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793A - 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 - Google Patents

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793A
KR20160025793A KR1020140113100A KR20140113100A KR20160025793A KR 20160025793 A KR20160025793 A KR 20160025793A KR 1020140113100 A KR1020140113100 A KR 1020140113100A KR 20140113100 A KR20140113100 A KR 20140113100A KR 20160025793 A KR20160025793 A KR 2016002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top plate
sensor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훈
지춘경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한국교육정책연구소
(주)더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한국교육정책연구소, (주)더힘스 filed Critical 사단법인한국교육정책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1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793A/en
Publication of KR2016002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7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having a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table plate according to a situation. The apparatus having a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comprises: a table plate which functions as a work table on which a user performs work, and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unit; a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use at least one among a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 work environment of the user, and work information about the work performed by the user to generate situation information about a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a table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to receive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 a position including a height and a slope of the table pl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situation information; and a table plate position adjustment unit to control a length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abl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height of a table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physical condition and work condition of the user, multiple risk factors caused by a sitting position are eliminated, and work efficiency of the user is improved.

Description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및 상황에 따라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n upper plate,

본 발명은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및 상황에 따라 장치의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작업 상태를 고려하여 상판의 포지션을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기술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including a position adaptive position adjustable top plate and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top plate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a situ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top plate adaptively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as well as improving the health of the user.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려는 요청 또한 증가한다. 특히, 현대인들에게는 과거에 비하여 운동량이 부족하다. 더욱이,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현대인들은 컴퓨터 앞에서 생활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마우스 조작이나 키보드 조작과 같은 단순 반복적인 운동 외에는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급속적인 보급에 따라, 현대인들의 컴퓨터 앞에서 보내는 시간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 들어서 종래에 비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 부응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As technology advance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users to improve their health. Especially, modern people lack the momentum compared to the past. Moreover, due to the advances in computer technology, modern people live in front of computers, so exercise is absolutely lacking except for simple repetitive movements such as mouse operation and keyboard operation. In addition,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the time spent in front of modern computers is increasing.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healt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s. In response to this interest, many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user.

그런데, 현대인들에게는 특히 앉아서 하는 작업이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많다. 즉, 학교 또는 직장의 책상과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것을 물론이고, 자동차 운전을 앉아서 하고, 저녁에 집에 가면 식탁에 앉아서 밥을 먹고, 소파에 편하게 앉아서 방송을 시청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다. 이와 같이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운동량이 적어져서 복부비만이 될 확률이 높고 근육의 양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지고 대사증후군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은 현대인이 부적절한 자세로 앉아있는 경우 더욱 배가된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바람직한 좌식 자세를 유지하도록 돕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많이 보급되고 있다.By the way, modern people have a lot of work to sit down, especially compared to the past. In other words, it takes a lot of time to sit on a desk or chair of a school or workplace, to sit on a car, to sit at night, to sit at a table, eat rice, sit on a sofa and watch a broadcast . The longer the sitting time is, the lower the exercise amoun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abdominal obesity, the less the amount of muscle, the insulin function is lowered, metabolic syndrome and other symptoms may appear. These risks are multiplied when modern people are sitting in improper postures. Therefore, a variety of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opularized to help modern people maintain a desirable sitting posture.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90537 호는 학생들의 신체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신체에 맞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112787 호는 학생들이 바람직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움으로써 목, 어깨, 허리 등의 통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학습 및 업무 효율을 증진하기 위한 책상 및 시스템 가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현대인은 부적합한 자세에 기인한 여러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90537, for example, discloses a height adjuster for a student desk and a chair that adjusts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a student's body so that the student maintains a posture corresponding to his or her bod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12787 discloses a desk and system furniture for preventing a neck, a shoulder, and a back pain by helping students maintain a desirable posture, as well as for improving learning and work efficiency . By using this conventional technique, modern people can prevent various diseases caused by an inappropriate posture.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앉아있는 것 자체가 현대인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즉, 아무리 앉아있는 자세를 교정하더라도, 서있거나 걷는 것에 비하여 앉아있는 행위 그 자체가 사용자의 건강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것은 앉아있는 자세를 오래 취할수록 몸의 중심인 속근육, 즉 '코어'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몸의 중심을 잡는 힘을 가진 '코어 근육'은 신체 각 부위가 제 기능을 하도록 돕는 근육으로 모든 근육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코어 근육이 제 기능을 못하면 척추가 약해지는 것 뿐 아니라 어깨, 무릎 등 다른 관절에 과부하가 걸리기 쉬워 부상과 허리 질환의 위험 또한 높아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루 종일 앉아서 일을 하는 버스 기사나 택시 기사의 경우에는 대사 증후군에 걸릴 확률이 일반 근로자에 비해서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므로, 자세를 교정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앉아 있는 시간 자체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However,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sitting is a serious threat to modern health. That is, even if a sitting posture is corrected, it can be found that the sitting behavior itself as compared to standing or walking can be a potential risk to the user's health. This is because the longer the sitting posture is taken, the weaker the muscles in the body, the 'core'. The 'core muscle', which has the power to hold the center of the body, is the muscle that helps each part of the body function. It can be called the 'starting point' of all muscles. If the core muscles do not function properly, the spine becomes weaker, and other joints, such as the shoulders and knees, tend to overload, increasing the risk of injury and back problems. For example, bus drivers and taxi drivers who sit and work all day are known to have more than twice the risk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regular work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correct posture but also to reduce the time that the user is sitting.

그러므로,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작업 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책상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서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유도하여 건강을 증진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technique to improve health and improve work efficiency by inducing the user to perform standing work by adjusting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desk automatically based o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work condi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90537 호 :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90537: "height adjuster for student desk and chai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112787 호 : "바른 자세를 위한 책상 및 그 책상을 구비하는 시스템가구"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112787: "Desk for correct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having the desk"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whose he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situ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블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a table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table plate)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work table)로서 기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상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상기 사용자의 작업 환경,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부;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상판의 높이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상판 포지션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포지션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상판 포지션 조절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황 정보 생성부는, 각각 감지 대상을 가지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신호 수신부; 및 유비쿼터스 기술 또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조합, 처리, 및 분석함으로써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는 상황 정보 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 상기 장치의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주변 센서;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 센서는, 뇌전도, 심전도, 근전도, 맥파, 호흡, 혈압, 체중, 체온, 혈당, 자세, 각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주변 센서는 주변 밝기, 주변 온도, 현재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그리고 상기 작업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의 이력,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 및 장래 수행 예정인 작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신체 상태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측정기, 카메라, 뎁스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측정되고, 상기 상판의 포지션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스마트 휴대 장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특히, 상기 상판 포지션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사용자의 현재 집중도 및 요구되는 집중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워밍업 모드, 일반 모드, 집중 모드, 및 이완 모드 중 적어도 두 개의 작업 모드로 분류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 모드들 중 하나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장치는 가정용 가구 또는 업무용 가구이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including a situation adaptive position adjustable table plate. Such an apparatus comprises: a top plate, which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and which functions as a work table for a user to perform work; A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n operation environment of the user, and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A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position including a height and a slope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nd a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In particular,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ncludes: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sensor connected to a network, each sensor having an object to be sensed; A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nd a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by combin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sensor signals using ubiquitous technology or object Internet technology.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biosensor for measuring a user's biomedical signal; A peripheral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apparatus; And a task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task performed by the user. The biosensor may measure information on a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lectroencephalogram, an electrocardiogram, an electromyogram, a pulse wave, a respiration, a blood pressure, a body weight, a body temperature,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current time, and the task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at least one of the history of the task performed by the user,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information about a task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physical condition is measured by at least one of a meter, a camera, a depth camera, and an infrared camera attached to a user's body, and the position of the top board is determined by a smart portable devic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articularly,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classifies the task performed by the user into at least two of the warm up mode, the general mode, the concentrated mode, and the relaxation mod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the user and the required concentration, Determines the height to correspond to one of the working modes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apparatus is a household furniture or a business furnitur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work table)로서 기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판(table plate)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상기 사용자의 작업 환경,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상판의 높이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상판 포지션 결정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포지션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황 정보 생성 단계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하여 감지 대상에 대한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유비쿼터스 기술 또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조합, 처리, 및 분석함으로써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 상기 장치의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주변 센서;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바이오 센서는, 뇌전도, 심전도, 근전도, 맥파, 호흡, 혈압, 체중, 체온, 혈당, 자세, 각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주변 센서는 주변 밝기, 주변 온도, 현재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그리고 상기 작업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의 이력,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 및 장래 수행 예정인 작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신체 상태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측정기, 카메라, 뎁스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측정되고, 상기 상판의 높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스마트 휴대 장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기 상판 포지션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사용자의 현재 집중도 및 요구되는 집중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워밍업 모드, 일반 모드, 집중 모드, 및 이완 모드 중 적어도 두 개의 작업 모드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 모드들 중 하나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position of a table plate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uni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 working environment of the user, and a job information of a job performed by the user; A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step of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position including a height and a slope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The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step may include generating a sensor signal for a sensing object through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connected to a network; Receiving the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nd determining the context information by combin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sensor signals using ubiquitous or object Internet technologies.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biosensor for measuring a user's biomedical signal; A peripheral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apparatus; And a task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task performed by the user. Particularly, the biosensor measures information on a user's physical condi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lectroencephalogram, an electrocardiogram, an EMG, a pulse wave, a respiration, a blood pressure, a body weight, a body temperature,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current time, and the task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at least one of the history of the task performed by the user,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information about the task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physical condition is measured by at least one of a meter, a camera, a depth camera, and an infrared camera attached to a user's body, and the height of the top board is determined by a smart portable devic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step may classify the work performed by the user into at least two of the warm up mode, the general mode, the concentrated mode, and the relaxation mod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the user and the desired concentration step; And determining the height to correspond to one of the working modes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작업 상태에 기초하여 상판의 포지션이 자동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강제로 일어나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좌식 자세에 기인한 여러 위험 요소들이 제거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the working condition, the user forcibly stands up and performs the work. Therefore, various risk factors due to the sitting posture are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판의 포지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top board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situation information, the work efficiency of the user is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포지션이 조절되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상황 정보 생성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포지션이 조절되는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판의 포지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in which a posi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in which a posi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a position of a top board based on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포지션이 조절되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in which a posi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는 상판(table plate; 110), 상황 정보 생성부(130),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및 지지부(190, 192)를 포함한다.1, an apparatus including a position adaptive position adjustable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plate 110, a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a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a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unit 150, (170), and supports (190, 192).

본 발명에서 상판(110)은 사용자가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한 장치(100)의 상부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지지부가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 상판(110)은 지지부의 하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110 serves as a work platform for a user to perform work, an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located on top of th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upper plate 11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판(110)은 지지부(190, 192)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부(190, 192)는 하나 이상 제공되어 상판(110)을 지지하지만, 두 개 이상의 지지부가 제공되는 것이 상판(110)의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지지부(190, 192)에는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172)가 제공되어 지지부(190, 192)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는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에 의하여 결정된 포지션에 따라 지지부(190, 192)의 길이를 조절한다.The upper plate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s 190, 192. One or more supports 190 and 192 are provided to support the top plate 110, but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tability of the top plate 110 that two or more supports are provided. The support portions 190 and 192 are provided with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portions 170 and 172 to adjust the lengths of the supporting portions 190 and 192.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unit 170 adjusts the lengths of the supporting members 190 and 192 according to the position determined by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

예를 들어,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172)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피스톤(미도시) 및 피스톤의 동작을 제한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지된 유압 댐퍼는 유압(비압축성)유체가 부분적으로 채워진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댐퍼가 실질적인 감쇠력(dampening force)이 생성되지 않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 피스톤은 유압 유체에 대하여 실린더 내에서 이동되고, 일방향 밸브가 피스톤의 대향 측면들 상의 유압 유체에서의 압력 차이에 의해 개방된다. 그러면 유압 유체는 피스톤의 고압 측면으로부터 피스톤의 저압 측면으로 일방향 밸브를 통해 유동하여서, 이러한 제1 비완충 방향으로 피스톤을 비교적 쉽게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반면에, 일방향 밸브 상의 압력이 강하될 때, 즉 피스톤이 이동하는 것을 멈출 때 또는 피스톤의 이동의 방향이 역전될 때, 일방향 밸브가 폐쇄된다.For example,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ers 170 and 172 may include a piston (not shown)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and a hydraulic damper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piston. Known hydraulic dampers include a piston in which a hydraulic (incompressible) fluid moves in a partially filled cylinder. When the damper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in which no substantial dampening force is generated, the piston is moved in the cylinder with respect to the hydraulic fluid and the one-way valve is open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hydraulic fluid on opposite sides of the piston. The hydraulic fluid then flows through the one-way valve from the high pressure side of the piston to the low pressure side of the piston, allowing the piston to move relatively easily in this first non-cushioning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one-way valve is closed when the pressure on the one-way valve drops, i.e. when the piston stops moving or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iston reverses.

또는,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172)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자기력에 의하여 간격이 조정되는 물리적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172)는 특정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 의한 모든 길이 조절 장치들이 포함될 수도 있음에 주의한다.Alternatively,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units 170 and 172 may have a phys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gap is adjusted by the magnetic force using the solenoi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ers 170 and 172 are not limited to specific configurations, and all length adjus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may b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포지션' 이란 상판의 높이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190, 192) 각각의 길이가 달라지면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의 높이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90)의 길이가 제 2 지지부(192)의 길이보다 짧다면, 상판(110)은 좌측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다양한 높이 및 기울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에서 결정하는 높이는 반드시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172)의 길이와 같은 것은 아니다. 즉, 지지부(190, 192)가 설치된 발판(미도시)의 높이 및 상판(110)의 높이를 지지부(190, 192)의 길이에 합산한 값이 테이블(100)의 높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지지부(190, 192)의 길이가 길어지면 테이블(100)의 높이는 높아지기 때문에,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는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여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172)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position "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a height and a slope of a top plate. When the length of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190 and 192 supporting the upper plate is changed, the height of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is changed.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9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92, the top plate 110 is tilted to the left. As described above, various heights and slopes can be realized by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height determined by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50 is not necessari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ment units 170 and 172. [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footrest (not shown) and the height of the top plate 110 provided with the supporting portions 190 and 192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table 100. 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table 100 increases when the lengths of the supporting portions 190 and 192 are long,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can determine the lengths of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portions 170 and 172 in consideration of this relationship .

본 발명에 의한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는 테이블(100)의 포지션을 결정할 때 상황 정보 생성부(130)로부터 제공된 상황 정보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황 정보(situation information)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신원 정보, 취미, 취향 등과 같은 개인적인 정적 상황 정보 및 사용자가 수행하는 업무의 과거, 현재, 및 미래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즉, 상황 정보는 개인의 개성과 특성에 관련된 정적인 상황 정보(static situation information)와 사용자가 수행하는 업무에 관련된 동적인 상황 정보(dynamic situation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황 정보란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시스템, 혹은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간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장소, 사물, 개체, 시간 등 상황의 특징을 규정하는 정보를 가리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 통신 대역폭, 그리고 프린터ㅇ디스플레이ㅇ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팅 상황(Computing situation), 사용자의 프로파일ㅇ위치ㅇ주변의 사람들을 비롯한 사용자 상황(User situation), 조명ㅇ소음 레벨ㅇ교통 상태ㅇ온도 등 물리적 상황(Physical situation), 시간ㅇ주ㅇ달ㅇ계절 등 시간적 상황(Time situation) 등이 모두 상황 정보에 포함된다. 이러한 상황 정보들은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감지 장치(Sensing Device)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악되고 모아져 다양한 응용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거나, 다른 상황 정보와 묶여 제3의 결론을 얻는 추론에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100)에 포함되는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는 상황 정보를 테이블(100)의 포지션을 결정하는데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포지션을 자동으로 결정한다.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wh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tuation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static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a user's physical condition, identity information, hobbies, preferences and the like using the user terminal, and past, present, and future states of the tasks perform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the situation information includes static sit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dynamic sit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performed by the user. Generally, context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situation such as a person, a place, an object, an object, a time, etc. that affect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other user, system, or device in relation to ubiquitous computing. More specifically,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the communication bandwidth, and the printer display, the computing situation such as the workstation, the user's profile, the location, the user situation including the people around, ㅇ Traffic condition ㅇ Physical situation, time ㅇ Note ㅇ Monthly ㅇ Time situation such as seasons are all included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Such contextual information is often used for reasoning that the system can be grasped and gathered through various sensing devices and applications, used to provide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or tied with other contextual information to obtain a third conclusion.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50 included in the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tatu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and automatically determines a position most suitable for the user's situation.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100)의 포지션이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너무 긴 시간 동안 앉아있음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위험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고,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various risk factors that may be caused by the user sitting for too long, .

예를 들어,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는 상황 정보 생성부(130)에서 수신된 상황 정보가 사용자가 졸린 상태이거나 집중력이 떨어진 상태인 것을 가리킨다면, 지지부(190, 192)의 길이가 길어져서 테이블(100)의 높이가 올라가도록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indicates that the user is sleeping or has a decreased concentration,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support members 190 and 192 are long The height of the table 100 can be determined to be increased.

또는,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업무의 종류에 따라서도 테이블(100)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도의 집중력을 요하는 업무를 수행할 경우 테이블(100)의 포지션이 올라가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집중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학 공부를 하는 사용자의 경우는 앉은 자세로 테이블(100)을 사용하지만, 수학 공부를 하는 사용자의 경우는 기립 상태로 테이블(100)을 사용하도록 지지부(190, 19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5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perform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performing a task requiring a high concentration of attention,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is set to be increased so that the user's attention can be rais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concentration can be expec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studying a language, the table 100 is used in a sitting position, but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studying mathematics, the length of the supports 190 and 192 is set so as to use the table 100 in an upright state Can be adjusted.

또는,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는 특정 자세의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테이블(100)의 포지션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는 매 시간마다 10분씩 자동적으로 테이블(100)의 높이가 올라가도록 지지부(190, 19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은 매 시간마다 테이블(100)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기립 자세를 취하게 된다.Alternatively,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50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in consideration of the duration of the specific posture. For example,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50 can adjust the lengths of the supports 190 and 192 so that the height of the table 100 is automatically increased by 10 minutes every hour.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the table 100 increases every hour, the users automatically take a standing posture.

또한, 상기 상판 포지션 결정부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사용자의 현재 집중도 및 요구되는 집중도에 따라서 워밍업 모드, 일반 모드, 집중 모드, 및 이완 모드로 분류하여 테이블(100)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 모드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by classifying the work performed by the user into a warm-up mode, a general mode, a concentrated mode, and a relaxa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current concentration and required concentration. These operation mode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워밍업 모드 - Warm-up mode

워밍업 모드는 어떠한 작업을 시작할 때, 또는 이완 모드 이후에 다시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거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의 이력을 검토하거나, 수행할 작업에 대해서 정리하는 것이 워밍업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밍업 모드에서는 테이블(100)의 높이가 1 단계가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The warm-up mode is a mode that starts when you start a job, or before you go back to work after a relax mode.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review the history of a job before it starts, or to arrange for a job to be performed in warm-up mode. For example, in the warm-up mode, the height of the table 100 may be determined to be one level.

- 일반 모드- Normal mode

일반 모드는 보통 테이블(100)의 용도에 맞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모드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에 해당된다. 따라서, 일반 모드에서는 테이블(100)의 높이가 보통의 높이, 즉 2 단계가 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The normal mode is generally a working mode in which a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able 100. For example, it usually corresponds to a sitting and performing task. Thus, in the normal mode, the height of the table 100 may be determined to be a normal height, i.e., two levels.

- 집중 모드- Concentration mode

집중 모드는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높은 집중도가 요구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작업을 시작한 후 일정 시간 이후에 저절로 사용자가 작업에 몰입하게 되는 모드를 가리킨다. 따라서, 집중 모드에서는 테이블(100)의 높이가 가장 높은 3 단계가 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집중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테이블(100)의 높이가 저절로 최고 높이로 조절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사용자를 기립시킴으로써 집중력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The intensive mode is the mode in which the highest concentration is required to perform a certain operation. For example, it refers to the mode in which a user is immersed in a task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ince the start of a task. Therefore, in the focused mode, the height of the table 100 may be determined to be the highest three levels. That is, when the user concentrates on the work, the height of the table 100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highest height, so that the user can naturally raise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 이완 모드- relaxation mode

이완 모드는 집중 모드 이후에 사용자가 재충전하는 시기를 가리킨다. 이완 모드에서 사용자는 테이블(100)을 벗어나서 소파에 기대어 쉴 수도 있고, 또는 테이블(100)에 엎드려서 잠시 쉴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집중력은 항상 유지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에 투자된 시간의 양보다 집중력의 질이 더욱 중요하다. 이와 같이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 이완 모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The relaxation mode indicates when the user recharges after the concentration mode. In the relax mode, the user may lean out of the table 100 and lean against the couch, or may rest on the table 100 for a while. In general, the user's concentration is not always maintained when performing a task, but the quality of concentr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task. In this way, relaxation mod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o enhance concentration.

본 발명에서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가 지지부(190, 192)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상황 정보를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이하 관련 부분에서 예를 들어 상세히 후술한다.How to use the situ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engths of the supports 190 and 192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part, for example.

이와 같이, 상판 포지션 결정부(150)가 작업 모드에 따라서 테이블(100)의 포지션을 결정하면, 상판 포지션 조절부(170, 172)가 결정된 포지션에 따라 지지부(190, 192)의 길이를 조절한다.When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units 170 and 172 adjust the lengths of the supporting units 190 and 192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

상황 정보 생성부(13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생성된 센서 신호를 분석하여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상황 정보 생성부(1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를 사용하여 후술한다.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analyzes the sensor signals generated through various sensors and collects the situation informa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두 개의 지지부(190, 192)가 상판(110)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지지부(190, 192)의 개수가 많을수록 테이블(100)의 안정성은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190, 192)의 길이를 차등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상판(110)의 기울기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 개의 지지부(190, 192)가 상판(110)을 지지하고 있다면, 사용자에 가깝게 위치된 지지부의 길이를 사용자로부터 멀게 위치된 지지부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상판(110)이 독서대처럼 기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it has been described in FIG. 1 that two supports 190, 192 support the top plate 110. However, as the number of supports 190, 192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table 100 is improved. 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late 110 can be changed by setting the lengths of the supporting portions 190 and 192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four supports 190, 192 support the top plate 110, by mak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positioned close to the use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located far from the user, It may be inclined.

도 2 는 도 1 의 상황 정보 생성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of FIG. 1. FIG.

도 2 에 도시된 상황 정보 생성부(200)는 센서부(210), 센서 신호 수신부(250), 및 상황 정보 결정부(290)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부(210)는 바이오 센서(220), 주변 센서(230), 및 작업 센서(240)를 포함한다.2 includes a sensor unit 210, a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250, and a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90.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shown in FIG. The sensor unit 210 includes a biosensor 220, a peripheral sensor 230, and a work sensor 240.

바이오 센서(22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어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한다. 바이오 센서(220)는 심전도 센서, 호흡 센서, 뇌전도 센서, 근전도 센서, 맥박 센서, 혈압 센서, 온도 센서, 체중 센서 등 종래 기술에 의한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sensor 220 is attached to a body part of the user to measure various bio-signals. The biosensor 220 may include all senso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such as an electrocardiogram sensor, a breathing sensor, an electroencephalogram sensor, an electromyogram sensor, a pulse sensor, a blood pressur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weight sensor.

또한, 사용자의 자세는 뎁스 카메라(미도시)에 의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뎁스 카메라(Depth Camera)는 ToF(Time Of Flight Camera) 방식의 카메라로서, 미리 정해진 노출 시간(Integration Time)에 따라 대상체를 촬영하여 뎁스 영상을 생성한다. 노출 시간은 뎁스 영상에 포함된 하나의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를 소집하는 시간이다. 따라서, 노출 시간이 길수록, 뎁스 카메라에서 생성되는 뎁스 영상의 정밀도는 향상된다. 그러나, 노출 시간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와 상호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프레임율에 따라 노출 시간이 정해져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뎁스 카메라(미도시)는 뎁스 영상 획득부, 움직임 측정부, 뎁스 영상 보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뎁스 영상 획득부는 뎁스 카메라에서 생성된 뎁스 영상을 획득하여, 움직임 측정부 또는 뎁스 영상 보간부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뎁스 영상 획득부는 첫번째 생성된 제1 뎁스 영상에 대해 움직임 측정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뎁스 영상의 움직임에 따라 두번째 생성될 제2 뎁스 영상에 대한 노출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움직임 측정부는 상기 획득된 뎁스 영상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예컨대, 움직임 측정부는 상기 뎁스 영상에 포함된 각 픽셀마다의 차이값(Sum of Squared Differences; SSD)을 구해서, 상기 뎁스 영상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뎁스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 및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ure of the user may be measured by a depth camera (not shown). Generally, a depth camera is a camera of ToF (Time Of Flight Camera) type, and captures an o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gration time to generate a depth image. The exposure time is a time for convening the electrons to generate one frame included in the depth image. Therefore, the longer the exposure time, the higher the precision of the depth image generated by the depth camera. However, since the exposure time is correlated with the frame rate, conventionally, the exposure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ame rate. The conventional depth camera (not shown) may include a depth image acquisition unit, a motion measurement unit, and a depth image interpolation unit. The depth image acquisition unit acquires the depth image generated by the depth camera and provides the depth image to the motion measurement unit or the depth image interpolation unit. For example, the depth image acquisition unit may transmit the first generated depth image to the motion measurement unit, thereby controlling the exposure time for the second depth image to b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of the first depth image have. The mo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motion of the acquired depth image. For example, the motion measuring unit may measure a motion of the depth image by obtaining a sum of squared differences (SSD) for each pixel included in the depth image. Thus, by using the depth camera, the user's posture can be extracted by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user.

뿐만 아니라, 카메라로부터 측정된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생체 신호가 측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으로부터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거나, 머리 부분의 움직임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이 저하되어 눈을 감거나, 사용자가 졸음으로 인하여 머리를 끄덕이는 것을 검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iological signal may be measured through analysis of the image measured from the camera. For example, by measuring the size of the pupil from the image or extracting the motion of the head,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is lowered and the eyes are closed or the user nods his head due to drowsiness.

주변 센서(230)는 테이블이 설치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주변 센서는 주변 온도, 주변 밝기, 및 현재 시각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변 밝기가 어두운 경우 사용자는 쉽게 피로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밝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사용자는 쉽게 피로해진다. 그러므로, 온도가 높을 경우 더 빈번하게 테이블의 높이를 높여서 사용자를 강제로 일으켜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ipheral sensor 230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circumstance where the table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ambient sensor can collect ambient temperature, ambient brightness, and current time. In general, the brightness needs to be considered because the user can easily become tired when the ambient brightness is dark. Also, the higher the ambient temperature, the more easily the user becomes tired.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it is desirable to raise the height of the table more frequently to forcibly raise the user.

작업 센서(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과거, 현재 및 미래의 작업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지속 시간이 길다면 사용자의 피로도가 상승할 것이 예측된다. 따라서, 더 자주 테이블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수행하려는 작업이 변경될 경우 테이블의 높이를 상승시켜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학 공부를 하다가 영어 공부를 하려고 전환할 때 테이블의 높이를 상승시켜서 사용자를 일으킬 수도 있다.The job sensor 240 collects status information on past, present, and future jobs performed by the user. For example,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s fatigue will increase if the duration of the current task is long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aise the height of the table more frequently. In addition, if a user changes a job to be performed, the height of the table may be raised to warn the user. For example, when you are going to study English while studying math, you can raise the table by elevating the user.

이와 같이 센서부(210)에 의하여 센서 정보가 획득되면, 센서 신호 수신부(250)는 해당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다. 센서 신호 수신부(250)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센서부(210)에 포함되는 센서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신호 수신부(250)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며,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네트워크로도 확장하여 해석될 수 있으나 인터넷(Internet) 네트워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신호 수신부(250)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및 사용 인터넷망을 통해 센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When the sensor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10,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250 receives the sensor signals.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250 may be connected to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210 through various networks. For example,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250 may be a network interface that performs a physical layer and a data link layer. At this time, the network may be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may be extended to any network including a LAN (Local Area Network), a WAN (Wide Area Network), and the like, but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n Internet network. Also,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250 may receive a sensor signal through a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and a used Internet network.

센서 신호가 수신되면, 상황 정보 결정부(290)는 수신된 센서 신호를 고려하여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상황 정보에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 및 사용자가 수행하는 업무에 대한 상황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When the sensor signal is received,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90 generates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ceived sensor signal. The situ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static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the dynamic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user's surrounding situ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tasks perform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도 3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포지션이 조절되는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in which a posi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300)는 상판(310), 상황 정보 생성부(330), 상판 포지션 결정부(350), 상판 포지션 조절부(370), 및 지지부(390, 392, 394, 396)를 포함한다. 도 3 에 도시된 상판(310), 상황 정보 생성부(330), 및 상판 포지션 결정부(350)는 각각 그 구성 및 동작이 도 1 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이 생략된다.3, an apparatus 300 including a position adaptive position-adjustable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310, a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30, a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unit 350, (370), and supports (390, 392, 394, 396). The top plate 310, the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and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50 shown in FIG. 3 are similar in structure and operation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FIG. Therefore, a repetitive description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repetition.

도 3 에 도시된 장치(300)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100)와 상판 포지션 조절부 및 지지부의 구성에 있어서 상이하다. 즉, 도 3 에 도시된 네 개의 지지부(390, 392, 394, 396)는 상판(310)의 상부에 부착되며, 천정 등의 위치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지지부에는 대응하는 상판 포지션 조절부(370, 372, 374, 376)가 포함된다.The apparatus 300 shown in FIG. 3 differ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er, and the support. That is, the four supports 390, 392, 394, and 396 shown in FIG. 3 ar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310 and fixed to the ceiling,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supporting portion includes corresponding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portions 370, 372, 374, and 376. [

전술된 바와 같이, 지지부(390, 392, 394, 396) 모두의 길이가 동일하게 조절되면, 상판(310)은 평평한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된다. 그러나, 지지부(390, 392, 394, 396)의 길이가 상이하게 조절되면, 상판(310)의 기울기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지지부(390, 392)의 길이가 제 3 및 제 4 지지부(394, 396)의 길이보다 짧다면, 상판(310)은 독서대처럼 기울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ngths of all of the supports 390, 392, 394, and 396 are adjusted to be the same, the top plate 310 is raised or lowered while maintaining a flat position. However, if the lengths of the supports 390, 392, 394, 396 are adjusted differently, the inclination of the top plate 310 is changed. For example, if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90 and 392 are shorter than the lengths of the third and fourth support portions 394 and 396, the top plate 310 can be tilted like a book reader.

도 3에서, 지지부(390, 392, 394, 396)가 천정에 설치되고 상판(310)이 지지부(390, 392, 394, 396)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부(390, 392, 394, 396)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테이블(300)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판 포지션 결정부(350)는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여 상판 포지션 조절부(370, 392, 394, 396)의 길이를 결정하여야 한다.392, 394, and 396 because the support portions 390, 392, 394, and 396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upper plate 310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s 390, 392, 394, The height of the table 300 becomes lower. Therefore,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unit 350 should determine the lengths of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units 370, 392, 394, and 396 in consideration of this relationship.

도 3에서, 상판 포지션 결정부(350)는 사용자의 작업의 총 능률(total efficiency)을 개선하도록 상판(310)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총 능률이란, 어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업무 처리 효율성을 의미한다. 어느 작업을 수행할 때, 무조건 장시간 테이블에 앉아있는다고 능률이 오르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순간적인 능률 차원에서는 앉아있는 자세보다 서 있는 자세가 더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앉아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를 굳이 일으키는 것은 능률을 순간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앉아 있는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건강이 악화되어 결국 오래 작업을 하지 못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총 능률이 악화되는 것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상판 포지션 결정부는, 순간적으로는 능률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결과적으로 총 능률을 개선하도록 상판의 포지션을 결정한다.3,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5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310 to improve the total efficiency of the user's work.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otal efficiency refers to the efficiency with which a user performs task to perform a task. When you perform a task, it does not necessarily increase efficiency when you are sitting at the table unconditionally for a long time. However, it is true that standing position is more uncomfortable than sitting position in instantaneous efficiency dimen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ntly drop the efficiency by causing a user to sit down and perform a task. However, by maintaining a long sitting posture, if your health deteriorates and you are eventually unable to work for a long time, the resulting total efficiency will deteriorate. Therefore,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top plate position so as to improve the total efficiency even if the efficiency is somewhat deteriorated momentarily.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판의 포지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a position of a top board based on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판 포지션 조절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및 작업 상황에 따라 상판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황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하여 감지 대상에 대한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S410).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주변 센서, 및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작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and the operation situation. Accordingly, a sensor signal for a sensing target is generated through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network at step S410. The sensor unit used to generate the sensor signal may include a biosensor for measuring a user's biosignal, a peripheral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about the work environment, and a work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about a work perform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센서부에서 측정된 센서 신호들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다(S420). 센서 신호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The sensor signal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re received through various networks (S420). The sensor signals can b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센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서 신호를 고려하여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S430). 상황 정보는 개별 장치를 통하여 생성될 수도 있지만 스마트 휴대 장치를 통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When the sensor signal is received, the status information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ived sensor signal (S430). The contex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hrough an individual device, but may also be generated via a smart portable device.

이와 같이 상황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판의 포지션을 결정한다(S440). 상판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도 역시 스마트 휴대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적절한 상판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하여, 작업 모드를 워밍업 모드, 일반 모드, 집중 모드, 및 이완 모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When the status information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top board is determined based on the generated status information (S440). Determining the top board position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the smart portable device. Further, in order to determine an appropriate top plate position, the operation mode can be classified into a warm-up mode, a general mode, a concentrated mode, and a relax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상판의 포지션이 결정되면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S450). 만일 현재 상판의 포지션이 결정된 포지션과 같다면 상판 포지션을 추가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결정된 포지션에 따라서 상판 포지션을 조절한다(S460).If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S450). 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op plate is the same as the determined position, there is no need to further adjust the top plate position. Otherwise, the top posi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S460).

상판 포지션이 조절되면, 동작의 반복 여부가 판단된다(S470).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다시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10)로 복귀한다. 만일, 작업 상황을 조회한 결과 작업이 완료되었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종료한다.When the top plate position is adjus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is repeated (S470). If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is not comple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10 of generating the sensor signal again. If the job is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inquiry of the job status, or is terminated by the user, the job is terminated.

도 3 에 도시된 방법은 스마트 휴대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휴대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 휴대 장치에 연결된 별도의 측정 센서들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서 신호를 조합하여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휴대 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선호하는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작업 스케줄을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선호 사항들은 상황 정보를 결정할 때와 상판의 포지션을 결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The method shown in Fig. 3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ortable device.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may receive sensor signals from separate measurement sensors connected to a camera or smart portable device in the smart portable device, and may combine the received sensor signals to generate contextual information. The application may also allow a user of the smart portable device to enter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preferred work environment, or to enter a user ' s job schedule. These user preferences can be used to determine contextual information an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op board.

포지션이 결정되면 애플리케이션은 결정된 포지션에 따라 지지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판 포지션 조절부(도 1 의 170)에 명령할 수 있다. 스마트 휴대 장치와 상판 포지션 조절부는 다양한 통신 방법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양자 간의 통신이 설립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상판 포지션 조절부에 포지션 조절을 명령하고, 상판 포지션 조절부는 결과로 구현된 포지션을 애플리케이션에게 통보할 수 있다.Once the position is determined, the application can instruct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er (170 in FIG. 1)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position. The smart portable device and the top plate position controller can communicat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hen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two devices, the application instructs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er to adjust the position, and the top plate position adjuster can notify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ant posi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황 또는 작업 상황에 따라 상판의 포지션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되며, 사용자의 건강이 증진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or work situation, the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health of the user is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테이블이 장치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가정용 책상, 업무용 책상, 식탁 등 다양한 가정용 및 업무용 가구들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although a table is described as an apparat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Rather, it is clear that a variety of household and business furniture, such as household desks, work desks, dining tables, etc., can be included in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that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store computer readable code that may be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by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 include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part", "unit", "module", "block",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따라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only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all the variations and concrete examples that can be deduce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황 및 작업 환경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모든 가구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furniture whos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and work environment.

100, 300 :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테이블)
110, 310 : 상판
130, 200, 330 : 상황 정보 생성부
150, 350 : 상판 포지션 결정부
170, 172, 370, 372, 374, 376 : 상판 포지션 조절부
190, 192, 390, 392, 394, 396 : 지지부
210 : 센서부
250 : 센서 신호 수신부
290 : 상황 정보 결정부
100, 300: a device (table) including a top plate,
110, 310: top plate
130, 200, 330: a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 350: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70, 172, 370, 372, 374, 376: top plate position adjusting section
190, 192, 390, 392, 394, 396:
210:
250: Sensor signal receiver
290: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Claims (13)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table plate)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work table)로서 기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상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상기 사용자의 작업 환경,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부;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상판의 높이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상판 포지션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포지션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상판 포지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1. Apparatus comprising a situation-adaptive position adjustable table plate,
The upper plate functioning as a work table on which a user performs work and being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A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n operation environment of the user, and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A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position including a height and a slope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nd
And a top plate position adjuster for adjusting a position of the top plate by controlling a length of the suppor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생성부는,
각각 감지 대상을 가지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신호 수신부; 및
유비쿼터스 기술 또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조합, 처리, 및 분석함으로써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는 상황 정보 결정부를 포함하는,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sensor each having a sensing object and connected to a network;
A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nd
And a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er for determin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by combin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sensor signals using ubiquitous technology or object Internet technolog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
상기 장치의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주변 센서;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includes:
A biosensor for measuring a user's biomedical signal;
A peripheral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apparatus; And
And a task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task performed by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센서는, 뇌전도, 심전도, 근전도, 맥파, 호흡, 혈압, 체중, 체온, 혈당, 자세, 각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주변 센서는 주변 밝기, 주변 온도, 현재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그리고
상기 작업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의 이력,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 및 장래 수행 예정인 작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iosensor measures information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lectroencephalogram, an electrocardiogram, an electromyogram, a pulse wave, a respiration, a blood pressure, a body weight, a body temperature,
The peripheral sensor collects at least one of ambient brightness, ambient temperature, and current time, and
Wherein the task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at least one of a history of a task performed by the user, a task currently performed, and information on a task scheduled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상태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측정기, 카메라, 뎁스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측정되고,
상기 상판의 포지션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스마트 휴대 장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hysical condition is measured by at least one of a meter, a camera, a depth camera, and an infrared camera attached to a user's body,
Wherein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is determined by a smart portable devic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포지션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사용자의 현재 집중도 및 요구되는 집중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워밍업 모드, 일반 모드, 집중 모드, 및 이완 모드 중 적어도 두 개의 작업 모드로 분류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 모드들 중 하나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이를 결정하는,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classifies the work performed by the user into at least two of the warm up mode, the general mode, the concentrated mode, and the relaxation mod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the user and the required concentration, And determines the height to correspond to one of the working mod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정용 가구 또는 업무용 가구인, 상황 적응적 포지션조절가능 상판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pparatus is a household furniture or business furniture,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tuation adaptive position adjustable top plate.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work table)로서 기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판(table plate)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상기 사용자의 작업 환경,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상판의 높이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상판 포지션 결정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포지션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에 따라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
1.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table plate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the work table functioning as a work table,
A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a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 working environment of the user, and operation information on a job performed by the user;
A top plate position determining step of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position including a height and a slope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And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생성 단계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하여 감지 대상에 대한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유비쿼터스 기술 또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조합, 처리, 및 분석함으로써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에 따라 장치의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ncludes:
Generating a sensor signal for an object to be sensed through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connected to a network;
Receiving the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nd
And determining said context information by combining, processing and analyzing said sensor signals using ubiquitous or object Internet techniqu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
상기 장치의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주변 센서;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에 따라 장치의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or unit includes:
A biosensor for measuring a user's biomedical signal;
A peripheral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apparatus; And
And a work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work perform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situ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센서는, 뇌전도, 심전도, 근전도, 맥파, 호흡, 혈압, 체중, 체온, 혈당, 자세, 각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주변 센서는 주변 밝기, 주변 온도, 현재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며, 그리고
상기 작업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의 이력,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 및 장래 수행 예정인 작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상황에 따라 장치의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iosensor measures information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lectroencephalogram, an electrocardiogram, an electromyogram, a pulse wave, a respiration, a blood pressure, a body weight, a body temperature,
The peripheral sensor collects at least one of ambient brightness, ambient temperature, and current time, and
Wherein the job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at least one of a history of a job performed by the user, information on a job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information on a job scheduled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a situ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상태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측정기, 카메라, 뎁스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측정되고,
상기 상판의 높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스마트 휴대 장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황에 따라 장치의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hysical condition is measured by at least one of a meter, a camera, a depth camera, and an infrared camera attached to a user's body,
Wherein the height of the top plate is determined by a smart portable devic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포지션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사용자의 현재 집중도 및 요구되는 집중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워밍업 모드, 일반 모드, 집중 모드, 및 이완 모드 중 적어도 두 개의 작업 모드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 모드들 중 하나에 상응하도록 상기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에 따라 장치의 상판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op plate position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Classifying the work performed by the user into at least two of a warm up mode, a general mode, a concentrated mode, and a relaxation mod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current concentration of a user and a required concentration; And
And determining the height to correspond to one of the working modes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 Desc / Clms Page number 21 >
KR1020140113100A 2014-08-28 2014-08-28 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 KR201600257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00A KR20160025793A (en) 2014-08-28 2014-08-28 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00A KR20160025793A (en) 2014-08-28 2014-08-28 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793A true KR20160025793A (en) 2016-03-09

Family

ID=5553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100A KR20160025793A (en) 2014-08-28 2014-08-28 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579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488A1 (en) * 2016-05-18 2017-11-23 Ideal Workspace Pte Ltd A movable work surface apparatus
CN108363412A (en) * 2018-02-11 2018-08-03 大将作国际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automatic lifting table adjusts system
KR20190101055A (en) * 2018-02-22 2019-08-30 티씨티 나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Automatic elevation-adjusting system
KR20220000268A (en) * 2020-06-25 2022-01-03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A portable toilet bowl foot sup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537A (en) 2005-02-11 2006-08-11 김은영 Height adjusting device of device and chair for student
KR20110112787A (en) 2010-04-07 2011-10-13 김성윤 Desk for correct body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537A (en) 2005-02-11 2006-08-11 김은영 Height adjusting device of device and chair for student
KR20110112787A (en) 2010-04-07 2011-10-13 김성윤 Desk for correct body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488A1 (en) * 2016-05-18 2017-11-23 Ideal Workspace Pte Ltd A movable work surface apparatus
CN108363412A (en) * 2018-02-11 2018-08-03 大将作国际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automatic lifting table adjusts system
KR20190101055A (en) * 2018-02-22 2019-08-30 티씨티 나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Automatic elevation-adjusting system
KR20220000268A (en) * 2020-06-25 2022-01-03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A portable toilet bowl foot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trusch et al. The effect of a passive trunk exoskeleton on metabolic costs during lifting and walking
Gregory et al. Stability ball versus office chair: comparison of muscle activation and lumbar spine posture during prolonged sitting
Devroey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ackpack load and position during standing and walking using biomechanical, physiological and subjective measures
Kuijer et al. Maximum acceptable weight of lift reflects peak lumbosacral extension moments in a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test using free style, stoop and squat lifting
Marras et al. Spine loading as a function of gender
Agha School furniture match to students' anthropometry in the Gaza Strip
Corlett Background to sitting at work: research-based requirements for the design of work seats
US20130331993A1 (en) Ergonomic computer workstation to improve or maintain health
Grooten et al. Is active sitting as active as we think?
KR20160025793A (en) Apparatus having situation-adaptive position-adjustable table plat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the table plate
Hu et al. The changes of lumbar muscle flexion–relaxation response due to laterally slanted ground surfaces
Howarth et al. Working position influences the biomechanical demands on the lower back during dental hygiene
US20140221181A1 (en) Exercise and wellness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Sonenblum et al. Distinct tilting behaviours with power tilt-in-space systems
FR2935527A1 (en) DIDACTIC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THE POSTURAL BEHAVIOR OF A USER OF A FURNITURE
Van Wingerden et al. Differences in standing and forward bending in women with chronic low back or pelvic girdle pain: indications for physical compensation strategies
Tsutsumi et al. Postural stability during visual stimulation and the contribution from the vestibular apparatus
Curtis et al. Measuring postural sway in sitting: a new segmental approach
Muppavram et al. Posture alert
Maradei et al. Influence of seat tilt motion on discomfort perception during a simulated driving activity
Pavão et al. Effects of visual manipulation in sit-to-stand move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vão et al. Hands support and postural oscillation during sit-to-stand move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ypical children
DiDomenico et al. Effects of common working postures on balance control during the stabilisation phase of transitioning to standing
Presperin Pedersen et al. Wheelchair backs that support the spinal curves: Assessing postural and functional changes
US20200029707A1 (en) Workpla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pla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