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042A - 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042A
KR20160018042A KR1020140101937A KR20140101937A KR20160018042A KR 20160018042 A KR20160018042 A KR 20160018042A KR 1020140101937 A KR1020140101937 A KR 1020140101937A KR 20140101937 A KR20140101937 A KR 20140101937A KR 20160018042 A KR20160018042 A KR 2016001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optical communication
optic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동석
Original Assignee
송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석 filed Critical 송동석
Priority to KR102014010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042A/en
Publication of KR2016001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0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outlet and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The electrical outlet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is a wall-mounted or a multi-socket electrical outlet into which a plug of a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having a power terminal is plugged to distribute commercial power, and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groove (a socket) to which the power terminal is connected; and a second connection groove (a socket)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optical line, to which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nected. The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es a pair of power terminal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neutral terminal, and comprises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on a position facing the power terminals and the neutral terminal and separated from the power terminals and the neutral terminal.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optical line can be transmitted to an optical network unit (ONU) directly connected to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an optical transmitter (OTX) to reduce expenses, allow a user to conveniently use optical communication anywhere simply by connecting the plug to the electrical outlet, and resolve inconvenience of signal conversion by the optical transmitter.

Description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 및 플러그{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and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광 통신 단자와 전원 단자를 하나의 플러그에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의 각 단자가 삽입 접속 가능한 접속홈(소켓)을 형성한 콘센트를 통해 전원기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광 선로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 전송장치(OTX)를 거치지 않고 광통신망 유닛(ONU)으로 직접 전송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and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ug socket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ower source terminal formed in a plug and forming a connection groove (socket) into which each terminal of the plug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ptacle and a plug that directly supply power to a power supply apparatus through a receptacle and simultaneously transmit a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optical line to an optical network unit (ONU) without passing through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TX).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모든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시대를 넘어 모든 사물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로 접어드는 현실에 많은 기기들의 전력공급과 통신망 개설은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연결방법은 통신개설과 전력공급이 별개의 연결로 진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무선망을 이용할수 있으나 접속의 불안정성과 전송속도가 늦은 한계가 있고, 단일 통합 연결 방법으로는 전력선 통신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becoming a necessity to supply many devices and establish communication networks in the reality that the internet (IoT, Internet of Things), which connects all objects beyond the era when all computers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connection method and the electric power supply should proceed to separate connections. Although the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re are limitations in connection instability and transmission speed,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be used as a single integrated conne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이란 가정이나 사무실에 전력 공급용으로 배선 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하는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즉 AC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이 신호를 50Hz 또는 60Hz 차단 주파수를 갖고 있는 고주파 필터를 이용하여 분리해 수신함으로써, 상기 전력선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 Generally,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efers to a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s through a power line wired for power supply to a home or office. That is,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can be realized by modulating a data signal into an AC line and transmitting the data signal 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separa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by using a high frequency filter having a 50 Hz or 60 Hz cutoff frequency.

전력선 통신 기술은 기존의 배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배선 공사에 따르는 비용의 부담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 망이 구축 된 후에도 추가 기기를 플러그 인(Plug In)만으로 네트워크에 추가 시킬 수 있는 확장성이 보장되므로, 각종 유무선 네트워크 솔루션에 널리 적용 되고 있다. 그러나 늦은 전송속도와 노이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dvantages in that it does not incur the cost of additional wiring work because the network can be constructed using the existing wiring. In addition, after the network is established, it is ensured that the additional devices can be added to the network only by a plug-in, and thus it is widely applied to various wired and wireless network solutions. However, it has a drawback that it is vulnerable to late transmission speed and noise.

또한, 상기 전력선 통신 기술과 더불어 현재 광 동축 혼합망(HFC: Hybrid-Fiber Coaxial)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HFC 망은 광 파이버(Optical Fiber)와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로 구성된 망으로서, 방송국과 광단국(ONU)까지는 광파이버를 이용하고 광단국에서 가입자까지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인터넷, 케이블TV, 방범, 방재, 원격검침, 자동제어)를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 전송망이다. 상기 HFC 망은 이론상 6MHz 대역폭의 1개 채널당 9600bps ~ 42Mbps의 전송 속도로 연결할 수 있는 넓은 전송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Hybrid-Fiber Coaxial (HFC) is widely used. HFC network is composed of optical fiber and coaxial cable. Optical fiber is used for broadcasting station and ONU, and data signal (Internet, cable TV , Crime prevention, disaster prevention, remote meter reading, automatic control). The HFC network can support a wide transmission band that can theoretically connect at a transmission rate of 9600 bps to 42 Mbps per channel of 6 MHz bandwidth.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가입자단에서 별도의 배선 공사를 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된 전력선만으로도 광 동축 혼합망(HFC)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ome network using a photocoupler mixed network (HFC) can be implemented using only the existing power line without performing additional wiring work at the subscriber terminal.

그러나, 상기 전력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케이블 모뎀 종단 장치(CMTS : Cable Modem Terminal System)를 설치해야 하고, 광신호 전송장치(OTX: Optical Transmitter)를 통해 광통신망 유닛(ONU : Optical Network Unit)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를 변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power line communication servic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 expensive cable modem terminal system (CMTS) and to use an optical network unit (ONU: Optical Network Unit ) In order to transmit the signal.

또한, 광통신망 유닛(ONU)과 케이블 모뎀 종단 장치(CMTS)에서 각각 관리해야 하는 항목이 분류되어 있어 관리할 항목이 늘어나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items to be managed by the optical network unit (ONU) and the cable modem end equipment (CMTS) are categorized,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items to be managed and is not easy to manag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봉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광 통신 단자와 전원 단자를 하나의 플러그에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의 각 단자가 삽입 접속 가능한 접속홈(소켓)을 형성한 콘센트를 통해 전원기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광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 전송장치(OTX)를 거치지 않고 상기 광 통신 단자에 직접 접속한 광통신망 유닛(ONU)으로 전송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ower supply terminal, which are formed in a single plug and which form a connection groove (socket) into which each terminal of the plug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A socket and a plug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optical line to an optical network unit (ONU) directly connected to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device (OTX)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는, 전원 단자가 형성된 가전제품의 플러그와 체결되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배분하기 위한 매입형 또는 멀티형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와 접속하도록 형성된 제1 접속홈(소켓)과 개별적으로 광 통신 단자가 삽입 접속 가능한 제2 접속홈(소켓)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접속홈은 외부의 광 선로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으로 한다. A receptacle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essed or multi-type receptacle for distributing a commercial power input by being coupled with a plug of an appliance product having a power terminal formed therein, (Socket) in which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dividually to one connection groove (socket),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optical line.

또한, 상기 멀티형 콘센트는 단축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접속홈 및 제2 접속홈에 각각 삽입 접속하는 전원 단자와 광 통신 단자를 구비한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ulti-type receptac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g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re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single shaft.

또한, 상기 제2 접속홈은 VOD 시스템, VoIP 시스템, 또는 인터넷 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광 선로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may include at least one optical module that receives the data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VOD system, the VoIP system, and the Internet network via the optical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플러그는,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중성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에 있어서, 하나의 플러그 상에 상기 전원단자 및 중성단자와 각기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전원단자 및 중성단자와 이격되게 광 통신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having a pair of power terminals and a neutral terminal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neutral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플러그는,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중성 단자 및 접지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에 있어서, 하나의 플러그 상에 상기 전원단자와 중성단자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접지 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전원 단자, 중성 단자 및 접지 단자와 이격되게 광 통신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having a pair of power terminals and a neutral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ground termina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erminal, the neutral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 및 플러그에 의하면, 광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 전송장치(OTX)를 거치지 않고 상기 광 통신 단자에 직접 접속한 광통신망 유닛(ONU)으로 전송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과 더불어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한 것만으로도 어느 곳에서든지 간편하게 광 통신이 가능하며, 광신호 전송장치(OTX)으로 인한 신호 변환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receptacle and the plug hav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li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device (OTX) (ONU),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tical communication anywhere and simply by plugging the plug into the outlet,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signal conversion due to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device (OTX) And so 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멀티형 콘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광통신망 유닛(ONU)이 광 통신 기능을 갖는 멀티형 콘센트에 접속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of a flush-type receptacle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multi-type receptacle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at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n optical network unit (O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a multi-type receptacle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sceptible to various change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outlet and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plug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및 도 2a,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100)는, 입력되는 상용전원(AC)을 전자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210)와 접속하도록 형성된 제1 접속홈(소켓, 110)과, 개별적으로 광 통신 단자(240)가 삽입 접속 가능한 제2 접속홈(소켓, 140)을 형성하여 벽면(10) 등에 매입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제2 접속홈(140)은 외부의 광 선로(미도시)에 연결한다. 1, 2A and 2B, a flush-type receptacle 100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not shown) for supplying an input commercial power (AC) (Socket) 110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a second connection groove (socket) 140 into which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240 can be inserted separately,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14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optical line (not shown).

이때, 도 2a,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단자(210)가 형성되는 플러그(200)는 하나의 플러그 상에 상기 전원 단자(210)와 중성 단자(220)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접지 단자(230)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전원 단자(210), 중성 단자(220) 및 접지 단자(230)와 이격되게 광 통신 단자(240)가 형성되도록 한다. 2A and 2B, the plug 200 in which the power supply terminal 210 is formed is formed in a position where the power supply terminal 210 and the neutral terminal 220 are opposed to each other on one plug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ground terminal 2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erminal 210, the neutral terminal 220 and the ground terminal 230.

또한, 도 3a,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입형 콘센트가 아닌 멀티형 콘센트()인 경우에는 단축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접속홈(310) 및 제2 접속홈(340)에 각각 삽입 접속하는 전원 단자(210)와 광 통신 단자(240)를 구비한 플러그(200)를 형성한다. 3A and 3B, in the case of a multi-type receptacle (not a burial type receptacle), the first connection groove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340 ar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single shaft, The plug 200 having the power supply terminal 210 and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240 to be inserted and connected is formed.

또한, 상기 제2 접속홈(140)은 VOD 시스템, VoIP 시스템, 또는 인터넷 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광 선로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광 모듈은 VOD 시스템, VoIP 시스템, 또는 인터넷 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패킷 신호로 변환하여 광통신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ptical module (not shown) that receives the data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VOD system, the VoIP system, or the Internet network via the optical line The optical module may convert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VOD system, the VoIP system, or the Internet network into a data packet signal and transmit the data packet signal to the optical communication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광통신망 유닛(ONU)이 광 통신 기능을 갖는 멀티형 콘센트에 접속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that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n optical network unit (O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a multi-type receptacle having an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콘센트에는 전원 단자(210)만을 구비한 플러그를 가진 전원기기(400)가 접속한 경우에는 본래의 기능인 상용전원을 공급하지만, 광 통신 단자(240)를 구비한 광통신 유닛(500)이 접속한 경우에는 상용전원 공급과 더불어 광 통신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power supply device 400 having the plug having only the power supply terminal 2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commercial power as an original function, When one optical communication unit 500 is connected, the optical communication can be activated together with the commercial power supply.

따라서, 어디에서든지 본원 발명에 따른 콘센트가 구비된 장소에서는 편리하게 광 통신 기능의 이용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the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in a place where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기능을 갖는 플러그는, 도 2에 도시한 구성과는 다르게 접지 단자가 없는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중성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에 있어서는, 하나의 플러그 상에 상기 전원단자 및 중성단자와 각기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전원단자 및 중성단자와 이격되게 광 통신 단자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lug hav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in a plug having a pair of power terminals and a neutral terminal provided with mutually spaced apart ground terminals, Only the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formed on the plu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neutral terminal at positions opposing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neutral terminal.

100 : 매입형 콘센트
110, 310 : 제1 접속홈
120, 320 : 중성 단자 삽입홈
130, 330 : 접지 단자 삽입홈
140, 340 : 제2 접속홈
200 : 플러그
210 : 전원 단자
220 : 중성 단자
230 : 접지 단자
240 : 광 통신 단자
300 : 멀티형 콘센트
400 : 전원기기
500 : 광통신 유닛
100: Recessed outlet
110, 310: first connection groove
120, 320: Neutral terminal insertion groove
130, 330: Ground terminal insertion groove
140, 340: second connection groove
200: Plug
210: power terminal
220: Neutral terminal
230: Ground terminal
240: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300: Multi-type outlet
400: Power equipment
500: Optical communication unit

Claims (5)

전원 단자가 형성된 가전제품의 플러그와 체결되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배분하기 위한 매입형 또는 멀티형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와 접속하도록 형성된 제1 접속홈(소켓)과 개별적으로 광 통신 단자가 삽입 접속 가능한 제2 접속홈(소켓)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접속홈은 외부의 광 선로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
A recessed or multi-type receptacle for distributing a commercial power input by being plugged with a plug of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power terminal,
(Socket) in which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separately from a first connection groove (socket)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optical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형 콘센트는 단축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접속홈 및 제2 접속홈에 각각 삽입 접속하는 전원 단자와 광 통신 단자를 구비한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type receptacle forms a plug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on either side of the single shaf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홈은 VOD 시스템, VoIP 시스템, 또는 인터넷 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광 선로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기능을 갖는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includes at least one optical module for receiving the data signal from at least one of a VOD system, a VoIP system, and the Internet network via the optical line. .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중성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에 있어서,
하나의 플러그 상에 상기 전원 단자 및 중성 단자와 각기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전원 단자 및 중성 단자와 이격되게 광 통신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기능을 갖는 플러그.
1. A plug having a pair of power terminals and a neutral terminal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on one plu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erminal and the neutral terminal at positions opposing to the power terminal and the neutral terminal, respectively.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중성 단자 및 접지 단자가 형성된 플러그에 있어서,
하나의 플러그 상에 상기 전원 단자와 중성 단자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접지 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전원 단자, 중성 단자 및 접지 단자와 이격되게 광 통신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 통신 기능을 갖는 플러그.
1. A plug having a pair of power supply terminals, a neutral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neutral terminal are formed in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one plug,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ground termina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erminal, the neutral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KR1020140101937A 2014-08-07 2014-08-07 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KR201600180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37A KR20160018042A (en) 2014-08-07 2014-08-07 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37A KR20160018042A (en) 2014-08-07 2014-08-07 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042A true KR20160018042A (en) 2016-02-17

Family

ID=5545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937A KR20160018042A (en) 2014-08-07 2014-08-07 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0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5470B2 (en) Set-top-box having a built-in master node that provides an external interface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a power-line-based residential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61386A1 (en) Power line carrier network combined with power supply
US10571297B2 (en) Meter collar system for powerline communication
CN102437941B (e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optical network unit fusing Ethernet over coaxial cable (EoC) function
CN102100004A (en) Method and system for isolating local area networks over a co-axial wiring for energy management
CN201008155Y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dapter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JP2006295470A (en) Relay device
CN103313441A (en) EOC (Ethernet over Coax) terminal
EP2494702B1 (en) Device for use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s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CN204031315U (en) A kind of Web TV
KR20160018042A (en) A consent and plug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
US20070019576A1 (en) Network computer having power frequency carrier
CN203279204U (en) Eoc terminal
US20070116042A1 (en) Power extension apparatus having local area network switching function
KR100649451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using hybrid-fiber coaxial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system
US9231659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with noise detecting and filtering functions
EP2938005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signal pass-through device and plc signal transmission line therefor
US20100124419A1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CN209313857U (en) A kind of coaxial line Ethernet bridge of band PoE function
KR100803954B1 (en) Centralized network system and optical network unit
CN203761398U (en) FTTH (Fiber To The Home) extension equipment suitable for point-to-point axial access
KR100784979B1 (en)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power line
EP2741428A1 (en) Network access device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0945106B1 (en) Home network common apparatus
CN102265559B (en) Internet data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line and Ethernet over coaxial-c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