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109A -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109A
KR20150145109A KR1020140074509A KR20140074509A KR20150145109A KR 20150145109 A KR20150145109 A KR 20150145109A KR 1020140074509 A KR1020140074509 A KR 1020140074509A KR 20140074509 A KR20140074509 A KR 20140074509A KR 20150145109 A KR20150145109 A KR 20150145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input
user input
output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109A/ko
Priority to US14/673,054 priority patent/US20150370786A1/en
Priority to EP15162503.5A priority patent/EP2957990A1/en
Publication of KR2015014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자동 번역을 위한 휴대용 장치는,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하는 프로세서, 및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LATION}
본 발명은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 번역을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장치에 포함된 번역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번역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먼저 번역의 대상이 되는 입력 언어 및 출력 언어를 설정하여야 한다. 특히 복수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대화 시에 번역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언어와 출력 언어를 버튼 조작을 통해 수시로 변경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대방과의 자유로운 대화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3개 이상의 언어들 간에 자동 번역을 위한 설정을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다수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휴대용 장치의 자동 번역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화를 하는 경우 화면상에 표시되는 번역 결과를 모든 사용자들이 함께 보면서 대화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입력 언어 및 출력 언어를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3개 이상의 언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자동 번역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번역 대상이 되는 언어를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대화 시에, 입력 언어와 출력 언어가 버튼 조작을 통하지 않고도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들이 3개 이상의 언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입력 언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분할된 화면을 통하여 3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대화의 번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결과를 모든 사용자들이 동시에 보면서 대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장치는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면 상기 입력 언어를 제1 언어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1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 상의 제1 영역에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언어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은, 상기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입력 언어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검출된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입력 언어들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분할 영역 각각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그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제1 분할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응되는 제2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4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정 정보가 반영된 상기 입력 언어의 사용자 입력과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는 동안 수신된 미리 설정된 단어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는, 텍스트, 음성 및 터치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은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면 상기 입력 언어를 제1 언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1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 상의 제1 영역에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언어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은, 상기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입력 언어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는 검출된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입력 언어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분할 영역 각각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그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정보가 반영된 상기 입력 언어의 사용자 입력과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는 동안 수신된 미리 설정된 단어의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상기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번역 대상이 되는 언어를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 번역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대화 시에 버튼 조작을 통하지 않고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입력 언어와 출력 언어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번역 기능을 사용하면서 상대방과의 자유로운 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3개 이상의 언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입력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분할된 화면을 통하여 3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대화의 번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상에 표시되는 결과를 모든 사용자들이 동시에 보면서 대화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과 사용자 입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8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는 기울기 검출부(110),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 프로세서(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휴대용 장치(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울기 검출부(110)는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한다. 기울기 검출부(110)는, 휴대용 장치(100) 내에 포함된 센서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자이로 센서(gyro sensor)가 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가 휴대용 장치(100)에 장착된 경우, 휴대용 장치(100)의 X, Y, Z축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여 휴대용 장치(100)의 위치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이로 센서는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자이로 센서는 기울기 검출부(110)의 일 예이며, 기울기 검출부(110)는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는 휴대용 장치(100)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텍스트, 음성 및 터치 입력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는 예를 들면, 마이크,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터치 패드, 키보드 및 키 버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0)는 기울기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제1 방향의 기울기를 검출하면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를 통해 한국어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제1 방향의 기울기에 기초한 입력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2 방향의 기울기를 검출하면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를 통해 영어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제2 방향의 기울기에 기초한 입력 언어를 영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제1 방향의 기울기를 검출하면, 언어 선택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출력부(14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UI를 통해 입력 언어를 선택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언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30)는 제2 방향의 기울기를 검출하면, 언어 선택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출력부(14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를 통해 입력 언어를 선택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언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출력 언어를 추가적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140)는 프로세서(130)에서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부(140)는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음성, 텍스트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휴대용 장치(100)에 포함된 스피커,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입력 언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번역 대상이 되는 언어를 의미하고, ‘출력 언어’는 번역되어 출력되는 언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입력 언어는 한국어이고, 출력 언어는 영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나타난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은 다양한 휴대용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의 휴대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에서, 기울기 검출부(110)는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한다(S210 단계).
그 후 프로세서(130)는 S210 단계에서 검출된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한다(S220 단계).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한다(S230 단계).
출력부(140)는 S230 단계에서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부에 출력한다(S240 단계).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100)의 일 예로 스마트폰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서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340)상에 화살표로 표시된 제1 방향(301)은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기울기 검출부(110)로부터 검출된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기울기 검출부(110)로부터 휴대용 장치(100)의 제1 방향(301)의 기울기가 검출되면 입력 언어를 제1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제1 언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 검출부(110)에서 기울기의 검출 기능이 개시되는 시점은, 예를 들어,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자동 번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시점이 될 수도 있고,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 검출부(110)가 기울기 검출을 위한 기능을 개시한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 검출을 위한 기능을 개시한다는 입력은, 휴대용 장치(100)에서 미리 정해진 각속도 이상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울기 검출을 위한 기능을 개시한다는 입력은 디스플레이부(340)상의 아이콘(311)의 터치 입력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예시일 뿐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은 예를 들어, 휴대용 장치(100)의 상단(351)의 중심으로부터 하단(353)의 중심을 향하는 직선이 가리키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 1 방향(301)은,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방향(301)은, 휴대용 장치(100)의 상단(351)을 하단(353)보다 지면에서 멀게 되도록 휴대용 장치(100)를 기울여 디스플레이부(340)가 사용자(321)를 향하도록 했을 때의 방향일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 검출부(110)에서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은 xz평면으로부터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각도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각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40)의 상단(351)의 중심으로부터 하단(353)의 중심을 향하는 직선이 지면(도 3에서는 xz평면)과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도 3은 제1 사용자(321)가 휴대용 장치(100)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각도를 45도로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일 실시예의 기울기 검출부(110)에서는 기울기의 각도가 45도인 경우는 물론, 기울기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까지 제1 방향(301)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사용자(321)가 휴대용 장치(100)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휴대용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수신부(330)를 향하여 음성 입력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수신부(330)는 마이크이고, 사용자 입력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입력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 수신부(330)가 음성으로 된 사용자 입력(323)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수신부(330)에서 이를 인식한 내용은 디스플레이부(340)에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330)는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키보드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33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 터치를 통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40)상의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은 사용자들이 2개의 언어를 사용하여 대화를 하는 경우의 번역을 위한 분할 영역이다. 여기서, ‘분할 영역’은 복수개의 입력 언어들을 설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입력 언어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영역은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두 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영역(310)에는 제1 언어의 사용자 입력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310)에는 ‘안녕하세요’라는 사용자 입력(323)에 대응되는, 한국어로 된 ‘안녕하세요’의 텍스트(305)가 표시될 수 있다.
출력부의 제1 영역(310)에 표시되는 텍스트(305)의 상하 방향은 제1 방향(30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즉, 출력부의 제1 영역(310)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방향은, 제1 사용자(321)에 의해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가 제1 방향(301)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323)이 수신된 것에 기초하여, 제1 방향(301)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이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는 출력부(14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40)가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40) 상의 제2 영역(320)에는 ‘안녕하세요’라는 사용자 입력(323)이 프로세서(130)에 의해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가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는, ‘안녕하세요’의 사용자 입력이 출력 언어인 영어로 번역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340) 상의 제2 영역(320)에 영어로 ‘Hello’라는 텍스트(307)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출력부(140)가 스피커(미도시)인 경우에는 출력 언어인 영어로 번역된 결과가‘Hello’라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입력이 출력 언어인 영어로 번역된 결과는 텍스트(307) 와 음성으로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출력 언어는 영어 외에, 한국어,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의 언어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것 중 도 3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하고, 도 3에서 추가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2개의 입력 언어가 설정되어 2개의 언어로 대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440) 상의 분할 영역은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 두 개가 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1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제1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440)상의 분할 영역들 중 제1 영역(410)에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언어는 한국어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140)가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440)상의 제1 영역(410)에 제1 언어인, 한국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이, 이에 대응되는‘안녕하세요’라는 텍스트(405)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한국어가 아닌 다른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한국어로 번역된 결과가 제1 영역(410)에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Hello, Nice to meet you’인 경우, 이것이 한국어로 번역된 결과인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의 텍스트(411)가 제1 영역(410)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미도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안녕하세요’라는 텍스트(405) 아래에는 제2 사용자(미도시)의 사용자 입력이 한국어로 번역된 텍스트(411)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410)에는 텍스트들이 대화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출력부(140)가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제2 언어로 번역된 결과가 디스플레이부(440)상의 분할 영역들 중 제2 영역(410)에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언어는 영어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40)상의 제2 영역(420)에 제2 언어 외의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제2 언어로 번역된 결과가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한국어로 ‘안녕하세요’일 수 있다. ‘안녕하세요’가 제2 언어인 영어로 번역된 결과인 ‘Hello’가 제2 영역(420)에 텍스트(407)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언어인 영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Hello, Nice to meet you’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텍스트(413)가 제2 영역(420)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미도시)의 사용자 입력이 영어로 번역된 ‘Hello’의 텍스트(407) 아래에는 제2 사용자(미도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Hello Nice to meet you’라는 텍스트(413)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420)에는 텍스트들이 대화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나타난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에서는, 기울기 검출부(110)가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한다(S510 단계).
S510 단계에서 검출된 제1 방향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30)가 입력 언어를 제1 언어로 설정한다(S520 단계).
휴대용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프로세서(130)가 출력 언어로 번역한다(S530 단계).
출력부(140)는 제1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S530 단계에서 제2 언어의 사용자 입력이 제1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한다(S540 단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과 사용자 입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입력 언어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은,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640)가 입력 언어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먼저, 도 6a에는 한국어로 ‘안녕하세요’라는 사용자 입력(623)을 입력하는 제1 사용자(621)가 휴대용 장치(100)의 제1 방향(601)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하는 것이 도시된다.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이 제1 방향(601)일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640)가 입력 언어로 한국어를 입력하는 제1 사용자(621)를 향하는 방향(680)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b에는 도 6a에 도시된 제1 사용자(621)와 대화하는 제2 사용자(631)가 도시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621)가 영어로 ‘Hello’라는 사용자 입력(633)을 입력하면, 프로세서(130)가 휴대용 장치(100)의 제2 방향(651)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영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b에는,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이 제2 방향(651)일 때,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640)가 입력 언어로 영어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631)를 향하는 방향(690)이 도시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는 동안 수신된 미리 설정된 단어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휴대용 장치(100)의 제1 방향(601)의 기울기가 검출되는 동안 수신되는 ‘안녕하세요’라는 단어에 기초하여, 한국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b를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100)의 제2 방향(651)의 기울기가 검출되는 동안 수신되는 ‘Hello’라는 단어에 기초하여, 영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장치(100)에서 번역 가능한 각 언어별로 특정 단어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640)에는 입력 언어들과 그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단어들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휴대용 장치(100)의 번역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부의 분할 영역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검출된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입력 언어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미도시)의 제1 방향(701)의 기울기가 검출되면 입력 언어를 제1 언어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방향(703)의 기울기가 검출되면 입력 언어를 제2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6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개의 분할 영역 중 제1 영역(710)은 제1 방향(701)에 편향되어 배치된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720)은 제2 방향(703)에 편향되어 배치된 영역이 될 수 있다.
분할 영역 각각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그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한편, 도 7에는, 일 예로, 분할 영역이 2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제1 영역(710)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상기 제2 영역(720)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과 반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이 분할 영역이 2개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은 두 사람의 사용자가 마주보고 대화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버튼 조작을 통하지 않고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입력 언어와 출력 언어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의 번역 기능을 사용하면서도 두 사람간의 자유로운 대화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8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800)상의 4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분할 영역들은 제1 영역(810), 제2 영역(820), 제3 영역(830) 및 제4 영역(840)이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4개의 분할 영역들의 형태는 예시일 뿐이고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4개의 분할 영역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800) 상에 4개의 삼각형들로 된 영역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800) 상의 4개로 분할된 직사각형들로 된 영역일 수 있다.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 영어, 중국어 및 스페인어 등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대화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810), 제2 영역(820), 제3 영역(830) 및 제4 영역(840)으로 분할된 영역들은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인 제1 방향(811), 제2 방향(821), 제3 방향(831) 및 제4 방향(841)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이다.
도 8에 도시된 제1 방향(811)은, 휴대용 장치(100)의 제2 단(802)을 제1 단(801)보다 지면에서 멀게 되도록 휴대용 장치(100)를 기울여 디스플레이부(800)가 제1 단(801)에 가깝게 위치하는 사용자(미도시)를 향하도록 했을 때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제2 방향(821)은, 휴대용 장치(100)의 제1 단(801)을 제2 단(802)보다 지면에서 멀게 되도록 휴대용 장치(100)를 기울여 디스플레이부(800)가 제2 단(802)에 가깝게 위치하는 사용자(미도시)를 향하도록 했을 때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제3 방향(831)은, 휴대용 장치(100)의 제4 단(804)이 제3 단(803)보다 지면에서 멀게 되도록 휴대용 장치(100)를 기울여 디스플레이부(800)가 제3 단(803)에 가깝게 위치하는 사용자(미도시)를 향하도록 했을 때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제4 방향(841)은, 휴대용 장치(100)의 제3 단(803)이 제4 단(804)보다 지면에서 멀게 되도록 휴대용 장치(100)를 기울여 디스플레이부(800)가 제4 단(804)에 가깝게 위치하는 사용자(미도시)를 향하도록 했을 때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제1 방향(811)에 기초하여 제1 언어(도 8에서는 한국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2 방향(821)에 기초하여 제2 언어(도 8에서는 영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고, 제3 방향(831)에 기초하여 제3 언어(도 8에서는 중국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4 방향(841)에 기초하여 제4 언어(도 8에서는 스페인어)를 입력 언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입력 언어는 예시일 뿐이며, 도시된 언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6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는, 제1 방향(811)에 기초하여 설정된 입력 언어, 즉 한국어로 된 사용자 입력인 ‘안녕하세요’의 텍스트가 제1 영역(810)에 표시된 것을 도시한다.
도 8의 제2 영역(820)에는 한국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인 ‘안녕하세요’가 출력 언어 중 영어로 번역된 결과인 ‘Hello’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제3 영역(830)에는 한국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인 ‘안녕하세요’가 출력 언어 중 중국어로 번역된 결과인 ‘?好(Nin h?o)’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제4 영역(840)에는 한국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인 ‘안녕하세요’가 출력 언어 중 스페인어로 번역된 결과인 ‘¡Hola!’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3개 이상의 언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입력 언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3개 이상의 언어를 각각의 출력 언어들로 번역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움 없이, 사용자 입력을 3개 이상의 출력 언어로 번역한 것을 동시에 분할된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결과를 모든 사용자들이 동시에 보면서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3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에 의한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입력부(930)에서 잘못 인식된 경우, 사용자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수정할 수 있다. 도 9a 및 9b에서는 입력 언어가 한국어이고, 출력 언어가 영어인 것이 도시된다.
도 9a는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901)과 그것이 출력 언어로 번역 된 것(903)을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사용자 입력에 수정 정보가 반영된 것(911)과, 그것이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것(913)이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는 수정 정보가 반영된 사용자 입력과 출력 언어로 재번역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수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에서 터치(910) 입력을 수신한 후, 수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으로 된 사용자 입력인 ‘만나서 반갑습니다’를 사용자 입력 수신부(930)(예를 들어, 도 9a에서는 마이크일 수 있다)가 ‘만나서 갔습니다’의 음성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 때, 음성으로 인식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940) 상에 ‘만나서 갔습니다’라는 텍스트(901)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만나서 갔습니다’라는 사용자 입력을 ‘만나서 반갑습니다’라고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만나서 갔습니다’의 텍스트(901) 부분을 터치(910)한 후에 이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을 수정하는 일 실시예로, 텍스트(901) 부분을 터치(910)한 후에 터치 스크린 상의 키보드 GUI를 이용한 입력에 의해 수정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로 수신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텍스트(901) 부분을 터치(910)한 후에 수정된 사용자 입력을 음성 입력에 의해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만나서 갔습니다’라는 텍스트(901)에 수정 정보가 반영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만나서 반갑습니다’라는 텍스트(911)로 사용자 입력이 수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정된 사용자 입력이 프로세서(130)에서 재번역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잘못 수신된 사용자 입력인 ‘만나서 갔습니다’라는 텍스트(901)가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인 ‘I went to meet’이라는 텍스트(903)가 디스플레이부(940) 상에 표시되는 것이 나타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정보가 반영되어,‘만나서 반갑습니다’라는 텍스트(911)로 수정된 사용자 입력이 디스플레이부(940) 상에 표시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940) 상에는 출력 언어로 재번역된 결과인 ‘Nice to meet you’라는 텍스트(913)가 디스플레이부(940) 상에 표시된다.
도 9a 및 도 9b에는 사용자 입력이 잘못 인식된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번역된 결과를 확인한 뒤, 번역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번역된 결과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가 ‘안녕하세요’라는 한국어를 영어로‘Apple’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번역된 결과를 텍스트로 확인하여, ‘Apple’의 텍스트를 ‘Hello’로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Apple’의 텍스트를 수정하는 방법은 도 9a의 ‘만나서 갔습니다’라는 텍스트(901)를 수정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에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고, 출력부는,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에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입력 언어와 수정 정보가 반영된 출력 언어에 대한 정보를 대응시켜 메모리(미도시)에 기억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나타난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를 위한 번역 방법에서는, 기울기 검출부(110)가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를 검출한다(S1010 단계).
프로세서(130)는 S1010 단계에서 검출된 휴대용 장치(100)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한다(S1020 단계).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한다(S1030 단계).
출력부(140)는 S1030 단계에서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한다(S1040 단계).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한다(S1050 단계). 여기에서 사용자 입력은 음성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수정 정보가 반영된 입력 언어의 사용자 입력과 S1050 단계에서 출력 언어로 재번역된 결과를 출력한다(S1060 단계).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0a)의 구성은,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따르면, 휴대용 장치(100a)는 디스플레이부(1110), 제어부(1170), 메모리(1120), GPS 칩(1125), 통신부(1130), 비디오 프로세서(1135), 오디오 프로세서(1140), 사용자 입력부(1145), 마이크부(1150), 촬상부(1155), 스피커부(1160), 움직임 감지부(1165)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표시패널(1111) 및 표시 패널(11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11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사용자 입력부(1145)의 터치 패널(1147)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1111)과 터치 패널(1147)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7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휴대용 장치(100a)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20)에는 잠금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117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70)는 디스플레이부(1110)의 일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RAM(1171), ROM(1172), CPU(1173), GPU(Graphic Processing Unit)(1174) 및 버스(11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1171), ROM(1172), CPU(1173) 및 GPU(1174) 등은 버스(117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173)는 메모리(11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1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휴대용 장치(100a)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173)가 ROM(11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120)에 저장된 OS를 RAM(11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173)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171)에 복사하고, RAM(117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174)는 휴대용 장치(100a)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110)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174)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174)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1174)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174)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111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112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장치(100a)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12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30)는 와이파이칩(1131), 블루투스 칩(1132), 무선 통신 칩(1133), NFC 칩(1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통신부(11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131), 블루투스 칩(11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131)이나 블루투스 칩(11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1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13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135)는 통신부(1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1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140)는 통신부(1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1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1135) 및 오디오 프로세서(114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1160)는 오디오 프로세서(114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4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45)는 키(1146), 터치 패널(1147) 및 펜 인식 패널(11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1146)는 휴대용 장치(100a)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4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47)이 표시 패널(1111)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148)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148)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1148)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1148)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1148)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148)은 표시 패널(111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11)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부(11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마이크 부(1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 동작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112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115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115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부(1155) 및 마이크부(115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170)는 마이크부(1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1155)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휴대용 장치(100a)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170)는 촬상부(115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170)는 마이크부(1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165)는 휴대용 장치(100a)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용 장치(100a)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1165)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1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는, 휴대용 장치(100a)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휴대용 장치(100a)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휴대용 장치(100a)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는 도 11의 디스플레이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프로세서(130)는 도 11의 제어부(117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신부(120)는 도 11의 사용자 입력부(1145)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휴대용 장치
110: 기울기 검출부
120: 사용자 입력 수신부
130: 프로세서
140: 출력부

Claims (20)

  1.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면 상기 입력 언어를 제1 언어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1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 상의 제1 영역에 텍스트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인, 휴대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휴대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언어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은, 상기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입력 언어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인, 휴대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검출된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입력 언어들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분할 영역 각각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그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휴대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제1 분할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응되는 제2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과 반대인, 휴대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4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정 정보가 반영된 상기 입력 언어의 사용자 입력과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된 결과를 출력하는, 휴대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에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에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출력하는, 휴대용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는 동안 수신된 미리 설정된 단어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언어를 설정하는, 휴대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휴대용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는, 텍스트, 음성 및 터치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휴대용 장치.
  13.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장치의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출력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면 상기 입력 언어를 제1 언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1 언어로 번역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 상의 제1 영역에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인,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언어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은, 상기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입력 언어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인,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는 검출된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입력 언어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할 영역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기울기의 방향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분할 영역 각각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상하 방향은, 그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기울기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수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입력 언어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정보가 반영된 상기 입력 언어의 사용자 입력과 상기 출력 언어로 재번역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의 기울기가 검출되는 동안 수신된 미리 설정된 단어의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위한 번역 방법.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40074509A 2014-06-18 2014-06-18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45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09A KR20150145109A (ko) 2014-06-18 2014-06-18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4/673,054 US20150370786A1 (en) 2014-06-18 2015-03-30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lation
EP15162503.5A EP2957990A1 (en) 2014-06-18 2015-04-02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09A KR20150145109A (ko) 2014-06-18 2014-06-18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109A true KR20150145109A (ko) 2015-12-29

Family

ID=5282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509A KR20150145109A (ko) 2014-06-18 2014-06-18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70786A1 (ko)
EP (1) EP2957990A1 (ko)
KR (1) KR201501451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155A (ko) * 2017-05-31 2018-12-1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번역 장치, 번역 방법 및 번역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6291B2 (en) * 2012-04-13 2016-09-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perating a keyboard
CN105843800B (zh) * 2015-01-13 2019-06-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doi的语言信息展示方法及装置
JP6364629B2 (ja) * 2016-07-08 2018-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翻訳装置および翻訳方法
US20170039190A1 (en) * 2016-08-05 2017-02-09 Joseph Ricardo Two Way (+) Language Transl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WO2019104667A1 (zh) * 2017-11-30 2019-06-06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操控翻译机的方法和指环遥控器
CN111831185A (zh) 2018-02-12 2020-10-27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应用的识别码的展示方法及装置
CN110188363A (zh) * 2019-04-26 2019-08-3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信息切换方法、装置和翻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84A (ja) * 2004-01-19 2005-07-28 Toshiba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中継装置、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GB2438234A (en) * 2006-05-17 2007-11-21 Sean Stroud Portable translation device
US20100030549A1 (en) * 2008-07-31 2010-02-04 Lee Michael M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US8775156B2 (en) * 2010-08-05 2014-07-08 Google Inc. Translating languages in response to device motion
JP5017441B2 (ja) * 2010-10-28 2012-09-05 株式会社東芝 携帯型電子機器
US20120310622A1 (en) * 2011-06-02 2012-12-06 Ortsbo, Inc. Inter-language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130297287A1 (en) * 2012-05-07 2013-11-07 Google Inc. Display two keyboards on one tablet computer to allow two users to chat in different languages
JP6148163B2 (ja) * 2013-11-29 2017-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会話支援装置、会話支援装置の制御方法、及び会話支援装置の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155A (ko) * 2017-05-31 2018-12-1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번역 장치, 번역 방법 및 번역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7990A1 (en) 2015-12-23
US20150370786A1 (en)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126913A1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45109A (ko) 자동 번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42071A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US9977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939582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thereof
US10088991B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67184B1 (ko)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996252B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462364B1 (ko) 스크롤바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861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8338A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54553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50253968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enlarging and displaying contents
KR101559091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57214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40111790A (ko) 가상 키보드에서 난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67334A (ko)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US20160188021A1 (en) Method of receiving user input by detecting movement of user and apparatus therefor
KR20160020892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18040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8269A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20150325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