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321A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321A
KR20150141321A KR1020140069858A KR20140069858A KR20150141321A KR 20150141321 A KR20150141321 A KR 20150141321A KR 1020140069858 A KR1020140069858 A KR 1020140069858A KR 20140069858 A KR20140069858 A KR 20140069858A KR 20150141321 A KR20150141321 A KR 20150141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nancial servic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노텍
Priority to KR102014006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321A/ko
Publication of KR2015014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방법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양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 이동시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휴대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은행 창구 또는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기기 등을 통해 수행되는 금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과 개인 간에 소정 금액의 금융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은행, 인터넷, 전화, ATM 등을 매개로 하여 금융기관의 실물 계좌를 통하여 이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개인과 개인 간에 소정 금액을 이체하기 위해서는 실물 계좌의 계좌번호를 모르더라도 개인이 소지한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체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4198호(공개일 2009년 10월 08일)에는 송금자가 수취인의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이체를 요청하면 송금자의 계좌에서 수취인의 휴대폰 번호와 연결된 가상 계좌로 이체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금융자동화기기(ATM)은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이다.
이러한 ATM 기기는 은행, 무인자동화창구 등 매우 많이 설치되어 24시간 365일 사용자들에게 출금업무, 입금업무, 계좌이체업무, 통장정리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은행을 대신하고 있고, 은행 또한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해 각 은행 지점의 업무 효율화가 가능해져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의 입장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기기일 뿐만 아니라 최근 은행이 종합금융화를 추구하고 있어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다른 부가 서비스 제공을 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월말이나 결제일에는 은행 창구나 금융자동화기기 앞에 많은 사용자들이 줄을 서서 대기하게 되고, 이 경우 현금출금이나 계좌이체 또는 통장정리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금융 서비스의 오류 및 시간을 감소시켜 효율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ATM 기기 및 은행 PC 등을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양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 이동시,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ATM 기기 또는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ATM 기기를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에 사전 입력된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은행 창구에 배치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업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에 사전 입력된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가 처리되도록,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상기 은행 창구의 직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양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 이동시,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ATM 기기 또는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은행 창구에 배치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업무 처리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은행 창구로 이동시,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처리 장치는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상기 은행 창구의 직원 단말기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ATM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ATM 기기는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에서 금융 업무를 실제 수행하기 이전에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음으로써, 금융 서비스 이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오타 등으로 인한 금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TM 기기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은행 창구 업무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 장치들 및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0), ATM 기기(200), 업무 처리 장치(250), 서버(300) 및 데이터 베이스(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ATM 기기(200) 및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와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통신 규격들 이외에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ATM 기기(200) 앞으로 이동시, 모바일 단말기(100)는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ATM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ATM 기기(200)는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영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이나 지문 등)을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ATM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관련 영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이나 지문 등)을 이용해 사용자를 인식(및/또는 인증)한 후, 상기 인식 결과를 ATM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350)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B들을 검색하여, 상기 ATM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관련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읽어들임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식(및/또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은행에 방문하여 대기하는 동안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해 필요 정보를 미리 입력하고, 업무 처리 순서가 되어 은행 창구로 이동시, 모바일 단말기(100)는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로 전송할 수 있다.
업무 처리 장치(250)는, 상기 ATM 기기(200)와 유사하게,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영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이나 지문 등)을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는 상기 서버(300)를 통한 사용자 인식(및/또는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해당 은행 창구의 직원 단말기(미도시)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금융 업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모바일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모바일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양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ATM 기기(200) 또는 업무 처리 장치(250)가 배치된 은행 창구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이 확인되면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ATM 기기(200) 또는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설치된 금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30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공인인증서 등의 인증서를 이용해, 상기 인증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 인증은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에 한정되지 않고, 금융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확인하거나, 카메라(121)를 이용해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지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공지된 다양한 인증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해당 금융 업무의 처리를 위해 준비된 입력 양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는다(S310 단계).
상기 입력 양식은 은행별 및 금융 업무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금융 업무에 대응되는 입력 양식이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양식은 출금, 입금, 계좌이체 또는 통장정리 등의 금융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의 입력란을 포함하고,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하나 이상의 계좌 번호들 또는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이나 버튼 등을 이용해 해당 입력 양식의 영역들에 맞는 정보를 채움으로써, 상기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ATM 기기(200) 또는 업무 처리 장치(250)가 배치된 은행 창구로 이동하면(S310 단계),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ATM 기기(200) 또는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로 전송한다(S33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의 이동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전송 요청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검출된 장치 간 거리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미리 입력해 놓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ATM 기기(200) 앞으로 이동한 후,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전 입력 정보의 전송을 요청(예를 들어, 금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된 "정보 전송" 버튼을 누름)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가 ATM 기기(200)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해 ATM 기기(200)와 미리 정해진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하여 상기 사전 입력된 정보가 ATM 기기(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하 수행되는 송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와 ATM 기기(200) 사이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미리 입력해 놓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ATM 기기(200) 앞으로 이동하여 상기 검출되는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ATM 기기(200)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해 상기 사전 입력된 정보가 ATM 기기(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ATM 기기(2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가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로 전송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는 해당 은행 창구 직원의 개인용 컴퓨터(PC)로 전달되어, 상기 직원 PC를 이용해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금융 업무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사전 입력된 정보들을 이용해 바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업무 처리 장치(250)와 상기 직원 PC 유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은행 내 전산망)을 이용해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PC에 별도로 입력할 필요없이, 업무 처리 장치(250)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PC의 화면을 통해 확인하여 해당 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의 처리 결과는 상기 직원 PC의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또는 업무 처리 장치(250)를 통하거나 직접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TM 기기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ATM 기기(200)의 동작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ATM 기기(200)는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여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ATM 기기(200)는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사전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ATM 기기(200)는 사용자 인식을 위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지문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서버(300)와의 연동하여 얼굴 인식 또는 지문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신원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ATM 기기(20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 및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 자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모듈,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자동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정보 자동 입력 처리 모듈과 양식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TM 기기(200)는 모바일 단말기(100)나 서버(3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업무 처리 장치(250)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업무 처리 장치(250)의 동작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업무 처리 장치(250)는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여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업무 처리 장치(250)는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사전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창구 직원의 PC(255)로 전달하여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업무 처리 장치(250)는 사용자 인식을 위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지문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서버(300)와의 연동하여 얼굴 인식 또는 지문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신원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업무 처리 장치(25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 및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 자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모듈,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자동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정보 자동 입력 처리 모듈과 양식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무 처리 장치(250)는 모바일 단말기(100), 서버(300) 및 창구 직원 PC(255) 등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버(300)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서버(300)의 동작 중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ATM 기기(200) 또는 업무 처리 장치(250)에서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서버(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고객들에 대한 얼굴 인식 정보 DB, 지문 인식 정보 DB 및 영상 정보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350)를 검색하여, 상기 ATM 기기(200) 또는 업무 처리 장치(2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영상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성명, 주민등록 번호, 계좌번호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획득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성명, 주민등록 번호, 계좌번호 등)는 사용자 인식 결과로서 ATM 기기(200) 또는 업무 처리 장치(25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서버(300)는 얼굴 인식 처리 모듈, 지문 인식 처리 모듈 및 영상 정보 저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와 ATM 기기(200) 또는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BLE) 통신일 수 있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는 메시지를 로우 에너지로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고, BLE specification 은 Volume 6 of the Bluetooth Specification 에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는 짧은 파장의 무선 전송 주파수인 2.4GHz ISM band(2400-2483.5MHz)에서 동작하고, 그 범위에서 2MHz의 40 RF 채널을 사용한다. 또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는 전송될 데이터를 잘게 자르고, 잘라진 덩어리를 다른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하는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방식(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이라 불리는 무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전송은, 대략 50m의 전송 범위, 1 Mb/s 의 데이터 레이트, 기존 블루투스(Bluetooth) 대비 1% ~ 50%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모바일 단말기(100)와 ATM 기기(200) 또는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 일반 블루투스 통신 방식, 지그비 또는 Wi-Fi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이하 모바일 단말기(100)와 ATM 기기(200) 또는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250)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의 링크 계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대기 상태(standby state), 광고 상태(advertising state), 스캐닝 상태(scanning state), 개시 상태(initiating state), 접속 상태(connection state)의 링크 계층 상태(link layer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상태(standby state)는 패킷을 전송 및 수신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고, 광고 상태, 스캐닝 상태, 개시 상태, 접속 상태 모두에서 진입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광고 상태(advertising state)는 광고 채널 패킷(advertising channel packets)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선택적으로 광고 채널 패킷로부터 트리거되는 응답을 듣고 이에 응답하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상태는 대기 상태에서 진입될 수 있고, 광고 상태에 있는 장치는 광고자(advertiser)로 지칭될 수 있다.
스캐닝 상태(scanning state)는 광고자로부터 광고 채널 패킷을 수신하는 상태로, 스캐닝 상태는 대기 상태에서 진입될 수 있고, 스캐닝 상태에 있는 장치는 스캐너(scanner)로 지칭될 수 있다.
개시 상태(initiating state)는 특정 장치로부터 광고 채널 패킷을 수신하고, 다른 장치와 커넥션이 개시되도록 광고 채널 패킷에 응답하는 상태로, 개시 상태는 대기 상태에서 진입될 수 있고, 개시 상태에 있는 장치는 개시자(initiator)로 지칭될 수 있다.
접속 상태(connection state)는 광고 상태 및 개시 상태에서 진입 가능하고, 개시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진입한 장치는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수행하고, 광고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진입한 장치는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최적의 로우 에너지 달성을 위하여, 상술한 광고 상태(advertising state)만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300)는 광고 채널 패킷(advertising channel packets)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상술한 복수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개시 상태(initiating state)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통신 가능한 복수의 모바일 단말 장치 각각과 접속을 설립하여 데이터 채널 패킷(data channel packets)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40 RF 채널들은 광고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두 개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물리 채널은 장치들을 발견하고, 접속이 개시되게 하며,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3 개의 RF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물리 채널은 연결된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하여 37 개의 RF 채널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의 링크 계층은 광고 채널 패킷(advertising channel packets) 및 데이터 채널 패킷(data channel packets)에 사용될 한 개의 패킷 포맷(410)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채널 패킷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채널 패킷은 네 개의 필드로 구성되고, preamble 필드(412), access address 필드(414), protocol data unit(PDU) 필드(416) 및 cyclic redundancy check(CRC) 필드(418)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이 광고 물리 채널로 전송될 때, PDU(416)는 광고 채널 PDU로 지칭될 수 있고, 패킷이 데이터 물리 채널로 전송될 때, 상기 PDU(416)은 데이터 채널 PDU로 지칭될 수 있다.
광고 채널 PDU(416)는 16 비트 헤더(420) 및 가변 크기 페이로드(430)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채널 PDU(416)의 헤더(420)에 포함된 PDU type 필드(421)는 PDU 타입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의 PDU 타입은 7 개이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length 필드(425)는 페이로드(430)의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length 필드(425)의 가변가능한 범위는 6 내지 37 octets일 수 있다. 한편, RFU 필드(422), TxAdd 필드(423), RxAdd 필드(424) 및 RFU 필드(4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채널 PDU(416)의 헤더(420)에 포함된 PDU type 필드(421)의 PDU 타입들은 하기와 같이 특정 이벤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
‘ADV_IND’는 접속 가능하고 수신 장치를 특정하지 않은 광고 이벤트에 사용될 수 있고, ‘ADV_DIRECT_IND’는 접속 가능하고 수신 장치를 특정한 광고 이벤트에 사용될 수 있으며, ‘ADV_NONCONN_IND’은 접속 불가능하고 수신 장치를 특정하지 않은 광고 이벤트에 사용될 수 있고, ‘ADV_SCAN_IND’는 스캔 가능하고 수신 장치를 특정하지 않은 광고 이벤트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PDU 타입들은 광고 상태(advertising state)에서 링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ADV_IND, ADV_NONCONN_IND 및 ADV_SCAN_IND 각각의 PDU 타입은 수신 장치를 특정하지 않은 브로드캐스트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장치의 전송 범위에 위치한 어떠한 장치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또한, ADV_IND 타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와 커넥션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ADV_NONCONN_IND 타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와 커넥션 설정이 불가능한(non-connectable) 또는 일 방향의(one-way)의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ADV_SCAN_IND 타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서 스캔 요청(SCAN_REQ) 가능한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ADV_IND, ADV_NONCONN_IND 및 ADV_SCAN_IND 모두의 페이로드(430)은 동일할 수 있다. 페이로드(430) AdvA 필드(432) 및 AdvData 필드(434)로 구성될 수 있다. AdvA 필드(432)는 광고자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의(random)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AdvData 필드(434)는 광고주의 호스트에서의 광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광고자인 경우, 광고 데이터는 광고 메시지로 지칭될 수 있고, 광고 메시지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전송될 수 있는 광고 메시지 포맷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메시지 포맷은 로우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최소한의 데이터 양을 요구하거나, 또는 각 패킷에서 가능한 한 많은 광고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광고 메시지 포맷은 광고 메시지의 목적 또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의 타입에 의존하여 광고 메시지의 가변 길이 또는 가변 크기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개의 광고 메시지들은 2비트 또는 8비트 사이로 짧을 수 있고, 많은 옥텟을 필요로 하는 경우 통신 프로토콜에서 필요하는 범위만큼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광고 메시지는 광고 채널 패킷(410)의 PDU의(416) 페이로드(430)의 AdvData 필드(434)에 포함될 수 있도록 포맷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AdvData 필드(434)는 광고 메시지 0 내지 31 octets 를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AdvData 필드(434)의 광고 메시지는 상기 범위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범위를 초과하는 데이터는 분리하여 다른 광고 채널 패킷(4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고 메시지들이 한 개의 광고 채널 패킷(410)의 AdvData 필드 (434)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메시지 1, 광고 메시지 2,.. 광고 메시지 N이 한 개의 광고 채널 패킷(410)의 AdvData 필드 (434)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ADV_DIRECT_IND 타입은 수신 장치를 특정한 브로드캐스트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ADV_DIRECT_IND의 페이로드(430)는 AdvA 필드 및 InitA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AdvA 필드는 광고자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의(random)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InitA 필드 개시자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의(random)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광고 채널 PDU(416)의 PDU 타입들은 하기와 같은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CAN_REQ’는 스캐닝 상태의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고 광고 상태의 링크 계층에서 수신될 수 있고, ‘SCAN_RSP’는 광고 상태의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고 스캐닝 상태의 링크 계층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CONNECT_REQ’는 개시 상태의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고 광고 상태의 링크 계층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SCAN_REQ, SCAN_RSP, CONNECT_REQ 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자와 스캐너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고자는 3개까지의 광고 채널(채널 37-39)들을 이용하여 광고 채널 패킷(ADV_INV)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캐너는 광고자로부터 송신된 광고 채널 패킷(ADV_INV)을 수신하고, 보다 많은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스캔 요청을 광고 채널 패킷(SCAN_REQ)으로 광고자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SCAN_REQ PDU의 PAYLOAD는 스캐너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의(random) 주소를 포함하는 ScanA 필드, 광고자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random)의 주소를 포함하는 AdvA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캔 요청을 수신한 광고자는 이에 대응되는 스캔 응답을 광고 채널 패킷(SCAN_RSP)으로 스캔 요청한 스캐너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SCAN_RSP PDU의 PAYLOAD는 광고자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의(random) 주소를 포함하는 AdvA 필드, 광고자의 호스트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ScanRspData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요청한 스캐너는, 광고자에서 생성된 더 많은 정보를 광고 채널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자와 개시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고자는 3개까지의 광고 채널(채널 37-39)들을 이용하여 광고 채널 패킷(ADV_INV)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시자는 광고자로부터 송신된 광고 채널 패킷(ADV_INV)을 수신하고, 접속 요청을 광고 채널 패킷(CONNECT_REQ)으로 광고자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CONNECT_REQ PDU의 PAYLOAD는 개시자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의(random) 주소를 포함하는 initA 필드, 광고자의 공용(public) 또는 임의(random)의 주소를 포함하는 AdvA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속이 설립되면, 개시자는 master의 역할을 수행하고, 광고자는 slav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통하여 데이터 채널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주소는, 복수의 장치 각각의 식별시키기 위한 주소일 수 있고, 공용(public) 주소 및 임의의(random)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 주소는 company_assigned 필드 및 company_id 필드를 포함하는 MAC address일 수 있고, 임의의 주소는 hash 필드 및 random 필드를 포함하는 랜덤하게 형성된 주소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양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 이동시,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ATM 기기 또는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양식은
    출금, 입금, 계좌이체 및 통장정리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의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필요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하나 이상의 계좌 번호들 및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의 이동 여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전송 요청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검출된 장치 간 거리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은행 창구 직원의 개인용 컴퓨터(PC)로 전달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6.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ATM 기기를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에 사전 입력된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또는 지문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8. 은행 창구에 배치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업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에 사전 입력된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가 처리되도록, 상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상기 은행 창구의 직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또는 지문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양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 이동시,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ATM 기기 또는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양식은
    출금, 입금, 계좌이체 및 통장정리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의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필요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식별 정보, 하나 이상의 계좌 번호들 및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 전송 요청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검출된 장치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ATM 기기 또는 은행 창구로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4.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은행 창구에 배치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업무 처리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은행 창구로 이동시,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은행 창구에 배치된 업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처리 장치는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상기 은행 창구의 직원 단말기로 전달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입력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ATM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ATM 기기는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관련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필요 정보에 따라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40069858A 2014-06-10 2014-06-10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150141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58A KR20150141321A (ko) 2014-06-10 2014-06-10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58A KR20150141321A (ko) 2014-06-10 2014-06-10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21A true KR20150141321A (ko) 2015-12-18

Family

ID=5508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858A KR20150141321A (ko) 2014-06-10 2014-06-10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32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112A (ko) * 2016-12-07 2018-06-18 남기원 개인정보 저장소와 연동된 스마트 문서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09569A1 (ko) * 2017-07-03 2019-01-1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193700B2 (en) 2015-02-27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ust-zone-based end-to-end security
US11107047B2 (en) 2015-02-27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onic payment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129018B2 (en) 2015-02-27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1182769B2 (en) 2015-02-12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30032189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우리은행 비접촉식 금융 자동화 기기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2769B2 (en) 2015-02-12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193700B2 (en) 2015-02-27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ust-zone-based end-to-end security
US11107047B2 (en) 2015-02-27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onic payment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129018B2 (en) 2015-02-27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80065112A (ko) * 2016-12-07 2018-06-18 남기원 개인정보 저장소와 연동된 스마트 문서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09569A1 (ko) * 2017-07-03 2019-01-1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32189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우리은행 비접촉식 금융 자동화 기기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0351A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nfc emulation card
US86604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4132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CN112118227B (zh) 绑卡方法及终端
EP2765807B1 (en) Undesired NFC pairing
US9585006B2 (en) Express mobile device access provisioning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US20190066090A1 (en) Transaction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US9087328B2 (en) Mobile terminal and payment method thereof
US20150350820A1 (en) Beacon additional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background arts
US20150126109A1 (en) Nfc negotiated pairing
JP2018506083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の読取方法及び装置
WO2018161962A1 (zh) 分享图像的方法、电子设备及系统
WO2019105296A1 (zh) 绑卡方法及终端
CN102222368A (zh) 一种应用近距离通信技术的电子票证系统和检验方法
US20170068908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21510218A (ja) 電子取引方法及び端末
CN104601783A (zh) 一种基于主观判断的通信处理方法、移动终端及系统
KR1016918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웹 사이트를 통한 정보 공개 제어 방법
CN106296158A (zh) 移动终端及支付方法
CN105303120A (zh) 短信读取方法及装置
KR101464137B1 (ko)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US20190340601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By Using Barcode
KR101516997B1 (ko) 스미싱 차단 방법 및 장치
CN111694892A (zh) 资源转移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US2013030463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