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042A -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042A
KR20160006042A KR1020140085383A KR20140085383A KR20160006042A KR 20160006042 A KR20160006042 A KR 20160006042A KR 1020140085383 A KR1020140085383 A KR 1020140085383A KR 20140085383 A KR20140085383 A KR 20140085383A KR 20160006042 A KR20160006042 A KR 2016000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information
unit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헌
정재식
박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042A/en
Publication of KR2016000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0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A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a 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by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calculates a temperature-energy interaction formula based on information of an air supply temperature, a ventilation temperature, and electric energy consumption measured in advance for a control area; detects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ir supply temperature for the control area; and detects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the control area by applying the detected control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energy interaction formula. To achieve the above,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which controls an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multiple indoor units for air conditioning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for operating the indoor units by being connected with the multiple indoor units, comprises: a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area where the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a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multiple indoor units;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ir supply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detecting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the control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interaction formula. The control unit is able to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interaction formula based on the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measured in advance for the control area.

Description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a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quipment,

본 발명은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에 상기 검출된 제어 온도를 적용하여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 control device and an equip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quipment, and in particular,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is calculate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ventilation temperature and an air supply temperature for the control area and for detecting an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for the control area by applying the detected control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facility control system.

최근, 건물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공조, 방재 및 방범 등의 설비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대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modernization of building facilitie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facilities such as power, lighting, air conditioning, disaster prevention, and crime prevention installed in buildings is being expanded.

즉, 설비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또는 설비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That is, a facility control system (or facility control system) capable of managing the facilities as a whol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설비 관제 시스템(또는 설비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관제점이라고 하는 하나의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facility control system (or facility control system) can generally be based on a monitoring point for control or monitoring, referred to as a control point.

사용자 등은 한 개의 설비(장비)에 여러 개 혹은 단일 관제점을 설정하여 해당 관제점의 값을 통해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set up multiple points or single points in one facility (equipment) and monitor and control the facilities through the value of the points.

엔지니어는 빌딩에 설치되는 설비의 종류 및 형태별로 해당 관제점을 설정하고, 설비 관제 시스템에 등록하여 빌딩의 자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engineer can set the control point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type of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can register the control point i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to perform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building.

기존의 설비 제어 시스템에서는, 관리 또는 제어 대상이 되는 제어 영역이 소비하는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복잡한 열전달방정식을 이용하거나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간략화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In a conventional facility control system, a complex heat transfer equation is used to calculate the energy consumption consumed by the control area to be managed or controlled, or a simplified method through data analysis is used.

열전달 모델의 경우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많은 입력변수들의 정확성을 위해 센서 등의 설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heat transfer model, too much time and effort are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nsor or the like needs to be installed for the accuracy of many input variables.

또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방법은 열전달 모델에 비해 간단하지만, 도출된 회귀 모델에 따라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the method for data analysis is simpler than that of the heat transfer mode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largely according to the derived regression model.

본 명세서는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복잡한 열전달방정식을 이용한 방법과는 달리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에 상기 검출된 제어 온도를 적용하여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the control area,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complex heat transfer equation A central control unit which detects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ventilation temperature and an air supply temperature for the control region and detects an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for the control region by applying the detected control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And a 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는,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to drive the indoor units, A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area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detecting an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of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a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the control side in relation to the control area.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 영역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are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to be controlled.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급기 풍량 및 상기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비열을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the supply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specific hea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rea.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인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control region = the air supply air volume * the specific heat * the control temperature * the air conditioning time for performing the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is a plurality, and the control unit selects one of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mong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condition, And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s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unit may classify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amount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to deriv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by calcula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ir supply temperatur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기 조화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 equip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to drive the indoor units; And obtaining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region in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and for detec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The apparatus may be to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based on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for the control reg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은,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an air conditioner, the method comprising: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A method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by a central control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area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step;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wherei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a ventilation temperature, and an air- And may be calculated based on information on electric energy usag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복잡한 열전달방정식을 이용한 방법과는 달리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에 상기 검출된 제어 온도를 적용하여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함으로써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the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complex heat transfer equati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alcula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information on the usage amount,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ventilation temperature and an air supply temperature for the control region, and applying the detected control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can be calculated efficiently and accurately by detec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area.

도 1은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에너지 관계식의 도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a control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riv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FIGS. 5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method of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age based on a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제어 시스템 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등에 포함된 중앙 제어 장치(또는 중앙 관제 서버)에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 facility control system or a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facilities, a central control device (or a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ed i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and the like.

여기서 설비 제어 시스템(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은 건물 또는 빌딩에 배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빌딩종합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일 수 있다. 즉, 상기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자동화 시스템에서 적용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나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빌딩에 설치된 설비들을 제어하기 위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facility control system (or facility control system) may be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for controlling facilities disposed in buildings or buildings. In particular, the facility control system may be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That is, the building automation system can be applied to a concept including a factory automation system and the like, in particular,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for controlling facilities installed in a build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out limiting the object to be applied in the automation system.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들과 관련된 에너지를 관리하여 건물 내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may mean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used to manage energy related to facilities installed in a building to maintain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n the building while increasing energy performance .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 설비들이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 산출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Further,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n electric energy calculation method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consumed by facilities in order to control facilities installed in a buildin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lso,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ly disclosed subject matter belo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broader sense, or interpreted in an oversimplifi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which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Also,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ing ", or" comprising ", etc.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obscured. It is to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asil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by the attached drawings.

설비 제어 시스템 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facility control system or facility control system

도 1은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 10)은 중앙관제서버(100),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설비제어장치(200, 200'), 하나 이상의 설비(300, 300') 및 장비(400, 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acility control system (or a facility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control server 100, facility control devices 200 and 20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One or more facilities 300, 300 'and equipment 400, 4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 또는 설비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설비(300, 300')와, 상기 설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관제점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 제어 장치(또는 중앙 관제 서버, 1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facility control system or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t least one facility 300, 300 ', at least one facility point for the facility, And a central control device (or a central control server 100)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using a control point.

이때,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관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등록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또는'가상의 서버')을 구비하고, 상기 각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등록된 일부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has one or more stations (or 'virtual servers') created by register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points, and each of the stations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facilities for some registered points.

상기 설비(300, 300')는,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에어컨, 환기, 공조기, 팬, 보일러,냉각탑, 펌프, 온/습도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화재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facility 300 or 300 'is a subsystem that constitutes the facility control system 10, and may be,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a ventilator, an air conditioner, a fan, a boiler, a cooling tower, a pump,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Equipment, electric power equipment, fire system, and the like.

또한, 장비(400, 400')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apparatuses 400 and 400 'may be, for example, a cooling tower, a pump, a temperature sensor, or the like in the case of a cooling tower system.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건물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및/또는 감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설비들(300, 300'),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is a device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and / or monitoring the overall situation of a building. The facilities 300 and 300 ', for example, hardware, lighting, power, access control, Parking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and the like.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300, 300') 및 이에 포함된 장비들(400, 400')을 제어 또는 감시하는 자동화 서버일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shares information with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facility 300 and 300 'and the equipment 400 and 400' For example, an automation server that controls or monitors.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상기 설비(300, 300') 또는 장비(400, 400')에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300, 300') 또는 장비(400, 400')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generally registers one or more preset points in the facility 300 or 300 'or the equipment 400 or 400' and the facility 300 or 300 ' ) Or a control program for driving the equipment 400, 400 '.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300, 300')을 제어 및/또는 감시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may control and / or monitor the facilities 300 and 300 'using the control program.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제어 영역에 설치된 설비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a control screen for equipment installed in the control area.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설비에 대한 제어 처리 과정 또는 제어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the control screen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or an input / output screen capable of outputting a control processing process or a control processing result to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user input.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 1 영역에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 시간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타임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 2 영역 상에 상기 타임 라인 상의 제어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함에 의해 상기 제어 화면 또는 상기 제어 화면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displays a time line in which a control time for the facility is sequentially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in a first area on the control screen, The control screen or the control screen can be provided by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ime on the time line.

상기 제어 영역은 건물 내지 빌딩 내에 포함된 제어 관심 영역 내지 제어 대상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영역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또는 임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area may be a control interest area or a control target area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For example, the control are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or an arbitrary layer)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to be controlled.

여기서, 상기 건물 내지 빌딩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가, 편의점, 점포, 주택, 사무실, 오피스텔, 공장 건물 빌딩, 학원 또는 병원 건물등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building or building means a building to be controlled, and may mean a shopping mall, a convenience store, a store, a house, an office, an office building, a factory building, a schoolhouse, or a hospital building.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300, 3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at least one facility 300 or 300 'and may execute a control program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즉,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는, 설비들(300, 300')을 제어하는 직접 제어기(Direct Digital Controller) 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일 수 있다.That i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a direct digital controller or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for controlling the facilities 300 and 300 '.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설비들(300, 3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0 to exchange information and receives and execut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설비들(300, 3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400, 400'),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에 설정된 관제점을 통해 건물 내 설비들의 제어출력 및 상태 변화 등과 같은 설비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300 and 300 'through one or more equipment 400 and 400' provided in the facilities 300 and 300 ', for example, Equipment-related information such as control outputs and status changes of the internal equipments can be recorded or stored.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설비(300, 300') 또는 장비(400, 400')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그에 따라, 건물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에 대한 각 관제점들을 감시 또는 제어하고, 상기 각 관제점들에 내장된 함수를 이용하여 설비(300, 300') 또는 장비(400, 400')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for example,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or monitors the facility 300 or 300 'or the equipment 400 or 400'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In other word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necessary information to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nitor or control each control point for the air conditioner and other facilitie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o control the input / output of the facility 300 or 300 'or the equipment 400 or 400' The signal can be directly controlled.

구체적으로,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300, 300') 사이에 연결되어서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is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at least one facility 300 or 300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

그리고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그 실행 결과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설비제어장치(200)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에 따른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can transmit the execution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For this purpose,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00, and receives the control program or the control program from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00 And a communication unit as a means for receiving an execution result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상기 실행 결과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means for displaying the execution result on the user screen.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설비제어장치(200), 및 각 설비들(300, 3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and the respective facilities 300 and 3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설비제어장치(200), 및 각 설비들(300, 30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백넷(Building Automation &Control Network; BACnet)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00, and the respective facilities 300 and 300 'may be implemented using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BACnet).

또한,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는 CAN, DeviceNet, Profibus, Interbus, LonWorks 등이 있으며, 그 중 특히 LonWorks는 OSI 7계층을 모두 사용하여 인터넷에 쉽게 연결될 수 있어 인터넷을 통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하게 응용되고, 그 중요성 역시 점차 확대되고 있다.The communication protocol includes CAN, DeviceNet, Profibus, Interbus, and LonWorks. Of these, LonWorks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the OSI 7 layer, And its importance is also increasing.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에 대한 설명A description of the centra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는,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to drive the indoor units, A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region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detec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of the machine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re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영역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are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to be controll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급기 풍량 및 상기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비열을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the supply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specific hea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re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an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air-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is performed, the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for the control area = the air supply air volume * the specific heat * the control temperature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복수 개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plural.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condition, and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based on the selected one of the temperature- And to detect the electric energy usage of the are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lassify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amount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 to deriv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by calculating an energy rela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assification standar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ir supply temperature.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a control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40) 및 온도 정보 획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control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140 and a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60.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can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상기 온도 정보 획득부(160)는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M100)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ing unit 160 acquires the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the control area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the control point M10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영역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are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to be controlled.

따라서, 상기 온도 정보 획득부(160)는 상기 급기 온도 정보 및 상기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for obtaining the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the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of the control area.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도출된 회귀식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may be a regression equation deriv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usage.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급기 풍량 및 상기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비열을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40 may calculat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the supply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specific hea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an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for the control area = the air supply air volume * the specific heat * the control temperature * the air conditioning time for performing the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복수 개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plural.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selects one of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condition, and selects one of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an be detected.

이 경우,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classifies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al energy usage amount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can be calculated to deriv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여기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도 3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40.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50), 디스플레이부(120) 및 통신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torage unit 150, a display unit 120,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외에도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can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 영역에 설치된 설비에 대한 제어 화면 및 상기 제어 화면과 관련된 다양한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control screen for equipment installed in the control area and various graphic objects related to the control screen.

여기서, 상기 제어 영역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Here, the control area may be a reg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to be controlled.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outputs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산출되는 전기 에너지 사용량 및 산출 과정을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by the controller 140 and the calculation process on the control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Also,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 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t the same time.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having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peration with the display unit 120, the display unit 140 outputs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화면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screen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상기 제어부(14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산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o provide an electric energy calcul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 입력을 근거로 상기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설비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two or more selected facilities based on the user control input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미리 정해진 설비 그룹 또는 복수의 존으로 구분된 제어 영역을 존 단위로만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장치 또는 설비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의 변화 패턴으로 동작중인 장치를 일괄적으로 선택, 제어함으로써, 설비 운영 환경을 최적화하고, 이를 통하여 설비 내지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control a predetermined control group or a control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only in units of zones but collectively selects devices in operation with change patterns of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pecific devices or equipment ,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operation environment of the facility and to have an advantage that the facility or the apparatus can be efficiently managed through the optimiz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특정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설비 제어 장치(200)를 통해 상기 특정 영역에 배치된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facilities installed in the specific area through the facility controller 2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controller 100 through a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여기서, 상기 특정 통신 방식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백넷(Building Automation &Control Network; BACnet) 및 LonWorks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Here, the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t least one of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BACnet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and LonWorks.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직접 제어기(Direct Digital Controller) 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Also,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at least one of a direct digital controller and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과 관련된 상기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역할은 전술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pecific role of the control unit 140 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the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is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generate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by a user.

상기 입력부(1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40, it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or receive) various user inputs from a user.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는 전술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activating the electric energy usage calculation function for the control area from the user.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 설정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 설정 입력을 근거로 상기 특정 제어 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setting inpu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may set control parameters for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rol time based on the user setting input.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제어의 대상이 되는 관심 제어 영역 또는 대상 제어 영역에 설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control input for controlling equipment installed in a target control area or a target control area to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to the user. In particular, the user interface may b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대상이 되는 설비를 나타내는(또는 표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하여 상기 제어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the control input through a graphical object representing (or representing) a facility to be controlled on the control screen.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클릭 또는 터치에 대응하여 입력창등(예를 들어, 팝-업 메뉴)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입력창등을 통하여 상기 제어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clicks or touches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on the control screen, the user interface displays an input window or the like (for example, a pop-up menu)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lick or touch And the user can input the control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설비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Here, the graphic object may be an icon or an indicator indicating the facilit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양 또는 크기는 설비의 실제 모양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hape or size of the graphic object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actual shape and size of the equipment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설비의 모양이 사각형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모양은 사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는 상기 설비의 크기를 일정 비율 만큼 축소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facility is a rectangle, the shape of the graphic object may be a rectangl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graphic object may be a size of the facility reduced by a certain ratio.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는 전술된 직선 모양의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상기 제어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Also,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the control input through the linear indicator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직선 모양의 인디케이터를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클릭 또는 터치에 대응하여 입력창등(예를 들어, 팝-업 메뉴)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입력창등을 통하여 상기 제어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clicks or touches the linear indicator displayed on the control screen, the user interface displays an input window or the like (for example, a pop-up menu) in response to the click or touch And the user can input the control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or the like.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에 제어 명령, 관제 프로그램 또는 관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제어 대상이 되는 설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a control program, or a result of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00. [ Thu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can control the facility to be controlled.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에 의한 설비의 제어 결과 내지 제어 처리 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from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information on the control result of the facility and the control process by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200. [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다수의 관제점으로부터 설비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e.g., status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from a plurality of points of control.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하여 외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의 사용자는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설비에 대한 관리 또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 user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perform a function (e.g., management or control function for equipment) perform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외부 단말과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Bluetooth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또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perform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electronic components for at least one of BluetoothTM, Zigbee,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USB,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reless LAN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산출되는 전기 에너지 사용량 및 그 처리과정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the usage amount of the electric energy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40 and the process of the electric energy usage.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상기 사용자 입력, 제어 입력, 설정 입력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40, and ma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the user input, the control input, the setting input, Function may be performed.

상기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Solid State Disk or Solid State Driv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n SSD (solid state disk or solid state driv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for performing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Internet.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기 조화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인 것일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to drive the indoor units, The air conditione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the control area in which the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the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indoor units,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ir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and for detec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But may be a centra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전기 에너지 산출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Specific examples of methods for calculating electric energy

이하에서 개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overall scope of the invention, can do.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에너지 관계식의 도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riv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calculate a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based on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control region.

여기서, 상기 제어 영역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area may refer to an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to be controlled.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도출된 회귀식일 수 있다.As discussed abov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may be a regression equation deriv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electrical energy usa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급기 풍량 및 상기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비열을 근거로 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calculated on the basis of an air flow rat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nd a specific hea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rea.

여기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수학식은 아래 수학식 1으로 표현될 수 있다.Her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expressed as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control area = the air supply air volume * the specific heat * the control temperature * the air conditioning time for performing the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TRA는 환기 온도(℃), TSA는 급기 온도(℃), Msys는 급기 풍량(m3/s), Cp는 비열(kcal/kg·℃)이다.Here, TRA is the ventilation temperature (° C), TSA is the supply air temperature (° C), Msys is the supply air flow (m 3 / s), and Cp is the specific heat (kcal / kg · ° C).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제어 온도는 (TRA - TSA)를 의미하게 된다.In Equation (1), the control temperature means (TRA - TSA).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기계측된 제어 온도(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차)와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근거로 회귀선(L100)을 도출하여 회귀식인 온도-에너지 관계식(E100)을 산출할 수 있다.4,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derives a regression line L100 based on the machine-side control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used, - The energy relation (E100) can be calculated.

도 4에서 R2은 결정 계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귀식의 설명력을 나타낸다.In Fig. 4, R 2 denotes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hich indicat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equation.

도 4의 경우, R2이 0.9944이므로, 온도-에너지 관계식(E100)인 "y=0.00808x-0.2223"이 매우 정확한 회귀식임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4, since R 2 is 0.9944,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E100) "y = 0.00808x-0.2223" is a very accurate regression equation.

도 5 내지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S. 5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method of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age based on a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100)는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6,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classify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age into a plurality of groups have.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may deriv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by calcula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ed groups.

여기서, 상기 분류 기준은,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예를 들어, 도 5의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내지 공조 시간대별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5,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can derive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expression for each of the air conditioning time to the air conditioning time zone in which the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is performed.

도 5에 도시된 시간은 하루를 100으로 구분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The time shown in FIG. 5 may mean a time divided into 100 days.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새벽 내지 오전 시간대 또는 저녁 시간대(①), 오전 내지 저녁 시간과 낮 시간대 간의 경계 시간대(②) 및 낮 시간대(③) 별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can derive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expression for each of the boundary time zone (2) and the daytime zone (3) between the morning and morning time zones or the evening time zone (1), and between the morning and evening time zones and the daytime zone.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도출된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may select one of the derived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condition, and select one of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based on the selected one of the temperature-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can be detected.

여기서,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현재 시간이 오전 시간대(①)에 속하는 경우, 상기 오전 시간대(①)에 해당하는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time belongs to the morning time zone (1),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calculates the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for the control zone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corresponding to the morning time zone (1) can do.

도 6의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에 따라 전기 에너지 사용량(또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도 6의 ① 내지 ③)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 별로 온도-엔지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6,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classifies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or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into a plurality of groups (1 to 3 in FIG. 6)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temperature-engine relation can be deriv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가 도 6의 ①번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①번 그룹에 해당하는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elongs to the group (1) in FIG. 6,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calculates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corresponding to the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can be calculated.

외부 단말을 통해 제어되는 중앙 제어 장치A central control device controll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구체적으로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specifically,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통한 중앙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통한 설비의 관리 및 제어 방법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r a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The redundant portion can be omitted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of the facility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500)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to control the central control device 100.

즉, 사용자 내지 설비 관리자는 상기 휴대 단말(500)을 통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접속하여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or the facility manager can access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500 and perform an electric energy usage calcu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또는 외부 단말, 500)과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be connected to a terminal (or an external terminal 500) by wire or wireless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40, 도 2 참조)는 상기 제어 화면을 상기 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하여 상기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see FIG. 2)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transmit the control screen to the terminal 500. [0051] FIG. For this,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500)에 의해 표시되는 제어 화면을 통해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input user inpu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rough the control screen displayed by the terminal 500. [

상기 단말(500)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여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 또는 변경되는 제어 화면을 다시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500 may transmit the input user inpu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display the control screen transmitted or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again on the screen.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500)이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8 shows a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bile terminal.

그리고, 상기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어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5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520, a user input unit 530, a sensing unit 540, an output unit 550, a memory 560, An interface unit 570, and a control unit 58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9 are not essential, and a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510)는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500)와 단말기(5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단말기(500)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0 may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5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500 and the network where the terminal 500 is located or between the terminal 500 and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2), 무선 인터넷 모듈(513), 근거리 통신 모듈(514) 및 위치정보 모듈(5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5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5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515 .

방송 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cent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center may be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cent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5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DVF-H) And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560.

이동통신 모듈(5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5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terminal 500.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썬더볼트(ThunderboltTM)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514 is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eanwhile, USB (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Thunderbolt (TM),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near-field communication of the wire.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513 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4 may establish a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중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이동 단말기(500)의 식별 정보(예컨대, 휴대폰인 경우 전화 번호, 또는 기기명)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513 or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514 transmits an audio signal wirelessly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if there is an audio signal to be output,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In addition,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513 or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514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when there i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lternatively,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513 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4 may receive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built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513 or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514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for example, a telephone number or a device nam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o the device (100).

위치정보 모듈(5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515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8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5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521 and a microphone 522. The camera 5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51. [

카메라(5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5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5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0. [ More than two cameras 5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5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5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5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5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5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53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5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압력센서(542), 및 모션 센서(5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541)는 이동 단말기(5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2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센서(5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541, a pressure sensor 542, a motion sensor 543, and the like. The proximity sensor 541 can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mobile terminal 500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mobile terminal 200 without mechanical contact. The proximity sensor 541 can detect a nearby object by using a change in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or a change in the static magnetic field, or a rate of change in capacitance. The proximity sensor 241 may include two or more sensor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상기 압력센서(542)는 이동 단말기(5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542)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542)가 디스플레이부(551)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5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5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5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부(5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542 can detect whether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500,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the like. The pressure sensor 542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pressure of the mobile terminal 500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If the pressure sensor 542 is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551, a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551 and a pressure larger than the touch inpu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542 To identify the applied pressure touch input.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551 when the pressure touch is inpu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542. [

상기 모션 센서(543)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상기 모션 센서(543)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이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을 하는 이동 단말기(500)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각 기준 방향에 대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이로 센서는 3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회전 각도, 즉 방위각(azimuth), 피치(pitch) 및 롤(roll)을 감지할 수 있다.The motion sensor 543 senses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500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An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be used for the motion sensor 543 is an element that converts an acceleration change in one direction into an electric signal. Acceleration sensors are usually constructed by mounting two or three axes in one package.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only one axis of Z axis is required. Therefore,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is used instead of the Z-axis direction for some reason,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main substrate by using a separate piece substrate. In addition, 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of the mobile terminal 500, which is rotating, and can sense a rotated angle with respect to each reference direction. For example, the gyro sensor may sense azimuth, pitch and roll angles based on axes in three directions.

출력부(5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 모듈(552), 알람부(553), 및 햅틱 모듈(5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5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ing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551, an acoustic output module 552, an alarm unit 553, and a haptic module 554 .

디스플레이부(551)는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551 displays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500. [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terminal 2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UI, or GUI is displayed.

디스플레이부(5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5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5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2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portion 551 of the terminal body.

단말기(5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5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5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terminal 500. For example, in the terminal 500,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5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5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5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5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 unit 280. Thus, the control unit 5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251 is touched or the like.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5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A proximity sensor 5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terminal to be wrapped by the touch screen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5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5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2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terminal 200. [ The sound output module 2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553)는 단말기(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5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551)나 음성 출력 모듈(5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5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terminal 500 of the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55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5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55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253. [

햅틱 모듈(haptic module)(5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5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5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5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554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5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554 may be arrang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5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4)은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5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a user to feel a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a finger or an arm. More than one haptic module 5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500.

메모리(560)는 제어부(5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5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5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5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upon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메모리(560)에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미도시), 무선통신부(510)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사용자 입력부(53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A/V 입력부(52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출력부(55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iOS, Android, VxWork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tasks)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emory 560 may include an operating system (not shown), a module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0, a modul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input unit 530, an A / V input unit 520, And a modul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utput unit 550.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stored in a memory. The operating system (e.g.,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iOS, Android, VxWorks or other embedded operating systems) provides various software for controlling system tasks such as memory management, power management, Components and / or drivers.

또한, 상기 메모리(560)는 설비의 제어 또는 관리 관련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관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58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560 may store a program (e.g., a control program) associated with control or management of the facility. The program may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580. [

또한, 상기 메모리(56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예: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한 설비 제어 또는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560 may store an application related to facility control or management downloaded from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e.g., an application store).

메모리(5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5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terminal 5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the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5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570)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5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570 serves as a path to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5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500 or transmits data in the terminal 5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570.

식별 모듈은 단말기(5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terminal 5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5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terminal 5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terminal 5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 The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or the power sourc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5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581)은 제어부(5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5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2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5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5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5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580 or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580.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to recognize a hand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5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 or an internal power supp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전원공급부(590)는 단말기(5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99)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599)를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598)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90 includes a battery 599 that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500 and may include a charging unit 598 for wired 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599.

본 명세서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을 예로서 개시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100 a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terminal.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설비,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설비 제어 장치 및 상기 설비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휴대 단말과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제어되되, 상기 휴대 단말은,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인 것일 수 있다.Also, the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at least one facility, a facilities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facility by wire or wirelessly, and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facility through the facility control device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be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motely controlled,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검출 방법The method for detec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은,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to drive the indoor uni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region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n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of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a temperature- Wherei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 It can b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 side of the supply air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nd electric energy usage for the control reg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an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for the control area = the air supply air volume * the specific heat * the control temperature * the air conditioning time for performing the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복수 개이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is a plurality,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condition, And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of the control temperatur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은,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of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al energy used for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classifying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deriving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by calcula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for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assification standar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ir supply temperature.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먼저,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First, the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the control area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can be obtained from the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S110).

다음으로,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S120).Next, the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S120).

다음으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S130).Next,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S130).

여기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may b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usage for the control area.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복잡한 열전달방정식을 이용한 방법과는 달리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에 상기 검출된 제어 온도를 적용하여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함으로써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the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complex heat transfer equati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alcula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based on information on the usage amount,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ventilation temperature and an air supply temperature for the control region, and applying the detected control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can be calculated efficiently and accurately by detect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area.

즉, 계측 데이터(예를 들어, 기계측된 급기 온도 및 환기 온도)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계산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측면에서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계측포인트가 적기 때문에 입력변수의 정확성을 유지하는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orrelation is derived by using the measurement data (for example, the supply air temperature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of the machine side) and is calculated through the calculation, it can be considerably reduced in terms of time and effort. In addition, since the measurement points are small, it can help in maintaining the accuracy of input variables.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100: 중앙 제어 장치 110: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200: 설비 제어 장치 500: 외부 단말
100: central control device 110: input
120: display unit 130:
140: control unit 150:
200: facility control device 500: external terminal

Claims (21)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장치.
A centra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for driving the indoor units,
A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region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Wherein,
Wherei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contro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빌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인 중앙 제어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ayer included in a building or a building to be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급기 풍량 및 상기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비열을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인 중앙 제어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calculates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 based on the supply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specific hea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인 것인 중앙 제어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unit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unit performs the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것인 중앙 제어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Plural,
Wherein,
Selec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ccording to a control condi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the selected temperature-energy rel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중앙 제어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하는 것인 중앙 제어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amount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a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is calcul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ed groups to deriv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중앙 제어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air conditioning time at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ir supply temperature.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기 조화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to drive the indoor units; And
Obtaining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region in which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detecting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The central control device includes:
Wherei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contro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급기 풍량 및 상기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비열을 근거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는 것인 설비 제어 시스템.
2.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energy relation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supply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specific hea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re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인 것인 설비 제어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emperature-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control region = the air supply air volume * the specific heat * the control temperature * the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the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is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복수 개이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것인 설비 제어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Plural,
The central control device includes:
Selec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ccording to a control condition,
And detects an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any one of the selected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설비 제어 시스템.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하는 것인 설비 제어 시스템.
13.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amount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a temperature-energy relationship is calcul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ed groups to deriv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설비 제어 시스템.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air conditioning time at which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is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들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에 해당하는 관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제어 영역에 대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급기 온도 정보 및 환기 온도 정보를 근거로 환기 온도 및 급기 온도 간의 온도 차인 제어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
A method of calculating an amount of electrical energy used by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to drive the indoor units,
Obtaining air suppl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for a control region to be air-condition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from a control poi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Detecting a control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supply ai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venti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Detecting an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of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based on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The temperature-
Wherein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the control are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 = 상기 급기 풍량 * 상기 비열 * 상기 제어 온도 *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인 것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temperature-
Wherein the electric energy usage amount for the control area is the air supply air volume, the specific heat, the control temperature, and the air conditioning time during which air conditioning by the specific indoor unit is perform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너지 관계식은,
복수 개이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제어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온도-에너지 관계식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근거로 상기 제어 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는 것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temperature-
Plural,
The central control device includes:
Selec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s according to a control condition,
And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used in the contro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emperature is detected based on any one of the selected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조건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 시간 및 상기 제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
1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The air conditioning time by the specific indoor unit and the control temperature.
제18항에 있어서,
분류 기준을 근거로 상기 기계측된 급기 온도, 환기 온도 및 전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에너지 관계식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Classifying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side supply air temperature,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electrical energy usage amount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Calculating a temperature-energy rel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ed groups to deriv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energy relational expression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특정 실내기에 의한 공조가 수행되는 공조 시간 및 환기 온도와 급기 온도와의 온도 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에너지 사용량 산출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entilation temperature and the supply air temperature,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time and the air supply temperature are performed by the specific indoor unit.
KR1020140085383A 2014-07-08 2014-07-08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KR201600060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83A KR20160006042A (en) 2014-07-08 2014-07-08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83A KR20160006042A (en) 2014-07-08 2014-07-08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042A true KR20160006042A (en) 2016-01-18

Family

ID=5530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383A KR20160006042A (en) 2014-07-08 2014-07-08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0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5314B1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1658091B1 (en)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EP3128793B1 (en) Method of providing route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same
KR101667724B1 (en)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KR10224129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866860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EP3545509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604808B1 (en)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KR102161100B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ssociated with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367215B2 (en) Mobi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configuring a remote device
US10365619B2 (en) Technologies for optimally individualized building automation
US20150220171A1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26819B1 (en)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KR101570428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KR101641254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KR101625114B1 (en)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KR102136160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acility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for controlling facilities
KR101587175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acility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for controlling facilities
KR20160006042A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KR101587181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KR102349269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oving of Contents
KR102321113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mobile terminal, facility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for controlling facilities
KR2016006037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58090B1 (en)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US20240134956A1 (en) Accessory setup using a setup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