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336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336A
KR20160023336A KR1020140109598A KR20140109598A KR20160023336A KR 20160023336 A KR20160023336 A KR 20160023336A KR 1020140109598 A KR1020140109598 A KR 1020140109598A KR 20140109598 A KR20140109598 A KR 20140109598A KR 20160023336 A KR20160023336 A KR 20160023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ey
preview
function
ke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3336A/en
Priority to CN201510524575.8A priority patent/CN105389075A/en
Publication of KR2016002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3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which executes and controls a preview service for a vehicl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 condition of an operation key providing a predetermined vehicle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function using a pre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operation key located within a vehicle is pressurized and whether or not a hand lies on the operation key; a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key is determined to be pressurized; and a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a preview for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executed when the hand is determined to lie on the operation key.

Description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function using a preview,

본 발명은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의 작동 등 차량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보기를 이용하여 차량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function, such as the operation of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function using a preview.

최근 차량용 AVN 시스템의 기능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런데 키 입력시 그 킷값에 해당하는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도 하지만, 모니터에 현재 표시된 화면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경우도 많다.Recently, the function of AVN system for automobiles is increasing. However, when the key is pressed,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is normally performed.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oper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ree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nitor.

또한 종래 AVN 시스템은 사용자가 키를 입력할 경우에만 반응한다.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면 해당 킷값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자신의 상태를 변경하고 화면을 갱신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갱신된 화면을 볼 수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치 않은 동작이 실행된 경우, 다시 이전 상태 및 이전 화면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여러 키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Also, the conventional AVN system responds only when a user inputs a key. When the user inputs a key, the application receiving the key changes its status and updates the screen. The user can then view the updated screen. At this time, when the user performs an undesired operation, there is inconvenience to input multiple keys in order to restore the previous state and the previous screen again.

한국공개특허 제2006-0067174호는 차량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운전자가 차량에서 이탈할 경우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로 운전자를 호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없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67174 proposes a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However, this method can not solve the above problem because the driver calls the driver with the mobile terminal of the driver when the driver leaves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해진 차량 기능을 제공하는 조작키의 상태에 따라 차량 기능에 대한 미리보기 서비스를 실행 제어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fun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preview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a preview service on a vehicl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 state of an operation key providing a predetermined vehicle function .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에 위치하는 조작키가 가압되는지 여부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작키 상황 판단부; 상기 조작키가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수행 제어부;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preview)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er that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key located in a vehicle is pressed and a h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A function execution controller for performing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when the operation key is determined to be pressed; And a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view to be performed on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Lt; / RTI >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키 상황 판단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한다.Preferably,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h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for a first reference time or long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능 수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preview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not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Controls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locat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위치하는 동안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preview to be executed while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미리보기를 화면 형태로 생성하여 스택(stack)에 추가한다.Preferably,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generates the preview in the form of a screen and adds the preview to the stack.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보기를 생성한다.Preferably,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generates a second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pplica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and generates the preview using the second appl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키는 상기 차량 내에 적어도 두개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석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집중키 형태로 형성되거나, AVN 시스템의 일측에 집중키 형태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operation keys are provided in at least two of the vehicle, and are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nsive ke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or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nsive key on one side of the AVN system.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키 상황 판단부는 상기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며, 상기 기능 수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가 상기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또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for a second reference time or more, and if the operation key is determined to be pressured by the second reference time or longer, To be per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키 상황 판단부는 손가락에 의한 상기 조작키 상의 접촉점 개수와 상기 손가락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며, 상기 기능 수행 제어부는 상기 동작 패턴과 미리 저장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senses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on the operation keys by the finger and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finger, and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compares the operation patterns with previously stored patterns, , And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o preview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matching pattern.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위치하는 조작키가 가압되는지 여부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작키가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preview)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key located in a vehicle is pressed and whether a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Controlling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And controlling the preview to be performed on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한다.Preferably, the determining furth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and is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step of controlling to perform the preview control may be such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not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previewing is performed on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Wherein the controlling to perform the function controls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locat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위치하는 동안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review to be performed controls the preview to be performed while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보기를 화면 형태로 생성하여 스택(stack)에 추가한다.Preferably,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review to be performed includes generating the preview in a screen form and adding the preview to a stack.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보기를 생성한다.Preferably, the step of controlling execution of the preview generates a second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pplication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며,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가 상기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또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determining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for a second reference time or longer, and controlling the function to be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over the second reference time So that another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is per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손가락에 의한 상기 조작키 상의 접촉점 개수와 상기 손가락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며,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패턴과 미리 저장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determining step may include detecting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on the operation key by the finger and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finger, 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 may include comparing the operation patterns with previously stored patterns, And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preview to perform a preview of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attern to be matched.

본 발명은 정해진 차량 기능을 제공하는 조작키의 상태에 따라 차량 기능에 대한 미리보기 서비스를 실행 제어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 by executing and controlling preview service on the vehicle fun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peration key providing the predetermined vehicle function.

첫째, 사용자가 어떤 키를 입력하기 전에 해당 키의 처리 후의 화면이 자신이 원하는 화면인지 미리 확인할 수 있다.First, before the user inputs a certain key, the user can confirm in advance whether the screen after processing of the key is a desired screen.

둘째, 사용자는 미리보기를 확인한 후 키를 입력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이전 상태 및 이전 화면으로 복원하기 위해 여러 키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Second, the user can confirm the preview and determine whether to input the key,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inputting multiple keys to restore the previous state and the previous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Sensing On 상태 전달시 어플리케이션 간 메시지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생성에 따른 화면 스택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Sensing Off 상태 전달시 어플리케이션 종료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기능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기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messages between applications when a Sensing On state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process of changing a screen stack according to an applicatio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termination process when a Sensing Off state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un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un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최근 들어 CCP(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 전방 집중키)에 자체적으로 여러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데, 키 센싱 기능도 최근 들어 CCP에 장착되고 있다. 키 센싱 기능은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시키지 않고 손가락을 해당 키 위에 올려 놓기만 해도 어떤 키 상에 손가락이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CCP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 and the key sensing function has been recently installed in the CCP. The key sensing function can know the position of a finger on a certain key by simply placing a finger on the key without inputting a specific key.

최근 들어 차량에 터치 입력 방식보다 CCP 등 키에 의한 조작 방식이 탑재되고 있다. 터치 입력 방식의 경우 차량 내부가 넓으면 터치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몸을 앞으로 움직여야 터치할 수 있는 불편이 따른다. 그러나 키에 의한 조작 방식의 경우 CCP 등이 보통 기어 근처에 장착되기 때문에 몸을 움직이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In recent years, the key operation method such as CCP is mounted on the vehicle rather than the touch input method. In the case of the touch input method, if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wide, in order to perform the touch input, it is necessary to move the body forward to inconvenience the touch. However,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by the key, since the CCP and the like are mounted near the normal gear, there is a convenience that it can be operated without moving the body.

본 발명은 이러한 CCP를 통한 키의 센싱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키를 입력할 경우 어떤 동작을 수행할지 먼저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원하지 않는 동작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ique for preventing an undesired operation by showing a user how to perform an operation when a corresponding key is input by using the sensing function of the key through the CCP.

이하에서는 키의 센싱 기능을 이용한 해당 키의 동작 화면 미리보기 및 이전 화면으로의 복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eviewing the opera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key using the sensing function of the key and a method of restoring the previous screen will be described.

CCP(110)는 사용자가 키를 센싱하려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CCP(110)는 적어도 하나의 키, 예컨대 집중키(111)를 포함한다.The CCP 1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senses a motion for sensing a key. This CCP 110 includes at least one key, e.g., an intensive key 111.

헤드 유닛(Head Unit; 120)는 CCP(110)에 의해 획득된 키의 센싱 판단 결과를 기초로 해당 키의 동작 화면 미리보기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헤드 유닛(120)는 이전 화면으로의 복원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head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previewing the operation screen of the key based on the sensing determination result of the key obtained by the CCP 110. In addition, the head unit 120 may also perform a restore function to a previous screen.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130), 제어 시스템(140),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ervice) 시스템(150) 등은 헤드 유닛(12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차량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제어 시스템(140)는 차량 내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MTS(141), TMU(Tele-Matics Unit; 142)를 포함하는 개념이다.An audio video navigation (AVN) system 130, a control system 140, and an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ervice) system 150 perform various vehicle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head unit 120. The control system 140 is a concept for controlling the in-vehicle apparatus and includes a MTS 141 and a TMU (Tele-Matics Unit) 142.

키에 의해 동작을 시킬 경우, 사용자가 키를 눌렀다가 원치 않는 동작을 수행했을 경우, 다시 이전 상태로 돌리기 위해서는 여러 키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헤드 유닛(120)이 각 키의 센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키를 입력했을 때의 화면을 미리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사용자가 해당 키를 입력할 경우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지 사용자가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키를 입력시킬지 말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user presses a key and then performs an undesired operation, several keys must be used to return to the previous state. In order to reduce such inconveni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unit 120 uses a sensing function of each key to show a screen in advance when the user inputs the key,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key,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in advance whether or not to input the key.

각 키의 경우 다음과 같이 3개의 상태로 구분된다.Each key is divided into three states as follows.

- Push : 키를 입력- Push: Enter key

- Long : 키를 입력하고 0.8초 이상 유지- Long: Enter key and hold for more than 0.8 seconds

- Release : 키를 입력했다가 해제- Release: Enter and release the key

본 발명에서는 이 3개의 상태 외에 2개의 상태가 더 추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wo states are added in addition to these three states.

- Sensing On : 키 위에 손가락이 놓여진 상태- Sensing On: A finger placed on the key

- Sensing Off : 키 위에 손가락이 사라진 상태- Sensing Off: The finger disappears on the key

키의 상태에 따른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key is as follows.

CCP(110)에서 각 상태에 따라 키의 상태 정보를 헤드 유닛(120)으로 전달한다. 헤드 유닛(120)에서는 Push/Long/Release 상태가 전달되면 동작을 수행한 후 동작에 맞는 화면으로 변경한다. 그러나 Sensing On 상태가 전달되면 해당 키가 눌렸을 때 수행할 화면을 미리 사용자에게 보여줘야 한다. 이때 수행할 화면을 생성하여 화면 스택(Stack)에 추가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이어서 해당 키를 입력하여 Push 상태가 전달되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화면이어서 해당 키로부터 손가락을 빼서 Sensing Off 상태가 전달될 경우 이전에 스택에 추가했던 화면을 삭제시킨다. 이후에, Push 상태가 전달되면 해당 키 기능을 수행한다.The CCP 110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key to the head unit 120 according to each status. In the head unit 120, when the push / long / release state is transmitted, the head unit 120 performs an operation and changes to a screen suitable for the operation. However, when the Sensing On state is transmitted, the user must show the screen to be executed when the corresponding key is pressed. At this time, a screen to be executed is created and added to the screen stack (Stack). Then, if the user pushes the key, the push state is transmitted or the screen is not desired by the user, so that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key to delete the screen previously added to the stack when the sensing off state is transmitted. Thereafter, when the push state is transmitted, the key function is performed.

다음으로 해당 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Sensing On 상태 전달시 어플리케이션 간 메시지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Next,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document is explained. FIG. 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messages between applications when a Sensing On state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헤드 유닛(120)으로 키(Sensing On)가 전달되면 Mode 관리부(121)가 해당 키를 입수하여 어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처리할지 확인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App)으로 해당 키를 전달한다. 이때 각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키를 받으면 해당 키의 상태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처리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변경 후 변경된 상태에 맞는 화면을 표시한다.When the sensing unit 120 receives the sensing key, the mode management unit 121 obtains the key, confirms which application the key processing unit 121 will process, and transmits the key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t this time, each application receives the corresponding key, processes it in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key, and displays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state after changing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그런데 Push/Long/Release 상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나, Sensing On/Sensing Off 상태가 전달됐을 때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상태가 변경된 후 화면이 바뀌기 때문에 다시 이전 상태로 돌리기 위해서는 처리가 매우 복잡해진다.However, the Push / Long / Release state is process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but when the Sensing On / Sensing Off state is transmitted, the Push / Long / Release state is not processed in the same manner. If the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screen changes after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is changed. Therefore, the processing becomes very complicated to return to the previous state.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1(122)이 Mode 관리부(121)로부터 Sensing On의 상태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1(122)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1'(123)을 새로 생성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pplication 122 receives the sensing-on state from the mode management unit 121, the first application 122 generates an application 1 '123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그런데 어플리케이션 1'(123)은 어플리케이션 1(122)의 상태를 알아야 해당 키에 따른 상태를 변경하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어플리케이션 1(122)이 어플리케이션 1'(123)을 생성시킬 때, 자신의 상태를 공유 메모리(124)에 저장한다. 그렇게 하면 어플리케이션 1'(123)은 해당 공유 메모리(124)를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 1(122)의 상태를 파악하고 해당 키를 처리하여 상태 변경 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However, the application 1 '123 needs to know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1 122 so that the state according to the key can be changed and a screen can be displayed. Thus, when the application 1 122 generates the application 1 '123, the application 1 122 stores its state in the shared memory 124. Then, the application 1 '123 can identify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1 122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shared memory 124, process the corresponding key, and display the screen after changing the state.

이렇게 어플리케이션 1'(123)이 화면을 생성하면 해당 화면은 화면 Stack(200)에 추가되고 사용자는 해당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생성에 따른 화면 스택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When the application 1 '123 generates a screen, the corresponding screen is added to the screen stack 200, and the user can see the corresponding screen. FIG. 3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process of changing a screen stack according to an applicatio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2 및 도 3에 참조하여 전술한 바에 따라 기존 어플리케이션이 자신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했을 경우, 즉 어플리케이션 1(122)이 어플리케이션 1'(123)을 생성했을 경우, 다시 이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1'(123)을 종료시키기만 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Sensing Off 상태 전달시 어플리케이션 종료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isting application creates a new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existing application,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1 122 generates the application 1 '123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n order to display the screen, it is only necessary to terminate the application 1 '123. FIG.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termination process when a Sensing Off state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어플리케이션 1'(123)이 종료되면 기존에 생성했던 화면도 종료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화면 Stack(20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1'(123)의 화면이 사라지고, 어플리케이션 1(122)의 화면이 표시되어 손쉽게 이전 화면으로 복원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1 '123 ends, the previously created screen is also terminated. Therefore,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1' 123 disappears automatically on the screen stack 200,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1 122 is displayed, .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기능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un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따르면, 차량 기능 제어 장치(500)는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 기능 수행 제어부(520),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 전원부(540) 및 주제어부(550)를 포함한다.5, the vehicle function control apparatus 500 includes an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510, a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520, a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a power supply unit 540, and a main control unit 550 .

전원부(540)는 차량 기능 제어 장치(5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550)는 차량 기능 제어 장치(5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기능 제어 장치(500)가 차량에 헤드 유닛 형태로 장착되거나 AVN 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음을 참작할 때 전원부(540)와 주제어부(550)는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power supply unit 540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500. [ The main control unit 55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500. [ The power supply unit 540 and the main control unit 550 may not b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function control apparatus 500 is mounted on the vehicle in the form of a head unit or mounted on the AVN system.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는 차량 내에 위치하는 조작키가 가압되는지 여부 및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er 51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key located in the vehicle is pressed and whether a h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조작키는 차량 내에 적어도 두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키는 차량의 운전석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집중키 형태로 형성되거나, AVN 시스템의 일측에 집중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운전석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라 함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팔이 다다를 수 있는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At least two operation keys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Such an operation ke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nsive ke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nsive key on one side of the AVN system. In the above,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er's seat means the distance that the driver can reach the arm while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기능 수행 제어부(520)는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에 의해 조작키가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52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510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는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에 의해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preview)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performs a function of preview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when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510 determines that the h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는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 동안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can control the preview to be executed while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s.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는 미리보기를 화면 형태로 생성하여 스택(stack)에 추가할 수 있다.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may generate a preview in the form of a screen and add it to the stack.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는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리보기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generates a second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pplica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and can generate a preview using the second application.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는 조작키 상에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ing unit 510 can further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조작키 상에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는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조작키 상에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 수행 제어부(520)는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not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for the first reference time or longer,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controls to preview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키 상에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가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조작키 상에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 수행 제어부(520)가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performs the control function, and the hand is not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If so,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520 may perform the control function.

한편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는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er 510 can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for a second reference time or longer.

이 경우 기능 수행 제어부(520)는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작키와 관련된 또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520 may control the other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over the second reference time.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조작키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점을 참작하여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이상으로 가압되는 경우(Long)와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미만으로 가압되는 경우(Push)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rough one operation ke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lon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Long) and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below the second reference time (Push) so that different functions can be performed .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이상/미만으로 가압됨에 관계없이 특정 기능만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set such that only a specific function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 over the second reference time.

한편 상기에서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이라 함은 처음 가압된 상태에서 제2 기준 시간 이상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와 제2 기준 시간 이상 계속해서 가압이 발생하는 경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Meanwhile, the second reference time overpressure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first pressurized state maintains the state for a second reference time or longer, and a case where pressurization continues over a second reference time.

한편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는 손가락에 의한 조작키 상의 접촉점 개수와 손가락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er 510 may detect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on the operation keys by the finger and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finger.

이 경우 기능 수행 제어부(520)는 동작 패턴과 미리 저장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는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520 may compare the operation patterns and the patterns stored in advance and control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matched patterns to be performed.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may perform a preview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executed.

이하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터치 패드(touch pad) 및 터치 패드에 접촉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er 510 includes a touch pad that touches the user's finger and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that is touched by the touch pad.

터치 패드(touch pad)는 운전자의 운전 중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오른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터치될 수 있는 기어 변속기 옆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ouch pad is disposed beside the gear transmission so that the right fingers can be touched naturally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is not degraded.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or capacitanc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pad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can be detected Do.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는 터치 센서에서 감지한 각각의 손가락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로부터 수신한 후,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손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해 패턴화시킨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들에 상응하는 동작 지시를 차량 탑재 기기에게 명령한다.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receives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inger movement patterns sensed by the touch sensor from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510 and then generates a pattern for various motions of the user's hand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emory And instructs the vehicle-mounted device to give an operation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s when they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탑재 기기의 명령에 상응하여 화면에 결과를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outputs the result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the vehicle-mounted device.

여기서 손가락 동작 패턴이란 터치 패드에 접촉된 손가락의 개수, 움직임 방향, 움직임 폭, 모양 등을 나타내는 손가락의 제스처(gesture)를 의미한다.Here, the finger operation pattern refers to a gesture of the finger indicating the number of fingers touching the touch pad, the movement direction, the movement width, the shape, and the like.

차량 탑재 기기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서 다양한 음악과 영화 등을 즐길 수 있거나 주행 중 길 안내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차량에 설치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을 나타낸다.The vehicle-mounted device represents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enjoy various music and movies on the vehicle or utilize the navigation function while driving.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들을 이용한 조작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손가락 동작 패턴에 따른 차량 탑재 기기의 조작을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an operation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n-vehicle device according to the finger operation patter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손가락 1개(접촉점 1)로 터치 패드에 특정 문자, 이를 테면 영문 J를 쓸 경우, 차량 탑재 기기가 활성화(activated)된다. 이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영역은 터치 패드의 어떤 영역이라도 무방하지만, 터치 센서의 감도를 고려하여 터치 패드의 중앙 지역이 바람직하다.When a user writes a specific character, such as J in English, on the touchpad with one finger (contact point 1), the vehicle-mounted device is activated.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d may be any area of the touch pad, but the center area of the touch pad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사용자가 손가락 2개(접촉점 2)로 터치 패드에 더블 클릭(double click)할 경우 차량 탑재 기기의 메뉴가 실행된다. 이때 더블 클릭을 수행했는지 여부는 특정 시간 이를 테면, 0.5초 안에 2번 연속해서 터치되었는지 여부로 판단된다. 이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영역은 터치 패드의 어떤 영역이라도 무방하지만, 터치 센서의 감도를 고려하여 터치 패드의 중앙 지역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double-clicks the touchpad with two fingers (touch point 2), the menu of the vehicle-mounted device is executed. In this case, whether or not the double-click is performed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touch has been continuously touched twice within 0.5 seconds,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d may be any area of the touch pad, but the center area of the touch pad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사용자가 손가락 3개(접촉점 3)로 터치 패드를 누른 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차량 탑재 기기의 볼륨이 크거나 작게 된다. 이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영역은 터치 패드의 어떤 영역이라도 무방하지만, 터치 센서의 감도를 고려하여 터치 패드의 중앙 지역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hile holding the touch pad with three fingers (contact point 3), the volume of the on-board device becomes large or small.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d may be any area of the touch pad, but the center area of the touch pad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사용자가 손가락 2개(접촉점 2)로 터치 패드의 좌우 영역을 각각 누를 경우 차량 탑재 기기의 메뉴간 이동이 구현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touch pad with two fingers (touch point 2), movement between the on-board devices is realized.

사용자가 손가락 2개(접촉점 2)로 터치 패드를 누른 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메뉴의 이전 단계로 실행된다. 이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영역은 터치 패드의 어떤 영역이라도 무방하지만, 터치 센서의 감도를 고려하여 터치 패드의 중앙 지역이 바람직하다.If the user rotates counterclockwise while pressing the touch pad with two fingers (touch point 2), it is executed as the previous step of the menu.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d may be any area of the touch pad, but the center area of the touch pad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손가락 5개(접촉점 5)로 활짝 핀 상태로 누른 후 오므리는 동작을 할 경우, 현재 어플리케이션 종류 후 기본 메뉴로 이동하는 동작이 구현된다. 이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영역은 터치 패드의 어떤 영역이라도 무방하지만, 터치 센서의 감도를 고려하여 터치 패드의 중앙 지역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presses the touch pad with five fingers (touch point 5) in a blank state and then performs the operation, the operation to move to the basic menu after the current application type is implemented.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d may be any area of the touch pad, but the center area of the touch pad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손가락 동작 패턴은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것들을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취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응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Although the finger operation pattern is easy to memorize by the us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natural that the finger operation pattern can be variously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taste of the user.

다음으로 CCP를 이용한 조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 CCP will be described.

우선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에 손가락이 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단계를 갖는다. 이 경우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압력 또는 소정의 정전용량이 검출된 경우 터치되었다고 판단한다.And a first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nger is touched to the operation-key-condition determining unit 510 first. In this case,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a predetermined capacitance is detected using the touch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detected.

터치가 감지된 경우 활성화된 손가락의 접촉점(spot) 개수를 분석하는 제2 단계를 갖는다. 이 경우 손가락의 접촉점(spot) 개수는 1개 ~ 5개 가능하며, 통상적인 멀티 터치 감지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된다.And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number of spots of the activated finger when a touch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spots of the finger can be one to five, and is analyzed using a conventional multi-touch sensing method.

이후 접촉점(spot)의 개수 및 손가락의 제스처에 따라 차량 탑재 기기의 메뉴를 실행하는 제3 단계를 갖는다. 이 경우 메뉴의 실행 형태에 따라 앞서 설명한 각각의 동작 즉 손가락 동작 패턴에 따른 조작이 수행된다.And a third step of executing a menu of the vehicle-mounted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pots and the gesture of the finger. In this case, each operation described above, that i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nger operation patter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form of the menu.

이후 디스플레이에 메뉴 실행에 따른 각각의 결과를 출력하는 제4 단계를 갖는다.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each result according to the menu execution on the display.

다음으로 차량 기능 제어 장치(5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기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Next, an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500 will be described.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un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가 차량 내에 위치하는 조작키가 가압되는지 여부 및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S630).First,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51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keys located in the vehicle are pressed and whether the hands are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s (S610 and S630).

이때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는 먼저 조작키가 가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10), 조작키가 가압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At this time, 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51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first (S61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key is not press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S630 ).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에 의해 조작키가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610), 기능 수행 제어부(520)가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620).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S610 that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by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510,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in operation S620.

한편 조작키 상황 판단부(510)에 의해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630),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530)가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preview)가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64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ing unit 510 that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S630),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530 controls the preview to be performed on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S6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one operation.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etc.,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cording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mor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차량 내에 위치하는 조작키가 가압되는지 여부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작키 상황 판단부;
상기 조작키가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수행 제어부;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preview)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An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key located in the vehicle is pressed and whether a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A function execution controller for performing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when the operation key is determined to be pressed; And
A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preview of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h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ke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function using the previe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 상황 판단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hand is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능 수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preview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not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Wherein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locat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위치하는 동안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preview to be executed while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미리보기를 화면 형태로 생성하여 스택(stack)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generates the preview in a screen form and adds the preview to the sta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보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generates a second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pplica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and generates the preview using the second application, A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는 상기 차량 내에 적어도 두개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석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집중키 형태로 형성되거나, AVN 시스템의 일측에 집중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operation keys ar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re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nsive ke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or formed in a concentrated key shape on one side of the AVN system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 상황 판단부는 상기 조작키가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며,
상기 기능 수행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가 상기 제2 기준 시간 이상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또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key condition determining unit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for a second reference time or longer,
Wherein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other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over the second referenc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 상황 판단부는 손가락에 의한 상기 조작키 상의 접촉점 개수와 상기 손가락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며,
상기 기능 수행 제어부는 상기 동작 패턴과 미리 저장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리보기 실행 제어부는 상기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key state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on the operation keys by the finger and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finger,
Wherein the function execution control unit compares the operation pattern with previously stored patterns to control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attern to be performed,
Wherein the preview execution control unit controls to preview a function related to the pattern to be matched.
차량 내에 위치하는 조작키가 가압되는지 여부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작키가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키 상에 손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미리보기(preview)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방법.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key located in the vehicle is pressed and whether a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Controlling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to be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is positioned on the operation key, controlling to preview the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And controlling the vehicle function using the preview.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 상에 상기 손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furth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hand is positioned over the first reference time on the operation ke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보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preview may include generating a second applic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pplication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key and generating the preview using the second application Wherein the vehicle function control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손가락에 의한 상기 조작키 상의 접촉점 개수와 상기 손가락의 동작 패턴을 감지하며,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패턴과 미리 저장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되는 패턴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미리보기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보기를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detects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on the operation keys by a finger and an operation pattern of the finger,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 includes comparing the operation pattern with the patterns stored in advance to control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attern to be performed,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preview controls the execution of a preview of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attern to be matched.
KR1020140109598A 2014-08-22 2014-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 KR2016002333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98A KR20160023336A (en) 2014-08-22 2014-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
CN201510524575.8A CN105389075A (en) 2014-08-22 2015-08-24 A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utilizing previe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98A KR20160023336A (en) 2014-08-22 2014-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336A true KR20160023336A (en) 2016-03-03

Family

ID=5542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598A KR20160023336A (en) 2014-08-22 2014-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23336A (en)
CN (1) CN105389075A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6012A1 (en) * 2008-12-04 2010-06-10 Microsoft Corporation Previewing search results for suggested refinement terms and vertical searches
US20120084644A1 (en) * 2010-09-30 2012-04-05 Julien Robert Content preview
CN103262110B (en) * 2010-12-20 2017-02-15 英特尔公司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management and presentation of content
US8875051B2 (en) * 2011-12-08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navigation bar for expanded communication service
CN102662585A (en) * 2012-04-06 2012-09-12 潘晓雷 Method for adaptively regulating touch input rang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89075A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9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9177899B (en) Interaction method of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JP5640486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EP3000013A1 (en) Interactive multi-touch remote control
CN10268176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2057345A (en) Haptic user interface
US10956030B2 (en)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WO2016051440A1 (en) Vehicle and steering unit
CN102834791A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8108042B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659254B2 (en) Input operation receiving device and threshold adjustment method
CN104423697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588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EP27654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20124518A (en) Device for operating car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 and method of thereof
WO2019021418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WO2012111227A1 (en) Touch inpu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method
JP2017030746A (en) Vehicle and steering unit
KR1013643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user terminal with touch screen
KR102080725B1 (en) Vehicle user interface apparatus using stretcha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2027538A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233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 using preview
KR1015732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inting in displaying touch position electronic device
US20150205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between avn system modes
KR102452540B1 (en)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