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30U -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 Google Patents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30U
KR20160000830U KR2020140006435U KR20140006435U KR20160000830U KR 20160000830 U KR20160000830 U KR 20160000830U KR 2020140006435 U KR2020140006435 U KR 2020140006435U KR 20140006435 U KR20140006435 U KR 20140006435U KR 20160000830 U KR20160000830 U KR 201600008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rotective film
release paper
adhesive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1185Y1 (en
Inventor
전창준
Original Assignee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85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3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8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having more than one layer with different fluid retention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처 부위를 덮는 거즈와 거즈가 상처 부위를 덮은 상태로 유지되게 거즈와 거즈 주연을 덮는 점착시트가 사용전에 외부의 오염원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처 부위를 덮도록 부착하는 과정에서도 그 오염이 없도록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른 특징적인 구성은, 이미 설정된 형상과 사이즈로 형성한 이형지와; 하면에 제 1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하면 중심 부위에 거즈를 부착한 상태로 상기 이형지의 상면 중심 부위에 접착되어 놓이는 점착시트; 및 하면에 제 2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점착시트의 상면을 포함한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접착되어 놓이는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할 때에 상기 거즈를 포함한 점착시트가 상기 보호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상태에 있고, 상기 거즈를 포함한 점착시트가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인체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할 때에 거즈를 포함한 점착시트가 인체의 피부에 접착된 상태로 남아 있으면서 상기 보호필름만 박리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gauze and gauze covering the wound area are kept covered with the wound area and that the adhesive sheet covering the gauze and the gauze periphery is not exposed to external contaminants before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medical band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disposable medical band includes: a release paper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n adhesive sheet to which a first adhesive is applied on a lower surface and which is adhered to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in a state where gauzes ar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d a protective film to which a second adhesive is applied on the lower surface and which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wherein when the release paper is peeled off from the protective film, The adhesive sheet including the gauze is peeled off from the skin of the human body while the sheet is in a state of being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adhesive sheet including the gauze is adhered to the human skin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film So that only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while remaining adher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Description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0002]

본 고안은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처 부위를 덮는 거즈와 거즈가 상처 부위를 덮은 상태로 유지되게 거즈와 거즈 주연을 덮는 점착시트가 사용전에 외부의 오염원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처 부위를 덮도록 부착하는 과정에서도 그 오염이 없도록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medical band having a contamination-preven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uze and a gauze-covered adhesive sheet which are used to cover gauze and gauz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isposable medical band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ven in a process of making it not exposed and attaching to cover a wound sit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병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의료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상처 부위 주위의 피부에 대응하여 접착이 이루어지게 그 대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점착시트(1)와, 점착시트(1)의 중앙부위에 위치하여 상처 부위를 덮도록 부착된 거즈(2) 및 유통 내지 보관 중에 거즈(2)의 오염 방지와 점착시트(1)의 접착 성능이 유지되도록 그 표면을 덮으며 사용시에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이형지(3)로 구성된다.In general, a medical band widely used in homes, hospitals, and the like include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1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so as to be adhered to the skin around a relatively small wound area as shown in Fig. 1 Gauzes 2 which are position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hesive sheet 1 so as to cover the wound area and which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gauzes 2 during distribution or storage and the adhesive performance of the adhesive sheet 1, And a releasing paper 3 which is covered and can be easily separated at the time of use.

또한, 상술한 구성 중 점착시트(1)는, 거즈(2)에 의해 덮이는 상처 부위에 대하여 외부의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복수의 통기홀을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is gene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through which external air passes to a wound portion covered by the gauze 2. [

이와 더불어 의료밴드의 추가 구성은, 비록 도면에 도시 하지 않았으나, 위의 점착시트(1)와 거즈(2) 및 이형지(3)의 외측을 커버 하여 이들의 오염을 방지토록 하는 포장커버(도시 안됨)와 상술한 거즈(2)의 표면에 도포 내지 함침되어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약액) 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cal ban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wrapping cover (not shown) for covering the outer side of the adhesive sheet 1, the gauzes 2 and the release liner 3, And a therapeutic agent (chemical solution) for treating the wound by being applied or impregnated on the surface of the gauze 2 described above.

그리고, 의료밴드의 사용은, 한 쌍으로 상호 교차하는 부위를 갖는 이형지(3)를 거즈(2)와 점착시트(1)로부터 박리하면서 노출되는 거즈(2)가 상처 부위에 대응 위치하게 하고, 이어서 점착시트(1)로 상처 주위의 피부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the use of the medical band, the releasing paper 3 having a mutually intersecting pair of the gauzes 2 is peeled off from the gauzes 2 and the adhesive sheet 1, And then sticking to the skin around the wound with the adhesive sheet (1).

이러한 의료밴드는 야외에서 생긴 비교적 작은 상처를 별도의 치료기구 없이 피부에 부착시켜서 병균의 감염을 방치토록 함과 동시에 약액을 통해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다.These medical bands can treat the relatively small wounds caused by the outdoors by attaching them to the skin without a separate treatment device, so that the infections of the germs can be negl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treatments can be simply treated with the chemical solution.

또한, 의료밴드는 대체로 포장커버 등을 통해 낱개 포장으로 되어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신속하게 상처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상비용으로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medical band is generally made of a single package through a wrapping cover, it is convenient to carry, it is cheap, and the wound can be protected quickly.

여기서, 상술한 의료밴드를 포장하는 포장커버는, 종이 또는 얇은 비닐 내지 종이의 표면에 합성수지재가 코팅된 것 등이 사용되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그 휴대의 포장상태에서 의료밴드를 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부분적인 개봉이 발생하거나 찢기는 등 포장에 따른 기밀 성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Here, the wrapping cover for wrapping the medical band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paper, thin vinyl or paper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but it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irtightness performance due to packaging such as opening or tearing may be impaired.

이러한 포장 상태의 손상은, 각종 병원체에 노출되거나 액상의 이물질 등이침투가 있을 수 있다.Such damage in the packaging state may be caused by exposure to various pathogens or by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quid.

이는 치료용 의료밴드로서의 기능을 신뢰하기 어렵게 하거나 또는 더 이상 의료밴드로서 사용할 수 없이 버려지는 문제를 야기한다.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as a medical band for treatment is difficult to be relied upon or discarded without being usable as a medical band any more.

또한, 의료밴드의 사용에 있어서, 상술한 점착시트(1)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는 상처 주위의 피부에 접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 먼저 접촉하고, 이는 그 접촉 부위의 접착력 손실을 야기하여 사용자의 활동 중에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피부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처 부위를 더 이상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use of the medical band, the portion of the adhesive sheet 1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s first contacted with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befor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skin around the wou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s activity may be peeled off from the skin unlike the intention of the user during the activity of the user and furthermore the wound area can not be protected when separated from the user's skin.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이 묻은 거즈(2) 부위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상처난 부위에 정렬되기 전에 그 주위와의 접촉을 통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어, 의료밴드로써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처를 더욱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auze portion 2 with the chemical solution is likely to be contaminated through contact with the periphery thereof before being aligned with the user's fingers and the wounded portion. As a result, the function as the medical band is deteriorated, There is a fear that it will further deteriorat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4263호(2005.12.20.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04263 of the Republic of Korea (Notice of December 20, 2005)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회용 의료밴드의 보관시에 외부의 오염원에 대해 일회용 의료밴드의 노출이 없도록 그 포장의 안전성을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그 포장으로부터 일회용 의료밴드의 오염 가능성을 저감함과 동시에 상처 부위에 일회용 의료밴드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disposable medical band so that there is no exposure of the disposable medical band to an external contamination source during storage of the disposable medical band, Disclosed is a disposable medical band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a medical band and allow a disposable medical band to be quickly and easily adhered to a wound si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는, 이미 설정된 형상과 사이즈로 형성한 이형지와; 하면에 제 1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하면 중심 부위에 거즈를 부착한 상태로 상기 이형지의 상면 중심 부위에 접착되어 놓이는 점착시트; 및 하면에 제 2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점착시트의 상면을 포함한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접착되어 놓이는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박리할 때에 상기 거즈를 포함한 점착시트가 상기 보호필름의 하면에 접착된 상태에 있고, 상기 거즈를 포함한 점착시트가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인체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할 때에 거즈를 포함한 점착시트가 인체의 피부에 접착된 상태로 남아 있으면서 상기 보호필름만 박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osable medical band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the disposable medical band comprising: a release paper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n adhesive sheet to which a first adhesive is applied on a lower surface and which is adhered to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in a state where gauzes ar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d a protective film to which a second adhesive is applied on the lower surface and which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wherein when the release paper is peeled off from the protective film, The adhesive sheet including the gauze is peeled off from the skin of the human body while the sheet is in a state of being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adhesive sheet including the gauze is adhered to the human skin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film The protective film remains adher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so that only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또한, 상기 이형지는, 가장자리 둘레가 이미 설정 위치에 놓이는 상기 점착시트의 외곽 둘레 이상의 면적으로 상기 이형지의 상면 중심 부위에 마련한 제 1 박리부와, 상기 제 1 박리부의 외곽 둘레에서 상기 이형지의 가장자리 둘레 사이에 마련한 제 2 박리부가 상면에 구분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박리부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을 좁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 보다 박리가 더욱 쉬운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releasing paper may have a first peeling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ing paper with an area of an outer periphery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on which the perimeter of the peeling is already set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peripheral edge of the releasing pape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peel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peel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narrow the bonding area to the same area as the second pee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or the second adhesive, Or a material which is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dhesive or the second adhesive.

그리고, 상기 제 1 박리부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상기 제 2 박리부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을 좁게 형성한 시트 또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 보다 박리가 더욱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를 덧붙인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eel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so as to have a narrower adhesion area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to the same area or to a material which is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dhesive or the second adhesiv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점착시트는 상면에 상기 제 2 박리부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이 더 넓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 보다 박리가 더욱 어려운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shee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agent or the second adhesive agent so that the adhesive area of the adhesive sheet is wider than that of the second peeling unit or more difficult to peel off than the second adhesive agent. desirable.

더불어, 상기 제 1 접착제는 상기 제 2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더 강한 것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dhesive has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adhesive.

그리고, 제 1 박리부는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일측 부위가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여 대응하는 상기 점착시트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노출되는 연장부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peeling portion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has an extended portion that is expos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adhesive sheet.

또한, 상기 이형지의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 2 박리부 보다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가 더 쉽도록 한 제 3 박리부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peeling unit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dge of the release paper so that the protective film may be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second peeling unit.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거즈를 포함한 점착시트는 이형지와 보호필름 사이에서 기밀이 유지되어 오염이 방지되고, 사용시에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거즈는 물론 점착시트의 제 1 접착제 부위까지 손가락 등의 접촉이 방지되는 상태로 상처 부위에 덮임으로써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sheet including gauze is kept air-tight between the release paper and the protective film to prevent contamination. In use, the protective film is used to hold the gauze So that it is hygienically effecti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일회용 위생밴드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의 결합 상태에서 그 분리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과정을 통해 이형지로부터 분리한 일회용 의료밴드를 상처 부위에 접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sposable sanitary ban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coupling relationship therebetwee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osable medical band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se configurations.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assembly relationship of the disposable medical band having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shown in Fig. 2 in the coupled state.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dhering a disposable medical band separated from a release paper to a wound site through the process of FIG. 3.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but rather, the inventor (inventor) The concept can be properly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stitu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면(또는 하부)은 일회용 의료밴드 중 점착시트를 기준으로 인체의 피부와 접착이 이루어지는 제 1 접착제가 도포된 면(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상면(또는 상부)은 각각 하면의 반대 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refers to a surface (or a portion in the direction) coated with the first adhesive, which is adher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on the basis of the adhesive sheet of the disposable medical band , And the upper surface (or upper surface) refers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상기의 하면 또는 상면의 기재 형식은, 다른 구성들에 있어서도 점착시트와 접합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The substrate form of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on the basis of the bonding relationship with the adhesive sheet even in other configurations.

더불어,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내측의 표현은 시트 형상의 구성 중 면의 중심 방향에 있는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외측의 표현은 해당 구성의 가장자리에서 벗어난 위치의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representation refers to a portion or its direction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sheet configuration, and the outer representation refers to a portion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edge of the structure or a dire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설정된 형상과 사이즈로 형성한 이형지(12)와, 하면에 제 1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하면 중심 부위에 거즈(16)를 부착한 상태로 이형지(12)의 상면 중심 부위에 접착되어 놓이는 점착시트(14) 및 하면에 제 2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점착시트(14)의 상면을 포함한 이형지(12)의 상면에 접착되어 놓이는 보호필름(18)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disposable medical band 10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paper 12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 second adhesive is applied to the adhesive sheet 14 adher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in the state where the gauzes 16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4, And a protective film 18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including the protective film 18.

여기서, 상술한 의료밴드의 형상과 사이즈는,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가 있을 수 있으나, 인체의 피부에 생성 가능하고 의료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상처 크기에 대응하여 그 적용될 수 있도록 제작자가 특정한 몇몇의 형상과 사이즈로 결정한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shape and size of the above-described medical band may be various shapes and size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medical band are set so that the manufacturer can use some specific shapes and sizes It can be done by determining the size.

상술한 이형지(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그 박리가 구분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필요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releasing paper 12 described above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adhesive agent or the second adhesive agent.

이것은 보호필름(18)으로부터 이형지(12)를 박리할 때에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보호필름(18)의 하면에 접착된 상태에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ake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gauzes 16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18 when the release paper 12 is peeled off from the protective film 18.

이를 위해서는, 이형지(12)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중 점착시트(14)가 이미 설정 위치에 놓이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에, 위치하는 점착시트(14)의 외곽 둘레 이상의 면적과 이형지(12)의 상면 가장자리 둘레 내측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이형지(12)의 상면 중심 부위에 마련한 제 1 박리부(12c)를 형성한다.2 or 3,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able paper sheet 12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releasable sheet 14 is not less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4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side the periphery of the top surface of the releasing paper 12.

그리고, 이형지(12)는 제 1 박리부(12c)의 외곽 둘레에서 이형지(12)의 가장자리 둘레 사이에 해당하는 나머지 면적 부위를 제 2 박리부(12a)로 구분하여 형성한다.The releasing paper 12 is formed by dividing the remain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edge of the release paper 12 by the second peeling section 12a a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peeling section 12c.

이때, 제 1 박리부(12c)는,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에 대하여 제 2 박리부(12a)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을 좁게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제 2 박리부(12a) 보다 박리가 더욱 쉬운 재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is formed so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agent or the second adhesive agent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asier to peel off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위의 내용 중 접착 면적을 좁게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자면, 제 1 박리부(12c)는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와 대면하는 부위를 요철 구조로 형성하고, 요철 구조 중 돌출 부위에서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한 접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may be formed with a concave-convex structure at a portion facing the first adhesive or the second adhesive, and a first adhesive or a second adhesive 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ncave- So that the adhesion to the second adhesive is partially carried out.

또한, 위의 내용 중 박리가 더욱 쉬운 재질을 예시하자면, 제 1 박리부(12c)와 제 2 박리부(12a) 중 접합이 이루어지는 표면을 실리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 에멀젼 등의 이형제 재질 중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의 접착 물질에 대하여 적어도 제 1 박리부(12c)가 제 2 박리부(12a)보다 쉽게 박리되는 재질로 선택되고, 제 2 박리부(12a)는 상대적으로 제 1 박리부(12c)보다 어렵게 박리되는 재질로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and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to be joined may be made of a releasing agent such as silic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acrylic emulsion, or the like At least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is selected as a material which is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material of the first adhesive and the second adhesive, and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is relatively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more difficult to peel off than the portion 12c.

이에 더하여 상술한 제 1 박리부(12c)는 이형지(12)의 상면에 제 2 박리부(12a)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을 좁게 형성한 시트 또는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제 2 박리부(12a) 보다 박리가 더욱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를 덧붙인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with a sheet or a first adhesive agent or a second adhesive agent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And a sheet made of a material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portion 12a.

그리고, 제 1 박리부(12c)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일측 부위가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여 대응하는 점착시트(14)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노출되는 연장부(12d)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2 or 3,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t least one side portion of the edge portion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hape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adhesive sheet 14 And an extended portion 12d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러한 연장부(12d)는 보호필름(18)에 대하여 이형지(12)를 박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손톱 등을 이용하여 누르도록 함으로써 제 1 박리부(12c)로부터 점착시트(14)의 박리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extension portion 12d allows the user to press the release sheet 12 using the nail or the like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release paper 12 against the protective film 18 so that the peeling of the adhesive sheet 14 from the first release portion 12c .

또한, 점착시트(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제 2 박리부(12a)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이 더 넓게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제 2 박리부(12a) 보다 박리가 더욱 어려운 재질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dhesive sheet 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4 such that the adhesive area of the adhesive sheet 14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peeling unit 12a, or the second adhesive- It is required to be formed of a material more difficult to peel off than the portion 12a.

이러한 이유는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보호필름(18)과 함께 인체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로부터 보호필름(18)을 박리할 때에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인체의 피부에 접착된 상태로 남아 있으면서 상기 보호필름(18)만 박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gauzes 16 adheres to the human skin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film 18 and the protective film 18 is peeled from the skin of the human body, So that only the protective film 18 is peeled while the protective film 14 remains adher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더불어, 제 1 접착제는 제 2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더 강한 것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dhesive has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adhesive.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보호필름(18)과 함께 인체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로부터 보호필름(18)을 박리할 때에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인체의 피부에 접착된 상태로 남아 있으면서 보호필름(18)만 박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gauzes 16 is adhered to the human skin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film 18 and the protective film 18 is peeled from the skin of the human body, So that only the protective film 18 is peeled off while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protective film 18 remains adher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이에 더하여 상술한 이형지(12)는,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일측에 제 2 박리부(12a) 보다 보호필름(18)의 박리가 더 쉽도록 한 제 3 박리부(12b)를 더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ease paper 12 described above may further comprise a third peeling portion 12b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so that the protective film 18 may be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have.

이상의 구성에 따른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10)의 사용 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18)으로부터 이형지(12)를 박리하는 것으로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의 포장이 개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use of the disposable medical band 10 having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by peeling off the release paper 12 from the protective film 18, The packaging of the sheet 14 is opened.

이때,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는, 상술한 제 1 박리부(12c)로부터 접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나, 점착시트(14)의 상면에 대한 보호필름(18)의 접착력이 더욱 크게 하는 것으로 이형지(12)의 박리 과정에서 보호필름(18)의 중심 부위에 부착된 상태로 남게 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gauzes 16 may exist in a state of being adhered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peeling portion 12c, but the adhesive force of the protective film 18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4 So that it remain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18 in the peeling process of the release paper 12.

그리고, 상술한 이형지(12)의 박리 과정에서 제 1 박리부(12c)에 대하여 점착시트(14)가 접착된 상태로 유지될 때에는, 사용자는 연장부(12d)를 손톱 등으로 눌러 점착시트(14)에 대하여 제 1 박리부(12c)의 박리가 더욱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dhesive sheet 14 is held in a state of being adhered to the first peeling section 12c in the peeling process of the release paper 1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presses the extension section 12d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peeling of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eeling portion 14.

이어서, 사용자는 점착시트(14)의 외측으로 더 연장된 보호필름(18)의 가장자리 부위를 잡고, 상처 부위에 대하여 거즈(16)가 정렬되어 놓이게 한 상태로 제 1 접착제가 도포된 점착시트(14)의 접착부(14a)의 접착이 이루어지게 한다.Next, the user holds the edge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18 extending further to the outside of the adhesive sheet 14, and attaches the adhesive she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dhesive sheet " 14 are adhered to each other.

또한, 보호필름(18)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처 부위 주위에 부착된 상태를 이루고, 계속하여 피부로부터 보호필름(18)을 박리하는 과정에서 제 1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4a)의 접착력 대비 점착시트(14)의 상면에 대한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이 더 약한 관계로 점착시트(14)의 접착 상태는 유지되면서 보호필름(18)만이 박리되는 과정을 갖는다.The edge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18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wound region and the adhesive sheet 14a is peeled off from the skin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18 from the skin,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4 is weaker, so that only the protective film 18 is peeled off while the adhesive sheet 14 is adhered.

이때, 상술한 보호필름(18)은 상처 부위에 대하여 거즈(16)의 정렬 상태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film 18 is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gauze 16 with respect to the wound area.

1, 14: 점착시트 2, 16: 거즈
3, 12: 이형지 10: 의료밴드
18: 보호필름
1, 14: adhesive sheet 2, 16: gauze
3, 12: release paper 10: medical band
18: Protective film

Claims (7)

이미 설정된 형상과 사이즈로 형성한 이형지(12)와;
하면에 제 1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하면 중심 부위에 거즈(16)를 부착한 상태로 상기 이형지(12)의 상면 중심 부위에 접착되어 놓이는 점착시트(14); 및
하면에 제 2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점착시트(14)의 상면을 포함한 상기 이형지(12)의 상면에 접착되어 놓이는 보호필름(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필름(18)으로부터 상기 이형지(12)를 박리할 때에 상기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상기 보호필름(18)의 하면에 접착된 상태에 있고, 상기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상기 보호필름(18)과 함께 인체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로부터 상기 보호필름(18)을 박리할 때에 거즈(16)를 포함한 점착시트(14)가 인체의 피부에 접착된 상태로 남아 있으면서 상기 보호필름(18)만 박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A release paper 12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4) having a first adhesive appli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dhered to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with gauzes (16) And
And a protective film (18) coated with a second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and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4)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gauzes 16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18 when the release paper 12 is peeled from the protective film 18 and the gauzes 16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gauzes 16 when the protective film 18 is peeled from the skin of the human body in a state where the adhesive sheet 14 including the adhesive film 14 is adhered to the human skin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film 18, Wherein the protective film (18) is peeled while remaining adhered to the sk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12)는,
가장자리 둘레가 이미 설정 위치에 놓이는 상기 점착시트(14)의 외곽 둘레 이상의 면적으로 상기 이형지(12)의 상면 중심 부위에 마련한 제 1 박리부(12c)와, 상기 제 1 박리부(12c)의 외곽 둘레에서 상기 이형지(12)의 가장자리 둘레 사이에 마련한 제 2 박리부(12a)가 상면에 구분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박리부(12c)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12a)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을 좁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12a) 보다 박리가 더욱 쉬운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e paper (12)
A first peeling portion 12c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in an area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adhesive sheet 14 where the edge perimeter is already set at the set position, And a second peeling section (12a) provided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edge of the release paper (12)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may be formed so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agent or the second adhesive agent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or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first adhesive agent or the second adhesive agent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asier to peel off from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리부(12c)는 상기 이형지(12)의 상면에 상기 제 2 박리부(12a)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을 좁게 형성한 시트 또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12a) 보다 박리가 더욱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를 덧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12 with a sheet having a narrower bonding area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in the same area, And a sheet made of a material which is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peeling portion (12a) is add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14)는 상면에 상기 제 2 박리부(12a) 보다 동일 면적 대비 접착 면적이 더 넓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에 대하여 상기 제 2 박리부(12a) 보다 박리가 더욱 어려운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hesive sheet 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agent or the second adhesive agent so that the adhesive area of the adhesive agent sheet 14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peeling section 12a or peeled off from the second peeling section 12a Wherein the disposable medical band is formed of a more difficult material.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는 상기 제 2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더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adhesive has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adhesive.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박리부(12c)는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일측 부위가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여 대응하는 상기 점착시트(14)의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노출되는 연장부(1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eeling portion 12c includes an extended portion 12d exposed at a position where at least one side portion of the edge portion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protruding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adhesive sheet 14 Disposable medical b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12)의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 2 박리부(12a) 보다 상기 보호필름(18)의 박리가 더 쉽도록 한 제 3 박리부(12b)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peeling portion (12b)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dge of the release paper (12) so that the protective film (18) is more easily peeled off than the second peeling portion (12a)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anti-blocking function.
KR2020140006435U 2014-08-29 2014-08-29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KR2004811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35U KR200481185Y1 (en) 2014-08-29 2014-08-29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35U KR200481185Y1 (en) 2014-08-29 2014-08-29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30U true KR20160000830U (en) 2016-03-10
KR200481185Y1 KR200481185Y1 (en) 2016-08-26

Family

ID=5553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35U KR200481185Y1 (en) 2014-08-29 2014-08-29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85Y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3835A (en) * 2017-11-30 2018-04-13 浙江海创医疗器械有限公司 Electrostatic Absorption adhesive tap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488928Y1 (en) * 2018-04-18 2019-04-05 김연산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KR102047942B1 (en) * 2019-04-18 2019-11-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wound dressing patch
KR20200002200U (en) * 2019-03-29 2020-10-07 김연산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WO2021025259A1 (en)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아이센스 Auxiliary adhesive patch of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device
KR102472100B1 (en) * 2022-03-10 2022-11-30 주식회사 라파 Medical sheet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722B2 (en) * 1995-02-06 1997-04-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Spot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404263B1 (en) 1997-01-03 2003-11-0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having pleated structure
KR200370213Y1 (en) * 2004-09-17 2004-12-14 이장수 Bandage for wound dressing
KR200404263Y1 (en) * 2005-09-21 2005-12-20 (주)영케미칼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KR20110117071A (en) * 2008-12-25 2011-10-26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ack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722B2 (en) * 1995-02-06 1997-04-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Spot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404263B1 (en) 1997-01-03 2003-11-0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having pleated structure
KR200370213Y1 (en) * 2004-09-17 2004-12-14 이장수 Bandage for wound dressing
KR200404263Y1 (en) * 2005-09-21 2005-12-20 (주)영케미칼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KR20110117071A (en) * 2008-12-25 2011-10-26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ackag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3835A (en) * 2017-11-30 2018-04-13 浙江海创医疗器械有限公司 Electrostatic Absorption adhesive tap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488928Y1 (en) * 2018-04-18 2019-04-05 김연산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KR20200002200U (en) * 2019-03-29 2020-10-07 김연산 Moist Pad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KR102047942B1 (en) * 2019-04-18 2019-11-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wound dressing patch
WO2020213998A1 (en) * 2019-04-18 2020-10-22 충남대학교병원 Wound dressing patch
WO2021025259A1 (en)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아이센스 Auxiliary adhesive patch of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device
KR102472100B1 (en) * 2022-03-10 2022-11-30 주식회사 라파 Medical sheet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85Y1 (en)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185Y1 (en) Disposable medical band with stain masking performance
US6899104B1 (en) Wound closure device for viewing a wound and method
AU2013299935B2 (en) Adhesive dressing integrated packaging
JP5542437B2 (en) Coating material
KR200485138Y1 (en) Band aid
KR20170000168A (en) Roll type medical band-aids
JP2018504949A (en) Fixable tape and skin dressing without support
JP2018526099A (en) Surgical bandage with anchoring elements
KR20170024787A (en) Waterproofing mask for the wound protection
US11197783B2 (en) Two-part bandage with replaceable wound covering portion
KR20160002587U (en) Band Aid
KR200451650Y1 (en) Surgical Drape
JP4499428B2 (en) Wound protection bandage
KR20160080651A (en) Adhesive plaster having ointment
KR200381983Y1 (en)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JP2009132165A (en) Laminated body of wearable gold leaf for attachment
KR101773341B1 (en) Multipurpose medical band
JP2009132165A5 (en)
TWM565013U (en) Easy-tearing patch structure
KR20200000706U (en) First aid set
US10130556B2 (en) Skin stretching tape and method of alleviating pain
JP4493332B2 (en) Emergency bandage with ointment
US11992391B2 (en) Adhesive bandage
US20210282977A1 (en) Adhesive bandage
TW201422259A (en) Dressing having a lu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