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393A -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393A
KR20160025393A KR1020140112598A KR20140112598A KR20160025393A KR 20160025393 A KR20160025393 A KR 20160025393A KR 1020140112598 A KR1020140112598 A KR 1020140112598A KR 20140112598 A KR20140112598 A KR 20140112598A KR 20160025393 A KR20160025393 A KR 20160025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automatic door
user terminal
household
me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062B1 (ko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토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토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토브
Priority to KR102014011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은 자동문에 설치되며 터치 패널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방문자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인식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발행된 임시번호의 입력에 따라 자동문을 개방하는 자동문 제어 모듈; 및 관련 정보를 전체 공지 및 세대별 공지로 구분하여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을 사전에 등록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 및 관련 정보를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 등 많은 세대가 생활하는 공동 건물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건물의 현관 출입문에 출입 통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 통제 장치는 해당 세대를 호출하거나 관리실과 연락할 수 있는 인터폰 기능 및 세대 번호 또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잠금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런 경우, 방문자는 출입 통제 장치를 통하여 해당 세대를 호출하여 해당 세대에서 출입문을 잠금해제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출입문을 잠금해제함으로써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출입 통제 장치는 버튼식으로 이루어져 빈번한 사용에 따라 쉽게 고장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동시에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동 건물의 1층 현관에는 거주민 또는 방문자들이 출입시 공지 사항을 읽을 수 있도록 게시판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세대가 이용하는 공동 건물에서는 공지 사항이 빈번하게 게시되기 때문에 게시판을 제대로 정리하지 않으면, 공지 사항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행하고, 허가되지 않은 게시물도 많기 때문에 게시판 관리에 주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된 특정 내용만을 인식하기 위해 불필요한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식 입력이 가능하고, 게시물 관리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출입하는 거주민 또는 원격지의 거주민에게 특정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문에 설치되며 터치 패널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방문자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 또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발행된 임시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관련 정보를 전체 공지 및 세대별 공지로 구분하여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전에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은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근접 센서;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의 외출시 입력된 사용자 메모 또는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메모 처리부; 상기 자동문의 개폐를 구동하는 자동문 구동부;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면, 공지창, 세대 호출창 또는 메모 입력창을 선택적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면,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방문자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메모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해당 세대가 호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세대의 사용자 메모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세대에 대한 방문자 메모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QR 코드 스캐너, 또는 와이파이, 비콘, 및 NFC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근거리 통신부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방문자 메모 또는 상기 관련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방문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서 발행한 임시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임시번호를 상기 저장된 임시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도록 처리하는 임시번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부는 전체 세대에 대한 전체 공지, 해당 세대별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세대별 정보, 해당 세대에 대한 세대별 공지, 및 해당 세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메모 또는 상기 방문자 메모를 포함하는 세대별 메모가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련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관련 정보를 전체 공지 및 세대별 공지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공지 처리부; 및 전체 세대에 대한 전체 공지, 해당 세대별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세대별 정보, 및 해당 세대에 대한 세대별 공지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임시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고, 방문자 단말로 상기 임시번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시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방문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문자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체 공지 또는 세대별 공지, 또는 세대별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방문자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면, 상기 세대별 공지 및 상기 전체 공지를 자동문에 설치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지 않으면, 상기 전체 공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면,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 외출시 사용자 메모가 등록되는 단계;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방문 세대가 호출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방문 세대에 해당하는 사용자 메모를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해당 세대에 대한 방문자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면, 해당 세대에 대한 상기 방문자 메모를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체 공지 또는 상기 세대별 공지, 또는 상기 방문자 메모를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면, 공지창, 세대 호출창, 또는 메모 입력창을 선택적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에 의한 해당 세대의 호출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상기 방문자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출입이 요청되는 단계; 방문자 단말의 정보를 해당 세대의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임시번호를 발생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 및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임시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임시번호를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에서 수신한 임시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는 QR 코드 스캐너, 또는 와이파이, 비콘, 및 NFC 중 하나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터치식 입력의 빈번한 사용에 따른 버튼의 고장 없이 설치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관리 서버에서 공지 사항을 총괄하여 세대별로 관리할 수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필요시에만 공지 사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공지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방문자가 메모를 기록할 수 있거나 임시번호에 의해 출입할 수 있어 사용자 외출시에도 방문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자동문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문 제어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문 제어 모듈의 저장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6은 도 1의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관리 서버의 저장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자동문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10)은 자동문 제어 모듈(100),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자동문(102)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자동문(102)의 하단 또는 상부에 내장될 수 있거나, 자동문(102)이 개방시 위치되는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자동문(102) 도어의 투명 유리에 설치되며, 자동문(102) 후면부에서 그의 전체면 또는 일부에 설치될 수 있고, 엘시디 도는 엘이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터치 패널(112)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부 또는 전체에 터치 패널(11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터치 패널(112)은 자동문(102)의 투명 유리를 중심으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터치 패널(112)은 자동문(102) 도어의 투명 유리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방문자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을 인식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발행된 임시번호의 입력에 따라 자동문(102)을 개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자동문 제어 모듈(100)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자동문 제어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자동문 제어 모듈의 저장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2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이다.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 터치 패널(112), 통신부(120), 근접 센서(130), 사용자 식별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메모 처리부(170), 임시번호 처리부(180), 및 자동문 구동부(190)를 포함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전체 공지 또는 세대별 공지, 또는 사용자 메모 또는 방문자 메모 등과 같이 자동문 제어 모듈(100)에 의해 제공되는 관련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상시에는 자동문(102)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상태로 유지되고, 임의의 방문자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에 따라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터치 패널(112)은 사용자 또는 방문자의 선택이 입력되며, 예를 들면, 정전식 터치 패널 또는 적외선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패널(112)은 세대별 호출을 위한 세대 번호 또는 자동문(102)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 번호 등의 숫자뿐만 아니라, 방문자가 메모할 수 있도록 문자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112)은 숫자 또는 문자 입력시 키패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수기하도록 임의의 메모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300) 및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하지만, 선택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20)는 후술하는 방문자 메모 또는 각종 공지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자동문(102)의 전면에 배치되며, 임의의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센서(130)는 광학식, 정전용량식, 및 전자기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접촉식으로 전면의 대상물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140)는 자동문(102)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부(140)는 QR 코드 스캐너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 식별부(140)는 자동문(102)의 전면 또는 측면에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 또는 임의의 형태의 QR 코드를 사용자 식별부(140)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식별부(14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부(140)는 사용자 단말(3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와이파이, 비콘, 및 NFC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식별부(140)는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한 상태로 접근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단말(3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등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터치 패널(112)로부터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데, 문자 또는 숫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의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식별하고, 임의의 수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형상에 대한 문자 인식 처리를 통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황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관련 정보, 또는 사용자 또는 방문자 메모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식별부(140)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을 식별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공지 또는 세대별 공지와 같은 관련 정보, 및 방문자 메모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식별부(140)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을 식별하면, 사용자의 외출시 해당 세대에 대하여 방문자가 입력한 방문자 메모를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검색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근접 센서(130)가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면, 방문자의 출입 또는 사용자와의 연락을 제공하기 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창, 세대 호출창 또는 메모 입력창을 선택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방문자가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해당 세대를 호출할 때, 일정 시간 응답이 없으면,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외출시 입력한 사용자 메모를 저장부(160)로부터 검색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각종 관련 정보 및 메모가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세대에 대한 전체 공지(362), 해당 세대별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세대별 정보(364), 해당 세대에 대한 세대별 공지(366), 및 해당 세대에 대하여 사용자 메모 또는 방문자 메모를 포함하는 세대별 메모(364)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 처리부(170)는 사용자가 외출시 입력한 사용자 메모 또는 방문자가 터치 패널(112) 패널을 통하여 입력한 방문자 메모를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 처리부(170)는 사용자가 외출시 자신의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자동문 제어 모듈(100)로 전송하거나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입력된 메모를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하도록 처리하고, 방문자 메모를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임시번호 처리부(180)는 방문자가 자동문(102)을 잠금해제하여 개방하도록 방문자 단말을 통하여 해당 세대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로 요청하면, 해당 세대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에서 발행한 임시번호를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임시번호 처리부(180)는 방문자가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임시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임시번호를 저장부(160)에 저장된 임시번호와 비교하여 자동문(102)을 개방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자동문 구동부(190)는 자동문(102)의 개폐를 구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문 구동부(190)는 자동문(102)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락킹 장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동문 구동부(190)는 자동문(102)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해당 세대와 통화할 수 있는 통상의 인터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관련 정보를 전체 공지 및 세대별 공지로 구분하여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300)을 사전에 등록하며,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정보 및 관련 정보를 자동문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관리 서버(200)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관리 서버의 저장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관리 서버(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출력부(240), 공지 처리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운영자에 의해 각종 공지 및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고,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격지로부터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들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통신부(22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하지만, 선택적으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220)는 등록된 각종 공지 및 세대별 정보를 자동문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된 각종 정보, 예를 들면, 전체 공지 또는 세대별 공지, 또는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세대별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부(2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세대별 정보가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선택적으로, 관리 서버(2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입력되거나, 자동문 제어 모듈(100)의 터치 패널(112)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저장된 정보들을 자동문 제어 모듈(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선택적으로 관리 서버(200)가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10)의 운영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원격지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공지 처리부(250)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관련 정보, 즉 공지를 전체 공지 및 세대별 공지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 처리부(250)는 전체 세대에 대하여 공통으로 전달할 전체 공지와 특정 세대에만 전달할 세대별 공지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각종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세대에 대한 전체 공지(262), 해당 세대별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세대별 정보(264), 및 해당 세대에 대한 세대별 공지(266)가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자동문 제어 모듈(100)과 통신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자동문 제어 모듈(100) 또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제공받을 수 있고,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사용자 단말(300)을 식별하도록 자동문 제어 모듈(1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사용자 단말(300)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부(310), 통신부(320), 제어부(330), 출력부(340), 문자 처리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입력부(310)는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고,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일 수 있다. 이 때, 입력부(310)는 방문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임시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고,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원격지의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관리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320)는 입력부(310)로부터 입력된 임시번호를 방문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사용자 단말(300)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동문 제어 모듈(100)과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관리 서버(200)와의 연동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사용자 단말(300)을 인식할 수 있도록 QR 코드의 출력 또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과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관리 서버(200)와의 연동시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부일 수 있다. 이 때, 출력부(34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각종 관련 정보, 즉, 전체 공지 또는 세대별 공지, 또는 방문자 메모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34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QR 코드 스캐너를 포함하는 경우,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사용자 단말(300)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세대의 사용자 정보로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문자 처리부(350)는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공지 및 메모 관련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시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방문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360)는 각종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문 제어 모듈(100) 및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공지 및 메모 관련 문자 메시지, 및 제어부(150)로 전송된 임시번호 관련 문자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10)은 빈번한 사용에 따른 버튼의 고장 없이 설치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지 사항을 총괄하여 세대별로 관리할 수 있고, 필요시에만 공지 사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 맞춤형으로 공지 사항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메모를 기록할 수 있거나 임시번호에 의해 출입할 수 있어 사용자 외출시에도 방문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 예는 공지 디스플레이 방법(1000)으로서, 각종 공지를 등록하는 단계(S901),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S902 및 S903), 및 식별 결과에 따라 관련 공지 또는 전체 공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04 및 S90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관리 서버(200)에 전체 공지 또는 세대별 공지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901).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의 정보와 같은 세대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세대별 정보의 등록은 운영자에 의해 관리 서버(200)에서 수행되지만,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자동문 제어 모듈(100)에 접속하여 등록하거나, 터치 패널(112)에 직접 등록하거나,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사용자가 자동문(102)에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다(단계 S902). 이 때,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은 QR 코드 스캐너, 또는 와이파이, 비콘, 및 NFC 중 하나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R 코드 스캐너를 통한 식별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된 QR 코드 또는 임의의 형태의 QR 코드를 자동문 제어 모듈(100)의 QR 코드 스캐너에 위치시킴으로써 자동문 제어 모듈(100)에서 QR 코드를 통한 사용자 식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을 통한 식별인 경우,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동문(102)에 근접하면, 사용자 단말(300)과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인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여(단계 S903), 인증된 경우,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에 해당하는 세대의 관련 공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904).
단계 S903의 인증 결과,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또는 단계 S904의 세대별 공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공통으로 공지되는 전체 공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905). 즉, 단계 S903의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전체 공지와 함께 해당 세대에 대한 개별 공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지 않으면, 전체 공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록된 공지가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출입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선택적으로, 공지의 등록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300)로 문자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는 자동 개방 방법(1000)으로서, 자동문 개방을 설정하는 단계(S1001),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S1002 및 S1003), 및 식별 결과에 자동문을 개방하는 단계(S100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자동문(102)에 대한 개방을 설정할 수 있다(단계 S1001).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 및 인증이 성공한 즉시 자동문(102)을 잠금해제하여 개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902 및 S903에서와 유사하게,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사용자가 자동문(102)에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고(단계 S1002), 그 다음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인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1003).
단계 S1003의 인증 결과,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인증되면,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자동문(102)을 잠금해제하여 개방할 수 있고(단계 S1004),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인증되지 않으면, 자동문(102)을 개방하지 않고 일련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는 방문자 접근시 제어 방법(1100)으로서,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S1101), 공지창, 세대 호출창, 또는 메모 입력창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101 내지 S1105), 및 해당 세대가 부재중인 경우 방문자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S1106 및 S1107)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단계 S1101). 예를 들면, 자동문(102)의 전면에 배치된 근접 센서(130)에 의해 광학식, 정전용량식, 및 전자기식 중 어느 하나의 비접촉식으로 자동문(102) 전방의 방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체 공지와 같이 일반적인 안내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1102). 예를 들면, 전체 세대에 대한 공지, 또는 방문자에 대한 안내문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문자가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를 호출할 수 있다(단계 S1103).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2)의 해당 메뉴에 해당 세대의 호수를 입력하여 호출할 수 있다.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해당 세대로부터 응답이 없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104), 응답이 있는 경우, 해당 세대와 통화함으로써 일련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104의 판단 결과, 무응답인 경우,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메모를 입력할지가 디스플레이되고, 방문자가 메모 입력을 선택하면 메모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1105).
다음으로, 방문자는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해당 세대에 대한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 S1106). 이 때, 터치 패널(112)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 경우,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입력되는 위치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문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12)은 방문자가 직접 수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임의의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 경우,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입력된 형상에 대한 문자 인식 처리를 통하여 문자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S1107). 즉,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터치 패널(112)로부터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그 내부의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메모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문자 메시지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는 사용자 메모 디스플레이 방법(1200)으로서, 사용자가 메모를 등록하는 단계(S1202), 방문자가 해당 세대를 호출하는 단계(S1202), 및 해당 세대의 메모가 존재하면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203 및 S120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외출시 사용자 메모를 자동문 제어 모듈(100)에 등록할 수 있다(단계 S1201). 이 때,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사용자 메모를 등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자동문 제어 모듈(100)에 접속하여 해당 세대 및 관련 메모를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문자가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방문 세대를 호출할 수 있다(단계 S1202). 즉, 방문자에 의한 방문 세대의 호출이 터치 패널(112)로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호출된 방문 세대의 사용자 메모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203), 해당 세대의 사용자 메모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즉, 저장부(160)로부터 해당 세대의 사용자 메모를 검색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메모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1204).
단계 S1203의 판단 결과, 해당 세대의 사용자 메모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즉, 저장부(160)로부터 해당 세대의 사용자 메모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일련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는 방문자 메모 디스플레이 방법(1300)으로서, 방문자 메모를 입력하는 단계(S1301),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1302 및 1303),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304 및 130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문자에 의해 터치 패널(112)로부터 방문자 메모가 입력될 수 있다(단계 S1301). 예를 들면, 도 11의 단계 S1105 내지 S1107에서와 같이, 해당 세대가 부재중인 경우, 방문자는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방문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도 9의 단계 S902 및 S903, 또는 도 10의 단계 S1002 및 S1003과 유사하게,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사용자가 자동문(102)에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고(단계 S1302), 그 다음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인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1303).
단계 S1303의 인증 결과,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인증되면,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해당 세대에 대한 방문자 메모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304) 방문자 메모가 존재하는 경우, 즉,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저장부(160)로부터 방문자 메모를 검색하여 방문자 메모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1305).
단계 S1303의 인증 결과, 식별된 사용자 단말(300)이 인증되지 않거나, 단계 S1304의 판단 결과, 방문자 메모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즉, 저장부(160)로부터 방문자 메모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일련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문자 메모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방문자 메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문 제어 모듈(100)이 방문자 메모를 문자 메시지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는 임시번호에 의한 자동 개방 방법(1400)으로서, 방문자가 출입을 요청하는 단계(S1401 및 1402), 사용자 단말(300)이 임시번호를 발행하는 단계(S1403), 임시번호를 입력하여 자동문(102)을 개방하는 단계(단계 S1404 내지 S140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문자가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출입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S1401). 예를 들면, 방문 세대가 부재중인 경우, 도 13에서와 같이, 방문자는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메모를 남기거나, 직접 출입하기 위해 터치 패널(112)에 해당 세대로 출입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방문자 단말의 정보를 해당 세대의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402). 예를 들면,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방문자 단말 번호를 입력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방문자는 터치 패널(112)을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방문자의 출입을 위한 임시번호를 발행하여 방문자 단말 및 자동문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403). 예를 들면,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출입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숫자,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임시번호를 입력하여 자동문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문자에 의해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임시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단계 S1404). 예를 들면,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방문자가 자신의 단말 정보를 입력한 후, 임시번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방문자가 터치 패널(112)을 통하여 자신의 단말로 수신한 임시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방문자에 의해 입력된 임시번호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임시번호와 비교하여 적정 번호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1405), 적정 번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즉, 입력된 임시번호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임시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 S1404로 복귀하여 임시번호를 재입력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임시번호의 입력 회수를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회수만큼 단계 S1404 및 S1405가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미리 결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일련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405의 판단 결과, 입력된 임시번호가 적정 번호라고 판단한 경우, 즉, 입력된 임시번호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임시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자동문 제어 모듈(100)은 자동문(102)을 잠금해제하여 개방할 수 있다(단계 S1406).
본 실시예에서는 방문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이 임시번호를 발행하여 방문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300)이 자동문 제어 모듈(100)로 자동문(102)의 잠금해제 및 개방을 직접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빈번한 사용에 따른 버튼의 고장 없이 설치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지 사항을 총괄하여 세대별로 관리할 수 있고, 필요시에만 공지 사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 맞춤형으로 공지 사항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메모를 기록할 수 있거나 임시번호에 의해 출입할 수 있어 사용자 외출시에도 방문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100 : 자동문 제어 모듈 102 : 자동문
110 :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112 : 터치 패널
120 : 통신부 130 : 근접 센서
140 : 사용자 식별부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 170 : 메모 처리부
180 : 임시번호 처리부 190 : 자동문 구동부
200 : 관리 서버 210 : 입력부
220 : 통신부 230 : 제어부
240 : 출력부 250 : 공지 처리부
260 : 저장부 300 : 사용자 단말
310 : 입력부 320 : 통신부
330 : 제어부 340 : 출력부
350 : 문자 처리부 360 : 저장부

Claims (18)

  1. 자동문에 설치되며 터치 패널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방문자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인식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 또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발행된 임시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관련 정보를 전체 공지 및 세대별 공지로 구분하여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전에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은,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근접 센서;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의 외출시 입력된 사용자 메모 또는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메모 처리부;
    상기 자동문의 개폐를 구동하는 자동문 구동부;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면, 공지창, 세대 호출창 또는 메모 입력창을 선택적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면,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방문자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메모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해당 세대가 호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세대의 사용자 메모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부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세대에 대한 방문자 메모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QR 코드 스캐너, 또는 와이파이, 비콘, 및 NFC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근거리 통신부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방문자 메모 또는 상기 관련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서 발행한 임시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임시번호를 상기 저장된 임시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도록 처리하는 임시번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전체 세대에 대한 전체 공지, 해당 세대별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세대별 정보, 해당 세대에 대한 세대별 공지, 및 해당 세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메모 또는 상기 방문자 메모를 포함하는 세대별 메모가 저장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련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관련 정보를 전체 공지 및 세대별 공지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공지 처리부; 및
    전체 세대에 대한 전체 공지, 해당 세대별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세대별 정보, 및 해당 세대에 대한 세대별 공지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임시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고, 방문자 단말로 상기 임시번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시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 및 상기 방문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문자 처리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11. 전체 공지 또는 세대별 공지, 또는 세대별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방문자 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면, 상기 세대별 공지 및 상기 전체 공지를 자동문에 설치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지 않으면, 상기 전체 공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면,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 외출시 사용자 메모가 등록되는 단계;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방문 세대가 호출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방문 세대에 해당하는 사용자 메모를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방문자에 의해 터치 패널로부터 해당 세대에 대한 방문자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면, 해당 세대에 대한 상기 방문자 메모를 검색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공지 또는 상기 세대별 공지, 또는 상기 방문자 메모를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방문자의 접근을 인식하면, 공지창, 세대 호출창, 또는 메모 입력창을 선택적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에 의한 해당 세대의 호출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방문자에 의해 터치 패널을 통하여 상기 방문자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방문자 메모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방문자에 의해 터치 패널을 통하여 출입이 요청되는 단계;
    방문자 단말의 정보를 해당 세대의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임시번호를 발생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 및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임시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임시번호를 상기 자동문 제어 모듈에서 수신한 임시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자동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단계는 QR 코드 스캐너, 또는 와이파이, 비콘, 및 NFC 중 하나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행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40112598A 2014-08-27 2014-08-2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98A KR101633062B1 (ko) 2014-08-27 2014-08-2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98A KR101633062B1 (ko) 2014-08-27 2014-08-2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93A true KR20160025393A (ko) 2016-03-08
KR101633062B1 KR101633062B1 (ko) 2016-07-01

Family

ID=5553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98A KR101633062B1 (ko) 2014-08-27 2014-08-2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0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95B1 (ko) * 2016-08-03 2017-04-0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문 제어방법
KR101964101B1 (ko) * 2018-06-12 2019-07-31 지티앤피주식회사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WO2019200849A1 (zh) * 2018-04-17 2019-10-24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售货柜和一种售货柜的控制方法
KR102247326B1 (ko) * 2019-10-28 2021-05-04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WO2024043755A1 (ko) * 2022-08-25 2024-02-29 휴림케이에스디 주식회사 개선된 통신 방식을 활용한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3775B (zh) * 2017-08-22 2021-12-28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电子门锁和门
KR102489134B1 (ko) * 2020-09-24 2023-01-16 (주)아이준 스마트 도어벨 출입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18B1 (ko) * 2001-04-27 2004-01-13 홈 네트웍 시스템 주식회사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491708B1 (ko) * 2002-09-12 2005-05-27 주식회사 캐쉬빌 원격지 전자동 무인 영상보안 관리시스템 및 침입자 대응프로그램
KR100725525B1 (ko) * 2007-02-22 2007-06-07 (주)도울정보기술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KR101118679B1 (ko) *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18B1 (ko) * 2001-04-27 2004-01-13 홈 네트웍 시스템 주식회사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491708B1 (ko) * 2002-09-12 2005-05-27 주식회사 캐쉬빌 원격지 전자동 무인 영상보안 관리시스템 및 침입자 대응프로그램
KR100725525B1 (ko) * 2007-02-22 2007-06-07 (주)도울정보기술 통지문 알림이 가능한 출입통제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지시스템
KR101118679B1 (ko) *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95B1 (ko) * 2016-08-03 2017-04-0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문 제어방법
WO2019200849A1 (zh) * 2018-04-17 2019-10-24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售货柜和一种售货柜的控制方法
KR101964101B1 (ko) * 2018-06-12 2019-07-31 지티앤피주식회사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KR102247326B1 (ko) * 2019-10-28 2021-05-04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WO2024043755A1 (ko) * 2022-08-25 2024-02-29 휴림케이에스디 주식회사 개선된 통신 방식을 활용한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062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062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7004312B (zh) 用于提供进入建筑物中的访客受控通路的方法
JP6211217B1 (ja) ビル用ビーコンシステム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96264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US9691202B2 (en) Inputting lock commands
CN103373650A (zh) 具有信息查询显示功能的电梯操纵盘
KR101745829B1 (ko) 호텔의 객실 도어락 관리시스템
JP201807034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508034B2 (ja) 行先階登録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US10728258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device for a personal data source
KR20170087140A (ko)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JP2019105053A (ja) 設備機器作動システム
KR20190047500A (ko)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US10334114B2 (en) Collective housing/building entrance device and entryphone system having that collective housing/building entrance device
JP2008025278A (ja) 出入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68121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US11361605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20130082678A (ko)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52348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관리 방법
KR20110090635A (ko)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KR20130107444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위치 추적 시스템
KR20220006796A (ko) 스마트폰의 목적층 숫자로 부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138414A (ko)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 호출 및 운송부하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212186B1 (ko) 입주자에게 선호 주차구역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