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269A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269A
KR20160045269A KR1020140140515A KR20140140515A KR20160045269A KR 20160045269 A KR20160045269 A KR 20160045269A KR 1020140140515 A KR1020140140515 A KR 1020140140515A KR 20140140515 A KR20140140515 A KR 20140140515A KR 20160045269 A KR20160045269 A KR 20160045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pplication
user
touch screen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소연
안신희
전유진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5269A/ko
Priority to EP15002771.2A priority patent/EP3010212B1/en
Priority to CN201510673542.XA priority patent/CN105530368B/zh
Priority to US14/885,563 priority patent/US10001869B2/en
Publication of KR2016004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Abstract

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상태 정보를 센싱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센싱되는 상기 제 1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인 제 2 상태 정보와, 상기 제 1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WEARAB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대되도록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모바일 폰과 같이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사용되는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몸, 목, 머리, 손목에 착용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넷밴드 타입 디바이스(neckband type device),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셋 타입 디바이스(headset type device) 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가 있다.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워치 타입 디바이스는 평상시에는 시계로 사용되고 필요시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무게도 가볍기 때문에 현재 모바일 폰과 연동되는 기능이 대부분이지만 모바일 폰의 기능을 흡수할 여지가 많아 추후 모바일 폰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어, 워치 타입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 내지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워치 타입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기능 구현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이 아직 널리 개발되지 않아 상용화에 제약이 되고 있다.
특히,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이 미흡하고, 워치 타입 디바이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실현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호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기반하여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상태 정보를 센싱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센싱되는 상기 제 1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인 제 2 상태 정보와, 상기 제 1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한다.
또한, 실시예의 단말기는, 제 1 상태 정보로서 가속도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센싱하는 수단과,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화면이 포함되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센싱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상태 정보로서, 가속도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 1 상태 정보와, 상기 제 2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의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이미지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그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사용자 제스처에 기반한 동작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신속히 파악하고, 그로부터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웨이러블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스처를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 상호간에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제스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제스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와 도 25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과 도 27은 제8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과 도 29는 제9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 상호간에 수행되는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1과 도 32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과 도 34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5와 도 3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4 사용자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7과 도 3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5 사용자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 내지 도 4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5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2 단말기가 보조 기기로 사용되는 경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3과 도 4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5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1 단말기가 보조 기기로 사용되는 경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5 내지 도 48은 본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들 사이에 이벤트가 전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모두에 적용가능한 사항으로서,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경우를 설명하여 본다.
도 1을 참고하면,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워치 타입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11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다른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 내 정보, 워치 타입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가속도 센서(143, acceleration sensor), 심박동 센서(144, photoplethysmographic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워치 타입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다른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와 다른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워치 타입 디바이스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워치 타입 디바이스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 내 정보, 워치 타입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심박동 센서(144)는 발광부(예컨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광을 수광부(예컨대, 포토 다이오드)에서 검출하여 그 검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심박동을 측정한다.
심박동 센서(144)의 구조나 이러한 심박동 센서(144)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광출력부(154)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 타입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3)를 구비하는 본체(201) 및 본체(2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202)를 포함한다.
본체(2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체(301)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로 분리되고, 이들 제1 및 제2 케이스가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본체(201)는 제1 및 제2 케이스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워치 타입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2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3)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3)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51)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2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3)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3)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2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2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2)는 본체(2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2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202)에는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밴드(202)는 파스너가 구비되지 않는 대신에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 형상을 가져, 사용자의 손을 통해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한편, 본체(201)에는 포토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는 심박동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 개시되는 블록도는 와치 타입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의 바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 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가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단말기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를 갖는 기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의 동작 또는 디스플레이부(251)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400)는 도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 단말기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4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4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4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4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와치 타입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 상호간에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제스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단말기를 와치 타입 디바이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가리키고, 제2 단말기는 핸드 헬드 타입의 스마트폰을 가리키는 것으로 기재하며, 설명에 따라서는 단순히 와치 타입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라고도 기재할 수 있다.
스마트폰(제2 단말기)과, 와치 타입 단말기(제1 단말기)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제1 단말기를 착용한 손으로 제2 단말기를 쥐고 있거나,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서로 다른 손에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사용자가 취하는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들 사이의 애플리케이션 동작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제스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를 스윙시켜, 제1 단말기(100)가 착용된 손에 진동을 가하는 경우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를 서로 다른 손에 착용/그립한 상태에서, 제1 단말기(100)를 착용한 손으로 제2 단말기(300)에 진동/충격을 가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단말기의 센서부를 통하여 인식되는 스윙 동작이 제1 단말기(100)에서만 감지되고, 제2 단말기(300)에서는 진동만이 감지되는 경우이다.
보다 다양한 실시예의 사용자 제스처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 설명하여 본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각각 구비된 센서부에 의한 스윙 제스처, 진동 제스처, 상하좌우 방향으로 놓여진 위치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제스처를 인식(S101)하고, 그 인식된 제스처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단말기로 이전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서 애플케이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기능만이 이전되거나, 제1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실행 애플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되는 사항 전부 또는 일부가 이동하기 위한 제스처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기기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단말기가 되고, 서브 기기는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전받아 실행하여야 하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 기기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제1 및 제2 단말기에서 실행되지만, 이들 단말기 중 어느 하나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하여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거나, 리스트를 표시하는 등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단말기에 스윙 제스처와 함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와, 진동만이 감지되는 경우는, 그 사용자 제스처가 상이하기 때문에,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설정이 용이하다. 즉, 스윙 움직임(가속도 신호)과 함께 진동이 감지되는 기기는 메인 기기로 설정될 수 있고, 진동만이 감지되는 기기는 서브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제스처의 경우, 제2 단말기(300)의 경우 스윙 움직임과 손에 닿았을 때 진동이 함께 감지되고, 제1 단말기(100)의 경우는 제2 단말기(300)의 스윙으로 인하여 진동만이 감지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100,300) 사이에는,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된다.
한편, 제1 및 제2 단말기(100,300) 사이에 감지되는 사용자 제스처가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일부 또는 전부를 타 기기로 이전시키는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보조 기기로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104).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단말기(100,300)들에 구비된 센서부에 의하여, 각각의 단말기가 상하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를 착용한 팔의 손바닥에 스마트폰이 위에서 아래로 하강하여 해당 손바닥에 닿는 경우라면, 단말기들 사이에 상하 위치 관계가 감지되고, 이러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전하기 위한 명령이 아니라, 단일의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상호간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S105).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도,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제스처를 제1 사용자 제스처라고 정의하며, 제1 사용자 제스처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손에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착용/그립한 상태에서, 제2 단말기를 와치 타입 단말기인 제1 단말기가 착용된 손으로 스윙시키는 동작을 가리킨다.
도 7과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단말기(1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2 단말기(300)에서는 스윙 움직임(가속도 신호)과 함께 진동(진동 신호)이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단말기(3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1 단말기(1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음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화면에는 음악 애플리케이션 재생 및 설정과 관련된 음악 메인 UI(301)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은 오프 또는 잠금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단말기(300)를 제1 단말기(100)가 착용된 손으로 스윙시켜 진동을 가하는 경우에,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이던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동작 또는 전부의 동작이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될 수 있다.
도 8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동작이 이전되는 경우의 예로서, 제1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인 음악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재생중인 음악의 정보와,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되는 메뉴 버튼들이 포함된 음악 제어 UI(601)가 표시된다.
상기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슬립 상태인 경우라면, 제1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온되고, 상기 음악 제어 UI(601)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말기(300)의 화면은 오프상태로 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잠금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단말기(1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2 단말기(300)에서는 스윙 움직임과 함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단말기(3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1 단말기(1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화면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도 UI(302)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은 오프 또는 잠금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단말기(300)를 제1 단말기(100)가 착용된 손으로 스윙시켜 진동을 가하는 경우에,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이던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될 수 있다.
도 10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동작이 이전되는 경우의 예로서, 제1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인 지도 애플리케이션에 d의하여 표시되는 지도 정보가 제2 단말기(300)의 화면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컨버팅된 다음 표시되거나, 일부 영역에 대한 확대 지도 UI(602)가 표시된다.
상기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슬립 상태인 경우라면, 제1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온되고, 상기 확대 지도 UI(602)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말기(300)의 화면은 오프상태로 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잠금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단말기(1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2 단말기(300)에서는 스윙 움직임과 함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단말기(3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1 단말기(1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고, 화면에는 재생중인 영상/이미지(303)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은 오프 또는 잠금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단말기(300)를 제1 단말기(100)가 착용된 손으로 스윙시켜 진동을 가하는 경우에,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이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동작 또는 전부의 동작이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될 수 있다.
도 12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전부가 이전되는 경우의 예로서, 제1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인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재생되는 영상이 동일하게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1 단말기(100)는 화면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전달되는 영상을 컨버팅함으로써, 축소된 영상/이미지(603)가 표시되도록 한다.
즉,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슬립 상태인 경우라면, 제1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온되고, 제2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의 축소 영상(603)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말기(300)의 화면은 오프상태로 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잠금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반면에, 사용자 제스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동작의 일부가 이전되거나, 메뉴 또는 관련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더라도, 제2 단말기(300)에서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이 그대로 수행되고, 상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UI(604)가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단말기(300) 화면을 통하여 재생되는 영상을 시청하면서,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재생 영상의 멈춤/시작, 앞으로 감기 또는 뒤로 감기 등의 메뉴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300)에서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2 단말기(300)에서의 영상 재생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제1 단말기(100) 화면이 웨이크업되면서 상기 제2 단말기(300)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는 영상 리스트 UI(605)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에 기반하여, 제1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UI에 대한 선택, 사용자 제스처 입력 후 제2 단말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여부 등은 사용자가 추가로 설정 가능할 것이다.
도 15와 도 1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기(1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2 단말기(300)에서는 스윙 움직임(소정 거리만큼의 이동)과 함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단말기(3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1 단말기(1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다이얼 UI(306) 에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의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300)에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전화시도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메뉴 UI(606)가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통화 메뉴 UI(606)에는 통화걸기에 대한 메뉴와, 취소에 대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제2 단말기(300)에서 통화를 시도한 다음,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라면, 호 신호가 전송된 경우이므로, 상기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하여 호 신호가 전송이후의 시간 또는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 등에 대한 정보와, 통화 종료를 선택하는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기(1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2 단말기(300)에서는 스윙 움직임과 함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단말기(3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1 단말기(1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객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 단말기(300) 화면에는 촬영 대상이 되는 객체 이미지(307)가 표시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UI(308)가 표시된다. 여기서, 메뉴UI(308)는 사진 촬영 버튼과, 동영상 촬영과, 갤러리 확인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300)를 통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때에,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사항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은 활성화되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하여 제공되었던 메뉴UI(607)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도 제1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조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2 단말기(300)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때에, 제1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 동작이 이전되면, 상기 제2 단말기(300) 화면에 제공되었던 메뉴UI(308)가 미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에 의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가 수행되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단말기(100)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제어를 위한 메뉴가 제공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는 촬영 대상이 되는 객체의 이미지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2 단말기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에, 제1 단말기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관련 동작 내지는 메뉴가 이동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 양태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었으나, 제2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는, 각각의 화면 꺼짐/켜짐 상태와,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었으나, 메인 기기로 설정되는 제2 단말기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없을 때에, 상기 제2 단말기에 푸쉬된 알림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단말기에서는 푸쉬 알림으로 도착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에 부재중 통화가 1건 있고, 사용자가 미확인한 경우에, 제1 사용자 제스처의 결과, 제1 단말기로 해당 알림 정보가 전송되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의 화면이 온 되면서, 해당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은 사용자 제스처를 통하여, 제1 단말기 화면으로부터 알림 정보의 유무 및 알림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2 단말기에 존재하는 알림 정보가 메시지일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용이 제1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단말기에 알림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림 정보의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사용자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상호 유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소지에 편리한 제1 단말기와,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2 단말기의 상호 연동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제스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선 설명에와서 같이, 제1 단말기를 와치 타입 디바이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가리키고, 제2 단말기는 핸드 헬드 타입의 스마트폰을 가리키는 것으로 기재하며, 설명에 따라서는 단순히 와치 타입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라고도 기재할 수 있다.
스마트폰(제2 단말기)과, 와치 타입 단말기(제1 단말기)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제1 단말기를 착용한 손으로 제2 단말기를 쥐고 있거나,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서로 다른 손에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사용자가 취하는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들 사이의 애플리케이션 동작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제스처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제1 단말기(100)가 착용된 손을 스윙시켜 상기 제2 단말기(300)에 부딪히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즉, 제2 단말기(300)는 센서부에 의하여 진동이 감지되고, 제1 단말기(100)는 센서부에 의하여 소정 거리 움직임을 가리키는 스윙 동작과, 진동이 감지된다. 이러한 사용자 제스처는 이하에서는 제2 사용자 제스처로 기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또는 메뉴를 일부/전부 이전하는 주체가 되는 메인 기기는 제1 단말기(100)가 될 수 있고, 반대로, 해당 동작이나 메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되는 대상인 서브 기기는 제2 단말기(300)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사용자 제스처와 비교하여, 제2 사용자 제스처의 경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메인 기기로 동작하는지, 서브 기기로 동작하는지가 변경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7 내지 도 19에 개시한 실시예들이 반대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이 도 23의 사용자 제스처에 역으로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추가로 다른 실시예들을 더 기술하여 본다.
도 24와 도 25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와 도 25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2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들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3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1 단말기(100)에서는 스윙 움직임(소정 거리만큼의 이동)과 함께 진동이 감지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2 단말기(3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알림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다.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경우에, 제2 단말기(300)로 수신되는 알림 정보가 제1 단말기(100) 화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서도 제1 단말기(100) 화면을 통하여 제2 단말기(300)가 수신된 메시지 등의 푸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 화면에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푸쉬 정보로서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닉네임 또는 이름과, 해당 메시지 내용이 간략히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수신한 메시지에 대해 회신을 하고자 할 경우, 제1 단말기(100)의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통한 텍스트 입력 보다는, 제2 단말기(300)의 큰 화면을 통한 텍스트 입력을 선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자가 제2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알림으로 수신한 메시지(311)와, 상기 메시지에 대한 답장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키보드(312)가 표시된다. 이러한 동작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메뉴가 서브 기기로 이전된다고도 볼 수 있지만, 제2 단말기(300)는 제1 단말기(100)의 보조 기기가 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특정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에, 제2 단말기(300)의 화면을 통하여 해당 정보 및 관련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생각해낼 수 있다.
도 26과 도 27은 제8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과 도 27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2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들을 착용/소지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3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1 단말기(100)에서는 스윙 움직임(소정 거리만큼의 이동)과 함께 진동이 감지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2 단말기(3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 화면에 일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된 이벤트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611)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과 관련되는 시간 정보와, 해당 일정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일정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확인하거나, 다른 일자의 일정들을 함께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 단말기(100)의 작은 사이즈의 화면보다 제2 단말기(300)의 큰 화면을 통한 일정 확인 및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자가 제2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해당 일정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알림으로 송신한 해당 일정에 대한 사항(313)을 표시하고, 캘린더 형태로 날짜별 일정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8과 도 29는 제9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과 도 29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는 도 2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들을 착용/소지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제스처가 수행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300)에서는 충격에 의한 진동만이 감지되고, 제1 단말기(100)에서는 스윙 움직임(소정 거리만큼의 이동)과 함께 진동이 감지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제2 단말기(300)가 서브 기기가 된다. 따라서, 메인 기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동되는 제어가 수행된다.
제1 단말기(100)를 통하여 수신 전화의 알림을 표시하는 경우가 되며, 제2 단말기(300)에 수신되는 전화 알림을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9 실시예에서는, 제2 단말기(300)의 수신 전화에 대하여 제1 단말기(100) 화면에서 알림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때에, 제2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제2 단말기(300)를 통한 영상 통화의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제2 단말기(300)의 수신 전화에 대해서 제1 단말기(100) 화면에 전화 수신 알림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되는 전화 수신 버튼(612)을 선택하게 되면, 음성 통화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2 단말기(300)를 통한 음성 통화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단말기(300)의 수신 전화에 대해서 제1 단말기(100) 화면에 전화 수신 알림이 표시되는 동안에, 제2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2 단말기(300)를 이용한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으로 받아들이고, 제2 단말기(300)의 카메라와 화면이 활성화된다. 이때,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영상(314)과, 제2 단말기(300) 사용자의 영상(315)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는, 영상 통화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음성 통화가 연결되면서 제2 단말기를 통한 스피커폰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한 손에는 제2 단말기를 쥐고, 한 손에는 제1 단말기를 착용한 상황을 가정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 양태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한손에 제1 단말기를 착용하고, 해당 손으로 제2 단말기를 쥐고 있는 상황도 가정할 수 있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 상호간에 수행되는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각각 구비된 센서부에 의한 스윙 제스처, 진동 제스처, 상하좌우 방향으로 놓여진 위치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제스처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제스처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단말기로 이전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모두에서 스윙 제스처와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S201)가 미리 설정된 제스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한 손에 제1 단말기를 착용하고, 같은 손으로 제2 단말기를 그립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또는 거리만큼 이동시키거나 흔드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를 제3 사용자 제스처라고 정의하며,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1 및 제2 단말기는 각각은 상대 기기의 화면이 온 또는 오프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그리고, 어느 하나의 단말기의 화면이 오프된 상태일 경우에는, 해당 기기는 서브 기기로 결정되고, 화면이 온 상태인 기기를 메인 기기로 결정될 수 있다(S203). 또 다른 예로, 제1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구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유무 내지는,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가 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가 결정되면, 메인 기기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의 동작이 서브 기기로 이전하여 동작될 수 있다(S204).
도 31과 도 32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0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단말기를 착용한 손으로 제2 단말기를 그립한 상태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경우이며, 이러한 사용자 제스처를 제3 사용자 제스처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를 흔들게 되면,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메뉴와 관련된 UI가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되거나, 제2 단말기(3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단말기(1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이면, 사용자의 기능 이전 제스처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은 켜지게 되고, 제2 단말기(300)의 화면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꺼짐 상태로 변경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계속적인 동작을 위하여 화면이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단말기(300)에서 음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에,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의 화면에 음악애플리케이션 조작을 위한 메뉴 UI(660)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사이의 기능 이전 동작으로 인하여, 음악의 재생 역시 제2 단말기(300)에서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300)는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꺼진 상태이고, 소정 거리 이내에 두 단말기가 위치한 경우에, 제1 및 제2 단말기가 함께 흔들리거나 진동이 가해지면,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웨이크업되면서,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중이였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300)에서 음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였다면, 제1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재생 음악의 정보와, 재생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330)가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단말기(300)의 화면이 꺼짐 상태 또는 슬립 상태이고, 제1 단말기(100)의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도, 단말기들 사이에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기능이 일부 또는 전부 이전될 수 있다.
도 33과 도 34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과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제3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이고,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한 제1 단말기(100)를 통하여 알림이 수신되고, 해당 알림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시지 수신인 경우에 해당 메시지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신한 메시지에 대하여 회신하길 희망한다면, 제2 단말기(300)를 손에 쥔 상태로, 진동을 가하거나 흔들게 되면, 제1 단말기(100)에서 동작중이였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제2 단말기(300)로 이전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동작 이전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0)에서 수행되었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제2 단말기(300)로 이전되고, 해당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되는 것과 함께, 메시지 회신을 위한 가상 키보드(63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 알림이 제1 단말기(100) 화면에 메시지 알림 UI(331)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해당 메시지에 대한 애플케이션이 제2 단말기(300)의 화면에서 메시지 UI(63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300)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도중에, 슬립 상태로 있는 단말기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웨이크 업 동작에는 실행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이전되는 것도 포함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11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되는 사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기기로 이전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가 결정되더라도, 이전의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 동작이 적합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모두 슬립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는 대기 상태일 경우가 있다. 다만,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도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수신될 수 있으므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이러한 알림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서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보조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5와 도 3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4 사용자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7과 도 3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5 사용자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5와 도 36에 도시되는 사용자 제스처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착용한 손으로 제2 단말기(300)를 쥐고 있는 상황에서 구현되며, 특히, 제2 단말기(300)의 화면이 상측을 향하거나 하측을 향하는 제스처가 된다.
즉, 제2 단말기(300) 화면을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그립한 다음, 상하로 움직이는 제스처이거나, 상기 제2 단말기(300) 화면을 하측 방향(지면)을 향하도록 그립한 다음, 상하로 움직이는 제스처가 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2 단말기(300) 화면을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그립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들 사이에는 제2 단말기(300)가 메인 기기가 되고, 손목에 착용한 제1 단말기(100)가 보조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단말기(100)로 이전되거나, 제2 단말기(300)가 수신한 이벤트(알림 정보 등)를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단말기(300)에서 발생된 이벤트는, 푸쉬 형태로 수신되는 메시지, 전화, 일정 알림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해당 이벤트의 표시가 제1 단말기(100)에서 수행된다.
반대로, 제2 단말기(300) 화면을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그립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들 사이에는 제2 단말기(300)가 서브 기기가 되고, 손목에 착용한 제1 단말기(100)가 메인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제2 단말기(100)로 이전되거나,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된 이벤트(알림 정보 등)를 제2 단말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제스처를 제4 사용자 제스처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7과 도 38을 참조하여 제5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하여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위한 보조 기기로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하여 본다.
도 37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하여 제2 단말기(300)를 보조 기기로 설정하는 경우이고, 도 38은 제1 단말기(100)를 보조 기기로 설정하는 경우가 된다. 다만, 실시예의 변경에 따라서는, 반대로 보조 기기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7과 도 38에서 예시되는 제5 사용자 제스처는, 사용자가 양손에 각각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를 착용 내지는 그립한 상태이며, 양손의 제스처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보다 낮은 위치에 제2 단말기(300)가 위치되고, 제1 단말기(100)의 위치가 하강하여 제2 단말기(300)의 상단부에 충격을 가하는 제스처가 도시된다. 예를 들면, 제1 단말기(100)를 착용한 손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면서 제2 단말기(300)에 진동을 가하는 제스처가 된다.
이때, 제2 단말기(300)는 제1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기기로 사용되는 예를 도 39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본다.
도 39 내지 도 4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5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2 단말기가 보조 기기로 사용되는 경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전의 대화 내용을 포함하여 수신한 메시지(171)가 표시되고, 해당 메시지(171)에 대한 회신 여부를 결정하는 회신 버튼(17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된 회신 버튼(172)을 선택하는 경우에,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키보드(173)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갖는 제1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직접 터치에 기반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37에서 설명한 사용자 제스처를 수행하게 되면,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가 보조 기기로 설정되고, 제2 단말기(300)의 화면에는 큰 사이즈의 가상 키보드(371)가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2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에, 제1 단말기(100)의 화면에도 입력한 텍스트가 표시되고, 선택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300) 화면 상에 가상 키보드(371)가 표시되는 동안에는, 제1 단말기(100)에 표시되었던 가상 키보드는 제거되고, 상대방과의 대화창이 표시된다(도 41). 따라서, 사용자가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갖는 제1 단말기(100)를 직접 조작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큰 사이즈의 화면을 갖는 제2 단말기(300)를 보조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8에는 제5 사용자 제스처의 다른 예가 도시된다. 제1 단말기(100)를 보조 기기로 설정하기 위한 제스처라고 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300)를 제1 단말기(100)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강시켜, 상기 제1 단말기(100)측으로 진동을 가하는 경우이다. 즉, 사용자가 제2 단말기(300)를 그립한 손을 제1 단말기(100)를 착용한 손으로 하강시키면서 충격을 가하는 제스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에 따라,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는 제1 단말기(100)가 보조 기기로 설정되고, 제2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제1 단말기(100)가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실시예가 도 43과 도 4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3과 도 4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5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1 단말기가 보조 기기로 사용되는 경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4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단말기(300)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 단말기(300)의 화면에는 촬영대상이 되는 객체의 촬영 모습(381)이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에는 카메라 실행과 관련되는 사진 촬영 버튼이나, 동영상 촬영 버튼 등의 메뉴가 함께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도 38에 도시된 사용자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에, 제1 단말가(100)가 보조 기기로 설정되고, 이때, 제1 단말기(100) 화면에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 의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카메라 촬영과 관련되는 버튼들(181)이 표시된다.
즉,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으로 제2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되던 촬영 버튼 등의 메뉴들이 제1 단말기(100)에서 표시되고, 제1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2 단말기(300)에 의한 영상 촬영의 개시 및 중단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300)는 카메라가 되고, 제1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이 된다고도 볼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단말기들 사이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이전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푸쉬 알림과 같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도 가능하다.
도 45 내지 도 48은 본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들 사이에 이벤트가 전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단말기(300)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단말기(300)를 통하여 영화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메시지 수신되는 경우, 화면에 해당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391)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2 단말기(300)를 통한 영화를 계속하여 시청하면서,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제스처를 취하면, 제1 단말기(100)에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46에 도시된 사용자 제스처는 앞서 기재한 도 38에 도시된 사용자 제스처와 유사하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8에 도시된 사용자 제스처는 제2 단말기(30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가해지는 제스처라고 한다면, 도 46에 도시된 사용자 제스처는 제2 단말기(300)의 가로로 눕힌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사용자 제스처에 의하여, 제2 단말기(3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단말기(100)로 이전하는 경우도 가능하겠지만, 제2 단말기(30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단말기(100)로 해당 이벤트 정보가 전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가 제1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되고, 제2 단말기(300)에 생성되었던 이벤트 알림 이미지는 삭제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화면이 오프 내지는 슬립 상태에서 제1 내지 제5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메인 기기로 설정되는 단말기에 발생된 이벤트 정보가 서브 기기로 설정되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5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들의 화면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도,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발생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가 다른 단말기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제스처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자 편의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상태 정보를 센싱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센싱되는 상기 제 1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인 제 2 상태 정보와, 상기 제 1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가속도 신호와, 진동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진동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단말기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화면과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또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단말기에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1 상태 정보로서 가속도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센싱하는 수단과,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화면이 포함되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센싱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상태 정보로서, 가속도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 1 상태 정보와, 상기 제 2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의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이미지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정보가 진동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태 정보가 가속도 신호 및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말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정보가 가속도 신호 및 진동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태 정보가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가상 키보드를 출력시키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가 상기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정보 및 제 2 상태 정보 각각이 가속도 신호 및 진동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말기.
KR1020140140515A 2014-10-17 2014-10-17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20160045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15A KR20160045269A (ko) 2014-10-17 2014-10-17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EP15002771.2A EP3010212B1 (en) 2014-10-17 2015-09-25 Wearab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CN201510673542.XA CN105530368B (zh) 2014-10-17 2015-10-16 可佩戴设备和用于支持与该设备的通信的移动终端
US14/885,563 US10001869B2 (en) 2014-10-17 2015-10-16 Wearab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15A KR20160045269A (ko) 2014-10-17 2014-10-17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69A true KR20160045269A (ko) 2016-04-27

Family

ID=5425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515A KR20160045269A (ko) 2014-10-17 2014-10-17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01869B2 (ko)
EP (1) EP3010212B1 (ko)
KR (1) KR20160045269A (ko)
CN (1) CN10553036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842A (ko) * 2015-08-20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의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24689A1 (en) * 2016-12-29 2018-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display of content on one or more secondary device by primary device
US10866652B2 (en) 2017-11-13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evice track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4941B2 (en) 2012-10-04 2019-03-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sensor for tracking articulated body-parts
CN105074633B (zh) * 2013-02-25 2018-01-02 夏普株式会社 输入设备和显示装置
CN105074634B (zh) * 2013-02-25 2018-01-26 夏普株式会社 电子设备和信息处理系统
KR102271434B1 (ko) * 2014-09-26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D775177S1 (en) * 2015-02-23 2016-12-27 Somfy Sas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118S1 (en) * 2015-04-13 2016-08-3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5917S1 (en) 2015-05-17 2017-08-29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951080A (zh) * 2015-07-06 2015-09-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以及装置
US10289239B2 (en) 2015-07-09 2019-05-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multi-touch input detection
US20170010733A1 (en) * 2015-07-09 2017-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identify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USD784389S1 (en) * 2015-08-1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EP3133464B1 (en) * 2015-08-20 202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xt input for wearable devices
USD784385S1 (en) * 2015-09-0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8158S1 (en) * 2015-09-0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7557S1 (en) * 2015-09-02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87S1 (en) * 2015-09-0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410S1 (en) * 2015-09-0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96S1 (en) * 2015-09-0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83S1 (en) * 2015-09-0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84S1 (en) * 2015-09-0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4075S1 (en) * 2015-09-02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5024S1 (en) * 2015-09-02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4513S1 (en) * 2015-09-02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82S1 (en) * 2015-09-0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4388S1 (en) * 2015-09-07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I585555B (zh) * 2015-11-06 2017-06-01 Princo Corp Watch, wear device, emergency method and quick dial law
USD831692S1 (en) * 2016-01-05 2018-10-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1427S1 (en) * 2016-01-05 2018-02-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1693S1 (en) * 2016-01-05 2018-10-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278367B (zh) * 2016-02-29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可穿戴设备和消息传送方法
USD858561S1 (en) * 2016-06-17 2019-09-03 Shanghai Yushanzhi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f a wearable device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8562S1 (en) * 2016-06-18 2019-09-03 Shanghai Mobvoi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f a wearable device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7340S1 (en) * 2016-08-26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7838S1 (en) * 2016-09-09 2019-05-07 Karl Storz Se & Co. Kg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 circular representation for medical data
US20180103906A1 (en) * 2016-10-17 2018-04-19 CU Wellness, Inc. Multifunction buckle for a wearable device
USD875749S1 (en) * 2016-11-02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3885S1 (en) * 2016-11-10 2018-07-2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2680S1 (en) * 2016-12-16 2018-07-10 Asustek Computer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9231S1 (en) * 2017-01-13 2018-09-25 Action Target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4645S1 (en) * 2017-02-15 2019-04-02 AI Incorporated Robotic vacuum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49413B1 (ko) 2017-04-24 2021-05-0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N110622105B (zh) * 2017-05-09 2022-06-07 三星电子株式会社 基于设备上下文执行至少一个操作的方法和装置
US10194078B2 (en) * 2017-06-09 2019-01-29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enabled device with multi-image capturing abilities
CN107562205B (zh) * 2017-09-15 2021-08-13 上海展扬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投影键盘及该投影键盘的操作方法
USD887434S1 (en) 2017-10-27 2020-06-16 Waymo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icon
USD967185S1 (en) 2017-10-27 2022-10-18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858550S1 (en) * 2017-10-27 2019-09-03 Waymo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8549S1 (en) 2017-10-27 2019-09-03 Waymo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7858S1 (en) 2017-10-27 2019-05-07 Waymo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icon
USD916131S1 (en) 2017-10-27 2021-04-13 Waymo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transitional icon
USD897353S1 (en) 2017-10-27 2020-09-29 Waymo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1441S1 (en) 2018-03-16 2020-07-28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68814B2 (en) 2018-04-30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flow-based architecture
USD875743S1 (en) 2018-06-04 2020-02-1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12150B2 (en) * 2018-08-19 2020-10-20 International Forte Group LLC First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facilitating a proximity based interaction with a seco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9276881A (zh) * 2018-08-31 2019-01-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游戏控制方法、设备
USD930676S1 (en) * 2018-09-07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generated image for display
CN109343703B (zh) * 2018-09-10 2021-12-03 中国科学院计算机网络信息中心 多终端协同的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USD950588S1 (en) * 2019-02-18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02947S1 (en) 2019-03-25 2020-11-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64068B2 (en) * 2019-04-16 2021-07-13 Apple Inc. Reminders techniques on a user device
USD926781S1 (en) 2019-05-28 2021-08-0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72696B2 (en) 2019-05-30 2022-06-28 Apple Inc. Siri reminders found in apps
CN110290261A (zh) * 2019-06-12 2019-09-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80140A (zh) * 2019-07-08 2019-08-30 孟李中 一种以握拳动作记录呼吸锻炼和习惯培养的控制模块
USD929426S1 (en) * 2019-09-02 2021-08-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isplay for a wearable device pres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3347S1 (en) * 2019-09-02 2022-05-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isplay for a wearable device pres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7681S1 (en) * 2019-10-30 2023-05-30 Lyft,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16881B1 (ko) * 2020-03-26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868B2 (en) * 2002-02-14 2005-12-20 Fossi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a watch and external digital device
WO2007142703A1 (en) * 2006-01-20 2007-12-13 Conversational Computing Corporation Wearable display interface client
US8391786B2 (en) * 2007-01-25 2013-03-05 Stephen Hodges Motion triggered data transfer
KR101415439B1 (ko) * 2007-08-16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99428A (ko) * 2009-03-03 2010-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간 자동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000887B2 (en) * 2009-07-23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by a wearable device to control mobile and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9213480B2 (en) * 2010-04-08 2015-12-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joining the displays of multiple devices
RU2601831C2 (ru) * 2011-12-28 2016-11-10 Нокиа Текнолоджиз Ой Предоставление открытого экземпляра приложения
US9218122B2 (en) * 2011-12-29 2015-12-2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settings across devices based on user gestures
US9363010B2 (en) * 2012-12-03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JP6094198B2 (ja) * 2012-12-17 2017-03-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型電子装置、通信システム、報知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7577B2 (ja) * 2013-03-13 2017-07-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リスト端末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48645B1 (ko) * 2013-03-15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143776A2 (en) *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043049B1 (ko) * 2013-04-01 2019-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CN103490990B (zh) * 2013-09-30 2017-01-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通过穿戴式智能设备进行数据分享的方法及系统
CN103686329A (zh) * 2013-12-20 2014-03-26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同步控制操作的方法及系统、智能电视、穿戴式设备
CN103686326A (zh) * 2013-12-20 2014-03-26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视频文件同步播放的控制方法、智能电视、穿戴式设备
WO2016018040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34586B1 (ko) * 2014-08-28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비콘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842A (ko) * 2015-08-20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의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24689A1 (en) * 2016-12-29 2018-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display of content on one or more secondary device by primary device
US11132167B2 (en) 2016-12-29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display of content on one or more secondary device by primary device
US10866652B2 (en) 2017-11-13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evice tr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30368B (zh) 2021-01-12
CN105530368A (zh) 2016-04-27
EP3010212A1 (en) 2016-04-20
US20160110012A1 (en) 2016-04-21
EP3010212B1 (en) 2018-11-07
US10001869B2 (en)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0212B1 (en) Wearab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KR10230929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17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1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333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051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601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5398B1 (ko) 밴드 타입 단말기
KR201700371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2811A (ko) 손목착용형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의 제스처를 통해 필기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4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705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53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16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94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6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0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35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1602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30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12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09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042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627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620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