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354A -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354A
KR20160017354A KR1020140100484A KR20140100484A KR20160017354A KR 20160017354 A KR20160017354 A KR 20160017354A KR 1020140100484 A KR1020140100484 A KR 1020140100484A KR 20140100484 A KR20140100484 A KR 20140100484A KR 20160017354 A KR20160017354 A KR 2016001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terminal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삼희
권준경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 (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to KR102014010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354A/en
Publication of KR2016001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 content delivery service using prints.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a content delivery service using prints which allows a service member A to edit content to be delivered with an image and encode the content to print the content to allow a service member B to decode a recognition code of prints to check the edited content and the image without showing the content on the pri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a content delivery service using prints comprises: 1) a step of executing a service application and selecting an image on a terminal A; 2) a step of editing content on the selected image on an application screen; 3) a step where the terminal A transmits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a server; 4) a step where the server stores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ransmits storag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 5) a step where the terminal A generates a prescribed recognition code recording the storage information and inserts the recognition code into the image; and 6) a step where the terminal A transmits the image into which the recognition code is inserted to a printing device to print the image.

Description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0001]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0002]

본 발명은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가입자A가 이미지와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콘텐츠가 인쇄물 자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서비스 가입자B가 인쇄물의 인식코드를 디코딩함으로써 편집된 콘텐츠를 이미지와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delivery service method using a printed matter, more specifically, a service subscriber A edits a content to be delivered together with an image and codes and prints the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delivery service method using a printed matter capable of verifying an edited content with an image by decoding a recognition code of the printed matter.

QR코드는 'Quick Response' 코드의 약자로서, 일본의 덴소 웨이브사의 등록상표인 Quick Response에서 유래했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보완하고,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 바코드이다. 이 코드를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인식기로 스캔하면 자동으로, 정보가 제공되는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숫자, 한자, 알파벳 등 문자 데이터는 물론 동영상까지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업 홍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숫자는 최대 7,089자, 문자는 최대 4,296자, 한자 등 아시아 문자 최대 1,817자를 담을 수 있다. The QR code is an abbreviation of "Quick Response" code, derived from Quick Response, a trademark of Denso Wave of Japan. It is a two-dimensional barcode that complements the capacity limitations of the bar codes used in the past and extends the format and contents. When you scan this code with a cell phone or smartphone reader, it automatically links to the homepage where information is provided. It has the advantage of storing not only character data such as numbers, kanji, and alphabets but also videos, and is being used as a means of promoting the company. Numbers can contain up to 7,089 characters, characters up to 4,296 characters, and up to 1,817 characters of Asian characters such as Chinese characters.

바코드는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반면, QR코드는 가로,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가짐으로써 기록할 수 있는 정보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켰다.Bar codes have information only in one direction, while QR codes dramatically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recorded by having information in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최근, 수년간 급속도로 보급된 스마트폰은 모바일 통신과 개인 컴퓨터의 기능(운영체계 실장, 어플리케이션 구동, 인터넷접속 기능)을 결합하여 이제는 우리의 실생활에 일부가 되었다. In recent years, smart phones that have been rapidly spread over the years have become part of our real life by combining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functions of personal computers (operating system implementation, application running, and Internet access functions).

또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app)'이라 한다)은 그 수를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또 진화를 거듭하고 있어 실생활에 유익한 아이디어로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smartphone applic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s") have been developed in such a wide variety of ways that they can not be enumerated, and they are evolving and provide many convenience with ideas useful for real life .

스마트폰의 보급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은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 QR코드의 보급이나 이용하는 기술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유용성과 실용도에 비해 아직도 미비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종래 기술은 QR코드를 스캔했을 때 단순히 지정 웹에 접속하고 입력된 정보를 열람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While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s are continuing to expand, the diffusion and use of QR codes is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usefulness and practicality of QR codes.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only to access the designated web and read the inputted information when the QR code is scann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가입자A가 이미지와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콘텐츠가 인쇄물 자체에는 편집한 콘텐츠가 드러나지 않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editing a content, And a content delivery service method using the content delivery ser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인쇄물을 전달받은 서비스 가입자B가 인쇄물의 인식코드를 디코딩하여 이미지와 함께 서비스 가입자A가 편집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delivery service method in which a service subscriber B having received a printed matter from a service subscriber A decodes a recognition code of a printed matter and can confirm a content edi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A together with the imag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 가입자A가 선택한 이미지 자체는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오프라인으로 전달받은 인쇄물에서 이미지를 획득하기 때문에 서버의 용량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delivery service method using a printed matter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a capacity load of a server because an image selected by a service subscriber A is not stored in a server but an image is obtained from a printed matter received offline .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은 1) 단말A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이미지를 선택('사진 촬영' 또는 '앨범에서 선택' 포함, 이하 동일)하는 단계; 2) 앱 화면에서, 선택된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 3) 상기 단말A가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서버가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저장하고, 저장정보를 상기 단말A측에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단말A가 상기 저장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말A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 method of delivering contents using printed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executing a service app at terminal A, selecting an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or 'selecting from album' ; 2) editing the content on the selected image in the app screen; 3) the terminal A transmits edit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the server side; 4) the server stores edit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ransmits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 5) genera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code in which the terminal A records the storage information and inserting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code into the image; And 6) transmitting, by the terminal A, an image in which the recognition code is inserted, to the printing apparatus side and printing.

또한 7) 상기 인쇄기기에서 인쇄된 인쇄물을 오프라인에서 전달하는 단계; 8) 단말B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인쇄물에서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9)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된 상기 저장정보를 검출하고, 단말B가 상기 검출된 저장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접근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10) 상기 단말B가, 획득된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송받은 편집정보에 의해 상기 콘텐츠를 표현 또는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delivering a printed matter prin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offline; 8) executing a service application at the terminal B, acquiring an image of the printed matter, and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in the printed matter; 9) detecting the storag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cognition code, receiving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server after the terminal B approaches the server by the detected storage information; 10) The terminal B displays an image of the obtained printed matter and expresses or execut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edit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스티커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ext, sound, emoticon, two-dimensional (2D) animation, three-dimensional (3D) animation, sticker and moving image.

또한 사용자가 선택된 이미지상에 상기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앱 화면에는 텍스트 입력모드, 사운드 입력모드, 이모티콘 입력모드, 2차원(2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3차원(3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스티커 입력모드 및 동영상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dit the content on the selected image, the app screen is provided with a text input mode, a sound input mode, an emoticon input mode, a two-dimensional (2D) animation input mode, a thre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an input mode and a moving image input mode is provided.

또한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종류, 내용, 크기, 각도, 칼라, 실행순서, 좌표정보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ype, content, size, angle, color, execution ord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priority of the content.

또한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되는 상기 저장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가 저장된 상기 서버의 저장소의 일련번호 또는 상기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orag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cognition code may include a serial number of the storage of the server storing the edited contents of the contents or URL information of the server.

또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한 후, 이를 단말A에 저장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editing the content on the image in the step 2) and storing the edited content in the terminal A is further added.

또한 상기 서비스 앱에는 상기 콘텐츠가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앨범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rvice app preferably includes an album for storing the edited image of the content.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가입자A가 이미지와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인쇄물 자체에는 콘텐츠가 드러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ubscriber A edit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mage, and codes and prints the content, thereby preventing the content from being exposed on the printed article itself.

서비스 가입자A로부터 인쇄물을 전달받은 서비스 가입자B가 인쇄물의 인식코드를 디코딩하여 이미지와 함께 서비스 가입자A가 편집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ervice subscriber B having received the printed matter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 can decode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inted matter and check the content edi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A together with the image.

특히, 서비스 가입자A가 선택한 이미지 자체는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오프라인으로 전달받은 인쇄물에서 이미지를 획득하기 때문에 서버의 용량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image selec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A is not stored in the server but is acquired from the printed matter received offline, the capacity load of the server can be remarkab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하고 코드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콘텐츠가 코드화된 인쇄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코드화된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이미지와 함께 편집된 콘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deliver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ent deliver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8 illustrate the process of editing and encoding content on an image.
9 shows a printed matter in which the content is coded.
FIGS. 10 to 12 illustrate a process of decoding the encoded content and confirming the edited content together with the im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s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a printed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A 단말기(100, or 단말A), 인쇄기기(200), 사용자B 단말기(300, or 단말B), 서버(400)로 구성된다.1, a content deliver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A terminal 100, a terminal A, a printing device 200, a user B terminal 300 (or terminal B), and a server 400 .

상기 사용자A 단말기(100)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원하는 이미지(사진)를 선택(예: 사진촬영이나 앨범에서 선택)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입력 포함)한다. 편집이 완료되면,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서버(400)측으로 전송한다. 이 때 이미지 자체는 서버(400)측으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서버(400)의 저장용량의 부하가 현저히 감소된다. 즉, 같은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서버라고 하더라도 더 많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content delivery servic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user A terminal 100 selects a desired image (e.g., photographing or selecting from an album) and edits (including input) the content to be delivered. When the editing is completed,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side. At this time, the image itself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side. As a result, the load of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erver 400 is significantly reduced. In other words, even a server with the same storage space can store more content.

상기 서버(400)는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특정 저장소에 저장하고, 사용자A 단말기(100)측에 저장소의 일련번호와 서버(400)의 URL주소 등 저장정보를 전송한다.The server 400 stores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 a specific storage and transmits the storage information such as the serial number of the storage and the URL address of the server 400 to the user A terminal 100 side.

그리고, 사용자A 단말기(100)는 상기 서버(400)측에서 전달받은 저장정보가 기록된 인식코드(예: QR코드, bar코드 등)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사진에 삽입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인식코드로서 QR코드를 적용하여 설명하지만, 이와 달리 본 발명에는 다양한 인식코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이미지)에 있는 특정 사물의 외곽선 등을 인식코드로 활용하거나, 복수의 칼라를 갖는 바(또는 특정 패턴)로 구성되는 칼라코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특정 사물의 외곽선 등을 인식코드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A 단말기(100)는 인식코드를 삽입할 필요없이 사진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인식코드를 이미지에 삽입한다'는 것은 '인식코드가 이미지에 내포된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Then, the user A terminal 100 generates a recognition code (e.g., QR code, bar code, etc.) in which the stor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400 is recorded, and inserts the recognition code into the selected photograph.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a QR code as the recognition code. Alternatively, various recognition code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outline of a specific object in a photograph (image) may be used as a recognition code, or a color code composed of a bar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or a specific pattern) may be applied. If an outline or the like of a specific object is used as a recognition code, the user A terminal 100 is included in the photograph itself without having to insert a recognition cod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serting a recognition code into an image' also means that a recognition code is embedded in an image.

또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지'라고 표현하였으나, 상기 이미지는 사진, PDF파일, 각종 텍스트파일 등 스마트기기에서 불러들여 읽을 수 있는 모든 파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imag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mage includes all files that can be read from a smart device such as a photograph, a PDF file, and various text files.

이후, 사용자A 단말기(100)는 상기 QR코드가 삽입된 이미지(사진)를 상기 인쇄기기(200)로 전송하여 인쇄한다.Then, the user A terminal 100 transmits the image (photograph) in which the QR code is inserted to the printing apparatus 200 and prints the image.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기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인쇄기기로서,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A 단말(100) 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이미지의 인쇄물을 출력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apparatus 200 is a portable printing apparatus hav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receives an image from the user A terminal 10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n, a printout of the received image is output.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은 사용자 단말(100, 3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s 100 and 300 and may be a Bluetooth or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an Ultra Wideband (UWB) Zigbee (IEEE 802.15.4)), and Wi-Fi (Wi-Fi).

그러나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인쇄기기는 사무용 인쇄기기일 수 있고, 단말A(100)와 유선통신으로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in the content deliver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device may be an office printing device, and the system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mages through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 100.

이와 같이 인쇄된 인쇄물(QR코드 포함)은 오프라인에서 사용자B에게 전달된다. The printed matter (including the QR code) printed in this manner is transmitted to the user B from the off-line.

상기 사용자B 단말기(300)는, 건네받은 사진(QR코드가 포함된 인쇄물)의 이미지를 캡쳐하면서 이와 동시에 QR코드를 인식하고 QR코드로부터 서버(400)의 유알엘(URL) 정보와 저장소(DB서버)의 일련번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유알엘(URL) 정보를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여 서버(400) 내에 상기 일련번호를 갖는 저장소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화면에 표현 또는 실행한다. 한편으로는 상기 인쇄물을 촬영 또는 캡쳐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단말B(300)에 디스플레이한다. 단말B(300)에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이미지 위에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오버랩하는 것이다. The user B terminal 300 recognizes the QR code at the same time as capturing the image of the handed photograph (printed matter containing the QR code), extracts the URL information of the server 400 from the QR code, ) Is detected. Then, the server 400 accesses the detected URL (URL) information to download the content from the storage having the serial number in the server 400 and displays or executes the content on the screen. 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matter is captured or captured to obtain an image, and the obta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B 300. Displays the acquired image on the terminal B (300), and overlaps the downloaded content on the image.

단말기B(300)의 사용자는 앱 화면을 통해, 상기 이미지(사진)와 함께, 인쇄물에는 표현되지 않은 콘텐츠를 볼 수 있게 된다.The user of the terminal B 300 can view the content not represented in the printed matter together with the image (photograph) through the app screen.

사용자B 단말기(300)의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예: 버튼 터치 등)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로서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A series of operations of the user B terminal 300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without the user's input (e.g., button touch, etc.) and can be provided to users a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this case.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노트북 컴퓨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나 데스크탑 PC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s 100 and 300 may be a notebook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g., a mobile phone, a PDA,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or a desktop PC.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QR코드 리더기,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s 100 and 300 may include a QR code read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

사용자 단말기(100, 300)는 QR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예: 사운드 스토어 서비스 앱)을 구비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QR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버(200)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이하, '앱스토어(App store)'라 한다)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s 100 and 300 may have a device or an application (e.g., a sound store service app) capable of reading QR codes or may store them in a memory.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capable of reading QR codes, the user can download and install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200 or an application sto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store').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미지 위에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코드화한 인쇄물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A process of editing a content to be transmitted on an image and generating a printed material in which the content is cod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FIG.

먼저, 서비스 사용자A 단말기(100, 단말A)에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앱(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실행하고, 시크릿뷰 생성메뉴(512) 클릭하면, 이미지를 선택(예: '사진촬영' or '앨범에서 선택')하는 안내 메세지가 팝업된다. 한편, 서비스 앱의 메인화면(500)에는 시크릿뷰 생성메뉴(512) 이외에 시크릿뷰 리더(511)과 뒤로가기(514) 및 휴지통(513)이 있다. 시크릿뷰 리더(511)는 사용자B 단말기(300)에서 인쇄물의 QR코드를 인식하여 편집된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고, 뒤로가기(514)는 전 단계로 가기 위한 것이고, 휴지통(513)은 후술할 시크릿뷰 자체 앨범에 있는 이미지, 편집한 이미지(콘텐츠가 포함된 이미지)를 삭제하기 위한 것이다(도 2 및 도 3 참조). First, a content delivery service ap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ice app") is executed from the service user A terminal 100 (terminal A) and a secret view generation menu 512 is clicked, 'Photographing' or 'selecting from album') pops up. The service application main screen 500 includes a secret view generation menu 512, a secret view reader 511, a backward 514, and a trash box 513. The secret view reader 511 is for recognizing the QR code of the printed matter at the user B terminal 300 to confirm the edited contents and the backward button 514 is for going to the previous step. The secret view is for deleting an image in the album itself, an edited image (an image containing the content) (see FIGS. 2 and 3).

상기 앱 화면(500)에서 이미지를 선택하면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각종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를 편집한다'의 의미는 '콘텐츠를 입력한다' 또는 '콘텐츠를 구성한다' 또는 '콘텐츠를 생성한다'는 의미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동일하게 사용된다.  When an image is selected in the application screen 500, various menus for editing contents are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edit content' includes the meaning of 'input content', 'constitute content' or 'generate content', or is used in the same way.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는 이모티콘, 사운드, 텍스트,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스티커 및 동영상 등이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입력모드(521)가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모티콘 입력모드(521a), 사운드 입력모드(521b), 텍스트 입력모드(521c), 전화번호 입력모드(521d), URL입력모드(521e) 등이 구비된다. The contents that can be edited are emoticons, sounds, texts, two-dimensional (2D) animations, three-dimensional (3D) animations, stickers, and moving pictures. For this purpose, various input modes 521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n emoticon input mode 521a, a sound input mode 521b, a text input mode 521c, a telephone number input mode 521d, and a URL input mode 521e.

또한 편집을 위한 앱 화면의 우측 상단에는 패스워드 설정메뉴(522), 저장메뉴(523), 전송메뉴(524) 등이 구비된다(도 2 및 도 4 참조). In addition, a password setting menu 522, a storage menu 523, a transmission menu 524, and the like are provided at the upper right of the application screen for editing (see FIGS. 2 and 4).

도 5를 참조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이모티콘 입력모드(521a)를 터치하면, 복수의 이모티콘이 표시되며, 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531)이 선택된 이미지(10) 위에 오버랩된다. 오버랩된 이모티콘(531)을 드래그하여 이미지(1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틸팅버튼(531a)을 이용하여 각도(방향)를 조정하여 기울어지게 할 수 있고, 크기조정버튼(531c)을 이용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삭제버튼(531b)를 터치하여 선택된 이모티콘(531)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rocess of editing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rst, when the emoticon input mode 521a is touched, a plurality of emoticons are displayed, and the emoticon 531 selected by the user is overlapped on the selected image 10. The overlapped emoticon 531 can be dragged and moved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image 10 and can be tilted by adjusting the angle (direction) by using the tilting button 531a and by using the resize button 531c The size can be adjusted. It is also possible to delete the selected emoticon 531 by touching the delete button 531b.

다음으로, 사운드 입력모드(521b)를 터치하고 원하는 사운드, 예를 들어 배경음악을 삽입하거나 육성을 녹음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운드가 입력되면, 사운드 입력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532)가 뜬다. 상기 표시부(532)에도 삭제버튼이 구비되어 입력된 사운드를 삭제할 수도 있다. Next, the sound input mode 521b may be touched to insert a desired sound, for example, a background music, or a recording of the uplifting sound. When the sound is input in this manner, a display unit 532 is displayed to inform that there is a sound input. The display unit 532 may also have a delete button to delete the input sound.

다음으로, 텍스트 입력모드(521c)를 터치하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텍스트(533)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텍스트(533)는 크기와 색, 글씨체 등을 선택할 수 있고 드래그하여 위치를 옮길 수 있고,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각도 틸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Next, when a user touches the text input mode 521c, a keyboard for inputting a text is displayed, and the user inputs the text 533 to be transmitted. The input text 533 can be selected in size, color, font, and the like, and can be moved by dragging and tilting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angle.

다음으로, 전화번호 입력모드(521d)를 터치하면 자판에 의해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또는 단말A의 전화번호부에 있는 전화번호를 이름과 함께 불러올 수 있다. Next, when the user touches the telephone number entry mode 521d, a specific telephone number can be inputted by the keyboard, or the telephone number in the telephone book of the terminal A can be called together with the name.

다음으로, URL 입력부(521e)를 터치하면, 자판에 의해 특정 URL을 입력할 수 있다. Next, when the URL inputting section 521e is touched, a specific URL can be inputted by the keyboard.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 및 내용으로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생성된 콘텐츠는 삭제버튼(531c 참조)을 마련하여 삭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edit contents in various forms and contents. Also, the generated content can be deleted by providing a delete button 531c.

콘텐츠의 편집이 완성되면, 저장메뉴(523)를 터치하여 사용자A 단말기에 콘텐츠가 편집된 이미지를 1차적으로 저장을 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저장메뉴(523)를 터치하게 되면 사용자A 단말기(100)에 설치된 서비스 앱에 있는 자체 앨범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A 단말기(100)에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게 되면, 후에 다시 불러들여 인쇄할 수도 있고, 이어서 콘텐츠 편집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지통'버튼을 터치하여 저장된 이미지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When the content is edited, the user touches the save menu 523 to primarily store the edited content in the user A terminal (refer to FIG. 6). When the user touches the storage menu 523, the service menu is stored in the service album installed in the user A terminal 100 in its own album. If the edited image is stored in the user A terminal 100, the user A terminal 100 may recall the image again later, and then perform the content editing further. O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touch the 'trash can' button to delete all or part of the stored image.

한편, 사용자A는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 설정메뉴(522)를 터치하면 패스워드 입력창이 자판과 함께 나타나고, 사용자A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도 2 및 도 7 참조). On the other hand, the user A can set a password on the application screen. When the password setting menu 522 is touched on the application screen, the password input window appears with the keyboard, and the user A can input the password (see FIGS. 2 and 7 ).

다음으로, 사용자A가 앱 화면에서 전송메뉴(524)를 터치하면, 콘텐츠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400)는 이를 특정 저장소에 저장한다(도 2 및 도 7 참조). 상기 콘텐츠 편집정보는 콘텐츠의 종류, 내용, 크기, 각도, 칼라, 실행순서, 좌표정보 및 우선순위 등을 포함한다. Next, when the user A touches the transmission menu 524 on the application screen, the content editing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400 stores it in the specific storage (refer to FIG. 2 and FIG. 7). The content edi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type, content, size, angle, color, execution order, coordinate information, priority, and the like of the content.

예를 들어, 콘텐츠가 텍스트인 경우, 그 내용과, 크기, 각도(틸팅유무), 위치(좌표정보), 칼라, 글씨체 등이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is text, the content, size, angle (presence or absence of tilting),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color, font,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and stored.

또한 콘텐츠가 사운드나 동영상인 경우에는 그 내용과, 실행되는 시간 등이 전송되어 저장된다. When the content is a sound or a moving picture, its content and time to be executed are transmitted and stored.

또한 콘텐츠가 이모티콘이나 스티커, 애니메이션인 경우에는 선택한 이모티콘 또는 스티커, 애니메이션 자체가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한 이모티콘 등의 식별부호(ID)가 전송, 저장되며, 이 때, 위치(좌표정보), 크기, 각도, 칼라 등이 함께 전송되어 저장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is an emoticon, a sticker, or an animation, the selected emoticon or sticker and the animation itself are not transmitted, but an identification code (ID) such as a selected emoticon is transmitted and stored. At this time, Angle, color, etc. are transmitted and stored together.

또한 각 콘텐츠들이 동시에 표현 또는 실행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각 콘텐츠가 시계열적으로 표현 또는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육성파일이 먼저 실행되고, 그 후에 텍스트가 표현되도록 편집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각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이러한 우선순위도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Also, although each content may be represented or executed simultaneously, each content may alternatively be represented or executed in a time series fashion. For example, the upbringing file may be executed first, and then the text may be edited to be rendered. In this case, the priority of each content can be given, and this priority is also transferred to the server and stored.

이와 같이 콘텐츠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서버(400)로 전송되고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400)는 단말A(100)측에 저장정보를 전송한다. 단말A(100)측에 전송되는 저장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 및 패스워드가 저장된 상기 서버(400)의 저장소의 일련번호 및 상기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포함한다. When the content editing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and the storage is completed, the server 400 transmits the storag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 100. The storag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 100 includes the serial number of the storage of the server 400 in which the editing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of the contents are stored and the URL information of the server.

상기 단말A(100)는 상기 저장정보를 기록한 QR코드(20)를 생성하고, 이를 이미지(10)에 삽입한다. The terminal A (100) generates a QR code (20) in which the stored information is recorded, and inserts the QR code (20) into the image (10).

이러한 과정이 수행되면, 단말A(100)의 앱 화면에는 미리보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미리보기 화면에는 인쇄할 이미지(10, QR코드 포함)가 디스플레이되고, 이 때 앱 화면에는 인쇄 매수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542)과, 인쇄버튼(541)이 표시된다(도 2 및 도 8 참조). When this process is performed, a preview screen is displayed on the app screen of the terminal A (100). In the preview screen, an image to be printed (10, including the QR code) is displayed. At this time, a button 542 for inputting the number of prints and a print button 541 are displayed on the app screen Reference).

상기 단말A(100)에서 인쇄버튼(541)을 터치하면, 연결된 인쇄기기(도 1의 '200' 참조)에서 미리보기 화면에 있는 이미지(10)가 인쇄된다. 이 때, 인쇄기기(200)는 무선통신하는 휴대용 또는 유선통신하는 사무용 인쇄기기를 포함한다. When the terminal A 100 touches the print button 541, the image 10 on the preview screen is printed on the connected printing device (see 200 in FIG. 1). At this time, the printing apparatus 200 includes an office printing apparatus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or portable or wired communication.

도 9는 인쇄기기에서 인쇄한 인쇄물(30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인쇄물(300)에는 선택된 이미지(10)에 QR코드(2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는 QR코드(20)에 코드화하여 인쇄물(10) 자체에는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A는 인쇄물(30)을 사용자B에게 패스워드와 함께 오프라인에서 전달한다. 이 때 패스워드는 인쇄물(30)과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고, 인쇄물과 별도로 전화, 메일 등 다른 방법과 시간에 전달할 수도 있다. 9 shows a printed matter 300 printed by a printing apparatus. It can be seen that the QR code 20 is inserted in the selected image 10 in the printed material 300.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is encoded in the QR code 20 and is not exposed to the printed matter 10 itself. The user A delivers the printed matter 30 to the user B together with the password offline. At this time, the password may be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as the printed matter 30, or may be transmitted to other methods and times such as telephone, mail, etc. separately from the printed matter.

이하, 도 2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사용자B가 콘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contents by the user 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S. 10 to 12. FIG.

먼저, 패스워드와 함께 인쇄물(30)을 전달받은 사용자B는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메인화면(도 3의 '500' 참조)에서 시크릿뷰 리더(511)를 터치하면, 단말B(300)의 카메라가 실행되면서 디스플레이창에 사각 가이드 프레임(551)이 나타난다. 이 때, 인쇄물(30)을 사각 가이드 프레임(551) 내에 위치시킨 후 촬영&인식버튼(552)을 터치한다(도 2 및 도 10 참조). First, the user B who has received the printed matter 30 with the password executes the service application and touches the secret view reader 511 on the main screen (see 500 in FIG. 3) The rectangular guide frame 551 appears on the display window. At this time, the printed matter 30 is placed in the rectangular guide frame 551, and then the photographing & recognition button 552 is touched (see Figs. 2 and 10).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인쇄물(30)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With this operation, an image of the print 30 is obtained.

한편, QR코드(20)가 인식되면 앱 화면에서 패스워드 입력창이 팝업된다(도 2 및 도 11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the QR code 20 is recognized, a password input window pops up on the app screen (see Figs. 2 and 11).

사용자B가 사용자A로부터 전달받은 패스워드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단말B(300)가 서버(400)의 URL과 저장소의 일련번호 등 저장정보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저장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B(300)는 상기 서버(400)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서버(400)로부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전송받는다. When the user B correctly inputs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user A, the terminal B 300 detects the storage information such as the URL of the server 400 and the serial number of the storage. The terminal B 300 can access the server 400 according to the detected storage information and receive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server 400.

이로 인해 단말B(300)는 앱 화면에 획득된 이미지(40)와 함께 콘텐츠(531,533,534,535)가 오버랩되어 표현되거나 실행된다(도 2 및 도 12 참조). 즉, 텍스트, 이모티콘, 애니메이션, 스티커 등은 이미지 위에 표현되고, 사운드나 동영상 등도 이미지와 함께 실행되거나 편집된 시간배열에 따라 실행되는 것이다. 여기서 단말B(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40)는 단말A(100)에서 선택한 이미지(10)가 아니라 인쇄물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따라서 단말B(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40)에는 QR코드(20)가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B (300) overlaps and displays the contents (531, 533, 534, 535) together with the acquired image (40) on the app screen (see FIGS. 2 and 12). That is, text, emoticons, animations, stickers, and the like are displayed on the image, and sound and video are also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sequence that is executed or edited with the image. Here, the image 40 displayed on the terminal B 300 is not an image 10 selected by the terminal A 100 but an image of a printed matter. Therefore, the image 40 displayed on the terminal B 300 has the QR code 20. [

또한 콘텐츠 중에 사운드나 동영상이 포함된 경우, 반복 청취 또는 시청을 위해 별도의 아이콘이나 버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위에 오버랩된 전화번호(534)를 터치하면 해당 전화번호로 송신하거나, 유알엘(535)을 터치하면 해당 유알엘로 접속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Also, in the case where sound or moving picture is included in the contents,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icon or button is formed for repeated listening or viewing. Also, it is preferable to touch the overlapped phone number 534 on the image to transmit it to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or to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foreign party by touching the foreign party 535.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B는 인쇄물을 촬영한 이미지(40)와 함께 사용자A가 편집한 콘텐츠(531,533,534,535)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user B can confirm the contents (531, 533, 534, 535) edited by the user A together with the image 40 of the printed matter.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인쇄물을 이용한 비밀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의 일 예로서,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가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비밀 메세지를 전달하는 상황을 연출한 것이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a method of delivering a secret content using a printed matter, in which a man (a user of the terminal A 100) transmits a secret message confessing love to a woman (a user of the terminal B 300) It is a result of the situation.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는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와 함께 찍은 사진(10) 위에 정성이 담긴 비밀 콘텐츠(531,533,534,535)를 편집한다. 이 때, 콘텐츠(531,533,534,535)는 문자, 육성 녹음, 배경음악, 이모티콘,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이다. 이와 같이 편집된 콘텐츠는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서버(400)에 업로드한다. The man (user of terminal A 100) edits secret content 531, 533, 534, 535, which is deliberately placed on the photo 10 taken with the woman (user of terminal B 300). At this time, the contents 531, 533, 534, 535 are characters, fostering recordings, background music, emoticons, animations, The content thus edited is set up and uploaded to the server 400.

그리고, QR코드(20)가 삽입된 사진(30)을 인쇄하고, 패스워드와 함께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n, the photo 30 in which the QR code 20 is inserted is printed,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exciter (the user of the terminal B 300) together with the password.

여자(단말B(300)의 사용자)는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와 같이 찍은 사진(30)에 있는 QR코(20)를 인식하고, 패스워드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남자(단말A(100)의 사용자)가 편집한 콘텐츠(531,533,534,535)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woman (the user of the terminal B 300) recognizes the QR code 20 in the picture 30 taken with the male (the user of the terminal A 100) and inputs the password correctly, 100) can confirm the edited contents 531, 533, 534, 535.

이와 같이 사진(30, 인쇄물) 자체에는 콘텐츠(531,533,534,535)가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531,533,534,535)를 비밀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패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보안이나 사생활 보호에도 효과적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531, 533, 534, 535) are not displayed in the picture (30, printed matter) itself, and therefore the contents (531, 533, 534, 535) can be secretly transmitted. Also, by setting a password, it is effective for 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100, 300: 사용자 단말기
200 : 인쇄기기
400 : 서버
100, 300: user terminal
200: Printing equipment
400: Server

Claims (8)

1) 단말A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2) 앱 화면에서, 선택된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
3) 상기 단말A가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서버가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저장하고, 저장정보를 상기 단말A측에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단말A가 상기 저장정보를 기록한 소정의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에 삽입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말A가, 상기 인식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인쇄기기 측에 전송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1) executing a service application at terminal A and selecting an image;
2) editing the content on the selected image in the app screen;
3) the terminal A transmits edit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the server side;
4) the server stores edit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ransmits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
5) generating a predetermined recognition code in which the terminal A records the storage information and inserting it into the image; And
6) The terminal A transmits the image having the recognition code inserted therein to the printing apparatus, and prints the printed image.
제1항에 있어서,
7) 상기 인쇄기기에서 인쇄된 인쇄물을 오프라인에서 전달하는 단계;
8) 단말B에서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인쇄물에서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9)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된 상기 저장정보를 검출하고, 단말B가 상기 검출된 저장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접근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10) 상기 단말B가, 획득된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송받은 편집정보에 의해 상기 콘텐츠를 표현 또는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7) delivering the printed matter prin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offline;
8) executing a service application at the terminal B, acquiring an image of the printed matter, and recognizing the recognition code in the printed matter;
9) detecting the storag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cognition code, receiving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server after the terminal B approaches the server by the detected storage information;
10) displaying the image of the printed material obtained by the terminal B and displaying or execu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editing inform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사운드, 이모티콘, 2차원(2D) 애니메이션, 3차원(3D) 애니메이션, 스티커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ext, sound, emoticon, two-dimensional (2D) animation, three-dimensional (3D) animation, sticker, and moving image.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된 이미지상에 상기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앱 화면에는 텍스트 입력모드, 사운드 입력모드, 이모티콘 입력모드, 2차원(2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3차원(3D) 애니메이션 입력모드, 스티커 입력모드 및 동영상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text input mode, a sound input mode, an emoticon input mode, a two-dimensional (2D) animation input mode, a three-dimensional (3D) animation input mode, and a sticker input mode are provided on the app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dit the content on the selected image. Mode and a moving image input mode are provided to the us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종류, 내용, 크기, 각도, 칼라, 실행순서, 좌표정보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dit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ype, content, size, angle, color, execution ord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priority of the cont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에 기록되는 상기 저장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편집정가 저장된 상기 서버의 저장소의 일련번호 또는 상기 서버의 유알엘(URL)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orag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cognition code includes a serial number of a storage of the server in which the editing set of the contents is stored or URL information of the serv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상에 콘텐츠를 편집한 후, 이를 단말A에 저장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diting the content on the image in step 2) and storing the edited content in the terminal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앱에는 상기 콘텐츠가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앨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rvice app includes an album for storing an edited image of the content.
KR1020140100484A 2014-08-05 2014-08-05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KR201600173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84A KR20160017354A (en) 2014-08-05 2014-08-05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84A KR20160017354A (en) 2014-08-05 2014-08-05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54A true KR20160017354A (en) 2016-02-16

Family

ID=5544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484A KR20160017354A (en) 2014-08-05 2014-08-05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35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871A (en) * 2017-11-06 2019-05-15 디에스글로벌 (주) Stickers printed with user-edited imag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CN110851088A (en) * 2019-10-22 2020-02-28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Expr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prin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871A (en) * 2017-11-06 2019-05-15 디에스글로벌 (주) Stickers printed with user-edited imag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CN110851088A (en) * 2019-10-22 2020-02-28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Expr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printer
CN110851088B (en) * 2019-10-22 2022-09-13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Expr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704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US10931664B2 (en) Establishing access to a secure network based on user-created credential indicia
CN102377873B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0012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object
KR102013331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 dual image in device having a dual camera
US962149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189864A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shared friends in images or videos
US9420144B2 (en) Image forming device to provide preview image for editing manuscript image,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nd edit the preview image, and methods thereof
KR201300726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ttached file of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EP3383052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management method
CN105224644A (en) Information classification approach and device
KR101392928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ents output system
KR101979618B1 (en)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KR20160017354A (en)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KR101978419B1 (en)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CN108725004B (en) Printing method and printed matt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20160017352A (en)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KR20160017355A (en)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KR20160017353A (en)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CN107704911A (en) Generation, read method and the device of Quick Response Code
CN105760805A (en) Two-dimensional code recognition and reading method and system
KR20160107055A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7059A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0033A (en) Method for virtual image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
KR20200001430A (en) The data upload and download method of qr code printed out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