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049A - Wearable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049A
KR20150140049A KR1020140068243A KR20140068243A KR20150140049A KR 20150140049 A KR20150140049 A KR 20150140049A KR 1020140068243 A KR1020140068243 A KR 1020140068243A KR 20140068243 A KR20140068243 A KR 20140068243A KR 20150140049 A KR20150140049 A KR 2015014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rtbeat
wearable device
sen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6654B1 (en
Inventor
이용호
정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654B1/en
Publication of KR2015014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A wearable device is disclosed.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which comes in contact with one spot of the face of a user to be worn on the face; at least one glass which is coupled to the body and has a display function; and a heartbeat sensor which is prepared at the spot of the contact to sense the heartbea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tbeat is sensed through the spot which comes in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0002] WEARABLE DEVICE [

본 발명은 사용자 안면과 접촉하는 지점을 통하여 사용자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sensing a user's heartbeat through a point of contact with a user's face.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몸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팅 시스템(wearable computing system)에 대한 연구와 관심 그리고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안경과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글라스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휴대 전화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In recent years, research, interest, and commercialization of a wearable computing system (wearable computing system), which can be directly mounted on the bod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Particularly, there is a high interest in a wearable device that can provide various data through a glas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it as glasses, and provides a cellular phone function, a camera func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안면과 접촉하는 지점을 통하여 사용자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heartbeat through a point of contact with a user's fac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도록, 상기 안면 중 적어도 일 지점에 접촉하는 바디(body);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기능이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glass); 및 상기 접촉하는 적어도 일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dy, comprising: a body contacting at least one point of the face to be worn on the face of the user; At least one glass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a heartbeat sensor provided at at least one point of contact with the heartbeat sensor for sensing a heartbeat of the user.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기 설정된 일정간격으로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for sensing the heartbeat of the us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sing the heart rate sensor.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 unit for substantially continuously sensing the heartbeat of the user using the heart rate sensor.

상기 심박센서는, 상기 접촉하는 지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접촉하는 지점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rtbeat senso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that emits light toward the contact point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that senses light reflected from the contact point.

상기 접촉하는 지점은,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frame)과 상기 사용자 코의 접촉 지점,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코받침 지점,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이어폰과 상기 사용자 귀의 접촉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일 수 있다.Wherein the point of conta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tact point of the user's nose and a frame constituting the body, a nose point constituting the body, at least one of a contact point of the earphone constituting the body and a contact point of the user's ear Lt; / RTI >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한 상기 심박의 정보를 상기 글래스를 사용하여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의 심박이 기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심박의 정보를 다르게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heartbeat sensed using the heartbeat sensor using the glass,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heartbeat differently when the heartbeat of the user enters a predetermined interval.

사용자의 심박변화, 위치변화, 가속도변화, 속도변화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user based on at least two types of sensing values including a heart rate change, a position change, an acceleration change, and a speed change of the user.

무선 통신부와,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한 상기 심박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heartbeat sensed by using the heartbeat sensor to another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안면과 접촉하는 지점을 통하여 사용자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heartbeat can be detected through a point of contact with the user's fac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심박 정보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보 공유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of Fig. 2;
4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bea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 rat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 rat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 rat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heartbeat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US Only Start]][[US Only Start]]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US Only End]][[US Only En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on the body of the user U and used.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동 단말기와 다를 수 있다. 즉, 휴대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이동 단말기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사용자(U)의 신체 중 적어도 일 부분과 지속적인 접촉이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동 단말기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르다. 이와 같은 차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U)의 생체신호를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different from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n that the wearable device 100 can be worn on the body of the user U. That is, in terms of portability,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and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re is continuous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U, And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ased on this dif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detect the bio-signals of the user U in accordance with a substantially continuous or set period.

사용자(U) 생체신호를 연속적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U)가 의식하지 못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생체신호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고 사용자(U)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던 종래와 다르다. 즉, 사용자(U)의 신체에 접촉하여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하지 않음은 물론 보다 정확한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ince the user U can detect the bio-signal continuously or at set intervals,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the bio-signal that may occur during the inability of the user U to be unconscious. This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user U gives a notice to the user to sense a bio-signal and measures the bio-signal by manipulating the mobile terminal. That is, since the user can touch the body of the user U and can sense the biological signal naturally while the user does not recognize it, the user does not need to perform additional operation for detecting the biological signal, .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바디(10)와, 글래스(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body 10 and a glass 50.

바디(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바디(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40), 프레임(40)에서 연장된 코받침(20) 및/또는 이어폰(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0 may be a part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body 10 may include a frame 40 constituting the framework of the wearable device 100, a nose support 20 extending from the frame 40 and / or an earphone 30.

프레임(40)은, 안경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경우에 사용자의 안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양쪽 귀를 연결하는 반원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얼굴에 착용하는 안경타입의 경우에, 무게가 가벼운 금속 내지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프레임(40)을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40) 중 적어도 일 지점은, 사용자(U)의 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0)를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귓바퀴 부분에 프레임(40)이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frame 40 may be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face in the case of a wearable device 100 of the type of glasses. For example, it may be semicircular, connecting the user's ears. In the case of the type of glasses to be worn on the face, the frame 40 can be constituted by using a lightweight metal or plastic. At least one point of the frame 4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U.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frame 4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arlobe portion to fix the body 10 to the face.

프레임(40)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전자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 및 그 부속품들이 프레임(40)에 내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incorporated in the frame 40.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camera 110 and its accessories can be embedded in the frame 40.

코받침(20)은, 프레임(40)에서 사용자의 코(N)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코받침(20)은, 사용자(U)의 코(N)에 접촉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안경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코받침(20)을 통해 사용자(U)의 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nose receiver 2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frame 40 toward the nose of the user. The nose support 20 can serve to support the wearable device 100 by contacting the nose N of the user U. [ That is,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glasses type means that the wearable device 100 can directly contact the skin of the user U through at least the nose support 20.

이어폰(30)은, 사용자(U)의 귀에 삽입되어 음향을 전달하는 기구물일 수 있다. 사용자(U)의 귀에 삽입되는 형태라는 점에서, 이어폰(30)의 적어도 일 지점은 사용자(U)의 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The earphone 30 may be an instrument inserted into the ear of the user U to transmit sound. At least one point of the earphone 3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U, in that it is a form inserted into the ear of the user U.

글래스(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U)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프리즘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glass 50 can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U using the wearable device 100. [ For example, it means that visu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s eyes using a display, a prism, or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귀에 결합되는 결합고리(11)를 포함하는 바디(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0 including a coupling ring 11 coupled to the ear of the user U. [

바디(10)는, 사용자(U)의 한쪽 귀에만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바디(10)는, 결합고리(11)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결합되고 바디(10)의 일 끝단인 접촉부(20)를 통해 사용자의 코에 접촉될 수 있다. 결합고리(11) 및/또는 접촉부(2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될 수 있다.The body 10 may be shaped to be coupled to only one ear of the user U. The body 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ser's nose through the engagement ring 11 and through the contact portion 20, which is one end of the body 10, The wearable device 100 can be fixed to the user's face through the engagement ring 11 and / or the contact portion 20. [

바디(10)에는, 글래스(50)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U)는, 글래스(5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To the body 10, a glass 50 can be coupled. The user U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glass 50. [

도 3은 도 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of Fig. 2;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12)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의 역할을 하는 PCB(14)와, PCB(14)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케이블(16)과, 심박센서(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es a battery 12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a PCB 14 serving as a control unit of the wearable device 100, A signal cable 16 for transferr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ler 14, and a heartbeat sensor 40.

PCB(14)에 내장된 제어부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PCB(14)에서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control unit built in the PCB 14 can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That is, it means that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wearable device 100 can be generated on the PCB 14. [

심박센서(40)는, 신호케이블(16)을 통하여 PCB(14)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신호케이블(16)을 통해 심박센서(40)로 송신하고, 심박센서(40)를 사용해 측정한 심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heart rate sensor 4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PCB 14 via the signal cable 16. [ The control unit can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heartbeat sensor 40 via the signal cable 16 and acquire the measured heartbeat information using the heartbeat sensor 40. [

심박센서(40)는, 바디(10)의 접촉부(2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피부에 근접한 위치에 심박센서(40)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heart rate sensor 40 may be located at the contact portion 20 of the body 10. That is, it means that the heartbeat sensor 40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or close to the skin.

심박센서(40)는, 혈액 흐름의 감지 및/또는 심박에 의한 주기적인 진동의 감지 등을 적용하여 심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heartbeat sensor 40 may acquire heartbeat information by sensing blood flow and / or detecting periodic vibration due to heartbea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bea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박센서(40)는, 사용자의 피부(SK)를 관찰하여 심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심박센서(40)는, 발광부(42)와 광수신부(4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heartbeat sensor 40 can acquire heartbeat information by observing the skin SK of the user. The heart rate sensor 4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42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44.

발광부(42)는, 사용자의 피부(SK)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42)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심박 정보의 획득이 필요한 시점에 동작할 수 있다. 발광부(42)에서 조사된 빛은, 사용자의 피부(SK)에 존재하는 혈관(BL)에 조사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42 can irradiate light toward the skin SK of the user. The light emitting unit 42 can operate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acquire the heartbea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42 can be irradiated to the blood vessel BL present in the skin SK of the user.

발광부(42)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수신부(44)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적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박을 측정하는 중에도 사용자 및 주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그 사실이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42 can emit infrared rays. In this case, the light reception section 44 may be an optical sensor for sensing infrared rays. When infrared is used, it may not be visually perceived by the user and others around him during heart rate measurements.

광수신부(44)는, 혈관(BL)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혈관(BL)은, 사용자의 피가 흐르는 경로일 수 있다. 혈관(BL)을 흐르는 피는, 심장의 박동에 따라 유속 및/또는 유량이 변화될 수 있다. 광수신부(44)는, 혈관(BL)에 조사된 빛의 반사광을 감지할 수 있다. 반사광은, 혈관(BL)에 흐르는 피의 유속 및/또는 유량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광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횔득할 수 있다.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수신부(44)는, 카메라일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portion 44 can sens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lood vessel BL. The blood vessel BL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blood of the user flows. The blood flowing through the blood vessel BL can change the flow rate and / or the flow rate depending on the heartbe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44 can sens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irradiated to the blood vessel BL. The reflected light can be period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velocity and / or flow rate of the blood flowing through the blood vessel BL. Therefore, when the reflected light is sensed, the user's heartbeat information can be acquired. The light receiving section 44 for detecting reflected light may be a camera.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 rat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40)는, 이어폰(30)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eart rate sensor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 the earphone 30.

이어폰(30)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음향을 전달하는 기구일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30)의 몸체 중 적어도 일 지점은, 사용자의 귀에 직접 접촉하거나 사용자의 귀와 매우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The earphone 30 may be a mechanism inserted into a user's ear to transmit sound. Thus, at least one point of the body of the earphone 3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ear or very close to the user's ear.

심박센서(40)는, 이어폰(30)에서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심박센서(40)는, 발광부(42)와 광수신부(44)를 포함하여, 사용자 귀에 위치한 혈관을 관측할 수 있다. 이어폰(30)에 심박센서(40)가 위치하는 경우에, 발광부(42) 이외의 빛으로 인한 간섭의 영향이 적어짐은 물론 심박센서(40)가 귀에 밀착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The heart rate sensor 40 may be located at a portion of the earphone 30 that contacts the user's ear. The heart rate sensor 40 can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42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44 to observe blood vessels located in the user's ear. When the heart sensor 40 is positioned on the earphone 30,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due to light other than the light emitting portion 42 is reduced and the heart sensor 4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ar. It can be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 rat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40)는, 코받침(20)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therein, the heartbeat sensor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 the nose support 20.

코받침(20)은, 사용자(U)의 코(N)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코받침(20) 내에 심박센서(40)를 위치시키는 경우에, 보다 정확하게 심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nose receiver 2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nose N of the user U.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heart rate sensor 40 is positioned in the nose support 20, the heart rat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more accurately.

코받침(20)에 심박센서(40)가 내장되는 경우에, 심박센서(40)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인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박센서(40)는, 압전센서일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heart sensor 40 is embedded in the nose receiver 20, the heart sensor 40 may be a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For example, the heart rate sensor 40 may be a piezoelectric sensor.

코받침(20)은, 사용자의 코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코받침(20)은, 사용자 코에 전달되는 심박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받침(20)에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전센서가 내장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할 수 있다.The nose receiver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Therefore, the nose support 20 can directly detect the heartbeat transmitted to the user's nose. Therefore, if a piezoelectric sensor capable of sensing pressure is installed in the nose support 20, the heartbeat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can be measur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heart rat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카메라(110)와 조합될 수 있다.As shown therein, the heart rate sensor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wearable device 10 camera 110.

카메라(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카메라(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사용자가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장착된 장치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camera 110 may be a device for photographing an image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That is, the camera 110 means that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a device mounted for shooting a surrounding image.

심박센서(40)를 구성하는 발광부(42)는, 카메라(11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손가락(F)의 끝부분의 면적 보다 작은 거리로 카메라(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발광부(42)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42 constituting the heart rate sensor 40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camera 110. [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42 can be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camera 110 at a distanc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end of the user's finger F. [

심박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사용자는 손가락(F)을 심박센서(40)로 접근시킬 수 있다. 손가락(F)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별도의 명령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는 심박센서(40)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user desires to know the heartbeat information, the user can approach the finger F to the heartbeat sensor 40. [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heart rate sensor 40 to acquire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us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40)는, 연속적인 심박 측정을 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the controller 140 of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step of performing continuous heartbeat measurement (S10).

심박센서(40)는, 코 및/또는 귀 등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특징에 기반한다.The heart rate sensor 40 can mainta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uch as the nose and / or ear. This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rable device 100 in a form worn by the user.

심박센서(40)는, 사용자의 명령 및/또는 의지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심박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센서(40)는 일정한 주기로 심박 정보를 획득하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심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heart rate sensor 40 can continuously detect the heartbeat of the user irrespective of the user's command and / or will. For example, the heart rate sensor 40 may acquire the heart rate information at a constant cycle, or may acquire the heart rate information substantially continuously.

제어부(140)는, 심박변화 이벤트를 감지(S20)하면, 심박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30)를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40 senses a heartbeat-change event (S20),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a heartbeat state (S30).

심박변화 이벤트는, 심박이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심리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는 상황에 있게 되는 경우일 수 있다.The heart rate change event may be when the heart rate is out of a certain range.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s wearing state becomes unstable and the heart rate is increased.

심박변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글래스(50)를 통해 해당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심박이 평소보다 높으므로 주의를 요한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a heart rate change event occurs, the control unit 140 can display the fact through the glass 50. FIG.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user's current heart rate is higher than usual and therefor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needs attention is displayed.

심박 정보는, 심박변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평소 안정적인 심박 상태에서는 심박 정보가 중요한 정보는 아닐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좀더 중요성이 높은 다른 정보를 표시하다가, 심박변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심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heartbeat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when a heartbeat-change event is generated. That is, in a normal stable heartbeat state, the heartbeat information may not be important information. Therefore, it means that other information, which is more important than usual, is displayed and heartbea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order to remind the user when a heartbeat change event occurs.

제어부(140)는, 심박안정화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step S40 of providing a guide for heart rate stabilization.

제어부(1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어떠한 상태에서 심박이 안정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쉼호흡을 하도록 유도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어떠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가 여부 및/또는 쉼호흡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10) 등 다른 센서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an substantially continuously check the heartbeat information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may have information on how the user can stabilize the heartbeat. This means, for example, that the user is able to induce him to relax in a relaxed postur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ttitude and / or the state of the rest breathing can be acquired through other sensors such as the camera 110 of the wearable device 10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심박 정보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heartbeat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심박 정보는, 사용자가 심박의 현 상태를 보다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the heartbeat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the heartbeat.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심박은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는, 안정적인 심박 상태 또는 약간 빠르긴 하지만 안정범위 내에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에 있을 때, 제어부(140)는 제1 표시창(NT1)을 사용하여 현재의 심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 the current heartbeat may be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state may be a stable heartbeat state or a state somewhat fast but within a stable range. When in the first state, the control unit 140 can display the current heartbeat information using the first display window NT1.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심박은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는, 안정을 벗어난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어부(140)는 제2 표시창(NT2)을 사용하여 현재의 심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창(NT2)은, 제1 표시창(NT1)에 비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위치 및/또는 색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의 중앙측에 접근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보다 눈에 뜨이는 색상으로 표시되거나,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9 (b), the current heartbeat may be in the second state. The second state may be out of stability. When in the second state, the control unit 140 can display the current heartbeat information using the second display window NT2. The second display window NT2 may be a position and / or color that can attract a user's attention as compared to the first display window NT1. For example, in a position approaching the center 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131, displayed in a more visible color, or displayed in a larger size.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심박은 제3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3 상태는, 평소의 심박 상태에서 크게 벗어난 상태일 수 있다. 제3 상태에 잇을 때, 제어부(140)는 제3 표시창(NT3)을 사용하여 현재의 심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표시창(NT3)은, 제1,2 표시창(NT1, NT2)에 비하여 보다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에게 심박 안정화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는, 심박의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는 문구 및/또는 사용자가 취해야할 자세의 그래픽 이미지 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9 (c), the current heartbeat may be in the third state. The third state may be largely deviated from the normal heartbeat state. When in the third state, the control unit 140 can display the current heartbeat information using the third display window NT3. The third display window NT3 may be located in a position that can attract a user's atten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windows NT1 and NT2.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provide a guide to the user for cardiac stabilization. The guide may be a graphic image of a phrase that can lead to stabilization of the heartbeat and / or a posture the user should take.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보 공유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200, 300)와 심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hare heartbeat information with other devices 200 and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90)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200, 300) 및/또는 서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100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 devices 200, 300 and / or th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특정된 다른 디바이스(200, 300)와 심박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다른 사용자와 대화를 하고 있는 중에, 심박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화와 함께 심박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대화를 나누고 있는 상대방의 심리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00 can exchange heartbeat information with other specified devices 200 and 300. [ For example, it means that heart rate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hile the messenger application is running and conversing with other users. Since the heartbeat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the conversati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onversation partner can be more accurately known.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심박은 지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 주기로 계속하여 감지되거나, 리얼타임으로 감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1, the heartbeat of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can be continuously detected. For example, it means that it can be continuously detected at a constant time period or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제어부(140)는, 감지하던 사용자의 심박이 변화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사실을 외부와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이 임계수치(CP)를 넘어서면 병원서버(MC)에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심박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제어부(140)가 이벤트의 발생을 병원서버(MC)로 송신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더 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an share the fact that the detected heartbeat of the user changes when the event occurs. For example, if the heartbeat of the user exceeds the threshold value (CP), it means that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hospital server (MC). Even if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e user's heartbeat, the control unit 140, which continuously checks the heartbeat of the user, can transmit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o the hospital server (MC) .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2 to 1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상상황을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nd respond to an abnormal situation occurring to a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현 상태를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변화, 사용자의 위치 변화, 가속도 변화, 속도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wearable device 100 can detect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through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00 can detect a user's heart rate change, a user's position change, an acceleration change, a speed change, and the like.

제어부(140)는, 사용자 심장박동수 변화 등을 감지하는 중 특정 시점에 복수의 이상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t1 시점에 심장 박동수가 임계값(CP) 보다 낮아지고, 사용자의 위치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가속도 변화가 큰 이후에 변화가 없으며, 이동이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이상신호는 사용자가 심장마비 등으로 인하여 실신한 상태로 평가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sense a plurality of abnormal signal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during sensing the user's heart rate change. At the time t1, the heart rate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CP, the position of the user changes abruptly, there is no change after the acceleration change is large, and there is no movement. Such a plurality of abnormal signals can be evaluated as a state in which a user has fainted due to a heart attack or the like.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에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이 감지되었음을 알리고, 실제 사용자에게 이상이 감지하였는가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a), when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at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the controller 140 can display the related information i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131. For example, it can be notified that an anomaly has been detected, and the actual user can be checked whether or not an anomaly is detected.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가이드에 불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반응이 없는 경우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외부에 사용자를 돕도록 요청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b), when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user despite the constant guide, the wearable device 100 can determine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100 can request to help the user outside.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병원서버(MC) 등으로 송신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상태, 사용자의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쓰러져 있는 주소, 사용자의 심박 정보, 나이, 성별, 과거 병력 등을 함께 송신하여 보다 빠른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4, the wearable device 100 can send a request to the user to send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hospital server (MC) or the like for assistance. At this time, the wearable device 100 can transmi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he state of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ogether.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user can send a collapsed address, a user's heartbeat information, age, sex, past medical history, etc., together to enable a faster structure.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주위의 일정 반경(R) 내의 다른 디바이스(200, 300, 400)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의 다른 디바이스(200, 300, 400)를 감지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주위에 다른 디바이스(200, 300, 400)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큰 소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wearable device 100 can request assistance from other devices 200, 300, and 400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 around the user who has experienced an emergency. For example, it means that other devices 200, 300, and 400 in the vicinity can be detected and a message can be transmitted. Alternatively, a loud sound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60 so that the user of the other devices 200, 300, and 400 can perceive the surroundings.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16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10), 글래스(130), 마이크(150), 음향 출력부(160), 터치 센서(170), 메모리(180), 무선 통신부(190) 및 전원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10, a glass 130, a microphone 150, an acoustic output unit 160, a touch sensor 17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and a power supply unit 200. [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경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device of a type that can be worn by the user. For example, the device may b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pair of glasses.

카메라(110)는 외부영상을 촬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필요시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The camera 110 may be used to photograph an external image. The camera 110 can be rotated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necessary.

카메라(110)는 사용자의 시각을 넘어서는 범위의 외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시각의 범위를 A라고 할때,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범위는 A+a 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를 통해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360도 범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The camera 110 can take an external image in a range exceeding the time of the user. That is, when the range of the user's time is A, it means that the range that can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10 can be A + a.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n image in a 360-degree range around the user through the camera 110. [

카메라(1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측방, 후방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개수의 카메라(110)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각 위치에 자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number of cameras 110 may be plural. For example, it means that a suitable number of cameras 110 for photographing the front, side, and rear can be located at each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카메라(110)는 광각 카메라일 수 있다. 즉, 통상의 카메라 보다 큰 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각 카메라를 적용할 경우, 적은 개수의 카메라(110)로도 사용자 주위의 외부영상을 폭넓게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110 may be a wide angle camera. That is, it means that the camera can photograph an image of a larger angle than a normal camera. When a wide-angle camera is applied, even a small number of cameras 110 can acquire a wide range of external images around the user.

글래스(130)는 일반적인 안경과 같이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글래스(130)를 통해 주위를 관찰할 수 있다. 글래스(130)는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되도록 2개 마련되거나, 좌안과 우안 중 하나의 눈에 대응되도록 1개 마련될 수 있다.The glass 130 may be substantially transparent, such as general glasses. The user can observe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glass 130. Two glasses 130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or one glass 13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eye of the left and right eyes.

글래스(130)에는 정보 제공을 위한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이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은 좌안 및/또는 우안에 대응되도록 두 개 또는 한 개 가 마련될 수 있다.The glass 13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display area 131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131. [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131 may be provided with two or one such that it corresponds to the left eye and / or the right eye.

제어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시선을 주는 전방 객체에 대한 정보 획득 동작을 수행하고, 획득된 정보를 글래스(130)에 마련된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눈의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인식되는 사용자의 아이 제스처(eye gesture)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a whole.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means that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as a whole. The control unit 140 may analyze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10.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an information acquisition operation for a forward object to which the user gives a gaze and provide the acquired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131 provided in the glass 130. [ The control unit 140 may analyze the image of the user's ey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0 and may perform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ye gesture of the user recognized as an analysis result.

마이크(150)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및/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50)에 의하여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50 may receive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nd / or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may proces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Meanwhile,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by the microphone 150 may be implemented.

음향 출력부(1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6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이어폰 잭(미도시)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어폰 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60 may output audio data. The sound output unit 16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unit 160 can output sound through an earphone jack (not shown). The user can connect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jack and hear the sound output.

센서부(170)는 특정 부위에 대한 터치에 의하여 가해진 압력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70)는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부(170)를 통한 입력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or capacitance applied by a touch to a specific regio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The sensor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proximity sensor. The input data through the sensor unit 170 may be used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메모리(180)는 제어부(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를 임시 및/또는 항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8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and may temporarily and / or permanent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phonebook, message, still image, moving picture, etc.).

메모리(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8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8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 An optical disc, and the lik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storage functions of the memory 180 on the Internet.

무선 통신부(19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9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무선 통신부(190)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 관련 모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However, the rang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related modul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0 is not limited thereto.

전원부(20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0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 카메라
130 : 디스플레이부 180 : 메모리
100: wearable device 110: camera
130: display unit 180: memory

Claims (8)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도록, 상기 안면 중 적어도 일 지점에 접촉하는 바디(body);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기능이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glass); 및
상기 접촉하는 적어도 일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body contacting at least one of said face so as to be worn on the face of the user;
At least one glass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And a heartbeat sensor provided at at least one point in contact with said heartbeat sensor for sensing a heartbeat of said us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기 설정된 일정간격으로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ler for sensing the heartbeat of the us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sing the heartbeat sen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for substantially continuously sensing the heartbeat of the user using the heartbeat sen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센서는,
상기 접촉하는 지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접촉하는 지점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rt rate sensor comprises: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light toward the contact point;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for sens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contact poi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하는 지점은,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frame)과 상기 사용자 코의 접촉 지점,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코받침 지점,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이어폰과 상기 사용자 귀의 접촉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int of contact,
A contact point of the user's nose, a nose point constituting the body, and a contact point of the earphone and the user's ear constituting the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한 상기 심박의 정보를 상기 글래스를 사용하여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의 심박이 기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심박의 정보를 다르게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the heartbeat information sensed using the heartbeat sensor using the glas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displaying the heartbeat information differently when the heartbeat of the user enters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박변화, 위치변화, 가속도변화, 속도변화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user based on at least two types of sensing values including a heart rate change, a position change, an acceleration change, and a speed change of the user.
제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와,
상기 심박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한 상기 심박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heartbeat sensed by using the heartbeat sensor to another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R1020140068243A 2014-06-05 2014-06-05 Wearable device KR102246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243A KR102246654B1 (en) 2014-06-05 2014-06-05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243A KR102246654B1 (en) 2014-06-05 2014-06-05 Wear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49A true KR20150140049A (en) 2015-12-15
KR102246654B1 KR102246654B1 (en) 2021-05-03

Family

ID=5502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243A KR102246654B1 (en) 2014-06-05 2014-06-05 Wear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6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537A (en)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Spectrum acquir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52493A (en)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이엠텍 Augmented reality implementing system using wearable sound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202A (en)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60142665A1 (en) * 2004-05-14 2006-06-29 Garay John L Heart rate monitor
JP2008029590A (en) * 2006-07-28 2008-02-14 Seiko Epson Corp Transmitter with bioinform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function, transmitter with bioinformation measuring function, control method of transmitter with bioinform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function and bioinform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program
JP2013178639A (en) * 2012-02-28 2013-09-09 Seiko Epson Corp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202A (en)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60142665A1 (en) * 2004-05-14 2006-06-29 Garay John L Heart rate monitor
JP2008029590A (en) * 2006-07-28 2008-02-14 Seiko Epson Corp Transmitter with bioinform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function, transmitter with bioinformation measuring function, control method of transmitter with bioinform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function and bioinform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program
JP2013178639A (en) * 2012-02-28 2013-09-09 Seiko Epson Corp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537A (en)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Spectrum acquir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52493A (en)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이엠텍 Augmented reality implementing system using wearable sou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654B1 (en)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428B2 (en) Monitoring pulse transmissions using radar
US116385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oke detection
US11126004B2 (en) Head-mounted electronic display device with lens position sensing
US9547365B2 (en) Managing information display
KR102655878B1 (en) Electronic Device which calculates Blood pressure value using Pulse Wave Velocity algorithm and the Method for calculating Blood Pressure value thereof
US9664902B1 (en) On-head detection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
US8767014B2 (en) Automatic text scrolling on a display device
US9807291B1 (en) Augmented video processing
CN110326300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600157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ccuracy of contactless thermometer module
US9794475B1 (en) Augmented video capture
CN103646587A (en) deaf-mute people
KR20170127744A (en) Watch type terminal
CN114222941B (en) Eye wear equipment tie
US11006873B2 (en) Calculating a score of a degree of arousal of a user
KR20150140049A (en) Wearable device
US106436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9077703B (en) Flexibility det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200183488A1 (en) Compensating For A Movement of A Sensor Attached To A Body Of A User
US20220240802A1 (en) In-ear device for blood pressure monitoring
US202202932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cognitive-state transitions
AU2013200187B9 (en) Automatic text scrolling on a head-mounted display
US106912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reflection of an operation in an output
KR20160008677A (en) Image immersion guiding apparatus and image immersion guid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US11763560B1 (en) Head-mounted device with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