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266A -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266A
KR20150134266A KR1020150056895A KR20150056895A KR20150134266A KR 20150134266 A KR20150134266 A KR 20150134266A KR 1020150056895 A KR1020150056895 A KR 1020150056895A KR 20150056895 A KR20150056895 A KR 20150056895A KR 20150134266 A KR20150134266 A KR 20150134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file
transmission
determin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3328B1 (en
Inventor
전펑 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18,59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20883B2/en
Publication of KR2015013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2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 file which includes: a communications uni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input of selecting a file to be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distance, and transmitting the file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s unit.

Description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0001]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 [0002]

본 개시는 모바일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the field of mobile communic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iles.

파일을 전송할 때 다양한 전송 방식들이 기존의 스마트 폰들 대부분에 제공된다. When transferring files, various transmission schemes are provided for most existing smartphones.

스마트폰이 파일을 전송하는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자가 전송될 파일을 선택한 후, 스마트폰은 전송될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송 방식들을 검색하고, 어떤 형태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전송 방식들을 제시할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전송 방식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다양한 전송 방식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고, 전송될 파일의 전송을 하기 위해, 선택된 전송 방식 하에 대응하는 설정(setting)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프로세스에서, 사용자의 동작들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In a conventional method of transmitting a file by a smart phone, after the user selects a file to be transmitted, the smart phone searches various transmission methods that can be used to transmit the file to be transmitt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various transmission schemes and the user must select one of the various transmission schemes and select a corresponding setting under the selected transmission scheme to transmit the file to be transmitted, And performs an operation. I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user's actions are relatively complex.

본 개시는 효율적으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efficiently transferring files.

일부 실시예에 따른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통신부,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 inpu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le to be transferred to a second device,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file input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le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 또는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scheme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or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hort message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and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method can be determined.

상기 제어부는 전화 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기지국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기지국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mmand for acquiring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having a telephone number to a server of the base station to acquir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s greater than a preset distance, and if the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distance,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erminals that have turned 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at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주소 정보가 상기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otherwise, It can be detected that the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second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아이들(idle)이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비지(busy)이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second device, and when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idle, the transmission mode is determined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and if the status of the second device is busy, the transmission mode can be determined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전송 방식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account)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ler acquires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and if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or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ode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related to the device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될 파일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은,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transferring a file in a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le to be transferred to a second device,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le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a distance,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and transmitting the file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상기 전송 방식은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 또는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scheme may be determined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or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tance includes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to a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wherein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is And may b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scheme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in the same base station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전화 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기지국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기지국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a command for obtaining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having a telephone number to a server of the base station to obtain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 또는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or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distance is perform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s greater than a preset distance, Searching for terminals that have turned 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typ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urned on in the device, if the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device is included.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아이들(idle)이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비지(busy)이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i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if the status of the second device is idle,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if the status of the second device is busy,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상기 방법은, 상기 전송 방식이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전송 방식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account)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a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f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or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ode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related to the second device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될 파일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the transmission method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devic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ferring a fil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4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terminal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same base station coverag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7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8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ype of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when a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a transmission method a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igure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evice for transferring files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devic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1을 참고하면, 각 디바이스(100, 200)는 파일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 200)는 각각 모바일 통신 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게임 콘솔,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포터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200)로 파일을 전송하거나, 다른 디바이스(200)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파일을 수신하거나, 디바이스(100)로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each device 100, 2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a file. For example, the devices 100 and 200 may b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ersonal computers, tablet computers, game consoles, digital multimedia players, portable wearable devices, and the like. The device 100 can transmit a file to another device 200 or receive a file from another device 200. [ In addition, the device 200 may receive a file from the device 100, or may transfer the file to the device 100.

이하 명세서에서, 디바이스(100)가 디바이스(200)로 파일을 전송하고, 디바이스(200)가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통신 단말, 디바이스(200)는 수신 디바이스 또는 수신 단말로도 언급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device 100 transmits a file to the device 200 and the device 200 receives the file, the device 100 is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evice 200 is also a receiving device or a receiving terminal Can be mentioned.

디바이스(100)가 수신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파일은 다양한 디지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은 동영상(예컨대, TV 프로그램 영상, VOD(Video On Demand), 개인 영상(UCC: User-Created Contents), 뮤직비디오, 유투브 영상 등), 정지 영상(예컨대, 사진, 그림 등), 텍스트(예컨대, 전자책(시, 소설), 편지, 업무 파일), 음악 콘텐트(예컨대, 음악, 연주곡, 라디오 방송 등),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le that the device 100 transmits to the receiving device 200 may be various digit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le may be a moving picture (e.g., a TV program video, a video on demand (VOD), a user-created content (UCC), a music video, (E. G., Books, novels, letters, work files), music content (e. G., Music, musical scores, radio broadcasts, etc.), web pages, application execution information, no.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ferring a fil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예시로서, 통신 단말은 파일들을 전송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게임 콘솔,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포터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있다. By way of illustr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fil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game console, a digital multimedia player, a portable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단계 101에서, 통신 단말은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한다. 즉, 통신 단말은 전송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101,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on the file to be transmitted. That is,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le to be transmitted.

단계 102에서,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다른 통신 단말(이하에서 수신 단말로도 언급됨)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In step 102,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lso referred to as a receiving terminal hereinafter)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선택적으로, 전송 방식이 단계 102를 통해 결정되기 전에,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 및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이 수신되어야만 한다. Optionally, before the transmission mode is determined via step 102,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file to be transmitted and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must be received.

일 예에서,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101이 수행되기 전에,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이 수신되고, 그 다음 단계 101이 수행된다. In one example, before the step 101 of receiving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performed,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received, and then step 101 is performed.

다른 예에서, 전송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101이 수행된 후에,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이 수신되고, 그 다음 단계 102가 수행된다. In another example, after step 101 of receiving a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selecting a file to be transmitted is performed, a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received, and then step 102 is performed .

선택적으로,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는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MAC 주소), 수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계정 정보, QQ 계정 정보, 위챗(Wechat) 계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Optionally,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may includ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e.g., MAC address of the receiving terminal),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email account information, QQ account information, Wechat account information, etc.).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를 먼저 획득해야만 하고, 통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 파일을 전송할 때,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first acquire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file to the receiving terminal,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전송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전송 방식은 장거리 전송 방식 및 단거리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전송 방식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SMS)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 방식을 제외한 다른 전송 방식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QQ 계정, E-서핑(E-surfing) 클라우드 계정, 이메일 계정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이메일 전송 방식, QQ 전송 방식 및 위챗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various. The transmission scheme may include a long-distance transmission scheme and a short-distance transmission scheme. For example,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a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file using a network application, a short message service (SMS) transmission method, and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transmission method.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scheme for transmitting the file through the network application may be other transmission schemes except for the short message (SMS) transmission scheme or the multimedia message (MMS) transmission scheme. Examples of network applica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QQ account, an E-surfing cloud account, an email account, and the like. In one example, a transmission scheme for 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may include an e-mail transmission scheme, a QQ transmission scheme, and a secondary chat transmission scheme.

일 예에서,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은 블루투스 전송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전송 방식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 may include a Bluetooth transmission scheme, a Wi-fi direct transmission scheme, and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

단계 103에서, 통신 단말은 파일을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한다.In step 103, th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단계 102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한 후, 단계 103에서 파일은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된다.Afte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in step 102, the file is transmitted in step 103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ode.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단계 201에서,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In step 201,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that receives the file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단계 202에서,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preset) 거리와 비교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202,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mpa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to a preset distanc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small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의 값은 기존의(existing)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거리 요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ptionally, the valu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requirement of the exis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terminal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이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 및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여,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1);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2); 그리고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3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면, 통신 단말은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는 수신 단말의 위도(latitude) 및 경도(longitude) 위치 정보일 수 있고,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는 통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는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satellite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Optional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comprises: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for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S301) of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by transmitting the number to the terminal;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302); 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S303).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determin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latitude and longit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the latitude and longit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btained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can be acquired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가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해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로 전송될 수 있고, 수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된(replied) 단문 메시지가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 다음 통신 단말은 GPS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 및 통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에 따라, 수신 단말 및 통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는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고,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는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다. For example, a short message including an instruction to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sponse includ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 replied short message may be receiv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then use the GPS to obtain latitude and longit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는 시각적(visible) 관련 정보 및 프라이빗(private)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관련 정보는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 통신 단말의 주소 정보(예를 들어, 통신 단말의 MAC 주소), 통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계정 정보, QQ 계정 정보, 위챗 계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라이빗 관련 정보는 통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패스워드(예를 들어, 이메일 계정 패스워드, QQ 계정 패스워드, 위챗 계정 패스워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관련 정보를 교환할 때,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의 시각적 관련 정보를 수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나, 통신 단말의 프라이빗 정보를 수신 단말에 제공하지 않는다. Optionally,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visible related information and private related information. The visual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MAC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unt information of a network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e.g., e-mail account information, QQ account information, Account information, etc.). Optionally, the privat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ount password (e.g., an email account password, a QQ account password, a Wikitic account password, etc.) of a network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exchange relevant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rovide visual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but does not provide the privat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기 전,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Optionally, b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s determin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1).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terminal (S401).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S402). 예를 들어,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S402). For example, as described in FIG. 4,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small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403).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S403).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거리 요건을 만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고, 이때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거리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likely to satisfy the distance requirement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istance requirement of the method satisfies the requirement.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단거리 통신 방식의 거리 요건을 만족하지 않음이 분명하고, 이때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필요가 없고, 전송 방식은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바로 결정될 수 있다.It is clear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do not satisfy the distance requirement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unless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determined directly by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same base station coverag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이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예를 들어, 도 5의 S401)는: 전화 번호를 가지는 수신 단말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기지국의 서버로 전송하여, 수신 단말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01); 및 수신 단말의 기지국 정보에 따라,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2)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for example, step S401 in Fig. 5),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step (S501) of transmitting a command for acquiring base station inform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having a telephone number to a server of the base station to obtain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determining (S502)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전송 방식은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전송 방식은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의 값은 기존의(existing)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거리 요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s greater than a preset distance, 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determine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determined as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Optionally, the valu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requirement of the exis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S601).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통신 단말이 거리를 결정하기 전,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도 있다.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단계 601이 수행되어, 통신 단말이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terminal (S601). As described in Fig. 5, befo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irst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If it is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step 601 is performed so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와 비교할 수 있다(S602).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mpa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S602).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603).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S603).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에서 현재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할 수 있다(S604).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arch for terminals that have turned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type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urrently turned 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604 ).

통신 단말은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S605).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면, 전송 방식은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지 않으면, 전송 방식은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S605). I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a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may be determined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determine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에는 복수의 단거리 통신 모듈들이 있을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은 단거리 통신 모듈들을 턴온하고, 그 다음 통신 단말에서 현재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한다. 이때, 만일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지 않으면, 전송 방식은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된다.Optional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have a pluralit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turns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then turns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short- And searches for one of the terminals. At this time, 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된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가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에 포함되면,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ncluded i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it is detected that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and otherwise the detect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have.

예를 들어,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Detecting; 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ethod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e 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does not include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n this case,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이하에서, 예시로서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MAC 주소 정보이며,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특정 단계들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은 상기 통신 단말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할 수 있고, 그 다음 통신 단말에서 현재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들의 MAC 주소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검색된 단말들의 MAC 주소 정보 리스트가 수신 단말의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색된 단말들의 MAC 주소 정보 리스트가 수신 단말의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검색된 단말들의 MAC 주소 정보 리스트가 수신 단말의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다. Hereinafter, specific steps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turn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search for the terminals that turned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type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urrently turned on 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ing a MAC address information list of the searched terminals; Detecting whether the MAC address information list o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f the MAC address information list o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MAC address information list of the searched terminals does not include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8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에서 현재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할 수 있다(S701).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arch for terminals that have turned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at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currently turned 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701).

통신 단말은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702). 일 예에서,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면, 통신 단말은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S702). In one example,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f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면,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S703).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상태는 아이들(idle) 또는 비지(busy)일 수 있다.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이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상태가 비지이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I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S703). For example, the status of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idle or bus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whether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dle or not. If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d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When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bus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704).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S704).

일 예에서,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은 블루투스 전송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전송 방식 및 NFC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들의 우선권(priority)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예를 들어, 와이파이 다이렉트 전송 방식은 블루투스 전송 방식에 우선하고, 블루투스 전송 방식은 NFC 전송 방식에 우선함), 사용자가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들의 우선권의 순서를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이 단말들을 검색하기 위해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하면,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들은 미리 설정된 우선권에 따라 하나씩 턴온될 수 있고, 요건을 만족하는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이 이용될 것이다. In one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 may include a Bluetooth transmission scheme, a Wi-fi direct transmission scheme, and an NFC transmission scheme. For example, the priorit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s can be set in advance (e.g., the Wi-Fi direct transmission scheme takes precedence over the Bluetooth transmission scheme, and the Bluetooth transmission scheme takes precedence over the NFC transmission scheme) The priority order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s can be manually modifie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urns o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o search for the terminal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s can be turned on one by one according to the preset priority, and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satisfying the requirements will be used.

선택적으로,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a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file using a network applicatio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통신 단말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에 전송할 파일 크기 및 파일 포맷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ype of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le size and the file format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통신 단말의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것으로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또는 수신 단말의 상태가 비지인 경우,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ype of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when a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a transmission method a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ame type of shor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when the terminals detected as having the module turned on do not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or when the status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busy.

선택적으로,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전송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S801);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단계(S802);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전송 방식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S803); 및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SMS)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S80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파일 포맷에 기초하여 단문 메시지(SMS)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ncludes: acquiring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S801); Comparing the obtain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with a preset value (S802); If the obtain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as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file through the network application (S803); And determining (S804) whether the transmission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a preset size, as the SMS transmission mode or the multimedia message (MMS) transmission mo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short message (SMS) transmission method or the multimedia message (MMS)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file format.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을 제외한 다른 전송 방식들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수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the file through the network application may be other transmission methods except for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 this case,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rela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related It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일 예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이메일 전송 방식, QQ 전송 방식 및 위챗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술한 3개의 전송 방식들의 우선권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예를 들어, 이메일 전송 방식은 QQ 전송 방식에 우선하고, QQ 전송 방식은 위챗 전송 방식에 우선함), 및 사용자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앞의 3개의 통신 전송 방식들의 우선권의 순서를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a transmission scheme for 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may include an e-mail transmission scheme, a QQ transmission scheme, and a secondary chat transmission scheme. For example, the priorities of the three transmission schemes for transferring files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can be predetermined (e.g., the e-mail transmission scheme takes precedence over the QQ transmission scheme, Priority), and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vious thre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s in which a user transmits a file via a network application.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전송될 파일의 포맷을 획득하는 단계; 전송될 파일의 포맷이 제1 미리 설정된 포맷(예를 들어, txt)이면,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될 파일의 포맷이 제2 미리 설정된 포맷(예를 들어, JPG, GIF, BMP 등)이면, 전송 방식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예를 들어, MMS)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a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cludes: acquiring a format of a file to be transmitted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a first preset format (e.g., txt),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a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ode (e.g., MMS) if the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a second preset format (e.g., JPG, GIF, BMP, etc.).

이와 같이, 파일은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된다.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결정한 후, 파일을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한다.Thus, the file i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Afte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ethod, th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이하에서, 예시로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이 이메일 전송 방식인 경우,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파일을 전송하는 특정 단계들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서 이메일 계정 정보 및 이메일 계정 패스워드를 먼저 획득하고, 그 다음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서 이메일 계정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서 이메일 계정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서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될 파일을 전송한다. 파일을 수신한 후, 수신 단말은 수신된 파일을 저장할 것이고, 파일의 저장 경로를 자동으로 기록할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 단말의 수신 기록들을 보는 것만으로 수신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Hereinafter, as an example, when a transmission method of 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is an e-mail transmission method, specific steps of transferring a file according to a 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are described. For example,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ferr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communication terminal first obtains the e-mail account information and the e-mail account password from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quires the e-mail accou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file to be transmitted from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e-mail account using the e-mail account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file, the receiving terminal will store the received file and will automatically record the storage path of the file so that the user can locate the received file by simply viewing the receiving records of the receiving terminal.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1).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terminal (S901).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902).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S902).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와 비교할 수 있다(S903).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mpa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S903).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전송 방식은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S902).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에서 현재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할 수 있다(S904).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determine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S902).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arch for terminals that have turned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type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urrently turned on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904 ).

통신 단말은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905). 일 예에서,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S905). In one example,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902).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면,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906). 수신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이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907). 통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비지),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902).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S902). I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a receiving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whether the receiving terminal is idle (S906). If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d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S907). If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not idle (e.g., bus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S902).

통신 단말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면(S902), 통신 단말은 파일 크기를 획득하여, 파일 크기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다(S908).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S902),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acquire the file size and compare the file size with a predetermined value (S908).

파일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909). If the size of the fi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file through the network application (S909).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통신 단말은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SMS)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S910). 통신 단말은 파일 포맷에 기초하여 단문 메시지(SMS)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 message (SMS) transmission mode or a multimedia message (MMS) transmission mode (S910).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rmine the short message (SMS) transmission method or the multimedia message (MMS)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file format.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의 디바이스(100)는 도 1의 디바이스(100)의 일부 실시예일 수 있고, 전술한 도면에서 언급된 통신 단말이거나,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evice for transferring files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The device 100 of FIG. 11 may be some embodiment of the device 100 of FIG. 1 and may be a communication terminal as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figures, o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terminal.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라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디바이스(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1, a device 100 for transferring fil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However, not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1 ar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device 100. Fig. Th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1, or th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 unit 110 means means for the user to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device 100. [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a contact type capacitance type, a pressure type resistive type, an infrared ray detection type, a surface ultrasonic wave conduction type, A measurement method, a piezo effect method, et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통신 단말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모두 제어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110) 및 통신부(1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is typically capable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1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an process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0. [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and the data processing necessary for the operation can all be performed in the control unit 120. [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processor,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input unit 1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entirely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통신부(130)는 수신 단말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단거리 통신 모듈 및 장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such as a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단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단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eans a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xamples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 wireless LAN, Wi-Fi, Bluetooth, ZigBee, Wi-Fi Direct, UWB, 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 (BDE), Bluetooth Low Energy (BL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like.

장거리 통신 모듈은 장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을 제외한 다른 전송 방식들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이메일 전송 방식, QQ 전송 방식 및 위챗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means a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through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Examples of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file using a network applicatio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scheme for 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may be other transmission schemes other tha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scheme or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scheme. In one example, a transmission scheme for 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may include an e-mail transmission scheme, a QQ transmission scheme, and a secondary chat transmission scheme.

입력부(110)는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한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a file to be transmitted.

제어부(120)는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다른 통신 단말(이하에서 수신 단말, 수신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로도 언급됨)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a transmission mode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receiving terminal, a receiving device, or a second device) that receives the file to be transmitted.

선택적으로, 제어부(120)가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전에, 입력부(110)는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해야만 하고,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해야만 한다. Optionally, befor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he input unit 110 must receive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fil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must do it.

일 예에서, 입력부(110)는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하기 전에,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할 수 있고, 그 다음 입력부(110)는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한다. In one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a receiving terminal that receives a file to be transmitted before receiving a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file to be transmitted, and then the input unit 110 And receives a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file to be transmitted.

다른 예에서, 입력부(110)는 전송될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한 후에,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수신할 수 있고, 그 다음 제어부(120)는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In another example, after receiving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file to be transmitted,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that receives the file to be transmitted, and then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선택적으로,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는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MAC 주소), 수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계정 정보, QQ 계정 정보, 위챗(Wechat) 계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Optionally,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may includ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e.g., MAC address of the receiving terminal),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email account information, QQ account information, Wechat account information, etc.).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를 먼저 획득해야만 하고, 그 다음 통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 파일을 전송할 때,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file to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ntroller 120 must acquire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irst, and then,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

선택적으로, 제어부(120)는 거리 결정 유닛 및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distance determin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거리 결정 유닛은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The distan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예를 들어, 거리 결정 유닛은 제1 획득 유닛, 제2 획득 유닛 및 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획득 유닛은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고; 제2 획득 유닛은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계산 유닛은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 경우에,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는 수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일 수 있고,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는 통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획득 유닛은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획득 유닛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tance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acquisition unit, a second acquisition unit, and a calculation unit. The first obtaining unit transmits a short message for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s telephone number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second obtaining unit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latitude and longit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latitude and longit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ptionally, the second obtaining unit may be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for example, the second obtaining unit may b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예를 들어, 제1 획득 유닛은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해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로 전송할 수 있고, 그 다음 수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된(replied) 단문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그 다음 제2 획득 유닛은 통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계산 유닛은 수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 및 통신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위치 정보에 따라, 수신 단말 및 통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는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고,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는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obtaining unit may transmit a short message including a command for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transmit the latitude and longitude The second obtaining unit obtains the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lculating unit obtains the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의 관련 정보는 시각적 관련 정보 및 프라이빗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시각적 관련 정보는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 통신 단말의 주소 정보(예를 들어, 통신 단말의 MAC 주소), 통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계정 정보, QQ 계정 정보, 위챗 계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라이빗 관련 정보는 통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패스워드(예를 들어, 이메일 계정 패스워드, QQ 계정 패스워드, 위챗 계정 패스워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관련 정보를 교환할 때, 통신 단말은 시각적 관련 정보를 수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나, 프라이빗 정보를 수신 단말에 제공하지 않는다. Alternatively,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visual related information and private related information. The visual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MAC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unt information of a network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e.g., e-mail account information, QQ account information, Account information, etc.). Optionally, the privat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ount password (e.g., an email account password, a QQ account password, a Wikitic account password, etc.) of a network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exchange related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rovide visual related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but does not provide private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선택적으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전, 거리 결정 유닛은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거리 요건을 만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고, 이때 거리 결정 유닛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단거리 통신 방식의 거리 요건을 만족하지 않음이 분명하고, 이때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필요가 없고,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바로 결정할 수 있다.Optionally, before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the distanc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First, we can judg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are likely to satisfy the distance requirement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 It is clear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do not satisfy the distance requirement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unless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can directly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선택적으로, 거리 결정 유닛은 수신 단말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전화 번호를 가지는 수신 단말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기지국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단말의 기지국 정보에 따라,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lternatively, in order to obtain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distance determining unit may transmit a command for obtaining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having the telephone number to the server of the base station, And whether the receiving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선택적으로,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의 값은 기존의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의 요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Optionally, the valu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exis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

선택적으로,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통신 단말에서 현재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먼저 검색할 수 있고, 그 다음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검색된 단말들이 수신 단말을 포함하지 않으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다.Alternatively,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e terminal that has turned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type of the shor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file to be transmitted first, and i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And 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예를 들어,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detects whether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terminals include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and 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terminals include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terminals does not include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as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n this case,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선택적으로,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가 수신 단말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면,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수신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idle)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상태가 아이들이면,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수신 단말의 상태가 비지(busy)이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다. Alternatively, 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terminals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ing unit may detect whether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dle. If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dle,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and if the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busy,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선택적으로,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통신 단말 및 수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ption terminal is greater than a preset distance. For example,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a transmission method of 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선택적으로,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전송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고,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고,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전송 방식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을 제외한 다른 전송 방식들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수신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는 수신 단말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acquire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compare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with a preset value, and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to be a transmission method of transmitting a file through a network application. If the acquired size of a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a preset value,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to be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the file through the network application may be other transmission methods except for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 this case,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rela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may be related It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선택적으로,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은, 전송될 파일의 획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전송될 파일의 포맷을 획득하고, 전송될 파일의 포맷이 제1 미리 설정된 포맷이면,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전송될 파일의 포맷이 제2 미리 설정된 포맷이면, 전송 방식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예를 들어, MMS) 전송 방식으로 결정한다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acquire a format of a file to be transmitted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if the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a first predetermined format, If the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the second predetermined format,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to be a multimedia message (for example, MMS) transmission method

전송 방식 결정 유닛의 기능들은 전술한 도면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Since the functions of the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unit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repeated explanation here is omitted.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파일을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transmit the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제어부(120)는 전송 방식을 결정한 후,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Afte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the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ode.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파일을 전송하는 제어부(120)의 기능들은 전술한 도면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Since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120 for transferring a fi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repeated explanation is omitted here.

본 개시의 방법 및 디바이스에 따르면, 사용자는 파일을 전송할 때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이 선택된 후, 디바이스가 어떤 판단 조건에 따라 전송될 파일의 전송 방식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이때, 사용자가 전송 방식을 수동으로 선택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can intuitively select a receiving terminal that receives a file to be transmitted when transmitting a file, and after a receiving terminal that receives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elected,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t this time, the user does not need to manually select the transmission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본 개시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따르면, 전송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이 선택되고, 디바이스는 어떤 판단 조건에 따라 전송될 파일의 전송 방식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fil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receiving terminal that receives a file to be transmitted is selected, and the device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certain judgment condition, do.

게다가, 본 개시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내 각 유닛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각 정의된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에 따르면,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 유닛을 구현하기 위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unit in the device for transferring file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ocesses executed by each defined uni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o implement each unit .

게다가, 본 개시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컴퓨터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방법의 설명에 따른 컴퓨터 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 코드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구현된다. In addition, a method for transferring a file at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computer code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the computer code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mplemented when the computer code is executed on a computer.

본 개시는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상술되었으나,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후술하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While this disclosure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Claims (20)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부;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 device for transferring files,
A communication unit;
An inpu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le to be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And
Determine a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e 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distan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le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 또는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e or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hort message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the associ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that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nd determine the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화 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기지국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기지국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mmand for acquiring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having a telephone number to a server of the base station to acquir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e, based o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ethod to be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f the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distance, searching for terminals that have turned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type of the short-
And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주소 정보가 상기 검색된 단말들의 주소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terminals,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otherwise, And detecting that the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second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아이들(idle)이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비지(busy)이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i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if the status of the second device is idle,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if the status of the second device is busy, And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a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전송 방식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account)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and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transmission method of transmitting the file through the network application if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device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ar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될 파일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 mode to be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device.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transferring a file on a device,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le to be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and determining 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distance; And
And transmitting the file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은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 또는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ransmission scheme is determined to b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or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etermining the distance comprises: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to a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Wherei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scheme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based on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ing that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no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nd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f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전화 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기지국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기지국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schem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mmand for obtaining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having a telephone number to a server of the base station to obtain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e, based o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whether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ame base station,
Wherei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is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 또는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턴온된 단거리 통신 모듈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단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한 단말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scheme as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or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earching for terminals that have turned 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type as the typ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urned on in the device, if the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based on whether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말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아이들(idle)이면, 전송 방식을 단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태가 비지(busy)이면, 전송 방식을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whether the retriev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comprises:
Determining, if the searched terminals do not include the second device, the transmission method as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termining if the searched terminals include the second device, if the status of the second device is idle,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if the status of the second device is busy, Determining a transmission scheme a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sche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이 장거리 통신 전송 방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될 파일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전송 방식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방식을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관련된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계정(account)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cquiring a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f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a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file through the network application if the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mode to be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or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ode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Accou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device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device are included i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파일의 상기 획득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될 파일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방식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방식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transmission method is determined to be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r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a format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f the acquired size of the file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제11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1 to 19 is recorded.
KR1020150056895A 2014-05-21 2015-04-22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 KR102343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8,591 US10320883B2 (en) 2014-05-21 2015-05-21 Device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16465.0A CN104010269A (en) 2014-05-21 2014-05-21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file in communication terminal
CN201410216465.0 2014-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266A true KR20150134266A (en) 2015-12-01
KR102343328B1 KR102343328B1 (en) 2021-12-24

Family

ID=5137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95A KR102343328B1 (en) 2014-05-21 2015-04-22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3328B1 (en)
CN (1) CN10401026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5389B (en) * 2015-06-04 2021-02-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Screen content encryp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105119954B (en) * 2015-07-08 2019-08-30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Document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6487748B (en) * 2015-08-26 2020-07-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7864169B (en) * 2016-09-22 2019-10-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A kind of document sending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terminal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001A (en) * 2003-07-26 2005-02-02 김재형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and(or) Data Between Each Other Telematics
KR20080064384A (en) * 2007-01-05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roup communication function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113550A (en) * 2008-01-15 2010-10-21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37064A (en) * 2009-10-05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52672A (en)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gn traffic
KR20120065919A (en) * 2010-12-13 2012-06-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of mobile terminals based on distance between mobile terminals
JP2013123130A (en) * 2011-12-09 2013-06-20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JP2013167510A (en)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Information apparatus
WO2013143414A1 (en) * 2012-03-27 2013-10-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File transmiss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JP2013207359A (en) * 2012-03-27 2013-10-07 Kddi Corp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ssion termina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4586B2 (en) * 2008-02-28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2006563A (en) * 2009-09-01 2011-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Information fil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3281431A (en) * 2013-02-26 2013-09-04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ly transferring fil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001A (en) * 2003-07-26 2005-02-02 김재형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and(or) Data Between Each Other Telematics
KR20080064384A (en) * 2007-01-05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roup communication function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113550A (en) * 2008-01-15 2010-10-21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37064A (en) * 2009-10-05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52672A (en)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gn traffic
KR20120065919A (en) * 2010-12-13 2012-06-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of mobile terminals based on distance between mobile terminals
JP2013123130A (en) * 2011-12-09 2013-06-20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JP2013167510A (en)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Information apparatus
WO2013143414A1 (en) * 2012-03-27 2013-10-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File transmiss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JP2013207359A (en) * 2012-03-27 2013-10-07 Kddi Corp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ssion termina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328B1 (en) 2021-12-24
CN104010269A (en)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342B2 (en) Gesture-based delivery from mobile device
US9565247B2 (en) Method and system of sharing information in a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KR101784898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WO2015035868A1 (en) Place of interest recommendation
JP2012527856A (en) Device customization based on space and time
US10298997B2 (en) Methods for uploading file to television set and playing file, television set and user equipment
CA2928191C (en)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KR102249413B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U2017414413B2 (en) Search method and apparatus
KR102343328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ile
CN104035951A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displaying map
EP3687118B1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terminal, network device, and system
EP3087494B1 (en) Method for using magnetometer together with gesture to send content to wireless display
CN103905552A (en) File sharing method, terminal and server
KR102381068B1 (en) Wireless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386435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erver
KR2019013211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513005B (en) Contact pers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657281B (en) File sharing method and device
US10320883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file
CN107798008B (en) Content pushing system, method and device
US20120331042A1 (en) Client and server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05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im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N104184879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file transmission
KR102099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