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792A -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 - Google Patents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792A
KR20160031792A KR1020140121965A KR20140121965A KR20160031792A KR 20160031792 A KR20160031792 A KR 20160031792A KR 1020140121965 A KR1020140121965 A KR 1020140121965A KR 20140121965 A KR20140121965 A KR 20140121965A KR 20160031792 A KR20160031792 A KR 20160031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server
building
user terminal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호현
Original Assignee
한국가상현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상현실 (주) filed Critical 한국가상현실 (주)
Priority to KR102014012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792A/en
Publication of KR2016003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dium for space management, and manages efficiently information concerning facilities in a building as well as a land and the building. The system for space management comprises: a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to a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wherein the user terminal, a manager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through a network; the manager terminal for generat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cluding lan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space information, information concerning goods in the building, rent information of the land and the building, access and changing right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information of respectiv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edi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and delivering the edi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for distributing the information delivered from the manager terminal based on physical section of the building, storing the distributed information, select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hardware specifi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and usage right, delivering the selected information, upd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and storing the updated information.

Description

공간 관리 시스템, 공간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저장 매체{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management system, a space management method,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the spa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공간 관리 시스템, 공간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지, 건물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설비와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management system, a space management method,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the space management system, space manag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facilities and related information in a building as well as a land and a building.

대형, 대규모의 토지나 건물은 크기나 구조로 인해 다양한 소유관계, 임대관계를 포함하는 복잡한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Large and large-scale land and buildings have complex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ownership and lease relationships due to their size and structure.

이러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규모는 커지게 되는데, 종래의 기술은 텍스트의 형태를 갖게 되어 직관적인 확인이 어렵고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manage such information, the scale of the data becomes large.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form of tex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tuitively confirm and the efficiency of work is poor.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D 또는 3D의 영상과 데이터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도 미리 생성된 형태로만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현실감이 떨어지고,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에 따른 지연 현상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provided a technique of combining 2D and 3D images and data. However, since such a technique is provided only to a user in a pre-generated form, the reality is deterior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due to a delay phenomenon due to a large amount of data processing.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15120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15120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3887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38879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영상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to a user in the form of an im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쾌적한 정보 확인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efficiently checking information in real time by efficiently distribut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가 상호 연결되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로서, 토지 정보, 건물 정보, 공간 정보, 건물 내부에 배치된 물품 정보, 토지 및 건물의 임대 정보, 각 정보에 대한 접근 및 변경 권한 정보, 각 정보의 시각화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건물의 물리적 구획을 기반으로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관리자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과 사용 권한에 따라 표시될 정보를 선택하여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pa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A user terminal for provi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a user;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cludes lan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arranged in the building, lease information of land and buildings, access and change authority information of each information, visualization information of each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generating and edi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service server;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distribu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based on the physical partition of the building and select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hardware specifications and usage righ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for upd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토지의 위치, 크기 및 용도를 포함하는 토지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고, 건물의 크기, 구분 면적, 내외부 설계 구조, 평가 가치, 임대 계약 및 임대 관리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고, 물품의 외관, 크기, 용도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terminal generates and edits l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size and usage of the land, and manages the l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divided area, the internal and external design structure, the evaluation valu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edit building information, and generate and edit article information including appearance, size, and usage of the article.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현위치로부터 토지 또는 건물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지도,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항법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rvice server requests the user terminal, the service server may transmit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map and direc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movement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land or building to the user terminal .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공간 관련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에서 송수신한 정보를 통계화하여 관리하는 정보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pa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management method by a spa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interconnected through a network, Generating information on space-related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stored by the servic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an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statistically managing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anag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토지 정보, 건물 정보, 공간 정보, 건물 내부에 배치된 물품 정보, 토지 및 건물의 임대 정보, 각 정보에 대한 접근 및 변경 권한 정보, 각 정보의 시각화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DB로 구축하는 생성1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1단계에서 구축된 DB에 토지의 위치, 크기 및 용도를 포함하는 토지 정보, 그리고 건물의 크기, 구분 면적, 내외부 설계 구조, 평가 가치, 임대 계약 및 임대 관리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 그리고 물품의 외관, 크기, 용도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결합하는 생성2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2단계에서 결합된 DB를 저장하는 생성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may include: the manager terminal including: lan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space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disposed in a building, land and building lease information, access and change authority information for each information, A first step of constructing information includ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in a DB; The service server stores in the DB constructed in the first step the l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size and usage of the land, and the building including the building size, the divided area, the inner and outer design structure, the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and article information including the appearance, size, and usage of the article; And a third step of the service server storing the combined DB in the second generation step.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성3단계는 상기 DB를 상기 건물의 물리적 구획을 기반으로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neration step 3 may distribute and store the DB based on a physical partition of the building.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DB를 추출하는 제공1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과 사용 권한에 따라 표시될 정보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제공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viding step may include: providing a DB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providing step of converting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hardware specifications and usage rights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2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요청에 따라 끊김 없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viding step 2 may provide a screen that is enlarged or reduced without interruption according to a request to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의 정보 송수신에 따른 수정 내용이 있는지 조사하여, 수정 내용이 있을 경우 상기 생성 단계로 이동하는 제공3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viding step may include: providing step 3 of checking whether the service server has modified contents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user terminal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 매체는 전술된 공간 관리 방법이 저장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aforementioned spac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토지 및 건물의 관리에 필요한 대용량의 정보를 시각적인 데이터와 결합하여 사용 편의성이 높은 공간 관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pace management technology with high usability by combining large amount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ement of land and buildings with visual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토지나 건물을 소정의 구획으로 구분하고 분산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부하가 작고 실시간 처리가 용이한 공간 관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technology in which data loads are small and real time processing is easy by dividing land and buildings into predetermined sections and storing them in a distributed mann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도2에서 정보 생성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4는 도2에서 정보 제공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5는 정보 제공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별 상세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pa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spa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n 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stepwise detailed view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in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시스템, 공간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저장 매체를 각 실시예별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pace management system, a space management method,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the spa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producing the product, and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 관리 시스템)(Space management system)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pa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pa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112,114), 관리자 단말기(120) 및 서비스 서버(130,132,134)가 상호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1, the spac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s 110, 112, and 114, the administrator terminal 120, and the service servers 130, 132, and 134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50. FIG.

사용자 단말기(110,112,114)는 서비스 서버(130,132,134)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핸드폰(110), 컴퓨터(112) 및/또는 키오스크(114)와 같은 다양한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후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핸드폰을 사용자 단말기의 대표로 기술하기로 한다.
The user terminals 110, 112, and 114 request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to the service servers 130, 132, and 134, and prov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to the user. A user terminal can be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110, a computer 112 and / or a kiosk 114, and will hereinafter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of a user terminal unless otherwise described.

관리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로서, 토지 정보, 건물 정보, 공간 정보, 건물 내부에 배치된 물품 정보, 토지 및 건물의 임대 정보, 각 정보에 대한 접근 및 변경 권한 정보, 각 정보의 시각화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여 서비스 서버(130,132,134)로 전달한다.The manager terminal 120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lan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space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disposed in the building, lease information of land and buildings, access and change authority information for each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s 130, 132, and 134.

관리자 단말기(120)에서 생성 및 편집되는 토지 정보는 토지의 위치, 크기 및 용도를 포함할 수 있고, 건물 정보는 건물의 크기, 구분 면적, 내외부 설계 구조, 평가 가치, 임대 계약 및 임대 관리를 포함할 수 있고, 물품 정보는 물품의 외관, 크기,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nd information generated and edited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120 may include the location, size, and usage of the land, and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s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divided area, the internal and external design structure, the evaluation value, And the article information may include appearance, size, and usage of the article.

다시 말하면, 관리자 단말기(120)는 토지, 건물 및 물품의 외관 영상(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한다)을 3D 환경으로 생성/편집하고, 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정보(지적(地籍) 정보, 건물 설계, 소유자 정보, 임대인 정보, 임차인 정보, 임대 계약 정보, 임대료 송금 정보, 채권 정보, 관리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를 결합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administrator terminal 120 creates / edits an exterior image (including images and moving images) of land, buildings, and articles in a 3D environment and generates vario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land registry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landlord, information about the landlord, information about the tenant, lease contract information, rental transfer information, bond information, management fee information, etc.).

서비스 서버(130,132,134)는 관리자 단말기(1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건물의 물리적 구획을 기반으로 분산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와 관리자 단말기(120)의 하드웨어 사양과 사용 권한에 따라 표시될 정보를 선택하여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110) 또는 관리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The service servers 130, 132 and 134 distribute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120 based on the physical partition of the building and store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hardware specifications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120, And updat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120 and stores the updated information.

서비스 서버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용 서버, 웹 서버, WAS(Web Application Server), DB(DataBase) 서버, 파일 서버 및 통신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서비스 서버(130)로 대표하여 기술할 것이다.The service server may include a server for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a web server, a web application server (WAS), a database server (DB), a file server, and a communication server, As shown in Fig.

더불어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위치로부터 토지 또는 건물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지도,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항법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e service server 130 transmits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map information and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movement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land or building to the user terminal .

(공간 관리 방법)(Space management metho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ag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3은 도2에서 정보 생성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고, 도4는 도2에서 정보 제공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고, 도5는 정보 제공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별 상세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2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n FIG. 2, 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FIG. 2, and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 FIG.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정보 생성 단계(S100), 정보 제공 단계(S200) 및 정보 관리 단계(S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pa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by a spa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inter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space management method includes 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00, Step S200 and information management step S300.

정보 생성 단계(S100)는 관리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공간 관련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Th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00 is a step in which the administrator terminal generates and edits space related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delivers the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stores the information.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정보 생성 단계(S10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생성1단계(S110), 관리자 단말기가 토지 정보, 건물 정보, 공간 정보, 건물 내부에 배치된 물품 정보, 토지 및 건물의 임대 정보, 각 정보에 대한 접근 및 변경 권한 정보, 각 정보의 시각화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DB로 구축한다.Referring to FIG. 3, the information generating step S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step S110, the administrator terminal registers lan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space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disposed inside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ing rental information, access and change authority information for each information, visualization information of each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is constructed in DB.

생성2단계(S120), 서비스 서버가 생성1단계에서 구축된 DB에 토지의 위치, 크기 및 용도를 포함하는 토지 정보, 그리고 건물의 크기, 구분 면적, 내외부 설계 구조, 평가 가치, 임대 계약 및 임대 관리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 그리고 물품의 외관, 크기, 용도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결합한다.In step S120, the service server generates the l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size, and usage of the land in the DB constructed in step 1, and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divided area, the internal and external design structure, the evaluation value, Building information including management, and article information including appearance, size, and usage of the article.

생성3단계(S130), 서비스 서버가 생성2단계에서 결합된 DB를 저장한다. 이때, DB는 건물의 물리적 구획을 기반으로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보의 분산 저장에 의해,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할 때 대용량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필요가 없어서,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에서 하드웨어의 부담 없이도 부드러운 화면 전환이나 정보의 확인이 가능해진다.
In a third generation step (S130), the service server stores the combined DB in the second generation step.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B is distributed and stored based on the physical partition of the building. By distributing and storing such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server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all of the large-capacity data, so that the load on the network can be reduced. In addition, Lt; / RTI >

정보 제공 단계(S200)는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0 is a step in which the service server provides the st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정보 제공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공1단계(S210),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DB를 추출한다. 이때 추출되는 DB는 물리적 구획을 기반으로 분산 저장된 정보이므로 송수신되는 정보량이 적어 추출 시간도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 first providing step (S210), the service server extracts a DB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Since the extracted DB is information distributed and stored based on the physical parti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s small and the extraction time can be reduced.

제공2단계(S220),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과 사용 권한에 따라 표시될 정보를 변환하여 전달한다. 다시 말하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의 성능에 따른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네트워크나 사용자 단말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요청에 따라 끊김 없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부호 190은 지리정보 중 광역시도 단위의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191은 지적 화면, 도면부호 192는 구역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 193은 건물정보 중 건물 전체의 화면, 도면부호 194는 층구분 화면, 195는 해당 층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더불어 도면부호 196은 공간정보 중 층 확대 화면, 197은 실내전경 화면, 198은 공간 세부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확대 요청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화면은 확대의 수준이 단계적인 것이 아니라 끊김없는 확대가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화면도 끊김없이 제공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처럼 지리 정보, 건물 정보 및 공간 정보가 화면의 교체나 전환없이 현재의 화면에서 표현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아진다.In step S220, the service server convert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hardware specification and the usage right of the user terminal. In other words, the service server can receive the hardwar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nd can provide onl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user terminal,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loads on the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ice server provides a screen that is enlarged or reduced without interruption in response to a screen enlargement or reduct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Referring to FIG. 5, reference numeral 190 denotes a geographical information display screen of a metropolitan city unit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reference numeral 191 denotes an intellectual screen, and reference numeral 192 denotes a zone screen . Reference numeral 193 denotes a screen of the entire building of the building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 194 denotes a floor classification screen, and reference numeral 195 denotes a corresponding floor screen.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96 denotes a floor enlargement screen in spatial information, 197 denotes an indoor foreground screen, and 198 denotes a spatial detail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server can provide a screen that is expanded step by step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enlargement of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evel of enlargement is not a gradual level but a seamless enlarge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screen that is gradually reduced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out interruption. As such,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without replacement or conversion of the screen, which greatly enhances usability.

제공3단계(S230),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의 정보 송수신에 따른 수정 내용이 있는지 조사하여, 수정 내용이 있을 경우 생성 단계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건물의 증개축, 토지 지번이나 경계의 변화 등이 발생하면, 현장 조사에 의해 수정의 필요가 발생하게 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제공3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Step S230), the service server checks whether there is a modification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if there is a modification, moves to the creation step. In other words, if the extension of the building, change of lot number or boundary of the building occurs, the need for revision may arise due to on-site investigation, and in order to reflect this, step 3 is performed.

정보 관리 단계(S300)는 관리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에서 송수신한 정보를 통계화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임차인이 수납된 임대료의 입금일, 수익률 등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통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인 자산 관리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e information management step (S300) statistically manages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For example, if the tenant wants to check the deposit date, rate of return, etc. of the rent received, it can provide statistical information, which will help to manage the asset effectively.

저장 매체는 전술된 공간 관리 방법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The storage medium stores programs,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above-mentioned space management method.

(사용예)(Example of use)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관리 방법의 사용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use example of the spa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사용예는 대규모 건물의 공간 관리를 기준으로 설명되고, 각 장치간의 데이타는 JSP(Java Server Pages)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한다.This usage example is based on space management of a large-scale building, and it is assumed that data between each de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JSP (Java Server Pages).

먼저,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3D 형태로 지적, 건물, 물품 등의 공간 정보를 시각화하여 저장하고, 관련된 텍스트 기반 정보도 시각화된 정보에 결합하여 저장한다.First, an administrator uses a manager terminal to visualize and stor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intellectual, building, and article in 3D form, and stores related text-based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visualized information.

건물의 특정 구획을 임대하려는 임차 예정인은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부가 정보를 취득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임차 예정인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끊어짐이 없는 다양한 스케일로 시각화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물품을 가상으로 설치, 배치할 수 있어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조감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임차 예정인이 직접 임대 구간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에 건물까지의 거리, 방향 등을 포함하는 항법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때에,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항법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leased premises for renting a specific section of the building visually confirm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cquire additional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firm visualized information at various scales that are not cut off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o install and arrange items as needed, so that the bird's-eye view can be checked without going directly to the scene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leased section directly, the service server may request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can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inuously update the navigation information.

임차 예정인이 임대를 원할 경우, 임차 예정인의 사용자 단말기, 임대인의 사용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계약에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하게 되며 이러한 데이터들은 서비스 서버에 저장/관리된다.If the tenant wants to rent, data required for the contract is exchanged through the user terminal of the leasing premises, the user terminal of the landlord,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these data are stored / managed in the service server.

한편, 임대인도 서비스 서버로 원하는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임차(예정)인에게 제공되는 정보와 다른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공 정보의 차이는 서비스 서버에서 설정된 권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ndlord may also request information desired by the service server. Note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at this time may b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leased (planned) pers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vided inform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authority set in the service server.

또한 임대인이 사용하는 홈페이지에 일부 구간을 할당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서비스 서버는 임대인의 홈페이지에 필요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so, if a user wants to allocate a certain section to the homepage used by the landlord and provide i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rsons, the service server may process and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landlord's homepage.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You must understand.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illustrat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re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0: 공간 관리 시스템 110,112,114: 사용자 단말기
120: 관리자 단말기 130,132,134: 서비스 서버
150: 네트워크
100: Space management system 110, 112, 114: User terminal
120: administrator terminal 130, 132, 134: service server
150: Network

Claims (10)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가 상호 연결되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로서, 토지 정보, 건물 정보, 공간 정보, 건물 내부에 배치된 물품 정보, 토지 및 건물의 임대 정보, 각 정보에 대한 접근 및 변경 권한 정보, 각 정보의 시각화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건물의 물리적 구획을 기반으로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관리자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과 사용 권한에 따라 표시될 정보를 선택하여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
A user terminal,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to a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to a user;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cludes lan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arranged in the building, lease information of land and buildings, access and change authority information of each information, visualization information of each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generating and edi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service server; And
Distribut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partition of the building, selects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hardware specifications and usage righ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for upd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토지의 위치, 크기 및 용도를 포함하는 토지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고,
건물의 크기, 구분 면적, 내외부 설계 구조, 평가 가치, 임대 계약 및 임대 관리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고,
물품의 외관, 크기, 용도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comprises:
Generate and edit l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size and usage of the land,
Create and edit building information, including building size, breakdown area, internal and external design structure, evaluation value, lease and lease management,
And generates and edits the article information including the appearance, size, and usage of the art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현위치로부터 토지 또는 건물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지도,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항법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map information and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movement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land or building, Wherein the space management system comprises: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공간 관련 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에서 송수신한 정보를 통계화하여 관리하는 정보 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관리 방법.
A space management method by a spa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inter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n which the administrator terminal generates and edits space related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fer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stores the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stored by the servic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And an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statistically managing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토지 정보, 건물 정보, 공간 정보, 건물 내부에 배치된 물품 정보, 토지 및 건물의 임대 정보, 각 정보에 대한 접근 및 변경 권한 정보, 각 정보의 시각화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DB로 구축하는 생성1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1단계에서 구축된 DB에 토지의 위치, 크기 및 용도를 포함하는 토지 정보, 그리고 건물의 크기, 구분 면적, 내외부 설계 구조, 평가 가치, 임대 계약 및 임대 관리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 그리고 물품의 외관, 크기, 용도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결합하는 생성2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2단계에서 결합된 DB를 저장하는 생성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comprises:
Wherein the manager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including land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space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disposed in a building, lease information of land and buildings, access and change authority information of each information, visualization information of each information, A DB 1;
The service server stores in the DB constructed in the first step the lan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size and usage of the land, and the building including the building size, the divided area, the inner and outer design structure, the evaluation value, Information, and article information including the appearance, size, and usage of the article; And
And a third step of the service server storing the combined DB in the second generation ste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3단계는 상기 DB를 상기 건물의 물리적 구획을 기반으로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관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enerating step (3) stores the DB in a distributed manner based on a physical partition of the build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DB를 추출하는 제공1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과 사용 권한에 따라 표시될 정보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제공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A first step of the service server extracting a DB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And a second step of converting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 hardware specification and a usage right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2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요청에 따라 끊김 없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And providing a screen to be enlarged or reduced without interruption according to a request to enlarge or reduce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의 정보 송수신에 따른 수정 내용이 있는지 조사하여, 수정 내용이 있을 경우 상기 생성 단계로 이동하는 제공3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ervice server has modified contents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user terminal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moving to the generation step when there is a modification.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간 관리 방법이 저장된 저장 매체.A storage medium storing a method of managing sp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9.
KR1020140121965A 2014-09-15 2014-09-15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 KR201600317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65A KR20160031792A (en) 2014-09-15 2014-09-15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65A KR20160031792A (en) 2014-09-15 2014-09-15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92A true KR20160031792A (en) 2016-03-23

Family

ID=5564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965A KR20160031792A (en) 2014-09-15 2014-09-15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179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366A (en) * 2017-10-17 2017-12-15 이승리 Business unit information providing apparutus, method and system through network
KR20180092649A (en) * 2017-02-10 2018-08-20 박기덕 Exhibition space shar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649A (en) * 2017-02-10 2018-08-20 박기덕 Exhibition space shar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70138366A (en) * 2017-10-17 2017-12-15 이승리 Business unit information providing apparutus, method and system through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im/gis integrated inform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14229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data center operating system
US20120320058A1 (en)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3329063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ata center resources in real time
WO2017176502A1 (en) Electronic project management system
KR101258006B1 (en) Visualization-Based Management System for Urban Planning and Recording Media for the Same
JP5980321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a modeled physical environment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KR20160031792A (en) A system,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pace management
CN106062793A (en) Retrieval of enterprise content that has been presented
CN101582068B (en)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geographic data
KR101961278B1 (en) Business unit information providing apparutus, method and system through network
CN112948933B (en) Building method, display method, manage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house model
JP2013105469A (en) Management apparatus for seat stock of bus, and seat reservation system for bus
US11270396B1 (en) Automated event space management with conflict prevention
CN114090147A (en)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platform
CN103077273A (en) Interactive design system and method constructed on network electronic map for on-line route selection of engineering
US11022442B1 (en) Space graph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mapping
KR101935686B1 (en) Map contents generating system for multi gis service provider
Wurzer In-process agent simulation for early stages of hospital planning
CN111754630A (en) Future community startup scene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JP2007079478A (en) Electronic map information system
CA30269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lectronic indoor maps for emergency services
Thomopoulos et al. wayGoo: a platform for geolocating and managing indoor and outdoor spaces
Thomopoulos et al. OCULUS Waygoo integrated C2I system with geocoding, path planning and navigation
WO20231896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