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212A - A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212A
KR20150140212A KR1020150065366A KR20150065366A KR20150140212A KR 20150140212 A KR20150140212 A KR 20150140212A KR 1020150065366 A KR1020150065366 A KR 1020150065366A KR 20150065366 A KR20150065366 A KR 20150065366A KR 20150140212 A KR20150140212 A KR 2015014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main unit
image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희연
하정수
서봉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803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52643A4/en
Priority to US14/730,543 priority patent/US20150358043A1/en
Priority to PCT/KR2015/005614 priority patent/WO2015186981A1/en
Priority to CN201580029832.9A priority patent/CN106462326A/en
Publication of KR2015014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2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replaceable fixing unit which transfers pre-stored user interface (UI) data to a main unit, and the main unit which provides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transferred UI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device can automatically downloads proper applications for each thing, not downloads applications respectively.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인 유닛,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정 유닛 및 그 제어 방법{A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a main unit of a wearable device, a fixed unit of a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Wearab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옷, 시계 또는 안경처럼 자유롭게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장치로서,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글래스, 말하는 신발 및 스마트 워치 등이 있다.A wearable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freely worn and carried on the body, such as a clothes, a watch, or a pair of glasses. Such a wearable device includes smart glass, talking shoes, and smart watch.

이 중에서 스마트 워치는 일반 시계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장착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 손목 시계로서, 종래에는 기본적인 계산기능과 번역기능, 그리고 게임기능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인해 스마트 폰 이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연동형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폰의 기능을 단독적으로 수행할 수 잇는 단독형 스마트 워치가 등장하였다.Among them, the SmartWatch is an embedded system wristwatch equipped with more advanced functions than the conventional watch, and was limited to basic calculation function, translation function, and game function in the past. 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spread of smart phones, there has been a stand-alone smart watch capable of performing interlocked smart watch functions and smart phone functions independently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smartphones.

그러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종래의 스마트 워치는 각각의 사물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다운 및 설정해야 되는바, 이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과 스마트 워치의 최적화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However, a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emphasized, the conventional smart watch must down-load and set the application suitable for each object individually, and the user's discomfort and optimization of the smart watch There was a problem. Therefore, researches for solving such problems are actively proceeding.

또한, 스마트 워치의 경우 스마트 폰과 달리 사용자의 손목에 노출되어 패션과 큰 관련성이 있으나, 종래 스마트 워치는 기술 및 기능적인 측면만을 연구하고 소비자의 디자인적인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일률적인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자의 외면을 받아왔다. 이에 스마트 워치의 디자인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 및 개별적인 소비자의 취향에 적합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the smart watch is exposed to the user's wrist and has a great relation to the fashion, unlike the smart phone.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mart watch has studied only the technic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has not been able to meet the consumer's design needs, Has received the outside of. Therefore, research on design aspects of smart watches and studies on designs suitable for individual consumer taste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어플리케이션을 개별적으로 다운하지 않고, 각각의 사물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 wearab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downloading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suitable for each object without individually downloading the application are provided.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미리 저장된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고, 교체할 수 있는 고정 유닛 및 상기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메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main unit that transmits pre-stored UI data to the main unit, a fixed unit that can be replaced, and a main unit that provides an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유닛은 메인 유닛은 상기 UI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상기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in unit can switch to an interaction based on the UI data when the main unit receives the UI dat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유닛은상기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GUI를 표시할 수 있다.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유닛은 전달 받은 현재의 UI 데이터 및 이전의 UI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현재의 UI 데이터 및 이전의 UI 데이터 중 하나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 unit can display a GUI according to the received UI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 unit may include a first UI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current UI data and previous UI data, Memory, and may provide an interaction according to one of the current UI data and the previous UI dat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유닛은 외부 기기로부터 UI 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달 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in unit may receive UI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vide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UI dat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원부는 고정 유닛에 마련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ixed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메인 유닛 및 고정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카메라 및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and a sens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메인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ayment modul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 유닛은 전원부, 감지부, 카메라 및 결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ed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unc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ower source unit, a sensing unit, a camera, and a payment module.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는 UI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메모리와 상기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고, 교체할 수 있는 고정 유닛 및 상기 제 2 통신부로부터 상기 UI 데이터를 전달 받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전달 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second memory for storing UI data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UI data to the main unit.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replaceable fixed unit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UI data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main unit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가 무선 세션(session)되면 UI 데이터의 전달이 시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re in a wireless session, the wearable device can start transmitting UI data.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통신부는 제 1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대응되는 제 2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The unit may be connec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연결되면 UI 데이터의 전달이 시작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are connected, transfer of UI data can be started.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메인 유닛과 고정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the main unit can indicate that the main unit and the data unit are connected.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것인지 여부 또는 새로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입력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ain unit can receive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것인지 여부 또는 새로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GUI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ain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and display the determined result with a GUI.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새로 연결된 것인 경우, 데이터 유닛의 핀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newly connected, the main unit can receive the pin number of the data unit.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UI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상기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의 전환을 입력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in unit receives the UI data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the main unit can receive the switching to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인 유닛의 일 실시예는 UI 데이터를 고정 유닛으로부터 전달 받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전달 받는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mai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UI data from a fixed unit and a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정 유닛의 일 실시예는 UI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메모리 및 상기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fixed unit of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second memory for storing UI data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UI data to the main unit.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메인 유닛와 고정 유닛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정 유닛의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a connection between a main unit and a fixed unit, transmitting UI data of the fixed unit to the mai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provid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UI data.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메인 유닛와 고정 유닛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유닛의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a connection between a main unit and a fixed unit, indicating that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indicating that the main unit and the data unit are connected, And transferring the UI data of the main unit to the main unit.

상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중앙 서버를 통해 각각의 사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별적으로 다운 받지 않고, 각각의 사물에 대응되는 고정 유닛과의 통신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등을 다운로딩 하고, 실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are downloa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xed unit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without downloading the application for each object individually through the central server, Can be execu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밴드와 메인 유닛을 연결시켜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와 메인 유닛을 연결시켜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와 메인 유닛을 연결시켜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의 무선 세션으로 UI 데이터를 전송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 유닛에 따라 메인 유닛이 제공하는 인터렉션이 전환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 유닛에 의해 메인 유닛이 제공하는 인터렉션이 전환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유닛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되었던 것인지 또는 새롭게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된 경우에 핀번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된 경우 인증 절차 이후 UI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전달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공할 인터렉션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a 내지 도 21h는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에 GUI를 표시하는 자동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에 GUI를 표시하는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a 내지 도 2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 브랜드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에 GUI를 표시하는 시계 브랜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에 GUI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에 GUI를 표시하는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a 내지 도 26h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에 GUI를 표시하는 가전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a 내지 도 2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에 GUI를 표시하는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제 모듈을 이용하여 신용카드를 결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유선 통신을 통해 메인 유닛이 UI 데이터를 수신 받고, GUI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해 메인 유닛이 UI 데이터를 수신 받고, GUI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동으로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인지 아니면 새로운 데이터 유닛인지를 입력 받아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인지 아니면 새로운 데이터 유닛인지를 감지 및 판단하여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ired connection between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by connecting a band and a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connect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by connecting a cover and a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A and 9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connect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by connecting a cover and a mai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transmitting UI data to a wireless session between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concept that the interaction provided by the main uni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fixe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llustrates the concept that the interaction provided by the main unit is switched by an externally located dat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3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hat a main unit and a data unit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4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data units connected to a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ther they are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FIG. 15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hat an existing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to a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6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hat a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17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pin number when a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8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ransfer of UI data after an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a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9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that receives input as to whether to switch to an interaction based on UI data delivered by a new data uni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20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type of interaction to be provid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1A to 21H illustrate an automati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GUI on a main unit using UI data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2A to 22C illustrate a user interface of a movement for displaying a GUI on a main unit using UI data for a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3A to 23D illustrate a user interface of a watch brand that displays a GUI on a main unit using UI data for a watch bran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4A to 24D illustrate a user interfac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displays a GUI on a main unit using UI dat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5A to 25D illustrate an audio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GUI on a main unit using UI data for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26A to 26H illustrate a user interface of a home appliance that displays a GUI on a main unit using UI data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7A and 27B illustrate a user interface of a camera for displaying a GUI on a main unit using UI data for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28 and 29 illustrate a user interface for paying a credit card using a pay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receiving UI data and displaying a GUI on a main unit through wire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31 is a flowchart of a method in which a main unit receives UI data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s a G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3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main unit and a data unit by inputting whether the data unit is a conventional data unit or a new data unit manual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d determining whether a data unit is a conventional data unit or a new data unit and connecting the main unit and the data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below, and in the absence of a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ordinary artisans.

아울러, 이하에서 선택적으로 기재된 양상이나 선택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들은 비록 도면에서 단일의 통합된 구성으로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기재가 없는 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술적으로 모순인 것이 명백하지 않다면 상호간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s selectively described below or selectively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unless the technical details ar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wearable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도 1 및 도 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Fig. 1 and Fig. 2 show the appearance of the wear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현재의 시간 정보의 표시, 사물에 대한 정보 표시, 사물에 대한 제어 및 기타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전송받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메인 유닛(100), 메인 유닛(100)에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유닛(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 is a device that is worn on the wearer's wrist for displaying current time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objects, control of objects, and other operations. The wearable device 1 has a graphical user interface A data unit 200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UI data to the main unit 100 and a fixed unit 300 for fixing the wearable device 1 to the user's wrist .

메인 유닛(100),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이하 GUI라고 함.) 데이터 유닛(200) 및 고정 유닛(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in unit 100,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data unit 200 and the fixed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below.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900)가 구현될 수 있다. 현재 시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현재의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이미지(901), 현재의 날짜를 표시하는 날짜 이미지(902),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하고 있는 국가를 표시하는 국가 이미지(906) 및 현재의 창의 위치를 표시하는 창 위치 이미지(90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earable device 1 can be implemented with the user interface 900 of the current time as shown in FIG. The user interface of the current time includes a time image 901 showing the current time, a date image 902 showing the current date, a country image 906 showing the country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And a window location image 904 that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window of the window.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에 원형일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이 사각형일 수도 있다.Also, the wearable device 1 may be circular in the main unit 100 as shown in FIG. 1, or the main unit 100 may be rectangular as shown in FIG.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FIG. 3 shows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현재의 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사물과 통신하여 정보 교환 및 제어를 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로도 기능할 수도 있으며, 기타 편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메인 유닛(100), 고정 유닛(300), 데이터 유닛(200), 전원부(400), 감지부(500), 카메라(600) 및 네트워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은 버스(80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 is worn on the wearer's wrist and can exchange information and control not only with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but also with other objects, and can also function as a portable terminal, and other convenienc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Device. The wearable device 1 may include a main unit 100, a fixed unit 300, a data unit 200, a power supply unit 400, a sensing unit 500, a camera 600 and a network 700 .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us 800. [

메인 유닛(100)은 데이터 유닛(200)으로부터 수신 받은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메인 유닛(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main unit 100 performs an operation of transitioning the state of the user interface using at least one UI data received from the data unit 200. [ Also, the main unit 10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and receive input signals of a user.

메인 유닛(100)은 제 1 통신부(120), 제 1 메모리(110), 제어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 I/O(Input/Output) 모듈(150) 및 음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a first memory 110, a controller 130, a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140, an I / O module 150 and an acoustic unit 160 ).

제 1 통신부(120)는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통신부(2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를 제어부(130) 및 제 1 메모리(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제 1 통신부(120)는 네트워크(700)와 연결되어 웹 서버(710)와 통신할 수 있고, 기지국(730)과의 통신을 할 수도 있고, 다른 사물과 통신할 수도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data unit 200 and may transmit the at least one UI data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first memory 11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700 to communicate with the web server 710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730 or may communicate with other objects You may.

구체적으로, 제 1 통신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700)와 연결되어 웹서버(710), 홈서버(720), 기지국(730), 휴대용 단말기(740), 자동차(750), 음향 기기(760), 가전 기기(770), 3D 프린터(780) 및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79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700 by wire or wireless and includes a web server 710, a home server 720, a base station 730, a portable terminal 740, a car 750,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device 760, the household appliance 770, the 3D printer 780, and other wearable devices 790.

즉, 제 1 통신부(120)는 웹서버(710)와 연결되어 웹서핑, 중앙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112)의 다운 및 기타 인터넷을 통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홈서버(720)와 연결되어 집안 내의 가전 기기의 상태 파악 및 제어, 집안의 내부 영상을 표시, 현관문의 개폐 및 기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기지국(73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전화 통화, 단문 문자 서비스(SMS)의 송수신 및 기타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휴대용 단말기(740)와 연결되어 전화 통화, 단문 문자 서비스(SMS)의 송수신 및 기타 동작을 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표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자동차(750)와 연결되어 차량의 외부상태 및 내부 상태 점검, 차량 위치, 스마트키, 내부영상 표시 및 기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음향 기기(760)와 연결되어 스피커, 이어폰 및 헤드폰의 배터리 잔량 표시, 제어 및 기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가전 기기(770)와 연결되어 가전 기기의 상태 표시 및 제어 등을 홈서버(720)와 연결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3D 프린터(780)와 연결되어 3D 도면의 표시, 현재 프린트 진행 상태, 소요 시간 및 남은 시간의 표시, 인쇄 재료의 보충 알림 및 기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NFC뿐만 아니라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으로 카드 단말기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790)와 연결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 간의 정보 교환 및 기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710 to perform web surfing, downloading the application 112 from the central server, and other operations through the Internet. 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720 so as to grasp and control the state of home appliances in the house, display an internal image of the house, open / close the door, and perform other operations. 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directly connect with the base station 730 to directly perform telephone convers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of SMS, and other operations. 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740 to in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phone calls, SMS, and display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nected portable terminal. 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750 to perform an external state and an internal state check of the vehicle, a vehicle location, a smart key, an internal image display, and other operations.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audio equipment 760 to perform display, control, and other operations of the remaining battery power of the speaker, the earphone, and the headphon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770 to directly display the status of the home appliance and control the home appliance 720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720.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3D printer 780 to display the 3D drawing, display the current progress of the print, display the remaining time and the remaining time, notify the supplement of the print material, and perform other operations.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can communicate with the card terminal through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as well as NFC to proceed with payment of the user's card.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wearable device 790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 wearable devices 1 and perform other operations.

제 1 통신부(120)는 제 1 유선 통신부(121), 제 1 무선 통신부(122) 및 제 1 통신 포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and a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제 1 유선 통신부(121)는 제 1 통신 포트(123)를 통해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통신부(22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data unit 200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by wire.

구체적으로, 제 1 유선 통신부(121)는 제 1 통신 포트(123)와 제 2 통신 포트(2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서 GUI를 표시하도록 제 1 메모리(110)에 저장하거나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so that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of the data unit 200 And displays the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at least one UI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memory 110 or may transmit the GUI data to the controller 130. [

제 1 무선 통신부(122)는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제 1 무선 통신부(122)는 전기 신호를 전자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자파를 통하여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무선 통신부(222) 및 네트워크(700)와 통신한다.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omagnetic wave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converts an electric signal into an electromagnetic wave or vice versa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and the network 700 of the data unit 200 via the converted electromagnetic wave.

구체적으로, 제 1 무선 통신부(122)는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includes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But are not limited to, well known circuits for performing such functions.

또한, 제 1 무선 통신부(122)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과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그리고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무선 통신부(222) 및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may be a wireless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nd a network called the World Wide Web (WWW) and / or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a wireless LAN, and / or a metropolitan area network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and the network of the data unit 200 by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와이 파이(Wireless Fidelity, Wi-Fi)(예를 들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및/또는 IEEE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및/또는 단문 문자 서비스(SMS)용 프로토콜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무선 통신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Bluetooth Low Energy),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Zigbee, Wireless Fidelity (Wi-Fi) (e.g.,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and / or IEEE 802. 11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Wi-MAX, Wi-Fi Direct, Ultra Wideband (UWB),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email, instant messaging and / A protocol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ny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protocol. In additio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위에서 언급한 무선 통신 방식은 제 1 무선 통신부(122)에서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도 있다.Also,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used instead of using only one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described above.

제 1 통신 포트(123)는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통신 포트(223)와 연결되어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유선 통신으로 수신받아 제 1 유선 통신부(121)에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of the data unit 200 and receives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of the data unit 20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1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제 1 통신 포트(123)는 포고 핀 포트(Pogo Pin port),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DVI 포트(Digital Video Interface port), D-sub 포트(D-subminiature port), UTP 케이블 포트(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port) 및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 2 메모리(210)의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유선 통신 포트가 제 1 통신 포트(123)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includes a Pogo pin port, an HDMI port, a DVI port, a D-subminiature port, a UTP cable, An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port, and a universal serial bus port. In addition, various wired communication ports for receiving at least one UI data of the second memory 210 by wire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또한, 제 1 통신부(120)는 제 2 통신부(220)와 연결이 되었는지 여부를 검사 및 판단하여 제 2 통신부(220)와 연결이 된 경우에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는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checks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

구체적으로, 제 1 유선 통신부(121)를 통해 UI 데이터를 수신 받는 경우에는 제 1 통신 포트(123)와 제 2 통신 포트(2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유닛(100)이 커버(330)와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UI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I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mai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ver 330, it can start receiving UI data.

반대로, 제 1 무선 통신부(122)를 통해 UI 데이터를 수신 받는 경우에는 무선 세션(session)이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UI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ireless session is established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wireless session is established.

제 1 메모리(110)는 OS(Operating System, 111), 어플리케이션(112), 현재의 UI 데이터(113) 및 이전의 UI 데이터(114)를 저장하고, 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동작을 구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memory 110 stores an OS (Operating System) 111, an application 112, current UI data 113 and previous UI data 114 and implements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Can be used.

구체적으로, 제 1 메모리(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서 어플리케이션(112)을 실행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OS(111),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112),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범용 어플리케이션(112), 현재의 데이터 유닛(200)과 메인 유닛(100)이 연결되어 다운로드 받은 현재의 UI 데이터(113) 및 이전의 데이터 유닛(200)과 메인 유닛(100)의 연결되어 다운로드 받은 이전의 UI 데이터(114)가 저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memory 110 includes an OS 111 that manages the application 112 in the wearable device 1, a dedicated application 112 that is first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 general-purpose application 112 that is downloaded from the outside The current UI data 113 connected to the current data unit 200 and the main unit 100 and the previous UI data 113 downloaded and connected to the previous data unit 200 and the main unit 100 (114) may be stored.

UI 데이터는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112), 어플리케이션(112)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일 수 있다.The UI data includes an application 112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of the data unit 200, a user interface (UI)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112, an object (e.g., image, text, icon Buttons, etc.), user information, documents, databases, or related data.

제 1 메모리(110)는 롬(ROM),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mory 110 may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ROM,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disk storage,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예를 들어, 제 1 메모리(110)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메모리 카드, mini SD 메모리 카드, mini SDHC 메모리 카드, TF(Trans Flach) 메모리 카드, micro SD 메모리 카드, micro SDHC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CF(Compact Flach), MMC(Multi-Media Card), MMC micro, XD(eXtreme Digital) 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emory 110 may b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Secure Digital (SD) memory card, a Secure Digital High Capacity (SDHC) memory card, a mini SD memory card, a mini SDHC memory card, a TF , micro SD memory card, micro SDHC memory card, memory stick, CF (Compact Flach), MMC (Multi-Media Card), MMC micro, XD (eXtreme Digital)

또한, 제 1 메모리(110)는 네트워크(700)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emory 110 may include a network attached storage device accessed via the network 700.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각 구동부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반적인 동작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원부(400)가 공급하는 전원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1 메모리(110)에 저장된 OS(111), 어플리케이션(112)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현재의 UI 데이터(113) 또는 이전의 UI 데이터(114)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천이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each driver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input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nd signal flow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wearable device 1 and performs processing of data.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400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wearable device 1. [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S 111 and the application 112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to be executed and stores the UI data 113 or the previous UI data 114 in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s the state module 140 to transit the state of the user interface.

제어부(130)는 중앙 처리 장치로 기능하고, 중앙 처리 장치의 종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칩에 산술 논리 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나 제어 회로 등이 마련되어 있는 처리 장치이다.The control unit 130 functions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a microprocessor. The microprocessor includes an arithmetic logic unit, a register, a program counter, a command decoder, a control circuit, and the like in at least one silicon chip Lt; / RTI >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may include a graphics processor (GPU) for graphics processing of images or video. The micro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including a core and a GPU. A microprocessor may include single core, dual core, triple core, quad core and multiples thereof.

또한, 제어부(1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개의 회로 기판에 GPU, RAM 또는 ROM을 포함하는 그래픽 프로세싱 보드(graphic processing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graphic processing board including a GPU, a RAM, or a ROM in a separate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제어부(130)는 메인 제어부(131), UI 제어부(133), 터치스크린 제어부(132) 및 기타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131, a UI control unit 133, a touch screen control unit 132, and other control units 134.

메인 제어부(13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신호를 구동되는 구성 요소, UI 제어부(133), 터치스크린 제어부(132) 및 기타 제어부(134)로 전달한다.The main control unit 131 transmits an overall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to the driven components, the UI control unit 133,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32, and the other control unit 134.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131)는 제 1 통신부(120)와 제 2 통신부(220)의 연결을 감지하고 제 2 메모리(210)의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31)는 제 2 메모리(210)의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110)에 저장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데이터가 제 1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메모리(210)의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거나 전달된 UI 데이터를 제 1 메모리(11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131 detec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and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to transmit at least one UI data of the second memory 210 to the main unit 100 . The main control unit 131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UI data of the second memory 210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If the same data is not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o transfer at least one UI data of the second memory 210 to the main unit 100 or to control the stored UI data to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또한, 메인 제어부(131)는 제 1 메모리(110)에 저장된 OS(111), 어플리케이션(112)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31)는 현재의 UI 데이터(113)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하도록 UI 제어부(133)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31 can control the OS 111 and the application 112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to be executed. The main control unit 131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UI control unit 133 so that the user interface state module 140 transits the user interface state using the current UI data 113. [

또한, 메인 제어부(131)는 현재의 UI 데이터(113) 또는 이전의 UI 데이터(114)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하도록 UI 제어부(133)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의 UI 데이터(113)를 이용하여 GUI를 표시하는지 여부와 이전의 UI 데이터(114)를 이용하여 GUI를 표시하는지 여부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얻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사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UI 데이터 및 기타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131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UI control unit 133 so that the user interface state module 140 transits the user interface state using the current UI data 113 or the previous UI data 114 . In this case, whether or not the GUI is displayed using the current UI data 113 and whether or not the GUI is displayed using the previous UI data 114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the user UI data having an interface and other circumstances.

또한, 메인 제어부(131)는 터치스크린(151), 마이크로폰(163)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151), 스피커(162), 카메라(6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구성요소가 구동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산출 및 전달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131 controls the touch screen 151, the speaker 162, the camera 600, and the user 160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such as the touch screen 151 and the microphone 163. [ The interface status module 140, and the like.

UI 제어부(133)는 메인 제어부(131)의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UI control unit 133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31 and may control the user interface state module 140 to transit the user interface state using the selected UI data.

예를 들어, 선택된 UI 데이터가 자동차에 관련된 것이면 UI 제어부(133)는 자동차에 관련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이 도 21a 내지 도 2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로 천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UI data is related to the automobile, the UI control unit 133 may use the UI data related to the automobile so that the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140 can be changed to the user interface state of the car as shown in Figs. 21A to 21H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터치스크린 제어부(132)는 I/O 모듈(150)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메인 제어부(131)로 전달하거나 메인 제어부(131)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151)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32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of the I / O module 150 to the main control unit 131 or an image of the user interface on the touch screen 151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31 Can be displayed.

기타 제어부(13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 및 I/O 모듈(150)을 제외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타 제어부(134)는 마이크로폰(163)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메인 제어부(131)로 전달하거나, 메인 제어부(131)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162)에서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ther control unit 13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wearable device 1 except for the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140 and the I / O module 150. For example, the other control unit 134 transmits a voice signal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microphone 163 to the main control unit 131 or a voice signal from the speaker 162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3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은 UI 제어부(133)의 제어신호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하거나 실행한다.The user interface state module 140 transits or executes the user interface state of the wearable device 1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UI control unit 133. [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은 선택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UI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태를 천이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140 may transition the status to a user interface for the UI data using the selected UI data, and may execute a 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140)은 선택된 UI 데이터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계 브랜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전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으로 천이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140 may classify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the selected UI data as a user interface of a car, a user interface of a movement, a user interface of a watch brand, a user interface of a portable terminal,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er interface of the camera.

천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1a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user interface to be chang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A to 29 below.

I/O 모듈(150)은 터치스크린(151)과 기타 입출력 장치 및 그 장치들의 출력을 제어하고 입력을 검출한다.The I / O module 150 controls the outputs of the touch screen 151 and other input / output devices and their devices and detects the input.

구체적으로, I/O 모듈(150)은 터치스크린(151), 그래픽 모듈(152), 접촉 모듈(153) 및 모션 모듈(154)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 / O module 150 may include a touch screen 151, a graphics module 152, a contact module 153, and a motion module 154.

터치스크린(151)은 햅틱(haptic) 또는 택타일(tactile)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터치스크린(151)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감지면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51), 접촉 모듈(153) 및 터치스크린 제어부(132)는 터치스크린(151) 상의 접촉을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을 터치스크린(151) 상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soft key)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과 상호 작용(interaction)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51)과 사용자 사이의 접촉 지점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손가락의 폭(digit)에 대응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151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a user based on haptic or tactile contact. The touch screen 151 includes a touch sensing surface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The touch screen 151, the touch module 153 and the touch screen control 132 detect touches on the touch screen 151 and provide the detected touches with at least one function key ). ≪ / RTI > In addition,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ouch screen 151 and the user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one or more user fingers.

터치스크린(151)은 LED(Light Emitting Diode) 기술,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터치스크린(151)에 이용되는 기술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touch screen 151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technolog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echnology, or a 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LPD) technology. In addition,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a technique used in the touch screen 151.

터치스크린(151)은 용량형(capacitive), 저항형(resistive), 적외선형(infrared) 및 표면 음파 기술과 같은 복수의 터치 감지 기술뿐만 아니라 근접 감지기 어레이(proximity sensor array) 또는 터치스크린(151)과의 접촉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요소를 이용하여 접촉과 이동 또는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1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ouch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capacitive, resistive, infrared and surface acoustic wave technologies as well as a proximity sensor array or touch screen 151, And other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object.

또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stylus), 손가락 등과 같이 적절한 사물이나 부속물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51)과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contact the touch screen 151 using appropriate objects or accessories such as a stylus, a finger, and the like.

그래픽 모듈(152)은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디지털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및 기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터치스크린(151)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래픽 모듈(152)은 터치스크린(151)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aphics module 152 may display all the objects that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151, such as text, a web page, an icon (e.g., a user interface target including soft keys), digital images, . The graphics module 152 may include various software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graphics on the touch screen 151.

또한, 그래픽 모듈(152)은 광 세기 모듈(optical intensity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세기 모듈은 터치스크린(151)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과 같은 그래픽 대상의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광 세기 모듈에서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은 그래픽 대상의 광의 세기를 증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phics module 152 may include an optical intensity module. The light intensity module controls the intensity of light of a graphic object such as a user interfac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Controlling the light intensity in the light intensity module includes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ntensity of light of the graphic object .

접촉 모듈(153)은 터치스크린 제어부(132)와 함께 터치스크린(151)의 접촉을 검출한다. 접촉 모듈(153)은 검출된 터치스크린(151)의 접촉을 모션 모듈(154)에 전달한다.The touch module 153 detects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151 together with the touch screen control part 132. The contact module 153 transfers the contact of the detected touch screen 151 to the motion module 154.

모션 모듈(154)은 터치스크린 제어부(132)와 함께 터치스크린(151) 상에서 접촉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모션 모듈(154)은 터치스크린(151)과의 접촉에 관련된 여러 동작, 예컨대 접촉 여부의 결정, 접촉의 이동과 터치스크린(151)을 횡단하는 이동의 추적 여부 결정 및 접촉의 중지 여부 결정(접촉이 중단된 경우)을 수행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지점 이동에 대한 결정은 접촉 지점의 속력(크기), 속도(크기 및 방향) 또는 가속도(크기 및 방향)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tion module 154 detects the movement of the contact on the touch screen 151 together with the touch screen control 132. [ The motion module 154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various actions related 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151, such as determining whether to contact, whether to track the movement of the contact and the movement traversing the touch screen 151, If it has been suspended). ≪ / RTI > The determination of contact point movement can include determining the speed (magnitude), velocity (magnitude and direction) or acceleration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point of contact.

음향부(160)는 사용자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acoustic unit 160 provides an audio interface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 and the user.

구체적으로 음향부(160)는 기타 제어부(134)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동작에 대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주변 인터페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oustic unit 160 outputs a voice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to the use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other control unit 134 or a voice signal from the peripheral interface, converts the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130).

음향부(160)는 음향 회로(161), 스피커(162) 및 마이크로폰(1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oustic unit 160 may include a sound circuit 161, a speaker 162, and a microphone 163.

음향 회로(161)는 기타 제어부(134)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고, 제어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스피커(162)로 전송한다. 또한, 음향 회로(161)는 마이크로폰(163)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기타 제어부(134)로 전달한다.The sound circuit 161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other control unit 134, converts the contro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peaker 162. The sound circuit 161 receive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from the microphone 163 and transmits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to the guitar controller 134.

또한, 음향 회로(161)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주변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음향 데이터는 주변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제 1 메모리(110) 또는 RF 회로로부터 검색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sound circuit 161 may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data and transmit it to the peripheral interface. The acoustic data may be retrieved or transmitted from the first memory 110 or the RF circuit by the peripheral interface.

또한, 음향 회로(161)는 헤드셋 잭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 잭은 음향 회로(161)와 제거 가능한 입출력 주변장치, 예를 들어 출력 전용 헤드폰 또는 출력(한 쪽 또는 두 귀용 헤드폰)과 입력(마이크로폰(163)) 모두를 갖는 헤드셋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ound circuit 161 may include a headset jack. The headset jack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a sound circuit 161 and a headset having both a removable input / output peripheral, e.g., output-only headphone or output (headphone for one or two ears) and an input (microphone 163).

스피커(162)는 음향 회로(161)에서 수신받은 전기적인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신호를 제공한다.The speaker 162 converts an electric signal received by the sound circuit 161 into a sound wave, and provides an auditory signal to the user.

마이크로폰(163)은 사용자 및 기타 웨어러블 디바이스(1) 주위의 음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기타 제어부(134)에 제공한다.The microphone 163 detects sound waves around the user and other wearable device 1, converts the detected sound waves into electrical signals, and provides them to the other control unit 134.

고정 유닛(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고정 유닛(300)은 밴드(310), 버클(320), 커버(330) 및 보조 기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300 provides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wearable device 1 to the user's wrist. The fixed unit 300 may include a band 310, a buckle 320, a cover 330, and an auxiliary function 340.

밴드(310)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복수 개의 스트랩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 단들이 버클(320)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력을 제공한다. 또한, 밴드(310)는 메인 유닛(100)이 연결되도록 타 단에 수용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The band 3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traps so as to surround the wearer's wrist and one end is fixed by the buckle 320 to provide a fixing force to the user's wrist. In addition, the band 310 may have a receiving structure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main unit 100 is connected.

밴드(310)는 사용자의 손목 주위에 끼워지도록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310)는 가요성을 가지는 폴리머 물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가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에 접촉되는 밴드(310)의 내측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폴리머 물질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가 밴드(310)의 소재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band 310 may be flexible to fit around a user ' s wrist. Specifically, the band 310 may be injection molded with a flexible polymer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leather. 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band 310 contacting the user's wrist may be formed with protrusions of polymer material for anti-slip properties. In addition, various materials having flexibility to provide a clamping force to the user's wrist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material of the band 310. [

버클(320)은 밴드(310)의 일 단들 사이를 연결하여 착용자의 손목에 고정력을 생성하고, 밴드(310)의 길이를 착용자의 손목 굵기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buckle 320 connects between the ends of the band 310 to generate a clamping force on the wearer's wrist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band 310 to match the thickness of the wearer's wrist.

구체적으로, 버클(320)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돌기가 마련되어 연결 돌기에 대응되도록 밴드(3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홈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밴드(310)를 연결 및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클(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부재로 형성되어 힌지 부재의 회전에 의해 밴드(310)의 반경이 좁아지면서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 개의 밴드(310)의 일 단을 연결하고 밴드(310)가 사용자의 손목에 제공하는 고정력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가 버클(320)의 형태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detail, the buckle 320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connection groove formed in the band 3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with at least one connection protrusion, there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nds 310 and providing a fixing force to the wrist of the user can do. 1, the buckle 320 is formed as a hinge member, and the radius of the band 310 is reduced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member, thereby providing a fixing force to the user's wrist. In addition, various forms for connecting one end of the plurality of bands 310 and creating a clamping force that the band 310 provides to the user's wrist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shape of the buckle 320. [

커버(3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이 고정 유닛(300)에 안착 및 고정되기 위한 수용 구조물이다.The cover 330 is a receiving structure for the main unit 100 to be seated and fixed to the fixed unit 300, as shown in FIG.

커버(330)는 메인 유닛(100)의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330)는 메인 유닛(100)과의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30)는 폴리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메인 유닛(100)을 안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 및 소재가 커버(330)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ver 330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or a groov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unit 100. Also, the cover 3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facilitate coupling and fixing with the main unit 100. For example, the cover 330 may be formed of a polymeric material. In addition,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for seating and fixing the main unit 100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cover 330.

보조 기능부(3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구조물이다.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is a receiving structure in which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he auxiliary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can be accommodated.

보조 기능부(340)에는 데이터 유닛(200), 전원부(400), 감지부(500), 카메라(600)가 마련되어 해당 구성요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보조 기능부(340)에 마련될 수 있다.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is provided with a data unit 200, a power supply unit 400, a sensing unit 500, and a camera 600, and can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addition, a component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to be implemented in the wearable device 1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또한, 보조 기능부(340)에는 태그가 구비되어 해당 밴드를 제조한 회사의 회사명 또는 해당 상품의 상표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보조 기능부(340)에 특정 문자를 표시하여 시각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태그가 표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may be provided with a tag to display the company name of the company that manufactured the band or the trademark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tags may be displayed for displaying certain characters in 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to secure visibility.

또한, 보조 기능부(340)는 고정 유닛(300)의 밴드, 버클(320) 또는 커버(330)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보조 기능부(340)에 마련되는 해당 구성요소가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기 위한 다양한 위치가 보조 기능부(340)가 마련되는 위치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may be provided on the band of the fixed unit 300, the buckle 320, or the cover 330. In addition, various positions for facilitating a function to be implemented by a corresponding component provided in 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a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is provided.

데이터 유닛(200)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유닛(200)은 고정 유닛(3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데이터 유닛(200)은 제 2 메모리(210) 및 제 2 통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unit 200 is a device for delivering at least one stored UI data to the main unit 100. The data unit 200 may be included in the fixed unit 300 o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data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memory 2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제 2 메모리(210)는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The second memory 210 stores at least one piece of UI data for displaying a GUI on the main unit 100.

구체적으로, 제 2 메모리(210)는 개별적인 사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 2 통신부(220)를 통해 메인 유닛(100)에 전달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memory 210 stores at least one piece of UI data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n individual object, and transmits the UI data to the main unit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제 2 메모리(210)의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는 해당 데이터 유닛(200)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UI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UI 데이터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UI 데이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는 제 1 UI 데이터 내지(210_1) 제 n UI 데이터(210_n)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UI data of the second memory 210 is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data unit 200. The UI data may be one UI data as needed, have. For example, at least one UI data may include first UI data to (210_1) n UI data 210_n.

제 2 메모리(210)의 종류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메모리(110)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type of the second memory 21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memory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 2 통신부(220)는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to the main unit 100.

구체적으로, 제 2 통신부(220)는 제 1 통신부(120)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에 전달하여 메인 유닛(100)이 제 2 메모리(210)의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GUI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통신부(220)는 제 2 메모리(210)의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110)에 저장된 UI 데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120)로의 UI 데이터 송신을 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to the main unit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2 Display the GUI using UI data of the memory 210. [ 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UI data of the second memory 210 is the same as the UI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does not transmit the UI data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

또한, 제 2 통신부(220)는 제 2 유선 통신부(221), 제 2 무선 통신부(222) 및 제 2 통신 포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wired communication unit 221,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제 2 유선 통신부(221) 및 제 2 무선 통신부(222)의 종류 및 통신 방식 등은 제 1 유선 통신부(121) 및 제 1 무선 통신부(122)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types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second wired communication unit 221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an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

제 2 통신 포트(223)는 제 1 통신 포트(123)의 형상에 대응되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형상이다. 또한, 제 2 통신 포트(223)의 종류는 제 1 통신 포트(123)의 종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is a shape that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shape of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The typ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ype of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

또한, 데이터 유닛(200)은 사용자가 고정 유닛(300)을 교체하면서 시계의 디자인을 변경하고 해당 사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고정 유닛(3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유닛(200)은 밴드(310)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버클(32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커버(330)에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fixed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design of the watch while replacing the fixed unit 300, and a user interface for the object can be implemented. That is, the data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band 310, the buckle 320, or the cover 330.

또한, 데이터 유닛(200)은 사용자가 밴드(310)의 디자인은 유지한 채 해당 사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천이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한 버클(320) 및 보조 기능부(340)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data unit 20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replaceable buckle 320 and the auxiliary function unit 340 so that the user can transition to the user interface for the object while maintaining the design of the band 310. [

또한, 데이터 유닛(200)은 해당 사물 근방에 사용자가 접근하면 메인 유닛(100)이 해당 사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천이될 수 있도록 고정 유닛(300) 외부의 해당 사물 근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유닛(200)이 특정 자동차에 대한 것이라면, 데이터 유닛(200)은 특정 자동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자동차에 접근시 메인 유닛(100)이 특정 자동차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천이될 수 있다.The data unit 200 may be located near the object outside the fixed unit 300 so that the main unit 100 can be shifted to the user interface for the objec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object. For example, if the data unit 200 is for a particular automobile, the data unit 200 is located in a particular automobile and the main unit 100 may transition to a user interface for a particular automobile when the user accesses the automobile .

또한, 데이터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제조사와 동일할 수 있으나, 해당 사물 등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 및 제조 등을 하는 회사에서 개발 및 제조 등을 할 수도 있고, 해당 사물의 개발 및 제조 등을 하는 회사에서 개발 및 제조 등을 할 수도 있다.The data unit 200 may be the same as the manufacturer of the main unit 100. However, the data unit 200 may be developed and manufactured by a company that develops and manufactures a user interface for a corresponding object, It is also possible to develop and manufacture in a company that manufactures, etc.

전원부(4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여 구성요소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거나, 화학적인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여 변환된 전기적인 에너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여 구성요소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또한, 전원부(400)는 충전부(410) 및 배터리(4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00 transmits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each component of the wearable device 1 to provide energy necessary for driving the component, or converts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s energy to each component of the wearable device 1 to provide energy required for driving the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400 may include a charging unit 410 and a battery 420.

충전부(4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메인 유닛(100) 또는 고정 유닛(300)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4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410)는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 공급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410 may supply power to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420 disposed in the main unit 100 or the fixed unit 300 of the wearable device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 In addition, the charging unit 410 can supply power to the wearable device 1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배터리(4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로 구성되며, 배터리(4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420)는 메인 유닛(100)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고정 유닛(30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큰 용량을 위해 메인 유닛(100) 및 고정 유닛(300)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420)는 플렉시블(Flexible) 배터리로 플렉시블 리튬 이차전지가 이용될 수도 있다.The battery 420 is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and the battery 420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of the wearable device 1. [ The battery 42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unit 100 or may be provided in the fixed unit 300 and may be provided in both the main unit 100 and the fixed unit 300 have. Also, the battery 420 may be a flexible battery and a flexibl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또한, 전원부(400)는 전력 오류 검출 회로, 전력 컨버터(converter), 인버터(inverter), 전력 상태 표시기(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및 휴대 장치에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와 관련된 기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400 also includes other components related to power gener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in the power fault detection circuit, power converter, inverter, power status indicator (e.g., light emitting diode) can do.

감지부(5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기능 구현에 필요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 움직임 및 각종 상황을 감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기능 구현 및 제어에 이용한다.The sensing unit 500 sens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movement, and various situations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and use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implement and control the wearable device 1.

예를 들어, 감지부(500)는 생체 감지 센서(510), 이동 감지 센서(520), 자이로 센서(530), 온도 센서(540) 및 습도 센서(55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500 may include a biosensor 510, a movement sensor 520, a gyroscope 530, a temperature sensor 540, and a humidity sensor 550.

생체 감지 센서(510)는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생체 감지 센서(510)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혈당, 염증 및 인바디(체지방)를 측정할 수 있다.The biometric sensor 510 senses the user's body condition. Specifically, the living body detection sensor 510 can measure a user's heart rate,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blood sugar, inflammation, and body fat.

이동 감지 센서(5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감지 센서(52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감지 센서(520)는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에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위치 및 이동 거리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감지 센서(520)는 각 기지국의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 시간을 계산하여 순시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시간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위치 및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520 senses the movement of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 Specifically,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520 detects the movement speed and direction of the user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onverts the movement speed and direction of the user into the movement of the user, there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520 receives radio waves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on the earth orbit,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device 1 from the GPS satellites to the wearable device 1 using the time of arrival (Time of Arrival) The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520 calculat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e of a signal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 in the directional antenna of each base station, instantaneously senses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each base station can be measured and position and movement can be sensed using triangulation.

자이로 센서(5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관성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530)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관성을 측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위치 및 방향,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gyro sensor 530 measures the inertia of the wearable device 1. Specifically, the gyro sensor 530 measures the inertia of the wearable device 1 at present and can detec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the motion of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 and the like.

온도 센서(540) 및 습도 센서(550)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거나, 사용자의 체온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540 and the humidity sensor 55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o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wearer's body and the temperature of the wearable device 1. [

이외에도, 감지부(50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500)는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500)의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5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user accesses the wearable device 1,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around the wearable device 1, 500 may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The sensor of the sensing unit 500 may be added or delet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wearable device 1. [

카메라(600)는 피사체의 정적 영상 및 동적 영상 촬영을 지원한다. 카메라(60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터치스크린(151) 및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The camera 600 supports the static image and the dynamic image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The camera 600 photographs an arbitrary su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to the touch screen 151 and the control unit 130.

또한, 카메라(600)는 메인 유닛(100)에 마련될 수도 있고, 고정 유닛(30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메인 유닛(100) 및 고정 유닛(300)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camera 60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unit 100 or the fixed unit 300 or may be provided in both the main unit 100 and the fixed unit 300. [

또한, 카메라(600)는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영상의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600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an input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image data, and an auxiliary light source that provides an amount of light necessary for capturing an image , Flash).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sensor may include a sensor using a scheme such as a CCD (Charge-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상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유닛(200), 감지부(500) 및 카메라(600)가 고정 유닛(300)과 별도로 마련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s for the case where the data unit 200, the sensing unit 500, and the camera 600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xed unit 300.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유닛이 고정 유닛에 포함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유닛, 감지부 및 카메라가 고정 유닛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각각의 구성들의 기능 및 형상 등은 이상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However, the data unit may be included in the fixed unit as shown in FIG. 5, and the data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camera may be included in the fixed unit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unctions and shapes of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of the wearable devic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bove.

이외에도, 데이터 유닛, 감지부, 카메라 및 결제 모듈은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unit, the sensing unit, the camera, and the payment module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 유닛과 메인 유닛 사이에서 UI 데이터가 전송되는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UI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data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main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FIG.

도 7은 밴드와 메인 유닛을 연결시켜 제 1 통신부(120)와 제 2 통신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FIG. 7 shows a concept of conn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y connecting the band and the main uni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신 포트(123) 및 제 2 통신 포트(223)는 USB 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통신 포트(123) 및 제 2 통신 포트(223)는 서로 대응되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데이터 유닛(200)은 밴드(310)에 마련될 수 있다. 7,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are configured as USB ports, and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to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able. In addition, the data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band 310.

따라서, 제 2 통신 포트(223)를 제 1 통신 포트(123)에 연결하면, 메인 유닛(100)은 제 1 통신 포트(123)와 제 2 통신 포트(223)의 연결을 검출하여 연결이 된 경우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제 1 통신 포트(123) 및 제 2 통신 포트(223)를 통해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유선 통신부(221)는 연결 검출 신호를 제 1 유선 통신부(121)로 송신하고, 제 1 유선 통신부(121)에서 연결 검출 신호가 인식되면 제 1 통신 포트(123)와 제 2 통신 포트(223)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the main unit 100 detec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It is possible to transmit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to the main unit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For example, the second wired communication unit 221 transmits a connection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and whe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recognized in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2 communication port 223 is connected.

이후, 메인 유닛(100)은 전달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GUI를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main unit 100 can display the GUI using at least one transmitted UI data.

도 8은 커버와 메인 유닛을 연결시켜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개념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8 shows an example of a concept of conn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y connecting the cover and the main unit by wir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300)은 밴드(310)와 커버(330)가 착탈이 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통신 포트(123) 및 제 2 통신 포트(223)는 서로 대응되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데이터 유닛(200)은 커버(330) 또는 밴드(310)에 마련될 수 있다.8, the fixed unit 300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band 310 and the cover 330 are not detach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And ar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data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330 or the band 310. [

따라서, 메인 유닛(100)과 커버(330)를 연결하여 제 2 통신 포트(223)를 제 1 통신 포트(123)에 연결하면, 메인 유닛(100)은 제 1 통신 포트(123)와 제 2 통신 포트(223)의 연결을 검출하여 연결이 된 경우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제 1 통신 포트(123) 및 제 2 통신 포트(223)를 통해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유선 통신부(221)는 연결 검출 신호를 제 1 유선 통신부(121)로 송신하고, 제 1 유선 통신부(121)에서 연결 검출 신호가 인식되면 제 1 통신 포트(123)와 제 2 통신 포트(223)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main unit 100 and the cover 3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the main unit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23, If at least one of th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via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100). For example, the second wired communication unit 221 transmits a connection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and whe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recognized in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121, 2 communication port 223 is connected.

이후, 메인 유닛(100)은 전달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GUI를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main unit 100 can display the GUI using at least one transmitted UI data.

도 9a 및 도 9b는 커버와 메인 유닛을 연결시켜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개념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9A and 9B show another example of the concept of conn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y connecting the cover and the main unit by wire.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300)은 밴드(310)와 커버(330)가 착탈이 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통신 포트(123) 및 제 2 통신 포트(223)는 서로 대응되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데이터 유닛(200)은 커버(330) 또는 밴드(310)에 마련될 수 있다.9A and 9B, the fixed unit 300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band 310 and the cover 330 are not detach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are formed so as to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data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330 or the band 310. [

또한, 제 1 통신 포트(123) 및 제 2 통신 포트(223)는 포고 핀으로 서로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이 커버(330)에 슬라이드 형태로 결착되면, 커버(330)의 개구와 타측에 위치한 제 2 통신 포트(223)는 메인 유닛(100)의 제 1 통신 포트(123)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 유닛(200)과 메인 유닛(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pogo pin. 9A and 9B, when the main unit 100 is attached to the cover 330 in the form of a slide, the opening of the cover 3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223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ver 330, The data unit 200 and the main unit 1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3 of the communication unit 100. [

도 10은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의 무선 세션으로 UI 데이터를 전송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FIG. 10 shows a concept of transmitting UI data in a wireless sess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300)과 메인 유닛(100)은 착탈이 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밴드(310) 상에는 보조 기능부(340)가 마련되고, 보조 기능부(340)에는 데이터 유닛(200)이 마련된다.10, the fixed unit 300 and the main unit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be attached and detached. An auxiliary function unit 340 is provided on one band 310, and an auxiliary function unit 340 A data unit 200 is provided.

따라서, 제 1 무선 통신부(122)와 제 2 무선 통신부(222)가 무선 세션이 되면, 제 2 무선 통신부(222)는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제 1 무선 통신부(122)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통신부(222)는 연결 검출 신호를 제 1 무선 통신부(122)로 송신하고, 제 1 무선 통신부(122)에서 연결 검출 신호가 인식되면 제 1 무선 통신부(122)와 제 2 무선 통신부(222)는 무선 세션이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become wireless session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transmits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to the first wireless To the communication unit (122). For exampl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transmits a connection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Whe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recognized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2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can determine that the wireless session is established.

이후, 메인 유닛(100)은 전달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GUI를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main unit 100 can display the GUI using at least one transmitted UI data.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에 전달하는 경우 메인 유닛(100)의 터치스크린(15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송이 진행 중임을 이미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at least one UI data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main unit 100, the touch screen 151 of the main unit 100 can display through the image that wireless transmission is in progress as shown in FIG.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메인 유닛에 연결되는 고정 유닛에 따라 메인 유닛의 인터럭션이 변환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unit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fixed unit connected to the main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 대한 UI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유닛(200)을 포함하는 고정 유닛(300a)을 메인 유닛(100)과 연결하면, 메인 유닛(100)은 자동차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11, when the fixed unit 300a including the data unit 200 storing the UI data for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the main unit 100 provides the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can do.

또한, 자동차에 관한 고정 유닛(300a)을 메인 유닛(100)과 분리하고 가전 기기에 대한 UI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유닛(200)을 포함하는 고정 유닛(300b)을 메인 유닛(100)과 연결하면, 메인 유닛(100)은 가전 기기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fixed unit 300b including the data unit 200 storing UI data for household appliances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by separating the fixed unit 300a related to the automobile from the main unit 100, The main unit 100 may provide an interaction with the household appliance.

또한, 메인 유닛(100)은 가전 기기에 대한 UI 데이터를 전달 받고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전의 자동차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닛(100)은 이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전 기기에 대한 인터렉션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the UI data for the home appliance, and may provide the interaction with the previous vehicle by the user's choice. In addition, the main unit 100 can then be converted into an interaction for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이상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UI 데이터를 전달 받아 해당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변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UI data is received from an externally located data unit and converted into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UI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 유닛(200)에 의해 메인 유닛(100)이 제공하는 인터렉션이 전환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FIG. 12 shows a concept that an interaction provided by the main unit 100 is switched by an externally located data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유닛(200)의 제 2 무선 통신부(222)와 메인 유닛(100)의 제 1 무선 통신부(122)가 무선 세션되면, 데이터 유닛(200)은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메인 유닛(100)은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12, whe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2 of the data unit 200 an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of the main unit 100 are wirelessly connected, the data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mory 210 to the main unit 100. Accordingly, the main unit 100 can provide the corresponding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구체적으로, 가정 내의 먼지, 습도, 온도 등을 측정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도 있고, 냉장고 내부에 있는 음식물 등의 개수와 종류 등을 파악하여 이를 데이터화 하여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data measured by measuring dust, humidity, temperature, etc. in the home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unit 100, and the number and kind of foods and the like in the refrigerator can be grasped and data can be obtained, .

이상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및 데이터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to the main unit have been described.

이하에서는 메인 유닛에 데이터 유닛이 연결된 경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유닛에 저장된 UI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메인 유닛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main unit according to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when the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and the type of the UI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will be described.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로 인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is not limited to the types of the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the wearable device due to a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described below.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FIG. 13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hat a main unit and a data unit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은 데이터 유닛(200)이 연결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데이터 유닛(200)이 메인 유닛(100)에 연결되었다고 입력되면, 메인 유닛(100)에 데이터 유닛(200)이 연결되었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1)를 제공할 수 있다.13, when the main unit 100 recognizes that the data unit 200 is connected or when the data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by a user's command, (G1) that the data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100).

구체적으로, 메인 유닛(100)에 데이터 유닛(200)이 포함된 고정 유닛(300)이 연결된 것으로 인식되면, 메인 유닛(100)은 데이터 유닛(200)과 연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메인 유닛(100)은 터치 스크린(151)에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fixed unit 300 including the data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the main unit 100 can determine that the fixed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data unit 200. Thus, the main unit 100 can provide the text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151.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유닛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되었던 것인지 또는 새롭게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FIG. 14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data units connected to a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ther they are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은 데이터 유닛(200)이 연결되었다는 텍스트를 표시하면서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의 종류를 특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2)를 제공할 수 있다.14, the main unit 100 displays a text indicating that the data unit 200 is connected and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2 to receive an input specifying the type of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200 .

본 실시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2)는 데이터 유닛 연결 텍스트(G2a), 기존 데이터 유닛 선택창(G2b) 및 새로운 데이터 유닛 선택창(G2c)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2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ata unit connection text G2a, an existing data unit selection window G2b and a new data unit selection window G2c.

데이터 유닛 연결 텍스트는 메인 유닛(100)과 데이터 유닛(200)이 연결되었다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메인 유닛(100)은 터치 스크린(151)에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displays the text "Data unit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151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a message that the main unit 100 and the data unit 200 are connected, .

기존 데이터 유닛 선택창(G2b)은 현재 메인 유닛(100)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이 기존에 메인 유닛(100)에 연결되어 UI 데이터가 메인 유닛(1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선택하는 버튼이다. 사용자가 기존 데이터 유닛 선택창(G2b)을 입력하면 기존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통해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existing data unit selection window G2b is a button for selecting the data unit 200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when the data unit 200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is already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and the UI data is stored in the main unit 100 to be. When the user inputs the existing data unit selection window G2b,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teraction through the UI data stored in advance.

새로운 데이터 유닛 선택창(G2c)은 현재 메인 유닛(100)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이 기존에 메인 유닛(100)에 연결되지 않아 현재 메인 유닛(100)에 UI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 선택하는 버튼이다. 사용자가 새로운 데이터 유닛 선택창(G2c)을 입력하면 현재 메인 유닛(100)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메인 유닛(100)이 전달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I data is not stored in the main unit 100 because the data unit 200 currently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the new data unit selection window G2c is selected Button. When the user inputs a new data unit selection window G2c, the UI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200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is transferred to the main unit 100, and the main unit 100 transmits UI data Lt; / RTI >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FIG. 15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that indicates that a previously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to a mai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6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that indicates that a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a main unit, Respectively.

사용자가 현재 메인 유닛(100)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이 기존에 연결한 것인지 아니면 새롭게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지 않고, 메인 유닛(100) 스스로 이를 인식하는 경우에 메인 유닛(100)은 도 15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3) 및 도 16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4)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whether the data unit 200 currently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is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and the main unit 100 recognizes the data unit 200 itself,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4 as shown in FIG. 16 can be provided.

구체적으로, 메인 유닛(100)이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이 기존에 연결된 경우 또는 메인 유닛(100)의 제 1 메모리(110)에 저장된 UI 데이터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에 포함된 경우로 인식하면, 메인 유닛(100)은 도 15와 같이 이를 알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3)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ata unit 200 to which the main unit 100 is currently connected is already connected or when the UI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of the main unit 100 is included in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200 , The main unit 100 may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3) for informing the user as shown in FIG.

이 경우, 메인 유닛(100)은 터치 스크린(151)에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unit 100 can provide the touch screen 151 with the text "an already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

반대로, 메인 유닛(100)이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이 새롭게 연결된 경우 또는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에 저장된 UI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메인 유닛(100)의 제 1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인식하면, 메인 유닛(100)은 도 16과 같이 이를 알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4)를 제공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data unit 200 to which the main unit 100 is currently connected is newly connected, or when data matching the UI data stored in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200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of the main unit 100 , The main unit 100 may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4)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tus as shown in FIG.

이 경우, 메인 유닛(100)은 터치 스크린(151)에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unit 100 may provide the touch screen 151 with the text "New data unit is connected ".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된 경우에 핀번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17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pin number when a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메인 유닛(100)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이 기존에 연결되지 않은 새로운 데이터 유닛(200)인 경우, 데이터 유닛(200)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하기 전에 인증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메인 유닛(100)은 인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5)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data unit 200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is a new data unit 200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it is necessary to perform authentication before transmitting the UI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200 to the main unit 100 , So that the main unit 100 can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5 for authentication,

구체적으로, 인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5)는 핀번호 입력 안내 텍스트(G5a), 입력된 핀번호 표시창(G5b) 및 핀번호 선택창(G5c)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5 for authentication may include a pin number input guidance text G5a, an input pin number display window G5b, and a pin number selection window G5c.

핀번호 입력 안내 텍스트(G5a)는 새로운 데이터 유닛(200)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의 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핀번호 입력 안내 텍스트(G5a)는 터치 스크린(151)에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의 핀번호를 입력하시길 바랍니다."라는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IN number input guidance text G5a may provide a message to input the PIN numb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200 in order to transfer the UI data stored in the new data unit 200 to the main unit 100. [ Specifically, the pin number input guidance text G5a can provide a text of "Please enter the pin numb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on the touch screen 151. [

입력된 핀번호 표시창(G5b)은 현재 입력된 핀번호의 개수 및 가장 마지막으로 입력한 핀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핀번호 표시창(G5b)은 마지막으로 입력한 핀번호를 제외하고 이전에 입력된 핀번호를 보안을 위해 "*"로 표시할 수 있다.The entered pin number display window (G5b) can display the number of the currently input pin number and the last entered pin number. In addition, the entered pin number display window (G5b) can display the previously input pin number as "*" for security, except for the last inputted pin number.

핀번호 선택창(G5c)은 사용자가 입력할 핀번호를 입력하는 선택창으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12 종류의 문자를 6번 입력할 수 있다.The pin number selection window G5c is a selection window for inputting a pin number to be input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input 12 kinds of characters 6 times as shown in Fig.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메인 유닛에 연결된 경우 인증 절차 이후 UI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FIG. 18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ransfer of UI data after an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a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과 같은 새로운 데이터 유닛(200)의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데이터 유닛(200)에 저장된 UI 데이터는 메인 유닛(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유닛(100)은 UI 데이터가 전달되고 있다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유닛(100)은 터치 스크린(151)에 "UI 데이터 수진 중??"이라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6)를 제공할 수 있다.17, the UI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main unit 100. In this case, In this case, the main unit 100 may provide a message to the user that the UI data is being transferred. Specifically, the main unit 100 may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6) containing the text "UI Data Acquisition ??" on the touch screen 151. [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전달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19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that receives input as to whether to switch to an interaction based on UI data delivered by a new data uni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메인 유닛(100)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200)이 메인 유닛(100)으로 UI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완료하면, 메인 유닛(100)은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활할지 여부를 입력 받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7)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data unit 200 connected to the main unit 100 finishes transferring the UI data to the main unit 100, the main unit 100 notifies the user of the transfer of the UI data, And can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7 to receive the input.

이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7)는 수신 완료 및 인터렉션 전환 안내 텍스트(G7a), 인터렉션 전환 선택창(G7b) 및 인터렉션 비전환 선택창(G7c)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7 may include the reception completion and interaction switching guidance text G7a, the interaction switching selection window G7b, and the interaction ratio switching selection window G7c.

수신 완료 및 인터렉션 전환 안내 텍스트(G7a)는 UI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고, 수신 완료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할 것인지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유닛(100)은 터치 스크린(151)에 "UI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습니다. 연결된 데이터 유닛의 UI로 변경하시겠습니까?"라는 텍트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reception completion and interaction switching guidance text G7a can provide a guidance message indicating whether reception of the UI data has been completed and switching to an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Specifically, the main unit 100 can display a text saying "reception of UI data is completed, change to UI of connected data unit ?,"

인터렉션 전환 선택창(G7b) 및 인터렉션 비전환 선택창(G7c)은 수신 완료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창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수신 완료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인터렉션 전환 선택창(G7b)을 누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수신 완료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인터렉션 비전환 선택창(G7c)을 누를 수 있다.The interaction switching selection window G7b and the interaction ratio switching selection window G7c are windows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as to whether or not to switch to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Specifically, when the user intends to switch to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the interaction switching selection window G7b can be pressed. Conversely,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switch to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he can press the interaction ratio switching selection window G7c.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공할 인터렉션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0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type of interaction to be provided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8)는 현재 메인 유닛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따라 전환될 수 있는 인터렉션의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으로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8)는 간략 시간 이미지(903), 자동차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a), 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b), 시계 브랜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c), 휴대용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d), 음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e), 가전 기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f), 카메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g) 및 결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h)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8 is a screen for selecting the kind of interaction that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UI data currently stored in the main unit.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8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n automobile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a ), An exercise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b, a clock brand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c, a portable terminal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d, a sound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e, a home appliance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f, A camera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g, and a payment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h.

간략 시간 이미지(903)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may be an image represent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자동차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a)는 자동차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차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이고, 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b)는 운동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동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이고, 시계 브랜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c)는 시계 브랜드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계 브랜드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이고, 휴대용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d)는 휴대용 단말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이고, 음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e)는 음향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f)는 가전 기기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이고, 카메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g)는 카메라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이고, 결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키(G8h)는 결제에 대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드 결제에 대한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키일 수 있다.The vehicle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a i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mmand of the user to switch to a graphic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an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UI data for the vehicle, And the clock brand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c i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mmand of the user to switch to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with the movement based on the UI data for the clock brand, The portable terminal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d i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mmand of a user to switch to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with a brand, and the portable terminal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d provides an intera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UI data for the portable terminal Switch to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ound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e i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mmand of the user to switch to a graphic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an interaction with sound based on the UI data for the sound , The home appliance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f i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mmand of the user to switch to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with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UI data for the home appliance, G8g) i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mmand of the user to switch to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with the camera based on the UI data for the camera, and the settlement user interface selection key G8h is a function key based on UI data for settlement A graphic metaphor that provides an interaction for card payment It can function kiil receiving the user's instruction to switch to the interface.

이하, 도 21a 내지 도 21h를 참조하여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of an automob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A to 21H.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특정 차량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specific vehicle.

예를 들어, 특정 차량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 손상 상태를 체크하고, 그 시점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차량에 경보음을 울려 차량 외부를 손상한 대상에 대해 손상을 알릴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a specific vehicle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external damage status of the vehicle, view the inside or outside images at that point, and alert the vehicle to an object The damage may be reported to the user.

또한, 사용자는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차량의 내부 환경(예를 들어, 공기, 냄새, 온도, 차량 시트 등)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승 전에 길안내 프로그램의 목적지의 설정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adjust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air, smell, temperature, vehicle seat, etc.) Can be set.

또한,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 상태(예를 들어, 도어의 개폐, 라이트의 점등 여부, 타이어 공기압, 세차의 필요성 등)를 파악할 수 있고, 차량의 내부 상태(예을 들어, 냉각수, 엔진 오일, 냉각수, 워셔액, 누유 여부, 필터 교체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grasp the external state of the vehicle (e.g.,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lighting of the light, tire air pressure, Washer fluid, leaked oil, whether or not to replace the filter).

또한, 사용자는 현재 차량의 주유 상태, 배터리 충전 상태, 주행 가능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으고,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차량의 스마트 키로 이용되어 시동, 창문, 탑루프 개폐, 도어의 개폐 및 트렁크의 개폐 등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wearable device 1 can be used as a smart key of the vehicle and can be used as a smart key of a vehicle, such as a start, a window, a top roof opening / closing, a door opening / clos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unk can be controlled.

또한, 사용자는 주차장의 위치를 파악하고, 대리 기사 호출 등과 같은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하이패스와 같은 통행료 지불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Further,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parking lot, use convenient functions such as call-up of surrogate articles, and the wearable device 1 can function as a toll payment system such as a high pass.

도 21a 내지 도 21h는 자동차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자동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1A to 21H illustrate an automati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UI data for a car.

도 21a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1 화면(910)을 도시하고 있다.FIG. 21A shows a first screen 910 of the car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car.

자동차 제 1 화면(910)은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1 화면(91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자동차 제 1 기능키(Soft Key)(911), 자동차 제 2 기능키(912), 자동차 제 3 기능키(913), 자동차 제 4 기능키(914), 자동차 제 5 기능키(915), 자동차 제 6 기능키(916), 자동차 제 7 기능키(917), 자동차 제 8 기능키(918) 및 자동차 제 9 기능키(9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obile first screen 910 is a main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car. The automobile first screen 91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second function key 912, an automobile third function key 913, a fourth automobile function key 914, a fifth automobile function key 915, an automobile sixth function key 911, An automobile seventh function key 917, an automobile eighth function key 918, and an automobile ninth function key 919. In this case,

간략 시간 이미지(903)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창 위치 이미지(904)는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를 원의 형태의 이미지에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원에 색을 채워 표현하는 이미지이고,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총 창의 개수와 현재 표시되는 창의 페이지 수를 숫자로 표현한 이미지일 수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is an image for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to the position of the window currently displayed in the image of the circle shape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number of total windows and the number of pages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are represented by numerals.

자동차 제 1 기능키는 차량의 도어 잠금을 수행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2 기능키(912)는 차량의 도어 열림을 수행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3 기능키(913)는 차량의 트렁크 열림을 수행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4 기능키(914)는 차량의 트렁크 잠금을 수행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5 기능키(915)는 차량의 시동을 켜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6 기능키(916)는 차량의 에어컨 및 히터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7 기능키(917)는 차량의 시트를 조절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8 기능키(918)는 차량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키이고, 자동차 제 9 기능키(919)는 컨버터블 차량에 있어서 탑루프의 개방을 수행하는 기능키일 수 있다.The first function key of the vehicle is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the door locking of the vehicle, the second function key 912 of the vehicle is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door opening of the vehicle, and the third function key 913 of the vehicle is a trunk open The fourth function key 914 is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trunk lock of the vehicle, the fifth function key 915 is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turning on the start of the vehicle, The seventh function key 917 is a function key for adjusting the seat of the vehicle, and the eighth function key 918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heater of the vehicle. The ninth function key 919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ninth function key 919 may be a function key for opening the top loop in the convertible vehicle.

도 21a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동차 제 1 화면(91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screen 910 shown in Fig. 21A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user's finger motion.

도 21b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2 화면(920)을 도시하고 있다.Fig. 21B shows a second automobile screen 92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automobile.

자동차 제 2 화면(920)은 자동차 상태에 대한 간략적인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2 화면(920)은 간략 상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obile second screen 920 is a simplified screen for the automobile condition, and the automobile second screen 920 may include a brief condition image.

자동차 제 2 화면(920)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세한 자동차 상태 화면을 일일이 찾을 필요 없이 개략적인 자동차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screen 920 of the car will allow the user to grasp the approximate state of the car without having to look at detailed car status screens.

간략 상태 이미지는 차량의 주유 상태 및 충전 상태, 차량 외부의 손상,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 및 라이트의 온-오프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simplified status image can indicate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tate of charge and charge, damag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runk, and whether the light is on or off.

또한, 도 21b의 자동차 제 2 화면(92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1B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1c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3 화면(921)을 도시하고 있다.21C shows a third automobile screen 921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automobile.

자동차 제 3 화면(921)은 자동차의 연료 상태를 표시한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3 화면(921)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주유 상태 이미지(923), 충전 상태 이미지(922) 및 주행 가능 거리 이미지(9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automobile screen 921 is a screen displaying the fuel status of the automobile. The third automobile screen 921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state of charge image 923, a state of charge image 922, and a travelable distance image 924.

자동차 제 3 화면(921)으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 탑승 전 현재 차량의 연료 상태를 미리 파악하고 주행 가능 거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grasp the fuel state of the current vehicle before boarding the vehicle in advance and grasp the travelable distance due to the third screen 921 of the car.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주유 상태 이미지(923)는 현재 주유 탱크에 채워져 있는 주유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주유 탱크의 용량과 채워져 있는 기름의 용량을 백분위로 표현할 수도 있고, 그 비율을 원형의 막대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The gasoline state image 923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gasoline state currently filled in the gasoline tank, and the capacity of the gasoline tank and the capacity of the oil filled in the gasoline tank 923 may be expressed as a percentile, or the ratio may be expressed visually as a circular rod shape .

충전 상태 이미지(922)는 현재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배터리의 용량과 충전된 전기 에너지의 용량을 백분위로 표현할 수도 있고, 그 비율을 원형의 막대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The charged state image 922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state of the electric energy charged in the battery. The charged state image 922 may represent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nd the capacity of the charged electric energy as a percentile or may be expressed visually as a circular rod have.

주행 가능 거리 이미지(924)는 현재 주유 상태 또는 충전된 전기 에너지의 양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가능한 거리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travelable distance image 924 may be an image indicative of the distance the vehicle can travel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or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charged.

또한, 도 21c의 자동차 제 3 화면(921)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Further, the third automobile screen 921 of FIG. 21C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1d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4 화면(925)을 도시하고 있다.FIG. 21D shows the fourth automobile screen 925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car.

자동차 제 4 화면(925)은 주차장에서의 차량 위치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4 화면(925)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차량 주차 위치 텍스트(926), 주차장 이미지(927), 주차 위치 이미지(928) 및 사용자의 위치 이미지(9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obile fourth screen 925 i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vehicle position in the parking lot. The fourth automobile screen 925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Location text 926, parking image 927, parking location image 928, and location image 929 of the user.

자동차 제 4 화면(925)으로 인해 사용자는 주차장에서의 차량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urth screen 925 of the car will allow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차량 주차 위치 텍스트(926)는 현재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의 층수 및 주차된 섹터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주차장 이미지(927)는 현재 차량이 주차된 층수의 주차장의 지도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주차 위치 이미지(928)는 주차장 이미지(927)에서 현재 차량이 주차된 주차 구역을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사용자의 위치 이미지(929)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vehicle parking position text 926 is an image showing the number of floors and parked parking lots i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parked, the parking lot image 927 is an image showing a map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parked, The image 928 is an image showing the parking area where the current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lot image 927 and the location image 929 of the user may be an image indicating the location where the current user is located.

또한, 도 21d의 자동차 제 4 화면(925)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automobile screen 925 of FIG. 21D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user side.

도 21e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5 화면(930)을 도시하고 있다.21E shows the fifth automobile screen 93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automobile.

자동차 제 5 화면(930)은 차량의 길안내 프로그램에 대한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5 화면(93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길안내 이미지(931), 목적지 설정 프롬프트(932), 음성 입력 기능키(933) 및 자판 입력 기능키(9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fth screen 930 of the vehicle is a screen for a route guidance program of the vehicle. The fifth screen 930 of the car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destination setting prompt 932, a voice input function key 933, and a keyboard input function key 934. [0052] FIG.

자동차 제 5 화면(930)으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 탑승 전 길안내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차량 탑승 후 지체 시간 없이 목적지를 향해 출발할 수 있을 것이다.With the fifth screen 930 of the car, the user can set the route guidance program before boarding the vehicle and depart for the destination without delay after boarding the vehicle.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길안내 이미지(931)는 현재 창이 길안내 단말기에 미리 목적지를 설정하는 창을 의미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목적지 설정 프롬프트(932)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요구하는 목적지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이미지 이고, 음성 입력 기능키(933)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목적지를 음성 인식을 통해 입력하는 기능키이고, 자판 입력 기능키(934)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목적지를 자판 입력을 통해 입력하는 기능키이다.The route guidance image 931 is an image for displaying to the user that the current window means a window for setting a destination in advance on the route guidance terminal. The destination setting prompt 932 instructs the user to set a destination requested by the user, The voice input function key 933 i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destination requested by the user through voice recognition, and the keyboard input function key 934 is a function for inputting a destination requested by the user through keyboard input Key.

또한, 도 21e의 자동차 제 5 화면(93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fth automobile screen 930 of FIG. 21E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1f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6 화면(935)을 도시하고 있다.FIG. 21F shows a sixth automobile screen 935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automobile.

자동차 제 6 화면(935)은 자동차 내부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6 화면(935)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냉각수 상태 이미지(935a), 엔진 오일 상태 이미지(935b), 워셔액 상태 이미지(935c), 누유 여부 이미지(935d) 및 필터 교체 여부 이미지(935e)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obile sixth screen 935 i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automobile. The sixth automobile screen 935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935a, an engine oil state image 935b, a washer fluid state image 935c, a leak check image 935d, and a filter replacement image 935e.

자동차 제 6 화면(935)으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의 보닛(bonnet)을 열어 엔진 룸 상태를 체크하거나, 차량 내부에 탑승 후 차량 표시부를 통해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The sixth screen 935 of the automobile allows the user to open a bonnet of the vehicle to check the state of the engine room or reduce the time wasted in check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display after boarding the vehicle.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냉각수 상태 이미지(935a)는 현재 냉각수 탱크에 채워져 있는 냉각수의 용량을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냉각수 탱크의 용량과 채워져 있는 냉각수의 용량을 백분위로 표현할 수도 있고, 그 비율을 직선형의 막대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status image 935a is an image showing the capacity of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present cooling water tank. The capacity of the cooling water tank and the capacity of the cooling water filled can be expressed as a percentage, and the ratio can be visually expressed as a linear bar have.

엔진 오일 상태 이미지(935b)는 현재 엔진 오일 탱크에 채워져 있는 엔진 오일의 용량을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엔진 오일 탱크의 용량과 채워져 있는 엔진 오일의 용량을 백분위로 표현할 수도 있고, 그 비율을 직선형의 막대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The engine oil state image 935b is an image showing the capacity of the engine oil filled in the engine oil tank at present and may represent the capacity of the engine oil tank and the capacity of the engine oil filled in the percentile, As shown in FIG.

워셔액 상태 이미지(935c)는 현재 워셔액 탱크에 채워져 있는 워셔액의 용량을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워셔액 탱크의 용량과 채워져 있는 워셔액의 용량을 백분위로 표현할 수도 있고, 그 비율을 직선형의 막대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The washer liquid state image 935c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capacity of the washer liquid currently filled in the washer liquid tank. The capacity of the washer liquid tank and the capacity of the filled washer liquid can be expressed by percentiles, and the ratio can be visually expressed in a linear bar shape have.

누유 여부 이미지(935d)는 엔진룸 내부에 연료, 엔진 오일 및 기타 액체의 누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필터 교체 여부 이미지(935e)는 공기 정화 필터 또는 에어컨 필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oil leakage image 935d is an image showing whether or not a fuel, engine oil and other liquids have leaked into the engine room. The filter replacement image 935e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air purifying filter or the air conditioner filter is replaced Image.

또한, 도 21f의 자동차 제 6 화면(935)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Further, the sixth automobile screen 935 of FIG. 21F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user side.

도 21g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7 화면(940)을 도시하고 있다.FIG. 21G shows the seventh automobile screen 94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automobile.

자동차 제 7 화면(940)은 차량 외부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7 화면(94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라이트의 상태 이미지(941), 도어 개폐 여부 이미지(943) 및 타이어 공기압 이미지(9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obile seventh screen 940 i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external state of the vehicle. The seventh automobile screen 94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door open / closed state image 943, and a tire air pressure image 942. [

자동차 제 7 화면(940)으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 상태를 차량을 직접 살펴보지도 않고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venth screen 940 of the automobile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external state of the vehicle without having to look directly at the vehicle.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라이트의 상태 이미지(941)는 현재 차량의 라이트가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도어 개폐 여부 이미지(943)는 현재 차량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state image 941 of the light is an image indicating whether the light of the current vehicle is on or off,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image 943 may be an image indicating whether the door of the current vehicle is open or closed.

타이어 공기압 이미지(942)는 개별적인 바퀴의 공기압을 표시하여 현재 타이어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이미지로서, 타이어 공기압 이미지(942)는 전륜좌측 타이어 공기압 이미지(942FL), 전륜우측 타이어 공기압 이미지(942FR), 후륜좌측 타이어 공기압 이미지(942RL) 및 후륜우측 타이어 공기압 이미지(942RR)로 나뉠 수 있다.The tire air pressure image 942 represents the front tire left air pressure image 942FL, the front right tire pressure air image 942FR, and the front tire right air pressure image 942. The tire air pressure image 942 represents an air pressure of the individual wheels, Rear left tire air pressure image 942RL and rear right tire air pressure image 942RR.

또한, 도 21g의 자동차 제 7 화면(94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venth automobile screen 940 of FIG. 21G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user side.

도 21h는 자동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차 제 8 화면(945)을 도시하고 있다.FIG. 21H shows an eighth screen 945 of the automobile user interface.

자동차 제 8 화면(945)은 차량 외부 손상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자동차 제 8 화면(945)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차량 손상 프롬프트(946), 영상 기능키(947) 및 경보음 기능키(948)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 eighth screen 945 i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damage state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eighth screen 945 of the car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display function key 946, a video function key 947 and an alarm sound function key 948. [

자동차 제 8 화면(945)으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 손상 상태, 즉 문콕과 같이 근방의 차량의 도어를 여닫으면서 발생하는 차량의 외부 손상을 손쉽게 감지하고, 차량을 손상한 대상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e eighth screen 945 of the vehicle allows the user to easily detect the external damage of the vehicle, that is, the external damage of the vehicle caused by closing the door of the nearby vehicle, such as a door lock, There will be.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1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차량 손상 프롬프트(946)는 차량이 외부가 손상된 시간 및 손상 여부를 표시하여 주는 텍스트이고, 영상 기능키(947)는 차량의 외부가 손상된 시점의 근방의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영상을 표시시켜주는 기능키이고, 경보음 기능키(948)는 차량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차량을 손상한 대상에게 차량 손상을 인지시켜주는 기능키일 수 있다.The vehicle damage prompt 946 is a text indicating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damaged and whether the vehicle is damaged. The image function key 947 is a function key for displaying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vehicle near the time when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damaged. And the alarm sound function key 948 may be a function key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of the vehicle to recognize the vehicle damage to the vehicle damaged.

또한, 도 21h의 자동차 제 8 화면(945)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ighth screen 945 of the car in Fig. 21H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이하, 도 22a 내지 도 22c를 참조하여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mo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A to 22C.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운동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exercise.

예를 들어, 운동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워킹, 러닝 등을 한 이동 거리, 평균 속도 등을 알 수 있고, 운동 중에 순간적인 심장 박동수, 운동 전의 인바디 체크를 통해 사용자의 체지방량을 체크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exercise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walking distance, the average speed, and the like while walking, running, etc., and check the user's body fat amount through an instant heart rate and an in- .

또한, 사용자는 운동으로 인해 소비한 칼로리와 섭취할 칼로리를 인지하고, 식단을 스케줄하며, 운동 용품의 상점을 체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e calories consumed by the exercise and the calories to be consumed, schedule the diet, and check the shop of the exercise goods.

또한, 사용자는 운동 코칭 어플리케이션 또는 트레이너가 설정한 스케줄에 따라 운동을 코치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coach the exercise according to the schedule set by the exercise coaching application or the train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늘의 부위별 웨이트를 설정하여 등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데드 리프트(dead lift), 벤트 오버 로우(bent over row) 및 랫 풀 다운(lat pull down)을, 가슴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벤치 프레스(bench press), 덤벨 플라이(dumbbell fly) 및 체스트 프레스(chest press)를, 하체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스쿼트(squat), 레그 프레스(leg press) 및 런지(lunge)를, 어깨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오버헤드 덤벨 프레스(overhead dumbbell press), 덤벨 사이드 레터럴(dumbbell side lateral) 및 업라이트 로우(upright row)를, 이두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바벨 컬(barbell curl), 해머 컬(hammer curl) 및 케이블 컬(cable curl)을, 삼두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라잉 트라이셉스 익스텐션(lying triceps extension), 케이블 프레스 다운(cable press down) 및 덤벨 킥 백(dumbbel kick back)을 나열하고, 각 운동의 개수 및 세트수를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t dead weight, bent over row and lat pull down when performing a back exercise by setting a weight for each part of the day, A dumbbell fly and a chest press, a squat, a leg press and a lunge for lower body exercises, a shoulder motion for a shoulder motion, An overhead dumbbell press, a dumbbell side lateral and an upright row may be used in the case of a bicep movement, a barbell curl, a hammer curl Cable trimming, cable trimming, cable trimming, cable trimming, cable trimming, cable trimming, cable trimming, cable trimming and cable trimming. Number and number of sets Can be calculated.

또한, 사용자는 이전에 수행하였던 근력 운동에 대한 기록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grasp the record of the previous exercise.

또한, 사용자는 심장 박동수에 기초하여 웨이트를 하는 경우 최대 근력을 사용하는 시점을 인지하여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weighting based on the heart rate,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int of time when the maximum muscle power is used and perform effective exercise.

도 22a 내지 도 22c는 운동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2A to 22C illustrate a user interface of a movement for displaying a GUI on the main unit 100 by using UI data on the movement.

도 22a는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동 제 1 화면(950)을 도시하고 있다.FIG. 22A shows a motion first screen 950 of the user interface of motion.

운동 제 1 화면(950)은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으로서, 운동 제 1 화면(95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운동 제 1 기능키(951), 운동 제 2 기능키(952), 운동 제 3 기능키(953), 운동 제 4 기능키(954), 운동 제 5 기능키(955) 및 운동 제 6 기능키(9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first screen 950 is a main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exercise. The first exercise screen 95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Key 951, a motion second function key 952, a motion third function key 953, a motion fourth function key 954, a motion fifth function key 955, and a motion sixth function key 956 .

간략 시간 이미지(903)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창 위치 이미지(904)는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를 원의 형태의 이미지에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원에 색을 채워 표현하는 이미지이고,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총 창의 개수와 현재 표시되는 창의 페이지 수를 숫자로 표현한 이미지일 수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is an image for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to the position of the window currently displayed in the image of the circle shape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number of total windows and the number of pages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are represented by numerals.

운동 제 1 기능키(951)는 웨이트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운동 제 2 기능키(952)는 달리기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운동 제 3 기능키(953)는 걷기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운동 제 4 기능키(954)는 사이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운동 제 5 기능키(955)는 심장 박동수를 체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운동 제 6 기능키(956)는 소비된 칼로리를 체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exercise first function key 951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weight, the exercise second function key 952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running, the exercise third function key 953, The exercise fourth function key 954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a cycle and the exercise fifth function key 955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walking, And the exercise sixth function key 956 may be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hecking the consumed calories.

또한, 도 22a의 운동 제 1 화면(95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ercise screen 950 shown in FIG. 22A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2b는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동 제 2 화면(960)을 도시하고 있다.FIG. 22B shows a motion second screen 96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motion.

운동 제 2 화면(960)은 근력 운동 가이드에 대한 화면으로서, 운동 제 2 화면(96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웨이트 운동 부위 이미지(961), 제 1 운동 명칭 이미지(962a), 제 1 운동 개수 및 세트수 이미지(962b), 제 2 운동 명칭 이미지(963a), 제 2 운동 개수 및 세트수 이미지(963b), 제 3 운동 명칭 이미지(964a), 제 3 운동 개수 및 세트수 이미지(964b) 및 현재 운동 중인 운동의 개수 이미지(9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second screen 960 is a screen for the strength exercise guide and the exercise second screen 96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961, 962, 963, 961, 962, 963, 963, 963, 963, 963, 963, A first motion number 964a, a third motion number and set number image 964b, and a current number of motion motion images 965.

운동 제 2 화면(960)으로 인해 사용자는 근력 운동시 정확한 횟수와 운동 코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The exercise second screen 960 will allow the user to receive the correct number of times and exercise coaches during exercise.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2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웨이트 운동 부위 이미지(961)는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근력 운동의 부위에 대한 이미지이다. 또한, 제 1 운동 명칭 이미지(962a)는 해당 부위에 대한 하나의 운동 명칭에 대한 이미지이고, 제 1 운동 개수 및 세트수 이미지(962b)는 제 1 운동의 운동 개수와 세트수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제 2 운동 명칭 이미지(963a)는 해당 부위에 대한 다른 운동 명칭에 대한 이미지이고, 제 2 운동 개수 및 세트수 이미지(963b) 이미지는 제 2 운동의 운동 개수와 세트수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제 3 운동 명칭 이미지(964a)는 해당 부위에 대한 또 다른 운동 명칭에 대한 이미지이고, 제 3 운동 개수 및 세트수 이미지(964b) 이미지는 제 3 운동의 운동 개수와 세트수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현재 운동 중인 운동의 개수 이미지(965)는 현재 운동 중인 운동의 개수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weight movement part image 961 is an image of a part of the muscle movement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first motion image name 962a is an image for one motion name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the first motion number and set number image 962b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number of motions and the number of sets of the first motion , The second motion name image 963a is an image for another motion name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the second motion number and set number image 963b image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number of motions and the number of sets of the second motion, The third motion image name 964a is an image for another motion name for the region, the third motion number and set number image 964b image is an image for indicating the number of motion and the number of sets of the third motion, The current number of motion images 965 may be an image representing the number of motions in motion at the present time.

또한, 도 22b의 운동 제 2 화면(96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ercise screen 960 of FIG. 22B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finger mot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2c는 운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동 제 3 화면(970)을 도시하고 있다.22C shows a third exercise screen 97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exercise.

운동 제 3 화면(970)은 심장 박동수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운동 제 3 화면(97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현재 창에 대한 정보 이미지(971), 심장 박동수 측정 아이콘(972) 및 측정된 심박수 이미지(9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third screen 970 i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heart rate. The exercise third screen 97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n image 971, a heart rate measurement icon 972, and a measured heart rate image 973.

운동 제 3 화면(970)으로 인해 사용자는 운동시 순간적인 심장 박동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exercise third screen 970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instantaneous heart rate during exercise.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2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the same as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현재 창에 대한 정보 이미지(971)는 현재의 창이 심장 박동수 측정을 하기 위한 창임을 알리는 이미지이고, 심장 박동수 측정 아이콘(972)은 심장 박동수 측정을 하기 위한 창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측정된 심박수 이미지(973)는 생체 감지 센서(5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현재 순간적인 심장 박동수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image 971 for the current window is an image indicating that the current window is a window for measuring heart rate, the heart rate icon 972 is an image for visually displaying a window for measuring heart rate, The heart rate image 973 may be an image indicating the current instantaneous heart rate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biometric sensor 510.

또한, 도 22c의 운동 제 3 화면(97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The third exercise screen 970 shown in FIG. 22C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이하, 도 23a 내지 도 23d를 참조하여 브랜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br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A to 23D.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패션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shion.

예를 들어, 패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특정 브랜드에서 디자인한 디스플레이 및 시계 디자인으로 변경하고, 특정 브랜드의 로고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fashion can be implemented so that a user can change to a display and clock design designed by a particular brand, and display a logo of a particular brand.

또한, 사용자는 특정 브랜드의 보유 아이템을 관리하고, 맞춤 코디를 추천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manage items possessed by a specific brand, and can recommend personalized coordination.

또한, 사용자는 특정 브랜드의 리셉션 또는 패션쇼의 일정을 체크하고 초대장을 받을 수 있으며, 특정 브랜드의 패밀리 세일에 대한 정보 및 할인 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schedule of the reception or the fashion show of a specific brand, receive an invitation, and issue information and a discount coupon for a specific brand's family sale.

도 23a 내지 도 23d는 시계 브랜드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시계 브랜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3A to 23D show a user interface of a watch brand that displays a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UI data for a watch brand.

특정 시계 브랜드의 UI 데이터에 따라 메인 유닛(100)의 터치스크린(151)에는 특정 브랜드의 디자인 및 상표가 표시될 수 있다.The design and trademark of a specific brand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of the main unit 100 according to UI data of a specific watch brand.

예를 들어,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은 아날로그 시계 형태로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도 23c 및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크로노그래프(1005)를 표시하여 날짜, 세계 시간을 표시하거나 스탑 워치로 기능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A, the touch screen 151 can inform the time in the form of an analog clock. Further, as shown in FIGS. 23C and 23D, at least one chronograph 1005 may be displayed to display a date, a world time, or a stop watch.

이하, 도 24a 내지 도 24d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A to 24D.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portable terminal.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통화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제조한 제조사와 상이한 회사에서 제조한 휴대폰 단말기 또는 다른 OS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도 연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to the handheld terminal allows the user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make calls. In this case, a mobile terminal manufactured by a company different from the manufacturer of the wearable device 1, or a portable terminal using another OS may be interlocked.

도 24a 내지 도 24d는 휴대용 단말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4A to 24D show a user interfac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displays a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UI data for the portable terminal.

도 24a는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휴대용 단말 제 1 화면(1110)을 도시하고 있고, 도 24b는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휴대용 단말 제 2 화면(1120)을 도시하고 있고, 도 24c는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휴대용 단말 제 3 화면(1130)을 도시하고 있고, 도 24d는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휴대용 단말 제 4 화면(1140)을 도시하고 있다.24A shows the first screen 1110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24B shows the second screen 1120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A third screen 113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interface is shown, and FIG. 24D shows the fourth screen 114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 제 1 화면(1110)은 사용자가 다이얼을 입력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portable terminal first screen 1110 provides a user interface so that a user can enter a dial to make a phone call.

휴대용 단말 제 2 화면(11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전화가 수신되었다는 프롬프트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second screen 1120 displays a prompt to the wearable device 1 indicating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and informs the user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휴대용 단말 제 3 화면(11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문자 메세지가 수신되었다는 프롬프트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문자 메세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third screen 1130 displays a prompt to the wearable device 1 that a text message has been received to inform the user that a text message has been received.

휴대용 단말 제 4 화면(1140)은 휴대용 단말 제 3 화면(1130)의 해제시 나타나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자세한 내용을 알릴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fourth screen 1140 can notify the details of the received text message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third screen 1130 is released.

이하, 도 25a 내지 도 25d를 참조하여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user interface of sou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A to 25D.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음향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sound.

예를 들어, 음향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고, 이퀄라이저 설정 및 청취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sound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layback of music or moving pictures, and can change the equalizer settings and listening modes.

또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음향 기기와 연결되어 주변 음향 기기를 제어하고 주변 음향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peripheral acoustic apparatus to control the peripheral acoustic apparatus and determine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peripheral acoustic apparatus.

도 25a 내지 도 25d는 음향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5A to 25D show a user interface of the sound displaying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UI data for sound.

도 25a는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음향 제 1 화면(1150)을 도시하고 있다.25A shows a first sound screen 1150 of a sound user interface.

음향 제 1 화면(1150)은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으로서, 음향 제 1 화면(115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음향 제 1 기능키(1151), 음향 제 2 기능키(1152), 음향 제 3 기능키(1153) 및 음향 제 4 기능키(11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ound screen 1150 is a main screen of a sound user interface. The first sound screen 115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Key 1151, a sound second function key 1152, a sound third function key 1153, and a sound fourth function key 1154. [

간략 시간 이미지(903)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창 위치 이미지(904)는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를 원의 형태의 이미지에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원에 색을 채워 표현하는 이미지이고,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총 창의 개수와 현재 표시되는 창의 페이지 수를 숫자로 표현한 이미지일 수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is an image for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to the position of the window currently displayed in the image of the circle shape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number of total windows and the number of pages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are represented by numerals.

음향 제 1 기능키(1151)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음향 제 2 기능키(115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내장된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음향 제 3 기능키(1153)는 외부의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음향 제 4 기능키(1154)는 외부의 스피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acoustic first function key 1151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 music reproducing application and the acoustic second function key 1152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speaker built in the wearable device 1 , The sound third function key 1153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an external headphone or earphone and the sound fourth function key 1154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an external speaker.

또한, 도 25a의 음향 제 1 화면(115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5A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5b는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음향 제 2 화면(1160)을 도시하고 있다.25B shows the acoustic second screen 1160 of the acoustic user interface.

음향 제 2 화면(1160)은 음악 재생에 대한 화면으로서, 음향 제 2 화면(1160)은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볼륨 조절 기능키(1161), 재생 목록 기능키(1162), 재생/일시정지 기능키(1163), 이전 노래 기능키(1164), 다음 노래 기능키(1165), 노래 제목 이미지(1166), 재생 시간 이미지(1167) 및 재생 상태 이미지(1168)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ound screen 1160 is a screen for music playback. The second sound screen 1160 includes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volume control function key 1161, A play title image 1166, a play time image 1167, and a play state image 1168, as well as a play / pause function key 1163, a previous song function key 1164, a next song function key 1165, .

음향 제 2 화면(1160)으로 인해 사용자는 음악 재생시 편리한 제어을 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sound screen 1160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control the music reproduction.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5a를 참조하여 설명한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5A.

볼륨 조절 기능키(1161)는 음악 재생시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키이고, 재생 목록 기능키(1162)는 재생 목록을 보여주고 편집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재생/일시정지 기능키(1163)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일시 정지 중인 음악을 재생시키는 기능키이고, 이전 노래 기능키(1164)는 재생 목록에서 이전의 노래로 돌아가는 기능키이고, 다음 노래 기능키(1165)는 재생 목록에서 다음의 노래로 건너뛰는 기능키이고, 노래 제목 이미지(1166)는 현재 재생 중인 노래의 제목과 가수명을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재생 시간 이미지(1167)는 현재 재생 중인 노래의 총 재생 시간 및 현재의 재생 시간을 숫자로 표시한 이미지이고, 재생 상태 이미지(1168)는 현재 재생 중인 노래의 총 재생 시간 대비 현재 재생시간의 위치를 직선형 바를 통해 표시한 이미지일 수 있다.The play list function key 1162 is a function key for displaying and editing the play list, and the play / pause function key 1163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size of sound during music reproduction. The previous song function key 1164 is a function key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song from the play list, and the next song function key 1165 is a function key for pausing or pausing music currently being played, And the song title image 1166 is a function key for skipping from the list to the next song. The song title image 1166 is an image for displaying the title and artist name of the currently playing song, and the play time image 1167 is a function key for skipping the current play time And the reproduction state image 1168 is an image obtained b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eproduction time with respect to the total reproduction time of the song currently being played through the linear bar Can.

또한, 도 25b의 음향 제 2 화면(116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5B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5c는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음향 제 3 화면(1170)을 도시하고 있다.FIG. 25C shows a third acoustic screen 117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sound.

음향 제 3 화면(1170)은 이어폰 및 헤드폰의 제어 및 상태에 대한 화면으로서, 음향 제 3 화면(117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및 잔량 배터리 이미지(1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ound screen 1170 is a screen for control and status of the earphone and headphones and the third sound screen 1170 includes a short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Battery image 1175. < / RTI >

음향 제 3 화면(1170)으로 인해 사용자는 이어폰 및 헤드폰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third acoustic screen 1170 allows the user to grasp and control the status of the earphone and headphone.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5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are identical to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5a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잔량 배터리 이미지(1175)는 현재 이어폰 또는 헤드폰에 충전된 배터리의 용량을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remaining battery image 1175 may be an image currently displaying the capacity of the earphone or the battery charged in the headphone.

또한, 도 25c의 음향 제 3 화면(117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5C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5d는 음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음향 제 4 화면(1180)을 도시하고 있다.25D shows the fourth sound screen 118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sound.

음향 제 4 화면(1180)은 스피커의 제어 및 상태에 대한 화면으로서, 음향 제 4 화면(118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및 잔량 배터리 이미지(11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fourth screen 1180 is a screen for the control and status of the speaker and the sound fourth screen 118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1185).

음향 제 4 화면(1180)으로 인해 사용자는 스피커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urth sound screen 1180 allows the user to grasp and control the state of the speaker.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5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are identical to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5a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잔량 배터리 이미지(1185)는 현재 스피커에 충전된 배터리의 용량을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remaining battery image 1185 may be an image indicat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harged in the current speaker.

또한, 도 25d의 음향 제 4 화면(118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5D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이하, 도 26a 내지 도 26h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A to 26H.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가전 기기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home appliance.

예를 들어, 가전 기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가전 외부에서 가전 기기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고, 각각의 가전 기기의 리모컨을 소지 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해 리모컨을 대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grasp and control the state of the home appliance from the outside of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to the home appliance, and replace the remote controller with the wearable device 1 without having the remote control of each home appliance .

또한, 사용자는 가전의 현관 앞에 도착하기 전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집안 내부 영상을 볼 수도 있으며, 방문객과의 통화를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open / close the door before reaching the front porch of the household appliance, view the inside of the house, or talk with the visitor.

도 26a 내지 도 26h는 가전 기기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가전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6A to 26H show a user interface of a home appliance that displays a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UI data for home appliances.

도 26a는 가전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1 화면(1200)을 도시하고 있다.26A shows a home appliance first screen 120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1 화면(1200)은 가전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1 화면(120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가전 기기 제 1 기능키(1201), 가전 기기 제 2 기능키(1202), 가전 기기 제 3 기능키(1203), 가전 기기 제 4 기능키(1204), 가전 기기 제 5 기능키(1205), 가전 기기 제 6 기능키(1206), 가전 기기 제 7 기능키(1207), 가전 기기 제 8 기능키(1208) 및 가전 기기 제 9 기능키(1209)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first screen 120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home appliance first screen 1200, The first function key 1201 of the appliance, the second function key 1202 of the household appliance, the third function key 1203 of the household appliance, the fourth function key 1204 of the household appliance, the fifth function key 1205 of the household appliance, A device sixth function key 1206, a home appliance seventh function key 1207, a home appliance eighth function key 1208, and a home appliance ninth function key 1209. [

간략 시간 이미지(903)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창 위치 이미지(904)는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를 원의 형태의 이미지에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원에 색을 채워 표현하는 이미지이고,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총 창의 개수와 현재 표시되는 창의 페이지 수를 숫자로 표현한 이미지일 수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is an image for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to the position of the window currently displayed in the image of the circle shape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number of total windows and the number of pages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are represented by numerals.

가전 기기 제 1 기능키(1201)는 현관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2 기능키(1202)는 텔레비전을 제어하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3 기능키(1203)는 에어컨을 제어하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4 기능키(1204)는 보일러를 제어하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5 기능키(1205)는 세탁기를 제어하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6 기능키(1206)는 냉장고를 제어하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7 기능키(1207)는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8 기능키(1208)는 집안 내부 영상을 보기 위한 기능키이고, 가전 기기 제 9 기능키(1209)는 방문객과의 연락을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first function key 1201 is a function ke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entrance and door. The home appliance second function key 1202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television and grasping the state. The home appliance third function key 1202 The fourth function key 1204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boiler and grasping the state. The fifth function key 1205 for home appliances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he sixth function key 1206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and grasping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The seventh function key 1207 of the household appliance controls the robot cleaner The home appliance eighth function key 1208 is a function key for viewing an in-house home image, and the home appliance ninth function key 1209 may be a function key for contacting a visitor.

또한, 도 26a의 가전 기기 제 1 화면(120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6A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6b는 가전 기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2 화면(1210)을 도시하고 있다.FIG. 26B shows a home appliance second screen 121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2 화면(1210)은 현관 도어 개폐에 대한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2 화면(121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선택된 가전 기기 명칭(1211), 비밀 번호 다이얼(1212), 지문 인식 기능키(1213), 카드 인식 기능키(1214) 및 홍체 인식 기능키(12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second screen 1210 is a scree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oor. The home appliance second screen 121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name 1211, a password dial 1212, a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key 1213, a card recognition function key 1214 and an iris recognition function key 1215. [

가전 기기 제 2 화면(1210)으로 인해 사용자는 현관 도어에 도착하기 전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을 것이다.Due to the home appliance second screen 1210, the user will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before arriving at the entrance door.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identical to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선택된 가전 기기 명칭(1211)은 현재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표시하는 텍스트이고, 비밀 번호 다이얼(1212)은 현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이고, 지문 인식 기능키(1213)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카드 인식 기능키(1214)는 현관 도어의 출입카드 인식을 통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홍체 인식 기능키(1215)는 사용자의 홍체 인식을 통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A password dial 1212 i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he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key 1213 is used for inputting the password, And the card recognizing function key 1214 is a function ke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recogniz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oor, and the iris recognition function key 1215 is a function ke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iris.

또한, 도 26b의 가전 기기 제 2 화면(121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6B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6c는 가전 기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3 화면(1220)을 도시하고 있다.FIG. 26C shows a home appliance third screen 122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3 화면(1220)은 텔레비전의 상태 및 제어에 대한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3 화면(1220)은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선택된 가전 기기 명칭(1211), 전원 기능키(1224), 볼륨 조절 기능키(1222) 및 채널 조절 기능키(1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third screen 1220 includes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selected home appliance name 1211, A power function key 1224, a volume control function key 1222, and a channel control function key 1223. [

가전 기기 제 3 화면(1220)으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텔레비전 리모컨 없이 텔레비전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third screen 1220 of the home appliance will allow the user to control the television without a separate television remote control.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한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선택된 가전 기기 명칭(1211)은 현재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표시하는 텍스트이고, 전원 기능키(1224)는 텔레비전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기능키이고, 볼륨 조절 기능키(1161)는 텔레비전의 음향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채널 조절 기능키(1223)는 텔레비전의 채널을 조절하기 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selected home appliance name 1211 is a text indicating the name of the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at present. The power function key 1224 is a function key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television. And the channel control function key 1223 may be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channel of the television.

구체적으로, 볼륨 조절 기능키(1222)는 조절하고자 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볼륨 이미지(1222a), 텔레비전의 음향을 증가시키는 볼륨 증가 기능키(1222b) 및 텔레비전의 음향을 감소시키는 볼륨 감소 기능키(122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조절 기능키(1223)는 조절하고자 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채널 이미지(1223a), 텔레비전의 채널을 증가시키는 채널 증가 기능키(1223b) 및 텔레비전의 채널을 감소시키는 채널 감소 기능키(1223c)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olume control function key 1222 includes a volume image 1222a for displaying an object to be adjusted, a volume increasing function key 1222b for increasing the sound of the television, and a volume reducing function key 1222c ). The channel control function key 1223 includes a channel image 1223a for displaying an object to be adjusted, a channel increase function key 1223b for increasing a channel of the television, a channel decrease function key 1223c for decreasing a channel of the television, . ≪ / RTI >

또한, 도 26c의 가전 기기 제 3 화면(122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6C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6d는 가전 기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4 화면(1230)을 도시하고 있다.FIG. 26D shows a home appliance fourth screen 123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4 화면(1230)은 에어컨의 상태 및 제어에 대한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4 화면(1230)은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선택된 가전 기기 명칭(1231), 전원 기능키(1234), 모드 조절 기능키(1235), 제습 설정 기능키(1236), 온도 조절 기능키(1232) 및 풍향 조절 기능키(1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fourth screen 1230 displays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selected home appliance name 1231, A power control function key 1234, a mode control function key 1235, a dehumidification setting function key 1236,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key 1232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function key 1233. [

가전 기기 제 4 화면(1230)으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에어컨 리모컨 없이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control the air conditioner without a separate air conditioner remote controller due to the home appliance fourth screen 1230.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한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선택된 가전 기기 명칭(1231)은 현재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명칭을 표시하는 텍스트이고, 전원 기능키(1234)는 에어컨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기능키이고, 모드 조절 기능키(1235)는 에어컨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키이고, 제습 설정 기능키(1236)는 제습 동작의 수행을 선택하는 기능키이고, 온도 조절 기능키(1232)는 에어컨의 희망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풍량 조절 기능키(1233)는 에어컨의 풍량을 조절하기 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selected device name 1231 is a text indicating the name of the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The power function key 1234 is a function key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The dehumidifying setting function key 1236 is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the dehumidifying operation. The temperature adjusting function key 1232 is a function key for adjusting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The dehumidifying setting function key 1236 is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The function key 1233 may be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er.

구체적으로, 온도 조절 기능키(1232)는 조절하고자 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온도 이미지(1232a), 에어컨의 희망 온도를 증가시키는 온도 증가 기능키(1232b) 및 에어컨의 희망 온도를 감소시키는 온도 감소 기능키(123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풍량 조절 기능키(1233)는 조절하고자 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풍량 이미지(1233a), 에어컨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풍량 증가 기능키(1233b) 및 에어컨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풍량 감소 기능키(1233c)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key 1232 includes a temperature image 1232a indicating an object to be controlled, a temperature increasing function key 1232b for increasing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and a temperature decreasing function key (1232c). The air volume control function key 1233 includes an air volume image 1233a for displaying an object to be adjusted, an air volume increasing function key 1233b for increasing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er, a volume reduction function key 1233c for reducing the air volume of the air conditioner, . ≪ / RTI >

또한, 도 26d의 가전 기기 제 4 화면(123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6D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in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6e는 가전 기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5 화면(1240)을 도시하고 있다.FIG. 26E shows a fifth home screen device 124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5 화면(1240)은 보일러의 상태 및 제어에 대한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5 화면(1240)은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난방 온도 이미지(1241), 수온 이미지(1242), 모드 상태 이미지(1243), 외출 상태 이미지(1244), 예약 상태 이미지(1245), 난방 조절 기능키(1246), 온수 조절 기능키(1247) 및 보일러 설정 기능키(1248)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fifth screen 1240 is a screen for the state and control of the boiler. The home appliance fifth screen 1240 includes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heating temperature image 1241, An image 1242, a mode state image 1243, an outgoing state image 1244, a reserved state image 1245, a heating control function key 1246, a hot water control function key 1247 and a boiler setting function key 1248 .

가전 기기 제 5 화면(1240)으로 인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보일러의 상태를 파악하고,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ifth home appliance screen 1240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state of the boiler from the outside and control the boiler.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한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난방 온도 이미지(1241)는 사용자의 희망 난방 온도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수온 이미지(1242)는 사용자의 희망 수온을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모드 상태 이미지(1243)는 현재 보일러의 설정된 모드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외출 상태 이미지(1244)는 현재 외출 상태로 천이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예약 상태 이미지(1245)는 현재 예약한 상태에 대해서 표시하는 이미지이다. 또한, 난방 조절 기능키(1246)는 희망 난방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온수 조절 기능키(1247)는 희망 수온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보일러 설정 기능키(1248)는 보일러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heating temperature image 1241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user's desired heating temperature, the water temperature image 1242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user's desired water temperature, and the mode state image 1243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set mode of the current boiler , The outgoing state image 1244 is an image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current outgoing state has been transitioned, and the reserved state image 1245 is an image displayed for the currently reserved state. The heating control function key 1246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desired heating temperature. The hot water control function key 1247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desired water temperature. The boiler setting function key 1248 is used for setting For example.

또한, 도 26e의 가전 기기 제 5 화면(124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6E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6f는 가전 기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6 화면(1250)을 도시하고 있다.FIG. 26F shows a sixth home screen device screen 125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6 화면(1250)은 세탁기의 상태 및 제어에 대한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6 화면(125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동작/ 일시정지 기능키(1251), 세탁 행정 메뉴 이미지(1253), 세탁 행정 선택 이미지(1252), 전원 기능키(1256), 예약 기능키(1254) 및 타이머 이미지(12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sixth screen 125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wash function key 1256, a reservation function key 1254, and a timer image 1255. The washing operation menu image 1253 may include a wash function key 1251, a wash stroke menu image 1253, a wash stroke selection image 1252, a power function key 1256,

가전 기기 제 6 화면(1250)으로 인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세탁기의 상태를 파악하고,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grasp the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from the outside and control the washing machine by the sixth home appliance screen 1250.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identical to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동작/ 일시정지 기능키(1251)는 선택된 세탁 행정을 시작 및 정지 시키는 기능키이고, 세탁 행정 메뉴 이미지(1253)는 세탁기가 수행하는 세탁 행정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세탁 행정 선택 이미지(1252)는 세탁 행정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행정을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전원 기능키(1256)는 세탁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기능키이고, 예약 기능키(1254)는 세탁기의 예약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키이고, 타이머 이미지(1255)는 세탁 소요시간, 남은 시간 및 예약 시간 등을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operation / pause function key 1251 is a function key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selected washing cycle. The washing cycle menu image 1253 is an image for displaying to the user the type of washing cycle performed by the washing machine. A power function key 1256 is a function key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reservation function key 1254 is an image for indicating a washing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Function key, and the timer image 1255 may be an image indicating the washing time, the remaining time, and the reservation time.

또한, 도 26f의 가전 기기 제 6 화면(125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6F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6g는 가전 기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7 화면(1260)을 도시하고 있다.FIG. 26G shows the home appliance seventh screen 126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7 화면(1260)은 냉장고의 상태 및 제어에 대한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7 화면(126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탄산수 제조 기능키(1263), 제빙 상태 파악 기능키(1264), 문열림 알림 이미지(1265), 성애 알림 이미지(1266), 냉장실 영상 기능키(1267), 냉동실 영상 기능키(1268), 냉장 온도 조절 기능키(1261) 및 냉동 온도 조절 기능키(12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seventh screen 1260 is a screen for the state and control of the refrigerator. The home appliance seventh screen 126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door open notification image 1265, a sexuality notification image 1266, a refrigerator room image function key 1267, a freezer room image function key 1268, a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key 1264, A function key 1261 and a freezing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key 1262. [

가전 기기 제 7 화면(1260)으로 인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냉장고의 상태를 파악하고,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grasp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from the outside and control the refrigerator by the seventh appliance 1260 screen.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identical to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탄산수 제조 기능키(1263)는 탄산소 제조를 제어하는 기능키이고, 제빙 상태 파악 기능키(1264)는 냉장고에서 생성한 얼음의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키이고, 문열림 알림 이미지(1265)는 냉장고의 도어가 적절하게 닫혔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성애 알림 이미지(1266)는 냉장고 내부에 성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냉장실 영상 기능키(1267)는 냉장실의 현재 내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키이고, 냉동실 영상 기능키(1268)는 냉동실의 현재 내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키이고, 냉장 온도 조절 기능키(1261)는 냉장실의 희망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냉동 온도 조절 기능키(1262)는 냉장실의 희망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carbonated water producing function key 1263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carbonic acid production. The ice making status grasping function key 1264 is a function key for grasping the state of ice generat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frangible image function key 1267 is an image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appropriately closed. The malfunction notification image 1266 is an image indicating whether or not sexual intercourse has occurred in the refrigerator, The freezing room image function key 1268 is a function key for displaying the current internal image of the freezing room,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key 1261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room, The adjustment function key 1262 may be a function key for adjusting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구체적으로, 냉장 온도 조절 기능키(1261)는 현재 냉장실의 온도 및 희망 냉장 온도를 표시하는 냉장 온도 이미지(1261a), 냉장실의 희망 온도를 증가시키는 냉장 온도 증가 기능키(1261b) 및 냉장실의 희망 온도를 감소시키는 냉장 온도 감소 기능키(126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동 온도 조절 기능키(1262)는 현재 냉동실의 온도 및 희망 냉동 온도를 표시하는 냉동 온도 이미지(1262a), 냉동실의 희망 온도를 증가시키는 냉동 온도 증가 기능키(1262b) 및 냉동실의 희망 온도를 감소시키는 냉동 온도 감소 기능키(1262c)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ld storage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key 1261 includes a cold storage temperature image 1261a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the current refrigerator room and a desired refrigeration temperature, a cold storage temperature increase function key 1261b for increasing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cold storage room, And a refrigeration temperature reduction function key 1261c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Also, the freezing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key 1262 includes a freezing temperature image 1262a indicating the current freezing room temperature and a desired freezing temperature, a freezing temperature increasing function key 1262b for increasing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freezing room,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reduction function key 1262c.

또한, 도 26g의 가전 기기 제 7 화면(126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Also, the home appliance seventh screen 1260 of Fig. 26G can move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by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user side.

도 26h는 가전 기기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전 기기 제 8 화면(1270)을 도시하고 있다.FIG. 26H shows an eighth screen 1270 of the home appliance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home appliance.

가전 기기 제 8 화면(1270)은 로봇 청소기의 상태 및 제어에 대한 화면으로서, 가전 기기 제 8 화면(127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시작 기능키(1271), 자동 운전 기능키(1272), 방향 조절 기능키(1273) 및 배터리 상태 이미지(12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eighth screen 1270 is a screen for status and control of the robot cleaner. The home appliance eighth screen 127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start function key 1271, an automatic operation function key 1272, a direction adjustment function key 1273, and a battery state image 1274. [

가전 기기 제 8 화면(1270)으로 인해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리모컨 없이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고, 로봇 청소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control the robot cleaner without knowing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robot cleaner, and can grasp the state of the robot cleaner.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도 26a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short time image 903,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are identical to the shorthand time image 903, window position image 904 and window page image 90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or may not be different.

시작 기능키(1271)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시작시키는 기능키이고, 자동 운전 기능키(1272)는 사용자의 제어 없이 로봇 청소기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입력에 대한 기능키이고, 방향 조절 기능키(1273)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조작하는 기능키이고, 배터리 상태 이미지(1274)는 현재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start function key 1271 is a function key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The automatic operation function key 1272 is a function key for an input for performing cleaning by the robot cleaner itself without the user's control. ) Is a function key for manually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by the user, and the battery state image 1274 may be an image indicating the battery charge state of the robot cleaner at present.

또한, 도 26h의 가전 기기 제 8 화면(127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6H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이하, 도 27a 내지 도 27b를 참조하여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camer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7A to 27B.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가전 기기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home appliance.

예를 들어, 가전 기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고정 유닛(300) 또는 메인 유닛(100)에 마련된 가전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외부의 가전 기기와 연결하여 외부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촬영한 영상을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a home appliance is implemented so that a user can take an image using a home appliance provided in the fixed unit 300 or the main unit 100, and can connect an external home appliance to an external home appliance And can store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도 27a 내지 도 27b는 카메라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7A and 27B show a user interface of a camera for displaying a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UI data for the camera.

도 27a는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카메라 제 1 화면(1300)을 도시하고 있다.27A shows a camera first screen 130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camera.

카메라 제 1 화면(1300)은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 화면으로서, 카메라 제 1 화면(1300)은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카메라 제 1 기능키(1301), 카메라 제 2 기능키(1302) 및 카메라 제 3 기능키(13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first screen 1300 is a main screen of the camera user interface. The camera first screen 1300 includes a brief time image 903, a window posi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Key 1301, a camera second function key 1302, and a camera third function key 1303, as shown in FIG.

간략 시간 이미지(903)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창 위치 이미지(904)는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를 원의 형태의 이미지에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원에 색을 채워 표현하는 이미지이고,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총 창의 개수와 현재 표시되는 창의 페이지 수를 숫자로 표현한 이미지일 수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is an image for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to the position of the window currently displayed in the image of the circle shape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number of total windows and the number of pages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are represented by numerals.

카메라 제 1 기능키(13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내장된 카메라의 사진 촬영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카메라 제 2 기능키(13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내장된 카메라의 동영상 촬영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카메라 제 3 기능키(1303)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연결된 다른 카메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일 수 있다.The camera first function key 1301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photographing a camera built in the wearable device 1 and the camera second function key 1302 i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photographing a camera built in the wearable device 1, And the camera third function key 1303 may be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another camera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 In this case,

또한, 도 27a의 카메라 제 1 화면(1300)은 사용자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의 손가락 모션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27A can be moved to the next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of the user, and can be moved to the previous page by the finger motion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of the user.

도 27b는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카메라 제 2 화면(1310)을 도시하고 있다.27B shows a camera second screen 1310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camera.

카메라 제 2 화면(1310)은 카메라의 사진 및 동영상 촬영에 대한 화면으로서, 카메라 제 2 화면(1310)은 사진 촬영 모드 기능키(1312), 사진 촬영 기능키(1313), 동영상 촬영 기능키(1314) 및 촬영될 사진 영상 이미지(13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second screen 1310 is a screen for capturing a picture and a moving picture of the camera. The second screen 1310 of the camera has a picture taking mode function key 1312, a picture taking function key 1313, a moving picture taking function key 1314 And a photographic image image 1311 to be photographed.

카메라 제 2 화면(1310)으로 인해 사용자는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거나 외부의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camera screen 1310 allows the user to take a picture with the built-in camera or take a picture with an external camera.

사진 촬영 모드 기능키(1312)는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이고, 사진 촬영 기능키(1313)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키이고, 동영상 촬영 기능키(1314)는 동영상 촬영 모드로 천이시키는 기능키이고, 촬영될 사진 영상 이미지(1311)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될 사진 영상을 표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ode function key 1312 is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 photographing mode in which a photograph is to be photographed. The photographing function key 1313 is a function key for photograph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function key 1314 ) Is a function key for transition to a moving image shooting mode, and a photographic image image 1311 to be photographed may be an image for displaying photographic images to b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lens.

도 28 및 도 29는 결제에 대한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100)에 GUI를 표시하는 결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8 and 29 show a payment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GUI on the main unit 100 using UI data for settlement.

도 28은 카드 결제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28 shows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ard settlement.

카드 결제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는 간략 시간 이미지(903), 창 위치 이미지(904), 창 페이지 이미지(905), 카드 결제 제 1 기능키(1401), 카드 결제 제 2 기능키(1402), 카드 결제 제 3 기능키(1403) 및 카드 결제 제 4 기능키(14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aphical user interface 1400 for card payment includes a summary time image 903, a window location image 904, a window page image 905, a card payment first function key 1401, a card payment second function key 1402 , A card payment third function key 1403, and a card payment fourth function key 1404.

간략 시간 이미지(903)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위치한 지역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이고, 창 위치 이미지(904)는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를 원의 형태의 이미지에 현재 표시되는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원에 색을 채워 표현하는 이미지이고,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총 창의 개수와 현재 표시되는 창의 페이지 수를 숫자로 표현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창 위치 이미지(904) 및 창 페이지 이미지(905)는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의 종류를 선택 및 표시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The shorthand time image 903 is an image for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wearable device 1 is currently located and the window position image 904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to the position of the window currently displayed in the image of the circle shape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number of total windows and the number of pages of the currently displayed window are represented by numerals. In addition, the window location image 904 and the window page image 905 may provide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the type of card the user has.

카드 결제 제 1 기능키(1401)는 국내 카드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카드 결제 제 2 기능키(1402)는 해외 카드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카드 결제 제 3 기능키(1403)는 선택된 카드의 유효기간을 표시할 수 있고, 카드 결제 제 4 기능키(1404)는 선택된 카드의 소유주명을 표시할 수 있다.The card payment first function key 1401 can display information on domestic card companies, the card payment second function key 1402 can display information on overseas card companies, and the card payment third function key 1403 ) Can display the valid period of the selected card, and the card settlement fourth function key 1404 can display the owner name of the selected card.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결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29 illustrates a concept in which a user uses a paymen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할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 단말기(1450) 부근에 위치시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결제 모듈은 NFC 무선 신호를 카드 단말기(145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29, when a user selects a card to be used and places it in the vicinity of the card terminal 1450, the payment module of the wearable device 1 transmits an NFC radio signal to the card terminal 1450, You can pay the amount,

또한, 사용자가 사용할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 단말기(1450) 부근에 위치시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결제 모듈은 MST 무선 신호를 카드 단말기(145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재 카드 뒷면의 마그네틱 신호와 동일한 자기장을 카드 단말기(1450)로 전달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인식 및 결제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a card to be used and places the card in the vicinity of the card terminal 1450, the payment module of the wearable device 1 can transmit the MST wireless signal to the card terminal 1450 to settle the amount the user wants to pay Specifically, the same magnetic field as the magnetic signal on the back face of the real card may be transmitted to the card terminal 1450 to recognize and settle the card to be used.

이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UI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mplemented by using each UI data,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의료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dical treatment.

예를 들어, 의료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생체 감지 센서(510)를 통해 심장 박동수, 혈압, 혈당, 염증 및 기타 신체 상황을 파악하여 질병을 파악하고, 치료 방법을 진단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medical treatment is implemented so that a user can identify heart diseases, blood pressure, blood sugar, inflammation, and other physical conditions through the biometric sensor 510 to identify diseases and diagnose a treatment method.

또한, 사용자는 진단된 해당 질병과 관련된 병원 및 약국의 안내를 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위급한 상황으로 판단시 위치 감지 센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착용한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응급차를 호출하며 주위에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ceive the guidance of the hospital and the pharmacy related to the diagnosed disease, and when the user judges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biological signal, I can call an ambulance and inform it around.

또한,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공연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the performance.

예를 들어, 공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영화 시사회 티켓 및 해당 공연의 할인 쿠폰을 받을 수 있고, 해외 유명인의 내한 공연 및 패스티벌 일정을 확인 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a show can be implemented so that a user can receive a movie preview ticket and a discount coupon for the performance, and can check the performance schedule and festival schedule of overseas celebrities.

또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터치스크린(151)에 응원 텍스트를 띄워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응원 도구로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wearable device 1 as a cheering tool by floating the cheering text on the touch screen 151 of the wearable device 1. [

또한,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여행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trip.

예를 들어, 여행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세계 시간, 해당 여행지의 시차, 비행시간, 비행기의 출발시간, 숙소, 맛집, 해당 여행지의 기장 예보, 교통정보, 환전, 추천 상품 및 관광 명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travel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world time, the time of flight, the time of flight, the departure time of the airplane, the accommodation, the restaurant, the forecast information of the travel destination, traffic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또한, 사용자는 환승하는 공항의 약도, 탑승 게이트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탑승 게이트까지 길안내를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map of the airport, the boarding gate, and the route guidance to the boarding gate.

또한,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교통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ffic.

예를 들어, 교통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목적시까지의 대중 교통 정보, 배차 시간 및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교통료 결재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traffic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acquire information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e dispatch time and the remaining time up to the destination, and the user can use the wearable device 1 as the transportation fee payment means .

또한,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레저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leisure.

예를 들어, 레저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등산을 하는 경우 등산로에 대한 안내 및 나침반 안내를 받을 수 있고, 대피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leisure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guidance and compass guidance on the trail when climbing, and obtain information on the shelter.

또한, 사용자는 골프를 하는 경우 드라이브, 우드 및 아이언의 비거리, 현재 라운딩 중인 홀의 풍향, 남은 거리, 경사도 및 높낮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까지의 타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캐딩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golfing, the user obtains information on the distance of the drive, wood, and iron, the wind direction of the hole being rounded, the remaining distance, the slope, and the heigh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trokes so far, have.

또한, 사용자가 스키 또는 스노우 보드를 타는 경우 현재 스키장의 날씨 및 슬로프 상태, 각 리프트의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ides a ski or a snowboard, it can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and slope conditions of the ski area, and the waiting time of each lift.

또한, 제 2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수신 받아 메인 유닛(100)은 3D 프린터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unit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0 and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3D printer.

예를 들어, 3D 프린터 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는 프린트하고자 하는 3D 도면을 볼 수 있고, 현재 프린팅의 진행 상태, 소요 시간 및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부족한 재료의 보충을 알림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a 3D printer can be implemented so that a user can view a 3D drawing to be printed,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progress of the present printing, the required time and the remaining time, You can be informed.

이하, 도 30 내지 도 31를 참조하여 UI 데이터의 전송 및 GUI를 표시하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UI data and displaying a GUI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to 31. FIG.

도 30은 유선 통신을 통해 메인 유닛이 UI 데이터를 수신 받고, GUI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FIG. 30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in which a main unit receives UI data via wired communication and displays a GUI.

먼저, 메인 유닛과 고정 유닛을 연결하여 제 1 통신 포트와 제 2 통신 포트를 연결(S 10)시키고, 제 1 유선 통신부 및 제 2 유선 통신부는 메인 유닛의 제 1 유선 통신부와 데이터 유닛의 제 2 유선 통신부가 각 포트를 통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 20)한다.First,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to 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S 10), and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d communication unit connect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of the main unit and the second wired communication unit of the data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hrough each port (S 20).

만약, 제 1 통신 포트와 제 2 통신 포트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UI 데이터 전달 및 UI 상태 천이를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are not connected, the wearable device terminates UI data transfer and UI state transition.

반대로, 제 1 통신 포트와 제 2 통신 포트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유선 통신부 및 제 2 유선 통신부는 제 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제 1 메모리에 전송(S 30)한다.Convers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are connected, the first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d communication unit transmit (at step S30)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to the first memory .

그리고, 제어부는 전송된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것인지 여부를 검사(S 40)한다.Then,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transmitted UI data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S40).

만약, 전송된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면, 메인 유닛은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S 60)시킨다.If the transmitted UI data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the main unit changes the user interface state using the UI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S60).

반대로, 전송된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이면, 제 1 메모리는 전송된 UI 데이터를 저장(S 50)하고, 메인 유닛은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S 60)시킨다.Conversely, if the transmitted UI data is not stored in the first memory, the first memory stores the transmitted UI data (S50), and the main unit transitions the user interface state using the UI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S60).

도 31는 무선 통신을 통해 메인 유닛이 UI 데이터를 수신 받고, GUI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FIG. 31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in which a main unit receives UI data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s a GUI.

먼저, 제 1 무선 통신부 및 제 2 무선 통신부는 메인 유닛의 제 1 무선 통신부와 데이터 유닛의 제 2 무선 통신부가 무선 세션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 110)한다.Firs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termine whethe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i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ata unit are connected in a wireless session (S110).

만약, 제 1 무선 통신부와 제 2 무선 통신부가 무선 세션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UI 데이터 전달 및 UI 상태 천이를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not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session, the wearable device terminates UI data transfer and UI state transition.

반대로, 제 1 무선 통신부와 제 2 무선 통신부가 무선 세션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무선 통신부 및 제 2 무선 통신부는 제 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UI 데이터를 제 1 메모리에 전송(S 120)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connected in a wireless sessi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 at least one UI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to the first memory 120).

그리고, 제어부는 전송된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것인지 여부를 검사(S 130)한다.Then,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transmitted UI data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S 130).

만약, 전송된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면, 메인 유닛은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S 150)시킨다.If the transmitted UI data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the main unit transitions the user interface state using the UI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S 150).

반대로, 전송된 UI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이면, 제 1 메모리는 전송된 UI 데이터를 저장(S 140)하고, 메인 유닛은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를 천이(S 150)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ferred UI data is not stored in the first memory, the first memory stores the transferred UI data (S 140), and the main unit changes the user interface state using the UI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S 150).

이하,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현재 메인 유닛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것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면 인증을 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2 to 33, embodiments of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data unit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is connected or new, and authenticating if it is a new data unit will be described.

도 32는 수동으로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인지 아니면 새로운 데이터 유닛인지를 입력 받아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3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ally connecting a main unit and a data unit by inputting data units that are manually connected or a new data unit.

먼저, 메인 유닛에 데이터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인식되거나 입력되면 메인 유닛은 데이터 유닛의 연결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표시(S 210)할 수 있다.First, if the data unit is recognized as being connected to the main unit or is inputted, the main unit may display the connection screen of the data unit on the touch screen (S 210).

그리고, 메인 유닛은 현재 메인 유닛에 기존의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다는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 받았는지 여부를 결정(S 220)할 수 있다.Then, the mai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signal that the existing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is received (S220).

만약, 메인 유닛이 현재 메인 유닛에 기존의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다는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 받았다고 결정하면, 메인 유닛은 인증 절차 및 UI 데이터 송신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종료할 수 있다.If the mai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s signal that the existing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has been received, the main unit can immediately terminate without passing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the UI data transmission process.

반대로, 메인 유닛이 현재 메인 유닛에 기존의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다는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 받지 않았다고 결정하면, 메인 유닛은 현재 메인 유닛에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다는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 받았는지 여부를 결정(S 230)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mai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s signal that the existing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has not been received, the mai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s signal that the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is input S 230).

만약, 메인 유닛이 현재 메인 유닛에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다는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 받지 않았다고 결정하면, 메인 유닛은 S 210 내지 S 230의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If the mai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s signal that the new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has not been received, the main unit can perform steps S 210 to S 230 again.

반대로, 메인 유닛이 현재 메인 유닛에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다는 사용자의 신호를 입력 받았다고 결정하면, 메인 유닛은 터치 스크린에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의 핀번호를 입력하라는 요청 메시지를 제공(S 240)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main unit determines that it has received a user's signal that the new data unit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main unit, the main unit may provide a request message (S 240) to input the pin number of the data unit currently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have.

그리고, 메인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핀 번호를 입력 받으면(S 250), 인증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이후, 메인 유닛은 데이터 유닛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수신(S 260)하여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main unit receives the PIN number from the user (S250),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terminated. Then, the main unit can receive UI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S260) and store the same.

도 33은 자동으로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인지 아니면 새로운 데이터 유닛인지를 감지 및 판단하여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FIG. 3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d determining whether a data unit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a data unit or a new data unit and connecting the main unit and the data unit.

먼저, 메인 유닛은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는지를 감지(S 310)할 수 있다.First, the main unit may detect whether a data unit is connected (S 310).

그리고,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데이터 유닛인지 여부를 결정(S 320)할 수 있다.Then, the main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a previously connected data unit (S 320).

만약, 메인 유닛이 현재 메인 유닛에 기존의 데이터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결정하면, 메인 유닛은 인증 절차 및 UI 데이터 송신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종료할 수 있다.If the main unit determines that the existing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the main unit can immediately terminate without passing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the UI data transmission process.

반대로, 메인 유닛이 현재 메인 유닛에 기존의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면, 메인 유닛은 터치 스크린에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의 핀번호를 입력하라는 요청 메시지를 제공(S 330)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main unit determines that the existing data unit is not connected to the current main unit, the main unit may provide a request message (S 330) to input the pin number of the data unit currently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그리고, 메인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핀 번호를 입력 받으면(S 340), 인증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이후, 메인 유닛은 데이터 유닛에 저장된 UI 데이터를 수신(S 350)하여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main unit receives the PIN number from the user (S340),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terminated. Then, the main unit can receive and store the UI data stored in the data unit (S 350).

상기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permutations thereof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which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1 :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 : 메인 유닛
110 : 제 1 메모리
120 : 제 1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
200 : 데이터 유닛
210 : 제 2 메모리
220 : 제 2 통신부
300 : 고정 유닛
400 : 전원부
500 : 감지부
600 : 카메라
700 : 네트워크
1: wearable device
100: main unit
110: first memory
120: first communication section
130:
140: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200: data unit
210: second memory
220: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300: fixed unit
400:
500:
600: camera
700: Network

Claims (34)

미리 저장된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고, 교체할 수 있는 고정 유닛; 및
상기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메인 유닛;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fixed unit that transmits the pre-stored UI data to the main unit and can be replaced; And
A main unit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UI data;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UI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상기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main unit is switched to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UI data when receiving the UI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GUI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unit displays a GUI according to the received UI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전달 받은 현재의 UI 데이터 및 이전의 UI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unit comprises a first memory for storing the received current UI data and previous UI dat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현재의 UI 데이터 및 상기 이전의 UI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unit provides an interac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urrent UI data and the previous UI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외부 기기로부터 UI 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달 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unit receives UI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vides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UI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에 마련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fixed unit to supply power;
And a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nd a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생체 감지 센서, 이동 감지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 sens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iosensor, a movement sensor, a gyro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And a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결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yment modul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nd a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전원부, 감지부, 카메라 및 결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un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func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ower unit, a sensing unit, a camera, and a payment module.
UI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메모리와 상기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고, 교체할 수 있는 고정 유닛; 및
상기 제 2 통신부로부터 상기 UI 데이터를 전달 받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전달 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유닛;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second memory for storing UI data,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UI data to the main unit, wherein the fixed unit is replaceable; And
A main unit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UI data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user interface status modul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Lt; / RTI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가 무선 세션(session)되면 UI 데이터의 전달이 시작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re in a wireless session, transfer of UI data is star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제 1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대응되는 제 2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의해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port,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Wherein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연결되면 UI 데이터의 전달이 시작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are connected, transmission of the UI data star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메인 유닛과 고정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in unit indicates that the main unit and the data unit are connected when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것인지 여부 또는 새로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입력 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ain unit receives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or no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것인지 여부 또는 새로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GUI로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ain unit determines whether a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and displays the determined result in a GUI.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새로 연결된 것인 경우, 데이터 유닛의 핀번호를 입력 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핀 번호 입력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ain unit receives the pin number of the data unit when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newly connected.
Enter pin numb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UI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상기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의 전환을 입력 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ain unit receives the UI data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and receives the switching to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received UI data.
UI 데이터를 고정 유닛으로부터 전달 받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전달 받는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모듈;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인 유닛.
A first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UI data from a fixed unit; And
A UI state module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UI data;
The wearable device comprising:
UI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메모리; 및
상기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 2 통신부;
를 포함하는 교체가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정 유닛.
A second memory for storing UI data;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UI data to the main unit;
Wherein the replaceable wearable device comprises:
메인 유닛와 고정 유닛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정 유닛의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Sen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Transmitting UI data of the fixed unit to the mai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And
Provid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delivered UI data;
And controlling the wearable devic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UI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상기 전달된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 전환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interaction is switched to an interaction based on the transferred UI data upon receipt of the UI data.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전달된 UI 데이터에 따른 GUI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interaction displays a GUI according to the delivered UI data.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현재의 UI 데이터 및 이전의 UI 데이터를 메인 유닛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Storing the delivered current UI data and previous UI data in a main unit;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현재의 UI 데이터 및 상기 이전의 UI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providing the interaction provides an interac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urrent UI data and the previous UI data.
메인 유닛와 고정 유닛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유닛과 데이터 유닛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유닛의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Sen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indicating that the main unit and the data unit are connected; And
Transferring UI data of the data unit to the main unit;
And controlling the wearable devic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제 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닛은 제 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은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가 무선 세션되는 경우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fixed unit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main uni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determin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re in a wireless session.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제 2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닛은 제 1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은 제 1 통신 포트와 제 2 통신 포트가 연결되는 경우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fixed unit comprising a second communication port,
The main unit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port,
Wherei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unit and the fixed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are connected.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의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기 전,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것인지 여부 또는 새로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Receiving a UI data of the data unit before transmitting the UI data to the main unit,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already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의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기 전,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기존에 연결된 것인지 여부 또는 새로 연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GUI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connected or newly connected to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before transferring the UI data of the data unit to the main unit,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result with a GUI;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의 UI 데이터를 상기 메인 유닛으로 전달하기 전,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이 새로 연결된 것인 경우, 데이터 유닛의 핀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Receiving a PIN number of a data unit when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is newly connected before transferring the UI data of the data unit to the main unit;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8항에 있어서,
현재 연결된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UI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상기 전달받은 UI 데이터에 따른 인터렉션으로의 전환을 입력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Receiving a UI data from a currently connected data unit and receiving a switch to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UI data;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KR1020150065366A 2014-06-05 2015-05-11 A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40212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03867.9A EP3152643A4 (en) 2014-06-05 2015-06-04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wearable device
US14/730,543 US20150358043A1 (en) 2014-06-05 2015-06-04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wearable device
PCT/KR2015/005614 WO2015186981A1 (en) 2014-06-05 2015-06-04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wearable device
CN201580029832.9A CN106462326A (en) 2014-06-05 2015-06-04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196 2014-06-05
KR20140068196 2014-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212A true KR20150140212A (en) 2015-12-15

Family

ID=5502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366A KR20150140212A (en) 2014-06-05 2015-05-11 A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152643A4 (en)
KR (1) KR20150140212A (en)
CN (1) CN106462326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820A (en) * 2015-12-17 2017-06-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Wearable smart key
WO2017155314A1 (en) * 2016-03-08 2017-09-14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Control device for dynamically providing control interface on basis of change in position of user, method for dynamically providing control interface in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recorded thereon
WO2017164808A1 (en) 2016-03-24 2017-09-28 Razer (Asia-Pacific) Pte. Ltd. Docks, comput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dock,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EP4283437A1 (en) * 2016-06-10 2023-11-29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WO2024053851A1 (en)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1977411B2 (en) 2018-05-07 2024-05-07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dding respective com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5509A (en) * 2017-05-10 2017-08-18 深圳行云数字网络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friend-making wrist-watch and dating system
CN108107982A (en) 2018-01-03 2018-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earable device
CN109770863A (en) * 2018-12-14 2019-05-21 天津大学 Suitable for personnel's safety supervision bracelet under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place
TWI802922B (en) * 2021-06-29 2023-05-21 奇源科技有限公司 Alarm cloc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340B2 (en) * 2000-05-17 2008-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Information equipment
US6556222B1 (en) * 2000-06-30 2003-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zel based input mechanism and user interface for a smart watch
US7605714B2 (en) * 2005-05-13 2009-10-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 and control of wireless devices using a wearable device
WO2008008830A2 (en) * 2006-07-11 2008-01-1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Wearable contactless payment devices
US7764488B2 (en) * 2007-04-23 2010-07-27 Symbol Technologies, Inc. Wearable component with a memory arrangement
US8467270B2 (en) * 2011-10-26 2013-06-18 Google Inc. Smart-watch with user interface features
US20130191741A1 (en) * 2012-01-24 2013-07-25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from an Electronic Device
US9392851B2 (en) * 2012-10-30 2016-07-19 Bin Wai Lam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ncorporating wireless headsets, terminals, and communication devices into fashion accessories and jewelry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820A (en) * 2015-12-17 2017-06-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Wearable smart key
KR20190008968A (en) * 2015-12-17 2019-01-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Wearable smart key
WO2017155314A1 (en) * 2016-03-08 2017-09-14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Control device for dynamically providing control interface on basis of change in position of user, method for dynamically providing control interface in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recorded thereon
WO2017164808A1 (en) 2016-03-24 2017-09-28 Razer (Asia-Pacific) Pte. Ltd. Docks, comput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dock,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EP3433681A4 (en) * 2016-03-24 2019-03-27 Razer (Asia-Pacific) Pte Ltd. Docks, comput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dock,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US10747266B2 (en) 2016-03-24 2020-08-18 Razer (Asia-Pacific) Pte. Ltd. Docks, comput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dock,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EP4283437A1 (en) * 2016-06-10 2023-11-29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977411B2 (en) 2018-05-07 2024-05-07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dding respective com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WO2024053851A1 (en)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2326A (en) 2017-02-22
EP3152643A4 (en) 2018-01-17
EP3152643A1 (en)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0212A (en) A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358043A1 (en)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wearable device
RU2642410C2 (en)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mobile and wearable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s and apparatus
CN103765960B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mobile device work
CN103853329B (en)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CN107786732A (en) Terminal applies method for pushing, mobi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3133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mpting gear shifting of bicycle
CN105744293A (en) Video live broadcast method and device
CN110377365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showing small routine
CN104977010A (en) Navigation prompt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974918B (en) Balance car control method, device and balance car
WO2022161037A1 (en) User determin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4270565A (en) Image shooting method and device and equipment
CN106471860A (en) Mobile terminal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it
CN107329268A (en) A kind of utilization AR glasses realize the shared method in sight spot
CN106453481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8900780A (en) A kind of screen light compensa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6506837A (en) The method and device of PUSH message
CN104640062B (en) Information transferring method and device
CN110022948A (en) For provide exercise mobi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connected to it
CN106412810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WO2022062998A1 (en) Devic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N109167872A (en)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op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6020184A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balance vehicle, and balance vehicle
CN108829237A (en) Children's wrist-watch control method,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1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11

Effective date: 20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