfering with reference light from object light reflected from an original object are diffracted. Currently, the holographic display method that is being put to practical use provides a computer generated hologram (CGH)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patial light modulator, rather than directly exposing the original object to obtain a hologram pattern. The spatial light modulator forms a hologram pattern according to the input CGH signal and diffracts the reference light so that a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generated.

그런데, 완전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해상도의 공간 광변조기 및 매우 많은 데이터 처리량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데이터 처리량 및 해상도의 조건을 완화하기 위하여, 관찰자의 양안에 해당하는 시역에만 각각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양안 홀로그램(binocular hologram)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좌안 시역에 해당하는 시점을 갖는 홀로그램 영상과 관찰자의 우안 시역에 해당하는 시점을 갖는 홀로그램 영상만을 생성하여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나머지 시점들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들을 생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된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공간 광변조기의 해상도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However, implementing a complete holographic display scheme requires very high resolution spatial light modulators and very high data throughput. In recent years, a binocular hologram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hologram image is provided only to a view area corresponding to both eyes of an observer in order to alleviate data throughput and resolution. For example, only a hologram image having a viewpoint corresponding to the observer's left eye view area and a hologram image having a viewpoint corresponding to the observer's right eye view region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observer's left eye and right eye, respectively. In this cas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generate hologram images for the remaining time points, the data throughput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resolution condition of the spatial light modulator can be satisfied even in the currently commercialized display device.

2개의 시역에 시점이 상이한 홀로그래픽 영상을 각각 제공하는 양안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There is provided a backlight unit for a binocular holographic display device, each of which provides a holographic image having a different viewpoint to two viewports.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양안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a binocular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조명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이 입사하는 입광면 및 상기 입사한 조명광을 방출시키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투명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입력 커플러; 및 상기 도광판의 출광면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도광판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출력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빔 편향기를 포함할 수 있다.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providing illumination light; A transparent light guide plate having a light incident sur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by the light source unit is incident and a light output surface for emitting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An input coupler for guiding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nto the light guide plate; And an output coupler disposed on a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emitting illumination ligh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는 제 1 시역에 제 1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 1 광원부 및 제 1 시역과 상이한 제 2 시역에 제 2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 2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면은 상기 제 1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 및 상기 제 2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커플러는 제 1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1 입력 커플러 및 제 2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2 입력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unit for providing a first illumination light in a first view area and a second light source unit for providing a second illumination light in a second view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view area, Wherein the input coupler includes a first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to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input coupler for guid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to the light guide plate, the first light incident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And a second input coupler for driving the input coupler to the inside of the input coupler.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입광면과 제 2 입광면은 상기 도광판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제 1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제 2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first light source portion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또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동일한 출광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through the same light exit surface, and the output coup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at different angles.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원부는, 제 1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제 1 광원; 제 1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제 1 콜리메이터; 제 1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제 1 빔확장기; 및 상기 제 1 입광면에 입사하는 제 1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1 빔 편향기;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that generates a first illumination light; A first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first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a beam diameter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a first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또한, 상기 제 2 광원부는, 제 2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제 2 광원; 제 2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제 2 콜리메이터; 제 2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제 2 빔확장기; 및 상기 제 2 입광면에 입사하는 제 2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2 빔 편향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ght sour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that generates a second illumination light; A second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second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nd a second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은 간섭성 백색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may be configured to emit coherent white light.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켜 상기 빔 편향기에 제공하는 빔확장기; 및 상기 빔 편향기로부터 오는 조명광을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으로 분할하는 빔스플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to provide the beam deflector to the beam deflector; And a beam splitter for dividing the illumination light from the beam deflector into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second illumination light.

또한, 상기 입광면은 상기 제 1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 및 상기 제 2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커플러는 제 1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1 입력 커플러 및 제 2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2 입력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incidence surface may include a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and the input coupler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for advanc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input coupler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제 1 입광면과 제 2 입광면은 상기 도광판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respectively.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동일한 출광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조명광이 제 1 시역으로 방출되고 제 2 조명광이 제 1 시역과 상이한 제 2 시역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plat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through the same light emitting surface, and the output coup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first view area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second And can be configured to be emitted to the field of view.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빔확장기; 및 상기 빔확장기로부터 오는 조명광을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으로 분할하는 빔스플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And a beam splitter that divides the illumination light from the beam expander into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second illumination light.

또한, 상기 빔 편향기는 제 1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1 빔 편향기 및 제 2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2 빔 편향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면은 상기 제 1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 및 상기 제 2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커플러는 제 1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1 입력 커플러 및 제 2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2 입력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m deflector may include a first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a second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Wherein the input coupler includes a first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to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to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nput coupler.

상기 제 1 입광면과 제 2 입광면은 상기 도광판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respectively.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동일한 출광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조명광이 제 1 시역으로 방출되고 제 2 조명광이 제 1 시역과 상이한 제 2 시역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plat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through the same light emitting surface, and the output coup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first view area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second And can be configured to be emitted to the field of view.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 및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켜 상기 빔 편향기에 제공하는 빔확장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nd a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to provide the beam deflector to the beam deflector.

상기 빔 편향기는 서로 다른 제 1 시역과 제 2 시역에 순시적으로 번갈아 조명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eam deflector may be configured to alternately provide illumination light to different first and second view areas.

상기 입광면 및 입력 커플러는 상기 도광판의 한쪽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input coupler may be disposed at on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disposed opposite the light incidenc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시역과 제 2 시역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측 가장자리 또는 하부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view area and the second view area may b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ight source part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side edge or the lower side edg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빔 편향기에 의해 편향되는 조명광을 서로 다른 제 1 시역과 제 2 시역에 순시적으로 번갈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light sour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configured to alternately provide the illumination light, which is deflected by the beam deflector, to the first and second view zones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출력 커플러에 의해 색분리된 조명광을 백색광으로 만드는 색지움 요소(achromatization ele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cklight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chromatization element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separated by the output coupler into white light.

상기 입력 커플러 및 출력 커플러는 회절 패턴을 갖는 홀로그램 격자 또는 주기적인 굴절률 분포를 갖는 포토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coupler and the output coupler may include a holographic grating having a diffraction pattern or a photopolymer having a periodic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상기 입력 커플러와 출력 커플러는 상기 도광판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표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2 표면의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input coupler and the output coupler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respectively,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input coupler and the output coupler are disposed in an edge area of the first surface, Region. ≪ / RTI >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을 변조하여 홀로그래픽 영상을 형성하는 공간 광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backlight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spatial light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by the backlight unit to form a holographic image.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는, 관찰자의 동공 위치를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편향기는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도광판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ne-of-sight tracing unit for tracing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and the beam deflecto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n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빛의 진행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빔 편향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양안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홀로그래픽 영상이 형성되는 시역의 위치를 관찰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며, 균질한 조명광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the beam deflector capable of changing the light advancing angle, the position of the viewing area where the holographic image is formed in the binocular holographic display device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bserver. Further,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with a small thickness, and can effectively provide homogeneous illumination ligh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빔 편향기와 도광판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빔 편향기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빔 편향기와 도광판의 다른 다양한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holographic display devic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holographic display devic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eam deflector and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emplary operations of the beam deflector of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
Figs. 7 to 9 are sectional views exemplarily showing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of the light deflector and the beam deflector of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 1. Fig.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
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
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shown i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holographic display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층 구조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표현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backlight unit for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m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embodiments. Also, in the layer structures described below, the expressions "top" or "on top"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은, 조명광을 제공하는 광원부(110a, 110b), 광원부(110a, 110b)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이 입사하는 입광면 및 입사한 조명광을 방출시키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투명한 도광판(130), 도광판(130)의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입력 커플러(131a, 131b), 및 도광판(130)의 출광면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출력 커플러(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00)은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색분리된 조명광을 백색광으로 만드는 색지움 요소(achromatization element)(13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1, the backligh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for providing illumination light, a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is incident,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for moving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incidenc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o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an output coupler 135 disposed to emit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f desired, the backlight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n achromatization element 136 that converts the color light separated by the output coupler 135 into white ligh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100)의 광원부(110a, 110b)는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시역에 각각 조명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10a, 110b)는 제 1 시역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 1 광원부(110a) 및 제 1 시역과 상이한 제 2 시역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 2 광원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원부(110a)는 관찰자의 우안 시역에 조명광을 제공하고 제 2 광원부(110b)는 관찰자의 좌안 시역에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에서 각각 방출된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력 커플러(131a, 131b)는 제 1 입력 커플러(131a)와 제 2 입력 커플러(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0)은 제 1 광원부(110a)에서 방출된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과 제 2 광원부(110b)에서 방출된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입력 커플러(131a)는 제 1 입광면에 배치되거나 제 1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 2 입력 커플러(131b)는 제 2 입광면에 배치되거나 제 2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of the backlight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illumination light to at least two different viewports.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that provides illumination light in a first view area and a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that provides illumination light in a second view area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view area . 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may provide illumination light to the observer's right eye view regi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provide illumination light to the observer's left eye view region. The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and the second input coupler 131b in order to advance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into the light guide plate 130. [ And a coupler 131b. The light guide plate 130 may include a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portion 110a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portion 110b is incident. As described later,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or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input coupler 131b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It can be arranged facing the light surface.

예를 들어, 제 1 광원부(110a)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제 1 광원(111a),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제 1 콜리메이터(112a),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제 1 빔확장기(113a), 및 제 1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1 빔 편향기(11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원부(110a)와 마찬가지로, 제 2 광원부(110b)도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제 2 광원(111b),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제 2 콜리메이터(112b),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제 2 빔확장기(113b), 및 제 2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2 빔 편향기(114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111a that generates illumination light, a first collimator 112a that converts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first beam expander 113a that increases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And a first beam deflector 114a for adjust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Similarly to the first light source part 110a, the second light source part 110b also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111b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second collimator 112b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second collimator 112b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A beam expander 113b, and a second beam deflector 114b for adjust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백라이트 유닛(100)을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광원(111a, 111b)은 높은 간섭성을 갖는 빛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조명광이 어느 정도의 공간 간섭성(spatial coherence)을 가지고 있다면 공간 광변조기에 의해 충분히 회절 및 변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광원(111a, 111b)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 다이오드 외에도 어느 정도의 공간 간섭성을 갖는 빛을 방출한다면 다른 어떤 광원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광원(111a, 111b)은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을 각각 방출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이 혼합된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In order to use the backlight unit 100 in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1a and 111b may include a laser that generates light having high coherence. However, if the illumination light has a certain level of spatial coherence, it can be sufficiently diffracted and modulated by the spatial light modulator, so that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1a and 111b It is also possible to do. In addition to light emitting diodes, any other light source can be used if it emits light with some degree of spatial coherence.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1a and 111b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n array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respectively, to emit white light mixed with red, green, and blue light .

제 1 및 제 2 콜리메이터(112a, 112b)는 제 1 및 제 2 광원(111a, 111b)으로부터 각각 방출된 발산하는 조명광을 평행한 빔으로 만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양의 굴절력을 갖는 굴절 렌즈나 회절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빔확장기(113a, 113b)는 조명광을 균질하게 하고 조명광의 빔 직경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빔확장기(113a, 113b)는 조명광의 형태 및 크기를 도광판(130)의 제 1 입광면과 제 2 입광면의 형태 및 크기와 같아지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빔확장기(113a, 113b)는, 예를 들어, 투명한 인티그레이터 막대(integrator rod)나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제 1 및 제 2 콜리메이터(112a, 112b)가 제 1 및 제 2 빔확장기(113a, 113b)보다 제 1 및 제 2 광원(111a, 111b)에 가깝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및 제 2 콜리메이터(112a, 112b)와 제 1 및 제 2 빔확장기(113a, 113b)의 배치 순서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원(111a, 111b)이 평행한 조명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큰 빔경을 갖는 조명광을 방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콜리메이터(112a, 112b)와 제 1 및 제 2 빔확장기(113a, 113b)가 생략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llimators 112a and 112b are arranged in order to convert the divergent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1a and 111b into a parallel beam, for example, a refractive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may include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lso, the first and second beam expanders 113a and 113b may serve to homogenize the illumination light and increase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eam expanders 113a and 113b may change the shape and size of the illumination light to be the same as the shapes and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 first and second beam expanders 113a and 113b may include, for example, a transparent integrator rod or a light guide plate.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collimators 112a and 112b are shown closer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1a and 111b than the first and second beam expanders 113a and 113b in FIG. 1,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collimators 112a and 112b and the first and second beam expanders 113a and 113b may be reversed. Wh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1a and 111b emit parallel illumination light or can emit illumination light having a large beam diameter, the first and second collimators 112a and 112b and the first and second collimators 112a and 112b, 2 beam expanders 113a and 113b may be omitted.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는 도광판(130)의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각각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는 반사면을 회전시킬 수 있는 갈바노 미러, 유극성 액체와 무극성 액체 사이의 계면의 기울기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전기습윤 소자, 음파를 이용하여 굴절률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음향광학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 대신에,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는 빛을 반사, 굴절, 또는 회절시키지 않고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를 전체적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조명광의 진행 각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를 이용하여 도광판(130)의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각각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은 관찰자의 시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may control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may be a galvanometer mirror capable of rotating the reflecting surface, an electrowetting device capable of electrically changing the slope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ar liquid and the non- And an acoustooptic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using a sound wave. Instead,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may rotate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portions 110a and 110b as a whole, without reflect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the light, It can also be changed.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are used to change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Therefore, as described later, the backligh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in the line of sight of the observ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0)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백라이트 유닛(100) 및 공간 광변조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0)은 공간 광변조기(150)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공간 광변조기(150)는 조명광을 변조하기 위한 간섭 무늬를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 광변조기(150)에서 형성되는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조명광이 회절 및 변조됨으로써 소정의 공간 상의 위치에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될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10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acklight unit 100 and a spatial light modulator 150. The backlight unit 100 serves to provide illumination light to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and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functions to form a hologram pattern having interference fringes for modulating the illumination light. The illumination light is diffracted and modulated by the hologram pattern formed in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so that a hologram image can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spatial position.

또한,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관찰자의 동공 위치를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160), 및 시선 추적부(160)에서 측정된 관찰자의 동공 위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동공 위치가 변화하면, 제어부(170)는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되는 공간 상의 위치가 관찰자의 동공 위치와 일치하도록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를 이용하여 조명광의 진행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includes a gaze tracking unit 160 for tracking a pupil position of an observer and a first and a second beam deflector 160 according to pupil positions of an observer measured by the gaze tracking unit 160 114a, and 114b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changes,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so that the position on the space where the hologram image is formed coincides with the observer's pupil position. Can be adjusted.

상술한 구조를 갖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양안 홀로그램 방식으로 관찰자의 좌안(EL)과 우안(ER)에 시점이 상이한 홀로그램 영상들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선 추적부(160)를 이용하여 관찰자의 좌안(EL)과 우안(ER)의 위치를 파악하면서, 관찰자의 좌안(EL) 시역에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고 관찰자의 우안(ER) 시역에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과는 시점이 다른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rovide hologram images with different viewpoints to the observer's left eye (EL) and right eye (ER), respectively, in a binocular hologram manner. For example,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eft eye (EL) and the right eye (ER) of an observer by using the eye tracking unit 160, And a right eye hologram image having a different viewpoint from the left eye hologram image can be provided in the observer's right eye (ER) field of view.

이러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 제공되는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 및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은,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방식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과는 달리, 단독으로도 관찰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지 시점만이 서로 다르다.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경우, 시점이 상이한 좌안용 2차원 영상과 우안용 2차원 영상이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서 각각 인지될 때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입체감이 발생하지 않으며, 뇌에서 인식하는 깊이감과 눈의 초점이 일치하지 않아서 관찰자가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반면,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소정의 공간 상의 위치, 즉 관찰자의 좌안(EL)과 우안(ER) 시역에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과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각각 형성하기 때문에 뇌에서 인식하는 깊이감과 눈의 초점이 일치하고 완전 시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양안 시점만을 제공하는 이유는, 관찰자가 좌안과 우안으로 2개의 시점만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점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시점 정보를 제거하여 데이터 처리량을 줄이고 비교적 낮은 해상도의 공간 광변조기(150)로도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Unlike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of a stereoscopic system, the left-eye hologram image and the right-eye hologram image provided by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can provide stereoscopic effect to the observer alone, Only the points are different. In the stereoscopic method, a binocular disparity is provided when a two-dimensional image for the left eye and a two-dimensional image for the right eye are recognized i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observer,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stereoscopic method, neither the left eye image nor the right eye image generates a stereoscopic effect, and the depth perceived by the brain does not coincide with the focus of the eye, so that the observer can feel fatigu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forms a left-eye hologram image and a right-eye hologram image at a position on a predetermined space, that is, in an observer's left eye (EL) and right eye (ER) The focus and the focus of the eyes can be matched and can provide complete parallax. The reason why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only binocular viewpoints is that since the observer can recognize only two viewpoints wit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o that the data throughput can be reduced and the hologram image can be formed with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having a relatively low resolu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광판(130)의 양쪽 측면에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는 도광판(130)에 대해 좌우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광원부(110a)는 도광판(130)의 좌측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광원부(110b)는 도광판(130)의 우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가 각각 도광판(130)의 좌측 표면과 우측 표면에 직접 대향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광원부(110a)는 도광판(130)의 좌측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광원부(110b)는 도광판(130)의 우측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130)에서 입력 커플러(131a, 131b)의 위치와 구조에 따라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의 구체적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gai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2,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are directly opposed to the left surface and the righ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may be disposed near the left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be disposed near the right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 specific positions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in the light guide plate 130. [

제 1 광원부(110a)에서 제공된 조명광은 도광판(130)의 좌측 측면에 입사한 후 도광판(130)의 전면으로 방출되어 공간 광변조기(150)에 입사할 수 있다. 그런 후, 공간 광변조기(150)는 제 1 광원부(110a)에서 제공된 조명광을 변조하여 관찰자의 우안(ER) 시역에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광원부(110b)에서 제공된 조명광은 도광판(130)의 우측 측면에 입사한 후 도광판(130)의 전면으로 방출되어 공간 광변조기(150)에 입사할 수 있다. 그런 후, 공간 광변조기(150)는 제 2 광원부(110b)에서 제공된 조명광을 변조하여 관찰자의 좌안(EL) 시역에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may be incident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n e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o enter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 Then,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modulates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to form a hologram image in the observer's right eye (ER) field of view.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be incident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n e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o enter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 Then,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modulates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by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to form a hologram image in the left eye (EL) field of view of the observer.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는 동시에 조명광을 방출할 수도 있지만, 순시적으로 번갈아 온/오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원부(110a)가 턴온되어 조명광을 제공하는 동안 제 2 광원부(110b)는 턴오프될 수 있다. 그러면, 관찰자의 우안(ER) 시역에만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공간 광변조기(150)는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 후, 제 1 광원부(110a)가 턴오프되고 제 2 광원부(110b)가 턴온되어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관찰자의 좌안(EL) 시역에만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공간 광변조기(150)는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가 동시에 조명광을 제공하고, 공간 광변조기(150)는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 패턴과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 패턴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관찰자의 우안(ER)과 좌안(EL) 시역에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과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와 공간 광변조기(150)의 동작은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simultaneously emit illumination light, but may alternatively turn on / off alternately.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be turned off whi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is turned on to provide the illumination light. Then, a hologram image can be provided only to the observer's right eye (ER) viewing area. At this time,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may form a hologram pattern for forming a right eye hologram image. The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is turned on to provide illumination light. Then, a hologram image can be provided only to the observer's left eye (EL) viewing area. At this time,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may form a hologram pattern for forming a left eye hologram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simultaneously provide illumination light.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generates a holographic pattern for forming a left eye hologram image and a hologram pattern for forming a right eye hologram image. Can be superimposed and displayed. Then, a right-eye hologram image and a left-eye hologram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observer's right eye (ER) and left eye (EL) field of view, respectivel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and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0. [

한편, 관찰자가 자리를 이동하거나 또는 머리를 움직여서 관찰자의 동공 위치가 변화하면, 시선 추적부(160)가 관찰자의 동공 위치를 추적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관찰자의 동공 위치에 맞추어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과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되도록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의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로 조명광의 진행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를 전체적으로 회전시켜 조명광이 도광판(130)에 입사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대신에, 갈바노 미러, 전기습윤 소자, 또는 음향광학 소자 등을 이용하여 조명광의 진행 각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observer moves the seat or moves the head to change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the gaze tracking unit 160 may track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and provide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so that the right eye hologram image and the left eye hologram image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may change the traveling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in response to the pupil position change of the observer. For example, as shown by the arrows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portions 110a and 110b may be rotated as a whole to change the angle at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enters the light guide plate 130. FIG. Instead, a progress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may be changed using a galvanometer mirror, an electrowetting element, an acoustooptic element, or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은 조명광의 진행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안 홀로그램 방식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되는 시역의 위치를 관찰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은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며, 제 1 및 제 2 빔확장기(113a, 113b)과 도광판(130)을 이용하여 균질한 조명광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ckligh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hange the advancing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the position of the field of view in which the hologram image is formed in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of the two- It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movement. In addition, the backligh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with a small thickness, and can uniformly provide illumination light using the first and second beam expanders 113a and 113b and the light guide plate 130 .

도 3은 다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가 도광판(130)의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10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차이가 있다. 즉, 좌안(EL) 시역과 우안(ER) 시역이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정의할 때,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는 도광판(130)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측 또는 하부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원부(110a)는 도광판(130)의 상부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광원부(110b)는 도광판(130)의 하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가 도광판(130)의 서로 반대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holographic display device 1100. As shown in FIG. 3,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100 includes a backlight unit 100 'in which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are dispos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Differs from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000 shown in Fi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on the disposed upper side or lower side edge. 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2 and 3,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n common.

도 4는 또 다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백라이트 유닛(100")은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가 다수의 광원 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원부(110a)는 도광판(130)의 상부 측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광원 셀들을 포함하며, 제 2 광원부(110b)는 도광판(130)의 하부 측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광원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110a)의 다수의 광원 셀들마다 제 1 광원(111a), 제 1 콜리메이터(112a), 제 1 빔확장기(113a), 및 제 1 빔 편향기(114a)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광원부(110b)의 다수의 광원 셀들마다 제 2 광원(111b), 제 2 콜리메이터(112b), 제 2 빔확장기(113b), 및 제 2 빔 편향기(114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0)의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도 다수의 광원 셀들의 어레이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FIG. 4, the backlight unit 100 "of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portions 110a and 110b include an array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arrang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includes the light guide plate 130. [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arrang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111a, a first collimator 112a,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may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111b, a second collimator 112b, and a second light source 111b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of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10b. 2 beam expander 113b, and a second beam deflector 114b,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0a, 110b) of the illustrated light unit 10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respectively, the array of cells.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0)의 빔 편향기(114a, 114b)와 도광판(13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도광판(130)은 양쪽 측면으로부터 각각 입사한 2개의 조명광을 모두 정면으로 출사시켜 공간 광변조기(150)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광판(130)으로부터 조명광이 출사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광판(130)에 조명광이 입사하는 각도와 방향에 의존하므로, 도광판(130)은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로부터 각각 입사한 2개의 조명광을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의 좌안(EL) 시역과 우안(ER) 시역에 각각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빔 편향기(114a, 114b)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도광판(13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5 is a sectional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and the light guide plate 130 of the backlight unit 100 shown in FIG. 2 to 4, the light guide plate 130 serves to uniformly provide the entire area of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by emitting all the two illumination light incident from both sides thereof to the front face. The angle and direction at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depend on the angle and direction at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enters the light guide plate 130. The light guide plate 130 is incid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One or two illumination lights can be emitted at different angles and directions. Therefore, a hologram image can b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ye view regions of the observer,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of the hologram image can be adjusted using the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such a light guide plat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를 참조하면, 도광판(130)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평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130)의 양쪽 측면(130a, 130b)은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및 제 2 입광면이며 전면(130c)은 조명광이 출사하는 출광면이다. 도광판(130)의 양측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입광면에는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0)의 전면(130c)에 배치된 출광면에는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출력 커플러(135)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에 대향하여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로서 갈바노 미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갈바노 미러 외에도 전기습윤 소자나 음향광학 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를 전체적으로 회전시키는 기계적인 회전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편의상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광원부(110a)와 제 2 광원부(110b)가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light guide plate 1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Both side surfaces 130a and 130b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r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and a front surface 130c is a light exit sur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exits.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for advancing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1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An output coupler 135 for emitting illumination ligh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may be disposed on a light emitting surfac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may be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respectively. Although a galvanometer mirror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in Fig. 5, an electro-wetting element or an acousto-optic element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galvanometer mirror, A mechanical rotating device that rotates the light source units 110a and 110b as a whole may be used. Although only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are shown in FIG. 5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0a and 110b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respectively. have.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는 조명광이 도광판(130)의 내부로 경사지게 진행하도록 조명광을 회절 및 투과시키는 회절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는 소정의 회절 패턴을 갖는 홀로그램 격자 또는 주기적인 굴절률 분포를 갖는 포토 폴리머일 수 있다. 조명광은 도광판(130)의 내부를 경사지게 진행하면서 도광판(130)의 전면(130c)과 배면(130d)에서 반복적으로 전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광은 거의 손실 없이 도광판(130)의 내부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광판(130)의 전면(130c)에 배치된 출력 커플러(135)에 조명광이 입사할 때, 조명광의 일부는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도광판(130)의 전면(130c)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조명광의 나머지 일부가 전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광은 도광판(130)의 출광면의 전체 영역에 대해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커플러(135)는 조명광의 일부를 회절 및 투과시키는 회절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커플러(135)는 소정의 회절 패턴을 갖는 홀로그램 격자 또는 주기적인 굴절률 분포를 갖는 포토 폴리머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may be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diffracts and transmits illumination light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advances inwardly into the light guide plate 130.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may be a holographic grating having a predetermined diffraction pattern or a photopolymer having a periodic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The illumination light may be totally and repeatedly reflected from the front surface 130c and the back surface 130d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while inclining the interior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refore, the illumination light can travel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130 with almost no loss. When the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on the output coupler 135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 part of the illumination ligh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by the output coupler 135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totally reflected. In this way,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uniformly emit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light-exit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is output coupler 135 may be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diffracts and transmits a por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For example, the output coupler 135 may be a holographic grating having a predetermined diffraction pattern or a photopolymer having a periodic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와 출력 커플러(135)는 그 구조에 따라 약간의 파장 의존성 또는 색수차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백색 조명광이 색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이 서로 다른 각도로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부터 방출될 수도 있다. 그러면, 공간 광변조기(150)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품질이 열화되어 색이 왜곡된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색분리된 조명광을 백색광으로 만드는 색지움 요소(achromatization element)(136)가 도광판(130)의 출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지움 요소(136)는 색분리되어 서로 다른 각도로 진행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이 모두 동일한 각도로 진행하도록 회절 및 투과시키는 회절 광학 소자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and the output coupler 135 may have some wavelength dependency or chromatic aberration depending on their structure. In this case, the white illumination light may be color-separated. For example, red, green, and blue light may be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t different angles. Then, the quality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deteriorates, and thus a hologram image having a distorted color may be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is, an achromatization element 136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separated by the output coupler 135 into white light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For example, the color cast element 136 may be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diffracts and transmits red, green, and blue light that travels at different angles so that they all go through the same angle.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와 출력 커플러(135)는 도광판(130)의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각각 수직으로 입사하는 조명광이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출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는 도광판(130)의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각각 수직으로 입사하는 조명광이 θ의 각도로 도광판(130)의 내부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커플러(135)는 θ의 각도로 입사하는 조명광을 수직한 도광판(130)의 출광면에 수직하게 회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2 입광면에서의 조명광의 입사각과 출광면에서의 조명광의 출사각 관계가 다르게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각각 θ1의 각도로 입사하는 조명광이 출광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출사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각각 수직으로 입사하는 조명광이 출광면으로부터 θ2의 각도로 출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and the output coupler 135 are arranged such that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s emitted vertically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ravel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t an angle of? Lt; / RTI > The output coupler 135 may be configured to diffract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at an angle of [theta] perpendicular to the light output surface of the vertical light guide plate 130. [ 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ncident angles of the illumination light 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and the exit angle relationship of the illumination light on the light exit surface may be selected differently. For example,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at angles of &thetas; 1 may be vertically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r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may be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lt; RTI ID = 0.0 > 2. < / RTI >

또한, 제 1 입광면에서의 조명광의 입사각과 출광면에서의 조명광의 출사각 관계가 제 2 입광면에서의 조명광의 입사각과 출광면에서의 조명광의 출사각 관계와 서로 다르게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광면을 통해 도광판(130)의 내부를 우측으로 진행하는 조명광은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관찰자의 우안(ER) 시역을 향해 도광판(130)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입광면을 통해 도광판(130)의 내부를 좌측으로 진행하는 조명광은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관찰자의 좌안(EL) 시역을 향해 도광판(130)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exit angle relationship of the illumination light on the light exiting surface may be different from the incidence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exit angle relationship of the illumination light on the light exiting surface. For example, the illumination light proceeding rightwar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hrough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may be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toward the observer's right eye view range by the output coupler 135.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light proceeding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130 through the second light entrance surface to the left side can be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toward the left eye (EL) viewing area of the observer by the output coupler 135.

이러한 구조에서, 도광판(130)의 제 1 및 제 2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이 달라지면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 출사하는 조명광의 출사각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로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함으로써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 출사하는 조명광의 출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 커플러(131a)를 통해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하는 빛의 진행 각도는 제 1 빔 편향기(114a)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부터 출사하는 조명광의 출사각이 제 1 빔 편향기(114a)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를 이용함으로써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조명광을 조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s different, the outpu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by the output coupler 135 is different.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incident angles of the illumination light with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going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For example,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S. 6A and 6B, the advancing angle of the light traveling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130 through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is adjusted by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It can change. Thus, the exi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can be adjusted by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Therefore,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it becomes possible to steer the illumination light corresponding to the pupil position change of the observer.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는 도광판(130)의 양쪽 측면(130a, 130b)으로 조명광이 입사하고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도 양쪽 측면(130a, 130b)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우 다양한 구조의 도광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광판의 구조에 따라 조명광의 입광면과 입력 커플러의 위치도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입광면의 위치에 따라 빔 편향기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0)의 빔 편향기와 도광판의 다른 다양한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도광판(130)의 구조와 후술하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하는 도광판(130)의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0', 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ar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130a and 130b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n FIG. 5, FIG. 6A, and FIG. 6B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very wide variety of structures can be used, and the light entrance surface of the illumination light and the position of the input coupler can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Also, the position of the beam deflect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incidence surface. For example, Figs. 7 to 9 are sectional views exemplarily showing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of the beam deflector and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backlight unit 100 shown in Fig. 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described in FIGS. 5, 6A, and 6B and 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described in FIGS. 7 to 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acklight units 100 ', 100 " ).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도광판(130)의 전면(130c)에 출력 커플러(135)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광판(130)의 배면(130d)에 제 1 입력 커플러(131a)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편의상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 입력 커플러(131b)도 도광판(130)의 배면(130d)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입력 커플러(131a)는 배면(130d)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제 2 입력 커플러(131b)는 배면(130d)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와 출력 커플러(135)는 도광판(130)의 서로 대향하는 두 표면인 배면(130d)과 전면(130c)에 각각 배치된다. 조명광이 입사하는 도광판(130)의 입광면(130e)은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와 대향하고 있는 전면(130c)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입광면(130e)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광판(130)의 전면(130c)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출력 커플러(135)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출력 커플러(135)는 도광판(130)의 전면(130c)의 중심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7, an output coupler 135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a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130d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FIG. Although not shown in FIG. 7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econd input coupler 131b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130d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FIG. For example,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be partially disposed on the left edge region of the back surface 130d and the second input coupler 131b may be partially disposed on the right edge region of the back surface 130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and the output coupler 135 ar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130d and the front surface 130c, which are two opposed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The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may be formed on both side edge regions of the front surface 130c oppos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The output coupler 135 is not disposed on both side edge regions of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o that the light incident surface 130e can be positioned. That is, the output coupler 135 may be partially dispos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이 경우,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는 도광판(130)의 전면(130c)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 입광면(130e)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제 1 빔 편향기(114b)로서 갈바노 미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갈바노 미러 외에도 전기습윤 소자나 음향광학 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1 및 제 2 광원부(110a, 110b)를 전체적으로 회전시키는 기계적인 회전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는 편의상 제 1 빔 편향기(114a)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광원부(110a)가 도광판(130)의 전면(130c)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 7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 2 빔 편향기(114b)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b)는 도광판(13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제 1 빔 편향기(114a) 및 제 1 입력 커플러(131a)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 빔 편향기(114a) 및 제 1 입력 커플러(131a)의 구성과 동작은 제 2 빔 편향기(114b)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b)에도 대칭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located at both side edge regions of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Although a galvano mirror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beam deflector 114b in Fig. 7, an electro-wetting element or an acousto-optic element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galvanometer mirror, or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10a and 110b May be used. 7, only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is shown for convenience, but the first light source 110a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opposite side edge regions of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FIG. Although not shown in FIG. 7, the second beam deflector 114b and the second input coupler 131b are disposed at the right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with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and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and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symmetrically to the second beam deflector 114b and the second input coupler 131b.

이러한 구조에서, 제 1 광원부(110a)로부터 방출된 조명광은 도광판(130)의 전면(130c)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을 통과하여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입사할 수 있다. 제 1 입력 커플러(131a)는 조명광이 도광판(130)의 내부로 경사지게 진행하도록 조명광을 회절 및 반사시키는 회절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커플러(131a)는 백색광을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의 성분으로 분리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절 및 반사시키는 홀로그램 격자일 수 있다.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의해 색분리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은 서로 다른 각도로 도광판(130)의 내부를 진행할 수 있다. 출력 커플러(135)는 색분리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이 모두 동일한 각도로 도광판(130)으로부터 출광되도록 구성된 홀로그램 격자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의해 색분리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은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도광판(130)으로부터 출광될 때 서로 혼합되어 다시 백색광이 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10a may pass through the left edge region of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enter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be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diffracts and reflects the illumination light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advances inwardly into the light guide plate 130. [ For example,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be a holographic grating that separates white light into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components and diffracts and reflects them at different angles. The red light, the green light, and the blue light separated by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travel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130 at different angles. The output coupler 135 may be a holographic grating configured to emit the color separated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at the same angle. Accordingly,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separated by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be mixed with each other when the light is output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by the output coupler 135, and may become white light again.

제 1 빔 편향기(114a)는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이 달라지게 되면,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의해 회절 및 반사되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도광판(130)의 내부를 진행하는 각도도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 출사하는 조명광의 출사각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빔 편향기(114a)를 이용하여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함으로써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 출사하는 조명광의 출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can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is changed, the angle at which the red light, the green light, and the blue light diffracted and reflected by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travels in the light guide plate 130 is different . Accordingly, the outpu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to the light outpu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by the output coupler 135 is different.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by using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going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도 8에 도시된 도광판(130)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도광판(130)의 구조와 동일하며, 단지 제 1 입력 커플러(131a)가 주기적인 굴절률 분포를 갖는 포토 폴리머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커플러(131a)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모두 동일한 각도로 회절 및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색 조명광은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의해 색분리되지 않고 백색광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 채 도광판(130)의 내부를 진행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hown in FIG. 8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hown in FIG. 7, except that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is a photopolymer having a periodic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 For example,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can diffract and reflect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at the same angle. Therefore, the white illumination light can proceed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130 without being separated by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and maintaining the properties of the white light.

도 9에 도시된 도광판(130)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도광판(130)의 구조와 동일하며, 단지 색지움 요소(136)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출력 커플러(135)는 그 구조에 따라 약간의 파장 의존성 또는 색수차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백색 조명광이 색분리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색분리된 조명광을 백색광으로 만드는 색지움 요소(136)가 도광판(130)의 출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색지움 요소(136)는 색분리되어 서로 다른 각도로 진행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이 모두 동일한 각도로 진행하도록 회절 및 투과시키는 회절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이러한 색지움 요소(136)는 도 7에 도시된 도광판(130)에도 더 배치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hown in FIG. 9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hown in FIG. 8, but differs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olor casting element 136 only. The output coupler 135 may have some wavelength dependence or chromatic aberration depending on its structure, in which case the white illumination light may be color separated. In order to prevent this, a color element 136 for making the illumination light separated by the output coupler 135 into white light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he coloring element 136 may be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diffracts and transmits red, green, and blue light that are separated in color and proceed at different angles, all proceeding at the same angle. The color element 136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late 130 shown in Fig.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제 1 입력 커플러(131a)가 입광면(130e)에 대향하여 도광판(130)의 배면(130d)에 배치되어 있고 조명광을 회절 및 반사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광면(130e)이 도광판(130)의 배면(130d)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입력 커플러(131a)는 도광판(130)의 배면(130d)인 입광면(130e) 위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명광은 도광판(130)의 배면(130d)을 향해 입사할 수 있으며, 제 1 입력 커플러(131a)는 조명광을 회절 및 투과시킬 수 있다. 또는, 제 1 입력 커플러(131a)가 도광판(130)의 전면(130c)인 입광면(130e) 위에 직접 배치되고 조명광을 회절 및 투과시킬 수도 있다.7 to 9,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130d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o as to face the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and diffracts and reflects the illumination light. However, It is not. For example, the light incident surface 130e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130d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is directly dispos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130e, which is the back surface 130d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t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incident on the back surface 130d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can diffract and transmit the illumination light. Alternatively,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which is the front surface 130c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may diffract and transmit the illumination light.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00)은 조명광을 제공하는 하나의 광원부(110), 광원부(110)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이 입사하는 입광면 및 상기 입사한 조명광을 방출시키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투명한 도광판(130), 도광판(130)의 입광면에 배치되어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입력 커플러(131a, 131b), 도광판(130)의 출광면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출력 커플러(135), 및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색분리된 조명광을 백색광으로 만드는 색지움 요소(136)를 포함할 수 있다.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the backlight unit 200 includes a light source 110 for providing illumination light, a light incident surface for receiving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110, and a light exit surface for emitting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dispos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o guide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into the light guide plate 130; An output coupler 135 for emitting the ligh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a color cast element 136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color separated by the output coupler 135 into white light.

광원부(110)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11),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112),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빔확장기(113), 도광판(130)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빔 편향기(114) 및 조명광을 2개로 분할하는 빔 스플리터(116)를 포함할 수 있다. 빔 스플리터(116)에 의해 조명광은 제 1 시역(예컨대, 관찰자의 우안 시역)에 제공되는 제 1 조명광과 제 2 시역(예컨대, 관찰자의 좌안 시역)에 제공되는 제 2 조명광으로 각각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스플리터(116)는 조명광의 절반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절반을 반사하는 반투과 미러일 수 있다. 또는, 빔 스플리터(116)는 조명광의 절반을 제 1 방향으로 반사하고 조명광의 나머지 절반을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구성된 미러 시스템일 수도 있다.The light source 110 includes a light source 111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112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beam expander 113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and a light sour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130 A beam deflector 114 and a beam splitter 116 for divid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two.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divided by the beam splitter 116 into a first illumination light provided in a first view area (e.g., a right eye view area of an observer) and a second illumination light provided in a second view area (e.g., a left eye view area of an observer) . For example, the beam splitter 116 may be a semi-transmissive mirror that transmits half of the illumination light and reflects the other half. Alternatively, the beam splitter 116 may be a mirror system configured to reflect half of the illumination light in a first direction and reflect the other half of the illumination ligh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빔 스플리터(116)에 의해 분리된 제 1 및 제 2 조명광은 도광판(130)의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입사할 수 있다. 도광판(130)은 제 1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과 제 2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시키기 위하여, 입력 커플러(131a, 131b)는 제 1 입력 커플러(131a)와 제 2 입력 커플러(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는 도광판(130)의 입광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입력 커플러(131a, 131b)는 도광판(130)의 입광면과 대향하는 도광판(130)의 표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광원부(110)로도 관찰자의 좌안(EL)과 우안(ER) 시역에 각각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ights separated by the beam splitter 116 can be incident on different areas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The light guide plate 130 may include a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The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may include a first input coupler 131a and a second input coupler 131b to advance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ights into the light guide plate 130. [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may be dispos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input couplers 131a and 131b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opposite to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ingle hologram image can be formed in the observer's left eye (EL) and right eye (ER) viewing ranges, respectively.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2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빔 스플리터(116)에 의해 분할된 제 1 조명광은 제 1 미러(117a)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130)의 제 1 입광면(130e)에 입사할 수 있다. 그런 후, 제 1 조명광은 제 1 입력 커플러(131a)에 의해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하면서, 출력 커플러(135)를 통해 도광판(130)으로부터 방출되어 제 1 시역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빔 스플리터(116)에 의해 분할된 제 2 조명광은 제 2 미러(117b)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130)의 제 2 입광면(130f)에 입사할 수 있다. 그런 후, 제 2 조명광은 제 2 입력 커플러(131b)에 의해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하면서, 출력 커플러(135)를 통해 도광판(130)으로부터 방출되어 제 2 시역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도 11에는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도광판(13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backlight unit 200 shown in FIG. 11,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split by the beam splitter 116 can be reflected by the first mirror 117a and incident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through the output coupler 135 and travels toward the first viewing area while proceeding to the interior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by the first input coupler 131a.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split by the beam splitter 116 can be reflected by the second mirror 117b and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130f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through the output coupler 135 and travels toward the second viewing area while proceeding to the interior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by the second input coupler 131b. FIG. 11 exemplari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shown in FIG. 7, but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may be applied.

빔 편향기(114)는 빔 스플리터(116)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광판(130)의 제 1 입광면(130e)과 제 2 입광면(130f)에 각각 입사하는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빔 편향기(114)를 이용하여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 방출되는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The beam deflector 114 can control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beam splitter 116 and thus can be incident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130f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he incident angle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he beam deflector 114 can simultaneously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s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동시에 공간 광변조기(150)에 제공될 수도 있지만, 순시적으로 번갈아 공간 광변조기(15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200)은 제 1 조명광을 투과/차단하는 제 1 광셔터(118a) 및 제 2 조명광을 투과/차단하는 제 2 광셔터(118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셔터(118a)가 제 1 조명광을 투과시키는 동안, 제 2 광셔터(118b)는 제 2 조명광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셔터(118a)가 제 1 조명광을 차단하는 동안, 제 2 광셔터(118b)는 제 2 조명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을 순시적으로 번갈아 공간 광변조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 1 광셔터(118a)는 빔 스플리터(116)와 제 1 입광면(130e) 사이의 제 1 조명광의 광 경로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제 2 광셔터(118b)는 빔 스플리터(116)와 제 2 입광면(130f) 사이의 제 2 조명광의 광 경로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at the same time, but may alternatively be provided to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alternately. To this end, the backlight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tical shutter 118a for transmitting / block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a second optical shutter 118b for transmitting / block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For example, while the first optical shutter 118a transmits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the second optical shutter 118b can block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Further, while the first optical shutter 118a blocks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the second optical shutter 118b can transmit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 this way,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can be alternately provided to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in turn. The first optical shutter 118a may be located anywhere in the optical path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between the beam splitter 116 and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and the second optical shutter 118b may be located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beam splitter 116 and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2 incident surface 130f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200)과 비교할 때, 도 1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200')은 빔 스플리터(116)에 의해 분할된 2개의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2개의 빔 편향기(114a, 114b)를 이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컨대, 광원부(110)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11),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112),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빔확장기(113), 조명광을 2개로 분할하는 빔 스플리터(116), 및 빔 스플리터(116)에 의해 분할된 2개의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각각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200')의 나머지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200)의 구성과 같을 수 있다.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the backlight unit 200 'shown in FIG. 12 is arranged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wo illumination lights divided by the beam splitter 116 is divided into two beam deflectors 114a, 114b in that they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110 includes a light source 111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112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beam expander 113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a beam splitter 116 for divid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two, And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for respectively adjusting the traveling directions of the two illumination lights divided by the beam splitter 116. [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backlight unit 200 'shown in FIG. 12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backlight unit 200 shown in FIG.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2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빔 스플리터(116)는 빔확장기(113)로부터 오는 조명광을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3에는 빔확장기(113)와 빔 스플리터(116) 사이에 미러(117)가 배치되어 광 경로가 절곡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미러(117)를 제거하여 광원(111)으로부터 빔 스플리터(116)까지의 광 경로를 일직선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빔 스플리터(116)에 의해 분할된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은 각각 제 1 빔 편향기(114a)와 제 2 빔 편향기(114b)에 입사할 수 있다. 제 1 빔 편향기(114a)는 도광판(130)의 제 1 입광면(130e)에 입사하는 제 1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2 빔 편향기(114b)는 도광판(130)의 제 2 입광면(130f)에 입사하는 제 2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빔 편향기(114a, 114b)를 이용하여 도광판(130)의 출광면으로 방출되는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backlight unit 20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3, the beam splitter 116 may divide the illumination light from the beam expander 113 into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second illumination light. 13 shows that the mirror 117 is disposed between the beam expander 113 and the beam splitter 116 so that the optical path is bent. However, when the mirror 117 is removed and the beam splitter 116 is removed from the light source 11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split by the beam splitter 116 can be incident on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and the second beam deflector 114b, respectively. The first beam deflector 114a can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130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 second beam deflector 114b can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130f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beam deflectors 114a and 114b can independently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respectively.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300)은 조명광을 제공하는 하나의 광원부(110), 광원부(110)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이 입사하는 입광면 및 상기 입사한 조명광을 방출시키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투명한 도광판(130), 도광판(130)의 입광면에 배치되어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하나의 입력 커플러(131), 도광판(130)의 출광면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도광판(13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출력 커플러(135), 및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색분리된 조명광을 백색광으로 만드는 색지움 요소(136)를 포함할 수 있다.FIG. 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cklight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4, the backlight unit 300 includes a light source 110 for providing illumination light, a light incident surface for receiving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110, and a light exit surface for emitting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An input coupler 131 dispos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advancing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into the light guide plate 130; An output coupler 135 for emitting the ligh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a color cast element 136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color separated by the output coupler 135 into white light.

또한, 광원부(110)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11),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112),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빔확장기(113), 도광판(130)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빔 편향기(114) 및 도광판(130)에서 방출된 조명광이 제 1 시역 또는 제 2 시역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스위치(11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19)는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는 동안 조명광이 제 1 시역에 제공되고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는 동안 조명광이 제 2 시역에 제공되도록, 도광판(130)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방향을 서로 반대인 2개의 방향으로 번갈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빔 편향기(114)는 스위치(119)에 의해 선택된 제 1 시역 방향 또는 제 2 시역 방향 내에서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조명광의 입사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300)은 빔 스플리터(116) 없이 하나의 광원부(110)로도 2개의 서로 다른 시역에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10 includes a light source 111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112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beam expander 113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And a switch 119 for adjus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30 is sel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or second view area. For example, the switch 119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llumination light is provided to the first view area while the right eye hologram image is formed, and the illumination light is provided to the second view area during the formation of the left eye hologram image, Can be alternately adjusted in two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e beam deflector 114 can finely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in the first view direction or the second view direction selected by the switch 119. [ Accordingly, the backlight unit 300 can provide the illumination light to two different viewports even with one light source unit 110 without the beam splitter 116.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300)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백라이트 유닛(300) 및 공간 광변조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공간 광변조기(150)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공간 광변조기(150)는 조명광을 변조하기 위한 간섭 무늬를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 광변조기(150)에서 형성되는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조명광이 회절 및 변조됨으로써 소정의 공간 상의 위치에 홀로그램 영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는 생략되었지만,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도 2에 도시된 시선 추적부(160)와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30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5,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may include a backlight unit 300 and a spatial light modulator 150. The backlight unit 300 serves to provide illumination light to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and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functions to form a hologram pattern having interference fringes for modulating the illumination light. The illumination light is diffracted and modulated by the hologram pattern formed in the spatial light modulator 150, so that a hologram image can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spatial pos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5,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may further include a gaze tracking unit 160 and a control unit 170 shown in FIG.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는 도광판(130)의 한쪽 가장자리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0)의 입광면과 입력 커플러(131)는 광원부(110)가 대향하고 있는 도광판(130)의 한쪽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130)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입광면과 입력 커플러(131)가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부(110)는 도광판(130)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시역(예컨대, 관찰자의 우안 시역)과 제 2 시역(예컨대, 관찰자의 좌안 시역)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때, 상부측은 도광판(130)의 수직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광원부(110)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 커플러(135)의 특성에 따라 광원부(110)의 위치가 다르게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130)의 하부측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광원부(11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5,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be disposed opposite to on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input coupler 131 may be disposed on on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which is opposed to the light source unit 110. For example, the light incident surface and the input coupler 131 may be dispos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be disposed opposite the upper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Here, assuming that the first viewing area (for example, the observer's right viewing area) and the second viewing area (for example, the left viewing area of the observer) ar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be sel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coupler 135.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be disposed at a lower side edge, a left side edge, or a right sid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스위치(119)는, 예를 들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가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는 동안, 도 15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을 우측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그러면, 조명광이 도광판(130)의 내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관찰자의 우안(ER) 시역으로 출광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가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는 동안,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을 좌측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그러면, 조명광이 도광판(130)의 내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출력 커플러(135)에 의해 관찰자의 좌안(ER) 시역으로 출광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위치(119)는 빔 편향기(114)에 의해 편향되는 조명광을 서로 다른 시역들에 순시적으로 번갈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빔 편향기(114)는 스위치(119)에 의해 선택된 제 1 시역 방향 또는 제 2 시역 방향 내에서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조명광의 입사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switch 119 can advance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right direction, for example, a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in Fig. 15, while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forms the right eye hologram image. Then,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emitted to the observer's right eye view region by the output coupler 135 while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In addition, while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forms the left eye hologram image,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advanced to the left as indicated by the solid arrow. Then,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emitted to the left eye (ER) field of view of the observer by the output coupler 135 while proceeding in the left direction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130. In this way, the switch 119 can be configured to serially alternately provide illumination light that is deflected by the beam deflector 114 to different view areas. The beam deflector 114 can finely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within the first view direction or the second view direction selected by the switch 119. [

그러나, 만약 빔 편향기(114)의 동작 각도 범위가 매우 크다면 스위치(119)를 생략하고 빔 편향기(114)만으로도 조명광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가 우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는 동안, 빔 편향기(114)는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을 우측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빔 편향기(114)는 우안 시역에서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가 좌안용 홀로그램 영상을 형성하는 동안, 빔 편향기(114)는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을 좌측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빔 편향기(114)는 좌안 시역에서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빔 편향기(114)는 조명광을 서로 다른 시역들에 순시적으로 번갈아 제공하는 동시에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조명광의 입사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operating angle range of the beam deflector 114 is very large, the switch 119 may be omitted and the beam deflector 114 may als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For example, while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forms a right eye hologram image, the beam deflector 114 may advance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right a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At the same time, the beam deflector 114 can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in the right eye view region. Further, while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forms the left eye hologram image, the beam deflector 114 can advance the illumination light in the left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arrow. At the same time, the beam deflector 114 can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in the left eye view region. In this manner, the beam deflector 114 can alternately provide illumination light alternately to different view areas, and finely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도 16은 또 다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300)의 백라이트 유닛(300')은 광원부(110)가 다수의 광원 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백라이트 유닛(300)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10)는 도광판(130)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광원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의 다수의 광원 셀들마다 광원(111), 콜리메이터(112), 빔확장기(113), 빔 편향기(114) 및 스위치(119)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300)의 나머지 구성은 도 15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1200)와 같을 수 있다.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holographic display device 1300. As shown in FIG. 16, the backlight unit 300 'of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3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110a, 110b, and 110c of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shown in FIG. 15 in that the light source unit 110 include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And is different from the backlight unit 300.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arranged along the upper sid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he light source 111, the collimator 112, the beam expander 113, the beam deflector 114, and the switch 119 may be dispos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cells of the light source unit 110, respectively.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300 shown in FIG. 16 may be the same as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1200 shown in FIG.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Up to now,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backlight unit for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a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such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limiting thereof.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and described. Since various other modifications may occu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100', 200, 200', 300.....백라이트 유닛
110.....광원부 111.....광원
112.....콜리메이터 113.....빔 확장기
114.....빔 편향기 117.....미러
118.....광셔터 119.....스위치
130.....도광판 131.....입력 커플러
135.....출력 커플러 136.....색지움 요소
150.....공간 광변조기 160.....시선 추적부
170.....제어부
1000, 1100, 1200, 1300, 1400.....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100, 100 ', 200, 200', 300 ..... Backlight unit
110 ..... light source part 111 ..... light source
112 ..... collimator 113 ..... beam expander
114 ..... beam deflector 117 ..... mirror
118 ..... optical shutter 119 ..... switch
130 ..... Light guide plate 131 ..... Input coupler
135 ..... Output coupler 136 ..... Color cast elements
150 ..... spatial light modulator 160 ..... eye tracking unit
170 ..... controller
1000, 1100, 1200, 1300, 1400 ..... The holographic display device

Claims (25)

조명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이 입사하는 입광면 및 상기 입사한 조명광을 방출시키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투명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입력 커플러; 및
상기 도광판의 출광면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도광판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빔 편향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A light source unit for providing illumination light;
A transparent light guide plate having a light incident sur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by the light source unit is incident and a light output surface for emitting the incident illumination light;
An input coupler for guiding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nto the light guide plate; And
And an output coupler disposed on a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o emit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of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제 1 시역에 제 1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 1 광원부 및 제 1 시역과 상이한 제 2 시역에 제 2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 2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면은 상기 제 1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 및 상기 제 2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커플러는 제 1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1 입력 커플러 및 제 2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2 입력 커플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unit for providing first illumination light in a first view area and a second light source unit for providing second illumination light in a second view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view area,
Wherein the light incidence surface includes a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Wherein the input coupler includes a first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광면과 제 2 입광면은 상기 도광판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광원부는 상기 제 1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상기 제 2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first light source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portion is disposed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A backlight unit disposed opposi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동일한 출광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through the same light exit surface, and the output coup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at different ang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는:
제 1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제 1 광원;
제 1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제 1 콜리메이터;
제 1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제 1 빔확장기; 및
상기 제 1 입광면에 입사하는 제 1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1 빔 편향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 first illumination light;
A first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first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a beam diameter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And a first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원부는:
제 2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제 2 광원;
제 2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제 2 콜리메이터;
제 2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제 2 빔확장기; 및
상기 제 2 입광면에 입사하는 제 2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2 빔 편향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 second illumination light;
A second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second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nd
And a second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은 간섭성 백색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are configured to emit coherent white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켜 상기 빔 편향기에 제공하는 빔확장기; 및
상기 빔 편향기로부터 오는 조명광을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으로 분할하는 빔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to provide the beam deflector to the beam deflector; And
And a beam splitter for dividing the illumination light coming from the beam deflector into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면은 상기 제 1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 및 상기 제 2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커플러는 제 1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1 입력 커플러 및 제 2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2 입력 커플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ight incidence surface includes a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Wherein the input coupler includes a first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광면과 제 2 입광면은 상기 도광판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respective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동일한 출광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조명광이 제 1 시역으로 방출되고 제 2 조명광이 제 1 시역과 상이한 제 2 시역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through the same light exit surface, and the output coup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first view area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second view area To the backligh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키는 빔확장기; 및
상기 빔확장기로부터 오는 조명광을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으로 분할하는 빔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And
And a beam splitter for dividing the illumination light from the beam expander into a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a second illumination ligh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편향기는 제 1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1 빔 편향기 및 제 2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 2 빔 편향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면은 상기 제 1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1 입광면 및 상기 제 2 조명광이 입사하는 제 2 입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커플러는 제 1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1 입력 커플러 및 제 2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진행시키는 제 2 입력 커플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eam deflector includes a first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of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a second beam deflector for adjusting an incident angle of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Wherein the light incidence surface includes a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Wherein the input coupler includes a first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input coupler for advancing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nto the light guide pl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광면과 제 2 입광면은 상기 도광판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incidence surface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respectivel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조명광과 제 2 조명광이 동일한 출광면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조명광이 제 1 시역으로 방출되고 제 2 조명광이 제 1 시역과 상이한 제 2 시역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are emitted through the same light exit surface, and the output coup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first view area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second view area To the backligh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조명광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 및
조명광의 빔경을 증가시켜 상기 빔 편향기에 제공하는 빔확장기;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illumination light;
A collimator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to a parallel beam; And
And a beam expander for increasing the beam diameter of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beam deflecto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편향기는 서로 다른 제 1 시역과 제 2 시역에 순시적으로 번갈아 조명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eam deflector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provide illumination light to the first and second viewing zone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면 및 입력 커플러는 상기 도광판의 한쪽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light incidence surface and the input coupler are disposed at on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light source unit is disposed to face the light incidenc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역과 제 2 시역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측 가장자리 또는 하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viewing zones ar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ight source unit is disposed at an upper side edge or a lower side edg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빔 편향기에 의해 편향되는 조명광을 서로 다른 제 1 시역과 제 2 시역에 순시적으로 번갈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further comprises a switch configured to momentarily alternately provide illumination light, which is deflected by the beam deflector, to different first and second view zon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플러에 의해 색분리된 조명광을 백색광으로 만드는 색지움 요소(achromatization element)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chromatization element for converting the illumination light color separated by the output coupler into white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플러 및 출력 커플러는 회절 패턴을 갖는 홀로그램 격자 또는 주기적인 굴절률 분포를 갖는 포토 폴리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coupler and the output coupler include a holographic grating having a diffraction pattern or a photopolymer having a periodic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플러와 출력 커플러는 상기 도광판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표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2 표면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coupler and the output coupler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respectively,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input coupler and the output coupler are disposed in an edge area of the first surface, Area of the backlight unit.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을 변조하여 홀로그래픽 영상을 형성하는 공간 광변조기;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3; And
And a spatial light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by the backlight unit to form a holographic image.
제 24 항에 있어서,
관찰자의 동공 위치를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편향기는 관찰자의 동공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도광판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a gaze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Wherein the beam deflector adjusts the incident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pupil position of the observer.
KR1020140178716A 2014-11-20 2014-12-11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99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26,095 US10191196B2 (en) 2014-11-20 2015-10-29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4146782/28A RU2592147C2 (en) 2014-11-20 2014-11-20 Backlight device and versions thereof
RU2014146782 2014-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22A true KR20160060522A (en) 2016-05-30
KR102299367B1 KR102299367B1 (en) 2021-09-07

Family

ID=5611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716A KR102299367B1 (en) 2014-11-20 2014-12-11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9367B1 (en)
RU (1) RU2592147C2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058A (en) * 2016-07-26 201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Slim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90099726A (en) * 2018-02-19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Beam deflector and holographic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0613266B2 (en) 2017-06-16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761256B2 (en) 2018-04-16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providing uniform ligh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795070B2 (en) 2016-12-07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6070A1 (en) * 2008-08-21 2010-02-25 Sony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US20110285927A1 (en) * 2010-05-24 2011-11-24 Schultz John C Directional Backlight with Reduced Crosstal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9610B2 (en) * 2005-12-27 2010-12-28 Panasonic Corporation Planar lighting and LCD device with a laser light source emitting a linearly-polarized laser beam, optical member to parallelize the beam and a plate-shaped light guide for emitting part of the beam
WO2007091611A1 (en) * 2006-02-09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231017A (en) * 2008-03-21 2009-10-08 Panasonic Corp Backligh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6070A1 (en) * 2008-08-21 2010-02-25 Sony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US20110285927A1 (en) * 2010-05-24 2011-11-24 Schultz John C Directional Backlight with Reduced Crosstalk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058A (en) * 2016-07-26 201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Slim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488822B2 (en) 2016-07-26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m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19444B2 (en) 2016-07-26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m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62700B2 (en) 2016-07-26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m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795070B2 (en) 2016-12-07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613266B2 (en) 2017-06-16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99726A (en) * 2018-02-19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Beam deflector and holographic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1803087B2 (en) 2018-02-19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deflector and holographic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0761256B2 (en) 2018-04-16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providing uniform ligh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46782A (en) 2016-06-10
RU2592147C2 (en) 2016-07-20
KR102299367B1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1196B2 (en)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19444B2 (en) Slim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46104B1 (en) Holographic 3D Display apparatus and illumination unit for holographic 3D Display apparatus
KR102262215B1 (en)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360752B1 (e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using holographic optical elements
KR20180009568A (en) Beam steering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339964B1 (en)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99367B1 (en)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9388051B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795070B2 (en)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366427B2 (en)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29587B1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for reducing chromatic aberration
KR102659198B1 (en)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having reduced chromatic aberration
KR20200053320A (en)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527773B2 (en) Backlight unit for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20196900A1 (en) Backlight unit an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