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19U -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 Google Patents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19U
KR20160002319U KR2020150000073U KR20150000073U KR20160002319U KR 20160002319 U KR20160002319 U KR 20160002319U KR 2020150000073 U KR2020150000073 U KR 2020150000073U KR 20150000073 U KR20150000073 U KR 20150000073U KR 20160002319 U KR20160002319 U KR 201600023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signal
top box
unit
sound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0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0817Y1 (en
Inventor
정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2015000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17Y1/en
Publication of KR20160002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1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가 개시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셋톱박스모듈; 셋톱박스모듈로부터 오디오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처리하는 오디오모듈; 및 셋톱박스, 또는 셋톱박스 및 오디오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dio integrated set-top box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rough a network, transmitting the received video signal to a display,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received audio signal Set top box module; An audio modul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set top box module and for processing the received audio signal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module for applying power to the set-top box or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module.

Description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integrated set-top box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본 고안은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장치와 셋톱박스를 일체로 구현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및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신호에 따라 최적의 음장효과를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that integrates an audio device and a set top box to efficiently utilize a space, facilitate installation and wiring, Integrated set-top box capable of adaptively providing the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integrated set-top box.

셋톱박스는 디지털 위성방송용 수신장비를 말하는 것으로, 텔레비전 위에 설치한 상자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A set-top box refers to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ption equipment, and is a name given in the sense of a box installed on a television.

디지털 방송이 일반화되면서, 셋톱박스를 설치하면 아날로그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데, 쌍방향 텔레비전이나 주문형 영상물(VOD: Video On Demend)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셋톱박스가 필수적이다. 즉, 셋톱박스는 일반 텔레비전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으로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반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고품질의 디지털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As digital broadcasting becomes popular, when a set-top box is installed, a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can be received using an analog television. A set-top box is indispensable for realizin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In other words, a set-top box is a product that enables a general television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enables users to enjoy a high-quality digital image provided through a network using a general television currently in use.

한편, 최근의 디지털 방송은 고품질의 디지털 영상신호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오디오신호를 함께 제공하는데, 일반 텔레비전으로는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하는 오디오신호의 효율을 높일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오디오장치를 네트워크, 셋톱박스 또는 텔레비전에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digital broadcasting, not only high-quality digital video signals but also high-quality audio signals are provided together. In general television, since the efficiency of audio signals provided by digital broadcasting can not be increased, It is also used in connection with television.

그런데, 셋톱박스와 오디오장치를 각각 별도로 연결하는 경우, 그 배선의 연결이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설치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복잡하게 연결된 배선은 셋톱박스, 오디오장치 및 텔레비전의 미관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텔레비전의 주변에는 셋톱박스 외에 오디오장치를 함께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장비가 공간을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과 셋톱박스와 오디오장치가 서로 조화롭게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외적 미관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는 시청하는 영상신호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최적의 오디오신호를 찾아 셋톱박스 및 오디오장치를 각각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청하는 디지털방송에 따라 매번 셋톱박스 및 오디오장치를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when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apparatus are separately connected, the connection of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apparatus is extremely complicat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a general person to install the apparatus. Complexly connected wiring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aesthetics of the set- It is. In addition, since audio devices other than the set-top box must be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television, each of the devices occupies a large space, and when the television and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device are not installed in harmony with each other, It is also a factor. In addition, since the user must adjust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device by searching for the optimum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to be viewed, the user has to adjust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device every time according to the digital broadcasting to be watched have.

등록특허공보 제10-0896830호 (등록일자: 2009. 04. 30)Patent Registration No. 10-0896830 (Date of Registration: 2009. 04. 30)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오디오장치와 셋톱박스를 일체로 구현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및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신호에 따라 최적의 음장효과를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dio apparatus and a set-top box which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efficiently utilize a space, facilitate installation and wiring,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capable of adaptively providing a sound field effe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조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셋톱박스모듈; 셋톱박스모듈로부터 오디오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처리하는 오디오모듈; 및 셋톱박스, 또는 셋톱박스 및 오디오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dio integrated set-top box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rough a network, transmitting the received video signal to a display, A set-top box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a condition; An audio modul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set top box module and for processing the received audio signal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module for applying power to the set-top box or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module.

전술한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셋톱박스모듈, 오디오모듈, 및 전원인가모듈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modul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et-top box module, the audio module, and the power supply module in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여기서, 셋톱박스모듈은, 영상신호의 장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음장효과구분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장르를 판단하는 장르판단부; 및 음장효과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음장효과 및 장르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영상신호의 장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하는 음장효과설정부;를 포함한다.The set-top box module includes: a sound field effect classifier for classifying a sound field effect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genre of a video signal in a plurality of stages; A genre judging unit for judging a genre of a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for setting a sound field effect separated by the sound field effect division unit and a sound field effect of the received audio signal based on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judged by the genre judgment unit.

또한, 셋톱박스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응하여 지원 가능한 채널을 판단하는 채널판단부; 및 채널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채널에 기초하여 오디오모듈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신호처리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t-top box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hannel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upportable channel corresponding to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ignal processing of the audio module based on the channel determined by the channel determination unit.

또한, 셋톱박스모듈은, 전원인가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전송 중단하는 영상전송중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t-top box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video transmission interruption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and switches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to a standby state to stop transmission.

오디오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와 독립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신호수신부; 및오디오신호수신부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셋톱박스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차단하는 오디오신호차단부;를 포함한다.The audio module includes: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n audio signal independently of a video signal through a network; And an audio signal blocking unit for blocking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module when the au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또한, 오디오모듈은, 오디오신호의 장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음장효과구분부; 오디오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를 판단하는 장르판단부; 및 음장효과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음장효과 및 장르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하는 음장효과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module further includes a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 signal in a plurality of stages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audio signal, A genre judging unit for judging a genre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And a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for setting a sound field effect separated by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and a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based on the genre of the audio signal judged by the genre judging unit .

본 고안에 따르면, 오디오장치와 셋톱박스를 일체로 구현하여 텔레비전 주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dio device and a set-top box are integrally implemented so that the space around the television can be utilized efficiently.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오디오장치와 셋톱박스가 일체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에 비하여 배선의 연결을 간소화함으로써 외적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dio device and the set-top box are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audio device and the set-top box easily by a general person, and the connection of wiring is simplifi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영상신호에 따라 최적의 음장효과를 적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때마다 셋톱박스 및 오디오장치를 각각 조절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디지털 영상신호에 부합하는 최적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sound field effect is adaptively provided according to a video signal, so that an optimal audio corresponding to a digital video signal can be automatically obtained without adjusting the set- Thereby outputting a signa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의 셋톱박스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의 오디오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dio integrated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module of the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shown i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dio module of the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dio integrated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는 셋톱박스 모듈(100), 오디오 모듈(200), 전원인가 모듈(300), 및 원격제어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may include a set top box module 100, an audio module 200, a power application module 300, and a remote control module 400.

셋톱박스 모듈(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방송에 대한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0)에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셋톱박스 모듈(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조건에 대응하여 그 효율을 최대로 높이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셋톱박스 모듈(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지원 가능한 채널을 판단하며, 판단되는 채널에 기초하여 최적의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t-top box module 100 receive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for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a network, processes the received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display 1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 Here, the set top box module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t this time, the set-top box module 100 can determine a supportable channel for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having an optimum efficiency based on a channel to be determined.

오디오의 시작은 1877년 에디슨의 포노그래프와 같은 축음기(유성기)로 출발하였다. 축음기의 경우, 소리를 재생하여 들려주는 나팔(오늘날의 스피커)은 하나 뿐이었으며, 따라서 최초의 오디오인 축음기는 오디오 채널이 한 개(하나)뿐이었다. 그 후에도 오디오는 진공관 앰프를 이용하여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식이었으므로, 이 당시를 모노럴 사운드(모노 채널 = 1채널) 시대라고 한다.The beginning of the audio began in 1877 as Edison's phonograph-like phonograph (Yusonggi). In the case of phonographs, there was only one trumpet (today's loudspeaker) that reproduced the sound, so the first audio phonograph had only one audio channel. Since then, audio was a method of outputting sound through a single speaker using a tube amp, and this time is called the monaural sound (monochrome = 1 channel).

오디오는 1948년 LP(Long Playing) 레코드가 등장하면서 스테레오 사운드(스테레오 채널 = 2채널) 시대로 발전하였다. 이 스테레오 채널은 오디오 시스템이 좌(Left) 채널과 우(Right) 채널의 두 개의 채널로 입체 음향을 재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때부터 오디오 채널이 2개가 된 것이다.Audio evolved into the era of stereo sound (stereo channel = 2 channel) with the appearance of Long Playing (LP) record in 1948. This stereo channel is a system in which the audio system reproduces stereophonic sound with two channels, the left channel and the right channel. Therefore, the audio channel has become two.

그 후, 스테레오의 2 채널이 더욱 발전하여 한 때는 4 개의 오디오 채널을 사용하는 4 채널 방식이 도입된 바 있다. 4 채널의 오디오 방식은 전방의 좌우 채널과 후방의 좌우 채널의 입체 음향을 재생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4 채널의 오디오 방식은 각각의 채널로 출력되는 음향이 체계적으로 분리되지 못하고 서로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혼동을 주게 됨에 따라 정착하지 못하고 실패하였다.Since then, two channels of stereo have been developed, and four channel systems using four audio channels have been introduced. The 4-channel audio system reproduces the stereo sound of the front left and right channels and the rear left and right channels. However, in the 4-channel audio system, the sounds outputted to the respective channels can not be systematically separated and mixed with each other and confused the user.

이 후, 오디오는 기본적인 2 채널의 스테레오 사운드에서 영화관과 같은 극장의 사운드를 재현하기 위하여 좌우 2 채널의 스테레오 사운드 방식에 대하여 가운데 대사를 재생하는 센터 채널 1개와, 후방에서 효과 음향을 재생하는 서라운드 채널 2개를 추가한 다음, 초저역 재생을 위한 서브 우퍼 채널까지 도입함으로써 돌비 서라운드 5.1 채널로 발전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이와 같은 5.1 채널을 더욱 세분화하여 재생하기 위해 7.1 채널, 8.1 채널, 9.1 채널 등과 같은 멀티 채널 방식이 개발되고 있기도 하다. 결국, 오디오의 채널은 오디오가 재생하는 스피커의 숫자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도 있다.Then, to reproduce the sound of the theater such as a movie theater in the basic 2-channel stereo sound, one center channel reproduces middle ambience for the left and right two-channel stereo sound method and a surround channel reproduces the effect sound from the rear After adding two, Dolby Surround 5.1 channel was developed by introducing subwoofer channel for ultra low band playback. In recent years, multi-channel systems such as 7.1 channel, 8.1 channel, and 9.1 channel have been developed to further segment and reproduce such 5.1 channels. As a result, the channel of audio can be regarded as almost matching the number of speakers that audio reproduces.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해당 오디오신호의 품질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음향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는데, 셋톱박스 모듈(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향 채널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오디오신호의 지원 가능한 채널을 판단하고, 판단된 지원 가능한 채널 중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에서 지원할 수 있는 최대의 채널이 지원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Generally, a digital audio signal provided through a network includes information of a sound channel that can maximize the quality of the audio signal. The set-top box module 100 transmits information of an audio channel of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supportable channel of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maximum channel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determined supportable channels is supported.

또한, 셋톱박스 모듈(100)은 영상신호의 장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최대로 살릴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방송 영상신호는 해당 영상신호가 액션에 속하는지, 멜로 드라마에 속하는지 등의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데, 셋톱박스 모듈(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장르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질의 열화 없이 정확하고 치밀하게 본래 의도하는 음장을 재현해 내기 위해 직접음과 반사음 분포에 대한 음장정보 특히, 특수효과 음향을 재구성하기 위한 음향정보 등을 디지털 신호화하여 처리하는 음향신호 처리기술을 디지털 음장이라고 하는 데, 셋톱박스 모듈(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음장은 현장과 같은 청취감을 형성해 주는 것으로서, 잔향음과 반사음을 이용하여 음에 대한 청취감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op box module 100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that maximizes the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 signal based on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Generally, a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provided through a network includes genr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corresponding video signal belongs to an action or a melodrama. The set-top box module 100 determines a genre of a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A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sound field effect of an audio signal received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 order to reproduce the intended sound field accurately and precisely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sound quality, the sound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that digitally processes the sound field information for the direct sound and the reflection sound distribution, particularly, the sound information for reconstructing the special effect sound, The set-top box module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maximizing a sound field effect of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Here, the sound field forms a listening feeling as in the field, and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listening feeling by using the reverberation sound and the reflection sound.

오디오 모듈(200)은 셋톱박스 모듈(100)로부터 오디오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해당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는 사운드 신호 처리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요소의 기능 및 동작은 본 고안의 논지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udio module 200 receives an audio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set-top box module 100, and performs a sound signal process on the received audio signal based on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audio integrated set-top box may includ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sound signal-processed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mplified by an amplifier, and the like.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such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전원인가 모듈(300)은 셋톱박스 모듈(100), 또는 셋톱박스 모듈(100) 및 오디오 모듈(20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즉, 전원인가 모듈(3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셋톱박스 모듈(100)에만 전원을 인가하거나, 셋톱박스 모듈(100) 및 오디오 모듈(2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전원인가 모듈(300)이 셋톱박스 모듈(100)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는 일반적인 셋톱박스와 같이 동작하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ower application module 300 selectively applies power to the set-top box module 100 or the set-top box module 100 and the audio module 200. That is, the power application module 300 can apply power only to the set-top box module 100 or to the set-top box module 100 and the audio module 20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this case, when the power application module 300 applies power only to the set-top box module 100, the audio integrated set-top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like a general set-top box,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원격제어 모듈(400)은 '리모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라고도 하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셋톱박스 모듈(100), 오디오 모듈(200), 및 전원인가 모듈(300)을 원격 제어한다. 즉, 원격제어 모듈(400)은 셋톱박스 모듈(100), 오디오 모듈(200), 및 전원인가 모듈(300)의 각각에 대한 제어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온/오프 제어, 주파수 전환제어, 영상화질 제어, 음량 제어 등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The remote control module 400 is also called a 'remote controller' and remotely controls the set-top box module 100, the audio module 200, and the power application module 300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the remote control module 400 can select whether to control each of the set-top box module 100, the audio module 200, and the power application module 300, , Image quality control, and volume control.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의 셋톱박스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module of the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셋톱박스 모듈(100)은 음장효과구분부(110), 장르판단부(120), 음장효과설정부(130), 채널판단부(140), 신호처리제어부(150), 및 영상전송중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et-top box module 100 includes a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110, a genre determining unit 120, a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130, a channel determining unit 140, a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150, And a video transmission suspension unit 160.

음장효과구분부(110)는 영상신호의 장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즉, 음장효과구분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복수의 장르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장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서로 다른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ound field classifier 110 classifies and stores the sound field effects of the audio signal in a plurality of stages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That is,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110 classifies the image signals tha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o a plurality of genres, and stores the sound field effects of the audio signals in different stag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genres classified have.

장르판단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장르를 판단한다. 이때, 장르판단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방송 영상신호에 대한 장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영상신호의 장르를 판단할 수 있다.The genr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t this time, the genre determination unit 120 can determine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by referring to the genre inform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음장효과설정부(130)는 음장효과구분부(110)에 의해 구분된 음장효과 및 장르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되는 영상신호의 장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한다. 즉, 음장효과설정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어느 장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장르에 대응하는 음장효과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한다.The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130 sets a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based on the sound field effect identified by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110 and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determined by the genre determining unit 120. That is, the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130 determines which genre 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belongs to and determines the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sound fiel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genre Setting.

채널판단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응하여 지원 가능한 채널을 판단한다. 즉, 채널판단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채널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오디오신호가 출력될 수 있는 채널을 판단한다.The channel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a supportable channel in response to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hat is, the channel determination unit 140 refers to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d determine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can be output.

신호처리제어부(150)는 채널판단부(150)에 의해 판단되는 채널에 기초하여 오디오 모듈(200)의 신호처리를 제어한다. 즉, 신호처리제어부(150)는 채널판단부(150)에 의해 판단되는 채널에 기초하여 오디오 모듈(200)이 지원할 수 있는 채널로 사운드 신호처리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신호처리제어부(150)는 채널판단부(150)에 의해 판단되는 채널의 버전 중에서 오디오 모듈(200)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의 채널로 사운드 신호처리 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audio module 200 based on the channel determined by the channel determination unit 150. 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hannel determined by the channel determination unit 150 so as to process the sound signal with a channel that the audio module 200 can support. 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ound signal is processed at the maximum channel that the audio module 200 can support from the channel version determined by the channel determination unit 150. [

영상전송중단부(160)는 전원인가 모듈(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디스플레이(10)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전송 중단할 수 있다. 즉, 영상전송중단부(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디스플레이(10)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전송을 중단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는 오디오모듈(200)로 전송되어 사운드 신호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video transmission interruption unit 16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application module 300 and switches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10 to a standby state to stop transmission. That is, the video transmission suspension unit 160 switches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10 to the standby state for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d stops the transmission. In this case,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audio module 200 so that the sound signal processing can be performed.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의 오디오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dio module of the audio integrated set top box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모듈(300)은 오디오신호수신부(210), 오디오신호차단부(220), 음장효과구분부(230), 장르판단부(240) 및 음장효과설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audio module 300 includes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an audio signal blocking unit 220, a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230, a genre determining unit 240, and a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250 .

오디오신호수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와 독립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즉, 오디오신호수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와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신호수신부(210)는 셋톱박스 모듈(100)을 경유하지 않고 네트워크로부터 직접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audio signal independently of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network. That is,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can receive the audio signal from the network at the user's selection, independently of 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 this case,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may receive the audio signal directly from the network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t-top box module 100. [

오디오신호차단부(220)는 오디오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셋톱박스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차단한다. 즉, 오디오신호차단부(2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와 독립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영상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차단한다.When the au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the audio signal interception unit 220 blocks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set top box module 100. That is, when the audio signal is received independently from 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by the user's selection, the audio signal interception unit 220 blocks the audio signal received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음장효과구분부(230)는 오디오신호의 장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즉, 음장효과구분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오디오신호를 복수의 장르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장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장효과를 구분하여 저장한다.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230 classifies the sound field effects of the audio signal into a plurality of steps and stores the sound field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audio signal. That is,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230 classifies the audio signals tha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o a plurality of genres, and stores different sound field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genres classified and stored.

장르판단부(240)는 오디오신호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를 판단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해당 오디오신호가 속하는 장르정보를 포함하는데, 이 경우, 장르판단부(240)는 오디오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오디오신호의 장르를 판단할 수 있다.The genre determining unit 240 determines the genre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In this case, the genre determining unit 240 refers to the genre information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The genre of the signal can be judged.

음장효과설정부(250)는 음장효과구분부(230)에 의해 구분된 음장효과 및 장르판단부(240)에 의해 판단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에 기초하여 오디오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한다. 즉, 음장효과설정부(250)는 장르판단부(240)에 의해 오디오신호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가 판단되면, 음장효과구분부(230)에 의해 구분된 음장효과에 기초하여 해당 장르에 대응하는 음장효과를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로 설정한다.
The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250 sets the sound field effect based on the sound field effect identified by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230 and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based on the genre of the audio signal determined by the genre determining unit 240. [ Sets the sound field effect of the signal. That is, when the genre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210 is determined by the genre determining unit 240, the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250 sets the sound field effect to the sound field effect divided by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230 The sound fiel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genre is set as the sound field effect of the received audio signal.

Claims (7)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조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셋톱박스모듈;
상기 셋톱박스모듈로부터 오디오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처리하는 오디오모듈; 및
상기 셋톱박스, 또는 상기 셋톱박스 및 상기 오디오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A set-top box module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rough a network, transmitting a received video signal to a display,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dition of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 audio modul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set-top box module and for processing a received audio signal based on a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module for applying power to the set-top box or the set-top box and the audio module;
Lt; RTI ID = 0.0 > 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셋톱박스모듈, 상기 오디오모듈, 및 상기 전원인가모듈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mote control modul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et-top box module, the audio module, and the power supply module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erein the set-top box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모듈은,
영상신호의 장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음장효과구분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장르를 판단하는 장르판단부; 및
상기 음장효과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음장효과 및 상기 장르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영상신호의 장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하는 음장효과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op box module includes:
A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 signal in a plurality of steps and storing the sound fiel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A genre judging unit for judging a genre of a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for setting a sound field effect of the audio signal received based on the sound field effect divided by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and the genre of the video signal judged by the genre determining unit;
Lt; RTI ID = 0.0 > 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응하여 지원 가능한 채널을 판단하는 채널판단부; 및
상기 채널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모듈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신호처리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op box module includes:
A channel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upportable channel corresponding to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 signal process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ignal processing of the audio module based on a channel determined by the channel determination unit;
Lt; RTI ID = 0.0 > 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모듈은,
상기 전원인가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전송 중단하는 영상전송중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op box module includes:
A video transmission interruption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application module and switching a video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to a standby state to stop transmission;
Lt; RTI ID = 0.0 > 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와 독립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신호수신부; 및
상기 오디오신호수신부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차단하는 오디오신호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dio module includes: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dependently of a video signal through a network; And
An audio signal blocking unit for blocking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module when an au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Lt; RTI ID = 0.0 > 1, <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모듈은,
오디오신호의 장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음장효과구분부;
상기 오디오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를 판단하는 장르판단부; 및
음장효과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음장효과 및 상기 장르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오디오신호의 장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장효과를 설정하는 음장효과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udio module includes:
A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sound field effects of the audio signal in a plurality of stages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audio signal;
A genre judging unit for judging a genre of an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And
A sound field effect setting unit for setting a sound field effect of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based on a sound field effect divided by the sound field effect classifying unit and an genre of the audio signal judged by the genre judging unit;
Lt; RTI ID = 0.0 > 1, < / RTI >
KR2020150000073U 2015-01-06 2015-01-06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KR2004908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073U KR200490817Y1 (en) 2015-01-06 2015-01-06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073U KR200490817Y1 (en) 2015-01-06 2015-01-06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37 Division 2015-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19U true KR20160002319U (en) 2016-07-04
KR200490817Y1 KR200490817Y1 (en) 2020-01-09

Family

ID=5649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073U KR200490817Y1 (en) 2015-01-06 2015-01-06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17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893A (en) *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Set top box for the treatment of digital broadcast signal with enhanced features
KR20080099011A (en) * 2007-05-08 2008-11-12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changing sound effect mode and changing method thereof
KR100896830B1 (en) 2007-05-30 2009-05-12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Data update method for video on demand in set-top box and the set-top box
KR20140090469A (en) * 2013-01-09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893A (en) *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Set top box for the treatment of digital broadcast signal with enhanced features
KR20080099011A (en) * 2007-05-08 2008-11-12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changing sound effect mode and changing method thereof
KR100896830B1 (en) 2007-05-30 2009-05-12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Data update method for video on demand in set-top box and the set-top box
KR20140090469A (en) * 2013-01-09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17Y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0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volume of combined audio channels
EP2664165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able sound regions in a media room
US20170105084A1 (en) Directivity optimized sound reproduction
EP3108672B1 (en) Content-aware audio modes
Bleidt et al. Object-based audio: Opportunities for improved listening experience and increased listener involvement
KR20040062054A (en) Method for adjusting audio out put of home theater
MX2010010195A (en) Display device with object-oriented stereo sound coordinate display.
JP2002369283A (en) Earphone
JP2009278381A (en) Acoustic signal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manufacturing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added with sound image localization acoustic meta-information
US7212253B1 (en) Home entertainment system audio handling
JP2009260458A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video image sound viewing/listening system containing the same
JP4713398B2 (en) Video / audio reproduction device and sound image moving method thereof
KR20140090469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JP4713396B2 (en) Video / audio reproduction device and sound image moving method thereof
JP4616155B2 (en) Television receiver
JP2008301149A (en) Sound field control method, sound field control program, and sound reproducing device
KR20160077284A (en)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and Video Signal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for
KR1012870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KR200490817Y1 (en)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KR100662867B1 (en) SPDIF output apparatus
JP6074899B2 (en) Sound data processing device
JP2001238299A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CN116887122A (en) Sound mixing device and sound mixing method based on intelligent system
CN112255791A (en) VR glasses and method for watching VR video
CN116884420A (en) Video and audio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based on intellig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