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341A -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341A
KR20160015341A KR1020160007014A KR20160007014A KR20160015341A KR 20160015341 A KR20160015341 A KR 20160015341A KR 1020160007014 A KR1020160007014 A KR 1020160007014A KR 20160007014 A KR20160007014 A KR 20160007014A KR 20160015341 A KR20160015341 A KR 20160015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rvey
marker
reference poin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
박희주
박정인
Original Assignee
김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 filed Critical 김평
Priority to KR102016000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341A/ko
Publication of KR2016001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CDIGITAL COMPUTERS IN WHICH ALL THE COMPUTATION IS EFFECTED MECHANICALLY
    • G06C15/00Computing mechanisms; Actuating devices therefor
    • G06C15/04Adding or subtrac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지적 측량에 기준이 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일정 이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를 구비하고,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상면에 표지기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이 GPS 기능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QR 코드 정보를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가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 지적측량 표지정보를 가져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지적측량 표지정보와 비교해 그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측량하는 사람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arker information of cadastral survey}
본 발명은 지적측량 표지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지적 측량에 기준이 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일정 이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하고,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상면에 표지기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이 GPS 기능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QR 코드 정보를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가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 지적측량 표지정보를 가져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지적측량 표지정보와 비교해 그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측량하는 사람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적 측량 또는 토목 측량과 같은 측량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작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통상 일정한 표지물을 지중에 매설하여 두고 이를 이용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준점 표지물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에는 주로 석재 기둥의 형태를 갖는 표석을 지중에 매립 설치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합성 수지제로 된 표지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 관리에 있어서는 지상에 매립 설치된 도근점과 같은 측량 기준점에 대하여 토탈 스테이션(광파 데오도라이트)과 같은 측량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점의 좌표를 산출한 다음, 측정점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종이 도면 상에 수기로 표기하거나 혹은 스케치 방식에 의하여 측정점에 대한 개요도를 작성하고 위치점에 대한 안내 사항을 수기로 표시하고 있었으며, 이렇게 취득된 자료를 별도의 종합적인 대장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측량 표지 관리 방식의 경우, 본격적인 측량 작업에 앞서 표지점의 위치 확인을 하고자 함에 있어 주변 지역의 지형 지물이나 지명, 기타 제반 상황을 참조로 하여 표지점의 위치를 육안에 의해 개략적으로 추적한 다음 그 확인은 별도의 대장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주로 인력에 의해 표지점의 검색 및 확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 신뢰도 면에서 문제가 있었으며, 그 과정이 번거로우므로 표지점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작업 효율성도 매우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리고, 지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준점이 유실 또는 훼손되었을 경우, 해당 기준점이 설치되어 있던 지점을 찾기가 어려워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기준점이 눈이나 낙엽 등에 의해 가려졌을 경우에는 해당 기준점을 육안으로 찾기가 어려웠으며, 찾더라도 원래 등록대장에 기재되어 있는 지점인지 누군가에 의해 이동된 것인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16587호(공개일: 2005년12월13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적 측량에 기준이 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일정 이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를 구비하고,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상면에 표지기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이 GPS 기능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QR 코드 정보를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가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 지적측량 표지정보를 가져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지적측량 표지정보와 비교해 그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측량하는 사람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와,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진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구비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측량표지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상기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측량표지 관리서버; 및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되게 등록된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는, 상기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와,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된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형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중으로 삽입되기 위해 뾰쪽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상기 자기 마커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QR 코드 정보를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는,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설치일, 설치 약도, 조사자, 조사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는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DGPS와 연동하여 기준점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형도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따라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기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에 대해, 지적삼각표조점 관리대장이나 도근점 관리대장, 경계점 표지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에 기재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되고,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 및 상기 막대형 지지부에서 지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며,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점 첨두부는,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일정 세기의 자력을 가지는 마그네틱을 구비하고, 상기 기준점 첨두부 위에 알루미늄 판이 형성되며, 상기 알루미늄 판에 상기 QR 코드와 상기 기준점 및 지적 관련 문구가 표기되며, 그 위에 투명 강화 플라스틱 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형 지지부가 원기둥 모양의 막대형인 경우에 상기 자기 마커는 링형이나 도넛형 형상으로 일정 위치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은 삼각점, 삼각보조점, 도근점에 따라 산출된 기준점으로 표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측량 기준점 표지기와 사용자 단말기, 측량표지 관리서버 및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지중에 설치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QR 코드 정보로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상기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오는 단계; (d)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비교 결과에 근거해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QR 코드 정보를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는,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설치일, 설치 약도, 조사자, 조사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DGPS와 연동하여 기준점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형도와 함께 상기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따라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기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는, 지적삼각표조점 관리대장이나 도근점 관리대장, 경계점 표지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에 기재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삼각점, 삼각보조점, 도근점 등 기준점에 QR 코드와 자기 마커를 추가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특정 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내장되어 있는 자기 마커를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게 됨에 따라 기준점의 위치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지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QR 코드를 촬영해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서버로부터 그 결과를 수신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현장에서 즉시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에 대응된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 측량표지 관리서버(130) 및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는 지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와,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진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에 구비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측량표지 관리서버(130)에 전송하고,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로부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수신하거나,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가져와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하거나,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하게 된다.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QR 코드 정보에 대응되게 등록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210)와, 기준점 첨두부(210)에 결합된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막대형 지지부(220)는, 일측이 기준점 첨두부(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중으로 삽입되기 위해 뾰쪽한 형상을 가지며, 지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정 위치에 자기 마커(2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QR 코드 정보를 측량표지 관리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등록 측량 기준 정보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설치일, 설치 약도, 조사자, 조사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DGPS와 연동하여 기준점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형도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20)는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로부터 제공받은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따라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기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의 측량 기준 정보에 대해, 지적삼각표조점 관리대장이나 도근점 관리대장, 경계점 표지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에 기재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는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210);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되고,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220); 및 막대형 지지부에서 지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며,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Magnetic Marker)(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기준점 첨두부(210)는, 막대형 지지부(220)에 결합된 부분에 일정 세기의 자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230)를 구비하고, 자기 마커(230) 위에 알루미늄 판(216)이 형성되며, 알루미늄 판(216)에 QR 코드(212)와 기준점(214) 및 지적 관련 문구가 표기되며, 그 위에 투명 강화 플라스틱 판(2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QR 코드는 도로 표지판에 사용하고 있는 QR 코드 인쇄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UV 코팅 방식으로 철재판 위에 인쇄되며, 본드로 붙이거나 끼우는 방식으로 상판에 구비할 수 있다.
상판의 표면에는 QR 코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두께 2 mm의 투명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판이 형성되며, 투명 강화 플라스틱 판(218)은 시간이 지나서 긁혀지거나 마모가 되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돌려서 빼거나 도구를 사용하여 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막대형 지지부(220)가 원기둥 모양의 막대형인 경우에 자기 마커(230)는 링형이나 도넛형 형상으로 기준점 첨두부(2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막대형 지지부(220)에서 지중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부에 마그네틱(240)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점 첨두부(210)에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214)은 삼각점, 삼각보조점, 도근점에 따라 산출된 기준점으로 표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먼저 사용자 단말기(120)가 지중에 설치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212)를 촬영하여 QR 코드 정보로 획득한다(S310).
이어, 사용자 단말기(120)는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측량표지 관리서버(130)에 전송한다(S320).
이때, 사용자 단말기(120)는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QR 코드 정보를 측량표지 관리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해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산출하거나, DGPS 수신기를 통해 보정 처리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오차 0.7 m 내외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 측량표지 관리서버(13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읽어온다(S330).
이때, 등록 측량 기준 정보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설치일, 설치 약도, 조사자, 조사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측량표지 관리서버(130)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한다(S340).
여기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는, 지적삼각표조점 관리대장이나 도근점 관리대장, 경계점 표지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에 기재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DGPS와 연동하여 기준점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형도와 함께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읽어오고,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따라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기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어, 측량표지 관리서버(130)가 비교 결과에 근거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한다(S350).
즉,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받은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도근점 표석 대장이나 지적 삼각보조점 성과표 등을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에 대응된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근점 표석 대장은 도근점 번호와 더불어 도선 번호, 도선명, 표지재질, 토지 소재, 지적도, 설치 및 재설치 년월일, 좌표, 위치약도, 조사년월일, 조사자, 조사 내용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적 삼각보조점 성과표는 지적도 근점번호, 종전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표지재질, 토지 소재, 설치 및 재설치 년월일, 위치 약도, 조사 년월일, 조사자, 조사 내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위치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해 있는 곳이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지도 판단하여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정상적인 설치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곳에 설치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곳과 일치된 곳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정상적인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적 측량에 기준이 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일정 이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를 구비하고,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상면에 표지기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이 GPS 기능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QR 코드 정보를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가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 지적측량 표지정보를 가져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지적측량 표지정보와 비교해 그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측량하는 사람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지적 측량 또는 토목 측량에 필요한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지상에 설치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와 이를 이용하여 지적측량 표지 정보를 관리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110 : 측량 기준점 표지기
120 : 사용자 단말기 130 : 측량표지 관리서버
140 :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 210 : 기준점 첨두부
220 : 막대형 지지부 230 : 자기 마커

Claims (8)

  1. 지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와,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진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구비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측량표지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상기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측량표지 관리서버; 및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되게 등록된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는 상기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와,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된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대형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중으로 삽입되기 위해 뾰쪽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상기 자기 마커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막대형 지지부에서 지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정 위치에 상기 자기 마커가 결합되어, 육안으로 기준점을 찾기가 어렵거나 지표면에 설치된 기준점이 유실 또는 훼손된 경우에도 상기 자기 탐지기로 해당 기준점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는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DGPS와 연동하여 기준점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형도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따라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기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QR 코드 정보를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는,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설치일, 설치 약도, 조사자, 조사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에 대해, 지적삼각표조점 관리대장이나 도근점 관리대장, 경계점 표지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에 기재된 정보로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5. 측량 기준점 표지기와 사용자 단말기, 측량표지 관리서버 및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지중에 설치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QR 코드 정보로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상기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오는 단계;
    (d)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비교 결과에 근거해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DGPS와 연동하여 기준점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형도와 함께 상기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가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따라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기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는 상기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와,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된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대형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중으로 삽입되기 위해 뾰쪽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준점 첨두부에 상기 자기 마커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막대형 지지부에서 지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정 위치에 상기 자기 마커가 결합되어, 육안으로 기준점을 찾기가 어렵거나 지표면에 설치된 기준점이 유실 또는 훼손된 경우에도 상기 자기 탐지기로 해당 기준점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QR 코드 정보를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등록 측량 기준 정보는,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설치일, 설치 약도, 조사자, 조사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는, 지적삼각표조점 관리대장이나 도근점 관리대장, 경계점 표지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에 기재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방법.
KR1020160007014A 2016-01-20 2016-01-20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5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14A KR20160015341A (ko) 2016-01-20 2016-01-20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14A KR20160015341A (ko) 2016-01-20 2016-01-20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184A Division KR20150047693A (ko) 2013-10-24 2013-10-24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341A true KR20160015341A (ko) 2016-02-12

Family

ID=5535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014A KR20160015341A (ko) 2016-01-20 2016-01-20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3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35B1 (ko) * 2016-04-11 2016-12-26 이명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중선로 표지기 및 상기 지중선로 표지기의 관리시스템
KR20170102765A (ko) * 2016-03-02 2017-09-12 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기준점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EP3451309A4 (en) * 2016-04-28 2019-07-03 Aichi Steel Corporation MAGNETIC MARKER AND FAHRASSISTENZSYSTEM
KR102521153B1 (ko) * 2022-05-11 2023-04-12 조창희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KR102564156B1 (ko) * 2022-05-11 2023-08-07 조창희 보강토 옹벽의 토목 설계 지원 시스템
KR102656938B1 (ko) * 2023-03-20 2024-04-17 이승주 스마트 경계목을 이용한 토지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587A (ko) 2004-06-08 2005-12-13 대한지적공사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587A (ko) 2004-06-08 2005-12-13 대한지적공사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2765A (ko) * 2016-03-02 2017-09-12 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기준점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689735B1 (ko) * 2016-04-11 2016-12-26 이명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중선로 표지기 및 상기 지중선로 표지기의 관리시스템
EP3451309A4 (en) * 2016-04-28 2019-07-03 Aichi Steel Corporation MAGNETIC MARKER AND FAHRASSISTENZSYSTEM
US11921516B2 (en) 2016-04-28 2024-03-05 Aichi Steel Corporation Magnetic marker and driving assistance system
KR102521153B1 (ko) * 2022-05-11 2023-04-12 조창희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KR102564156B1 (ko) * 2022-05-11 2023-08-07 조창희 보강토 옹벽의 토목 설계 지원 시스템
KR102656938B1 (ko) * 2023-03-20 2024-04-17 이승주 스마트 경계목을 이용한 토지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5341A (ko)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402969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02854A1 (en) Mark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including optical flow-based dead reckoning features
TWI391632B (zh) 利用識別標籤之定位導航系統與應用於其上之定位導航方法
US20060220955A1 (en) Geographic marking device with RFID transponder
EP1321779A2 (en) Locating device
WO2012111258A1 (en) Guidance device, guidance method, and guidance program
CN10228818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和程序
KR20180132917A (ko) 지도 데이터 갱신 장치,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갱신 프로그램
CA2838328A1 (en) Mark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including optical flow-based dead reckoning features
JP2006317268A (ja) 測量システム
CN103487045A (zh) 一种室内定位导航系统
US201303133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rveying using rfid devices
KR20120064347A (ko)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JP6223726B2 (ja) 標示器または情報杭を管理する管理サーバ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150047693A (ko)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468635B2 (ja) 地下埋設物位置検出システム
JP2017045427A (ja) 走行路附属物検出装置、走行路附属物および走行路検出方法
JP2004109084A (ja) 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方法並びに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210376699U (zh) 工程勘察钻孔定测过程中的线路生成系统
US9759833B2 (en) Buried asset detection including portable transmitter hookup logging
KR10084756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101209285B1 (ko) 기준점 및 수준점 확인을 통한 지표면의 지리정보 측지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654421B1 (ko) 지적기준점 위치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안내방법
KR101298071B1 (ko) 목적지 경로안내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