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675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675A
KR20160008675A KR1020140088230A KR20140088230A KR20160008675A KR 20160008675 A KR20160008675 A KR 20160008675A KR 1020140088230 A KR1020140088230 A KR 1020140088230A KR 20140088230 A KR20140088230 A KR 20140088230A KR 20160008675 A KR20160008675 A KR 2016000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mold frame
disposed
light source
bottom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갑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675A/ko
Priority to US14/610,463 priority patent/US9791737B2/en
Publication of KR2016000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1Function characteristic transmis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과 결합 하는 바텀 샤시;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판형상을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과 광원 사이에 배치되며, 판형상의 베이스부를 갖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 FPD) 중 하나로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이다.
수동 발광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 에지형(edge type) 및 코너형(coner type)으로 구분된다.
한편, 슬림한 베젤을 구현하기 위해 표시 장치의 베젤이 감소되고 있다. 베젤이 감소됨에 따라 표시패널이 안착되는 베젤의 크기가 줄어들어 표시장치의 강도가 낮아진다. 또한, 표시패널은 가장자리에서 샤시 등의 구조물로 지지되므로 공차에 의해 일정 부분 기울어지는 영역이 생길 수 있고, 이는 불균일한 휘도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내로우 베젤 구현이 가능한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과 결합하는 바텀 샤시;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판형상을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은 투명한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텀 샤시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부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텀 샤시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벽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된 광학시트 및 확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시트 및 확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돌출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된 광학시트 및 확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시트 및 상기 확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텀 샤시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광학시트 및 상기 확산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베이스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표시패널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휘도가 균일해지고,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과 일치하는 내로우 베젤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표시부와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200), 표시패널(20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400) 및 표시패널(200)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200)은 수광형 표시패널로서,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 표시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패널(200)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널(200)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제1 기판(210)과, 제1 기판(210)에 대향되는 제2 기판(220), 및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표시패널(20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표시부를 둘러싸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부(230)으로 이루어진다.
제1 기판(210)은 다수의 화소 전극들(미도시) 및 화소 전극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는 대응하는 화소 전극 측으로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제2 기판(220)은 화소 전극들과 함께 액정의 배열을 제어하는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액정층을 구동하여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패널(200)은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칩(미도시), 구동칩이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및 TCP를 통해 표시 패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은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외부 신호는 인쇄회로 기판으로부터 공급된 신호이고, 외부 신호는 영상 신호, 각종 제어신호 및 구동 전압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광학시트(410), 확산판(420), 반사시트(430), 바텀 샤시(440) 및 광원 유닛(450)을 포함한다.
광원 유닛(450)은 광원(451) 및 광원(451)이 배치된 회로기판(452)을 포함한다. 광원 유닛(450)은 표시패널(2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유닛(450)은 반사판(430)의 바닥면 또는 바텀 샤시(44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45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회로기판(452)은 반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성을 갖는 물질로 회로기판(452)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52)은 방열 기능 및 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은 제한이 없으며, 열전도율이 높은 다양한 금속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451)은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451)은 표시 장치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광을 제공한다. 광원(45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판(420) 및 광학 시트(410)를 거쳐 표시패널(200)) 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광원 유닛(450)의 휘도 균일성을 위하여 광원(451)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451)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원(451)은 세로 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열되고 가로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원(451)은 가로 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열되고 세로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휘도 균일성을 얻기 위하여 광원(451)은 회로기판(452) 상에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52)은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 상부에 배치된다.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공받아 광을 확산시킨다. 즉, 확산판(420)은 광원 유닛(450)에서 발생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확산판(420)은 광원(451)의 배치에 따라 밝은 부분으로 나타나는 휘점이 표시 장치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확산판(420)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광원 유닛(450)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몰드 프레임(100) 또는 바텀 샤시(440)에 고정된다. 확산판(420)은 예를 들어, 표시패널(200)과 같이 4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LED와 같은 광원(451)을 사용하는 경우, 광원(451)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홈 또는 돌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420)은 설명의 편의상, 플레이트(plate)로 기술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시트 또는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산판(420)은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플레이트 및 필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된다.
확산판(420)은 광이 효율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시트(410)는 확산판(4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확산판(42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410)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42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켜서 빛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일면에 삼각 기둥 모양의 프리즘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확산 시트 상에 배치되어 확산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표시패널(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시트는 프리즘 시트 위에 형성될 수 있고, 프리즘 시트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서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반사 시트(430)는 광원 유닛(450) 및 바텀 샤시(440) 사이에 배치되어, 확산판(420)의 하부로 방출되는 빛을 표시패널(200)로 향하도록 반사시켜 빛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반사 시트(43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져 반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한쪽 표면은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확산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반사 시트(430)는 예를 들어 은(Ag)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샤시(440)는 반사시트(430), 확산판(420) 및 광학시트(410)를 수납한다. 바텀 샤시(440)의 바닥면은 확산판(420)과 평행하다.
바텀 샤시(44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 또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방열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텀 샤시(440)는 표시 장치의 골격을 유지하며, 내부에 수납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 구조에서 투명한 폴리머로 구성된 몰드 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표시패널(200)을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몰드 프레임(100)은 바텀 샤시(440)와 결합하며, 표시패널(200), 광학시트(410) 및 확산판(420)을 수납한다. 몰드 프레임(100)은 상면에 표시패널(200)이 배치되고, 표시패널(200)과 광원(451) 사이에 배치된다.
몰드 프레임(100)은 표시패널(200)과 광원(451) 사이에 배치되어 판형상을 갖는 베이스부(110) 및 베이스부(110)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120)를 포함한다.
바텀 샤시(440)는 바닥부(442) 및 바닥부(442)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돌출부(44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표시패널(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판형상을 갖는다. 베이스부(110)의 면적은 표시패널(20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크다.
판형상을 갖는 베이스부(110)는 그 상면에 표시패널(220)의 배면이 안착된다. 베이스부(110)는 바텀 샤시(440)의 바닥부(44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이스부(110)는 표시패널(220)이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표시패널(220)을 지지할 수 있다.
측벽부(120)는 바텀 샤시(440)와 결합한다. 예를 들면, 측벽부(120)는 바텀 샤시(440)의 돌출부(441)와 결합한다. 측벽부(120)와 바텀 샤시(440)의 돌출부(44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다양한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442)는 반사시트(430) 및 광원(451)을 수납한다.
돌출부(441)는 상면에 확산판(420) 및 광학시트(410)를 지지한다.
내로우 베젤 구현을 위해 측벽부(120) 및 돌출부(441)의 두께는 표시패널(200)의 비표시부(230)의 두께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베젤의 길이가 표시패널(200)의 비표시부와 일치된다. 기존의 표시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몰드 프레임이나 바텀 샤시 등의 구조물로 인하여 베젤 면적이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200)의 비표시부와 동일한 두께로 베젤이 구현되면서도 안정적으로 표시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100)이 광원(451)과 표시패널(20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몰드 프레임(100)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 진다. 몰드 프레임(100)이 투명한 폴리머로 구성됨에 따라 광원(451)에서 출사된 광은 표시패널(200)로 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몰드 프레임(100)은 아크릴(Acrylic), 우레탄(Urethane), 캡톤(kapton), 실록산(Siloxane), 메탈록산 폴리머(Metalloxane polymer),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line Polymer), 나일론(Nylon)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100)이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 짐에 따라 광원의 빛샘을 방지하게 위해 제1 반사시트(460)가 몰드 프레임(100)에 배치된다. 제1 반사시트(460)는 측벽부(12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즉, 제1 반사시트(460)는 확산판(420)과 광학시트(410)의 측면에서 나온 광을 다시 재반사시켜 측면 빛샘을 방지한다.
한편, 광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해 바텀 샤시(440)의 돌출부(441)에도 제2 반사시트(470)가 배치된다.
몰드 프레임(100)의 측벽부(120)에 배치된 제1 반사시트(460)와 바텀 샤시(440)의 돌출부(441)에 배치된 제2 반사시트(470)는 앞서 설명한 반사시트(4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몰드 프레임(100)과 표시패널(200) 사이에 개재되어 몰드 프레임(100)과 표시패널(200)을 접착시키는 접착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접착부재(300)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을 포함한다. 감압 접착제는 물리적 힘 또는 분자, 원자, 이온의 인력, 흡착 등에 의해 두 표면을 점착하는 물질이다. 감압 접착제는 탄성율이 낮고 굴곡 특정이 좋은 투명 점착제이다.
하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몰드 프레임(100) 및 바텀 샤시(440)의 구조외에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100)은 확산판(420) 및 광학시트(410)가 안착되는 지지 돌기(121)를 더 포함한다. 지지 돌기(121)는 몰드 프레임(100)의 측벽부(120)에서 확산판(420)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 돌기(121)는 도 3에 개시된 형상외에도 확산판(420) 및 광학시트(4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몰드 프레임(100)은 투명한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1 반사시트(460) 및 제2 반사시트(470)가 몰드 프레임(100)의 측벽부(120) 및 지지 돌기(121)에 배치된다. 제1 반사시트(460) 및 제2 반사시트(470)는 측면 빛샘을 방지하고 광 추출 효율을 증가시킨다.
바텀 샤시(440)는 확산판(420)와 동일한 형상의 사각형 판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몰드 프레임(100)의 측벽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몰드 프레임(100) 및 바텀 샤시(440)의 구조외에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산판(420)은 바텀 샤시(440)의 돌출부(441)에 안착되고, 광학시트(410)는 몰드 프레임(100)의 지지 돌기(121)에 안착된다.
제1 반사시트(460)는 측벽부(120)에 배치되며, 측면 빛샘을 방지한다. 제2 반사시트(470)는 바텀 샤시(440)의 돌출부(441)에 배치되어 광 추출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된 표시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예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몰드 프레임 110 : 베이스부
120 : 측벽부 121 : 지지 돌기
200 : 표시패널 210 : 제1 기판
220 : 제2 기판 230 : 블랙 매트릭스
300 : 접착부재 4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410 : 광학시트 420 : 확산판
430 : 반사 시트 440 : 바텀 샤시
441 : 돌출부 442 : 바닥부
450 : 광원 유닛 451 : 광원
452 : 회로기판 460 : 제1 반사시트
470 : 제2 반사시트

Claims (15)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배치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과 결합하는 바텀 샤시;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판형상을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투명한 폴리머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된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텀 샤시와 결합하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벽부와 결합하는 표시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된 광학시트 및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 및 상기 확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돌출부에 안착되는 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된 광학시트 및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 및 상기 확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텀 샤시에 안착되는 표시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광학시트 및 상기 확산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베이스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KR1020140088230A 2014-07-14 2014-07-14 표시장치 KR20160008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30A KR20160008675A (ko) 2014-07-14 2014-07-14 표시장치
US14/610,463 US9791737B2 (en) 2014-07-14 2015-01-3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30A KR20160008675A (ko) 2014-07-14 2014-07-14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675A true KR20160008675A (ko) 2016-01-25

Family

ID=5506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230A KR20160008675A (ko) 2014-07-14 2014-07-1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91737B2 (ko)
KR (1) KR20160008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562A (ko) * 2016-05-09 2017-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232B1 (ko) * 2014-07-08 2021-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23634B1 (ko) * 2015-10-28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복수의 표시 장치들을 포함하는 did 장치
WO2018129089A1 (en) * 2017-01-05 2018-07-12 Velo3D, Inc. Optics in three-dimensional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943B2 (ja) * 1994-09-16 2001-10-15 株式会社東芝 平面直視型表示装置
KR20080095065A (ko) 2007-04-23 2008-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엘이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515459B1 (ko) * 2008-06-12 2015-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10889B1 (ko) 2008-08-27 2015-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00058004A (ko) 2008-11-24 2010-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빛샘 현상이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
CN102109689B (zh) * 2010-12-30 2012-11-21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此液晶显示器的液晶显示面板的拆解方法
KR101843913B1 (ko) * 2011-02-28 201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35601A1 (ja) * 2011-09-05 2013-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3035666A1 (ja) * 2011-09-08 2013-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073009A (ja) * 2011-09-28 2013-04-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KR101948168B1 (ko) 2011-12-08 2019-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내로우 베젤 타입 액정표시장치
JP2014026173A (ja) * 2012-07-27 2014-02-06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KR20150021368A (ko) * 2013-08-20 2015-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562A (ko) * 2016-05-09 2017-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1453A1 (en) 2016-01-14
US9791737B2 (en)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232B1 (ko) 표시장치
KR102256237B1 (ko) 표시 장치
US9648768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bottom chassis including a binding portion
KR102230296B1 (ko) 표시 장치
US20200142244A1 (en) Display device
US9841622B2 (en) Display device
KR102308152B1 (ko) 표시 장치
US9500893B2 (en) Display device
KR102282447B1 (ko) 표시장치
US9823509B2 (en) Display device
KR20160017372A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표시장치
KR20160135894A (ko) 표시 장치
KR20160008675A (ko) 표시장치
KR20160019565A (ko) 표시장치
US20160363816A1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reflective suppor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116101A (ko) 표시 장치
KR102253430B1 (ko) 표시 장치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US10031280B2 (en) Display device
KR20150006269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