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475A -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 Google Patents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475A
KR20160017475A KR1020140101048A KR20140101048A KR20160017475A KR 20160017475 A KR20160017475 A KR 20160017475A KR 1020140101048 A KR1020140101048 A KR 1020140101048A KR 20140101048 A KR20140101048 A KR 20140101048A KR 20160017475 A KR20160017475 A KR 2016001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lly formed
front mounting
perforation line
b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9759B1 (en
Inventor
양윤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랜드인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랜드인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랜드인덱스
Priority to KR102014010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759B1/en
Publication of KR2016001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The technical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display stand which can shorten assembling time, and can reduce unit cost of a product, and can attract the eyes of consumers. For the same, the product display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rt which is a center portion and displays products; and a support part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display part and supports the display part. The display part includes: a front rack which is formed by being bent to the front as to the support part; at least one rear rack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rack, and is formed by being bent to the rear as to the front rack; and an upper hanging part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rear rack, and is formed by being bent upward as to the rear rack.

Description

상품 진열대{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본 발명은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rchandise display stand for displaying merchandise.

일반적으로, 상품 진열대는, 상품을 여러 사람에게 보이기 위하여 죽 벌여 놓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금속,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다.In general, a commodity shelf is made of metal, wood, or synthetic resin so that the commodity can be stuck to show to various people.

기존의 상품 진열대는, 통상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와, 이 복수의 수직 지지대 사이에 가로 질러 놓이는 수평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비자가 상품을 볼 수 있도록 상품 판매자 등은 이 수평 지지대에 상품을 진열하게 된다.Conventional merchandise display stands typically consist of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that li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 supports that run across the vertical supports. Therefore, the merchandise seller or the like displays the merchandise on the horizontal support so that the consumer can view the merchandise.

하지만, 기존의 상품 진열대는 수직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가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볼트공,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 수단이 요구되므로 상품 진열대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erchandise display st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assembling time is long and a separate coupling means such as a bolt hole or a bolt is required, .

또한,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요즘 사회에서 통상적인 형태를 한 기존의 상품 진열대로는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rs can not be attracted to the conventional display shelves that have a conventional form in society in which design is importan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shelf capable of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lowering the product unit price, and attracting consumers' ey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중심부를 이루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부; 및 상기 진열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진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전방 거치부;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 및 상기 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방 걸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rchandis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having a center portion and displaying merchandise;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integral with the display portion and supports the display portion, wherein the display portion includes: a front mounting portion bent forward by the support portion; At least one rear mount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mounting part and bent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mounting part; And an upward hook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mounting part and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mounting part.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방 거치부는 제1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후방 거치부는 제2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후방 거치부와 상기 상방 걸이부는 제3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erforation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and the upper hook The por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perforation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ending can be made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forations.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거치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가 각각 절곡되고 난 자리에 제1 및 제2 빈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상기 전방 거치부 중 상기 제1 및 제2 빈공간 사이에 위치한 부위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분리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rear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rear mounting portions,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may have first and second empty spaces at b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mount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commodity display shel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parating compartment integrally formed with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mpty spaces of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mounting portion .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분리 구획부는 제4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4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separation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urth perforation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end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ourth perforation lin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중심 받침부; 상기 중심 받침부의 양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양측 받침부; 및 상기 중심 받침부의 상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center support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side receiving portions integrally formed with both ends of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being bent forwardly to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an upper lid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bent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양측 받침부는 제5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상부 덮개부는 제6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5 및 제6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the both side receiving portion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fifth perforation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lid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xth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The bending can be accomplished through six perforations.

상기 양측 받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받침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both side receiving portions may further include a rear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rearwar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rchandise r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진열부와 지지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로 전방 거치부, 후방 거치부, 상방 걸이부, 중심 받침부, 양측 받침부, 상부 덮개부 등을 만들 수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상당히 세련되고 심플한 심미감을 소비자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ssembling time, lower the product price, and provide a form that can attract consumers' eyes in terms of design, because the technical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are integrally formed is provided . In particular, since a single plate can form the front mounting portion, the rear mounting portion, the upper mounting portion,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the both side receiving portions, and the upper cove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sophisticated and simple aesthetics to consumers in terms of desig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를 기준으로 전방 거치부와 후방 거치부를 포함하는 진열부를 제공하므로, 상품의 진열 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portion including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supporting portion, the display area of the articl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방 걸이부를 포함하는 진열부를 제공하므로, 상품을 이에 걸어 상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portion including the upward hanging portion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article can be fixed by hanging the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품 진열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품 진열대의 전개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odity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merchandise display shelf of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erchandise shelf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품 진열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상품 진열대의 전개도이다.FIG.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odity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ommodity shelf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mmodity shelf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진열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진열부(110)와 지지부(120)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1 to 3, the merchandis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nd a support unit 120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refore, since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support unit 120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the assembling time can be shortened, the product cost can be reduced, .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진열부(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gain.

진열부(110)는 상품 진열대(100)의 중심부를 이루며 상품이 진열되는 곳으로, 전방 거치부(111),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112), 그리고 상방 걸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front mounting part 111, at least one rear mounting part 112 and an upper mounting part 113 at the center of the commodity display shelf 100, have.

전방 거치부(111)는 지지부(120)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전방 거치부(111)는 소비자에 의해 상품이 제대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하방으로 조금 경사져 구비될 수 있다. 후방 거치부(112)는 전방 거치부(111)와 일체를 이루며 전방 거치부(111)에 대해 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후방 거치부(112)는 소비자에 의해 상품이 제대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전방 거치부(111)의 경사진 만큼 상방으로 조금 경사져 구비될 수 있다. 상방 걸이부(113)는 후방 거치부(112)와 일체를 이루며 후방 거치부(112)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전방 거치부(111)와 후방 거치부(112)가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의 진열 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방 걸이부(113)를 포함하는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을 이에 걸어 상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is bent for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ortion 120. For example,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may be slightly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product can be seen by the consumer properly. The rear mounting part 11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mounting part 111 and is bent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mounting part 111. [ For example, the rear mounting portion 112 may be slightly inclined upward by an inclination of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so that the product can be seen by the consumer properly. The upper hanging part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mounting part 112 and may be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mounting part 112. Accordingly, since the front mount part 111 and the rear mount part 112 protrud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support part 120, respectively, the display part 110 is provided, .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part 110 including the upward hooking part 113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product can be fixed by hanging the product.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와 전방 거치부(111)는 제1 절취선(L1)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 거치부(111)와 후방 거치부는 제2 절취선(L2)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 거치부(112)와 상방 걸이부(113)는 제3 절취선(L3)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절취선(L1)(L2)(L3)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절취선(L1)(L2)(L3)은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판금 가공하거나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등을 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3, the support portion 120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erforation line L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1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 rear mounting portion 112 and the upper mounting portion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perforation line L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112 and the upper mounting portion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erforation line L2 interposed therebetween, , And the second and third perforations L1, L2 and L3.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forations L1, L2, and L3 are formed through a process of plate-forming a single plate, laser cutting, can do.

이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112)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112a)(112b)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 거치부(111)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112a)(112b)가 각각 절곡되고 난 자리에 제1 및 제2 빈공간(X1)(X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00)는, 전방 거치부(111) 중 제1 및 제2 빈공간(X1)(X2) 사이에 위치한 부위와 일체를 이루며 전방 거치부(111)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분리 구획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구획부(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진열되는 상품이 분리 구획부(130)를 통해 구분되므로 상품의 진열이 보다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rear mounting portion 11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rear mounting portions 112a and 112b,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rear mounting portions 112a ) 112b may have a first and a second empty space X1 (X2) in a bent positio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mmodity shelf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mpty spaces X1 and X2 of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And a separating partition 130 which is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111. Therefore, since the commodities display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dividing section 130 are divided through the separation dividing section 130, the commodity can be displayed more cleanly.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거치부(111)와 분리 구획부(130)는 제4 절취선(L4)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4 절취선(L4)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절취선(L4)은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판금 가공하거나 레이저 커팅 등을 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3,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and the separation portion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urth perforation line L4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ourth perforation line L4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bending can be performe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fourth perforation line L4 can be formed by a method of performing plate-cutting or laser cutting of one single plate.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지지부(1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pporting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gain.

지지부(120)는 진열부(110)와 일체를 이루며 진열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는 중심 받침부(121), 양측 받침부(122), 그리고 상부 덮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120 is integral with the display part 110 and supports the display part 110. 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120 may include a center support portion 121, a side support portion 122, and an upper cover portion 123.

중심 받침부(121)는 전방 거치부(111)와 일체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양측 받침부(122)는 중심 받침부(121)의 양단과 일체를 이루며 중심 받침부(121)에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덮개부(123)는 중심 받침부(121)의 상단과 일체를 이루며 중심 받침부(121)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nter receiving portion 1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and may be vertically disposed. The two side receiving portions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both ends of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121 and may be bent forward in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121. The upper lid part 12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enter receiving part 121 and may be bent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receiving part 121.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받침부(121)와 양측 받침부(122)는 제5 절취선(L5)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심 받침부(121)와 상부 덮개부(123)는 제6 절취선(L6)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제5 및 제6 절취선(L5)(L6)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및 제6 절취선(L5)(L6)은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판금 가공하거나 레이저 커팅 등을 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3,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both side receiving portions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fth perforated line L5 therebetween, and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 part 123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xth perforation line L6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end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ifth and sixth perforations L5 and L6.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3, the fifth and sixth perforations L5 and L6 can be formed by a method of performing plate-forming, laser cutting, or the like on one single plate.

이와 더불어, 양측 받침부(122)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받침부(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양측 받침부(122)가 전방으로 쏠리는 힘을 지지하고, 후방으로 쏠리는 힘은 후방 받침부(124)가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진열대(100)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h side receiving portions 122 may further include a rear receiving portion 124 extending rearward. Accordingly, the forward-folded side support portions 122 support the force of forward tilting and the rearward tilting force can support the rearward support portion 124,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shelf 100 more stably Can suppor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rchandis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진열부(110)와 지지부(12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로 전방 거치부(111), 후방 거치부(112), 상방 걸이부(113), 중심 받침부(121), 양측 받침부(122), 상부 덮개부(123) 등을 만들 수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상당히 세련되고 심플한 심미감을 소비자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chnical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are integrated is provided, the assembling time can be shortened, the product cost can be reduced, It can be shaped like an eye. Particularly, a single plate is used to fasten the front mounting portion 111, the rear mounting portion 112, the upper mounting portion 113,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121, the both side receiving portions 122,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sophisticated and simple aesthetics to consumers in terms of desig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전방 거치부(111)와 후방 거치부(112)가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의 진열 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mount part 111 and the rear mount part 112 protrude forward and backwar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1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play area of the merchandi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방 걸이부(113)를 포함하는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을 이에 걸어 상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unit 110 including the upper hook 113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product can be fixed by hanging the produc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상품 진열대 110: 진열부
111: 전방 거치부 112: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
112a: 제1 후방 거치부 112b: 제2 후방 거치부
113: 상방 걸이부 120: 지지부
121: 중심 받침부 122: 양측 받침부
123: 상부 덮개부 124: 후방 받침부
130: 분리 구획부 L1: 제1 절취선
L2: 제2 절취선 L3: 제3 절취선
L4: 제4 절취선 L5: 제5 절취선
L6: 제6 절취선 X1: 제1 빈공간
X2: 제2 빈공간
100: Commodity shelf 110: Display part
111: front mounting portion 112: at least one rear mounting portion
112a: first rear mounting part 112b: second rear mounting part
113: upper hook 120: support
121: center support portion 122:
123: upper cover part 124: rear support part
130: separation partition L1: first perforation line
L2: 2nd cutting line L3: 3rd cutting line
L4: fourth perforation L5: fifth perforation
L6: sixth perforation line X1: first empty space
X2: second empty space

Claims (7)

중심부를 이루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부; 및
상기 진열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진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전방 거치부;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 및
상기 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방 걸이부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A display part having a central part and a product displayed; And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integral with the display portion and supports the display porti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ront mounting part bent for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art;
At least one rear mount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mounting part and bent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mounting part; And
And an upper hook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mounting part and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mounting part.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방 거치부는 제1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후방 거치부는 제2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거치부와 상기 상방 걸이부는 제3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지는 상품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ront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Wherein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rear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Wherein the rear mounting portion and the upper latch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third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And the bending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forations.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거치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가 각각 절곡되고 난 자리에 제1 및 제2 빈공간을 가지고,
상기 상품 진열대는,
상기 전방 거치부 중 상기 제1 및 제2 빈공간 사이에 위치한 부위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분리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rear mounting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rear mounting portions,
Wherein the front mounting portion has first and second empty spaces at the b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mounting portions,
The commodity shelf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ng compartment formed integrally with a part of the front mounting part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mpty spaces and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mounting part.
제3항에서,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분리 구획부는 제4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지는 상품 진열대.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mounting portion and the separation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fourth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And the bending is performed through the fourth perforation line.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중심 받침부;
상기 중심 받침부의 양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양측 받침부; 및
상기 중심 받침부의 상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덮개부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center support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mounting part and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side receiving portions integrally formed with both ends of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being bent forwardly to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And an upper lid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bent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제5항에서,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양측 받침부는 제5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상부 덮개부는 제6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 및 제6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지는 상품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the both side receiving portions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fifth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Wherein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lid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sixth perforation line therebetween,
And the bending is performed through the fifth and sixth perforations.
제5항에서,
상기 양측 받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받침부가 더 구비되는 상품 진열대.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ar support portion extending rearward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h side support portions.
KR1020140101048A 2014-08-06 2014-08-06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KR101699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48A KR101699759B1 (en) 2014-08-06 2014-08-06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48A KR101699759B1 (en) 2014-08-06 2014-08-06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75A true KR20160017475A (en) 2016-02-16
KR101699759B1 KR101699759B1 (en) 2017-01-25

Family

ID=5544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48A KR101699759B1 (en) 2014-08-06 2014-08-06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75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479Y1 (en) * 1992-07-31 1994-05-25 양찬모 Display stand for prefabricating merchandise
KR200320551Y1 (en) * 2003-04-17 2003-07-22 주식회사농심 Display case
KR20130058833A (en) * 2011-11-28 2013-06-05 최상현 Steel display stand for rapid and solid assemb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479Y1 (en) * 1992-07-31 1994-05-25 양찬모 Display stand for prefabricating merchandise
KR200320551Y1 (en) * 2003-04-17 2003-07-22 주식회사농심 Display case
KR20130058833A (en) * 2011-11-28 2013-06-05 최상현 Steel display stand for rapid and solid assemb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759B1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134B2 (en) Tiered display unit
US20170099961A1 (en) Shelving assembly
US20140263128A1 (en) Convertible gondola shelving
US20160113421A1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US7261214B2 (en) Store lead-in fixture for a product dump table
US20080156749A1 (en) Free-standing, point-of-purchase display
US8511485B2 (en) Modular wave shaped merchandiser rack
US20160035255A1 (en) Advertisement Shelving Unit
KR101699759B1 (en)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US9795229B2 (en) Display fixture divider
US20070272636A1 (en) Display strip
WO2018212668A1 (en) Device for exposition and selling goods
KR20180093720A (en) Pop advertising board
KR20210046602A (en)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JP6824670B2 (en) Price card rail
JP2020022583A (en) Support structure for standing body
US8713826B1 (en) Display end unit structure
JP3904662B2 (en) Display shelf display
KR102462250B1 (en) Steel Bumper for Display Stand Having Sense of Unity and Protecting Goods And Display Stand
JP5919892B2 (en) Product display stand and product display system
CN105286332A (en) Side-end commodity showing shelf
KR200343489Y1 (en) a display stand
KR20160045172A (en) Display trays for product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products
EP1476055B1 (en) Product displaying rack
KR200459682Y1 (en) Display stand of s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