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44A -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44A
KR20160035944A KR1020140127948A KR20140127948A KR20160035944A KR 20160035944 A KR20160035944 A KR 20160035944A KR 1020140127948 A KR1020140127948 A KR 1020140127948A KR 20140127948 A KR20140127948 A KR 20140127948A KR 20160035944 A KR20160035944 A KR 20160035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format
transmission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섭
정춘식
최윤호
민석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944A/ko
Priority to US14/826,295 priority patent/US20160088255A1/en
Priority to EP15185524.4A priority patent/EP3001687A1/en
Priority to CN201510612962.7A priority patent/CN105451033A/zh
Publication of KR2016003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07Systems with supplementary picture signal insertion during a portion of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signal, e.g. during top and bottom lines in a HDTV letter-box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신호 수신 장치는 제1 및 제2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1 및 제2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디코더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디코더로 전송되는 경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제1 포맷으로 변경되어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에 관한 것으로써, 2세대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한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1세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정의된 MPEG2-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 Transport Stream) 패킷(packet)은 4바이트(byte)의 헤더(Header)와 184바이트의 적응 필드/페이로드(Adaptation Field/Payload)를 포함하는 188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로 구성된다.
그 결과, 1세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텔레비전, 셋톱 박스 등의 수신 측은 188바이트의 TS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에 비하여, 2세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방송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 측은 다양한 포맷의 패킷들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 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2세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 측이 송신할 수 있는 패킷의 포맷은 TS(Transport Stream),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 GCS(Generic Continuous Stream) 및 GFPS(Generic Fixed Packetized Stream) 등이 있다.
특히, 2세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 측에서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포맷 가운데 TS 패킷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88바이트로 고정된 크기를 갖지만, GSE 패킷은 그 크기가 가변적이다.
따라서, 188바이트의 TS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최적의 인터페이스가 구성된 1세대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측은 2세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양한 포맷의 패킷을 수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수신기와 디코더 사이에서 다양한 포맷의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달할 수 있는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는 제1 및 제2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1 및 제2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디코더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디코더로 전송되는 경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제1 포맷으로 변경되어 전송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디코더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제2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수신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디코더는 상기 동기화 신호와 다음의 동기화 신호 사이에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수신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전송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188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일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TS(Transport Stream) 패킷이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GS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패킷, GCS (Generic Continuous Stream) 패킷 및 GFPS (Generic Fixed Packetized Stream) 패킷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수신기, 디코더 및 수신기와 디코더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를 통하여, 제1 포맷의 데이터 또는 제2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제1 포맷으로 변경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를 상기 디코더에 전달하고, 상기 디코더를 통하여,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디코더를 통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은 상기 동기화 신호와 다음의 동기화 신호 사이에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 전송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TS(Transport Stream) 패킷이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GS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패킷, GCS (Generic Continuous Stream) 패킷 및 GFPS (Generic Fixed Packetized Stream) 패킷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TS 패킷 이외의 전송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전송 데이터 패킷을 분할 전송함으로써 수신기와 디코더 사이에서 다양한 포맷의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달할 수 있는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코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코더에 의하여 생성되는 패킷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송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송신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신호 수신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가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가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가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가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가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가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는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 및 디코더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코더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코더에 의하여 생성되는 패킷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송신기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송신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1)은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 장치(10), 신호 송신 장치(10)가 전송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100)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방송 시스템(1)은 신호 송신 장치(1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수신 장치(100)로 재전송하는 신호 중계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우선, 신호 송신 장치(1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 송신 장치(10)의 구성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변환/변조하고, 변환/변조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신호 수신 장치(100)에 전송하는 송신 수단의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신호 송신 장치(10)가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송신 장치(10)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소스(20),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특정한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30), 인코딩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전파 또는 광을 통하여 전송하는 송신기(40)를 포함한다.
컨텐츠 소스(20)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CA),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MIC),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음향을 재생하는 미디어 플레이어(MP) 등 영상 및 음향이 포함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텐츠 소스(20)는 광학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각각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인코더(30)에 제공한다.
인코더(30)는 컨텐츠 소스(20)로부터 제공받는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 등의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 인코딩하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인코더(30)는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이하에서 "컨텐츠 관련 데이터"라 한다.)를 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관련 데이터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케줄,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또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 장치(10)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코더(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코더(31), 오디오 인코더(32), 데이터 인코더(33) 및 멀티플렉서(34, multiplexer)를 포함한다.
비디오 인코더(31)는 컨텐츠 소스(2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코덱(codec)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31)는 MPEG2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MPEG2에 의하여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패킷으로 패킷화할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31)에 의하여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는 순수하게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영상 패킷은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hea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인코더(31)는 이와 같은 영상 패킷을 멀티플렉서(34)로 출력한다.
오디오 인코더(32)는 컨텐츠 소스(2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음향 데이터를 패킷화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인코더(32)는 AC-3(Audio Coding-3)를 이용하여 음향을 인코딩하고, AC-3에 의하여 인코딩된 음향 데이터를 음향 패킷으로 패킷화할 수 있다.
오디오 인코더(32)에 의하여 인코딩된 음향 데이터는 순수하게 음향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음향 패킷은 인코딩된 음향 데이터와 함께 음향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인코더(31)는 이와 같은 음향 패킷을 멀티플렉서(34)로 출력한다.
데이터 인코더(33)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으로 패킷화한다. 데이터 패킷은 컨텐츠 관련 데이터와 함께 컨텐츠 관련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34)는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출력한다. 이때, 전송 데이터 패킷(D1)은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비트 스트림 형태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 데이터 스트림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멀티플렉서(34)는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적절하게 배열하고 각각의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생성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34)에 의하여 생성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은 다양한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데이터 패킷(D1)은 TS (Transport Stream), GS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GCS (Generic Continuous Stream) 및 GFPS (Generic Fixed Packetized Stream) 가운데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TS 패킷(D1)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미리 정해진 188바이트(byte)의 크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TS 패킷은 4바이트의 TS 헤더(D1a)와 184바이트의 TS 데이터 필드(D1b)를 포함하며, TS 데이터 필드(D1b)에는 앞서 설명한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 등이 담길 수 있다.
또한, TS 헤더(D1a)는 TS 패킷(D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TS 패킷(D1)의 시작 지점을 나타내는 동기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SE 패킷(D1)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GSE 헤더(D1a)와 GSE 데이터 필드(D1b)를 포함하며, TS 데이터 필드(D1b)에는 앞서 설명한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 등이 담길 수 있다.
다만, GSE 패킷(D1)은 TS 패킷(D1)과 달리 패킷의 길이가 가변적이다. 다시 말해, GSE 패킷(D1)은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지 않으며,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인코더(30)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TS 패킷, GSE 패킷, GCS 패킷 및 GFPS 패킷 가운데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스트림 형태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인코더(30)는 복수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연속되어 형성되는 전송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한다.
송신기(40)는 인코더(30)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 신호로 변조하고, 전송 신호를 안테나(AT1)을 통하여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송신기(4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에러 정정을 위한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하고, 에러 정정 코드가 부가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파 또는 광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변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신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처리 모듈(41), 에러 정정 코딩 모듈(42), 프레임 생성 모듈(43) 및 신호 변조 모듈(44)을 포함한다.
입력 처리 모듈(41)은 인코더(30)가 출력하는 전송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처리 모듈(41)은 전송 데이터 스트림을 재단(slice)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처리 모듈(41)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식별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헤더(BBHD)를 부가하여, 베이스 밴드 프레임(D2, base band frame: BBFRAME)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밴드 헤더(BBHD)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포함한다.
베이스 밴드 헤더(BBHD)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 및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처리 모드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 밴드 헤더(BBHD)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알려진 TS 패킷, GSE 패킷, GCS 패킷 및 GFPS 패킷 가운데 어느 포맷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설명할 신호 수신 장치(100)는 베이스 밴드 헤더(BBHD)를 참조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포맷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밴드 헤더(BBHD)는 선택적으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보호하기 위한 에러 정정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밴드 헤더(BBHD)는 CRC(cyclical redundancy check)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처리 모듈(41)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을 암호화하는 베이스 밴드 스크램블(base band scramble: BB scramble)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 처리 모듈(41)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기준 개수 이상의 "0"이 연속되면 이를 특정 코드로 변경할 수 있다.
에러 정정 코딩 모듈(42)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을 기초로 에러 정정 프레임(D3, forward error correction frame: FECFRAME)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에러 정정 코딩 모듈(42)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을 기초로 전진 에러 정정 코드(FEC)를 생성하고, 전진 에러 수정 코드(FEC)를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부가하여 전진 에러 수정 프레임(D3)을 생성한다.
그 결과, 에러 정정 프레임(D2)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밴드 프레임(D2)과 에러 정정 코드(FEC)을 포함한다.
또한, 에러 정정 코딩 모듈(42)은 에러 정정 프레임(D3)에 대하여 비트-인터리브(bit-interleave)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러 정정 코딩 모듈(42)은 전진 에러 정정 프레임(D3)에 포함된 각각의 비트(bit)를 재배열할 수 있다.
시그널링 생성 모듈(43)은 P1 시그널링 심볼(P1), P2 시그널링 심볼(P2) 및 프레임 종료 심볼(F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P1 시그널링 심볼(P1)은 전송 타입을 나타내며, P2 시그널링 심볼(P2)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타입을 나타내며, 프레임 종료 심볼(FC)은 아래에서 설명할 데이터 프레임(D4)의 종료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P2 시그널링 심볼(P2)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지 또는 TS 패킷 이외의 데이터 패킷인지를 나타낸다.
또한, 시그널링 생성 모듈(43)은 P1 시그널링 심볼(P1), P2 시그널링 심볼(P2) 및 프레임 종료 심볼(FC) 각각에 대하여 비트-인터리빙(bit-interleav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그널링 생성 모듈(43)은 P1 시그널링 심볼(P1), P2 시그널링 심볼(P2) 및 프레임 종료 심볼(FC) 각각에 포함된 비트(bit)를 재배열할 수 있다.
프레임 생성 모듈(44)은 에러 정정 프레임(D3), P1 시그널링 심볼(P1), P2 시그널링 심볼(P2) 및 프레임 종료 심볼(FC)을 기초로 데이터 프레임(D4)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생성 모듈(44)은 에러 정정 프레임(D3)에 P1 시그널링 심볼(P1), P2 시그널링 심볼(P2) 및 프레임 종료 심볼(FC)을 부가하여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프레임(D4)을 생성한다.
신호 변조 모듈(45)은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D4)을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슈퍼 프레임(D5)을 생성한다. 또한, 신호 변조 모듈(45)은 슈퍼 프레임(D5)이 변조하여 전송을 생성하고, 안테나(AT1)을 통하여 전송 신호를 송출한다. 다시 말해, 신호 변조 모듈(45)은 슈퍼 프레임(D5)을 전파 또는 광 등을 통하여 송출한다.
예를 들어, 신호 변조 모듈(45)은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 방식 또는 VSB (Vestigial Side Band) 변조 방식 등을 이용하여 슈퍼 프레임(D5)을 변조할 수 있다.
이처럼, 송신기(4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각종 정보를 부가한 슈퍼 프레임(D5)을 생성하고, 슈퍼 프레임(D5)을 변조하여 송출한다. 이때, 송출되는 슈퍼 프레임(D5)은 전송 데이터 패킷(D1),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하기 위한 정보,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 등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TS 패킷, GSE 패킷, GCS 패킷 및 GFPS 패킷 등의 다양한 포맷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변조하여 전송하는 신호 송신 장치(10)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신호 송신 장치(10)는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1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신호 송신 장치(10)가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신호 수신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호 수신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신호 송신 장치(10)가 송신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 수신 장치(100)는 방송 신호로부터 복원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방송 신호로부터 복원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재전송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신호 수신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복원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120), 신호 송신 장치(10)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200),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30),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40),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50) 및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 음향 출력부(150)에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버튼, 컨텐츠 수신부(130)에 의하여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채널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200)는 신호 송신 장치(10)가 전송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원한다.
신호 수신부(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신호 수신부(200)가 복원한 데이터 가운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4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130)는 그래픽 프로세서(131)와 그래픽 메모리(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메모리(133)는 영상 처리를 위한 영상 처리 프로그램 및 영상 처리 데이터, 그래픽 프로세서(131)가 처리한 영상 데이터 또는 신호 수신부(200)가 복원한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31)는 그래픽 메모리(133)에 기억된 영상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43), 디스플레이 패널(143)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4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3)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4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43)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화소(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는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43)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143)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43)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41)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부(1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43)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41)는 디스플레이 패널(14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각각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음향 출력부(150)는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 수신부(130)가 수신한 컨텐츠 가운데 음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향 출력부(150)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2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며, 메인 프로세서(111) 및 메인 메모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11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제어 명령 또는 메인 프로세서(111)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11)는 메인 메모리(11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 메모리(11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11)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신호 수신부(13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신호를 생성하거나 음향 출력부(150)가 출력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프로세서(111)와 메인 메모리(113)를 포함하는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신호 수신 장치(100)에 포함된 각종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 수신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신호 수신 장치(100)의 구성은 전송 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복원하는 수신 수단의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신호 수신 장치(100)가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신호 수신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신호 수신부(200)는 안테나(AT2)를 통하여 전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기(210), 수신기(210)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220), 수신기(210)와 디코더(2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210)와 디코더(220) 사이에 마련되며, 수신기(210)에서 출력되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디코더(220)로 전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230)는 클럭 라인(CLK), 동기화 라인(SYNC), 전송 통지 라인(VAL), 데이터 라인(DATA)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라인(CLK)은 수신기(210)의 전송 클럭과 디코더(220)의 수신 클럭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클럭 신호를 전송한다.
클럭 라인(CLK)의 클럭 신호에 의하여 수신기(210)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하는 타이밍과 디코더(220)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수신하는 타이밍이 일치될 수 있다.
동기화 라인(SYNC)은 수신기(210)가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전송을 개시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를 디코더(22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1번째 비트(bit)와 함께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디코더(220)는 동기화 라인(SNC)의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전송 개시를 인식할 수 있다.
전송 통지 라인(VAL)은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됨을 나타내는 전송 통지 신호를 디코더(22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하는 동안 전송 통지 라인(VAL)을 통하여 전송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전송 통지 라인(VAL)을 통하여 전송 통지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디코더(220)는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가 전송됨을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ATA)은 수신기(210)로부터 디코더(220)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ATA)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신호 전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라인(DATA)이 하나의 신호 전송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단일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직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라인(DATA)이 2이상의 신호 전송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기(210)는 복수의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병렬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211), 신호 복조 모듈(212), 에러 정정 모듈(213), 패킷 전송 모듈(214), 수신 메모리(215) 및 수신 컨트롤러(216)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11)는 안테나(AT2)에 의하여 수신된 각종 신호 가운데 특정한 주파수(채널)의 전송 신호를 추출한다. 다시 말해, 튜너(211)는 각종 신호 가운데 신호 송신 장치(10)가 전송한 전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신호 복조 모듈(212)은 튜너(211)로부터 전송 신호를 수신하고, 에러 정정 프레임(D3)을 출력할 수 있다.
우선, 신호 복조 모듈(212)은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 방식 또는 VSB (Vestigial Side Band) 변조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D4)를 복조한다.
이후, 신호 복조 모듈(212)은 데이터 프레임(D4)에 대하여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터리빙에 의하여 재배열된 데이터 프레임(D4)의 비트(bit)를 원래의 순서로 배열한다.
이후, 신호 복조 모듈(212)은 데이터 프레임(D4)으로부터 에러 정정 프레임(D3)을 추출하고, 추출된 에러 정정 프레임(D3)을 출력한다.
에러 정정 모듈(213)은 에러 정정 프레임(D3)에 대하여 전진 에러 정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에러 정정 모듈(213)은 에러 정정 코드(FEC)을 기초로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대하여 전진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에러 정정 모듈(213)은 에러 정정이 수행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을 출력한다.
패킷 전송 모듈(214)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을 수신하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출력한다.
이때, 패킷 전송 모듈(214)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으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하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를 판단한다. 또한, 패킷 전송 모듈(214)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에 따라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분할하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분할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패킷 전송 모듈(214)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포함된 베이스 밴드 헤더(BBHD)를 기초로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밴드 헤더(BBHD)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패킷 전송 모듈(214)은 베이스 밴드 헤더(BBHD)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 또는 TS 패킷이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패킷 전송 모듈(214)은 데이터 프레임(D4)에 포함된 P2 시그널링 심볼(P2)을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2 시그널링 심볼(P2)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지 또는 TS 패킷 이외의 데이터 패킷인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패킷 전송 모듈(214)은 P2 시그널링 심볼(P2)을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 또는 TS 패킷이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패킷 전송 모듈(214)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코더(2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 또는 TS 패킷이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패킷 전송 모듈(214)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TS 패킷으로 가정하여 전송 데이터를 디코더(220)에 전송한다. 이후, 디코더(220)가 전송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의 복원에 실패하면, 디코더(220)는 수신기(210)에 패킷 오류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기(210)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 경우, 패킷 전송 모듈(214)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그대로 디코더(22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패킷 전송 모듈(214)은 인터페이스(230)의 클럭 라인(CLK)을 통하여 전송되는 클럭 신호에 동기화되어 인터페이스(230)의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이 아닌 경우, 패킷 전송 모듈(214)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TS 패킷의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전송 데이터를 디코더(22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패킷 전송 모듈(214)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TS 패킷의 포맷에 대응되는 188바이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전송 데이터를 인터페이스(230)의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패킷 전송 모듈(214)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전송 개시 시에 동기화 라인(SYNC)을 통하여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킷 전송 모듈(214)은 1번째 전송 데이터의 1번째 비트(bit)와 함께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전송 모듈(214)은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전송 통지 라인(VAL)을 통하여 전송 통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분할 및 전송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수신기(214)는 안테나(AT2)를 통하여 수신된 전송 신호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하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종류에 따라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포맷을 변경하여 디코더(220)로 전송한다.
디코더(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수신 모듈(211), 디멀티플렉서(222, demultiplexer), 비디오 디코더(223), 오디오 디코더(224) 및 데이터 디코더(225)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수신 모듈(221)은 수신기(210)로부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데이터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패킷 수신 모듈(221)은 인터페이스(230)의 클럭 라인(CLK)을 통하여 수신되는 클럭 신호에 동기화되어 인터페이스(230)의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패킷 수신 모듈(221)은 동기화 라인(SYNC)을 통하여 수신되는 동기화 신호를 통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수신 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송 통지 라인(VAL)을 통하여 수신되는 전송 통지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라인(DATA)의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킷 수신 모듈(221)은 전송 통지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수신 모듈(221)은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기(210)의 패킷 전송 모듈(214)은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1번째 비트와 함께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패킷 수신 모듈(221)은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시작과 끝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킷 전송 모듈(214)은 동기화 신호와 동기화 신호 사이에 수신된 전송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의 수신 및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복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패킷 수신 모듈(221)은 복원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디멀티플렉서(222)로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222)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역다중화하고,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멀티플렉서(222)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부터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고,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각각 비디오 디코더(223), 오디오 디코더(224) 및 데이터 디코더(225)로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223)는 디멀티플렉서(222)로부터 영상 패킷을 수신하고,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디코더(223)는 영상 패킷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참조하여 영상 패킷을 역패킷화하고, 역패킷화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223)는 영상 데이터를 MPEG2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를 이용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디코더(223)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224)는 디멀티플렉서(222)로부터 음향 패킷을 수신하고, 디코딩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디코더(224)는 음향 패킷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참조하여 음향 패킷을 역패킷화하고, 역패킷화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더(224)는 영상 데이터를 AC-3(Audio Coding-3)를 이용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디코더(224)는 디코딩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디코더(225)는 디멀티플렉서(222)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디코더(225)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을 역패킷화하고,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원한다.
또한, 데이터 디코더(225)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처럼, 디코더(220)는 수신기(210)로부터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원하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수신기(210)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분할하여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 디코더(220)가 전송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수신기(210)가 TS 패킷을 전송하고, 디코더가 TS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가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가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복조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 경우, 전송 데이터 패킷(D1)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8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이때,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패킷인지 여부는 데이터 프레임(D4)의 P2 시그널링 심볼(P2) 또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의 베이스 밴드 헤더(BBHD)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수신기(21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한다. 다시 말해,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분할하지 않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순서대로 전송한다.
또한, 수신기(210)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라인(CLK)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할 때마다 동기화 라인(SYNC)을 통하여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신기(210)는 1번째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전송을 개시할 때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고, 1번째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188바이트를 모두 전송한 이후 2번째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전송을 개시할 때 다시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10)는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하는 동안 전송 통지 라인(VAL)을 통하여 전송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디코더(220)는 전송 통지 라인(VAL)의 전송 통지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수신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수신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순서대로 저장한다.
이때, 디코더(220)는 동기화 라인(SYNC)의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시작점을 인식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수신한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역다중화하고,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 경우,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그대로 디코더(220)에 전달하고, 디코더(220)는 수신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그대로 역다중화하고 디코딩한다.
다음으로, 수신기(210)가 GSE 패킷, GCS 패킷 및 GFPS 패킷을 전송하고, 디코더가 GSE 패킷, GCS 패킷 및 GFPS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가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가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복원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이 아닌 경우, 전송 데이터 패킷(D1)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적인 길이일 수 있다. 이때,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패킷인지 여부는 데이터 프레임(D4)의 P2 시그널링 심볼(P2) 또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의 베이스 밴드 헤더(BBHD)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수신기(21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미리 정해진 크기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를 분할하여 188바이트의 제1 전송 데이터(D1-1)와 188바이트의 제2 전송 데이터(D1-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송 데이터(D1-1)와 제2 전송 데이터(D1-2)를 생성한 후 남은 데이터가 188바이트 미만이 되면 수신기(210)는 남은 데이터에 패딩 코드(padding code)를 부가하여 188바이트의 제3 전송 데이터(D1-3)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패딩 코드(padding code)는 임의의 코드일 수 있다.
이처럼,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생성한다.
만일,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188바이트 미만인 경우, 수신기(D1)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패딩 코드를 부가하여 제1 전송 데이터(D1-1)만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수신기(210)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순서대로 전송한다.
또한, 수신기(21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라인(CLK)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할 때마다 동기화 라인(SYNC)을 통하여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제1 전송 데이터(D1-1)의 전송을 개시할 때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신기(210)는 제1 전송 데이터(D1-1) 이외의 전송 데이터 예를 들어, 제2 전송 데이터(D1-2)의 전송을 개시할 때에는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하나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모두 전송한 이후 다음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하는 경우에 수신기(210)는 다음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제1 전송 데이터(D1-1)의 전송 개시 시에 동기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수신기(210)는 도 1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데이터(D1-1, D1-2, D1-3)을 전송하는 동안 전송 통지 라인(VAL)을 통하여 전송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동기화 신호와 달리, 전송 통지 신호는 전송 데이터(D1-1, D1-2, D1-3)가 출력되는 동안 항상 출력된다.
디코더(220)는 전송 통지 라인(VAL)의 전송 통지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수신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수신한 전송 데이터(D1-1, D1-2, D-3)를 순서대로 저장한다.
또한,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조합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코더(220)는 동기화 라인(SYNC)의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시작점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와 함께 수신된 전동 데이터를 제1 전송 데이터(D1-1)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가 수신된 이후 다음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수신된 전송 데이터(D1-1, D1-2, D1-3)는 하나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와 함께 제1 전송 데이터(D1-1)가 수신되고, 제2 전송 데이터(D1-2) 및 제3 전송 데이터(D1-3)가 수신된 이후 동기화 신호가 다시 수신되면, 디코더(220)는 제1, 제2 및 제3 전송 데이터(D1-1, D1-2, D1-3)는 하나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가 수신된 이후 다음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수신된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조합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 사이에 수신된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연속적으로 조합하고, 패딩 코드를 제거함으로써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포함된 헤더(D1a)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를 판단하고, 패딩 코드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 이상으로 부가된 코드를 제거한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역다중화하고,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이 아닌 경우,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분할하여 디코더(220)에 전달하고, 디코더(220)는 분할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조합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다. 또한, 디코더(220)는 복원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역다중화하고 디코딩한다.
다음으로, 수신기(210)가 여러 포맷의 패킷을 전송하고, 디코더가 여러 포맷의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가 전송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5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디코더가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는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인코더(30)가 서로 다른 포맷의 복수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생성하고, 송신기(40)는 서로 다른 포맷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코더로부터 TS 패킷을 수신하고 제2 인코더로부터 GSE 패킷을 수신한 후, 송신기(40)는 TS 패킷과 GSE 패킷을 조합하고 변조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포맷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수신되면 수신기(210)는 전송 신호를 복조하여 TS 패킷, GSE 패킷, GCS 패킷 및 GFPS 패킷 등 다양한 포맷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의 디코딩을 위하여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과 함께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포맷 정보를 디코더(22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수신기(21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210)로부터 수신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포맷 정보(ID)를 부가한다. 이때,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포맷은 데이터 프레임(D4)의 P2 시그널링 심볼(P2) 또는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의 베이스 밴드 헤더(BBHD)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미리 정해진 크기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부터 188바이트의 제1 전송 데이터(D1-1)와 188바이트의 제2 전송 데이터(D1-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송 데이터(D1-1)와 제2 전송 데이터(D1-2)를 생성한 후 남은 데이터가 188바이트 미만이 되면 수신기(210)는 남은 데이터에 패딩 코드(padding code)를 부가하여 188바이트의 제3 전송 데이터(D1-3)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수신기(210)는 포맷 정보(ID)가 부가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생성한다.
만일, 포맷 정보(ID)가 부가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188바이트 미만인 경우, 수신기(D1)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패딩 코드를 부가하여 제1 전송 데이터(D1-1)만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수신기(21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순서대로 전송한다.
또한, 수신기(210)는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라인(CLK)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 정보(ID)가 부가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전송할 때마다 동기화 라인(SYNC)을 통하여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기(210)는 포맷 정보(ID)가 부가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제1 전송 데이터(D1-1)의 전송을 개시할 때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10)는 도 1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데이터(D1-1, D1-2, D1-3)을 전송하는 동안 전송 통지 라인(VAL)을 통하여 전송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디코더(220)는 전송 통지 라인(VAL)의 전송 통지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데이터 라인(DATA)을 통하여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수신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수신한 전송 데이터(D1-1, D1-2, D-3)를 순서대로 저장한다.
또한,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조합하여 포맷 정보(ID)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코더(220)는 동기화 라인(SYNC)의 동기화 신호를 기초로 포맷 정보(ID)와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시작점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와 함께 수신된 전동 데이터를 제1 전송 데이터(D1-1)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가 수신된 이후 다음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수신된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조합하여, 포맷 정보(ID)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 사이에 수신된 전송 데이터(D1-1, D1-2, D1-3)를 연속적으로 조합하고, 패딩 코드를 제거함으로써 포맷 정보(ID)와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디코더(220)는 포맷 정보(ID)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포맷을 판단할 수 있으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역다중화하고,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포맷의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포맷 정보를 부가하여 디코더(220)에 전송하고,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포맷 정보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역다중화하고 디코딩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수신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 및 디코더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수신기(210) 및 디코더(220)의 동작(1100)을 설명한다.
우선, 수신기(210)는 전송 신호를 수신한다(1110).
신호 송신 장치(10)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 장치(10)는 전송 데이터 패팃(D1)을 복조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기(210)는 안테나(AT2)를 이용하여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튜너(211)를 이용하여 각종 신호 가운데 특정한 주파수(채널)의 전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수신기(210)는 전송 신호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다(1120).
수신기(210)은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D4)를 복조하고, 데이터 프레임(D4)으로부터 에러 정정 프레임(D3)을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10)은 에러 정정 프레임(D3)의 에러 정정 코드(FEC)을 기초로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대하여 전진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에러가 정정된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10)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으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할 수 있다.
이후, 신호 수신 장치(10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가 기준 크기인지를 판단한다(1130).
예를 들어, 기준 크기는 188바이트일 수 있으며,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기(210)은 베이스 밴드 프레임(D2)에 포함된 베이스 밴드 헤더(BBHD) 또는 데이터 프레임(D4)에 포함된 P2 시그널링 심볼(P2)을 기초로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TS 패킷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가 기준 크기이면(1130의 예),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디코더(220)로 전달한다(1170).
구체적으로, 수신기(210)는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통지 신호와 함께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디코더로 전달한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가 기준 크기가 아니면(1130의 아니오),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210)의 크기를 기준 크기로 변경한다(1140).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크면,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기준 크기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를 분할하여 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를 생성한 후 남은 데이터의 크기가 188바이트 미만이면, 수신기(210)는 남은 데이터에 패딩 코드(padding code)를 부가하여 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가 기준 크기보다 작으면,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에 패딩 코드(padding code)를 부가하여 188바이트의 전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수신기(21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조각을 디코더(220)로 전송한다(1150).
구체적으로, 수신기(210)는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 통지 신호와 함께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조각을 디코더로 전달한다.
이후, 분할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수신한 디코더(220)는 분할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다(1160).
구체적으로,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조각을 수신된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하기 위하여 디코더(220)는 동기화 신호 및 전송 통지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수신되거나 전송 데이터 패킷(D1)이 복원된 이후,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원한다(1180).
구체적으로, 디코더(220)는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역다중화하고,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코더(220)는 영상 패킷, 음향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하여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 신호를 수신한 수신기(210)는 전송 신호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한 이후 전송 데이터 패킷(D1)의 크기에 따라 전송 데이터 패킷(D1)를 분할하여 디코더(220)로 전달한다. 또한, 디코더(220)는 분할된 전송 데이터 패킷(D1)으로부터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복원하고, 전송 데이터 패킷(D1)을 디코딩하여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1: 디지털 방송 시스템 10: 신호 송신 장치
20: 컨텐츠 소스 30: 인코더
40: 송신기 100: 신호 수신 장치
200: 컨텐츠 수신부 210: 수신기
220: 인코더
D1: 전송 데이터 패킷 D2: 베이스 밴드 프레임
D3: 에러 정정 프레임 D4: 데이터 프레임
D5: 슈퍼 프레임

Claims (17)

  1. 제1 및 제2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1 및 제2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디코더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디코더로 전송되는 경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제1 포맷으로 변경되어 전송되는 신호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제2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신호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동기화 신호와 다음의 동기화 신호 사이에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신호 수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전송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신호 수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것인 신호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188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것인 신호 수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TS(Transport Stream) 패킷이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GS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패킷, GCS (Generic Continuous Stream) 패킷 및 GFPS (Generic Fixed Packetized Stream) 패킷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것인 신호 수신 장치.
  10. 수신기, 디코더 및 수신기와 디코더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를 통하여, 제1 포맷의 데이터 또는 제2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제1 포맷으로 변경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를 상기 디코더에 전달하고;
    상기 디코더를 통하여,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를 통하여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은,
    상기 동기화 신호와 다음의 동기화 신호 사이에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디코더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 전송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것인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데이터는 TS(Transport Stream) 패킷이고,
    상기 제2 포맷의 데이터는 GS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패킷, GCS (Generic Continuous Stream) 패킷 및 GFPS (Generic Fixed Packetized Stream) 패킷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것인 신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27948A 2014-09-24 2014-09-24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5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48A KR20160035944A (ko) 2014-09-24 2014-09-24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826,295 US20160088255A1 (en) 2014-09-24 2015-08-14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5185524.4A EP3001687A1 (en) 2014-09-24 2015-09-16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612962.7A CN105451033A (zh) 2014-09-24 2015-09-23 信号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48A KR20160035944A (ko) 2014-09-24 2014-09-24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44A true KR20160035944A (ko) 2016-04-01

Family

ID=5424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948A KR20160035944A (ko) 2014-09-24 2014-09-24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88255A1 (ko)
EP (1) EP3001687A1 (ko)
KR (1) KR20160035944A (ko)
CN (1) CN1054510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8294B (zh) * 2019-09-19 2022-08-3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图像修复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9048C (en) * 2001-11-30 2011-10-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ream conversio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ata recording, and data recording medium
KR100404777B1 (en) * 2002-10-26 2003-11-07 Id Digital Co Ltd Digital set-top box having detachable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 program
JP4737991B2 (ja) * 2005-01-04 2011-08-03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
JP2008017284A (ja) * 2006-07-07 2008-01-24 Denso Corp 受信装置
US20090094356A1 (en) * 2007-10-09 2009-04-09 Nokia Corporation Associating Physical Layer Pipes and Services Through a Program Map Table
KR100900293B1 (ko) * 2008-01-10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장치의 데이터 재생방법
CN102143367B (zh) * 2010-01-30 2013-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纠错校验方法、设备和系统
EP2362653A1 (en) * 2010-02-26 2011-08-31 Panasonic Corporation Transport stream packet header compression
EP2363972A1 (en) * 2010-02-26 2011-09-07 Panasonic Corporation Mapping of service components to physical-layer pipes
KR101213650B1 (ko) * 2010-12-31 2012-12-20 전자부품연구원 Dvb-t2/s2/c2 방송시스템을 위한 융합형 다중화기 및 가변 수신기
KR20130093773A (ko) * 2011-12-29 2013-08-23 전자부품연구원 디지털 방송용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합형 디지털 방송 신호 송출기
KR20130080628A (ko) * 2012-01-05 2013-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케이블 네트워크를 위한 헤드엔드 장치 및 그 헤드엔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35259B1 (ko) * 2012-04-25 201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8255A1 (en) 2016-03-24
EP3001687A1 (en) 2016-03-30
CN105451033A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1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ireless digital multimedia
JP4556785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20100142723A1 (en) Multimedia Switching Over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JP6196386B2 (ja) 放送信号伝送方法、放送信号受信方法、放送信号伝送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
EP3214774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JP2022121493A (ja) 受信方法および端末
KR101372402B1 (ko)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60035944A (ko)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359929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変換方法
JP5443480B2 (ja) 非符号化トランスポート・トンネリングによる移動体装置への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送信
JP3425910B2 (ja) デジタル放送の送信装置、受信装置、伝送方式及び伝送方法
JPH11313290A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送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JP4242613B2 (ja) 受信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受信方法
KR20030025444A (ko)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의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수신장치
JP2018133704A (ja) 映像信号伝送装置
CN113302858A (zh) 解调电路、解调方法、发送装置
JP2011097602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2017118175A (ja) 送信装置、受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チップ
JP2003229825A (ja) 受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方法
KR20100072451A (ko) 다양한 에러정정능력을 갖는 전송 에러 정정 방법 및 장치
JP2003298968A (ja) 受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方法
JP201421236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入出力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
JP200804820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100089282A (ko) 영상신호 송수신 장치
JP2010087734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