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799A -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799A
KR20160008799A KR1020140088971A KR20140088971A KR20160008799A KR 20160008799 A KR20160008799 A KR 20160008799A KR 1020140088971 A KR1020140088971 A KR 1020140088971A KR 20140088971 A KR20140088971 A KR 20140088971A KR 20160008799 A KR20160008799 A KR 2016000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elt
stroller
unit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봉
Original Assignee
김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봉 filed Critical 김기봉
Priority to KR102014008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799A/en
Publication of KR2016000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7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A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a stroller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a stroller comprises: a belt unit coupl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aist of a user; and a bar unit of which one s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belt unit and the other side portion is coupled to a stroller to allow the user and the strolle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Description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elt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를 사용자의 허리에 연결시켜 비탈길에서 유모차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평지에서 유모차를 주행하면서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elt driving device for a baby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arriage device for a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freely using two hands while driving the baby carriage on a flat surface, To a safety belt device.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외부에서 유아 및 아동과 산책 또는 이동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아나 아동의 경우 성인과 달리 오랜 시간 걷거나 이동이 힘들고 또 부정기적인 수면 시간 또한 길어 유모차에서 쉴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a stroller is used for walking or traveling with an infant and a child outside. Unlike an adult, unlike an adult, the stroller can not walk or move for a long time, and the irregular sleeping time is also long.

유모차는 탑승하는 유아 또는 아동의 편암함을 고려한 시트와, 가벼우면서도 안전한 차체, 원활을 이동을 위한 바퀴와, 이동이 가능한 힘을 전달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된다.The stroller is composed of a sheet considering the stiffness of the infant or the child, a light and safe body, wheels for smooth movement, and a handle for transmitting the movable force.

그러나 기본적으로 유모차는 탑승하는 유아 및 아동을 기준으로 계획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유모차를 미는 부모나 성인들을 위한 부분과, 유모차와 유모차를 미는 사람과의 이탈에 대한 안전장치 미흡으로 안전 사고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basically, the stroller was designed based on the infant and the child on board, an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safety accident due to insufficient safety device for the part for the parents or adults pushing the stroller and the deviation from the pusher for the stroller .

유아나 아동과 함께 산책을 하거나 이동을 할 경우 항상 유모차를 미는 보호자의 양손이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고 있어야 한다.When walking or moving with infants or children, always hold the handle of the stroller with both hands of the guard pushing the stroller.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의 더욱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데, 만약 실수로 인해 유모차를 양손에서 이탈 시 유아나 아동의 안전사고가 발생 될 수 있다. 특히 내리막길에서 유모차를 놓친 경우 순간적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유모차를 다시 붙잡기가 쉬운 일은 아니다.More precise attention is required for uphill or downhill traffic. If a baby accidentally leaves the stroller from both hands, a child or a child may experience a safety accident. Especially if you miss a baby carriage on a downhill road, it is not easy to catch a baby carriage that moves quickly.

또한 도심지 내에서 차도와 인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장소와 같은 곳은 더욱 큰 위험이 뒤따를 수 있다.Also, there may be a greater risk in places like urban areas where roads and sidewalks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그리고 공원과 같은 평지에서의 산책 등에 유모차를 많이 가지고 나오는 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양손은 유모차를 잡고 있어야 한다. 언제나 양손은 유모차의 안전을 위해 손잡이를 잡고 있어야 하는 데, 이로 인해 보호자의 피로도가 높아지게 된다.And I come out with a lot of strollers on a flat spot like a park, and both hands should hold the stroller at this time as well. Both hands must always hold the handle for the safety of the stroller, which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guardian.

요즘과 같이 외부에서도 핸드폰을 받는다든가, 한여름 시원한 음료수나 커피를 마시며 걷는 사람들이 많은 데 유모차 보호자 또한 같은 상황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Many people like to take their cell phones outside, or drink a cool drink or coffee during the summer, and the stroller protector can also see the same situation.

따라서 유모차를 사용 시 팔의 피로도를 낮추고 전화 등도 자유롭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책이 요구된다.Therefore,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lower the fatigue of the arm when using the stroller and to receive the phone freely.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0-0038091호(박용국) 2010. 07. 03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038091 (Park Yongguk) 2010. 07. 0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모차와 유모차를 미는 사람과의 일체를 통해 추가적인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공원과 같은 평지에서 산책 시 유모차를 주행하면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oller safe traveling belt capable of securing additional safety by integrating a stroller with a person pushing the stroller, and being able to freely use both hands while traveling in a stroller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유닛; 및 일측부는 상기 벨트 유닛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유모차에 결합되어 사용자와 상기 유모차를 일정 거리로 유지시키는 바 유닛을 포함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lt unit comprising: a belt unit detachably coupled to a waist of a user; And a bar unit coupled to the belt unit at one side and the bar unit coupled to the stroller to maintain the user and the stroll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벨트 유닛은, 일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벨트 바; 및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벨트 바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lt unit includes a pair of belt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elt which is coupled to the pair of belt bars at both sides thereof and worn on the waist of the user.

상기 한 쌍의 벨트 바에는 장홀이 마련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장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벨트 바에 벨트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pair of belt bars may be provided with elongated holes, and the belt may be fastened to the pair of belt bars through the elongated holes by a belt fastening member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holes.

상기 벨트의 일측부는 힌지 결합되어 접힘 가능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belt may be hinged and foldable.

상기 벨트는 길이 조절이 될 수 있다.The belt can be length-adjustable.

상기 바 유닛은, 일측부는 상기 벨트 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유모차에 연결되는 상단바; 및 일측부는 상기 상단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유모차에 연결되는 하단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ar unit comprises: an upper bar coupled to the belt bar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at the other side; And a lower end bar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wherein the one s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bar and the other sid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상기 하단바는, 상기 상단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단바; 및 상기 상부 하단바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하단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bar may include an upper lower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bar; And a lower lower end bar that is adjus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ower end bar.

상기 바 유닛은, 상기 상단바와 상기 하단바를 상기 유모차에 결속시키는 유모차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r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by carriage binding unit that binds the upper end bar and the lower end bar to the baby carriage.

상기 유모차 결속부는 상기 상단바와 상기 하단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The stroller coupling por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bar and the lower end bar.

상기 벨트 유닛 및 상기 바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rage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belt unit and the ba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벨트 유닛을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고 벨트 유닛을 바 유닛으로 유모차에 연결시켜 사용자의 양손으로 유모차를 잡지 않아도 유모차의 주행이 가능하여 양손으로 음료수를 마시거나 핸드폰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stroller to travel without wearing the belt unit with the waist of the user and connecting the belt unit with the baby stroller by the bar unit to hold the baby stroller with both hands of the user, Can be used.

또한 양손으로 유모차를 잡지 않아도 유모차의 주행 및 홀딩이 가능하여 편리함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oller can be driven and held without holding the stroller with both hands, thus ensuring convenience and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접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 본 실시 예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로도 본 실시 예를 사용하지 않고 유모차에 부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afety belt driving device for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rear view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Fig.
Fig.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folding sequence of this embodiment.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is worn using th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age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without using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safety belt driving device for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1)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유닛(100)과, 일측부는 벨트 유닛(100)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유모차(10)에 결합 되어 사용자와 유모차(10)를 일정 거리로 유지시키는 바 유닛(200)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baby carriage safety traveling bel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elt unit 100 detachably coupled to a waist of a user, and one side part coupled to the belt unit 100, The side portion includes a bar unit 200 coupled to the baby carriage 10 to keep the user and the baby carriage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벨트 유닛(100)은, 유모차(10)를 운전하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로 서로 이격 되는 한 쌍의 벨트 바(110)와, 양측부가 한 쌍의 벨트 바(110)에 각각 결합 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되는 벨트(120)와, 벨트 바(110)에 벨트(120)를 체결시키는 벨트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The belt unit 100 is worn on the waist of a user who operates the baby carriage 10. The belt unit 100 includes a pair of belt bar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elt 120 fastened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a belt fastening member 130 fastening the belt 120 to the belt bar 110 respectively.

벨트 유닛(100)의 벨트 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벨트 바(110)에는 벨트 유닛(100)의 상단바(210)가 연결되어 유모차(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 힘이 그대로 유모차(10)에 전달될 수 있다.2, the belt bar 110 of the belt unit 100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upper bar 210 of the bel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belt bar 110 The forc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using the baby carriage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baby carriage 10 as it is.

본 실시 예에서 벨트 바(110)의 일측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111)이 마련되고, 장홀(111)을 통해 벨트 체결부재(130)가 벨트(120)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체결부재(130)를 벨트(120)로부터 분리한 후 벨트(1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벨트(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1, an elongated hole 1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elt bar 110 in this embodiment, and the belt engaging member 130 is screwed to the belt 120 through the elongate hole 111 . Accordingly, after the belt fastening member 130 is separated from the belt 120, the position of the belt 120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belt 120 back and forth.

벨트 유닛(100)의 벨트(12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는 유모차(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 힘이 유모차(10)로 전달되거나, 손을 사용하지 않고 유모차(10)를 지지하므로, 벨트(120)는 가해지는 힘을 견디거나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belt 120 of the belt unit 100 is worn on the waist of the user. In this embodiment, the movement direction force of the user using the baby carriage 10 is transmitted to the baby carriage 10, The belt 120 can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withstanding the applied force or transmitting the force.

본 실시 예에서 벨트(1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단단한 직물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elt 120 may be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rigid fabric material.

또한 본 실시 예는 보관 시 부피를 줄이기 위해,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20)의 중앙부를 접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할 수 있다.Also,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during storage, this embodiment can be hing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120 can be folded,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벨트(120)는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벨트(120)를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벨트(120)의 일측부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고, 분리된 일측부가 타측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 분리된 영역에 마련된 홀에 핀을 끼우는 방법으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벨트(120)를 직물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허리 밴드와 같은 형태로 길이 조절을 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belt 120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the waist size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belt 120 is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one side of the belt 120 may be detachably attached, a separate one 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and then a pin may be inserted into a hole provided in the separated area The length can be adjusted. When the belt 120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the length of the belt 120 may be adjusted in the same manner as a waistband.

벨트 유닛(100)의 벨트 체결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바(110)를 통해 벨트(120)에 체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장홀(111)을 통해 벨트(120)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될 수 있다.2, the belt fastening member 130 of the belt unit 100 is fastened to the belt 120 via the belt bar 110 and is fastened to the belt 120 through the long hole 111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바 유닛(200)은, 일측부는 벨트 유닛(100)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유모차(10)에 결합 되어 사용자와 유모차(10)를 일정 거리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사용자의 이동력을 유모차(10)로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유모차(10)를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 홀딩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ar unit 200 is coupled to the belt unit 100 at one side and coupled to the baby carriage 10 at the other side to keep the user and the baby carriage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to support the user to hold the baby carriage 10 without using both hands.

본 실시 예에서 바 유닛(200)은 일정한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r unit 200 is made of plastic, stainless steel, aluminum or the like because it has to support a certain load.

본 실시 예에서 바 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벨트 바(1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유모차(10)에 연결되는 상단바(210)와, 일측부는 상단바(2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유모차(10)에 연결되는 하단바(220)와, 상단바(210)와 하단바(220)를 유모차(10)에 결속시키는 유모차 결속부(230)를 포함한다.1, the bar unit 200 includes an upper bar 210 coupled to the belt bar 110 at one side and an upper bar 210 connected to the lower bar at the other side, A lower bar 220 coupled to the stroller 10 and a stroller coupling unit 230 coupling the upper bar 210 and the lower bar 220 to the stroller 10, do.

바 유닛(200)의 상단바(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바(110)와 동일 선상에 마련되어 유모차(10)의 손잡이 부분(도 5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1, the upper bar 210 of the bar unit 200 is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belt bar 11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see FIG. 5) of the baby carriage 10 have.

바 유닛(200)의 하단바(220)는, 상단부가 상단바(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유모차(10)의 하부 다리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바(210)와 함께 유모차(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bar 220 of the bar unit 200 is rotatably hinged to the upper bar 210 and has a lowe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leg region of the stroller 10, And serves to support the baby carriage 10 together.

본 실시 예에서 하단바(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바(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단바(221)와, 상부 하단바(221)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하단바(222)를 포함한다.1, the lower bar 220 may include an upper lower bar 221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bar 210, and an upper upper bar 221 coupled to the upper lower bar 221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a lower lower end bar 222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bar 222.

본 실시 예는 하부 하단바(222)를 상부 하단바(221)에 삽입되도록 마련하고, 하부 하단바(222)와 상부 하단바(221)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길이조절홀(221a)을 마련하고, 복수의 길이조절홀(221a)에 핀이나 볼트 등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하부 하단바(2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lower end bar 222 is inserted into the upper lower end bar 221, and the lower lower end bar 222 and the upper lower end bar 221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lower lower end bar 222 may be adjust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221a and fastening pins or bolts to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221a.

이외에 본 실시 예는 상부 하단바(221)와 하부 하단바(222)에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을 마련하고, 양자를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켜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lower bar 221 and lower lower bar 222 may be provided with female threads and male threads, and the lengths may be adjusted by screwing them together.

바 유닛(200)의 유모차 결속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바(210)와 하단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단바(210)와 하단바(220)를 유모차(10)에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1, the stroller coupling unit 230 of the bar unit 200 includes upper bar 210 and lower bar 220. The upper bar 210 and the lower bar 220 are coupled to the stroller 10, .

본 실시 예에서 유모차 결속부(230)는, 상단바(210)와 하단바(22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바(210)와 하단바(220)를 유모차(10)에 결속시키는 벨크로 테입이 부착된 벨트일 수 있다.The stroller coupling unit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bar 210 and the lower bar 220 so that the upper bar 210 and the lower bar 220 are coupled to the stroller 10, It may be a belt with a tape attached.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유모차 결속부(230)는, 상단바(210)와 하단바(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와, 일측부는 수평바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유모차(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roller coupling unit 230 includes a horizontal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bar 210 and the lower bar 220, one side hinged to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sid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roller 10 And a fastening bar coupled to the fastening bar.

이 경우 체결바는 유모차(10)의 프레임에 볼트 또는 핀을 이용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bar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of the baby carriage 10 using bolts or pins.

한편 본 실시 예는, 미 도시되었지만, 벨트 유닛(100)과 바 유닛(200) 중 적어도 하나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납부는 그물망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수납 바구니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belt unit 100 and the bar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objects.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or in the form of a storage basket.

도 4는 본 실시예의 접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folding sequence of this embodiment.

이하에서 도 4를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접힘 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lding seque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를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하단바(220)가 상단바(21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a), in the state of us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bar 220 is inclined downward of the upper bar 210.

본 실시 예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단바(222)를 상부 하단바(221)에 삽입시켜 고정한 후 하단바(220)를 상단바(210)로 회전시켜 상단바(210)와 나란하게 한다.4 (b), the lower lower end bar 222 is inserted into the upper lower end bar 221 and fixed, and then the lower end bar 2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bar 210, Thereby aligning the upper bar 210 with the upper bar 210. [

다음으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유닛(100)을 상부 하단바(221)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치게 하여 부피를 최소로 한다.Next, as shown in FIG. 4C, the belt unit 1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lower end bar 221 to overlap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d) .

도 5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 본 실시 예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로도 본 실시 예를 사용하지 않고 유모차에 부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is worn with the use state diagram of this embodiment. Fig. 6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roller is attached to the stroller without using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the use state of this embodiment Fig.

이하에서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먼저 본 실시 예를 사용 시 유모차(10)는 본 실시 예인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1)에 의해 사용자에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유모차(10)를 양손으로 잡지 않아도 유모차(10)를 밀거나 지지할 수 있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10 is connected to the user by the baby carriage safety bel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user can push or support the baby carriage 10 without holding the baby carriage 10 with both hands Can use both hands freely.

또한 유모차(10)가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1)에 의해 지지되므로 내리막길에서 순간적으로 양손으로 유모차(10)를 놓쳐도 유모차(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by carriage 10 is supported by the baby carriage safety belt device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by carriage 10 from being separated even if the baby carriage 10 is missed instantaneously with both hands.

다음으로 본 실시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순서로 본 실시 예를 접은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프레임에 끈 등으로 결속시켜 보관할 수 있다.Next,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used,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lded in the order shown in FIG. 4, and then the frame of the baby carriage 10 may be bound by a string or the like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실시 예인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1)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유모차(10)를 사용 시 본 실시 예가 유모차(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 예를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baby carriage safety belt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10 when the baby carriage 10 is used, .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벨트 유닛을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고 벨트 유닛을 바 유닛으로 유모차에 연결시켜 사용자의 양손으로 유모차를 잡지 않아도 유모차의 주행이 가능하여 양손으로 음료수를 마시거나 핸드폰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unit is worn on the user's waist and the belt unit is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y the bar unit, so that the baby carriage can be driven without holding the baby carriage with both hands of the user, Etc. can be freely used.

또한 양손으로 유모차를 잡지 않아도 유모차의 주행 및 홀딩이 가능하여 편리함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oller can be driven and held without holding the stroller with both hands, thus ensuring convenience and stabilit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100 : 벨트 유닛
110 : 벨트 바 111 : 장홀
120 : 벨트 130 : 벨트 체결부재
200 : 바 유닛 210 : 상단바
220 : 하단바 221 : 상부 하단바
221a : 길이조절홀 222 : 하부 하단바
230 : 유모차 결속부
1: Stroller safe traveling belt device 100: Belt unit
110: Belt bar 111:
120: belt 130: belt fastening member
200: bar unit 210: upper bar
220: lower bar 221: upper lower bar
221a: Length adjusting hole 222: Lower bottom bar
230:

Claims (10)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유닛; 및
일측부는 상기 벨트 유닛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유모차에 결합되어 사용자와 상기 유모차를 일정 거리로 유지시키는 바 유닛을 포함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A belt unit detachably coupled to a waist of a user; And
And a bar unit coupled to the belt unit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stroller to maintain the user and the stroll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 유닛은,
일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벨트 바; 및
양측부가 상기 한 쌍의 벨트 바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lt unit includes:
A pair of belt bar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a belt which is coupled to both of the pair of belt bars and is worn on the waist of the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벨트 바에는 장홀이 마련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장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벨트 바에 벨트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r of belt bars are provided with elongated holes,
Wherein the belt is fastened to the pair of belt bars by the belt fastening member through the elongated holes and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일측부는 힌지 결합되어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side of the belt is hinged and foldab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elt is adjustable in length.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 유닛은,
일측부는 상기 벨트 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유모차에 연결되는 상단바; 및
일측부는 상기 상단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유모차에 연결되는 하단바를 포함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ar unit includes:
An upper bar coupled to the belt bar at one side and to the stroller at the other side; And
And a lower bar coupled to the upper ba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단바는,
상기 상단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단바; 및
상기 상부 하단바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하단바를 포함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ower-
An upper bottom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bar; And
And a lower lower bar that is adjus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ower ba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 유닛은,
상기 상단바와 상기 하단바를 상기 유모차에 결속시키는 유모차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ar unit includes:
And a baby carriage binding unit for binding the upper end bar and the lower end bar to the baby carriag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결속부는 상기 상단바와 상기 하단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roller coupling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bar and the lower end b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 유닛 및 상기 바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안전 주행 벨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portion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belt unit and the bar unit.
KR1020140088971A 2014-07-15 2014-07-15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 KR201600087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71A KR20160008799A (en) 2014-07-15 2014-07-15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71A KR20160008799A (en) 2014-07-15 2014-07-15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799A true KR20160008799A (en) 2016-01-25

Family

ID=5530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971A KR20160008799A (en) 2014-07-15 2014-07-15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79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72A1 (en) * 2017-06-02 2018-12-06 이청림 Hands-free baby stroll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091A (en) 2001-09-07 2010-04-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Light 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091A (en) 2001-09-07 2010-04-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Light emit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72A1 (en) * 2017-06-02 2018-12-06 이청림 Hands-free baby st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5891A (en) Jogger's baby carriage apparatus
EP2872012B1 (en) Baby carrier
US9227648B2 (en) Compactible stroller
FR2680088A1 (en) Securing harness reins for a young child
CN204930701U (en) A kind of deformable Multifunctional double-shoulder bag
US2316100A (en) Folding walking and skating guard
US20170135497A1 (en) Carri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40005722A1 (en) Pacifier tether, kit and method
KR20160008799A (en) Safe driving belt apparatus for baby carriage
US20090283978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toddler across snow
CN102641058A (en) Children walker
ES2587911T3 (en) Device for transporting objects and / or a person
KR101305086B1 (en) Baby carrying bend for two persons
KR101767386B1 (en) Hands-free baby stroller
KR101590619B1 (en) Carrier of hip seat and booster for infants
CN208149419U (en) Multifunctional baby stroller
CN204410291U (en) Child's walk supporting device
KR20120022103A (en) A baby car seat
GB2496631A (en) Child carrier with a step for a child to stand on
US10543865B1 (en) Stroller changing table
CN207400582U (en) A kind of infant aids in walk-learning anti-falling device
CN204106504U (en) Personal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 on walk supporting device and walk supporting device thereof
CN104983152A (en) Multifunctional child seat draw-bar box
CN210653277U (en) Baby carriage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 injury
KR200296956Y1 (en) Folding baby carrier having c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