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260A -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260A
KR20160021260A KR1020167001205A KR20167001205A KR20160021260A KR 20160021260 A KR20160021260 A KR 20160021260A KR 1020167001205 A KR1020167001205 A KR 1020167001205A KR 20167001205 A KR20167001205 A KR 20167001205A KR 20160021260 A KR20160021260 A KR 2016002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relay
determined
candidate
du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990B1 (ko
Inventor
젱젱 리
웨이민 첸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하는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방법은 구성 장치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구성 장치가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각각 전송하여, 릴레이 및 기지국이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반환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고,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반환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들을 구성하여, 간섭 조건 및 부하 조건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유연하게 구성하며,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률 및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RELAY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본원은 "RELAY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라는 명칭으로 2013년 6월 27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310263269.4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통신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롱텀 에볼루션) 기술의 개발에 따라, 무선 통신의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무선 통신의 커버리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무선 릴레이(Relay) 기술이 LTE 기술에 도입된다. 무선 릴레이 기술에서는, 기지국이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 신호가 직접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릴레이에 의해 처리된 후에 전송된다. 릴레이 기술은 RN(Relay Node, 릴레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의 RN과 기지국 간의 통신 및 RN과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포함하며, 기지국과 RN 간의 링크는 백홀 링크로서 지칭되고, RN과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링크는 액세스 링크로서 지칭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통신 네트워크가 배치되기 전에,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스펙트럼 자원들 및 릴레이의 이중 모드가 사전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며, 후속 통신 프로세스에서,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의해 사용되는 스펙트럼 자원들 및 릴레이의 이중 모드는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은 적어도 아래의 단점들을 갖는다.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고정적으로 사용하고, 액세스 링크의 주파수 대역이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거나 인접할 때, 신호 간섭이 유발되며, 릴레이가 심지어 적절히 기능하지 못할 수 있거나;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고정적으로 사용할 때,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스펙트럼 자원들이 낭비되며, 이는 스펙트럼 자원 이용을 저하시킨다. 더욱이, 전술한 사례가 발생하거나, 통신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 및 간섭 상태가 변할 때, 통신 네트워크는 유연하게 구성될 수 없으며, 따라서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된다.
발명의 요약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기술적 해법들은 다음과 같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릴레이 구성 방법이 제공되며, 통신 시스템은 무선 릴레이(Relay), 단말기 디바이스 및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는 액세스 링크이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 링크는 백홀 링크이며, 상기 방법은
구성 장치에 의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상기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함 -;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구성 결과들을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2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2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3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4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5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6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구성 장치는 상기 기지국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는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는 상기 릴레이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는 중앙 제어기 상에 위치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릴레이 구성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하거나,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상기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웃 셀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릴레이 구성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전송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전송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상기 부하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구성 장치가 제공되며, 통신 시스템은 무선 릴레이(Relay), 단말기 디바이스 및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는 액세스 링크이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 링크는 백홀 링크이며, 상기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상기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함 -;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결과 결정 모듈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결과들을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결과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구성 결과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유닛; 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유닛; 또는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유닛
을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2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 간격 획득 서브유닛; 및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
을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2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3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의 제2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4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의 제2의 가능한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5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6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 상에 위치하거나;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릴레이 상에 위치하거나;
중앙 제어기 상에 위치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구성 장치에 의해,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상기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함 -;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결과들을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릴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송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하거나,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상기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동작;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동작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지국이 제공되며, 상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송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전송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전송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동작;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법은 아래의 유리한 효과들을 가져온다.
구성 결과들이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들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결정되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가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하기 위해 구성 결과들에 따라 구성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 및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법들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들이 간단히 소개된다. 명백히, 아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나타낼 뿐이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독창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1 및 도 4a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스위칭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스위칭의 개략도이다.
도 5a1 및 도 5a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이중 모드의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장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법들이 명확히 그리고 완전히 설명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창조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구성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무선 릴레이(Relay), 단말기 디바이스 및 포함하고, 릴레이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는 액세스 링크이고, 릴레이와 기지국 간의 통신 링크는 백홀 링크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01.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구성 장치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무선 릴레이(Relay)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단계 101은 아래의 3개의 예를 포함한다:
(1)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는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결정하고,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측정된 상태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다수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즉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고,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테스트함으로써 백홀 링크의 다수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즉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한다.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한다.
릴레이가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를 측정하고, 기지국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측정하는 프로세스들이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5 MHz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스펙트럼 자원들은 사전 설정된 간격에 따라 다수의 주파수 범위로 분할되며, 각각의 주파수 범위는 주파수 대역이다. 예를 들어, 운영자는 80 MHz의 스펙트럼 자원들을 제공하며, 이들은 20 MHz가 주파수 대역인 것에 따라 4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고, 4개의 주파수 대역은 연속적으로 f1, f2, f3 및 f4이다.
(2) 구성 장치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한다.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은 시분할 이중 모드,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 및 전이중 모드를 포함한다. 릴레이가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스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릴레이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 구성 장치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에 대해 구성되는 이중 모드를 결정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의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에 대한 적절한 동작 주파수 대역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그에 대한 어떠한 한정도 설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구성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이 전이중 모드 및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포함할 때, 이중 모드는 전이중 모드이고,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이중 모드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이고,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3)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한다.
102.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한다.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액세스 링크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및 백홀 링크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즉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구성 장치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의 이중 모드를 결정하거나,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의 이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특정 상태들에 따르면, 이중 모드는 시분할 이중 모드,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 및 전이중 모드일 수 있다.
103. 구성 장치는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릴레이 및 기지국이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구성 장치는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구성 결과들에 따라 릴레이에 대한 동작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릴레이는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새로운 주파수 대역 또는 새로운 이중 모드를 사용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구성 장치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고;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릴레이 및 기지국이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해법을 이용함으로써, 구성 결과들이 결정되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가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동작을 위해 구성 결과들에 따라 구성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 및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옵션으로서, 구성 장치에 의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성 장치에 의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구성 장치에 의해,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구성 장치에 의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구성 장치에 의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구성 장치에 의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구성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에 의해,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에 의해,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에 의해,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에 의해,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구성 장치는 기지국 상에 위치하거나;
구성 장치는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상에 위치하거나;
구성 장치는 릴레이 상에 위치하거나;
구성 장치는 중앙 제어기 상에 위치한다.
모든 전술한 옵션인 기술적 해법들의 임의 조합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옵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들이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실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201. 무선 릴레이(Relay)는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는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기준 신호 수신 전력)와 같은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이웃 셀 간섭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를 학습한다.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이웃 셀 간섭 파라미터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을 때, 이웃 셀 간섭 파라미터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은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이웃 셀 간섭 파라미터를 측정함으로써 다수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여, 다수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202.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하거나, 릴레이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구성 장치가 수신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수신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한다. 대안으로서, 릴레이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 구성 장치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한다. 대안으로서,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고,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수신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한다.
203. 릴레이는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한다.
구성 결과들은 액세스 링크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즉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백홀 링크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즉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며, 구성 결과들은 구성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릴레이의 이중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04. 릴레이는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한다.
릴레이는 구성 결과들 내에 있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이중 모드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원래 주파수 대역 및 백홀 링크의 원래 주파수 대역을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스위칭하고, 구성 장치에 의해 구성된 이중 모드에 따라 동작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가 구성 결과들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되는 것이 구현되어, 신호 간섭 또는 스펙트럼 자원들의 낭비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무선 릴레이(Relay)는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고;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하거나, 릴레이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구성 장치가 수신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며; 릴레이는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고,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법을 이용함으로써, 릴레이에 의해 결정된 구성 결과들이 수신되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가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동작을 위해 구성 결과들에 따라 구성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 및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이웃 셀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릴레이에 의해,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주파수 대역을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기지국에 의해 실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301.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 예로서 자원 이용과 같은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 파라미터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거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가 감소할 때, 부하 파라미터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거나 부하가 감소하는 주파수 대역은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가 결정된다.
302. 기지국은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구성 장치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전송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릴레이에 의해 전송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한다.
303. 기지국은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구성 결과들을 수신한다.
304. 기지국은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한다.
기지국은 구성 결과들 내에 있는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이중 모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원래 주파수 대역을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스위칭하고, 새로운 이중 모드를 이용하여 동작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구성 결과들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되는 것이 구현되고, 신호 간섭 또는 스펙트럼 자원들의 낭비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구성 장치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전송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릴레이에 의해 전송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며, 기지국은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고,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지국은 구성 장치에 의해 결정된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고,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동작을 위한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 및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옵션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도 4a1 및 도 4a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2개의 상호작용 당사자는 기지국과 무선 릴레이(Relay)이며, 구성 장치가 기지국 상에 구성된다. 도 4a1 및 도 4a2를 참조하면,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401. 릴레이는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획득한다.
402. 이웃 셀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릴레이는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주파수 대역을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릴레이는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RSRP를 사전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고,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주파수 대역을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여,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403.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단계 407을 수행한다.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5 MHz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구성 장치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기지국 상에 구성된 구성 장치로 전송한다.
404.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획득한다.
부하 상태는 자원 이용, 사용자들의 수 등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405.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여,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자원 이용 또는 사용자들의 수와 같은 부하 상태의 파라미터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이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어,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가 결정된다.
406. 기지국은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구성 장치는 기지국 상에 구성되며, 따라서 이 단계는 구성 장치와 기지국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결정 모듈 사이에서 수행된다.
407.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고, 단계 408 또는 단계 409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들은 f1 및 f2이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들은 f3 및 f4이며, 이어서 f1과 f3, f1과 f4, f2와 f3 및 f2와 f4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들이 각각 계산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은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의 하한으로부터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의 상한을 뺌으로써 획득된다. f4의 하한 포인트가 2660 MHz이고, f1의 상한 포인트가 2620 MHz인 경우, f4와 f1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은 40 MHz이고; f1 및 f4의 상한 포인트들이 둘 다 2640 MHz이고, 하한 포인트들이 둘 다 2620 MHz인 경우, f1과 f4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은 -20 MHz이며, 즉 f1 및 f4는 동일 주파수 대역이다.
408.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며, 단계 414를 수행한다.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계산함으로써 다수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구성 장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비교하고, 최대 주파수 대역을 갖는 주파수 대역 간격을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으로 사용한다.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한다.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는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f2와 f4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이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max)이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max)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크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f2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고, f4는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며, 이중 모드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된다.
409.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구성 장치는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며, 단계 410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f2와 f4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이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max)이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max)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주파수 대역 간격이 다수의 주파수 대역 간격으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f1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고, f4가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된다.
410.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4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11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고,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는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되며,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411.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는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4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12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 단계에서, f1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고, f4는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되며; f1과 f4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이 사전 설정된 간격인 -20 MHz와 동일할 때, 이것은 f1과 f4가 동일하다는 것을 지시하고, 이 경우에 이중 모드는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며, 이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간섭을 방지한다.
412.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는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4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13을 수행한다.
f1과 f4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이 0 MHz와 동일할 때, 이것은 f1과 f4가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라는 것을 지시하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할 때, 기지국은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며, 이는 인접 주파수 간섭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는 약 10%이며, 이는 인접 주파수 간섭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펙트럼 자원들의 낭비도 방지할 수 있다.
413.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는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414를 수행한다.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할 때,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은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414. 구성 장치는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구성 장치에 의해 구성 결과들을 전송하고 기지국에 의해 수신하는 것은 기지국 및 구성 장치의 내부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415. 릴레이 및 기지국은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를 구성한다.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들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때, 구성 결과들 내의 타겟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이중 모드일 때, 기지국은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예약 보호 간격 밖에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 릴레이와 통신하며; 타겟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일 때, 기지국은 기존의 방식으로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릴레이와 통신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스위칭의 개략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는 시분할 이중 모드를 사용한다. 주파수 대역 스위칭 전에,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인 f2이고, 액세스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f2이며, f2의 부하가 증가하고, 주파수 대역 f3의 부하가 감소할 때,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은 f3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이중 모드는 변경되지 않고,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f3이고, 액세스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f2이다.
구성 결과들에 따라 이중 모드를 스위칭할 때, 릴레이 및 기지국은 구성 결과들 내의 원래 이중 모드 및 타겟 이중 모드에 따라 구성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특히 아래의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원래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가 제거된다.
시분할 이중 모드에서,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은 구성되는 것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프레임, 릴레이의 PDCCH, 및 PDSCH의 시작 위치가 제한되는 것이 더 필요하지만;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백홀 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이 구성될 필요가 없고, 기지국은 일반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릴레이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모드가 스위칭될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제거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스위칭의 개략도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이 수행되기 전에, 릴레이는 시분할 이중 모드를 사용하고,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f2이고, 액세스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f2이며; f2의 부하가 증가하고, 주파수 대역 f4의 부하가 감소할 때,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은 f4로서 구성될 수 있다. f4와 f2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크므로, 타겟 이중 모드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즉 릴레이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사용하고,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f4이고, 액세스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f2이다. 이 경우, 릴레이의 이중 모드,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 및 액세스 링크의 주파수 대역이 모두 변경된다.
(2) 원래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구성된다.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 백홀 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이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은 일반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릴레이와 통신할 수 있지만, 시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이 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 릴레이의 PDCCH, 및 PDSCH의 시작 위치가 제한되는 것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이중 모드가 스위칭될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구성된다.
(3) 원래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제거되며,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설정된다.
시분할 이중 모드에서,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 및 릴레이의 PDCCH는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며, PDSCH의 시작 위치가 제한되는 것이 더 필요하지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설정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백홀 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이 구성될 필요가 없고, 기지국은 일반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릴레이와 통신할 수 있지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중 모드가 스위칭될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이 제거되며,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설정된다.
(4) 원래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설정된다.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설정될 필요가 없지만,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모드에서는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중 모드가 스위칭될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설정된다.
(5) 원래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제거되며,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구성된다.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 백홀 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은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은 일반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릴레이와 통신할 수 있지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시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 및 릴레이의 PDCCH가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고, PDSCH의 시작 위치가 제한되는 것이 더 필요하지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설정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중 모드가 스위칭될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제거되며,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구성된다.
(6) 원래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제거된다.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설정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중 모드가 스위칭될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제거된다.
(7) 원래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구성된다.
전이중 모드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와 유사하며, 차이점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에서는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하지만, 전이중 모드에서는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릴레이가 자기 간섭 제거 능력을 갖는다는 것이다.
(8) 원래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 백홀 링크의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 및 릴레이의 PDCCH가 제거된다.
(9) 원래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설정된다.
(10) 원래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이고, 타겟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일 때,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제거된다.
옵션으로서, 액세스 링크의 주파수 대역, 백홀 링크의 주파수 대역 및 이중 모드가 구성 결과들에 따라 스위칭될 때, 스위칭을 완료하기 위해 RRC RN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모드의 스위칭을 구현하기 위해 아래의 필드들이 메시지에 추가되는 것이 필요하다:
(1) 백홀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한의 설정/제거;
(2) PDSCH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제한의 설정/제거;
(3) 릴레이의 PDCCH의 설정/제거; 및
(4) 백홀 링크의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의 설정/제거.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구성 결과들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결정되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가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동작을 위해 구성 결과들에 따라 구성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 및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5a1 및 도 5a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기지국, 무선 릴레이(Relay) 및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또는 중앙 제어기 간의 상호작용의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구성 장치가 OAM 서버 또는 중앙 제어기 상에 구성된다. 도 5a1 및 도 5a2를 참조하면,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501. 릴레이는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획득한다.
502. 이웃 셀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을 때, 릴레이는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주파수 대역을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한다.
503.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OAM 서버로 전송하고, 단계 507을 수행한다.
옵션으로서,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에서 동작할 때, 기지국은 백홀 링크를 구성할 수 있고, 릴레이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링크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며, 이는 x, 예를 들어 기지국의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의 강도로서 기록된다. 게다가, 기지국은 액세스 링크를 구성하고, 릴레이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링크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며, 이는 y, 예를 들어 UE의 업링크 파일럿 신호의 강도로서 기록된다. 액세스 링크의 신호 강도(x) 및 백홀 링크의 신호 강도(y) 양자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을 때, 릴레이는 전이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즉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이 전이중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릴레이는 시분할 이중 모드에서 동작하며,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들은 모두 f2이다. 기지국은 백홀 링크를 구성하고, 릴레이는 서브프레임 1에서 액세스 링크의 신호 강도(x)를 측정하며; 기지국은 액세스 링크를 구성하고, 릴레이는 서브프레임 2에서 백홀 링크의 신호 강도(y)를 측정한다. x 및 y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을 때, 기지국은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이 전이중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OAM 서버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중앙 제어기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프로세스는 유사하며, 상세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구성 장치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OAM 서버로 전송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OAM 서버 상에 구성되는 구성 장치로 전송한다.
504.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획득한다.
부하 상태는 자원 이용, 사용자들의 수 등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505.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여,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506. 기지국은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OAM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구성 장치는 OAM 서버 상에 구성되며, 따라서 기지국은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OAM 서버로 전송하고, OAM 서버는 구성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OAM 서버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OAM 서버로 전송하거나;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OAM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그에 대한 어떠한 한정도 설정하지 않는다.
507. OAM 서버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고, 단계 508 또는 단계 509를 수행한다.
508.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OAM 서버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며, 단계 514를 수행한다.
OAM 서버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계산함으로써 다수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OAM 서버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비교하고, 최대 주파수 대역을 갖는 주파수 대역 간격을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으로 사용한다.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OAM 서버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509.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OAM 서버는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며, 단계 510을 수행한다.
510.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5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11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고,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는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되며, 이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511.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OAM 서버는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5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12를 수행한다.
512.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OAM 서버는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5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13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는 약 10%이며, 이는 인접 주파수 간섭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펙트럼 자원들의 낭비도 방지할 수 있다.
513.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OAM 서버는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514를 수행한다.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OAM 서버는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514. OAM 서버는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515. 릴레이 및 기지국은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구성 결과들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결정되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가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동작을 위해 구성 결과들에 따라 구성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 및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2개의 상호작용 당사자는 기지국과 무선 릴레이(Relay)이며, 구성 장치가 릴레이 상에 구성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601. 릴레이는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획득한다.
602. 이웃 셀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릴레이는 RSRP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주파수 대역을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한다.
603. 릴레이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 단계 607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구성 장치는 릴레이 상에 구현되며; 따라서 이 단계는 릴레이의 상이한 기능 모듈들 사이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구성 장치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604. 기지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획득한다.
605.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여,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606. 기지국은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릴레이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구성 장치는 릴레이 상에 구성되며, 따라서 기지국은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릴레이로 전송하고, 릴레이는 구성을 수행한다.
607.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고, 단계 608 또는 단계 609를 수행한다.
608.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구성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며, 단계 614를 수행한다.
609.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구성 장치는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며, 단계 610을 수행한다.
610.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6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11을 수행한다.
611.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는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6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12를 수행한다.
612.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는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6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13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는 약 10%이며, 이는 인접 주파수 간섭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펙트럼 자원들의 낭비도 방지할 수 있다.
613.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구성 장치는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614를 수행한다.
614. 구성 장치는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615. 릴레이 및 기지국은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구성 결과들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결정되고, 주파수 대역들 및 이중 모드가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동작을 위해 구성 결과들에 따라 구성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상태 및 부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 이용 및 네트워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장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는 수신 모듈(71), 구성 결과 결정 모듈(72), 구성 결과 송신 모듈(73)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71)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구성 결과 결정 모듈(72)은 수신 모듈(71)에 접속되고; 구성 결과 결정 모듈(72)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한다. 구성 결과 송신 모듈(73)은 구성 결과 결정 모듈(72)에 접속되고; 구성 결과 송신 모듈(73)은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릴레이 및 기지국이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구성 결과 결정 모듈(72)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유닛; 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유닛; 또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유닛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제1 결정 유닛은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 간격 획득 서브유닛; 및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은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은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제3 결정 유닛은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제3 결정 유닛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제3 결정 유닛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제3 결정 유닛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제3 결정 유닛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장치는
기지국 상에 위치하거나;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상에 위치하거나;
릴레이 상에 위치하거나;
중앙 제어기 상에 위치한다.
수신 모듈(71)은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고, 구성 결과 송신 모듈(73)은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고, 수신 모듈(71) 및 구성 결과 송신 모듈(73)은 하드웨어 구현에 대응하는 송수신기인 송수신기 유닛을 형성하도록 통합될 수 있다. 구성 결과 결정 모듈(72)은 하드웨어 형태에 있어서 구성 장치의 프로세서 내에 내장되거나 그와 무관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형태에서 구성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로세서는 이전의 모듈들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을 호출 및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구성 장치에 의한 릴레이 구성 동안에는 전술한 기능 모듈들의 분할만을 이용하여 설명이 주어졌다. 실제로 기능들은 요구되는 바와 같은 구현을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들에 할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도록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된다. 게다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구성 장치는 릴레이 구성 방법을 예시하는 실시예들과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한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릴레이 디바이스는 수신기(801), 송신기(802), 메모리(803) 및 프로세서(804)를 포함하며, 수신기(801), 송신기(802) 및 메모리(803)는 프로세서(804)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메모리(803)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세서(8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수신기(801)를 이용하여,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구성 장치에 의해,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동작 -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함 -;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동작 -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송신기(802)를 이용하여, 구성 결과들을 릴레이 및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릴레이 및 기지국이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프로세서(8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동작; 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또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프로세서(8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는 동작; 및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프로세서(8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또는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프로세서(8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프로세서(8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또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또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또는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이중 모드가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디바이스는
기지국 상에 위치하거나;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상에 위치하거나;
릴레이 상에 위치하거나;
중앙 제어기 상에 위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릴레이 디바이스는 수신기(901), 송신기(902), 메모리(903) 및 프로세서(904)를 포함하며, 수신기(901), 송신기(902) 및 메모리(903)는 프로세서(904)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메모리(903)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세서(9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동작;
송신기(902)를 이용하여,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하거나, 릴레이에 의해,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구성 장치가 수신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동작;
수신기(901)를 이용하여,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동작 -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프로세서(9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획득하는 동작; 및
이웃 셀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릴레이에 의해,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주파수 대역을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수신기(1001), 송신기(1002), 메모리(1003) 및 프로세서(1004)를 포함하며, 수신기(1001), 송신기(1002) 및 메모리(1003)는 프로세서(1004)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물론, 기지국은 일반 컴포넌트들, 예로서 안테나, 기저대역 처리 컴포넌트, 중간 무선 주파수 처리 컴포넌트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003)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세서(10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동작;
송신기(1002)를 이용하여,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구성 장치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전송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릴레이에 의해 전송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동작;
수신기(1001)를 이용하여,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프로세서(1004)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를 획득하는 동작; 및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기지국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제공된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 등과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며, 여기서는 상세들이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 또는 관련 하드웨어에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변경, 등가적인 대체 및 개량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21)

  1. 릴레이 구성 방법으로서,
    통신 시스템이 무선 릴레이(Relay), 단말기 디바이스 및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링크는 액세스 링크이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통신 링크는 백홀 링크이며, 상기 방법은
    구성 장치에 의해,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상기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함 -;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구성 결과들을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장치는 상기 기지국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는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는 상기 릴레이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구성 장치는 중앙 제어기 상에 위치하는 방법.
  8. 릴레이 구성 방법으로서,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하거나,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상기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릴레이의 커버리지 영역의 이웃 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웃 셀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릴레이 구성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전송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전송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상기 부하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각각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부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후보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구성 장치로서,
    통신 시스템이 무선 릴레이(Relay), 단말기 디바이스 및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링크는 액세스 링크이고, 상기 릴레이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통신 링크는 백홀 링크이며, 상기 장치는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상기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상기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함 -;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결과 결정 모듈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결과들을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결과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구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결과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유닛; 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유닛; 또는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이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구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간의 주파수 대역 간격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 간격 획득 서브유닛; 및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에 따라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구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일 때,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 서브유닛은 상기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보다 작을 때, 주파수 대역 간격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내에 있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 간격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 각각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획득된 최대 주파수 대역 간격이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이상이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전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전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내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예약 보호 대역을 갖는 상기 주파수 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3 결정 유닛은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는 주파수 대역들이고, 상기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의 총 대역폭에 대한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의 비율이 사전 설정된 비율 범위 밖에 속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가 시분할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이중 모드가 상기 시분할 이중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장치.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 상에 위치하거나;
    운영, 관리 및 유지(OAM) 서버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릴레이 상에 위치하거나;
    중앙 제어기 상에 위치하는 구성 장치.
  19. 디바이스로서,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수신하고/하거나,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은 상기 릴레이의 대역외 억압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액세스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는 백홀 링크의 후보 주파수 대역을 포함함 -;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의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결과들을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릴레이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게 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0. 릴레이 디바이스로서,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이웃 셀에 대한 간섭의 상태 및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따라 액세스 링크의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을 구성 장치로 전송하고/하거나,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이중 모드 능력을 상기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수신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상기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수신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동작;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동작 - 상기 구성 결과들은 제1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제2의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구성 결과들은 이중 모드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릴레이 디바이스.
  21. 기지국으로서,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백홀 링크의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를 구성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구성 장치가 무선 릴레이(Relay)에 의해 전송된 제1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 인접 주파수 보호 간격, 및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대역 세트, 및/또는 상기 릴레이에 의해 지원되고 상기 릴레이에 의해 전송된 이중 모드 능력에 따라 구성 결과들을 결정하게 하는 동작;
    상기 구성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구성 결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구성 결과들에 따라, 액세스 링크 및 상기 백홀 링크가 동작할 주파수 대역들 및/또는 이중 모드를 구성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KR1020167001205A 2013-06-27 2014-06-27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28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63269.4 2013-06-27
CN201310263269.4A CN104254077B (zh) 2013-06-27 2013-06-27 中继配置方法和设备
PCT/CN2014/080956 WO2014206338A1 (zh) 2013-06-27 2014-06-27 中继配置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260A true KR20160021260A (ko) 2016-02-24
KR101728990B1 KR101728990B1 (ko) 2017-04-20

Family

ID=5214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205A KR101728990B1 (ko) 2013-06-27 2014-06-27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01579B1 (ko)
JP (1) JP6316414B2 (ko)
KR (1) KR101728990B1 (ko)
CN (1) CN104254077B (ko)
WO (1) WO2014206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7977B2 (en) 2015-04-09 202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riteria for relay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08693B2 (en) 2015-05-05 2020-03-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Base station, small cell, and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method
EP3361775A1 (en) * 2017-02-08 2018-08-1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hannel selection device and method for extended wi-fi network
EP3642972A1 (en) * 2017-06-22 2020-04-29 Nextivity, Inc. Selecting relay frequencies in a mobile repeater
CN107634792A (zh) * 2017-09-04 2018-01-26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回传共站干扰抑制的方法、设备及网络设备
CN110582120B (zh) * 2018-06-11 2022-07-08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多级中继组网方法和装置
US10979132B2 (en) * 2018-08-10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Organization of inter-relay discovery reference signals
CN113994726A (zh) * 2019-06-18 2022-01-28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节点及无线通信方法
US11943176B2 (en) 2021-06-15 2024-03-26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ing pattern detection for repeaters
WO2023072493A1 (en) * 2021-10-26 2023-05-04 Sony Group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a repeater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24036490A1 (en) * 2022-08-16 2024-02-22 Zt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dd configuration for smart nodes
GB2622060A (en) * 2022-08-31 2024-03-0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97839A1 (en) * 2022-09-20 2024-03-21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relaying using mini-slo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5674A (ja) * 2004-11-05 2006-05-25 Ntt Docomo Inc 移動通信用受信装置、移動通信用送信装置、移動通信用受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用送信方法
CN101552991B (zh) * 2008-04-03 2016-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tdd无线通信系统的小区间时分双工模式的配置方法
JP4982409B2 (ja) * 2008-03-06 2012-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KR101533295B1 (ko) * 2008-04-23 2015-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네트워크 진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815304B (zh) * 2009-02-25 2015-06-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中继系统中频带资源的处理方法及设备
CN101998432B (zh) * 2009-08-13 2014-01-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回程链路帧结构的配置方法、设备和系统
US9014080B2 (en) * 2009-10-30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backhau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65773A2 (ko) * 2009-11-27 2011-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채널의 주파수 선택적 특성을 증가시키는 중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 장치
CN102823188A (zh) * 2010-02-11 2012-12-12 诺基亚西门子通信公司 分量载波的分配
RU2531580C2 (ru) * 2010-05-25 2014-10-2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2378191B (zh) * 2010-08-13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对相邻信道进行辅助发射的方法、系统和无线通信装置
JP5529674B2 (ja) * 2010-08-16 2014-06-25 株式会社Nttドコモ 接続方法及び無線基地局
CN102123492B (zh) * 2011-01-14 2014-01-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配置下行子帧和接收下行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WO2012103698A1 (zh) * 2011-06-22 201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中继网络中的工作模式切换方法、基站、中继节点及通讯系统
CN103002501A (zh) * 2011-09-19 2013-03-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移动中继的实现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6338A1 (zh) 2014-12-31
EP3001579A4 (en) 2016-06-29
KR101728990B1 (ko) 2017-04-20
JP6316414B2 (ja) 2018-04-25
CN104254077A (zh) 2014-12-31
JP2016528771A (ja) 2016-09-15
CN104254077B (zh) 2018-01-02
EP3001579A1 (en) 2016-03-30
EP3001579B1 (en)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990B1 (ko) 릴레이 구성 방법 및 디바이스
US11470611B2 (en)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for carrier selection and switching
US9955481B2 (en) Opportunistic carrier aggregation using short range extension carriers
EP3138361B1 (en) A mechanism of resource-pool configuration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10231284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JP598117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端末
JP5520392B2 (ja) 中継ノードの状態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EP290002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source information
KR20180074716A (ko) 후보 수치론들의 중첩 세트들을 사용하여 캐리어들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10228700A1 (en) Subframe Allocation for In-Band Relay Nodes
CN102204397B (zh) 用于在蜂窝网络中进行数据处理的方法和设备
CN113411830B (zh)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6059063A1 (en) Selecting the qci of a connection of an aggregator device
WO2016056556A1 (ja) ユーザ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最大送信電力決定方法
KR2016010507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03140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50319708A1 (en)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s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3207758A1 (en) Selecting the qci of a connection of an aggregator device
US2023016475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4029322A1 (en) Signaling to support power utilization modes for power sa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