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402A - laundry treat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402A
KR20160009402A KR1020140089907A KR20140089907A KR20160009402A KR 20160009402 A KR20160009402 A KR 20160009402A KR 1020140089907 A KR1020140089907 A KR 1020140089907A KR 20140089907 A KR20140089907 A KR 20140089907A KR 20160009402 A KR20160009402 A KR 2016000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mote control
control activation
user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5174B1 (en
Inventor
성병기
하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174B1/en
Publication of KR2016000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ly controlled more saf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ich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has a control panel comprised for remote control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d for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cabinet; a clothes accommodation part which is comprised in the cabinet and accommodates laundry; a door which is comprised in the cabinet, and opens or closes the clothes accommodation part selectively; a door opening/closing part which maintains a closed state of the door, and opens the door by manipulation of a user; a door opening/closing sensing part for sensing opening/closing of the door;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part which is comprised in the control panel in order to set or release possibility of the remote control by selec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part which release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according as the door opening/closing sensing part senses an open state of the door, under the stat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 apparatus}[0001]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와 통신을 통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안전하게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mote control more safely.

의류처리장치로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나 세탁과 건조가 모두 가능한 세탁/건조기 또한 의류처리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마른 의류나 일부 젖은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라 할 수 있다. As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garments is a typical example, and a dryer for drying clothing or a laundry / dryer capable of both washing and drying is also considered as a garment disposal facility. Of course, a refresher that refreshes dry garments or some wet garments is also an example of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수용부에 의류를 수용하여 의류를 처리하게 되며, 상기 의류 수용부의 형태나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리될 수 있다. Such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accommodates garments in the garment accommodating section and processes the garments, and can be various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arment accommodating s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input port into which the garment is inserted.

원통형의 드럼 형태로 의류 수용부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드럼이 회전하면서 의류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형태의 의류 수용부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로 열풍이나 스팀이 공급되면서 의류가 처리될 수 있다. 후자의 의류처리장치로는 리프레셔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In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garment receiving portion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drum, the garment can be processed while rotating the drum. In addition,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of a fixed type, the clothes can be processed while hot air or steam is supplied into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s the latter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refresher is representative.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형태를 보면, 사용자가 직접 의류처리장치 조작함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의류를 직접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바대로 의류처리가 수행되도록 직접 의류처리장치에 다양한 입력을 하게 된다. In view of the usage pattern of such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t is general that the user operat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directly. That is, the user puts the clothes directly in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n, the user input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directly to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garment processing is performed as desired.

그러나, 라이프 스타일의 다변화와 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에서 직접 의류처리 입력을 하지 않고 원격에서 의류처리 입력을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0004] Howeve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diversification of lifestyle an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clothes processing remotely without inputting clothes processing directly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mote control.

원격 제어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가 아닌 원격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다양한 제어 입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 연결되는 외부 단말을 통해서 제어 입력을 하여 원격에서 의류처리장치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치 않은 경우에 원격 제어가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도 원격 제어가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특정 의류장치를 특정한 한 사람만 사용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격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특정 사용자 또는 여러 사용자 간에 혼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remote control means that the user makes various control inputs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remotely, rather tha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may be controlled remotely by a control input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ng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e, remote control may be performed when the user does not desire, or remote control may not be performed even if the user desires. This is because, in general, a specific garment device can be used by a plurality of persons without using only one specific pers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confusion between a specific user or a plurality of users in remote control.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물, 열풍, 드럼의 구동,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의류를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의류처리가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즉,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 수용부와 캐비닛에 구비되는 도어 사이가 서로 밀폐된 상태에서 의류처리가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원격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Furth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uses clothes, such as water, hot air, driving of the drum, and steam, to process the clothe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 garment treatment is general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closed. That is, the garment processing is general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cabinet and the door provided in the cabinet are seal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in remote control.

출원인은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098945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098946을 통하여, 전술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의류처리장치, 특히 세탁장치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 바가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출원된 특허를 선행 특허라 한다. In order to provide such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applicant has proposed, through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98945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98946, an invention relating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articularly a laundry apparatus, Has been disclosed. Hereinafter,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referred to as a preceding pat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발명에서, 출원인은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해서, 특정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하여, 원격제어를 하겠다는 의사를 의류처리장치에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사용자에 의사에 반하는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In the above invention, the applicant has made it possible for a specific user to input, directly to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via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a reminder to perform remote control, for remote control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problems.

다시 말하면, 상기 특정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 바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in which remote control can not be performed against a will of the specific user by a user other than the specific user.

그러나, 상기 발명에서는, 원격제어활성화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원격제어가 불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remote control is unnecessary or undesirable in a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maintained.

예를 들어,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물, 스팀 그리고 열풍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드럼이 구동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opened by another user in a state where remote control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driving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started in a state that the door is opened. In this case, the water, steam, and hot wi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rum may be driven.

이러한 문제는 특히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될 때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This problem may arise in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in which a door lock device is excluded which prevents the user from arbitrarily opening the door when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is driven.

기본적으로 세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안전을 위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잠금 장치의 도어 잠금이 해제되기 때문에 구동이 시작되지 않는다. 물론, 구동이 시작되더라도 도어가 개방되면 구동이 정지됨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구동 시작은 도어 잠금을 전제로 하고, 구동 정지는 도어 잠금 해제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 잠금 장치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Basically, in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such as a washing machine, the door is unlocked because the door is opened for safety, so that driving is not started. Of course, even if the driving starts, the driving is generally stopped when the door is opened. This is because the driving start is based on the door locking, and the driving stop is based on the door unlocking. Therefore, safety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ensured through the door locking device.

그러나, 이러한 도어 개방과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여부는 의류처리장치 자체의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사항은 의류처리장치에서 직접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구동 불가 또는 구동 정지에 대해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사항이라 할 수 있다. However, whether or not such door opening and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re matter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tself. In other words, this can easily be grasped by the user operating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directly from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in terms of such disabling or disabling.

의류처리장치 중 건조기와 같이 세탁수에 의한 세탁을 수행하지 않는 많은 장치들에 있어서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도어의 개방이 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고, 도어 잠금 장치로 인해 시스템이 복잡해지거나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n many apparatuses that do not perform washing by washing water in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ryer, the door locking apparatus is often excluded. This is because opening of the door during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not cause a large problem an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ystem from being complicated or increased in cost due to the door locking device.

예를 들어,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드럼 세탁기의 경우 작동 중 도어의 개방으로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많은 물이 배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 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정지만으로는 안전 사고 예방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rum washing machine rotating on the horizontal axis, a large amount of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by opening the door during operation. Therefore, when the door is open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is insufficient only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그러나, 반대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의 경우 작동 중 도어의 개방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정지만으로도 만족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ulsator washing machine rotating on the vertical axis, on the contrary, the operation stop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be satisfied only by opening the door during operation.

문제는 현재의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특히 도어의 개방 여부를 모르는 사용자가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roblem is that a user who does not know the current stat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particular,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can remotely control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remote control.

따라서, 도어의 개방과 연관되어 안전하게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안전하게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safely remote control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afely remote control in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s exclud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안전하게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remote control basically safel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원격 제어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te control is disabled when a door is opened, thereby providing a saf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강제적으로 원격 제어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어 개방으로 인한 원격 제어 불가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oo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remote control is possib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afeguard garment processing device by forcibly making remote control impossibl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 online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enable a user to easily grasp the situation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in a remote control impossible state due to door ope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도어 개폐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더라도 안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a door is opened or closed easily through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and to provide a saf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ven if the door locking device is exclu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들간에 원격 제어와 관련되어 오인 혼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users,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minimizing confusion of mistakes associated with remote control among us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격 제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이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use a remote control while allowing a user to easily grasp the cause thereof in a state where remote control is impossible.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의 가능 여부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having a control panel for a user interface, which is provided to be remotely controllable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cabinet; A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es; A door provided in the cabine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 door opening / closing unit for keeping the door in a closed state and opening the door by a user's operation;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to set or release the remote control capabilit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leasing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upon sensing the opening state of the door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상기 도어 계폐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내부의 의류 수용부 사이가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is kept closed by the door-based closure part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door and the clothes receiving part inside the cabinet is sealed. To this end, a gask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상기 도어 개폐부는 도어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에 스트라이커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래치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가 래치 어셈블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닫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열릴 수 있다.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may include a handle provided on the door, and may include a striker and a latch assembly provided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For example, the door may have a striker and a latch assembly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triker. The door can be closed by inserting the striker into the latch assembly. The door may be opened by separating the striker from the latch assembly.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 가해지는 소정의 힘을 통하여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oor may be opened by a user with a predetermined force applied to the door or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closed. For exampl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he striker can be separated from the latch assembly.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소정의 힘 이상을 견디면서 상기 도어 계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을 유지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될 수 있다. 즉, 강제적으로 도어의 닫힘을 유지하는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가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door lock device for holding the door closed continuously through the door-side closure part can be excluded in the clothes processing device while enduring the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at is, the door locking device for forcibly closing the door can be eliminated. For example, the door lock device may be added to prevent the strik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atch assembly.

상기 컨트롤패널은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원 입력부의 입력에 의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전원이 인가된 후에야 비로소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더라도 전원이 해제되면 원격제어활성화도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원격제어활성화도 해제된 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전원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보다 상위 입력이라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power input uni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released by an input of the power input unit by a user. In other word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can be set only after the power is applied, and even i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also canceled when the power is released. Of course, when the power is again appli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also released. Through this, the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is an upper input tha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상기 컨트롤패널은, 코스 선택부, 옵션 선택부, 시작/정지 입력부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course selection unit, an option selection unit, a start / stop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한 해제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도어의 개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원 입력부를 통한 전원 해제 입력에 의해서도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canceled by any one of the release by the user via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and the opening of the door by the user.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also released by the power-off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 코스 선택부, 옵션 선택부, 시작 /정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r input units including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and adapted to be input by a user.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the power input unit, the course selection unit, the option selection unit, and the start / stop input unit.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불활성화시키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코스 선택부나 옵션 선택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원격 제어를 하는 경우 원격에서 코스나 옵션이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의류처리장치 자체에서 이러한 입력들이 허용되는 경우,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 오인 혼동이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In the remote control deactivation state, i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preferably deactivates at least a part of the user input and se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For example, it is not possible to input the user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or the option selection unit. This is because, when remote control is performed, the course or option can be selected remotely. That is, if these inputs are allowed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tself, misleading confusion may occur among a large number of users.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해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원격 제어는 통신 연결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격제어활성화를 위하여 통신 연결이 전제가 될 수 있고, 원격제어활성화의 유지를 위하여도 통신 연결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is selected i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release state, the control section preferably confirms the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se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That is, the remote control is based on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erefo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a prerequisite for activating the remote control,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needs to be maintained also for the maintenance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해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의 폐쇄가 원격제어활성화를 위한 전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활성화 설정 시부터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is selected i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release state, the control section confirm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ction and se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That is, closing of the door may be a prerequisite for activating the remote control. Therefore, safety can be ensured from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의 폐쇄가 원격제어활성화의 유지를 위한 전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유지할 때에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released. That is, the closing of the door may be a prerequisite for maintaining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 other words, safety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is maintained.

원격제어활성화가 수행되고 실제 원격제어가 수행될 때에도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는 지속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원격으로 의류처리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됨을 감지하면, 원격제어활성화는 즉시 해제되며 의류처리의 작동이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It is desirable that such door open / close detection be continued even when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performed and actual remote control is performed. Likewise, when it is sensed that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where the garment processing is remotely oper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immediately canceled and the operation of the garment processing is stopped.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는 도어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may transmit different signals to the controller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can grasp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upon receipt of different signals.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에서 소정 시간 동안 일정 패턴을 갖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may transmit signals having different patterns to the controller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oor is closed whe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receive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tate when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and when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 It is preferable to release it.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외부 단말기를 통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원격제어활성화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입력되면,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위한 조건을 체크하는 체크단계;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단계; 그리고 상기 도어 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including a cabinet, a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cabinet, and a door provided in the cabine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 control method of a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put step of inputting remote control activation so that a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via an external terminal; A checking step of,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inputted, checking a condition for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A setting step of setting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A sensing step of confirming an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wit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being set; And a releasing step of releasing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ed in the door sensing step.

상기 체크단계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단계가 수행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checking step, if the condition is not satisfied, an informing step is performed to inform that the setting step can not be performed.

상기 조건은,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판단되는 상기 도어의 폐쇄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통신 연결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dition includes closing of the door determin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and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체크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일부를 불활성화시키는 입력부 잠금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checking step preferably includes an input unit locking step of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user input units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면,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또는 불안정한 경우, 외부 단말기에서 통신 연결의 문제로 인해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으로 인해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되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remotely controllable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leased or unstable, it is easy to grasp that the remote control is impossible due to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connection in the external terminal. Further, it is easy to grasp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released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이는, 원격제어활성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단말기로 이러한 상태정보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어 개방 및 이로 인한 원격제어활성화 해제에 관한 정보를 의류처리장치에서 외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tat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transmit such stat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That is, the information on the door opening and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cancellation can be transmitted from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the external terminal.

따라서, 안전한 원격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원격 제어가 도어 개방으로 인해 불가능함을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implemented safely and that the remote control is impossible due to the door opening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eatures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원격 제어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by making remote control impossible when the door is ope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강제적으로 원격 제어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어 개방으로 인한 원격 제어 불가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oo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remote control is possib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afeguard garment processing device by forcibly making remote control impossible.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n online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enable a user to easily grasp it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in a state where remote control is impossible due to door ope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도어 개폐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더라도 안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thereby providing a safe garment disposal apparatus even if the door locking apparatus is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들간에 원격 제어와 관련되어 오인 혼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confusion can be minimized due to remote control between us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격 제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이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enables a user to easily use the remote control and can easily grasp the cause of the remote control in a state where the user can not control the remote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표시부의 일례;
도 5는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외부 단말기의 표시부의 일례;
도 6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경우, 외부 단말기의 표시부의 일례;
도 7은 원격 제어로 의류처리장치가 동작을 시작할 때의 의류처리장치의 표시부의 일례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an external terminal when remote control is not possible;
6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an external terminal when remote control is possible;
Fig. 7 is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starts operation by remote control.

이하에서는, 사용자와 가전제품이 서버에 등록된 후,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의 온라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안전하게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in which an online service of a household appliance is implemented using an external terminal after the user and the appliance are registered in the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remote control can be described in detail.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의 경우, 원격 제어가 무조건 가능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세탁장치의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나 세탁장치 내부에 처리를 위한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는 등 세탁장치가 작동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 원격 제어는 무의미하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remote control is not always possible. This is because the remote control is meaningless when the door of the washing machine is open or when the washing machine is not ready for operation, for example, laundry for processing is not put into the washing machine.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세탁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원격 제어 시 세탁장치를 직접 조작하려고 하는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혼선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원격 제어로 인한 예기치 못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washing machine directly, there is a fear that a crosstalk may occur in relation to another user who intends to directly operate the washing machine during remote control. In addition, unexpected safety accidents due to remote control may occur.

일반적으로,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은 일반적으로 여러 명이 사람이 공통으로 사용한다. 즉, 한 가정에서 세탁장치를 이용하는 주 주체는 여러 명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 세탁장치를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원격 제어를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의 혼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세탁장치를 원격 제어하려 하고, 다른 사람은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을 직접 조작하려 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Generally,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are commonly used by several persons in common. That is, there may be several persons who use the washing machine in one household. Therefore, there is a fear that a confusion may occur between the user interface through the actual washing machine and the user interfa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For example, one person may want to remotely control the washing machine, while others may attempt to operate the control panel of the washing machine directly.

또한, 세탁장치를 직접 조작하려 할 때, 갑자기 원격 제어를 통해 세탁장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왜냐하면, 원격 제어는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드럼, 급수 밸브, 히터, 팬, 스팀발생기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irectly attempts to operate the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may be operated suddenly by remote control,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This is because remote control may be to drive hardware such as drums, water valves, heaters, fans, steam generators, etc., rather than simply driving the software.

따라서, 하나의 가전제품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수 명의 사용자들 사이의 혼선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특허에서는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원격제어활성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원격제어가 수행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의 특징을 제시한 바 있다. 물론, 상기 선행 특허에서는 외부와 통신하는 세탁장치, 세탁장치의 서버와의 통신 연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등의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prevent cross-talk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simultaneously using one home appliance and to improve safety. To this end, the prior art discloses features such as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for positively reflecting the intention of a specific user to perform remote contro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mote control activation stat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ate in which remote control is performed There is one. Of course, the prior art discloses features such as a washing machin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server of the washing machine, and remote control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행 특허에서 더 나아가 원격제어활성화와 도어 개방 사이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further desired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remote control more safely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and the door opening.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단말과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서버를 통해서 외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선행 특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remotely control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d a control panel for a user interfac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rver. These features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in the preceding patent,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타입 건조기를 일례로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drum type dryer.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므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 수용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러한 공간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의류 수용부(3)는 캐비닛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드럼 형태로 캐비닛에 수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형태로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드럼인 경우, 상기 드럼 내부에는 드럼 회전에 따라 의류를 들어올리고 떨어뜨리기 위해 리프터(4)가 구비될 수 있다.Basically,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t can include a cabinet 1 and a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3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clothes. The cabine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space in which the clothes are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cabinet, so that the clothes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3 can be formed directly in the cabinet,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binet in the form of a drum. When a garment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drum shape, a drum driving portion (not shown) for rotating the drum may be provided. When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is a drum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the lifter 4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um to lift and drop the clothes as the drum rotates.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열어 상기 의류 수용부 내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고, 상기 도어를 닫아 의류 처리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열어 처리된 의류를 꺼낼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door (2) provided in the cabinet (1)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The user can open the door to put the clothes into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nd close the door to allow the garment processing to proceed. When the clothes processing is completed, the user can open the door to take out the processed clothes.

상기 도어(2)는 힌지(5)를 통해서 캐비닛(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는 상기 힌지(5)를 통해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서 도어가 상기 의류 수용부(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2) is connected to the cabinet (1) through a hinge (5). Accordingly, the door 2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hrough the hinge 5. Through this rotation, the door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2. [

상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도어 개폐부(6, 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부는 상기 도어(2)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oor open / close portions 6 and 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provided to open the door by a user's operation while keeping the door 2 in a closed state.

상기 도어 개폐부는 후크와 같은 스트라이커(7)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 어셈블리(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캐비닛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2)를 닫으면, 상기 스트라이커(7)가 래치 어셈블리(6)와 결합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소정 힘을 가하여 도어를 열면 상기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include a striker 7 such as a hook and a latch assembly 6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triker. The striker may be provided in the door, and the latch assembly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2, the striker 7 is engaged with the latch assembly 6 and the door is kept closed.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he engagement between the striker and the latch assembly is releas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20)이 구비될 수 있다. A control panel 20 for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도 2는 본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Fig. 2 shows a block diagram for this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10), 컨트롤패널(20) 그리고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 a control panel 20, and a door open / close detection unit 50.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또는 닫혀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5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는 도어 개폐부(6, 7)과는 별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도어 개폐부의 기계적인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도어 개폐 감지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도어 개폐부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개폐 감지부(50)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at is, i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grasp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open / close detecting unit 5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oor open / close units 6 and 7. Of cours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may be provided to switch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to an electrical signal by using mechanical coupling and disengagement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In this cas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50 may be used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us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상기 컨트롤패널(20)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양한 입력을 의류처리장치에 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20 may be provided for interfacing with a user. That is, the user can make various inputs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can be provided to provide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the user.

상기 컨트롤패널(20)에는 사용자 입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30)를 통해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에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20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3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30, the user can input various commands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일례로,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전원입력부(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입력부(32)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즉, 전원 on/off를 위해 전원입력부(32)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30 may include a power input unit 32, and the user may select the power input unit 32 to turn on or of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the power input unit 32 may be provided for power on / off.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코스 선택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스라 함은 복수 개의 서브 사이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복수 개의 서브 사이클이 자동적 그리고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의류 처리가 수행되어 완료되도록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30 may include a course selector 33. The course may have a plurality of sub-cycles, and the plurality of sub-cycles may be automatically and sequentially performed to complete the garment processing.

일례로 건조 코스는 열풍을 공급하는 사이클과 냉풍을 공급하는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고 건조 후 의류를 냉각시키는 냉풍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들이 자동적 그리고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건조 코스가 완료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건조 코스도 의류의 종류나 목표하는 건조도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ying course may include a cycle of supplying hot air and a cycle of supplying cold air. That is, cold air can be supplied to supply hot air to dry the clothes and to cool the clothes after drying. These cycles can proceed automatically and sequentially to complete the drying course. Of course, such a drying course may be variously prep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lothes and the desired degree of drying.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옵션 선택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 선택부는 코스 내의 다양한 인자를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코스 내의 사이클의 다양한 인자를 변경하도록 구비되거나, 별도의 사이클이 부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Also, the user input unit 30 may include an option selection unit 34. The option selection unit may be provided to change various factors in the course. Also, it may be provided to change various factors of the cycle in the course, or may be provided so that a separate cycle is added.

예를 들어, 옵션 선택부(34)는 건조도의 변경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건조 종료 후 수분을 공급하는 정전기 제거 사이클 부가를 위해 마련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option selection unit 34 may be provided for changing the degree of drying, and may be provided for a static elimination cycle unit for supplying moisture after completion of drying.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시작/정지 입력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5)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시작하는 명령 또는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30 may include a start / stop input unit 35. This input unit 35 may be provided to input a command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r a command to stop the operation.

사용자가 코스 선택부(33)를 통한 코스 선택이 완료하고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선택된 코스에 따라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작동 중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하면 작동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시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하면 작동이 재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completes the course selection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33 and selects the start / stop input unit 35,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starts operat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When the start / stop input part 35 is selected during operation, the operation can be paused. If the start / stop input unit 35 is again selected in this state, the operation can be resumed.

의류가 의류 수용부에 투입된 후, 상기 코스 선택부(33), 옵션 선택부(34) 그리고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고 작동을 완료하는 것은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가 직접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fter the clothes are put in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the clothes processing device is operated and the operation is completed by selecting the course selecting portion 33, the option selecting portion 34 and the start / stop inputting portion 35, It can be said to be in use form. That is,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의류를 처리하는 데는 기본적으로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드럼 타입의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처리가 완료된 의류가 장시간 드럼 내에서 방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의류의 자중에 의해 의류에 구김이 많이 발생될 수 있고, 잔류 수분으로 인해 냄새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Basically,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process clothes through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rum type dryer,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processed garment is left in the drum for a long time. This is because a large amount of wrinkles may be generated in clothes due to the weight of clothes, and odors may be generated due to residual moisture.

따라서, 사용자가 가정 외부에서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류 처리 완료 시간을 원격으로 지정하고 완료 시간에 맞춰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하여 처리 완료된 의류를 꺼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utside the hom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letion time of the garment processing is remotely designated and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s ac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ion time, so that the processed garment can be taken out.

그러나, 이러한 원격 제어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사에서 의류처리장치를 원격 제어하고, 퇴근 후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가정에 도착할 시간에 맞춰 의류 처리가 완료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원격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owever, such remote control may not be performed with the user easily accessible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user may remotely control the garment disposal device in the company and access the garment disposal device after work. That is, the clothes can be remotely controlled so that the garment process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time of arrival at home. At this tim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needs to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remote control is possible.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be ready to receive control commands remotely.

일례로, 원격 제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서부터 원격 제어가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 인가를 원격 제어로 수행하는 것은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에서 전원을 인가할 때 의류처리장치 인근에 있는 다른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In one example, the remote control can be started from the power supply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by remote control. However, performing such power-on with remote control may cause stability problems. For example, when remotely powering up, other users near the garment handling device may suspect a failure of the garment handling devi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power is basically applied.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20)은 표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40)는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LED는 각종 입력부(31 내지 35)의 선택 여부나 선택 가능 여부를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4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화면으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panel 20 may include a display unit 40. The display unit 40 may include an LED, and the LED may be provided to indicate whether the various input units 31 to 35 are selected or not. Also, the display unit 40 may include a display.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on the screen.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다른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원격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상태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reflects an active intention to perform remote control by a user.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learly understand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performed when another user approach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이를 위해서, 사용자 입력부(30)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원격제어가 수행 가능한 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선택으로 나타남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user input unit 30 preferably includes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s intention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appears as the selection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31. [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40)를 통해서 원격제어활성화 상태임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ED가 점등된다거나 원격제어 가능 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서 특정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려 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tat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40.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display that the LED is lit or remotely controllable. Therefore, when another user approach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t is easy to grasp that the specific user is going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display unit.

한편,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20)의 표시부(40)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30)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입력을 가할 수 있다. 물론, 전원입력부(32)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40 of the control panel 20 shown in FIG. 1 may be a touch display. That is, the user input unit 30 is displayed on the touch display, and the user can make a desired input by touching the display. Of course, the power input unit 32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ouch display.

상기 사용자 입력부(30)와 표시부(40)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든 일체로 구비되든 제어부(1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하드웨어 구동부(40)와 연결되어 있다. The user input unit 30 and the display unit 40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 The controller 10 is connected to the hardware driver 40.

상기 하드웨어는 드럼 구동부, 각종 밸브, 히터, 스팀발생기, 펌프, 팬 그리고 히트 펌프 등 의류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의 구동은 제어부(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부(40)의 제어 또한 상기 제어부(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hardware ma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driven by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rum driving unit, various valves, a heater, a steam generator, a pump, a fan, and a heat pump. The driving of such hardwar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0. [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display unit 40 can also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0. The control unit 10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ardware.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가 열린 상태로 있는지 닫힌 상태로 있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is inclu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특히, 도어 잠금 장치가 없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 안전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는 것은 사용자가 소정 힘을 가하여 도어를 임의로 개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건조기나 리프레셔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경우는 다양한 이유로 이러한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어 잠금 장치가 있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소정의 힘 이상을 견디면서 도어 개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이 유지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를 통해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려 하는 경우 매우 큰 힘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도어 잠금 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매우 큰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됨이 일반적이다.In particular, in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ithout a door lock device, it is possible to perform safe remote control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50. The exclusion of the door lock means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open the door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ryer or a refresher, such a door locking device is generally excluded for various reasons.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door lock device, the door lock device can sustain the closing of the door continuously through the door open / close portion while holding the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f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arbitrarily while the door is locked through the door lock device, a very large force is required, which may damage the door lock device. Therefore, the door lock device is generally designed to withstand a very large force.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와 달리 세탁수가 차지 않고, 사용자는 건조기의 작동 중 임의로 도어를 개폐하여 젖은 세탁물을 추가로 빈번하게 투입한다. 또한, 건조 완료 전에 도어를 개폐하여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는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할 때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Unlike a washing machine, a clothes processing device such as a dryer does not take charge of washing water, and a user opens and closes a door arbitrarily during operation of the dryer to additionally supply wet laundry more frequently. In many case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efore the completion of drying to check the dry state of the laundry at any time. In consideration of such a use form, a door lock device is often excluded in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ryer.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while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2)를 통해 원격제어를 수행하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나타내고, 사용자는 특정 시간에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원격 제어 가능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2)가 선택되어 원격 제어 가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도어 개방 상태를 간과하고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2)를 선택할 수도 있다. The user clearly indicates the intention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32 and the user can start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t a specific time. However, the door can be opened in the remote control enabled state for some reason. Conversely,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32 may be selected and brought into a remotely controllable state with the door open. In other words, the user may overlook the door open state and selec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32.

이 경우, 사용자는 원격에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의류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의류가 의류 수용부 외부로 이탈되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열풍이나 스팀 등이 캐비닛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안전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remotely perform remote control. Since the door is opened, various problems may occur. For example, since the door is opened, garment processing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And the clothes may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nd contaminated. In addition, hot air or steam may leak outside the cabinet, causing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or causing safety problems.

이러한 원격 제어와 도어와의 관계에서 안전성 확보 및 사용자 만족도 증진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폐 감지부(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ecure safety and improve use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door,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제어부(50)는,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별도의 원격제어활성화 해제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troller 50 release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upon detecting the door open state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wit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being set.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remote control to be released even if the separate remote control activation release is not selected.

일례로, 원격제어가 설정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에서 어린이가 직접 임의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되므로, 어린이가 쉽게 도어 개폐부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됨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의 재입력 여부와 무관하게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 child can arbitrarily open the door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ith the remote control set. This is because the door lock device is excluded, so that the child can easily open the door by operat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part.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perates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 this state, various problems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remote control is set and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rrespective of re-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 항상 도어 개폐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선택하는 경우, 도어가 닫힌 상태가 전제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통한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0)는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 도어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통해 입력이 불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통한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0)는 먼저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 도어가 닫혀있음을 파악한 후, 이를 인가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e controller 10 always check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the door should preferably be closed. 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is preferably disabled. That is, when the controller 10 senses the door opening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to be disabled. Of course, if there is an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the control unit 10 may first determine that the door is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50, and then apply it.

따라서,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한 도어 닫힘이 파악되어야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통한 설정이 가능하거나, 입력부(31) 입력 후 도어 닫힘까지 파악되어야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ting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can be performed after the door closing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50 is grasped or the door closing after the input unit 31 is grasped.

한편,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2)를 통해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사가 반영된 것이다. 설정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사에 반하여 어린이나 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조작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2, the user's active intention is reflected. After the sett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in a state of waiting to receive a remote control command. It may happen that a child or other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against the intention of such a user.

따라서,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0)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코스 선택부(33), 옵션 선택부(34) 그리고 시작/정지 입력부(35)는 원격제어활성화 설정 상태에서는 입력이 불가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another user from arbitraril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30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rse selection unit 33, the option selection unit 34, and the start / stop input unit 35 are controlled such that input is disabled i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state.

그러나, 원격 제어를 해제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사가 반영될 필요가 있다. 물론, 원격 제어를 설정한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추후에 의류처리장치에서 직접 원격 제어를 해제하고자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30) 중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는 원격 제어 설정 상태에서 재선택이 가능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재선택함으로써 해제하는 것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active intention of other users who want to cancel the remote control.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user who sets the remote control may desire to release the remote control directly from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later without performing the remote contro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of the user input unit 30 is controlled to be reselectable in the remote control setting stat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can be released by reselecting it.

아울러, 원격 제어 설정 상태에서 전원입력부(32)의 입력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전원입력부(32)를 입력하면 전원이 차단되며 이때 원격 제어 설정도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다시 전원입력부(32)를 선택하며, 원격 제어가 설정되지 않은 초기 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input unit 32 can be input in the remote control setting state. When the user inputs the power input unit 32,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and the remote control setting is also preferably relea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again selects the power input unit 32 and becomes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 is not set.

상기 사용자 입력부(30) 중 일부의 입력 불가는, 입력부의 비활성화 또는 입력 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제어부가 이를 무시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The disabling of some of the user input units 30 may be performed by disabling the input unit or by disregarding the input signal even if the input unit is appli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한 제어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flow fo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에 의해서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작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코스 선택부(33)를 통해 코스를 입력받고 시작/정지 입력부(34)의 입력을 받으면, 선택된 코스에 따라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시작하여 종료하게 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by the us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in a waiting state waiting for the user's input for the operation. In general, when the course is inputted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33 and the input of the start / stop input unit 34 is received,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starts operat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and is terminated.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인가와 함께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통한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 자체가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의미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즉, 설정은 전제 조건이 충족된 후에야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격제어활성화는 '스마트 레디(smart ready)'이나 '리모트 이너블(remote enable)' 등 다양하게 이름 붙여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nput via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31 may be applied together with power-on. That is, steps for making a state in which remote control can be performed can be perform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does not mea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That is, the setting is preferably performed only after the precondition is satisfied. Such remote control activation can be named variously as 'smart ready' or 'remote enable'.

먼저, 제어부(10)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즉,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을 받는 단계(S1)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위한 전제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전제 조건이 충족되면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S5)하게 된다.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외부와 통신에 의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명령에 따라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First,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has been performed. That is, step (S1) of receiving the 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31 may be performed. Thereafter,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precondition for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is satisfied. If the precondition is satisfied,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S5).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nters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by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hen th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perates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일례로, 일반 건조 코스의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일반 건조 코스를 수행하고 종료하게 된다.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은 자동적으로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upon receiving a command to perform a general drying cours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erforms a general drying course and ends the process.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the powe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automatically released.

상기 설정의 전제 조건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조건의 만족 여부를 체크하는 체크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조건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precondition of the setting may be variously provided. A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se preconditions are satisfied can be performed. These prerequisites may be more than one.

일례로, 도어의 닫힘이 전제 조건일 수 있다. 따라서, S1 단계가 수행되면, 제어부(10)는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서 도어의 닫힘 여부를 파악(S2)하게 된다.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서 도어 닫힘이 확인되어야 상기 S5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For example, closing the door can be a prerequisite. Accordingly, when the step S1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closed (S2)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50). The door may be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50 to enter the step S5.

S2 단계에서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에도 불구하고 설정이 불가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음성 신호나 메세지를 표시함(S6)이 바람직하다. 이를 알림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를 통해서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에 문제가 있음을 사용자가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0)에 도어를 닫고 다시 설정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용이하게 재설정을 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 that the door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ting can not be made despite the 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 voice signal or a message (S6) so that the user can be notified of this.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notification step. Therefore, the user can clearly grasp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through such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closed on the display unit 40 and a message to reset the door is displayed, the user can easily reset the door.

상기 설정의 전제 조건은 전술한 일부 사용자 선택부(30)의 불활성화가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입력부 잠금 또는 차일드 락(child lock)라 할 수 있다. 즉, 어린이가 임의로 사용자 선택부(30)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일드 락은 의류처리장치가 작동 중 코스 선택부(33)나 옵션 선택부(34) 등의 임의 입력을 제한하고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락 설정을 확인(S3)하고 차일드 락이 설정되면 비로서 S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차일드 락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S6 단계가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차일드 락이 제공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인 경우 이러한 단계 또는 전제 조건은 생략될 수 있다. The precondition of the setting may be that the inactivation of some of the user selectors 30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is can be called input lock or child lock. That is, it can be said to prevent the child from arbitrarily operating the user selection unit 30. [ Such a child lock may be designed to limit any input of the course selection unit 33, the option selection unit 34 or the lik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ly, if the child lock setting is confirmed (S3) and the child lock is set, the step S5 may be performed. Of course, if an error occurs in the child lock, step S6 may be performed and displayed to the user. However, this step or prerequisite may be omitted if it i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no child lock is provided.

상기 설정의 전제 조건은 외부와 통신 연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와 와이파이 연결이 설정의 전제 조건일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이 있으며, 통신 연결을 확인(S4)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신 연결은 와이파이 연결임이 바람직하다. 와이파이 연결이 확인되면 비로소 S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와이파이 연결이 해제되거나 불가한 상태로 판단되면 S6 단계가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recondition for the setting may b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utside. For example, an external and Wi-Fi connection can be a prerequisite for configuration.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is present,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onfirmed (S4). Su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referably a WiFi connection. Once the WiFi connection is confirmed, step S5 may be performed. Of course, if the Wi-Fi connection is released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Fi connection is impossible, step S6 may be performed and displayed to the user.

상기 설정의 전제 조건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복수 개인 경우 모든 조건이 만족되어야 S5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복수 개의 전제 조건이 있는 경우 이들의 판단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즉, S2 내지 S4의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The precondition of the setting may be one or mor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cases, it is preferable that step S5 is performed in order to satisfy all conditions. Howev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reconditions, their judgment order may be different. That is, the order of S2 to S4 may be different.

이러한 전제 조건의 만족, 특히 도어가 닫혀있는 조건이 만족되어야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원격 제어로 인해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satisfaction of this prerequisite, in particular the condition that the door is closed, must be satisfied before remote control activation can be se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from being operated due to the remote control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원격 제어가 설정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도어의 열림 여부를 파악(S7)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원격 제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도 도어의 열림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0 preferably grasps whether the door is opened continuously (S7) while the remote control is set.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grasp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even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operating through the remote control.

원격 제어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S8)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의 닫힘이 확인을 반복하고 도어의 닫힘이 확인되면 지속적으로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유지하게 된다.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이 유지된 상태에서 외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when the remote control is set, it is preferable to release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8). The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door is closed,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is continuously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while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is maintained.

따라서, 도어의 닫힘 조건은 원격제어활성화의 설정의 전제 조건이 되며 아울러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의 유지에 대한 전제 조건이 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를 통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지속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에 있어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보다 안전하게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closing condition of the door becomes a prerequisite for setting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and can be a prerequisite for the maintenance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It may also be a prerequisite for continued operation of the garment handling device via remote control.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more safely even when the user can not access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remotely.

도어의 개방으로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되면, 다시 S1 단계부터 반복하여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released by opening the door,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can be set again from the step S1.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는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5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에서 전달받는 신호를 통해 도어의 닫힘과 열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ifferent signals to the controller 50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at is, the controller 50 can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closed or opened throug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상기 제어부(50)는 주기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를 1ms 주기로 전기적 신호가 반복되는 것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패턴을 통해서 도어의 닫힘과 열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can periodically check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repetition of the electric signal in the period of 1 ms as an example. Through the pattern of the received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closed or opened.

예를 들어,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는 일정 주기로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는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만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의 주기적인 반복과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 중 특정 신호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의 패턴 차이를 통해 도어의 열림과 닫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may transmit a high signal and a low signal at regular intervals.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may continuously transmit only a high signal or a low signal. That is, it is possible to transmit only the periodic repetition of the high signal and the low signal and only the specific signal of the high signal and the low signal. Accordingly,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through the pattern difference of such a signal.

일례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는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1ms 주기로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반복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는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 하이 또는 로우 신호만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일례를 500ms 동안 하이 또는 로우 신호만 수신하는 경우, 도어가 열려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unit may repeatedly transmit a high signal and a low signal to the control unit at intervals of 1 ms. When the door is ope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may transmit only the high or low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oor is open when receiving only a high or low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00 ms.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는 전술한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결합인 경우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기계적 접촉 및/또는 전기적 접촉으로 인해,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면,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기계적 접촉 및/또는 전기적 접촉의 해제로 인해, 하이 또는 로우 신호만 발생시키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may be provided to periodically generate a high signal and a low signal when the striker and the latch assembly are coupled. That is, due to the mechanical contact and / or electrical contact of the striker and the latch assembly, it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high signal and a low signal, and to transmit such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mechanical contact of the striker and the latch assembly and / or the release of the electrical contact, it is possible to generate only the high or low signal and to transmit such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의 패턴이 일정한 경우 도어의 열림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의 패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우를 도어의 열림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전기적 접촉과 해제에 따른 신호 발생을 달리하는 간단한 회로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ler 10 can determine that the door is opened when the pattern of the received signal is constant for a predetermined time. Of course, the case where the pattern of the received signal is periodically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can be determined as the opening of the door. Thi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a simple circuit that differs in signal generation due to electrical contact and release.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 상기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와 달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측의 돌기(미도시)와 캐비닛 측의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에 의해서 상기 택트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즉, 택트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가 온으로 유지되는 동안 도어가 닫혀있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의 온과 오프 상태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들을 통해 도어의 닫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striker and the latch assembly. For example, through a projection (not shown) on the door side and a tact switch on the cabinet sid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tact switch presses the tact switch. That is, the tact switch can be switched from OFF to 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oor is closed while the tact switch is kept on. Of course, the opposite can also be possible. Accordingly, different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 the ON and OFF states of the tact switch, an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closed through these signals.

또 다른 예로, 마그네트와 리드 스위치(reed switch)를 통해 도어 개폐 감지부(5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마그네트는 도어 측에 구비되고 리드 스위치는 캐비닛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도어의 닫힘 여부가 파악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through a magnet and a reed switch. The magnet may be provided on the door side and the reed switch may be provided on the cabinet side. Therefore, as the door is closed, the magnet can operate the reed switch.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door is closed can be grasp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reed switch is operated.

어느 경우나, 도어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50)는 서로 다른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50)는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항상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는 필요한 시점에 이용하여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서 후속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either cas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50 transmits different signals to the controller when the doors are closed and ope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50 can always transmit such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control unit may use such a signal at a necessary time point to perform subsequent control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원격 제어는, 쉽게 설명하면 외부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의류처리장치 사이에 서버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remote control mean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of an external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To facilitate this, a server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garment processing device.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입력하고, 이의 전제 조건이 만족되고 유지되는 경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고 유지될 수 있다.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는 경우, 표시부(40)에서는 원격제어가 설정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표시부(4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스마트 기능은 원격 제어의 다른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는 단일 버튼이나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활성화의 입력은 다른 입력에 비해 사용자의 의지가 명확히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입력에 비하여 누르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3 초 이상 지속적으로 누르는 경우에 입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ser enter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31 and its preconditions are satisfied and maintained,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can be set and maintained.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display unit 40 can indicate that the remote control is set. Fig. 4 shows an example of such a display unit 40. Fig. The illustrated smart function can be understood as a different meaning of remote control. And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may be provided to press a single button or two buttons simultaneously. The input of such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clearly required by the user as compared to other inpu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pressing time longer relative to other inputs. For example, the input can be recognized when the user continuously presses for 3 seconds or more.

상기 표시부(40)에서는 외부와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표시하는 아이콘(30a)와 스마트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아이콘(30b)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콘들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통신 연결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는 방법도 안내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isplay unit 40, an icon 30a indicating an external connection with a Wi-Fi communication and an icon 30b indicating that a smart function is se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se icons, the user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at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remote control are possib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 method of releasing remote control activation may also be introduced.

한편, 도 4에 도시된 화면은 원격 제어 명령이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shown in FIG. 4 is continuously maintained until a remot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Thus, a user other than the user who desires remote control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4에 도시된 화면은 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아이콘(141)을 통해 표시하고 있다. 또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아이콘(142)를 통해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문자뿐만 아니라 아이콘을 통해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The screen shown in FIG. 4 shows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icon 141. Also, icon 142 indicates that remote control is possible.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control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icon as well as the characters.

원격 제어는 의류처리장치의 통신 연결을 전제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서버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만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서버와 통신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이 있으면, 표시부(40)에서 통신 연결을 먼저하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한번 이루어지며,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원을 인가하면 곧바로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연결 전에 원격제어활성화를 입력하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다.The remote control can be said to presuppos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only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server. Accordingly, if there is an 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31 in a state where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s no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rver, the display unit 40 may display a guidance message prompting communication connection first. Howeve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rver is performed once, and t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That i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power is applied. Therefore, it is unlikely tha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input befo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거나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전원 오프로 인한 상태 확인 불가한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 정보가 외부 단말에 수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는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가 외부 단말에 표시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원격 제어 설정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으로 인해 강제적으로 원격 제어 설정이 해제되는 경우도 표시될 수 있다. Remote control is impossible when the powe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turned off or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not set.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not set or the state due to power off can not be checked, this stat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 state where remote control is impossible is displayed on an external terminal. Of course, unlike the case shown in FIG. 5, the case where the remote control setting is forcibly released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in the remote control setting state can also be displayed.

한편,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현재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정보가 서버를 통해 외부 단말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원격제어활성화 설정 여부, 원격 제어 대기중, 의류처리장치 동작 중, 의류처리장치 동작 일시 정지 중 그리고 예약 중인 상태 중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in a state in which remote control is possible. Therefor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apparel processing apparatus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erver and displayed. Here,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whether to se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wait for remote control, during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during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during the reservation.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이면, 현재의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는 원격 제어 대기중, 동작 중, 동작 일시 정지 중 그리고 예약 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상태를 서버를 통해 외부 단말에서 수신하여 외부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의 초기에는 원격 제어 대기 중 상태일 것이다. 도 6에는 원격 제어 대기 중 상태가 외부 단말에 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이 경우에는 아직 가전제품이 동작하기 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단말기에서 원하는 코스, 코스의 옵션 등을 선택하여 원격에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state of the current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waiting state of remote control, operation, suspension of operation and reservation state. Therefore, the current state can be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erver and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beginning of the remote control, it will be the remote control waiting state. 6 shows that the remote control standby state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in this case before the household appliances are still operating.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apparel processing apparatus to operate remotely by selecting a desired course, a course option, and the like from the external terminal as shown in FIG.

외부 단말의 표시와 아울러, 의류처리장치에도 원격 제어가 시작되었음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즉, 원격 제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가 동작한다는 점을 설정 시간 동안 표시한 후 비로소 의류처리장치가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garment disposal device indicate that the remote control is start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perates only after the fact tha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perates through the remote control is displayed for the set time.

도 7은 외부 단말을 통해 원격 제어 명령이 송신되어 의류처리장치가 동작을 시작할 때의 표시부(40)의 일례이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 인근에 있는 다른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작동 오류라고 생각하는 혼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7 is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40 when a remot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to start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fusion that another user in the vicinity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inks as an operation erro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 : 제어부 20 : 컨트롤패널
30 : 사용자 입력부 40 : 하드웨어 구동부
50 : 도어 개폐 감지부
10: Control section 20: Control panel
30: user input unit 40: hardware driver
50: door opening /

Claims (17)

외부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의 가능 여부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being provided for remote control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d having a control panel for a user interface,
cabinet;
A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es;
A door provided in the cabine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 door opening / closing unit for keeping the door in a closed state and opening the door by a user's operation;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unit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to set or release the remote control capabilit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releasing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upon sensing the opening state of the door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wit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being s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 가해지는 소정의 힘을 통하여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is opened by a user with a predetermined force applied to the door or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소정의 힘 이상을 견디면서 상기 도어 계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을 유지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가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oor lock device for maintaining the closing of the door continuously through the door closing part is excluded in the clothes processing device while enduring the predetermined force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원 입력부의 입력에 의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power input uni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released by an input of the power input unit by the use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한 해제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도어의 개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released by any one of a release by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and a release of the door by the us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의 해제 입력과 전원 오프 입력만 가능하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release state, the control section se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and controls the control panel to enable only the release input and the power off input of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Where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해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is selected i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release state, the control section confirms the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se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해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nput section is selected i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release state, the control section confirm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ction and set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unit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transmits different signals to the controller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transmits a signal having a different pattern to the controller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에서 소정 시간 동안 일정 패턴을 갖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is closed when receiv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set,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tate when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and when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 Wherein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includes: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외부 단말기를 통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원격제어활성화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입력되면,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위한 조건을 체크하는 체크단계;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단계;
상기 도어 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 A control method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abinet, a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cabinet for accommodating clothes, and a door provided in the cabine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n input step of receiving remote control activation so that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via an external terminal;
A checking step of, when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s inputted, checking a condition for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setting;
A setting step of setting a remote control activation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A sensing step of confirming an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with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being set;
And releasing the remote control activ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ed in the door detection step.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단계가 수행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if the condition is not satisfied in the checking step, an informing step informing that the setting step can not be performed is perform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판단되는 상기 도어의 폐쇄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통신 연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dition includes closing of the door determin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and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일부를 불활성화시키는 입력부 잠금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hecking step includes an input unit locking step of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a plurality of user input units provided on a control panel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20140089907A 2014-07-16 2014-07-16 laundry treat apparatus KR102235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07A KR102235174B1 (en) 2014-07-16 2014-07-16 laundry trea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07A KR102235174B1 (en) 2014-07-16 2014-07-16 laundry trea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402A true KR20160009402A (en) 2016-01-26
KR102235174B1 KR102235174B1 (en) 2021-04-02

Family

ID=5530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907A KR102235174B1 (en) 2014-07-16 2014-07-16 laundry trea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17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229A (en) * 2016-05-30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8161784A1 (en)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Remote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WO2018161785A1 (en)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Remote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CN108572565A (en) * 2017-03-07 2018-09-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long-rang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WO2018171349A1 (en) * 2017-03-23 2018-09-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Control system for laundry machine
CN108729109A (en)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washing machine reminding method
US10374316B2 (en) 2016-10-21 2019-08-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dielectric antenna with non-uniform dielectric
WO2020055194A1 (en) * 2018-09-13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389027A (en) * 2021-06-29 2021-09-1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Remote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lothes dr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178A (en) * 2001-09-04 2003-03-11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JP2014050711A (en) * 2012-09-06 2014-03-20 Lg Electronics Inc Household electrical product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178A (en) * 2001-09-04 2003-03-11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JP2014050711A (en) * 2012-09-06 2014-03-20 Lg Electronics Inc Household electrical product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229A (en) * 2016-05-30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374316B2 (en) 2016-10-21 2019-08-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dielectric antenna with non-uniform dielectric
CN108570792B (en) * 2017-03-07 2021-01-2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Remot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CN108570792A (en) * 2017-03-07 2018-09-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long-rang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CN108572565A (en) * 2017-03-07 2018-09-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long-rang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WO2018161785A1 (en)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Remote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WO2018161784A1 (en)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Remote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US11149373B2 (en) 2017-03-07 2021-10-19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Remote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WO2018171349A1 (en) * 2017-03-23 2018-09-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Control system for laundry machine
CN108729109A (en)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washing machine reminding method
CN108729109B (en) * 2017-04-24 2021-03-1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Prompt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WO2020055194A1 (en) * 2018-09-13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15283B2 (en) 2018-09-13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389027A (en) * 2021-06-29 2021-09-1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Remote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174B1 (en)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174B1 (en) laundry treat apparatus
KR102390029B1 (en) laundry treat apparatus
JP6253237B2 (en) Laundry equipment
CN108239849B (en) Roller washing machine and door opening control method thereof
US11377770B2 (en)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N117535952A (en) Washing machine
CN108729110B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CN110904616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20190023446A (en) Alaundry treat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695128B2 (en) Electrical equipment
EP3767021B1 (en) Remote controllable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2096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067429A1 (en) Washing machine with user interface cooperating with remotely accessible data media
JP6820456B2 (en) Washing machine
CN107794731B (en) Clothes dryer
JP2003159495A (en) Control unit for laundry device
KR20130090252A (en) Remote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KR20200136225A (en) Home appliance communicating a m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8027445A (en) Laundry equipment
JP4627329B2 (en) Washing machine
JP2020058898A (en) Laundry equipment
WO2018103844A1 (en) A wash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washing machine
CN111593532A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CN114174581B (en) washing machine
US1156636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